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160A - 승용형 작업차 - Google Patents

승용형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160A
KR20130037160A KR1020120099790A KR20120099790A KR20130037160A KR 20130037160 A KR20130037160 A KR 20130037160A KR 1020120099790 A KR1020120099790 A KR 1020120099790A KR 20120099790 A KR20120099790 A KR 20120099790A KR 20130037160 A KR20130037160 A KR 20130037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perated
electric motor
stopped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후지이
겐이찌 이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3003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2Cutting-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키 스위치 이외의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한 경우, 엔진이 오버히트의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행하는 키 스위치(34)와, 키 스위치(34)와는 다른 조작구와, 키 스위치(34)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엔진 정지 수단(72)을 구비한다. 엔진 정지 수단(72)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어도 라디에이터(30)의 팬(31)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32)를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작동시키는 계속 수단(7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승용형 작업차{RIDING-TYPE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승용형 전식기나 승용형 직파기 등의 승용형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승용형 작업차의 일례인 승용형 전식기에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다른 조작구에 상당)의 조작 경로(중립 위치)에 엔진의 정지 위치를 접속하여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를 정지 위치로 조작하면 엔진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이 경우,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를 정지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조작하면, 엔진이 자동적으로 시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식부 작업중에 있어서 모 받침대의 모가 적어진 경우, 변속 레버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여 기체를 정지시키는 대로 정지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키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고, 비교적 시간을 필요로 하는 모 받침대에의 모의 보급에 있어서 연료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모 받침대에의 모의 보급을 종료하면, 변속 레버를 정지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키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94753호 공보(도 5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승용형 전식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진흙이 단단하면서 깊은 무논에서의 식부 작업 등과 같이 엔진에 큰 부하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를 정지 위치로 조작하여 엔진을 정지시킨 경우, 엔진의 냉각도 정지되면 엔진의 열이 방출되지 않고 엔진이 일시적으로 오버히트의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 스위치 이외의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한 경우, 엔진이 오버히트의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Ⅰ]
(구성)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승용형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점에 있다. 엔진과,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보닛에 수용하고,
상기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행하는 키 스위치와, 상기 키 스위치와는 다른 조작구와, 상기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엔진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어도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작동시키는 계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엔진은 공냉 형식이 아니라 수냉(액냉) 형식이며, 라디에이터용의 팬은 엔진의 동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키 스위치와는 다른 조작구를 조작하여 엔진이 정지되어도 라디에이터용의 팬의 전동 모터는 정지하지 않고 작동을 계속한다. 이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어도 전동 모터 및 팬에 의해 보닛 내(엔진의 주위)에 외기가 공급되므로(또는 전동 모터 및 팬에 의해 보닛 내(엔진의 주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엔진의 열이 방출되어 엔진의 오버히트를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엔진의 오버히트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Ⅱ]
(구성)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승용형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상기 온도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계속 수단을 정지시켜서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전항 [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어도 라디에이터용의 팬의 전동 모터가 정지하지 않고 작동을 계속하면, 배터리의 전력의 소비가 커진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냉각수의 온도(온도 센서의 검출값)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전동 모터가 자동적으로 정지하므로, 배터리의 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소비되는 경우는 없어 이후의 엔진의 시동시에 배터리의 전력이 부족하다고 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는,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엔진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승용형 작업차에서 일반적으로 장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승용형 작업차에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엔진 정지 수단을 장비한 경우, 기존의 부재인 온도 센서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정지 수단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도 유리한 것이 되었다.
[Ⅲ]
(구성)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승용형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계속 수단을 정지시켜서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전항 [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어도 라디에이터용의 팬의 전동 모터가 정지하지 않고 작동을 계속하면, 배터리의 전력의 소비가 커진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동 모터가 자동적으로 정지하므로, 배터리의 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소비되는 경우는 없어 이후의 엔진의 시동시에 배터리의 전력이 부족하다고 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었다.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고나서의 설정 시간은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간단하게 계측할 수 있으므로, 설정 시간의 계측용의 특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제3 특징의 정지 수단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도 유리한 것이 되었다.
[Ⅳ]
(구성)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승용형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상기 온도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 온도 이하가 되는 상태 또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빠른 쪽의 상태가 되면, 상기 계속 수단을 정지시켜서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전항 [Ⅰ]에 기재된 바와 같이 ,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어도 라디에이터용의 팬의 전동 모터가 정지하지 않고 작동을 계속하면, 배터리의 전력의 소비가 커진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냉각수의 온도(온도 센서의 검출값)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는 상태, 또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빠른 쪽의 상태가 되면, 전동 모터가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의 전력이 충분히 남아있는 상태라도(전동 모터에 의한 팬의 구동이 긴 시간에 걸쳐서 행할 수 있는 상태라도), 냉각수의 온도(온도 센서의 검출값)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전동 모터가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점, 반대로 냉각수의 온도(온도 센서의 검출값)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지않아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동 모터가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점에 의해 배터리의 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소비되는 경우는 없어 배터리의 전력의 소비를 억제한다는 면에서 유리한 것이 되었다.
전항 [Ⅱ]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존의 부재인 온도 센서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4 특징의 정지 수단을 구성할 수 있는 점, 및 전항 [Ⅲ]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정 시간의 계측용의 특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제4 특징의 정지 수단을 구성할 수 있는 점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도 유리한 것이 되었다.
