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401A - 매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401A
KR20120098401A KR1020117002630A KR20117002630A KR20120098401A KR 20120098401 A KR20120098401 A KR 20120098401A KR 1020117002630 A KR1020117002630 A KR 1020117002630A KR 20117002630 A KR20117002630 A KR 20117002630A KR 20120098401 A KR20120098401 A KR 2012009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media
medium
withdrawal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963B1 (ko
Inventor
카즈요시 이토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종이 형상 매체(출금 지폐)의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지폐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종이 형상 매체가 전달되는 매체 전달구(18)와, 매체 전달구에 설치되고, 장치(자동 거래장치(1)) 내부로부터 내보내진 종이 형상 매체를, 매체 전달구의 내부에서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매체 전달구 기구(30)를 갖는다. 매체 전달구 기구는, 종이 형상 매체를 매체 전달구의 내부에서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시각적인 작용에 의해, 종이 형상 매체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Description

매체 처리장치{MEDIA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종이 형상 매체의 전달을 행하는 매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매체 처리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금융기관의 영업 점포나 편의점, 주유소, 슈퍼마켓 등에 설치되어, 종이 형상 매체로서 지폐를 입출금하는 자동 거래장치(이하, 「ATM」이라고 칭한다)가 있다.
ATM 내부에는, 출금 거래시에, 출금 지폐를 매체 전달구(口)인 입출금구에 집적하고, 입출금구의 셔터를 개방하는 동시에, 출금 지폐를 이용자에게 빼내기 쉽게 하기 위해, 출금 지폐를 상승시켜, 출금 지폐를 입출금구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구성의 것이 있다.
이 지폐를 상승시키는 수단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평 9-221239호 공보)에 개시된 지폐를 상승시키는 수단은,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고 또한 수직 방향의 슬라이더 축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에 저판을 연결해 두고, 평행 링크기구에 의해 가압판을 출금 지폐에 눌러 끼워진 상태로 하고, 그 상태에서, 타이밍 벨트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저판과 함께 출금 지폐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 2002-329229호 공보)에 개시된 지폐를 상승시키는 수단은, 팬터그래프 기구에서 출금 지폐를 좌우에서 끼워 끼움 상태로 하고, 그 상태에서, 반송 벨트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출금 지폐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ATM은, 출금 지폐가 입출금구의 내부에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출금 지폐가 입출금구의 내부(특히, 장치의 깊숙한 내측)에 부착되면, 이용자는, 출금 지폐를 입출금구로부터 원활하게 빼낼 수 없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용자가 노령자나 약시자 등인 경우에, 이용자는, 출금 지폐의 위치를 금방 인식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들 이유에 의해, 이용자는, 출금 지폐를 입출금구로부터 조속히 빼낼 수 없을 때가 있다.
ATM은, 출금 지폐가 일정시간 이상 입출금구로부터 빼내지지 않은 경우에, 입출금구의 주위에서 알람 소리를 울려, 이용자에게 출금 지폐의 빼냄을 촉구한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이용자가 노령자나 난청자 등인 경우에, 이용자는, 알람 소리를 알아들을 수 없어, 대응에 당황할 때가 있다.
그 결과, 출금 지폐가, 입출금구의 내부에 장시간 방치된 상태가 된다.
ATM은, 출금 지폐가 지폐 빼냄용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입출금구로부터 빼내지지 않은 경우에, 출금 지폐를 갖고 가는 것을 잊은 것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출금 지폐의 갖고 가는 것을 잊음(회수 망각)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 ATM은, 벨트(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타이밍 벨트나 특허문헌 2의 반송 벨트)를 역회전시켜, 출금 지폐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ATM은, 출금 지폐를 입출금구의 내부에 수납한다. ATM은, 출금 지폐를 입출금구 내부 수용하면, 입출금구의 셔터를 폐쇄하고, 출금 지폐를 입출금구로부터 장치 내부의 회수 망각 카세트까지 반송하여, 출금 지폐를 회수 망각 지폐로서 회수 망각 카세트에 수납한다.
