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677A - 종방향 레일 가이드 - Google Patents

종방향 레일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677A
KR20130006677A KR1020127028695A KR20127028695A KR20130006677A KR 20130006677 A KR20130006677 A KR 20130006677A KR 1020127028695 A KR1020127028695 A KR 1020127028695A KR 20127028695 A KR20127028695 A KR 20127028695A KR 20130006677 A KR20130006677 A KR 20130006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longitudinal
car seat
fre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526B1 (ko
Inventor
악셀 슈펙
다니엘 어반
토마스 틸
Original Assignee
씨.롭.해머스테인 게엠베하 앤 코. 케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롭.해머스테인 게엠베하 앤 코. 케이쥐 filed Critical 씨.롭.해머스테인 게엠베하 앤 코. 케이쥐
Publication of KR2013000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레일(20), 상기 바닥 레일(20)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상부 레일(22), 및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상부 레일(22)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안내 개구(30)를 가지는 안내부(26)와, 상기 안내 개구(30)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안내 개구(30)를 위한 하나의 차단부(34)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 장치는 또한, 상기 바닥 레일(20) 내에 형성된 래칭 개구(40)를 포함하며, 로킹 장치의 정상적으로 만연된 차단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차단부(34)는 래칭 개구(40)들 중의 하나의 개구 내측으로 래칭되며, 작동된 방출 위치에서는 차단부(34)가 래칭 개구(40) 내에 결합되지 않는다. 종방향 레일 가이드는 상기 안내부(26)가 상기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에 바로 대향하는 자유 에지(54)를 가지며, 사고 이전에 상기 자유 에지(54)는 상기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거리에 위치되며, 사고 이후에는 상기 인접 내측면(56)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방향 레일 가이드 {LONGITUDINAL RAIL GUIDE}
본 발명은 바닥 레일, 상기 바닥 레일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부 레일, 및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에 관한 것이며, 상기 로킹 장치가 (a) 상기 상부 레일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안내 개구를 가지는 안내부와, (b) 상기 안내 개구 내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안내 개구를 위한 하나의 차단부, 및 (c)상기 바닥 레일 내에 형성된 래칭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장치의 정상적으로 제공된 차단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차단부가 래칭 개구들 중의 하나의 개구 내측으로 래칭되며, 작동된 방출 위치에서는 차단부가 래칭 개구 내측으로 래치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종방향 레일 가이드는 DE 42 42 895 C1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방향 레일 가이드 내의 안내부는 U형상 프로파일의 단면이다. 그의 기저부에 있어서, 안내부는 상부 레일의 측벽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며 이러한 측벽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하고 안내부를 형성하는 하부 웨브를 가진다. 4 개의 안내 개구들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안내부에 제공된다. 로킹 장치는 차단 핀 형태의 4 개의 차단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차단 핀은 차단 핀을 차단 위치로 편향시키는 단일 스프링과 공지된 방식으로 결합된다. 두 개의 레일들 외치에 위치된 작동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작동 장치는 모두 4 개의 차단 폴(pawl)을 작동 하의 방출 위치로 당기는 4 개의 분리부를 가진다. 래칭 개구들은 바닥 레일의 바닥 플랜지 내에 제공된다. 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은 서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안내 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안내 수단은 종방향으로 종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안내 수단은 대각선 상으로 대향된 안내 영역들 내에 배치된다. 종방향 가이드는 안내 영역들의 이러한 상이한 배열로 인해 경면 대칭이 아니다. 잠재적 안내 수단에는 안내 부재, 윤활제 등이 포함된다.
그와 같은 종방향 레일 가이드는 실제로 그들의 가치가 입증되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들이 시트마다 제공된다. 상기 발명은 사고가 발생할 때 서로에 대한 두 레일의 변위가 종래 기술에서보다 훨씬 더 상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종방향 레일 가이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과업을 자제적으로 설정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크 상태에서, 추가의 구성 요소에 대한 요구 없이 이전에 공지된 종방향 레일 가이드보다 사고시 더 큰 힘을 흡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종방향 레일 가이드에 의해 달성된다.
사고는 특히, 소위 "충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충돌"은 종방향 레일 가이드들이 내부에 위치된 자동차의 안전 장치가 발동되는 사고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이 충돌시 팽창한다.
