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18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187A
KR20110099187A KR1020110018648A KR20110018648A KR20110099187A KR 20110099187 A KR20110099187 A KR 20110099187A KR 1020110018648 A KR1020110018648 A KR 1020110018648A KR 20110018648 A KR20110018648 A KR 20110018648A KR 20110099187 A KR20110099187 A KR 2011009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wall
cavity
terminal fit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스즈키
도시카즈 사쿠라이
유지 미노다
요헤이 구구미야
가즈유키 이와시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using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ble-accommodating recesses or bor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피팅이 소형화되더라도, 단자 피팅이 부정한 자세로 캐비티에 오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단자 피팅(30)의 대략 각통형의 본체부(31)에는, 그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42)와, 본체부(31)의 외면을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의 간섭 회피부(41)가 형성되고, 볼록부(42)와 간섭 회피부(41)는, 캐비티(12)에의 삽입 방향으로 투영한 가상 투영면 상에서 대략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캐비티(12)의 내면에는, 캐비티(12)에 대한 단자 피팅(30)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볼록부(42)를 진입시키는 홈부(17)와, 간섭 회피부(41)와의 간극을 좁히도록 쌓아 올린 간섭부(2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단자 피팅의 오삽입(誤揷入) 방지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 및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는, 하우징 내의 캐비티에 단자 피팅을 삽입한 것으로, 단자 피팅의 각통부의 외측 둘레에는,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태빌라이저가 형성되고, 캐비티의 내벽에는, 스태빌라이저와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이 정규 자세로 삽입되려고 한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가 홈부에 진입함으로써,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대하여 지장없이 삽입된다. 이에 비해, 단자 피팅이 삽입 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진 부정한 자세로 캐비티에 삽입되려고 한 경우는, 스태빌라이저가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간섭함으로써, 단자 피팅의 부정한 자세로의 삽입이 저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26756호 공보
최근, 단자 피팅의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지만, 단자 피팅이 소형화된 경우, 그에 따라 스태빌라이저의 돌출 치수도 작아진다. 한편, 단자 피팅의 외면과 캐비티의 내면의 사이에는, 단자 피팅의 원활한 삽입 동작을 보강하기 위해 클리어런스가 확보된다. 그런데, 이 클리어런스를 좁히기 위해서는,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어 제조 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단자 피팅의 소형이 진행되더라도, 클리어런스로서 어느 정도의 치수를 확보해야 한다.
그 때문에, 단자 피팅의 소형화에 따라 스태빌라이저가 작아진 경우, 스태빌라이저의 돌출 치수가 클리어런스와 거의 동일한 치수가 되고, 그 결과, 단자 피팅이 부정한 자세임에도 불구하고, 스태빌라이저가 오삽입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 단자 피팅이 부정한 자세인 채로 캐비티에 삽입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단자 피팅이 소형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단자 피팅이 부정한 자세로 캐비티에 오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은, 대략 각통형의 본체부를 갖는 단자 피팅과, 상기 단자 피팅이 삽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그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의 간섭 회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간섭 회피부가, 상기 캐비티에의 삽입 방향으로 투영한 가상 투영면 상에서의 대략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는, 상기 캐비티에 대한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상기 볼록부를 진입시키는 홈부와, 상기 간섭 회피부와의 간극을 좁히도록 쌓아 올린 간섭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간섭 회피부는,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형상부 중 대략 직각으로 인접하는 2개의 벽형상부의 경계 부분을, 대략 사분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로 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부분적으로 두드려 엠보싱형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그 외면 중 상기 가상 투영면 상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간섭 회피부와는 상이한 위치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는, 상기 캐비티에 대한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상기 볼록형부를 진입시키는 홈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부는,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형상부 중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벽형상부와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기 벽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형상부의 폭방향에서의 상기 볼록형부의 위치는, 상기 간섭 회피부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로 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
단자 피팅이, 삽입 방향과 평행한 대칭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전된 부정한 자세로 삽입되려고 한 경우에는, 본체부 중 간섭 회피부와는 대각선 상에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간섭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부딪히도록 걸리게 되고, 볼록부가,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간섭부를 사이에 두고 캐비티와는 반대측의 영역에 부딪히도록 걸리게 되며, 이들 걸림 작용에 의해, 단자 피팅의 부정한 자세로의 삽입이 저지된다.
