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663A -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663A
KR20130007663A KR1020127030816A KR20127030816A KR20130007663A KR 20130007663 A KR20130007663 A KR 20130007663A KR 1020127030816 A KR1020127030816 A KR 1020127030816A KR 20127030816 A KR20127030816 A KR 20127030816A KR 20130007663 A KR20130007663 A KR 2013000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rod
hinge
vehicle
hing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897B1 (ko
Inventor
히로유끼 다까하시
히또시 유아사
유끼오 나까가와
가즈유끼 요시야마
시게유끼 스즈끼
다께끼 하야시
하지메 깃떼
마사시 아오끼
도시까쯔 도가와
도시노부 쯔보이
신지 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로드를 신장시켜 후드를 밀어 올리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후드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입력된 경우에 효율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한다.  액추에이터(18)가 작동하여 로드(20)가 후드 상방측으로 축방향 이동하고, 후드(12)의 후단부측을 밀어 올려 그 위치에 보유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후드 상방측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작용하면, 가압부(54)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로드(30)가 굽힘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POP-UP HOOD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행자 보호 등의 관점에서, 차량이 보행자 등의 충돌체에 충돌하였을 때에 후드의 후단부를 들어올려 충돌체를 후드로 받쳐 충격을 완화시키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후드의 후단부 양쪽 사이드에 좌우 한 쌍의 후드 힌지가 배치되어 있고, 충돌체와의 충돌시가 되면, 후드 힌지 근방에 배치된 액추에이터가 작동하여, 밀어 올림 로드로 후드 힌지의 후드측 링크를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후드의 후단부를 들어올린 것만으로는, 충돌체가 후드의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충돌한 경우에, 밀어 올림 로드가 떠받쳐, 충돌체에 작용하는 하중 반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별도 에너지 흡수 기구를 부가하여, 이러한 경우에는 소정의 하중 반력 이하에서 소정의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충돌시에 자동차용 안전 장치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에 에너지 흡수 기구를 부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소정값 이상의 축방향 하중이 입력되면, 피스톤 로드에 설치된 소성 변형부가 압괴되고, 이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내에 수축(상대 이동)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액추에이터를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요구에 따를 수 있다고도 고려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5-225392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2004-308785호 공보
그러나,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사이에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에너지 흡수하는 기구의 경우, 치수 정밀도의 편차로부터 에너지 흡수 성능에도 편차가 발생한다(손실이 발생함). 또한, 피스톤 로드에 입력되는 하중의 작용 방향이 피스톤 로드의 축방향으로부터 어긋나면,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내로 원활하게 수축되지 않아, 소성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로드를 신장시켜 후드를 밀어 올리는 구성에 있어서, 후드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입력된 경우에 효율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1 형태는, 차량에 탑재된 액추에이터와, 이 액추에이터가 작동함으로써 후드 상방측으로 신장하여, 후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측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후드 후방부측을 후드 상방측으로 밀어 올리고 또한 그 밀어 올림 위치에 후드를 보유 지지하는 로드와, 상기 후드 후방부측에 있어서의 로드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후드 후단부측의 하면을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당해 접촉 부위를 보강하고 또한 후드의 후단 팽창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밀어 올림면을 구비한 보강 부재와, 상기 후드의 밀어 올림 상태에 있어서, 후드 상방측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로드에 의한 후드의 밀어 올림 부위 부근에 작용한 경우에, 로드의 선단부를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밀어 올림면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기구부를 갖고 있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후드 후방부측에 보강 부재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보강 부재의 밀어 올림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로드의 선단부가 당해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로드의 선단부가 당해 보강 부재 고정 볼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미리 후드 폭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형태는, 제1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후드 후방부측에 보강 부재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보강 부재의 상기 밀어 올림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로드의 선단부가 당해 밀어 올림면을 밀어 올렸을 때의 밀어 올림력이 작용함으로써 절곡된 절곡면 상을 로드의 선단부가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로드의 선단부가 당해 보강 부재 고정 볼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형태는, 제3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어 올림면은, 후드 후방부측에 일단부가 힌지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드 힌지의 힌지 아암의 밀어 올림면이며, 상기 꺾은선은, 차량 평면에서 보아 상기 힌지 아암의 회전 축선에 대해 비평행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형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밀어 올림 상태를 차량 측방에서 본 경우에, 후드 후방부측을 밀어 올리고 있는 로드의 축선과 로드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이 이루는 각도 θ가 95°이상 140°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형태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선단부는, 액추에이터의 비작동시에 있어서의 상기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형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후드 후방부측에 일단부가 힌지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드 힌지의 힌지 아암이며,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의한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 위치는, 힌지 볼트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형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후드 힌지와는 별도 부재로 구성됨과 함께 보강판 고정 볼트에 의해 후드 후방부측에 고정된 보강판이며,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의한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 위치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형태는, 제7 또는 제8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있어서의 후드 폭방향 내측에,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볼트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 고정 볼트가 배치됨과 함께, 당해 밀어 올림면에 있어서의 후드 폭방향 외측의 단부에 후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형태는, 제9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도중 부분에는, 당해 플랜지를 약체화시키는 저강성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형태는, 제10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부는, 상기 플랜지의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측을 향해 절결되어 능선에 걸리도록 설정된 절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형태는, 제10 또는 제11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있어서의 후드 폭방향 내측의 단부에도, 후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형태는, 제10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부는 절결부이며, 당해 절결부를 끼운 전후의 플랜지를 후드 폭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하거나, 혹은 후드 전후 방향에서 보아 한쪽의 플랜지가 다른 쪽의 플랜지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형태는, 제7 또는 제8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상기 로드의 선단부가 당해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로드의 선단부가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볼트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 고정 볼트에 간섭하지 않도록 로드의 선단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형태는, 제15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과는 별도 부재로 되고,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볼트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 고정 볼트를 사용하여 후드에 공통 체결됨과 함께 후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 로드의 선단부의 궤도를 이격하는 세로벽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형태는, 제15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후드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 로드의 선단부의 궤도를 이격하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 형태는, 제15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볼트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 고정 볼트의 볼트 체결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 체결 후의 상태에서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과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볼트 헤드부의 단부면이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 형태는, 제7 또는 제8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볼트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 고정 볼트의 볼트 체결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 체결 후의 상태에서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과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볼트 헤드부의 단부면이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 형태는, 제7 또는 제8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은, 후드 폭방향을 볼트 체결 방향으로 하여 후드 후방부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 형태는, 제20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힌지 아암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보강판은, 후드 후방부측의 하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로드의 선단부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로벽과, 후드 후방부측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또한 볼트 체결부로 되는 세로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2 형태는, 제1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후드 힌지의 힌지 아암 또는 후드 힌지와는 별도 부재로 구성된 보강판이며, 당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은 후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의해 후드 후방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로드의 선단부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트 체결점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접촉하고 또한 당해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트 체결점 사이에 당해 로드의 선단부의 이동 스트로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3 형태는, 제22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트 체결점은,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4 형태는, 제1 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후드 힌지의 힌지 아암 또는 후드 힌지와는 별도 부재로 구성된 보강판이며, 당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은 후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의해 후드 후방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로드의 선단부는 전방측의 볼트 체결점과 후방측의 볼트 체결점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접촉하고 또한 후방측의 볼트 체결점을 넘어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또한 후방측의 볼트 체결점을 전방측의 볼트 체결점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된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 로드가 후드 상방측으로 신장하여 후드 후방부측이 후드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고, 그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또한, 후드 후방부측에 있어서의 로드의 선단부의 접촉 부위에는, 후드 후단부측의 하면을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당해 접촉 부위를 보강하고 또한 후드의 후단 팽창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밀어 올림면을 구비한 보강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로드의 선단부는 보강 부재에 접촉하여 후드 후방부측을 후드 상방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 후드의 밀어 올림 상태에 있어서, 후드 상방측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로드에 의한 후드의 밀어 올림 부위 부근에 작용한 경우, 에너지 흡수 기구부에 의해 소정의 충돌 에너지가 흡수된다. 즉, 로드의 선단부가 보강 부재의 밀어 올림면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되면서, 로드가 굽힘 변형되어 간다. 이에 의해, 충돌 에너지가 흡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로드의 선단부를 보강 부재의 밀어 올림면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그 미끄럼 이동 동작을 이용하여 로드를 굽힘 변형시켜 에너지 흡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치수 정밀도에 따라 소성 변형의 방법이 변동하거나, 하중 입력 방향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내로 원활하게 상대 이동하지 않는 것에 의한 에너지 흡수 손실이 대폭으로 삭감된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후드 후방부측에 있어서의 로드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당해 접촉 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배치했으므로, 후드 후방부측에 로드의 선단부가 접촉해도 후드 자체에 로드의 선단부가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다.
