KR20130045636A -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636A
KR20130045636A KR1020110109969A KR20110109969A KR20130045636A KR 20130045636 A KR20130045636 A KR 20130045636A KR 1020110109969 A KR1020110109969 A KR 1020110109969A KR 20110109969 A KR20110109969 A KR 20110109969A KR 20130045636 A KR20130045636 A KR 2013004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nos
pair
dna
ss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740B1 (ko
Inventor
박용진
정이
이정훈
안영섭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7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약에서 분리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 내지 2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 개의 핵산서열을 갖는 SSR 프리이머쌍 및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 및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SSR 프라이머쌍은 작약의 DNA 다형성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작약의 DNA 프로파일을 작성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약의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신규 유전자원 도입시 기존 보유자원과의 중복성 분석 및 신규성 확립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SSR primer derived from Paeonia lactiflora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작약에서 분리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육종에 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요 작물 및 소재배 작물에서 해마다 많은 양의 유전자원이 수집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유전자원에 대한 평가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수집된 유전자원의 종간 및 아종간 품종의 신속한 판별은 정확한 유전자원의 관리 및 보호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품종의 판별과 함께 유전자원의 유형 형질 탐색과 분류, 그리고 유연관계의 규명은 유전자원의 보존이나 신품종의 창출 및 작물의 개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분자생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핵산(DNA) 수준에서 유전자원의 다양성(bio-diversity) 연구를 가능케 하는 핵산 지문 분석 방법 및 다양한 DNA 마커들이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유용 형질 탐색, 생물의 종 판별, 품종 분류·동정 및 집단 개체군의 유연관계 분석을 외부환경 등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개발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지문분석법(fingerprinting)에는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s) 방법,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c DNA) 방법, SSR(simple sequence repeat)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방법 중 RAPD 방법은 비특이적 PCR 산물이 증폭되므로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AFLP 방법은 높은 DNA 다형성 검출로 각광받고 있지만 재현성이 떨어지는 밴드의 출현과 분석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SSR 방법은 DNA 반복 배열인 초위성체(microsatellite) 영역의 염기 배열 정보를 근거로 PCR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초위성체(microsatellite) 분석이 용이하고 높은 재현성을 가지는 장점으로 인하여 생물종의 동정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특히 SSR 방법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SSR 방법의 우수성으로 인해 여러 주요 작물 및 소재배 작물에서 SSR 마커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한창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작약의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SSR 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던 중, 작약에서 다형성 변이를 많이 나타내는 SSR 프라이머쌍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 공개번호 10-2010-0112501호
본 발명은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작약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분석하였고, 작약의 품종에 대한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품종 판별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품종 판별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 개의 핵산서열을 갖는 SSR 프리이머쌍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SSR 프라이머쌍은 작약의 DNA 다형성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작약의 DNA 프로파일을 작성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약의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신규 유전자원 도입시 기존 보유자원과의 중복성 분석 및 신규성 확립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UPGMA 계통수는 한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85 수집종(accessions) 사이의 유전적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핵산서열을 갖는 SSR 프라이머쌍을 제공한다.
