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447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447B1
KR101050447B1 KR1020080123175A KR20080123175A KR101050447B1 KR 101050447 B1 KR101050447 B1 KR 101050447B1 KR 1020080123175 A KR1020080123175 A KR 1020080123175A KR 20080123175 A KR20080123175 A KR 20080123175A KR 101050447 B1 KR101050447 B1 KR 10105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housing
receptacle
groove
termina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942A (ko
Inventor
가즈아키 다케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8Contact or connector with insertion depth limiter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간의 강제 접속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의 접속 작업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 하우징(20)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12)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30)은, 리셉터클(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속 리브(31)와, 제2 하우징(20)의 외면에 움푹하게 형성된 구속 홈(32)을 포함한다. 각 구속 리브(31)는,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31A)와,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리브(31A)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리브(31B)를 포함한다. 각 구속 홈(32)은,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32A)과,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홈(32A)의 후방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홈(32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06-4901호에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리셉터클에 끼워 넣어지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제2 하우징이 부정확한 자세로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구속 수단은 리셉터클의 내면에 형성된 리브(rib)와 제2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데, 제2 하우징을 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에 끼워 넣을 때에는 상기 두 하우징의 접속 작업을 허용하도록 상기 리브와 홈이 맞물리는 반면에, 제2 하우징을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에 끼워 넣으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때에는 부정확한 자세의 제2 하우징의 접속을 방지하도록 제2 하우징의 외면과 리브의 간섭이 일어난다.
전술한 종래의 커넥터의 구속 수단에 있어서, 리브는 리셉터클의 긴변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하여, 제2 하우징이 리셉터클의 짧은변에 평행한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을 때 접속 작업을 방해한다. 그러나, 리셉터클이 리셉터클의 긴변에 평행한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을 때, 접속 작업은 방해받지 않는다.
리브가 리셉터클의 긴변과 짧은변 모두로부터 돌출해 있는 구조는, 리셉터클의 긴변에 평행한 축선에 대한 경사와 리셉터클의 짧은변에 평행한 축선에 대한 경사 모두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2 하우징의 자세는 제2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끼워 넣는 작업의 초기 단계에 2차원 방향, 즉 긴변 방향과 짧은변 방향에서 정확하게 결정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접속 작업이 어려워져, 열등한 작업성이란 문제점이 나타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하우징 간의 강제 접속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의 접속 작업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청구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로서,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이 리셉터클 내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이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하우징과,
제1 단자 피팅에 접속 가능하고 리셉터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제2 하우징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수단은, 리셉터클의 내면 및 제2 하우징의 외면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 리브와, 리셉터클의 내면 및 제2 하우징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 움푹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속 홈으로서, 제2 하우징이 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질 때에만 구속 리브 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구속 홈을 포함하며,
구속 리브는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와,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리브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를 포함하고,
구속 홈은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과,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홈의 후방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접속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1 리브와 제1 홈이 맞물리도록 제2 하우징의 자세를 조정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제1 리브 및 제1 홈의 맞물림과 제2 리브 및 제2 홈의 맞물림이 동시에 확립되도록 제2 하우징의 자세를 조정하는 경우에 비해, 제2 하우징의 자세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개선된다.
제1 리브와 제1 홈이 맞물린 상태에서 두 하우징의 접속 작업을 진행한 후, 제2 리브와 제2 홈이 맞물리도록 제2 하우징의 자세를 조정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제2 하우징은 이미 리셉터클에 끼워 넣어져 있고, 제2 하우징의 자세는 실질적으로 정확한 자세이므로, 접속 작업 동안에 제2 하우징의 자세를 조정하는 작업도 또한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로서,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이 리셉터클 내에서 수형 단자 피팅의 탭이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하우징과,
탭에 접속 가능하고 리셉터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암형 단자 피팅을 수용하 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제2 하우징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수단은, 리셉터클의 내면 및 제2 하우징의 외면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구속 리브와, 리셉터클의 내면 및 제2 하우징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 움푹하게 형성된 구속 홈으로서, 제2 하우징이 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에 끼워 넣어질 때에만 구속 리브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인 구속 홈을 포함하며,
구속 리브는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와,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리브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리브를 포함하고,
구속 홈은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과,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홈의 후방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가 제1 리브로부터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이 제1 홈의 내면에 움푹하게 형성된다.
구속 리브와 구속 홈의 형상은, 제1 리브와 제2 리브가 개별적으로 돌출하고 제1 홈과 제2 홈이 개별적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리브는 돌출판의 형태이고,
제2 리브는 제1 리브의 판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한다.
