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202A -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202A
KR20130016202A KR1020127022630A KR20127022630A KR20130016202A KR 20130016202 A KR20130016202 A KR 20130016202A KR 1020127022630 A KR1020127022630 A KR 1020127022630A KR 20127022630 A KR20127022630 A KR 20127022630A KR 20130016202 A KR20130016202 A KR 2013001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ixed
fixing
plat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237B1 (ko
Inventor
나오키 야마지
노부히코 요시이
케이타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1Hand wheel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인플레이터 및 커버가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40)를 갖는다. 스티어링 휠은, 휠 본체와, 휠 본체의 중앙에 구비된 중앙부재로서의 심부재(16)를 갖고 있다. 장착플레이트(40) 및 심부재(16) 중 어느 한쪽측에 장착부재(18)가 구비되고, 다른쪽에 고정체(70)가 구비되어 있다. 장착부재(18)는, 기둥부(18a)와 기둥부의 선단부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부(18b)를 갖고 있다. 고정체(70)가 기둥부(18a)와 고정돌기부(18b) 사이의 내측 코너 부분에 고정됨으로써, 에어백 장치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다. 고정돌기부(18b) 중 기둥부의 기단부를 향하는 고정접촉면(27)은, 고정체(70)를 고정돌기부(18b)의 기단부측에 지지하는 빠짐억제볼록부(27a)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MOUNTING SECTION STRUCTURE FOR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팽창 전개하는 주머니체(袋體)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스티어링 휠 중 어느 한쪽에 핀이 구비되어 있다. 핀에는, 측면에서 본 개구단면(開口斷面)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고, 개구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개구 폭이 커지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스티어링 휠 중 어느 다른쪽에 상기 핀을 삽입 가능한 장착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장착부에 고정부재로서의 스위치 와이어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핀을 장착부에 삽입하면, 스위치 와이어가 핀의 결합홈에 결합하고, 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스티어링 휠의 조립상태, 즉, 에어백 장치의 장착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23315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핀에는, 개구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개구 폭이 커지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에 스위치 와이어가 결합함으로써,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스티어링 휠에 이반(離反)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스위치 와이어가 고정홈의 경사면에 밀려 닿아서 탄성변형하고, 고정홈과 스위치 와이어의 결합상태가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의 장착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형태는,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 전개 가능한 인플레이터와, 접혀진 상기 에어백을 덮는 커버와, 상기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커버가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를 갖는 에어백 장치와, 휠 본체와, 상기 휠 본체의 중앙에 구비된 중앙부재를 갖는 스티어링 휠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어느 한쪽측에 장착부재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어느 다른쪽측에 상기 장착부재에 고정 가능한 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어느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해 뻗는 기둥부(柱部)와, 상기 기둥부의 선단부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부를 갖고,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기둥부와 상기 고정돌기부 사이의 내측 코너 부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장치가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돌기부 중 상기 기둥부의 기단부(基端部)측을 향하는 고정접촉면은, 상기 고정체를 상기 고정돌기부의 기단부측에 지지하는 빠짐억제볼록부를 갖고 있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빠짐억제볼록부는, 상기 고정접촉면의 선단부에 돌출하는 볼록부 또는 상기 고정접촉면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서서히 돌출하는 경사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형태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고정돌기부의 기단부측에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형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 또는 상기 중앙부재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제4 형태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며, 기둥본체부와 상기 기둥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고정본체돌기부를 갖는 장착본체부재와, 비도전성(非導電性)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둥본체부 중 상기 고정본체돌기부가 돌출하는 측의 면(面)을 덮는 측판부와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의 내향면(內向面)을 덮는 단판부를 갖는 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부재에 상기 빠짐억제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5 형태는,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상기 장착본체부재가 형성된 측에,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와 대향(對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가 그 기단부를 향해 외향(外向) 경사지는 이탈방지편(拔止片)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캡부재가 상기 이탈방지편을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판부를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편을 상기 관통공의 주연(周緣)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캡부재가 상기 장착본체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제6 형태는, 제4 또는 제5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의 내향면에는 위치결정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단판부에 상기 위치결정오목부에 끼워넣기 가능한 위치결정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가 상기 장착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위치결정볼록부가 상기 위치결정오목부에 끼워져 있는 것이다.
제7 형태는, 제1~제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상기 고정체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부재에 상기 장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제8 형태는, 제1~제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비도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를 상기 장착플레이트 또는 상기 중앙부재에 대해 비접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제1 형태에 의하면, 고정돌기부의 빠짐억제볼록부에 의해, 고정체가 고정돌기부의 기단부측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고정체와 장착부재의 고정상태가 더 확실하게 유지되어, 에어백 장치의 장착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의하면, 고정체가 볼록부에 접촉함으로써, 혹은, 경사 볼록부의 경사면에 접촉함으로써, 고정체가 고정돌기부의 기단부측에 지지된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가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고정체 자체에 의해 장착부재에 대한 부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부세력에 의해, 고정체를 상기 고정돌기부의 기단부측에 부세하여, 장착부재와 고정체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제4 형태에 의하면, 금속에 의해 형성된 장착본체부재에 의해 충분한 강성(剛性)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부재에 의해 형성된 캡부재에 의해, 장착본체부와 고정체를 절연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의하면, 상기 캡부재를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여 통과시키면, 상기 단판부가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편을 상기 관통공의 주연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상기 캡부재가 상기 장착본체부재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캡부재를 용이하게 장착본체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제6 형태에 의하면, 캡부재가 장착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로, 캡부재를 더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제7 형태에 의하면, 장착플레이트에 용이하게 고정체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와 심부재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제8 형태에 의하면,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중앙부재는, 비도전성부재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재와, 비도전성부재에 의해 형성된 캡부재에 의해 절연상태가 유지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에어백 장치 및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장착본체부재에 캡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에어백 장치 중 에어백과 커버와 장착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장착플레이트, 지지부재 및 고정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장착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고정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장착플레이트, 지지부재 및 부세보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고정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 있어서 장착부재가 고정체에 고정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XV선에 있어서 장착부재가 고정체에 고정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XV-X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XV-XV선에 있어서 고정체를 장착부재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빠짐억제볼록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빠짐억제볼록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장착부재 및 고정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장착부재 및 고정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장착부재 및 고정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장착부재 및 고정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스티어링 휠(10) 및 에어백 장치(3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에어백 장치(30)의 장착부 구조는,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이다.
