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949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949A
KR20130028949A KR1020127033639A KR20127033639A KR20130028949A KR 20130028949 A KR20130028949 A KR 20130028949A KR 1020127033639 A KR1020127033639 A KR 1020127033639A KR 20127033639 A KR20127033639 A KR 20127033639A KR 20130028949 A KR20130028949 A KR 2013002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in
grommet
clip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497B1 (ko
Inventor
야스히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2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8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with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62Pin, post and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핀과, 핀이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을 갖고, 다리부의 긴쪽 방향으로 형성한 슬릿에 의해, 복수의 다리편을 형성한 그로밋으로 이루어진다. 그로밋이 핀의 삽입구멍에의 삽입에 의해, 일부를 확개 가능하게 하는 클립이다. 핀 또는 그로밋의 적어도 어느 한쪽(예를 들면, 핀)에,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방지부를 설치되어 있다. 방지부를, 핀의 삽입다리의 일부에 위치시키거나 또, 그로밋의 다리편의 일부에 위치시키거나 혹은 그로밋의 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시켜도 좋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핀을 삽입하는 그로밋(grommet)의 삽입구멍 중에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핀과, 그 핀이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을 갖고, 다리부(脚部)의 긴쪽(長手) 방향으로 형성한 슬릿(slit)에 의해, 복수의 다리편을 형성한 그로밋으로 이루어지고, 그로밋이 핀의 삽입구멍에의 삽입에 의해, 일부가 확개(擴開) 가능하게 되는 클립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단락번호 [0008] 및 도 16, 특허문헌 2의 단락번호 [0015] 및 도 14 참조).
일본특허공개 2006-10535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0-7687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클립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범퍼 등의 체결에 사용한 경우에, 외부로부터 자갈이나 진흙 등이, 핀과 그로밋 사이에 진입할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클립에서는, 자갈이나 진흙 등이 진입하면, 체결 상태의 해제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핀과 그로밋 사이에, 자갈 등의 이물질이 진입함으로써, 양자 간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거나 혹은 자갈 등의 이물질이 일종의 "쐐기"로서 작용하여, 핀을 빼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핀 또는 그로밋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핀을 삽입하는 그로밋의 삽입구멍 중에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로, 핀과, 핀이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을 갖고, 다리부의 긴쪽 방향으로 형성한 슬릿에 의해, 복수의 다리편을 형성한 그로밋으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로, 그로밋이 핀의 삽입구멍에의 삽입에 의해, 일부가 확개 가능하게 되는 클립이다.
세 번째로, 핀 또는 그로밋의 적어도 어느 한쪽(예를 들면, 핀)에,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방지부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지부를, 핀에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로밋 측에 위치시키거나 혹은 핀 및 그로밋에 각각 위치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방지부는 핀의 삽입다리의 일부에 위치하고,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방지부를, 핀의 삽입다리의 일부에 위치시켜,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시킴으로써, 슬릿으로부터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방지부는 그로밋의 다리편의 일부에 위치하고, 슬릿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방지부를, 그로밋의 다리편의 일부에 위치시켜, 슬릿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시킴으로써, 슬릿으로부터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방지부는 그로밋의 플랜지(flange)의 하면으로부터,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방지부를, 그로밋의 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시킴으로써, 슬릿으로부터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방지부는 핀의 삽입다리에 연장하여 설치된, 벽부(예를 들면, 날개부(羽部))이다. 이렇게 하면, 방지부를, 핀의 삽입다리에 연장하여 설치된 벽부로 함으로써, 그 벽부에 의해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핀의 삽입다리는 그로밋의 다리편의 내주(內周)에 접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한 중앙다리와, 중앙다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날개부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면, 핀의 삽입다리에, 중앙다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그 날개부에 의해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날개부(예를 들면, 중앙날개부)는 중앙다리의 길이의 도중(途中)에 위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날개부를, 중앙다리의 길이의 도중에 위치시킴으로써, 중앙다리의 길이의 도중부터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날개부(예를 들면, 선단(先端) 날개부)는 중앙다리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날개부를, 중앙다리의 선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중앙다리의 선단부로부터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그로밋의 다리편의 내주면과, 그 내주면에 맞닿는 핀의 삽입다리의 외주면을, 다리부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선접촉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면, 그로밋의 다리편의 내주면과, 핀의 삽입다리의 외주면을 다리부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선접촉시킴으로써, 핀의 이동시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특징으로서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그로밋의 다리편의 내주면을, 평탄면으로서, 핀의 삽입다리의 외주면을, 평탄면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면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그로밋의 다리편의 내주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핀의 삽입다리의 외주면을 돌출면으로 함으로써, 핀의 이동시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핀 또는 그로밋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핀을 삽입하는 그로밋의 삽입구멍 중에의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클립의 장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핀의 저면도이다.