종래의 매체 처리장치는, 상기한 것과 같이, 종이 형상 매체(상기한 예에서는, 출금 지폐)가 일정시간 이상 매체 전달구(상기한 예에서는, 입출금구)로부터 빼내지지 않은 경우에, 알람 소리를 울려, 이용자에게 종이 형상 매체(출금 지폐)의 빼냄을 촉구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매체 처리장치는, 이용자가 노령자나 난청자 등인 경우에, 알람 소리를 울려도, 이용자가 알아채지 못하여, 종이 형상 매체의 회수 망각 처리를 행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 때문에, 종이 형상 매체의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기대되어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종이 형상 매체의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지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종이 형상 매체의 전달을 행하는 매체 처리장치로서, 상기 매체가 전달되는 매체 전달구과, 상기 매체 전달구에 설치되고,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 전달구의 내부에서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매체 전달구 기구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이 매체 처리장치에 설치된 매체 전달구 기구는, 종이 형상 매체를 매체 전달구의 내부에서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이 매체 처리장치는, 가령 이용자가 노령자나 난청자 등이어도, 시각적인 작용에 의해 종이 형상 매체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매체 처리장치는, 종이 형상 매체의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이 매체 처리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알람 소리도 울림으로써, 종이 형상 매체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이 형상 매체의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더욱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형상 매체(예를 들면, 출금 지폐)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1)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2)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4)이다.
도 7a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1)이다.
도 7b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1)이다.
도 8a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2)이다.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2)이다.
도 9a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3)이다.
도 9b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3)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각 도면은, 본 발명을 충분하게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에 지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요소나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지폐를 상승시키는 수단(이하,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이라고 칭한다)은, 지폐를 끼우는 동작이나 지폐를 끼운 상태로 상승시키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은, 구성 부품 수가 많아져, 비용의 저감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은, 지폐의 회수 망각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지폐를 상승시킨 상태로부터 지폐를 하강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은, 지폐의 원활한 하강 동작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구성 부품을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보다도 삭감하여, 비용의 저감을 실현하고, 더구나, (2) 구동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지폐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제어를 단순화하는 동시에, 지폐의 원활한 하강 동작을 실현하는 매체 전달구 기구의 제공을 부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매체 처리장치(자동 거래장치)의 전체 구성>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매체 처리장치의 주요한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매체 처리장치를 ATM으로 하고, 종이 형상 매체를 지폐(출금 지폐)로 하고, 매체 전달구 기구를 지폐 입출금구 기구로 하여 설명한다.
ATM(1)은, 금융기관의 영업 점포나 편의점, 주유소, 슈퍼마켓 등에 설치되어, 종이 형상 매체로서 지폐를 입출금하는 장치이다. ATM(1)은, 금융기관이 유지·관리하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회선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이용자의 구좌번호나, 성명, 예금 잔고 정보 등의 고객정보를 도시하지 않은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ATM(1)은, 제어부(6), 기억부(7), 접근 검지기(10), 고객 조작 표시부(11), 화폐 입출금부(12), 카드 처리부(13), 숫자 키부(14), 영수증 처리부(15), 및, 하우징 셔터(16)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ATM(1)은, 지폐기 셔터(17), 입출금구(18), 카세트부(21), 일시 보류부(22), 감별부(23), 반송로(24), 지폐 입출금구 기구(30), 및, 풀 가이드(31a, 3lb)를 갖고 있다.
제어부(6)는, ATM(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제어부(6)는, CPU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6)는,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구인 인터페이스부를 갖고 있다.
기억부(7)는,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이다. 기억부(7)는, RAM이나, ROM,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근 검지기(10)는, 이용자가 ATM(1)로 다가온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다.
고객 조작 표시부(11)는, 거래 처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이용자에게 조작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고객 조작 표시부(11)는, 거래 처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시하기 위한 거래 유도 표시부와, 거래 유도 표시부의 표면에 배치되고, 고객에게 조작 정보를 입력하게 하기 위한 터치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화폐 입출금부(12)는, 화폐를 취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에서는, 화폐가, 종이 형상 매체인 지폐 M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화폐 입출금부(12)를 「지폐 입출금부(12)」로 칭한다.
카드 처리부(13)는, 고객 식별용의 카드(캐시카드 등)로부터, 금융기관마다의 코드와, 고객의 구좌번호, 성명 등의 고객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이다. 카드 처리부(13)는, ATM(1)의 프론트측에 설치된 카드 삽입 반환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ATM(1)은, 고객이 캐시카드를 카드 삽입 반환구에 삽입하면, 캐시카드를 내부에 받아들여, 카드 처리부(13)에 의해 고객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ATM(1)은, 거래가 종료하면, 캐시카드를 카드 삽입 반환구로 되돌려주어, 고객에게 반환한다.
숫자 키부(14)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이다. 고객은, 고객 조작 표시부(11)에 표시되는 거래 진행 화면의 지시에 따라, 숫자 키부(14)를 조작해서 비밀번호 등을 입력한다. 숫자 키부(14)는, 고객 조작 표시부(1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숫자 키부(14)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객 조작 표시부(11)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고객의 배후에 서 있는 제3자에 의한 고객의 비밀번호 등의 입력 조작을 엿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객의 신체의 그림자가 되는 위치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하면 좋다.
