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133A - 판형체의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판형체의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133A
KR20110118133A KR1020117017542A KR20117017542A KR20110118133A KR 20110118133 A KR20110118133 A KR 20110118133A KR 1020117017542 A KR1020117017542 A KR 1020117017542A KR 20117017542 A KR20117017542 A KR 20117017542A KR 20110118133 A KR20110118133 A KR 2011011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weight
loading
plate
moving
moun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810B1 (ko
Inventor
다께히꼬 노세
가즈야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0Packaging plate glass, tiles, or shi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20Force systems, e.g. composition of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복수의 판형체가 적층되어 수납된 수납 팰릿을, 수송을 위하여 적재하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는, 기대와, 상기 기대에 틸팅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함께 상기 수납 팰릿이 적재되고, 상기 수납 팰릿이 적재된 상태에서,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 사이에서 자유롭게 틸팅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는다.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적재대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적재대의 틸팅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과 타방측 사이에서 이동시켜, 적재대를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 사이에서 틸팅시킨다.

Description

판형체의 적재 장치{DEVICE FOR CARRYING PLATE-LIKE BODIES THEREON}
본 발명은 판형체의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크기의 유리판이 복수매 적층되어 수납된 수납 팰릿을 적재하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0 세대 크기라 칭해지는 약 3200×3000(㎜) 크기의 마더 유리 기판이 복수매 적층되어 수납된 수용 팰릿은, 짧은 변이라도 3300㎜를 초과하는 크기로 되므로, 수평 상태에서는 트럭 컨테이너에 넣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수납 팰릿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수송된다. 왜냐하면, 대형 크기의 마더 유리 기판을 수평 상태로 하여 반송하는 것은, 수송시의 운반 차량의 횡폭이 지나치게 커져, 공도 주행시의 도로 교통 법규에 위반되기 때문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패널을 경사시켜 적재하는 패널 반송 컨테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반송 컨테이너는, 대차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피봇부(樞支部)를 갖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정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하단부를 지지대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 외측에 회동 가능한 중간 힌지를 설치하고, 조립시에 대략 산 형상으로 기립되어, 유리판 등의 패널을 지지 프레임에 기댄 상태에서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설치한 구성이다. 특허문헌 1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등을 포용하도록 절첩함으로써, 콤팩트한 화물 포장이 되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판유리를 경사시켜 적재하는 판유리 수송용 컨테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도 1에 도시하는 장치는, 적어도 상부 부재가 제거 가능한 상자형 컨테이너의 내부에 지지 부재 및 기부 규제 부재를 설치하고, 판유리를 복수매 적층 상태로 지지하는, 단면이 L자 형상인 판유리 지지 부재를 양쪽 부재와 결합하는 상태에서 취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장치에서는, 판유리를 수용한 판유리 지지 부재를, 특허문헌 2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등의 인양 설비에 의해 인양하여 소형 컨테이너의 내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시켜 수용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248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311488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대형 크기의 마더 유리 기판의 수용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하면, 큰 크기의 유리판 등의 패널의 취급의 불편함 때문에, 조립시에 대략 산 형상으로 기립된 지지 프레임에 상기 패널을 기댄 상태에서 지지시키는 것은, 큰 작업상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패널의 납품 작업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는 대형 크기의 판유리를 수납하는 판유리 지지 부재를 인양하는 크레인 등의 인양 설비가 필요하여, 유리판의 납품 작업 설비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2의 적재 장치는, 종횡 3m를 초과하는 대형 크기의 유리 기판의 수송을 위하여 컨테이너 등에 적재하는 데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수납 팰릿이 적재되는 적재대를 기대(基臺)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하고, 적재대를 전동 장치에 의해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로 동작시키는, 전동 가도식(電動可倒式) 적재 장치이면 해소할 수 있다. 즉, 수납 팰릿의 수납시에는, 전동 장치에 의해 적재대를 수평 자세로 이동시키고, 한쪽에서는 수납 팰릿을 포크리프트에 의해 상승시키고, 포크리프트에 의해 수납 팰릿을 반송하여 수평 자세 상태의 적재대에 적재한다. 다음에, 전동 장치에 의해 적재대를 경사시켜, 소정의 경사 자세로 유지시킨다. 