본 발명은 사고 중에 하나 이상의 자유 에지, 특히 안내부의 자유 에지와 바닥 레일의 인접 내측면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안한다. 이런 경우에, 상기 에지 또는 코너는 인접 내측면의 바로 맞은 편에 있다면 "자유"로서 지칭된다. 정상적으로, 사고 이전에 에지 및 인접 내측면은 서로로부터 작은 거리에 배치되며, 그 거리는 최대 제조 및 설치 편차들이 결코 직접적인 접촉을 초래하지 않기에 충분히 크게 되도록 선택된다. 그 거리는 사고 중에 레일의 변형으로 바닥 레일의 인접 내측면에 대해 자유 에지가 놓여 지는 것을 초래하기에 충분히 작게 되도록 선택된다. 이는 지지될 수 있게 하고, 후킹 결합을 발생할 수 있으며, 로크의 안전성이 증가되게 한다. 환언하면, 웨징(wedging)이 발생한다. 자유 코너는 인접 내측면의 재료 내에 자체 매설된다.
유리하게,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채널이 바닥 레일과 상부 레일 사이에 형성된다. 유리하게, 안내부가 종방향 채널 내에 수용된다.
유리하게, 종방향 채널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작동 장치가 로킹 장치와 결합된다.
안내부가 차단부의 단지 한 측부에서 상부 레일에 부착되는 실시예가 특히 유리하다. 이런 경우에 한 측부는 차단부를 관통해 나아가며 차단부의 이동 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평면의 한 측부를 의미한다. 환언하면, 안내부는 단지 한 측면에서만 부착된다. 안내부는 그의 부착 구역으로부터 종방향 채널의 내측으로 자유롭게 돌출한다. 상부 레일에 대한 안내부의 부착 구역 및 차단부가 관통하여 도달하는 안내 개구는 서로에 대해 측면으로 오프셋된다. 이런 경우에, 측면으로 오프셋은 y-방향으로 오프셋 됨을 의미하며, 여기서 자동차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x-y-z 좌표계가 사용된다. 상부 레일 상의 안내부 및 안내 개구의 부착 장소는 서로로부터 측면으로의 거리를 가지며, 사고의 경우에 이동 방향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한 피봇을 안내부에 초래하는 토크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작동 장치는 상부 레일의 측벽 내에 형성된 윈도우를 가진다. 상부 레일은 윈도우에 의해 국부적으로 약화되며, 상부 레일 측벽의 다른 장소에서보다 윈도우의 구역에서 더욱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안내부는 윈도우 아래에서, 상부 레일의 측벽의 내면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둔각으로 적용된다. 이런 방식으로, 윈도우의 근처에 있는 측벽의 변형에 참여하며 바닥 레일의 인접 내면과의 접촉이 촉진된다.
유리하게, 자유 에지는 코너, 바람직하게 예리한 코너에 있는 두 개의 단부 부분 중에 하나 이상에서 종료된다. 이는 사고의 경우에 인접한 내면의 재료 내에 자체적으로 매설될 수 있게 한다. 자유 에지 및/또는 인접 내측면에, 자유 에지와 바닥 레일의 인접 내측면 사이에서 후킹 결합이 더욱 양호하게 발생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와 같은 수단은 예를 들어, 깔쭉이 부분, 주름 부분, 다중 보어 구멍, 불규칙한 부분, 거친 부분, 리브, 스텃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자유 에지와 인접 내측 벽 사이에, 충돌시 파괴되는 부분,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안내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유 에지는 차단부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그리고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안내부의 단부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차단부는 종방향 채널 내에 위치되며, 여기서 래칭 개구들을 통해 연장하는 차단부의 하단부는 제외된다.