영수증 처리부(15)는, 영수증에 거래 명세의 인자를 행해서 발행하는 수단이다.
하우징 셔터(16) 및 지폐기 셔터(17)는, 각각, 입출금구(18)의 주위에 설치된 셔터이다. 하우징 셔터(16)는, 하우징에 설치된 셔터이며, 지폐기 셔터(17)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셔터이다. 이하, 하우징 셔터(16)를 「외부 셔터(16)」로 칭하고, 지폐기 셔터(17)를 「내부 셔터(17)」로 칭한다.
외부 셔터(16)는, 내부 셔터(17)를 보호한다. 외부 셔터(16)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개폐한다. 외부 셔터(16)의 주위에는, 외부 셔터(16)의 개폐 위치를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6)는, 이 센서에 의한 검지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 셔터(16)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내부 셔터(17)는, 고객에 의한 입금 처리할 지폐 M(이하, 「입금 지폐 M」으로 칭한다)의 입출금구(18)에의 투입, 및 출금 처리할 지폐 M(이하, 「출금 지폐 M」으로 칭한다)의 입출금구(18)로부터의 빼냄을 제한한다. 내부 셔터(17)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B 방향으로 접동됨으로써, 개폐한다. 내부 셔터(17)의 주위에는, 내부 셔터(17)의 개폐 위치를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6)는, 이 센서에 의한 검지 정보에 근거하여, 내부 셔터(17)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입출금구(18)는, 고객과의 사이에서의 종이 형상 매체의 전달에 사용되는 매체 전달구이다. 입출금구(18)는, 이용자측 (ATM(1)의 프론트측)이 낮아지고, ATM(1)의 리어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입출금구(18)는, 입금 거래시에,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가 개방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입금 지폐 M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ATM(1)은, 고객이 입금 지폐 M을 입출금구(18)에 투입하면, 입금 지폐 M을 지폐 입출금부(12)의 내부에 받아들인다.
또한, 입출금구(18)는, 출금 거래시에, 출금 지폐 M이 집적되어,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가 개방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출금 지폐 M의 빼냄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ATM(1)은, 출금 지폐 M이 일정시간 이상 입출금구(18)로부터 빼내지지 않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폐 입출금구 기구(30)가, 출금 지폐 M을 상승시켜, 출금 지폐 M을 입출금구(18)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동작, 및, 출금 지폐 M을 하강시켜, 출금 지폐 M을 입출금구(18)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동작을, 연속해서 행한다.
이에 따라, ATM(1)은, 시각적인 작용에 의해, 출금 지폐 M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시에, 이용자에게 출금 지폐 M의 빼냄을 촉구한다.
카세트부(21)는, 돈의 종류별로 지폐 M을 보관하는 보관고이다.
일시 보류부(22)는, 입금 또는 출금 거래시에 지폐 M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보관고이다.
감별부(23)는, 입금 또는 출금 거래시에 지폐 M의 진위 감별이나 계수를 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반송로(24)는, 지폐 M을 각 부에 반송하는 반송수단이다.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매체 전달구(여기에서는, 입출금구(18))의 내부에서, 종이 형상 매체를 리프트업시키는 기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출금 거래시에, 입출금구(18)의 내부에서 출금 지폐 M을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킨다.
풀 가이드(31a, 31b)는, 각각, 입출금구(18)의 내부에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종이 형상 매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이다. 풀 가이드 31a는, ATM(1)의 프론트측에 설치되어 있고, 풀 가이드 31b는, ATM(1)의 리어측에 설치되어 있다.
<매체 전달구 기구(지폐 입출금구 기구)의 구성>
이하, 도 3∼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리어측에서 본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프론트측에서 본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사이드측에서 본 매체 전달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입출금구(18)와 마찬가지로, 이용자측(프론트측)이 낮아지고, ATM(1)의 리어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브래킷(32), 슬라이더(33), 링크부재(35), 구동 모터(36), 구동 기어(37), 및, 전달 기어(38)를 갖고 있다.