제2 리브는 제1 리브의 판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하므로, 판 모양의 제1 리브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제2 하우 징의 전방 단부면이 제1 단자 피팅의 선단부에, 바람직하게는 탭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2 리브와 제2 홈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전방 단부면이 리셉터클 내에서 제1 단자 피팅의 선단부에, 바람직하게는 탭에 도달하기 이전에, 리셉터클에 대한 제2 하우징의 자세가 제1 리브와 제1 홈의 맞물림 및 제2 리브와 제2 홈의 맞물림에 의해 정확하게 조정되므로, 제1 단자 피팅이, 바람직하게는 탭이 제2 하우징의 전방 단부면과 충돌할 가능성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 피팅은 복수 개의 대형 제1 단자 피팅과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을 포함하고,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두께와 폭이 대형 제1 단자 피팅의 것보다 작으며,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속 리브는 리셉터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며, 및/또는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의 배치 영역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탭은 복수 개의 대형 탭과 복수 개의 소형 탭을 포함하고, 소형 탭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두께와 폭이 대형 탭의 것보다 작으며, 소형 탭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구속 리브는 리셉터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소형 탭의 배치 영역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리셉터클 내의 소형 탭은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소형 탭을 제2 하우징 내의 암형 단자 피팅에 정확하게 접속하려면, 제2 하우징은 리셉터클에 대해 높은 정확성을 갖고서 위치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속 리브가 소형 탭의 배치 영역에 마주하도록, 즉 소형 탭의 배치 영역 부근에 배치되고, 구속 리브가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접촉됨으로써 변형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하우징은 구속 리브와 구속 홈의 맞물림에 의해 리셉터클에 대하여 높은 정확성을 갖고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소형 제1 단자 피팅과 상대 제2 단자 피팅의 접속 개시 타이밍은 대형 제1 단자 피팅과 상대 제2 단자 피팅의 접속 개시 타이밍보다 늦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제1 단자 피팅이 2개의 단에 마련되며, 한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수는 다른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수와 다르고, 서로 다른 단에서의 개수 차이로 인해 형성된 해당 무용 공간에 구속 리브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혹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조립 또는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이 리셉터클 내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이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하우징을 마련하는 단계와,
제2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 제2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피팅을 제1 단자 피팅에 접속하는 단계, 그리고
리셉터클의 내면 및 제2 하우징의 외면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 리브와, 리셉터클의 내면 및 제2 하우징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 움푹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속 홈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2 하우징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구속 홈은 제2 하우징이 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질 때에만 구속 리브와 맞물리며,
구속 리브는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와,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리브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를 포함하고,
구속 홈은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과,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제1 홈의 후방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혹은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가 제1 리브로부터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이 제1 홈의 내면에 움푹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리브는 돌출판의 형태이고,
제2 리브는 제1 리브의 판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제2 하우징의 전방 단부면이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의 선단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2 리브와 제2 홈이 서로 맞물린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단자 피팅은 복수 개의 대형 제1 단자 피팅과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을 포함하고,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두께와 폭이 대형 제1 단자 피팅의 것보다 작으며,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구속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며,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의 배치 영역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소형 제1 단자 피팅과 상대 제2 단자 피팅의 접속 개시 타이밍은 대형 제1 단자 피팅과 상대 제2 단자 피팅의 접속 개시 타이밍보다 늦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제1 단자 피팅이 2개의 단에 마련되며, 한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수는 다른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수와 다르고, 서로 다른 단에서의 개수 차이로 인해 형성된 해당 무용 공간에 구속 리브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 특징들이 부가적인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간의 강제 접속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의 접 속 작업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커넥터는, 접속 방향(CD)을 따라 상호 접속 가능하고 상호 분리 가능한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20)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또는 두 하우징(10, 20) 중 하나의 종축이 접속 방향(CD)에 대해 경사지게 놓인 상태로] 제1 하우징(10)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속 수단(30)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하우징(10, 20)의 전방측은 전후 방향[접속 방향(CD)]과 관련하여 전방측이라 한다.
제1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태인) 단자 수용부(11)와, 실질적으로 단자 수용부(1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의 외주연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직사각형관 형태인) 리셉터클(12)의 일체형 혹은 통합형 단일 조립체이다. (바람직한 제1 타입의 단자 피팅인) 하나 이상(예컨대 10개)의 대형 수형 단자 피팅(13)의 하나 이상의 단자 본체 및/또는 (제1 타입과는 다른 바람직한 제2 타입의 단자 피팅인) 하나 이상(예컨대 10개)의 소형 수형 단자 피팅(14)의 하나 이상의 단자 본체는 단자 수용부(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대형 수형 단자 피팅(들)(13)의 전방 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대형 탭(13A) 및/또는 소형 수형 단자 피팅(들)(14)의 전방 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소형 탭(14A)이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단자 수용부(11)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리셉터클(12) 안으로 돌출한다.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있어서 각 탭(13A, 14A)의 배치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대형 탭(13A)의 두께 방향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과 정렬되도록 대형 탭을 배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예컨대 5개의 탭을 각각 포함하는) 탭 그룹의 쌍이 좌측과 우측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대형 탭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탭 그룹을 구성하는 (예컨대, 5개의) 대형 탭(13A)은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측과 하측의, 2개의 단으로 배치되는데, 3개의 대형 탭(13A)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간격을 두고서 상단에 배치되고, 특별히 2개의 대형 탭(13A)은 좌우 방향으로 상단의 대형 탭(13A)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하단에 배치된다. 상단의 대형 탭(13A) 중에서, 리셉터클(12)의 중앙부에 위치한 하나를 제외한 2개의 대형 탭(13A)은, 실질적으로 하단에 배치된 2개의 대형 탭(13A)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하도록 배치(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대형 탭(13A)이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거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2)의 깊이[리셉터클(12)의 개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면까지의 거리]의 절반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 리브(31)는, 상단에 있는 3개의 대형 탭(13A) 중에서 리셉터클(12)의 중앙측에 혹은 중앙측을 향해 배치된 각 대형 탭(13A)의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구속 리브(31)는 다른 단(구체적으로 상단)에 배치된 단자 피팅(13A) 중 하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배치된다.