스티어링 휠(10)은, 차량의 조타(操舵)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휠 본체(12)와 스포크(14)와 중앙부재로서의 심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휠 본체(12)는, 사람에 의한 조타력을 받는 부분이다. 스포크(14)는, 휠 본체(12)의 내주(內周) 부분으로부터 그 중앙을 향해 뻗는 봉(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휠 본체(12)의 중앙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연결된다. 여기서는, 스포크(14)는, 3개 구비되어 있지만, 2개 등이어도 좋다.
스티어링 휠(10)의 대략 중앙부에 심부재(16)가 노출되어 있다. 심부재(16)는, 금속 등의 도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심부재(16)에 장착부재(1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各) 스티어링 휠(10)의 중심 둘레로 3개의 장착부재(18)가 구비되어 있다(도 1에는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물론, 후술하는 고정체(70)에 고정되는 장착부재(18)는 하나이어도 좋고, 혹은, 둘 이상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장착부재(18)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장착부재(18)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도 7은 장착본체부재(20)에 캡부재(24)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캡부재(24)는 생략되어도 좋다.
이 장착부재(18)는, 후술하는 고정체(70)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재(18)는, 전체적 형상으로서, 심부재(16)로부터 장착플레이트(40)측을 향해 뻗는 기둥부(18a)의 선단부에 고정돌기부(18b)가 돌출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장착부재(18)는, 상기 심부재(16)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본체부재(20)와, 장착본체부재(20)에 장착되는 캡부재(24)를 갖고 있다.
장착본체부재(20)는, 심부재(16)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본체부(21)와 고정본체돌기부(22)를 갖고 있다. 기둥본체부(21)는, 심부재(16)로부터 스티어링 휠(10)의 전방(前方)측(에어백 장치(30)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기둥본체부(21)의 선단에는 고정본체돌기부(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고정본체돌기부(22)는 스티어링 휠(10)의 내주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본체돌기부(22) 중 에어백 장치(30)측의 선단부는, 스티어링 휠(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높이 치수가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22a)을 갖고 있다. 후술하는 에어백 장치(30)의 장착상태에서, 장착부재(18)의 선단부는 에어백 수용공간 내에 배설된다. 이 상태에서는, 경사면(22a)은, 해당 에어백 수용공간의 내측을 향해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간섭억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경사면(22a)은 반드시 평면일 필요는 없고, 곡면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심부재(16) 중 장착본체부재(20)의 기단측 부분에서 고정본체돌기부(22)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16h)이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본체돌기부(22)의 내향면에는 위치결정오목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16h) 및 위치결정오목부(22b)를 이용하여, 캡부재(24)의 장착 등이 이루어진다. 또, 위치결정오목부(22b)는, 여기서는 고정본체돌기부(22)를 관통하고 있지만, 반드시 관통해 있을 필요는 없다.
캡부재(24)는, 수지(樹脂) 등의 비도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본체부재(20) 중 기둥본체부(21)와 고정본체돌기부(22)의 내측 코너 부분을 덮도록 해당 장착본체부재(20)에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캡부재(24)는, 기둥본체부(21) 중 고정본체돌기부(22)가 돌출하는 측의 면을 덮는 측판부(25)와, 고정본체돌기부(22)의 내향면을 덮는 단판부(26)를 갖고 있다.
측판부(25)는, 좁고 긴 판(細長板) 형상의 중앙판부(25a)와 중앙판부(25a)의 양측부에 구비된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을 갖고 있다. 이탈방지편(25b)은, 중앙판부(25a)의 단판부(26)측 단부로부터 반대측 기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넓어지도록 외향(外向) 경사지는 자세로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을 탄성변형시켜 좁히면, 상기 관통공(16h)을 관통 가능하게 되고,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자신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어지면,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의 단부가 관통공(16h)의 주연부에 결합 가능해진다.
단판부(26) 중 측판부(25)의 기단부측을 향하는 고정접촉면(27)은, 후술하는 고정체(70)에 이탈방지 형상으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접촉면(27)은 고정체(70)를 해당 고정접촉면(27)의 기단부측에 지지하는 빠짐억제볼록부(27a)를 갖고 있다. 이 빠짐억제볼록부(27a)는, 고정접촉면(27) 중 측판부(25)에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부분보다 측판부(25)의 기단부측으로 단부(段部)(27s)를 통해 혹은 서서히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접촉면(27)과 측판부(25) 사이의 내측 코너 부분에 배설된 고정체(70)가 고정돌기부(18b)의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해당 빠짐억제볼록부(27a)가 고정체(70)에 고정돌기부(18b)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접촉하여, 해당 고정체(70)가 고정돌기부(18b)의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빠짐억제볼록부(27a)는, 고정접촉면(27)의 기단부로부터 고정접촉면(27)의 선단측으로 고정체(70)의 직경보다 많이 떨어진 선단부에, 단부(27s)를 통해 돌출하는 볼록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판부(26)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본체돌기부(22)의 위치결정오목부(22b)에 끼워넣기 가능한 위치결정돌기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부재(24)를 장착본체부재(20)의 기단측으로부터 관통공(16h) 내에 삽입하면(도 4 참조),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의 외면이 관통공(16h)의 주연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중앙판부(25a) 측(내측)으로 탄성변형한다(도 5 참조). 이에 의해,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좁아져서, 캡부재(24)가 관통공(16h)을 관통 가능하게 된다(도 6 참조). 그리고 단판부(26)가 고정본체돌기부(22)의 내향면에 접촉할 때까지 캡부재(24)를 삽입하면, 캡부재(24)가 관통공(16h)을 빠져나온다. 그러면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탄성복귀하여 각각의 단부(端部)가 관통공(16h)의 주연부에 결합한다(도 7 참조). 또, 이 상태에서는, 위치결정돌기부(26a)는 위치결정오목부(22b) 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캡부재(24)가 장착본체부재(20)에 대해 일정 위치에 장착 고정된다. 또, 이탈방지편(25b)은, 한쪽측에만 있어도 좋다.
도 8은 에어백 장치(30) 중 에어백(32)과 커버(36)와 장착플레이트(4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30)는, 에어백(32)과 인플레이터(34)와 커버(36)와 장착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백(32)은, 직물 등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혀진 상태로 인플레이터(34)와 함께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된다.