[Ⅴ]
(구성)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특징의 승용형 작업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키 스위치와는 다른 조작구를 조작하여 엔진이 정지된 경우, 이것이 통지되어 작업자는 키 스위치와는 다른 조작구(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된 것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오해를 적게 하ㅇ여 작업자의 오해에 기초하는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었다.
[Ⅵ]
(구성)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본 발명의 제5 특징의 승용형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된 후, 상기 계속 수단에 의해 상기 전동 모터가 계속해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작업자는 키 스위치와는 다른 조작구(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된 후, 전동 모터 및 팬이 작동을 계속한 경우, 이것이 통지되어 작업자는 계속 수단에 의해 전동 모터 및 팬이 작동을 계속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오해를 적게 하여 작업자의 오해에 기초하는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었다.
도 1은 승용형 전식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전식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변속 레버 및 안내 부재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변속 레버 및 안내 부재 부근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안내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조작 패널의 레버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변속 레버 및 브레이크 페달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엔진의 정지 및 시동 조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엔진의 정지 및 시동 조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전륜(1),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에 운전석(3)이 구비되어 있으며, 유압 실린더(5)에 의해 승강 구동 되는 링크 기구(5)가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있고, 링크 기구(5)을 통해서 6조식 형식의 모심기 장치(4)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승용형 작업차의 일례인 승용형 전식기가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4)는 3개의 전동 케이스(18), 전동 케이스(18)의 후방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 케이스(19), 회전 케이스(19)의 양단부에 구비된 식부 아암(20), 접지 플로트(23), 6개의 모 받침면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으로 왕복 가로 이송 구동되는 모 받침대(21)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 받침대(21)가 좌우 방향으로 가로 이송 구동됨에 따라 부식 아암(20)이 모 받침대(21)의 하부로부터 모를 취출하여 농지면에 이식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모심기 장치(4)의 우측 및 좌측부에 구비되어 있고, 농지면에 접지하여 지표를 형성하는 작용 자세 및 농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저장 자세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는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모심기 장치(5)에 지지된 아암부(47a)와, 아암부(47a)의 선단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47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을 작용 자세 및 저장 자세로 조작하는 우측 및 좌측의 전동 모터(48)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3)의 후방부에 4개의 조출부(25) 및 호퍼(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석(3)의 하측에 블로어(28)이 구비되어 있고, 접지 플로트(23)에 구비된 도랑 굴착기(27)와 조출부(25)에 걸쳐서 호스(26)가 접속되어 시비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호퍼(24)에 저류된 비료가 조출부(25)에 의해 조출되어 블로어(28)의 바람에 의해 호스(26)로부터 도랑 굴착기(27)에 공급되고, 도랑 굴착기(27)에 의해 농지면에 형성된 홈에 공급된다.
[2]
다음에, 엔진(12) 부근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의 전방부에 미션 케이스(9)가 구비되어 있고, 미션 케이스(9)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지지 프레임(11)에 엔진(12)(디젤 형식)이 지지되어 있고, 미션 케이스(9)의 좌측 가로 측면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연결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9)의 우측 및 좌측 가로 측면에 전륜 지지 케이스(8)가 연결되어 있고, 전륜 지지 케이스(8)에 우측 및 좌측의 전륜(1)이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체의 후방부에 후방 차축 케이스(10)가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어 후방 차축 케이스(10)에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이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2)의 후방측에 라디에이터(30)가 좌우 방향에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엔진(12)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 라디에이터(30)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팬(31)과, 팬(31)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32)(도 8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12), 라디에이터(30), 팬(31) 및 전동 모터(32)를 덮는 전방부 보닛(13) 및 후방부 보닛(15)이 구비되어 있고, 기체에 고정된 후방부 보닛(15)에 대하여 전방부 보닛(13)이 후방 상부의 횡축 코어(도시하지 않음) 주위에 상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보닛(15)의 후방면(운전석(3)측의 면)에 다수의 작은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보닛(13)의 우측 및 좌측 가로 측면에 가로로 긴 슬릿 형상의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부 보닛(13)의 전방면에도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32)에 의해 팬(31)이 회전 구동되면, 외기가 냉각풍으로서 후방부 보닛(15)의 후방면의 개구부로부터 전방부 및 후방부 보닛(13,15)의 내부에 흡입되어 라디에이터(30) 및 팬(31)을 통과하고, 엔진(12)의 주위를 통과하면서 전방부 보닛(13)의 우측 및 좌측 가로 측면의 개구부(13a), 전방면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배출된다. 엔진(12)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있어, 냉각수 펌프는 엔진(12)의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3)과 후방부 보닛(15)의 사이에 스텝(16)이 구비되어 있고, 스텝(13)의 우측 및 좌측의 전방부로부터 전방부 보닛(13)의 우측 및 좌측 가로측에 걸쳐 승강용의 스텝(22)이 연장되어 있다. 스텝(22)의 우측 및 좌측 가로측에 예비모 받침대(17)가 구비되어 있다.