소형 탭(14A)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소형 탭의 두께 및 폭은 대형 탭(13A)의 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10개의 소형 탭(14A)이 하나 이상의 단에 혹은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측과 하측의, 2개의 단으로 함께 배치되어 하나의 탭 그룹을 형성하며, 소형 탭의 탭 그룹은 대형 탭(13A)의 좌측과 우측의, 2개의 탭 그룹 사이에, 즉 리셉터클(12)의 측방 중앙(혹은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수직 방향에 있어서, 소형 탭(14A)의 탭 그룹의 배치 영역은, (바람직한 제1 단인) 상단의 대형 탭(13A)보다 아래에 있고 (바람직한 제2 단인) 하단의 대형 탭(13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정도의 높이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소형 탭(14A)이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거리는, 대형 탭(13A)의 돌출 거리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소형 탭(14A)과 후술하는 소형 암형 단자 피팅(22)의 접속 개시 타이밍은, 대형 탭(13A)과 후술하는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의 접속 개시 타이밍보다 늦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15)가 리셉터클(12)의 상벽(외벽)의 하면(내면)으로부터 측방 중간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측방 중앙 위치에서 돌출한다. 잠금부(15)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들)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 형상 및/또는 좌우 대칭인) 제1 보조 리브(16)가, 리셉터클(12)의 상벽(외벽)으로부터 아래쪽으로(안쪽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조 리브(16)는 리셉터클(12)의 개방 단부[제1 하우징(10)의 전방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 향(CD)에 평행하게 연속 연장되고, 및/또는 제1 보조 리브의 후방 단부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보조 리브(16)는, 좌우 방향에서는 대형 탭(13A)의 탭 그룹의 쌍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서는 소형 탭(14A)의 탭 그룹의 위에 배치된다. 제1 보조 리브(16)의 하단부는 상단의 대형 탭(13A)보다 낮은 (혹은 상단의 대형 탭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인) 제2 보조 홈(17)이, 리셉터클(12)의 바닥벽(외벽)[혹은 제1 보조 리브(16)가 마련되는 벽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벽]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보조 홈(17)은 리셉터클(12)의 개방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평행하게 연속 연장되고, 및/또는 제2 보조 홈의 후방 단부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이른다.
제2 하우징(2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태이고, 및/또는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 내의 대형 탭과 유사한 패턴으로, 구체적으로 5개의 단자 피팅이 대형 탭(13A)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측방(좌측 및 우측) 각각에 위치하는 패턴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예컨대 10개)의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 및/또는 소형 탭(14A)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측방 중앙에 함께 배치되는 하나 이상(예컨대 10개)의 소형 단자 피팅(22)이 제2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과 소형 암형 단자 피팅(22)의 배치가 상기 대형 탭(13A) 과 소형 탭(14A)의 배치와 유사하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잠금 아암(23)이 제2 하우징(20)의 상면(외면)의 측방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잠금 아암(23)은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혹은 접속 방향(C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다].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잠금 아암(23)이 아래쪽으로, 안쪽으로, 혹은 제2 하우징(20)을 향해 탄성 변형되도록 잠금부(15)가 잠금 아암(23)에 간섭하고, 잠금 아암은 잠금부(15)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두 하우징(10, 20)이 실질적인 적정 접속 상태에 이를 때, 두 하우징(10, 20)은 상기 맞물림 동작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없게 잠금 고정된다.
제2 하우징(20)의 상면 혹은 외면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인) 제1 보조 홈(24)을 형성하도록, 잠금 아암(2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에서 움푹하게 되어 있다. 제1 보조 홈(24)은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후방 단부면까지 실질적으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평행하게 연속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적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두 하우징(10, 20)을 접속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보조 리브(들)(16)와 제1 보조 홈(들)(24)이 맞물려서 두 하우징(10, 20)을 실질적으로 적정한 자세로 유지시키며, 두 하우징(10, 20) 간의 강제 접속이 방지된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인) 제2 보조 리브(25)가 제2 하우징(20)의 바닥면의 (바 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제2 보조 리브(25)는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후방 단부면까지 실질적으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평행하게 연속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적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두 하우징(10, 20)을 접속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보조 리브(들)(25)와 제2 보조 홈(들)(17)이 맞물려서 두 하우징(10, 20)을 실질적으로 적정한 자세로 유지시키며, 두 하우징(10, 20) 간의 강제 접속이 방지된다.
