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804A - 유닛 탑재 지그 - Google Patents

유닛 탑재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804A
KR20110129804A KR1020100133338A KR20100133338A KR20110129804A KR 20110129804 A KR20110129804 A KR 20110129804A KR 1020100133338 A KR1020100133338 A KR 1020100133338A KR 20100133338 A KR20100133338 A KR 20100133338A KR 20110129804 A KR20110129804 A KR 20110129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unting jig
banknote
moun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간다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닛을 탑재부에 탑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유닛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유닛 탑재 지그(1)는, 개구(16) 또는 노치가 형성된 배치면(11)을 갖는 배치 부재(10)와, 배치면(11)의 하방에 수용되고, 회전 롤러(25)가 부착된 들어올림부(23), 축(26) 및 조작부(22)를 가지며, 조작부(22)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축(26)을 중심으로 배치 부재(10)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회전 롤러(25)가 개구(16) 또는 노치를 통해 배치면(11)보다 상방으로 상승하는 들어올림 부재(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닛 탑재 지그{JIG FOR MOUNTING UNIT}
본 발명은, 유닛을 탑재부에 탑재하기 위한 유닛 탑재 지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의 케이스에, 지폐 유닛을 탑재하는 경우, 지폐 유닛을 들어 올리고, 들어 올린 지폐 유닛을 슬라이드시켜 케이스에 수납한다. 지폐 유닛은 대형의 유닛이기 때문에, 예컨대, 이 작업을 한 사람이 행하는 경우, 지폐 유닛을 들어 올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지폐 유닛을 케이스에 탑재하기 위해서, 탑재 지그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유닛을 들어 올리기 위한 지그로서는, 예컨대, 복수의 가로 프레임이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복수의 롤러가 가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줄지어 마련되어 가로 프레임 사이에 각각 피벗 지지되며,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각 롤러 피벗 지지 위치까지의 높이 치수가 가로 프레임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작게 설정되어 있는 포크가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레버봉(lever rod) 축부의 선단부로부터 둔각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철판 주걱의 작용부와, 지점부(支點部)에 차륜을 구비하는 레버봉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작용점측에 위치하는 제1 아암부 및 힘점측에 위치하는 제2 아암부를 구비한 레버 부재와, 제1 아암부에 부착되어 제1 아암부가 물체를 들어 올린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기립 위치가 되는 스토퍼를 갖는 스토퍼 부착 레버 장치가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2038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9698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등록 실용 신안 제3003123호 공보
지폐 유닛을 케이스에 탑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탑재 지그에는, 지폐 유닛을 케이스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탑재 지그를 이용하여 지폐 유닛을 케이스에 탑재하는 과정, 또는, 케이스로부터 지폐 유닛을 취출하는 과정에서는, 지폐 유닛을 탑재 지그에 올려 놓은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케이스로부터 취출한 지폐 유닛에 캐스터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지폐 유닛을 탑재 지그에 올려 놓은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탑재 지그에는, 지폐 유닛이 전도되지 않도록, 지폐 유닛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유닛을 탑재부에 탑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유닛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유닛 탑재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유닛 탑재 지그가 제공된다.
이 유닛 탑재 지그는, 개구 또는 노치가 형성된 배치면을 갖는 배치 부재와, 배치면의 하방에 수용되고, 회전 롤러가 부착된 들어올림부, 지점부 및 조작부를 가지며, 조작부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지점부를 중심으로 배치 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회전 롤러가 개구 또는 노치를 통해 배치면보다 상방으로 상승하는 들어올림 부재를 구비한다.
개시된 유닛 탑재 지그에 따르면, 유닛을 탑재부에 탑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유닛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유닛과 케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탑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탑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탑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또한, 도 2의 (A)는 도 1의 유닛 탑재 지그 중 배치 부재만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유닛 탑재 지그 중 들어올림 부재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는, 배치 부재(10)와, 들어올림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배치 부재(10)에는, 유닛이 배치되는 배치면(11)이 형성되어 있다. 들어올림 부재(20)는, 이 배치면(11)의 하방에 수용되어 있다.
먼저, 배치 부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 부재(10)는, 배치면(11)과 측면(12)을 갖는 배치 부재 본체부(13)와, 배치 부재 본체부(13)의 전방(F)에 마련된 캐스터(14)와, 배치 부재 본체부(13)의 후방(B)에 마련된 볼트(15)를 갖는다.