도 6은 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6의 D-D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그로밋을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그로밋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절반을 단면(斷面)으로 한 그로밋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그로밋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절반을 단면으로 한 그로밋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클립의 임시 고정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절반을 단면으로 한 임시 고정상태의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임시 고정상태의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절반을 단면으로 한 임시 고정상태의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방지부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대응하며, 그로밋의 다리부가 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방지부의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1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중, 10은 클립을 나타내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자동차의 바디 등의 베이스(20)에 대하여, 언더커버(under cover) 등의 부품(30)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베이스(20)로서, 자동차의 바디를 예시하며, 또, 부품(30)으로서 언더커버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립(10)을 삽입할 수 있고, 표리면(表裏面)에 관통한 사각형의 장착구멍(2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부품(30)에는, 클립(10)을 삽입할 수 있고, 장착구멍(21)과 정합(整合)함과 함께, 표리면에 관통한 사각형의 관통구멍(31)을 형성하고 있다.
클립(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하여는, 이후에 설명한다.
(1) 핀(40)
(2) 그로밋(50)
또한, 클립(10)의 부분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핀(40))
핀(40)은 도 1~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하는 그로밋(50)의 삽입구멍(51)에 삽입 가능한 것이다. 핀(40)은 적당한 강성과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핀(40)은 도 1~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하여는, 이후에 설명한다.
(1) 삽입다리(60)
(2) 머리부(70)
또한, 핀(40)의 다리부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로밋(50))
그로밋(50)은 도 1, 도 2및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0)의 이후에 설명하는 삽입다리(60)가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51)을 갖고, 이후에 설명하는 다리부(90)의 긴쪽 방향으로 형성한 슬릿(91)에 의해,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다리편(92)을 형성한 것이다. 그로밋(5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다리(60)의 삽입구멍(51)에의 삽입에 의해, 일부가 확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로밋(50)은 핀(40)과 마찬가지로, 적당한 강성과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다리편(92)의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그로밋(50)은 도 1 및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하여는, 이후에 설명한다.
(1) 플랜지(80)
(2) 다리부(90)
 또한, 그로밋(50)의 다리부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다리(60))
삽입다리(60)는 도 1~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하는 그로밋(50)의 삽입구멍(51)에 삽입 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다리(60)는 도 1~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하여는, 이후에 설명한다.
