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902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902A
KR20210007902A KR1020200085184A KR20200085184A KR20210007902A KR 20210007902 A KR20210007902 A KR 20210007902A KR 1020200085184 A KR1020200085184 A KR 1020200085184A KR 20200085184 A KR20200085184 A KR 20200085184A KR 20210007902 A KR20210007902 A KR 20210007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ower storage
reinforcing member
vehic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154B1 (ko
Inventor
신야 고이츠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00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차량(1)은, 차량 본체와, 축전 장치(4)와, 연결 유닛을 구비한 차량으로서, 축전 장치(4)는, 축전 모듈과, 축전 케이스(9)를 포함하고, 축전 케이스(9)는, 케이스 본체와,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를 포함하며, 연결 유닛은,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제 1 단부(53)에 연결된 제 1 브래킷(33)과,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45)의 제 2 단부(58)에 연결된 제 2 브래킷(45)과, 제 3 바닥면 보강 부재(41)의 제 2 단부(51)에 연결된 제 3 브래킷(32)을 포함하고,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제 2 단부(52)에는, 연결 유닛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본 개시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EV 주행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 대형화된 축전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는 케이스가 많다. 대형화된 축전 장치를 차실 내에 배치하면, 차실 내의 공간이 좁아지는 점에서, 차실 외에 축전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3-12480호 공보에 기재된 배터리는, 차량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터리는, 배터리 모듈과, 내부에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한다. 배터리 케이스는, 트레이 부재와, 트레이 부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복수의 빔 부재와,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빔 부재는 트레이 부재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 빔 부재는 트레이 부재의 폭 방향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빔 부재의 양단(兩端)은, 트레이 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는, 각 빔 부재의 단부와 차량의 사이드 멤버를 연결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의 일방의 측면측으로부터 장해물이 배터리 케이스에 충돌하였다고 하면, 예를 들면, 배터리 케이스의 일방의 측면 및 빔 부재의 일단측으로 충격력이 가해진다. 빔 부재는 가해진 충격력에 의해, 차량의 폭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빔 부재는, 배터리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빔 부재의 변위와 함께 배터리 케이스가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케이스의 일방의 측면은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됨과 함께, 타방의 측면은 외방향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된다.
한편, 배터리 케이스의 타방의 측면측에는, 충격력이 가해진 빔 부재의 타단과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당해 연결 부재는,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의 위치는 이동하기 어렵다. 그 결과, 배터리 케이스의 타방의 측면측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면, 배터리 케이스의 타방의 측면이 연결 부재와 간섭하여, 배터리 케이스가 찌부러지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의 일방의 측면이 크게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되는 한편, 배터리 케이스의 타방의 측면측에 있어서의 변형이, 배터리 케이스의 타방의 측면측에 마련된 연결 부재에 의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의 내용적이 작아져, 배터리 케이스 내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이 배터리 케이스의 내벽과 간섭하여, 배터리 모듈이 손상되기 쉽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 본체의 하부에 축전 장치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축전 장치의 외부로부터 충격력이 축전 장치에 가해졌다고 해도, 수용 케이스 내에 수용된 축전 모듈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와 관련된 차량은, 차량 본체와, 차량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축전 장치와, 축전 장치를 차량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구비한 차량이다. 상기 축전 장치는, 축전 모듈과, 차량의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일방인 제 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 1 둘레면과, 제 1 둘레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둘레면을 포함하고, 축전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축전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축전 케이스는, 축전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된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의 각각은, 제 1 둘레면측에 위치하는 제 1 단부와, 제 2 둘레면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유닛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의 일방에만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는,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와,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대하여, 차량의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타방인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와,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에 대하여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와 반대측에 마련된 제 3 바닥면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유닛은, 제 1 둘레면측에 마련됨과 함께,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연결된 제 1 브래킷과, 제 2 둘레면측에 마련됨과 함께,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에 연결된 제 2 브래킷과, 제 2 둘레면측에 마련됨과 함께, 제 3 바닥면 보강 부재에 연결된 제 3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에 있어서, 제 1 둘레면측으로부터 충돌물이 축전 장치를 향해 진입하여, 충돌물이 제 1 브래킷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충돌물이 제 1 브래킷에 충돌하면, 제 1 브래킷 및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를 통하여, 케이스 본체에 충격력이 가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충격력은, 제 1 둘레면측으로부터 제 2 둘레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제 1 둘레면 중, 제 1 브래킷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되는 한편, 제 2 둘레면측에 있어서는, 외방향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려고 한다.
이 때,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있어서, 제 2 단부에는 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 2 둘레면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려고 하였을 때에, 제 2 둘레면이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마련된 브래킷 등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둘레면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그 결과, 케이스 본체 내의 내용적이 작아지는 것이 억제되고 있어, 수용 케이스 내에 수용된 축전 모듈이 수용 케이스의 내벽 등과 간섭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한편, 제 2 둘레면측에는, 제 2 브래킷 및 제 3 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스 본체에 전달된 충격력의 일부는, 제 2 브래킷 및 제 3 브래킷을 통하여, 차량 본체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 본체의 변형량이 커지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그리고, 제 2 둘레면 중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는 부분은, 제 2 브래킷 및 제 3 브래킷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2 둘레면이 과대하게 크게 변형되어, 제 2 둘레면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의 제 1 단부는, 제 1 둘레면보다 제 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차량에 의하면, 제 1 방향으로부터 충돌물이 진입해 왔을 때에, 케이스 본체에 충돌물이 충돌하기 전에, 제 1 단부에 충돌물이 충돌하기 쉬워져, 케이스 본체에 충돌물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상기 제 1 브래킷은, 제 1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차량에 의하면,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충돌물이 충돌하기 전에, 제 1 브래킷에 충돌물이 충돌하여, 제 1 브래킷이 변형된다. 이 때문에, 충돌물의 운동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브래킷의 변형에 소비되어, 충돌물로부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저감된다. 이에 따라,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로부터 축전 케이스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저감되어, 축전 케이스의 변형이 억제된다.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차량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충돌물로부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충격력이 가해진 것으로 한다. 이 때,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는,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해지는 것이 되고,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축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의 변형이 억제되고 있다.