이어서, 구속 수단(30)을 설명한다. 구속 수단(30)은 리셉터클(12)의 내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인) 구속 리브(31)와, 제2 하우징(20)의 외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인) 구속 홈(32)을 포함한다.
구속 리브(3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리셉터클(12)의 바닥벽(리셉터클의 긴 외변에 있는 벽 부분)의 내면(상면)으로부터 리셉터클(12)의 바닥벽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위쪽으로 혹은 안쪽으로 연장되는 판형 부분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각 구속 리브(31)의 형성 위치는, 대응 대형 탭(13A)의 탭 그룹과 소형 탭(14A)의 탭 그룹 사이에 위치하고, 및/또는 상단에 있는 3개의 대형 탭(13A) 중에서 리셉터클(12)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대형 탭(13A)의 실질적으로 바로 아래에 (혹은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구속 리브(31)는, 하단의 대형 탭(13A)의 개수가 상단의 대형 탭의 개수보다 작기 때문에 형성된 무용 공간에 배치된다. 수직 방향에 있어서 구속 리브(들)(31)의 상단부(들)의 위치(들)(형성 영역)는, 상단의 대형 탭(13A)의 아래에, 및/또는 소형 탭(14A)으로 이루어진 탭 그룹의 형성 범위의 상단부 약간 아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속 리브(31)의 상단부는 하단의 대형 탭(13A) 및 상단의 소형 탭(1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구속 리브(31)의 수직 방향의 형성 범위는, 실질적으로 소형 탭(14A)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넓이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속 리브(31)는 제1 리브(31A)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2 리브(31B)로 이루어진다. 제1 리브(31A)는 리셉터클(12)의 바닥벽에 직접 연결되고, 이 바닥벽으로부터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위쪽으로 혹은 안쪽으로 연장된다. 제1 리브(31A)가 리셉터클(12)의 바닥벽(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의 바닥벽 중에서 가장 안쪽에 배치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거리는, 제1 리브(31A)의 폭(두께)에 비해 상당히 긴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리브의 돌출 거리가 제1 리브의 폭의 2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제1 리브(31A)는 리셉터클(12)의 바닥벽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판 형태이다. 제1 리브(31A)는 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리브의 형성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의 개방 단부[제1 하우징(10)의 전방 단부]로부터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까지의 연속 범위이며, 및/또는 제1 리브의 후방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 의) 제1 리브(들)(31A)가 전술한 (한 쌍의) 제1 보조 리브(들)(16)보다 측방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리브(31A)의 상단부 혹은 말단부는 구속 리브(31)의 상단부 혹은 말단부가 된다.
제2 리브(31B)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리브(31A)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즉 실질적으로 상대 제1 리브(31A)에 면하거나 혹은 상대 제1 리브 쪽을 향해 있는 내면으로부터, 제1 리브(들)(31A)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실질적으로 리셉터클(12)의 바닥벽에 평행하게 돌출한다. 2개의 제2 리브(31B)가 제1 리브(31A)의 상단부 혹은 말단부 위치 혹은 그 부근과, 제1 리브(31A)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으며, 상측 제2 리브(31B)의 상면이 제1 리브(31A)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동일면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리브(31B)가 제1 리브(31A)로부터 돌출하는 거리는, 제2 리브(31B)의 수직 방향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리브(31B)는 제1 리브(31A)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2 리브(31B)의 형성 영역은 제1 리브(31A)의 것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리브(31B)는 리셉터클(12)의 개방 단부[제1 하우징(10)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있는 위치로부터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까지 혹은 그 근방까지의 범위에 연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제2 리브(31B)의 후방 단부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2 리브(31B)의 치수는 제1 리브(31A)의 길이의 약 2/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제1 리브(31A)의 길이의 절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및/또는 제2 리브(31B)의 전방 단부는 소형 탭(14A)의 전방 단부의 약간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제2 리브(31B)와 하측 제2 리브(31B)에 대한 상기 전후 방향의 형성 영역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 홈(32)은 제2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위쪽으로 혹은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각 구속 홈(32)의 형성 위치는,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의 우측 형성 영역 및 좌측 형성 영역 중 대응하는 영역과 소형 암형 단자 피팅(22)의 형성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및/또는 상단에 있는 3개의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 중에서 제2 하우징(20)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의 실질적으로 바로 아래에 혹은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구속 홈(32)은, 하나의 단(하단)에서의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의 개수가 다른 단(상단)에서의 대형 암형 단자 피팅의 개수보다 작기 때문에 형성된 무용 공간에 배치된다. 수직 방향에 있어서 구속 홈(32)의 상단부의 위치(형성 영역)는, 상단의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의 아래 혹은 근방에, 및/또는 소형 암형 단자 피팅(22)의 형성 범위의 상단부 약간 아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구속 홈(32)의 상단부는 하단의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 및 상단의 소형 암형 단자 피팅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정도의 높이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속 홈(32)은 하나의 제1 홈(32A)과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 의 제2 홈(32B)으로 이루어진다. 제1 홈(32A)은 제2 하우징(2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제1 홈(32A)의 깊이[제2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치수]는, 제1 홈(32A)의 폭(두께)에 비해 상당히 큰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홈의 깊이가 제1 홈의 폭의 2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제1 홈(31A)은 제2 하우징(12)의 바닥면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슬릿 형태이다. 제1 홈(32A)은 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및/또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홈의 형성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제2 하우징(20)의 개방 단부면으로부터 제2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가까운 위치까지의 연속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홈(32A)이 전술한 한 쌍의 제1 보조 홈(24)보다 측방 외측에 배치된다. 제1 홈(32A)의 상단부는 구속 홈(32)의 상단부가 된다.