브래킷(32)은, 링크부재(35)와, 구동 모터(36), 전달 기어(38) 등의 각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브래킷(32)은, 링크부재(35)가 후술하는 지점(支點)부(51)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도록, 링크부재(35)가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35)는, 일단측이 후술하는 연결부(55)에 의해 슬라이더(33)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후술하는 구동 받침부(52)에 의해 회전부재(여기에서는, 전달 기어(38))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2)은,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에 부착된 구동 기어(37)가 전달 기어(38)와 맞물리도록, 구동 모터(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2)은, 전달 기어(38)가 링크부재(35)의 후술하는 구동 받침부(52)와 평행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전달 기어(38)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도 3∼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브래킷(32)은, 슬라이더(33)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리어측(도 2 참조)으로 후퇴하고, 구동 모터(36), 구동 기어(37), 및, 전달 기어(38)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프론트측(도 2 참조)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을 「돌출 부분」으로 칭하고, 후퇴해서 형성된 부분을 「후퇴 부분」으로 칭한다, 또한, 돌출 부분과 후퇴 부분을 연결시키는 부분을 「사이드 부분」으로 칭한다. 브래킷(32)의 사이드 부분에는, 링크부재(35)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32)의 후퇴 부분의 프론트측에는, 링크부재(35)가 후술하는 지점부(5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35)는, 브래킷(32)의 사이드 부분에 설치된 개구를 통과함으로써 브래킷(32)의 프론트측으로부터 리어측으로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32)의 돌출 부분의 리어측에는, 구동 모터(36), 구동 기어(37), 및 전달 기어(38)가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35)는, 후술하는 구동 받침부(52)에 의해 전달 기어(38)와 걸림으로써 구동 모터(36)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슬라이더(33)는, 종이 형상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슬라이더(33)는, 링크부재(35), 전달 기어(38), 및 구동 기어(37)를 거쳐 구동 모터(36)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더(33)는,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이 일방향(도 3에 나타낸 A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종이 형상 매체를 위에 재치한 상태에서 매체 전달구의 내부를 연속해서 상하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33)는, 지폐 M을 지지하기 위한 3개의 부위(이하, 「지지부」로 칭한다) 33a, 33b, 33c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33)는, 2매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함으로써 우측의 지지부 33a와 좌측의 지지부 33과를 형성한다. 또한, 2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함으로써, 중앙의 지지부 33b를 형성한다. 그리고, 2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1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의 대략 중앙에 부착함으로써, 슬라이더(33)는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지지부재(33)는, 예를 들면 주형성형에 의해, 각 지지부 33a, 33b, 33c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슬라이더(33)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슬라이더(33)의 양 옆에는, 승강 로울러(4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로울러(42)는, 슬라이더(33)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승강 로울러(42)는, 슬라이더(33)의 주위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2개의 레일(슬라이더 축)에 접촉하고 있다. 슬라이더(33)는, 승강 로울러(42)가 2개의 레일의 표면을 회전함으로써, 2개의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접동한다. 또는, 승강 로울러(42)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승강 로울러 회전축(43)에 의해 브래킷(32)에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 뿐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도6은, 승강 로울러(42)의 단면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 로울러(42)는, 슬라이더(33)가 상하 이동할 때에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더(33)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한다.
링크부재(35)는, 일단측이 슬라이더(33)와 연결되고, 일단측과 타단측이 다른 방향으로 연신해서 설치된 길다란 판형의 부재이다. 링크부재(35)는, 일단측이 슬라이더(33)를 승강시키는 승강부(53)로 되고, 타단측이 구동 모터(3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 구동 받침부(52)로 되어 있다.
링크부재(35)는, 승강부(53)에, 슬라이더(33)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연결부(5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링크부재(35)는, 구동 받침부(52)에, 전달 기어(38)의 후술하는 전달 로울러(39)를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긴 구멍(54)을 구비하고 있다.
긴 구멍(54)은, 전달 로울러(39)의 이동 범위를 커버하도록, 구동 받침부(52)의 연신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링크부재(35)는, 대략 중간부가 브래킷(32)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지점부(51)로 되어 있고, 그 지점부(51)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함으로써, 구동 받침부(52) 및 승강부(53)가 상하 이동한다. 링크부재(35)는,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동 모터(36)는, 전달 기어(38)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다.
구동 기어(37)는, 전달 기어(38)와 맞물리는 기어이며,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다.
전달 기어(38)는, 링크부재(35)의 구동 받침부(52)와 평행하게 회전하는 회전부재이다. 전달 기어(38)는, 구동 기어(37)를 통해 구동 모터(3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음으로써 회전한다.
