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89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899B1
KR100958899B1 KR1020070129441A KR20070129441A KR100958899B1 KR 100958899 B1 KR100958899 B1 KR 100958899B1 KR 1020070129441 A KR1020070129441 A KR 1020070129441A KR 20070129441 A KR20070129441 A KR 20070129441A KR 100958899 B1 KR100958899 B1 KR 10095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tabs
movable plate
wall por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675A (ko
Inventor
다카히로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 커넥터에 의한 탭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가동 플레이트(40)는 벽부(42)가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벽부(42)는 복수 개의 탭(31A, 31B, 31C) 중 일부 탭(31C)만을 둘러싸기 때문에, 벽부는 리셉터클(12)의 중심 근처에 배치되고 리셉터클(1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대신 리셉터클(12)의 내측을 가로지른다. 따라서 비스듬한 자세로 리셉터클(12) 속으로 암형(female) 커넥터(50)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 암형 커넥터(50)는 벽부(42)와의 간섭에 의해 리셉터클(12) 속으로 깊숙이 삽입될 수 없으며, 암형 커넥터(50)에 의한 탭(31A, 31B, 31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1-067337호에는 수형(male) 하우징의 리셉터클에 마련된 가동 플레이트가 레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서 가동 플레이트는 리셉터클 속으로 돌출하는 수형 단자 피팅(male terminal fitting)의 탭이 통과하게 될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와, 이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직립한 벽부와의 일체형 조립체이며, 상기 벽부는 리셉터클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한다.
전술한 커넥터에 있어서, 만약 리셉터클 속으로 끼워질 상대 커넥터가 비스듬한 자세로 리셉터클 속으로 삽입될 경우, 삽입 방향에 대해 전방 단부에서 배치된 상대 커넥터의 코너 부분은 탭과 접촉하여 그 탭을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 커넥터에 의한 탭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청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리셉터클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탭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수형 단자 피팅과,
가동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탭을 정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플레이트로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리셉터클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와, 가동 부재가 이동될 때의 상기 리셉터클의 배면에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상기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탭이 관통하게 될 주요 본체와, 상기 주요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탭들 중 일부 탭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벽부와의 일체형 조립체이다.
주요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벽부가 복수 개의 탭 중 단지 일부를 적어도 부분 적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벽부는 리셉터클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대신에, 리셉터클의 내부에 제공되거나, 그 안쪽을 가로지를 수 있거나 또는 리셉터클에 가까운 위치 혹은 그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스듬한 자세로 리셉터클 속으로 상대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시도가 있더라도, 상기 상대 커넥터는 벽부와의 간섭에 의해 리셉터클 속으로 깊숙이 삽입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상대 커넥터에 의한 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의 연결을 행하거나 보조하기 위한 캠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및/또는 가동 플레이트를 변위시키기 위해 하우징 상에 혹은 하우징 내에 마련된 가동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대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끼우지 않고, 가동 플레이트는 가동 부재에 의해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벽부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는 탭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의 간섭에 의해 초래되는 탭의 손실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속으로 끼워질 상대 커넥터에는 벽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레이트는 상대 커넥터를 리셉터클 속으로 끼우자마자 가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리셉터클의 배면에 있는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홈부의 깊이는 벽부가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움직일 수 없는 구조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에 따르면, 홈부의 형상에 의해 초래되는 상대 커넥터의 강도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 터는,
상대 커넥터가 끼워질 수 있는 전방 돌출형 리셉터클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리셉터클에 의해 둘러싸인 탭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수형 단자 피팅과,
하우징 상에 제공된 레버와,
관통하는 탭을 정렬하기 위한 가동 플레이트로, 리셉터클 내에서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와 가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리셉터클의 배면에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탭이 관통하게 될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와, 상기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복수 개의 탭 중 일부 탭만을 둘러싸는 벽부와의 일체형 조립체이다.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벽부가 복수 개의 탭 중 단지 일부를 둘러싸기 때문에, 벽부는 리셉터클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대신에, 리셉터클의 안쪽을 가로지르거나 혹은 리셉터클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스듬한 자세로 리셉터클 속으로 상대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시도가 있더라도, 상기 상대 커넥터는 벽부와의 간섭에 의해 리셉터클 속으로 깊숙이 삽입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상대 커넥터에 의한 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끼우지 않고서도, 가동 플레이트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에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 벽부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는 탭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의 간섭에 의해 초래되는 탭의 손실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속으로 끼워질 상대 커넥터에는 벽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레이트는 상대 커넥터를 리셉터클 속으로 끼우자마자 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셉터클의 배면에 있는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홈부의 깊이는 벽부가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움직일 수 없는 구조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에 따르면, 홈부의 형상에 의해 초래되는 상대 커넥터의 강도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주요 본체는 리셉터클의 개구부 면적보다 더 작다.
