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136A -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 - Google Patents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136A
KR20110031136A KR1020100091949A KR20100091949A KR20110031136A KR 20110031136 A KR20110031136 A KR 20110031136A KR 1020100091949 A KR1020100091949 A KR 1020100091949A KR 20100091949 A KR20100091949 A KR 20100091949A KR 20110031136 A KR20110031136 A KR 20110031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sound
cover
resi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622B1 (ko
Inventor
다다시 모리
모토노리 곤도
가나메 아리미즈
다카히로 니와
마사키 요시하라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impregnat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84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mounting around noise sources, e.g. air blow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 성능이 보다 우수하고, 경량인 방음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흡음재와, 흡음재에 적층되고, JIS L1018(1999)로 측정한 통기율이 10 cc/㎠·sec 이하인 연질 차음층과, 연질 차음층과의 사이에서 공기층을 형성하고, JIS K7127(1999)로 측정한 영률이 0.2∼1.5 GPa인 연질 커버를 구비하고, 공기층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Description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SOUND ABSORBING COV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OF SOUND ABSORBING}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의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구동계에 장착되는 방음 커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부에는 많은 음원이 있어, 차 내외의 소음때문에 정숙성이 요구된다는 관점에서 여러가지 방음 대책이 취해지고 있으며, 특히 엔진, 트랜스미션, 구동계와 같은 큰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고유 음원)에 대해서는, 발생원에 가까운 위치에서 방음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에 흡차음 성능이 우수한 전용 방음 커버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저소음화 부품의 요구는, 연이은 법 개정에 의한 차 외 소음 레벨 규제의 강화 및 차 내의 소음의 정숙화가 차의 가치(고급감)에 직결되는 점과 더불어 매우 높아지고, 특히 2013년도에 유럽 연합에서 도입할 예정인 차 외 소음 규제는, 최종적으로 종래 규제치에 대하여 -3 dB(음압 에너지로서 1/2로 저감이 필요)로 엄격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는 엔진룸 내의 주 소음 발생원으로서의 엔진 본체 및 트랜스미션 등 고유 음원에 대한 소음 저감 대책이 불가결하여, 종래부터 엔진 상면측의 엔진 톱 커버 등 여러가지 방음 부품이 사용되고 있지만, 더 나은 성능의 향상과 저연비화의 관점에서의 경량화가 요구되어 왔다.
종래의 방음 커버는, 고유 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직접 소음을 차음하는 것에 주안을 두고 설계되어 있고, 금속 또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를 성형한 강체 커버의 고유 음원측, 또는 그 일부에 흡음재를 덧붙임 시공한 구조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방음 커버의 차음 성능은 질량법칙(Mass Law)에 따르고 있고, 강체 커버의 중량에 의존하고 있어, 경량화의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고유 음원이 진동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방음 커버를 엔진 등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점 등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강체 커버가 쉽게 진동 변형되지 않아 운동 에너지로서 감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강성 차음층으로부터 2차 방사가 발생하여, 오히려 소음 레벨을 악화시키는 사례도 있다.
또한, 자동차의 차 안팎 소음의 평가에는, 소음 자체가 인간의 감각량이기 때문에, 소리의 크기를 사람이 소리를 느끼는 양에 가까운 기준으로 해서, 관측된 음압을 대수 압축한 음압 레벨(dB)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합적인 방음 효과(음압 레벨의 증감)를 평가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4(다)방향 평균(합음)을 취한 경우, dB 합 계산의 성격상, 측정된 가장 큰 소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 때문에, 방음 대책을 취한 1방향에서만 레벨이 낮더라도 전체적으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인간의 감각량인 음압 레벨이 내려가지 않는 경우가 있어, 각 방향의 음압 레벨을 맞춰서 고르게 저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강체 커버에 흡음재를 접착한 구조의 방음 커버에서는, 고유 음원이 진동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진동 전달(고체 전반음)에 의해, 강체 커버가 공명하여 그 자체가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위 「2차 방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통상은 고무 부시 등의 진동 절연재를 통해 고유 음원에 고정해야 한다. 그 때문에, 필연적으로 방음 커버 주연 단부(端部)와 고유 음원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부분으로부터 내면 반향음(정재파)이 누설되어 소음 레벨 저감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출원인은 먼저 고유 음원이 진동을 수반하는 경우의 고체 전반음이나 방음 커버의 내면 반향음(정재파)에 대한 대책의 목적에서, 강체 커버 대신에 제진성(制振性)을 갖는 수지를 코팅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연질 차음층, 및 흡음재의 고유 음원과는 반대측 면에 마련한 방음 커버(특허문헌 2 참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한 방음 커버에서는, 연질 차음층의 제조상의 문제로부터 그 질량에 한계가 있어, 고질량의 강체 커버와 비교하여 4 kHz 이상의 고주파수영역의 차음 성능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0535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98966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지금까지보다 방음 성능이 우수하고 경량인 방음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의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을 제공한다.
