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639A -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장치 및 시스템 및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장치 및 시스템 및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639A
KR20120023639A KR1020117026319A KR20117026319A KR20120023639A KR 20120023639 A KR20120023639 A KR 20120023639A KR 1020117026319 A KR1020117026319 A KR 1020117026319A KR 20117026319 A KR20117026319 A KR 20117026319A KR 20120023639 A KR20120023639 A KR 2012002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d
holding means
conveying
holding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869B1 (ko
Inventor
헨리 쿤쯔
크리스챤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아토테크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테크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토테크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2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85Apparatus for treatments of printed circuits with liqui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conveyors and hol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8Transferring the substrates through a series of coating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01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e.g. dust, moisture or residual gas, in the reac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12Details relating to the exhausts, e.g. pumps, filters, scrubbers, partic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47Carriers and holders
    • H05K2203/0165Holder for hold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during processing, e.g. during 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71Mechanical force other than pressure, e.g. shear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09Horizontally held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45Continuous processing, i.e. involving rolls moving a band-like or solid carrier along a continuous production pat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05K3/068Apparatus for etching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3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characterised by selective plating, e.g. for finish plating of p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Chain Convey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취급될 재료(21)가 운반의 방향(5)으로 운반의 평면내에서 운반되는 상기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서 취급될 플랫 재료(21)를 운반하기 위해, 유지 수단(22, 25)이 상기 취급될 재료(21)에 부착된다. 유지 수단(22, 25)은, 상기 취급될 재료(21)가 운반되고 있을 때 에지 영역이 운반의 방향(5)을 따라 향하는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상의 적어도 2개의 포인트에서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한다. 유지 수단(22, 25)은 취급될 재료(21)를 운반하기 위해 운반의 방향으로 상기 유지 수단(22, 25)을 이동시키는 운반 디바이스(41)에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커플링된다. 적어도, 취급될 재료(21)의 운반의 부분 동안, 운반의 평면내에 있고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성분을 갖는 힘(6, 7)이 취급될 재료(21)의 영역, 예를 들어, 세로 에지 영역들에 인가된다.

Description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장치 및 시스템 및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METHOD, RETAINING MEANS,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PORTING A FLAT MATERIAL FEEDSTOCK, AND LOADING OR UN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취급될 플랫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대해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설비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박(foil)과 같은 낮은 고유 강성을 갖는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는 이러한 종류의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취급될 재료의 취급될 이용가능한 영역과 설비의 고정 엘리먼트들 사이의 접촉이 대부분 회피될 수 있는 이러한 종류의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산업에서의 인쇄 회로 보드들과 같은 취급될 플랫 재료의 프로세싱에서, 취급될 재료의 취급은 종종, 습식 화학적 공정 라인에서 발생한다. 종래의 설비들에서, 인쇄 회로 보드들은 종종 롤로 컨베이어들에 배치되어, 설비를 통해 운반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얇아지고 있는 취급될 재료에 대해, 특히, 박-형의 취급될 재료에 대해, 취급될 재료가 낮은 고유 안정성을 갖거나, 단위 면적당 낮은 중량으로 인해, 그 재료를 취급 액체 또는 린싱 액체로 스프레이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거나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롤러 또는 원통형 컨베이어들에 의한 운반은 더욱더 어려워진다. 또한, 일부 기판들의 표면들 및/또는 재료들, 예를 들어, 공정 라인에서 표면들에 도포된 래커(lacquer)들은, 단지 롤러상의 잔여물에 의해 손상될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하다.
DE 10 2007 038 116 A1으로부터, 기판들, 특히, 인쇄 회로 보드들을 운반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이면에 놓인 인쇄 회로 보드들은 유지 클립들에 의해 접속되어 체인을 형성한다. 유지 클립들은 인쇄 회로 보드들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본 발명의 기초적인 목적은,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재료, 특히 낮은 고유 강성을 갖거나 민감한 표면을 갖는 취급될 재료, 예를 들어, 박-형의 인쇄 회로 보드들의 안전한 운반을 허용하는 초기에 언급한 타입의 설비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플랫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대해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의해, 그리고 이러한 타입의 설비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에 의해 또한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거나 이로운 실시예들을 정의한다.
플랫 재료가 운반의 방향에서의 운반 평면내에서 운반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은, 상기 재료를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상의 적어도 2개의 포인트에 유지하는 취급될 재료에 부착될 유지 수단을 제공하고, 이 에지 영역은 상기 취급될 재료가 운반될 때 운반의 방향을 따라 향한다.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도록 운반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적어도 취급될 재료의 운반의 일부 동안, 운반의 평면내에 있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성분을 갖는 힘이 취급될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상에 인가된다.
이 방법의 경우에서, 취급될 재료가 유지 수단상에 탑재되고 상기 수단의 이동의 결과로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재료 자체는 그것을 운반하기 위해 롤러들, 실린더들 또는 유사한 구동 수단과 반드시 접촉할 필요가 없다. 운반의 평면내에 있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성분을 갖는 힘의 인가의 결과로서, 취급될 재료는 가로 방향으로, 즉, 운반의 방향에 대해 직각의 방향에서 그리고 운반의 평면내에서 인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전체 박들과 같은 낮은 고유 강성 및/또는 민감한 표면들을 갖는 취급될 재료를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유지 수단이 취급될 재료에 가장 먼저 부착되고, 그 후, 설비를 통해, 취급될 재료가 탑재된, 상기 유지 수단을 운반하기 위해 설비에 속하는 운반 디바이스에 단지 커플링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유지 수단은 설비로부터, 특히 운반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지 수단을 특히, 설비의 운반 시스템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 방법은, 취급될 재료가 취급될 재료의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직접적으로 연속인 상이한 취급 스테이션을 통해 운반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여기서 유지 수단은 스테이션들 사이의 상기 재료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상이한 취급 스테이션들은 취급 용액의 상이한 성분들 또는 상이한 농도들에 관하여 상이다.
취급될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상에 인가되는 성분을 갖는 힘은, 운반의 평면 외부로의 상기 재료의 편향이 작지만, 취급될 재료가 과잉신장되지 않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성분을 갖는 힘은 또한, 취급될 재료가 설비에 속하는 취급 스테이션을 통해 운반될 때, 취급될 재료의 상위측 및 하위측이 상기 재료의 상부 및 바닥측 각각을 취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취급 스테이션의 고정 엘리먼트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성분을 갖는 힘은 또한, 이러한 거리가 취급될 재료의 폭에 걸쳐 일정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힘은 유지 수단을 통해, 취급될 재료의 에지 영역상에 인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힘은 적어도 취급될 재료의 운반의 일부 동안, 즉, 적어도 설비내의 상기 재료의 운반의 경로의 일부에 걸쳐,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그리고 운반의 평면내에서 유지 수단상에 인가될 수도 있다.
취급될 재료는 상기 재료의 세로 방향을 따라 향하는 다른 에지 영역에서 다른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반대 방향들에서의 힘들, 즉,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그리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힘들은 유지 수단 및 다른 유지 수단상에 인가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상에, 또는 유지 수단 및 다른 유지 수단상에 작용하는 힘은, 취급될 재료의 특성들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힘은 상기 취급될 재료의 최대 허용 변형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힘은 또한, 변형 또는 편향이 상기 운반의 평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들에 의해 초래되는, 운반의 평면 외부로의 상기 재료의 편향 또는 변형이 임계값 보다 작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두께, 및 필요하면, 취급될 재료의 다른 재료 파라미터들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추가로,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를 운반의 방향에 평행하게 인장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부분들이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서로에 대해 프리텐션(pretension)되는 유지 수단의 상이한 부분들은, 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에지를 따라 상기 재료의 정면 및 후면 코너 근처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포인트들에서 취급될 재료를 유지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이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는 에지 영역은 상기 재료의 가로 방향에서, 즉,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취급될 재료의 폭 보다 작은 최대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취급될 재료의 상대적으로 큰 영역이 설비내에서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해 접근가능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은 기계적 탑재 목적 뿐만 아니라, 취급될 재료와의 마스킹 전기적 접촉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지 수단은 예를 들어, 전기화학적 취급 단계가 실행되어야 할 때, 클램프 또는 휠의 형태로 전류-접촉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도전성 접촉될 수도 있다.
습식-화학적 취급 스테이션을 통해 구동할 때, 유지 수단상에 탑재된 취급될 재료는, 취급 유체가 취급될 재료에 적용되는 취급 스테이션의 영역을 지나 상기 유지 수단이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상기 취급 스테이션을 통해 운반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이 운반의 방향에 따라 향하는 취급될 재료의 에지 부분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유지 수단은 취급 스테이션의 적합한 설계에 의해, 취급 유체가 취급될 재료에 적용되는 영역을 측면으로 지나 가이드될 수도 있다. 상기 재료가 린스 및/또는 건조되고 있는 경우에, 그 위에 탑재된 취급될 재료와 함께 유지 수단은, 유지 수단이 또한 린스 및/또는 건조되도록 상기 재료를 린스 및/또는 건조하는 영역을 통해 가이드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이 선택적으로 취급되는 취급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취급 스테이션은 취급될 재료의 가용 영역이 아닌 유지 수단을 취급 유체의 흐름에 노출시키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취급될 재료는, 낮은 고유 강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박일 수도 있다. 상기 취급될 재료는 또한 연속적 재료(continuous material)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제공된 유지 수단은,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에서의 적어도 2개의 포인트에서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지 수단은 운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취급될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속하는 운반 디바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커플링하도록 구성되고, 그렇게 설계되어서,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상태에서, 유지 수단이 후자를 유지하는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이 운반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를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유지 수단은, 상기 재료가 운반되고 있을 때 운반의 방향으로 향하는 취급될 재료의 에지 영역을 안정시킬 수 있다.