[3]
다음에, 우측 및 좌측의 전륜(1), 우측 및 좌측의 후륜(2), 모심기 장치(4)에의 전동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2)의 동력이 벨트 전동 장치(46)로부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 미션 케이스(9)에 내장된 부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전륜 디퍼렌셜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우측 및 좌측의 전륜(1)에 전달되고, 부변속 장치로부터 전동축(49) 및 후방 차축 케이스(10)에 내장된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에 전달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 및 부변속 장치의 사이로부터 분기된 동력이 미션 케이스(9)에 내장된 주간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식부 클러치(43)로부터 전동축(45)을 거쳐서 모심기 장치(4)에 전달되어 있고, 시비 클러치(44)를 거쳐서 조출부(25)에 전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보닛(15)의 상부에 조작 패널(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 패널(35)의 좌우 중앙의 전방부에 액정을 사용한 표시부(36)(통지 수단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 패널(35)의 좌우 중앙 후방부에 우측 및 좌측의 전륜(1)을 조향 조작하는 조종 핸들(14)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종 핸들(14)의 좌측 가로측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29)(다른 조작구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고, 조종 핸들(14)의 우측 가로측에 엔진(12)의 시동 및 정지를 행하는 키 스위치(34)가 구비되어 있다.
[4]
다음에, 모심기 장치(4)의 조작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3)의 우측 가로측에 승강 레버(33)가 구비되어 있고, 승강 레버(33)는 상승 위치, 중립 위치, 하강 위치, 식부 위치 및 자동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승강 레버(33)의 조작 위치가 제어 장치(40)에 입력되어 있다.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를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전동 모터(39)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전자기 조작식의 제어 밸브(37), 중앙의 접지 플로트(23)의 모심기 장치(4)에 대한 높이(농지면부터 모심기 장치(4)까지의 높이)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형식의 높이 센서(38)가 구비되어 있고,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소프트웨어로서 제어 장치(40)에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모심기 장치(4)에 대한 중앙의 접지 플로트(23)의 높이(농지면(중앙의 접지 플로트(23))부터 모심기 장치(4)까지의 높이)에 기초하여 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으로부터 설정 높이로 유지되도록(높이 센서(38)의 검출값(높이 센서(38)와 중앙의 접지 플로트(23)의 상하 간격)이 설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 밸브(37)가 조작되고 유압 실린더(5)가 신축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자동적으로 승강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레버(33)를 상승 위치, 중립 위치, 하강 위치 및 식부 위치로 조작한 상태(승강 레버(33)를 자동 위치로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이하의 설명과 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 밸브(37) 및 전동 모터(39,48)가 조작되어 유압 실린더(5),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조작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5]에 기재된 조작 레버(50)의 상승 위치(U) 및 하강 위치(D)의 기능은 작동하지 않고, 조작 레버(50)의 우측 및 좌측 마커 위치(R,L)의 기능만이 작동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레버(33)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정지하여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되어 유압 실린더(5)가 수축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상승한다. 승강 레버(33)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정지되어 부식 및 시비 클러치(43,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5)가 정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레버(33)를 하강 위치로 조작하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정지하여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5)가 신장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하강한다. 다음에 중앙의 접지 플로트(23)가 농지면에 접지되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에 접지하여 정지된 상태가 된다(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으로부터 설정 높이로 유지되도록(높이 센서(38)의 검출값(높이 센서(38)와 중앙의 접지 플로트(23)의 상하 간격)이 설정값으로 유지되도록) 모심기 장치(4)가 자동적으로 승강되는 상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레버(33)를 식부 위치로 조작하면,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되고,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작동된 상태에서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와 같이, 승강 레버(33)를 상승 위치, 중립 위치 및 하강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모심기 장치(4)를 임의인 높이로 상승 및 하강시켜서 정지시킬 수 있다.
[5]
다음에, 조작 레버(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핸들(14)의 하측의 우측 가로측에 조작 레버(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 레버(50)가 우측의 가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 레버(50)는 중립 위치(N)으로부터 상방의 상승 위치(U), 하방의 하강 위치(D), 후방의 우측 마커 위치(R) 및 전방의 좌측 마커 위치(L)의 십자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중립 위치(N)로 가압되어 있고, 조작 레버(50)의 조작 위치가 제어 장치(40)에 입력되어 있다.
승강 레버(33)를 자동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이하의 설명과 같이, 조작 레버(50)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 밸브(37) 및 전동 모터(39,48)가 조작되어 유압 실린더(5),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조작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50)를 상승 위치(U)로 조작하면,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정지되고, 유압 실린더(5)가 수축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상승되어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50)를 하강 위치(D)로 조작하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정지되고,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5)가 신장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하강한다. 다음에 중앙의 접지 플로트(23)가 농지면에 접지되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에 접지되어 정지된 상태가 된다(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으로부터 설정 높이로 유지되도록(높이 센서(38)의 검출값(높이 센서(38)와 중앙의 접지 플로트(23)의 상하 간격)이 설정값으로 유지되도록), 모심기 장치(5)가 자동적으로 승강하는 상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50)를 하강 위치(D)로 조작해서 중립 위치(N)로 조작한 후에 다시 하강 위치(D)로 조작하면, 자동 승강 제어 수단(71)이 작동된 상태에서 식부 및 시비 클러치(43,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에 대한 링크 기구(6)의 상하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형식의 높이 센서(54)가 구비되어 있고, 높이 센서(54)의 검출값에 의해 기체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체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높이가 사전에 설정된 소정 높이보다도 낮은 상태에서 제어 장치(40)에 의해 이하와 같은 조작이 행해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50)를 우측 마커 위치(R)(좌측 마커 위치(L))로 제1 소정 시간(비교적 짧은 시간)에 걸쳐서 조작하면, 우측(좌측)의 마커(47)가 작용 자세로 조작된다.
