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196B1 -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196B1
KR100313196B1 KR1019990053429A KR19990053429A KR100313196B1 KR 100313196 B1 KR100313196 B1 KR 100313196B1 KR 1019990053429 A KR1019990053429 A KR 1019990053429A KR 19990053429 A KR19990053429 A KR 19990053429A KR 100313196 B1 KR100313196 B1 KR 10031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ook
vehicle
slide
preven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650A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1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사고시 큰 충격에서도 시트가 차체바닥인 플로어 판넬의 슬라이드 채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쿠션부(1) 하면쪽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아(2)와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이 슬라이드 바아(2)의 작동으로 플로어 판넬(3)에 장착된 슬라이드 채널(4)의 걸림홈(5)에서 삽입및 이탈되는 후크(6)를 갖춘 차량의 시트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6)의 수직방향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판(7)을 이 후크(6)에 용접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A seat moving prevention structur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주행시 충돌과 같은 돌발적인 충격발생 사고때 차량용 시트가 전방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채널에 삽입되어 보유지지되는 후크를 보강시키어 이 후크가 슬라이드 채널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트의 안전성을 향상시킨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플로어 판넬에 설치된 슬라이드 채널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바,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판넬(3)에 설치된 양쪽 슬라이드 채널(4)들에는 시트의 쿠션부(1)의 하면에 설치된 후크(6)들이 슬라이드 레버(8)의 조절에 의하여 양쪽 슬라이드 채널(4)의 걸림홈(5)에 걸리어 맞추어지거나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의 쿠션부(1)를 정위치 시키고자 할때에는 슬라이드 채널(4)에 형성된 걸림홈(5)에 시트의 후크(6)가 걸어 맞추어지는 한편, 상기 시트의 쿠션부(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8)를 조작하면 이의 연결와이어(9)를 매개로 양쪽 슬라이드 채널(4)들이 걸려져 있던 후크(6)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시트는 자유롭게 이동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상기 시트의 걸림장치인 후크(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버(8)에 용접형태로 고정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고속주행시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충격에너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바아(2)에 부착된 후크(6)가 하중작용 방향을 따라 뒤틀려지거나 변형됨에 따라 이 후크의 고유작용인 시트의 정위치 고정작용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변형정도가 심하면 상기 후크(6)가 슬라이드 채널(4)에서 이탈되어 시트자체가 차체 바닥에서 이탈됨으로서, 탑승객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이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 하부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2 (A),(B)는 도 1의 Ⅰ- Ⅰ선 및 Ⅱ - Ⅱ선 확대 단면도들,
도 3 (C),(D)는 종래구조로서 도 2 (A),(B)의 대응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쿠션부 2 - 슬라이드 바아
3 - 플로어 판넬 4 - 슬라이드 채널
5 - 걸림홈 6 - 후크
7 - 보강판 8 - 슬라이드 레버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슬라이드 채널에 시트를 정위치 시키는 후크의 구조를 보강시킴에 따라 충격에너지가 과도하게 발생하더라도 시트를 정위치 상태로 보존시키어 탑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킨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 하면쪽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아와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이 슬라이드 바아의 작용으로 플로어 판넬에 장착된 슬라이드 채널의 걸리홈에서 삽입및 이탈되는 후크를 갖춘 차량의 시트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수직방향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 후크에 보강판을 용접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시트 쿠션부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시트이동및 고정장치의 전체 개략평면도이고, 도 2(A),(B)는 도 1의 Ⅰ- Ⅰ선및 Ⅱ- Ⅱ선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쿠션부(1) 하면쪽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아(2)와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이 슬라이드 바아(2)의 작동으로 플로어 판넬(3)에 장착된 슬라이드 채널(4)의 걸림홈(5)에서 삽입및 이탈되는 후크(6)를 갖춘 차량의 시트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6)의 수직방향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판(7)을 이 후크(6)에 용접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는 차체바닥인 플로어 판넬(3)에 설치된 슬라이드 채널(4)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슬라이드 레버(8)에 연결된 슬라이드 바아(2)가 이에 연결된 후크(6)에 의하여 이동이 규제되는바, 즉 슬라이드 채널(4)에 형성된 걸림홈(5)에 슬라이드 바아(2)의 후크(6)가 걸려지게 되면 이 시트의 쿠션부(1)는 정위치되어 고정되는 한편, 이 슬라이드 바아(2)의 후크(6)가 슬라이드 채널(4)의 걸림홈(5)에서 이탈되면 시트의 쿠션부(1)는 상기 슬라이드 채널(4)을 따라 자유롭게 전후이동 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채널(4)의 걸림홈(5)에 삽입및 이탈되는 후크(6)에는 보강판(6)이 수직방향으로 용접 고정됨에 따라 큰 충격에너지이 작용되더라도 이 후크(6)가 변형되지 않아 시트의 정위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뒤틀림과 같은 충격변형에 대해서도 후크(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채널의 걸림홈에서 삽입및 이탈되는 후크의 강성을 보강시키어 큰 충격에도 이 후크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채널에서 시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승객의 안전성을 강화시킨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시트의 쿠션부(1) 하면쪽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아(2)와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이 슬라이드 바아(2)의 작동으로 플로어 판넬(3)에 장착된 슬라이드 채널(4)의 걸림홈(5)에서 삽입및 이탈되는 후크(6)를 갖춘 차량의 시트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6)의 수직방향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판(7)을 이 후크(6)에 용접 고정시키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KR1019990053429A 1999-11-29 1999-11-29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KR10031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429A KR100313196B1 (ko) 1999-11-29 1999-11-29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429A KR100313196B1 (ko) 1999-11-29 1999-11-29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650A KR20010048650A (ko) 2001-06-15
KR100313196B1 true KR100313196B1 (ko) 2001-11-07

Family

ID=1962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429A KR100313196B1 (ko) 1999-11-29 1999-11-29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305B1 (ko) 2010-04-01 2011-11-08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트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9526U (ko) * 1974-08-27 1976-03-03
JPS51139524U (ko) * 1975-05-02 1976-11-1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9526U (ko) * 1974-08-27 1976-03-03
JPS51139524U (ko) * 1975-05-02 1976-11-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305B1 (ko) 2010-04-01 2011-11-08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트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650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888B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
JP6442349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512889B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JP527562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2211369A (ja)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US8322677B2 (en) Slide structure of vehicle seat
JP200118753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313196B1 (ko)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JP490491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381413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383341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JP6108308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3506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2017190035A (ja) 乗物用シート
JP517631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735979B1 (ko) 차량용 시트 어셈블리
JP4354481B2 (ja) 自動車座席用スライド部材、このスライド部材を備えた車両用座席及び自動車
KR200227060Y1 (ko) 자동차 시트로킹시스템의 로크
JP3430860B2 (ja) トレイ取付装置
KR102355946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0412468B1 (ko) 목 부상 방지용 자동차 시트 고정구조
JP4764141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200144739Y1 (ko) 슬라이드레일의 안전밸트고정용 j플레이트구조
JP5366283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および該スライド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KR200324044Y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