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512B1 -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512B1
KR100716512B1 KR1020000044996A KR20000044996A KR100716512B1 KR 100716512 B1 KR100716512 B1 KR 100716512B1 KR 1020000044996 A KR1020000044996 A KR 1020000044996A KR 20000044996 A KR20000044996 A KR 20000044996A KR 100716512 B1 KR100716512 B1 KR 10071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flat cable
retainer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200A (ko
Inventor
미우라카즈토
야마네히로시
우치다신지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빠지기가능하게 접속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1)이다. 하우징(4)은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소정 방향(Y)을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2)을 구획한다. 하우징(4)에 상기 소정의 방향(Y)을 대략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리테이너(6)가 접속된다. 금속제의 보강부재(14)가 하우징(4)에 고정된다. 보강부재(14)는 리테이너(2)가 하우징(4)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커넥터의 평면도이며, 슬라이드식 리테이너(이하에서는, 슬라이더라고도 함.)를 빼낸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슬라이더를 꽂은 상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슬라이더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슬라이더, 하우징 및 보강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A의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A의 VI-VI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FPC와 함께 슬라이더를 꽂은 상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접속암이 보강탭에 의해 빠짐방지된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슬라이드홈안에서 접속암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상태에 대응해서 삽입공간안에서 삽입볼록부가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커넥터 2…삽입공간
3…컨택트 4…하우징
5…삽입볼록부 6…슬라이더
본 발명은 FPC(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라고 불리는 플렉시블기판이나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플랫케이블을 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이용되는 슬라이드식 리테이너(이하에서는, 간단히 슬라이더라고도 함)로서, 좌우로 연장하는 주체부로부터 삽입볼록부와 한 쌍의 접속암을 연장시키고, 전체를 합성수지로 형성한 것이 여러가지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6-82783호 공보, 및 특개평 9-28326호 공보 참조.) 상기 삽입볼록부는 컨택트군을 유지하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의 삽입·빠짐공간안에 FPC기판(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보드)과 함께 꽂혀지고, FPC기판을 컨택트군에 누름접촉시킨다. 한편, 한 쌍의 접속암은 삽입볼록부를 좌우로 끼워 주체부의 양끝에서 하우징의 양측면을 각각 따르도록 연장하고 있고, 하우징과 리테이너를 접속시킨다.
상기 리테이너의 접속암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접속암이 가장 많이 빼내진(전방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접속암에 설치된 피결합부가 안내홈안에 설치된 빠짐방지용 스토퍼에 결합하고, 리테이너가 그 이상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접속암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빠짐방지가 합성수지제의 부재끼리의 결합에 의해 행해지므로, 결합이 헐거워지는 경향이 있고, 빠짐방지가 불확실하다라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빠짐방지용 스토퍼의 결합높이를 높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그러한 경우, 커넥터의 조립시에 있어서, 접속암을 안내홈안으로 조립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런 것은 조립할 때에, 접속암을 탄성변형시켜, 접속암의 피결합부에 하우징의 스토퍼를 타넘게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접속암의 변형량이 많으면, 접속암이 소성변형해 버릴 우려가 있기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의 확실한 빠짐방지를 달성할 수 있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플랫케이블의 끝부를 빠짐가능하게 접속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가, 상기 플랫케이블을 소정의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상기 소정의 삽입방향을 대략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되는 리테이너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리테이너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금속제의 부재에 의해 리테이너의 탈락방지를 달성하므로, 탈락방지가 확실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부재는 회로기판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리테이너의 탈락방지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회로기판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보강부재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커넥터에, 통상,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부품점수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삽입공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볼록부와, 하우징의 한 쌍의 슬라이드홈에 각각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되어 하우징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암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볼록부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플랫케이블의 끝부를 컨택트군에 누름접촉시키기 위한 누름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접속암이 슬라이드홈에서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앞쪽(X)으로 개방하는 삽입공간(2)에 횡측으로 나열된 복수개의 컨택트(3)를 유지하는 하우징(4)과, 하우징(4)의 삽입공간(2)에 끼워지고 빠지는 삽입볼록부(5)를 포함하는 슬라이더(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볼록부(5)는 상기 삽입공간(2)에 소정의 삽입방향(뒤쪽(Y)에 상당)을 따라 플랫케이블로서의 FPC(7)(도 7 및 도 9B참조)와 함께 꽂히고, 삽입방향(Y)의 가장 안측위치에서, 도 3B,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누름부로서의 하면(5b)에 의해, FPC(7)를 복수개의 컨택트(3)에 누름접촉시키는 것이다.