전달 기어(38)는, 가장자리부에, 전달 로울러(39)를 구비하고 있다. 전달 로울러(39)는, 링크부재(35)의 구동 받침부(52)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이다. 전달 기어(38)는, 전달 로울러(39)가 링크부재(35)의 구동 받침부(52)의 긴 구멍(54)에 삽입됨으로써, 링크부재(35)의 구동 받침부(52)와 걸린다. 이에 따라, 전달 기어(38)는, 구동 모터(36)로부터의 구동력을 링크부재(35)에 전달한다. 이때, 전달 기어(38)는,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전달 기어(38)는, 구동 기어(37)를 거치지 않고, 구동 모터(36)로부터의 구동력을 직접 받아 회전하는 구성으로 된다.
<매체 전달구 기구(지폐 입출금구 기구)의 동작>
이하,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지폐 입출금구 기구(30)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고, 다음에, 지폐 입출금구 기구(3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지폐 입출금구 기구의 동작의 개요)
우선, 지폐 입출금구 기구(30)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우선, ATM(1)의 제어부(6)가, 지폐 입출금구 기구(30)의 구동 모터(36)를 작동시켜,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을 일방향(도 3에 나타낸 A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에는, 전달 기어(38)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37)가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달 기어(38)는, 구동 모터(36)의 회전축과는 역방향(도 3에 나타낸 Ab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달 기어(38)의 가장자리부에는, 전달 로울러(39)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전달 로울러(39)는, 링크부재(35)의 구동 받침부(52)의 긴 구멍(54)에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달 로울러(39)는, 전달 기어(38)가 구동 모터(36)의 회전축과는 역방향(도 3에 나타낸 Ab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긴 구멍(54)의 내부를 접동한다.
링크부재(35)는, 전달 로울러(39)가 긴 구멍(54)의 내부를 접동함에 따라, 지점부(51)를 중심으로 하여, 구동 받침부(52)가 도 3에 나타낸 Ac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고, 승강부(53)가 구동 받침부(52)의 동작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그 결과, 링크부재(35)의 승강부(53)의 연결부(55)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33)가, 도 3에 나타낸 Ad 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이와 같이,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구동 모터(36)를 일 방향(도 3에 나타낸 A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33) 및 그 슬라이더(33) 위에 재치된 지폐 M을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킨다.
이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지폐 M을 사이에 끼우기 위한 기구나 벨트·로울러 등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지폐 M은, 미억제된 상태(즉, 어떠한 부재에 의해 눌러지지 않고 있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리프트업된다.
(지폐 입출금구 기구의 구체적인 동작)
다음에, 도 7∼도 9를 참조하여, 지폐 입출금구 기구(30)의 구체적인 동작(출금 거래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도 9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리어측에서 본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슬라이더(33)가 하사점(下死點)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b는, 슬라이더(33)가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는, 사이드측에서 본 매체 전달구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비교적 다수의 지폐 M을 출금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고, 도 9는, 비교적 소수(도시예에서는, 1매)의 지폐 M을 출금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 및 도 9A는, 슬라이더(33)가 하사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도 8B 및 도 9B는, 슬라이더(33)가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및 도 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미리, 슬라이더(33)를 하사점에 배치시키고 있다. 이때, 여기에서는, 슬라이더(33)의 위치 제어는, 예를 들면, 제어부(6)가 전달 로울러(39)의 위치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6)는, 전달 로울러(39)가 도 7a에 나타낸 상태일 때에, 슬라이더(33)가 하사점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전달 로울러(39)가 도 7b에 나타낸 상태일 때에, 슬라이더(33)가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제어부(6)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기어(38) 및 구동 모터(36)의 회전 각도를 관리하고 있고, 슬라이더(33)가 하사점 또는 상사점에서 정지하도록 구동 모터(36)의 회전을 제어하면 된다.
ATM(1)은, 고객이 고객 조작 표시부(11) 등을 조작해서 거래 처리로서 출금 거래를 지정하고, 더구나, 출금 금액을 입력하면, 출금 거래를 개시한다. 이때, ATM(1)의 제어부(6)가, 지폐 입출금부(12)를 작동시켜, 카세트부(21)에 수납된 지폐 M을 감별부(23)에서 감별하게 한다. 더구나, 제어부(6)는, 감별부(23)에서 출금 가능하다고 판정된 지폐 M을 출금 금액에 해당하는 매수분만큼 입출금구(18)의 내부의 슬라이더(33) 위에 집적시킨다.
제어부(6)는, 지폐 M이 슬라이더(33) 위에 집적되면, 입출금구(18)의 주위에 설치된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를 개방시킨다.