이에 의해, 대형 크기의 유리 기판이어도, 컨테이너 등 적재에 실용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전동 가도식 적재 장치는, 중량물인 적재대를 틸팅시키기 위하여 대규모인 전동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이와 같은 전동 장치 한 세트에 의해 전동 가도식 적재 장치 자체가 대형화되고 있으므로, 전용 트레일러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콤팩트한 구조로 함으로써, 전용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대형의 판형체를 수납하고, 수송할 수 있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판형체가 적층되어 수납된 수납 팰릿을, 수송을 위하여 적재하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이며, 기대와, 상기 기대에 틸팅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함께 상기 수납 팰릿이 적재되고, 상기 수납 팰릿이 적재된 상태에서,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 사이에서 자유롭게 틸팅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고,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적재대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적재대의 틸팅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과 타방측 사이에서 이동시켜, 적재대를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 사이에서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판형체의 적재 장치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를, 적재대의 틸팅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으로 이동시켜 가면,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적재대의 무게 중심 위치가 상기 일방측으로 이동되어 오므로, 적재대가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자세를 바꾸어 간다. 그리고, 상기 일방측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밸런스 웨이트가 이동되면, 상기 무게 중심이 상기 틸팅 중심 상에 위치하여, 적재대가 수평 자세로 된다. 이와는 반대로, 이동 수단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를, 적재대의 틸팅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이동시켜 가면,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적재대의 무게 중심 위치가 틸팅 중심 상으로부터 상기 타방측으로 이동되어 오므로, 적재대가 수평 자세로부터 경사지게 되어 소정의 경사 자세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재 장치에 따르면, 밸런스 웨이트를 일방측 및 타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적재대를 수평 자세와 경사 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에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동력은 중량물의 적재대를 이동시키는 동력과 비교하여 작은 동력이면 되므로, 수동 또는 소형의 전동 장치에 의한 동력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재 장치에 따르면, 수납 팰릿의 적재에는 적재대를 사용하지만, 대규모인 전동 경사 구동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적재 장치가 콤팩트해지고, 따라서 전용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수납 팰릿이 적재된 적재 장치를 수송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인 전동 경사 구동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적재 장치가 저렴해지고, 또한 전용 트레일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만큼의 수송 비용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적재 장치가 콤팩트화됨으로써 적재 장치 자체의 운반 차량에 대한 재적재가 가능해지므로, 기동성이 풍부한 적재 장치가 된다.
또한, 적재대가 수평 자세, 소정의 경사 자세가 되면, 적재대는 턴 버클을 갖는 훅 등의 자세 유지 부재에 의해 그의 자세가 유지된다. 즉, 턴 버클을 갖는 훅의 양단부에 설치된 훅 중 한쪽의 훅이 기대에 결합되고, 다른 쪽의 훅이 적재대에 결합됨으로써, 적재대가 기대에 대하여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로 유지된다.
턴 버클을 갖는 훅의 턴 버클이란, 일단부에 왼나사와 타단부에 오른나사가 새겨진 슬리브와, 상기 왼나사에 나사 결합된 나사 막대와, 상기 오른나사에 나사 결합된 나사 막대로 구성된 주지의 인장 체결용 나사 금속 부재이다. 턴 버클을 갖는 훅이란, 이들 나사 막대의 선단에 훅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즉, 이들 나사 막대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슬리브를 회전시켜, 이들 나사 막대를 슬리브로부터 펴고, 이 상태에서 한쪽 훅을 기대에 결합시킴과 함께 다른 쪽의 훅을 적재대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들 나사 막대가 조이는 방향으로 슬리브를 회전시켜, 이들 나사 막대를 슬리브에 인입함으로써, 이들 나사 막대의 긴장력에 의해 적재대를 기대에 대하여 수평 자세, 또는 소정의 경사 자세로 고정한다. 이 턴 버클을 갖는 훅은, 적재대를 기대에 대하여 수평 자세로 유지시키는 것과, 적재대를 기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자세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지런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적재대 측면에 배치된 직동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설치된 너트부에 나사 결합된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상기 직동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이송 나사의 작용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가 직동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리드 스크류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플렉시블 샤프트와,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수동식 핸들 또는 전동식 회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식 