제2 형태에 따르면, 보강 부재의 밀어 올림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미리 후드 폭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이 경사에 기인하여 로드의 선단부는 당해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보강 부재 고정 볼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러져 간다.
제3 형태에 따르면, 로드의 선단부가 보강 부재의 밀어 올림면에 접촉하여 후드 후방부측을 밀어 올리면, 그때의 밀어 올림력에 의해 보강 부재의 밀어 올림면이 절곡된다. 그리고, 절곡면 상을 로드의 선단부가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로드의 선단부가 보강 부재 고정 볼트로부터 이격되어 간다.
제4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의 밀어 올림면에 힌지 아암의 회전 축선에 대해 비평행인 꺾은선이 형성되므로, 힌지 아암의 강도를 올릴 수 있다. 즉, 후드를 과도하게 개방하려고 하거나, 강제 폐쇄하는 경우, 힌지 아암의 밀어 올림면은 힌지 아암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선을 꺾은선으로 하여 절곡되려고 한다. 이에 대해, 본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의 밀어 올림면에 설정된 꺾은선이 차량 평면에서 보아 힌지 아암의 회전 축선에 대해 비평행으로 되므로, 상기 절곡되려고 하는 선(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선)과 꺾은선이 교차하는 관계가 성립된다. 이로 인해, 회전 축선에 대해 비평행인 꺾은선이,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꺾은선의 형성에 대해 저항으로 되어, 힌지 아암의 밀어 올림면은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선에 의해 절곡되기 어려워진다.
제5 형태에 따르면, 후드의 밀어 올림 위치 보유 지지 상태를 차량 측방에서 본 경우에, 후드 후방부측을 밀어 올리고 있는 로드의 축선과 로드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이 이루는 각도 θ를 95°이상 140°이하의 범위로 설정했으므로, 로드에 의한 후드의 밀어 올림 부위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력의 방향이 다소 변동되어도, 로드의 선단부는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간다. 즉, 로드에 굽힘 변형을 높은 정확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6 형태에 따르면, 로드의 선단부가, 액추에이터의 비작동시에 있어서의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로드의 선단부가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을 밀어 올렸을 때에, 로드의 선단부가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에 면 접촉 상태로 접촉한다. 이로 인해, 양자간에 작용하는 면압이 낮아져,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의 변형이 억제 또는 방지된다.
제7 형태에 따르면, 후드 후방부측에 일단부가 힌지 볼트로 고정되는 후드 힌지의 힌지 아암에 의해 보강 부재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전제로 하여, 본 형태에서는, 로드의 선단부에 의한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 위치가 힌지 볼트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로드의 선단부가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에 걸리지 않고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러져 간다. 즉,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제8 형태에 따르면, 후드 힌지와는 별도 부재로 구성됨과 함께 보강판 고정 볼트로 후드 후방부측에 고정된 보강판에 의해 보강 부재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전제로 하여, 본 형태에서는, 로드의 선단부에 의한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 위치가 힌지 볼트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로드의 선단부가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로드의 선단부가 보강판 고정 볼트에 걸리지 않고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러져 간다. 즉,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제9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있어서의 후드 폭방향 내측에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가 배치됨과 함께, 당해 밀어 올림면에 있어서의 후드 폭방향 외측의 단부에, 후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설치했으므로, 로드의 선단부가, 미리 형성된 경사면(청구항 2의 경우) 상을, 또는 로드의 선단부의 밀어 올림시에 밀어 올림면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제3 형태, 제4 형태의 경우) 상을,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해 갈 때에, 가령 이 경사면에 기인하여,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 및 보강판 고정 볼트로부터 지나치게 이격되어도, 플랜지에 의해 로드의 선단부가 미끄럼 이동면인 경사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저지된다.
제10 및 제11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있어서의 후드 폭방향 외측의 단부에 플랜지를 세우면, 그만큼,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에 있어서의 플랜지의 형성 범위의 강성이 높아지지만, 본 형태에서는, 플랜지의 도중 부분에 저강성부를 설정했으므로, 플랜지는 반드시 저강성부로부터 꺾인다. 즉, 저강성부가 꺾임 기점으로 되어 소정의 꺾은선이 목적대로 형성된다.
제12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있어서의 후드 폭방향 내측의 단부에도, 제2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에 저강성부를 설치한 것에 의한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강성 저하분을 제2 플랜지에서 보충할 수 있다.
제13 형태에 따르면, 저강성부가 절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판 두께를 얇게 하는 등의 구성에 비하면, 제작이 용이하다. 단, 플랜지에 절결부를 형성하면, 절결부를 끼우는 전후의 플랜지가 대향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이 절곡될 때에 전후의 플랜지의 절결부측의 코너부끼리 (이른 단계에서) 서로 간섭하여 절곡을 저해하는 것도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결부를 끼운 전후의 플랜지를 후드 폭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하거나, 혹은 후드 전후 방향에서 보아 한쪽의 플랜지가 다른 쪽의 플랜지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치했으므로, 전후의 플랜지의 절결부측의 단부끼리 (이른 단계에서)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14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로드의 선단부가 당해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는, 이 가이드 수단에 의해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간섭하지 않도록, 로드의 선단부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이로 인해,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제15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수단이 후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 로드의 선단부의 궤도를 이격하는 세로벽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는, 세로벽에 의해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힌지 아암과는 별도 부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의 선단부가 미끄럼 이동하는 궤도의 폭이나 길이, 형상 등의 사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는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를 사용하여 후드에 공통 체결되기 때문에, 별개 독립으로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가 적어지게 된다.
제16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수단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후드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 로드의 선단부의 궤도를 이격하는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는, 돌출부에 의해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수단을 별도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가 적어지게 되고 또한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장착 작업이 불필요하다.
제17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수단이 로드의 선단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가이드 홈을 갖는 수지제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의 선단부는 가이드 홈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과는 별도 부재로 되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의 선단부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홈의 홈 폭이나 홈 길이, 홈 깊이, 홈 형상, 가이드 플레이트의 무게 등의 사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는 수지제로 되어 있으므로, 별도 부품화해도 그다지 중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제18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에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의 볼트 체결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 체결 후의 상태에서는,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의 밀어 올림면과 오목부에 수용된 볼트 헤드부의 단부면이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로드의 선단부가 당해 밀어 올림면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는,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의 헤드부에 걸리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제19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이 후드 폭방향을 볼트 체결 방향으로 하여 후드 후방부측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로드의 선단부가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 관계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제20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이 후드 후방부측의 하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로벽과, 후드 후방부측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세로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로벽을 로드의 선단부의 미끄럼 이동용으로 이용하고, 세로벽을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후드 후방부측으로의 장착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벽마다 용도를 하나로 좁혀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벽에 로드의 선단부의 미끄럼 이동면으로서의 기능과 볼트 체결면으로서의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설계가 용이하다.
