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170B1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170B1
KR100517170B1 KR10-2003-0065364A KR20030065364A KR100517170B1 KR 100517170 B1 KR100517170 B1 KR 100517170B1 KR 20030065364 A KR20030065364 A KR 20030065364A KR 100517170 B1 KR100517170 B1 KR 10051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s
arm
card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354A (ko
Inventor
나가타타카유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rrect insertion of the card, e.g. end detection switches notifying that the card has been inserted completely and correct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H01R13/6599Dielectric material made conductive, e.g. plastic material coated with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의 변형을 막아 카드 삽입구의 가로폭을 적정하게 정하는 것으로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는, 합성수지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보디(1)의 좌우의 암(3a), (3b)의 상호 간에 판금제의 프레임(5)을 배치 구비한다. 암(3a), (3b)의 최선단부에 내향의 걸림면(33a), (33b)을 형성하고, 그 걸림면(33a), (33b)에, 프레임(5)의 잘라일으켜 형성한 받이편(受片)(55a), (55b)을 마주겹친다. 받이편(55a), (55b)의 대향 간격에 의해서 카드 삽입구의 가로폭 W를 정한다. 프레임(5)에 접어 구부려 형성한 판형상편(52a), (52b)을 암(3a), (3b)의 외향면에 마주겹친다.

Description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
본 발명은, 카드 커넥터, 특히, 합성수지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보디와 그 보디에 장착된 판금제의 프레임에 의해 카드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것이다.
이런 종류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보디가 다극 콘택트를 구비하는 헤드 부분과 그 헤드 부분으로부터 뻗어나온 좌우 한 쌍의 암을 구비하고 있고, 좌우의 암에 의해서 카드의 삽입을 안내하게 되어 있는 것에서는, 좌우의 암이 변형해서 초기의 설계기준 위치로부터 내측 또는 외측에 변위하고 있으면,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손상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카드를 삽입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있다. 특히, 좌우 양쪽의 암이 변형해서 내측으로 변위하고 있으면, 한쪽만의 암의 변위 폭이 작더라도, 슬롯 폭(카드 삽입구의 가로폭)이 너무 좁아 져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손상되고, 심한 경우에는 카드를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황은, 폭협화와 수mm (2~3mm)정도의 두께를 가지는데 불과한 박형의 보디를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경우에는, 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폭을 길게 하는 것에 제약이 있는 것 등에 의해 특히 현저하게 생긴다.
이 상황 아래에서, 본 원 발명자에 의한 조사의 결과, 좌우의 암의 상호 간에 걸친 하판부를 보디에 구비시켜, 그 하판부에 상기 헤드 부분에 가까워질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그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좌우의 입우부(入隅部)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해서 그 입우부의 깨어짐 강도 등을 높인 것 같은 경우에는, 성형 기술상의 문제에 기인해서 좌우의 암이 변형해 초기의 설계기준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변위한다고 하는 상황이 특별히 생기기 쉽다고 하는 것을 밝혀냈다.
한편,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부 유도 암(상기 암에 상당)의 상호간에, 결쳐서 상기 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고 카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판금제의 보강 플레이트를 배치 구비하고, 그 보강 플레이트의 좌우의 양단 가장자리에 접어 구부려 형성한 유지 탭을, 한 쌍의 측부 유도 암의 각각의 긴쪽방향 중간부에 형성한 슬롯(도랑)에 질러넣으므로써 측부 유도 암을 보강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또, 이 특허 문헌 1에는, 보강 플레이트의 선단부에 메인보드상의 정전기 대전의 방지 용의 접지 프린트 회로에 직면되는 설편(舌片, armature)을 구멍뚫어 형성하고, 그 설편의 구멍뚫음자국에 의해서 형성된 직사각형편을, 상기측부 유도 암의 선단 근방 개소에 형성한 도랑에 질러넣은 구조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이 특허 문헌 1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한 쌍의 측부 유도 암과 헤드 부분과에 연결설치된 하판부에 구비되고 있는 입우부의 형상이 직각으로 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좌우의 사이드 암의 긴쪽방향 중간부의 상호 간에 걸친 보강판을 구비하고, 또한, 좌우의 사이드 암과 보강판을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 하고 있음과 동시에, 보강판의 선단가장자리의 윤곽을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한 전자 카드 커넥터에 대한 기재가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2533829호 공보(도 4, 도 9, 도 14)
[특허 문헌 2]