제2 홈(32B)(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홈(32A)의 한 측면, 즉 제2 하우징(20)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혹은 중간 부분에 혹은 그 부근에 있는 내면으로부터, 제1 홈(들)(32A)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실질적으로 제2 하우징(20)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홈(32B)이 제1 홈(32A)의 상단부 혹은 말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및/또는 제1 홈(32A)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면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으며, 및/또는 상측 제2 홈(32B)의 상면 혹은 말단면이 제1 홈(32A)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동일면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홈(32B)이 제1 홈(32A)으로부터 연장되는 거리는, 제2 홈(32B)의 수직 방향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홈(32B)은 제1 홈(32A)과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2 홈(32B)의 형성 영역은 제2 홈(31A)의 것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홈(32B)은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제1 홈(32A)의 후방 단부의 전방 위치까지 혹은 그 근방까지의 범위에 연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2 홈(32B)의 치수는 제1 홈(32A)의 길이의 약 2/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제1 홈(32A)의 길이의 절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상측 제2 홈(32B)과 하측 제2 홈(31B)에 대한 상기 전후 방향의 형성 영역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시에, 제2 하우징(20)은 접속 방향(CD)을 따라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때, 제2 하우징(20)이 리셉터클(12)에 대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다면 [혹은 제2 하우징의 종축이 접속 방향(CD)에 대해 경사져 있다면],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과 구속 리브(31)의 전방 단부과의 간섭이 일어나므로, 기울어진 자세의 제2 하우징(20)이 접속될 수 없다. 따라서, 제2 하우징(20)의 자세가 제1 하우징(10)에 바로 마주하게 되도록 실질적으로 조정되면, 제2 하우징(20)이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접속 작업이 시작될 때, 우선 구속 수단(30)에 있어서는 제1 리브(31A)와 제 1 홈(32A)이 맞물린다. 이와 동시에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제1 보조 리브(16)와 제1 보조 홈(24)이 맞물리고, 제2 보조 리브(25)와 제2 보조 홈(17)이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 동작에 의해, 제2 하우징(20)은 리셉터클(12)의 짧은변에 평행한 수직축에 대해 측방으로(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크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리셉터클(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확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작업은 제2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강제로 끼워 넣는 일 없이 원만하게 진행된다.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작업이 진행되어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가 제2 리브(31B)의 전방 단부에 도달할 때,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의 맞물림이 시작된다. 이러한 맞물림 동작에 의해, 제2 하우징(20)은 리셉터클(12)의 긴변에 평행한 횡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크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리셉터클(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확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하우징(20)과 리셉터클(12)의 강제 접속이 보다 유효하게 방지되고,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작업이 아무런 방해 없이 진행된다.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의 맞물림이 시작된 이후에 두 하우징(10, 20)이 더 접속되면,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의 맞물림이 시작된 직후에 대형 탭(13A)은 제2 하우징(20)에 진입하기 시작한다. 대형 탭(13A)이 제2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때, 제2 하우징(20)은, 제1 리브(31A)와 제1 홈(32A)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및/또는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수직 및/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높은 정확성을 갖고서 리셉터클(12)에 대해 이미 위치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대형 탭(13A)은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과의 간섭 없이 제2 하우징(20)에 들어가고, 대형 암형 단자 피팅(21)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두 하우징(10, 20)이 더 접속되면, 소형 탭(14A)은 제2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이때에도, 제2 하우징(20)은, 제1 리브(31A)와 제1 홈(32A)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그리고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수직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높은 정확성을 갖고서 리셉터클(12)에 대해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소형 탭(14A)은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과의 간섭 없이 제2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고, 소형 암형 단자 피팅(2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1 리브(31A)와 제1 홈(32A)이 맞물리도록 제2 하우징(20)의 자세를 조정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제1 리브(31A) 및 제1 홈(32A)의 맞물림과 제2 리브(31B) 및 제2 홈(32B)의 맞물림이 동시에 확립되도록 제2 하우징(20)의 자세를 조정하는 경우에 비해, 제2 하우징(20)의 자세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개선된다.
제1 리브(31A)와 제1 홈(32A)이 맞물린 상태에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작업을 진행한 후,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이 맞물리도록 제2 하우징(20)의 자세를 실질적으로 조정한다. 이 시점에서, 제2 하우징(20)은 이미 리셉터클(12)에 끼워 넣어져 있고, 실질적으로 정확한 자세를 취하고 있으므로, 접속 작업 동안에 제2 하우징(20)의 자세를 조정하는 작업도 또한 용이하다.