인플레이터(34)는, 에어백(32)을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는, 인플레이터(34)는, 짧은 원기둥(短圓柱) 형상의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와,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의 외주(外周)에 형성된 장착플랜지(34b)를 갖고 있다(도 1 참조). 장착플랜지(34b)는, 외주연(外周緣)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도록 뻗어나오는 판(板)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4개의 모서리 부분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34)는, 이 장착플랜지(34b)를 통해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 고정된다.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에는, 점화장치 및 가스발생제(gas generator) 등이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충돌시에 충격검지부 등으로부터의 검지신호 등을 받으면, 상기 점화장치가 가스발생제를 점화한다. 이에 의해, 가스발생제가 연소하고, 이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에어백(32) 내에 공급된다.
커버(36)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상기 에어백(32)을 덮도록 하여 장착플레이트(40)에 고정되고 있다. 여기서는, 커버(36)는, 완만한 만곡 형상을 갖는 커버본체부(37)와, 커버본체부(37)의 이면측에 형성된 둘레벽부(38)를 갖고 있다. 둘레벽부(38)와 장착플레이트(40)가 리벳체결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또한, 이들 커버본체부(37)와 둘레벽부(38)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접혀진 에어백(32)을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본체부(37)에는, 에어백(32)의 팽창 전개력을 받아 파열되기 용이한 티어라인(tear lin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본체부(37)의 표면은 스포크(14)의 표면에 대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배설된다.
또한, 장착플레이트(40)는, 금속판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상기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및 커버(36)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여기서는,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및 커버(36)는, 장착플레이트(40)에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지만, 다른 브래킷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인플레이터(34)로부터의 가스공급에 의해, 에어백(32)이 팽창하면, 그 에어백(32)이 팽창 전개하는 힘을 받아 커버(36)가 파열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32)이 스티어링 휠(10)과 운전자 사이에서 주머니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장착플레이트(40), 지지부재(60) 및 고정체(7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장착플레이트(40)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11은 고정체(7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장착플레이트(40), 지지부재(60) 및 부세보조부재(74)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즉, 본 에어백 장치(30)의 장착플레이트(40)에, 지지부재(60)를 통해 고정체(70)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18)가 고정체(70)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장착플레이트(40)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며, 주(主)장착판부(42)와, 측방(側方) 고정판부(54), 하방(下方) 고정판부(56) 및 상방(上方) 고정판부(42a)를 갖고 있다.
주장착판부(42)는, 커버(36)의 둘레벽부(38)의 개구를 폐색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장착판부(42)의 중앙부에 인플레이터 본체부(34a)를 배설 가능한 인플레이터 배설공(配設孔)(44h)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 배설공(44h)의 외주의 대략 사각형 영역 부분은, 또한 그 외주보다 단(段)(44s)을 통해 에어백(32)측으로 돌출하는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 본체부(34a)를 인플레이터 배설공(44h) 내에 배설한 상태에서, 장착플랜지(34b)를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에 중첩하여 나사고정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인플레이터(34)가 본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 고정된다.
또한,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외주측 부분은, 해당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측 표면보다 단(44s)을 통해 스티어링 휠(10)측으로 오목한 오목부(46)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오목부(46)는, 인플레이터 배설공(44h)을 사방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오목부는 인플레이터 배설공을 적어도 두 방향에서 둘러싸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오목부(46)의 깊이 치수는, 고정체(70)의 반경보다 크게(여기서는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어, 고정체(70)의 단면(斷面)의 절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오목부(46)의 깊이 치수는, 고정체(70)의 지름보다 크게(여기서는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어, 고정체(70)의 전체가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으며,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보다 오목부(46)측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체(70)는, 오목부(46)에 배설되며, 장착부재(18)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체(70)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를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와이어 부분(70a)과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이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고정체(70)를 장착플레이트(40)의 오목부(46)에 장착하기 전의 초기상태에서는,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은, 장착플레이트(40)의 폭 치수보다 많이 벌어져 있다. 또한, 그리고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눌려져 좁혀진 상태로, 고정체(70)가 장착플레이트(40)의 오목부(46)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의 선단부에는, 그 선단측을 향해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의 근접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체(70)가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사 와이어 부분(70c)을 부세보조부재(74)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중간 와이어 부분(70a)을 바깥쪽을 향해 부세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체(70)가 오목부(46)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체(70)가 장착플레이트(40)로부터 될 수 있는 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착플레이트(40)에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커버(36) 등을 장착하는 작업 중 등에 작업자의 손 등이 고정체(70)에 부주의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고정체(70)의 단면(斷面)의 절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측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손 등이 고정체(70)에 접촉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작업 중에 있어서의 고정체(70)의 빠짐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원활하게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46)가 인플레이터 배설공(44h)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34)를 둘러싸도록 해서 고정체(70)를 배설하여, 복수 개소(여기서는 3개소)에서 장착부재(18)을 고정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백 장치(30)의 장착상태가 더 안정된다.
또한, 고정체(70)는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 에어백(32)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32), 인플레이터(34), 커버(36) 등을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하여 에어백 장치(30)를 조립한 후는, 고정체(70)에 대한 작업자의 손 등에 의한 외력은 작용하기 어려워져, 고정체(70)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고정체(70)는, 장착플레이트(40) 중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표면보다 스티어링 휠(10)측으로 오목한 오목부(46)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플레이트(40)와 커버(36) 사이에 에어백(32)의 수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쉽다. 게다가 에어백(32)이 팽창 전개할 때, 오목부(46) 내에 배설된 고정체(70)와는 간섭하기 어렵고, 따라서, 에어백(32)은 안정적으로 팽창 전개한다.
또한, 고정체를 에어백측에 구비하면, 고정체가 접혀진 에어백과 간섭하기 때문에, 장착부재와 탈착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고정체의 변형 가능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생긴다. 즉, 고정체와 접혀진 에어백이 간섭해서 고정체가 변형할 수 없어, 장착부재와의 탈착이 목적한 대로 행해지지 않을 염려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체(70)가 오목부(46) 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접혀진 에어백(32)과 간섭하기 어려워, 고정체(70)의 변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착부재(18)와 고정체(70)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고정체(70)를 장착플레이트(40)에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설명한다.