캐스터(14)는, 배치 부재 본체부(1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캐스터(14)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유닛 탑재 지그(1)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볼트(15)는, 회전함으로써, 배치 부재 본체부(13)에 대하여, 수직 방향, 즉 화살표 15a의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볼트(15)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면(11)에는, 배치 부재 본체부(13)를 관통하는 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치면(11)에는, 미끄럼 방지부(17a, 17b)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17a)는, 개구(16)보다 전방(F)에 위치하고, 미끄럼 방지부(17b)는, 개구(16)보다 후방(B)에 위치하고 있다. 미끄럼 방지부(17a, 17b)로는, 예컨대, 고무판이 이용되고 있다.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것이면, 소재는 고무판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치되는 유닛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 소재이면 더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부(17a, 17b)가 배치면(11)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배치면(11)에 배치된 유닛이, 미끄러져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들어올림 부재(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들어올림 부재(20)는,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와, 조작부(22)를 갖는다. 조작부(22)는,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에 고정되고,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후방(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22)는, 작업자에 의해 밀어 내려진다.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는, 선단에 들어올림부(23)를 갖는다. 들어올림부(23)에는,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축(24)에, 회전 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에는, 들어올림부(23)보다 후방(B)에,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26)이 부착되어 있다.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는, 축(2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축(26)에는, 이동용 회전 롤러(27)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동용 회전 롤러(27)가 회전함으로써, 유닛 탑재 지그(1)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후방(B)에는,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8)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2)는, 이 슬릿(28)을 따라, 화살표 22a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조작부(22)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후방(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22)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부(22)를 슬라이드시켜,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후방(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22)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유닛 탑재 지그(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닛 탑재 지그(1)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 부재(10)의 배치면(11)의 하방에 수용된 들어올림 부재(20)의 들어올림부(23), 회전 롤러(25), 그리고 들어올림부(23)로부터 연속되는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일부는, 배치 부재(10)의 개구(16)에 의해 노출되어 있다.
들어올림 부재(20)의 축(26)은, 배치 부재(10)의 측면(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 롤러(25)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17c)로는, 예컨대, 고무판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조작부(22)를 밀어 내린 상태의 유닛 탑재 지그(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들어올림 부재(20)의 조작부(22)가, 작업자에 의해 화살표 22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밀어 내려지면,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가, 축(26)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26a의 방향으로 배치 부재(10)와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들어올림부(23)에 부착된 회전 롤러(25)가, 개구(16)를 통해 배치 부재(10)의 배치면(11)보다 상방으로 상승한다.
즉, 회전 롤러(25)의 상승에는, 회전 롤러(25)를 작용점, 축(26)을 지점, 조작부(22)를 힘점으로 하는 레버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회전 롤러(25)가 상승함으로써, 배치 부재(10)의 배치면(11)에 배치된 유닛의 바닥면을 회전 롤러(25)가 밀어 올려, 유닛이 들어 올려진다.
또한, 여기서는, 볼트(15)가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어 하강하여, 볼트(15)의 선단이,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22)를 밀어 내리는 것을 정지했다고 해도, 회전된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가, 회전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볼트(15)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또한, 스토퍼 기능을 갖는 부품이나 기구이면, 볼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 유닛 탑재 지그(1)를 이용하여, 지폐 유닛을 ATM의 케이스에 탑재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지폐 유닛(30)은, 상하 2단의 인출 구조를 가지며, 상단은 지폐 반송부(31)이고, 하단은 카세트부(32)이다. 또한, 지폐 유닛(30)에는, 앞쪽에 캐스터(33)와, 돌기(35)가 부착되어 있고, 안쪽에 캐스터(34)가 부착되어 있다. 돌기(35)는, 지폐 유닛(3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유닛과 케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상면도이다.