더욱 양호하게는, 상기 주요 본체는 그것을 관통하게 될 복수 개의 탭 중 몇 개를 구비한다.
더욱 더 양호하게는, 상기 벽부는 주요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장 양호하게는,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는 리셉터클의 개구부 면적보다 더 작고 그것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탭들 중 몇 개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는 리셉터클의 개구부 면적보다 더 작기 때문에, 높은 굴곡 강도를 지니며 아무리 얇더라도 변형되기 어렵다.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를 얇게 만듦으로써,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의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리셉터클의 개구부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에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된다.
더욱 양호하게는, 리셉터클의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리셉터클의 개구부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 플레이트는 리셉터클의 개구부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에 실질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리셉터클에서 벽부에 의해 구분된 공간의 폭 변화는 더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상대 커넥터에 의한 탭의 손상은 극히 큰 폭을 갖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더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더욱 양호하게는, 상기 벽부는 리셉터클의 내측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더욱 더 양호하게는, 상기 벽부는 탭의 돌출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더욱 양호하게는, 상기 벽부에는 1개 이상의 컷아웃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지어 벽부가 굴절 및 변형되더라도 탭, 양호하게는 벽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탭 이외의 다른 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컷아웃 속으로 들어 갈 수 있다.
가장 양호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탭은 적어도 두 가지 타입의 탭을 포함하 며, 이들 탬들 중 작은 타입의 탭은 가동 플레이트에 의해 위치 설정된다.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아래의 양호한 실시예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비록 실시예들은 따로따로 설명되어 있지만, 그것의 단일 특징은 추가의 실시예들에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가동 플레이트는 벽부가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벽부는 복수 개의 탭 중 일부 탭만을 둘러싸기 때문에, 벽부는 리셉터클의 중심 근처에 배치되고 리셉터클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대신 리셉터클의 내측을 가로지른다. 따라서 비스듬한 자세로 리셉터클 속으로 암형 커넥터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 암형 커넥터는 벽부와의 간섭에 의해 리셉터클 속으로 깊숙이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에 의한 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수형 커넥터(10)(양호하게는 커넥터로서)에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레버(20) 등의 가동 부재와, 1개 이상, 양호하게는 복수 개의 수형 단자 피팅(30A, 30B, 30C) 및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가동 플레이트(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수형 커넥터(10)를 암형 커넥터(50)(양호하게는 상대 커넥터로서)에 연결하기 위해 혹은 그 것의 연결을 보조하기 위해 캠 작동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로서 수직의 긴 블록의 형태로 되어 있고,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1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2)의 개구부는 전체로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구비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측방향(상측 및/또는 하측)의 짧은 측면(들)의 1개 이상의 중간 부분(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간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채택되며, 이로 인해 수평으로 긴 직사각형 섹션을 실질적으로 양호하게 형성한다. 리셉터클(12)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외측에서, 실질적으로 반대편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플레이트에는 리셉터클(12)의 전방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슬릿의 형태로 된 1개 이상의 탈출 홈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20) 등의 가동 부재는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11)의 외측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표면(들)을 따라 연장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된 1개 이상, 양호하게는 한 쌍의 암 부분(21)과, 그것의 말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양호하게는 양자 암 부분(21)의 말단부(상단부)를 연결 혹은 브릿지시키는 굴곡된 작동부(22)의 일체형 조립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1개 이상의 캠 홈부(23)는 암 부분(들)(21)의 내측면(들)(하우징(11)에 면하는 표면(들))에 형성되어 있으며, 암 부분(들)(21)에 형성된 1개 이상의 베어링 구멍은 하우징(11)의 외측면 상에 1개 이상의 대응하는 지지 샤프트(14)에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11) 상에 지지된 상기 레버(20)는 캠 홈부(들)(23)의 입구(들)가 실질적으로 탈출 홈부(들)(13)에 면하게 되는 초기 위치(IP)(도 3 참조)와, 작동부(22)가 후방으로 변위하게 되는 연결 위치(CP)(도 2 참조) 사이에서 변위 가능(양호하게는 회전 혹은 피벗 가능)하다.