실용신안 등록 제 308661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한 쌍의 측부 유도 암 각각의 긴쪽방향 중간부에 형성한 도랑으로 이루어진 슬롯에, 보강 플레이트의 좌우의 유지 탭을 질러넣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그 플러그 개소와 측부 유도 암의 근원과의 사이에서의 측부 유도 암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고 해도, 카드 삽입구를 형성하는 개소인 플러그 개소 보다도 선단 측 부분에서의 변형을 유효하게 막지 못하고, 측부 유도 암의 두께를 얇게해 폭을 짧게 해서 커넥터 하우징의 박형화나 폭협화를 도모한 경우에는, 측부 유도 암의 변형, 특히 내향의 변형에 기인해 카드 삽입구가 너무 좁아져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손상될 우려가 크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의 유지 탭을 질러넣는 슬롯을 측부 유도 암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측부 유도 암의 폭을 짧게 하는 것에 제약이 있으므로, 커넥터 하우징에 한층 더의 폭협화나 박형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측부 유도 암에 유지 탭 플러그용의 슬롯을 형성하는 것 조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고 있는 것과 같이, 측부 유도 암에 형성한 슬롯에 보강 플레이트의 유지 탭을 질러넣는 것에 의해서 측부 유도 암을 보강한다고 하는 기술에서는 커넥터 하우징의 한층 더 폭협화나 박형화를 촉진하는 것에 곤란이 있다. 또, 이 특허 문헌 1에는, 보강 플레이트의 선단부의 상기 직사각형편을 측부 유도 암의 선단 근방 개소에 형성한 도랑에 질러넣는 것도 기재되어 있고, 이 구조에 의해서 측부 유도 암의 선단부 근방 개소로부터 상기 플러그 개소에 이르는 부분의 변형이 방지 된다고 해도, 측부 유도 암의 최선단부의 변형이 방지되는 것은 아니고, 하물며 측부 유도 암에 상기 직사각형 플러그 용의 도랑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하우징의 한층더 폭협화나 박형화를 촉진하는 것에 곤란이 있다고 하는 상기의 문제가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에 대해, 특허 문헌 2에 기재 되어 있는 기술은, 보강판과 좌우의 사이드 암을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했을 경우에, 보강판이 휨 변형해서 카드 삽입구의 폭 방향 중앙부가 좁아졌다고해도, 그 카드 삽입구에 삽입한 카트에 의해 보강판의 폭 방향 중앙부가 서서히 넓혀지므로써 카드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것에 불과하고, 좌우의 사이드 암이 내향으로 변형해서 카드 삽입구가 너무 좁아지는 수가 있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특허 문헌 1은 오직 단지 보강 플레이트를 사용해 좌우의 측부 유도 암을 보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며, 동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보강판은 오르지 다만 좌우의 사이드 암을 보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데 불과하고, 좌우.의 암의 변형을 설계상의 뒷받침으로서 확실히 막는 것에 의해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나 카드 커넥터의 폭협화·박형화를 도모하기 쉽게 한다고 하는 기술을 제공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좌우 한 쌍의 암에 특허 문헌 1에서 볼수 있는 슬롯을 형성하는 일 없이, 그 들의 암의 변형을 막아 그 들의 암이 초기의 설계기준 위치에 적정하게 위치결정 되게 되는 연구를 강구함으로써, 더 한층의 폭협화나 박형화를 촉진해도 좌우의 암의 최선단부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카드 삽입구의 가로폭이 적정하게 정해져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히, 좌우의 암의 내향의 휨 변형을 막는 것에 의해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저해되거나 카드를 삽입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암을 가지는 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여 카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판금제의 프레임을 활용하는 것으로써, 부품 점수를 증가 시키지 않고 암의 변형에 의한 카드의 삽입 조작성에 대한 저해, 요인을 없앨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좌우의 암의 두께를 얇게해서 폭을 짧게 함에 따라서 폭협화·박형화를 도모해도, 부품 점수를 증가하는 일없이 그들의 암에 충분히 큰 강도를 부여해 둘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에 관한 카드 커넥터는, 다극 콘택트를 구비하는 헤드 부분으로부터 한 쌍의 암이 뻗어나온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진 보디의 상기 암의 상호 간에 걸쳐서, 상기 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고 카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판금제의 프레임이 배치되고 있다. 이 카드 커넥터에서는, 카드 삽입 공간에 삽입한 카드의 전극이 헤드 부분의 다극 콘택트에 접촉해서 양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의 최선단부의 내향의 휨 변형을 저지하는 암지지수단이 상기 프레임에 갖춰지고 있다. 이에 의하면, 프레임의 암지지수단이, 암의 최선단부의 내향의 휨 변형을 저지 하므로, 암의 근원으로부터 최선단부에 이르는 전체길이 부분의 변형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좌우의 암의 최선단부 상호간에서 형성되는 카드 삽입구나 카드 삽입 공간이 지나치게 좁아져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손상되거나 카드를 삽입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고 하는 것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암의 변형에 의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의 저하가 확실히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지지수단이, 상기 암의 최선단부에 구비된 내향의 걸림면에 당접하는 받이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받이편이 상기 