유지 수단은 세로축을 갖는 유지 레일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유지 레일은, 축들이 각 경우에서 유지 레일의 세로 축에 수직으로 향하는 제 1 및 제 2 축에 관하여 재료의 휨 또는 비틀림을 상기 레일이 억제하는 방식으로 보강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에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지 레일은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상태에서, 유지 레일의 세로 축이 운반의 방향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상태에서, 유지 수단은 축들이 각 경우에서 운반의 방향에 수직인 제 1 및 제 2 축에 관하여 상기 재료의 휨 또는 비틀림이 상쇄되는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에 작용하는 휨력들을 흡수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은, 부품들이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폐쇄 상태 및 상기 재료의 삽입을 위한 개방 상태를 갖는 제 1 유지 부품 및 제 2 유지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유지 부품들은 예를 들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서로 완전하게 분리될 수도 있는 개별 부품들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 부품들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힘-락킹(force-locking) 연결에 의해 취급될 재료를 탑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로, 취급될 재료는 폼-락킹(form-locking) 방식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유지 부품들 사이에 인력을 인가하는 힘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힘 수단은 유지부들상에 또는 유지부들내에 자석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은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상태에서, 상기 재료의 폭 보다 작은 거리에 걸쳐 운반의 반향에 대해 직각의 방향에서 취급될 재료를 오버랩(overlap)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지 수단에 의해 탑재된 취급될 재료의 상대적으로 큰 영역에 대해, 설비내에서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해 접근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 수단은 액체의 통로가 형성되는 유지 레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유지 수단은, 액체, 예를 들어, 취급 액체 또는 린싱 액체가 유지 수단을 통해 취급될 재료로부터 떨어져 통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지 수단은 롤러 또는 실린더가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동가능한 운반 디바이스에 속하는 구동 롤러 또는 구동 실린더를 상기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지 수단은 예를 들어, 유지 수단이 상기 구동 롤러에 대해 이동하면서, 구동 롤러 또는 구동 실린더를 붙잡거나 그것을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변위시키는 경사측 또는 모떼기된(chamfered) 측을 가질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와 전기적 접촉을 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를 터치하도록 셋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 및 유지 수단이 취급될 재료를 홀딩하고 있을 때 외부 접촉 엘리먼트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다른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 및 다른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은 유지 수단에 제공된 도체부에 의해 전기적 도전성 방식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다른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은 유지 수단이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고 있을 때 유지 수단의 대향측들상에 배열되는 2개의 부분들을 가질 수도 있다. 2개의 부분들에 대해 2개의 접촉 엘리먼트들을 누름으로써, 취급될 재료와의 양호한 전기적 접촉 뿐만 아니라 유지 수단내의 상기 재료의 양호한 기계적 탑재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취급될 플랫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대해, 유지 수단에 의해 에지 영역을 따라 탑재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디바이스는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유지 수단에 커플링될 수 있고, 운반의 방향으로, 취급될 재료가 그 위에 탑재된 상기 유지 수단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운반 수단을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취급될 재료의 운반의 하나의 부분 동안, 운반의 하나의 평면내에 있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성분을 갖는 힘을 취급될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상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의 운반 수단이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에 커플링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재료 자체를 롤러들, 실린더들 또는 유사한 구동 수단과 접촉시킬 필요가 없다. 운반의 평면내에 있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성분을 갖는 힘의 인가의 결과로서, 취급될 재료는 폭 방향, 즉, 운반의 방향에 대해 직각의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의 방향에서 그리고 운반의 평면내에서 유지 수단상에 힘을 인가하는 인장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인장 수단은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동될 수 있고 유지 수단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성되는 이동가능한 베어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베어링은 구동 샤프트에 부착될 수도 있다. 힘 수단, 예를 들어, 한 쌍의 자석들 또는 용수철 엘리먼트가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동가능한 베어링상에 힘을 인가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계는 취급될 재료를 폭 방향으로 차례로 인장할 수 있는 힘에 의해, 상기 유지 수단이 가이드되는 이동가능한 베어링을 통해 유지 수단상에 인가할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에 의해 운반되는 취급될 재료는 다른 유지 수단에 의해 다른 에지 영역을 따라 탑재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의 방향으로 그리고 운반의 평면내에서 다른 유지 수단상에 힘을 인가하도록 셋업되는 다른 인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인장 수단 및 다른 인장 수단은 유지 수단 및 다른 유지 수단상에 대향하는 방향들에서 힘을 인가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다른 인장 수단은 힘이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인가되는 다른 이동가능한 베어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취급될 플랫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대해, 유지 수단에 의해 에지 영역을 따라 유지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및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운반 수단에 커플링된 상기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유지 수단은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설비가 에지 영역을 따라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를 갖는, 취급될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가 제공된다.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는 이러한 타입의 설비에 대한 로더(loader) 또는 언로더(unloader)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는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는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유지 수단을 전환하도록 셋업되고, 유지 수단이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재료를 취급을 위한 설비에 공급하기 위해 취급될 재료에 유지 수단을 부착할 수 있게 하거나, 설비에서 취급된 이후에 취급될 재료로부터 유지 수단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지지 장치는 유지 수단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취급될 재료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 장치는 예를 들어,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천공 플레이트, 또는 공기 쿠션(air cushion)을 생성하는 공기 노즐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러한 플레이트 또는 쿠션은 취급될 재료를 지지할 수 있다.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는 폐쇄 상태에서 유지 수단을 수용하고, 이들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며, 그 후, 폐쇄 상태로 복귀시키고, 이들을 폐쇄 상태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는 유지 수단의 제 1 유지부와 맞물림을 위한 제 1 맞물림 수단, 및 유지 수단의 제 2 유지부와의 맞물림을 위한 제 2 맞물림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수단은 예를 들어, 제 1 유지부 및 제 2 유지부 각각상의 상보적 면과 폼-락킹 방식으로 면 맞물림하는 프로파일된 면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맞물림 수단 및 제 2 맞물림 수단의 상대적 이동을 초래하는 이동 수단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제 1 유지부 및 제 2 유지부를 전환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동 수단은 상대적 이동의 과정에서 커버되는 경로의 함수로서 가변하는 힘을 인가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지부들이 소정의 거리 만큼 서로 분리될 때까지 비교적 높은 힘을 초기에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이동 수단에 의해 인가된 힘은 유지부들을 서로로부터 더욱더 분리하기 위해 더 낮은 값을 가정할 수도 있다. 비교적 높은 힘은 더 낮은 힘이 인가되는 경로 보다 작은 경로에 걸쳐 인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취급될 재료, 특히, 박들과 같은 낮은 고유 안정성을 갖는 취급될 편평한 재료를, 예를 들어, 상기 취급될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를 통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하거나 이로운 실시형태들로 매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취급될 재료의 취급을 위한 설비를 통해 취급될 재료의 운반의 도식적 표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에 의해 탑재되는 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4로부터의 운반 디바이스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디바이스를 갖는, 취급될 재료를 취급하는 설비에 속하는 취급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으로부터의 유지 수단의 제 1 및 제 2 유지부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의 도식적인 부분 절단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표현된 설비에 속하는 쿠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유지 수단의 단부 부분의 평면도이다.
취급될 재료에 관련되는 방향적 또는 위치적 상세는 통상적으로, 운반의 방향을 참조하여 표시된다. 취급될 재료의 운반 동안 운반의 방향에 평행하거나 역평행한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서 칭하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운반의 평면에 있는 방향을 취급될 재료의 "가로 방향"이라 칭할 것이다.
엘리먼트들 또는 장치들의 "착탈가능한 커플링"은, 상기 엘리먼트들 또는 장치들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하지 않고 엘리먼트들 또는 장치들을 서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이러한 타입의 커플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지 수단과 취급될 재료 사이의 "착탈가능한 커플링"은 유지 수단이 상기 유지 수단 또는 상기 재료를 파괴하거나 그들의 기능이 손상되는 방식으로 이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취급될 재료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커플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유지 수단과 운반 디바이스 사이의 "착탈가능한 커플링"은,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유지 수단 또는 상기 운반 디바이스를 파괴하거나 그들의 기능이 손상되는 방식으로 그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운반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커플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예를 들어, 얇은 시트들 또는 박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취급될 플랫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1)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설비(1)는 취급될 재료가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받고, 린스되거나 건조되는 다수의 취급 스테이션을 갖는 공정 라인(2)을 포함한다. 취급 스테이션들(3, 4)은 도식적으로 표현된다. 취급될 재료는 공정 라인(2)내의 운반의 일 방향(5)으로 운반되고, 따라서, 취급 스테이션들(3, 4)로 공급된다. 2개의 취급 스테이션들(3, 4)을 갖는 공정 라인(2)이 설비(1)의 경우에 표현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절하게 적응되는 임의의 원하는 수의 취급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취급 스테이션에서, 취급 유체, 전류, 에너지, 펄스 또는 방사선 중 하나 이상이 예를 들어, 취급될 재료에 공급될 수도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재료는 진동 등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매우 상세히 다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취급될 재료는 유지 수단에 의해 에지 영역, 또는 다수의 에지 영역들에 탑재된다. 상기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의 세로 에지들, 즉, 운반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기 재료의 에지들이 평면내에 있거나, 취급될 재료의 "운반의 평면"으로 칭하는 평면내에 실질적으로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가이드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및 방법들은, 운반의 평면으로부터의 상기 재료의 다양한 영역들의 일탈들이 작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작은 고유 강성을 갖는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고 운반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운반의 일 평면내에서의 취급될 재료의 운반"에 대한 참조는 취급될 재료가 운반되고 있는 동안, 상기 재료의 개별 부분들 또는 영역들이 운반의 평면 외부로 벗어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취급될 재료상에 작용하는 중력, 상기 재료의 유체의 흐름에 대한 노출 등이, 운반의 평면 외부로의 취급될 재료의 영역들의 편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 재료는 예를 들어, 운반의 수평 평면에서 운반될 수도 있다. 공정 라인(2)을 통해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설비(1)에는 운반 디바이스가 장착된다. 도 1에 도식적으로 표현된 설비의 경우에서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운반 디바이스의 실시예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매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설비(1)의 공정 라인(2)내에서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유지 수단이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재료에 부착된다.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가 공정 라인(2)을 통해 운반된 이후에, 취급될 재료로부터 다시 벗겨지거나, 다시 제거된다.
설비(1)는 로딩 장치 또는 로더(10)를 더 포함한다. 취급될 재료는 예를 들어, 로봇(도 1에는 표현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상기 재료의 적절한 스톡(stock)(8)으로부터 로딩 장치(10)에 공급된다. 유지 수단은 또한 상기 유지 수단의 스톡(9)으로부터 로딩 장치(10)에 공급된다. 로딩 장치는 유지 수단을 취급될 재료의 에지 영역에 부착하여서, 상기 유지 수단은 에지 영역상의 다수의 포인트들에서 상기 재료를 유지한다. 매우 상세히 다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지 수단은 운반의 방향에 평행하게 향하는 상기 재료의 에지상에서 에지 부분을 따라 취급될 재료를 유지한다. 유지 수단은 재료내에서 이격 또는 연속적 방식으로 배열되는 에지 부분내의 다수의 포인트 또는 영역들에서 취급될 재료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은 운반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재료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정하는 상기 재료의 2개의 코너 근처에서 적어도 취급될 재료를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은 운반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정하는 취급될 재료의 2개의 코너 근처에서, 및 에지 영역 사이에 배치된 상기 에지 영역의 중심부에서 적어도 취급될 재료를 유지한다.
설비(1)는 또한 운반의 방향에서 로딩 장치(10)의 다운스트림(downstream), 및 공정 라인(2)의 업스트림(upstream)에 배열된 쿠션 장치(12)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쿠션 장치(12)는 로딩 장치(10)로부터, 유지 수단에 의해 탑재되는 취급될 재료(11)를 수용한다. 쿠션 장치(12)는 취급될 탑재 재료(11)를 공정 라인(2)으로 전방으로 운반하고, 동시에, 유지 수단에 의해 탑재된 취급될 재료(11)를 공정 라인(2)내에서 상기 재료의 초기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가속하거나 제동하는 방식으로 셋업될 수도 있다. 다른 기능들이 쿠션 장치(12)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쿠션 장치(12)는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의 방향으로 취급될 탑재 재료(11)를 인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쿠션 장치 (11)는 또한, 연속 기판들 또는 취급될 재료들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 및 제어가능한 구동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공정 라인(2)내에서 취급될 재료의 운반 동안, 설비(1)의 운반 디바이스는 상기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에 작용한다. 운반 디바이스는 유지 수단상에 탑재되는 취급될 재료를 운반의 방향(5)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지 수단을 이동시킨다.
취급될 재료가 공정 라인(2)내에서 운반되는 동안, 성분들(6, 7)을 갖는 힘들이 운반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취급될 재료의 에지 영역들, 즉, 세로 에지들에 인가된다. 힘의 성분들(6, 7)은 이들이 운반의 평면내에 있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가로로 향하는 방식으로 향한다. 운반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취급될 재료의 2개의 에지 부분들에 작용하는 힘의 성분들(6, 7)은 동일한 크기를 가고, 서로에 대해 반대로 향한다. 이들 환경하에서, 상기 힘의 성분들(6, 7) 의 크기는 또한, 이들이 취급될 재료를 인장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힘의 성분들(6, 7)의 크기는 또한, 이들이 재료를 과잉신장하지 않고, 상기 재료의 폭에 걸쳐 운반의 평면에 근접하거나 운반의 평면내에서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힘의 성분들(6, 7)의 크기는 또한, 취급될 재료의 상위측 및 하위측이 상기 상위측 및 하위측을 취급하기 위해 제공된 취급 스테이션들의 고정 엘리먼트들로부터, 상기 취급될 재료의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거리에 있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설비(1)는 또한, 취급된 재료를 수용하는 언로딩 장치(13) 또는 언로더(13)를 갖는다. 공정 라인(2)과 언로딩 장치(13) 사이에, 취급된 재료가 공정 라인(2)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재료를 언로딩 장치(13)에 공급하는 다른 쿠션 장치(14)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언로딩 장치(13)는 취급될 재료로부터 유지 수단을 제거한다. 취급된 상기 재료(15)는 디바이스(1) 외부로 꺼내지고 그 후, 다른 프로세싱 장치로 공급된다.
취급될 재료의 취급에 후속하여 유지 수단이 제거된 이후에, 유지 수단(16)은 또한 디바이스(1)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다른 취급될 재료를 탑재하기 위해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설비(1)를 통해 1회 또는 다수 횟수 구동한 이후에, 유지 수단(16)은 필요하면, 설비(1)를 통한 선행 구동 또는 구동들의 과정에서 유지 수단상에 정착된 침전물들을 상기 유지 수단(16)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세정 공정을 받을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적으로 표현된 바와 같은 설비의 경우에서 취급될 상품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지 수단 및 운반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의 사시도이다. 상기 취급될 재료(2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얇은 시트 또는 박으로서 표현된다. 취급될 재료(21)의 2개의 세로 에지들, 즉, 취급될 재료가 운반되고 있을 때 운반의 방향을 따라 향하는 2개의 에지들에서,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이 상기 재료(21)의 에지 부분들상의, 각 경우에서 적어도 2개의 포인트에서 상기 재료를 유지한다. 표현된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취급될 재료의 코너들 근처 뿐만 아니라 상기 코너들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포인트에서 대응하는 에지 영역을 유지한다.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이들이 가로 방향, 즉, 취급될 재료(21)가 운반되고 있을 때 상기 재료(21)의 폭(B)과 비교하여 작은 최대 거리(BR)에 걸쳐 운반의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운반의 평면내에서 연장하는 방향에서 취급될 재료(21)를 오버랩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유지 수단은 약 5 내지 45mm, 특히, 약 10 내지 35mm, 특히 약 15 내지 30mm의 폭을 가질 수도 있고, 따라서, 상기 유지 수단의 폭보다 작은 폭(BR)에 걸쳐 취급될 재료를 오버랩할 수도 있다.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그들의 길이(LH)가 취급될 재료(21)의 길이(L)에 대응하거나 상기 길이 보다 큰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취급될 재료(21)에 따라, 그것의 코너들의 근처에서 상기 재료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이들이 재료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재료의 일측 또는 양측상의 세로 방향에서 취급될 재료(21)를 넘어 돌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표현된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의 길이(LH)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취급될 재료(21)의 길이(L) 보다 큰 방식으로 선택된다. 세로 방향에서 취급될 재료(21)를 넘어 돌출하는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의 부분들은 설비내에서 취급될 재료들 사이의 최소 거리를 설정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이들이 상기 운반의 방향(5)에서 후면 단부인 단부에서 보다, 운반의 방향(5)에서 전면 단부인 단부에서 상기 재료로부터 더 돌출하는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2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에 표현된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레일들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거기에 수직인 방향들에서 유지 수단(22) 또는 다른 유지 수단(25)의 치수들에 비교하여 긴 길이(LH)를 갖는다.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이 도 2에서 연속 레일들로서 표현되지만, 상기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의 세로 방향에서 이격되고, 에지 영역에서의 다수의 포인트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에 접속되는 다수의 부분들을 또한 가질 수도 있다. 다수인 이들 부분들은, 상기 부분들이 세로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프리텐션되는, 즉, 서로 떨어져 향하는 힘들이 세로 방향에서 유지 수단의 부분들에 인가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용수철 엘리먼트들에 의해 서로에 접속될 수도 있다. 취급될 재료는 또한, 유지 수단에 의해 세로 방향에서 인장될 수 있다.