케이스(40)는, 지폐 유닛(30)을 탑재하는 탑재부(41)와, 지폐 유닛(30)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회전 롤러(42)를 갖고 있다. 또한, 지폐 유닛(30)은, 안쪽에 회전 롤러(36)를 갖고 있다. 지폐 유닛(30)을 케이스(40)에 탑재할 때에는, 지폐 유닛(30)은 안쪽부터 케이스(40)에 진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탑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바로 앞에 배치된 지폐 유닛(30)의 하측에, 유닛 탑재 지그(1)를 배치한다. 또한, 이 상태일 때에, 예컨대 지폐 유닛(30)을 밀어 케이스(40)에 탑재하고자 하면,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이 케이스(40)의 탑재부(41)보다 낮기 때문에, 지폐 유닛(30)이 케이스(40)의 바닥부에 부딪쳐 버려, 지폐 유닛(30)을 케이스(40)에 탑재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바닥이 평평하지 않고, 케이스(40)가 설치되어 있는 바닥면보다, 지폐 유닛(30)이 위치하고 있는 바닥면 쪽이 낮은 경우, 이 문제는 현저해진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의 조작부(22)를 밀어 내려, 회전 롤러(25)를 상승시킨다. 조작부(22)는, 예컨대, 작업자가 조작부(22)를 밞음으로써 밀어 내려진다. 이에 따라, 회전 롤러(25)가 상승하여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을 밀어 올려, 지폐 유닛(30)이 들어 올려진다. 이때,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은 케이스(40)의 탑재부(41)보다 높아진다. 또한, 이때, 지폐 유닛(30)의 캐스터(34)는 바닥으로부터 뜬 상태가 된다. 또한, 캐스터(33)는 바닥에 접해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의 조작부(22)를 밀어 내려 지폐 유닛(3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폐 유닛(30)을 가로 방향으로 밀어, 지폐 유닛(30)의 선단을 케이스(40)의 탑재부(41)에 올려 놓는다. 이때,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을 밀어 올리고 있는 유닛 탑재 지그(1)의 회전 롤러(25)가 회전하기 때문에, 지폐 유닛(30)의 이동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의 조작부(22)를 밀어 내려 지폐 유닛(3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폐 유닛(30)으로부터 캐스터(34)를 떼어낸다. 이때, 캐스터(34)는 바닥으로부터 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지폐 유닛(30)으로부터 캐스터(34)를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유닛(30)을 가로 방향으로 계속 밀어, 지폐 유닛(30)을 케이스(40)에 수납해 간다. 이때, 지폐 유닛(30)은, 지폐 유닛(30)의 회전 롤러(36)와, 케이스(40)의 회전 롤러(42)와, 유닛 탑재 지그(1)의 회전 롤러(25)와, 캐스터(33)가 회전함으로써, 케이스(40) 안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한다.
다음으로,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유닛(30)으로부터 캐스터(33)를 떼어내고, 그 후, 지폐 유닛(30)을 재차 가로 방향으로 밀어, 지폐 유닛(30)을 케이스(40)의 탑재부(41)에 탑재한다.
이렇게 하여, 지폐 유닛(30)은, 케이스(40)의 탑재부(41)에 탑재된다.
다음으로, 이 유닛 탑재 지그(1)를 이용하여, 지폐 유닛(30)을 ATM의 케이스(40)로부터 취출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를 이용한 지폐 유닛의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또한, 도 11의 (B)는 상면도를 도시한다.
먼저, 지폐 유닛(30)을 케이스(40)로부터 약간 앞으로 끌어내고, 지폐 유닛(30)에 캐스터(33)를 부착한다. 이 후,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0) 앞에, 유닛 탑재 지그(1)를 배치하고, 유닛 탑재 지그(1)의 조작부(22)를 밀어 내려 회전 롤러(2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지폐 유닛(30)을 케이스(40)로부터 끌어낸다.
이때,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은, 유닛 탑재 지그(1)의 회전 롤러(25)에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지폐 유닛(30)은, 들어 올려진 상태로 케이스(40)로부터 끌어내어진다. 또한, 지폐 유닛(30)은, 지폐 유닛(30)의 회전 롤러(36)와, 케이스(40)의 회전 롤러(42)와, 유닛 탑재 지그(1)의 회전 롤러(25)와, 캐스터(33)가 회전함으로써, 케이스(40) 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한다.
도 10의 (B)는 지폐 유닛(30)이, 케이스(40)로부터 취출되어 유닛 탑재 지그(1)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유닛 탑재 지그(1)의 조작부(22)가 밀어 내려져 지폐 유닛(30)이 들어 올려져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의 조작부(22)를 밀어 내리는 것을 멈추고, 회전 롤러(25)를 하강시켜, 지폐 유닛(30)을 하강시킨다. 이때,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은, 유닛 탑재 지그(1)의 배치면(11)에 접촉하고 있다. 즉, 지폐 유닛(30)은, 캐스터(33)와, 유닛 탑재 지그(1)의 배치면(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유닛(30)에 캐스터(34)를 부착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유닛 탑재 지그(1)를 선회용 캐스터(14)에 의해 선회시켜, 지폐 유닛(3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유닛(30)을 가로 방향으로 밀어, 캐스터(33), 및 유닛 탑재 지그(1)의 이동용 회전 롤러(27)를 회전시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도 된다.