프레임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프레임의 받이편이 암의 최선단부에서 그 내향의 걸림면에 접촉 함에 따라서 그 암의 내향 변형을 저지 하므로, 암에 특허 문헌 1에서 볼수있는 슬롯(도랑)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암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짧게 해서 보디의 폭협화·박형 화를 촉진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지지수단이, 한 쌍의 상기 암의 각각의 최선단부에 각별로 구비된 내향의 걸림면에 각별로 당접하는 한 쌍의 받이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들의 받이편이 상기 프레임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암의 내향 변형이 저지되므로, 헤드 부분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암이 뻗어나온 구조의 보디의 폭협화·박형화를 촉진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카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하판부가, 상기 헤드 부분과 한 쌍의 상기 암과에 연설 된 상태에서 상기 보디에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암의 상호 간 개소에서 그 하판부에 상기 헤드 부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구비되고, 그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좌우의 입우부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카드의 삽입이 프레임과 보디의 하판부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개선된다. 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가지는 하판부를 얇게 해서 박형화를 촉진해도, 그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입우부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하판부의 입각 부분이 갈라지기 어렵다고 할 뿐만 아니라,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입우부가 직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 비해 하판부가 좌우의 암의 근원 부분의 변형을 막는 작용을 양호하게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상기 받이편이 상기 카드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카드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나오고, 그 들의 받이편의 내향면의 대향 간격에 의해서 상기 카드 삽입 공간의 삽입구의 가로폭이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이것에 의하면, 상기 카드 삽입 공간의 삽입구의 가로폭이 고정밀도로 정해지므로,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안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상기 암의 외향면에 마주 겹쳐져 그 암을 보강하는 판형상편이 상기 프레임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보디의 헤드 부분으로부터 상기 암의 최선단부에 걸친면판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판혀상편과 상기받이편이, 상기 암의 최선단부의 상기 걸림면형성 개소를 사이에 두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암이 프레임의 판형상편에 의해 보강되고, 또한, 프레임의 받이편과 판형상편이 암을 내외에서 사이에둔 구조가 되므로, 암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짧게 해서 폭협화·박형화를 촉진해도 암에 충분히 큰 강도가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카드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보디 1의 외관 사시도, 도 3및 도 4는 보디 1이 다른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일부 생략하여 표시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와 같이, 보디 1은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체이고, 가로 길이의 헤드 부분 (2)의 좌우 양단 부분으로부터 한 쌍의 암(3a), (3b)가 뻗어나와 있는 동시에, 헤드 부분(2)과 한 쌍의 암(3a), (3b)과에 연설된 하판부(4)가 구비되고, 헤드 부분 (2)에는 가로로 병렬한 소요수의 콘택트로 이루어진 콘택트열(21)이 맞붙어 있다.또, 하판부(4)는, 한 쌍의 암(3a), (3b)의 상호 간 개소에서 헤드 부분(2)에 가까워지는 방향에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41)을 가지고, 그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41)의 좌우의 입우부(42a), (42b)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이와 같이 하판부(4)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41)을 형성했을 경우에, 그 입우부(42a), (42b)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해 두면, 하판부(4)를 얇게 성형해도 입우부(42a), (42b)에 응력집중이일어나기 어려워져서 그 입우부(42a), (42b)에서 하판부(4)가 갈라지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판부(4)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41)을 형성하는 것은, 보디(1)의 성형용 수지 재료를 적게 억제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 외에 도시 하고 있지 않는 배선 기판이나 샤시 등에 이 보디(1)를 맞포개어 탑재하는 경우에 탑재 상태를 안정시키기 쉽다고 하는 이점등이 있다. 좌우의 암(3a), (3b)중, 좌측의 암(3a)에는, 카드 (도시하지 않음)를 적정한 세트위치에서 빠짐방지하는 록 스프링 (12)이나, 카드 이젝트용의 스프링체(13)나, 어떤 종류의 동작을 행하는 캠기구 (14)등이 맞붙어있는 있는데 대해, 우측의 암(3b)에는 카드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카드 검출스위치(15)등이 맞붙어져 있다.