슬라이더(6)는 합성수지제의 본체(8)와, 한 쌍의 좌우대칭의 금속제의 접속암(9A, 9B)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접속암(9A, 9B)은 서로 다른 것으로부터 독립되어 있고, 각 접속암(9A, 9B)의 일부는 본체(8)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본체(8)는 좌우로 연장하는 장척의 주체부(10)와, 이 주체부(10)로부터 연장된 상기 삽입볼록부(5)를 구비하고 있고, 삽입볼록부(5)의 윗면(5a)에는 각 컨택트(3)의 포크형상부의 고정편부(11)(도 7참조)에 대응해서 도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3A 및 도 3B참조).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하우징(4)은 삽입공간(2)을 사이에 둔 좌우위치에 앞쪽(X) 및 윗쪽(W)(도 4참조)으로 개방하는 한 쌍의 좌우대칭의 슬라이드홈(13A, 13B)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6)의 각 접속암(9A, 9B)은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앞쪽(X) 및 뒤쪽(Y)(즉 삽입볼록부(5)가 끼워지고 빠지는 방향에 상당)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한 동시에, 대응하는 금속제의 보강탭(14A, 14B)에 의해 슬라이드홈(13A, 13B)으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보강탭(14A, 14B)은 좌우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 접속암(9A, 9B)이 슬라이드홈(13A, 13B)에 수용된 후, 하우징(4)의 윗쪽으로부터 슬라이드홈(13A, 13B)을 가로지르는 양태로 하우징(4)의 소정부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듯이, 각 접속암(9A, 9B)은 록부(19)를 구비하고 있고, 각 록부(19)는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안에 설치된 결합돌출부(25)와 도 2에 나타내듯이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6)를 하우징(4)에 대해서 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커넥터의 단면도인 도 7 및 도 9B를 참조해서, 컨택트(3)는 하우징(4)의 하측판부(42)의 윗면에 형성된 수용홈(43)에 수용되는 탄성편부(44)와, 이 탄성편부(44)의 윗쪽에 배치되고, 탄성편부(44)에서 포크형상을 이룬 상술한 고정편부(1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부(11)와 탄성편부(44)의 후단부끼리는 주체부(45)에 의해 연결되고, 이 주체부(45)는 상기 하측판부(42)에 박히는 걸림돌기(46)를 보유하고 있고, 주체부(45)는 하우징(4)의 고정구멍(47)에 뒤쪽에서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주체부(45)의 후단상부로부터는 대략 L자형상을 이루는 리드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부(48)는 본 커넥터(1)가 실장되는 기판표면에 납땜된다. 도면부호 49는 삽입된 FPC(7)를 눌러서 접압을 확보하는 산형상의 돌기이다. 또, 도 7 및 도 9B에 있어서, 컨택트(3)의 단면의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3A, 분해사시도인 도 4, 도 3A의 V-V선의 단면도인 도 5, 및 도 3A의 VI-VI선의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해서, 슬라이더(6)의 각 접속암(9A, 9B)은 본체(8)의 주체부(10)에 매설되는 매설부(15)와, 주체부(10)로부터 돌출해서 삽입볼록부(5)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부(16)를 구비하고, 판금성형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6)는 슬라이드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매설부(15)는 돌출부(16)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슬라이드방향(X)을 따라 연장하는 제1부분(21)과, 이 제1부분(21)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Z)을 따라 연장하는 제2부분(2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판금성형시에는 전개형상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이루는 평판의 일편부(상기 제2부분(22)이 되는 부분)를 다른 편부(돌출부(16) 및 매설부(15)의 제1부분(21)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매설부(15)가 절곡형상으로 연장해서 설치되어 슬라이드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Z)으로 연장하는 부분(상기 제2부분)을 포함하므로, 접속암(9A, 9B)이 본체(8)의 주체부(10)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돌출부(16)는 삽입볼록부(5)의 측면(5b)에 평행(즉, 하우징(4)측면(4a)에 평행)하고, 돌출부(16)의 선단부(17)에는 갈고랑이모양을 이루도록 해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훅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16)의 선단부(17)의 하면은 선단으로 갈 수록 높아지는 경사면(40)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40)은 도 9A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드홈(13B)의 하측판부(50)를 따르게 함으로써, 접속암(9B(9A))을 경사지게 할 수 있으므로, 도 9B에 나타내듯이, 삽입공간(2)에서 삽입볼록부(5)의 하방으로 구획되는 FPC(7)의 도입공간(41)의 입구를 상대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FPC(7)를 도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각 접속암(9A, 9B)의 돌출부(16)의 선단부(17)근방에는 각각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술한 록부(19)가 서로 안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록부(19)는 삽입볼록부(5)가 복수의 컨택트(3)에 FPC(7)를 누름접촉시킨 위치에서 하우징(4)의 슬라이드홈(13A, 13B)의 결합돌출부(25)에 결합해서 슬라이더(6)를 하우징(4)에 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슬라이더(6)를 가장 많이 빼낸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내듯이 가장 많이 꽂은 상태까지 변위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접속암(9A, 9B)의 돌출부(16)의 각 선단부(17)가 서로의 간격을 넓히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대응하는 결합돌출부(25)를 타넘어서, 도 2에 나타내듯이, 록부(19)가 결합돌출부(25)에 결합한다. 20은 돌출부(16)의 강도향상을 꾀하기 위한 중공의 볼록리브로 이루어진 비드부이다.