제어부(6)는, 지폐 입출금구 기구(30)의 구동 모터(36)를 작동시켜,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을 일 방향(도 3에 나타낸 A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6)는, 슬라이더(33) 및 그 슬라이더(33) 위에 재치된 지폐 M을 상승시킨다. 제어부(6)는, 슬라이더(33)가 상사점의 위치(도 7b 및 도 8b 참조)까지 상승하면, 구동 모터(36)를 일단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는, 입출금구(18)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지폐 검출 센서의 출력에 의해 지폐 M의 빼냄 상황을 감시한다.
제어부(6)는, 고객이 지폐 M을 빼낸 것을 검출하면 구동 모터(36)를 작동시켜,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을 슬라이더(33)의 상승시와 동일한 방향(도 3에 나타낸 A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6)는, 슬라이더(33)를 하강시킨다. 제어부(6)는, 슬라이더(33)가 하사점의 위치(도 7a 및 도 8a 참조)까지 하강하면, 구동 모터(36)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는, 입출금구(18)의 주위에 설치된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ATM(1)은,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제어부(6)는, 지폐 M이 일정시간 이상 입출금구(18)로부터 빼내지지 않은 경우에,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를 개방한 후의 경과 시간(이하, 「경과 시간」으로 칭한다)이 지폐 빼냄용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하, 「지폐 빼냄용 시간」으로 칭한다)에 이를 때까지, 입출금구(18)의 주위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알람 소리를 울려, 이용자에게 지폐 M의 빼냄을 촉구한다.
이때, 제어부(6)는, 경과 시간이 지폐 빼냄용 시간에 이를 때까지, 구동 모터(36)를 작동시켜,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을 일 방향(도 3에 나타낸 A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ATM(1)은, 지폐 입출금구 기구(30)가, 출금 지폐 M을 상승시켜, 출금 지폐 M을 입출금구(18)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동작, 및, 출금 지폐 M을 하강시켜, 출금 지폐 M을 입출금구(18)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동작을 연속해서 행한다. 이에 따라, ATM(1)은, 지폐 M의 회수 망각이 의심될 경우에, 시각적인 작용에 의해, 출금 지폐 M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시에, 이용자에게 출금 지폐 M의 빼냄을 촉구한다. 따라서, ATM(1)은, 출금 지폐 M의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6)는, 구동 모터(36)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6)는, 입출금구(18)의 주위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지폐 M을 받아 주세요」등의 지폐 M의 빼냄을 촉구하는 어나운스를 흘려보내도록 하여도 된다.
제어부(6)는, 경과 시간이 지폐 빼냄용 시간에 이르러도, 지폐 M이 빼내지지 않은 경우에, 슬라이더(33) 및 그 슬라이더(33) 위에 재치된 지폐 M을 하강시킨다. 제어부(6)는, 슬라이더(33)가 하사점의 위치(도 7a 및 도 8a 참조)까지 하강하면, 구동 모터(36)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는, 입출금구(18)의 주위에 설치된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를 폐쇄시키고, 지폐 입출금부(12)에, 슬라이더(33) 위에 재치된 지폐 M을 도시하지 않은 회수 망각 카세트에 수납시킨다. 이에 따라, ATM(1)은,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단, 제어부(6)는, 경과 시간이 지폐 빼냄용 시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도, 접근 검지기(10)에 의해 이용자가 멀어진 것을 검지했을 때에는,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가 개방된 채의 상태이면, 제3자에게 지폐 M을 빼내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신속하게, 외부 셔터(16) 및 내부 셔터(17)를 폐쇄시키고, 지폐 입출금부(12)에, 슬라이더(33) 위에 재치된 지폐 M을 도시하지 않은 회수 망각 카세트에 수납시킨다. 이에 따라, ATM(1)은,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ATM(1)은, 지폐 M을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에, 1왕복의 상하 이동에 필요한 구동시간의 배수로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를 계속해서 구동하면 된다. ATM(1)은, 이와 같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지폐 M을 복수회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지폐 M의 회수 망각의 의심이 있는 경우에, 지폐 M의 위치 및 지폐 M의 빼냄을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다.