도 1 또는 도 5와 같이, 보디(1)에는 판금제의 프레임(5)이 장착되고 있다.이 프레임(5)은, 보디(1)의 헤드 부분(2)으로부터 암(3a), (3b)의 최선단부(3a'), (3b')에 걸친면판부(51)를 가지고 있고, 이 면판부(51)의 좌우 양단의 각각에 접어 구부려 형성된 전후로 긴 판형상편(52a), (52b)이, 좌우의 암(3a), (3b)의 외향면 (31a), (31b)에 맞겹쳐져 있다. 그리고, 이들 좌우의 판향상 편(52a), (52b)이 좌우의 암(3a), (3b)의 바깥으로 퍼짐 변형을 저지하는 기능과, 그 들의 암(3a), (3b)을 보강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있다. 보디(1)과 프레임(5)이란, 프레임(5)의 판형상편(52a), (52b)의 전후 복수 개소에 구비시킨 걸림구멍(53)이나 걸림클릭 (54)을, 암(3a), (3b)의 대응 개소에 구비시킨 걸림돌기(32)나 층계가 붙은면(도에 나타나지 않았음)에 걸림 시키므로써, 전후 및 상하로 덜컹거림이 없도록 결합되고있다.
또, 프레임(5)의 선단부에는, 면판부(51)의 좌우 2개소를 수직 하향으로 잘라 일으킴으로써 접어 구부려 형성된 클릭형상의 받이편(55a), (55b)이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좌측의 암(3)의 최선단부(3a)에는 내향의 걸림면(33a)이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우측의 암(3)의 최선단부(3a)에도 내향의 걸림면(33b)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의 각 걸림면(33a), (33b)에 도 5와 같이 프레임(5)의 좌우의 받이편(55a), (55b)이 당점한 상태에서 각별로 마주 겹치고, 좌우의 암(3a), (3b)의 최선단부(3a'), (3b')의 각각이 내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5)의 좌우의 받이편(55a), (55b)에 의해서 좌우의 암(3a), (3b)의 최선단부(3a'), (3b')의 내향 변위가 저지되고 있으면, 각각의 암 (3a), (3b)은 그 전체길이 부분이 내향으로 휨변형하지 않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의 받이편(55a)에 외향의 걸어맞춤 편(56)을 뻗어내고, 그 걸어맞춤 편 (56)을 암(3a)에 형성한 도랑부(36)에 질러넣어 있다. 이렇게 해 두면, 프레임(5)의 선단이 보디(1)의 암(3a)의 최선단부에 결합 되므로, 보디(1)과 프레임(5)와의 결합력이 높아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5)의 좌우의 판형상편(52a), (52b)의 각각이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좌우의 암(3a), (3b)의 최선단부의 상기 걸림면형성 개소 a, b(도 3또는 도 4참조)에 이르기까지 뻗어나 있고, 그들의 걸림면형성 개소 a, b를, 판형성편(52a), (52b)과 상기한 각각의 받이편(55a), (55b)에 의해 끼워 넣고 있다. 따라서, 보디(1)를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했을 경우, 성형 기술상의 이유에 의해서 성형 후의 보디(1)의 암(3a), (3b)이 내향으로 휨 변형하고 있었다고 해도, 그들의 암(3a), (3b)의 휨 변형이 판형성편(52a), (52b)과 받이편(55a), (55b)과에 의한 끼워넣음작용에 의해서 적정하게 수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받이편(55a), (55b)이, 보디(1)의 하판부(4)와 프레임(5)의 면판부(51)와의 상호 간 공간에 의해서 형성된 카드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카드 C(도 1 참조)의 두께 방향 T로 뻗어나오고, 그들의 받이편(55a), (55 b)의 내향면의 대향 간격에 의해서 도 5와 같이 카드 삽입 공간의 삽입구의 가로폭 W가 정해져 있다. 또, 좌우의 암(3a), (3b)에는, 좌우의 받이편(55a), (55b)의 내향면의 연장 면위에 위치하는 가이드면(35a), (35b)이 구비되어 있다(도 1 또, 도 3또는 도 4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커넥터에 의하면, 도 1의 화살표 A와 같이 카드 C를 삽입 할 때에는, 좌우의 받이편(55a), (55b)이나 가이드면(35a), (35b)에 의해서 카드 C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 규제되고, 또한, 좌우의 받이편(55a), (55b)에 의해서 삽입구의 가로폭 W가 적정 치수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카드 C를 원 활히 또한 적정한 자세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카드 C를 손꽂이 삽입했을 때에 카드 C를 비집어 트는 작용이 작동했다고 해도, 그 비집어트는 힘이 좌우의 암(3a), (3b)뿐만 아니라, 받이편(55a), (55b)이나 판형성편(52a), (52b)에 의해서 받아낼수있으므로, 암(3a), (3b)의 두께가 얇고 폭이 짧아서 암(3a), (3b)자체가 그다지 큰 강도를 가지지 않는 것이라고 해도, 암(3a), (3b)가 변형 하거나 파손 하거나 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암(3a), (3b)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짧게 함으로서 카드 커넥터의 폭협화·박형화를 촉진해도 암에 충분히 큰 강도가 부여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 문헌 1에서 볼수있는 슬롯을 암에 형성하지 않아도, 암의 변형을 막아 그 들의 암이 초기의 설계기준 위치에 적정하게 위치결정 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암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짧게 하는 것으로써 카드 커넥터의 더 한층의 폭협화나 박형화를 촉진해도, 좌우의 암의 최선단부의 상호 간에 형성되는 카드 삽입구의 가로폭이 적정하게 정해져 카드의 삽입 조작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암을 가지는 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고 카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판금제의 프레임을 활용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증가 시키지 않고서 암의 변형에 의한 카드의 삽입 조작성에 대한 저해 요인을 없앨 수 있다고 하는 탁월한 효과가 주효된다. 