유지 수단(22)은 레일 형상의 제 1 유지부(23) 및 레일 형상의 제 2 유지부(24)를 갖는다. 유사하게는, 다른 유지 수단(25)은 레일 형상의 제 1 유지부(26) 및 레일 형상의 제 2 유지부(27)를 갖는다.
유지 수단(22 또는 25)이 도 2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유지부(23, 26) 및 제 2 유지부(24, 27)는,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이 제 1 유지부(23, 26)와 제 2 유지부(24, 27) 사이에서 내부로 돌출하고, 그 포인트에서 유지되는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21)의 대향측들상에 배열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31에 표현되는 상세(A)를 설명할 것이다. 취급될 탑재 재료(21)의 A에 의해 지정된 컷어웨이(cutaway) 부분이 31에서 상세도로 확대 방식으로 표현된다. 상부 유지부(23)는 취급될 재료(21)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부분들(32, 33)과의 접촉 에지를 갖는다. 취급될 재료(21)를 향해 대면하는 접촉 에지의 부분들(32, 33)의 단부면들은 상기 재료를 터치하고, 그것을 힘-락킹 방식으로 유지한다. 클리어런스(clearance)들(34, 35)이 유지 에지의 부분들(32, 33)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클리어런스들(34, 35)은 취급 액체들이 유지 수단(22)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액체에 대한 통로를 형성한다. 다른 유지 수단(25)은 유지 수단(22)의 설계에 미러-대칭인 대응하는 설계를 갖는다.
다른 설계에서,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동일한 설계이다.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 각각은, 상부 및 하부 유지부들이 전송의 평면에 대하여 서로에 미러-대칭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유지부들은 예를 들어, 힌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의 단부들은 경사 표면들(28, 29)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 표면들(28, 29)은 먼저 취급될 재료가 운반되고 있을 때 설비의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유지 수단(22)의 단부에서 적어도 구성된다. 이들 환경하에서, 경사 표면들(28, 29)은, 상기 유지 수단(22)의 취급 설비의 운반 디바이스로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지 수단(22)이 그들의 단부들의 방향에서 더 좁아지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은 상기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21)를 운반하기 위해 취급 설비의 적절하게 구성된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들 환경하에서, 유지 수단에 대한 운반 디바이스의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의 가용 영역으로서, 취급을 받는 취급될 재료(21)의 중심 영역이 운반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과 접촉하지 않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이 취급될 재료(21)로부터 다시 방출될 때까지 공정 라인의 다른 고정 엘리먼트들과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발생한다.
도 3은 유지 수단에 의해 탑재되는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디바이스(41)의 사시도이다. 상기 운반 디바이스(41)는 도 1로부터의 설비(1)의 공정 라인(2)에서 운반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운반 디바이스(41)는 취급될 재료의 운반 경로의 측면들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방식으로 배열되는 2개의 롤러 컨베이어들(42, 43)을 갖는다. 롤러 컨베이어들(42, 43) 각각은 운반의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롤러들의 쌍들을 포함한다. 롤러들의 쌍들 각각은 운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격된 2개의 롤러들을 포함한다. 도 3에 표현된 운반 디바이스(41)에서, 롤러들(44', 45')은 수직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서, 하나의 롤러(44')가 취급될 재료(21)가 운반되는 운반의 수평면의 위에 배열되고, 다른 롤러(45')는 아래에 배열된다.
운반 디바이스(41)의 경우에서, 롤러가 운반의 평면상에 배열되는 롤러 컨베이어(43)의 롤러(44'), 및 다른 롤러 컨베이어(42)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롤러(44)가 샤프트에 각각 연결된다. 운반의 평면 아래에 배열된 롤러들은 샤프트에 대응하게 연결된다. 롤러들(44, 44', 45')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샤프트는 운반 디바이스(41)에 속하는 베어링 인서트들(47)상에 탑재된다. 샤프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베어링 인서트(47)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클리어런스(48)내에서 다른 샤프트에 대해 변위가능하도록 탑재된다. 한 쌍의 롤러들에 속하는 롤러들 사이의 수직 거리가 이러한 종류의 탑재 장치의 경우에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이한 두께들을 갖는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운반 디바이스의 일측 - 운반 디바이스(41)의 경우에서 롤러 컨베이어(42)와 동일한 측상에서, 샤프트들은 구동 샤프트(표현되지 않음)를 통해 구동 유닛(표현되지 않음)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기어휠들(46)에 회전가능한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운반 디바이스(41)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21)를 운반의 방향으로 운반하고, 취급되어야 하는 취급될 재료(21)의 중심 가용 영역이 상기 운반 디바이스의 고정 엘리먼트들에 의해 터치되지 않는 동안, 상기 운반 디바이스(41)는 유지 수단(22, 25)을 터치한다. 영역이 취급에 영향을 받는 취급될 재료(21)의 중심 영역은 취급 설비의 취급 스테이션들에서 액체들 또는 기체들과 접촉한다.
운반 디바이스(41)는, 상기 재료의 세로 에지에서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22, 25) 각각에, 운반의 평면내에서 향하고 그리고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유지 수단(22, 25)에 대한 성분(6, 7)을 갖는 힘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들 환경하에서, 운반 디바이스(41)는 취급될 재료(21)를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의 방향으로 인장하기 위해 대향 방향을 갖는 성분들(6, 7)을 갖는 힘들을 유지 수단(22, 25)에 인가한다.
취급될 재료(21)의 양측상에서 유지 수단(22, 25)의 동시 운반을 보장하기 위해, 운반 디바이스(41)에는 동기 장치(표현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상기 동기 장치는 취급될 재료(21)의 상이한 측면들상에 부착된 유지 수단(22, 25)의 동기 전진을 보장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동기 장치는, 운반의 방향에서의 유지 수단의 이동이 중지에 의해 방해되고, 상기 유지 수단이 원하는 시점에 다시 방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동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엘리먼트 및 이동가능한 엘리먼트에 연결되고, 운반의 방향에서 대응하는 유지 수단의 전진을 방지하도록 유지 수단(22, 25) 중 하나 또는 양자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엘리먼트가 맞물려 있는 제 1 위치와, 상기 이동가능한 엘리먼트가 대응하는 유지 수단의 전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가능한 엘리먼트가 위치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엘리먼트가 이동될 수 있는 구동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측면상에서 유지 수단(22)의 전진을 조절하기 위해 제 1 이동가능한 엘리먼트, 예를 들어, 제 1 제어가능한 중지, 및 제 2 측면상에서 유지 수단(25)의 전진을 조절하기 위해 제 2 이동가능한 엘리먼트, 예를 들어, 제 2 제어가능한 중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기 장치의 다른 설계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동기 장치는 상이한 측면들에 부착된 유지 수단의 동기적으로 양호하게 정의된 전진을 초래하도록 운반 동안 유지 수단(22, 25)에서 맞물리는 기어휠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다음에 매우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경우에서, 롤러들의 각 쌍에 속하는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운반의 평면 아래에 제공되는 롤러(45)가 롤러 컨베이어들(42, 4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동가능한 베어링으로서 구성된다. 이동가능한 베어링은 대응하는 유지 수단(22 또는 25)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유지 수단(22 또는 25)을 통해 취급될 재료의 대응하는 에지 영역으로 전달되는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의 성분(6, 7)을 갖는 힘을 관련 유지 수단(22 또는 25)에 인가한다.
도 4는 도 3의 Ⅳ-Ⅳ에 의해 지정된 방향으로부터 롤러 컨베이어(42)에 속하는 한 쌍의 롤러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운반의 방향은 도면의 평면으로 향하고, 운반의 평면은 수평 방향에서 상기 도면의 평면과 교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엘리먼트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롤러 컨베이어(42)에 속하는 한 쌍의 롤러들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롤러 트랙(43)에 속하는 롤러들의 쌍은 기능 관점으로부터 동일한 설계를 가질 수도 있고, 도 4에 표현된 구성과 미러-대칭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이동가능한 베어링들이 롤러 컨베이어(43) 및 롤러 컨베이어(42) 양자에서 제공될 수도 있어서, 취급될 재료는 표유 방식으로 탑재된다.
운반 디바이스(41)의 변형예에서, 롤러는 룰러 컨베이어들(42, 43) 중 하나에서만 이동가능한 베어링으로서 설계되고, 다른 롤러 컨베이어는 소정의 위치에서 관련 유지 수단을 가이드하고 고정 베어링으로서 작용한다.
롤러들의 쌍은,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고 있는 유지 수단(22)이 롤러들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롤러들(44, 45)을 포함한다. 롤러(44)는 샤프트(51)에 부착된다. 롤러(45)는 다른 샤프트(52)에 부착된다. 샤프트(51)는 회전가능한 고정 방식으로 기어휠(46a)에 커플링되고, 다른 샤프트(52)는 회전가능한 고정 방식으로 기어휠(46b)에 커플링된다. 기어휠들(46a 및 46b)은 기어휠(46b)이 회전될 때, 기어휠(46a)이 또한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맞물린다. 상기 기어휠(46b)은 구동 샤프트(표현되지 않음)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베벨 기어(46c)에 커플링된다.
롤러(45)는 유지 수단(22)에 대한 가이드 홈(53)을 갖는다. 상기 롤러(45)는, 특정 범위에 걸쳐 상기 샤프트(52)를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샤프트(52)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45)는 롤러들(44, 45)의 회전에 의해 운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롤러가 탑재되는 유지 수단(22)에 대한 이동가능한 베어링을 형성한다. 샤프트(52)를 따른 롤러(45)의 축방향의 이동가능한 탑재로 인해, 유지 수단(22) 및 따라서 상기 유지 수단(22)에 의해 유지되는 박의 에지 영역에, 운반의 방향에 가로로 운반의 평면내의 성분을 갖는 힘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롤러(44)는 원통형 외면을 갖는다. 롤러(44)의 외면은, 상기 롤러(44)가 가이드 홈으로부터 대향측인 유지 수단(22)의 측면(도 4에서 상부)상에서, 가이드 홈(53)과 함께 롤러(45)의 위치에 관계없이, 유지 수단(22)을 터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운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롤러(45)와 유지 수단(22) 사이에서 동작하는 마찰-락킹 연결이 상기 유지 수단(22)의 무슬립(slip-free) 운반을 보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매우 상세히 다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롤러(44)가 가이드 홈(53)으로 그리고 롤러(45)에 대해 유지 수단(22)을 누르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량이 제공될 수도 있다.
운반 디바이스는 샤프트(52)에 평행한 힘을 롤러(45)에 인가하는 힘 수단을 포함한다. 도 4에 표현된 설계의 경우에서, 힘 수단은 롤러(45)에 부착된 자석(54), 및 샤프트(52)에 따른 고정 축 위치에서 탑재 장치(56)에 의해 유지된 다른 자석(55)을 포함한다. 자석들(54, 55)은 영구 자석들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롤러(45)에 부착된 자석(54), 및 다른 자석(55)은 반발력이 그들 사이에서 작용하도록 셋업된다. 자석들(54, 55) 사이의 반발력은, 힘(57)이 샤프트(52)에 따른 축 방향에서 롤러(45)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유도한다. 유지 수단(22)이 가이드 홈(53)으로 이동할 때, 롤러(45)는 샤프트(52)에 따른 축 방향에서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홈(53)의 에지를 통해 유지 수단(22)에,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힘(57)을 인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21)는 운반 디바이스(41)에 의해 탄성 방식으로 인장될 수 있다.
