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648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648A
KR20130018648A KR1020127020733A KR20127020733A KR20130018648A KR 20130018648 A KR20130018648 A KR 20130018648A KR 1020127020733 A KR1020127020733 A KR 1020127020733A KR 20127020733 A KR20127020733 A KR 20127020733A KR 20130018648 A KR20130018648 A KR 20130018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unting
mounting plate
infla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236B1 (ko
Inventor
나오키 야마지
노부히코 요시이
케이타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1Hand wheel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Abstract

장착부재(18)가 돌출설치된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30)이다. 에어백 장치(30)는, 에어백(32)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 전개 가능한 인플레이터(34)와, 상기 에어백을 덮는 커버(36)와, 장착 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착부재(18)에 고정 가능한 고정체(70)가 지지부재(60)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4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40)는 인플레이터(34)의 장착 부분보다 오목한 오목부(46)를 갖고 있다. 고정체(70)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40)의 오목부(46)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 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팽창 전개되는 주머니체(袋體)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스티어링 휠 중 어느 한쪽에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스티어링 휠 중 어느 다른쪽에 상기 핀을 삽입 가능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장착부에 락 부재(lock member)로서의 스위치 와이어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핀을 장착부에 삽입하면, 스위치 와이어가 핀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스티어링 휠의 조립 상태, 즉, 에어백 장치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23315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조립 전 상태에서, 스위치 와이어가 베이스 플레이트 혹은 스티어링 휠의 표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 중에, 작업자의 손이 스위치 와이어에 접촉하여, 스위치 와이어가 장착부로부터 이탈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조립 작업 중에 있어서의 고정체의 이탈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형태는, 장착부재가 돌출설치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 전개 가능한 인플레이터(inflator)와, 접혀진 상기 에어백을 덮는 커버와, 상기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커버가 고정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부재에 고정 가능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보다 오목한 오목부(凹部)를 갖고, 상기 고정체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그 단면(斷面)의 반(半) 이상이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 형태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스티어링 휠 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에어백 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4 형태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부세력(付勢力)을 작용시키는 형태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제5 형태는,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에어백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에어백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해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간섭억제부를 갖고 있다.
제6 형태는,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배설(配設)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배설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인플레이터 배설구멍을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장착 플레이트가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보다 오목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고정체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 중에 작업자의 손 등이 고정체에 접촉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 중에 있어서의 고정체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는, 그 단면의 반 이상이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 중에 작업자의 손 등이 더욱더 고정체에 접촉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 중에 있어서의 고정체의 이탈을 더욱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에어백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장치 조립 후는, 고정체에 대한 외력은 작용하기 어려워져, 고정체가 이탈하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스티어링 휠 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된 오목부에, 고정체가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플레이트와 커버 사이에 에어백 수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쉽다.
제4 형태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가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고정체 자체에 의해 장착부재에 대한 부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그 부세력에 의해, 장착부재와 고정체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제5 형태에 의하면,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에어백 수용 공간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에어백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해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간섭억제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과 상기 장착부재 혹은 상기 지지부재가 접촉해도, 그 접촉이 에어백의 팽창 전개 동작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제6 형태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가 상기 인플레이터 배설구멍을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 둘레에 고정체를 배설해서, 복수 개소에서 장착부재를 고정체에 고정시킬 수 있어, 에어백 장치의 장착 상태가 더욱더 안정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 및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과 커버와 장착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장착 플레이트, 지지부재 및 고정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장착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고정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장착 플레이트, 지지부재 및 부세보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고정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 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장착부재가 고정체에 고정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장착부재가 고정체에 고정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스티어링 휠(10) 및 에어백 장치(3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에어백 장치(30)는, 차량의 조타를 행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10)에 대해 설명해 둔다. 스티어링 휠(10)은, 휠 본체(12)와 스포크(14)를 갖고 있다. 휠 본체(12)는, 사람에 의한 조타력을 받는 부분이다. 스포크(14)는, 휠 본체(12)의 내주(內周)부분으로부터 그 중앙을 향해 뻗는 봉(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휠 본체(12)의 중앙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연결된다. 여기서는, 스포크(14)는, 3개 설치되어 있지만, 2개 등이어도 좋다.
스티어링 휠(10)의 대략 중앙부에 심부재(core member)(16)가 노출되어 있다. 심부재(16)는, 금속 등의 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심부재(16)에 장착부재(18)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 스티어링 휠(10)의 중심 둘레로 3개의 장착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도 1에서는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다만, 후술하는 고정체(70)에 고정되는 장착부재(18)는 하나이어도 좋고, 혹은, 둘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장착부재(18)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장착부재(18)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도 7은 장착본체부재(20)에 캡부재(24)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캡부재(24)는 생략되어도 좋다.