(1) 음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흡음재와, 이 흡음재에 적층되고, JIS L1018(1999)로 측정한 통기율이 10 cc/㎠·sec 이하인 연질 차음층과, 이 연질 차음층과의 사이에서 공기층을 형성하고, JIS K7127(1999)로 측정한 영률이 0.2∼1.5 GPa인 연질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층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2) 상기 (1)에 기재한 방음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연질 차음층의 JIS K7127(1999)로 측정한 영률은 상기 연질 커버의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방음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연질 커버와 상기 연질 차음층이 접촉하는 주연 단부를 구비하고, 이 주연 단부는 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4)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방음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연질 커버의 주연 단부와 상기 연질 차음층의 주연 단부가 직접 또는 시일 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5) JIS K7127(1999)로 측정한 영률이 0.2∼1.5 GPa인 연질 커버를 성형하는 공정과,
흡음재와, JIS L1018(1999)로 측정한 통기율이 10 cc/㎠·sec 이하인 연질 차음층의 적층체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연질 차음층은 상기 연질 커버와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이 연질 차음층과 이 연질 커버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연질 커버의 주연 단부와, 연질 차음층의 주연 단부를 연결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의 제조 방법.
(6)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 있어서,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방음 커버를 상기 흡음재가 엔진에 접촉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방법.
본 발명의 방음 커버는, 음원과 대향하게 배치된 흡음재에 입사되는 소리의 진동을, 영률이 낮고 진동 변형을 받기 쉬운 연질 차음층에 의해 감쇠시키고, 그 후 공기층을 투과할 때에 더욱 감쇠시키며, 최종적으로 최표층이 되는 연질 커버로 차음한다. 게다가, 공기층은 밀봉되어 있어, 공기층으로부터 소리가 누설되지도 않는다. 또한, 종래의 강체 커버 대신에 연질 커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2차 방사가 없고 경량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음 커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음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음 커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음 커버의 방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방음 커버의 방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방음 커버의 방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방음 커버의 방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방음 커버의 방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6 및 비교예 6의 방음 커버의 방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음 커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원(도면 중 아래쪽)과 대향하게 흡음재(4)가 배치되고, 음원과는 반대측 면에 연질 차음층(5)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연질 차음층(5)과 소정 간격으로 연질 커버(6)가 중첩되어 있고, 연질 차음층(5)과 연질 커버 사이에 공기층(8)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질 차음층(5)의 주연 단부와 연질 커버(6)의 주연 단부는 시일 부재(7)로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 공기층(8)이 밀봉된다. 여기서, 음원으로서는,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 마련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구동계, 모터, 컴프레서, 발전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음 커버는 특히 강한 진동을 수반하는 엔진에 대하여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흡음재에는 제한이 없고, 단위 중량이 바람직하게는 100∼5000 g/㎡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0∼1500 g/㎡인 다공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질 재료로서는, 예컨대, 유리 섬유, 암석 섬유, 암면 장섬유(츄부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바솔트(basalt) 파이버」 등), 폴리우레탄 폼(foam),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페놀 폼, 멜라민 