주장착판부(42)의 양측부에 한 쌍의 측방 고정판부(54)가 구비되고, 주장착판부(42)의 하부에 하방 고정판부(56)가 구비되어 있다. 한 쌍의 측방 고정판부(54) 및 하방 고정판부(56)는, 커버(36)측을 향해 둘레벽부(38)를 따라 뻗어나오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방 고정판부(54) 및 하방 고정판부(56)가 둘레벽부(38)에 대해 리벳체결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장착플레이트(40)와 커버(36)가 고정된다. 또, 주장착판부(42)의 상방에도, 커버(36)의 반대측을 향해 뻗어나오는 상방 고정판부(42a)가 구비되어 있고, 해당 상방 고정부(42a)도 커버(36)에 대해 리벳체결, 나사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주장착판부(42)의 측부로부터 측방 고정판부(54)에 이르는 각각의 부분에,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 중 주장착판부(42)측의 부분(55a)은, 장착부재(18)를 삽입 가능한 절결구멍(cut-out hole)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 중 측방 고정판부(54)측의 부분(55b)은 지지부재(60)를 삽입 가능한 절결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장착판부(42)의 하부에, 하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7)는, 장착부재(18)를 삽입 가능한 절결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방 고정판부(56)의 한쪽측의 측연부(側緣部)는, 하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7)의 한쪽 측부로부터 연속하도록 해서 커버(36)측으로 뻗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 및 하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7)는, 상기 3개의 장착부재(1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60)는, 수지 등의 비도전성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고정체(70)를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60)는, 축방향을 따라 장착부재(18)를 삽입 가능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60)의 외주 부분에 주장착판부(42)의 두께에 대응한 고정홈(61)이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부재(60)의 외주 양측부에 고정볼록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볼록부(62)는, 지지부재(60)의 외주 중앙으로부터 단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높이 치수가 커지는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 및 하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7)의 각각 대해 지지부재(60)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 중 주장착판부(42)측 부분(55a)의 주연부 혹은 하방 고정판부(56)의 주연부가 지지부재(60)의 고정홈(61) 내에 끼워진다. 또한, 고정볼록부(62)가,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 중 측방 고정판부(54)측 부분(55b)의 양 측연부 혹은 하방 고정판부(56)의 한쪽측의 측연부에, 내측으로부터 고정된다. 이에 의해, 지지부재(60)가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 장착 고정된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장착플레이트(40)의 정면에서 보아, 지지부재(60)의 내부공간은, 측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5) 중 주장착판부(42)측 부분(55a) 혹은 하방 지지부재 장착오목부(57)에 대해 거의 동일 위치에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장착부재(18)를 대응하는 지지부재(60)에 일괄해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各) 지지부재(60)의 외주 부분에는, 고정체(70)를 삽입 가능한 고정체지지홈(6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체지지홈(64)은, 오목부(46)의 표면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는 고정체(70)를 될 수 있는 한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체(7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홈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체지지홈(64)은, 지지부재(60)를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한 상태에서, 오목부(46)의 에어백(32)측 표면보다 떨어진 위치(여기서는 약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체지지홈(64) 내에 삽입된 고정체(70)가 오목부(46)의 에어백(32)측 표면과 비접촉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0)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지지부재(60)의 일단부는 장착플레이트(40)와 커버(36) 사이의 에어백 수용공간에 돌출하는 형태로 배설된다. 그리고 지지부재(60) 중 해당 돌출하여 배설되는 부분의 선단부는, 에어백 수용공간의 내측을 향해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65)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65)은, 장착부재(18)의 경사면(22a)과 마찬가지로, 간섭억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다. 이 경사면(65)은, 반드시 평면일 필요는 없고, 곡면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즉, 에어백 수용공간 내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32)이 장착부재(18) 및 지지부재(60)에 접촉해도 해당 에어백(32)은 경사면(22a) 및 경사면(65)에 의해 커버(36)측으로 안내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32)과, 장착부재(18) 및 지지부재(60)의 간섭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32)의 전개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부세보조부재(74)는, 고정체(70)의 한 쌍의 경사 와이어 부분(70c)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위치에서, 상기 장착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다.
즉, 장착플레이트(40) 중 고정체(70)의 한 쌍의 경사 와이어 부분(70c)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은, 삼각형의 꼭짓점(頂点)을 잘라낸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의 외주연부에 회전방지오목부(47a)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부세보조부재(74)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길이 긴 부재이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부(75), 판부(板部)(76), 고정부(77) 및 스프링고정부(78)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특히, 도 12 참조).
판부(76)는, 판 형상, 여기서는 일단(一端)이 원형 형상을 그림과 아울러 타단이 뾰족한 눈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대해 에어백(32)측 주연부에 배설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 판부(76) 중 장착플레이트(40)에 접하는 측의 면에는, 상기 회전방지오목부(47a)에 끼워넣기 가능한 회전방지볼록부(76a)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75)는, 호(弧) 형상의 벽(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팽출(膨出)측 부분을 판부(76)의 타단측의 뾰족해 있는 부분을 향한 자세로, 판부(76)의 일단측의 원형 형상 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고정부(77)는, 상기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삽입 가능한 판 형상(삼각형의 꼭짓점을 잘라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77)와 상기 판부(76) 사이에는, 장착플레이트(40) 중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의 주연부를 끼워넣기 가능한 간격(7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고정부(78)는, 고정부(77)로부터 슬라이딩부(75)의 반대측을 향해 뻗어나오는 길이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스프링고정부(78)는, 통(筒) 형상부를 3 분할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스프링고정부(78)의 기단부에는, 스프링(79)을 고정 가능한 돌기부(7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79)을 스프링고정부(78)에 바깥으로 끼우면, 해당 스프링(79)의 일단부가 고정부(77)에 접촉한 상태로 돌기부(78a)에 의해 걸림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세보조부재(74)는,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다. 즉, 부세보조부재(74)의 고정부(77) 및 스프링고정부(78)를,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대해 에어백(32)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부(77)를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에 통과시킨 후, 부세보조부재(74)를 알맞게 회전시켜, 판부(76)와 고정부(77) 사이에 부세보조부재 고정구멍(47)의 주연부가 협지(挾持)되도록 한다. 이때, 판부(76)의 타단측의 뾰족한 부분 및 슬라이딩부(75)의 팽출측 부분을 측방 와이어 부분(70b)(하방)을 향한 자세로 한다. 이에 의해, 판부(76)의 타단측의 뾰족한 부분이 오목부(46)와 경사 와이어 부분(70c) 사이에 배설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슬라이딩부(75)의 팽출측 부분이 경사 와이어 부분(70c)의 외향(外向) 부분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이 고정상태에서, 판부(76)에 형성된 회전방지볼록부(76a)가, 장착플레이트(40)에 형성된 회전방지오목부(47a)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부세보조부재(74)의 조립시의 위치결정 및 조립 후의 회전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 이와 같이 부세보조부재(74)가 장착플레이트(40)에 고정된 후, 스프링(79)이 스프링고정부(78)에 장착 고정된다. 또, 여기서는, 장착 플레이트(40)의 하측 부분에도 부세보조부재(74)를 장착하고 있다. 이 위치에 구비된 부세보조부재(74)는, 주로 이 위치에서 스프링(79)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갖고 있다.