이 장착부재(18)는 후술하는 고정체(70)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장착부재(18)는, 상기 심부재(16)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본체부재(20)와, 장착본체부재(20)에 장착되는 캡부재(24)를 갖고 있다.
장착본체부재(20)는, 기둥부(柱部)(21)와 고정돌기부(22)를 갖고 있다. 기둥부(21)는, 심부재(16)로부터 스티어링 휠(10)의 전방측(에어백 장치(30) 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둥부(21)의 선단에는 고정돌기부(2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고정돌기부(22)는 스티어링 휠(10)의 내주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돌기부(22)의 에어백 장치(30) 측의 선단부는, 스티어링 휠(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높이 치수가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22a)을 갖고 있다. 후술하는 에어백 장치(30)의 장착 상태에서, 장착부재(18)의 선단부는 에어백 수용 공간 내에 배설된다. 이 상태에서는, 경사면(22a)은, 해당 에어백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해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간섭억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경사면(22a)은 반드시 평면일 필요는 없고, 곡면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심부재(16)의 장착본체부재(20)의 기단측 부분에 있어서 고정돌기부(22)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6h)이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돌기부(22)의 내향면(內向面)에는 오목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16h) 및 오목부(22b)를 이용하여, 캡부재(24)의 장착 등이 이루어진다. 또, 오목부(22b)는 여기서는 고정돌기부(22)를 관통하고 있지만, 반드시 관통해 있을 필요는 없다.
캡부재(24)는, 수지 등의 비(非)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본체부재(20)의 기둥부(21)와 고정돌기부(22)의 내측 코너 부분을 덮는 형태로 해당 장착본체부재(20)에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캡부재(24)는, 기둥부(21)의 고정돌기부(22)가 돌출하는 측의 면(面)을 덮는 측판부(25)와, 고정돌기부(22)의 내측면을 덮는 단판부(端板部)(26)를 갖고 있다. 측판부(25)는, 가늘고 긴 판(板) 형상의 중앙판부(25a)와, 중앙판부(25a)의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이탈방지편(拔止片)(25b)을 갖고 있다. 이탈방지편(25b)은, 중앙판부(25a)의 단판부(26) 측 단부로부터 반대측 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넓어지면서 뻗어나와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을 탄성변형시켜 좁히면, 상기 관통구멍(16h)을 관통 가능해지고,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자신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벌어지면,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의 단부가 관통구멍(16h)의 주연부(周緣部)에 결합 가능해진다. 또, 단 판부(26)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돌기부(22)의 오목부(22b)에 끼워넣기 가능한 돌기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부재(24)를 장착본체부재(20)의 기단측으로부터 관통구멍(16h) 안으로 삽입하면(도 4 참조),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의 외면이 관통구멍(16h)의 주연(周緣)에 슬라이드 접촉(摺接)하여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중앙판부(25a) 측으로 탄성변형한다(도 5 참조). 이에 의해,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좁혀져, 캡부재(24)가 관통구멍(16h)을 관통 가능해진다(도 6 참조). 그리고 캡부재(24)가 관통구멍(16h)을 관통하면,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탄성복귀하여 각각의 단부가 관통구멍(16h)의 주연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돌기부(26a)가 오목부(22b) 안으로 끼워 넣어진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캡부재(24)가 장착본체부재(20)에 대해 일정 위치에 장착 고정된다.
에어백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에어백 장치(3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나서,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에어백 장치(30)의 에어백(32)과 커버(36)와 장착 플레이트(4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30)는, 에어백(32)과 인플레이터(34)와 커버(36)와 장착 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백(32)은, 직물 등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접혀진 상태로 인플레이터(34)와 함께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된다.
인플레이터(34)는 에어백(32)을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는 인플레이터(34)는, 짧은 원기둥 형상의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와,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의 외주에 형성된 장착 플랜지(34b)를 갖고 있다(도 1 참조). 장착 플랜지(34b)는, 외주연(外周緣)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뻗어 나오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4개의 모서리 부분(角部分)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34)는, 이 장착 플랜지(34b)를 통해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 고정된다.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에는, 점화장치 및 가스발생제 등이 조립되어 있다. 그렇게 해서, 차량 충돌시에 충격검지부 등으로부터의 검지신호 등을 받으면, 상기 점화장치가 가스발생제를 점화한다. 이에 의해, 가스발생제가 연소하고, 이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에어백(32) 내에 공급된다.
커버(36)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상기 에어백(32)을 덮는 형태로 해서 장착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커버(36)는, 완만한 만곡 형상을 갖는 커버 본체부(37)와, 커버 본체부(37)의 이면측에 형성된 둘레벽부(38)를 갖고 있다. 둘레벽부(38)와 장착 플레이트(40)가 리벳 체결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또, 이들 커버 본체부(37)와 둘레벽부(38)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접혀진 에어백(32)을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부(37)에는, 에어백(32)의 팽창 전개력을 받아 파열되기 용이한 티어라인(tear line)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 본체부(37)의 표면은 스포크(14)의 표면에 대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배설된다.