폼,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EPDM 등을 연통 기포형으로 발포시킨 것, 혹은 이들을 발포한 후에 크러싱(crushing) 가공 등을 행하고 폼 셀에 구멍을 내어 연통 기포화한 것,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펠트, 나일론 섬유 펠트, 폴리에틸렌 섬유 펠트, 폴리프로필렌 섬유 펠트, 아크릴 섬유 펠트, 실리카-알루미나 세라믹스 섬유 펠트, 실리카 섬유 펠트(니치아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텍스」 등), 면, 양모, 목모, 부스러기 섬유 등을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펠트형으로 가공한 것[일반명: 레진 펠트(resin felt)] 등의 일반적인 다공질 흡음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음재에는, 섬유류의 비산 방지나 제품 외관 향상의 목적에서, 폴리에틸렌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나일론 장섬유, 테트론 장섬유, 아크릴 장섬유, 레이온 장섬유, 비닐론 장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장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장섬유 등 불소 수지 장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폴리에스테르 장섬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2층 구조 장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 단체(單體) 및 이들을 혼초(混抄)한 것을 스펀본드법(spunbond)에 의해 얇은 시트형으로 성형한 단위 중량 15∼150 g/㎡의 얇고, 유연성을 갖는 부직포를, 음원측의 면(도면 중 하면)에 접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장섬유"란, 예컨대 평균 섬유 길이가 51㎜를 초과하고 있는 유기 및 무기 섬유를 말하고, 연속 섬유(continuous fiber)라고도 칭한다.
연질 커버(6)는, 영률이 0.2∼1.5 GPa, 바람직하게는 0.5∼1.2 GPa인 범위에 한정된다. 영률은, JIS K7127(1999)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영률이 0.2 GPa 미만에서는 연질 차음층(5)과의 유연성의 차가 작아, 충분한 공기 스프링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영률이 1.5 GPa를 넘으면, 영률(탄성율)의 역수로 나타나는 유연성(H)이 지나치게 작아져, 방음 커버를 엔진 등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점 등을 통해 음원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고체 전반음(진동)을 연질 커버(6)가 역학적 에너지(1/2·Hf2; f는 연질 커버(6)의 진동을 힘으로서 나타낸 값)로서 충분히 흡수할 수 없어, 표면으로부터 2차 방사가 발생한다. 또한, 고체 전반음의 흡수에 대해서는, 「에너지 원리에 의한 점성의 발생 메카니즘」(자동차 기술 Vol.63, 2009, 55∼61 페이지)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연질 커버(6)는 비통기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기율이 10 cc/㎠·sec 이하, 0.001∼10 cc/㎠·sec, 바람직하게는 0.01∼1 cc/㎠·sec일 필요가 있다. 또한, 통기율은 JIS L1018(1999)로 측정한 값이다.
연질 커버(6)가 상기한 영률, 통기율을 만족하는 한, 그 재질에 제한은 없지만, 부직포, 직물, 라미네이트 필름, 고무 시트, 수지 필름, 제진 수지, 제진 고무,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적층체나, 제진 수지를 코팅한 부직포 또는 직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하기 A∼H에 기재한 재료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재료는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어 연질 커버(6)가 된다. 또한, 연질 커버(6)에, 부직포나 직물을 이용한 경우, 부직포나 직물이 최외층 표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A. 폴리에틸렌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나일론 장섬유, 테트론 장섬유, 아크릴 장섬유, 레이온 장섬유, 비닐론 장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장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장섬유 등의 불소 수지 장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폴리에스테르 장섬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2층 구조 장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스펀본드 공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성형한 부직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멀젼, 폴리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젼, 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 등의 상온(20℃)∼150℃의 온도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가 있고, 제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 코팅하여, 부직포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진성 수지 피막 또는 제진성 고무 피막을 형성한 것.