상기 제 1 브래킷을 형성하는 재료의 강성은,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강성의 강도보다 낮다.
상기의 차량에 의하면,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충돌물이 충돌하기 전이며, 제 1 브래킷이 충돌물에 의해 변형되는 과정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 외력에 의해 제 1 브래킷이 변형된다.
이 때문에, 제 1 브래킷 및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를 통하여, 축전 케이스에 전달되는 충격력도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축전 케이스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작게 함으로써, 축전 케이스 내에 수용된 축전 모듈에 가해지는 관성력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축전 모듈에 가해지는 관성력이 작게 억제됨으로써, 제 1 브래킷이 변형되는 과정에 있어서, 축전 모듈이 축전 케이스 내를 변위하여, 축전 모듈이 축전 케이스의 내벽 등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래킷은, 축전 케이스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입상부(立上部)를 포함한다. 이 차량에 의하면,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충돌물이 진입하여, 제 1 브래킷에 충돌할 때에는, 입상부에 충돌물이 접촉하기 쉽다. 입상부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상부는 충돌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 그 결과, 제 1 브래킷이 변형되는 과정에 있어서, 축전 케이스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축전 모듈이 축전 케이스의 내벽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축전 장치는, 축전 장치는, 제 1 둘레면측 또는 제 2 둘레면측의 적어도 일방에 마련된 둘레면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하고, 둘레면 보강 부재는,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 및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에 연결되었다.
상기의 차량에 의하면, 충돌물로부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충격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둘레면 보강 부재에 의해,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가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는, 축전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의 변위가 억제됨으로써, 축전 케이스의 변형도 억제된다.
상기 제 1 방향은, 차량의 폭 방향이며, 연결 유닛은, 제 1 둘레면측에 배치됨과 함께, 제 1 브래킷보다 차량의 전방측에 배치된 제 4 브래킷을 포함하고,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4 브래킷의 폭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브래킷의 폭보다 넓다.
상기의 차량에 의하면, 차량 전후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제 4 브래킷의 강성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제 1 브래킷의 강성보다 높다. 축전 케이스의 선단측에 제 4 브래킷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축전 케이스의 선단측에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축전 케이스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축전 장치가 탑재된 차량(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차량(1)의 하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축전 장치(4)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브래킷(33), 둘레면 보강 부재(26)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브래킷(33), 둘레면 보강 부재(26)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단판(77) 및 고정 부재(78)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브래킷(34), 둘레면 보강 부재(26)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브래킷(35), 둘레면 보강 부재(25)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축전 장치(4)에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 있어서의 축전 장치(4)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충돌물(110)이 충돌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브래킷(33)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단판(77)이 축전 케이스(21)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상단판(77)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참고예와 관련된 축전 장치(4A)를 나타내는 축전 장치(4A)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충돌물(110)이 충돌한 상태에 있어서의 브래킷(64B)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충돌물(110A)의 충돌 양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차량(1B)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6은, 축전 케이스(201)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브래킷(221)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축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구성 중,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에는, 괄호 안에 청구항의 구성을 병기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 1과 관련된 축전 장치가 탑재된 차량(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차량(1)은, 차량 본체(2)와, 구동 장치(3)와, 축전 장치(4)와, 연료 탱크(5)를 포함한다. 차량 본체(2)는, 차량 본체(2)의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면 부재(6)를 포함한다. 차량 본체(2) 내에는, 엔진 컴파트먼트(10)와, 차실(11)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장치(3)는, 엔진 컴파트먼트(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 장치(3)는, 엔진(12)과, 회전 전기(電機)(13)를 포함한다. 또한, 차실(11)은, 운전수 등의 탑승자가 탑승하는 공간이다. 축전 장치(4) 및 연료 탱크(5)는, 바닥면 부재(6)의 하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차량(1)의 하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바닥면 부재(6)는, 사이드 멤버(15)와, 사이드 멤버(16)와, 크로스 멤버(17)와, 플로어 패널(18)과, 프론트 프레임(19)을 포함한다.
사이드 멤버(15) 및 사이드 멤버(16)는, 서로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사이드 멤버(15, 16)는, 차량 전후 방향(D)으로 장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16)에는, 마운트(7)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운트(7)는, 사이드 멤버(16)로부터 차량(1)의 폭 방향(W)의 중앙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17)는, 사이드 멤버(15) 및 사이드 멤버(16)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스 멤버(17)는, 폭 방향(W)으로 장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패널(18)은, 사이드 멤버(15, 16) 및 크로스 멤버(17)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판상(板狀)의 금속 부재이다. 또한, 플로어 패널(18)은, 차실(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프론트 프레임(19)은, 사이드 멤버(15, 16)의 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프레임(19)은 사이드 멤버(15, 16)에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프레임(19)은, 엔진 컴파트먼트(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프레임(19)은, 구동 장치(3)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축전 장치(4) 및 연료 탱크(5)는, 플로어 패널(18)의 하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1)은, 축전 장치(4)와, 연결 유닛(22)과, 둘레면 보강 부재(25, 26)를 구비한다. 축전 장치(4)는, 축전 케이스(21)와, 축전 모듈(20)을 포함한다.
축전 모듈(20)은, 복수의 축전 셀을 포함하고, 축전 셀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이차 전지이다. 축전 케이스(21)는, 축전 모듈(20)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축전 케이스(21)는,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23) 및 측면(24)을 포함한다. 측면(24)은 폭 방향(W)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측면(23)은, 측면(24)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면(23)은, 축전 케이스(21)의 좌측면이며, 측면(24)은, 축전 케이스(21)의 우측면이다.