바람직하게, 안내부는 가능한 한 래칭 개구에 가깝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른 청구항들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두 개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며,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방향 레일 가이드의 짧은 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방향 레일 가이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사고 이전의 정상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차단 부품들이 없는 도 2의 Ⅲ-Ⅲ 절취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과 유사하지만 사고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레일 가이드의 짧은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제 1 실시예(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종방향 레일 가이드는 바닥 레일(20) 및 상부 레일(22)을 포함한다. 상기 두 레일은 종방향(24)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하다. 종방향 레일 가이드는 로킹 장치를 포함한다. 로킹 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판인 안내부를 포함한다. 안내부(26)는 상부 레일(22)의 측면 아암(28)의 내측 표면에 단부대 단부 형태로 뭉툭하게 적용되어 그에 특히 맞대기 용접식으로 부착된다. 안내부는 단지 이 위치에만 부착되며 자유롭게 캔틸레버(cantilever)된다. 안내부(26)는 총 3개의 안내 개구(3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서, 가이드 개구(30)는 둥글며, 이들 개구는 이동 방향(3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각각의 개구 축선에 대해 중심이 맞춰진다. 가이드 개구(30)는 안내부(30)의 부착 구역에 대해 측면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되며, 그 오프셋은 y-방향이다.
총 3 개의 차단부(34)가 흡인 이동 방향(32)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들은 둥근 핀들로서 구성된다. 하나의 차단부(34)가 가이드 개구(30)를 통해 각각 도달한다. 또한, 차단부(34)는 상부 레일(22)의 상부 횡단 웨브(38)에 제공된 3 개의 구멍(36)들 중에 하나를 통해 도달한다.
래칭 개구(40)들이 가이드 개구(30)들 아래에 위치되며, 이들 개구는 바닥 레일(20)의 하부 횡단 웨브(42) 내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단부(34)가 래칭 개구(40)들 중의 하나를 통해 도달하며, 따라서 바닥 레일(20)에 대한 상부 레일(22)의 변위가 방지되며, 종방향 레일 가이드가 차단 상태가 된다.
정상 위치, 즉 비작동 위치에서, 종방향 레일 가이드는 차단 상태가 된다. 서로에 대해 레일(20,22)들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방출 위치가 신중히 실시되어야 한다. 이는 작동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며 측면 아암(28)의 윈도우(46)를 통해 도달하는 분리 레버(44)를 포함하며, 또한 피봇 축선(48)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두 개의 레일(20,22)들이 내측 채널(50)을 구획한다. 분리 레버(44)가 내측 채널(50)의 내측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분리 레버는 포크형 형성체를 가진다(도 6 참조). 분리 레버는 각각의 차단부(34) 상에 제공되는 하나의 칼라 아래에 각각 도달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도면의 분리체(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면, 모두 3 개의 차단부(34)가 임의의 래칭 개구(40)와 더 이상 협동하지 않는 방출 위치로 연속해서 당겨진다.
공지된 방법에서, 차단부(34)는 스프링(52)에 의해 차단부의 차단 상태로 편향된다. 각각 하나의 차단부(34)는 스프링(52)을 포함한다(도 5 참조).
도 1 및 도 2로부터 아주 분명해지듯이, 안내부(26)는 윈도우(46)의 높이에 종방향으로 위치되며, 이러한 윈도우(46) 아래에서 부착 구역 내의 측면 아암(28)의 내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 구역의 반대쪽에, 안내부(26)는 종방향(24) 및 이동 방향(32)만큼 이격된 평면에 평행한 단부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부면은 하나 이상의 자유 에지(54)를 형성하며, 이의 예에서는 자유 에지가 두 개이다. 자유 에지의 모두는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의 바로 근처에 있다. 그에 대한 거리는 약 0 내지 3 mm이며, 바람직하게 순거리(clear distance), 즉 0보다 큰 거리, 예를 들어 0.6 mm의 순거리가 제공된다. 인접한 내측면(56)은 또한, 바람직하게 종방향(24) 및 이동 방향(32)만큼 이격된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사고 이전에, 단부면 또는 자유 에지(54) 및 인접 내측면(56)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면들은 서로로부터 좀 떨어지게 이격되어 있어서, 종방향 레일 가이드의 적절한 기능을 보장한다.