우측(좌측)의 마커(47)가 작용 자세로 조작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50)를 우측 마커 위치(R)(좌측 마커 위치(L))로 제2 소정 시간(상술한 제1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에 걸쳐서 조작하면, 우측(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4)가 상승하여 기체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높이가 사전에 설정된 소정 높이보다도 높아지면, 작용 자세의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된다. 기체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높이가 사전에 설정된 소정 높이보다도 높은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50)를 우측 및 좌측 마커 위치(R,L)로 조작하여도 이것에 관계없이 우측 및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유지된다.
[6]
다음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조작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는 중립 위치, 전진의 고속측 및 후진의 고속측에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후방부 보닛(15)의 내부에 있어서, 조종 핸들(14)을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65)에 프레임(56)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56)의 횡축 코어(P1) 주위에 조작축(5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변속 레버(29)의 기부(29b)에 둥근 봉재를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절곡한 조작부(29a)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축(57)의 단부에 부채형의 변속 부재(58)가 연결되어 변속 부재(58)의 브래킷(58a)의 전후 축심(P2) 주위에 변속 레버(29)의 조작부(29a)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변속 레버(29)가 조작 패널(35)의 레버 가이드(41)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보닛(15)의 내부의 횡축 코어(P3) 주위에 연계 부재(60)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변속 부재(58)와 연계 부재(60)에 걸쳐서 연계 로드(61)가 접속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트러니언 축(62)에 조작 아암(63)이 연결되어 조작 아암(63)과 연계 부재(60)에 걸쳐서 연계 로드(64)가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56)에 평판 형상의 안내 부재(55)가 고정되어 안내 부재(55)에 판 스프링 부재(68)가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고, 판 스프링 부재(68)의 선단의 롤러(68a)가 변속 부재(58)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58b)의 하나에 결합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35)에 레버 가이드(41)가 개방되어 있고, 레버 가이드(41)는 좌우 방향의 중립 경로(41N), 중립 경로(41N)의 조종 핸들(14)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진 경로(41F) 및 중립 경로(41N)의 조종 핸들(14)의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진 경로(41R)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에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위치로 조작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위치로 조작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에서 엔진(12)의 동력이 차단된 상태로 되고, 우측 및 좌측의 전륜(1), 우측 및 좌측의 후륜(2), 모심기 장치(4)에의 동력이 차단되어 기체는 정지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전진 경로(41F)에 따라 전방으로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고속 측에 조작되고,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후진 경로(41R)에 따라 후방으로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후진의 고속측에 조작된다.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 전진 및 후진 경로(41F,41R)에서 판 스프링 부재(68)의 롤러(68a)가 변속 부재(58)의 오목부(58b)의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변속 레버(29)가 원하는 위치로 보유 지지된다.
[7]
다음에, 브레이크(4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전륜(1),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을 제동 가능한 브레이크(42)가 미션 케이스(9)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스텝(16)의 하측에 지지축(8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축(84)에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52)이 우측의 스텝(22)으로부터 상방에 돌출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52)과 브레이크(42)에 걸쳐서 연계 로드(80)가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는 브레이크 페달(52)을 스텝핑 조작하고 있지 않은 해제 위치의 상태이며,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52)을 제동 위치로 스텝핑 조작하면, 브레이크(42)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브레이크 페달(52)로부터 발을 떼면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52)은 해제 위치로 복귀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84)에 조작 아암(85)이 연결되어 조작 아암(85)의 상단부에 보스부(86)가 횡축 코어(P4)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방부 보닛(15)의 내부의 횡축 코어(P5) 주위에 조작 아암(81)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조작 아암(81)에 접속된 연계 로드(87)가 보스부(86)에 삽입되어 보스부(86)와 연계 로드(87)의 사이에 융통용의 스프링(88)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아암(81)의 횡축 코어(P6) 주위에 보조 아암(81a)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보조 아암(81a)의 단부에 구비된 볼트(8lb)를 조작 아암(81)에 접촉시켜서 볼트(81)의 돌출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작 아암(81)에서의 보조 아암(81a)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계 부재(60)에서 조작 아암(81) 및 보조 아암(81a)에 대향하는 위치에 핀(60a,60b)이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는,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전진 경로(41F)에 조작한 상태(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고속측에 조작된 상태)이며, 브레이크 페달(52)이 해제 상태이다. 연계 부재(60)의 핀(60a)가 조작 아암(81)에 접근하고 있으며, 연계 부재(60)의 핀(60b)이 조작 아암(81)의 보조 아암(81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52)을 제동 위치로 스텝핑 조작하면, 조작 아암(81)(보조 아암(81a))이 도 7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조작 아암(81)이 연계 부재(60)의 핀(60a)에 접촉하고, 스프링(88)이 압축되면서 조작 아암(81)에 의해 연계 부재(60)가 도 7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연계 부재(60)의 핀(60b)이 조작 아암(81)의 보조 아암(81a)에 접촉하여 연계 부재(60) 및 조작 아암(81)(보조 아암(81a))이 정지된다. 이 연계 부재(60) 및 조작 아암(81)(보조 아암(81a))이 정지된 위치에서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에 위치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반대로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후진 경로(41R)에 조작한 상태(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후진의 고속측에 조작된 상태)에서는, 연계 부재(60)의 핀(60a)이 조작 아암(8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연계 부재(60)의 핀(60b)이 조작 아암(81)의 보조 아암(81a)에 접근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52)을 제동 위치로 스텝핑 조작하면, 조작 아암(81)(보조 아암(81a))이 도 7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조작 아암(81)의 보조 아암(81a)이 연계 부재(60)의 핀(60b)에 접촉하고, 스프링(88)이 압축되면서 조작 아암(81)의 보조 아암(81a)에 의해 연계 부재(60)가 도 7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연계 부재(60)의 핀(60a)이 조작 아암(81)에 접촉하여 연계 부재(60) 및 조작 아암(81)(보조 아암(81a))이 정지된다. 이 연계 부재(60) 및 조작 아암(81)(보조 아암(81a))이 정지된 위치에서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에 위치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8]
다음에,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55)에 좌우 방향의 중립 경로(55N), 중립 경로(55N)의 조종 핸들(14)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진 경로(55R) 및 중립 경로(55N)의 조종 핸들(14)의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전진 경로(55F)가 개방되어 있다.