제21 형태에 따르면, 보강 부재는 후드 힌지의 힌지 아암 또는 후드 힌지와는 별도 부재로 구성된 보강판이며, 당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은 후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의해 후드 후방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로드의 선단부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트 체결점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접촉된다. 그리고, 로드의 선단부는 접촉 부위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가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트 체결점 사이에 로드의 선단부의 이동 스트로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의 선단부는 최저에서도 로드를 굽힘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스트로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제22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볼트 체결점이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아암의 후드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23 형태에 따르면, 보강 부재는 후드 힌지의 힌지 아암 또는 후드 힌지와는 별도 부재로 구성된 보강판이며, 당해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은 후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의해 후드 후방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로드의 선단부는 전방측의 볼트 체결점과 후방측의 볼트 체결점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접촉된다. 그리고, 로드의 선단부는 당해 부위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가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방측의 볼트 체결점이 전방측의 볼트 체결점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의 선단부는 후방측의 볼트 체결점에 간섭하지 않고 지나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로드를 신장시켜 후드를 밀어 올리는 구성에 있어서, 후드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입력된 경우에 효율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에 의해 후드 자체가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2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걸리는 것을 더 확실하게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3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이, 로드의 선단부가 밀어 올림면을 밀어 올렸을 때의 밀어 올림력으로 절곡되도록 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 또는 보강판 고정 볼트에 걸리는 것을 더 확실하게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4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후드의 과도 개방 등에 대한 강도를 올릴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5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가 좌굴 모드로 되어 반력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에너지 흡수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6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가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을 밀어 올렸을 때의 밀어 올림력에 의해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충돌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로드 선단부를 후드 후방부측의 밀어 올림면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7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목적대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8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목적대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9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를 미리 설정한 미끄럼 이동 스트로크의 최후 또는 그 근방까지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에너지 흡수량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0 및 제11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꺾임 기점이 명확해져,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을 절곡하는 것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2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정확한 꺾은선의 형성과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강성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3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저비용으로 저강성부를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후드 힌지 또는 보강판의 밀어 올림면을 원활하게 필요량 절곡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4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목적대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5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가이드 수단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6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구조의 간소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부착 작업 공정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7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가이드 수단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8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목적대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19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목적대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20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힌지 아암 또는 보강판의 설계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 기능 분담에 의해 가로벽 및 세로벽의 최적 설계가 가능해진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21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로드의 선단부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목적대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22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힌지 아암을 후드 폭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힌지 아암의 폭을 그다지 취하지 않는 차량에 대해 유효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23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전방측의 볼트 체결점에 대해서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는 하지만, 후방측의 볼트 체결점에 대해서는, 전방측의 볼트 체결점을 지나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대략 동일 직선 상으로 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없지만, 후드 폭방향으로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에 대해 유리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버측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드라이버측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밀어 올림 위치 보유 지지 상태일 때의 팝업 기구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후드 상방측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 4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후드 힌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후드 힌지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로드의 가압부, 힌지 볼트, 절결부 및 꺾은선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a는 통상시의 상태를 차량 전방측에서 보아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팝업시의 상태를 차량 전방측에서 보아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힌지 아암의 측벽부에 절결부를 형성한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b는 힌지 아암의 측벽부에 절결부를 형성한 경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개량안(변형 1)의 최초의 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c는 개량안(변형 1)의 2번째의 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b, 도 12c와 마찬가지로 개량안(변형 2)을 도시하는 도 11b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의 변형 1을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 2를 도시하는 힌지 아암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인 힌지 아암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인 힌지 아암의 장착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9에 대응하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도시되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IN은 차량 폭방향 내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우측 핸들차이며 드라이버측에서 보아 우측(이하, 간단히「드라이버측에서 보아 우측」이라 약칭함)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드라이버측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를 엔진 룸측에서 보아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10)는, 엔진 룸을 개폐하는 후드(12)의 후단부측 양쪽 사이드에 각각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팝업 기구부(14)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팝업 기구부(14)는 모두 동일 구성이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드라이버측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1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드라이버측에서 보아 좌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14)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팝업 기구부(14)는, 후드(12)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드 힌지(16)와,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작동하는 액추에이터(18)와, 이 액추에이터(18)가 작동함으로써 후드 상방측으로 축방향 이동하는 로드(20)(도 4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순서대로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후드 힌지(16)의 구성>
후드 힌지(16)는, 후드(12)의 후단부측과 윈드 실드 유리의 하단부 사이에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카울의 양쪽 사이드에 설치된 차체측 구성 부재인 카울 상부 사이드(22)의 상면부(22A)에 후술하는 장착 볼트(36)로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26)와, 이 힌지 베이스(26)에 힌지 핀(회전 중심축)(28)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 베이스(26)와 후드(12)의 후술하는 후단 팽창부(34A)를 연결하는 힌지 아암(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12)는, 차량 외측에 배치되어 의장면을 구성하는 후드 외측 패널(32)과, 엔진 룸측에 배치됨과 함께 후드 외측 패널(32)을 보강하는 후드 내측 패널(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양자는 그 단말부가 헤밍 가공됨으로써 결합되어 있다. 또한, 후드 내측 패널(34)의 후단부측은 후드 하방측으로 불룩해져 있고, 이에 의해 후드(12)의 후단부측에 후단 팽창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힌지(16)는, 본래적으로는 후드(12)를 보디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 부품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10)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각 부의 구성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베이스(26)는, 차량 정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이 좁은 판 형상의 장착부(26A)와, 장착부(26A)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굴곡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아 대략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26B)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26A)는, 카울 상부 사이드(22)의 상면부(22A)에 장착 볼트(36)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힌지 아암(30)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형상의 부재이며,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조적으로는, 힌지 아암(30)은, 힌지 베이스(26)의 지지부(26B)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측벽부(30A)와, 당해 측벽부(30A)의 상부 모서리부로부터 후드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됨과 함께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정상벽부(3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일반 단면의 종단면 형상은 상하 반대 방향인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정상벽부(30B)의 전방부 하면(도 1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범위)이, 후술하는 로드(20)의 선단부(가압부(54))에 의해 밀어 올려져 당해 선단부(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해 가는 밀어 올림면(미끄럼 이동면)(38)으로 되어 있다. 단, 실제로는, 후술하는 로드(20)가 후드 상방측으로 축방향 이동하여 그 선단부의 가압부(54)가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후드 전방측의 면은, 미끄럼 이동면으로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정상벽부(30B)의 전단부의 내측 모서리부는 후드 하방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측벽부(30A)와 평행한 한 쌍의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이하, 이 부분을「추가 측벽부(30C)」(도 9에 도시)라 칭함). 힌지 아암(30)은, 추가 측벽부(30C)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추가 측벽부(30C)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절결부(46)와의 관계에서 제5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 힌지(16)의 측벽부(30A)는, 힌지 베이스(26)의 지지부(26B)의 차량 폭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후방부(30A1)와, 후방부(30A1)에 대해 후드 폭방향 중앙측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고 또한 후드 전방측으로 연장 설치된 전방부(30A2)와, 후방부(30A1)와 전방부(30A2)를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중간부(30A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드 힌지(16)의 정상벽부(30B)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힌지 베이스(26)의 지지부(26B)측에 배치되는 후방부(30B1)와,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의 하면에 접촉 상태로 겹쳐지는 전방부(30B2)와, 후방부(30B1)와 전방부(30B2)를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중간부(30B3)를 구비하고 있다.
힌지 아암(30)의 측벽부(30A)의 후단부는, 힌지 핀(28)에 의해 힌지 베이스(26)의 지지부(26B)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 아암(30)은, 힌지 핀(28)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차량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30A)의 후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된 개방도 규제용의 스토퍼(40)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힌지 베이스(26)의 지지부(26B)의 상단부에는, 스토퍼(40)와 간섭하여 그 이상의 힌지 아암(30)의 회동을 규제하는 개방도 규제용의 규제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 아암(30)의 정상벽부(30B)의 전방부(30B2)는,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의 하면을 따라 대략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후 2점에서 체결구인 힌지 볼트(44) 및 도시하지 않은 웰드 너트에 의해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에 체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힌지 볼트(44)의 볼트 체결 방향은 후드 상하 방향이며, 조립 부착시에 후드 하방측으로부터 힌지 볼트(44)가 도시하지 않은 웰드 너트에 나사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 볼트(44)의 체결 후의 상태에서는,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가 정상벽부(30B)의 하면으로부터 후드 하방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상술한 측벽부(30A)에는, 후드 후방측에 배치된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와 대향하는 위치에,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저강성부로서의 절결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6)는, 측벽부(30A)의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측을 향해 절결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46)는, 측벽부(30A)와 정상벽부(30B)의 접속 부위인 능선에 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아암(30)을 기능적으로 본 경우, 측벽부(30A)의 후방부(30A1)가 힌지측 연결부로서 기능하고, 정상벽부(30B)의 전방부(30B2)가 후드측 연결부로서 기능하고, 양쪽 기능을 아울러 가진 부품이 힌지 아암(30)이라 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8)의 구성>
액추에이터(18)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힌지 아암(30)의 정상벽부(30B)에 있어서의 밀어 올림면(38)의 전방부 하방에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8)에는 브래킷(48)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브래킷(48)이 카울 상부 사이드(22)의 측면부(22B)에 볼트(50)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8)의 하우징(52)의 내부에는, 가스 발생제로 구성된 가스 발생 수단 및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점화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 발생제를 사용한 타입 외에, 하우징(52) 내에 고압 가스가 봉입되어 점화 장치가 작동함으로써 고압 가스를 이격 형성하고 있는 격벽을 파단시키는 타입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8)를 작동시키는 점화 장치는, 콘솔 박스의 하방 등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ECU(제어 수단)와 접속되어 있다. ECU는, 프론트 범퍼 등에 배치되어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충돌 검지 수단)와 접속되어 있다.