본체로부터 돌출된 볼록부만이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게 되는 것에 비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의 일부와 간섭부가 걸리게 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만큼,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단자 피팅의 걸림 범위가 크다. 따라서, 단자 피팅이 소형화되어 볼록부의 돌출 치수가 작아도, 단자 피팅이 부정한 자세로 오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
간섭 회피부는, 본체부의 대략 직각으로 인접하는 2개의 벽형상부의 경계 부분을 대략 사분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벽형상부만을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의 것에 비하면, 본체부의 외면의 형상이 간소화된다.
<청구항 3의 발명>
볼록부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부분적으로 두드려 엠보싱형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잘라내고 세워서 판형상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것에 비하면, 변형되기 어렵다.
<청구항 4의 발명>
단자 피팅이 반전된 부정한 자세로 삽입되려고 한 경우에는, 볼록형부가,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간섭부 및 볼록부와의 걸림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에 부딪히도록 걸리게 되기 때문에, 이 볼록형부 만큼,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단자 피팅의 걸림 범위가 확대된다.
<청구항 5의 발명>
벽형상부의 폭방향에서의 볼록형부의 위치는, 간섭 회피부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이지만, 볼록부와 간섭 회피부는 대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와 볼록형부는, 폭방향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대응하는 위치 관계가 되고, 본체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단자 피팅의 걸림 범위가, 볼록부 및 볼록형부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확대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단자 피팅이 적정한 자세로 단자 삽입구에 진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단자 피팅이 부정한 자세로 단자 삽입구에 진입하려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단자 피팅의 평면도.
도 5는 단자 피팅의 좌측면도.
도 6은 단자 피팅의 바닥면도.
도 7은 단자 피팅의 단면도.
도 8은 단자 피팅의 전개도.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10) 내에 복수의 단자 피팅(30)을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에 설치되어 캐비티(12)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홀더(25)와 리테이너(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 내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실의 캐비티(12)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12) 내에는, 그 내벽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의 랜스(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랜스(13)보다 후방에는 리테이너(14)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배면에는, 캐비티(12)의 후단의 단자 삽입구(15)가 개구되어 있고, 단자 피팅(30)은 단자 삽입구(15)를 통과하여 캐비티(12)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단자 삽입구(15)의 개구 형상, 및 캐비티(12) 중 단자 삽입구(15)에 연통하는 단자 삽입부(16)의 단면 형상은, 후술하는 단자 피팅(30)의 전단부, 즉 본체부(31)의 전단부의 외형, 및 본체부(31)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한 볼록부(42)와 볼록형부(43)에 정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캐비티(12)의 후단부의 내면에는, 볼록부(42)에 대응하는 홈부(17)와, 볼록형부(43)에 대응하는 홈형상부(18)가, 전후 방향[도시하지 않은 주지 형태의 터브의 캐비티(12)에 대한 삽입 인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단자 삽입부(16)를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과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을 전방에서 본 도면이며, 캐비티(12)에 대한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으로 투영한 가상 투영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단자 피팅(30)의 정면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서의 좌우의 방향은, 본 실시형태의 기재와는 반대가 된다.
단자 삽입부(16)의 단면 형상[단자 삽입구(15)의 개구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단자 피팅(30)의 본체부(31)와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형을 이루지만,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가상 축선에 관해서는 점대칭이 아니다. 즉, 단면 형상에서, 상면과 좌측면(도 2 및 3에서는 우측의 측가장자리)이 이어지는 모서리부는, 곡률 반경이 작은 소형 사분 원호면(19)으로 연결되어 있고, 우측면과 하면이 이어지는 모서리부는, 소형 사분 원호면(19)보다 곡률 반경이 큰 중형 사분 원호면(20)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의 하단부와 하면의 좌단부는, 중형 사분 원호면(20)보다 곡률 반경이 큰 대형 사분 원호면(21)으로 이어져 있다. 그리고, 단자 삽입부(16)의 단면 형상에서, 대형 사분 원호면(21)과, 하면을 좌측으로 똑바로 연장한 가상면(22)과, 좌측면을 하측으로 똑바로 연장한 가상면(23)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은, 간섭부(24)가 되어 있다.