상기 SSR 프라이머쌍은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1 및 1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 및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 및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 및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 및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 및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3 및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5 및 2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7 및 2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SR 프라이머쌍은 작약(Paeonia lactiflora)으로부터 유래된 것 일 수 있다. 상기 작약은 작약(芍藥,)은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함박꽃이라고 하는 원예종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높이는 1m 내외이고 꽃 색깔에 따라 백작약, 적작약으로 나누기도 한다. 꽃이 아름다워 옛날부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해 왔으며 반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뿌리는 한방에서 귀중한 약재로 취급되어 백작약 뿌리는 빈혈 치료와 진통제로, 적작약 뿌리는 혈압과 해열제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는 카피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complexity)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이용 조건에 의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SSR 프라이머쌍;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에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PCR 완충액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a)작약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b)추출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c)상기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작약 시료에서 게놈(genomic) DN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TAB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wizard prep 키트(Promega 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SR 프라이머쌍을 프라이머로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할 수 있다.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리가아제 연쇄반응(ligase chain reaction), 핵산 서열 기재 증폭(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전사 기재 증폭 시스템(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가닥 치환 증폭(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또는 Qβ 복제효소(replicase)를 통한 증폭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핵산 분자를 증폭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적당한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PCR이란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으로부터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PCR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표적 서열은 검출 가능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표지 물질은 형광, 인광 또는 방사성을 발하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 물질은 Cy-5 또는 Cy-3이다. 표적 서열의 증폭시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 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 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물질을 이용한 표지는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면 증폭 산물이 합성되면서 방사성이 증폭 산물에 혼입되어 증폭 산물이 방사성으로 표지 될 수 있다. 표적 서열을 증폭하기 위해 이용된 프라이머쌍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증폭 산물의 검출은 모세관 전기영동, DNA 칩, 겔 전기영동, 방사성 측정, 형광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다. 모세관 전기영동은 예를 들면, ABi Sequencer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겔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겔 전기영동은 증폭 산물의 크기에 따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또는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 측정 방법은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 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되며, 이렇게 표지된 형광은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측정 방법은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여 증폭 산물을 표지한 후, 방사성 측정기구, 예를 들면, 가이거 계수기(Geiger counter) 또는 액체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방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1. 재료 및 방법