<로드(20)의 구성>
로드(20)는, 액추에이터(18)의 하우징(52) 내에 동축 상에 수용되어 있다. 로드(20)는 직진 막대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하우징(52) 내에 긴밀하게 수용된 피스톤(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52) 내에서 발생한 가스는, 이 피스톤의 추진력으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드(20)의 상단부에는, 로드(20)보다도 대직경으로 된 가압부(54)가 장착되어 있다. 이 가압부(54)의 선단부는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상벽부(30B)의 밀어 올림면(38)의 전단부 근방 부위와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54)는, 밀어 올림면(38)의 후드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압부(54)는, 차량 평면에서 보아 전후 한 쌍의 힌지 볼트(44)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오버랩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전후 한 쌍의 힌지 볼트(44)의 사이(후드 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위치 관계가 되는 것은, 주변 부품과의 관계에서 차량 탑재 공간이 한정되는 등의 이유에 의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후드(12)의 밀어 올림 위치 보유 지지 상태에 있어서, 로드(20)의 축선과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이 이루는 각도 θ는 95°이상 140°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간단히「로드(20)의 축선과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이 이루는 각도」라 하면 로드(20)의 축선에 대해 차량 후방측의 각도와 차량 전방측의 각도의 2개가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로드(20)의 축선과 후드 힌지(30)의 밀어 올림면(38)이 이루는 각도 θ」는, 전자 쪽의 각도를 가리키고 있고, 둔각 쪽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가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10)의 비작동 상태이다. 이 상태일 때에는, 액추에이터(18)가 비작동 상태에 있기 때문에, 로드(20)는 액추에이터(18)의 하우징(52)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는, 힌지 아암(30)의 정상벽부(30B)에 있어서의 밀어 올림면(38)의 전단부측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힌지 볼트(44)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상태로부터,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 전면 충돌하면, 도시하지 않은 충돌 검지 수단에 의해 충돌체와 전면 충돌한 것이 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ECU에 충돌 신호가 출력된다. ECU에서는, 입력된 충돌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10)를 작동시켜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10)를 작동시켜야 한다고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8)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18) 내의 도시하지 않은 점화 장치가 점화하고,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켜 소정량의 가스를 하우징(52) 내에 발생시킨다. 또한, 액추에이터(18)가 고압 가스 봉입 타입인 경우에는, 점화 장치가 작동함으로써 격벽이 파단 등 됨으로써 소정량의 가스가 하우징(52) 내에 발생한다. 또한, 프리크래쉬 센서를 탑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면 충돌이 예지된 단계에서 상기의 작동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발생한 가스는, 하우징(52) 내에 긴밀하게 수용된 피스톤에 작용하고, 피스톤을 하우징(52)의 축방향 선단부측(즉, 후드 상방측)으로 가압한다. 피스톤에는, 로드(20)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스톤이 하우징(52) 내를 상승하면, 로드(20)가 후드 상방측을 향해 축방향 이동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에 접촉하고, 힌지 아암(30)을 힌지 핀(28) 주위로 도 4의 시계 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후드(12)의 후단부측(후단 팽창부(34A))이 후드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때, 힌지 아암(30)의 측벽부(30A)의 전방부(30A2)측은 절결부(46)의 형성 부위의 강성이 다른 부위에 비해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결부(46)를 기점으로 하여 힌지 아암(30)이 굴곡된다. 또한, 힌지 아암(30)의 회동 스트로크는, 측벽부(30A)의 후단부에 형성된 스토퍼(40)가 힌지 베이스(26)의 규제부(42)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되므로, 힌지 아암(30)은 소정량 이상은 회동하지 않는다. 즉, 후드(12)의 후단부측의 팝업량(리프트업량)은 미리 정해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후드(12)의 밀어 올림 위치 보유 지지 상태에 있어서, 후드 상방측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로드(20)에 의한 후드(12)의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작용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된다. 그리고,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하는데 수반하여 로드(20)가 밑부분으로부터 굽힘 변형(소성 변형)된다. 이때의 로드(20)의 굽힘 변형에 의해, 충돌 에너지가 흡수되어, 충돌체에의 입력 하중(반력)이 저감된다. 또한, 밀어 올림면(38) 상을 로드(20)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해 갈 때에, 힌지 아암(30)의 측벽부(30A)는 절결부(46)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10)에서는,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를 후드(12)의 후단부측에 연결된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그 미끄럼 이동 동작을 이용하여 로드(20)를 밑부분으로부터 굽힘 변형시켜 에너지 흡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에너지 흡수 기구의 치수 정밀도에 따라 소성 변형의 방법이 변동하거나, 충돌 하중의 입력 방향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내로 원활하게 상대 이동하지 않는 것에 의한 에너지 흡수 손실이 대폭으로 삭감된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액추에이터(18)의 작동에 의해 로드(20)를 신장시켜 후드(12)의 후단부측을 밀어 올리는 구성에 있어서, 후드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입력된 경우에 효율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12)의 밀어 올림 위치 보유 지지 상태를 차량 측방에서 본 경우에, 후드 후단부측을 밀어 올리고 있는 로드(20)의 축선과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접촉하는 후드 후단부측의 밀어 올림면(38)이 이루는 각도 θ가 95°이상 140°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후드(12)의 밀어 올림 위치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력의 방향이 다소 변동되어도, 로드(20)의 가압부(54)는 후드 후단부측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간다. 즉, 가령 상기 각도 θ가 90°인 경우에는, 충돌 하중이 로드(20)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로드(20)가 좌굴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각도 θ는 90°보다도 커야만 하고, 오차를 예상하면 95°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각도 θ가 140°를 초과하면, 로드(20)의 가압부(54)와 밀어 올림면(38)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지나치게 작아져 로드(20)의 가압부(54)가 밀어 올림면(38) 상을 미끄러져, 로드(20)가 충분히 굽힘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도 θ는 140°이하인 것이 좋다. 이 범위로 설정해 두면, 로드(20)에 굽힘 변형을 높은 정확도로 발생시킬 수 있고, 로드(20)가 좌굴 모드로 되어 반력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에너지 흡수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 후단부측에 있어서의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접촉하는 부위에, 당해 접촉 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서 힌지 아암(30)을 배치했으므로, 후드 후단부측에 로드(20)의 가압부(54)가 접촉해도 후드(12) 자체에 로드(20)의 가압부(54)가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로드(20)의 가압부(54)에 의해 후드(12) 자체가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에 의한 후드 후단부측의 밀어 올림 위치가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걸리지 않고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러져 간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30)에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대한 간섭 회피 구조 혹은 간섭 회피 수단을 부가했으므로, 로드(20)의 가압부(54)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목적대로 로드(2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보충하면, 후드에 충돌 하중이 작용했을 때(초기)에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 등의 체결구에 걸리면(가령 로드(20)의 축선과 밀어 올림면(38)의 각도 θ가 상기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로드는 그 축방향의 양단부가 구속된 상태(로드의 하단부는 액추에이터에 구속되고, 로드의 상단부는 체결구의 헤드부에 구속된 상태)로 되어, 로드의 선단부가 힌지 아암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지 않고, 로드의 축방향 중간부가 절곡되는「좌굴 모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 충돌체에 대한 입력 하중(반력)이 증가하고, 목적의 에너지 흡수 성능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에 의한 후드 후단부측의 밀어 올림 위치를,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오프셋시켰으므로, 이러한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매우 우수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6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제3 실시 형태 이후도 마찬가지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20)의 선단부에 설치된 가압부(56)의 단부를,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을 밀어 올릴 때의 밀어 올림면(38)의 경사 각도에 합치하는 경사면(58)으로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시(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10)의 비작동시)일 때의 밀어 올림면(38)의 경사 각도에 합치하는 경사면(58)이 가압부(56)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액추에이터(18)가 작동하여, 로드(20)가 후드 상방측으로 축방향 이동하여,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을 밀어 올렸을 때, 가압부(56)의 경사면(58)이 밀어 올림면(38)에 면 접촉 상태로 접촉한다. 따라서, 가령 로드(20)의 가압부가 밀어 올림면(38)에 점 접촉 상태로 접촉한 경우에 비해 접촉면의 면압이 낮아져, 그만큼, 밀어 올림면(38)(힌지 아암(30))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밀어 올림면(38)의 변형이 적은 것에 의해, 충돌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 로드(20)의 선단부(가압부(56))를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보충하면, 후드(12)가 팝업되었을 때에도, 힌지 아암(30)의 회동이 스토퍼(40)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로드(20)의 선단부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을 강압하지만, 이때의 가압력보다도, 액추에이터(18)가 작동하여 로드(20)의 선단부가 힌지 아암(30)을 밀어 올리기 시작했을 때(최초로 접촉했을 때)의 쪽이 밀어 올림면(38)에는 강한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타이밍에서 면 접촉 상태로 되도록 로드(20)의 선단부에 경사면(58)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7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 힌지(16)의 힌지 아암(30)과는 별도 부재로 구성된 보강 부재로서의 보강판(60)이 힌지 아암(3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강판(60)의 단면 형상은 힌지 아암(30)의 전방부와 마찬가지로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전후 2개의 보강판 고정 볼트(62)로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에 고정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8) 및 로드(20)는, 보강판(60)의 하방측에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8) 및 로드(20)는, 힌지 아암(30)과는 대향하고 있지 않은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는, 차량 평면에서 보아 보강판 고정 볼트(62)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액추에이터(18)가 작동하면, 로드(20)가 후드 상방측으로 축방향 이동하여, 가압부(54)가 보강판(60)의 정상벽부(60A)의 밀어 올림면(38)에 접촉한다. 