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403A - 배터리 탑재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탑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8403A KR20110108403A KR1020117019524A KR20117019524A KR20110108403A KR 20110108403 A KR20110108403 A KR 20110108403A KR 1020117019524 A KR1020117019524 A KR 1020117019524A KR 20117019524 A KR20117019524 A KR 20117019524A KR 20110108403 A KR20110108403 A KR 201101084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vehicle
- battery unit
- mounting structure
- battery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22—Arrangement under the front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3—Arrangement under the rear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차량(1)의 플로어 패널(16)의 하측에 복수의 배터리(3)를 배치한다. 복수의 배터리(3)를 수직 방향으로 적층한 제1 배터리 유닛(38F)과, 복수의 배터리(3)를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한 제2 배터리 유닛(38R)을 설치한다. 배터리(3)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장치(12, 13, 14)의 배치 및 승객 시트(32F, 32R)의 배치의 관계에 있어서, 제1 배터리 유닛(38F) 및 제2 배터리 유닛(38R)의 배치를 고안함으로써, 차량(1)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를 차량에 탑재할 때의 배터리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청이 2001년에 발행한 일본 특허 제3199296호는 차량에 가능한 한 많은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해,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배터리를 배열하여 배치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다수의 배터리는 평면 상에 있어서 차량 횡단 방향과 차량 종단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배터리군을 구성한다. 배터리군의 무게 중심은, 배터리군의 차량 횡단 방향의 중선과 차량 종단 방향의 중선의 교점 부근에 위치한다.
한편,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 차량 구동용 전동 모터나 인버터 등의 중량 부품은, 차량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배터리군과 중량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가 차량의 전방부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종래 기술을 기초로 차량의 바람직한 전후 방향 중량 밸런스를 얻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차량의 바람직한 전후 방향 중량 밸런스를 배터리의 배치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복수의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제1 배터리 유닛과,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제2 배터리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세 및 다른 특징이나 이점은, 명세서의 이하의 기재 중에서 설명되는 동시에, 첨부된 도면에 나타내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차량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배터리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차량 주요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차량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배터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탑재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방향 적층부의 배터리 적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횡단 방향 적층부의 배터리 적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어셈블리를 수납 장착하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배터리 어셈블리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2는 배터리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차량 주요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차량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배터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탑재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방향 적층부의 배터리 적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횡단 방향 적층부의 배터리 적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어셈블리를 수납 장착하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배터리 어셈블리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면의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실(2)과, 차실(2)의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컴파트먼트(11)를 구비한다. 도면의 화살표 UP는 수직 방향 상향을 나타내고, 도면의 화살표 FR은 차량(1)의 주행 방향에 관하여 전방을 나타낸다. 차량(1)은, 프론트 컴파트먼트(11)에 수납된 전동 모터(12)의 동력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이른바 전기 자동차이다. 차량(1)은 전동 모터와 내연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구동 차량이나, 연료 전지가 발생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연료 전지 차량이라도 좋다.
전동 모터(12)를 구동하기 위해, 차량(1)의 차실(2)의 바닥 하부에는 다수의 배터리(3)가 배치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의 차체에는 차실(2)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6)의 하방에, 차량 종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사이드 멤버(4)가 배치된다. 도면의 화살표 WD는 차량(1)의 횡단 방향이며, 또한 차량(1)의 전방을 향해 우측 방향을 나타낸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의 전단부는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멤버(6)에 고정된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의 후단부에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가 고정된다.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에는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10)가 고정된다.
크로스 멤버(6)의 양단부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양단부는, 차체의 일부로서 차량의 도어용 개구부의 하단부를 구획하는 사이드실(side sill)(7)에 고정된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는 사이드실(7)의 내측에 배치되고, 한쪽 사이드 멤버(4)에 관하여 3개의 아우트리거(8)에 의해 사이드실(7)에 고정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있어서 부재 번호 7이 나타내는 부위는, 사이드실의 내측의 벽면에 상당한다. 부재(4, 6, 9, 10)는 미리 차체의 일부로서 플로어 패널(16)의 하방에 배치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프론트 컴파트먼트(11)에는, 차량(1)의 주행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12)와, 관련 디바이스로서 배터리 챠져(13)와 인버터(14)가 수납된다. 배터리 챠져(13)는 배터리(3)에 충전을 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버터(14)는 배터리(3)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동 모터(12)와 관련 디바이스를 전기 장치라 총칭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3)는 미리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에 적층되고, 배터리 어셈블리(22)로서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둘러싸인 공간에 하방으로부터 장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직사각형 프레임(23)과, 직사각형 프레임(23)의 내측에 배치된 보강 부재(24)로 이루어진다.
직사각형 프레임(23)은, 전단부 부재(23f)와 후단부 부재(23r) 및 전단부 부재(23f)의 양단부와 후단부 부재(23r)의 양단부를 결합하는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로 이루어진다. 전단부 부재(23f)와 후단부 부재(23r)와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가 직사각형의 4개의 변을 구성한다. 또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설명 중에서 사용하는 전후 혹은 전단부/후단부라고 하는 용어는,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차체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전후 혹은 전단부/후단부를 의미한다.
전단부 부재(23f), 후단부 부재(23r) 및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는 각각, 종벽부(28)와 종벽부(28)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9)를 구비한 역T자형 단면의 부재로 구성된다.
