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067A - Ss기의 장비교환장치 - Google Patents

Ss기의 장비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067A
KR20160125067A KR1020150055763A KR20150055763A KR20160125067A KR 20160125067 A KR20160125067 A KR 20160125067A KR 1020150055763 A KR1020150055763 A KR 1020150055763A KR 20150055763 A KR20150055763 A KR 20150055763A KR 20160125067 A KR20160125067 A KR 2016012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lift
equipment
couple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욱
Original Assignee
장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욱 filed Critical 장재욱
Priority to KR102015005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067A/ko
Publication of KR2016012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the delivery being related to the movement of a vehicle, e.g. the pump being driven by a vehicle whe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SS기의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장비를 다른 장비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SS기의 장비교환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S기의 장비교환장치는, 운전 및 주행가능한 차체(A), 살포기(B) 또는 적재대(B')와 같은 장비, 상기 차체(A)에 설치되어 장비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엑스바(A12) 형태의 자키로 된 리프트(A1), 상기 장비의 하단에 설치되어 리프트(A1)의 상단과 결합되는 받침판(B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SS기와, 상기 SS기의 리프트(A1) 상단에 장비 하단의 받침판(B1)을 대신하여 결합되는 보조받침판(10)과, 상기 장비 하단의 받침판(B1)을 대신하여 결합되며, 저면에 상기 보조받침판(10)을 수용할 수 있는 형틀(21)이 구비된 메인받침판(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받침판(10)은 메인받침판(20)의 형틀(2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SS기의 장비교환장치{Pment replacement device of speed sprayer}
본 발명은 SS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SS기의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장비를 다른 장비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SS기의 장비교환장치에 대한 것이다.
SS(speed sprayer)기란, 하기의 선행기술의 문헌 및 도1과 같이 운전 및 주행 가능한 차체(A)에 살포기(B)를 설치하여 농작물에 농약을 고속으로 살포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SS기는 도1과 같이 차체(A)로부터 살포기(B)를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A1)가 마련되어 있어 농약을 살포하지 않을 때에는 적재대(B') 또는 다른 기체나 구조물(이하 '장비'로 함)로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2와 같이 SS기에 적용된 리프트(A1)는 통상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엑스바(A12) 형태의 자키가 대부분이며, 살포기(B)와 적재대(B')는 리프트(A1)의 상측에 결합되는 받침판(B1)이 하단에 구성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받침판(B1) 및 리프트(A1)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리프트(A1)는 차체(A1)에 한 쌍의 레일(A11)이 설치되고, 그 레일(A11)의 선단에 엑스바(A12) 하측 일단의 힌지부(A121)가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롤러(A123)가 마련되어 레일(A11)을 따라 수평 슬라이딩 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엑스바(A12)의 하단 일측은 차체(A)로부터 실린더가 연결되어 엑스바(A12)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받침판(B1)은 차체(A)에 구성되는 리프트(A1)와 마찬가지로 선단에 엑스바(A12) 상측 일단의 힌지부(A123)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B11)이 구비되고, 그 후방으로 레일(B12)이 장착되며, 레일(B12)의 중간에는 엑스바(A12) 상측 타단의 롤러(A12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B13)이 절개되어 있다.