가압부(54)에 의한 보강판(60)의 밀어 올림 위치는 보강판 고정 볼트(62)에 대해 후드 폭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압부(54)가 보강판(6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가압부(54)가 보강판 고정 볼트(62)의 볼트 헤드부(62A)에 걸리지 않고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러져 간다. 즉,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목적대로 로드(2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30)과는 별도 부재로 보강판(60)을 설치하고, 당해 보강판(6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로드(20)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이러한 부품 레이아웃을 채용할 수밖에 없는 차종(차체 구조)에 대해 유효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보강판(60)을 힌지 아암(30)의 후드 전방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하고, 보강판(60)에만 밀어 올림면(38)을 설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쪽 부재를 후드 전후 방향으로 접촉(연속)시켜, 보강판(60)과 힌지 아암(30)의 전단부에 걸쳐 밀어 올림면(38)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 8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분할 구조로 된 힌지 아암(64)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힌지 아암(64)은, 측면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힌지 아암(30)과 대략 마찬가지 형상으로 된 힌지 하부 아암(66)과, 이 힌지 하부 아암(66)의 전단부에 힌지 핀(68)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인 힌지 상부 아암(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 하부 아암(66)은, 후드 폭방향 외측의 측벽부(66A) 및 정상벽부(66B)를 구비하여 일반 단면이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힌지 아암(30)과 마찬가지이지만, 힌지 상부 아암(7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정상벽부(66B)의 전단부 및 후드 폭방향 내측의 추가 측벽부에 대해서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힌지 상부 아암(70)은, 차량 정면에서 보아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통상시에 있어서는, 힌지 상부 아암(70)의 측벽부(70A)는 힌지 하부 아암(66)의 측벽부(66A)에 겹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쉐어 핀(72)으로 결합되어 있다. 쉐어 핀(72)은, 소정값 이상의 전단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파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구조에 있어서도, 로드(20)와 후드(12)의 밀어 올림 위치 보유 지지 상태일 때의 밀어 올림면(38)과의 이루는 각도 θ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95°이상 140°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ㆍ효과가 얻어진다. 즉, 액추에이터(18)가 작동하여 로드(20)가 후드 상방측으로 축방향 이동하면,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상부 아암(70)의 정상벽부(70B)의 하면(밀어 올림면(38))에 접촉하여, 이것을 밀어 올린다. 그리고, 쉐어 핀(72)에 작용하는 전단 하중이 소정값에 도달하면, 쉐어 핀(72)이 파단되어, 힌지 상부 아암(70)이 힌지 핀(68) 주위로 도 8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이에 의해, 후드(12)가 밀어 올림 위치 보유 지지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그 후, 충돌 하중이 후드 상방측으로부터 작용하면, 가압부(54)가 힌지 상부 아암(70)의 밀어 올림면(38)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가고, 로드(20)를 그 밑부분으로부터 절곡해 간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도 9 내지 도 13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30)의 힌지 아암면(밀어 올림면(38))을 기울게 함으로써,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간섭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힌지 아암(30)의 전체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되어 있고, 그 전방부는 측벽부(30A), 정상벽부(30B) 및 추가 측벽부(30C)로 이루어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아암(30)의 후드 폭방향 외측의 측벽부(30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로드(20)의 가압부(54)에 의한 밀어 올림 위치보다도 약간 후드 후방측)에는, 저강성부로서의 절결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46)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측벽부(30A)의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측벽부(30A)의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결되어 측벽부(30A)를 전후로 분단하고, 또한 측벽부(30A)의 상부 모서리를 통해 정상벽부(30B)의 판 두께까지 물려 들어감으로써, 측벽부(30A)와 정상벽부(30B)의 능선(80)을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치수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46)의 절결부 폭 a 및 평면에서 본 절결부 길이 b는, 가압부(54)의 외경 φ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 폭 a는 힌지 아암(30)의 판 두께의 2배 정도는 필요하지만, 지나치게 절결부 폭 a가 크면, 가압부(54)가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절결부(46)에 빠져 버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판 두께의 2배 이상이며 가압부(54)의 외경 φ보다도 작은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절결부(46)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릿 형상인 것이어도 되고, 상하 반대 방향인 V자 형상, U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저강성부로서 절결부(46)를 설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드나 노치 등이어도 된다.
한편, 반대측의 추가 측벽부(30C)는, 전후 한 쌍의 힌지 볼트(44)의 2군데의 체결 위치를 후드 전후 방향에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상벽부(30B)의 후드(12)에의 고정면(82)의 후단부 내측의 코너부가 사분원 형상으로 커트되어 있고, 이 절삭 제거부(84)에 이르기까지 추가 측벽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추가 측벽부(30C)가 존재하지 않게 된 절삭 제거부(84)에서 강성이 급변하고, 또 하나의 저강성부가 설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절결부(46)와 절삭 제거부(84)를 연결한 선분 Q가 꺾은선으로 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 11a에 도시된 상태가 통상시의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은 경사져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8)가 작동하여,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을 밀어 올림 위치(도 10의 가압부(54)의 위치)에서 밀어 올리면, 그때의 밀어 올림력에 의해 정상벽부(30B)가 밀어 올려진 측(정상벽부(30B)의 후드 폭방향 외측)으로 기운다. 즉, 꺾은선 Q에 의해 정상벽부(30B)가 절곡되고, 이에 의해 경사면(86)이 형성된다. 그 결과,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밀어 올림면(38)의 경사면(86)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힌지 볼트(4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해 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상벽부(30B)에 로드(20)의 가압부(54)에 의해 밀어 올려졌을 때에 꺾은선 Q가 형성되도록 절결부(46) 및 절삭 제거부(84)를 설정하는 등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의 거동(이동 궤적)을 컨트롤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에 걸리는 것을 더 확실하게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저강성부가 절결부(46)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판 두께를 얇게 하는 등의 구성에 비하면, 제작이 용이하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저강성부를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후드 힌지(16)의 밀어 올림면(38)을 형성하는 정상벽부(30B)를 원활하게 필요량 절곡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아암(30)의 정상벽부(30B)의 고정면(82)에 후드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 방향의 꺾은선 Q가 형성되므로, 힌지 아암(30)의 강도를 올릴 수 있다. 즉, 후드(12)를 과도하게 개방하려고 하거나, 강제 폐쇄하는 경우,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은 힌지 아암(30)의 회전 축선 R에 대해 평행한 선 S(최후미에 위치하는 볼트 체결점)를 꺾은선 S로 하여 절곡되려고 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30)의 고정면(82)에 설정된 꺾은선 Q가 차량 평면에서 보아 힌지 아암(30)의 회전 축선 R에 대해 교차하므로(비평행으로 되므로), 절곡되려고 하는 선(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선 S)과 꺾은선 Q가 교차하는 관계가 성립된다. 이로 인해, 회전 축선 R에 대해 비평행인 꺾은선 Q가, 회전 축선 R에 대해 평행한 꺾은선 S의 형성에 대해 저항으로 되어, 힌지 아암(30)의 정상벽부(30B)는 회전 축선 R에 대해 평행한 선 S에 의해 절곡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후드(12)의 과도 개방 등에 대한 강도를 올릴 수 있다.
또한,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의 경사 방향측에는 측벽부(30A)가 대기하고 있으므로, 가령 이 경사면(86)에 기인하여,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로부터 지나치게 이격되어도, 측벽부(30A)에 의해 로드(20)의 가압부(54)가 밀어 올림면(38)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 결과,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를 미리 설정한 미끄럼 이동 스트로크의 최후 또는 그 근방까지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에너지 흡수량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로드(20)의 가압부(54)가 밀어 올림면(38)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저지되는 결과, 후드(12)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힌지 아암(30)의 밀어 올림면(38)의 힌지 볼트(44)와 반대측인 후드 폭방향의 단부에 측벽부(30A)를 세우면, 그만큼, 측벽부(30A)의 형성 범위의 힌지 아암(30)의 강성이 높아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부(30A)의 도중 부분에 절결부(46)를 설정했으므로, 측벽부(30A)는 반드시 절결부(46)의 형성 부위로부터 꺾인다. 즉, 절결부(46)가 꺾임 기점으로 되어 소정의 꺾은선 Q가 목적대로 형성된다. 그 결과, 꺾임 기점이 명확해져, 힌지 아암(30)의 정상벽부(30B)를 소정의 꺾은선 Q를 따라 절곡하는 것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30)의 정상벽부(30B)의 후드 폭방향 내측에도 측벽부(30A)와 평행한 추가 측벽부(30C)를 형성했으므로, 측벽부(30A)에 절결부(46)를 형성한 것에 의한 힌지 아암(30)의 강성 저하분을 추가 측벽부(30C)에서 보충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꺾은선 Q의 형성과 힌지 아암(30)의 강성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변형 1>
도 12에 도시된 예는, 상기 치수 a, b, φ의 관계(a<φ, b<φ)에서 절결부(46)를 설정한 경우의 발전형의 변형이다.
