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011A -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011A
KR20110045011A KR1020117003978A KR20117003978A KR20110045011A KR 20110045011 A KR20110045011 A KR 20110045011A KR 1020117003978 A KR1020117003978 A KR 1020117003978A KR 20117003978 A KR20117003978 A KR 20117003978A KR 20110045011 A KR20110045011 A KR 2011004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eight
optical film
film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234B1 (ko
Inventor
류 다케코
용연 김
정호 유
요스케 오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광학 필름(10)에 이하의 (A), (B) 및 (C)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20)을 마련한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A) (A-1) 하기 식 (I)(R1은 수소 또는 메틸, R2는 C1 -14 알킬)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80∼96 중량%, (A-2) 분자 내에 방향 고리와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단량체 3∼15 중량%, 및 (A-3)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0.1∼5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200만, 분자량 분포(Mw/Mn)가 3∼7인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B) 유기 양이온을 가지며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 0.2∼8 중량부, (C) 가교제 0.01∼5 중량부.
Figure pct00011

Description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OPTICAL FILM WITH ADHESIVE AND OPTICAL LAMINATE USING SAME}
본 발명은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예컨대,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이용한 액정 표시용의 광학 적층체에도 관계한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장착되며, 널리 사용되고 있고,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되며,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그 점착제층 위에 박리 필름이 첩착(貼着)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또한,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합(貼合)된 상태의 편광판에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타원 편광판으로 하고, 그 위상차 필름 측에 점착제층/박리 필름이 첩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박리 필름이 첩착되는 경우도 있다. 액정 셀에의 첩합 전에, 이들 편광판, 타원 편광판, 위상차 필름 등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통해 액정 셀에 첩합하게 된다. 이러한 편광판, 타원 편광판 또는 위상차 필름은,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액정 셀에 첩합할 때, 정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방지 대책의 개발이 갈망되고 있다.
그 대책의 하나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313807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편광자 필름의 표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되고,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이 마련된 편광판에 있어서, 점착제로서, 전해질염과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도전성 조성물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제를 이용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이 발현되지만, 그 성능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또한 점착 내구성에 있어서도 충분한 성능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한편, 일본 특허 공표 제2004-536940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감압 접착제(점착제)에 유기염계의 대전 방지제를 배합하고, 그 점착제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4665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총 탄소수가 4∼20인 4급 암모늄 양이온과 불소 원자 함유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염을 접착제 등에 함유시켜, 제전성을 부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7238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실온(25℃)에서 액체가 되는 이온성 액체를 점착제에 함유시켜, 대전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점착제를 코팅한 편광판을 장시간 방치하면, 경시 변화에 의해 대전 방지성이 열화하는 경우가 간혹 있었다. 일반적인 편광판의 유통 및 보관 기간은 제작으로부터 최대 6개월 정도이기 때문에, 고객이 사용하기까지의 동안, 대전 방지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그 점착제층 측에서 액정 셀에 첩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가 되지만, 이 상태에서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에 두거나, 가열과 냉각이 반복되거나 한 경우, 광학 필름의 치수 변화에 따라, 점착제층에 발포를 발생시키거나, 광학 필름과 점착제층 사이, 또는 점착제층과 액정 셀 유리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 등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도 요구된다. 또한, 고온에 노출된 경우에, 광학 필름에 작용하는 잔류 응력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고, 광학 필름의 외주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결과, 흑 표시 시에 외주부가 하얗게 되는 화이트 스폿(white spot)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발생시키거나, 색 얼룩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화이트 스폿이나 색 얼룩의 억제도 요구된다. 또한,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액정 셀에 첩합할 때, 불비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광학 필름을 일단 벗기고 나서, 재차 새로운 필름을 다시 붙이게 되지만, 그 박리 시에 점착제층이 광학 필름에 따라 벗겨지고, 셀 유리 위에 점착제가 남지 않아, 흐릿함 등도 생기지 않는 것과 같은, 소위 리워크성도 요구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8056호 공보(특허문헌 5)에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방향 고리 함유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를 10∼50으로 넓게 함으로써 광 누설을 억제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제를 이용함으로써, 광 누설은 경감되지만,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또한 분자량 분포가 넓기 때문에, 고온 조건 하에서 발포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31380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제2004-53694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466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723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8056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대전 방지성이 부여되며, 그 대전 방지성이 시간 경과에 따라 잘 변화하지 않고, 대형화하여도 화이트 스폿 억제에 우수한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의 표면에 마련한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요한 성분으로 하여, 분자 내에 방향 고리를 함유시킨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및 특정한 이온성 화합물을 배합하여, 이 조성물을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으로서 마련함으로써, 화이트 스폿 방지성, 대전 방지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되는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A) (A-1) 하기 식 (I):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80∼96 중량%,
(A-2)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3∼15 중량%, 및
(A-3)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0.1∼5 중량%
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200만,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가 3∼7인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B) 유기 양이온을 가지고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 0.2∼8 중량부, 및
(C) 가교제 0.01∼5 중량부
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70∼99 중량%의 겔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이 그 점착제층 측에서 유리 기판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로서,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A), 및 유기 양이온을 가지고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B)을 배합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불균일한 응력 분포에 기인하는 광학적 결함이 방지되기 때문에, 화이트 스폿이 억제되며, 광학 부재의 대전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어, 제작하고 나서 장시간 보관하여도, 초기의 대전 방지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한번 유리 기판에 적층한 후, 어떠한 문제점이 있었던 경우에, 점착제와 함께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도, 박리 후의 유리 기판의 표면에 점착제 잔여 또는 흐릿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어, 재차, 유리 기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리워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로서, 분자량 분포(Mw/Mn)가 3∼7인 아크릴 수지(A)를 사용함으로써, 광학 적층체로 하였을 때의 화이트 스폿이 유효하게 방지되며, 고온 조건 하에서도 발포 등의 문제점이 방지된다. 또한,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70∼99 중량%의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내구성이 개량되고, 이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액정 셀의 유리 기판에 붙인 상태에서, 내열, 내습열, 내히트쇼크 등의 시험을 행하였을 때의, 외관 변화가 억제된다.
이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예컨대, 액정 셀의 유리 기판에 적층함으로써, 액정 표시용의 광학 적층체를 부여한다. 이 광학 적층체는, 습열 조건 하에, 광학 필름 및 유리 기판의 치수 변화에 기인하는 응력을 점착제층이 흡수·완화하기 때문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이 경감되고, 유리 기판에 대한 점착제층이 들뜨거나 박리되는 것 등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적합한 층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이며, 그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A) 아크릴 수지,
(B) 유기 양이온을 가지고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 및
(C) 가교제
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우선,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크릴 수지(A)]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아크릴 수지(A)는,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에 더하여,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유리 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에폭시 고리를 비롯한 복소 고리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극성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계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중 어느 것이어도 좋은 것을 의미하고, 그 외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라고 말할 때의 「(메타)」도 같은 취지이다.