(1) 식물 재료와 DNA 추출
작약(Paeonia lactiflora)의 총 85 accessions은 한국의 밀양, 영천 및 김해에서 얻었다(표 1). DNA는 퀴아젠 DNA 추출 키트(Qiagen, Hilden, Germany)를 사용하여 신선한 잎으로부터 추출했다. 추출한 DNA의 순도와 농도는 NanoDrop ND-1000(NanoDrop Technologies, Inc., Wilmington, DE, US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최종 DNA 농도는 20 ng/μL로 만들었다. 하기 표 1은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작약의 85 수집종(accessions)이다.
NO ID Species Collection region NO ID Species Collection region
1 KUP001 YCH409 Gimhae 44 KUP044 YCH307 Yeongcheon
2 KUP002 YCH274 Miryang 45 KUP045 YCH320 Yeongcheon
3 KUP003 YCH277 Miryang 46 KUP046 YCH327 Yeongcheon
4 KUP004 YCH278 Miryang 47 KUP047 YCH328 Yeongcheon
5 KUP005 YH146-10 Miryang 48 KUP048 YCH329 Yeongcheon
6 KUP006 YH16-1 Miryang 49 KUP049 YCH331 Yeongcheon
7 KUP007 YH164-1 Miryang 50 KUP050 YCH333 Yeongcheon
8 KUP008 YH165-1 Miryang 51 KUP051 YCH337 Yeongcheon
9 KUP009 YH17-1 Miryang 52 KUP052 YCH338 Yeongcheon
10 KUP010 YH18-2 Miryang 53 KUP053 YCH340 Yeongcheon
11 KUP011 YH196-1 Miryang 54 KUP054 YCH341 Yeongcheon
12 KUP012 YH197-1 Miryang 55 KUP055 YCH345 Yeongcheon
13 KUP013 YH198-1 Miryang 56 KUP056 YCH351 Yeongcheon
14 KUP014 YH20-1 Miryang 57 KUP057 YCH353 Yeongcheon
15 KUP015 YH201-4 Miryang 58 KUP058 YCH354 Yeongcheon
16 KUP016 YH202-2 Miryang 59 KUP059 YCH355 Yeongcheon
17 KUP017 YH203-1 Miryang 60 KUP060 YCH356 Yeongcheon
18 KUP018 YH211-1 Miryang 61 KUP061 YCH357 Yeongcheon
19 KUP019 YH212-13 Miryang 62 KUP062 YCH361 Yeongcheon
20 KUP020 YH213-3 Miryang 63 KUP063 YCH362 Yeongcheon
21 KUP021 YH214-1 Miryang 64 KUP064 YCH363 Yeongcheon
22 KUP022 YH21-5 Miryang 65 KUP065 YCH364 Yeongcheon
23 KUP023 YH215-3 Miryang 66 KUP066 YCH365 Yeongcheon
24 KUP024 YH24-1 Miryang 67 KUP067 YCH366 Yeongcheon
25 KUP025 YH25-1 Miryang 68 KUP068 YCH369 Yeongcheon
26 KUP026 YH254-3 Miryang 69 KUP069 YCH370 Yeongcheon
27 KUP027 YH266-9 Miryang 70 KUP070 YCH372 Yeongcheon
28 KUP028 YH271-15 Miryang 71 KUP071 YCH373 Yeongcheon
29 KUP029 YH272-3 Miryang 72 KUP072 YCH376 Yeongcheon
30 KUP030 YH273-4 Miryang 73 KUP073 YCH377 Yeongcheon
31 KUP031 YH274-12 Miryang 74 KUP074 YCH378 Yeongcheon
32 KUP032 YH276-3 Miryang 75 KUP075 YCH392 Yeongcheon
33 KUP033 YH277-3 Miryang 76 KUP076 YCH393 Yeongcheon
34 KUP034 YH278-11 Miryang 77 KUP077 YCH399 Yeongcheon
35 KUP035 YH63-2 Miryang 78 KUP078 YCH403 Yeongcheon
36 KUP036 YH63-3 Miryang 79 KUP079 YCH405 Yeongcheon
37 KUP037 YH65-7 Miryang 80 KUP080 YCH407 Yeongcheon
38 KUP038 YH72-5 Miryang 81 KUP081 YH255-1 Yeongcheon
39 KUP039 YH275-15 Miryang 82 KUP082 YH256-11 Yeongcheon
40 KUP040 YCH261 Yeongcheon 83 KUP083 YH257-1 Yeongcheon
41 KUP041 YCH262 Yeongcheon 84 KUP084 YH258-1 Yeongcheon
42 KUP042 YCH281 Yeongcheon 85 KUP085 YH259-1 Yeongcheon
43 KUP043 YCH303 Yeongcheon
ID: identification number given by Kongju National University.
(2) SSR 모티브 enriched library 의 구축
작약의 게놈 DNA로부터의 SSR 모티프(motif)-enriched library는 수정된 비오틴-스트렙타비딘 포획(biotin-streptavidin capture)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총 DNA는 7개의 제한 효소(EcoRV, DraI, SmaI, PvuI, AluI, HaeIII, 및 RsaI)로 처리하였다. pooling 이후에, 분해된 DNA는 1.4%의 아가로즈 겔(agarose gel)에서 사이즈별로 분별되었다. 300에서 1500bp 범위의 조각들은 겔로부터 녹여서 분리하였고, gel extraction kit (Qiage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으며, 어뎁터(AP11-5'-CTC TTG CTT AGA TCT GGA CTA-3' 및 AP-12-5'-TAG TCC AGA TCT AAG CAA GAG CAC A-3')로 라이게이션하였다. 어뎁터로 라이게이션된 DNA는 긴(40-45 개의 핵산) 비오틴이 표지된 반복 프로브[(GA)20, (CA)20, (AGC)15, (GGC)15, (AAG)15, (AAC)15, (AGG)15]의 혼합물과 혼성화 되었다. 혼성화된 DNA 조각은 streptavidin과 함께 코팅된 자석 구슬로 획득하였다. 확실하게 세척한 후에 DNA 조각은 50ul의 증류수와 함께 비드로부터 녹아서 분리 되었으며, PCR은 AP11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하였다. 증폭된 DNA 생성물은 pGEM-T Easy Vector (Promega)안에 삽입하고 E.coli cells로 이동하여 복제하였다. 재조합된 콜로니는 블루/화이트 콜로니 선택에 의해 확인되었다.