또한, 홈부(17)는, 단면이 가로로 긴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단자 삽입부(16)의 상면(19)에서의 우측의 단부가 움푹 들어가게 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홈부(17)의 우측의 측면은, 우측면에 대하여 면일하게 이어져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서의 홈부(17)의 폭치수는, 단자 삽입부(16)의 전폭의 거의 1/2의 치수이다. 홈형상부(18)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을 이루고, 단자 삽입부(16)의 하면에서의 우측의 단부 근방이 움푹 들어가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서의 홈형상부(18)의 형성 영역은, 단자 삽입부(16)의 전폭 중 우측반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
상기 홈부(17)와 간섭부(24)는, 대략 대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홈부(17)와 홈형상부(18)는, 좌우 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홈부(17)와 홈형상부(18)는, 상하 방향에서는 서로 반대측의 위치, 즉 단자 삽입부(16)의 내면 중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단자 피팅(30)은,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수형의 상대측 단자와의 접속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암형의 단자이다. 단자 피팅(30)의 전단측 부분은, 내부에 탄성 접촉편(32)이 수용된 대략 각통형의 본체부(31)로 되어 있고, 후단측 부분은, 전선(33)을 압착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오픈 배럴형의 전선 접속부(34)로 되어 있다.
본체부(31)는, 복수의 벽형상부를 전후 방향의 접음선을 통해 이어서 각통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복수의 벽형상부는, 하면벽(35)과, 좌우 양측면벽(36, 37)과, 전후로 3분할된 상면벽(3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31) 내에는, 탄성 접촉편(32)이 수용되고, 본체부(31) 내에 삽입된 터브와 탄성 접촉편(32)이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31)에는, 그 외면(상면)에 개구된 걸림 구멍(39)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캐비티(12) 내에 단자 피팅(30)을 삽입했을 때에는, 걸림 구멍(39)에 랜스(13)가 걸리게 됨으로써, 단자 피팅(30)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1)의 후단 가장자리는, 걸림 가장자리부(40)로 되어 있다. 캐비티(12) 내에 단자 피팅(30)을 삽입한 상태에서는, 하우징(10)에 설치한 리테이너(14)가 걸림 가장자리부(40)에 걸리게 되고, 이 걸림 작용에 의해, 단자 피팅(30)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단자 피팅(30)은, 랜스(13)와 리테이너(14)에 의한 이중 걸림 작용에 의해 확실하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자 피팅(30)에는, 캐비티(12)의 간섭부(24), 홈부(17) 및 홈형상부(18)와 협동하여 단자 피팅(30)이 상하 반전(즉, 좌우 반전)된 방향으로 캐비티(1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 수단으로서, 간섭 회피부(41), 볼록부(42) 및 볼록형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간섭 회피부(41)는, 본체부(31)를 구성하는 벽형상부 중 서로 대략 직각으로 인접하는 좌측면벽(36)과 하면벽(35)의 경계 부분을 대략 사분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이은) 형태이다. 이 간섭 회피부(41)를 구성하는 원호형 벽의 곡률 반경은, 하면벽(35)과 우측면벽(37)을 연결하는 원호형 면, 우측면벽(37)과 상면벽(38)을 연결하는 원호형 면, 및 상면과 좌측면벽(36)을 연결하는 원호형 면 중 어느 원호형 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이 곡률 반경의 차이에 의해, 본체부(31)를 구성하는 4개의 접음선 중 간섭 회피부(41)의 접음선 부분에서, 다른 접음선 부분에 비해, 본체부(31)의 외면이 움푹 들어가게 된 형태로 되는 것이다.
볼록부(42)는, 본체부(31)를 구성하는 벽형상부 중 상면벽(38)의 일부인 전방부벽(44)을 부분적으로 외면측(상방)으로 두드림으로써 엠보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가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을 이루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 보면 대략 사각형을 이룬다. 볼록부(42)는, 전후 방향[캐비티(12)에 대한 단자 피팅(30)의 삽입 인출 방향]에서는, 전방부벽(44)[본체부(31)]의 전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42)는, 좌우 방향에서는 전방부벽(44)[본체부(31)]의 대략 우측반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볼록부(42)의 폭치수는 본체부(31)의 전폭의 거의 1/2이다.