상이한 타입, 예컨대 세 가지 타입의 수형 단자 피팅 즉,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지닌 제1 내지 제3 수형 단자 피팅(30A, 30B, 30C)은 삽입측으로부터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에 의해 양호하게는 하우징(11) 내에 유지된다. 하나 이상(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좁고 긴)의 탭(31A, 31B, 31C)은 각각의 수형 단자 피팅(30A, 30B, 30C)의 전방 단부에 혹은 그 근처에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며, 리셉터클(1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탭(31A, 31B, 31C)은 리셉터클(12) 내에서 수직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양호하게는 최대 크기를 갖는 제1 탭(31A)은 최외측(최상측 및/또는 바닥) 위치에 배열되며, 양호하게는 최소 크기를 갖는 제3 탭(31C)은 중간 위치(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중간 위치, 정확히 말하자면, 수직 중심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약간 변위된 위치)에 배열된다. 양호하게는 중간 크기를 갖는 제2 탭(31B)은 상기 두 가지 타입의 탭(31A, 31C)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탭(31A, 31B)의 돌출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제3 탭(31C)의 돌출 거리는 이보다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플레이트(40)는, 탭(31A, 31B, 31C)의 돌출 방향(PD)(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된 플레이트 형태의 주요 본체(41)와, 이 주요 본체(41)와 일체로 형성된 벽부(42)를 포함한다. 벽부(42)는 주요 본체(41)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일체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하여 직사각형 튜브를 형성한다. 상기 가동 플레이트(40)(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의 수직 방향의 치수는 리셉터클(12)의 개구부의 것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그것의 횡방향 치수는 리셉터클(12)의 개구부의 횡방향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혹은 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가동 플레이트(40)(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는 리셉터클(12)의 개구부보다 더 작다. 더욱이, 가동 플레이트(40)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리셉터클(12)의 중심보다 약간 (예컨대, 더 낮게) 변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가장 작은 복수 개의 제3 탭(31C)들의 배열된 영역에 상당하며,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탭(31A, 31B)은 가동 플레이트(40)의 바깥쪽(예컨대, 위 및/또는 아래)의 영역에 배열된다.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에는 실질적으로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1개 이상, 양호하게는 복수 개의 위치 설정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3 탭(31C) 전부는 개개의 위치 설정 구멍(43)을 통과한다.
벽부(4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측벽(양호하게는, 상측 벽(44) 및/또는 하측 벽(45))은 탭(31A, 31B, 31C)의 돌출 방향(PD)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의 평탄한) 플레이트이다. 이러한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12)의 내측 공간을 2개 이상(예컨대, 3개)의 공간(예컨대, 가동 플레이트(40)의 벽부(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 러싸인 공간, 가동 플레이트(40) 위의 공간 및/또는 가동 플레이트(40) 아래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이러한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에는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의 후방면으로부터 탭(31A, 31B, 31C)과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1개 이상, 양호하게는 복수 개의 컷아웃(46)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벽(44)의 컷아웃(46)은 상측 벽(44)에 위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탭(31B)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슬릿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하측 벽(45)의 컷아웃(46)은 하측 벽(45)에 아래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탭(31B)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슬릿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컷아웃(46)의 횡방향 폭은 제2 탭(31B)의 횡방향 치수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및 후방에 대해, 컷아웃(46)의 전방 단부들은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탭(31B)의 전방 단부들에 비해 약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컷아웃(46)은 (양호하게는 양자의)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을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관통한다.