아크릴 수지(A)의 주요한 구조 단위가 되는 상기 식 (I)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14의 알킬기이다. R2로 표시되는 알킬기는, 각각의 기 중의 수소 원자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 중, R2가 비치환 알킬기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라우릴과 같은, 직쇄형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과 같은, 분지형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n-옥틸, 메타크릴산라우릴과 같은, 직쇄형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이소옥틸과 같은, 분지형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n-부틸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중, 아크릴산 n-부틸이 50 중량% 이상이 되도록, 또한 상기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에 관한 규정을 만족하도록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2가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인 경우, 즉, R2가 알콕시알킬기인 경우의,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아크릴산에톡시메틸, 메타크릴산 2-메톡시에틸, 메타크릴산에톡시메틸 등이 예시된다.
이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다른 복수의 것을 이용하여 공중합시켜도 좋다.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는,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로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서,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하기 식 (II)로 표시되는 불포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식 중,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8의 정수이며, R4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4가 알킬기인 경우, 그 탄소수는 1∼9 정도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아랄킬기인 경우, 그 탄소수는 7∼11 정도, 또한 아릴기인 경우, 그 탄소수는 6∼10 정도일 수 있다.
탄소수 1∼9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부틸기, 노닐기 등이, 탄소수 6∼11의 아랄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 나프틸메틸기 등이, 탄소수 6∼1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톨릴기, 나프틸기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식 (II)의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2-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페녹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놀의 (메타)아크릴레이트, 2-(o-페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다른 복수의 것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2-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o-페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아크릴 수지(A)를 구성하는 방향 고리 함유 불포화 단량체(A-2)의 하나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β-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유리 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또는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카프로락탐, N-비닐-2-피롤리돈,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5-디하이드로푸란과 같은, 복소 고리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복소 고리와는 다른 아미노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다른 복수의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불포화 단량체(A-3)의 극성 관능기는, 유리 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 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아크릴 수지(A)를 구성하는 극성 관능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A-3)의 하나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에 더하여, 다른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유리 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병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의 아크릴 수지(A) 중의 함유량은, 80∼96 중량%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82 중량% 이상, 심지어 85 중량%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94 중량% 이하, 심지어 92 중량% 이하이다.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의 아크릴 수지(A) 중의 함유량은, 3∼15 중량%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심지어 5.5 중량% 이상, 특히 7 중량%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2 중량% 이하, 심지어 9.9 중량% 이하, 특히 9.5 중량% 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 중량% 이하이다.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의 아크릴 수지(A) 중의 함유량은, 0.1∼5 중량%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A)는, 위에서 설명한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 이외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예로서는,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스티렌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비닐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분자 내에 복수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구조란, 탄소수가, 통상 5 이상, 바람직하게는 5∼7 정도인 시클로파라핀 구조이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이소보르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도데실, 아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α-에톡시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페닐 등을 들 수 있고,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시클로도데실, 메타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의 예로서는, 스티렌 외에,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트리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디에틸스티렌, 트리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헥실스티렌, 헵틸스티렌, 옥틸스티렌과 같은 알킬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요오도스티렌과 같은 할로겐화 스티렌; 또한, 니트로스티렌, 아세틸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계 단량체의 예로서는,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2-에틸헥산산비닐, 라우르산비닐과 같은 지방산 비닐에스테르; 염화비닐이나 브롬화비닐과 같은 할로겐화 비닐; 염화비닐리덴과 같은 할로겐화 비닐리덴; 비닐피리딘, 비닐피롤리돈, 비닐카바졸과 같은 질소 함유 방향족 비닐;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과 같은 공액 디엔 단량체; 또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복수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분자 내에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트리 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분자 내에 3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 이외의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A-1) 내지 (A-3) 이외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아크릴 수지(A)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다.
점착제의 유효 성분은, 이상과 같은,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에, 그것과는 다른 아크릴 수지,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식 (I)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가지고,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 수지 등을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수지 전체 중, 80 중량% 이상, 심지어 90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1),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인 아크릴 수지(A)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200만의 범위에 있는 것을 채용한다.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이면, 고온 고습 하에서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유리 기판과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더구나 리워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만 이하이면, 그 점착제층에 첩합되는 광학 필름의 치수가 변화하여도, 그 치수 변화에 점착제층이 추종하여 변동하기 때문에, 액정 셀의 주연부의 밝기와 중심부의 밝기 사이에 차가 없어져, 화이트 스폿이나 색 얼룩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는 3∼7의 범위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A)는, 점착성 발현을 위해, 그 유리 전이 온도가 -10℃∼-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일반적으로,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A)는, 예컨대,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 공지의 각종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 아크릴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 중합 개시제가 이용된다. 중합 개시제는, 아크릴 수지의 제조에 이용되는 모든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5 중량부 정도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이 이용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컨대,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로서, 예컨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과 같은 아조계 화합물; 라우릴퍼옥사이드,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와 같은 유기 과산화물;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와 같은 무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병용한 산화환원계 개시제 등도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위에 나타낸 방법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법의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원하는 단량체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열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40∼90℃ 정도, 바람직하게는 60∼80℃ 정도에서 3∼10 시간 정도 교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 단량체나 열중합 개시제를 중합 중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하거나, 유기 용매에 용해한 상태로 첨가하거나 하여도 좋다. 여기서, 유기 용매로서는,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초산에틸, 초산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과 같은 지방족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B)]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아크릴 수지(A)에 더하여,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B)을 이용한다. 이 이온성 화합물(B)은 유기 양이온을 갖고 있다.
이온성 화합물(B)을 구성하는 양이온 성분은,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이 되는 것을 만족하는 유기 양이온이면 좋고, 그 이외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미다졸륨 양이온, 피리디늄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술포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지만, 광학 필름의 점착제층에 사용된 경우, 그 위에 마련되는 박리 필름을 벌길 때에 대전하기 어렵다고 하는 관점에서, 피리디늄 양이온이나 이미다졸륨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이온성 화합물(B)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분자량 700 이하, 심지어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온성 화합물(B)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성분의 반대 이온이 되는 음이온 성분은,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이 되는 것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 음이온이어도 좋고, 유기 음이온이어도 좋으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클로라이드 음이온[Cl-],
브로마이드 음이온[Br-],
요오다이드 음이온[I-],
테트라클로로알루미네이트 음이온[AlCl4 -],
헵타클로로디알루미네이트 음이온[Al2Cl7 -],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음이온[BF4 -],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PF6 -],
퍼클로레이트 음이온[ClO4 -],
니트레이트 음이온[NO3 -],
아세테이트 음이온[CH3COO-],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음이온[CF3COO-],
메탄술포네이트 음이온[CH3SO3 -],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음이온[CF3SO3 -],
p-톨루엔술포네이트 음이온[p-CH3C6H4SO3 -],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CF3SO2)2N-],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타니드 음이온[(CF3SO2)3C-],
헥사플루오로아세네이트 음이온[AsF6 -],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음이온[SbF6 -],
헥사플루오로니오베이트 음이온[NbF6 -],
헥사플루오로탄탈레이트 음이온[TaF6 -],
디메틸포스피네이트 음이온[(CH3)2POO-],
(폴리)하이드로플루오로플루오라이드 음이온[F(HF)n -](n은 1∼3 정도),
디시아나미드 음이온[(CN)2N-],
티오시안 음이온[SCN-],
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음이온[C4F9SO3 -],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C2F5SO2)2N-],
퍼플루오로부타노에이트 음이온[C3F7COO-],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메탄카보닐)이미드 음이온[(CF3SO2)(CF3CO)N-] 등.