핸들 또는 전동식 회전 수단에 의해 플렉시블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에 전달되어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고, 밸런스 웨이트가 직동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샤프트를 사용하면, 적재대가 틸팅하여 플렉시블 샤프트의 출력 단부의 위치가 변동해도, 플렉시블 샤프트가 유연하게 변형되므로, 플렉시블 샤프트의 입력 단부에 연결된 수동식 핸들 또는 전동식 회전 수단으로부터의 동력을 리드 스크류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샤프트란, 입력 단부에 전달된 회전 운동을 출력 단부를 통하여 전달하는 샤프트이며, 적절한 커브를 유지하면서 회전과 토크를 전달하는 샤프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형체는 종횡 치수가 3000(㎜)을 초과하는 마더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판형체의 적재 장치는, 적재 장치 자체가 콤팩트화됨으로써, 제10 세대의 대형 크기의 마더 유리 기판의 수납, 수송에 적합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판형체의 적재 장치는, 상기 적재 장치를 수송하는 운반 차량에 대하여, 적재대를 축지지하는 축의 축방향이 진행 방향으로 되도록 탑재된다. 이와 같은 자세로 적재 장치를 운반 차량에 탑재함으로써, 차 폭이 넓은 운반 차량(전용 트레일러)을 사용하지 않고 적재 장치를 차 폭이 좁은 운반차량(트럭)에 탑재할 수 있다. 운반 차량은 자체 주행하는 트럭, 견인차에 견인되는 트레일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판형체의 적재 장치에 따르면, 대규모인 전동 경사 구동 장치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구조가 콤팩트해지고, 따라서, 전용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대형의 판형체를 수납하여 수송할 수 있다.
도 1은 수납 팰릿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적재대가 수평 자세로 있는 적재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적재대가 틸팅해 가는 상태의 적재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적재대가 소정의 경사 자세로 있는 적재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밸런스 웨이트의 이동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판형체의 적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판형체의 적재 장치에 적재되는 수납 팰릿(10)의 일례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수납 팰릿(10)에는 복수매, 예를 들어 80 내지 142매의 직사각 형상의 유리판(G)이 수평하게, 또한 유리판(G)의 상호간에 유리판(G)보다 큰 크기의 직사각 형상의 합지(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수납된다.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유리판(G)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으로 사용되는, 종횡의 크기가 약 3200×3000(㎜)인 마더 유리 기판이며, 판의 두께는 1㎜ 이하이다. 또한, 유리판(G)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판형체의 적재 장치는, 이러한 대형의 유리판의 적재에 적합하다.
수납 팰릿(10)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받침대(12)와, 위치 결정 부재(14, 16) 및 적재판(18) 등으로 구성된다.
받침대(12)는 복수개의 프레임재(20, 20…)에 의해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된다. 프레임재(2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이 받침대(12)는 복수의 프레임재(20, 20…)를 종횡으로 격자 형상으로 조립한 것을 2대 제작하고, 이 2대의 조립 부재의 격자면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프레임재(20, 20…)를 사용하여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받침대(12)의 전체 측면에는, 포크리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부(22, 22)가 받침대(12)의 일측면에 적어도 2군데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12) 상에는 적재판(18)이 설치되고, 이 적재판(18)은 도시하지 않은 상부 덧댐 부재 및 진동 흡수용 완충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14, 16)는 받침대(12)의 4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합지를 개재하여 적층된 유리판(G)을 끼움 지지하도록, 적층된 유리판(G)의 측면을 누르는 것이다. 위치 결정 부재(14)는 받침대(12) 또는 적재판(18)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착탈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위치 결정 부재(16)는 나사 등에 의해, 받침대(12) 또는 적재판(18)에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는, 유리판(G)을 수납 팰릿(10)에 수납할 때에 위치 결정 부재(16)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위치 결정 부재(14)는 유리판(G)을 수납 팰릿(10)에 적재시킬 때의 유리판(G)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14)도 위치 결정 부재(16)와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하게 해도 되지만, 적층되는 유리판(G)의 위치 정밀도 및 필요하게 되는 강성의 관점에서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납 팰릿(10)은 일정 폭의 랩핑 부재로 감기고, 이 상태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적재 장치(30)에 적재된다. 그리고, 수납 팰릿(10)은 적재 장치(30)의 적재대(34)에 4군데의 U자 금속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나비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랩핑 부재와 유리판(G) 사이에는, 유리판(G)이 수송시에 파손되지 않도록 에어백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판(G)을, 완충재를 끼워 래싱 벨트 등의 고정 지그로 수납 팰릿(10)에 고정해도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적재 장치(30)는, 도 4에 도시한 소정의 경사 자세로 트럭(운반 차량)의 짐받이에 탑재된다.