보강 부재(24)는, 직사각형 프레임(23)의 내측에 차량 횡단 방향으로 고정된 거더(24w)와, 거더(24w)의 중간부와 전단부 부재(23f)의 중간부를 결합하는 빔(24c)으로 이루어진다. 보강 부재(24)는, 거더(24w)와 빔(24c)을 용접에 의해 T자형으로 결합하고, 또한 T자의 각 단부를 직사각형 프레임(23)에 용접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으로서 미리 일체화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에는, 거더(24w)에 의해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과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이 구획된다.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은 또한 빔(24c)에 의해,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으로 구획된다. 전방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과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은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각 직사각형 영역(26F, 26F, 26R)은 긴 변이 짧은 변의 대략 2배의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설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3)는 편평한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배터리(3)는 직육면체의 3개의 변 중 최단변의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나머지 2변을 그 길이에 따라서 긴 변과 짧은 변이라 칭한다.
전방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에는 배터리(3)가, 긴 변을 차량 횡단 방향을 향해, 짧은 변을 차량 횡단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적층된다. 각 직사각형 영역(26F)에는 적층체가 차량 종단 방향으로 4기 나열되어 배치된다. 각 적층체의 배터리(3)의 적층수는 동일하지 않고, 전방의 2기에 대해서는, 배터리(3)가4층으로 적층되고, 후방의 2기에 대해서는 배터리(3)가 2층으로 적층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직사각형 영역(26F)에 12개의 배터리(3)가 적층된다.
전방의 각 직사각형 영역(26F)의 각 적층체에 있어서, 배터리(3)는 스페이서(37b)와 띠 형상 플레이트(37a)를 통해 적층된다. 스페이서(37b)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의 중간에 단차를 통해 대직경부를 형성한 부재이다. 배터리의 4코너에는 미리, 스페이서(37b)의 원기둥 형상 부분을 수납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띠 형상 플레이트(37a)의 양단부에도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배터리(3)를 적층할 때에는, 스페이서(37b) 원기둥 형상 부분의 한쪽을 띠 형상 플레이트(37a)의 관통 구멍에 관통시킨 후에 배터리(3)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원기둥 형상 부분의 다른 한쪽을 다른 띠 형상 플레이트(37a)의 관통 구멍을 관통시킨 후에 인접하는 배터리(3)의 관통 구멍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배터리(3) 사이에 2매의 띠 형상 플레이트(37a)를 통해 스페이서(37b)의 대직경부가 끼움 지지되고, 배터리(3)의 적층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최상단부 및 최하단부의 배터리(3)에는 띠 형상의 플레이트(37a)와 원기둥 형상의 부재의 일단부에 대직경부를 형성한 스페이서(37c)가 장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페이서(37b와 37c)의 중심에는 미리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정해진 수의 배터리(3)를 적층한 후, 스페이서(37b와 37c)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핀을 적층한 배터리(3)에 관통시키고, 핀의 양단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배터리(3)는 적층체로서 일체화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의 한쪽의 적층체열과,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의 다른 한쪽의 적층체열 사이에 공간(G)이 형성된다. 공간(G)은 빔(24c)과 그 주변 영역의 상방에 위치한다.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에 적층되는 배터리(3)는 모두 단자(3a)를 공간(G)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적층된다. 공간(G)에는 각 배터리(3)의 단자(3a)와 프론트 컴파트먼트(11) 내의 전기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하네스(34)와, 하네스(34)의 도중에 설치한 스위치 박스(35) 및 정션 박스(36)가 수납 장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에는 24개의 배터리(3)가 긴 변을 차량 종단 방향을 향하게 한 형태로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다. 배터리(3)는 단자(3a)를 전방을 향하게 하여, 전술한 스페이서(37b)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적층된다. 적층체의 양단부에는 엔드 플레이트(37e)가 적층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스페이서(37b)의 중심에는 미리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정해진 수의 배터리(3)를 적층한 후, 스페이서(37b)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핀을 적층한 배터리(3)에 관통시키고, 핀의 양단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배터리(3)는 적층체로서 일체화된다.
적층체의 전방 및 후방의 측면에는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37d)가 나사(37f)에 의해 고정된다.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에는 이와 같이 하여 적층된 적층체가 1기만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의 배치에 의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의 전방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에, 배터리(3)를 수직 방향으로 4층으로 적층한 배터리군(S1)과, 배터리(3)를 수직 방향으로 2층으로 적층한 배터리군(S2)이 각각 설치된다.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의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에는, 배터리(3)를 차량 횡단 방향으로 24층으로 적층한 배터리군(S3)이 설치된다. 적층 방향에 관하여 말하면, 배터리군(S1과 S2)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배터리(3)의 집합체로서의 제1 배터리 유닛(38F)을 구성하고, 배터리군(S3)이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 배터리(3)의 집합체로서의 제2 배터리 유닛(38R)을 구성한다.
도 3과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에는,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수용하는 케이스(22a)가 고정된다. 배터리(3)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케이스(22a)에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종벽부(28)의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9)를 적층체의 고정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22a)는 미리 배터리(3)의 적층체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고, 적층체의 차량 종단 방향, 차량 횡단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변위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적층한 배터리(3)의 하방을 덮는 케이스(22a)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배터리(3)의 냉각성을 높이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개구부의 개수나 형상은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한쪽 엔드 플레이트(37e)의 측방의 케이스(22a)의 내측에, 정션 박스(36) 내의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 유닛(45)을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배터리 탑재 프레임(21), 케이스(22a), 배터리(3)의 적층체, 하네스(34), 스위치 박스(35), 정션 박스(36) 및 제어 유닛(45)이 배터리 어셈블리(22)를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종벽부(28)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9)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전단부 부재(23f)의 종벽부(28)는 크로스 멤버(6)에, 후단부 부재(23r)의 종벽부(28)는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의 종벽부(28)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그 연장상의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의 일부에 각각 서로 대향한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가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성한다.