종래는 차체(A1)에 장착되어 있는 장비를 다른 장비로 교체할 때 받침판(B1)와 엑스바(A12)가 연결되는 힌지부(A123)를 풀어내고, 그 후방의 롤러(A124)를 삽입홈(B13)으로부터 빼내는 방식으로 탈거 및 그 역순으로 교체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교체방식은 힌지부(A123)를 풀고 조이는 과정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삽입홈(B13)으로부터 롤러(A124)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춰 빼내는 과정이 상당히 까다로워 교체시간이 오래 걸림은 물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삽입홈(B13)은 리프트(A1)의 승강 작동 중에 롤러(A124)가 빠지면서 받침판(B1)이 이탈되지 않도록 리프트(A1)를 최고로 높이 올렸을 때 롤러(A124)가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는 차체(A)로부터 다른 기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크레인과 같은 장비로 살포기(B) 또는 적재대(B')을 높이 들어올려야 하므로 그러한 장비를 현지에 동원해야 하거나 그러한 장비가 마련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상기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삽입홈(B13)을 적당한 높이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는 있지만, 이렇게 하면 리프트(A1)의 승강 높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삽입홈(B13)에 별도의 차폐판을 적용할 경우 교체할 때마다 차폐판을 풀고 조이는 과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367316호.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SS기에 장착된 장비를 다른 장비로 교체하고자 할 때 그 교환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려는데 그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SS기를 구성함에 있어 리프트의 상단에 항상 장착되어 있는 보조받침판을 설치하고, 장비의 하단에는 상기 보조받침판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한 수단에 따르며, 리프트와 받침판이 직접적으로 체결되지 않기 때문에 장비교체시 리프트로부터 받침판을 일일이 분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단이 적용된 SS기는 차체에 장착된 장비를 다른 장비로 교체하는 것이 상당이 쉽고 편리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SS기의 장비교환예시도
도 2는 종래 SS기에 장착된 리프트 및 받침판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S기의 장비교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밑에서 본 저부 사시도
도 6은 도 5를 결합한 저부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작동도
도 8은 도 6에 고정수단을 적용시킨 모습을 나타낸 일부 절단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가능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용대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의 (a)는 차체(A)에 살포기(B)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체(A)로부터 살포기(B)를 분리하기 위해 리프트(A1)를 이용하여 살포기(B)를 승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a)에서 살포기(B)를 분리하여 적재대(B')로 교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의 (a)는 차체(A)에 설치되는 리프트(A1)와 살포기(B)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판(B1)이 연결된 모습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를 밑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도2를 분해하여 리프트(A1)는 위에서, 받침판(B1)은 아래에서 본 모습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 및 주행가능한 차체(A); 농약살포가 가능한 살포기(B); 상기 차체(A)에 설치되어 살포기(B)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엑스바(A12) 형태의 자키로 된 리프트(A1); 상기 살포기(B)의 하단에 설치되어 리프트(A1)와 결합되는 받침판(B1); 상기 살포기(B)를 대신하여 리프트(A1)에 결합할 수 있는 받침판(B1)이 구비된 적재대(B');로 이루어지는 SS기를 대상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A1)는 차체(A1)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A11), 그 안내레일(A11)의 선단에 엑스바(A12)의 하측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A121), 타단에는 레일(A11)을 따라 수평 슬라이딩되는 롤러(A122), 힌지부(A121)의 일측과 차체(A) 사이에 연결되어 엑스바(A12)의 상측 양단을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실린더(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B1)은 엑스바(A12)의 상측 일단 힌지부(A123)가 결합되는 저면 선단의 힌지브라켓(B11), 그 힌지브라켓(B11)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B12), 엑스바(A12)의 상측 타단 롤러(A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된 안내레일(A11)의 삽입홈(B13)으로 이루어진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SS기 구조물 교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받침판(10)과 메인받침판(20)으로 이루어지고, 보조받침판(10)은 리프트(A1)에 장착되며, 메인받침판(20)은 살포기(B)의 하단 또는 적재대(B')의 하단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다른 기기나 구조물의 하단에 장착되고, 보조받침판(10)은 메인받침판(20)의 저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받침판(B1)의 역할을 나눠서 하나는 리프트(A1), 하나는 교체를 희망하는 기기나 구조물의 하단에 장착한 다음, 서로 간에 결합이 용이한 수단을 적용한 것이다.