(1) 중앙다리(100)
(2) 방지부(110)
또한, 삽입다리(60)의 다리부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머리부(70))
머리부(70)는 도 16,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다리(60)의 단부(端部), 즉 도 1에서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그 외경을 이후에 설명하는 그로밋(50)의 삽입구멍(51)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머리부(7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을 타원형 혹은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머리부(70)를, 평면이 타원형 혹은 타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랜지(80))
플랜지(80)는 도 1, 도 2 및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에 핀(40)의 삽입다리(60)를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51)이 형성되어, 외경을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80)는 도 1 및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삽입구멍(51)은 직경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80)를,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하고, 삽입구멍(51)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80)에는, 도 1, 도 2 및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51) 이외,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플랜지(80)의 다리부는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패인부(窪部)(81)
패인부(81)는 도 11,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0)의 머리부(70)가 끼워 넣어지는 이다. 패인부(81)는 플랜지(80)의 상면으로부터, 삽입구멍(51)을 중심으로 대략 원형으로 움푹 패여 있다. 머리부(70)의 하면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인부(81)의 저면(底面)에 맞닿은 위치(이하, 「로크(lock) 위치」라고 함)에 있어서, 머리부(70)의 상면과, 플랜지(80)의 주위의 환(環)형상의 돌출 가장자리부가 대략 동일 높이로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2) 오목부(82)
오목부(82)는 도 1, 도 11,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인부(81) 내에 핀(40)의 머리부(70)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드라이버 등을 삽이하여, 핀(40)의 머리부(70)를 패인부(81)의 저면으로부터 부상(浮上)시키는 것이다. 오목부(82)는 도 1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51)을 중심으로, 그 긴쪽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되어, 패인부(81)의 주위의 환형상의 돌출 가장자리부를 오목한 상태로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구멍(51)에는, 도 1,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삽입구멍(51)의 다리부는 다음의 (3) 및 (4)에 한정되지 않는다.
(3) 슬라이드 돌기(52)
슬라이드 돌기(52)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51) 내에 돌출되어, 그 삽입구멍(51)에 삽입된 핀(40)의 삽입다리(6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드 돌기(52)는 삽입구멍(51)의 긴쪽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로부터 단면 반원형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드 돌기(52)는 이후에 설명하는 중앙다리(100)의 슬라이드 홈(106)에 끼워 넣어져, 핀(40)의 삽입시에, 그 슬라이드 홈(106)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한다.
(4) 임시고정 돌기(63)
임시고정 돌기(63)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51) 내에 돌출되어, 그 삽입구멍(51)에 삽입된 핀(40)의 삽입다리(60)를 임시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임시고정 돌기(63)는 삽입구멍(51)의 긴쪽 방향의 양단부의 네 모퉁이에 합계 4개 위치되며, 단면 반원형으로 돌출된다. 임시고정 돌기(63)는 이후에 설명하는 중앙다리(100)의 임시고정 홈(107)에 끼워 넣어져, 도 16,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를 삽입구멍(51)에 얕게 삽입한 상태로 임시고정한다(이하, 「임시고정 위치」라고 함).
(다리부(90))
다리부(90)는 도 1, 도 2 및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80)의 하면으로부터 수하(垂下)되어,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 및 부품(30)의 관통구멍(31)에 삽입 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리부(90)는 도 1, 도 2 및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리부(90)의 다리부는 다음의 (1)~(5)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슬릿(91)
슬릿(91)은 도 1, 도 2, 도 11, 도 12,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90)의 긴쪽 방향으로 설치되어, 다리부(90)를,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다리편(92)으로 분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릿(91)은 다리부(90)의 선단부의 단면으로부터 플랜지(80)의 하면을 향하여 뻗어 있다. 또한, 슬릿(91)은 플랜지(80)의 삽입구멍(51)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삽입구멍(51)의 짧은 쪽(短手) 방향에 대향한다.
또한, 다리편(92)의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릿(91)의 개수를 증가함으로써, 다리편(92)의 개수를 3개 이상으로 증가 가능하다.
(2) 다리편(92)
다리편(92)은 도 1, 도 2, 도 1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9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2개 형성되어 있다.
(3) 평탄면(93)
평탄면(93)은 도 1, 도 2,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편(92)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같은 도면에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93)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후에 설명하는 핀(40)의 삽입다리(60)의 돌출면(103, 104)에 맞닿고, 양쪽은 다리부(90)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선접촉한다.
또한, 그로밋(50)의 다리편(92)의 내주면과, 그 내주면에 맞닿는 핀(40)의 삽입다리(60)의 외주면을, 다리부(90)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선접촉시키는 구성으로서는, 평탄면(93)에 한정되지 않는다.
(4) 선단 살두께부(94)
선단 살두께부(94)는 도 1, 도 2, 도 11,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편(92)의 선단부에 위치되며, 슬릿(9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다리편(92)의 살두께를 선단부로 향하여 서서히 증가시키고 있다.