고정 부재에 고정된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차체의 강성이나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공헌한다. 직사각형 프레임(23) 및 보강 부재(24)는 차량의 충돌시에 입력되는 하중의 전달 경로로서 기능한다.
차체에는 고정 부재인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하향의 개구부(30)가 구획된다. 개구부(30)의 상방은 플로어 패널(16)에 의해 덮이고,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31)가 형성된다.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차체에의 장착은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차체의 하방으로부터 수용 오목부(31)에 삽입하고,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고정 부재에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수의 배터리(3)를 미리 배터리 어셈블리(22)에 일체화해 둠으로써, 배터리(3)의 차체에의 탑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의 교환 등의 필요에 따라서 배터리(3)를 차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차실(2) 내에, 프론트 시트(32F)와 리어 시트(32R)를 구비한다.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수용 오목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배터리군(S1)이 프론트 시트(32F)의 대략 하방에 위치하고, 배터리군(S2)이 프론트 시트(32F)와 리어 시트(32R) 사이의 플로어(33)의 하방에 위치하고, 배터리군(S3)이 리어 시트(32R)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형상과 치수, 배터리(3)의 형상과 치수와 적층수, 고정 부재의 위치 등을 미리 설정한다. 또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형상에 기초하여 플로어 패널(16) 및 케이스(22a)의 형상을 결정한다.
배터리군(S1)의 높이를 h1, 배터리군(S2)의 높이를 h2, 배터리군(S3)의 높이를 h3으로 하면, h3>h1>h2로 된다. 높이 h1과 h2는 좌우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에서 동일하다.
배터리군(S1)은 프론트 시트(32F)의 하방에 위치하고, 배터리군(S3)은 리어 시트(32R)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배터리군(S1과 S3)의 높이(h1과 h3)를 플로어(33)의 하방에 위치하는 배터리군(S2)의 높이(h2)보다 크게 함으로써, 차실(2) 내의 시트 하방의 공간을 배터리(3)의 탑재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차실(2)의 쾌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다수의 배터리(3)를 차량(1)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군(S3)의 높이가 배터리군(S1)의 높이(h1)보다 크기 때문에, 차실(2) 내에 있어서 리어 시트(32R)의 시트면이 프론트 시트(32F)의 시트면보다 높아진다. 이 설정은, 리어 시트(32R)의 승객의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좌우의 배터리군(S1)은 합계 16개의 배터리(3)로 구성된다. 좌우의 배터리군(S2)은 합계 8개의 배터리(3)로 구성된다. 배터리군(S3)은 24개의 배터리(3)로 구성된다. 즉, 거더(24w)를 경계로 하여 전후로 24개씩의 배터리(3)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군(S1)의 배터리 중량은 좌우의 배터리군(S2)의 합계 배터리 중량과 좌우의 배터리군(S1)의 합계 배터리 중량 중 어느 것보다도 무겁고, 또한 좌우의 배터리군(S2)과 좌우의 배터리군(S1)의 합계 배터리 중량과 거의 동등하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무게 중심은,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평면도의 도면 중심 위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4의 Cv를 차량(1)의 도면 중심으로 하면, 결과적으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무게 중심은 차량의 도면 중심(Cv)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전동 모터(12), 배터리 챠져(13), 인버터(14)로 이루어지는 전기 장치가 차량(1)의 전방부의 프론트 컴파트먼트(11)에 수납 장착 되는 것을 고려하면, 배터리 어셈블리(22)의 무게 중심 위치가 차량(1)의 도면 중심(Cv)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은, 차량(1)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배터리군(S1과 S2)에 있어서, 배터리(3)는 긴 변을 차량 횡단 방향을, 짧은 변을 차량 종단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적층된다. 이 경우에, 도 2에 도시하는 차체 하부의 폭(W)과, 도 4에 도시하는 배터리(3)의 긴 변(Wb)의 길이에 의존하여, 차량 횡단 방향의 배터리(3)의 밀집도, 혹은 간격이 정해진다. 배터리군(S1과 S2)에 관하여, 한쪽 직사각형 영역(26F)의 적층체열과, 다른 한쪽의 직사각형 영역(26F)의 적층체열 사이에 형성된 공간(G)은, 이 간격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배터리군(S1과 S2)에 있어서는 배터리(3)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 배터리군(S1과 S2)의 높이(h1과 h2)는 따라서 배터리(3)의 최단변의 길이를 개략의 조정 단위로 하는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배터리군(S3)에 관해서는, 배터리(3)는 최단의 변을 따라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로 인해, 차체 하부의 폭(W)에 따라서 배터리(3)의 적층수와 배터리(3) 사이의 공간을 조정함으로써 배터리군(S3)의 차량 횡단 방향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리어 시트(32R)의 하방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차종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리어 휠 하우스(25)나 리어 서스펜션으로 인해, 차실(2)의 후방부의 공간에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차실(2)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터리군(S3)의 차량 횡단 방향의 치수가 상기한 바와 같이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차종에 의한 차실(2)의 후방부의 공간의 차이에의 대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군(S1과 S2)은 모두, 차량 종단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적층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적층체수는 차량(1)의 종단 방향의 치수에 따라서 임의로 변수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군(S1)을 3개의 적층체로 구성하고, 배터리군(S2)을 1열만의 적층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차량(1)의 시트 레이아웃 등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배터리군(S1-S3)의 구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차종으로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공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하에서는,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후단부 부재(23r)와 거더(24w)가, 리어 서스펜션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들 부재는, 차량의 배면이 충돌하였을 때의 차체에의 입력 하중이나, 리어 서스펜션으로부터 차체에의 밀어올림 하중에 대해,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초래한다. 배터리군(S3)에 있어서, 배터리(3)를 밀착시켜 적층하는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37d) 등의 부재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차체의 강성 및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네스(34), 스위치 박스(35) 및 정션 박스(36)를 공간(G)에 배치하고, 단자(3a)가 공간(G)을 향하도록, 배터리군(S1과 S2)의 배터리(3)를 적층하였으므로, 배터리(3)의 적층에 사용되지 않는 공간(G)을 이들 부재의 배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직 방향 적층부를 차량 횡단 방향 적층부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은, 이들 부재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는 의미에서도 바람직하다.