또, 장착 플레이트(40)는, 금속판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상기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및 커버(36)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여기서는,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및 커버(36)는, 장착 플레이트(40)에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지만, 다른 브래킷(bracket)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렇게 해서, 인플레이터(34)로부터의 가스공급에 의해 에어백(32)이 팽창하면, 그 에어백(32)이 팽창 전개하는 힘을 받아 커버(36)가 파열되어 벌어진다. 이에 의해, 에어백(32)이 스티어링 휠(10)과 운전자 사이에 주머니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장착 플레이트(40), 지지부재(60) 및 고정체(7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장착 플레이트(40)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11은 고정체(7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장착 플레이트(40), 지지부재(60) 및 부세보조부재(74)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즉, 본 에어백 장치(30)의 장착 플레이트(40)에, 지지부재(60)를 통해 고정체(70)가 지지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상기 장착부재(18)가 고정체(7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장착 플레이트(40)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며, 주(主)장착판부(42)와, 측방(側方) 고정판부(54) 및 하방(下方) 고정판부(56)를 갖고 있다.
주장착판부(42)는, 커버(36)의 둘레벽부(38)의 개구(開口)를 폐색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주장착판부(42)의 중앙부에 인플레이터 본체부(34a)를 배설 가능한 인플레이터 배설구멍(44h)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 배설구멍(44h)의 외주의 대략 사각형 영역 부분은, 또한 그 외주로부터 단(段)(44s)을 통해 에어백(32) 측으로 돌출하는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 본체부(34a)를 인플레이터 배설구멍(44h) 내에 배설한 상태로, 장착 플랜지(34b)를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에 중첩시켜 나사고정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인플레이터(34)가 본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 고정된다.
또한,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외주측 부분은, 해당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 측 표면으로부터 단(44s)을 통해 스티어링 휠(10)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46)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오목부(46)는, 인플레이터 배설구멍(44h)을 4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오목부는 인플레이터 배설구멍을 적어도 2방향에서 둘러싸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오목부(46)의 깊이 치수는, 고정체(70)의 반경보다 크게(여기서는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어, 고정체(70)의 단면의 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오목부(46)의 깊이 치수는, 고정체(70)의 지름보다 크게(여기서는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어, 고정체(70) 전체가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으로부터 오목부(46) 측으로 아래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체(70)는, 오목부(46)에 배설되며, 장착부재(18)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체(70)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를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중간 와이어 부분(70a)과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자 형상을 이루도록 이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고정체(70)를 장착 플레이트(40)의 오목부(46)에 장착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은, 장착 플레이트(40)의 폭 치수보다 크게 벌어져 있다. 그리고 또한,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눌려 오므려진 상태에서, 본 고정체(70)가 장착 플레이트(40)의 오목부(46)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의 선단부에는, 그 선단측을 향해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의 근접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정체(70)가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사 와이어 부분(70c)을 부세보조부재(74)에 슬라이드 접촉시킴으로써, 중간 와이어 부분(70a)을 바깥쪽을 향해 부세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있다. 이 고정체(70)를 장착 플레이트(40)에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설명한다.
주장착판부(42)의 양 측부에 한 쌍의 측방 고정판부(54)가 형성되고, 주장착판부(42)의 하부에 하방 고정판부(56)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방 고정판부(54) 및 하방 고정판부(56)는, 커버(36) 측을 향해 둘레벽부(38)를 따라 뻗어 나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방 고정판부(54) 및 하방 고정판부(56)가 둘레벽부(38)에 대해 리벳 체결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장착 플레이트(40)와 커버(36)가 고정된다. 또한, 주장착판부(42)의 상방에도, 커버(36)의 반대 측을 향해 뻗어 나오는 상방 고정판부가 형성되어 있어, 해당 상방 고정부도 커버(36)에 대해 리벳 체결,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주장착판부(42)의 측부로부터 측방 고정판부(54)에 이르는 각각의 부분에,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의 주장착판부(42) 측의 부분(55a)은, 장착부재(18)를 삽입 가능한 잘림구멍(切缺孔)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의 측방 고정판부(54) 측의 부분(55b)은 지지부재(60)를 삽입 가능한 잘림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주장착판부(42)의 하부에, 하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7)는, 장착부재(18)를 삽입 가능한 잘림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방 고정판부(56)의 한쪽 측의 측연부(側緣部)는, 하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7)의 한쪽 측부로부터 연속되는 형태로 하여 커버(36) 측으로 뻗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 및 하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7)는, 상기 3개의 장착부재(1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60)는, 수지 등의 절연부재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고정체(70)를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60)는, 축방향을 따라 장착부재(18)를 삽입 가능한 반원통(半圓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60)의 외주 부분에 주장착판부(42)의 두께에 따른 고정홈(61)이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부재(60)의 외주(外周) 양 측부에 고정 볼록부(凸部)(6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볼록부(62)는, 지지부재(60)의 외주 중앙으로부터 단부 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높이 치수가 커지는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 및 하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7)의 각각 대해 지지부재(60)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의 주장착판부(42) 측 부분(55a)의 주연부 혹은 하방 고정판부(56)의 주연부가 지지부재(60)의 고정홈(61) 내에 끼워 넣어진다. 또, 고정 볼록부(62)가,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의 측방 고정판부(54) 측 부분(55b)의 양 측연부 혹은 하방 고정판부(56)의 한쪽 측의 측연부에, 내측으로부터 고정된다. 이에 의해, 지지부재(60)가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 장착 고정된다.