가령, 측벽부(30A)에 절결부 폭 a가 좁은 절결부(46)를 형성하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46)를 끼우는 전후의 플랜지(88, 90)가 대향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정상벽부(30B)가 꺾은선 Q에 의해 절곡될 때에, 전후의 플랜지(88, 90)의 절결부측의 하단부 코너부끼리 (이른 단계에서) 서로 간섭하여 절곡을 저해하는 것도 고려된다.
따라서, 도 12b에 도시된 예에서는, 절결부(46)를 끼운 전후의 플랜지(92, 94)를 후드 폭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후의 플랜지(92, 94)의 절결부측의 하단부 코너부끼리 서로 간섭하는 문제는 해소된다. 또한, 오프셋의 관계가 반대가 되면, 로드(20)의 가압부(54)가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후방측의 플랜지에 가압부(54)가 걸리므로, 오프셋 관계는 도 12b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2c에 도시된 예에서는, 절결부(46)의 전후의 플랜지(96, 98) 중, 전방측의 플랜지(96)를 미리 후드 폭방향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절곡되고, 후드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방측의 플랜지(96)가 후방측의 플랜지(98)에 대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전방측의 플랜지(96)의 하단부 코너부는 후방측의 플랜지(98)의 하단부 코너부에 대해 후드 폭방향 외측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하단부 코너부끼리 서로 간섭하는 문제는 해소된다.
<제5 실시 형태의 변형 2>
한편,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는,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에 의한 밀어 올림력이 작용함으로써 정상벽부(30B)에 경사면(86)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정상벽부(30B)에 미리 경사면(99)을 형성해 두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절결부(46)를 측벽부(30A)에 형성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반대측의 추가 측벽부(30C)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구성(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경사면(99) 상을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가압부(54)를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6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100)에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의 미끄럼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는, 힌지 아암(100)의 전방부의 단면 형상이 측벽부(100A)와 정상벽부(100B)로 이루어지는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정상벽부(100B)의 폭방향 치수는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의 폭방향 치수에 대략 일치되고 있고, 정상벽부(100B)가 후단 팽창부(34A)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02)와 함께 힌지 볼트(44)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힌지 아암(100)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측벽부(100A)는 후드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 아암(100)의 정상벽부(100B)의 하면에는, 힌지 아암(100)과는 별도 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가이드 플레이트(102)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02)도 세로벽으로서의 측벽부(102A)와 정상벽부(102B)를 구비하고 있지만, 정상벽부(102B)의 폭방향 치수는 힌지 아암(100)의 정상벽부(100B)의 절반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102A)의 높이는, 힌지 아암(100)의 측벽부(100A)의 높이에서 정상벽부(100B)의 판 두께를 뺀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조립 부착시에, 가이드 플레이트(102)를 힌지 아암(100)의 후드 폭방향 내측에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하고,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정상벽부(102B), 힌지 아암(100)의 정상벽부(100B), 후단 팽창부(34A)를 3매 겹친 상태로 한 후에, 힌지 볼트(44)로 공통 체결되어 있다. 조립 부착 후의 상태에서는,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는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정상벽부(102B)측에 위치하고, 후드 측방에서 본 경우, 볼트 헤드부(44A)가 측벽부(102A)에 의해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측벽부(102A)의 높이는,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를 덮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힌지 아암(100)의 측벽부(100A)와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측벽부(102A) 사이에는,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하는 궤도(104)가 형성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힌지 아암(100)의 정상벽부(100B)의 후드 폭방향 중간부에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와 로드(20)의 가압부(54)를 이격 형성하는 세로벽(가이드 플레이트(102)의 측벽부(102A))이 형성되므로, 로드(20)의 선단부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10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궤도(104)를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측벽부(102A)에 의해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로드(20)의 가압부(54)는, 힌지 아암(100)의 밀어 올림면(38)을 궤도(104)를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해 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2)는 힌지 아암(100)과는 별도 부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20)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하는 궤도(104)의 폭이나 길이, 형상 등의 사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02)는 힌지 볼트(44)를 사용하여 후드(12)의 후단 팽창부에 공통 체결되기 때문에, 별개 독립으로 힌지 아암(100)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가 적어지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로드(20)의 가압부(5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변형예로서, 힌지 아암(100)과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배치를 반대로 해도 된다. 즉, 힌지 아암(100)을 가이드 플레이트로 하고, 가이드 플레이트(102)를 힌지 아암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힌지 아암의 측벽부(측벽부(102A))가 간섭 회피의 격벽으로 되고, 궤도(104)도 확보된다. 더 보충하면, 이 구성의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힌지 플레이트(10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가압부(54)가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가게 되지만, 그 경우의 가이드 플레이트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강 부재에 상당하고, 힌지 볼트(44)는 양쪽의 부재를 공통 체결하고 있으므로, 보강판 고정 볼트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해석하면 된다.
<제6 실시 형태의 변형 1>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는, 가이드 수단이 힌지 아암(10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힌지 아암(106)은 측벽부(102A)와 정상벽부(102B)를 구비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상벽부(102B)의 폭방향 중간부에는 후드 하방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돌출부(10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08)의 단면 형상은 U자 형상으로 되고, 측벽부(102A)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상벽부(102B)에 있어서의 돌출부(108)와 측벽부(102A) 사이에, 로드(20)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하는 궤도(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상벽부(102B)에 있어서의 돌출부(108)보다도 후드 폭방향 내측의 부분에 힌지 볼트(44)의 볼트 체결점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도 14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로, 돌출부(108)에 의해 볼트 체결면과 로드(20)의 가압부(54)의 궤도(104)가 돌출부(108)에 의해 이격 형성되므로,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8)는 힌지 아암(106)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수단을 별도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가 적어지게 되고 또한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장착 작업이 불필요하다. 그 결과, 본 예에 따르면, 구조의 간소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부착 작업 공정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제6 실시 형태의 변형 2>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금속제의 힌지 아암(110)의 하면에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수지제의 가이드 플레이트(11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수지제의 가이드 플레이트(11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가이드 홈(1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11)의 후드 폭방향 내측의 전후 2군데에는, 한 쌍의 사분원 형상의 결손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손부(114)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힌지 아암(110)의 하면이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결손부(114)에 있어서 힌지 볼트(44)가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힌지 아암(110)이 후드(12)의 후단 팽창부(34A)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112)의 시작 단부(112A)는, 전후 한 쌍의 볼트 체결점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112)은, 시작 단부(112A)로부터 후드 폭방향 외측으로 완만하게 빠져 후드 후방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도 14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플레이트(111)의 가이드 홈(112)의 비 형성 부분에 의해 볼트 체결면과 로드(20)의 가압부(54)의 궤도(가이드 홈(112))가 이격 형성되므로,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로드(20)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홈(112)의 홈 폭이나 홈 길이, 홈 깊이, 홈 형상, 힌지 아암(110)의 무게 등의 사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힌지 아암(110)은 수지제로 되어 있으므로, 별도 부품화해도 그다지 중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예에 따르면, 가이드 수단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가이드 홈(112)을 구비한 가이드 플레이트(111)를 힌지 아암(110)과 별도 부재로 구성했지만, 힌지 아암을 소정의 강도 및 강성이 얻어지는 수지 재료로 제작하면, 가이드 플레이트(111)에 상당하는 볼록부를 힌지 아암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에 도시된 구성에 비해, 부품 개수가 적어지게 되고 또한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가이드 플레이트의 장착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 구성의 경우, 구조의 간소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부착 작업 공정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7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7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120)의 정상벽부(120A)에 후드 상방(볼트 체결 방향)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22)에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를 넣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볼트 체결 후의 상태에서는,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의 단부면과 정상벽부(120A)의 밀어 올림면(38)이 대략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아암(120)의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는,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걸리는 일은 없다. 즉,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의 단부면은 정상벽부(120A)의 밀어 올림면(38)과 대략 동일 높이의 면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 헤드부(44A)의 단부면도 밀어 올림면(38)의 일부로서 기능하므로, 이 부분을 가압부(54)가 통과해도 전혀 걸리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로드(20)의 가압부(54)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목적대로 로드(2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와 가압부(54)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로드(20)의 가압부(54)와 볼트 헤드부(44A)를 후드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힌지 아암(120)의 후드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힌지 아암(120)의 후드 폭방향으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8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아암(138)을 후드 폭방향을 볼트 체결 방향으로 하여 후드 후방부측에 장착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드(130)가, 의장면을 구성하는 후드 외측 패널(132)과, 후드 외측 패널(132)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후드 외측 패널(132)을 보강하는 2매의 제1 후드 내측 패널(134) 및 제2 후드 내측 패널(1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후드 내측 패널이 후드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후드 내측 패널(134)과 후드 폭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제2 후드 내측 패널(136)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후드 내측 패널(134)의 내측 단말부(134A)와 제2 후드 내측 패널(136)의 외측 단말부(136A)가 맞추어져 후드 하방측으로 굴곡 수직 하강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후드의 판 조립 구조의 일례이며, 내측 단말부(134A)와 외측 단말부(136A)에 상당하는 수직인 장착 시트면이 얻어지는 구성이면, 다른 후드의 판 조립 구조를 적용해도 된다.