둘레면 보강 부재(25)는, 측면(23)을 따라 연장되도록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면 보강 부재(26)는, 측면(24)을 따라 장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 유닛(22)은, 축전 케이스(21)를 바닥면 부재(6)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연결 유닛(22)은, 복수의 브래킷(30, 31, 32, 33, 34, 35, 36, 37)을 포함한다. 브래킷(30, 31, 32, 33, 34, 35, 36, 37)은, 예를 들면, 인장 강도(Mpa)가 440(Mpa) 정도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31, 32, 35, 37)은, 차량 전후 방향(D)에 있어서, 축전 케이스(21)의 측면(23)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브래킷(30, 33, 34, 36)은, 차량 전후 방향(D)에 있어서, 축전 케이스(21)의 측면(24)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브래킷(30~36)은, 축전 장치(4)의 전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브래킷(30, 31, 32, 33, 34, 35, 36)의 순으로 순차 배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7)은, 브래킷(36)과 폭 방향(W)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30)은, 축전 케이스(21)를 플로어 패널(18)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브래킷(33, 34)은, 축전 케이스(21)를 마운트(7)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브래킷(36)은, 축전 케이스(21)를 크로스 멤버(17)에 고정하고 있다. 브래킷(31, 32, 35)은, 축전 케이스(21)를 사이드 멤버(15)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브래킷(37)은, 축전 케이스(21)를 크로스 멤버(17)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브래킷(제 1 브래킷)(33, 34)은, 차량 전후 방향(D)에 있어서, 브래킷(제 2 브래킷)(32) 및 브래킷(제 3 브래킷)(3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측면(23) 중, 브래킷(33, 34)에 대하여 폭 방향(W)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축전 장치(4)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축전 케이스(21)는, 케이스 본체(9)와, 케이스 본체(9)의 바닥면(29)에 마련된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40, 41, 42, 43, 44, 45, 46, 47)를 포함한다. 바닥면 보강 부재(40, 41, 42, 43, 44, 45, 46, 47)는, 예를 들면, 인장 강도(Mpa)가 1180(Mpa) 정도인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닥면 보강 부재(40, 41, 42, 43, 44, 45, 46, 47)는, 브래킷(30, 31, 32, 33, 34, 35, 36, 37)보다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40~47)는, 축전 케이스(21)의 전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닥면 보강 부재(40, 41, 42, 43, 44, 45, 46, 47)의 순으로 배열하고 있다. 각 바닥면 보강 부재(40, 41, 42, 43, 44, 45, 46, 47)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축전 케이스(21)의 바닥면(29)에 고정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0, 41)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축전 케이스(21)의 바닥면(29)의 중앙으로부터, 측면(23)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0, 41)는, 측면(23)측에 위치하는 단부(50, 51)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닥면 보강 부재(40, 41)는 측면(23)으로부터 차량(1)의 폭 방향(W)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50, 51)는, 측면(23)으로부터 차량(1)의 폭 방향(W)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래킷(31, 32)은, 단부(50, 51)에 연결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 45, 46, 47)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 45, 46, 47)의 측면(23)측의 각 단부(52, 54, 56, 58, 60, 62)는, 측면(23)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 45, 46, 47)의 측면(24)측의 각 단부(53, 55, 57, 59, 61, 63)는, 측면(24)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제 1 브래킷)(33, 34)은, 측면(제 1 측면)(24)측에 있어서, 바닥면 보강 부재(42, 44)의 단부(53, 57) 및 바닥면 부재(6)의 사이드 멤버(16)를 연결하고 있다. 브래킷(35)은, 바닥면 보강 부재(45)의 단부(58)와, 바닥면 부재(6)의 사이드 멤버(15)를 연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브래킷(36)은, 단부(63) 및 크로스 멤버(17)를 연결 고정하고 있으며, 브래킷(37)은, 단부(62) 및 크로스 멤버(17)를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과 관련된 차량(1)에 있어서는, 축전 장치(4)는, 차량 전후 방향(D)(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42, 45, 41)를 포함한다. 바닥면 보강 부재(제 2 바닥면 보강 부재)(45)는 바닥면 보강 부재(제 1 바닥면 보강 부재)(42)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D)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면 보강 부재(제 3 바닥면 보강 부재)(41)는, 바닥면 보강 부재(42)에 대하여 바닥면 보강 부재(45)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단부(제 1 단부)(53)에 브래킷(제 1 브래킷)(33)이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바닥면 보강 부재(45)의 단부(58)에 브래킷(35)이 연결되어 있으며, 바닥면 보강 부재(41)의 단부(51)에는, 브래킷(3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단부(52, 53)의 일방의 단부(53)에만, 브래킷(33)이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52)에는 연결 유닛(22)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4는, 브래킷(33), 둘레면 보강 부재(26)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축전 케이스(21)의 케이스 본체(9)는, 어퍼(upper) 케이스(65) 및 로워(lower) 케이스(66)를 포함한다. 어퍼 케이스(65) 및 로워 케이스(66)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수지 등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둘레면 보강 부재(26)는, 바닥판(70)과, 측벽(71)과, 복수의 보강판(72)을 포함한다. 바닥판부(70) 및 측벽부(71)는, 판재가 L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부(70)는, 케이스 본체(9)의 바닥면(29)으로부터 측면(24)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71)는, 바닥판부(70)의 외측변에 접속되어 있으며, 바닥판부(70)의 외측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72)는, 삼각 형상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삼각 형상의 판재가 측벽부(71) 및 바닥판부(70)에 각각 용접됨으로써, 둘레면 보강 부재(26)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복수의 보강부(72)는, 차량 전후 방향(D)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단부(53)는, 바닥판부(7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단부(53)는 복수의 보강부(7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33)은, 바닥판부(75)와, 입상부(76)와, 상단판(77)을 포함한다. 브래킷(33)은, 평판 형상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부(75)는, 판재의 일단부가 L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형성되고, 상단판(77)은, 판재의 타단이 바닥판부(75)와는 반대측에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33)은, 폭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D)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닥판부(75)는, 바닥판부(7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판부(75)는 바닥판부(70)의 하면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입상부(76)는, 바닥판부(75)의 외측변에 접속되어 있으며, 바닥판부(75)의 외측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단판(77)은, 입상부(76)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3)은, 단부(53)에 대하여, 단부(53)의 하면측과, 단부(53)의 선단부보다 폭 방향(W)에 있어서 외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브래킷(33)은 단부(53)보다 폭 방향(W)에 있어서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브래킷(33), 둘레면 보강 부재(26)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입상부(76)는, 바닥판부(75)의 외측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W)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9)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입상부(76)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단판(77)은, 고정 부재(78)에 의해, 사이드 멤버(16)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78)는, 볼트(78A) 및 너트(78B)를 포함한다.