상이한 두께를 갖는 취급될 재료(21)의 운반, 또는 상이한 설계의 유지 수단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샤프트(51)는 샤프트(52)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베어링 인서트(47)상에 탑재된다. 예를 들어, 샤프트(51)는 샤프트(5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 엔트레인먼트 수단(62)이 샤프트(52)에 부착된다. 클러치(64)가 샤프트(52)로부터 상기 롤러(45)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회전 엔트레인먼트 수단(62)과 롤러(45)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클러치(64)는, 샤프트(62)에 따른 롤러(45)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면서, 토크를 전달하는 클러치(64)가 맞물려 유지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샤프트들(51, 52)의 서로를 향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회전 엔트레인먼트 수단(62)과 접촉할 수 있는 중지 엘리먼트(61)가 샤프트(51)에 부착된다. 중지 엘리먼트(61) 및 회전 엔트레인먼트 수단(62)은, 중지 엘리먼트(61) 및 회전 엔트레인먼트 수단(62)이 서로에 대해 베어링할 때 롤러(45)의 가이드 홈(53)과 롤러(44) 사이의 개재 공간으로, 유지 수단(22)이 모떼기된 단부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중량(63)은 롤러(44)가 유지 수단(22)을 가이드 홈(53)으로 그리고 롤러(45)에 대해 누르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샤프트(51)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들(44, 45)과 유지 수단(22) 사이의 마찰-락킹 연결이 개선될 수 있고, 상기 유지 수단(22)은 롤러(45)의 가이드 홈(53)에 확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운반 디바이스의 롤러들의 쌍의 구성에 대한 변형들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수단(22)의 외부 면이 맞물리는 롤러(45)의 가이드 홈(53) 대신에, 샤프트(52)에 따라 롤러(45)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이 유지 수단(22)으로 전달되는 다른 상보적 맞물림부들이 운반 디바이스에 속하는 롤러 및 유지 수단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취급될 재료(21)의 가로 방향에서 유지 수단(22)에 작용하는 힘은 롤러(45)를 통해 상기 유지 수단(22)에 인가되어서는 안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석(54)은 예를 들어, 롤러(45) 자체상에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로부터 분리되고 취급될 재료의 가로 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을 유지 수단(22)에 인가하도록 셋업된 엘리먼트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기력이 이동가능한 베어링을 통해 간접적이 아니라 샤프트(52)상에 탑재된 영구 자석(55)과 같은 자석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지 수단(22)에 인가될 수도 있다. 샤프트(52)상에 탑재된 자석과 상호작용하는 영구 자석들은 유지 수단(22)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샤프트(52)상에 탑재된 자석 및 유지 수단(22)에서의 영구 자석들은, 취급될 재료가 가로 방향으로 인장되는 방식으로 향하는 성분을 갖는 힘이 상기 유지 수단(22)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배열될 수도 있다. 롤러(45)는 샤프트(52)상에 탑재된 자석에 의해 상기 유지 수단(22)에 인가되는 힘의 영향하에서 취급될 재료(21)의 가로 방향으로 유지 수단(22)이 이동할 수 있는 원통형 외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석들(54, 55) 대신에, 취급될 재료를 탄성 방식으로 인장하는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이고 운반의 평면에서의 성분을 갖는 힘을 유지 수단(22)에 인가하기 위해 다른 적절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52)에 따른 힘을 롤러(45)에 인가하기 위해 용수철 엘리먼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22)은 취급될 재료(21)가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방식으로 향하는 힘을 상기 유지 수단(22)에 인가하기 위해, 세로 방향에 대해 가로로, 즉, 취급될 재료의 가로 방향에서 유체의 흐름에 대해 노출될 수도 있다.
도 11은 여기에 설명한 다양한 방법들 및 장치들의 경우에서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 유지 수단(22a 및 22b) 사이의 인터레이싱을 달성할 수 있는 인접 유지 수단(22a 및 22b) 사이의 커플링(176)을 도시한다. 유지 수단의 단부 부분은 힘이 하나의 유지 수단(22a)으로부터 인접 유지 수단(22b)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인터레이싱은 예를 들어, 기계적 커플링,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텅-앤드-홈(tongue-and-groove) 배열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선행 유지 수단(22a) 및 후행 유지 수단(22b)이 서로 인터레이싱된다는 사실을 통해, (운반의 방향에서 볼 때) 취급될 재료(21)의 전면 또는 후면 에지상의 힘 피크들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레이싱(176)의 결과로서, 유지 수단에 작용하는 힘들이 인접 유지 수단에 의해 또한 흡수된다. 특히, 힘들이 인터레이싱의 결과로서 하나의 유지 수단(22a)으로부터 인접 유지 수단(22b)으로,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인터레이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레이싱(176)은 예를 들어, 힘-락킹 방식에서 1mm 보다 더 작은 클리어런스를 갖는 피트에 의한 유지 수단(22a, 22b)의 적절한 기하학적 설계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서로에 연결된 체인 링크들의 방식으로 폼-락킹 연결도 인터레이싱을 생성하기 위해 가능하다.
도 5는 취급될 재료(21)의 부분이 취급 스테이션(71)에서 취급되는 취급 설비의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유지 수단(22, 25)에 의해 탑재되는 취급될 재료(21)는 취급 설비의 운반 디바이스의 부분(72)에 의해 취급 스테이션(71)으로 공급되고, 상기 취급 설비의 운반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73)에 의해 취급 스테이션(71)으로부터 앞으로 운반된다. 운반 디바이스의 부분들(72, 73)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운반 디바이스(41)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운반 디바이스의 상기 부분들(72, 73)은, 취급될 재료(21)가 앞으로 안전하게 운반되고, 필요하면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인장되는 방식으로 유지 수단(22, 25)이 탑재되는 취급될 재료(21)의 각 위치에 대해, 부분들(72, 73)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당해 취급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취급될 재료(21)의 화학적 취급을 위한 스테이션, 상기 재료의 린싱을 위한 스테이션 또는 상기 재료를 건조시키거나 상기 재료에서 액체를 불어 날리는 스테이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취급 스테이션(71)에 속하는 노즐 장치가 예를 들어, 취급 스테이션을 흐름에 노출시킴으로써 취급될 재료(21)에 공정 화학물질, 물 또는 기체를 공급할 수도 있다.
취급 스테이션은 적절한 취급 유체, 예를 들어, 공정 화학물질, 물 또는 기체가 영역이 유지 수단(22, 25)에 의해 마스크되지 않는 취급될 재료(21)의 중심 가용 영역으로 공급되는 인피드(infeed) 영역(75)을 갖는다. 상기 인피드 영역(75)은 예를 들어, 가용 영역을 취급 유체의 흐름에 노출시키는 노즐 장치를 가질 수도 있다. 인피드 영역(75)은, 그것이 취급될 재료의 중심 가용 영역의 근처까지 도달하지만, 상기 재료를 터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특히, 상기 인피드 영역(75)은, 취급될 재료(21)를 향해 대면하는 그것의 부분이 유지 수단(22, 25) 사이의 내부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인피드 영역이, 예를 들어, 상기 재료의 대향측을 흐름에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재료의 대향측에 취급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도 5의 운반의 평면 아래의) 인피드 영역(75)으로부터 취급될 재료(21)의 대향측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취급될 재료(21)의 대향측들상에 제공된 인피드 영역들은, 취급될 재료가 상기 취급될 재료 (21)의 운반의 평면 외부로의 낮은 임의의 편향을 유지하도록 대칭 방식으로 상하로 작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취급될 재료(21)의 대향측들상에 제공된 인피드 영역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가로 방향에서 상기 재료에 인가된 힘의 성분은, 상기 재료의 상부측이 상기 재료의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인피드 영역(75)으로부터의 거리에 있고, 취급될 재료의 하부측이 상기 재료의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상기 재료의 하부측에 대한 취급 스테이션(71)의 대응하는 인피드 영역으로부터의 거리에 있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취급될 재료(21)의 대향측들상에 제공된 인피드 영역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가로 방향에서 상기 재료에 인가된 힘의 성분은 이들 거리가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취급될 재료(21)가 취급 스테이션(71)을 통해 운반되고 있을 때 유지 수단(22, 25)이 운반되는 클리어런스들은 인피드 영역(75)의 양측상에 제공된다. 인피드 영역(75)과 나란히 다른 인피드 영역들(76, 77)을 제공하는 것이 옵션으로 가능하고, 이에 의해, 취급 유체는 예를 들어, 상기 유체에 유지 수단(22, 25)을 노출시킴으로써 유지 수단(22, 25)에 또한 공급된다. 다른 인피드 영역들(76, 77)은 유지 수단(22, 25)이 특정한 취급 스테이션에서의 취급에 유사하게 영향을 받아야 하는지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인피드 영역들(76, 77)은 취급될 재료가 물로 린스되거나 기체의 흐름에 의해 건조되는 취급 스테이션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취급 스테이션은, 취급 스테이션에 의해 취급될 재료(21) 또는 유지 수단에 의해 마스크되지 않는 취급될 재료의 가용 영역에 공정 화학물질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 유지 수단에 대해 어떠한 인피드 영역들(76, 77)도 제공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정 화학물질이 공급되는 취급 스테이션들에서, 공정 화학물질로 직접 스프레이된 유지 수단(22, 25)이 원치않은 증착물의 증가된 발생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수단(22, 25)이 취급될 재료와 함께 린스되고 건조되는 경우에, 취급될 재료의 가용 영역의 상기 화학물질과 함께, 선행 취급에서 상기 유지 수단(22, 25)을 통과한 공정 화학물질의 트레이스들은 린싱 및 건조 스테이션들에서 유지 수단(22, 25)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취급 스테이션은 또한, 유지 수단(22, 25)의 선택적 취급이 상기 유지 수단(22, 25)이 상기 스테이션을 통해 가이드되는 영역들에서 발생하면서, 취급될 재료의 가용 영역이 취급 스테이션내에서 어떠한 직접적인 취급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유지 수단(22, 25)상에 남겨진 공정 화학물질이 캐리오버(carry-over)를 회피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취급될 재료(21)의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축방향에서 변위가능하도록 특정하게 탑재된 표유 방식으로 탑재되는 실린더를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취급 유체가 공급되는 취급 스테이션을 통해 유지 수단에 의해 탑재되는 취급될 재료의 운반의 설명이 도 5를 참조하여 제공되었지만, 적절한 설계를 갖는 취급 스테이션들이 다른 취급 단계들을 위해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급 스테이션은, 취급 유체, 전류, 에너지, 펄스 또는 방사선 중 하나 이상을 취급될 재료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취급 스테이션은, 영역이 유지 수단(22, 25)에 의해 마스크되지 않은 취급될 상기 재료의 가용 영역이 취급 스테이션 또는 운반 디바이스의 고정 부품들과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취급 스테이션(71)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설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반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취급될 재료(21)의 에지 영역들에서의 유지 수단(22, 25)의 배열은, 인피드 영역이 운반 수단(22, 25)에 의해 마스크되지 않은 취급될 재료의 가용 영역에 근접하게 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취급 스테이션(71)의 취급 유체에 대한 인피드 영역(75)이 설계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취급될 재료(21)로부터의 인피드 영역(75)의 거리는 유지 수단(22, 25)의 치수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운반을 위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취급 설비의 운반 디바이스와 협력하도록 설계된다.
도 6은 라인 Ⅵ-Ⅵ에 의해 도 2 및 도 7에서 도식적으로 표현되는 위치에서 유지 수단(22, 25)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유지 수단의 제 1 유지부(23)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유지 수단의 제 2 유지부(24)의 평면도이다. 도 7a에서의 제 1 유지부(23)의 평면도는, 유지 수단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2 유지부(24)를 향해 대면하는 상기 제 1 유지부(23)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 7b에서의 제 2 유지부(24)의 평면도는, 유지 수단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유지부(23)를 향해 대면하는 제 2 유지부(24)의 측면을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유지부들의 도 7a 및 도 7b에서의 바닥에 표현된 에지는, 도 6에서 좌측상에 표현된 유지 수단의 측면에 대응하고, 취급될 재료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한다.
유지 수단(22 및 25) 각각은, 유지 수단(22)이 도 6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취급될 재료(21)의 대향측들에 부착되고,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그 사이에서 힘-락킹 방식으로 유지하는 2개의 개별 레일-형상 유지부들(23, 24)을 포함한다. 개방 상태에서, 유지부들(23, 24)은 취급될 재료(21)가 상기 유지부들(23, 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거나 유지 수단(22) 외부로 꺼내질 수 있도록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제 1 유지부(23)는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접촉 에지(82)가 구성되는 바디(body)(81)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81)는 제 2 유지부(24)의 상보적 설계와 함께,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서로에 대하여 유지부들(23, 24)을 포지셔닝하도록 포시셔닝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홈(83)을 갖는다.