도 3,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9)의 조작부(29a)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안내 부재(55)의 중립 경로(55N), 전진 및 후진 경로(55F,55R)에 삽입되어 있다. 변속 레버(29)의 조작부(29a)에 스프링(70)이 설치되어 스프링(70)에 의해 변속 레버(29)가 조종 핸들(14)측(도 4의 지면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다(변속 레버(29)의 조작부(29a)가 핸들 포스트(65)로부터 이격되는 측(도 4의 지면 우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55)에 있어서, 중립 경로(55N)의 조종 핸들(14)의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또한 조종 핸들(14)의 반대측에 정지 위치(55S)가 형성되어 있고, 변속 레버(29)의 조작부(29a)가 정지 위치(55S)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형식의 정지 위치 센서(51)가 안내 부재(55)에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가이드(41)에 있어서, 중립 경로(41N)의 조종 핸들(14)측의 단부로부터 또한 조종 핸들(14)측에 정지 위치(41S)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9)가 횡축 코어(P1) 및 전후 축심(P2)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변속 레버(29)의 상부의 동작과 변속 레버(29)의 조작부(29a)의 동작이 반대가 되므로, 레버 가이드(41)의 전진 및 후진 경로(41F,41R), 정지 위치(41S)와, 안내 부재(55)의 전진 및 후진 경로(55F,55R), 정지 위치(55S)가 서로 반대의 위치 관계가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을 절곡하여 형성된 디텐트 부재(53)가 안내 부재(55)에 설치되어 있고, 디텐트 부재(53)가 안내 부재(55)의 중립 경로(55N)와 정지 위치(55S)의 사이에 인입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9)(조작부(29a))를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안내 부재(55)의 중립 경로(55N))에 위치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29)(조작부(29a))는 디텐트 부재(53)에 접촉하는 위치(정지 위치(41S(55S))의 앞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디텐트 부재(53)의 가압력이 스프링(70)의 가압력보다도 큼으로써 변속 레버(29)(조작부(29a))가 디텐트 부재(53)를 밀어내어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로 인입되는 경우는 없다.
[9]
다음에, 엔진(12)의 시동 및 정지의 제어의 전반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2)을 시동시키는 스타터(59), 엔진(12)으로의 연료를 차단하여 엔진(12)을 정지시키는 전자기 조작식의 연료 차단 밸브(66), 브레이크 페달(52)이 제동 위치에 스텝핑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형식의 조작 위치 센서(67)(도 7 참조), 라디에이터(30)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83)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40)나 전동 모터(39,48), 스타터(59)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운전석(3)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다. 엔진(12)에 올터네이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엔진(12)의 동력에 의해 올터네이터가 구동되고, 올터네이터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된다.
도 1, 2,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보닛(13)의 전방부에 구비된 센터 마스코트(69)의 상단부에 제1 발광부(82a), 제2 발광부(82b), 제3 발광부(82c), 제4 발광부(82d)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발광부(82a 내지 82d)는 LED 또는 전구로 구성되어 후방측의 운전석(3)을 향하고 있고, 운전석(3)에서 보아 최상부의 제1 발광부(82a), 제1 발광부(82a)의 하측의 제2 발광부(82b), 제2 발광부(82b)의 하측의 좌측의 제3 발광부(82c), 제2 발광부(82b)의 하측의 우측의 제4 발광부(82d)라고 하는 배치가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정지 수단(72), 엔진 시동 수단(73), 계속 수단(74) 및 정지 수단(75)이 제어 장치(40)에 소프트웨어로서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키 스위치(34)의 조작 위치(OFF 위치, ON 위치, 스타트 위치), 정지 위치 센서(51), 조작 위치 센서(67) 및 온도 센서(83)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이하의 설명과 같이 제어 장치(40)(엔진 정지 수단(72), 엔진 시동 수단(73), 계속 수단(74) 및 정지 수단(75))에 의해 스타터(59) 및 연료 차단 밸브(66), 전동 모터(32), 표시부(36), 제1 내지 제4 발광부(82a 내지 82d)가 조작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2)이 정지된 상태에서 키 스위치(34)를 ON 위치로 조작하면(스텝S1), 제1 내지 제4 발광부(82a 내지 82d)가 설정 시간만큼 점등하여 소등된다(스텝S2,S3). 이것은 제1 내지 제4 발광부(82a 내지 82d)의 작동을 체크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키 스위치(34)를 스타트 위치로 조작하면(스텝S1), 스타터(59)에 의해 엔진(12)의 시동 조작이 행해지고(스텝S4), 전동 모터(32)에 의해 팬(31)이 구동된다(스텝S5). 키 스위치(34)를 OFF 위치로 조작하면(스텝S1), 연료 차단 밸브(66)에 의해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고(스텝S6), 팬(31)이 정지된다(스텝S7).