B. 폴리에틸렌 단섬유,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나일론 단섬유, 테트론 단섬유, 아크릴 단섬유, 레이온 단섬유, 비닐론 단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단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단섬유 등의 불소 수지 단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2층 구조 단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단섬유, 양모, 면, 목모, 케나프 섬유(kenaf fiber) 등 천연 소재로 제작되는 단섬유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케미컬 본드, 서멀 본드, 스티치 본드, 니들 펀치 등의 공법으로 성형한 부직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멀젼, 폴리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젼, 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 등의 상온(20℃)∼150℃의 온도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가 있고, 제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 코팅하여, 부직포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진성 수지 피막 또는 제진성 고무 피막을 형성한 것. 여기서, "단섬유"란, 예컨대 평균 섬유 길이가 1 ~ 51 ㎜인 유기 및 무기 섬유를 말함.
C. 유리 섬유, 암석 섬유, 암면 장섬유(츄부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바솔트 파이버」 등), 실리카 섬유(니치아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텍스」 등), 실리카-알루미나 세라믹 섬유, 알루미나 섬유, 탄화규소 위스커(whisker) 등의 위스커류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중량비가 10% 이하인 바인더(예컨대 요소 변성 페놀 수지 등)로 케미컬 본드하여 제작한 부직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멀젼, 폴리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젼, 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 등의 상온(20℃)∼150℃의 온도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가 있고, 제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 코팅하여, 부직포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진성 수지 피막 또는 제진성 고무 피막을 형성한 것.
D. 상기 A의 폴리에틸렌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나일론 장섬유, 테트론 장섬유, 아크릴 장섬유, 레이온 장섬유, 비닐론 장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장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장섬유 등의 불소 수지 장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폴리에스테르 장섬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2층 구조 장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스펀본드 공법에 의해 얇은 시트형으로 성형한 부직포 또는, 상기 C의 유리 섬유, 암석 섬유, 실리카 섬유(니치아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텍스」 등), 실리카-알루미나 세라믹 섬유, 알루미나 세라믹 섬유, 탄화규소 위스커 등의 위스커류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중량비가 10% 이하인 바인더(예컨대 요소 변성 페놀 수지 등)로 케미컬 본드하여 제작한 부직포와, 상기 B의 폴리에틸렌 단섬유,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나일론 단섬유, 테트론 단섬유, 아크릴 단섬유, 레이온 단섬유, 비닐론 단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단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단섬유 등의 불소 수지 단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2층 구조 단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단섬유, 양모, 면, 목모, 케나프 섬유 등 천연 소재로 제작되는 단섬유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케미컬 본드, 서멀 본드, 스티치 본드, 니들 펀치 등의 공법으로 성형한 부직포를 적층하고, 이 부직포 적층체의 단면 또는 양면에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멀젼, 폴리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젼, 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 등의 상온(20℃)∼150℃의 온도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가 있고, 제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 코팅하여, 부직포 적층체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진성 수지 피막 또는 제진성 고무 피막을 형성한 것.
E. 폴리에틸렌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나일론 장섬유, 테트론 장섬유, 아크릴 장섬유, 레이온 장섬유, 비닐론 장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장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장섬유 등의 불소 수지 장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폴리에스테르 장섬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2층 구조 장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 페놀 수지 섬유(니혼카이놀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ynol」 등) 등의 열경화성 수지 장섬유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평직, 능직 등의 방법으로 짠 직물의 단면 또는 양면에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멀젼, 폴리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젼, 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 등의 상온(20℃)∼150℃의 온도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가 있고, 제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 코팅하여, 직물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진성 수지 피막 또는 제진성 고무 피막을 형성한 것.
F. 유리 장섬유, 암면 장섬유(츄부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바솔트 파이버」 등), 실리카 섬유(니치아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텍스」 등), 실리카-알루미나 세라믹 섬유, 알루미나 섬유 단체, 혹은 이들을 혼초한 것을 평직, 능직 등의 방법으로 짠 직물의 단면 또는 양면에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멀젼, 폴리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젼, 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 등의 상온(20℃)∼150℃의 온도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가 있고, 제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 코팅하여, 직물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진성 수지 피막 또는 제진성 고무 피막을 형성한 것.