제 1 유지부(23)의 바디(81)는 고강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 코어(84)를 갖는다. 자석(85)이 상기 바디(81)에 배열된다. 자석(85)은 평행 6면체일 수도 있다. 코어(84)는 제 1 미 제 2 유지부들 사이의 인력의 자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자성 금속으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유지부(23)는 또한, 다른 바디(86)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바디(86)는 보강 코어(84) 및 자석(85)이 2개의 바디들(81, 86)에 의해 완벽하게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바디(81)에 부착된다. 다른 바디(86)의 외부 표면이 프로파일(87)을 갖는다. 예를 들어,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에 속하는 맞물림 수단이,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유지 수단을 전환하도록 프로파일(87)에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바디들(81, 86)은 플라스틱, 특히, 취급 설비에서 사용된 화학물질에 관련하여 불활성인 플라스틱으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보강 코어(84) 및 자석(85)은 플라스틱으로 완벽하게 감싸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들(81, 86)은 단일 플라스틱 바디로서 일체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디들(81, 86)은 또한, 비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고품질 강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 유지부(24)는 돌출부(93)가 구성되는 바디(91)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93)는, 제 1 유지부(23)에서의 홈(83)에 삽입될 수 있고, 제 1 유지부와 함께,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서로에 대하여 유지부들(23, 24)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포지셔닝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 2 유지부(24)의 바디(91)는 고강도를 갖는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 코어(94)를 갖는다. 자석(95)이 바디(91)에 배열된다. 코어(94)는 제 1 및 제 2 유지부들 사이에서 인력의 자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자성 금속으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석(95)은, 유지 수단(22)이 도 6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자석들(85, 95) 사이에 인력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 2 유지부(24)는 또한 다른 바디(96)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바디(96)는, 보강 코어(94) 및 자석(95)이 2개의 바디들(91, 96)에 의해 완벽하게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바디(91)에 부착된다. 다른 바디(96)의 외부 표면을 프로파일(97)을 갖는다. 예를 들어,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에 속하는 맞물림 수단이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유지 수단을 전환하도록 프로파일(97)에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유지부(24)의 바디들(91, 96)은 플라스틱, 특히, 취급 설비에서 사용된 화학물질에 관련하여 불활성인 플라스틱으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보강 코어(94) 및 자석(95)은 플라스틱으로 완벽하게 감싸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들(91, 96)은 단일 플라스틱 바디로서 일체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디들(91, 96)은 또한, 비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고품질 강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 유지부(23) 및 제 2 유지부(24)는, 취급될 재료를 취급하기 위해 설비에서 사용된 취급 유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유지부들(23, 24)의 젖음이 감소되는 방식으로 선택된 재료로 코팅될 수도 있다. 특히, 코팅은 공정 화학물질의 캐리오버가 감소되거나 억제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도 7a로부터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부(23)는 상기 제 1 유지부(23)의 도 6으로부터의 단면도에 표현된 구조가 상기 유지부의 중심 영역에서 클리어런스들(88)에 의해 중단되는 방식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상기 클리어런스들(88)은 유지 수단(22)이 상기 재료를 유지하고 있을 때, 취급될 재료(21)의 가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 1 유지부(23)를 통해 연장한다. 클리어런스들(88)은, 접촉 에지의 부분들이 다수의 개별 선형 부분들에서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도록 접촉 에지(82)를 중단한다.
도 7b로부터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유지부(24)는, 상기 제 2 유지부(24)의 도 6으로부터의 단면도에 표현된 구조가 상기 유지부의 중심 영역에서 클리어런스들(98)에 의해 중단되는 방식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상기 클리어런스들(98)은 유지 수단(22)이 상기 재료를 유지하고 있을 때, 취급될 재료(21)의 가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 2 유지부(24)를 통해 연장한다. 클리어런스들(98)은 돌출부(93)를 중단한다. 상기 클리어런스들(98)은 제 1 유지부(23)상의 클리어런스들(88)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제 2 유지부(24)의 세로 방향을 따른 위치들에 제공된다. 따라서, 유지 수단(22)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유지부(23)에서의 클리어런스들(88)은 제 2 유지부(24)에서의 클리어런스들(98)과 정렬된다. 상기 클리어런스들(88, 98)은 유지 수단이 폐쇄 상태, 즉, 취급될 재료(21)의 가로 방향에 있을 때, 상기 유지 수단(22)을 통해 가로로 연장하는 유지 수단(22)을 통하는 통로를 정의한다. 이러한 종류의 통로들은 유지 수단(22)을 통해 취급될 재료로부터의 액체의 제거를 허용한다. 접촉 에지(82)에 대해 클리어런스(88)에 관하여 1mm 미만 만큼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지 수단(22)이 취급될 재료(21)에 부착될 때, 상기 재료의 상부측과 클리어런스(88) 사이의 갭에 대해, 1mm 미만의 높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높이는 운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된다. 또한, 돌출부(93)에 대해 클리어런스(98)에 관하여 1mm 미만 만큼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지 수단(22)이 취급될 재료(21)에 부착될 때, 상기 재료의 하부측과 클리어런스(98) 사이의 갭에 대해 1mm 미만의 높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로부터의 평면도들에서 유사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23)의 단부 영역들(101, 102) 또는 제 2 유지부(24)의 단부 영역들(103, 104)에는 클리어런스(88 또는 98)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위 길이 당 더 많은 수의 자석들(85 및 95)이 단부 영역들(101, 102, 103, 104)에서의 제 1 및 제 2 유지부들(23, 24) 각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유지 수단(22)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유지부들(23, 24)이 단부 영역들에서 함께 유지되는 유지력이 증가된다. 유지력에서의 이러한 종류의 증가는 단부 영역들(101, 102, 103, 104) 각각 사이에서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21)의 에지 영역의 특정한 안정 탑재를 초래한다. 유지부들(23, 24)은, 취급될 재료의 코너들이 상기 단부 영역들(101, 102, 103, 104) 각각 사이에서 유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재료가 운반되고 있을 때 유지 수단(22)으로부터 취급될 재료의 코너의 개방 작업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의 경우에서, 도 6으로부터의 단면도에 표현된 구성은 제 1 및 제 2 유지부들의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즉,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부들은 이들이 액체가 통과하기 위한 어떠한 통로들도 형성하지 않는 방식으로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접촉 에지(82)는 취급될 재료(2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연속 라인상에 배열되는 다수의 포인트들에서 상기 재료의 에지부를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의 경우에서, 유지 수단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부 및 하부 유지부들의 배열을 결정하는 포지셔닝 수단은, 홈 앤드 텅 배열에 의해 것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유지부 및 하부 유지부는 힌지에 의해 서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들 환경하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유지부들은 운반의 평면에 대해 서로 미러-대칭인 설계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지부는 2개의 세로 에지들 각각에서 취급될 재료를 탑재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110)의 사시도이다. 상기 유지 수단(110)은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은, 이들이 상기 재료를 기계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재료와 전기적 접촉하기 위해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셋업된다. 유지 수단(110)은 도체 박들이지만, 전해질 취급 공장 또는 도금 공장에서 더 두꺼운 시트들과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지 수단(110)은 , 그 유지 수단(110)이 도 8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취급될 재료(21)의 대향측들상에 부착되는 2개의 개별 레일-형상 유지부들(111, 112)을 포함하고, 유지부들 사이에서 취급될 재료를 힘-락킹 방식으로 유지한다. 개방 상태에서, 유지부들(111, 112)은 취급될 재료(21)가 상기 유지부들(111, 1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거나 유지 수단(110) 외부로 꺼내질 수 있도록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제 1 유지부(111)는 플라스틱, 특히, 취급 설비에서 사용된 공정 화학물질에 관련하여 불활성인 플라스틱으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는 바디(113)를 포함한다. 바디(113)는 또한 비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고품질 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자석(114)이 바디(113)내에 포함된다. 제 2 유지부(112)는 플라스틱, 특히, 취급 설비에서 사용된 공정 화학물질에 관련하여 불활성인 플라스틱으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는 바디(123)를 포함한다. 바디(123)는 또한 비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고품질 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자석(124)이 바디(123)내에 포함된다. 자석들(114, 124)은, 유지 수단(110)이 도 8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자석들 사이에 인력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 1 유지부(111)는 유지 수단(11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유지부들(111, 112)의 상대적 포지셔닝을 결정하기 위해, 제 2 유지부(112)상의 대응하는 돌출부와 협력하는 홈을 갖는다. 제 1 유지부(111) 및 제 2 유지부(112)의 측면들은, 예를 들어, 유지 수단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폼-락킹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프로파일된다. 상기 유지 수단(110)을 통해 취급될 재료(21)로부터 액체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유지 수단(110)을 통해 가로로 연장하는 통로들(130)이 유지 수단(111)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설계 특징들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지 수단(22)의 설계 특징들에 대응하기 때문에, 상기 도면들의 설명에 대해 추가의 참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현된 유지부(111)의 경우에서, 직사각형 설계를 갖는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가 제 1 유지부(111)의 바디(113)에 배열된다. 상기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는 예를 들어, 금속일 수도 있다.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의 부분은, 유지 수단(110)이 도 8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그것의 단부에 구성된 접촉면(116)과 취급될 재료(21)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바디(113) 외부로 돌출한다. 상기 접촉면(116)은 취급될 재료(21)의 기계적 유지, 및 또한 상기 재료와의 전기적 접촉 양자를 위해 기능할 수도 있다. 접촉면(116)에는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 예를 들어, 고품질 금속, 혼합 산화물 또는 도전성 엘라스토머와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는 코팅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에 전기적 도전성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른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117)이, 유지 수단(110)이 도 8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외부 표면이 외부를 향해 노출되는 유지부(111)의 외부면(도 8에서의 상부 면인 제 1 유지부(111)의 면)상에 제공된다. 상기 다른 전기적 접촉면(117)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 예를 들어, 고품질 금속, 혼합 산화물 또는 도전성 엘라스토머와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전기적 접촉면에 대한 재료는 특히, 저-저항 접촉이 전류가 취급 설비내에서 공급되는 접촉 엘리먼트(118)와 다른 전기적 접촉면(117) 사이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전기적 접촉면(117)은, 그것이 취급 설비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다른 전기적 접촉면(117)상에서, 취급 설비내에서 눌러지는 접촉 엘리먼트(118)의 접촉면(119) 보다, 제 1 유지부(111)의 세로 방향에 대해 가로로, 즉, 취급될 재료(21)의 가로 방향으로 더 넓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유지부(111)는, 접촉면(116) 및 다른 접촉면(117)이 플랫 설계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면(116) 및/또는 다른 접촉면(117)은 볼록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접촉면(116) 및 다른 접촉면(117)은, 취급될 재료(21), 또는 접촉 엘리먼트(118)의 접촉면(119)이 평면 구성의 접촉면들 보다, 큰 일반적인 힘을 갖지만 더 작은 면적에 걸쳐 터치하는 방식으로 볼록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표현된 유지부(112)의 경우에서, 직사각형 설계를 갖는 전기적 도전성 재료(125)가 제 2 유지부(112)의 바디(123)에 배열된다. 상기 전기적 도전성 재료(125)는 특히 금속일 수도 있다. 전기적 도전성 재료(125)의 부분은, 유지 수단(110)이 도 8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그것의 단부에서 구성된 접촉면(126)과 취급될 재료(21)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바디(123) 외부로 돌출한다. 상기 접촉면(126)은 취급될 재료(21)의 기계적 유지, 및 또한 상기 재료와의 전기적 접촉 양자를 위해 기능할 수도 있다. 접촉면(126)에는 전기적 도전성 재료(125), 예를 들어, 고품질 금속, 혼합 산화물 또는 도전성 엘라스토머와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는 코팅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전기적 도전성 재료(125)에 전기적 도전성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른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127)이, 유지 수단(110)이 도 8에 표현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외부 표면이 외부를 향해 노출되는 유지부(112)의 외부면(도 8에서의 하부 면인 제 2 유지부(112)의 면)상에 제공된다. 상기 다른 전기적 접촉면(127)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125), 예를 들어, 고품질 금속, 혼합 산화물 또는 도전성 엘라스토머와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전기적 접촉면(127)에 대한 재료는 특히, 저-저항 접촉이 면 전류가 취급 설비내에서 공급되는 접촉 엘리먼트(128)와 다른 전기적 접촉면(127) 사이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전기적 접촉면(127)은, 그것이 취급 설비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다른 전기적 접촉면(127)상에서, 취급 설비내에서 면이 눌려지는 접촉 엘리먼트(128)의 접촉면(129) 보다, 제 2 유지부(112)의 세로 방향에 대해 가로로, 즉, 취급될 재료(21)의 가로 방향으로 더 넓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유지부(112)는, 접촉면(126) 및 다른 접촉면(127)이 플랫 설계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면(126) 및/또는 다른 접촉면(127)은 볼록 형상을 각각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접촉면(126) 및 다른 접촉면(127)은, 취급될 재료(21), 또는 접촉 엘리먼트(128)의 접촉면(129)이 평면 구성의 접촉면들 보다, 큰 일반적인 힘을 갖지만 더 작은 면적에 걸쳐 터치하는 방식으로 볼록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유지부(111)에서의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 및 제 2 유지부(112)에서의 전기적 도전성 재료(125)는 유지 수단(11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중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부들(111, 112)은 그들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 및 125) 각각의 다수의 세그먼트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 및/또는 125)는 또한 제 1 및/또는 제 2 유지부(111, 112)에서 핀-형상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변형에서, 취급될 재료(21)의 방향에서 제 1 유지부(111) 또는 제 2 유지부(112)로부터 돌출하는 전기적 도전성 재료(115, 125)의 부분은 분할된 방식 또는 다수의 핀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접촉면들은 취급될 재료(21)와 성공적으로 완전 접촉될 수 있다. 세그먼트들 또는 핀들은 로우(row)에서 서로 옆에 근접하게 배열되거나 서로로부터 이격된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110)에 의해 탑재된 취급될 재료(21)는, 접촉 엘리먼트들(118)이 외부를 향해 노출되는 접촉면들(117, 127)에 대하여 전기화학적 취급 스테이션내에서 눌려지는 취급 설비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접촉 엘리먼트들은 종래의 접촉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클립들의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접촉 엘리먼트들은 또한 롤러-형상 또는 디스크-형상 구성일 수도 있다. 접촉 엘리먼트들(118, 128)은 특히, 크기에 관하여 동일하게 크지만 대향 방향을 향하는 힘들을 갖는 유지 수단(110)의 접촉면들(117, 127)에 대해 눌려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110)은, 유지 수단(110)이 도 8에 표현된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클리어런스 및 유지 수단에서 맞물리는 돌출부 대신에, 상부 유지부(111) 및 하부 유지부(112)를 서로에 연결하고 이들을 서로에 대하여 포지셔닝하는 힌지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취급될 플랫 재료에 대한 유지 수단(22, 110)이 낮은 고유 강성을 갖는 취급될 얇은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지만, 상기 유지 수단(22, 110)은 또한, 더 두꺼운 기판들을 탑재하고/하거나 그 기판들과 접촉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수단(110)은 또한,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이 가로 방향에서 인장되어서는 안되는 높은 고유 강성을 갖더라도, 아연도금 설비 등을 통해 인쇄 회로 보드들을 운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 장치(140)의 사시도이다. 상기 로딩 장치(140)는 도 1로부터의 설비(1)에 속하는 로딩 장치(10)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로딩 장치(140)는 제 1 및 제 2 유지부들(23, 24)을 갖는 유지 수단(22)을 취급될 플랫 재료(21)에 부착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로딩 장치(140)는 지지 플레이트(141)로서 구성될 수도 있는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41)는 천공 플레이트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141)는 동작 장치(표현되지 않음)에 의해 수직으로 조정가능하다. 로딩 장치(140)는 또한, 프레임(144)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는 2개의 플랩(flap)(142, 143)을 포함한다. 플랩들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 공압 장치들(151, 152)이 제공된다.