제2 리브(31B)가 제1 리브(31A)로부터 돌출하고 제2 홈(32B)이 제1 홈(32A) 의 내면에 움푹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리브(31A)와 제2 리브(31B)가 서로 독립적으로 돌출하고 제1 홈(32A)과 제2 홈(32B)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구속 리브(31)와 구속 홈(32)의 형상이 간단하다.
제1 리브(31A)는 돌출판의 형태이고, 제2 리브(31B)는 제1 리브(31A)의 판 표면으로부터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하므로, 제2 리브(31B)는 판 모양의 제1 리브(31A)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이 리셉터클(12) 내에서 대형 탭(13A) 및 소형 탭(14A)의 선단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리셉터클(12)에 대한 제2 하우징(20)의 자세가 제1 리브(31A)와 제1 홈(32A)의 맞물림 및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의 맞물림에 의해 실질적으로 정확하게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형 탭(13A) 및 소형 탭(14A)이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과 충돌할 가능성은 없다.
리셉터클(12) 내의 소형 탭(14A)은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소형 탭(14A)을 제2 하우징(20) 내의 암형 단자 피팅에 정확하게 접속하려면, 제2 하우징(20)은 리셉터클(12)에 대해 높은 정확성을 갖고서 위치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속 리브(3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소형 탭(14A)의 배치 영역에 마주하도록, 즉 소형 탭(14A)의 배치 영역 부근에 배치되며, 이와 아울러 구속 리브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접촉됨으로써 변형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하우징(20)은 구속 리브(31)와 구속 홈(32)의 맞물림에 의해 리셉터클(12)에 대하여 높은 정확성을 갖고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간의 강제 접속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의 접속 작업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2 하우징(20)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12)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속 수단(30)이, 리셉터클(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구속 리브(31)와, 제2 하우징(20)의 외면에 움푹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속 홈(32)을 포함한다. 각 구속 리브(31)는, 접속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31A)와, 접속 방향(CD)에 있어서 제1 리브(31A)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31B)를 포함한다. 각 구속 홈(32)은,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제1 홈(32A)과, 접속 방향(CD)에 있어서 제1 홈(32A)의 후방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홈(32B)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리브는 접속 방향에서의 제2 리브의 형성 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위에 형성되지만, 접속 방향에서의 제1 리브의 형성 범위는 제2 리브의 형성 범위 이전의 범위로 국한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리브에 의해 구속되는 제2 하우징의 자세의 경사 방향과 제2 리브에 의해 구속되는 제2 하우징의 자세의 경사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하였지만, 제1 리브에 의한 구속 방향과 제2 리브에 의한 구속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거나 혹은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을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리브는 리셉터클의 개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지만, 제1 리브는 리셉터클의 개방 에지의 후방(접속 방향에서의 후방)에 있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 리브는 제1 리브의 판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리브는 제1 리브와는 별개인 리셉터클의 내면 상의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홈과 제2 홈은 제2 하우징의 외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독립적으로 움푹하게 형성된다.
(5) 제1 리브는 돌출판의 형태이고 제1 리브의 돌출 거리가 폭에 비해 상당히 길지만, 제1 리브는 돌출 거리가 폭보다 짧거나 혹은 돌출 거리와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하우징의 전방 단부면이 리셉터클 내의 탭의 선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제2 리브와 제2 홈이 맞물리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하우징의 전방 단부면이 리셉터클 내의 탭의 선단부에 도달한 후에 제2 리브와 제2 홈이 맞물릴 수 있다.
(7)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2 리브가 하나의 제1 리브 상에 형성되지만, 제1 리브 상에 형성되는 제2 리브의 개수는 1개 혹은 3개 이상일 수 있다.
(8)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구속 리브와 구속 홈이 마련되지만, 구속 홈과 구속 홈의 쌍의 개수는 1개 혹은 3개 이상일 수 있다.
(9)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리브의 내면 상에 제2 리브가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리브는 제1 리브의 외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10)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리브의 후방 단부가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리브의 후방 단부는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1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리브의 후방 단부가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리브의 후방 단부는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1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속 리브가 리셉터클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구속 홈이 제2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구속 리브는 제2 하우징의 외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구속 홈은 리셉터클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2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접속 과정을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3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4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접속된 상태에서 구속 리브와 구속 홈이 맞물린 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5는 제1 하우징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제2 하우징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선 Y-Y를 따를 취한 단면도.