이들 중에서도 특히,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은,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이온성 화합물을 부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특히,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이온성 화합물의 구체예는, 상기 양이온 성분과 음이온 성분의 조합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양이온 성분과 음이온 성분의 조합인 화합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N-헥실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부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메틸-4-헥실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부틸-N-메틸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p-톨루엔술포네이트,
테트라부틸암모늄 p-톨루엔술포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메탄술포네이트,
(2-하이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디메틸포스피네이트,
(2-하이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메틸-4-헥실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헥실-4-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헥실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옥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부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등.
이러한 이온성 화합물(B)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B)의 예는, 위에서 예로서 열거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B)은 전술한 대로, 아크릴 수지(A)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점착제로서의 여러가지 물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유효하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그 융점이 너무 지나치게 높으면, 아크릴 수지(A)와의 상용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80℃ 이하, 심지어 70℃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 방지성의 장기간 안정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아, 이온성 화합물(B)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심지어 35℃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상온(25℃)에서 고체인 이온성 화합물(B)은, 상온에서 액체인 이온성 화합물에 비하여, 그것이 배합된 점착제층의 대전 방지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B)은, 상기한 아크릴 수지(A)의 불휘발분(상기 A-1, A-2 및 A-3 각각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8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시킨다. 아크릴 수지(A)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온성 화합물(B)을 0.2 중량부 이상 함유하면, 대전 방지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그 양이 8 중량부 이하이면, 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한 이온성 화합물(B)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이상, 또한 3 중량부 이하이다.
[가교제(C)]
이상과 같은 아크릴 수지(A) 및 이온성 화합물(B)에, 추가로 가교제(C)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한다. 가교제(C)는, 아크릴 수지(A) 중의 특히 극성 관능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가교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갖는 화합물이며, 예컨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글리세롤이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을 반응하도록 한 부가체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2량체, 3량체 등으로 한 것도, 점착제에 이용되는 가교제가 될 수 있다. 2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예컨대, 비스페놀 A형의 에폭시 수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디글리시딜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에폭시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철, 구리, 아연, 주석, 티탄, 니켈,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크롬 및 지르코늄 등의 다가 금속에, 아세틸아세톤이나 아세토초산에틸이 배위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지리딘계 화합물은, 에틸렌이민이라고도 불리는 1개의 질소 원자와 2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3원 환의 골격을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며, 예컨대, 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복사마이드), 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복사마이드), 트리에틸렌멜라민, 이소프탈로일비스-1-(2-메틸아지리딘), 트리스-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헥사메틸렌-1,6-비스(1-아지리딘카복사마이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특히,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글리세롤이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에 반응하도록 한 부가체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2량체, 3량체 등으로 한 것,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극성 관능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A-3)가, 유리 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및 에폭시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는 특히, 가교제(C)의 적어도 하나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반응하도록 한 부가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량체, 및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또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반응하도록 한 부가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량체,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를 들 수 있다.
가교제(C)는, 아크릴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5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다. 가교제(C)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2∼3 중량부 정도이다. 아크릴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한 가교제(C)의 양이 0.01 중량부 이상, 특히 0.1 중량부 이상이면, 점착제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5 중량부 이하이면,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의 화이트 스폿이 눈에 띄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제를 구성하는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제층과 유리 기판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계 화합물(D)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가교제를 배합하기 전의 아크릴 수지에 실란계 화합물(D)을 함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계 화합물(D)로서는, 예컨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에톡시디메틸실란 등을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실란계 화합물(D)을 사용하여도 좋다.
실란계 화합물(D)은, 실리콘 올리고머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실리콘 올리고머를 코폴리머 형식으로 나타내면,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머캅토프로필기 함유 코폴리머;
머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머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머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머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머캅토메틸기 함유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 코폴리머;
비닐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비닐기 함유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아미노기 함유 코폴리머 등.
이들 실란계 화합물(D)은, 대부분의 경우, 액체이다. 점착제에 있어서의 실란계 화합물의 배합량은, 아크릴 수지(A)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2 종류 이상 이용하는 경우는 그 합계 중량)에 대하여, 통상 0.01∼10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03∼1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아크릴 수지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한 실란계 화합물의 양이 0.01 중량부 이상, 특히 0.03 중량부 이상이면, 점착제층과 유리 기판의 밀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그 양이 10 중량부 이하, 특히 1 중량부 이하이면, 점착제층으로부터 실란계 화합물이 블리드 아웃하는 것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점착제에는 추가로, 가교 촉매, 내후 안정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연화제, 염료, 안료, 무기 필러, 아크릴 수지(A) 이외의 수지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점착제에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을 배합하고, 점착제층 형성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보다 경질의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도 유용하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에 가교제와 함께 가교 촉매를 배합하면, 점착제층을 단시간의 숙성으로 조제할 수 있고, 얻어지는 점착제를 갖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 수지 필름과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거나 점착제층 내에서 발포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리워크성도 한층 더 양호해지는 경우가 있다. 가교 촉매로서는, 예컨대, 헥사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이소포론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폴리아미노 수지, 멜라민 수지와 같은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에 가교 촉매로서 아민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적합하다.
점착제를 구성하는 이들 각 성분은, 용제에 녹인 상태로 점착제 조성물이 되며, 적당한 기재 위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제층이 된다.
[점착제층의 겔분율]
본 발명에서는 앞에도 서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은, 그 겔분율이 70∼99 중량%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겔분율은, 이하의 (I)∼(IV)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I) 약 8 ㎝×약 8 ㎝의 면적의 점착제층과, 약 10 ㎝×약 10 ㎝의 SUS304로 이루어지는 금속 메쉬(그 중량을 Wm으로 한다)를 첩합한다.
(II) 상기 (I)에서 얻어진 첩합물의 중량을 칭량하여, 그 중량을 Ws로 하고, 다음에 점착제층을 감싸도록 4회 접어 개어 호치키스(스테이플러)로 고정시킨 후 칭량하여, 그 중량을 Wb로 한다.