ATM(1)은, 시각적인 작용에 의해, 지폐 M의 위치 및 지폐 M의 빼냄을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으므로, 지폐 M의 회수 망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TM(1)은, 제어부(6)가 구동 모터(36)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서서히 지폐 M의 상하 이동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어필을 강조할 수도 있다. 더구나, ATM(1)은, 동시에, 입출금구(18)의 주위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지폐 M을 받아 주세요」 등의 지폐 M의 빼냄을 재촉하는 어나운스를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지폐 M의 회수 망각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이용자측(프론트측)이 낮아지고, ATM(1)의 리어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지폐 M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지폐 M을 미억제된 상태(즉, 어떠한 부재에 의해 눌러지지 않고 있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장치의 앞쪽으로 모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적 다수의 지폐 M을 출금하는 경우에, 지폐 M이 장치의 앞쪽에 모인 상태가 되고, 그 상태에서 지폐 M을 출금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예를 들면,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적 적은 수(도시예에서는, 1매)의 지폐 M을 출금하는 경우에, 가령 지폐 M이 입출금구(18)의 내부(특히, 장치의 깊이측)에 부착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지폐 M을 상하 이동시켜, 지폐 M을 뒤흔든다. 이에 따라, 지폐 M을 입출금구(18)의 내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 결과, 지폐 입출금구 기구(30)는,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폐 M이 장치의 앞쪽으로 쓰러진 상태로 되고, 그 상태에서 지폐 M을 출금할 수 있다.
따라서, ATM(1)은, 지폐 M을 빼내기 쉬운 상태로 출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장치에 따르면, 종이 형상 매체를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종이 형상 매체의 회수 망각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매체 처리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의 지폐를 사이에 끼우는 동작이나 지폐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상승시키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보다도 구성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어, 종래의 지폐 상승수단보다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매체 처리장치에 따르면, 구동 모터(36)의 회전 제어에 정회전·역회전의 구별이 없기 때문, 구동 모터(36)를 일 방향으로 일정시간 구동시키면 된다. 그 때문에, 이 매체 처리장치에 따르면, 회전 방향의 전환이 불필요한, 간단한 구동 모터(36)의 회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지폐 M의 원활한 하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매체 처리장치에 따르면, 비교적 다수의 지폐 M을 출금하는 경우에, 지폐 M이 장치의 앞쪽에 모인 상태로 되고, 그 상태에서 지폐 M을 출금할 수 있다.
또한, 이 매체 처리장치에 따르면, 비교적 적은 수의 지폐 M을 출금하는 경우에, 가령 지폐 M이 입출금구(18)의 내부(특히, 장치의 깊이측에 부착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지폐 M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지폐 M을 입출금구(18)의 내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 매체 처리장치에 따르면, 지폐 M을 빼내기 쉬운 상태로 출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체 전달구 기구 30은, 지폐에 한정되지 않고, 티켓 발행기 등의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임의의 매체의 전달을 행하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브래킷(32)이나 지지부재(33) 등의 형상은,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33)는, 2매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1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함으로써 우측의 지지부 33a와 좌측의 지지부 33c를 형성하는 동시에, 2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함으로써 중앙의 지지부 33b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2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1매째의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의 대략 중앙에 부착함으로써, 슬라이더(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지지부재(33)는, 예를 들면, 주형성형에 의해, 각 지지부 33a, 33b, 33c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슬라이더(33)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38)는, 구동 기어(37) 및 전달 기어(38)를 거쳐 구동 모터(36)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회전부재(38)는, 구동 기어(37) 및 전달 기어(38) 이외에, 다른 기어를 거쳐 구동 모터(36)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회전부재(38)는, 구동 모터(36)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구동 모터(36)로부터 직접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1 매체 처리장치(자동 거래장치; ATM)
6 제어부
7 기억부
10 접근 검지기
11 고객 조작 표시부
12 화폐 입출금부(지폐 입출금부)
13 카드 처리부
14 숫자 키부
15 영수증 처리부
16 외부 셔터(하우징 셔터)
17 내부 셔터(지폐기 셔터)
18 입출금구
21 카세트부
22 일시 보류부
23 감별부
24 반송로
30 지폐 입출금구 기구
31a, 31b 풀 가이드
32 브래킷
33(33a, 33b, 33c) 슬라이더(지지부재)
35 링크부재
36 구동 모터
37 구동 기어
38 전달 기어(회전부재)
39 전달 로울러
42 승강 로울러
43 승강 로울러 회전축
51 지점부
52 구동 받침부
53 승강부
54 긴 구멍
55 연결부
M 매체(지폐)

Claims (7)

  1.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종이 형상 매체의 전달을 행하는 매체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가 전달되는 매체 전달구와,
    상기 매체 전달구에 설치되고,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 전달구의 내부에서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매체 전달구 기구를 갖는 매체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전달구 기구는, 상기 매체를, 미억제된 상태에서 또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매체 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전달구 기구는,
    상기 매체를 위에 재치한 상태에서 상기 매체 전달구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부재와,
    일단측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일단측과 타단측이 다른 방향으로 연신해서 설치된 길다란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대략 중간부를 지점부로 하여, 해당 지점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링크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브래킷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측과 걸리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측과 평행하게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갖고,
    상기 회전부재는, 가장자리부에,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측에,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타단측에,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돌출부를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들이는 구동 받침부를 구비하고 있는 매체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구동 받침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측의 연신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동 받침부의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매체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긴 구멍 내부를 접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된 일단측이 연속해서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는 매체 처리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모터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매체 처리장치.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 전달구의 내부에서 연속해서 상하 이동시킬 때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매체 처리장치.