G. 상기 E의 폴리에틸렌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나일론 장섬유, 테트론 장섬유, 아크릴 장섬유, 레이온 장섬유, 비닐론 장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장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장섬유 등의 불소 수지 장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폴리에스테르 장섬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2층 구조 장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 페놀 수지 섬유(니혼카이놀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ynol」 등) 등의 열경화성 수지 장섬유라고 하는 유기계 장섬유와, 상기 F의 유리 장섬유, 암면 장섬유(츄부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바솔트 파이버」 등), 실리카 섬유(니치아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텍스」 등), 실리카-알루미나 세라믹 섬유, 알루미나 섬유라고 하는 무기계 장섬유를 혼초한 것을 평직, 능직 등의 방법으로 짠 직물의 단면 또는 양면에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멀젼, 폴리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젼, 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 등의 상온(20℃)∼150℃의 온도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가 있고, 제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 코팅하여, 직물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진성 수지 피막 또는 제진성 고무 피막을 형성한 것.
H.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610, 나일론612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레이온 수지, 비닐론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수지 등의 불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푸란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 염소화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폴리메틸펜텐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라고 하는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플루오르실리콘 고무라고 하는 고무 등을 가공한 것.
연질 커버(6)의 질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200∼5000 g/㎡, 바람직하게는 400∼1500 g/㎡이면 좋다. 또한, 연질 커버(6)의 두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0.5∼5 mm, 바람직하게는 1∼3 mm이면 좋다.
연질 차음층(5)은, 비통기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기율이 10 cc/㎠·sec 이하, 0.001∼10 cc/㎠·sec, 바람직하게는 0.01∼1 cc/㎠·sec의 층이다. 또한, 연질 차음층(5)은, 자신이 변형하여 흡음재(4)를 투과한 소리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때문에, 보다 유연해야 하고, 영률로서 연질 커버(6)의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면 좋고, 구체적으로, 영률이 0.01∼0.5 GPa, 바람직하게는 0.02∼0.12 GPa이면 좋다.
또한, 연질 차음층(5)은, 상기한 통기율과 영률을 만족하는 한, 그 재질에는 제한은 없고, 부직포, 직물, 라미네이트 필름, 고무 시트, 수지 필름, 제진 수지, 제진 고무,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적층체나, 제진 수지를 코팅한 부직포 또는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연질 커버(6)로 예를 든 A∼H로 이루어지는 얇은 시트나 필름으로 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는 두께를 얇게 하여 영률이 상기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연질 커버(6)의 두께가 0.5∼5 mm인 경우에는, 연질 차음층(5)을 25∼100 ㎛으로 설정하면 좋다.
시일 부재(7)는 비통기성의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나 필름이며, 예컨대, 영률이 0.1∼0.5 GPa인 아크릴 고무, 천연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불소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EPDM 블렌드 폴리머(TPO),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SBC), 폴리에테르우레탄-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TPU)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상온(20℃)∼150℃ 부근의 영역에 손실 정접의 피크를 갖는 탄성 재료, 혹은 저분자량의 폴리아미드12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초산비닐 수지 등을 필름화한 유연성을 갖는 핫멜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공기층(8)은, 연질 커버(6)와 연질 차음층(5) 사이에 규정되고, 밀폐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층(8)에 통기성 재료(9)를 충전하더라도 좋다. 공기층(8)에 통기성 재료(9)를 충전하더라도 연질 커버(6)에 의한 차음 성능에는 거의 차이가 없고, 방음 커버 전체로서의 보형성이 높아지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통기성 재료는, 진동이 직접 전달될 정도로 딱딱한 것이 아니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단위 중량이 50∼500 g/㎡인 다공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질 재료로서는, 예컨대, 유리 섬유, 암석 섬유, 암면 장섬유(츄부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바솔트 파이버」 등),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페놀 폼, 멜라민 폼,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EPDM 등을 연통 기포형으로 발포시킨 것, 혹은 이들을 발포한 후에 크러싱 가공 등을 행하고 폼 셀에 구멍을 내어 연통 기포화한 것,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펠트, 나일론 섬유 펠트, 폴리에틸렌 섬유 펠트, 폴리프로필렌 섬유 펠트, 아크릴 섬유 펠트, 실리카-알루미나 세라믹스 섬유 펠트, 실리카 섬유 펠트(니치아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텍스」 등), 면, 양모, 목모, 부스러기 섬유 등을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펠트형으로 가공한 것(일반명: 레진 펠트)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음 커버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800∼2000 g/㎡, 더 바람직하게는 800∼1500 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0∼1500 g/㎡이라고 하는 정도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덧붙여, 종래의 강체 커버를 구비하는 방음 커버의 질량이 5000 g/㎡를 넘는 것을 생각하면, 종래품에 비해 그 질량을 1/2 이하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량화는 연비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방음 커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흡음재(4)와 연질 차음층(5)을 접합한 것을 제작한다. 연질 차음층(5)이 핫멜트 필름인 경우에는 열압착으로 접합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간편해진다. 핫멜트 필름 이외의 연질 차음층(5)은, 적당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한다.