이 장착 상태에서는, 장착 플레이트(40)의 정면에서 보아, 지지부재(60)의 내부 공간은,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5)의 주장착판부(42) 측 부분(55a) 혹은 하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57)에 대해 거의 동일 위치에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장착부재(18)를 대응하는 지지부재(60)에 일괄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지지부재(60)의 외주 부분에는, 고정체(70)를 삽입 가능한 고정체 지지홈(6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체 지지홈(64)은, 오목부(46)의 표면에 대한 직교방향에서는 고정체(70)를 될 수 있는 한 덜컹거림 없이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체(7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홈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정체 지지홈(64)은, 지지부재(60)를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한 상태에서, 오목부(46)의 에어백(32) 측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여기서는 조금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고정체 지지홈(64) 내에 삽입된 고정체(70)가 오목부(46)의 에어백(32) 측 표면과 비접촉 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6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재(60)의 일단부는 장착 플레이트(40)와 커버(36) 사이의 에어백 수용 공간으로 돌출하도록 배설된다. 그리고 지지부재(60)의 해당 돌출되어 배설되는 부분의 선단부는, 에어백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해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는 경사면(65)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65)은, 간섭억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다. 이 경사면(65)은, 반드시 평면일 필요는 없고, 곡면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 부세보조부재(74)는, 고정체(70)의 한 쌍의 경사 와이어 부분(70c)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한 위치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다.
즉, 장착 플레이트(40)의 고정체(70)의 한 쌍의 경사 와이어 부분(70c)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은, 삼각형의 꼭짓점(頂点)을 잘라낸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세보조부재(74)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길이가 긴 형상의 부재이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슬라이드 접촉부(75), 판부(板部)(76), 고정부(77) 및 스프링 고정부(78)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특히, 도 12 참조).
판부(76)는, 일단이 원형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타단이 뾰족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대해 에어백(32) 측 주연부에 배설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접촉부(75)는 호(弧) 모양의 벽(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팽출측 부분을 판부(76)의 타단측의 뾰족해 있는 부분을 향한 자세로, 판부(76)의 일단측의 원형 형상 부분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고정부(77)는, 상기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삽입 가능한 판 형상(삼각형의 꼭짓점을 잘라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77)와 상기 판부(76) 사이에는, 장착 플레이트(40)의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의 주연부를 끼워넣기 가능한 간격(7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고정부(78)는, 고정부(77)로부터 슬라이드 접촉부(75)의 반대측을 향해 뻗어나오는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스프링 고정부(78)는, 통 형상 부재(筒狀部材)를 3 분할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 스프링 고정부(78)의 기단부에는, 스프링(79)을 고정 가능한 돌기부(7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스프링(79)을 스프링 고정부(78)에 바깥으로 끼우면, 해당 스프링(79)의 일단부가 고정부(77)에 접촉한 상태로 돌기부(78a)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세보조부재(74)는,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다. 즉, 부세보조부재(74)의 고정부(77) 및 스프링 고정부(78)를,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대해 에어백(32) 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부(77)를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통과시킨 후, 부세보조부재(74)를 적당히 회전시켜, 판부(76)와 고정부(77) 사이에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의 주연부가 협지(挾持)되도록 한다. 이때, 판부(76)의 타단측의 뾰족한 부분 및 슬라이드 접촉부(75)의 팽출측 부분을 측방 와이어 부분(70b)(하방)을 향한 자세로 한다. 이에 의해, 판부(76)의 타단측의 뾰족한 부분이 오목부(46)와 경사 와이어 부분(70c) 사이에 배설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슬라이드 접촉부(75)의 팽출측 부분이 경사 와이어 부분(70c)의 외향(外向) 부분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상태에서, 판부(76)의 내면측에 형성된 볼록부가, 장착 플레이트(40)의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의 주연 부분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부세보조부재(74)의 조립시의 위치 결정 및 조립 후의 회전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부세보조부재(74)가 장착 플레이트(40)에 고정된 후, 스프링(79)이 스프링 고정부(78)에 장착 고정된다. 또한, 여기서는, 장착 플레이트(40)의 하측 부분에도 부세보조부재(74)를 장착하고 있다. 이 위치에 설치된 부세보조부재(74)는, 주로 이 위치에서 스프링(79)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갖고 있다.