도5는 도4를 밑에서 본 저부 사시도이고 , 도6은 도5를 결합한 사시도로서 ,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메인받침판 (20) 및 보조받침판(1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받침판(10)은 종래의 받침판(B1)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프트(A1)에 장착되되, 살포기(B)와 분리되는 형태로 되고, 종래의 받침판(B1)에 비해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여 표면의 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받침판(20)은 종래의 받침판(B1)와 같이 살포기(B)의 하단에 장착되되, 종래의 받침판(B1)에 존재하던 레일(A11)과 힌지브라켓(B11)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보조받침판(10)을 수용할 수 있는 형틀(21)이 마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21)은 보조받침판(10)의 모양과 대응되는 형태로 되고, 보조받침판(10)의 모양은 표면적이 넓고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사각형태가 바람직하며, 형틀(21)의 깊이는 의도하지 않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받침판(10)의 전체 두께를 넘는 깊이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형틀(21)은 보조받침판(10)의 인입을 유도하는 안내대(2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21)로부터 이어져 외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대(22)는 형틀(21)과 보조받침판(B1)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도 알아서 제자리를 찾아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7은 도4의 작동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SS 기로부터 살포기의 분리 및 적재대로 교체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SS기는 차체(A)에 장착된 살포기(B)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a)와 같이 별도의 지지대(C)를 메인받침판(20)의 양측 전후에 끼워 살포기(B)를 고정하고, (b)와 같이 리프트(A1)를 하강하면 메인받침판(20)의 형틀(21)로부터 보조받침판(10)이 쉽게 빠지게 되며, 이와 역순으로 차체(A)로부터 적재대(B')를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이 적용된 SS기는 차체(A)로부터 살포기(B)의 분리가 쉬울 뿐 아니라 적재대(B')로 교체하는 것이 상당히 용이하다.
도8은 본 발명에 고정수단을 적용시킨 모습을 나타낸 일부 절단 사시도로서 ,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부가되는 고정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받침판(20)의 형틀(21)에 보조받침판(10)이 삽입되어 결합될 때 의도하지 않는 이탈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30)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0)은 형틀(21)의 전후 양측 끝에 형틀(21)과 보조받침판(10)이 관통하도록 핀 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0)의 또 다른 예로 형틀(21)의 전후 양측 끝에 브라켓(31)을 장착하고, 그 브라켓(31)으로부터 형틀(21)과 보조받침판(10)을 관통삽입되는 끝단에 손잡이(321)를 가진 밀핀(32)을 장착하고, 상기 밀핀(32)은 브라켓(31)으로부터 형틀(21)의 내부로 탄성력을 갖도록 밀핀(32)의 선단 일측에 작동원판(33)이 장착되고 그 작동원판(33)과 브라켓(31) 사이에 스프링(34)이 개재되며, 상기 밀핀(32)은 형틀(21)로부터 이탈시 그 이탈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밀핀(32)의 후단 일측에 교차형 걸림봉(35)이 장착되고, 그 걸림봉(35)은 브라켓(31)에 형성된 관통홈(36)을 통해 통과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상기의 고정수단(30)은 밀핀(32)의 걸림봉(35)과 브라켓(31)의 관통홈(36)과 일치되면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밀핀(32)의 선단이 형틀(21)의 내부로 삽입되고, 브라켓(31)으로부터 밀핀(32)을 당겨 회전시키면 걸림봉(35)이 브라켓(31)의 관통홈(36)에 어긋나게 되어 밀핀(32)이 형틀(21)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고정수단(30)의 부가는 메인받침판(20)에 보조받침판(10)이 결합될 때 그 고정 및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상술한 설명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를 다시 한 번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리프트(A1)와 받침판(B1)이 직접적으로 체결되지 않기 때문에 교체할 때마다 일일이 리프트(A1)로부터 받침판(B1)을 분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A)로부터 살포기(B)를 분리할 때 살포기(B)는 높게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므로 중장비가 불필요함은 물론 그러한 장비가 있는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종래와 달리 레일(A11)에 삽입홈(B13)이 없음으로 승강 높이의 제한 없는 효과와 별도의 차폐판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단이 적용된 SS기는 차체(A)에 장착된 살포기(B)를 적재대(B')로 또는 적재대(B')에서 살포기(B)로 또는 다른 기기나 구조물로 교체하는 것이 상당이 쉽고 편리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마치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되는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추(A3)구하고자 하는 사상 및 보호받고자 하는 권리범위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및 변경하여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할 것이다.