상기 고정체(7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지지부재(60)에 의해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고정체(70)를 장착플레이트(40)의 오목부(46) 내에 배설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체(70)를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에 삽입하면서, 지지부재(60)를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중간 와이어 부분(70a)이 장착플레이트(40) 하방의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에 삽입 지지됨과 아울러,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장착플레이트(40) 양측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에 삽입 지지된 상태로, 고정체(70)가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 에어백(32)측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체(70)는 지지부재(60)에 의해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 비접촉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부세보조부재(74)에 의해서도, 고정체(70)와 장착플레이트(40)의 더 확실한 비접촉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물론, 지지부재(60)를 장착플레이트(40)에 장착한 후, 고정체(70)를 장착플레이트(40)에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눌러서 좁힌 상태로, 고정체(70)의 중간 와이어 부분(70a)을 장착플레이트(40)의 하방에 장착된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에 삽입함과 아울러,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장착플레이트(40)의 양측에 장착된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에 삽입한다. 그 후,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눌러 좁히는 힘을 해제하면 좋다.
상기 상태에서는, 고정체(70)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이간방향으로 부세된다. 이 부세력은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을, 대응하는 장착부재(18)에 고정시키는 바깥쪽 방향을 향해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 13은 고정체(70)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서는, 통상상태의 고정체(70)를 2점 쇄선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킨 고정체(7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상기 고정체(70)의 통상 장착상태에서는,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슬라이딩부(75)의 팽출측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체(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슬라이딩부(75)의 팽출측 부분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밀려간다. 이에 의해, 고정체(70) 자신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눌려서 좁혀진다. 그리고 고정체(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고정체(70)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이 벌어진다. 이에 의해, 경사 와이어 부분(70c)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75)의 팽출측 부분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그러면, 고정체(70)는 하방의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을 향해 부세된다. 이 부세력은, 중간 와이어 부분(70a)을 대응하는 장착부재(18)에 고정시키는 바깥쪽 방향을 향해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고정체(70)는, 각 장착부재(18)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형태로, 장착플레이트(40)에 대해 지지되고 있다.
또, 고정체(70)를 단(44s)에 접촉시킬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측방 와이어 부분(70b)은 대응하는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도록, 지지부재(60)의 고정체지지홈(64)의 위치 및 단(44s)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체(70)의 부주의한 빠짐이 억제된다.
또, 상기 고정체(70)의 장착상태에서, 고정체(70) 단면의 절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측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고정체(70)의 단면의 절반 이상이 인플레이터 장착판부(44)의 에어백(32)측 표면보다 에어백(32)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플레이트(4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XV-XV선에 있어서 장착부재(18)가 고정체(70)에 고정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7은 이 XV-X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 도 15 및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장착본체부재(20)와 캡부재(24)를 일체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장착부재(18)는, 장착플레이트(40)에 고정된 지지부재(60)에 스티어링 휠(10)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60) 내에서 고정체(70)에 고정된다.
즉, 각 장착부재(18)를 대응하는 지지부재(60) 내에 삽입하는 형태로,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을 향해 밀어붙인다. 그러면 장착부재(18)의 선단부의 경사면(22a)이 고정체(70)에 접촉한다(도 15 참조). 그러면, 해당 경사면(22a)에 의해 고정체(70)가 자기의 내측을 향해 밀려 들어가는 형태로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장착부재(18)의 고정돌기부(18b) 및 빠짐억제볼록부(27a)를 넘으면, 고정체(70)가 탄성복귀한다(도 16 참조). 그러면, 고정체(70)는, 기둥부(18a)와 고정돌기부(18b)의 내측 코너 부분, 즉, 빠짐억제볼록부(27a)보다 기단측에서 고정접촉면(27)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장착부재(18)가 고정체(70)에 의해 이탈방지 고정된다(도 17 참조). 상기가 복수의 장착부재(18)와 대응하는 지지부재(60) 내의 고정체(70) 부분 사이에서 일괄하여 혹은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장착부재(18)와 대응하는 지지부재(60) 내에서 고정체(70)에 대해 이탈방지 고정되어,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대해 장착 고정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고정체(70)는, 빠짐억제볼록부(27a)보다 기단측에서 고정접촉면(27)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체(70)를 펼치려는 힘, 예를 들면, 에어백(32)이 팽창 전개할 때 등에, 고정체(70)를 고정돌기부(18b)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고정체(70)는 빠짐억제볼록부(27a)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고정체(70)가 고정돌기부(18b)의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고정체(70)와 장착부재(18)와의 고정해제가 억제되고 있다.