적어도 1개의 캠 종동부(47)는 벽부(42)의 (양호하게는 각각의) 측벽(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종동부(47)는 정면이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48)를 구비하며, 암형 커넥터(50)(양호하게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대응하는 캠 핀(도시 생략)은 이러한 리세스(4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1개 이상, 양호하게는 한 쌍의 캠 종동부(47)는 리셉터클(12)의 탈출 홈부(들)(13)를 통해 레버(20)의 캠 홈부(들)(23) 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혹은 삽입되어 있고, 가동 플레이트(40)는 캠 종동부(들)(47) 및 캠 홈부(들)(23)의 맞물림에 의해 야기된 캠 작용에 의한 가동 부재의 작동(양호하게는 레버(20)의 회전 혹은 피벗 운동)에 따라 전방 및 후방(혹은 실질적으로 돌출 방향(PD)을 따라)으로 이동 혹은 변위될 수 있거나, 또는 가동 플레이트(30)의 움직임은 상기 캠 작동에 의해 보조된다. 특히, 레버(20)가 초기 위치(IP)에 있을 때, 가동 플레이트(40)는 리셉터클(12)의 개구부(전방 단부)에 접근한 전진 위치에 배치된다. 레버(20)가 연결 위치(CP)를 향해 회전함에 따라, 가동 플레이트(40)는 리셉터클(12)의 배면을 향해 이동한다. 레버(20)가 연결 위치(CP)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가동 플레이트(40)는 후퇴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위치 설정 구멍(43)은 제3 탭(31C)의 선단부(혹은 제3 탭(31C)의 전방 부분)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의 후방면은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있다. 다른 한편, 가동 플레이트(40)가 후퇴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위치 설정 구멍(43)은 제3 탭(31C)의 기단부(혹은 제3 탭(31C)의 후방 부분)와 맞물리며,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가깝게,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접촉 혹은 근접하게 배치된다.
암형 커넥터(50)는 실질적으로 전체로서 수직 방향으로 긴 블록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이한 크기 및/또는 수형 단자 피팅(30A, 30B, 30C)과 일치하는 형상을 바람직하게 갖는 두 가지 이상(예컨대, 세 가지)의 타입의 암형 단자 피팅(51A, 51B, 51C)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부에 수용된다. 암형 커넥터(50)에는 암형 커넥터(50)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1개 이상, 양호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상측 및/또는 하측) 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들)(52)는 가동 플레이트(40)의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암형 커넥터(50)의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좌측 및/또는 우측면)들 사이를 교차하는 1개 이상의 슬릿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커넥터(50)는 하나 이상의 홈부(52)에 의해(양호하게는 이러한 쌍의 상측 및 하측 홈부(52)에 의해) 2개 이상의 단자 유지부(53), 양호하게는 상측, 중간 혹은 중앙, 하측 단자 유지부(53)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자 유지부(53)는 그 후방 단부에 혹은 그 근처에서 연결부(54)에 의해 연결된다. 공지된 형상을 지닌 1개 이상, 양호하게는 한 쌍의 캠 핀(도시 생략)은 암형 커넥터(50)의 외측(좌측 및/또는 우측) 표면(들)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암형 커넥터(50)와 수형 커넥터(10)가 연결되면, 작동 부재(레버(20))가 초기 위치(IP)에 혹은 그 근처에 배치된 상태로 그리고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혹은 그 근처에 배치된 상태로 캠 핀(들)이 탈출 홈부(들)(13) 내에서 움직이는 동안 암형 커넥터(50)는 리셉터클(12) 속으로 살짝 끼워지고, 그 다음 캠 핀(들)은 홈부(들)(23)의 입구(들)에 혹은 그 근처에 준비 상태로 대기 중인 캠 종동부(들)(47)의 리세스(들)(48) 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그 다음, 캠 핀(들)은 캠 종동부(들)(47)와 합체되어 캠 홈부(들)(23)와 맞물리게 된다. 더욱이, 암형 커넥터(50)에서, 측방향 (상측 및 하측) 홈부(52)들 사이의 단자 유지부(53)는 가동 플레이트(40)의 벽부(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 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고, 가동 플레이트(40)의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은 암형 커넥터(50)의 측방향 (상측 및 하측) 홈부(52) 속으로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된다. 가동 부재가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 위치(CP)를 향해 혹은 그 위치로 변위(예컨대, 레버(20)가 회전하거나 피벗)될 경우, 가동 플레이트(40)와 암형 커넥터(50)는 서로 일체로 되고 캠 핀(들), 캠 종동부(들)(47) 및 캠 홈부(들)(23)의 맞물림에 의해 야기된 캠 작용에 의해 리셉터클(12)의 배면을 향해 당겨지고, 그 결과 2개의 커넥터는 적절하게 연결되거나 이들의 연결에 도움이 된다. (양호하게는 크기가 최소인) 제3 탭(31C)이 이러한 연결 작동 동안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에 의해 지정된 배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각각의 제3 탭(31C)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형 커넥터(50)로 들어가고, (양호하게는 크기가 최소인) 제3 암형 단자 피팅(51C)과 신뢰성 있게 연결된다.