볼록형부(43)는, 본체부(31)를 구성하는 벽형상부 중 하면벽(35)[즉, 볼록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벽(38)과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벽형상부]을 부분적으로 외면측(하방)으로 두드림으로써 엠보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형부(43)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대략 반원호형을 이루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면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에서 보면 대략 타원형을 이룬다. 볼록부(42)는, 전후 방향에서는, 하면벽(35)[본체부(31)]의 전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볼록형부(43)는, 좌우 방향에서는, 하면벽(35)[본체부(31)]의 전폭 중 우측반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 즉, 볼록형부(43)는, 볼록부(42) 및 간섭 회피부(41)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섭 회피부(41)는 좌하측 모서리부에 배치되고, 볼록부(42)는 좌상측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섭 회피부(41)와 볼록부(42)는, 대략 대각선 상에 배치된 위치 관계가 되어 있다. 또한, 볼록형부(43)는, 볼록부(42)에 대해서는 좌우 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간섭 회피부(41)에 대해서는 좌우 방향에서 서로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볼록부(42)와 볼록형부(43)는, 상하 방향에서는 서로 반대측의 위치, 즉 본체부(31)를 구성하는 벽형상부 중 서로 다른 벽형상부[상면벽(38)과 하면벽(35)]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서는, 단자 피팅(30)의 본체부(31)에, 그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42)와, 본체부(31)의 외면을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의 간섭 회피부(41)가 형성되고, 볼록부(42)와 간섭 회피부(41)가, 캐비티(12)에의 삽입 방향으로 투영한 가상 투영면(도 2 및 도 3을 참조) 상에서 대략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비티(12)의 내면에는, 캐비티(12)에 대한 단자 피팅(30)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볼록부(42)를 진입시키는 홈부(17)와, 간섭 회피부(41)와의 간극을 좁히도록 쌓아 올린 간섭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피팅(30)이 캐비티(12)에 대하여 적정한 자세로 삽입되려고 한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42)가 홈부(17)에 진입하고, 간섭 회피부(41)가 간섭부(24)와 비간섭으로 대향하는 상태로, 단자 피팅(30)의 삽입이 지장없이 행해진다.
이에 비해, 단자 피팅(30)이, 삽입 방향과 평행한 대칭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전된 부정한 자세로 삽입되려고 한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31) 중 간섭 회피부(41)와는 대각선 상에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볼록부(42)에 이어지는 모서리부]가, 캐비티(12)의 단자 삽입구(15)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간섭부(24)와 대응하는 영역에 부딪히도록 걸리게 되고, 볼록부(42)가, 단자 삽입구(15)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간섭부(24)를 사이에 두고 캐비티(12)[단자 삽입부(16)]와는 상하 반대측의 영역[간섭부(24)보다 하방의 부분]에 부딪히도록 걸리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걸림 작용에 의해, 단자 피팅(30)의 부정한 자세로의 삽입이 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피팅(30)의 부정한 자세로의 삽입이 저지될 때, 캐비티(1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단자 피팅(30)이 걸리게 되는 것은, 볼록부(42) 뿐만 아니라, 본체부(31)의 일부[즉, 본체부(31) 중 간섭 회피부(41)와는 대각선 상에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도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볼록부만이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게 되는 것에 비하면, 본 실시형태는, 본체부(31)의 일부와 간섭부(24)가 걸리게 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만큼, 캐비티(12)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단자 피팅(30)의 걸림 범위가 크다. 따라서, 단자 피팅(30)이 소형화되어 볼록부(42)의 돌출 치수가 작아도, 단자 피팅(30)이 부정한 자세로 오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에는, 그 외면 중 가상 투영면 상에서 볼록부(42) 및 간섭 회피부(41)와는 상이한 위치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형부(43)가 형성되고, 캐비티(12)의 내면에는, 캐비티(12)에 대한 단자 피팅(30)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볼록형부(43)를 진입시키는 홈형상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피팅(30)이 반전된 부정한 자세로 삽입되려고 한 경우에는, 볼록형부(43)가, 캐비티(12)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간섭부(24) 및 볼록부(42)와의 걸림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단자 삽입구(15)의 개구 가장자리 중 홈부(17)에 인접하는 부분)에 부딪히도록 걸리게 되기 때문에, 이 볼록형부(43) 만큼, 캐비티(12)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단자 피팅(30)의 걸림 범위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다른 부정한 자세로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형부(43)는, 본체부(31)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형상부 중 볼록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벽(38)과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하면벽(35)에 형성되고, 하면벽(35)의 폭방향에서의 볼록형부(43)의 위치는, 간섭 회피부(41)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로 되어 있다. 