복수의 가이딩 장치(147)가 2개의 로우로 프레임(143)상에 배열된다. 상기 가이딩 장치(147)는 유지 수단(22)의 제 2 유지부(24)를 수용하고 상기 유지 수단(22)이 앞으로 운반될 때 제 2 유지부를 가이드하도록 설계된다. 복수의 가이딩 장치(147)가 플랩들(142, 143) 각각에 대한 각 경우에서 로우에 배열된다. 가이딩 장치(147)는 유지 수단(22)의 제 1 유지부(23)를 수용하고, 상기 유지 수단(22)이 앞으로 운반될 때 제 1 유지부를 가이드하도록 설계된다. 가이딩 장치(147) 및 가이딩 장치(145)는 특히, 플랩들(142, 143)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가이딩 장치(145) 중 하나가 각 경우에서 가이딩 장치(145) 중 하나 상에 수직으로 놓여 있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로딩 장치(140)는, 제 1 및 제 2 유지부들(23, 24)이 서로를 터치하는 폐쇄 상태와, 취급될 재료(21)가 상기 유지 수단(22)에 삽입될 수 있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유지 수단(22)을 전환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이딩 장치(147)는 제 2 유지부(24)가 제 1 유지부(23)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플랩들(142, 143)이 개방될 때 제 2 유지부(24)를 상기 가이딩 장치(147)상에 확보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가이딩 장치(145)는 제 1 유지부(23)가 플랩(142 또는 143)과 함께 제 2 유지부(24)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방식으로, 플랩들(142, 143)이 개방될 때 제 1 유지부(23)를 상기 가이딩 장치(145)상에 확보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유지부들이 프로파일된 외부 표면을 가지면, 가이딩 장치(147) 각각은 플랩(142, 143)이 개발될 때 폼-락킹 방식으로 제 2 유지부(24)를 유지하는 맞물림 수단(148)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맞물림 수단은 예를 들어, V-형 돌출부의 형태의 프로파일이 제 2 유지부(24)의 측면 프로파일에 대해 상보적인 외부 에지를 갖는 예를 들어, 디스크(148) 또는 다수의 디스크들(148)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가이딩 장치(147) 각각은 제 2 유지부(24)의 외부 프로파일에 대해 상보적인 외부 파일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디스크(148)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2개의 디스크(148)는 상기 제 2 유지부(24)의 대향하는 외부면들과 맞물린다. 유사하게, 가이딩 장치(145) 각각은 제 1 유지부(23)를 폼-락킹 방식으로 유지하는 맞물림 수단(146)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맞물림 수단은 예를 들어, V-형 돌출부의 형태의 프로파일이 제 1 유지부(23)의 측면 프로파일에 대해 상보적인 외부 에지를 갖는 예를 들어, 디스크(146) 또는 다수의 디스크들(146)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가이딩 장치(145) 각각은 제 1 유지부(23)의 외부 프로파일에 대해 상보적인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디스크(146)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2개의 디스크(146)는 상기 제 1 유지부(23)의 대향하는 외부면들과 맞물린다.
다음으로, 로딩 장치(140)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작업 사이클의 시작에서, 플랩들(142, 143)은 폐쇄되고, 가이딩 장치들(145, 147)에 위치되는 유지부들(23, 24)은 없다. 유지 수단(22)은 폐쇄 상태에서, 가이딩 장치들(145, 147)에 의해 정의된 가이드들로 도입된다. 유지 수단(22)이 가이딩 장치들(145, 147)에 의해 정의된 가이드들로 완벽하게 도입될 때, 공압 장치들(151, 152)이 플랩들(142, 143)을 개방하기 위해 작동된다. 공정에서, 맞물림 수단(148)은 가이딩 장치(147)상에서 제 2 유지부(24)를 유지하고, 맞물림 수단(146)은 가이딩 장치(145)상에서 제 1 유지부(23)를 유지한다. 플랩들이 개방될 때, 유지 수단(22)은 개방 상태로 대응하게 전환된다.
플랩들(142, 143)은 가이딩 장치(147)에 의해 유지된 2개의 제 2 유지부들(24) 사이에서, 로봇 등에 의해 취급될 재료(21)가 퇴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하게 멀리 개방된다. 취급될 재료(21)가 퇴적되기 이전에, 지지 플레이트(141)는 제 2 유지부(24)상에 퇴적된 상기 재료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공정에서,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은 취급될 재료(21)가 퇴적되는 제 2 유지부들(24)의 수용 영역들을 갖는 일 평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공압 장치들(151, 152)의 갱신 작동의 결과로서, 플랩들(142, 143)은 상기 플랩들(142, 143)상에 유지되는 제 1 유지부들(23)을 제 2 유지부들(24)과 다시 접촉시키도록 폐쇄된다. 따라서, 유지 수단은 취급될 재료(21)가 제 1 및 제 2 유지부들(23, 24)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것의 에지 영역들에서 유지되는 환경하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유지 수단(22)이 폐쇄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지지 플레이트(141)는 하강된다. 상기 유지 수단(22)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는 로딩 장치(140) 외부로 운반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회전 방식으로 가이딩 장치(147)상에서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148)을 구동하고/하거나 회전 방식으로 가이딩 장치(145)상에서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146)을 구동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급될 재료의 하나의 세로 에지에 부착된 유지 수단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장치(145 또는 147)에 속하는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 및 취급될 재료의 다른 세로 에지에 부착된 다른 유지 수단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이딩 장치(145 또는 147)에 속하는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을 전환하기 위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취급될 재료의 각 측상에서, 도 1로부터의 설비(1)에서의 로딩 장치(140)를 사용할 때 운반의 방향에서 최외각 위치, 즉 쿠션 장치(12)에 근접하여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장치 (145 또는 147)에 속하는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가이딩 장치(147)에 속하는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은 유지 수단 및 따라서 유지 수단상에 탑재된 취급될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된다. 각 경우에서, 대응하는 가이딩 장치들에 속하는 모든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은 유지 수단을 운반하기 위해 구동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 중 몇몇만이, 가이딩 장치들 각각에서 구동되고, 예들 들어, 외관상으로 유지 수단에 기대는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이, 즉, 취급될 재료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가이딩 장치(147)의 측면상에 제공된다.
안전한 방식으로 유지 수단(22)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딩 장치들(147 및 145)은 서로를 향해 변위가능한 2개의 치크(cheek)들(153 및 154) 각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또는 제 1 유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depression)가 치크들(153 및 154) 각각 사이에 제공된다. 이동 장치(155)가 서로에 대해 상기 치크들을 조정하기 위해 치크들(153 및 154)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다. 이동 장치(155)는 예를 들어, 내부 치크(153)에 커플링되는 공압 장치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장치는 치크들에 부착된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148 및 146) 각각이 가이딩 장치에서 가이드되는 유지 수단의 유지부에 대해 눌려지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치크들(153, 154)을 조정할 수 있다. 대응하는 가이딩 장치에서의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이 운반의 방향으로 유지 수단을 운반하기 위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이동 장치(155)는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될 때, 유지 수단(22)이 가이딩 장치에 속하는 맞물림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22) 사이의 마찰-락킹 연결의 결과로서 이동되는 방식으로 치크들(153, 154)을 조정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로, 가이딩 장치들에 속하는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과 유지 수단 사이의 폼-락킹 연결은 또한, 디스크-형 맞물림 수단이 회전될 때 상기 유지 수단이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에 표현된 실시예에서, 가이딩 장치들은 운반의 방향으로 유지 수단의 가이딩 및 서로로부터 상기 유지부들을 분리하기 위해 플랩들이 개방될 때 유지 수단의 유지부들의 고정 양자를 위해 사용되는 반면에, 분리 장치들이 이들 기능들을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핀-형 맞물림 수단이, 플랩들이 개방될 때, 상기 유지부들이 서로로부터 분리되면서, 가이딩 장치들이 운반의 방향으로 운반 동안 유지 수단을 가이드하는 방식으로 유지 수단의 유지부들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공압 장치들(151, 152)은 플랩들(142, 143)을 개방하고, 따라서, 제 2 유지부(24)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단(148)에 대해, 제 1 유지부(23)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단(146)의 이동을 초래하는 이동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공압 장치(151, 152)는, 플랩들(142, 143)상에 인가된 힘, 또는 작용하는 토크가, 상기 플랩들(142, 143)의 개방각이 증가할 때 각 경우에서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랩(143)의 초기 개방을 생성하고, 공정에서 유지 수단(22)의 유지부들(23, 24)을 서로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 1 경로에 걸쳐 제 1 힘을 인가할 수 있는 공압 압력 피스톤들(151)이 제공될 수도 있다. 플랩(143)의 진행중인 개방은 압력 피스톤(151) 보다 더 긴 경로에 걸쳐 작동될 수 있지만 더 작은 힘을 인가하는 다른 공압 장치들(152)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들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로딩 장치(140)에 대한 변형이 다른 실시예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수단(22)의 제 1 및 제 2 유지부들(23, 24) 각각을 유지하는 맞물림 수단은, 이들이 상기 유지 수단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힘-락킹 방식으로 상기 제 2 유지부들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지지 플레이트(141) 대신에, 예를 들어, 유지 수단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취급될 재료(21)를 지지하기 위해 공기 쿠션을 생성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지 수단(22)은 또한, 폐쇄 상태에 도달하기 이전에, 운반의 평면에 평행한 휨 응력이 제공되는 조건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는 로딩 장치 뿐만 아니라 언로딩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 상술한 기능 시퀀스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가 장치로 공급되고, 상기 유지 수단이 유지 수단으로부터 취급될 재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리버스된다. 이러한 종류의 언로딩 장치는 도 1로부터의 설비(1)에서 언로더(13)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1로부터의 취급 설비에서 쿠션 장치(12) 또는 쿠션 장치(14)로서 사용될 수 있는 쿠션 장치(160)의 사시도이다.
상기 쿠션 장치는 로딩 장치로부터 전달되거나 언로딩 장치로 공급되어야 하는 취급될 재료를 수용하는 것 이외에 추가의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다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쿠션 장치(160)의 경우에서, 상기 쿠션 장치는 상기 취급될 재료를 로딩 장치로부터 공정 라인으로 운반하면서, 세로 에지들을 따라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를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의 방향으로 인장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로, 쿠션 장치는 연속 기판들 또는 취급될 재료들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상기 쿠션 장치는 또한, 상기 유지 수단이 운반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 배열, 즉, 동기되어 있는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의 대향 세로 에지들에 부착된 유지 수단 사이에 동기화를 설정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쿠션 장치(160)는 프레임(161)에 부착되는 운반 디바이스들의 제 1 그룹(162) 및 운반 디바이스들의 제 2 그룹(163)을 갖는다. 운반 디바이스들의 제 1 및 제 2 그룹들(162, 163)에서의 운반 디바이스들 각각은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고 있는 유지 수단(22)을 가이드하고, 앞으로 이동시키도록 셋업된다. 이 목적을 위해, 운반 디바이스들 각각은 유지 수단(22)을 수용하는 대응하는 가이드 홈을 갖는다.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구동 디스크들(165, 168)이 운반 디바이스들에서의 가이드 홈들을 따라 제공된다. 상기 구동 디스크들은 가이드 홈들의 대향측들상에서 쌍들로 배열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은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구동 디스크들의 결과로서 운반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운반 디바이스들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디스크는 유지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들이 운반 디바이스의 외측, 즉, 취급될 재료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운반 디바이스의 측면상의 유지 수단에 기대는 각 운반 디바이스에서의 구동 디스크들의 쌍이 구동된다.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는 상기 유지 수단의 이동의 결과로서 앞으로 운반된다. 따라서, 쿠션 장치(160)에서도, 취급될 재료의 운반은, 운반 디바이스들(164, 166, 167, 169)이 상기 취급될 재료가 탑재되는 유지 수단을 이동시킨다는 사실을 통해 발생한다.