[10]
다음에, 엔진(12)의 시동 및 정지의 제어의 중반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키 스위치(34)를 ON 위치에서 스타트 위치로 조작하여 엔진(12)을 시동시킨 후, 키 스위치(34)를 ON 위치로 복귀 조작했다고 한다(스텝S1,S2). 이 상태에서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안내 부재(55)의 중립 경로(55N))에 조작하고(이 시점에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위치로 조작되어 기체는 정지한다),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로 조작했다고 한다(스텝S4).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로 조작되면(스텝S8),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되고(스텝S9), 제1 설정 시간(T1)이 경과되면(스텝S11), 제어 장치(40)(엔진 정지 수단(72)) 및 연료 차단 밸브(66)에 의해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진다(스텝S12).
이 경우, 제1 설정 시간(T1)이 경과되기까지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에서 다른 위치로 조작되면, 엔진(12)의 정지 조작은 행해지지 않는다(스텝S10).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면, 제1 내지 제4 발광부(82a 내지 82d)가 점멸을 개시하고(스텝S13),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로 조작됨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것이 표시부(36)에 표시된다(스텝S14).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져도 제어 장치(40)(계속 수단(74))에 의해 전동 모터(32)의 작동이 유지되고, 팬(31)의 구동이 유지된다. 이 경우, 엔진(12)의 정지 조작은 행해졌지만, 전동 모터(32)의 작동 및 팬(31)의 구동이 유지되어 있는 것이 표시부(36)에 표시된다(스텝S14).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면 냉각수 펌프도 정지하게 되지만, 팬(31)의 구동이 유지되므로, 외기가 냉각풍으로서 후방부 보닛(15)의 후방면의 개구부로부터 전방부 및 후방부 보닛(13,15)의 내부에 흡입되어 라디에이터(30) 및 팬(31)을 통과하고, 엔진(12)의 주위를 통과하면서 전방부 보닛(13)의 우측 및 좌측 가로 측면의 개구부(13a), 전방면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전방부 및 후방부 보닛(13,15)의 내부(엔진(12)의 주위)에 외기가 공급되고, 전방부 및 후방부 보닛(13,15)의 내부(엔진(12)의 주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엔진(12)의 열이 방출되어 엔진(12)의 오버히트가 억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면,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되고(스텝S15), 온도 센서(83)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검출된다.
이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는 상태(엔진(12)의 온도가 충분히 저하되는 상태)(스텝S16), 또는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빠른 쪽의 상태가 되면(스텝S17), 제어 장치(40)(정지 수단(75))에 의해 전동 모터(32)가 정지되어 팬(31)이 정지된다(스텝S18). 이와 동시에 표시부(36)에 있어서, 전동 모터(32)의 작동 및 팬(31)의 구동이 유지되어 있는 것의 표시가 사라진다(스텝S19).
이 경우, 제1 및 제2 설정 시간(T1,T2)이 같은 길이로 설정되던지, 또는 제1 설정 시간(T1)보다도 제2 설정 시간(T2)이 긴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11]
다음에, 엔진(12)의 시동 및 정지의 제어의 후반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엔진(12)이 정지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 이외의 위치에 조작되고(스텝S21), 또한 브레이크 페달(52)이 제동 위치에 스텝핑 조작되면(스텝S22), 제어 장치(40)(엔진 시동 수단(73)) 및 스타터(59)에 의해 엔진(12)의 시동 조작이 행해지고(스텝S23), 스텝S18에 의해 팬(31)이 정지되어 있으면 전동 모터(32)에 의해 팬(31)이 구동된다(스텝S24).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12)의 시동 조작이 행해지면, 제1 내지 제4 발광부(82a 내지 82d)가 소등되고(스텝S25), 표시부(36)에서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에 조작됨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것의 표시가 사라진다(스텝S26).
전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엔진(12)이 정지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 이외의 위치로 조작하거나, 브레이크 페달(52)을 제동 위치에 스텝핑 조작하거나 하지 않아도 키 스위치(34)를 스타트 위치로 조작하면(스텝S20), 스텝S23으로 이행하고, 제어 장치(40)(엔진 시동 수단(73)) 및 스타터(59)에 의해 엔진(12)의 시동 조작이 행해진다.
[12]
다음에, 제1 내지 제4 발광부(82a 내지 82d)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모 받침대(21)에 적재된 모가 설정량 이하로 적어진 상태, 호퍼(24)에 저류된 비료가 설정량 이하로 적어진 상태, 도랑 굴착기(27)에 비료의 막힘이 발생한 상태, 승강 레버(33) 또는 조작 레버(50)에 의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 있어서, 승강 레버(33) 또는 조작 레버(50)에 의해 모심기 장치(4)의 하강이 행해지면 제1 발광부(82a)가 점멸한다.
이 경우, 승강 레버(33) 또는 조작 레버(50)에 의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 상태를 상술한 조건으로부터 떼어내도 된다.
(2)
승강 레버(33) 또는 조작 레버(50)에 의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제2 발광부(82b)가 점등하고, 승강 레버(33) 또는 조작 레버(50)에 의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면, 제2 발광부(82b)가 소등한다.
(3)
조작 레버(50)에 의해 좌측의 마커(47)가 작용 자세로 조작되면, 제3 발광부(82c)가 점등하고, 조작 레버(50) 또는 모심기 장치(4)의 상승에 의해 좌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로 조작되면, 제3 발광부(82c)이 소등한다.