볼록부(42)와 간섭 회피부(41)는 대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42)와 볼록형부(43)는, 폭방향에서 동일한 방향(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대응하는 위치 관계가 되고, 본체부(31)로부터 서로 상하 반대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단자 피팅(30)이 부정한 반전 자세로 삽입되려고 한 경우에는, 볼록부(42)에 의한 걸림 범위와 볼록형부(43)에 의한 걸림 범위가, 본체부(31)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확보되게 되고, 또한 볼록부(42)가 홈형상부(18)와 대응하지도 않으며, 볼록형부(43)가 홈부(17)와 대응하지도 않는다. 이에 따라, 캐비티(12)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단자 피팅(30)의 걸림 범위가, 볼록부(42) 및 볼록형부(43)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확대된다.
또한, 간섭 회피부(41)는, 본체부(31)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형상부 중 대략 직각으로 인접하는 좌측면벽(36)과 하면벽(35)의 경계 부분을, 대략 사분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31)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벽형상부만을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의 것에 비하면, 본체부(31)의 외면의 형상이 간소화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42)는, 본체부(31)를 구성하는 상면벽(38)을 부분적으로 두드려 엠보싱형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잘라내고 세워서 판형상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것에 비하면, 변형되기 어렵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내용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를 단자 피팅의 전단부에 배치했지만, 볼록부는, 단자 피팅의 전단부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를,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부분적으로 두드려 엠보싱형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했지만, 볼록부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잘라내고 세워서 판형상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의 형성 영역을, 본체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벽형상부의 범위 내로 했지만, 볼록부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2개의 벽형상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간섭 회피부가, 본체부의 대략 직각으로 인접하는 2개의 벽형상부의 경계 부분을 대략 사분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로 되어 있지만, 간섭 회피부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벽형상부만을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로 되어도 좋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 및 간섭 회피부와는 다른 오삽입 방지 수단으로서 볼록형부를 형성했지만, 이와 같은 볼록형부를 형성하지 않고, 오삽입 방지는 대각 배치된 볼록부와 오목부만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형부를 단자 피팅(본체부)의 전단부에 배치했지만, 볼록형부는, 단자 피팅의 전단부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형부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벽형상부와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다른 벽형상부에 형성했지만, 볼록형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벽형상부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이어지는 다른 벽형상부에 형성해도 좋다.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형부가,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부분적으로 두드려 엠보싱형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되어 있지만, 볼록형부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잘라내고 세워서 판형상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되어도 좋다.
(9)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형부의 형성 영역을, 본체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벽형상부의 범위 내로 했지만, 볼록형부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2개의 벽형상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10)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각통형을 이루는 본체부에 터브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암단자 피팅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암단자 피팅의 본체부에 삽입되는 터브를 갖는 수단자 피팅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의 후단에 이어지도록 대략 각통형을 이루는 본체부를 마련하고, 이 본체부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면 된다.