배터리군(S3)에서는, 단자(3a)를 차량(1)의 전방, 환언하면 거더(24w)의 상방의 공간을 향해 배터리(3)가 적층된다. 이 배치는 차량의 충돌시에 단자(3a)를 보호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배치에 의해, 단자(3a)에의 하네스(34)의 접속을 거더(24w)의 상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거더(24w)를 이용하여 하네스(34)를 지지함으로써, 하네스(34)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전기 회로를 설명한다.
전기 회로는 배터리군(S3)의 배터리(3)와 좌우의 직사각형 영역(26F)의 배터리군(S1과 S2)을 하네스(34)에 의해 직렬로 접속한다. 스위치 박스(35)는 배터리군(S3)과 배터리군(S1, S2)을 접속하는 하네스(34)의 도중에 개재된다. 정션 박스(36)는 모든 배터리(3)의 양단부의 사이에 개재된다.
스위치 박스(35)는, 직렬로 접속된 수동 릴레이(35a)와 퓨즈(35b)로 이루어진다. 수동 릴레이(35a)는, 배터리군(S3)과 배터리군(S1, S2)을 수동 조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혹은 차단하는 릴레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전기 회로를 스위치 박스(35)에서, 배터리군(S3)의 배터리(3)가 구성하는 배터리 유닛(38R)과, 좌우의 직사각형 영역(26F)에 위치하는 배터리군(S1과 S2)의 배터리(3)가 구성하는 배터리 유닛(38F)으로 분단하고 있다.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의 단자간 전압은, SAEJ2344에 준하여 동등하게 설정된다.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의 배터리(3)의 적층수는 모두 24개이다.
정션 박스(36)는, 배터리 유닛(38F)의 정극 단자와 인버터(14)를 전기적으로 접속 혹은 차단하는 메인 콘택터(36a)와, 배터리 유닛(38R)의 부극 단자와 인버터(14)를 전기적으로 접속 혹은 차단하는 서브 콘택터(36b)를 구비한다.
또한 정션 박스(36)에는, 저항(36d)과 프리챠지 콘택터(36e)를 직렬로 접속한 프리챠지 회로(36c)가 메인 콘택터(36a)와 병렬로 설치된다. 메인 콘택터(36a), 서브 콘택터(36b) 및 프리챠지 콘택터(36e)의 개폐는, 전술한 제어 유닛(45)이 출력하는 개폐 신호에 의해 행해진다. 정션 박스(36) 내에, 배터리 유닛(38F와 38R)의 단자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나, 배터리 유닛(38F와 38R)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공간(G) 내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35)는 정션 박스(36)보다도 인버터(14)로부터 먼 위치, 즉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스위치 박스(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치 박스(35)는 따라서, 물리적 배치에 있어서도,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의 중간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하네스(34)를 짧게 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정션 박스(36)는, 도 10에 있어서 배터리 유닛(38F, 38R)과 전기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물리적으로도 정션 박스(36)를 스위치 박스(35)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이, 하네스(34)를 짧게 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전기 장치가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에서는, 반대로 정션 박스(36)를 스위치 박스(35)의 후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 박스(35) 내의 수동 릴레이(35a)를 차실(2) 내측으로부터 조작하기 위해, 수동 릴레이(35a)의 상방을 덮는 케이스(22a)와 플로어 패널(16)에 개구부(22b)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22b)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리드(39)가 설치된다. 스위치 박스(35)는 좌우의 프론트 시트(32F) 사이에 위치한다. 스위치 박스(35)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프론트 시트(32F)를 이동시키지 않고 리드(39)의 개폐 및 수동 릴레이(35a)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스위치 박스(35)는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 관하여 2009년 2월 24일을 출원일로 하는 일본에 있어서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9-41214호의 내용을 본원에 인용에 의해 합체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통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청구범위 내에서 이들 실시 형태에 다양한 수정 혹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3)의 형상은 반드시 편평한 직육면체가 아니어도 된다. 또한, 모든 배터리(3)가 반드시 동일한 치수와 형상일 필요도 없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배터리 유닛(38F)으로서 2개의 배터리군(S1과 S2)을 설치하고 있지만, 제1 배터리 유닛(38F)을 1개의 배터리군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빔(24c)의 상방에 공간(G)을 마련함으로써 배터리군(S1과 S2)을 좌우로 분할하고 있지만, 차체 하부의 폭(W)과 배터리(3)의 치수에 따라서는, 공간(G)을 마련하지 않고, 제1 배터리 유닛(38F)의 배터리 스택을 차량 횡단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해도 된다.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거더(24w)와 빔(24c)을 T자형으로 결합하는 대신에, 십자형으로 교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본 발명에 관하여 필수적인 요건은 아니며,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통하지 않고 차량(1)에 배터리(3)를 탑재하는 경우에도, 수직 방향 적층부와 차량 횡단 방향 적층부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바람직한 전후 방향 중량 밸런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전기 회로도 본 발명에 관하여 필수적인 요건은 아니며, 복수의 배터리(3)를 탑재하는 차량에 있어서는, 배터리(3)의 전기 회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탑재 구조는 전기 차량에 적합하지만, 이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포함하는 배타적 성질 혹은 특징은 이하와 같이 청구된다.