상기 고정체(7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지지부재(60)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고정체(70)를 장착 플레이트(40)의 오목부(46) 내에 배설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체(70)를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에 삽입하면서, 지지부재(60)를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중간 와이어 부분(70a)이 장착 플레이트(40) 하방의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에 삽입 지지됨과 아울러,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장착 플레이트(40) 양측의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에 삽입 지지된 상태로, 고정체(70)가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 에어백(32) 측에 지지된다.
다만, 지지부재(60)를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한 후, 고정체(70)를 장착 플레이트(40)에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눌러 좁힌 상태로, 고정체(70)의 중간 와이어 부분(70a)을 장착 플레이트(40)의 하방에 장착된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에 삽입함과 아울러,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장착 플레이트(40)의 양측에 장착된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에 삽입한다. 그 후,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눌러 좁히는 힘을 해제하면 좋다.
상기 상태에서는, 고정체(70)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이간(離間)방향으로 부세된다. 이 부세력은,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대응하는 장착부재(18)에 고정시키는 바깥방향을 향해 미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 13은 고정체(70)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서는, 통상 상태의 고정체(70)를 2점 쇄선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킨 고정체(7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상기 고정체(70)의 통상 장착 상태에서는,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슬라이드 접촉부(75)의 팽출측 부분에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체(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슬라이드 접촉부(75)의 팽출측 부분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밀려간다. 이에 의해, 고정체(70) 자신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눌려 좁혀진다. 그리하여, 고정체(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고정체(70)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벌어진다. 이에 의해,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접촉부(75)의 팽출측 부분에 슬라이드 접촉한다. 그러면, 고정체(70)는 하방의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을 향해 부세된다. 이 부세력은, 중간 와이어 부분(70a)을 대응하는 장착부재(18)에 고정시키는 바깥방향을 향해 미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고정체(70)는, 각 장착부재(18)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형태로,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체(70)를 단(44s)에 접촉시킬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은 대응하는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도록, 지지부재(60)의 고정체 지지홈(64)의 위치 및 단(44s)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체(70)의 부주의한 이탈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70)의 장착 상태에서, 고정체(70)의 단면의 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 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고정체(70)의 단면의 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 측 표면보다 에어백(32) 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스티어링 휠(10)에 장착 플레이트(4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장착부재(18)가 고정체(70)에 고정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서는, 설명 편의상, 장착본체부재(20)와 캡부재(24)를 일체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장착부재(18)는, 장착 플레이트(40)에 고정된 지지부재(60)에 스티어링 휠(10) 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60) 내에서 고정체(70)에 고정된다.
즉, 각 장착부재(18)를 대응하는 지지부재(60) 내에 삽입하는 형태로,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을 향해 밀어붙인다. 그러면 장착부재(18)의 선단부의 경사면(22a)이 고정체(70)에 접촉된다(도 16 참조). 그러면, 해당 경사면(22a)에 의해 고정체(70)가 자기의 내측을 향해 밀려 들어가는 형태로 탄성변형된다. 그리하여, 장착부재(18)의 고정돌기부(22)가 고정체(70)를 넘으면, 고정체(70)가 탄성 복귀하여, 고정돌기부(22)의 기단부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장착부재(18)가 고정체(70)에 의해 이탈방지 고정된다. 상기가 복수의 장착부재(18)와 대응하는 지지부재(60) 내의 고정체(70) 부분 사이에서 일괄하여 혹은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장착부재(18)와 대응하는 지지부재(60) 내에서 고정체(70)에 대해 이탈방지 고정되어,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대해 장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79)은,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와, 장착 플레이트(40)와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있다. 이 스프링(79)은,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에 대해 장착 플레이트(40)를 이반(離反)방향으로 부세 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이 부세력에 의해,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와 장착 플레이트(40) 사이에서 덜컹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또, 상기와는 반대로, 각 지지부재(60)로 고정체(70)를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장착부재(18)와 고정체(70)의 고정이 해제되어,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부세력에 의해, 통상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와 장착 플레이트(40)가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와 장착 플레이트(40)에 경적 스위치(horn switch) 구조를 조립해 있다.