조작 레버(50)에 의해 우측의 마커(47)가 작용 자세로 조작되면, 제4 발광부(82d)가 점등하고, 조작 레버(50) 또는 모심기 장치(4)의 상승에 의해 우측의 마커(47)가 저장 자세에 조작되면, 제4 발광부(82d)가 소등한다.
(4)
승용형 전식기에서는, 하나의 포장에서 일회의 식부 행정이 종료하여 기체가 두렁가에 도달하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모심기 장치(4)를 농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두렁가에서 약180도의 선회를 행하고, 다음에 모심기 장치(4)를 농지면에 하강시켜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를 전동 상태로 조작하여 다음의 식부 행정으로 들어간다.
이 경우, 기체가 두렁가에 도달하여 운전자가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를 차단 상태로 조작한 후, 두렁가에서의 선회가 종료되어 운전자가 모심기 장치(4)를 농지면에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 기체가 두렁가에 도달했을 때에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 위치에 모심기 장치(4)가 도달하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자동적으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자동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두렁가에서 모심기 종료의 위치와 모심기 시작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조작 수단을 구비한 경우, 자동 조작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 상태와 자동 조작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는 정지 상태로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에 나타내는 (4)-1,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4)-1
자동 조작 수단의 작동 상태가 설정되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의 전동 및 차단 상태에 관계없이 제2 발광부(82b)가 점등한다. 자동 조작 수단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1회의 식부 행정이 종료하여 기체가 두렁가에 도달하고, 운전자가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면, 제2 발광부(82b)가 점멸한다. 두렁가에서의 선회가 종료되어 자동 조작 수단에 의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제2 발광부(82b)가 점등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4)-2
자동 조작 수단의 정지 상태가 설정되면, 전항 (2)에 기재된 내용이 행해진다.
자동 조작 수단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식부 행정에서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있으면, 제2 발광부(82b)가 점등한다. 1회의 식부 행정이 종료되어 기체가 두렁가에 도달하고, 운전자가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면, 제2 발광부(82b)이 점멸한다. 두렁가에서의 선회가 종료되어 자동 조작 수단에 의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제2 발광부(82b)가 점등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4)-3
자동 조작 수단의 정지 상태가 설정되면, 전항 (2)에 기재된 내용이 행해진다.
자동 조작 수단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식부 행정에서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있으면, 제2 발광부(82b)가 소등한다. 1회의 식부 행정이 종료되어 기체가 두렁가에 도달하고, 운전자가 부식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면, 제2 발광부(82b)가 점멸한다. 두렁가에서의 선회가 종료되어 자동 조작 수단에 의해 식부 클러치(43)(시비 클러치(4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제2 발광부(82b)가 소등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도 10에 있어서, 스텝S15,S17을 삭제함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진 상태에 있어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엔진(12)의 온도가 충분히 저하되면)(스텝S16), 제어 장치(40)(정지 수단(75))에 의해 전동 모터(32)가 정지되어 팬(31)이 정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스텝S18).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도 10에 있어서, 스텝S16을 삭제함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면,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되고(스텝S15),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면(스텝S17), 제어 장치(40)(정지 수단(75))에 의해 전동 모터(32)가 정지되어 팬(31)이 정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스텝S18).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실시예 1], [실시예 2]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견제 수단을 제어 장치(40)에 구비해도 된다.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배터리 용량)(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용량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수의 온도(온도 센서(83)의 검출값)가 설정 온도보다도 높은지, 또는 용량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값 이하(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용량)이 적어져 있는 상태)이면, 도 9의 스텝S8 내지 S11에 있어서,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안내 부재(55)의 중립 경로(55N))에 조작되어 제1 설정 시간(T1)이 경과하여도 견제 수단에 의해 스텝S12로 이행하지 않고,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 냉각수의 온도(온도 센서(83)의 검출값)가 설정 온도보다도 높은지, 또는 용량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값 이하(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배터리 용량)(배터리 전압)이 적어져 있는 상태)임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 표시부(36)에 표시된다.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액정을 사용한 표시부(36) 대신에(또는 표시부(36)의 표시에 보태어) 스피커(통지 수단에 상당)(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에 조작됨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것 등을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있어서, 디젤 형식의 엔진(12) 대신에 가솔린 형식의 엔진(12)을 사용한 경우, 제어 장치(40)(엔진 정지 수단(72))가 엔진(12)의 점화 플러그의 전장계를 차단함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있어서, 엔진(12)의 동력에 의해 냉각수 펌프가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팬(31)의 전동 모터(32)나, 이 전동 모터(32)와는 다른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냉각수 펌프가 구동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도 10의 스텝S12 내지 S18에 있어서, 엔진(12)의 정지 조작중에 팬(31)에 보태어 냉각수 펌프도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엔진(12)의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있어서, 변속 레버(29)를 레버 가이드(41)의 정지 위치(41S)(안내 부재(55)의 정지 위치(55S))로 조작함으로써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는 구성 대신에 이하의 (1) 내지 (6)에 기재된 조작에 의해 엔진(12)의 정지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1)변속 레버(29)가 레버 가이드(41)의 중립 경로(41N)(안내 부재(55)의 중립 경로(55N))에 조작되는 것.
(2)레버 가이드(41)의 전진 또는 후진 경로(41F,41R)(안내 부재(55)의 전진 또는 후진 경로(55F,55R))의 일부에 정지 위치(41S,55S)를 접속하여 변속 레버(29)(조작부(29a))가 이 정지 위치(41S(55S))에 조작되는 것.