KR1020117002630A 2009-11-30 2010-07-05 매체 처리장치 KR101513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0933A JP5471366B2 (ja) 2009-11-30 2009-11-30 媒体処理装置
JPJP-P-2009-270933 2009-11-30
PCT/JP2010/061420 WO2011065049A1 (ja) 2009-11-30 2010-07-05 媒体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401A true KR20120098401A (ko) 2012-09-05
KR101513963B1 KR101513963B1 (ko) 2015-04-21

Family

ID=4406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30A KR101513963B1 (ko) 2009-11-30 2010-07-05 매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8856B2 (ko)
EP (1) EP2509051B1 (ko)
JP (1) JP5471366B2 (ko)
KR (1) KR101513963B1 (ko)
CN (1) CN102257537B (ko)
WO (1) WO2011065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8923B2 (ja) * 2012-03-06 2014-06-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紙幣出金装置
JP5891957B2 (ja) * 2012-06-01 2016-03-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繰出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5849860B2 (ja) * 2012-06-05 2016-02-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方法
JP6303921B2 (ja) * 2014-08-25 2018-04-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取引装置
JP2016133966A (ja) * 2015-01-19 2016-07-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引渡装置及びシャッタ開閉機構
CN107274551A (zh) * 2017-08-16 2017-10-2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临时收集装置及自动交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192B2 (ja) * 1990-10-30 1998-06-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の紙幣集積方法
JPH09221239A (ja) 1996-02-15 1997-08-26 Omron Corp 駆動力伝達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
JP3318206B2 (ja) * 1996-07-19 2002-08-26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自動取引装置
JP2693749B2 (ja) * 1996-08-02 1997-12-24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装置
GB2365610A (en) * 2000-08-02 2002-02-20 Ncr Int Inc Self-service terminal
JP4815064B2 (ja) 2001-05-07 2011-11-16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3996831B2 (ja) * 2002-09-27 2007-10-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取扱装置
JP4631391B2 (ja) * 2004-10-27 2011-0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4579651B2 (ja) * 2004-11-05 2010-11-10 富士通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4631834B2 (ja) * 2006-09-08 2011-02-16 マックス株式会社 用紙積載装置及び製本装置
JP4889456B2 (ja) * 2006-11-24 2012-03-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DE102007056998A1 (de) * 2007-11-27 2009-05-2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für die Annahme und Ausgabe von Banknoten
US8276901B2 (en) * 2008-03-26 2012-10-02 Glory Lt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JP5269164B2 (ja) * 2010-10-14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57537A (zh) 2011-11-23
EP2509051B1 (en) 2014-10-08
US8448856B2 (en) 2013-05-28
JP2011113423A (ja) 2011-06-09
EP2509051A4 (en) 2013-08-21
US20120097700A1 (en) 2012-04-26
WO2011065049A1 (ja) 2011-06-03
EP2509051A1 (en) 2012-10-10
CN102257537B (zh) 2015-08-12
JP5471366B2 (ja) 2014-04-16
KR101513963B1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3505B1 (en) Atm with stack transporter for bulk note deposit
EP2328128B1 (en) Paper money deposit/withdrawal machine
KR20120098401A (ko) 매체 처리장치
JP5280976B2 (ja) 紙葉取扱装置
JP6483281B2 (ja) 自動取引装置
JP5342965B2 (ja) 紙葉取扱装置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6127050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9271803A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13033464A (ja) テーブルゲーム用紙葉類取扱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3560516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16029518A (ja) 紙幣取扱装置
CN111275881B (zh) 带有纸币止动器的自动柜员机
JP4610295B2 (ja) 自動取引装置
KR10072287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의 현금회수방법
JP2012014636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KR101508267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080062868A (ko) 지폐입출금장치의 푸쉬플레이트 구동구조 및 그 제어방법
JPH077827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2203267A (ja) 貨幣処理機
JP2006209274A (ja) 紙幣入出金機
KR20120098280A (ko) 현금입출금기의 반송로에 사용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
JP2002203265A (ja) 貨幣入金機
KR20100052101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