즉, 상기 심부재(16)에는, 장착 플레이트(40) 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측 접점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고정측 접점부(16a)가 형성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다만, 도 1에는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 장착 플레이트(40)에는 해당 고정측 접점부(16a)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측 접점부(40a)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8 및 도 9 등 참조). 이들 고정측 접점부(16a) 및 가동측 접점부(40a)를 온 오프 스위치로 하는 경적 회로(horn blow circuit)가 조립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79)의 부세력에 의해 고정측 접점부(16a)와 가동측 접점부(40a)는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어, 양자는 비도통(非導通)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커버(36)를 누르면, 스프링(79)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장착 플레이트(40)가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 측으로 밀린다. 이에 의해, 가동측 접점부(40a)가 대응하는 고정측 접점부(16a)에 접촉해서, 양자가 도통 상태로 되어, 경적이 울도록 되어 있다.
다만, 이 부분에 경적 스위치 구조를 조립할 필요는 없고, 커버(36)의 표면 부분에 경적 스위치가 조립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장치(30)에 의하면, 장착 플레이트(40)가, 인플레이터(34)의 장착 부분인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보다 오목한 오목부(46)를 갖고 있으며 고정체(70)가 해당 오목부(46)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체(70)가 장착 플레이트(40)로부터 될 수 있는 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40)에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커버(36) 등을 장착하는 작업 중 등에 작업자의 손 등이 고정체(70)에 부주의하게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고정체(70)의 단면(斷面)의 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 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 등이 고정체(70)에 접촉되는 것을 더욱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 작업 중에 있어서의 고정체(70)의 이탈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원활히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통상, 작업자의 손 등이 고정체(70)에 접촉되었다고 해도 고정체(70)는 오목부(46) 안으로 밀릴 뿐이라고 상정된다. 이 점으로부터도 조립 작업 중에 있어서의 고정체(70)의 이탈 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고정체(70)는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 에어백(32)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커버(36) 등을 장착 플레이트(40)에 장착하여 에어백 장치(30)를 조립한 후는, 고정체(70)에 대한 작업자의 손 등에 의한 외력은 작용하기 어려워져, 고정체(70)가 이탈하기 어려워진다. 또, 고정체(70)는, 장착 플레이트(40)의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으로부터 스티어링 휠(10)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4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플레이트(40)와 커버(36) 사이에 에어백(32)의 수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쉽다. 게다가, 에어백(32)이 팽창 전개될 때, 오목부(46) 내에 배설된 고정체(70)와는 간섭하기 어렵고, 따라서 에어백(32)은 안정적으로 팽창 전개된다.
또, 고정체를 에어백 측에 설치하면, 고정체(70)가 접혀진 에어백과 간섭하기 때문에, 장착부재와 탈착(脫着)할 때에 필요해지는 고정체의 변형 가능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염려가 생긴다. 즉, 고정체와 접혀진 에어백이 간섭해서 고정체가 변형할 수 없어, 장착부재와의 탈착이 잘 행해지지 않을 염려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체(70)가 오목부(46)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혀진 에어백(32)과 간섭하기 어려워, 고정체(70)의 변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착부재(18)와 고정체(70)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고정체(70)가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고정체(7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부재(18)에 대한 부세력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또, 그 부세력에 의해, 장착부재(18)와 고정체(70)의 고정 지지력을 높여, 에어백 장치(30)의 조립 상태를 더욱더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장착부재(18)의 에어백 수용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경사면(22a)이 형성되고, 지지부재(60)의 동(同) 에어백 수용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경사면(6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 수용 공간 내에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32)이 장착부재(18) 및 지지부재(60)에 접촉되어도, 해당 에어백(32)은 경사면(22a) 및 경사면(65)에 의해 커버(36) 측으로 안내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32)과, 장착부재(18) 및 지지부재(60)의 간섭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32)의 전개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오목부(46)가 인플레이터 배설구멍(44h)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플레이터(34)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여 고정체(70)를 배설해서, 복수 개소(여기서는 3개소)에서 장착부재(18)를 고정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백 장치(30)의 장착 상태가 더욱더 안정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와 장착 플레이트(40)에 경적 스위치 구조를 조립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상 상태에서, 심부재(16)와 장착 플레이트(40)를 전기적으로 비접촉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 지지부재(60)에 의해 고정체(70)를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40)와 고정체(70) 사이에 지지부재(60)가 개재하게 되어, 장착 플레이트(40)와 고정체(70) 사이의 비도통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또, 장착부재(18)도, 심부재(16)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본체부재(20)에 수지제 캡부재(24)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심부재(16)와 고정체 사이에도 캡부재(24)가 개재하게 되어, 심부재(16)와 고정체(70) 사이도 비도통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즉, 스티어링 휠(10)과 장착부재(18)의 고정 구조에서는, 어떤 부재의 물리적인 접촉은 불가피한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재(60) 및 캡부재(24)에 의해 이중의 절연 구조를 실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와 장착 플레이트(40)의 더욱더 확실한 절연성이 확보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0) 및 캡부재(24)는, 경적 스위치 구조가 조립되어 있는가 없는가에 관계없이, 각(各) 부재 사이의 덜컹거림을 억제한다는 역할을 갖고 있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체(70)가 장착 플레이트(40)에 대해 스티어링 휠(10) 측에 있는 예로 설명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어, 고정체는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스티어링 휠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에어백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로 하면 좋다.