도 9는 제2 하우징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하우징
12 : 리셉터클
13 : 대형 수형 단자 피팅(제1 단자 피팅)
13A : 대형 탭
14 : 소형 수형 단자 피팅(제1 단자 피팅)
14A : 소형 탭
20 : 제2 하우징
21 : 대형 암형 단자 피팅(제2 단자 피팅)
22 : 소형 암형 단자 피팅(제2 단자 피팅)
30 : 구속 수단
31 : 구속 리브
31A : 제1 리브
31B : 제2 리브
32 : 구속 홈
32A : 제1 홈
32B : 제2 홈

Claims (15)

  1. 리셉터클(12)을 구비하고 이 리셉터클 내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13; 14)이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하우징(10)과,
    제1 단자 피팅(13; 14)에 접속 가능하고 리셉터클(12)에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피팅(21; 22)을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제2 하우징(20), 그리고
    제2 하우징(20)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12)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30)
    을 포함하고,
    구속 수단(30)은,
    리셉터클(12)의 내면 및 제2 하우징(20)의 외면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구속 리브(31)와,
    리셉터클(12)의 내면 및 제2 하우징(20)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 움푹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속 홈(32)으로서, 제2 하우징(20)이 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12)에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끼워 넣어질 때에만 구속 리브(31)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인 하나 이상의 구속 홈(32)을 포함하며,
    구속 리브(31)는, 접속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31A)와, 접속 방향(CD)에 있어서 제1 리브(31A)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31B)를 포함하고,
    구속 홈(32),은 접속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제1 홈(32A)과, 접속 방향(CD)에 있어서 제1 홈(32A)의 후방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홈(32B)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리브(31B)가 제1 리브(31A)로부터 돌출하고, 하나 이상의 제2 홈(32B)이 제1 홈(32A)의 내면에 움푹하게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리브(31A)는 돌출판의 형태이고, 제2 리브(31B)는 제1 리브(31A)의 판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이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13; 14)의 선단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13; 14)은 복수 개의 대형 제1 단자 피팅(13)과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14)을 포함하고,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20)의 접속 방향(CD)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두께와 폭이 대형 제1 단자 피팅(13)의 것보다 작으며,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구속 리브(31)는, 리셉터클(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14)의 배치 영역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소형 제1 단자 피팅(14)과 상대 제2 단자 피팅(22)의 접속 개시 타이밍은 대형 제1 단자 피팅(13)과 상대 제2 단자 피팅(21)의 접속 개시 타이밍보다 늦은 것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단자 피팅(13; 14)이 2개의 단(stage)에 마련되며, 한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개수는 다른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개수와 다르고, 서로 다른 단에서의 개수 차이로 인해 형성된 해당 무용 공간(dead space)에 구속 리브(31)가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9. 리셉터클(12)을 구비하고 이 리셉터클 내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13; 14)이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하우징(10)을 마련하는 단계와,
    제2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끼워 넣어, 제2 하우징(20)에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피팅(21; 22)을 제1 단자 피팅(13; 14)에 접속하는 단계, 그리고
    리셉터클(12)의 내면 및 제2 하우징(20)의 외면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구속 리브(31)와, 리셉터클(12)의 내면 및 제2 하우징(20)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 움푹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속 홈(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2 하우징(20)이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12)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구속 홈(32)은 제2 하우징(20)이 정확한 자세로 리셉터클(12)에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끼워 넣어질 때에만 구속 리브(31)와 맞물리며,
    구속 리브(31)는, 접속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31A)와, 접속 방향(CD)에 있어서 제1 리브(31A)의 전방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31B)를 포함하고,
    구속 홈(32)은, 접속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제1 홈(32A)과, 접속 방향(CD)에 있어서 제1 홈(32A)의 후방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홈(32B)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리브(31B)가 제1 리브(31A)로부터 돌출하고, 하나 이상의 제2 홈(32B)이 제1 홈(32A)의 내면에 움푹하게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리브(31A)는 돌출판의 형태이고, 제2 리브(31B)는 제1 리브(31A)의 판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 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제2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이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13; 14)의 선단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2 리브(31B)와 제2 홈(32B)이 서로 맞물리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13; 14)은 복수 개의 대형 제1 단자 피팅(13)과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14)을 포함하고,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20)의 접속 방향(CD)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두께와 폭이 대형 제1 단자 피팅(13)의 것보다 작으며, 소형 제1 단자 피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구속 리브(31)는, 리셉터클(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소형 제1 단자 피팅(14)의 배치 영역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두 하우징(10, 20)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소형 제1 단자 피팅(14)과 상대 제2 단자 피팅(22)의 접속 개시 타이밍은 대형 제1 단자 피팅(13)과 상대 제2 단자 피팅(21)의 접속 개시 타이밍보다 늦은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단자 피팅(13; 14)이 2개의 단(stage)에 마련되며, 한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개수는 다른 단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의 개수와 다르고, 서로 다른 단에서의 개수 차이로 인해 형성된 해당 무용 공간(dead space)에 구속 리브(31)가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080123175A 2007-12-10 2008-12-05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KR101050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8346A JP5050823B2 (ja) 2007-12-10 2007-12-10 コネクタ
JPJP-P-2007-318346 2007-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942A KR20090060942A (ko) 2009-06-15
KR101050447B1 true KR101050447B1 (ko) 2011-07-19

Family