그리고,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연질 커버(6)를, 연질 차음층(5) 상에 소정 간격으로 중첩하여 유지하고, 연질 커버(6)의 주연 단부와 연질 차음층(5)의 주연 단부의 간극을 폐색하도록 시일재로 포위하고, 열압착하여 연결한다. 이에 따라, 공기층(8)이 형성된다.
또한, 공기층(8)이 통기성 재료(9)에 의해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음재(4)와 연질 차음층(5)을 접합한 후, 연질 차음층(5) 상에 통기성 재료(9)를 올려놓고, 통기성 재료(9) 상에 연질 커버(6)를 올려놓아 시일 부재(7)를 열압착하면 좋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예컨대, 연질 커버(6)와 연질 차음층(5)을 시일 부재(7)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그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질 커버(6)의 주연 단부와 연질 차음층(5)의 주연 단부를 접촉하고, 접촉 부분을 열압착(열프레스 용착)(10)한다. 또한, 공기층(8)을 통기성 재료(9)로 충전하는 경우는, 흡음재(4)와 연질 차음층(5)을 접합한 후, 연질 차음층(5) 상에 통기성 재료(9) 및 연질 커버(6)를 순차적으로 올려놓은 적층체로 하고, 적층체 전체를 이 주연 단부를 따라 열압착하면 좋다.
또한, 연질 커버(6)에는, 엔진 등의 음원에 고정하기 위해, 흡음재(4)까지 도달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는, 연질 커버(6) 및 연질 차음층(5)에도 관통 구멍과 동일한 지름의 구멍을 마련하고, 직선형으로 연결하여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음 커버는, 흡음재(4)를 음원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치하더라도 좋고, 흡음재(4)를 음원에 접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엔진을 장착하는 경우, 엔진의 진동이 방음 커버에 전달된다. 종래의 강체 커버를 구비하는 방음 커버에서는 강체 커버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없어, 방음 커버와 엔진 사이에는 5∼20 mm 정도의 간격이 필요하게 된다. 그에 비해, 본 발명의 방음 커버에서는 연질 커버(6)가 변형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음원에 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간 절약화를 꾀할 수 있거나, 혹은, 동일한 공간인 경우, 흡음재(4)를 두껍게 할 수 있게 되어, 방음 특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진과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정재파가 간섭에 의해 증폭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어, 방음 효과를 한층 더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통기율은 JIS L1018(1999)에 준거하고, 영률은 JIS K7127(1999)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또한, 단위 중량은 1 m×1 m 당 질량이다.