도 6은, 상단판(77) 및 고정 부재(78)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단판(77)에는, 관통 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69)은, 폭 방향(W)으로 장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78A)의 축부가 관통 구멍(69)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볼트(78A)의 축부는, 관통 구멍(69) 중, 케이스 본체(9)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33)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단판(77)은, 고정 부재(7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케이스 본체(9)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로 되돌아가, 브래킷(33)의 바닥판부(75)와, 둘레면 보강 부재(26)의 바닥판부(70)와,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단부(53)는, 고정 부재(79)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어퍼 케이스(65)는, 천장판(80)과, 둘레벽(81)과, 플랜지부(82)를 포함한다. 천장판(80)은 어퍼 케이스(65)의 상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둘레벽(81)은 천장판(80)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2)는, 둘레벽(81)의 하단변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82)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워 케이스(66)는, 바닥판(83)과, 둘레벽(84)과, 플랜지부(85)를 포함한다. 바닥판(83)은, 로워 케이스(66)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다. 둘레벽(84)은, 바닥판(83)의 외주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5)는, 둘레벽(84)의 상변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85)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82) 및 플랜지부(85)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플랜지부(82) 및 플랜지부(85)에 의해, 돌출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86)는, 환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단부(53)는, 폭 방향(W)에 있어서, 돌출부(86)의 선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브래킷(33)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브래킷(34)도 브래킷(33)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브래킷(34), 둘레면 보강 부재(26)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브래킷(34)은, 바닥판(90)과, 입상부(91)와, 상단판(92)을 포함한다. 바닥판(90)은, 둘레면 보강 부재(26)의 바닥판부(7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판부(70)보다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상부(91)는, 바닥판(90)의 외측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입상부(91)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수평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9)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단판(92)은, 입상부(9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판(92)은, 고정 부재(94)에 의해 사이드 멤버(16)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4)의 단부(57)는, 둘레면 보강 부재(26)의 바닥판부(7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4)의 단부(57)의 선단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86)의 선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34)의 바닥판(90)과, 둘레면 보강 부재(26)의 바닥판부(70)와, 바닥면 보강 부재(44)의 단부(57)는, 고정 부재(95)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둘레면 보강 부재(26)는, 도 3에 나타내는 각 단부(53, 55, 57, 59, 61, 63)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은, 브래킷(35), 둘레면 보강 부재(25)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둘레면 보강 부재(25)는, 둘레면 보강 부재(26)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면 보강 부재(25)는, 바닥판(100)과, 측벽(101)과, 복수의 보강판을 포함한다. 바닥판(100)과, 측벽(101)은, 차량 전후 방향(D)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판은, 차량 전후 방향(D)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 8에 있어서는, 보강판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바닥면 보강 부재(45)의 단부(58)는, 바닥판(1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단부(58)는, 이웃하는 보강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 보강 부재(45)의 단부(56)의 선단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86)의 선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브래킷(35)은, 바닥판(96)과, 입상부(97)와, 상단판(98)을 포함한다. 그리고, 바닥판(96)은 둘레면 보강 부재(25)의 바닥판(100)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상부(97)는 바닥판(96)의 외측변에 접속되어 있다. 입상부(97)도, 바닥판(96)의 외측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케이스 본체(9)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단판(98)은, 입상부(97)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판(98)은, 사이드 멤버(16)에 고정 부재(10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5)의 바닥판(96)과, 둘레면 보강 부재(25)의 바닥판(100)과, 바닥면 보강 부재(45)의 단부(58)는, 고정 부재(104)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둘레면 보강 부재(25)는, 각 단부(52, 54, 56, 58, 60, 6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 45, 46, 47)의 측면(23)측의 단부(52, 54, 56, 58, 60, 62)는, 둘레면 보강 부재(2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측면(24)측의 단부(53, 55, 57, 59, 61, 63)는 둘레면 보강 부재(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 45, 46, 47)는 케이스 본체(9)의 바닥면(29)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1)에 있어서, 다른 차량 등의 장해물이 차량(1)의 측면측으로부터 충돌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축전 장치(4)에 충격력이 가해진다.
도 9는, 축전 장치(4)에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 있어서의 축전 장치(4)의 저면도이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축전 모듈(20)의 측면(24)측에 충돌물(110)이 충돌한 상태를 나타낸다. 충돌물(110)은, 브래킷(33, 34)에 충돌하고 있다.
도 10은, 충돌물(110)이 충돌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브래킷(33)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돌물(110)이 브래킷(33)의 입상부(76)에 충돌하면, 상단판(77)은, 케이스 본체(9)에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도 11은, 상단판(77)이 케이스 본체(9)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상단판(77)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78A)가 삽입된 관통 구멍(69)은, 폭 방향(W)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판(77)이 케이스 본체(9)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단판(77)이 케이스 본체(9)에 근접하도록 이동함으로써, 볼트(78A)는 상대적으로 관통 구멍(69) 내를 이동한다.