사고로 인해, 예를 들어 차량의 정면 충돌 또는 후면 충돌로 인해 종방향 레일 가이드 상에 부하가 작용하면, 두 개의 레일(20,22)들이 사고로 인해 서로에 대해 이동된다. 현재 결합된 차단 부재(34)의 변형이 발생한다. 사고 중에, 안내부(26) 상에 토크가 발생한다. 안내부가 한쪽에만 고정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차단 상태에 있는 차단부(34)를 통하여 안내부(26)의 내측으로 도입되므로, 안내부는 횡방향 위치로 자체적으로 회전 또는 위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안내부는 상부 횡방향 웨브(38) 및 하부 횡방향 웨브(42)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하며 이동 방향(32)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러므로, 윈도우(46) 내의 측면 아암(28)의 변형이 발생하며, 여기서 측면 플랜지(28)는 어쨌든 국부적으로 약화된다. 이런 모든 것은 하나 이상의 자유 에지(54)가 인접 내측면(56)과 접촉하게 한다. 이는 적어도 마찰의 증가를 초래한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에지(54)의 정면 단부 부분은 코너의 형상, 바람직하게 예리한 코너를 가진다. 후방 단부 부분도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와 같은 예리한 코너의 경우에, 안내부(26)는 인접 내측면(56) 내에 자체적으로 매설될 수 있다. 사고의 경우에, 코너는 먼저 인접 내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유리하게, 도면들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유 에지(54) 및/또는 인접 내측면(56)은 자유 에지(54)와 인접 내측면(56) 사이의 양호한 후크 결합 및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도록 불규칙적으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예시적인 제 2 실시예가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범위에서 아래에서 설명된다. 공통의 특징들은 언급하지 않는다.
이제 상부 레일(22)은 두 개의 개별적인 프로파일로 구성된다. 이제 안내 영역들은 각각 2열의 안내 부재들을 수용하며, 안내 부재는 교대로 볼로서 형성된다. 이제 안내부(26)는 평판 형상을 갖지 않으며 자유 단부가 L형상으로 상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자유 단부(54)는 인접 내측면(56)과 반대편에 놓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에지는 내측면에 자체적으로 매설될 수 있다. 사고로 인해 비틀린 안내부(54)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측면 아암(28)의 변형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여러 형태의 운동학적 반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래칭 개구 또한 상부 레일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런 경우에 안내부가 바닥 레일 상에 배치된다. 다른 운동학적 반전에 있어서, 자유 에지(54)는 안내부(26) 상에 제공되지 않고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 상에 제공된다. 그런 경우에, 안내부(26)는 이러한 자유 에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표면을 가진다.
종방향 레일 가이드의 부품들, 특히 힘의 유동 경로 내에 놓여 있는 관련된 모든 구성 요소들의 구조적 설계는 인접 내측면 상의 자유 에지에 대한 지지가 거의 충돌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임계치보다 단지 조금 큰 사고의 경우에 이미 발생했던 방식으로 실현된다.
자유 에지(54)와 인접 내측면(56) 사이의 거리는 자유 에지(54) 및 내측면(26)이 정상적인 구동 상태에서 그리고 특히 충돌보다는 덜한 사고의 경우에서 접촉하지 않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자유 에지와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충돌의 경우에, 자유 에지(54)가 인접 내측면(56)에 실질적으로 충분히 도달하여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가 발생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 선택된다. 이는 힘의 유동 경로 내에 놓이는 관련된 모든 구성 요소의 조화를 필요로 한다. 로킹 장치는 너무 경질이지 않아야 하며 너무 연질이어도 안 된다. 이와 동이한 점들이 다른 구성 요소들, 특히 레일들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자유 에지(54)가 사고 이전에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으로부터 ≤ 2 mm의 거리에 위치된다.