(비교예 1)
단위 중량 150 g/㎡의 PET 단섬유를 초산비닐 수지 에멀젼(고형분 30 g/㎡)으로 케미컬 본드시켜 제작한 기재(基材)와, 스펀본드 공법에 의해 작성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제 표피재를 적층한 단위 중량이 220 g/㎡인 부직포의 표피재측에,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250 g/㎡를 롤러코트하여, 영률이 1.2 GPa, 통기율이 0.01 cc/㎠·sec, 단위 중량이 500 g/㎡인 시트재를 제작했다. 이 시트재를 연질 커버(6)로 하고,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내측으로 되어 있도록 배치하며, 공기층(8)으로서의 통기성 재료(9)로서 단위 중량이 250 g/㎡인 PET 펠트, 연질 차음층(5)으로서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핫멜트 필름(두께 30 ㎛, 영률 0.08 GPa, 통기율 0.01 cc/㎠·sec), 흡음재(4)로서 단위 중량 500 g/㎡의 PET 펠트를 적층하며, 170℃의 열프레스에 의해 두께 20 mm로 성형하여 방음 커버를 얻었다.
(비교예 2)
단위 중량이 150 g/㎡인 PET 단섬유를 초산비닐 수지 에멀젼(고형분 30 g/㎡)으로 케미컬 본드시켜 제작한 기재와, 스펀본드 공법에 의해 작성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제 표피재를 적층한 단위 중량 220 g/㎡인 부직포의 표피재측에,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두께가 60 ㎛인 핫멜트 필름을 적층하여, 영률 1.0 GPa, 통기율이 0.01 cc/㎠·sec, 단위 중량이 300 g/㎡인 시트재를 제작했다. 이 시트재를 연질 커버(6)로 해서 핫멜트 필름이 내측이 되도록 배치하고, 공기층(8)으로서의 통기성 재료(9)로서 단위 중량 250 g/㎡의 PET 펠트, 연질 차음층(5)으로서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핫멜트 필름(두께 30 ㎛, 영률 0.08 GPa, 통기율 0.01 cc/㎠·sec), 흡음재(4)로서 단위 중량 500 g/㎡의 PET 펠트를 적층하며, 170℃의 열프레스에 의해 두께를 20 mm로 성형하여 방음 커버를 얻었다.
(비교예 3)
단위 중량이 150 g/㎡인 PET 단섬유를 초산비닐 수지 에멀젼(고형분 30 g/㎡)으로 케미컬 본드시켜 제작한 기재와, 스펀본드 공법에 의해 작성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제 표피재를 적층한 단위 중량이 220 g/㎡인 부직포의 표피재측에,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두께 30 ㎛의 핫멜트 필름을 적층하여, 영률이 0.6 GPa, 통기율이 0.01 cc/㎠·sec, 단위 중량이 260 g/㎡인 시트재를 제작했다. 이 시트재를 연질 커버(6)로 해서 핫멜트 필름이 내측이 되도록 배치하고, 공기층(8)으로서의 통기성 재료(9)로서 단위 중량이 250 g/㎡인 PET 펠트, 연질 차음층(5)으로서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핫멜트 필름(두께 30 ㎛, 영률 0.08 GPa, 통기율 0.01 cc/㎠·sec), 흡음재(4)로서 단위 중량이 500 g/㎡인 PET 펠트를 적층하며, 170℃의 열프레스에 의해 두께를 20 mm로 성형하여 방음 커버를 얻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의 방음 커버의 주연 단부를, 시일 부재(7)로서의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핫멜트 필름(두께 30 ㎛)으로 시일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실시예 2)
비교예 2의 방음 커버의 주연 단부를, 시일 부재(7)로서의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핫멜트 필름(두께 30 ㎛)으로 시일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실시예 3)
비교예 3의 방음 커버의 주연 단부를, 시일 부재(7)로서의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핫멜트 필름(두께 30 ㎛)으로 시일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실시예 4)
비교예 1에서 얻은 방음 커버로서의 성형체(두께 20 mm)의 주연 단부를 열프레스 성형에 의해 1.5 mm로 압축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실시예 5)
공기층(8)으로서의 통기성 재료(9)로서의 PET 펠트(단위 중량 250 g/㎡)를 사용하지 않고, 연질 커버(6)와 연질 차음층(5) 사이에 10 mm의 간극을 형성한 채, 방음 커버의 주연 단부를, 시일 부재(7)로서의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을 필름화한 핫멜트 필름(두께 30 ㎛)으로 시일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제조 방법으로 작성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비교예 4)
연질 차음층(5)으로서 부직포(단위 중량 220 g/㎡, 영률 0.08 GPa, 통기율 12.5 cc/㎠·se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제조 방법으로 작성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비교예 5)
공기층(8)으로서의 통기성 재료(9)로서의 PET 펠트(단위 중량 250 g/㎡)를 사용하지 않고, 연질 커버(6)와 연질 차음층(5)을 밀착시켜, 흡음재(4)의 두께를 20 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제조 방법으로 작성하여, 방음 커버를 얻었다.