(III) 유리 용기에 상기 (II)에서 호치키스로 고정한 메쉬를 넣고, 초산에틸 60 mL를 첨가하여 침지한 후, 이 유리 용기를 실온에서 3 일간 보관한다.
(IV) 유리 용기로부터 메쉬를 꺼내어, 120℃에서 24 시간 건조한 후, 칭량하여, 그 중량을 Wa로 하며, 다음 식:
겔분율(중량%)=[{Wa-(Wb-Ws)-Wm}/(Ws-Wm)]×100
에 기초하여 겔분율을 계산한다.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70∼99 중량%가 되도록 한다. 그 겔분율이 70 중량% 이상이면, 점착제층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그 겔분율이 99 중량% 이하이면, 제조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예컨대, 점착제층의 유효 성분인 아크릴 수지(A)의 종류나 가교제의 양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A)에 있어서의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의 양을 많게 하거나, 또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제(C)의 양을 많게 하면, 겔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및/또는 가교제의 양에 따라 겔분율을 조정하면 좋다. 그래서,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에 대해서는, 아크릴 수지(A) 중의 그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에 기인하는 단위의 양을 0.1∼5 중량%의 범위에서, 아크릴 수지(A)를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조합, 또 가교제의 종류 및 양과의 조합으로, 겔분율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선택하고, 조정하면 좋다. 또한 가교제(C)의 양에 대해서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A)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2 종류 이상 이용하는 경우는 그 합계량)에 대한 가교제의 배합량을, 0.1∼5 중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아크릴 수지의 종류에 맞추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이상과 같은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마련한 것이다. 여기서 이용하는 광학 필름이란, 광학 특성을 갖는 필름이며, 예컨대, 편광판,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판이란, 자연광 등의 입사광에 대하여, 편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이다. 편광판에는, 어떤 방향의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직선 편광판, 어떤 방향의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반사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편광 분리 필름, 편광판과 후술하는 위상차 필름을 적층한 타원 편광판 등이 있다. 편광판, 특히 직선 편광 필름(편광자나, 편광자 필름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의 적합한 구체예로서,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이란,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광학 필름으로서,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환형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액정 폴리에스테르, 아세틸셀룰로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필름을 1.01∼6배 정도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연신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이나 환형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한 고분자 필름이 바람직하다. 일축성 위상차 필름,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 저광 탄성률 위상차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것이 있지만,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액정성 화합물의 도포·배향에 의해 광학 이방성을 발현시킨 필름이나, 무기층형 화합물의 도포에 의해 광학 이방성을 발현시킨 필름도,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에는, 온도 보상형 위상차 필름이라고 칭해지는 것, 또한, 신니혼세키유(주)로부터 "LC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막대형 액정이 트위스트 배향된 필름, 마찬가지로 신니혼세키유(주)로부터 "NH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막대형 액정이 경사 배향된 필름, 후지필름(주)으로부터 "WV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원반형 액정이 경사 배향된 필름, 스미토모카가쿠(주)로부터 "VAC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완전 이축 배향형의 필름, 마찬가지로 스미토모카가쿠(주)로부터 "new VAC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이축 배향형의 필름 등이 있다.
또한, 이들 광학 필름에 보호 필름이 첩착된 것도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투명한 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그 투명 수지로서는,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스나 디아세틸셀룰로스로 대표되는 아세틸셀룰로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메타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술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는,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등의 아세틸셀룰로스계 수지 필름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위에서 설명한 광학 필름의 중에서도, 직선 편광판은, 그것을 구성하는 편광자,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편광자 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착된 상태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술한 타원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한 것이지만, 그 편광판도, 편광자 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착된 상태인 것이 많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통상, 그 위상차 필름 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된다.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그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 필름을 첩착하고, 사용 시까지 점착제층 표면을 보호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박리 필름이 마련된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예컨대, 박리 필름의 위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얻어진 점착제층에 추가로 광학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광학 필름 위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면에 박리 필름을 첩합시켜 보호하여,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으로 하는 방법 등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하는 박리 필름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등의 각종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점착제층과의 접합면에, 실리콘 처리와 같은 이형(離型) 처리가 실시된 것 등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 ㎛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30 ㎛ 이하이면, 고온 고습 하에서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유리 기판과 점착층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더구나 리워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그 두께가 10 ㎛ 이상이면, 그곳에 첩합되어 있는 광학 필름의 치수가 변화하여도, 그 치수 변화에 점착층이 추종하여 변동하기 때문에, 액정 셀의 주연부의 밝기와 중심부의 밝기의 사이에 차가 없어져, 화이트 스폿이나 색 얼룩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액정 셀 유리에 첩착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25 ㎛가 표준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두께를 20 ㎛ 이하로 하여도, 점착제층으로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유리 기판에 첩착하여 광학 적층체로 한 후, 어떠한 문제점이 있어 그 광학 필름을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경우에, 점착제층은 광학 필름을 따라 박리되고, 점착제층과 접하고 있던 유리 기판의 표면에, 흐릿함이나 점착제 잔여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박리 후의 유리 기판에 재차,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다시 붙이는 것이 용이하다. 즉, 소위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광학 적층체]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그 점착제층에서 유리 기판에 적층하여, 광학 적층체로 할 수 있다.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유리 기판에 적층하여 광학 적층체로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유리 기판의 표면에 첩합시키면 좋다. 여기서, 유리 기판으로서는, 예컨대, 액정 셀의 유리 기판, 방현용 유리, 선글라스용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액정 셀의 전면측(시인측)의 유리 기판에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상 편광판)을 적층하고, 액정 셀의 배면측의 유리 기판에 별도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하 편광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는,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패널(액정 패널)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리 기판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소다 석회 유리, 저알칼리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몇 가지의 적합한 층 구성의 예를 도 1에 단면 모식도로 도시하였다. 