또, 오목부는, 반드시 단(段)을 통해 오목해 있을 필요는 없고, 어느 정도의 경사면을 통해 오목해 있어도 좋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처럼 오목부(46)가 단(44s)을 통해 오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목부(46) 내의 고정체(70)에 대한 사람 손 등의 접촉을 더욱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고정체(70)의 일부가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 측 표면보다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스프링(79)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스위치 구조를 조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79) 자체가 생략되어도 좋다. 또, 스프링은, 고무, 그 밖의 탄성부재에 의해 대체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오목부(46) 위치 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 배설구멍의 양 측부에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해당 한 쌍의 오목부에는 공통의 혹은 각각의 고정체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고정체(70)의 위치도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1 개소에 고정체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 고정체의 구성도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 형상 혹은 판 스프링 형상의 고정체에 장착부재(18)가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장착 플레이트(40)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해당 오목부에 장착부재에 고정 가능한 어떤 고정체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인플레이터 배설구멍(44h)을 적어도 2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체(70)도 인플레이터 배설구멍(44h)을 적어도 2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장착부재(18) 및 지지부재(60)의 단부가 경사면(22a), 경사면(65)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또, 그들 어느 한쪽만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장착부재(18)와 고정체(70)의 고정 구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체가 외주측으로부터 장착부재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0 스티어링 휠
18 장착부재
30 에어백 장치
32 에어백
34 인플레이터
36 커버
40 장착 플레이트
44 인플레이터 장착판부
44h 인플레이터 배설구멍
46 오목부
55 측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
57 하방 지지부재 장착 오목부
60 지지부재
64 고정체 지지홈
65 경사면
70 고정체

Claims (6)

  1. 장착부재가 돌출설치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 전개 가능한 인플레이터(inflator)와,
    접혀진 상기 에어백을 덮는 커버와,
    상기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커버가 고정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부재에 고정 가능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보다 오목한 오목부(凹部)를 갖고, 상기 고정체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그 단면(斷面)의 반(半) 이상이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스티어링 휠 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에어백 측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부세력(付勢力)을 작용시키는 형태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지지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에어백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에어백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해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간섭억제부를 갖고 있는 에어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배설(配設)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배설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인플레이터 배설구멍을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
KR1020127020733A 2010-03-04 2011-02-17 에어백 장치 KR101685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7366 2010-03-04
JP2010047366A JP5497485B2 (ja) 2010-03-04 2010-03-04 エアバッグ装置
PCT/JP2011/053326 WO2011108360A1 (ja) 2010-03-04 2011-02-17 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648A true KR20130018648A (ko) 2013-02-25
KR101685236B1 KR101685236B1 (ko) 2016-12-09

Family

ID=4454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733A KR101685236B1 (ko) 2010-03-04 2011-02-17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48982B2 (ko)
EP (1) EP2543554A4 (ko)
JP (1) JP5497485B2 (ko)
KR (1) KR101685236B1 (ko)
CN (1) CN102770313A (ko)
MX (1) MX2012009671A (ko)
WO (1) WO2011108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7485B2 (ja) * 2010-03-04 2014-05-21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32032B2 (ja) * 2010-03-30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185798B2 (ja) * 2013-05-07 2017-08-2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1530584S (ko) * 2014-09-24 2018-07-30
USD795766S1 (en) * 2014-10-24 2017-08-29 Toyoda Gosei Co., Ltd. Cover of airbag device for automobile
JP1530315S (ko) * 2015-01-06 2015-08-03
JP6624732B2 (ja) * 2016-03-29 2019-12-2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WO2017214214A2 (en) * 2016-06-10 2017-12-14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JP2017222281A (ja) * 2016-06-16 2017-12-21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US11142156B2 (en) * 2016-08-29 2021-10-1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river airbag mounting verification system
JP6871783B2 (ja) * 2017-03-31 2021-05-12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817872B2 (ja) * 2017-04-07 2021-01-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US11034374B2 (en) * 2017-08-10 2021-06-15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KR102521366B1 (ko) * 2018-03-09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FR3083189B1 (fr) * 2018-06-29 2021-12-10 Autoliv Dev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CN110712674B (zh) * 2018-07-11 2022-01-25 奥托立夫开发公司 方向盘的减震器机构和车辆用方向盘装置
US11383665B2 (en) * 2019-12-10 2022-07-12 Autoliv Asp, Inc. Driver airbag module coupling assemblies