이때,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은, 유닛 탑재 지그(1)의 배치면(11)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 유닛(30)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때, 지폐 유닛(30)의 바닥면에는, 회전 롤러(25)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회전 롤러(25)가 회전하여 지폐 유닛(30)이 슬라이드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지폐 유닛(30)의 이동 중에, 지폐 유닛(30)이 전도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의 조작부(22)를 밀어 내려 회전 롤러(25)를 상승시켜, 지폐 유닛(30)을 들어 올린다. 또한, 여기서, 볼트(15)를 회전시켜서 하강시켜, 조작부(22)를 밀어 내린 상태로 볼트(15)에 의해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유닛(3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폐 유닛(30)에 캐스터(34)를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의 볼트(15)를 회전시켜서 상승시켜, 조작부(22)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지폐 유닛(30)을 하강시킨다. 이 결과, 지폐 유닛(30)은, 캐스터(33)와 캐스터(34)에 의해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지폐 유닛(30)은 케이스(40)로부터 취출된다.
이상과 같이, 유닛 탑재 지그(1)는, 개구(16)가 형성된 배치면(11)을 갖는 배치 부재(10)와, 배치면(11)의 하방에 수용되고, 회전 롤러(25)가 부착된 들어올림부(23), 축(26) 및 조작부(22)를 가지며, 조작부(22)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축(26)을 중심으로 배치 부재(10)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회전 롤러(25)가 개구(16)를 통해 배치면(11)보다 상방으로 상승하는 들어올림 부재(2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22)를 밀어 내림으로써, 배치면(11)에 배치된 유닛을, 들어올림부(23)에 의해 용이하게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들어올림부(23)에 회전 롤러(25)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들어 올린 유닛을 용이하게 슬라이드시켜, 탑재부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부(22)를 원래대로 되돌림으로써, 유닛을 배치면(11)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닛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유닛 탑재 지그(1)는, 유닛을 탑재부에 탑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유닛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닛 탑재 지그(1)에서는, 배치면(11)에 미끄럼 방지부(17a, 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닛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닛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닛 탑재 지그(1)에서는, 회전 롤러(25)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롤러(25)에 의해 바닥면이 밀어 올려진 유닛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닛 탑재 지그(1)에서는, 배치 부재(10)에, 조작부(22)를 밀어 내린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유닛을 들어 올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닛 탑재 지그(1)에서는, 들어올림 부재(20)가, 조작부(22)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닛 탑재 지그(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닛 탑재 지그(1)를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탑재 지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유닛 탑재 지그(2)에서는, 유닛 탑재 지그(1)의 구성에 대하여, 배치 부재(10)의 배치면(11)에, 개구(16)를 대신하여, 노치(18)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8)는, 배치 부재(10)의 선단으로부터 후방(B)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유닛 탑재 지그(1)와 동일하다.
즉, 배치 부재(10)의 배치면(11)의 하방에 수용된 들어올림 부재(20)의 들어올림부(23), 회전 롤러(25), 그리고 들어올림부(23)로부터 연속되는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일부는, 배치 부재(10)의 노치(18)에 의해 노출되어 있다. 또한,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21)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림부(23)에 부착된 회전 롤러(25)가, 노치(18)를 통해 배치 부재(10)의 배치면(11)보다 상방으로 상승한다.
유닛 탑재 지그(2)에 대해서도, 유닛 탑재 지그(1)와 마찬가지로, 유닛을 탑재부에 탑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유닛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 2: 유닛 탑재 지그 10: 배치 부재
11: 배치면 12: 측면
13: 배치 부재 본체부 14, 33, 34: 캐스터
15: 볼트 16: 개구
17a, 17b, 17c: 미끄럼 방지부 18: 노치
20: 들어올림 부재 21: 들어올림 부재 본체부
22: 조작부 23: 들어올림부
24, 26: 축 25, 36, 42: 회전 롤러
27: 이동용 회전 롤러 28: 슬릿
30: 지폐 유닛 31: 지폐 반송부
32: 카세트부 35: 돌기
40: 케이스 41: 탑재부

Claims (7)

  1. 개구 또는 노치가 형성된 배치면을 갖는 배치 부재와,
    상기 배치면의 하방에 수용되고, 회전 롤러가 부착된 들어올림부, 지점부(支點部) 및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상기 배치 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롤러가 상기 개구 또는 노치를 통해 상기 배치면보다 상방으로 상승하는 들어올림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탑재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는 축이고, 상기 축에는 이동용 회전 롤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탑재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탑재 지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탑재 지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에는, 상기 조작부를 밀어 내린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탑재 지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들어올림 부재는, 상기 조작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탑재 지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에는, 선회용 캐스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탑재 지그.