도 10으로 되돌아가, 상단판(77)이 충돌물(110)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케이스 본체(9)에 근접하도록 이동함과 함께, 입상부(76)는, 충돌물(11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입상부(76) 및 바닥판부(75)와의 접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브래킷(33)이 변형됨으로써, 충돌물(110)은 케이스 본체(9)에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단부(53)의 선단부는, 폭 방향(W)에 있어서, 돌출부(86)의 선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충돌물(110)은 브래킷(33)을 변형시킨 후, 충돌물(110)은, 케이스 본체(9)에 충돌하기 전에, 입상부(76) 및 측벽부(71)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바닥면 보강 부재(42)의 단부(53)에 충돌한다. 그리고, 단부(53)에 충돌물(110)로부터 폭 방향(W)으로 충격력이 가해진다.
바닥면 보강 부재(42)는, 케이스 본체(9)의 바닥면(29)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면 보강 부재(42)에 가해진 충격력은 케이스 본체(9)에도 전달된다.
여기서, 바닥면 보강 부재(42)는, 폭 방향(W)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W)에 충격력이 바닥면 보강 부재(42)에 가해지면, 바닥면 보강 부재(42)에 축방향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되어, 바닥면 보강 부재(42)는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한편, 브래킷(33)에 있어서는, 폭 방향(W)으로부터 브래킷(33)에 충돌물(110)이 충돌하면, 브래킷(33)에 폭 방향(W)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고, 입상부(76)는, 입상부(76) 및 바닥판부(75)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쉽다. 이와 같이,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하중에 대하여, 브래킷(33)은, 바닥면 보강 부재(42)보다 변형되기 쉽다.
또한, 브래킷(33)은, 인장 강도(Mpa)가 440(Mpa) 정도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 보강 부재(42)는, 1180(Mpa) 정도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킷(33)은, 바닥면 보강 부재(42)보다 변형되기 쉽다.
이와 같이,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하중에 대하여, 브래킷(33)은 바닥면 보강 부재(42)보다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충돌물(110)이 브래킷(33)을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브래킷(33) 및 바닥면 보강 부재(42)를 통하여 케이스 본체(9)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비교적 작게 억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충돌물(110)이 브래킷(33)을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9) 내에 배치된 축전 모듈(20)에 발생하는 관성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축전 모듈(20)이 케이스 본체(9)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전 모듈(20)이 케이스 본체(9) 내에서 케이스 본체(9)의 내벽면과 간섭할 수 있어, 축전 모듈(20)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충돌물(110)이 측벽부(71) 및 입상부(76)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단부(53)에 충돌하기 전에, 충돌물(110)의 운동 에너지는, 브래킷(33)을 변형시키는 에너지로 소비되기 때문에, 충돌물(110)이 단부(53)에 가하는 충격력이 저감된다.
단부(53)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저감되면, 바닥면 보강 부재(42)를 통하여, 케이스 본체(9)에 전달되는 충격력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돌물(110)이 단부(53)에 충격력을 가하였을 때에 있어서도, 축전 모듈(20)에 발생하는 관성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축전 모듈(20)이 케이스 본체(9)의 내벽 등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충돌물(11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브래킷(33) 등이 변형되는 양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브래킷(34)도 브래킷(33)과 마찬가지로 변형된다. 그리고, 바닥면 보강 부재(44)의 단부(57)에도 충격력이 가해진다. 여기서, 충돌물(110)로부터 케이스 본체(9)에 충격력이 전달되기 전에, 충돌물(110)의 운동 에너지는 브래킷(34)의 변형에 소비되어, 케이스 본체(9)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완화된다.
충격력이 가해진 바닥면 보강 부재(42, 44)는, 케이스 본체(9)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면 보강 부재(42, 44)가 충격력에 의해 변위함으로써, 케이스 본체(9)가 변형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9)의 측면(24)은, 측면(23)을 향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됨과 함께, 측면(23)은 외측을 향해 불룩해지도록 변형된다. 특히, 측면(23) 중, 바닥면 보강 부재(42)와 바닥면 보강 부재(44)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크게 외측을 향해 변형된다.
도 12는, 참고예와 관련된 축전 장치(4A)를 나타내는 축전 장치(4A)의 저면도이다. 이 축전 장치(4A)는, 축전 장치(4)의 구성으로부터 둘레면 보강 부재(25, 26)를 제외한 구성과, 브래킷(64A, 64B, 64C, 64D, 64E, 64F, 64G)을 구비한다. 브래킷(64A, 64B, 64C, 64D, 64E, 64F, 64G)은, 단부(52, 54, 56, 60, 55, 59, 61)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전 장치(4A)에 있어서는,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 45, 46, 47)의 단부(52, 54, 56, 58, 60, 62)에는, 브래킷(64A, 64B, 64C, 35, 64D, 37)이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53, 55, 57, 59, 61, 63)에는, 브래킷(33, 64E), 브래킷(34, 64F, 64G, 3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축전 장치(4A)에 있어서, 측면(24)측으로부터 충돌물(110)이 충돌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충돌물(110)이 브래킷(33, 64E, 34)에 충돌하고, 또한, 충돌물(110)이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의 단부(53, 55, 57)에 충격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측면(23) 중, 바닥면 보강 부재(42)와 바닥면 보강 부재(44)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크게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려고 한다.
여기서, 축전 장치(4A)에 있어서는, 브래킷(64A, 64B, 64C)이 단부(52, 54, 56)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23)이 상기한 바와 같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려고 해도, 측면(23)의 변형을 저해한다.