도 1(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직선 편광 필름(1)의 한 면에, 표면 처리층(2)을 갖는 보호 필름(3)을 그 표면 처리층(2)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첩착하여, 편광판(5)이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편광판(5)이 동시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광학 필름(10)으로도 되어 있다. 직선 편광 필름(1)의 보호 필름(3)과 반대측의 면에는, 앞서 설명한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20)을 마련하여,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25)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점착제층(20)의 편광판(5)과는 반대측의 면을, 유리 기판인 액정 셀(30)에 첩합하여, 광학 적층체(40)가 구성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직선 편광 필름(1)의 한 면에, 표면 처리층(2)을 갖는 제1 보호 필름(3)을 그 표면 처리층(2)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첩착하고, 직선 편광 필름(1)의 다른 면에는, 제2 보호 필름(4)을 첩착하여, 편광판(5)이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도, 편광판(5)이 동시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광학 필름(10)으로 되어 있다. 편광판(5)을 구성하는 제2 보호 필름(4)의 외측에는, 먼저 설명한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20)을 마련하여,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25)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점착제층(20)의 편광판(5)과는 반대측의 면을, 유리 기판인 액정 셀(30)에 첩합하여, 광학 적층체(40)가 구성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직선 편광 필름(1)의 한 면에, 표면 처리층(2)을 갖는 보호 필름(3)을 그 표면 처리층(2)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첩착하여, 편광판(5)이 구성되어 있다. 직선 편광 필름(1)의 보호 필름(3)과 반대측의 면에는, 층간 점착제(8)를 통해 위상차 필름(7)을 첩착하여, 광학 필름(10)이 구성되어 있다. 광학 필름(10)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7)의 외측에는, 앞서 설명한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20)을 마련하여,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25)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점착제층(20)의 광학 필름(10)과는 반대측의 면을, 유리 기판인 액정 셀(30)에 첩합하여, 광학 적층체(4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D)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직선 편광 필름(1)의 한 면에, 표면 처리층(2)을 갖는 제1 보호 필름(3)을 그 표면 처리층(2)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첩착하고, 직선 편광 필름(1)의 다른 면에는, 제2 보호 필름(4)을 첩착하여, 편광판(5)이 구성되어 있다. 편광판(5)을 구성하는 제2 보호 필름(4)의 외측에는, 층간 점착제(8)를 통해 위상차 필름(7)을 첩착하여, 광학 필름(10)이 구성되어 있다. 광학 필름(10)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7)의 외측에는, 앞서 설명한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20)을 마련하여,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25)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점착제층(20)의 광학 필름(10)과는 반대측의 면을, 유리 기판인 액정 셀(30)에 첩합하여, 광학 적층체(40)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예에 있어서, 제1 보호 필름(3) 및 제2 보호 필름(4)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외에, 앞서 서술한 각종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보호 필름(3)의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 처리층은,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등일 수 있다. 이것들 중 복수의 층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C) 및 (D)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편광판(5)에 위상차 필름(7)을 적층하는 경우, 중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이면, 이 위상차 필름(7)의 적합한 예로서, 1/4 파장판을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편광판(5)의 흡수축과 1/4 파장판인 위상차 필름(7)의 지상축이 거의 45도로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액정 셀(30)의 특성에 따라 그 각도를 45도로부터 어느 정도 옮기는 경우도 있다. 한편, 텔레비젼 등의 대형 액정 표시 장치이면, 액정 셀(30)의 위상차 보상이나 시야각 보상을 목적으로, 그 액정 셀(30)의 특성에 맞추어 각종 위상차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이 이용된다. 이 경우는, 편광판(5)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7)의 지상축이 거의 직교 또는 거의 평행의 관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상차 필름(7)을 1/4 파장판으로 구성하는 경우는, 일축 또는 이축의 연신 필름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위상차 필름(7)을 액정 셀(30)의 위상차 보상이나 시야각 보상의 목적으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필름 외에, 일축 또는 이축 연신에 더하여 두께 방향으로도 배향시킨 필름, 지지 필름 위에 액정 등의 위상차 발현 물질을 도포하여 배향 고정시킨 필름 등, 광학 보상 필름이라고 불리는 것을, 위상차 필름(7)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1(C) 및 (D)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편광판(5)과 위상차 필름(7)을, 층간 점착제(8)를 개재시켜 첩합하는 경우, 그 층간 점착제(8)에는, 앞서 설명한 이온성 화합물과 같은 대전 방지제가 배합되고, 대전 방지성이 부여된 점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 부분에는 통상, 대전 방지성이 요구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통례이다. 또한, 앞서 서술한 대형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편광판(5)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7)의 지상축이 거의 직교 또는 거의 평행의 관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로서, 편광판(5)과 위상차 필름(7)을 롤·투·롤 첩합할 수 있어, 양자 사이의 재박리성이 요구되지 않는 용도에 있어서는, 도 1(C) 및 (D)에 도시하는 층간 점착제(8) 대신에, 일단 접착하면 강고하게 접합하고, 박리할 수 없게 되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으로 구성되고, 용제인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접착력을 발현하는 수계 접착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접착력을 발현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C) 및 (D)에 도시한, 위상차 필름(7)에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20)이 형성된 것 자체도, 그것 자신으로 유통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이 될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위상차 필름 위에 형성한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그 점착제층을 유리 기판인 액정 셀에 첩합하여 광학 적층체로 할 수 있는 것 외에, 그 위상차 필름측에 편광판을 첩합하여, 별도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25)을 액정 셀(30)의 시인측에 배치하는 경우를 상정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배면측, 즉 백라이트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을 액정 셀의 배면측에 배치하는 경우는, 도 1에 도시한 표면 처리층(2)을 갖는 보호 필름(3) 대신에, 표면 처리층을 갖지 않는 보호 필름을 채용하고, 다른 것은 도 1의 (A)∼(D)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는, 편광판을 구성하는 보호 필름의 외측에, 휘도 향상 필름, 집광 필름, 확산 필름 등, 액정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각종 광학 필름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로부터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예컨대, 노트형, 데스크탑형,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용 액정 디스플레이, 텔레비젼, 차재용 디스플레이, 전자 사전,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전자 탁상 계산기, 시계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 중, 사용량 내지 함유량을 나타내는 「부」 및 「%」는, 특별히 거절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이하의 예에 있어서, 불휘발분은, JIS K 5407에 준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 용액을 임의의 중량으로 페트리 접시에 취하고, 방폭 오븐에서 115℃로 2 시간 건조시킨 후의 잔류 불휘발분 중량을, 최초에 측량한 용액의 중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 장치에, 컬럼으로서 도소(주) 제조의 "TSK gel XL" 4개, Shodex(주) 제조의 "GPC KF-802"를 1개, 계 5개 직렬로 배치하고, 용출액으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이용하여, 시료 농도 5 ㎎/mL, 시료 도입량 100 μL, 온도 40℃, 유속 1 mL/분의 조건으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따라 행하였다.
우선, 점착제 조성물의 주성분이 되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아크릴 수지(A), 및 이것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규정으로부터 벗어난 아크릴 수지를 제조한 예를 나타낸다.