(5) 걸림고리(95)
걸림고리(95)는 도 2,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살두께부(94)의 내면에 위치되어, 슬릿(91)을 향하여 단면 대략 사다리꼴형 혹은 대략 삼각형으로 돌출된다. 걸림고리(95)는 슬릿(91)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하향(下向)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그 경사면의 경사 하단에 위치되어, 도 15에 대해 대략 수평한 하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고리(9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위치에 있어서, 핀(40)의 이후에 설명하는 걸림홈(105)에 끼워 넣어져, 핀(40)을 로크 위치에 걸리게 한다.
(중앙다리(100))
중앙다리(100)는 도 1~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50)의 다리편(92)의 내주에 접하는 것이다. 중앙다리(100)는 판 모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80)의 삽입구멍(51)의 긴쪽 방향의 좌우의 횡폭 이하, 예를 들면, 대략 같은 횡폭을 갖고, 삽입구멍(51)의 긴쪽 방향의 전후의 횡폭 이하, 예를 들면, 횡폭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다리(100)는 도 1~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중앙다리(100)의 다리부는 다음의 (1)~(5)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제1, 제2 맞닿음부(101, 102)
제1, 제2 맞닿음부(101, 102)는 도 1, 도 3, 도 5~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하는 표리면에 위치되어, 그로밋(50)의 다리편(92)의 내주, 즉 평탄면(93)이나 선단 살두께부(94)에 접하는 것이다.
(2) 제1, 제2 돌출면(103, 104)
 제1, 제2 돌출면(103, 104)은 도 1, 도 3, 도 4,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맞닿음부(101, 102)에 각각 위치되어, 그로밋(50)의 다리편(92)의 평탄면(93)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제1, 제2 돌출면(103, 104)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1, 제2 돌출면(103, 104)은 중앙다리(100)의 긴쪽 방향을 따라, 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제2 돌출면(103, 104)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로밋(50)의 다리편(92)의 평탄면(93)에 맞닿고, 양쪽은 다리부(90)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선접촉한다.
또한, 그로밋(50)의 다리편(92)의 내주면과, 그 내주면에 맞닿는 핀(40)의 삽입다리(60)의 외주면을, 다리부(90)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선접촉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제1, 제2 돌출면(103, 104)에 한정되지 않는다.
(3) 걸림홈(105)
걸림홈(105)은 도 1, 도 2, 도 6,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그로밋(50)의 걸림고리(95)가 끼워 넣어지는 것 이다. 걸림홈(105)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한 상태에 패여, 상부 가장자리를 바닥으로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과, 하부 가장자리를 같은 도면에서 대략 수평한 하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슬라이드 홈(106)
슬라이드 홈(106)은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그로밋(50)의 슬라이드 돌기(52)가 끼워 넣어지는 것이다. 슬라이드 홈(106)은 중앙다리(100)의 긴쪽 방향, 즉 도 4에서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5) 임시고정 홈(107)
임시고정 홈(107)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그로밋(50)의 임시고정 돌기(63)가 끼워 넣어지는 것이다. 임시고정 홈(107)은 이후에 설명하는 중앙 날개부(111)와 선단 날개부(115) 사이에 형성되어 대략 U자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방지부(110))
방지부(110)는 도 1, 도 3~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0)또는 그로밋(5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예를 들면, 핀(40)의 삽입다리(60)에 위치되어,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것이다.
또한, 방지부(110)를, 핀(40)에 위치시켰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로밋(50) 측에 위치시키거나 혹은 핀(40) 및 그로밋(50)에 각각 위치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방지부(110)는 도 1, 도 3~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방지부(110)의 다리부는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으며, (1)과 (2) 중 어느 한쪽으로 방지부(110)를 구성해도 좋다.
(1) 중앙 날개부(111~114)
중앙 날개부(111~114)는 도 1, 도 3~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길이의 도중에 위치되어, 그 중앙다리(100)로부터 바깥쪽으로 대략 날개형상(羽根狀)으로 뻗어 있다.