힌지 아암(138)은, 종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벽부(138A)와 가로벽부(138B)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벽부(138A)는 제1 후드 내측 패널(134)의 내측 단말부(134A)의 후드 폭방향 외측면에 접촉되어, 세로벽부(138A), 제1 후드 내측 패널(134)의 내측 단말부(134A), 제2 후드 내측 패널(136)의 외측 단말부(136A)의 3매 겹침 상태에서, 힌지 볼트(44)가 후드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너트(140)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로벽부(138B)의 후드 폭방향 내측에는, 후드 하방측이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되도록 굴곡되어 있고, 이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된 부분의 저부가 로드(20)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하는 궤도(142)로 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힌지 아암(138)이 후드 폭방향을 볼트 체결 방향으로 하여 후드 후방부측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로드(20)의 가압부(54)가 궤도(104)를 따라 밀어 올림면(38) 상을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로드(20)의 가압부(54)가 힌지 볼트(44)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 관계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드(20)의 가압부(54)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목적대로 로드(2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충돌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아암(138)이 세로벽부(138A)와 가로벽부(138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가로벽부(138B)를 로드(20)의 가압부(54)의 미끄럼 이동용으로 이용하고, 세로벽부(138A)를 힌지 아암(138)의 후드 후방부측에의 장착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벽마다 용도를 하나로 좁혀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벽에 로드(20)의 가압부(54)의 미끄럼 이동면으로서의 기능과 볼트 체결면으로서의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힌지 아암(30)의 설계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 기능 분담에 의해 세로벽부(138A) 및 가로벽부(138B)의 최적 설계가 가능해진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9 및 도 20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 길이가 후드 전후 방향으로 긴 힌지 아암(150)을 사용하고, 이것을 3개의 힌지 볼트(44(2개), 152(1개))로 후드 후단부측에 체결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 등에서 사용한 힌지 아암(30)의 전단부를 후드 전방측으로 연장하고, 당해 연장부(150A)의 전단부에 제3 볼트 체결점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2번째의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와 최전방부에 위치하는 힌지 볼트(152)의 볼트 헤드부(152A)와의 간격이 넓어져, 양쪽의 볼트 체결점 사이의 빈 부분을 로드(20)의 가압부(54)가 미끄럼 이동하는 밀어 올림면(38)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번째와 3번째의 힌지 볼트(44, 152)의 체결점 사이의 피치 t가, 로드(20)의 가압부(54)의 이동 스트로크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힌지 아암(150)은 후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힌지 볼트(44, 152)에 의해 후드 후방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로드(20)의 가압부(54)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트 체결점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도 19의 가압부(54)의 파선 도시 위치)에 접촉된다. 그리고, 로드(20)의 가압부(54)는 파선 도시 위치로부터 2점 쇄선 도시 위치까지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트 체결점 사이의 피치 t가 로드(20)의 가압부(54)의 이동 스트로크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20)의 가압부(54)는 최저에서도 로드(20)를 굽힘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스트로크분은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드(20)의 가압부(54)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목적대로 로드(2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어,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는, 가압부(54)의 필요한 이동 스트로크를, 볼트 체결간의 피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도록, 통상의 힌지 아암에 연장부(150A)를 부가한 전체 길이의 힌지 아암(150)을 채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힌지 볼트(44, 152)의 볼트 헤드부(44A, 152A)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로드(20)의 가압부(54)와 볼트 헤드부(44A, 152A)를 차량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힌지 아암(150)의 후드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아암(150)을 후드 폭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힌지 아암(30)의 폭을 그다지 취하지 않는 차량에 대해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힌지 아암(150)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등의 가공이 필요 없으므로, 판 두께에 대해 형성 가능한 오목부의 깊이의 제약을 받는 일도 없다. 따라서, 힌지 아암(150)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3개의 힌지 볼트(44(2개), 152(1개))와 로드(20)의 가압부(54)의 접촉 위치(도 19의 파선 도시 위치)가 후드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의 힌지 볼트(44)를 1개로 하고, 또한 이 힌지 볼트(44)를 힌지 아암(160)의 후드 폭방향(본 예에서는 내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설치한 고정부(162)에 체결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는, 힌지 아암(160)의 내측의 측벽부를 잘라 세움으로써, 고정부(16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방측의 힌지 볼트(152)를 연장부(160A)에 체결 고정하는 점 및 스트로크와 볼트 체결점 사이의 피치의 설정의 방법은, 도 19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도 15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1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9 실시 형태의 도 20에 도시된 힌지 아암(160)에 있어서 연장부(160A)를 설치하지 않고, 또한 고정부(162)는 그대로 존치된 힌지 아암(170)을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힌지 아암(170)의 폭방향 치수는, 힌지 아암(160)의 폭방향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후드 후방측에 가압부(54)에 의한 밀어 올림 위치(파선 도시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또한 가압부(54)는 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볼트 체결점을 넘어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가압부(54)가 힌지 아암(170)의 전방측의 볼트(44)의 볼트 체결점의 차량 후방측에 접촉하고, 거기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해 간다. 가압부(54)는 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볼트 체결점을 넘어 미끄럼 이동해 가지만, 후방측의 힌지 볼트(44)는 후드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162)에 있어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부(54)의 이동 궤적 상에는 후방측의 힌지 볼트(44)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부(54)가 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볼트 헤드부(44A)에 간섭하지 않고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로드(20)의 가압부(54)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목적대로 로드(2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어, 충돌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볼트 체결점에 대해서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는 하지만, 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볼트 체결점에 대해서는, 전방측의 힌지 볼트(44)의 볼트 체결점을 지나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대략 동일 직선 상으로 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없지만, 후드 폭방향으로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에 대해 유리하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 힌지(16)를 카울 상부 사이드에 고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드 힌지를 에이프런 상부 부재 등의 차체측 구성 부재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2)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12)의 후단부측을 로드(20)가 밀어 올리는 구성을 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드 후방부측을 로드가 밀어 올리는 구성이면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후드 후방부측」이라 함은, 후드의 전후 방향 중간부보다도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리키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드 후단부로 후드 전체 길이의 1/3 정도까지의 부분을 로드로 밀어 올리면 된다. 또한, 후드의 전후 방향 중간부를 제외하고 있는 것은, 후드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는 후드의 꺾임 비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 부분을 후드 상방측으로 밀어 올리면, 후드가 꺾임 변형되어, 후드 후단부측이 올라가지 않기 때문이다.