[중합예 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갖춘 반응 용기에, 초산에틸 81.8 부, (A-1)로서 아크릴산부틸 93.6 부, (A-2)로서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5.0 부, (A-3)으로서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1.0 부 및 아크릴산 0.4 부의 혼합 용액을 넣고,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하여 산소 불포함으로 하면서 내부 온도를 55℃로 올렸다. 그 후,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중합 개시제) 0.14 부를 초산에틸 10 부에 녹인 용액을 전량 첨가하였다. 개시제 첨가 1 시간 후에, 단량체를 제외한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가 되도록, 첨가 속도 17.3 부/hr로 초산에틸을 연속적으로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면서 내부 온도 54∼56℃에서 12 시간 보온하고, 마지막으로 초산에틸을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710,000, Mw/Mn이 4.3이었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A)로 한다. 아크릴 수지(A)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2]
단량체 조성 중, 아크릴산부틸의 양을 90.6 부,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의 양을 8.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740,000, Mw/Mn이 4.1이었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B)로 한다. 아크릴 수지(B)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3]
단량체 조성 중, 아크릴산부틸의 양을 88.6 부,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의 양을 10.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560,000, Mw/Mn이 4.5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C)로 한다. 아크릴 수지(C)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4: 비교용]
단량체 조성 중, 아크릴산부틸의 양을 78.6 부,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의 양을 20.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370,000, Mw/Mn이 4.4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D)로 한다. 아크릴 수지(D)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5: 비교용]
단량체 조성 중, 아크릴산부틸의 양을 58.6 부,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의 양을 40.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270,000, Mw/Mn이 4.4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E)로 한다. 아크릴 수지(E)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6: 비교용]
단량체 조성 중, 아크릴산부틸의 양을 38.6 부,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의 양을 60.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270,000, Mw/Mn이 5.0이었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F)로 한다. 아크릴 수지(F)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7: 비교용]
단량체 조성 중 아크릴산부틸의 양을 98.6 부로 하고,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을 이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470,000, Mw/Mn이 4.4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G)로 한다. 아크릴 수지(G)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8]
단량체 조성 중, 아크릴산부틸의 양을 88.4 부,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의 양을 10.0 부, 아크릴산의 양을 0.6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530,000, Mw/Mn이 4.8이었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H)로 한다. 아크릴 수지(H)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6%이다.
[중합예 9]
단량체 조성을, (A-1)로서 아크릴산부틸 78.4 부 및 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10.0 부, (A-2)로서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10.0 부, (A-3)으로서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1.0 부 및 아크릴산 0.6 부로 변경하고, 그것 이외에는, 중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 수지의 초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540,000, Mw/Mn이 4.9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I)로 한다. 아크릴 수지(I)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6%이다.
[중합예 10: 비교용]
중합예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 용기에, 초산에틸 81.8 부, (A-1)로서 아크릴산부틸 90.6 부, (A-2)로서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8.0 부, (A-3)으로서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1.0 부 및 아크릴산 0.4 부의 혼합 용액을 넣고,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하여 산소 불포함으로 하면서 내부 온도를 55℃로 올렸다. 그 후,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중합 개시제) 0.14 부를 초산에틸 10 부에 녹인 용액을 전량 첨가하였다. 개시제 첨가 1 시간 후에, 단량체를 제외한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가 되도록, 첨가 속도 17.3 부/hr로 초산에틸을 연속적으로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면서 내부 온도 54∼56℃에서 4 시간 보온하였다. 그 후,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중합 개시제) 0.2 부를 초산에틸 10 부에 녹인 용액을 전량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8 시간 보온하고, 마지막으로 초산에틸을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70,000, Mw/Mn이 8.2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J)로 한다. 아크릴 수지(J) 중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1%이며, 또한 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인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0.4%이다.
중합예 1∼10의 단량체 조성, 중량 평균 분자량, Mw/Mn의 일람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중, BA는 아크릴산부틸을, MEA는 아크릴산 2-메톡시에틸을, PEA는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을, HEA는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을, AA는 아크릴산을 각각 의미한다.
Figure pct00003
다음에, 위에서 제조한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점착제를 조제하여, 광학 필름에 적용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온성 화합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온성 화합물 1: N-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하기 식의 구조를 가지고, 융점 44℃)
Figure pct00004
이온성 화합물 2: N-헥실-4-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하기 식의 구조를 가지고, 융점 18℃)
Figure pct00005
이온성 화합물 3: 트리옥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하기 식의 구조를 가지고, 상온에서 액체)
Figure pct00006
이온성 화합물 4: 트리부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하기 식의 구조를 가지고, 융점 28℃)
Figure pct00007
또한, 가교제 및 실란계 화합물로서,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였다(모두 상품명).
<가교제>
콜로네이트 L: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체의 초산에틸 용액(고형분 농도 75%), 니혼폴리우레탄(주)로부터 입수.
<실란계 화합물>
KBM-403: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액체), 신에츠카가쿠코교(주)로부터 입수.
[실시예 1∼8 및 비교예 1∼6]
(a) 점착제의 제조
중합예 1∼10에서 얻은 아크릴 수지(A∼J)의 고형분 각각 100 부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내는 각각의 양의 이온성 화합물, 0.5 부의 실란계 화합물(KBM-403),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각의 양의 가교제(콜로네이트 L)를 혼합하고, 또한 고형분 농도가 13%가 되도록 초산에틸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가교제(콜로네이트 L)는, 전술한 대로 고형분 농도 75%의 초산에틸 용액이지만, 표 2에 나타내는 첨가량은, 그 고형분량이다.
(b)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의 제작
위의 각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PET 3811", 린텍(주)으로부터 입수, 세퍼레이터라고 부른다)의 이형 처리면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0 ㎛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1 분간 건조시켜, 시트형의 점착제를 얻었다. 계속해서,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의 양면을 트리아세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에 사이에 끼운 3층 구조의 편광판의 한 면에, 위에서 얻은 시트형 점착제의 세퍼레이터와 반대측의 면(점착제면)을 라미네이터에 의해 첩합시킨 후, 온도 23℃, 상대 습도 65%의 조건에서 7 일간 양생하여, 점착제를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c)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의 대전 방지성 평가
얻어진 점착제를 갖는 편광판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였을 때에, 점착제의 표면 저항값을 표면 고유 저항 측정 장치[미쓰비시카가쿠(주) 제조의 "Hirest-up MCP-HT450"(상품명)]로 측정하여, 대전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표면 저항값이 1011 Ω/□ 오더 또는 그 이하이면, 양호한 대전 방지성을 얻을 수 있다.
(d) 광학 적층체의 제작 및 평가
상기 (b)에서 제작한 점착제를 갖는 편광판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벗긴 후, 그 점착제면을 액정 셀용 유리 기판[코닝사 제조의 "1737"(상품명)]의 양면에 크로스니콜이 되도록 첩착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이 광학 적층체에 대해, 온도 80℃의 건조 조건 하에서 96 시간 보관하는 내열 시험을 행하였다. 그 후, 한쪽의 편광판 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화이트 스폿의 발현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표 2의 「화이트 스폿(80℃ 건조)」의 란에 나타내었다.
<화이트 스폿의 발현 상태>
1: 화이트 스폿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2: 화이트 스폿이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3: 화이트 스폿이 약간 눈에 띈다.
4: 화이트 스폿이 현저하게 보인다.