각 매설부(15)의 제1부분(21)은 돌출부(16)로부터 연속하는 연직판으로 이루어지고, 제2부분(22)은 대응하는 제1부분(21)의 일부 상부끝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서로 다른 쪽의 매설부(15)측으로 연장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제2부분(22)은 돌기(23)를 보유하고 있고, 이 돌기(23)는 주체부(10)에 형성된 오목부(24)에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돌기(23)를 각 접속암(9A, 9B)의 인서트성형시에 성형금형내에서 접속암(9A, 9B)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인서트성형시에 돌출부(16)가 되는 부분과 돌기(23)가 되는 부분의 양쪽에서 접속암(9A, 9B)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성형시의 위치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위치정밀도가 높은 접속암(9A, 9B)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해서, 슬라이드홈(13B)은 하우징(4)의 측면(4a)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앞쪽(X) 및 위쪽(W)으로 개방되어 있고, 앞쪽에서 대응하는 접속암(9B)을 삽입해서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슬라이드홈(13B)의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26, 27) 중, 측면(4a)에서 먼 측의 측벽(26)은 전방부근처의 위치에 슬라이드홈(13B)에 연이어 통하는 보강탭 압입용 제1압입홈(28)을 상하에 형성하고 있고, 또 후방부근처의 위치에 상기 결합돌출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제1압입홈(28)은 위쪽으로 개방하고 있다. 또 결합돌출부(25)는 단면이 산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하로 연장하고 있다.
한편, 측면(4a)에 가까운 측의 측벽(27)의 상부에는 제1압입홈(2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홈(2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27)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연장하는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보강탭 압입용 제2압입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홈(30)의 대부분은 하우징(4)의 측면(4a)으로 개방하고 있고, 압입홈(30)의 후방부(31)만이 홈의 양 벽면을 구획하고 있다.
보강탭(14B)은 판금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앞쪽에서 보면 주걱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보강탭(14B)은 상기 제1 및 제2압입홈(28, 30)에 각각 압입고정되는 고정부로서의 제1 및 제2피압입부(32, 33)와, 이들 제1 및 제2피압입부(32, 33)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피압입부(33)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35)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제1피압입부(32)의 후단면에는 압입돌기(36)가 형성되고, 제2피압입부(33)의 연장부(35)의 후단면에는 압입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피압입부(33)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하는 다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38)는 프린트회로기판(51)의 도전부상에 납땜되는 것이고, 납땜을 좋게 하기 위해서 빗살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연결부(34)의 후측가장자리부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접속암(9B)의 훅부(18)에 결합함으로써, 접속암(9B)이 슬라이드홈(13B)에서 앞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용 결합부(39)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듯이, 접속암(9B)의 돌출부(16)의 하단가장자리가 슬라이드홈(13B)의 홈바닥이 되는 하측판부(50)를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보강탭(14B)은 접속암(9B)이 슬라이드홈(13B)에 앞쪽에서 수용된 상태로, 보강탭(14B)의 제1 및 제2피압입부(32, 33)를 하우징(4)의 제1 및 제2압입홈(28, 30)에 위쪽에서 압입해서 하우징(4)에 장착하여, 접속암(9B)의 빠짐방지로 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암(9A, 9B)의 훅부(18)를 보강탭(14A, 14B)의 빠짐방지용 결합부(39)에 결합시켜 접속암(9A, 9B)의 빠짐방지를 달성한다. 금속제의 부재에 의해 접속암(9A, 9B)의 빠짐방지를 달성하므로, 빠짐방지가 확실하다. 게다가 빠짐방지를 달성하기 위한 금속제의 부재로서, 기판표면에 실장되는 커넥터에서 통상 설치되고 있는 금속제의 보강탭(14A, 14B)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증가시킬 수 없다.