Claims (17)
-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복수의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제1 배터리 유닛과,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제2 배터리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 유닛의 높이는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터리는 3변을 갖는 직육면체를 이루고, 최단의 변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주행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와 관련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전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배터리 유닛은 상기 차량의 종단 방향에 관하여,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기 장치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차량은 상기 전기 장치를 수납 장착한 프론트 컴파트먼트와,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와,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 사이에 설치된 플로어를 구비하는 차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배터리 유닛은 상기 리어 시트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은 상기 플로어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은 또한 상기 프론트 시트의 하방에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시트의 하방의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의 높이(h1)는 상기 리어 시트와 상기 프론트 시트 사이의 상기 플로어의 하방의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의 높이(h2)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은 차량 종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서로 공간을 두고 배치된 배터리 적층체열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에 배터리에 접속된 하네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배터리는 상기 하네스를 접속하는 단자를 상기 공간을 향해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 혹은 차단하는 스위치와, 상기 제1 배터리 유닛 및 상기 제2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전기 장치 사이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전기적 제어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와 상기 전기적 제어 부재는 상기 공간(G)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제어 부재는 상기 스위치보다도 상기 전기 장치의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을 배터리 어셈블리로서 미리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탑재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은 상기 배터리 탑재 프레임을 통해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배터리 탑재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탑재 프레임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직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된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은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에 차량 횡단 방향으로 고정된 거더와, 상기 거더와 상기 전단부 부재를 접속하고, 상기 거더와 T자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는 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은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의 상기 빔의 양측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터리 유닛은 상기 거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빔과 반대측의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차량 종단 방향의 내측 치수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41214 | 2009-02-24 | ||
JPJP-P-2009-041214 | 2009-02-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8403A true KR20110108403A (ko) | 2011-10-05 |
Family
ID=4266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9524A KR20110108403A (ko) | 2009-02-24 | 2010-02-16 | 배터리 탑재 구조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8561743B2 (ko) |
EP (1) | EP2402192B1 (ko) |
JP (1) | JP5083454B2 (ko) |
KR (1) | KR20110108403A (ko) |
CN (1) | CN102333665B (ko) |
BR (1) | BRPI1008049A2 (ko) |
CA (1) | CA2753114C (ko) |
MX (1) | MX2011008831A (ko) |
MY (1) | MY160553A (ko) |
RU (1) | RU2484983C2 (ko) |
WO (1) | WO2010098271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028U (ko) * | 2016-05-19 | 2017-11-29 | 한국전기연구원 | 전기트럭용 배터리 팩 장착 구조 |
KR20180006257A (ko) * | 2016-07-07 | 2018-01-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캐리어, 전지 모듈, 및 전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 |
KR20210007902A (ko) * | 2019-07-11 | 2021-01-20 | 도요타 지도샤(주) | 차량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40382B2 (ja) * | 2009-05-26 | 2014-12-1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バッテリアセンブリ冷却構造、および、ウォータージャケット付きバッテリアセンブリ |
JP5531626B2 (ja) * | 2009-05-26 | 2014-06-2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バッテリアセンブリ冷却構造、および、ウォータージャケット付きバッテリアセンブリ |
WO2011013634A1 (ja) * | 2009-07-27 | 2011-02-0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電装部品搭載構造 |
WO2011127026A1 (en) * | 2010-04-05 | 2011-10-13 | Coda Automotive, Inc. | Electric vehicle with structurally integrated components |
FR2962964B1 (fr) * | 2010-07-23 | 2014-03-21 | Renault Sa | Chassis avec plancher arriere rehausse et procede d'assemblage. |
FR2962966B1 (fr) * | 2010-07-23 | 2013-02-22 | Renault Sa | Chassis de vehicule automobile avec piece de fixation d'elements de carrosserie et de cables electriques au plancher central |
FR2962965B1 (fr) * | 2010-07-23 | 2014-02-14 | Renault Sa | Chassis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assemblage avec la carrosserie |
DE102010034925A1 (de) * | 2010-08-20 | 2012-02-2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 Energiespeicheranordnung im Bodenbereich eines Fahrzeugs |
US8739907B2 (en) * | 2010-10-14 | 2014-06-03 | Magna E-Car Systems Limited Partnership | Vehicle with structural battery pack |