KR1020100133338A 2010-05-26 2010-12-23 유닛 탑재 지그 KR20110129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9971A JP5432819B2 (ja) 2010-05-26 2010-05-26 ユニット搭載治具
JPJP-P-2010-119971 2010-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804A true KR20110129804A (ko) 2011-12-02

Family

ID=4500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338A KR20110129804A (ko) 2010-05-26 2010-12-23 유닛 탑재 지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32819B2 (ko)
KR (1) KR20110129804A (ko)
CN (1) CN1022597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7186B2 (ja) * 2014-06-06 2018-04-2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隙間拡げ装置
CN110155147B (zh) * 2019-06-28 2020-12-01 杨娟 一种便于转移的内分泌用氧气瓶推车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9347A (en) * 1952-10-20 1956-01-03 David F Jorgensen Combination lift and dolly
JPS55500349A (ko) * 1978-04-17 1980-06-19
JPS6084362U (ja) * 1983-11-12 1985-06-11 佐藤 政太郎 低床重量物運搬用人力式運搬具
JPH01162865U (ko) * 1988-05-06 1989-11-13
JPH033123U (ko) * 1989-05-29 1991-01-14
JPH0396271U (ko) * 1990-01-22 1991-10-01
JPH0575216U (ja) * 1991-03-29 1993-10-15 小野田エー・エル・シー株式会社 パネル持上具
CN2150190Y (zh) * 1993-03-31 1993-12-22 贺季凤 手推省力铲车
JP3003123U (ja) * 1994-04-15 1994-10-18 富士機器工業株式会社 ストッパー付きテコ装置
JPH10120388A (ja) * 1996-10-23 1998-05-12 Kyodo Kumiai Watoro フォーク、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運搬車および車両用台車
JP3868165B2 (ja) * 1999-10-07 2007-01-1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1354393A (ja) * 2000-06-14 2001-12-25 Sekisui House Ltd 家具移動装置
JP2003118581A (ja) * 2001-10-09 2003-04-23 Fujitsu Ltd ユニット引出構造
JP2005096984A (ja) * 2003-09-22 2005-04-14 Akagi Corporation:Kk 重量物用の梃子棒
CN1882486B (zh) * 2003-11-21 2010-05-26 丰田钢铁中心株式会社 运送物的运送装置、从使用它的运输容器中运出运送物的方法以及将运送物运入运输容器的方法
JP2007290633A (ja) * 2006-04-27 2007-11-08 Atlas Auto:Kk 二輪車の保持搬送装置
JP2009040146A (ja) * 2007-08-07 2009-02-26 Honda Motor Co Ltd 運搬用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59745A (zh) 2011-11-30
JP2011245952A (ja) 2011-12-08
JP5432819B2 (ja)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01275B (zh) 一种托盘箱转运装置的下料机构
JP7131234B2 (ja) 無人搬送車のバッテリ交換装置
KR101188734B1 (ko)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TW201309573A (zh) 具有翻轉裝置的上料架
JP2018134958A (ja) 昇降装置
JP2017185957A (ja) 駐輪装置
EP3521078A1 (en) Protection cover of battery box of electric vehicle
KR20110129804A (ko) 유닛 탑재 지그
CN105799754A (zh) 驮运小车
JP2020069911A (ja) バッテリーキャリア
JP2011255710A (ja)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JP2006321412A (ja) 運搬用台車
KR200484249Y1 (ko) 드럼통 운반 작업용 캐리어
KR20120021077A (ko) 부품 공급 장치
JP6566874B2 (ja) ブーム降下防止装置
JP7337613B2 (ja) 昇降装置
JP3294204B2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lpgタンク搭載装置
KR20160125067A (ko) Ss기의 장비교환장치
JP2021104206A (ja) 洗濯機設置用治具
CN220262743U (zh) 检修平台
JP3213551U (ja) 遊技機運搬用台車
CN206967445U (zh) 一种物料放置架
JPH0654197U (ja) 可変傾斜形バッテリスタンド
JP4023618B2 (ja) 荷台内格納型の荷受台昇降装置
JP4291102B2 (ja) 荷台内格納型の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固縛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