2개의 커넥터(10, 50)가 분리되면, 가동 플레이트(40)와 암형 커넥터(50)는 서로 일체로 되고, 가동 부재가 연결 위치(CP)로부터 초기 위치(IP)를 향해 변위(예컨대, 레버(20)가 회전하거나 피벗)될 경우 캠 작용에 의해 리셉터클(12)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암형 커넥터(50)를 그 후 수형 커넥터(10)로부터 이격되도록 당길 경우, 캠 핀(들)은 캠 종동부(들)(47)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고, 암형 커넥터(50)는 리셉터클(12)로부터 빠지거나 뽑힐 수 있다. 가동 부재(양호하게는 레버(20))는 암형 커넥터(50)가 떨어진 상태로 초기 위치(IP)에 위치 설정 혹은 유지되기 때문에, 가동 플레이트(40)는 전진 위치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된다.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가동 플레이트(40)의 벽부(4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횡축을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암형 커넥터(50)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 암형 커넥터(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벽(44, 45)과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있거나 그렇게 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깊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혹은 그 위치 근처에 있고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가 제3 탭(31C)의 전방 부분(양호하게는 전방 단부)과 맞물리기 때문에, 벽부(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로부터 제3 탭(31C)의 돌출 거리는 짧게 되며, 벽부(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높이(상측 및 하측 벽(44, 45) 사이의 수직 치수)는 벽부(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깊이(전방 및 후방으로 벽부(42)의 전방 단부에서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까지의 치수)의 2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50)의 삽입 방향으로 선단부에서 비스듬한 자세로 있는 암형 커넥터(50)의 코너 부분은 제3 탭(31C)까지 이르지 않는다.
암형 커넥터(50)를 삽입시키기 위한 미는 힘이 강할 경우, 각각의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은 탄력 있게 만곡 및 변형되어 외측(상향 및/또는 하향)을 부풀어질 가능성이 있다(도 1 참조). 심지어 만곡 및 변형될 경우, 제2 탭(31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컷아웃(46)로 들어가고,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은 제2 탭(31B)을 간섭하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에 제2 탭(31)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1개 이상의 컷아웃(46)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동 플레이트(40) 위 또는 아래에서 비스듬한 자세로 상기 공간 속으로 암형 커넥터(50)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 암형 커넥터(50)의 삽입 가능한 양은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의 존재로 인해 제한되며, 따라서 암형 커넥터(50)의 삽입 방향으로 선단부에 있는 암형 커넥터(50)의 코너 부분은 제1 및 제2 탭(31A, 31B)을 간섭하게 될 가능성이 없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벽부(42)는 제1 및 제2 탭(31A, 31B)을 둘러싸지 않으면서 상기 복수 개의 탭(31A, 31B, 31C) 중 단지 제3 탭(31C)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그 내측을 가로지르거나 또는 리셉터클(1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대신 리셉터클(12)의 중심에 가까이 배치됨으로써 바람직하게 리셉터클(12)의 내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비스듬한 자세로 리셉터클(12) 속으로 암형 커넥터(50)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 암형 커넥터(50)는 벽부(42)와의 간섭에 의해 리셉터클(12) 속으로 깊숙이 삽입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암형 커넥터(50)에 의한 탭(31A, 31B, 31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형 커넥터(50)가 리셉터클(12) 내에 끼워지지 않는 한, 가동 플레이트(40)는 가동 부재(양호하게는 레버(20))의 작동에 의해 리셉터클(12)의 개구부에 가까운 전진 위치에 혹은 그 근처에 유지 혹은 배치 혹은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벽부(42)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는 탭(31A, 31B, 31C)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암형 커넥터(50)의 간섭에 의해 야기된 탭(31A, 31B, 31C)의 손상을 신뢰성 있게 방지 또는 줄일 수 있다.