(3) DNA sequencing SSR 프라이머의 디자인
총 759의 재조합 클론은 무작위적으로 primary transformation plates로부터 선택되었다. 플라스미드에 DNA 삽입물은 BigDye terminator kit (Applied Biosystems)와 함께 ABI 3730xl DNA sequencer를 사용하여 배열되었다. 복제된 염기서열 및 프라이머 디자인 내에서의 SSR 판별은 SSR MANAGER program (Kim 2004)을 사용하여 실행되었다. 다형성을 위해 프라이머 쌍들은 QIAxcel system (Qiagen)을 사용함으로써, 8 bulk의 패널(bulk 당 작약의 5 accessions)내에서 평가되었다. 다형성 PCR product의 크기는 Schuelke (2000)의 M13 tail PCR 방법에 따라 정확하게 측정되었다. PCR 증폭은 2ul의 게놈 DNA (10 ng/μl), 0.2 μl의 특정한 프라이머, 0.4 μl의 M13 universal 프라이머(10 pmol/μl), 0.6 μl의 normal reverse 프라이머, 2.0 μl의 10× PCR buffer, 1.6 μl의 dNTPs (2.5 mM), 및 0.2 μl의 taq DNA polymerase(5 unit/μl)를 포함한 총 20ul의 부피 내에서 실행되었다. PCR 증폭 조건은 다음과 같다: 94℃에 3분, 1 단계(94℃에서 30초, 55°C에서 45초, 72°C에서 1분)를 30회 반복하고, 2 단계(94°C에서 30초, 53°C에서 45초, 72에서 1분)를 10회 반복하고, 최종 72에서 10분간 연장반응을 수행하였다. SSR 대립유전자는 GeneMapper 4.1 software을 사용하여 ABI PRISM 3500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에서 결정되었고, GeneScan 500 ROX (6-carbon-X-rhodamine) molecular size standards (50-500 bp)을 사용하여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4) 데이터 분석
각 유전자 부분의 변이성은 genetic analysis package POPGENE version 1.31을 사용하여 대립인자의 수, 이형접합성 관찰치(observed heterozygosity), 이형접합성 기대치(expected heterozygosity) 및 각각 수집자원(accessions) 사이의 유전적 거리 등을 측정되었다. 총 대립인자의 수, 주 대립인자의 빈도(Major allele frequency), 유전자의 다양성(Gene Diversity), 및 다형성 정보 함량(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을 측정하기 위해 PowerMarker version 3.25 (Liu and Muse 2005)를 사용하였다. UPGMA 알고리즘은 MEGA4 software(Tamura et al. 2007)을 사용하여 distance matrix로부터 unrooted phylogram을 그리기 위해 사용되었다.
2. 결과
(1) SSR 개발
SSRs을 위한 enriched library는 작약의 게놈 DNA로부터 실행되었다. enriched library의 구축을 위한 개발단계 와 그것의 구조 및 특징을 표 2에 요약하였다. 하기 표 2는 작약에 있어서, 초위성체(microsatellite) 농축된 라이브러리의 구조 및 특성 내에서 스크리닝 과정에 관한 것이다.
Screening steps   Numbers (percentage)
Sequenced clones 759
Redundant clones 35 (4.6%)
Unique clones 724 (95.4%)
SSR clones 321 (42.3%)
Primer design   212 (27.9%)
Checked markers 40
Polymorphic markers 14
총 759 재조합 클론은 무작위로 선택되었고 나열되었으며, 35(4.6%) 여분의 클론을 발견하였다. 나머지 724(95.4%)의 독특한 클론 중에서, 321(42.3%)는 SSR 시퀀스를 가졌다.