운반 디바이스들 각각은 서로를 향해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홈(172)이 그 사이에 구성되는 2개의 치크들(173 및 174)을 가질 수도 있다. 이동 장치(175)가 서로에 대해 상기 치크들을 조정하기 위해 치크들(173 또는 174)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다. 구동 디스크들의 쌍이 치크들 각각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동 장치(175)는 예를 들어, 내부 치크(173)에 커플링되는 공압 장치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치크들에 부착된 구동 디스크들이 가이드 홈에 배열되는 유지 수단의 유지부에 대해 눌려지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치크들(173, 174)을 조정할 수 있다. 이동 장치(175)는 구동 디스크들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될 때, 유지 수단(22)이 상기 구동 디스크들과 상기 유지 수단(22) 사이의 마찰-락킹 연결의 결과로서 이동되는 방식으로 치크들(173, 174)을 조정하도록 셋업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로, 구동 디스크들과 유지 수단(22) 사이의 폼-락킹 연결이 또한, 구동 디스크들이 회전될 때 상기 유지 수단(22)이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운반 디바이스들의 그룹들(161, 162)에 속하는 운반 디바이스들은,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취급될 재료가 운반되고 있을 때, 대향 세로 에지들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 수단 사이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운반 디바이스들은 운반 디바이스들(166, 168)에서의 가이드 홈들 사이의 거리가 운반 디바이스들(164, 167)에서의 가이드 홈들 사이의 거리 보다 큰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취급될 재료에 대해 측면으로 부착되는 2개의 유지 수단에 대해 제공되는 운반 디바이스들의 가이드 홈들 사이의 거리는 운반의 방향을 따라 증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취급될 재료는 공정 라인에 대한 로딩 장치에 의해 공정 라인으로 운반되면서 쿠션 장치(160)내에서 점진적으로 인장될 수도 있다.
쿠션 장치(160)내에서 유지 수단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대응하는 운반 디바이스들을 통한 유지 수단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들(170)이 상기 운반 디바이스들상에 제공된다. 다른 센서들(171)이 기판들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센서들(171)은 예를 들어, 연속 기판들 또는 취급될 재료들에 대한 유지 수단 사이의 실제 거리를 검출할 수도 있다. 연속 기판들에 부착된 유지 수단은, 원하는 이상적 거리가 설정되는 방식으로, 검출된 실제 거리에 의존하여 앞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유지 수단은, 낮은 고유 안정성을 갖거나 민감한 표면을 갖는 취급될 재료의 안전한 운반이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재료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내에서 취급될 재료를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표현되고 상세한 방식으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수의 변형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운반 디바이스에서, 이동가능한 베어링이 취급될 재료의 2개의 측면상에 제공된 유지 수단을 탄성적으로 앞으로 누르는 반면에, 일 변형에서, 고정 베어링이 상기 취급될 재료의 다른 세로 에지에 부착된 유지 수단에 대해 제공되면서, 취급될 재료의 하나의 세로 에지에 부착된 유지 수단에 대한 이동가능한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그리고 운반의 평면내에서 취급될 재료에 작용하는 힘은 기계적 베어링이 아니라, 예를 들어, 상기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운반 롤러들을 갖는 운반 디바이스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반면에, 다른 운반 수단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반 디바이스는 회전 체인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회전 체인으로의 유지 수단의 후킹을 허용하는 맞물림 부분들이 세로 에지에서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상에 구성될 수도 있다.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그리고 운반의 평면내에서 취급될 재료에 작용하는 힘의 성분은 운반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되어서는 안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취급될 재료의 대향 세로 에지들에 작용하는 2개의 유지 수단에 커플링되고 서로로부터 떨어져 상기 유지 수단을 누르는 용수철 엘리먼트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지 수단과 용수철 엘리먼트들의 쌍은 세로 에지에서 취급될 재료를 안정화시키고 가로 방향에서 상기 재료를 인장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용수철 엘리먼트들은 취급될 재료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재료의 대향 세로 에지들에 작용하는 유지 수단 사이에서 연장할 수도 있다. 상기 용수철 엘리먼트들은 이들이 비교적 얇은, 예를 들어, 3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취급될 재료의 대향 세로 에지들에 작용하는 2개의 유지 수단에 커플링되고, 서로로부터 떨어져 상기 유지 수단을 누르는 용수철 엘리먼트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용수철 엘리먼트들은 비교적 얇게, 예를 들어, 3mm 미만의 두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 각각은 취급될 재료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부분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유지 수단 각각의 부분들 사이에, 취급될 재료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떨어져 대응하는 유지 수단의 부분들을 누르는 다른 용수철 엘리먼트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용수철 엘리먼트들 및 다른 용수철 엘리먼트들을 갖는 유지 수단의 부분들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양자에서, 취급될 재료를 인장할 수 있는 완벽한 탄성 프레임을 형성한다.
유지 수단이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기 위해 취급될 재료의 세로 에지들 양자에 부착될 수도 있는 반면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세로 에지를 따라 적어도 2개의 포인트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은 또한, 운반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취급될 재료의 에지 영역들 중 하나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을 운반의 수평면내에서 취급될 재료가 이동되는 설비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반면에,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취급될 재료가 수직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운반되는 경우에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취급될 재료는 운반되고 있는 동안 취급 액체에 침지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운반 디바이스들 및 유지 수단은 침지된 취급될 재료의 경우에서도 적절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낮은 고유 안정성을 갖는 취급될 재료의 운반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일 분야이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의 따른 유지 수단이 운반 동안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로 인장되지 않는 높은 고유 안정성을 갖는 인쇄 회로 보드들 등을 운반하기 위해 또한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청구항 22 내지 24에 나타내고 도 8로부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매우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수단은 전기분해 설비 등내에서, 기판들 또는 취급될 다른 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 취급 설비
2 공정 라인
3, 4 취급 스테이션
5 운반의 방향
6, 7 운반의 방향에 대해 가로의 힘의 성분
8 취급될 재료
9 유지 수단
10 로딩 장치
11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된 취급될 재료
12 쿠션 장치
13 언로딩 장치
14 다른 쿠션 장치
15 취급된 취급될 재료
16 유지 수단
21 취급될 재료
22, 25 유지 수단
22a, 22b 유지 수단
23, 26 제 1 유지부
24, 27 제 2 유지부
28, 29 경사 표면들
B 취급될 재료의 폭
BR 에지 영역의 폭
L 취급될 재료의 길이
LH 유지 수단의 길이
31 상세도
32, 33 접촉 에지
34, 35 액체용 통로
41 운반 디바이스
42, 43 롤러 컨베이어
44, 44' 압력-인가 롤러
45, 45' 이동가능한 베어링(홈을 갖는 롤러)
46 기어휠들
47 베어링 인서트
48 클리어런스
51, 52 샤프트
53 가이드 홈
54, 55 자석
56 자석용 탑재
57 인장력
61 중지 엘리먼트
62 회전 엔트레인먼트 수단
63 중량
64 클러치
71 취급 스테이션
72, 73 운반 디바이스의 부분
75 인피드 영역
76, 77 다른 인피드 영역
81 바디
82 접촉 에지
83 홈
84 보강 코어
85 자석
86 바디
87 프로파일
91 바디
93 돌출부
94 보강 코어
95 자석
96 바디
97 프로파일
101-104 유지부의 단부 영역
110 유지 수단
111, 112 유지부
113 바디
114 자석
115 전기적 도전성 재료
116, 117 접촉면
118 접촉 엘리먼트
119 접촉면
123 바디
124 자석
125 전기적 도전성 재료
126, 127 접촉면
128 접촉 엘리먼트
129 접촉면
130 통로
140 로딩 장치
141 지지 테이블
142, 143 플랩
144 프레임
145, 147 가이딩 장치
146, 148 맞물림 수단
151, 152 공압 장치
153, 154 가이딩 장치의 치크
155 이동 장치
160 쿠션 장치
161 프레임
162, 163 운반 장치들의 그룹
164, 166, 167, 169 운반 장치
165, 168 구동 디스크들
170, 171 센서
172 가이드 홈
173, 174 운반 장치의 치크
175 이동 장치
176 커플링

Claims (39)

  1. 취급될 플랫 재료(21)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내에서 상기 취급될 플랫 재료(21)를 운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는 운반의 방향(5)으로 운반의 평면내에서 운반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취급될 재료(21)가 운반되고 있을 때 에지 영역이 상기 운반의 방향(5)을 따라 향하는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상의 적어도 2개의 포인트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22; 110)을 상기 취급될 재료(21)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운반의 방향(5)으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운반의 부분 동안, 상기 운반의 평면내에 있고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성분(6, 7)을 갖는 힘이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인가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운반의 부분 동안, 힘(6, 7)은 상기 운반의 평면내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상기 유지 수단(22; 110)에 인가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른 유지 수단(25)이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다른 에지 영역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고, 힘들(6, 7)은 반대 방향들로 상기 유지 수단(22) 및 다른 유지 수단(25)에 인가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에 작용하거나 상기 유지 수단(22) 및 상기 다른 유지 수단(25)에 작용하는 힘(6, 7)은,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특성들, 특히,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최대 허용 변형에 의존하여 선택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평행하게 인장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상기 에지 영역은,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폭(B) 보다 작은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인 최대 범위(BR)를 갖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될 재료(21)와의 전기적 접촉은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해 상기 유지 수단(110)을 통해 이루어지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상에 탑재된 상기 취급될 재료(21)는,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취급 액체가 상기 취급될 재료(21)에 적용되는 취급 스테이션의 영역(75)을 지나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습식-화학적 취급 스테이션을 통해 운반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상에 탑재된 상기 취급될 재료(21)는,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린스 및/또는 건조하는 영역(75-77)을 통해, 상기 유지 수단(22; 110)과 함께 가이드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상에 탑재된 상기 취급될 재료(21)는, 취급되어야 하는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가용 영역이 상기 설비내에서 운반 동안 상기 설비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터치되지 않는 방식으로 운반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될 재료는 낮은 고유 강성을 갖는 취급될 재료(21), 특히, 박(foil)이거나, 인쇄 회로 보드인,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12. 취급될 플랫 재료(21)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은 적어도 2개의 포인트에서 상기 재료의 에지 영역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수단(22; 110)은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운반 디바이스(41)에 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에지 영역이 운반의 방향(5)을 따라 연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운반의 방향(5)을 따라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운반하는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속하는 상기 운반 디바이스(41)에 착탈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되고 설계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되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부분이 연장하는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82; 116, 126), 또는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분들(82; 116, 126)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유지부(23; 111) 및 제 2 유지부(24; 112)를 포함하고, 이 유지부들은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탑재하기 위한 폐쇄 상태 및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삽입을 위한 개방 상태를 갖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유지부(23; 111)와 상기 제 2 유지부(24; 112) 사이에서 적어도 힘-락킹(force-locking) 연결, 특히, 마찰-락킹(friction-locking) 연결에 의해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도록 셋업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유지부(23; 111)와 상기 제 2 유지부(24; 112) 사이에서 인력을 생성하는 힘 수단, 특히, 적어도 한 쌍의 자석들(85, 95; 114, 124)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는, 폐쇄 상태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힘-락킹 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지부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 에지(82)를 갖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23; 111) 및 상기 제 2 유지부(24; 112)를,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배열로 포지셔닝하기 위한 포지셔닝 수단(83, 93)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운반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폭(B) 보다 작은 거리(BR)에 걸쳐,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오버랩(overlap)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84, 94; 115, 125), 특히, 금속 코어를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20.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용 통로들(88, 89; 130)이 형성되는 유지 레일(23, 24; 111)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21.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81, 86; 91, 96), 특히, 상기 설비에서 사용된 취급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불활성인 플라스틱 재료로 감싸지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22.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될 재료(21)와 전기적 접촉을 하도록 구성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터치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116; 126), 및 전기적 도전성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할 때 외부 전류원에 커플링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른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117; 127)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기적 도전성 접촉면은,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할 때 상기 유지 수단(22; 110)의 대향측들상에 배열되는 2개의 부분들(117; 127)을 갖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유지 수단.