또, 카드 커넥터의 폭협화·박형화를 도모해도, 부품 점수를 증가하는 일없이 보디의 암에 충분히 큰 강도를 부여해 둘 수 있기 때문에, 폭협화ㆍ박형화가 촉진된 카드 커넥터에 뛰어난 내구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에 관한 카드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보디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보디의 좌측의 암의 최선단부를 표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보디의 우측의 암의 최선단부를 표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일부 생략해서 표시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보디 2 : 헤드 부분
3a, 3b : 암 3a',3 b' : 암의 최선단부
4 : 하판부 5 : 프레임
21 : 콘택트열(다극 콘택트) 31a, 31b : 암의 외향면
33a, 33b : 걸림면 41 :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42a, 42b : 입우부(入隅部) 51 : 면판부
52a, 52b : 판형상편 55a, 55b : 받이편(암지지수단)
C : 카드 W : 삽입구의 가로폭
a, b : 걸림면형성 개소

Claims (7)

  1. 다극 콘택트를 구비하는 헤드부분으로부터 한 쌍의 암이 뻗어나온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진 보디의 상기 암의 상호 간에 걸쳐서, 상기 보디와 공동으로 작용하여 카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판금제의 프레임이 배치 구비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의 최선단부의 내향의 휨 변형을 저지하는 암지지수단이 상기 프레임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지지수단이, 상기 암의 최선단부에 구비되어 내향의 걸림면에 당접하는 받이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받이편이 상기 프레임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지지수단이, 한 쌍의 상기 암의 각각의 최선단부에 각별로 구비된 내향의 걸림면에 각별로 당접하는 한 쌍의 받이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들의 받이편이 상기 프레임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카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하판부가, 상기 헤드 부분과 한 쌍의 상기 암과에 연설 된 상태에서 상기 보디에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암의 상호 간 개소에서 그 하판부에 상기 헤드 부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구비되고, 그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좌우의 입우부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받이편이 상기 카드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카드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나오고, 그 들의 받이편의 내향면의 대향 간격에 의해서 상기 카드 삽입 공간의 삽입구의 가로폭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암의 외향면에 맞겹쳐지고 그 암을 보강하는 판형성편이 상기 프레임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보디의 헤드 부분으로부터 상기 암의 최선단부에 걸친면판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판형성편과 상기받이편이, 상기 암의 최선단부의 상기 걸림면형성 개소를 사이에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03-0065364A 2002-09-25 2003-09-20 카드 커넥터 KR100517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8812 2002-09-25
JP2002278812A JP4078167B2 (ja) 2002-09-25 2002-09-25 カード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354A KR20040027354A (ko) 2004-04-01
KR100517170B1 true KR100517170B1 (ko) 2005-09-26

Family

ID=3197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364A KR100517170B1 (ko) 2002-09-25 2003-09-20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70451B2 (ko)
EP (1) EP1403808B1 (ko)
JP (1) JP4078167B2 (ko)
KR (1) KR100517170B1 (ko)
CN (1) CN100502156C (ko)
AT (1) ATE350717T1 (ko)
CA (1) CA2441843C (ko)
DE (1) DE60310839T2 (ko)
TW (1) TWI2234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16Y1 (ko) 2013-03-27 2014-08-11 주식회사 앰투앰넷 전자식 플라스틱 카드 소켓 및 이를 구비한 장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40A (ko) * 2002-08-23 2004-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여러 종류의 플래시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범용 슬롯