SSR-함유한 모든 클론의 시퀀스 분석은 총 396의 다른 반복 모티프를 확인하였다. 디뉴클레오티드 SSRs (86.9%)은 트리뉴클레오티드 SSRs (11.6%; 표 3)보다 우세하였다. 적은 수(1.5%)의 tetra-/penta-/gexa뉴클레오티드 SSRs도 또한 library 내에 존재하였다. 디뉴클레오티드 타입 사이에서, 반복된 모티프의 AG/GA class는 가장 빈번하게(36.6%) 확인되었고, GT/TG(24.1%) class, CT/TC(21.8%) class, 나머지(17.2%) class들이 뒤따랐다. 트리뉴클레오티드 SSRs 중에서, 반복된 모티프의 GAA/AAG/AGA class가 우세(23.9%)하였고, GAG/AGG/GGA(17.4%) class, GTT/TTG/TGT(17.4%) class, 나머지(41.3%) class가 뒤따랐다. 마지막으로, 212 프라이머 쌍들은 SSR을 포함한 클론의 핵산염기서열부분(the flanking sequences)에 기초하여 설계되었다. 이 중에서 40 프라이머 쌍은 다형성을 위해 스크리닝 하는데 사용되었다. 오직 14개의 프라이머 쌍은 독특하고 재현성 있는 다형성 밴드를 생산하였고, 후행 실험을 위해 선택되었다. 하기 표 3은 작약에 있어서, 풍부한 라이버리 내에서 확인된 microsatellite 염기서열에 관한 것이다.
Repeat unit Repeat class Number (%)
Di-nucleotide
AG/GA 126 36.6
GT/TG 83 24.1
CT/TC 75 21.8
AC/CA 45 13.1
AT/TA 14 4.1
Total 344 86.9
Tri-nucleotide
GAA/AAG/AGA 11 23.9
GAG/AGG/GGA 8 17.4
GTT/TTG/TGT 8 17.4
CAG/AGC/GCA 6 13.0
GCT/CTG/TGC 5 10.9
CAA/AAC/ACA 3 6.5
TGA/GAT/ATG 2 4.3
CCA/CAC/ACC 2 4.3
CTT/TTC/TCT 1 2.2
Total 46 11.6
Others
(Tetra/Penta/Hexa)
6 1.5
Total repeat motifs 396
(2) SSR 다형성
각 유전자 부분에서의 변이성은 대립인자의 수, 이형접합성 관찰치(observed heterozygosity), 주 대립 인자의 빈도(Major allele frequency), 유전자의 다양성(Gene Diversity), 및 다형성 정보 함량(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의 관점에서 측정되었다. 14 SSR 마커는 85 accessions 중에서 103 대립유전자(allele)를 나타내었고, 3 개의 영역을 나타내었다(표 1). 유전자 부분 당 대립유전자의 많은 정도는 마커들 사이에서 다양하였고, 4개의 대립유전자(knu21, knu94)에서 16개의 allele(knu154)의 범위와 평균 7.4 의 대립유전자를 가졌다(표 4). 14개의 다형성 유전자 부분 중에서, 8개의 유전자 부분은 디뉴클레오티드 또는 트리뉴클레오티드 SSRs의 완전한 반복으로 구성되었다. 3개의 유전자 부분(knu14, knu114, 및 knu124)은 서로 다른 반복 모티프로 구성된 복합 반복(즉, 서로 다른 반복 모티프로 구성된)으로 구성되었고, 3개의 유전자 부분(knu21, knu35, 및 knu115)은 여러 반복(1 SSR보다 많은)으로 구성되었다. 유전자 부분당 주 대립유전자의 빈도(Major allele frequency) 및 이형접합성 기대치(expected heterozygosity)는 각각 0.61 및 0.62의 평균을 가지고, 각각 0.39 (knu14)에서 0.88 (knu21) 및 0.41 (knu21)에서 0.78 (knu14)로 다양하였다. 유전적 다양성의 값은 평균 0.50을 가지고, 0.21 (knu21)에서 0.71 (knu14 및 knu78) 범위를 가지며, PIC 값은 평균 0.43을 가지고, 0.19 (knu21)에서 0.67 (knu78) 범위를 가졌다. 하기 표 4는 작약을 위해 개발된 14개의 새로운 다형성 마커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3) 계통발생적 관계
공유 대립인자의 비율은 본 실험에서 사용된(표 5) 85 수집종(accessions) 사이의 모든 pairwise 조합 사이의 유전적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PowerMarker에 의해 측정된 유전적 매트릭스 거리를 Mega4 software를 사용하여 UPGMA tree를 그리기 위해 이용하였다. 작약의 85 수집종(accessions)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0.56의 평균을 가진 0.10 에서 0.95 범위였다. SSRs에 의해 밝혀진 다른 수집종(accessions) 사이의 유전적 거리의 다양성은 DNA 레벨에서 다형성의 높은 기준을 반영했다. 모든 수집종(accessions)은 UPGMA 계통도 내에서 5 그룹(groups I, II, III, IV, 및 V) 으로 무리지어질 수 있었다(도 1). 표 5는 Nei's의 유전적 거리를 나타낸다.