출원인은 특허청구범위로부터의 임의의 특징 및 그 하위-특징들 및/또는 상기 설명의 문장으로부터의 임의 특징 및 그 하위-특징들의 조합이 구체적으로 청구되지 않거나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그와 같은 특징들을 조합할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15)

  1. 바닥 레일(20), 상기 바닥 레일(20)에 대해 종방향(24)으로 변위가능한 상부 레일(22), 및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로서,
    상기 로킹 장치가,
    상기 상부 레일(22)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안내 개구(30)를 가지는 안내부(26)와,
    각각의 상기 안내 개구(30)에 대하여 상기 안내 개구(30) 내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나의 차단부(34), 및
    상기 바닥 레일(20) 내에 형성된 래칭 개구(4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장치의 정상적으로 제공된 차단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차단부(34)가 래칭 개구(40)들 중의 하나의 개구 내측으로 래칭되며, 작동된 방출 위치에서는 차단부(34)가 래칭 개구(40) 내측으로 래치되지 않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6)는 상기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의 바로 맞은편에 있는 자유 에지(54)를 가지며, 사고 이전에 상기 자유 에지(54)는 상기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거리에 위치되며, 사고 이후에는 상기 인접 내측면(56)에 대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24)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채널(50)이 상기 바닥 레일(20)과 상부 레일(2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 채널(50) 내에서 상부 레일(22)의 내측면은 상기 종방향(24)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하나 이상의 차단부(34)의 이동 방향(32)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에서 인접 내측면(56)에 대향되게 놓이며, 상기 안내부(26)는 상기 상부 레일(22)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에지(54)가 상기 차단부(34)의 단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면이 상기 종방향(24)에 평행하고/하거나 하나 이상의 차단부(34)의 이동 방향(3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에지(54)는 종방향(24)으로 위치된 안내부(26)의 하나 이상의 단부 부분에서 예리한 코너, 특히 90°코너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작동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레일(22)은 상기 작동 장치가 연장해 통과하는 윈도우(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6)는 상기 윈도우(46) 아래에서 상기 상부 레일(22)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에지(54)와 인접 내측면(56)의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수단이 상기 자유 에지(54) 및/또는 상기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에 제공되며, 상기 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자유 에지(54) 및/또는 상기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의 부드러운 프로파일로부터의 거친 부분, 다중 구멍, 리브, 스텃 및 다른 돌기들로 이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에지와 상기 바닥 레일(20)의 인접 내측면(56) 사이의 거리는 0.8 내지 0.4 mm, 특히 약 0.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에지(54)는 사고 과정 중에, 상기 종방향(24)에 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차단부(34)의 이동 방향(32)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22)은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26)는 상기 상부 플랜지보다 상기 래칭 개구(4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24)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채널(50)이 상기 바닥 레일(20)과 상부 레일(2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26)가 상기 종방향 채널(50)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22)은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26)는 상기 상부 플랜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22)은 측면 플랜지(28)를 포함하며, 측면 벽이 상기 종방향(24)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차단부(34)의 이동 방향(32)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안내부(26)는 상기 측면 플랜지(28)에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6)가 부착되는 측면 플랜지(28)의 구역은 상기 종방향(24)에 평행한 굽힘선 주위의 측벽의 굽힘부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내 개구(30)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6)가 상부 레일(22)에 부착되는 단일 부착 구역과 적어도 안내 개구(36) 사이의 측면 거리는 바람직하게 5 mm 보다 크며, 특히 10 mm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종방향 레일 가이드.
KR1020127028695A 2010-03-31 2011-03-28 종방향 레일 가이드 KR101435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3568.8 2010-03-31
DE102010003568 2010-03-31
DE102010039157.3 2010-08-10
DE102010039157A DE102010039157A1 (de) 2010-03-31 2010-08-10 Schienenlängsführung
PCT/EP2011/054729 WO2011120920A2 (de) 2010-03-31 2011-03-28 Schienenlängsfü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77A true KR20130006677A (ko) 2013-01-17
KR101435526B1 KR101435526B1 (ko) 2014-09-02

Family

ID=4465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695A KR101435526B1 (ko) 2010-03-31 2011-03-28 종방향 레일 가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50908B2 (ko)
EP (1) EP2552741B1 (ko)
JP (1) JP5604533B2 (ko)
KR (1) KR101435526B1 (ko)
CN (1) CN103180168B (ko)
DE (1) DE102010039157A1 (ko)
WO (1) WO20111209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025B1 (ko) * 2013-05-23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개선된 조립 구조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015B1 (ko) * 2012-07-20 2013-08-2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DE102012106826A1 (de) * 2012-07-26 2014-01-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ststellvorrichtung für einen längsverstellbaren Kraftfahrzeugsitz