또, 보강탭(14A, 14B)의 빠짐방지용 결합부(39)를 갖는 연결부(34)를 사이에 둔 양측에서, 한 쌍의 피압입부(32, 33)가 압입에 의해 하우징(4)의 압입홈(28, 30)에 강고하게 고정되므로, 빠짐방지가 보다 확실하다. 또한, 금속부재끼리의 결합에 의해 빠짐방지를 달성하므로, 접속암(9A, 9B)의 빠짐방지가 보다 한층더 확실하다.
접속암(9A, 9B)의 일부를 합성수지제의 본체(8)에 인서트성형하고 있으므로, 접속암(9A, 9B)의 본체(8)에 대한 연결강도가 높다. 또한, 접속암(9A, 9B)을 얇고,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같은 소위 이너록구조의 레이아웃을, 커넥터(1)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달성할 수 있고, 커넥터(1)의 소형화, 저배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홈(13A, 13B)이 하우징(4)의 전방 및 상방으로 개방하고, 압입홈(28, 30)이 하우징(4)의 상방으로 개방하고 있으므로, 커넥터(1)를 조립할 때에, 슬라이더(6)의 접속암(9A, 9B)을 하우징(4)의 슬라이드홈(13A, 13B)안에 전방에서 도입한 후, 보강탭(14A, 14B)을 상방에서 하우징(4)의 압입홈(28, 30)에 압입해서 고정하는 조립작업형태를 실시할 수 있고, 조립성이 좋다. 특히, 상술한 공보와 같이 접속암에 빠짐방지용 스토퍼를 타넘게 할 필요가 없어, 조립시에 접속암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접속암(9A, 9B)의 매설부(16)의 제2부분(22)끼리를 서로 연속시켜, 양 접속암(9A, 9B)을 서로 일체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접속암을 슬라이더의 본체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슬라이드홈이 하우징의 측면으로 개방하는 타입, 즉 이너록이 아닌 타입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FPC(7)의 하면이 하방의 컨택트와 접압을 확보하는 소위 하접점타입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PC(7)의 상면이 상방의 컨택트와 접압을 확보하는 소위 상접점타입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입홈이 하우징의 위쪽으로 개방하고 있고, 보강탭을 하우징의 위쪽에서 압입고정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압입홈이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개방하도록 하고, 보강탭을 하우징의 아래쪽에서 압입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드홈도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개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을 하우징(4)의 삽입공간(2)이 위쪽으로 개방하도록 기판에 대해 서 레이아웃하고, 슬라이더(6)가 위쪽에서 삽입되고 빠지는 소위 종형 커넥터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강탭(14A, 14B)의 피압입부(32, 33)의 어느 한 쪽을 폐지해도 좋고, 기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시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제의 부재에 의해 리테이너의 탈락방지를 달성하므로, 탈락방지가 확실하다.
또한, 보강부재는 회로기판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므로, 리테이너의 탈락방지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고, 회로기판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보강부재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커넥터에, 통상, 설치되는 것이므로, 부품점수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접속암이 슬라이드홈에서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접속암을 금속제로 함으로써, 접속암을 얇고,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접속암을 얇고,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접속암을 하우징측면에 노출시키는 일없이 레이아웃을, 커넥터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위 인서트성형을 하므로, 접속암과 합성수지제의 본체와의 결합이 강고하게 된다.
또한, 각 접속암을 양측에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접속암을 안정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접속암이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 접속암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속암에 외측으로부터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되는 일도 없이 접속암이 고장나기 어렵다.