도 2는 적재 장치(30)의 적재대(34)가 수평 자세인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3은 적재대(34)가 틸팅 도중인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4는 적재대(34)가 소정의 경사 자세인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장치(30)는 기대(32)와 적재대(34)로 구성된다. 이 기대(32) 및 적재대(34)는, 예를 들어 철이나 스테인리스강을 재료로 하여 구성된다.
기대(32)는 도시하지 않은 트럭 짐받이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실시 형태의 적재 장치(30)는 트럭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이다. 또한, 기대(32)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적재대(34)를 틸팅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36)과, 턴 버클을 갖는 훅(38, 40)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36)은, 기대(32)의 상부 양측에 2군데(다른 베어링(36)은 도시하지 않음),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이들 베어링(36)에 적재대(34)가 축(4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대(34)가 기대(32)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적재 장치(30)는, 축(42)의 축방향이 트럭의 진행 방향으로 되도록 트럭의 짐받이에 탑재된다. 또한, 축(42)은 적재대(34)의 상부의 대략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턴 버클을 갖는 훅(40)은, 기대(32)를 구성하는 테이블(44)의 양측에 2군데(다른 턴 버클을 갖는 훅(40)은 도시하지 않음) 설치되어 있고, 도 4에서 나타낸 소정의 경사 자세의 적재대(34)를 그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턴 버클을 갖는 훅(40)의 구조는 주지이지만, 한쪽의 훅(46)이 테이블(44)에 설치된 브래킷(48)에 결합되고, 다른 쪽의 훅(50)이 적재대(34)의 도 4 중 우측 하부에 설치된 핀(52)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턴 버클을 갖는 훅(40)의 슬리브(54)를 조임으로써, 테이블(44)에 대하여 적재대(34)가 턴 버클을 갖는 훅(40)을 통하여 고정되고, 적재대(34)가 소정의 경사 자세로 유지된다.
한편, 턴 버클을 갖는 훅(38)은, 기대(32)를 구성하는 지지 기둥(56)의 측면 양측에 설치된 브래킷(58)에 2군데(다른 턴 버클을 갖는 훅(38)은 도시하지 않음) 설치되어 있고, 도 2에서 나타낸 수평 자세의 적재대(34)를 그 수평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턴 버클을 갖는 훅(38)의 한쪽 훅(60)이 브래킷(58)에 결합되고, 다른 쪽 훅(62)이 적재대(34)의 도 2 중 좌측 하부에 설치된 핀(64)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턴 버클을 갖는 훅(38)의 슬리브(66)를 조임으로써, 지지 기둥(56)에 대하여 적재대(34)가 턴 버클을 갖는 훅(38)을 통하여 고정되고, 적재대(34)가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자세 유지 부재로서 턴 버클을 갖는 훅(40, 38)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대(34)를 수평 자세, 소정의 경사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부재이면 어떠한 부재라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턴 버클을 갖는 훅(40, 38)을 사용함으로써, 슬리브(54, 66)를 수작업으로 돌리는 것만으로 상기 자세를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적재대(34)는, 복수의 프레임재가 조합되어 구성되고, 수납 팰릿(10)을 적재하는 적재면이 형성되어 있다. 적재대(34)의 하면에는, 축(42)이 장착되어 있고, 이 축(42)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36, 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적재 장치(30)의 적재대(34)의 측면(35)에는, 도 5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7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이 밸런스 웨이트(70)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 수단(72)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70)를 이동시키면, 밸런스 웨이트(70)를 포함하는 적재대(34)의 무게 중심 위치가, 적재대(34)의 축(틸팅 중심)(42)에 대하여 도 2 중 좌측(일방측)과 우측(타방측) 사이에서 이동하므로, 적재대(34)를 도 2에 도시한 수평 자세와 도 4에 도시한 소정의 경사 자세 사이에서 틸팅시킬 수 있다.
즉, 이동 수단(72)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70)를 적재대(34)의 축(42)에 대하여 도 2 중 좌측으로 이동시켜 가면, 밸런스 웨이트(70)를 포함하는 적재대(34)의 무게 중심 위치가 도 2 중 좌측으로 이동되어 오므로, 적재대(34)가 도 3, 도 4의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자세를 바꾸어 간다. 그리고, 도 2 중 좌측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로 밸런스 웨이트(70)가 이동되면, 상기 무게 중심이 축(42) 상에 위치하고, 적재대(34)가 도 2와 같이 수평 자세로 된다.