중앙 날개부(111~114)는 핀(40)의 삽입다리(60)에 연장하여 설치된, 방지부(110)의 벽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벽부로서, 중앙 날개부(111~114)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날개부(111~11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제1, 제2 맞닿음부(101, 102)의 네 모퉁이에 합계 4개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단면 대략 H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4개의 중앙 날개부(111~114) 중, 중앙다리(100)를 사이에 두고 배향되는 중앙 날개부(111 와 113), 중앙 날개부(112 와 114)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까지의 거리는 그로밋(50)의 슬릿(91)의 홈폭 이상, 예를 들면, 홈폭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중앙 날개부(111~114) 중, 제1, 제2 돌출면(103, 104)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중앙 날개부(111 와 113), 중앙 날개부(112 와 114)의 간격은 다리편(92)의 횡폭 이상, 예를 들면, 그 횡폭에 거의 일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중앙 날개부(111~114)의 개수로서 4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릿(91)의 해방면(解放面)을 폐색(閉塞)하는 개수로 하면 좋다.
(2) 선단 날개부(115~118)
선단 날개부(115~118)는 도 1, 도 3~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그 중앙다리(100)로부터 바깥쪽으로 대략 날개형상으로 뻗어 있다.
선단 날개부(115~118)는 중앙 날개부(111~114)와 함께, 핀(40)의 삽입다리(60)에 연장하여 설치된, 방지부(110)의 벽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벽부로서, 선단 날개부(115~118)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 날개부(115~118)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다리(100)의 제1, 제2 맞닿음부(101, 102)의 네 모퉁이에 합계 4개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단면 대략 H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4개의 선단 날개부(115~118)는 중앙다리(100)를 사이에 두고 배향되는 선단 날개부(115 와 117), 선단 날개부(116 과 118)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까지의 거리는 그로밋(50)의 슬릿(91)의 홈폭 이상, 예를 들면, 홈폭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또한, 4개의 선단 날개부(115~118) 중데, 제1, 제2 돌출면(103, 104)을 사이에 두어 대향하는 선단 날개부(115 와 116), 선단 날개부(117 과 118)의 간격은 다리편(92)의 횡폭 이상, 예를 들면, 그 횡폭에 거의 일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선단 날개부(115~118) 중의 개수로서 4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릿(91)의 해방면을 폐색하는 개수로 하면 좋다.
(클립(10)의 사용 방법)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클립(1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6~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0)의 삽입다리(60)를, 그로밋(50)의 삽입구멍(51)에 맞추어 삽입하여, 임시고정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임시고정 상태로 한 클립(10)을 사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에 대하여 부품(30)을 장착한다.
또한, 클립(10)을 임시고정 상태로 하였지만, 부품(30)을 장착할 때에, 그로밋(50)을 먼저 베이스(20) 및 부품(30)에 장착하고, 마지막으로 핀(40)을 삽입하도록 해도 좋다.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와 부품(30)을 중합시켜, 양쪽의 장착구멍(21)과 관통구멍(31)을 정합시킨다.
다음으로, 임시고정 상태로 한 그로밋(50)의 다리부(90)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측으로부터 부품(30)의 관통구멍(31)을 향하여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핀(40)을 그로밋(50)의 삽입구멍(51)에 깊게 삽입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50)의 다리부(90)를, 부품(30)의 뒤쪽에서 확개 시킨다. 그로밋(50)의 다리부(90)를 확개시킴으로써, 플랜지(80)의 하면과의 사이에 베이스(20) 및 부품(30)을 중합 상태로 끼워 지지하고, 부품(30)을 클립(10)을 통하여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에 체결한다.
클립(10)의 체결 상태에 있어서는, 그로밋(50)의 슬릿(91)의 대향한 해방면이, 도시하지 않았지만, 핀(40)의 방지부(110), 즉 4개의 중앙 날개부(111~114) 및 4개의 선단 날개부(115~118)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폐색된다.
이 때문에, 핀(40)의 방지부(110)에 의해, 그로밋(50)의 슬릿(91)으로부터 다리부(90)의 중공(中空) 내부로의, 자갈, 모래, 진흙, 먼지 등의 이물질의 진입이 저지된다.