삭제

Claims (9)

  1.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빼내기가능하게 접속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랫케이블(7)을 소정의 방향(Y)을 따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2)을 구획하고, 또한 대향하는 측벽(26, 27)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13A, 13B)을 구비하는 하우징(4)과,
    하우징(4)에 상기 소정의 방향(Y)을 대략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슬라이드홈(13A, 13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접속암(9A, 9B)을 포함하는 리테이너(6)와,
    하우징(4)의 슬라이드홈(13A, 13B)에 고정가능한 금속제의 보강부재(14)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재(14)는 리테이너(6)가 하우징(4)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4)는 회로기판(51)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6)는 삽입공간(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볼록부(5)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볼록부(5)는 삽입공간(2)에 삽입되는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삽입공간(2)안에 하우징(4)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컨택트(3)에 누름접촉시키기 위한 누름부(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수단은 각 접속암(9A, 9B)에 설치된 훅부(18)에 결합하는 결합부(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4)는 하우징(4)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32, 33)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32, 33)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슬라이드홈(13A, 13B)을 횡단하는 연결부(3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지수단은 상기 연결부(3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각 고정부(32, 33)는 하우징(4)의 대응하는 압입홈(28, 30)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3A, 13B) 및 압입홈(28, 30)은 상기 소정의 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W)으로 개방되며, 또한 슬라이드홈(13A, 13B)은 상기 소정의 방향(Y)의 반대방향(X)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수단은 접속암(9A, 9B)에 설치된 훅부(18)에 결합하는 결합부(39)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4)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결합부(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6)는 상기 삽입볼록부(5)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제의 본체(8)를 가지며,
    상기 접속암(9A, 9B)은 금속제이며, 접속암(9A, 9B)은 본체(8)의 성형시에 본체(8)에 매설되는 매설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KR1020000044996A 1999-08-03 2000-08-03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KR100716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28499A JP4226737B2 (ja) 1999-08-03 1999-08-03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99-220284 1999-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200A KR20010021200A (ko) 2001-03-15
KR100716512B1 true KR100716512B1 (ko) 2007-05-09

Family

ID=1674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996A KR100716512B1 (ko) 1999-08-03 2000-08-03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15603B1 (ko)
EP (1) EP1075047B1 (ko)
JP (1) JP4226737B2 (ko)
KR (1) KR100716512B1 (ko)
CN (1) CN1142617C (ko)
DE (1) DE60025795T2 (ko)
TW (1) TW53109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4498B (en) * 2001-08-02 2006-05-01 Hosiden Corp Plug connector
JP2003123881A (ja) * 2001-10-15 2003-04-25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4273270A (ja) * 2003-03-07 2004-09-30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TWM249292U (en) * 2003-10-31 2004-11-01 P Two Ind Inc Soft circuit board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detaching of movable cap
JP4082512B2 (ja) * 2004-03-31 2008-04-30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垂直嵌合コネクタ
CN2757357Y (zh) * 2004-11-18 2006-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800515Y (zh) * 2005-04-08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631102B2 (ja) * 2010-08-10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平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600523B2 (ja) * 2010-08-27 2014-10-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6084107B2 (ja) * 2013-04-26 2017-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57073B2 (ja) * 2017-04-07 2021-04-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355181B1 (ja) * 2017-08-29 2018-07-11 マフレン株式会社 ベルトクリーナ
DE102018000207A1 (de) * 2018-01-12 2019-07-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WO2020138191A1 (ja) * 2018-12-28 2020-07-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用コネクタ、及び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214A (en) * 1993-07-23 1994-10-11 Molex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4302A (en) * 1960-12-01 1963-04-02 Hughes Aircraft Co Electrical ribbon cable connector
US3149897A (en) * 1961-08-29 1964-09-22 Hans G Martineck Printed cable connector
JPH0682783U (ja) 1993-04-27 1994-11-25 日本バーンデイ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7106028A (ja) 1993-10-12 1995-04-21 Kiyousera Elco Kk Fpcコネクタ装置
US5639260A (en) * 1995-09-26 1997-06-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US5882223A (en) * 1996-02-21 1999-03-16 Japan Aviation D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hich is adapted to connect a flat connection object having a signal pattern and a shield pattern opposite to each other
JPH09283236A (ja) 1996-04-09 1997-10-31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3269029B2 (ja) * 1998-06-16 2002-03-2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214A (en) * 1993-07-23 1994-10-11 Molex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5047B1 (en) 2006-02-01
DE60025795D1 (de) 2006-04-13
CN1291806A (zh) 2001-04-18
JP4226737B2 (ja) 2009-02-18
EP1075047A3 (en) 2003-05-14
KR20010021200A (ko) 2001-03-15
CN1142617C (zh) 2004-03-17
EP1075047A2 (en) 2001-02-07
DE60025795T2 (de) 2006-10-12
TW531097U (en) 2003-05-01
US6315603B1 (en) 2001-11-13
JP2001052786A (ja) 200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4748B (zh) 浮动连接器装置
US4647136A (en) Modular plug and printed circuit connector
KR100716512B1 (ko)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US20050287847A1 (en) Connector in which reliable ground connection is assured
CN110086029B (zh) 连接器
EP1524730A1 (en) Electrical connector
EP1878093A1 (en) Board-to-board connector pair
USRE38089E1 (en) Card connector
JP4231651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CN111247701A (zh) 电连接器
US6634899B2 (en) Card edge connector
US6475025B2 (en)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with sliding member
US20050026494A1 (en) Connector small in size and simple in structure
JP4846431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0679501B1 (ko) 커넥터
EP1467439B1 (en) Electrical connector
EP1204177B1 (en) Board mount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board mounting structure
US594455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ircuits
JP4116503B2 (ja)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
JP3269773B2 (ja)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JP3402435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3998442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816435B2 (ja) コンタクトスペーサ付き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