US20120151843A1 (en) * | 2010-12-20 | 2012-06-21 | Tesla Motors, Inc. | Vehicle Door Secondary Sealing System |
US20120161472A1 (en) | 2010-12-22 | 2012-06-28 | Tesla Motors, Inc. |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
US8286743B2 (en) * | 2010-12-22 | 2012-10-16 | Tesla Motors, Inc. | Vehicle battery pack ballistic shield |
US8875828B2 (en) * | 2010-12-22 | 2014-11-04 | Tesla Motors, Inc. | Vehicle battery pack thermal barrier |
CN103339021B (zh) * | 2011-02-03 | 2016-03-23 | 帝人株式会社 | 车辆底板结构 |
JP5803259B2 (ja) * | 2011-05-17 | 2015-11-0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構造 |
WO2012157332A1 (ja) | 2011-05-17 | 2012-11-2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構造 |
JP5853417B2 (ja) | 2011-05-17 | 2016-02-09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構造 |
JP5998433B2 (ja) * | 2011-06-21 | 2016-09-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燃料電池システム |
US9472791B2 (en) | 2011-08-11 | 2016-10-18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Battery system, housing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system |
DE102011118181A1 (de) * | 2011-11-10 | 2013-05-1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 Querträge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
WO2013073465A1 (ja) * | 2011-11-14 | 2013-05-2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動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の搭載構造 |
JP5887883B2 (ja) * | 2011-11-29 | 2016-03-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電池搭載構造 |
US9216638B2 (en) * | 2011-12-09 | 2015-12-22 | Honda Motor Co., Ltd. | Structure for mounting battery pack on vehicle |
JP5553852B2 (ja) * | 2012-03-22 | 2014-07-16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ハイブリッド自動車 |
ITBO20120270A1 (it) * | 2012-05-16 | 2013-11-17 | Ferrari Spa | Veicolo stradale con un dispositivo operatore alloggiato dentro ad un brancardo del telaio |
JP5983054B2 (ja) * | 2012-06-04 | 2016-08-31 | スズキ株式会社 |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冷却構造 |
JP6020958B2 (ja) * | 2012-07-13 | 2016-11-02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池パックトレー |
CN104640745A (zh) * | 2012-09-18 | 2015-05-20 | 日产自动车株式会社 | 电动车辆的线束布线构造 |
JP5870457B2 (ja) * | 2012-11-08 | 2016-03-0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動車両 |
FR2999518B1 (fr) * | 2012-12-18 | 2016-01-08 | Renault Sas | Agencement d'une structure de soubass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avec une enceinte renfermant un dispositif de commande de coupe-circuit |
WO2014128869A1 (ja) * | 2013-02-20 | 2014-08-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体構造 |
KR101709562B1 (ko) * | 2013-07-31 | 2017-03-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모듈 어셈블리 |
KR101805757B1 (ko) * | 2013-08-23 | 2017-12-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면에 bms의 통신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JP5854012B2 (ja) * | 2013-09-13 | 2016-02-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サービスホールカバー及び車両用ユニット搭載構造 |
JP5879323B2 (ja) * | 2013-10-17 | 2016-03-08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電池パックの搭載構造 |
JP6287375B2 (ja) * | 2014-03-11 | 2018-03-07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池パック温調装置 |
USD739304S1 (en) | 2014-05-20 | 2015-09-22 | Stephen Brown | Off-road vehicle |
CN104340282B (zh) * | 2014-10-23 | 2017-09-12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汽车电池保护结构 |
DE102014017694A1 (de) * | 2014-11-27 | 2016-06-02 | Constin Gmbh | Straßenfahrzeug |
JP6605347B2 (ja) * | 2016-02-04 | 2019-11-1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4輪車両 |
JP6512162B2 (ja) | 2016-04-21 | 2019-05-1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
JP2017197018A (ja) * | 2016-04-27 | 2017-11-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
JP6540588B2 (ja) * | 2016-04-28 | 2019-07-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
KR101795399B1 (ko) * | 2016-06-22 | 2017-11-10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용 언더바디 |
JP6702061B2 (ja) * | 2016-07-28 | 2020-05-27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車体構造 |
WO2018033880A2 (en) | 2016-08-17 | 2018-02-22 | Shape Corp. |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
US10549620B2 (en) * | 2016-09-07 | 2020-02-04 | Thunder Power Electric Vehicle Limited | Profiles in the floor section |
JP6419123B2 (ja) * | 2016-09-13 | 2018-11-0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力機器ユニット及び車両 |
EP3566253B1 (en) | 2017-01-04 | 2022-12-28 | Shape Corp. | Battery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
JP6977309B2 (ja) * | 2017-04-28 | 2021-12-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下部構造 |
US11211656B2 (en) | 2017-05-16 | 2021-12-28 | Shape Corp. |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 |
US10886513B2 (en) | 2017-05-16 | 2021-01-05 | Shape Corp. |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integration |
US10483510B2 (en) | 2017-05-16 | 2019-11-19 | Shape Corp. |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
JP7359527B2 (ja) | 2017-05-31 | 2023-10-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池搭載構造 |
CN111108015A (zh) | 2017-09-13 | 2020-05-05 | 形状集团 | 具有管状外围壁的车辆电池托盘 |