한편,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면 좋다. 우선, 통상(通常) 상태에서는, 고정체(70)는 빠짐억제볼록부(27a)의 작용에 의해 고정볼록부(18b)로부터 빠지기 어려운 상태(일종의 자동고정(self-locked)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 장치(30)를 밀어넣지 않고, 고정체(70)만을 해제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통상, 고정체(70)와 장착부재(18)의 결합은 해제되지 않는다. 그래서 에어백 장치(30)를 떼어낼 때에는, 우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30)를 밀어넣고, 장착플레이트(40)를 장착부재(18)의 기단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체(70)는, 지지부재(60)를 통해 장착플레이트(4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플레이트(40)와 함께 장착부재(18)의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고정체(70)는 고정접촉면(27)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체(70)를 순차적으로 내측에 밀어넣으면, 고정체(70)는 빠짐억제볼록부(27a)를 용이하게 넘어 고정돌기부(18b)의 선단측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장착부재(18)와 고정체(70)의 고정이 해제되어, 에어백 장치(30)를 스티어링 휠(10)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또, 상기 에어백 장치(30)의 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79)은,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있다. 이 스프링(79)은,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에 대해 장착플레이트(40)를 이반(離反)방향으로 부세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이 부세력에 의해, 스티어링 휠(10)과의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 사이에서 흔들림(rattling)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세력에 의해, 통상상태에서, 스티어링 휠(10)과의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가 비접촉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휠(10)과의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에 호른 스위치 구조(horn switch structure)를 조립하고 있다.
즉, 상기 심부재(16)에는, 장착플레이트(40)측에 노출되도록 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측 접점부(16a)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고정측 접점부(16a)가 구비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물론, 도 1에는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장착플레이트(40)에는 해당 고정측 접점부(16a)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측 접점부(40a)가 구비되어 있다(도 1, 도 8 및 도 9 등 참조). 이들 고정측 접점부(16a) 및 가동측 접점부(40a)를 온/오프 스위치로 하는 호른 경적 회로(horn blow circuit)가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본 에어백 장치(30)가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79)의 부세력에 의해 고정측 접점부(16a)와 가동측 접점부(40a)는 비접촉상태로 되어 있어, 양자는 비도통(非導通)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커버(36)를 누르면, 스프링(7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장착플레이트(40)가 스티어링 휠(10)의 심부재(16)측으로 밀린다. 이에 의해, 가동측 접점부(40a)가 대응하는 고정측 접점부(16a)에 접촉하고, 양자가 도통(導通)상태가 되어, 호른이 울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 부분에 호른 스위치 구조를 조립할 필요는 없고, 커버(36)의 표면 부분에 호른 스위치가 조립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의하면, 고정돌기부(18b)의 빠짐억제볼록부(27a)에 의해, 고정체(70)가 고정돌기부(18b)의 기단부측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고정체(70)와 장착부재(18)의 고정상태가 더 확실하게 유지되어, 에어백 장치(30)의 장착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70)가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고정체(7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부재(18)에 대한 부세력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부세력에 의해, 장착부재(18)와 고정체(70)의 고정 지지력을 높여, 에어백 장치(30)의 조립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18)는, 상기 심부재(16)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본체부재(20)와, 장착본체부재(20)에 장착되는 캡부재(24)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금속에 의해 형성된 장착본체부재(20)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지에 의해 형성된 캡부재(24)에 의해, 장착본체부재(20)와 고정체(70)를 절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를 절연하여 상기와 같이 호른 스위치 구조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캡부재(24)를 관통공(16h)에 관통시키면, 단판부(26)가 고정본체돌기부(22)에 접촉됨과 아울러, 한 쌍의 이탈방지편(25b)이 관통공(16h)의 주연에 접촉되고, 캡부재(24)가 장착본체부재(20)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캡부재(24)를 용이하게 장착본체부재(20)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심부재(16)에 장착본체부재(2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 해당 장착본체부재(20)에, 나중에 캡부재(24)에 의한 절연구조, 심지어, 캡부재(24)에 의한 빠짐억제볼록부(27a) 구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상의 메리트가 크다.
게다가, 상기 상태에서, 위치결정돌기부(26a)가 위치결정오목부(22b)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캡부재(24)가 더 확실하게 일정 위치에 유지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휠(10)과의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에 호른 스위치 구조를 조립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상상태에서,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를 전기적으로 비접촉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 지지부재(60)에 의해 고정체(70)를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장착플레이트(40)와 고정체(70) 사이에 지지부재(60)가 개재하게 되어, 장착플레이트(40)와 고정체(70) 사이의 비도통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게다가, 부세보조부재(74)에 의해서도, 고정체(70)와 장착플레이트(40)의 더 확실한 비접촉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또한, 장착부재(18)도, 심부재(16)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본체부재(20)에 수지제 캡부재(24)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심부재(16)와 고정체(70) 사이에도 캡부재(24)가 개재하게 되어, 심부재(16)와 고정체(70) 사이도 비도통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즉, 스티어링 휠(10)과 장착부재(18)의 고정구조에서는, 어떤 부재의 물리적인 접촉은 불가피한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재(60) 및 캡부재(24)에 의해 이중의 절연구조를 실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휠(10)과의 심부재(16)와 장착플레이트(40)의 더 확실한 절연성이 확보되고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60) 및 캡부재(24)는, 호른 스위치 구조가 조립되어 있는가 없는가에 관계없이, 각 부재 사이의 흔들림을 억제한다는 역할을 갖고 있다.
<변형예>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빠짐억제볼록부(27a)가 고정접촉면(27)의 선단부에 돌출하는 볼록부 형상인 예로 설명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장착부재(118)에서는, 빠짐억제볼록부(127a)는, 고정접촉면(127)(단판부(26)에 대응하는 단판부(126)의 내향면)의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서서히 돌출하는 경사 볼록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빠짐억제볼록부는, 고정체가 고정접촉면의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고정접촉면의 기단부보다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 장치(30)측에 고정체(70)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휠(10)측에 장착부재(18)를 구비한 예로 설명했지만, 반대로, 에어백 장치 측에 장착부재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휠측에 고정체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부재(18)가 장착본체부재(20)와 캡부재(24)로 구성되는 예로 설명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도 21 및 도 22는, 장착플레이트(40)에 대응하는 장착플레이트(240)에 장착부재(218)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휠측의 심부재(16)에 대응하는 심부재(216)측에 고정체(70)에 대응하는 고정체(270)를 구비하며, 또한, 장착부재(218)를 일체로 형성한 부재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장착플레이트(240)의 외주에 장착부재(218)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부재(218)는, 금속 또는 수지에 의한 일체로 형성한 부재이며, 장착플레이트(240)로부터 심부재(216)측을 향해 뻗은 기둥부(218a)의 선단부에 고정돌기부(218b)가 돌출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돌기부(218b) 중 기둥부(218a)의 기단부를 향하는 고정접촉면(227)은, 빠짐억제볼록부(227a)를 갖고 있다. 이 빠짐억제볼록부(227a)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빠짐억제볼록부(27a)와 마찬가지로, 고정접촉면(227)의 기단부로부터 고정접촉면(227)의 선단측으로 고정체(270)의 직경보다 많이 떨어진 선단부에서, 단부(段部)(227s)를 통해 돌출하는 볼록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체(270)는, 상기 고정돌기부(218b)의 기단부측에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형태로, 심부재(216)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재(18)를 스티어링 휠(10)측에 밀어넣으면, 고정체(270)가 고정돌기부(218b)를 타고 넘어 그 고정접촉면(227)의 기단부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빠짐억제볼록부(27a)에 의해, 고정접촉면(227)의 선단측으로의 고정체(270)의 이동이 억제되고 있다(도 21 참조).