TWM277167U (en) * 2005-01-28 2005-10-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TWM318239U (en) * 2007-01-02 2007-09-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CN201430263Y (zh) * 2009-01-18 2010-03-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7866994B1 (en) * 2009-12-09 2011-01-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US9136621B1 (en) * 2012-08-14 2015-09-15 Ciena Corporation Guides and tab arrangement to retain a card having an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20180350271A1 (en) * 2017-06-01 2018-12-06 Brady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Label Construction for Ablative Laser Mark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435A (en) * 1990-12-04 1992-08-18 Hosiden Corporation Multipolar electrical connector
JP2596687Y2 (ja) * 1992-07-31 1999-06-21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5286207A (en) 1992-12-21 1994-02-15 Foxconn International, Inc. Memory card connector
JP3086612B2 (ja) 1995-01-31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の通信制御方式
TW394463U (en) * 1998-12-15 2000-06-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3429267B2 (ja) * 2000-04-12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465842U (en) * 2000-12-12 2001-1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4181307B2 (ja) * 2001-01-19 2008-11-1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783591B2 (ja) * 2001-09-07 2006-06-07 オムロ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TW532586U (en) * 2002-04-18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16Y1 (ko) 2013-03-27 2014-08-11 주식회사 앰투앰넷 전자식 플라스틱 카드 소켓 및 이를 구비한 장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3474B (en) 2004-11-01
CN100502156C (zh) 2009-06-17
US20040058585A1 (en) 2004-03-25
KR20040027354A (ko) 2004-04-01
JP4078167B2 (ja) 2008-04-23
EP1403808A1 (en) 2004-03-31
US7070451B2 (en) 2006-07-04
DE60310839D1 (de) 2007-02-15
JP2004119109A (ja) 2004-04-15
TW200409412A (en) 2004-06-01
CN1492544A (zh) 2004-04-28
CA2441843C (en) 2007-11-20
ATE350717T1 (de) 2007-01-15
EP1403808B1 (en) 2007-01-03
DE60310839T2 (de) 2007-10-25
CA2441843A1 (en) 200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065B1 (en) A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7217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576488B2 (ja) 雌端子
US6176725B1 (en) Card edge connector
EP1635425B1 (en) Connection terminal
EP1244179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US20020086590A1 (en) Terminal fitting
US20090104818A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 member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JPH0831490A (ja) 雌端子金具
KR100517170B1 (ko) 카드 커넥터
EP1349240B1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JP2001052785A (ja) スライダ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
JP3756777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US6551151B2 (en) Male terminal with curved interconnecting portion
JP200105278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37177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contacts
JPH07226251A (ja) ロック型コネクタ
CN112909608A (zh) 端子零件
KR102128123B1 (ko) 플러그 커넥터
US7121861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CN114122764B (zh) 端子零件及链式端子
JPH0742004U (ja) 雌型端子
JP3642411B2 (ja) コネクタ
CN110880651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以及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组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