암형 커넥터(50)에는 벽부(42)(상측 및 하측 벽(44, 45))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레이트(40)는, 암형 커넥터(50)를 리셉터클(12) 속으로 끼우자마자 가동 부재(양호하게는 레버(20))의 작동에 의해 리셉터클(12)의 배면을 향한 후퇴 위치를 향해 혹은 그 위치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홈부(52)의 깊이는 벽부가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움직일 수 없는 구조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홈부(52)의 형상에 의해 초래되는 암형 커넥터(50)의 강도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커넥터의 소형화가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소형화에 따라,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탭(31A, 31B, 31C)의 돌출 거리는 더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로부터의 제3 탭(31c)의 최대 돌출 거리 즉, 리셉터클(12) 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 암형 커넥터(50)로의 제3 탭(31C)의 삽입 폭도 또한 더 짧아지게 된다. 이것은 암형 커넥터(50)에서 제3 암형 단자 피팅(51C)과 제3 탭(31C)의 접촉 폭이 더 짧아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의 두께는 줄어들고, 그 대응 수단으로서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로부터 제3 탭(31C)의 최대 돌출 거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가 얇게 될 경우, 그것의 강도는 감소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는 더 변형되기 쉽게 된다. 플레이트형 의 주요 본체(41)가 변형될 경우 벽부(42)는 변형하기 때문에, 벽부(42)와 리셉터클(12) 사이에 강제 접촉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2)의 개구부 영역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굴곡 강도는 더 높아지고,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는 비록 얇더라도 변형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41)를 얇게 만듦으로써, 가동 플레이트(40)의 소형화와 함께 수형 커넥터(10)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가동 플레이트(40)는 리셉터클(12)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수직 방향)으로 중간 위치(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에 배열되기 때문에, 리셉터클(12)에서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에 의해 구분된 2개 이상(예컨대, 3개)의 공간의 폭 변화는 더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암형 커넥터(50)에 의한 탭(31A, 31B, 31C)의 손상은 극히 큰 폭(수직 치수)을 갖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더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리셉터클(12)에서, 탭(31A, 31B, 31C)의 돌출 방향(PD)과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부(42)는 복수 개의 탭(31A, 31B, 31C)의 정렬된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부(42)의 상측 및 하측 벽(44, 45)에는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에 인접한 제2 탭(31B)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1개 이상의 컷아웃(4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이 제2 탭(31B)으로 도달하도록 그렇게 굴절 및 변형되더라도, 제2 탭(31B)은 컷아웃(46)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탭(31B) 상에는 측벽(44, 45)(상측 벽 및/또는 하측 벽)으로부터의 압박력이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벽부(42)로부터의 압박력에 의해 야기된 제2 탭(31B)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가동 플레이트(40)는 암형 커넥터(50)가 리셉터클(12) 내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진 위치에 혹은 그 위치 근처에 있고 또 암형 커넥터(50)가 끼워질 때 상기 가동 플레이트(40)는 후퇴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에만 비스듬한 자세로 암형 커넥터(50)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컷아웃(46)의 형성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서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단지 제2 탭(31B)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범위로 제한된다. 제2 탭(31B)의 돌출 방향으로 제2 탭(31B)과 벽부(42)(상측 및 하측 벽(44, 45))의 대응하는 영역은 가동 플레이트(40)가 후퇴 위치에 혹은 그 위치 근처에 있을 때보다 가동 플레이트(40)가 전진 위치에 혹은 그 위치 근처에 있을 때 더 짧기 때문에, 컷 아웃(46)은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최소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컷아웃(46)의 형성에 의해 야기된 벽부(42)의 강도 감소는 억제된다.