도 13은, 충돌물(110)이 충돌한 상태에 있어서의 브래킷(64B)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축전 장치(4A)는, 브래킷(64B)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9)의 측면(23)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려고 하면, 바닥면 보강 부재(43) 및 케이스 본체(9)가, 브래킷(64B)과 간섭하여, 바닥면 보강 부재(43) 및 케이스 본체(9)가 변형된다.
이 때문에, 충돌물(110)이 측면(24)측으로부터 충돌하면, 측면(23)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는 것이 저해된다.
도 13에 있어서는, 브래킷(64B) 및 그 주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브래킷(64A, 64C)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브래킷(64A, 64C)에 의해, 케이스 본체(9)의 측면(23)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는 것이 저해된다.
그 결과, 충돌물(110)이 측면(24)에 충돌하여, 측면(24)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되는 한편, 측면(23)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9) 내의 내용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케이스 본체(9) 내에 수용된 축전 모듈(20)이 케이스 본체(9)의 내벽과 간섭하여, 축전 모듈(2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축전 장치(4)에 있어서는, 충돌물(110)이 측면(24)에 충돌하였을 때에, 측면(23)이 변형되는 것이 허용되고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9) 내에 수용된 축전 모듈(20)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측면(23)측에는, 브래킷(31, 32, 35, 37)이 마련되어 있으며, 충돌물(110)로부터 케이스 본체(9)에 가해진 충격력의 일부는, 바닥면 보강 부재(40, 41, 45, 47) 및 브래킷(31, 32, 35, 37)을 통하여 사이드 멤버(15)나 크로스 멤버(17)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충돌물(110)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케이스 본체(9)가 크게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어, 케이스 본체(9)가 손상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여기서, 브래킷(33, 34)이 마련되어 있는 단부(53, 57)와 반대측에는, 단부(52, 56)가 위치하고 있으며, 단부(52, 56)는, 브래킷(32) 및 브래킷(3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충돌물(110)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측면(23) 중, 단부(52)로부터 단부(56)의 사이 및 그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외측을 향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려고 하였을 때에, 케이스 본체(9)에 가해진 충격력의 일부가 브래킷(32, 35)을 통하여, 사이드 멤버(15)에 전달된다. 그 결과, 측면(23) 중, 단부(52)로부터 단부(56)의 사이 및 그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크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측면(23)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축전 장치(4)에 있어서는, 각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 45, 46, 47)는, 둘레면 보강 부재(26) 및 둘레면 보강 부재(2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돌물(110)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가 폭 방향(W)으로 변위하려고 해도, 둘레면 보강 부재(26, 25)가 각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의 변위를 억제한다.
이 때문에, 충돌물(110)로부터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에 충격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의 변위량이 작아, 케이스 본체(9)의 변형량이 작게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9)의 측면(24)이 크게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되거나, 측면(23)이 크게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 본체(9)의 변형이 억제되고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9) 내에 수용된 축전 모듈(20)이 케이스 본체(9)의 내벽면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둘레면 보강 부재(25) 및 둘레면 보강 부재(26)가 모두 마련되어 있지만, 둘레면 보강 부재(25) 및 둘레면 보강 부재(26)의 일방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도 3에 있어서, 브래킷(제 4 브래킷)(30)은, 브래킷(제 1 브래킷)(33, 34)보다 축전 장치(4)의 전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30)은, 다른 브래킷(33, 34) 등과 마찬가지로, 판재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브래킷(30)은, 브래킷(30)의 폭 방향이 차량(1)의 폭 방향(W)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3, 34) 등은, 브래킷(33, 34) 등의 폭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D)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0)의 폭 길이 W1는, 브래킷(33)의 폭 길이 W2 및 브래킷(34)의 폭 길이 W3보다 크다.
이 때문에, 차량 전후 방향(D)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있어서의 브래킷(34)의 강성은, 폭 방향(W)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있어서의 브래킷(33, 34)의 강성보다 높으며, 전단부측에 있어서 축전 케이스(21)의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량(1)이 주행 중에 있어서, 지면에 놓여진 장해물과 축전 장치(4)가 접촉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한편, 브래킷(30)에 의해, 전단부측에 있어서의 축전 케이스(21)의 강성이 높게 되어 있어, 축전 케이스(21)의 전단부가 크게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충돌물(110)이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의 단부(53, 55, 57)에 폭 방향(W)으로부터 충격력을 가했다고 해도, 바닥면 보강 부재(42, 43, 44)가 변형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충돌물(110)이 측면(24)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축전 케이스(21)의 측면(23)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충돌물(110)이 브래킷(33) 및 브래킷(34)에 충돌하는 양태로 축전 장치(4)에 충돌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충돌물(110)이 충돌하는 양태로서는 각종의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도 14는, 충돌물의 충돌 양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충돌물(110A)은, 브래킷(35)에 충돌하는 양태로 축전 장치(4)에 충돌하고 있다.
이 충돌 시에 있어서, 충돌물(110A)은, 브래킷(35)을 변형시킨다. 그리고, 브래킷(35)이 연결된 바닥면 보강 부재(45)에 충격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바닥면 보강 부재(45)가 폭 방향(W)으로 변위함과 함께, 바닥면 보강 부재(45)가 고정된 케이스 본체(9)도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면(23)에 있어서는, 브래킷(35) 및 단부(58)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측면(24)측에 있어서는, 브래킷(35)과 대향하는 부분 및 그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된다.