JP5949282B2 (ja) * 2012-07-30 2016-07-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418720B1 (ko) * 2012-11-28 2014-07-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407259B1 (ko) 2012-11-28 2014-06-1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레일 록킹장치
CN103625315A (zh) * 2013-11-01 2014-03-12 浙江龙生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座椅前后调节的滑道装置及其调节方法
CN104228623B (zh) * 2014-10-13 2020-03-31 林日算 一种汽车保险坐椅
DE102015221079B4 (de) 2015-10-28 2023-07-27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DE102016217843B3 (de) * 2016-07-14 2017-12-0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Längseinsteller sowie Fahrzeugsitz
JP6826964B2 (ja) * 2017-08-28 2021-02-1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IT201800006570A1 (it) * 2018-06-21 2019-12-21 Dispositivo di scorrimento per un sedile di veicolo provvisto di un sistema di bloccaggio migliorato
FR3093035B1 (fr) * 2019-02-26 2021-03-1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Levier de déverrouillage manuel pour glissière de siège
FR3123023A1 (fr) 2021-05-20 2022-11-25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Système de réglage et de verrouillage d’une glissiè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4594Y2 (ko) * 1977-11-28 1982-05-28
US5172882A (en) * 1991-03-25 1992-12-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anual seat adjuster with dual locking means
DE4242895C1 (de) 1992-12-18 1993-11-25 Daimler Benz Ag Verriegelung für eine Längsverstellung eines Sitzes
JP2544135Y2 (ja) * 1992-12-25 1997-08-13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FR2759330B1 (fr) * 1997-02-13 1999-04-30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19811094C2 (de) * 1998-03-13 2002-01-24 Keiper Gmbh & Co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9825099B4 (de) * 1998-06-05 2008-01-10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Längsführung eines Fahrzeugsitzes mit Arretiervorrichtung
US6637712B1 (en) * 2002-05-17 2003-10-2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seat track lock mechanism with positive engagement
DE102004003144B4 (de) * 2003-05-08 2008-12-18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mit zwei Schienen
DE20313952U1 (de) * 2003-09-05 2005-01-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Arretiereinrichtung einer Längsverstell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DE202004021201U1 (de) * 2004-04-28 2007-03-01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mit Längseinsteller
JP4648059B2 (ja) * 2005-04-06 2011-03-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装置
DE102006047525A1 (de) * 2005-10-27 2007-05-03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Arretiervorrichtung einer Längsverstell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mit zwei Schienenpaaren
CN1955041B (zh) * 2005-10-27 2010-05-19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带有两对导轨的机动车辆座位的纵向调节机构的保持装置
DE102007049432B4 (de) * 2007-10-16 2010-05-06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WO2009132944A1 (de) * 2008-04-28 2009-11-05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Betätigungseinheit eines kraftfahrzeugsitzes
JP5551486B2 (ja) * 2010-03-29 2014-07-16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025B1 (ko) * 2013-05-23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개선된 조립 구조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80168A (zh) 2013-06-26
DE102010039157A1 (de) 2011-10-06
US20130076085A1 (en) 2013-03-28
JP2013521169A (ja) 2013-06-10
US9050908B2 (en) 2015-06-09
CN103180168B (zh) 2016-05-18
JP5604533B2 (ja) 2014-10-08
WO2011120920A3 (de) 2013-04-18
KR101435526B1 (ko) 2014-09-02
WO2011120920A2 (de) 2011-10-06
EP2552741A2 (de) 2013-02-06
EP2552741B1 (de)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677A (ko) 종방향 레일 가이드
KR101409475B1 (ko) 모터 차량 시트를 위한 길이방향 가이드
US6224147B1 (en) Sliding roof
US7905526B2 (en) Bumper beam
EP2345560A1 (en) Underrun prevention member for vehicle bumper beam
CN109311440B (zh) 机动车
CN111819108A (zh) 具有地板导轨、可纵向滑动的座椅导轨和锁定单元的用于车辆座椅的纵向调节装置
US8322677B2 (en) Slide structure of vehicle seat
WO2012035839A1 (ja) 車両用シート装置の被ロック部材、車両用シート装置、及び、シート設置体
US9579997B2 (en)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nd reducing the backward displacement of a vehicle sea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JP4325672B2 (ja) 鉄道客車のための迫り上がり防止装置
US7523983B2 (en) Safety braking device of a sliding roof cover
JP4997914B2 (ja) ドア構造
US8398144B2 (en)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JP2008137589A (ja) 車体トンネル部構造
JP5005295B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KR101305949B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
KR20210067580A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0536374B1 (ko) 차량 시트 레일 보강 구조
JP6075023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940005868B1 (ko) 시트 슬라이드 장치
KR100313196B1 (ko)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JP2602618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KR101496113B1 (ko) 차량용 범퍼레일
KR20100136764A (ko)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