ID=4028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175A KR101050447B1 (ko) 2007-12-10 2008-12-05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6197B2 (ko)
EP (1) EP2071678B1 (ko)
JP (1) JP5050823B2 (ko)
KR (1) KR101050447B1 (ko)
CN (1) CN101459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3957B2 (ja) * 2009-10-29 2013-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93624B2 (ja) * 2010-01-28 2013-09-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08621B1 (ja) * 2010-10-15 2012-04-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2468578B (zh) * 2010-11-16 2016-03-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的壳体的防误插接装置的设计方法
JP5730132B2 (ja) * 2011-06-03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JP5850337B2 (ja) * 2012-09-06 2016-02-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300082B2 (en) * 2013-09-27 2016-03-29 Ifpl Group Limited Electrical connectors
US9318836B2 (en) * 2014-02-06 2016-04-19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GB2527487B (en) 2014-03-25 2019-10-16 Ifpl Group Ltd Headphone socket
US10431992B2 (en) 2014-06-03 2019-10-01 Traxxas Lp Battery charger with user interface
US10396568B2 (en) 2014-06-03 2019-08-27 Traxxas Lp Battery charger with user interface
US10516277B2 (en) * 2014-06-03 2019-12-24 Traxxas Lp Battery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102017111813A1 (de) * 2017-05-30 2018-12-0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gehäuse, Kontaktgehäuseaufnahme sowie elektrischer Verbinder
JP7228115B2 (ja) * 2019-07-09 2023-02-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489B1 (ko) * 2000-04-13 2003-02-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US20040179179A1 (en) * 2003-03-11 2004-09-16 Shigeru Terashima Exposur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9179A (en) * 1978-05-17 1979-12-18 Whitaker Cable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ultiple terminal receptacle receiving different plugs
JPS5836583A (ja) * 1981-08-28 1983-03-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カミソリのヒゲクズ排出装置
US4647130A (en) * 1985-07-30 1987-03-03 Amp Incorporated Mounting means for high durability drawer connector
US4761144A (en) * 1986-12-22 1988-08-02 Amp Incorporated Mounting means for rack and panel connector
US4815983A (en) * 1987-11-13 1989-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stomizable plugs for A.C. power cords
JP2566799B2 (ja) * 1987-12-22 1996-12-25 宏栄化成株式会社 透湿度の優れた合成皮革
JP2682596B2 (ja) * 1993-02-01 1997-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こじり嵌合防止構造
JPH06283233A (ja) * 1993-03-27 1994-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嵌合検知機能付きコネクタ
JP2604378Y2 (ja) * 1993-12-06 2000-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ホルダ付き二重係止コネクタ
US5466171A (en) * 1994-09-19 1995-11-14 Molex Incorporated Polarizing system for a blind mat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9245887A (ja) * 1996-03-07 1997-09-19 Honda Motor Co Ltd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取付けた自動車用部品
US5620329A (en) * 1996-06-17 1997-04-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lf-aligning electrical connective arrangement
US6022237A (en) * 1997-02-26 2000-02-08 John O. Esh Water-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US5885107A (en) * 1997-09-03 1999-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2000315548A (ja) * 1999-04-28 2000-11-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184566B2 (ja) * 2000-02-17 2008-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460047S1 (en) * 2001-04-23 2002-07-09 Tvm Group, Inc. Socket connector with central signal sockets
US6565390B2 (en) * 2001-10-22 2003-05-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larizing system receiving compatible polarizing system for blind mate connector assembly
DE60206604T2 (de) * 2002-06-06 2006-07-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Ein Steckverbinder und ein Verfahren, um einen Anschlusskontakt darin einzupressen
JP2006004901A (ja) 2004-05-19 2006-01-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JP2008034250A (ja) * 2006-07-28 2008-02-14 Omron Corp コネクタ装置
US7727001B2 (en) * 2007-10-17 2010-06-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489B1 (ko) * 2000-04-13 2003-02-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US20040179179A1 (en) * 2003-03-11 2004-09-16 Shigeru Terashima Exposu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9298A (zh) 2009-06-17
CN101459298B (zh) 2011-11-23
US7736197B2 (en) 2010-06-15
JP2009140859A (ja) 2009-06-25
KR20090060942A (ko) 2009-06-15
EP2071678A1 (en) 2009-06-17
EP2071678B1 (en) 2010-06-09
US20090149057A1 (en) 2009-06-11
JP5050823B2 (ja)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44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US7297032B2 (en) Combined connector
CN103001036B (zh) 端子接头以及设有该端子接头的连接器
US7722414B2 (en) Connector having separately made lance housing and retainer
EP2363922B1 (en) Connector
EP2495821A1 (en)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8708739B2 (en) Connector
US9640905B2 (en) Connector
JP2001052798A (ja) コネクタの連結構造
CN101599591B (zh) 连接器
JP202217975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682476B2 (ja) コネクタ
US6165011A (en) Double-retaining connector
KR20110099188A (ko) 커넥터
JP2016039046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8784133B2 (en) Connector
US7695325B2 (en) Connector
US20200153145A1 (en) Connector
WO2022255068A1 (ja) コネクタ
JP2000067980A (ja) 2次係止部材付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ハウジング組立体
US10559908B2 (en) Connector
US20190372272A1 (en) Connector
US9407040B2 (en) Connector with functional portion projecting from side surface of connector hosing a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in the functional portion
US11728589B2 (en) Connector
JP431131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