이와는 반대로, 이동 수단(72)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70)를, 적재대(34)의 축(42)에 대하여 도 2 중 좌측으로부터 도 3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켜 가면, 밸런스 웨이트(70)를 포함하는 적재대(34)의 무게 중심 위치가 축(42) 상으로부터 상기 우측으로 이동되어 오므로, 적재대(34)가 수평 자세로부터 경사져 경사 자세로 되고, 밸런스 웨이트(70)의 도 4의 위치에서 적재대(34)의 소정의 경사 자세로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의 적재 장치(30)에 따르면, 밸런스 웨이트(7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적재대(34)를 수평 자세와 경사 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에 밸런스 웨이트(70)를 이동시키는 동력은 중량물의 적재대(34)를 이동시키는 동력과 비교하여 작은 동력이면 되므로, 수동 또는 소형의 전동 장치에 의한 동력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실시 형태의 적재 장치(30)에 따르면, 수납 팰릿(10)의 적재에는 적재대(34)를 사용하지만, 대규모인 전동 경사 구동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적재 장치(30)가 콤팩트해지고, 따라서 전용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수납 팰릿(10)이 적재된 적재 장치(30)를 수송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인 전동 경사 구동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적재 장치(30)가 저렴해지고, 또한 전용 트레일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만큼의 수송 비용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적재 장치(30)가 콤팩트화됨으로써 적재 장치(30) 자체의 운반 차량에 대한 재적재가 가능해지므로, 기동성이 풍부한 적재 장치(30)가 된다. 또한, 적재대(34)가 수평 자세, 경사 자세가 되면, 적재대(34)는 턴 버클을 갖는 훅(38, 40)에 의해 그 자세가 유지된다.
그런데, 밸런스 웨이트(70)는, 도 5와 같이 적재대(34)의 측면(35)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직동 가이드 부재)(74)에, 밸런스 웨이트(70)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76, 76)이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7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74)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42)을 끼워 좌우 양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7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이동된다.
전술한 이동 수단(72)은, 도 5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70)에 설치된 너트부(78)에 나사 결합된 리드 스크류(80)와, 이 리드 스크류(80)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런스 웨이트(70)를 가이드 레일(74)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82)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 스크류(80)는 그의 양단부가 베어링(84, 84)을 통하여 적재대(34)의 측면(35)에 가이드 레일(74)과 평행해지도록 설치됨과 함께, 베어링(84, 8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구동 수단(82)에 의해 리드 스크류(80)를 회전시키면, 이송 나사의 작용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70)가 가이드 레일(74)을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한다.
또한, 회전 구동 수단(82)은 리드 스크류(80)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플렉시블 샤프트(86)와, 이 플렉시블 샤프트(86)를 회전시키는 수동식 핸들(88)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플렉시블 샤프트(86)의 입력 단부(86A)에 수동식 핸들(88)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고, 플렉시블 샤프트(86)의 출력 단부(86B)에 기어 전달 기구(90)를 통하여 리드 스크류(80)의 한쪽 단부(80A)가 연결되어 있다.