DE112018005556T5 (de) | 2017-10-04 | 2020-06-25 | Shape Corp. | Batterieträger-bodenbaugruppe für elektrofahrzeuge |
JP6936970B2 (ja) * | 2017-10-16 | 2021-09-22 | 住友電装株式会社 | 筐体内回路体に対する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
WO2019169080A1 (en) | 2018-03-01 | 2019-09-06 | Shape Corp. |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
JP6996352B2 (ja) * | 2018-03-06 | 2022-01-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下部車体構造 |
US11688910B2 (en) | 2018-03-15 | 2023-06-27 | Shape Corp. |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
DE102018210121A1 (de) * | 2018-06-21 | 2019-12-24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Batteriegehäuse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Batteriegehäuse |
JP6787371B2 (ja) * | 2018-07-13 | 2020-11-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下部構造 |
US10780923B2 (en) | 2018-07-13 | 2020-09-2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platform |
JP6683777B2 (ja) | 2018-08-28 | 2020-04-2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バッテリケースの固定構造 |
US10559795B1 (en) * | 2018-12-19 | 2020-02-1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Chassis brace for protecting traction battery |
CN109823400A (zh) * | 2018-12-30 | 2019-05-31 |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 电动汽车纵梁结构 |
JP7316523B2 (ja) * | 2019-04-24 | 2023-07-28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用バッテリ装置 |
DE102019207451B4 (de) * | 2019-05-21 | 2021-02-11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Batteriebaugruppe |
US11186158B2 (en) * | 2019-05-30 | 2021-11-30 | Mazda Motor Corporation | Battery unit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
US11312220B2 (en) * | 2019-05-30 | 2022-04-26 | Mazda Motor Corporation | Battery unit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
US12036858B2 (en) * | 2020-01-17 | 2024-07-16 |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 Arrangement structure of drive unit and power supply unit in electric vehicle |
JP6795109B1 (ja) * | 2020-02-10 | 2020-12-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室構造 |
KR20210155260A (ko) * | 2020-06-15 | 2021-12-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플로어구조 |
JP7369681B2 (ja) | 2020-11-11 | 2023-10-2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池パック搭載車両 |
JP7559652B2 (ja) * | 2021-03-30 | 2024-10-02 | マツダ株式会社 | 車体構造 |
CN113183739A (zh) * | 2021-05-31 | 2021-07-30 |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 动力电池支架、动力电池支架总成及车辆 |
JP2022184595A (ja) * | 2021-06-01 | 2022-12-13 | マツダ株式会社 | 車体構造 |
DE102021119166A1 (de) | 2021-07-23 | 2023-01-26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 mit einer Karosserie und einem Antriebsenergiespeicher |
DE102021122415A1 (de) | 2021-08-31 | 2023-03-0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Energiespeicher-Bodenanlage für einen Kraftwagen |
CN115966816A (zh) * | 2021-10-12 | 2023-04-14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单体、电池和用电装置 |
SE2151625A1 (en) * | 2021-12-27 | 2023-06-28 | Northvolt Ab | Automotive platform |
Family Cites Families (4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01289A (en) | 1993-01-22 | 1996-03-26 | Nissan Motor Co., Ltd. | Floor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
JP3324172B2 (ja) | 1993-01-22 | 2002-09-1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
JP3350189B2 (ja) | 1993-04-30 | 2002-11-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ボックス装置 |
JP3199296B2 (ja) | 1993-12-06 | 2001-08-1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組立構造 |
US5378555A (en) | 1993-12-27 | 1995-01-03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
JP3309671B2 (ja) | 1995-10-11 | 2002-07-29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強電部品搭載構造 |
US5858568A (en) | 1996-09-19 | 1999-01-12 | Ztek Corporation | Fuel cell power supply system |
RU2113366C1 (ru) * | 1997-04-07 | 1998-06-20 | Пименов Борис Иванович |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яге |
JPH11180163A (ja) * | 1997-12-18 | 1999-07-06 | Honda Motor Co Ltd | 電気自動車 |
US6632560B1 (en) * | 2001-01-29 | 2003-10-14 | Shijian Zhou | Retention frame for a battery pack |
JP2003173790A (ja) * | 2001-12-06 | 2003-06-20 | Honda Motor Co Ltd | 車載用燃料電池システム |
KR20030088941A (ko) | 2002-05-15 | 2003-11-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어셈블리 |
JP4024597B2 (ja) | 2002-06-11 | 2007-12-19 |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
JP2004026008A (ja) | 2002-06-25 | 2004-01-29 | Honda Motor Co Ltd | 燃料電池電気自動車 |
US7052799B2 (en) * | 2002-06-27 | 2006-05-30 | Vocollect, Inc. | Wearable terminal with a battery latch mechanism |
JP4096718B2 (ja) * | 2002-11-28 | 2008-06-0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バイポーラ電池、バイポーラ電池の製造方法、組電池および車両 |
JP4127046B2 (ja) | 2002-12-20 | 2008-07-30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燃料電池自動車 |
US6833215B2 (en) * | 2003-01-03 | 2004-12-21 | The Gillette Company | Alkaline cell with flat housing |
US6986969B2 (en) * | 2003-01-03 | 2006-01-17 | The Gillette Company | Alkaline cell with flat housing and improved current collector |
JP4078998B2 (ja) * | 2003-02-04 | 2008-04-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