여기서, 차량 전후 방향(D)에 있어서, 브래킷(35)은, 브래킷(34) 및 브래킷(36)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바닥면 보강 부재(45)에 있어서, 단부(58, 59)의 일방의 단부(58)에만 브래킷(35)이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59)에는 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측면(24) 중, 브래킷(35)과 대향하는 부분에 브래킷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측면(24)이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본체(9) 내의 내용적이 작아지는 것이 억제되고 있으며, 케이스 본체(9) 내에 있어서, 축전 모듈(20)이 케이스 본체(9)의 내벽과 간섭하여, 축전 모듈(20)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축전 장치(4)에 있어서는, 축전 장치(4)의 측면(23)측에 마련된 브래킷(31, 32, 35, 37)의 수와, 측면(24)측에 마련된 브래킷(30, 33, 34, 36)의 수는 동일한 수이다. 이 때문에, 측면(24)측으로부터 충돌물(110)이 충돌하였을 때의 케이스 본체(9)의 변형량과, 측면(23)측으로부터 충돌물(110)이 충돌하였을 때의 케이스 본체(9)의 변형량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바닥면 부재(6)의 하면에 축전 장치(4)가 배치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축전 장치(4)의 탑재 위치로서는 다양한 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제 1 방향」으로서, 차폭 방향을 채용하고, 「제 2 방향」으로서, 차량 전후 방향을 채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 1 방향」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하고, 또한 「제 2 방향」으로서, 차폭 방향을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도 15 등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2와 관련된 차량(1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차량(1B)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16은, 축전 케이스(201)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차량(1B)은, 바닥면 부재(6)와, 축전 장치(4B)와, 연결 유닛(202)과, 둘레면 보강 부재(203, 204)를 구비한다. 축전 장치(4B)는, 바닥면 부재(6)의 후단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축전 장치(4B)는 바닥면 부재(6)의 하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축전 장치(4B)는, 축전 케이스(201)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축전 모듈을 포함하고, 축전 모듈은, 축전 케이스(20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축전 케이스(201)는, 케이스 본체(205)와,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230~234)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205)는, 전면(210)과, 후면(211)과, 측면(212)과, 측면(213)과, 하면(214)을 포함한다. 전면(210)은 차량 전후 방향(D)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면(211)은 전면(210)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면(213)은 폭 방향(W)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측면(212)은 폭 방향(W)의 타단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 유닛(202)은, 브래킷(220, 221, 222, 223, 224, 225)을 포함한다. 브래킷(220, 221, 222)은, 전면(210)측에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223, 224, 225)은 후면(211)측에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220, 221, 222)은, 축전 케이스(201)를 크로스 멤버(17)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브래킷(223)은 축전 케이스(201)를 사이드 멤버(15)에 고정하고 있으며, 브래킷(225)은 축전 케이스(201)를 사이드 멤버(16)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브래킷(224)은, 축전 케이스(201)를 플로어 패널(18)에 고정하고 있다.
둘레면 보강 부재(203)는 전면(210)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둘레면 보강 부재(203)는 전면(210)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둘레면 보강 부재(204)는 후면(211)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둘레면 보강 부재(204)는 후면(211)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20, 221)은, 폭 방향(W)에 있어서, 브래킷(223) 및 브래킷(22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브래킷(222)은, 폭 방향(W)에 있어서, 브래킷(224) 및 브래킷(22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224)은, 폭 방향(W)에 있어서, 브래킷(221) 및 브래킷(2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각 바닥면 보강 부재(230, 231, 232, 233, 234, 235)는, 차량 전후 방향(D)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바닥면 보강 부재(230, 231, 232, 233, 234, 235)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바닥면 보강 부재(230, 231, 232, 233, 234, 235)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볼트 등에 의해, 축전 케이스(201)에 고정되어 있다.
각 바닥면 보강 부재(230, 231, 232, 233, 234, 235)는, 후면(211)측에 위치하는 단부(240, 242, 244, 246, 248, 250)와, 전면(210)측에 위치하는 단부(241, 243, 245, 247, 249, 251)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부(241, 243, 245, 247, 249, 251)는, 후면(211)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부(240, 242, 244, 246, 248, 250)는 전면(210)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220)은, 단부(243)에 연결됨과 함께, 바닥면 보강 부재(230)에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221, 222)은, 단부(245, 249)에 연결됨과 함께, 바닥면 보강 부재(230)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브래킷(223, 224, 225)은, 단부(244, 248, 252)에 연결됨과 함께, 바닥면 보강 부재(231)에 연결되어 있다.
도 17은, 브래킷(221)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축전 장치(4B)의 케이스 본체(205)는, 어퍼 케이스(65A) 및 로워 케이스(66A)를 포함한다. 어퍼 케이스(65A)는, 천장판(80A)과, 둘레벽(81A)과, 플랜지부(82A)를 포함한다. 로워 케이스(66A)는, 바닥판(83A)과, 둘레벽(84A)과, 플랜지부(85A)를 포함한다. 그리고, 플랜지부(82A) 및 플랜지부(85A)에 의해, 돌출부(86A)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면 보강 부재(203)는, 바닥판부(70A)와, 측벽부(71A)를 포함한다. 단부(245)는, 바닥판부(70A)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221)은, 바닥판부(75A)와, 입상부(76A)와, 상단판(77A)을 포함한다. 바닥판부(75A)는, 바닥판부(70A)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입상부(76A)는, 바닥판부(75A)의 외측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판(77A)는, 입상부(76A)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21)의 바닥판부(75A)와, 둘레면 보강 부재(203)의 바닥판부(70A)와, 바닥면 보강 부재(232)의 단부(245)는, 고정 부재(79A)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22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브래킷(220, 222, 223, 224, 225)도 브래킷(22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면 보강 부재(204)도 둘레면 보강 부재(20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1B)에 있어서, 차량(1B)의 후방측으로부터 다른 차량이 충돌 등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도 16에 있어서, 예를 들면, 브래킷(221)에 충돌물이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충돌물(110)이 브래킷(221) 및 단부(245)에 충돌하여, 축전 장치(4B)에 충격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차량 전후 방향(D)에 있어서 브래킷(221)과 반대측에 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축전 장치(4B)에 있어서도, 충돌물의 충돌 시에 축전 모듈(20B)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221) 등에도 입상부(76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전 장치(4)의 브래킷(33)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금회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8)

  1. 차량 본체와,
    상기 차량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축전 장치와,
    상기 축전 장치를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구비한 차량으로서,
    상기 축전 장치는,
    축전 모듈과,
    상기 차량의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일방인 제 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 1 둘레면과, 상기 제 1 둘레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축전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축전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축전 케이스는,
    상기 축전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된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바닥면 보강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제 1 둘레면측에 위치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둘레면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와,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타방인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와,
    상기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와 반대측에 마련된 제 3 바닥면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의 제 1 단부에 연결된 제 1 브래킷과,
    상기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된 제 2 브래킷과,
    상기 제 3 바닥면 보강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된 제 3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의 제 2 단부에는, 상기 연결 유닛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의 제 1 단부는, 상기 제 1 둘레면보다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은,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된 차량.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차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을 형성하는 재료의 강성은,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강성보다 낮은 차량.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은, 상기 축전 케이스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입상부를 포함하는 차량.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제 1 둘레면측 또는 상기 제 2 둘레면측의 적어도 일방에 마련된 둘레면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둘레면 보강 부재는, 상기 제 1 바닥면 보강 부재 및 상기 제 2 바닥면 보강 부재에 연결된 차량.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이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 1 둘레면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 1 브래킷보다 상기 차량의 전방측에 배치된 제 4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4 브래킷의 폭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브래킷의 폭보다 넓은 차량.