A: 차체 A1: 리프트
A11: 레일 A12: 엑스바(A12)
A121,A123: 힌지부 A122,A124: 롤러
B: 살포기 B1: 받침판
B11: 힌지브라켓 B12: 레일
C: 지지대 10: 보조받침판
20: 메인받침판 21: 형틀
22: 안내대 30: 고정수단
31: 브라켓 32: 핀
321: 손잡이 33: 링
34: 스프링 35: 걸림봉
36: 관통홈

Claims (1)

  1. SS기에 장착되어 있는 장비를 다른 장비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SS기의 장비교환장치에 있어서;

    운전 및 주행가능한 차체(A), 살포기(B) 또는 적재대(B')와 같은 장비, 상기 차체(A)에 설치되어 장비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엑스바(A12) 형태의 자키로 된 리프트(A1), 상기 장비의 하단에 설치되어 리프트(A1)의 상단과 결합되는 받침판(B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SS기;
    상기 SS기의 리프트(A1) 상단에 장비 하단의 받침판(B1)을 대신하여 결합되는 보조받침판(10); 및
    상기 장비 하단의 받침판(B1)을 대신하여 결합되며, 저면에 상기 보조받침판(10)을 수용할 수 있는 형틀(21)이 구비된 메인받침판(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받침판(10)은 메인받침판(20)의 형틀(2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기의 장비교환장치.
KR1020150055763A 2015-04-21 2015-04-21 Ss기의 장비교환장치 KR20160125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63A KR20160125067A (ko) 2015-04-21 2015-04-21 Ss기의 장비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63A KR20160125067A (ko) 2015-04-21 2015-04-21 Ss기의 장비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67A true KR20160125067A (ko) 2016-10-31

Family

ID=5744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763A KR20160125067A (ko) 2015-04-21 2015-04-21 Ss기의 장비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0446A (zh) * 2019-10-22 2020-01-24 芜湖七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农药喷洒机自动更换农药瓶的方法
CN110720447A (zh) * 2019-10-22 2020-01-24 芜湖七创工业设计有限公司 可自动更换农药瓶的农药喷洒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0446A (zh) * 2019-10-22 2020-01-24 芜湖七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农药喷洒机自动更换农药瓶的方法
CN110720447A (zh) * 2019-10-22 2020-01-24 芜湖七创工业设计有限公司 可自动更换农药瓶的农药喷洒机
CN110720447B (zh) * 2019-10-22 2023-09-05 芜湖七创工业设计有限公司 可自动更换农药瓶的农药喷洒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296B1 (ko) 디스태킹 행거 장치
CN203880346U (zh) 配重式显示器自由升降架
US11548138B2 (en) Tool storage device for a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KR101686749B1 (ko)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JP2016044315A (ja) メッキ処理用ハンガー掛け装置
CN103982759A (zh) 一种配重式显示器自由升降架
DE602006002409D1 (de) Struktur zum Lagern und Transportieren von mindestens einer Stabpoliermaschine und ihrer Funktionseinheiten
KR20160125067A (ko) Ss기의 장비교환장치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JP4771859B2 (ja) 電機設備盤の組立作業用装置
CN210264588U (zh) 一种深海钻机换杆机构夹持机构
JP5759708B2 (ja) ブーム式作業車の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
CN213616537U (zh) 一种市政机械设备安装辅助装置
JP2016064493A (ja) 作業台
JP3196221U (ja) リフター装置
CN110695951B (zh) 一种钢板画线机
KR20130108216A (ko) 트랙터용 써레
US20190308861A1 (en) Countertop Installation Cart
KR101824898B1 (ko) 트럭크레인의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CN207534112U (zh) 一种立柱盖板结构
AU2011244854B2 (en) Carriage frame and fork pin lock assembly
CN111603007A (zh) 一种医院不良事件管理用咨询台
EP1743859A3 (en) Footboard, especially for winding machines, and wind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footboard
CN212687333U (zh) 一种吊具
CN219924900U (zh) 一种安放稳定的激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