복수 개의 제2 탭(31B)에 대응하는 광폭의 컷아웃을 형성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컷아웃의 개방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벽부(42)의 강도는 감소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관점에서, 컷아웃(46)이 슬릿 형상이기 때문에 벽부(42)의 강도 감소는 필요한 최소 레벨까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에 의한 탭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플레이트(40) 는 벽부(42)가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형) 주요 본체(41)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벽부(42)는 복수 개의 탭(31A, 31B, 31C) 중 단지 제3 탭(31C)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벽부는 리셉터클(1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대신에, 리셉터클(12)의 중간 위치(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근처)에 배치되고 리셉터클(12)의 안쪽에서 횡단 혹은 연장한다. 따라서 비스듬한 자세로 리셉터클(12) 속으로 암형 커넥터(50)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시도가 있더라도, 암형 커넥터(50)는 벽부(42)와의 간섭에 의해 리셉터클(12) 속으로 깊숙이 삽입될 수 없고, 암형 커넥터(50)에 의한 탭(31A, 31B, 31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아래의 실시예들도 또한 특허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의해 포함된다.
(1)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는 리셉터클의 개구부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복수 개의 탭 모두가 관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벽부는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대신 플레이트형의 주요 본체의 중심 근처의 위치에서 돌출한다.
(2) 복수 개의 가동 플레이트는 하나의 리셉터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에는 복수 개의 캠 기능을 하는 부분(예컨대, 캠 홈)이 마련될 수 있다.
(3) 가동 플레이트는 리셉터클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의 단부를 향해 상당히 변위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4) 하나의 리셉터클에 수용될 다수의 타입의 탭들은 3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2개, 4개 이상이라도 좋다.
(5) 컷아웃은 슬릿에만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탭과 일치하도록 폭 넓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6) 컷아웃은 벽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 까지 관통하는 관통공에 한정되지 않고 벽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리세스일 수 있다.
(7) 벽부는 컷아웃 없이 형성될 수 있다.
(8)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동 부재를 피벗 혹은 회전 가능한 레버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직선의 경로 혹은 다른 임의의 통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더와 같이 캠 작동을 나타내는 임의의 종류의 가동 부재를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9) 단지 한 가지 타입의 단자 피팅 혹은 2개, 4개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단자 피팅을 채택하는 경우에도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가동 플레이트가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가동 플레이트가 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암형 커넥터가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 속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동 플레이트가 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가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가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가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가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가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형 커넥터 11 : 하우징
12 : 리셉터클 20 : 레버
30A, 30B, 30C : 수형 단자 피팅 31A, 31B, 31C : 탭
40 : 가동 플레이트 41 : 플레이트형 주요 본체
42 : 벽부
50 : 암형 커넥터(상대 커넥터) 52 : 홈부

Claims (11)

  1. 커넥터(10)로서,
    상대 커넥터(5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리셉터클(12)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과;
    상기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리셉터클(1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탭들(31A, 31B, 31C)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수형(male) 단자 피팅(30)과;
    가동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탭(31C)을 정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플레이트(40)로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40)는, 상기 리셉터클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12)의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와, 가동 부재(20)가 이동될 때의 상기 리셉터클(12)의 배면에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상기 가동 플레이트(40)
    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40)는, 탭(31C)이 관통하게 될 주요 본체(41)와, 상기 주요 본체(41)와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탭들(31A, 31B, 31C) 중 일부 탭(31C)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벽부(42)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50)와 상기 커넥터(10)의 연결을 행하거나 보조하기 위한 캠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및/또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40)를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된 가동 부재(20)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41)는 상기 리셉터클(12)의 개구부 면적보다 더 작은 것인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41)는 상기 복수 개의 탭들(31A, 31B, 31C) 중 일부 탭(31C)만을 관통시키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42)는 상기 주요 본체(41)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12)의 개구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40)는 상기 리셉터클(12)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42)는 상기 리셉터클의 내측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인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42)는 상기 탭들(31A, 31B, 31C)의 돌출 방향(PD)과 평행인 것인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42)에는 1개 이상의 컷아웃(46)이 형성되어, 상기 벽부(42)가 굴절 및 변형되어도, 상기 벽부(4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상기 탭(31C) 이외의 다른 탭(31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컷아웃(46)에 들어 갈 수 있는 것인 커넥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탭들(31A, 31B, 31C)은 적어도 두 가지 타입의 탭들을 포함하며, 이들 탭들 중 보다 작은 타입의 탭(31C)은 상기 가동 플레이트(40)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인 커넥터.