10 : 하우징
12 : 캐비티
17 : 홈부
18 : 홈형상부
24 : 간섭부
30 : 단자 피팅
31 : 본체부
35 : 하면벽(벽형상부)
36 : 좌측면벽(벽형상부)
37 : 우측면벽(벽형상부)
38 : 상면벽(벽형상부)
41 : 간섭 회피부
42 : 볼록부
43 : 볼록형부

Claims (7)

  1. 대략 각통형의 본체부를 갖는 단자 피팅과,
    상기 단자 피팅이 삽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그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의 간섭 회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간섭 회피부가, 상기 캐비티에의 삽입 방향으로 투영한 가상 투영면 상에서 대략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는, 상기 캐비티에 대한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상기 볼록부를 진입시키는 홈부와, 상기 간섭 회피부와의 간극을 좁히도록 쌓아 올린 간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회피부는,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형상부 중 대략 직각으로 인접하는 2개의 벽형상부의 경계 부분을, 대략 사분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를 부분적으로 두드려 엠보싱형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그 외면 중 상기 가상 투영면 상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간섭 회피부와는 상이한 위치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는, 상기 캐비티에 대한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상기 볼록형부를 진입시키는 홈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부는,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형상부 중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벽형상부와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기 벽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형상부의 폭방향에서의 상기 볼록형부의 위치는, 상기 간섭 회피부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그 외면 중 상기 가상 투영면 상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간섭 회피부와는 상이한 위치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볼록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는, 상기 캐비티에 대한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자세가 적정한 경우에만 상기 볼록형부를 진입시키는 홈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부는,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형상부 중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벽형상부와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기 벽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형상부의 폭방향에서의 상기 볼록형부의 위치는, 상기 간섭 회피부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0018648A 2010-03-01 2011-03-02 커넥터 KR20110099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4193A JP5396310B2 (ja) 2010-03-01 2010-03-01 コネクタ
JPJP-P-2010-044193 2010-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187A true KR20110099187A (ko) 2011-09-07

Family

ID=4417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648A KR20110099187A (ko) 2010-03-01 2011-03-0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88388B2 (ko)
EP (1) EP2363922B1 (ko)
JP (1) JP5396310B2 (ko)
KR (1) KR20110099187A (ko)
CN (1) CN1021952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272A (ko) * 2018-01-29 2019-08-0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3133B2 (ja) * 2010-10-12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JP5772468B2 (ja) 2011-10-06 2015-09-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203633A (ja) * 2013-04-04 2014-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44919B1 (ja) * 2013-08-26 2014-12-24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95165B2 (ja) * 2014-03-13 2017-09-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32207B2 (ja) * 2014-03-13 2017-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6187873B2 (ja) * 2014-03-28 2017-08-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571545B (zh) * 2015-10-12 2019-03-12 莫列斯有限公司 导电端子及电连接器组合
JP6211563B2 (ja) * 2015-07-31 2017-10-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US9780477B1 (en) * 2016-06-01 2017-10-03 Lear Corporation Box terminal with insertion limiter
DE102016125764A1 (de) * 2016-12-28 2018-06-28 Lear Corporation Zweistückige elektrische clean-body-anschlussbuchse
JP6979314B2 (ja) * 2017-09-20 2021-12-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965237B1 (en) * 2020-09-03 2024-06-1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ngle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ngled connector
DE202021100405U1 (de) * 2021-01-28 2021-02-09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9844A (en) * 1934-03-28 1937-08-10 Alf E Anderson Electrical connecter
US3566334A (en) * 1968-05-27 1971-02-23 Amp Inc Coaxial connector mounting means
US3980385A (en) * 1973-10-01 1976-09-14 Shinagawa Automotive Electric Wire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S52134681U (ko) * 1976-04-05 1977-10-13
US4374604A (en) * 1981-03-05 1983-02-22 The Bendix Corporation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4902251A (en) * 1988-12-27 1990-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mp socket terminal
US4894027A (en) * 1989-02-23 1990-01-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mp socket terminal
JPH0635402Y2 (ja) * 1989-03-08 1994-09-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誤接続防止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
US5002504A (en) * 1989-10-16 1991-03-26 Labinal Components &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latch construction