Claims (1)

  1. 차량에 탑재된 액추에이터와,
    이 액추에이터가 작동함으로써 후드 상방측으로 신장하여, 후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측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후드 후방부측을 후드 상방측으로 밀어 올리고 또한 그 밀어 올림 위치에 후드를 보유 지지하는 로드와,
    상기 후드 후방부측에 있어서의 로드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후드 후단부측의 하면을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당해 접촉 부위를 보강하고 또한 후드의 후단 팽창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밀어 올림면을 구비한 보강 부재와,
    상기 후드의 밀어 올림 상태에 있어서, 후드 상방측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충돌 하중이 로드에 의한 후드의 밀어 올림 부위 부근에 작용한 경우에, 상기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후드의 밀어 올림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로드의 선단부를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밀어 올림면을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로드를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기구부를 갖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20127030816A 2008-01-25 2009-01-22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1387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5610 2008-01-25
JP2008015610A JP4410822B2 (ja) 2008-01-25 2008-01-25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PCT/JP2009/050976 WO2009093656A1 (ja) 2008-01-25 2009-01-22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883A Division KR101243495B1 (ko) 2008-01-25 2009-01-22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663A true KR20130007663A (ko) 2013-01-18
KR101387897B1 KR101387897B1 (ko) 2014-04-21

Family

ID=409011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883A KR101243495B1 (ko) 2008-01-25 2009-01-22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20127030816A KR101387897B1 (ko) 2008-01-25 2009-01-22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883A KR101243495B1 (ko) 2008-01-25 2009-01-22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07935B2 (ko)
EP (1) EP2239168B1 (ko)
JP (1) JP4410822B2 (ko)
KR (2) KR101243495B1 (ko)
CN (1) CN101925492B (ko)
WO (1) WO20090936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25A (ko) * 2016-11-30 2018-06-0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측면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도어 팝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4813B2 (ja) * 2008-06-04 2010-07-2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ボンネット衝撃吸収装置
US8534410B2 (en) * 2009-03-31 2013-09-17 Mazda Motor Corporatio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JP5565654B2 (ja) * 2009-04-27 2014-08-06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フードヒンジ配置構造
DE102011118123A1 (de) * 2011-11-10 201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aktiver Haube
JP5831285B2 (ja) * 2012-02-21 2015-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ヒンジ構造
JP5765267B2 (ja) * 2012-02-27 2015-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939030B2 (ja) * 2012-05-22 2016-06-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フード跳ね上げ構造
CN102700622A (zh) * 2012-05-24 2012-10-0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盖铰链
JP2014108651A (ja) * 2012-11-30 2014-06-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994743B2 (ja) * 2013-07-05 2016-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US8899363B1 (en) 2013-07-24 2014-12-0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hood hinge structure
US8863879B1 (en) 2013-07-24 2014-10-21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front end structure
JP5799994B2 (ja) 2013-08-22 2015-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EP2862755B1 (en) * 2013-10-21 2016-06-08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Vehicle bonnet safety assembly
JP5910623B2 (ja) * 2013-12-25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256081B2 (ja) * 2014-02-17 2018-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のフード搭載構造
EP2907704B1 (en) * 2014-02-18 2017-01-04 Volvo Car Corporation An arrangement comprising a pyrotechnical device and a first mechanical structure
JP6314881B2 (ja) * 2015-03-18 2018-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DE202015102549U1 (de) * 2015-05-19 2016-02-01 Borgward Trademark Holdings Gmbh Motorhaubenscharnier, Steuersystem für ein Motorhaubenscharnier und Karosserie
CN106627472B (zh) * 2015-07-29 2019-02-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铰链结构及行人保护装置
US10315612B2 (en) * 2016-08-24 2019-06-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od lift system
US9796355B1 (en) * 2016-08-29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ood lifter assembly with protective cover
CN108001403B (zh) * 2016-10-31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引擎罩抬升装置和车辆
CN108001402B (zh) * 2016-10-31 2019-10-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引擎罩抬升装置及具有其的车辆
US10100565B2 (en) * 2016-12-22 2018-10-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hood hinge with upstop
US11383672B2 (en) * 2018-11-27 2022-07-12 Magna Closures Inc. Active pedestrian hood hinge with integrated latch assembly
JP2020104801A (ja) * 2018-12-28 2020-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ード支持構造
CN109812157B (zh) * 2019-02-02 2020-12-11 爱驰汽车有限公司 机罩电子锁装置、系统及方法
CN111845953B (zh) * 2019-04-28 2022-07-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结构和具有其的车辆
US11572724B2 (en) * 2019-11-06 2023-02-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llision energy absorb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210197758A1 (en) * 2019-12-31 2021-07-01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hinged hood lifter
CN113184056B (zh) * 2021-06-18 2023-03-24 吉林大学 一种外板内向凹陷的新型发动机罩
CN114607223A (zh) * 2022-02-25 2022-06-10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用于发动机罩的主动式铰链及其发动机罩
US12077126B2 (en) * 2022-07-05 2024-09-03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207B2 (ja) * 1997-10-16 2006-10-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跳ね上げ式フード
DE19922107C1 (de) * 1999-05-17 2001-01-18 Edscha Ag Fronthaubenanordnung
JP3317441B2 (ja) * 1999-07-19 2002-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装置
US6530449B2 (en) * 2000-07-19 2003-03-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ood assembly for vehicle
US6520276B2 (en) * 2000-07-19 2003-02-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hood apparatus
US6554093B2 (en) * 2000-07-19 2003-04-2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ular hood device
JP3842022B2 (ja) 2000-07-19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装置
JP2002029366A (ja) 2000-07-19 2002-01-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ード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US6510914B2 (en) * 2000-07-26 2003-01-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bstruction inference apparatus for vehicle
JP2002370611A (ja) 2001-06-18 2002-12-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ード装置
KR100405361B1 (ko) * 2001-07-10 2003-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본네트용 힌지
JP3794325B2 (ja) * 2001-12-27 2006-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構造
JP2004203249A (ja) 2002-12-25 2004-07-22 Aisin Seiki Co Ltd 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リフトアップシステム構造
JP4459546B2 (ja) 2003-04-07 2010-04-28 日本発條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4306485B2 (ja) 2004-02-13 2009-08-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跳ね上げ式フード
US7303040B2 (en) * 2004-05-18 2007-12-04 Autolive Asp, Inc. Active vehicle hood system and method
JP4455974B2 (ja) * 2004-10-22 2010-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FR2878212B1 (fr) 2004-11-22 2008-08-29 Pyroalliance Sa Systemes d'absorption mecaniques pour articulation active de capot
DE602006000884T2 (de) * 2005-03-24 2008-10-02 Mazda Motor Corp.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R2886612B1 (fr) * 2005-06-06 2007-10-12 Renault Sas Dispositif de commande de l'ouverture du capot d'un vehicule, notamment pour proteger la tete d'un pieton en cas de choc.
DE602006001692D1 (de) * 2005-06-23 2008-08-21 Mazda Motor Sicherheit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
DE602006014477D1 (de) * 2005-08-30 2010-07-08 Mazda Motor Fahrzeug-Motorhaube
CA2518682A1 (en) * 2005-09-09 2007-03-09 Multimatic Inc. Pedestrian protection hood hinge
US7380625B2 (en) * 2005-09-20 2008-06-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engine compartment hood
KR100770135B1 (ko) * 2005-11-08 2007-10-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JP4908909B2 (ja) * 2006-04-27 2012-04-04 日本発條株式会社 フードを持ち上げるアクチュエータ機構
JP4297161B2 (ja) * 2006-12-28 2009-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US7527121B2 (en) * 2006-12-28 2009-05-05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protection air bag system
US7374008B1 (en) * 2007-05-08 2008-05-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ood elevation system
JP4831013B2 (ja) * 2007-08-16 2011-12-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の跳ね上げ装置
JP4973412B2 (ja) * 2007-09-14 2012-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JP2009073276A (ja) * 2007-09-19 2009-04-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024223B2 (ja) * 2007-09-27 2012-09-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4853457B2 (ja) * 2007-10-30 2012-0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2009120071A (ja) * 2007-11-15 2009-06-04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9138875A (ja) * 2007-12-07 2009-06-25 Toyoda Gosei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09137507A (ja) * 2007-12-10 2009-06-2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フード跳ね上げ装置のヒンジ構造
JP4410823B2 (ja) * 2008-01-25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4601700B2 (ja) * 2008-02-01 2010-12-22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2009208694A (ja) * 2008-03-05 2009-09-17 Toyoda Gosei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4867944B2 (ja) * 2008-03-27 2012-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保護装置
JP4941401B2 (ja) * 2008-04-28 2012-05-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US7730990B2 (en) * 2008-05-13 2010-06-08 Honda Motor Co., Ltd. Restraint system for a hood lift device
JP4514813B2 (ja) * 2008-06-04 2010-07-2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ボンネット衝撃吸収装置
JP2010149753A (ja) * 2008-12-25 2010-07-08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25A (ko) * 2016-11-30 2018-06-0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측면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도어 팝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3656A1 (ja) 2009-07-30
KR101243495B1 (ko) 2013-03-13
EP2239168B1 (en) 2014-06-04
EP2239168A4 (en) 2011-06-29
CN101925492B (zh) 2013-01-30
KR20100105893A (ko) 2010-09-30
KR101387897B1 (ko) 2014-04-21
EP2239168A1 (en) 2010-10-13
US20110031056A1 (en) 2011-02-10
CN101925492A (zh) 2010-12-22
US8307935B2 (en) 2012-11-13
JP2009173212A (ja) 2009-08-06
JP4410822B2 (ja)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897B1 (ko)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JP4410823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US7931318B2 (en) Bumper attachment portion structure
CN104884339B (zh) 车身前部结构
US8141671B2 (en) Hood lift-up apparatus
US20200269931A1 (en) Vehicle pop-up hood apparatus
JP2010235039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2010235040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5994724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9035088A (ja) 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JP5644742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4884407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7010805B2 (ja) フード支持構造
JP2014108651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4554500B2 (ja) バンパ構造
CN115139967A (zh) 发动机罩后退结构
CN115139968A (zh) 发动机罩后退结构
JP2005014677A (ja) 車体構造
JP2007182126A (ja) 車両の操作ペダル後退抑制構造
JP2008238919A (ja) 車両用フード構造
JP2005138603A (ja) 車体前部構造
JP4349193B2 (ja) 車両用冷却系支持構造
JP6044560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CN115139966A (zh) 发动机罩后退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