KR1020070129441A 2006-12-15 2007-12-12 커넥터 KR100958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7800A JP4752750B2 (ja) 2006-12-15 2006-12-15 コネクタ
JPJP-P-2006-00337800 2006-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675A KR20080055675A (ko) 2008-06-19
KR100958899B1 true KR100958899B1 (ko) 2010-05-20

Family

ID=3947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441A KR100958899B1 (ko) 2006-12-15 2007-12-1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58832B2 (ko)
JP (1) JP4752750B2 (ko)
KR (1) KR100958899B1 (ko)
CN (1) CN101207250B (ko)
DE (1) DE10200705968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3739B2 (ja) * 2008-04-03 2012-10-10 矢崎総業株式会社 Lifコネクタ
DE102009056184B4 (de) * 2008-12-22 2012-10-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Verbinder
JP4908621B1 (ja) * 2010-10-15 2012-04-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9711901B2 (en) 2013-09-18 2017-07-18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polarization member
US9455521B2 (en) * 2014-12-03 2016-09-27 Hyundai Motor Company Lever type connector
JP6213583B2 (ja) * 2016-01-27 2017-10-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80272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32406B2 (ja) * 2019-06-25 2023-03-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744A (ja) 2001-05-07 2002-11-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178838A (ja) 2001-12-07 2003-06-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6253074A (ja) 2005-03-14 2006-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0636B2 (ja) * 1996-02-13 2001-10-22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側コネクタ
JP3237580B2 (ja) 1997-08-18 2001-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2164115A (ja) * 2000-11-28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601474B2 (ja) * 2001-05-29 2004-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04830B2 (ja) * 2002-03-25 2006-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3317870A (ja) * 2002-04-23 2003-11-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744A (ja) 2001-05-07 2002-11-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178838A (ja) 2001-12-07 2003-06-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6253074A (ja) 2005-03-14 2006-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7250A (zh) 2008-06-25
CN101207250B (zh) 2011-02-23
KR20080055675A (ko) 2008-06-19
DE102007059680A1 (de) 2008-07-10
JP4752750B2 (ja) 2011-08-17
DE102007059680B4 (de) 2011-06-22
US7458832B2 (en) 2008-12-02
JP2008152988A (ja) 2008-07-03
US20080146070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899B1 (ko) 커넥터
US6692274B2 (en) Connector provided with a moving plate
US6644992B2 (en) Lever-type connector
EP2363922B1 (en) Connector
EP1560298B1 (en) A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534793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2369687B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00173539A1 (en) Terminal fitting
KR100579653B1 (ko)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JP2002170618A (ja) コネクタ
US7581969B2 (en) Connector with auxiliary housing having inverted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JP5682476B2 (ja) コネクタ
KR100748573B1 (ko) 커넥터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KR100716512B1 (ko)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EP1689036B1 (en) 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a method of forming a terminal fitting
US8784133B2 (en) Connector
US7695325B2 (en) Connector
JP3864752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4385923B2 (ja) 端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8337255B2 (en) Connector and series of connectors
JP5093823B2 (ja) コネクタ
KR100517170B1 (ko) 카드 커넥터
US20190267740A1 (en) Connector
JP3998442B2 (ja) 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