  25. 취급될 플랫 재료(21)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1)에 대해, 유지 수단(22; 110)에 의해 에지 영역을 따라 탑재되는 상기 취급될 플랫 재료(21)를 운반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운반의 방향(5)으로 운반의 평면내에서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운반하도록 셋업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유지 수단(22; 110)에 커플링될 수 있고, 상기 취급될 재료(21)가 그 상부에 탑재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을 상기 운반의 방향(5)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운반 수단(44, 45)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41)는 적어도,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운반의 부분 동안, 상기 운반의 평면내에 있고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성분(6, 7)을 갖는 힘을,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의 평면내에서 그리고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힘(57)을 상기 유지 수단(22; 110)에 인가하는 인장 수단(45, 54, 55)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22; 110)을 가이딩하는 이동가능한 베어링(45)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은 상기 이동가능한 베어링(45)이 부착되는 구동 샤프트(52)를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은,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상기 이동가능한 베어링(45)에 힘(57)을 인가하기 위한 힘 수단(54, 55),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은 상기 이동가능한 베어링(45)에 대해 상기 유지 수단(22; 110)을 누르도록 셋업되는 압력 인가 수단(44)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31. 제 2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유지 수단(25)에 의해 다른 에지 영역을 따라 탑재되는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운반의 평면내에서 그리고 상기 운반의 방향(5)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힘을 상기 다른 유지 수단(25)에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인장 수단(45')을 포함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 및 상기 다른 인장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22) 및 상기 다른 유지 수단(25)에 대향하는 방향들에서 힘들(6, 7)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설정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33. 취급될 플랫 재료(21)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대해 상기 취급될 플랫 재료(21)를 운반하는 시스템으로서,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바이스(41); 및
    상기 취급될 재료(21)의 에지 영역에 커플링될 수 있는 유지 수단(22; 110)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운반 수단이 상기 유지 수단(22; 110)에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커플링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은 제 1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시스템.
  35. 취급될 재료(21)의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취급을 위한 설비에 대한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 장치로서,
    상기 설비는 유지 수단(22; 110)에 의해 에지 영역을 따라 탑재되는 취급될 플랫 재료(21)를 운반하는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140)는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유지하는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을 전환하도록 셋업되고, 상기 유지 수단(22; 110)이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취급될 재료(21)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141)를 포함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을 수용하고, 상기 유지 수단을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폐쇄 상태로 역으로 전환하며, 상기 유지 수단을 상기 폐쇄 상태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22; 110)의 제 1 유지부(23)와의 맞물림을 위한 제 1 맞물림 수단(146), 상기 유지 수단(22; 110)의 제 2 유지부(24)와의 맞물림을 위한 제 2 맞물림 수단(148), 및 상기 제 1 맞물림 수단(146) 및 상기 제 2 맞물림 수단(148)의 상대적 이동을 야기하는 이동 수단(151, 152)을 포함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151, 152)은, 상기 상대적 이동을 야기하기 위해 상기 이동 수단(151, 152)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수단(146; 148)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감소하는 방식으로 상기 상대적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39.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수단(146) 및/또는 상기 제 2 맞물림 수단(148)은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KR1020117026319A 2009-04-22 2010-04-22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장치 및 시스템 및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KR101278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8393.0A DE102009018393B4 (de) 2009-04-22 2009-04-22 Verfahren, Haltemittel, Vorrichtung und System zum Transportieren eines flächigen Behandlungsgutes und Be- oder Entladeeinrichtung
DE102009018393.0 2009-04-22
PCT/EP2010/002481 WO2010121815A1 (de) 2009-04-22 2010-04-22 Verfahren, haltemittel, vorrichtung und system zum transportieren eines flächigen behandlungsgutes und be- oder entlade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639A true KR20120023639A (ko) 2012-03-13
KR101278869B1 KR101278869B1 (ko) 2013-07-01

Family

ID=4231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319A KR101278869B1 (ko) 2009-04-22 2010-04-22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장치 및 시스템 및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80708B2 (ko)
EP (1) EP2422591B1 (ko)
JP (1) JP2012522389A (ko)
KR (1) KR101278869B1 (ko)
CN (1) CN102405691B (ko)
BR (1) BRPI1014441B1 (ko)
DE (1) DE102009018393B4 (ko)
MY (1) MY160089A (ko)
TW (1) TWI481324B (ko)
WO (1) WO20101218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560A (ko) * 2011-05-17 2012-11-27 노벨러스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기도금조로의 웨이퍼의 입수 동안 공기 포획을 감소하기 위한 습윤 파면 제어
US10689774B2 (en) 2008-11-07 2020-06-23 Lam Research Corporation Control of current density in an electroplating apparatus
US10968531B2 (en) 2011-05-17 2021-04-06 Novellus Systems, Inc. Wetting wave front control for reduced air entrapment during wafer entry into electroplating ba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1917B2 (ja) * 2011-06-30 2015-06-10 上村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装置およびめっき槽
CN103569699B (zh) * 2012-07-27 2016-09-28 亚智科技股份有限公司 基板传送装置
TW201416302A (zh) * 2012-10-19 2014-05-01 Manz Taiwan Ltd 夾具及輸送系統
CN105393629B (zh) * 2013-05-24 2019-07-16 高通股份有限公司 基于传送机会(txop)的信道重用
CN103402323B (zh) * 2013-08-02 2016-04-06 高德(无锡)电子有限公司 水平线使用的薄板专用生产治具
KR101608341B1 (ko) * 2014-07-25 2016-04-01 (주)나인테크 인라인 화학기상증착시스템
US9592637B2 (en) * 2015-05-19 2017-03-14 Xerox Corporation Direct marking build cart that is robust to rail contamination by under-rail mounting and compliant top wheel
US10074554B2 (en) * 2016-06-27 2018-09-11 Tel Nexx, Inc. Workpiece loader for a wet processing system
TWI734821B (zh) * 2017-08-14 2021-08-01 德商吉伯史密德公司 用於基板運輸之夾架及輸送裝置
US11177412B2 (en) * 2019-04-22 2021-11-16 Beijing Apollo Ding Rong Solar Technology Co., Ltd. Sputter deposition apparatus including roller assembly and method
TWI687360B (zh) * 2019-06-26 2020-03-11 台郡科技股份有限公司 垂直式卷對卷濕製程傳送設備
CN111661647B (zh) * 2020-06-01 2021-04-20 亳州专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零部件加工用多方位清洁装置
KR102547959B1 (ko) * 2022-10-31 2023-06-28 현대종합기계 주식회사 가금류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535A (en) * 1968-08-21 1970-12-29 Republic Corp Transportation system
US4015558A (en) * 1972-12-04 1977-04-05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Vapor deposition apparatus
US4260869A (en) * 1978-05-30 1981-04-07 Midcon Pipeline Equipment Co. Traveling welding carriage
US4358472A (en) * 1978-06-16 1982-11-09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Multi-layer coating method
DE3645319C3 (de) 1986-07-19 2000-07-27 Atotech Deutschland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m elektrolytischen Behandeln von plattenförmigen Gegenständen
JPH02103014A (ja) 1988-10-12 1990-04-16 Minolta Camera Co Ltd 手ブレ補正光学系を有したズームレンズ
JPH02103014U (ko) * 1989-02-02 1990-08-16
JPH0794067B2 (ja) * 1990-10-08 1995-10-11 権士 近藤 プリント基板の保持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63256B2 (ja) 1991-08-12 2000-07-12 ソニー株式会社 規準ディスク作成用磁気ヘッド装置
JP2563248Y2 (ja) * 1991-11-20 1998-02-18 上村工業株式会社 めっき用ワークの給電搬送装置
AT399074B (de) 1991-12-23 1995-03-27 Lenhard Ges M B H Vorrichtung zum halten von leiterplatten
DE4323698C2 (de) 1993-07-15 1995-06-14 Atotech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Stabilisieren von Leiterplatten
DE4339092C2 (de) * 1993-11-16 1995-10-19 Hubertus Dipl Ing Hein Transportvorrichtung für Flachmaterial
CA2280778A1 (en) * 1997-03-05 1998-09-11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Transport apparatus for thin, board-shaped substrates
JP3836222B2 (ja) * 1997-07-18 2006-10-25 株式会社ファーネス プリント配線板の搬送方法と装置
US5927504A (en) * 1998-06-23 1999-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carrying plural printed circuit boards for semiconductor module
DE10019720A1 (de) 2000-04-20 2001-10-31 Atotech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von plattenförmigem Behandlungsgut bei elektrolytischen Prozessen
US6849134B2 (en) * 2001-09-10 2005-02-01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Minimum volume oven for producing uniform pyrolytic oxide coatings on capacitor anodes
JPWO2003088730A1 (ja) * 2002-04-01 2005-08-2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対基板作業システム
US6655566B1 (en) * 2002-08-28 2003-12-02 Martin Family Trust Bundle breaker improvement
DE10241619B4 (de) * 2002-09-04 2004-07-22 Atotech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lektrolytischen Behandeln von zumindest oberflächlich elektrisch leitfähigem Behandlungsgut
DE20304601U1 (de) * 2003-03-19 2003-06-26 Schmid Gmbh & Co Geb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flexiblem Flachmaterial, insbesondere Leiterplatten
US6902053B1 (en) * 2003-10-14 2005-06-07 Rodney Long Conveyor belt alignment system
WO2005049457A2 (en) * 2003-11-18 2005-06-02 Intelligrated, Inc. Conveyor and support
US7478749B2 (en) * 2004-05-17 2009-01-20 Thermal Solutions, Inc. Food preparation system
JP2005344164A (ja) * 2004-06-03 2005-12-15 Ctc:Kk 縦型自動めっき方法及びその装置
JP4582628B2 (ja) * 2004-11-25 2010-11-17 株式会社アルバック 縦型基板搬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搬送装置
US7258703B2 (en) 2005-01-07 2007-08-21 Asm Assembly Automa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devices on carriers
US20060236935A1 (en) * 2005-04-25 2006-10-26 Von Ardenne Anlagentechnik Gmbh Coating installation with coolable diaphragm
DE102005024102A1 (de) 2005-05-25 2006-11-30 Atotech Deutschland Gmbh Verfahren, Klammer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Behandlungsgutes in einer Elektrolyseanlage
JP4843310B2 (ja) 2005-12-27 2011-12-21 木田精工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吊下用のハンガー
US7789986B2 (en) * 2006-03-06 2010-09-07 Haworth,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edge wrapping upholstered articles
TWI425587B (zh) * 2007-04-16 2014-02-01 Ulvac Inc 輸送器及成膜裝置與其保養方法
TWI319720B (en) * 2007-04-16 2010-01-21 Conveyor for substrate material
DE102007038116A1 (de) * 2007-07-30 2009-02-05 Gebr. Schmid Gmbh & Co. Haltemitte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 von Substraten, insbesondere Leiterplatten
US8668078B2 (en) * 2008-04-29 2014-03-11 Middlesex General Industries, Inc. Clean, high density, soft-accumulating conveyor
US8361232B2 (en) * 2010-04-29 2013-01-29 Primestar Solar, Inc.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inuous indirect deposition of a thin film layer on a substrate
AU2011360195B2 (en) * 2011-02-21 2016-04-21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Packaging machine and proc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9774B2 (en) 2008-11-07 2020-06-23 Lam Research Corporation Control of current density in an electroplating apparatus
KR20120128560A (ko) * 2011-05-17 2012-11-27 노벨러스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기도금조로의 웨이퍼의 입수 동안 공기 포획을 감소하기 위한 습윤 파면 제어
US10968531B2 (en) 2011-05-17 2021-04-06 Novellus Systems, Inc. Wetting wave front control for reduced air entrapment during wafer entry into electroplating b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81324B (zh) 2015-04-11
EP2422591A1 (de) 2012-02-29
KR101278869B1 (ko) 2013-07-01
EP2422591B1 (de) 2018-05-30
DE102009018393B4 (de) 2017-05-24
MY160089A (en) 2017-02-28
US20120107074A1 (en) 2012-05-03
CN102405691B (zh) 2015-11-25
BRPI1014441B1 (pt) 2019-08-13
JP2012522389A (ja) 2012-09-20
DE102009018393A1 (de) 2010-10-28
BRPI1014441A2 (pt) 2016-04-05
US9380708B2 (en) 2016-06-28
WO2010121815A1 (de) 2010-10-28
CN102405691A (zh) 2012-04-04
TW201107215A (en) 201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869B1 (ko) 취급될 플랫 재료를 운반하는 방법, 유지 수단, 장치 및 시스템 및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
KR101343856B1 (ko) 처리대상 물품을 전해시스템 내에서 운반하기 위한 방법,클램프 및 장치
JP5833355B2 (ja) 表面処理装置
JP2006248651A (ja) 基板搬送用クランプユニット
KR20140130101A (ko) 유리판의 반송 장치 및 그 반송 방법
JP5416005B2 (ja) 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板状被処理物の搬送装置、この搬送装置の挟持チャック
JP6041927B2 (ja) 表面処理装置
JP6647633B2 (ja) 搬送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処理装置
JP2017014553A (ja) クランプ搬送による薄板状被処理物の表面処理装置、及びこの表面処理装置のクランプ治具
JP2011038160A (ja) 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板状被処理物の搬送装置
JP5034884B2 (ja) 化学処理装置
JP5488191B2 (ja) 化学処理装置
JP2012046783A (ja) 表面処理装置
JP6793991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搬送治具
TW201416302A (zh) 夾具及輸送系統
JP2008272704A (ja) 除塵装置
JP6177107B2 (ja) プリンタの搬送装置
JP6687592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JP5617653B2 (ja) メッキ処理装置
KR20190063399A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가공 장치
CN218465150U (zh) 一种纸张发卡装置及品检机
KR19990085339A (ko) 대차의 가이드 장치
KR100414598B1 (ko) 표면처리장치
KR20220000608U (ko) 도금장치
JP5858355B2 (ja) ワーク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