RU2260538C2 (ru) | 2003-07-03 | 2005-09-20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ект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Автодизайн" | Полое днище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
JP4281109B2 (ja) * | 2003-12-11 | 2009-06-17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補機診断システム |
JP2006182295A (ja) | 2004-12-28 | 2006-07-13 | Honda Motor Co Ltd |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
JP4984404B2 (ja) | 2005-03-03 | 2012-07-2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電源ユニット |
CN2816566Y (zh) * | 2005-04-04 | 2006-09-13 | 袁仕杰 | 手持充电式光电子照明灯具 |
US7641017B2 (en) * | 2005-06-02 | 2010-01-05 | Honda Motor Co., Ltd. | Fuel cell vehicle |
US7896115B2 (en) | 2005-07-08 | 2011-03-01 | Honda Motor Co., Ltd. | Fuel cell vehicle |
JP4415910B2 (ja) * | 2005-07-12 | 2010-02-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ハイブリッド車両の構造 |
JP5467706B2 (ja) | 2006-03-24 | 2014-04-09 | Hoya株式会社 | 磁気ディスク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の製造方法 |
JP2007280806A (ja) | 2006-04-07 | 2007-10-25 | Nissan Motor Co Ltd | 電池用電極 |
JP2007314989A (ja) | 2006-05-24 | 2007-12-06 | Sumitomo Bakelite Co Ltd | 陸屋根建物におけ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
JP2007323729A (ja) | 2006-05-31 | 2007-12-13 | Alpine Electronics Inc | ディスクプレーヤ |
JP4812529B2 (ja) | 2006-06-14 | 2011-11-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源装置および車両 |
JP5153097B2 (ja) | 2006-07-31 | 2013-02-27 | 三洋電機株式会社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JP4420018B2 (ja) * | 2006-12-28 | 2010-02-2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
JP4345812B2 (ja) | 2006-12-28 | 2009-10-1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
JP4434213B2 (ja) | 2007-01-26 | 2010-03-17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
JP2008260382A (ja) | 2007-04-11 | 2008-10-30 | Toyota Motor Corp | 車両 |
JP2008290470A (ja) * | 2007-05-22 | 2008-12-04 | Toyota Motor Corp | 移動体 |
JP5229660B2 (ja) | 2007-08-07 | 2013-07-03 |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 グレーチング蓋外れ止め装置 |
JP5194687B2 (ja) | 2007-09-28 | 2013-05-08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バッテリユニット |
JP4910964B2 (ja) | 2007-09-28 | 2012-04-0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 |
JP5045340B2 (ja) | 2007-09-28 | 2012-10-10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 |
JP4960839B2 (ja) * | 2007-11-12 | 2012-06-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バッテリ冷却装置 |
JP4386131B2 (ja) * | 2007-12-05 | 2009-12-16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 |
JP4306783B2 (ja) | 2007-12-14 | 2009-08-05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
JP5061941B2 (ja) | 2008-02-18 | 2012-10-31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
-
2010
- 2010-02-16 US US13/202,472 patent/US8561743B2/en active Active
- 2010-02-16 MY MYPI2011003926A patent/MY160553A/en unknown
- 2010-02-16 BR BRPI1008049A patent/BRPI1008049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2-16 KR KR1020117019524A patent/KR201101084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2-16 MX MX2011008831A patent/MX2011008831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0-02-16 CN CN201080009121.2A patent/CN102333665B/zh active Active
- 2010-02-16 JP JP2011501578A patent/JP5083454B2/ja active Active
- 2010-02-16 CA CA2753114A patent/CA2753114C/en active Active
- 2010-02-16 WO PCT/JP2010/052589 patent/WO201009827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2-16 RU RU2011139115/11A patent/RU2484983C2/ru active
- 2010-02-16 EP EP10746152.7A patent/EP2402192B1/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028U (ko) * | 2016-05-19 | 2017-11-29 | 한국전기연구원 | 전기트럭용 배터리 팩 장착 구조 |
KR20180006257A (ko) * | 2016-07-07 | 2018-01-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캐리어, 전지 모듈, 및 전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 |
KR20190026681A (ko) * | 2016-07-07 | 2019-03-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캐리어, 전지 모듈, 및 전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 |
US11018392B2 (en) | 2016-07-07 | 2021-05-25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carrier, battery module and vehicle with a battery system |
KR20210007902A (ko) * | 2019-07-11 | 2021-01-20 | 도요타 지도샤(주) | 차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333665A (zh) | 2012-01-25 |
US20110297467A1 (en) | 2011-12-08 |
MY160553A (en) | 2017-03-15 |
EP2402192B1 (en) | 2016-11-16 |
CA2753114A1 (en) | 2010-09-02 |
BRPI1008049A2 (pt) | 2016-03-15 |
CA2753114C (en) | 2013-09-10 |
EP2402192A4 (en) | 2015-11-04 |
EP2402192A1 (en) | 2012-01-04 |
MX2011008831A (es) | 2011-09-21 |
RU2011139115A (ru) | 2013-04-10 |
US8561743B2 (en) | 2013-10-22 |
JPWO2010098271A1 (ja) | 2012-08-30 |
RU2484983C2 (ru) | 2013-06-20 |
WO2010098271A1 (ja) | 2010-09-02 |
CN102333665B (zh) | 2014-01-15 |
JP5083454B2 (ja) | 2012-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08403A (ko) | 배터리 탑재 구조 | |
JP5333643B2 (ja) | バッテリアセンブリ | |
CA2753112C (en) | Vehicle battery mounting structure | |
JP7405299B2 (ja) | 電池搭載構造 | |
US10549619B2 (en) | Vehicle battery unit | |
US9849768B2 (en) | Vehicle body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27 Effective date: 201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