즉, 핀과 그로밋 사이에, 자갈 등의 이물질이 진입하면, 양쪽 사이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거나 혹은 자갈 등의 이물질이 일종의 "쐐기"로서 작용하여, 핀을 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지만, 핀(40)의 방지부(110)에 의해,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클립(1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할 때, 그로밋(50)의 오목부(82)로부터, 도시하지 않았지만,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핀(40)의 머리부(70)를 패인부(81)의 저면으로부터 부상시킴으로써, 핀(40)의 삽입다리(60)를 그로밋(50)의 삽입구멍(5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지부(200)는 그로밋(50)의 다리편(92)의 일부에 위치되어, 슬릿(9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게 하고 있는 점이다.
즉, 도 20 및 도 21을 이용하여, 슬릿(91)에 의해 분할시킨 다리편(92)을 일부를 연장하여, 연장부(201, 202)를 형성하고 있다.
연장부(201, 202)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90)의 통상 상태에서는, 그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핀(40)의 삽입다리(60)를 다리부(90) 내에 깊게 삽입하여, 다리편(92)을 확개한 상태에서는, 양 다리편(92)이 연장부(201, 20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슬릿(91)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다리편(92)의 확개 시에도, 슬릿(91)의 험폭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슬릿의 홈폭이 확장되는 종래의 그로밋과 비교하여,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방지부(200)를, 연장부(201, 202)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방지부를, 그로밋의 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시키고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지부를, 그로밋의 플랜지 측에 형성할 수 있다.
2010년 7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0-168562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0)

  1. 핀과,
    상기 핀이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을 갖고, 다리부의 긴쪽 방향으로 형성한 슬릿에 의해, 복수의 다리편을 형성한 그로밋(gromme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로밋이 상기 핀의 상기 삽입구멍에의 삽입에 의해, 일부가 확개(擴開) 가능하게 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핀 또는 상기 그로밋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자갈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방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핀의 삽입다리의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그로밋의 상기 다리편의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슬릿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그로밋의 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슬릿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핀의 삽입다리에 연장 설치된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삽입다리는,
    상기 그로밋의 상기 다리편의 내주(內周)에 접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한 중앙다리와,
    상기 중앙다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앙다리의 길이의 도중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앙다리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상기 다리편의 내주면과, 이 내주면에 맞닿는 상기 핀의 삽입다리의 외주면을, 상기 다리부의 긴쪽 방향을 따라 선접촉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상기 다리편의 내주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상기 핀의 삽입다리의 외주면을 상기 평탄면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면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127033639A 2010-07-27 2011-07-20 클립 KR101455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8562A JP5726452B2 (ja) 2010-07-27 2010-07-27 クリップ
JPJP-P-2010-168562 2010-07-27
PCT/JP2011/066484 WO2012014755A1 (ja) 2010-07-27 2011-07-20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949A true KR20130028949A (ko) 2013-03-20
KR101455497B1 KR101455497B1 (ko) 2014-10-27

Family

ID=4552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639A KR101455497B1 (ko) 2010-07-27 2011-07-20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6084B2 (ko)
EP (1) EP2600014B1 (ko)
JP (1) JP5726452B2 (ko)
KR (1) KR101455497B1 (ko)
CN (1) CN103026078B (ko)