KR102612866B1 (ko) * 2021-08-27 2023-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584B2 (ja) * 1987-12-23 1995-10-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1233159A (ja) 2000-02-18 2001-08-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JP2007532373A (ja) * 2004-04-08 2007-11-15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エアバッグ装置を車両構成部品に接続するための装置
EP1702813B1 (en) * 2005-03-16 2009-07-22 Takata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airba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9214A1 (de) * 1994-08-18 1996-02-22 Trw Repa Gmbh Fahrzeuglenkrad mit einem integrierten Gassack-Rückhaltesystem
DE29602630U1 (de) * 1996-02-14 1996-06-13 Trw Repa Gmbh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Gassackmoduls
FR2790044B1 (fr) * 1999-02-19 2001-05-25 Gersteen Iso 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et volant comportant cet element
DE19927032A1 (de) * 1999-06-04 2000-12-14 Petri Ag Anordnung zur Verrastung eines Airbagmoduls mit einem Lenkrad
JP2001151065A (ja) * 1999-11-25 2001-06-05 Takata Corp エアバック装置
JP2001187575A (ja) * 1999-12-28 2001-07-10 T S Tec Kk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60119176T2 (de) 2000-06-27 2007-03-29 Toyoda Gosei Co., Ltd. Lenkrad mit Airbag
JP2002012112A (ja) * 2000-06-30 2002-01-15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2002433A (ja) * 2000-06-27 2002-01-09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4538964B2 (ja) * 2001-01-31 2010-09-0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4269492B2 (ja) * 2000-06-29 2009-05-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FR2812606B1 (fr) * 2000-08-02 2002-10-31 Autoliv Iso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avec systeme d'encliquetage, et volant le comportant
DE20206310U1 (de) * 2002-04-16 2002-08-08 Takata Petri Ag Kraftfahrzeugbaugruppe
KR100521021B1 (ko) * 2003-08-26 2005-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모듈 조립구조
US7055854B2 (en) * 2004-03-03 2006-06-06 Autoliv Asp, Inc. Snap-in castanet airbag module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DE102005002945A1 (de) * 2005-01-18 2006-07-27 Takata-Petri Ag Generatorträger für ein Fahrerairbagmodul zum Einbauen in ein Lenkrad eines Kraftfahrzeuges
US7621560B2 (en) * 2005-02-07 2009-11-24 Key Safety Systems, Inc Horn switch
US7533897B1 (en) * 2005-02-16 2009-05-19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air bag
US7708309B2 (en) * 2005-10-20 2010-05-04 Delphi Korea Corporation Driver's airbag module assembly structure
JP4967348B2 (ja) 2006-01-24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ク装置
US7694997B2 (en) * 2006-05-30 2010-04-13 TRW Vehicle Safety Sysyems Inc. Air bag module
JP5015261B2 (ja) * 2007-10-10 2012-08-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け構造
US8491003B2 (en) * 2010-02-23 2013-07-23 Judco Manufacturing, Inc. Airbag frame apparatus
JP5497485B2 (ja) * 2010-03-04 2014-05-21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32011B2 (ja) * 2010-03-12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JP5432032B2 (ja) * 2010-03-30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8658922B2 (en) * 2011-05-05 2014-02-25 Autoliv Asp, Inc. Electrical switch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584B2 (ja) * 1987-12-23 1995-10-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1233159A (ja) 2000-02-18 2001-08-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JP2007532373A (ja) * 2004-04-08 2007-11-15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エアバッグ装置を車両構成部品に接続するための装置
EP1702813B1 (en) * 2005-03-16 2009-07-22 Takata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airba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2009671A (es) 2012-09-07
US20120306183A1 (en) 2012-12-06
EP2543554A1 (en) 2013-01-09
KR101685236B1 (ko) 2016-12-09
US8448982B2 (en) 2013-05-28
JP5497485B2 (ja) 2014-05-21
JP2011178361A (ja) 2011-09-15
WO2011108360A1 (ja) 2011-09-09
EP2543554A4 (en) 2013-06-26
CN102770313A (zh)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8648A (ko) 에어백 장치
KR20130016202A (ko)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KR20130040171A (ko) 에어백 장치
US11034374B2 (en) Steering wheel
US6688637B2 (en) Airbag apparatus
US11034319B2 (en) Air bag module
JP2001233159A (ja)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JP2006228700A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228699A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4168284A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13118590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ホーンスイッチ装置
JP2006294379A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647440B1 (ko) 에어백 모듈 장착 장치
KR20120078899A (ko) 스티어링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JP2009161023A (ja) ハンドルのスイッチ装置及びハンドル
JP582382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679974B2 (ja) ホーンスイッチ付エアバッグ装置
JP2015037913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6669996A (zh) 驾驶座用安全气囊装置
CN117157225A (zh) 方向盘
JP2008049874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支援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配設構造
JP2006027471A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9184472A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908364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325220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