또한, 온도 80℃의 건조 조건 하에서 300 시간 보관하는 내열 시험을 행한 경우(표 2에서는 「내열」이라고 표기)와, 온도 60℃, 상대 습도 90%에서 300 시간 보관하는 내습열 시험을 행한 경우(표 2에서는 「내습열」이라고 표기)와, 70℃로 가열한 상태로부터 -30℃로 온도를 내리고, 계속해서 70℃로 승온하는 과정을 1 사이클(1 시간)로 하여, 이것을 100 사이클 반복하는 내히트쇼크 시험을 행한 경우(표 2에서는「내HS」라고 표기)의 각각에 대해서, 시험 후의 광학 적층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표 2에 정리하였다.
<열, 습열 및 히트쇼크에 대한 내구성(표 2에서는 각각, 「내열」, 「내습열」 및 「내HS」라고 기재한다)의 평가 기준>
1: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2: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3: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약간 눈에 띈다.
4: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현저하게 보인다.
(e)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의 리워크성 평가
리워크성의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우선, 상기 (b)에서 얻어진 점착제를 갖는 편광판을 25 ㎜×150 ㎜의 크기의 시험편으로 재단하였다. 다음에, 이 시험편을 그 점착제 측에서, 첩부 장치[후지플라스틱(주) 제조의 "라미파커"(상품명)]를 이용하여 액정 셀용 유리 기판에 첩부하고, 50℃, 5 ㎏/㎠(490.3 ㎪)로 20 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행하였다. 다음에 70℃에서 2 시간 가열 처리하고, 계속해서 50℃의 오븐 중에서 48 시간 보관한 후,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이 첩착 시험편으로부터 편광판을 300 ㎜/분의 속도로 180°방향으로 박리하고, 유리판 표면의 상태를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결과를, 정리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리워크성의 평가 기준>
1: 유리판 표면에 흐릿함 등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2: 유리판 표면에 흐릿함 등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3: 유리판 표면에 흐릿함 등이 보인다.
4: 유리판 표면에 점착제 잔여가 보인다.
Figure pct00008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아크릴 수지에 이온성 화합물 및 가교제를 소정량 배합하여 점착제를 구성한 실시예 1∼8은, 대전 방지성, 화이트 스폿 방지성 및 리워크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 내습열성 및 내히트쇼크성에 있어서도, 거의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는, 대전 방지성, 화이트 스폿 방지성, 리워크성, 내열성, 내습열성 및 내히트쇼크성의 전부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하여,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20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비교예 1∼3, 및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비교예 4는, 화이트 스폿 방지성이 부족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의 겔분율에 달하지 않은 비교예 5는, 내열 시험, 내습열 시험 및 내히트쇼크 시험에 있어서,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눈에 띄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분자량 분포가 큰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비교예 6은, 화이트 스폿 방지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금번 개시된 실시의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높은 대전 방지성이 부여됨과 동시에, 그 대전 방지성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고, 또한 내구성도 우수하다. 이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1: 직선 편광 필름, 2: 표면 처리층, 3: 제1 보호 필름, 4: 제2 보호 필름, 5: 편광판, 7: 위상차 필름, 8: 층간 점착제, 10: 광학 필름, 20: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25: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30: 액정 셀(유리 기판), 40: 광학 적층체.

Claims (9)

  1.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A) (A-1) 하기 식 (I):
    Figure pct00009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80∼96 중량%,
    (A-2)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3∼15 중량%, 및
    (A-3)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0.1∼5 중량%
    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200만,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가 3∼7인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B) 유기 양이온을 가지고 융점이 80℃ 이하인 이온성 화합물 0.2∼8 중량부, 및
    (C) 가교제 0.01∼5 중량부
    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70∼99 중량%의 겔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분자 내에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1개 이상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2)가 하기 식 (II):
    Figure pct00010

    (식 중,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8의 정수이며, R4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방향 고리 함유 (메타)아크릴모노머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A-3)의 극성 관능기가 유리 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및 에폭시 고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C)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양이온을 갖는 이온성 화합물(B)의 융점이 30℃ 이상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D) 실란계 화합물 0.03∼1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은 편광판 및 위상차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 필름이 첩착(貼着)되어 있는 것인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
  9. 제1항에 기재된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이 그 점착제층 측에서 유리 기판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KR1020117003978A 2008-08-11 2009-08-07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KR101635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7234 2008-08-11
JPJP-P-2008-207234 2008-08-11
PCT/JP2009/064038 WO2010018794A1 (ja) 2008-08-11 2009-08-07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011A true KR20110045011A (ko) 2011-05-03
KR101635234B1 KR101635234B1 (ko) 2016-06-30

Family

ID=4166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978A KR101635234B1 (ko) 2008-08-11 2009-08-07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54673B2 (ko)
KR (1) KR101635234B1 (ko)
CN (1) CN102119349B (ko)
TW (1) TWI454551B (ko)
WO (1) WO201001879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502A (ko) * 2011-11-24 2014-07-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 형성 편광 필름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40094499A (ko) * 2011-11-24 2014-07-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형성 장치
US10422935B2 (en) 2012-08-31 2019-09-2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KR20190114043A (ko) * 2015-01-27 2019-10-08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가식 성형체
KR20190125347A (ko) * 2017-03-28 2019-11-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 필름, 인셀형 액정 패널용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 필름, 인셀형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9357B2 (ja) * 2009-10-07 2014-07-16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パネル
JP4820443B2 (ja) * 2009-11-20 2011-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540863B2 (ja) * 2010-04-22 2014-07-02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5607442B2 (ja) * 2010-07-09 2014-10-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ルオロポリマー系粘接着性組成物
JP5583001B2 (ja) * 2010-12-24 2014-09-03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JP5648494B2 (ja) * 2011-01-25 2015-01-07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JP6008027B2 (ja) * 2011-03-10 2016-10-19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5842439B2 (ja) * 2011-03-10 2016-01-1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5800260B2 (ja) * 2011-03-23 2015-10-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剤組成物
KR101522231B1 (ko) * 2011-09-20 2015-05-2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금속면 첩부용 점착 시트
JP5860673B2 (ja) 2011-11-07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06064B2 (ja) * 2011-11-21 2016-04-20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I541315B (zh) 2011-12-28 2016-07-11 綜研化學股份有限公司 光學構件用黏著劑組成物及使用該組成物之黏著片、附黏著劑層之光學構件及平面面板顯示器
JP2013163783A (ja) * 2012-02-13 2013-08-22 Fujimori Kogyo Co Ltd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882774B2 (ja) * 2012-02-13 2016-03-09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879160B2 (ja) * 2012-03-06 2016-03-08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949014B2 (ja) * 2012-03-21 2016-07-06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JP5425258B2 (ja) 2012-04-16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68407B2 (ja) * 2012-07-27 2018-01-31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607691B2 (ja) * 2012-08-06 2014-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87896B2 (ja) * 2012-11-16 2017-08-30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940443B2 (ja) * 2012-12-06 2016-06-2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付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5901548B2 (ja) * 2013-01-17 2016-04-13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6630933B2 (ja) * 2013-06-07 2020-01-1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CN103424798B (zh) * 2013-08-23 2016-06-29 佛山纬达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抗静电偏光片