pop ID 1 2 3
1 ****
2 0.6125 ****
3 0.9477 0.1074 ****
<110> kongj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SSR primer derived from Paeonia lactiflora and use thereof <130> p110677 <160> 2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7 <212> DNA <213> paeonia <400> 1 tggggagaat tccatgc 17 <210> 2 <211> 21 <212> DNA <213> paeonia <400> 2 ggagacttgg ttaaaagcca t 21 <210> 3 <211> 19 <212> DNA <213> paeonia <400> 3 tcccgtaagc tttgtttcc 19 <210> 4 <211> 23 <212> DNA <213> paeonia <400> 4 ctgttacaga gttctcccaa gag 23 <210> 5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5 tagacggcgt aggatgga 18 <210> 6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6 cggagatgtg tggacgtt 18 <210> 7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7 ttgcactgat tgtgcagc 18 <210> 8 <211> 20 <212> DNA <213> paeonia <400> 8 tcccttttga taactcccaa 20 <210> 9 <211> 19 <212> DNA <213> paeonia <400> 9 caaggcatgc atcactctc 19 <210> 10 <211> 21 <212> DNA <213> paeonia <400> 10 tgatttgtcc ggtaaaatgt g 21 <210> 11 <211> 20 <212> DNA <213> paeonia <400> 11 ccatcgacag gacatacatt 20 <210> 12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12 tgctgaggcg gtagagaa 18 <210> 13 <211> 19 <212> DNA <213> paeonia <400> 13 ttcacttgca aaaggttcg 19 <210> 14 <211> 22 <212> DNA <213> paeonia <400> 14 tctgagtcac aaaaagcaaa aa 22 <210> 15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15 aggcaggtgg aagtagcc 18 <210> 16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16 attagggttc gggctgtg 18 <210> 17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17 atctctccca tctcccga 18 <210> 18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18 tgaagttgtg cggtttga 18 <210> 19 <211> 19 <212> DNA <213> paeonia <400> 19 ggttgatctt ggttgtggt 19 <210> 20 <211> 24 <212> DNA <213> paeonia <400> 20 gtcttattct aatttcacac agga 24 <210> 21 <211> 23 <212> DNA <213> paeonia <400> 21 tggccaagag taattatgtg ttt 23 <210> 22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22 ggtggggtga gagaaagg 18 <210> 23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23 gtggcatgga tcatttgg 18 <210> 24 <211> 22 <212> DNA <213> paeonia <400> 24 tcatcccatg aagtcaataa aa 22 <210> 25 <211> 19 <212> DNA <213> paeonia <400> 25 ttgggaaggg aaaaacaaa 19 <210> 26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26 ttgaactgtg ggtctcgg 18 <210> 27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27 ctgcctctga gcctgcta 18 <210> 28 <211> 18 <212> DNA <213> paeonia <400> 28 ggggaaaagg agtgatgc 18

Claims (7)

  1. 서열번호 1 내지 2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핵산서열을 갖는 SSR 프라이머쌍.
  2.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1 및 1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 및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 및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 및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 및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 및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3 및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5 및 2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7 및 2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SSR 프라이머쌍.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약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R 프라이머쌍.