US4963102A (en) * 1990-01-30 1990-10-16 Gettig Technologies Electrical connector of the hermaphroditic type
JPH0737247Y2 (ja) * 1990-09-26 1995-08-23 矢崎総業株式会社 逆挿入防止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
US5080604A (en) * 1990-11-13 1992-01-14 Amp Incorporated Self-align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at power cable terminations
JPH081572Y2 (ja) * 1991-03-28 1996-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2510544Y2 (ja) * 1991-09-04 1996-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不完全挿着防止構造
JP2544278Y2 (ja) * 1991-09-24 1997-08-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ンタクト
JP2896738B2 (ja) * 1994-02-10 1999-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106944A (ja) * 1994-10-03 1996-04-23 Tokai Rika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同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H08190951A (ja) * 1995-01-05 1996-07-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端子金具
JPH0982395A (ja) * 1995-09-13 1997-03-28 Yazaki Corp コネクタ
JP3272263B2 (ja) * 1997-04-18 2002-04-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端子振れ防止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JPH11219744A (ja) * 1997-11-25 1999-08-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防水コネクタ
DE10012262C2 (de) * 1999-03-16 2002-10-24 Sumitomo Wiring Systems Buchsenkontakt
JP3200605B2 (ja) * 1999-04-08 2001-08-20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電気信管点火装置用コネクタ
DE10163307A1 (de) * 2000-12-25 2003-05-15 Sumitomo Wiring Systems Anschlußpaßstück und Verbinder
JP3642417B2 (ja) * 2001-06-25 2005-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3864752B2 (ja) * 2001-10-23 2007-01-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DE60206604T2 (de) * 2002-06-06 2006-07-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Ein Steckverbinder und ein Verfahren, um einen Anschlusskontakt darin einzupressen
DE10257759A1 (de) * 2002-12-10 2004-06-24 Erni Elektroapparate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Gehäuse und einem Hochstromkontakt
US7108430B2 (en) * 2003-02-21 2006-09-1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Optic fiber terminus indexer
US6905376B2 (en) * 2003-04-15 2005-06-14 J.S.T. Mfg. Co., Ltd. Terminal
US7311561B2 (en) * 2003-06-18 2007-12-25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Connecting terminal
US7112105B2 (en) * 2003-07-22 2006-09-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having power contacts
JP2005142066A (ja) * 2003-11-07 2005-06-02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4075825B2 (ja) * 2004-02-26 2008-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2006019076A (ja) * 2004-06-30 2006-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2006120370A (ja) * 2004-10-19 2006-05-11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US7377820B2 (en) * 2004-11-19 2008-05-27 J.S.T. Corporation Terminal having a protrusion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JP2006179362A (ja) * 2004-12-24 2006-07-06 Jst Mfg Co Ltd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6216321A (ja) * 2005-02-02 2006-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552781B2 (ja) * 2005-07-05 2010-09-2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534884B2 (ja) 2005-07-13 2010-09-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141509A (ja) * 2005-11-15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7305454A (ja) * 2006-05-12 2007-11-22 Yazaki Corp コネクタ
US7232339B1 (en) * 2006-05-19 2007-06-19 Molex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JP2008041315A (ja) * 2006-08-02 2008-02-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2008293722A (ja) * 2007-05-23 200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17112A (ja) * 2007-11-05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20100317212A1 (en) * 2009-06-15 2010-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nd cap assembly for a light tub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272A (ko) * 2018-01-29 2019-08-0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88388B2 (en) 2013-03-05
CN102195213B (zh) 2014-12-17
US20110212654A1 (en) 2011-09-01
EP2363922A1 (en) 2011-09-07
CN102195213A (zh) 2011-09-21
EP2363922B1 (en) 2015-11-11
JP2011181332A (ja) 2011-09-15
JP5396310B2 (ja)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9187A (ko) 커넥터
KR10105044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JP5637023B2 (ja) ダミー栓
US9099804B2 (en) Connector
US7572142B2 (en) Connector
JP5682476B2 (ja) コネクタ
JP5571976B2 (ja) コネクタ
KR100958899B1 (ko) 커넥터
JP5440453B2 (ja) コネクタ
EP2325950B1 (en) A connector
WO2019026562A1 (ja) コネクタ
JP5233957B2 (ja) コネクタ
JP2011253717A (ja) コネクタ
JP4636072B2 (ja) コネクタ
JP5445370B2 (ja) コネクタ
WO2022049946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66608A (ja) コネクタ
JP5691900B2 (ja) 中継コネクタ
JP2023068317A (ja) コネクタ
JP5573267B2 (ja) コネクタ
JP2020173925A (ja) コネクタ
JP2009123365A (ja) コネクタ
JP201716828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