WO (1) WO20120147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516B1 (ko) * 2019-12-12 2020-09-01 모리스앤코 주식회사 애견 미용 연습용 마네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9532B2 (ja) * 2012-12-28 2017-01-1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WO2014195784A1 (en) * 2013-06-06 2014-1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lip, curtain airbag mounting structure and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JP6126958B2 (ja) * 2013-09-19 2017-05-10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US11225103B1 (en) * 2013-11-13 2022-01-18 Ronald Anthony Bowie Portable dry erase board
CN103775455B (zh) * 2013-11-14 2015-10-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汽车内外饰子母扣
USD747246S1 (en) * 2014-04-16 2016-01-12 Daiwa Kasei Industry Co., Ltd. Clip for vehicle
US9528540B2 (en) * 2014-08-12 2016-12-27 Newfrey Llc Insertion-locking pin and grommet and related methods
USD784123S1 (en) * 2014-12-01 2017-04-18 Leatt Corporation Helmet visor screw
US9222749B1 (en) * 2014-12-03 2015-12-29 Magpul Industries, Corp. Cover kit for a firearm handguard
JP1533618S (ko) * 2015-03-20 2015-09-14
JP6704746B2 (ja) * 2016-02-16 2020-06-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および部品取付構造
JP6409044B2 (ja) * 2016-12-28 2018-10-17 株式会社ニフコ 部材取付構造及び取付クリップ
JP6850773B2 (ja) * 2018-08-22 2021-03-3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N109944862A (zh) * 2019-04-18 2019-06-28 盈锋志诚嘉精密五金(深圳)有限公司 弹性拉铆防松螺母
USD942955S1 (en) * 2019-12-19 2022-02-0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ap for an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25Y2 (ko) * 1986-10-24 1990-01-16
JP2546686Y2 (ja) 1991-06-18 1997-09-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固定クリップ
JP3539643B2 (ja) * 1994-12-27 2004-07-07 株式会社ニフコ ピングロメット
JP4488588B2 (ja) * 2000-05-29 2010-06-2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2002081423A (ja) * 2000-09-07 2002-03-22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JP2002349526A (ja) 2001-05-29 2002-12-04 Inoac Corp クリップ
JP2003222113A (ja) * 2002-01-29 2003-08-08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JP4067341B2 (ja) * 2002-06-12 2008-03-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2ピースクリップ
JP2004116722A (ja) * 2002-09-27 2004-04-15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JP4393514B2 (ja) 2003-08-06 2010-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の親局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JP4213550B2 (ja) * 2003-09-24 2009-01-2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4485281B2 (ja) 2004-08-05 2010-06-16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JP4679871B2 (ja) 2004-10-08 2011-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締結具
JP5145129B2 (ja) * 2008-06-24 2013-02-1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2010019388A (ja) 2008-07-14 2010-01-28 Nifco Inc 留め具
JP2010151223A (ja) * 2008-12-25 2010-07-08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高強度ワンプッシュクリップ
JP5627940B2 (ja) * 2010-07-01 2014-11-19 株式会社ニフコ グロ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516B1 (ko) * 2019-12-12 2020-09-01 모리스앤코 주식회사 애견 미용 연습용 마네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497B1 (ko) 2014-10-27
EP2600014B1 (en) 2019-11-20
CN103026078B (zh) 2015-12-16
JP5726452B2 (ja) 2015-06-03
WO2012014755A1 (ja) 2012-02-02
US9086084B2 (en) 2015-07-21
EP2600014A4 (en) 2016-09-14
CN103026078A (zh) 2013-04-03
US20130145585A1 (en) 2013-06-13
JP2012026553A (ja) 2012-02-09
EP2600014A1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949A (ko) 클립
JP5379068B2 (ja) 部材締結構造
US20050244250A1 (en) Clip
JP4485281B2 (ja) 留め具
US7222398B2 (en) Clip
JP2013509556A (ja) プッシュインファスナー組立体
US20100293761A1 (en) Clip
JP5726849B2 (ja) クリップ
JP7115935B2 (ja) 留め具
JP6059532B2 (ja) クリップ
JP7211882B2 (ja) 取付構造
JP5680915B2 (ja) プッシュリベット
KR101575402B1 (ko) 클립
JP3684255B2 (ja) 部品の取付構造
JP2005188623A (ja) クリップ
JPH04101006U (ja) スクリユーグロメツト
CN116025625A (zh) 紧固件
JP6832425B2 (ja) 留め具
JP2009245706A (ja) 板材取付部品用のアダプタ
JP4711366B2 (ja) 止め具
JPH0247288Y2 (ko)
JPH04124315U (ja) 合成樹脂製の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