(3)변속 레버(29)와는 다른 부변속 레버(다른 조작구에 상당)(도시하지 않음)가 중립 위치로 조작되는 것.
(4)브레이크 페달(52)(다른 조작구에 상당)이 제동 위치에 설정 시간 이상에 걸쳐서 보유 지지되는 것.
(5)엔진(12)으로부터 전륜(1) 및 후륜(2), 모심기 장치(4)에의 전동계에 있어서, 가장 엔진(12)에 가까운 위치에 주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주 클러치를 조작하는 클러치 페달(다른 조작구에 상당)(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클러치 페달에 의해 주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는 것.
(6)키 스위치(34)와는 다른 엔진(12)을 정지 조작하는 전용의 엔진 정지 스위치(다른 조작구에 상당)(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엔진 정지 스위치가 조작되는 것.
본 발명은 승용형 전식기뿐만 아니라 기체의 후방부에 직파 장치를 구비한 승용형 직파기 등의 승용형 작업차나, 운전석의 하측에 엔진을 구비한 승용형 작업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12 : 엔진
13 : 보닛(전방부 보닛)
15 : 보닛(후방부 보닛)
29 : 다른 조작구
30 : 라디에이터
31 : 팬
32 : 전동 모터
34 : 키 스위치
36 : 통지 수단
72 : 엔진 정지 수단
74 : 계속 수단
75 : 정지 수단
83 : 온도 센서 
T2 : 설정 시간

Claims (6)

  1. 엔진과,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보닛에 수용하고,
    상기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행하는 키 스위치와, 상기 키 스위치와는 다른 조작구와, 상기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엔진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어도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작동시키는 계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용형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상기 온도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계속 수단을 정지시켜서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용형 작업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계속 수단을 정지시켜서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용형 작업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고나서 상기 온도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 온도 이하가 되는 상태 또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빠른 쪽의 상태가 되면, 상기 계속 수단을 정지시켜서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용형 작업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용형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이 정지된 후, 상기 계속 수단에 의해 상기 전동 모터가 계속해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승용형 작업차.

KR1020120099790A 2011-10-05 2012-09-10 승용형 작업차 KR20130037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1197A JP2013079040A (ja) 2011-10-05 2011-10-05 乗用型作業車
JPJP-P-2011-221197 2011-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60A true KR20130037160A (ko) 2013-04-15

Family

ID=4801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90A KR20130037160A (ko) 2011-10-05 2012-09-10 승용형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079040A (ko)
KR (1) KR20130037160A (ko)
CN (1) CN1030295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4610B (zh) * 2013-09-19 2016-03-0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6249871B2 (ja) * 2014-04-28 2017-12-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03947353A (zh) * 2014-05-06 2014-07-30 云南佳叶工贸有限公司 一种自走式种苗移栽机
JP6482797B2 (ja) * 2014-09-11 2019-03-13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草刈機
CN105052323B (zh) * 2015-07-15 2016-09-28 金华市天明灯具厂 一种低震动的插秧装置
CN104938115A (zh) * 2015-07-15 2015-09-30 俞升洋 一种散热良好的插秧装置
CN105165203A (zh) * 2015-07-15 2015-12-23 汪贤女 一种使用散热风扇快速散热的插秧装置
JP7018811B2 (ja) * 2018-04-10 2022-0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21108604A (ja) * 2020-01-14 2021-08-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24061184A (ja) * 2022-10-21 2024-05-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7120U (ko) * 1980-12-05 1982-06-15
JPS5971922U (ja) * 1982-11-06 1984-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ル−ム冷却装置
JP3734056B2 (ja) * 1996-12-03 2006-01-1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電子ガバナー機構付エンジン搭載乗用田植機
JP3825289B2 (ja) * 2001-08-27 2006-09-2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6094753A (ja) * 2004-09-29 2006-04-13 Kubota Corp 乗用田植機のエンジン制御構造
US20060076120A1 (en) * 2004-10-12 2006-04-13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Cooling system with pre-cleaning
JP4438757B2 (ja) * 2006-02-08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冷却装置
JP4327826B2 (ja) * 2006-07-11 2009-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冷却制御装置
JP4306782B2 (ja) * 2007-11-21 2009-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冷却制御装置および冷却制御方法
JP2010252723A (ja) * 2009-04-27 2010-11-11 Kubota Corp 乗用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9569A (zh) 2013-04-10
JP2013079040A (ja)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7160A (ko) 승용형 작업차
KR102511298B1 (ko) 작업 차
JP5054575B2 (ja) 田植機
JP5493508B2 (ja) 農作業機
JP6019811B2 (ja) 苗移植機
KR20120028202A (ko) 무논 작업기
JP5798053B2 (ja) トラクタ
JP2013053605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停止操作構造
JP5576224B2 (ja) 水田作業機
JP4569610B2 (ja) 苗移植機
JP4617201B2 (ja) 移動農機
JP2004222604A (ja) 作業車
JP7494878B2 (ja) 制御装置
JP2005096577A (ja) 乗用作業機の操作装置
JP5530397B2 (ja) 作業車の供給物補給構造
JP7342914B2 (ja) 作業車両
JP7088346B1 (ja) 制御装置
JP2012237213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始動構造
JP7023220B2 (ja) 作業車
JP2012237212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制御構造
JP4454305B2 (ja) 乗用型作業車
JP4626147B2 (ja) 田植機
JPH0130017Y2 (ko)
JP2021185845A (ja) 苗移植機
JP5271044B2 (ja) 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