기어 전달 기구(90)는 베벨 기어(92, 94), 커플링(96), 베벨 기어(98, 100) 및 커플링(10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벨 기어(92)는 플렉시블 샤프트(86)의 출력 단부(86B)에 연결되고, 이 베벨 기어(92)에 베벨 기어(94)가 맞물리게 됨으로써, 플렉시블 샤프트(86)의 출력 단부(86B)로부터의 동력 전달 방향이 90°변환되어 상방을 향하게 된다. 출력 단부(86B)는 적재대(34)에 설치된 브래킷(104)에 베어링(9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벨 기어(94)는 베어링(95)을 통하여 브래킷(1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벨 기어(94)에는, 커플링(96)을 통하여 베벨 기어(98)가 연결되고, 이 베벨 기어(98)에 베벨 기어(100)가 맞물리게 됨으로써, 베벨 기어(94)로부터의 동력 전달 방향이 90° 변환되어 수평 방향을 향하게 된다. 베벨 기어(98)는 베어링(99)을 통하여 브래킷(1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벨 기어(100)는 베어링(101)을 통하여 브래킷(1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벨 기어(100)에 커플링(102)을 통하여 리드 스크류(80)의 한쪽 단부(80A)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식 핸들(88)에 의해 플렉시블 샤프트(86)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전술한 기어 전달 기구(90)를 통하여 리드 스크류(80)에 전달되고, 리드 스크류(80)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70)가 가이드 레일(74)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샤프트(86)를 사용하면, 적재대(34)가 도 3, 도 4와 같이 틸팅하여 플렉시블 샤프트(86)의 출력 단부의 위치가 변동해도, 플렉시블 샤프트(86)가 유연하게 변형되므로, 플렉시블 샤프트(86)의 입력 단부(86A)에 연결된 수동식 핸들(88)로부터의 동력을 리드 스크류(80)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5의 부호 106은 플렉시블 샤프트(86)의 입력 단부(86A)를, 도 2 등에서 나타낸 테이블(44)에 지지시키기 위한 브래킷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샤프트(86)의 회전 수단으로서 수동식 핸들(88)을 예시하였지만, 이 대신에 전동식 회전 수단에 의해 플렉시블 샤프트(86)를 회전시켜도 된다. 전동식 회전 수단으로서는 임팩트 렌치를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런스 웨이트(70)는 기어 전달 기구(90), 리드 스크류(80) 등의 기계 마찰 저항 등을 고려하여, 임팩트 렌치의 능력(예를 들어 400rpm, 1.5Nm)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질량으로 선정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런스 웨이트(70)의 이동 수단(72)으로서, 리드 스크류(80)를 사용한 이송 나사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식 이동 수단 등, 다른 이동 수단이어도 된다. 즉, 밸런스 웨이트(70)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면, 어떤 수단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 형태의 적재 장치(30)에 따르면, 약 3200×3000(㎜)의 마더 유리 기판을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재 장치(30)에서는, 적재대(34)를 틸팅시키는 전동 장치를 갖고 있지 않고, 적재 장치(30) 자체가 콤팩트화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제10 세대의 대형 크기의 마더 유리 기판의 수용, 수송에 적합해진다.
또한, 수납 팰릿(10)을 적재대(34)에 적재하였을 때의 적재 장치(30)의 무게 중심은, 트럭의 폭 방향의 대략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트럭의 주행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운반 차량은 트럭 외에 견인차에 견인되는 트레일러 등의 운반 차량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출원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9년 1월 26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9-014414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인용하기로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이용예로서 유리판(G)을 예시하였지만, 유리판(G)뿐만 아니라, 판형체이면, 수지판, 금속판 등의 판형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판형체의 적재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대형이고 얇은 판형체를 안정되게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면, 액정 디스플레이용 제10 세대의 마더 유리 기판에 특히 유효하다.
10: 수납 팰릿
12: 받침대
14: 위치 결정 부재
16: 위치 결정 부재
18: 적재판
20: 프레임재
22: 개구부
30: 적재 장치
32: 기대
34: 적재대
36: 베어링
38: 턴 버클을 갖는 훅
40: 턴 버클을 갖는 훅
42: 축
44: 테이블
46: 훅
48: 브래킷
50: 훅
52: 핀
54: 슬리브
56: 지지 기둥
58: 브래킷
60: 훅
62: 훅
64: 핀
66: 슬리브
70: 밸런스 웨이트
72: 이동 수단
74: 가이드 레일
76: 가이드 블록
78: 너트부
80: 리드 스크류
82: 회전 구동 수단
84: 베어링
86: 플렉시블 샤프트
88: 수동식 핸들
90: 기어 전달 기구
92: 베벨 기어
94: 베벨 기어
96: 커플링
98: 베벨 기어
100: 베벨 기어
102: 커플링
104: 브래킷
106: 브래킷

Claims (4)

  1. 복수의 판형체가 적층되어 수납된 수납 팰릿을, 수송을 위하여 적재하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이며,
    기대(基臺)와,
    상기 기대에 틸팅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함께 상기 수납 팰릿이 적재되고, 상기 수납 팰릿이 적재된 상태에서,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 사이에서 자유롭게 틸팅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적재대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적재대의 틸팅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과 타방측 사이에서 이동시켜, 적재대를 수평 자세와 소정의 경사 자세 사이에서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적재대의 측면에 배치된 직동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설치된 너트부에 나사 결합된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상기 직동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리드 스크류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플렉시블 샤프트와,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수동식 핸들 또는 전동식 회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체의 적재 장치.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체는 종횡 치수가 3000(㎜)을 초과하는 마더 유리 기판인 판형체의 적재 장치.