  4. 제1항 또는 제2항의 SSR 프라이머쌍;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 (a)작약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b)추출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c)상기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산물의 검출은 모세관 전기영동, DNA 칩, 겔 전기영동, 방사성 측정, 형광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109969A 2011-10-26 2011-10-26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33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969A KR101331740B1 (ko) 2011-10-26 2011-10-26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969A KR101331740B1 (ko) 2011-10-26 2011-10-26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636A true KR20130045636A (ko) 2013-05-06
KR101331740B1 KR101331740B1 (ko) 2013-11-20

Family

ID=4865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969A KR101331740B1 (ko) 2011-10-26 2011-10-26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74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98B1 (ko) * 2018-08-03 2018-10-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란과 작약 구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912196B1 (ko) * 2017-09-27 2018-10-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란과 작약 구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190011663A (ko) 2017-07-25 2019-02-07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작약의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작약의 원산지를 판별하는 방법
CN110029186A (zh) * 2019-04-26 2019-07-19 北京农学院 牡丹ssr标记、其引物对及dna分子身份证的构建
KR102014183B1 (ko) 2018-06-22 2019-08-26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작약속 식물의 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작약속 식물의 종을 판별하는 방법
KR20220152471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작약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20152470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마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20152472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맥문동 및 맥문아재비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20152473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시호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328B (zh) * 2019-04-04 2021-08-10 北京林业大学 鉴定紫斑牡丹品种的ssr分子标记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05B1 (ko) * 2004-09-09 2007-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들깨 속 식물에서 분리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996968B1 (ko) * 2008-04-08 2010-11-30 대한민국 버섯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20100079527A (ko) * 2008-12-31 2010-07-0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팥에서 분리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63A (ko) 2017-07-25 2019-02-07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작약의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작약의 원산지를 판별하는 방법
KR101912196B1 (ko) * 2017-09-27 2018-10-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란과 작약 구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14183B1 (ko) 2018-06-22 2019-08-26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작약속 식물의 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작약속 식물의 종을 판별하는 방법
KR101912198B1 (ko) * 2018-08-03 2018-10-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란과 작약 구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0029186A (zh) * 2019-04-26 2019-07-19 北京农学院 牡丹ssr标记、其引物对及dna分子身份证的构建
CN110029186B (zh) * 2019-04-26 2022-06-03 北京农学院 牡丹ssr标记、其引物对及dna分子身份证的构建
KR20220152471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작약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20152470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마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20152472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맥문동 및 맥문아재비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20152473A (ko) * 2021-05-07 2022-11-16 한국한의약진흥원 시호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740B1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740B1 (ko)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029016B1 (ko) 양송이 균주 구별을 위한 ssr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2048562B (zh) 一种影响高山美利奴羊羊毛纤维直径的snp分子标记及其应用
CN110343767B (zh) 凡纳滨对虾微卫星分子标记特异性引物及其在遗传多样性分析中的应用
CN110541041B (zh) 与中国家马矮小性状相关的snp标记及其应用
KR102009712B1 (ko) 대추 복조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912933B1 (ko) 더덕과 잔대 구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10279B1 (ko) 더덕 속에서 더덕 종을 구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769874B1 (ko) 양파 종내 또는 종간 구분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441751B1 (ko) 국화 유래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054459B1 (ko)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특이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426466B1 (ko) 고려인삼 엽록체 지놈 완전 해독기반 품종 및 종 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332688B1 (ko) 인삼 &#39;선향&#39;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핵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CN106755396B (zh) 一种用于构建枸杞dna指纹图谱的引物组合以及应用和方法
KR102332689B1 (ko) 인삼 &#39;금진&#39; 및 &#39;선향&#39;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286871B1 (ko) 무측지 수박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335806B1 (ko) 대추 산조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엽록체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357497B1 (ko) 맥문아재비 속에서 유래된 est-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174274B1 (ko) 대추 품종 &#39;보은&#39;과 &#39;추석&#39;을 판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74019B1 (ko) 더덕과 만삼을 구별하기 위한 엽록체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088775B1 (ko)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699518B1 (ko) 인삼 품종 금풍과 황숙 재래종을 판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623818B1 (ko) 매실과 살구를 구별하기 위한 엽록체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313439B1 (ko) 진교, 진범, 흰진범 판별용 분자마커
KR102019966B1 (ko) 황기의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특이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