KR20160048824A (ko) * 2013-08-23 2016-05-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I602896B (zh) * 2013-08-26 2017-10-21 Nitto Denko Corp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6602201B2 (ja) * 2013-08-29 2019-11-06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付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5952242B2 (ja) * 2013-09-04 2016-07-13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002701B2 (ja) * 2014-01-27 2016-10-0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5886338B2 (ja) * 2014-02-21 2016-03-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光学部材セット及びタッチ入力式画像表示装置
KR20160134681A (ko) * 2014-03-18 2016-11-23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JP5947341B2 (ja) * 2014-07-17 2016-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79237A (ja) * 2014-10-14 2016-05-16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偏光板および積層体
CN105738999B (zh) * 2014-12-26 2019-10-1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层叠体
JP2015091988A (ja) * 2015-01-09 2015-05-14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570266B2 (ja) * 2015-03-06 2019-09-04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6570280B2 (ja) * 2015-03-17 2019-09-04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光学積層体
JP6550250B2 (ja) * 2015-03-27 2019-07-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6755089B2 (ja) * 2015-11-27 2020-09-1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64644B2 (ja) * 2016-02-04 2018-08-01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フィルム
JP6131351B2 (ja) * 2016-02-15 2017-05-17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130530B2 (ja) * 2016-02-15 2017-05-17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382873B2 (ja) 2016-03-11 2018-08-29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光学部材
JP6390661B2 (ja) * 2016-04-19 2018-09-1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931339B2 (ja) * 2016-06-02 2021-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73299B2 (ja) * 2016-06-02 2018-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43491B2 (ja) * 2016-08-19 2017-12-06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363262B2 (ja) * 2017-06-12 2018-07-25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フィルム
JP6386152B2 (ja) * 2017-10-11 2018-09-0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525355B2 (ja) * 2017-11-01 2019-06-05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8124578A (ja) * 2018-04-27 2018-08-09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光学部材
JP6970169B2 (ja) * 2018-06-26 2021-11-24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6635613B2 (ja) * 2018-06-26 2020-01-29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6564995B1 (ja) 2018-06-27 2019-08-28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粘着剤シート
JP6585248B2 (ja) * 2018-08-07 2019-10-02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936840B2 (ja) * 2018-08-07 2021-09-22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669823B2 (ja) * 2018-08-28 2020-03-18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669824B2 (ja) * 2018-08-28 2020-03-18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951488B2 (ja) * 2018-08-28 2021-10-20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864031B2 (ja) * 2019-04-26 2021-04-21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7474118B2 (ja) 2019-05-30 2024-04-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及び粘着テープ
JP2021018416A (ja) * 2019-07-17 2021-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
JP7333852B2 (ja) 2019-09-03 2023-08-2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JP7239660B2 (ja) * 2020-02-26 2023-03-14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807A (ja) 1993-04-28 1994-11-08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
JP2004114665A (ja) 2002-09-20 2004-04-15 Trekion Co Ltd 制電性を有する,接着剤又は塗料及びそれらを含む積層体
JP2004536940A (ja) 2001-08-02 2004-12-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的に透明な帯電防止性感圧粘着剤
JP2006307238A (ja) 2004-04-19 2006-11-09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JP2007138056A (ja) 2005-11-21 2007-06-07 Soken Chem & Eng Co Ltd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
KR20080024215A (ko) * 2005-06-24 2008-03-17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대전방지 아크릴 점착제
KR20080047436A (ko) * 2005-09-20 2008-05-28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판
KR20080070756A (ko) * 2005-11-21 2008-07-30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및 이것을이용한 광학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4807B (zh) * 2005-09-20 2013-05-01 Soken Kagaku Kk 偏光板用黏著劑組成物及附有黏著劑層之偏光板
JP4805240B2 (ja) * 2006-12-15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76173A (ja) * 2007-01-22 2008-07-31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JP5493158B2 (ja) * 2007-06-19 2014-05-14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2009173720A (ja) * 2008-01-23 2009-08-06 Toyo Ink Mfg Co Ltd 帯電防止性アクリル系感圧式接着剤および該感圧式接着剤を用いた帯電防止性感圧式接着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807A (ja) 1993-04-28 1994-11-08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
JP2004536940A (ja) 2001-08-02 2004-12-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的に透明な帯電防止性感圧粘着剤
JP2004114665A (ja) 2002-09-20 2004-04-15 Trekion Co Ltd 制電性を有する,接着剤又は塗料及びそれらを含む積層体
JP2006307238A (ja) 2004-04-19 2006-11-09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KR20080024215A (ko) * 2005-06-24 2008-03-17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대전방지 아크릴 점착제
KR20080047436A (ko) * 2005-09-20 2008-05-28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판
JP2007138056A (ja) 2005-11-21 2007-06-07 Soken Chem & Eng Co Ltd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
KR20080070756A (ko) * 2005-11-21 2008-07-30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및 이것을이용한 광학 부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502A (ko) * 2011-11-24 2014-07-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 형성 편광 필름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40094499A (ko) * 2011-11-24 2014-07-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형성 장치
US10422935B2 (en) 2012-08-31 2019-09-2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KR20190114043A (ko) * 2015-01-27 2019-10-08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가식 성형체
KR20190125347A (ko) * 2017-03-28 2019-11-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 필름, 인셀형 액정 패널용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 필름, 인셀형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9349B (zh) 2014-07-09
JP5354673B2 (ja) 2013-11-27
TWI454551B (zh) 2014-10-01
WO2010018794A1 (ja) 2010-02-18
KR101635234B1 (ko) 2016-06-30
JP2010066755A (ja) 2010-03-25
TW201020306A (en) 2010-06-01
CN102119349A (zh)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5011A (ko)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JP5354674B2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KR101532104B1 (ko) 점착제가 부착된 수지 필름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JP5842439B2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5648494B2 (ja) 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KR101494459B1 (ko) 점착제 첨부 광학 필름
KR102040998B1 (ko) 점착제 시트,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광학 적층체, 및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JP5540863B2 (ja) 粘着剤付き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5386808B2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が積層された光学積層体
KR20100085017A (ko) 점착제가 부착된 광학 필름 및 광학 적층체
KR10253880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시트 및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JP5949014B2 (ja) 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KR102390086B1 (ko)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광학 적층체
JP2007316377A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
KR20110037894A (ko) 액정 패널
JP2022125327A (ja) 粘着剤付き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光学積層体
JP6008027B2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5515780B2 (ja) 液晶パネル
JP6197919B2 (ja) 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