한편, 에어백 장치를 더 밀어넣으면, 고정체(270)는 고정접촉면(227)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어, 고정체(270)는 빠짐억제볼록부(227a)를 용이하게 넘어 고정돌기부(218b)의 선단측 바깥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이에 의해, 장착부재(218)와 고정체(270)의 고정이 해제되어,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휠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도 23 및 도 24는, 상기 도 21 및 도 22의 새로운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빠짐억제볼록부(327a)는, 고정접촉면(327)의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서서히 돌출하는 경사 볼록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정체(270)가 고정접촉면(327)의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캡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캡부재를 장착본체부재에 장착하는 구성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장착본체부재를 인서트 물(物)로서 금형 성형에 의해 장착부재가 형성되는 예이어도 좋고, 혹은, 기둥부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캡부재가 장착되는 예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스프링(79)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스위치 구조를 조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79) 자체가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스프링은, 고무 그 외의 탄성부재에 의해 대체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고정체의 구성도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스프링 형상 혹은 판스프링 형상의 고정체에 장착부재(18)가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고정체의 위치도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장착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가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장착부재와 고정체의 고정 구성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체가 외주측으로부터 장착부재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0 스티어링 휠
12 휠 본체
16, 216 심부재(core member)
16h 관통공
18, 218 장착부재
18a, 218a 기둥부(柱部)
18b, 218b 고정돌기부
20 장착본체부재
21 기둥본체부
22 고정본체돌기부
24 캡부재
25 측판부
25b 이탈방지편(拔止片)
26, 126 단판부(端板部)
26a 돌기부
27, 127, 227, 327 고정접촉면
27a, 127a, 227a, 327a 빠짐억제볼록부
30 에어백 장치
32 에어백
34 인플레이터(inflator)
36 커버
40, 240 장착플레이트
70, 270 고정체
60 지지부재

Claims (8)

  1.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에 있어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 전개 가능한 인플레이터와, 접혀진 상기 에어백을 덮는 커버와, 상기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커버가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를 갖는 에어백 장치와,
    휠 본체와, 상기 휠 본체의 중앙에 구비된 중앙부재를 갖는 스티어링 휠,
    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어느 한쪽측에 장착부재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어느 다른쪽측에 상기 장착부재에 고정 가능한 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어느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해 뻗는 기둥부(柱部)와, 상기 기둥부의 선단부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부를 갖고,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기둥부와 상기 고정돌기부 사이의 내측 코너 부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장치가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돌기부 중 상기 기둥부의 기단부(基端部)측을 향하는 고정접촉면은, 상기 고정체를 상기 고정돌기부의 기단부측에 지지하는 빠짐억제볼록부를 갖고 있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억제볼록부는, 상기 고정접촉면의 선단부에 돌출하는 볼록부 또는 상기 고정접촉면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서서히 돌출하는 경사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고정돌기부의 기단부측에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형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 또는 상기 중앙부재에 대해 지지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며, 기둥본체부와 상기 기둥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고정본체돌기부를 갖는 장착본체부재와,
    비도전성(非導電性)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둥본체부 중 상기 고정본체돌기부가 돌출하는 측의 면(面)을 덮는 측판부와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의 내향면(內向面)을 덮는 단판부(端板部)를 갖는 캡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캡부재에 상기 빠짐억제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부재 중 상기 장착본체부재가 형성된 측에,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와 대향(對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가 그 기단부를 향해 외향(外向) 경사지는 이탈방지편(拔止片)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캡부재가 상기 이탈방지편을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판부를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편을 상기 관통공의 주연(周緣)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캡부재가 상기 장착본체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돌기부의 내향면에는 위치결정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단판부에 상기 위치결정오목부에 끼워넣기 가능한 위치결정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가 상기 장착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위치결정볼록부가 상기 위치결정오목부에 끼워져 있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상기 고정체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부재에 상기 장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도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를 상기 장착플레이트 또는 상기 중앙부재에 대해 비접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KR1020127022630A 2010-03-12 2011-02-17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KR101685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5385A JP5432011B2 (ja) 2010-03-12 2010-03-12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JPJP-P-2010-055385 2010-03-12
PCT/JP2011/053342 WO2011111492A1 (ja) 2010-03-12 2011-02-17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202A true KR20130016202A (ko) 2013-02-14
KR101685237B1 KR101685237B1 (ko) 2016-12-09

Family

ID=4456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30A KR101685237B1 (ko) 2010-03-12 2011-02-17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19052B2 (ko)
EP (1) EP2546110A1 (ko)
JP (1) JP5432011B2 (ko)
KR (1) KR101685237B1 (ko)
CN (1) CN102791533B (ko)
MX (1) MX2012009426A (ko)
WO (1) WO2011111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7485B2 (ja) * 2010-03-04 2014-05-21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32032B2 (ja) * 2010-03-30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582846B2 (ja) * 2010-03-31 2014-09-0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WO2013051409A1 (ja) * 2011-10-07 2013-04-11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CN103909894B (zh) * 2013-01-09 2016-04-27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安全气囊模块与方向盘骨架的连接装置
JP6193037B2 (ja) * 2013-07-25 2017-09-06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253196B2 (ja) * 2014-01-14 2017-12-2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GB2540254B (en) 2014-03-18 2018-02-28 Nihon Plast Co Ltd Steering wheel
CN103895569B (zh) * 2014-04-11 2016-01-20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汽车转向盘装置
JP1530584S (ko) * 2014-09-24 2018-07-30
USD795766S1 (en) * 2014-10-24 2017-08-29 Toyoda Gosei Co., Ltd. Cover of airbag device for automobile
JP1530315S (ko) * 2015-01-06 2015-08-03
US9914420B2 (en) * 2015-04-13 2018-03-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iver airbag module new lock spring design proposal for visual verification of module's robust attachment to the steering wheel
EP3178707B1 (en) * 2015-12-08 2018-07-18 Autoliv Development AB Steering wheel