KR1020117017542A 2009-01-26 2010-01-13 판형체의 적재 장치 KR101523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14414A JP5348610B2 (ja) 2009-01-26 2009-01-26 板状体の積載装置
JPJP-P-2009-014414 2009-01-26
PCT/JP2010/050284 WO2010084807A1 (ja) 2009-01-26 2010-01-13 板状体の積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133A true KR20110118133A (ko) 2011-10-28
KR101523810B1 KR101523810B1 (ko) 2015-05-28

Family

ID=4235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542A KR101523810B1 (ko) 2009-01-26 2010-01-13 판형체의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48610B2 (ko)
KR (1) KR101523810B1 (ko)
CN (1) CN102292268B (ko)
TW (1) TWI461334B (ko)
WO (1) WO20100848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437A (ko) * 2020-12-10 2022-06-17 아이엠센트럼 (주) 계란 판란 케이스용 보호커버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1701B1 (de) * 2010-10-15 2014-07-02 Deutsche Post AG Transportvorrichtung und Transportmittel damit
CN103359408B (zh) * 2013-07-29 2015-09-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倾斜可调的液晶模块包装箱
CN104166025A (zh) * 2014-08-29 2014-11-26 苏州市吴中区胥口广博模具加工厂 三轴联动式大型电路板测试夹具的使用方法
JP6178774B2 (ja) * 2014-10-22 2017-08-09 信越半導体株式会社 定盤運搬台車
KR101891991B1 (ko) * 2016-09-26 2018-09-28 원성희 적재 기능을 개선한 자재 적재대
KR101805598B1 (ko) * 2017-02-20 2017-12-07 안병홍 Lcd 글라스 원판 운송장치
CN108516210B (zh) * 2018-03-16 2019-07-19 常德中利玻璃门窗有限公司 一种玻璃包装机构
CN114590590B (zh) * 2022-03-11 2022-11-11 深圳市聚新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装饰板材生产用自动接料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266A (ja) * 1984-10-03 1986-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ボンベ運搬装置
JPH08130322A (ja) * 1994-10-31 1996-05-21 Kyocera Corp 太陽電池装置
CN2926061Y (zh) * 2006-03-17 2007-07-25 北京阳光之路特种车辆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俯仰和侧倾姿态的载物托盘装置
JP4862614B2 (ja) * 2006-11-01 2012-01-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437A (ko) * 2020-12-10 2022-06-17 아이엠센트럼 (주) 계란 판란 케이스용 보호커버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810B1 (ko) 2015-05-28
TWI461334B (zh) 2014-11-21
CN102292268A (zh) 2011-12-21
JP5348610B2 (ja) 2013-11-20
WO2010084807A1 (ja) 2010-07-29
CN102292268B (zh) 2014-08-06
TW201036903A (en) 2010-10-16
JP2010168099A (ja)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8133A (ko) 판형체의 적재 장치
KR101773639B1 (ko)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및 수납체 및 판 형상체의 적재 장치 및 운반 차량
JP5757437B2 (ja) 板状体の積載装置及び運搬車両並びに板状体の輸送方法
KR20100099218A (ko) 판 형상체 수납 용기
TW201226270A (en)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e body
JP5251136B2 (ja) 板状体の積載装置及び運搬車両
US20110068548A1 (en) Transport pallet
KR101560858B1 (ko) 판 형상체의 적재 장치 및 운반 차량
EP2042369B1 (en) Transport apparatus
CN212669121U (zh) 一种防止货物移动的电动叉车
KR20110041781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CN111776989A (zh) 一种稳固型建筑用装卸车
KR20120114222A (ko) 유리판 곤포체의 어댑터
JP4909065B2 (ja) 円筒物運搬用架台
JP4248599B1 (ja) 車両運搬用パレット
JP6264533B2 (ja) 板状体梱包用パレット
JP2009012503A (ja) 板状物の車上積載装置
JP3111744U (ja) 配電盤運搬据付用コンテナ
JP5024078B2 (ja) ガラス板用パレット
JP2005075580A (ja) 狭隘部への長尺部材の搬送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治具
JP2009202850A (ja) 運搬補助台車およびそれを用いた運搬方法
JPH0676112U (ja) ガラス板等の板状物の垂直積層型金属製物流具
JP2000198536A (ja) 板状体の物流装置および物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