KR1020200085184A 2019-07-11 2020-07-10 차량 KR102384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9212A JP7172889B2 (ja) 2019-07-11 2019-07-11 車両
JPJP-P-2019-129212 2019-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02A true KR20210007902A (ko) 2021-01-20
KR102384154B1 KR102384154B1 (ko) 2022-04-08

Family

ID=7405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84A KR102384154B1 (ko) 2019-07-11 2020-07-10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1492B2 (ko)
JP (1) JP7172889B2 (ko)
KR (1) KR102384154B1 (ko)
CN (1) CN1122083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7798B1 (en) * 2019-12-27 2021-11-09 Zoox, Inc. Vehicle energy absorbing structure and techniques
US11254274B1 (en) 2019-12-31 2022-02-22 Zoox, Inc. Vehicle impact energy managem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CN113363658B (zh) * 2021-05-31 2023-01-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蓄电池托盘安装结构及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041A (ko) * 2007-12-05 2009-06-10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자동차
KR20110108403A (ko) * 2009-02-24 2011-10-05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탑재 구조
WO2012063393A1 (ja) * 2010-11-10 2012-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2013012480A (ja) * 2007-09-28 2013-01-17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ユニット
JP2013129391A (ja) * 2011-12-22 2013-07-04 Denso Corp 電池パック
WO2018087131A1 (en) * 2016-11-11 2018-05-17 Jaguar Land Rover Limited Battery support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0699B2 (ja) * 2006-11-27 2013-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燃料電池の車載方法
JP5360041B2 (ja) * 2010-12-15 2013-12-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
JP5821966B2 (ja) * 2011-10-13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2014208509A (ja) * 2013-04-16 2014-1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
JP6070991B2 (ja) * 2013-05-14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蓄電装置
DE102014108160A1 (de) * 2014-06-11 2015-12-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nterboden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110304A1 (de) * 2014-07-22 2016-01-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nterboden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110307A1 (de) * 2014-07-22 2016-01-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nterboden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CN106794751B (zh) * 2014-08-22 2019-10-2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具有多个带的交通工具电池系统
JP6615196B2 (ja) * 2015-06-04 2019-1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
DE102016223229A1 (de) * 2016-11-23 2018-05-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anordnung und 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Batterieanordnung
CN206849900U (zh) * 2017-06-06 2018-01-05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壳体及其加强梁组件
CN107331807A (zh) * 2017-06-06 2017-11-07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壳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2480A (ja) * 2007-09-28 2013-01-17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ユニット
KR20090059041A (ko) * 2007-12-05 2009-06-10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자동차
KR20110108403A (ko) * 2009-02-24 2011-10-05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탑재 구조
WO2012063393A1 (ja) * 2010-11-10 2012-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2013129391A (ja) * 2011-12-22 2013-07-04 Denso Corp 電池パック
WO2018087131A1 (en) * 2016-11-11 2018-05-17 Jaguar Land Rover Limited Battery support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08365A (zh) 2021-01-12
JP2021014169A (ja) 2021-02-12
JP7172889B2 (ja) 2022-11-16
US20210013470A1 (en) 2021-01-14
US11251492B2 (en) 2022-02-15
CN112208365B (zh) 2023-10-03
KR102384154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7902A (ko) 차량
CN110194053B (zh) 车辆下部构造
CN111422051B (zh) 车辆下部结构
CN109263456B (zh) 车身结构
US11027782B2 (en) Vehicle front-part structure
US20130307330A1 (en) Vehicle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US20160233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Crushabl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tructure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US9908396B2 (en) Under body for electric vehicle
CN110091928B (zh) 车辆的地板构造
CN114633612A (zh) 电池安装结构
US11305628B2 (en) Electric vehicle
US10377218B1 (en) Reinforced heel kick assembly and heel kick reinforcement method
JP3863077B2 (ja) 車体後部フロア構造
CN108215749B (zh) 电池包的保护结构
US11502364B2 (en) Battery assembly for vehicle for improving crash safety thereof
CN214028868U (zh) 车身后部构造
KR102407864B1 (ko)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CN114982054A (zh) 托盘及托盘的制造方法
US20220069403A1 (en) Battery casing containing high-voltage battery
US20230399052A1 (en) Vehicle
JP7224193B2 (ja) 電池構造物固定構造
US20220234432A1 (en) Power storage device
KR10248115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경량 배터리 케이스
US11767061B2 (en) Side sill assembly of vehicle with reinforced stiffness
US11970054B2 (en) Power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