JP6624732B2 (ja) * 2016-03-29 2019-12-2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JP6823386B2 (ja) * 2016-06-08 2021-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
CN109641563A (zh) * 2016-08-29 2019-04-16 天合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驾驶员安全气囊安装验证系统
US11718257B2 (en) * 2016-12-15 2023-08-08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oupling device for mounting an airbag module to be oscillating on a vehicle steering wheel
DE102016124530A1 (de) * 2016-12-15 2018-06-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Kopplungsvorrichtung zur schwingfähigen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JP6693456B2 (ja) * 2017-03-28 2020-05-13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2521366B1 (ko) * 2018-03-09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7066514B2 (ja) * 2018-05-16 2022-05-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DE102018112224A1 (de) 2018-05-22 2019-11-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sowie Lenkradbaugruppe mit einem solchen Fahrzeuglenkrad
FR3083189B1 (fr) * 2018-06-29 2021-12-10 Autoliv Dev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KR102249420B1 (ko) * 2018-07-11 2021-05-0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스티어링휠의 댐퍼 기구 및 차량용 스티어링휠 장치
FR3099437A1 (fr) * 2019-07-29 2021-02-05 Autoliv Development Ab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sur un volant
CN113815706B (zh) * 2021-10-11 2023-06-2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方向盘
KR20240033489A (ko) * 2022-09-05 202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과, 그 스티어링휠의 댐퍼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159A (ja) 2000-02-18 2001-08-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US7077427B2 (en) * 2003-07-16 2006-07-18 Autoliv Asp, Inc. Steering wheel assembly
WO2008060193A1 (en) * 2006-11-13 2008-05-22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cover arrangement
EP1889758B1 (en) * 2005-06-08 2012-05-16 Ashimori Industry Co., Ltd. Method of assembling airbag device, and airba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005B2 (ja) 1995-09-01 2005-11-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ード線固定構造
DE29602630U1 (de) * 1996-02-14 1996-06-13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Gassackmoduls
FR2790044B1 (fr) * 1999-02-19 2001-05-25 Gersteen Iso 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et volant comportant cet element
DE19927032A1 (de) * 1999-06-04 2000-12-14 Petri Ag Anordnung zur Verrastung eines Airbagmoduls mit einem Lenkrad
US6719323B2 (en) * 1999-08-06 2004-04-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apparatus and steering wheel
JP2001151065A (ja) * 1999-11-25 2001-06-05 Takata Corp エアバック装置
JP2001187575A (ja) * 1999-12-28 2001-07-10 T S Tec Kk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60119176T2 (de) * 2000-06-27 2007-03-29 Toyoda Gosei Co., Ltd. Lenkrad mit Airbag
JP4538964B2 (ja) * 2001-01-31 2010-09-0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2012112A (ja) * 2000-06-30 2002-01-15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4269492B2 (ja) * 2000-06-29 2009-05-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2002433A (ja) * 2000-06-27 2002-01-09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FR2812606B1 (fr) * 2000-08-02 2002-10-31 Autoliv Iso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avec systeme d'encliquetage, et volant le comportant
US6863301B2 (en) * 2001-02-23 2005-03-08 Key Safety Systems, Inc. Driver side air bag module with annular air bag and centrally disposed control module
DE20206310U1 (de) * 2002-04-16 2002-08-08 Takata Petri Ag Kraftfahrzeugbaugruppe
KR100521021B1 (ko) * 2003-08-26 2005-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모듈 조립구조
US7055854B2 (en) * 2004-03-03 2006-06-06 Autoliv Asp, Inc. Snap-in castanet airbag module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US7159898B2 (en) * 2004-04-20 2007-01-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air bag module retention system
DE602004014253D1 (de) * 2004-05-10 2008-07-17 Key Safety Systems Inc Baugruppe mit einem Lenkrad und einem Gassackmodul
US7464959B2 (en) * 2005-03-01 2008-12-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n air bag module relative to a steering wheel
JP4797584B2 (ja) * 2005-03-16 2011-10-1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380817B2 (en) * 2005-03-29 2008-06-03 Key Safety Systems, Inc. Assembly for retaining an airbag module to a steering wheel
DE112006002120A5 (de) * 2005-06-10 2008-05-21 Takata-Petri Ag Airbagmodul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WO2009048055A1 (ja) * 2007-10-10 2009-04-16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け構造
JP5290827B2 (ja) 2009-03-26 2013-09-1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5376700B2 (ja) 2009-11-10 2013-12-2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159A (ja) 2000-02-18 2001-08-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US7077427B2 (en) * 2003-07-16 2006-07-18 Autoliv Asp, Inc. Steering wheel assembly
EP1889758B1 (en) * 2005-06-08 2012-05-16 Ashimori Industry Co., Ltd. Method of assembling airbag device, and airbag device
WO2008060193A1 (en) * 2006-11-13 2008-05-22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cove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6110A1 (en) 2013-01-16
CN102791533B (zh) 2015-04-29
JP5432011B2 (ja) 2014-03-05
US8419052B2 (en) 2013-04-16
JP2011189778A (ja) 2011-09-29
KR101685237B1 (ko) 2016-12-09
MX2012009426A (es) 2012-09-07
US20120306184A1 (en) 2012-12-06
WO2011111492A1 (ja) 2011-09-15
CN102791533A (zh)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6202A (ko)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KR101685236B1 (ko) 에어백 장치
US6688637B2 (en) Airbag apparatus
US8459686B2 (en) Steering wheel with airbag device
US8256797B2 (en) Steering wheel with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20313357A1 (en) Airbag device
JP2001260794A (ja) エアバッグ装置
US11034319B2 (en) Air bag module
JP2006228699A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4168284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6294379A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707473B2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
JP389589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4715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679974B2 (ja) ホーンスイッチ付エアバッグ装置
JP200220098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2215506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17157225A (zh) 方向盘
JP2010235044A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ハンドル
JP2009184472A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14094704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8175306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