(비교예 6)
연질 커버(6) 대신에 경질 커버로서 두께가 2 mm인 폴리프로필렌(PP)제 판(단위 중량 2400 g/㎡, 영률 2.0 GPa, 통기율 0 cc/㎠·sec)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제조 방법으로 작성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실시예 6)
단위 중량 150 g/㎡인 PET 단섬유를 초산비닐 수지 에멀젼(고형분 30 g/㎡)으로 케미컬 본드시켜 제작한 기재와, 스펀본드 공법에 의해 작성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제 표피재를 적층한 단위 중량이 220 g/㎡인 부직포의 표피재측에,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130 g/㎡를 롤러코트하여 얻은 시트재(단위 중량 350 g/㎡, 영률 0.3 GPa, 통기율 0.5 cc/㎠·sec)를 연질 차음층(5)으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제조 방법으로 작성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방음 커버를 얻었다.
상기한 비교예 및 실시예의 각 방음 커버의 구성을 표 1, 표 2,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각 방음 커버에 대해, 하기의 음향 특성을 측정하고 연질 커버의 2차 방사를 확인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음향 특성의 측정)
소형 잔향 상자(확산 음장)·무향실(無響室)(자유 음장)·음향 인텐시티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방음 커버의 음향 투과 손실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4∼도 9에 나타낸다.
(연질 커버의 2차 방사의 확인)
음향 특성의 측정시에 연질 커버에 정지점을 통하여 쉐이커로부터 진동(백색 잡음)을 입력하여, 연질 커버의 2차 방사를 확인했다. 진동 입력의 유/무 사이에서 투과음의 음압 레벨 변화가 1 dB 미만인 것을 ◎, 1 dB 이상 3 dB 미만인 것을 △, 3 dB 이상 증가한 것을 ×로 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 표 3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3의 방음 커버에 대하여, 주연 단부를 시일하여 공기층을 밀봉한 실시예 1∼3의 방음 커버는, 매우 높은 음향 투과 손실(차음 성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연질 커버(6)와 연질 차음층(5) 사이를 시일 부재(7)로 막아 형성된 폐공간에 있어서, 흡음재(4)를 투과하여 입력된 음파(조밀파)가, 공기 스프링의 효과로 보다 압력 변동에 의해 변형되기 쉬운 연질 차음층(5)을 선택적으로 진동 변형시키는 데에 소비되어, 결과적으로 연질 커버(6)로의 입력이 저감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프레스 성형에 의해 주연 단부를 압축하고 시일하여 공기층(8)을 밀봉한 실시예 4의 방음 커버는, 실시예 1∼3의 방음 커버와 동일한 정도의 차음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질 차음층(5)의 통기율이 높아, 통기량이 큰 비교예 4의 방음 커버에서는, 흡음재(4)를 투과하여 입력된 음파가, 연질 차음층(5)을 진동 변형시키지 않고 투과하기 때문에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없어, 높은 차음 성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공기층이 없는 비교예 5의 방음 커버에서는, 연질 차음층(5)의 진동이 직접 연질 커버(6)에 전달되기 때문에 높은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비교예 6의 방음 커버는 높은 차음 성능은 얻어지지만, 정지점(고정점)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강체 커버로부터 2차 방사가 발생한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질 커버와 연질 차음층의 영률 비가 1/4인 실시예 6의 방음 커버에서는, 비교예 1∼6의 방음 커버와 실시예 1∼5의 방음 커버의 중간적인 차음 성능을 나타내지만, 실시예 1∼5의 방음 커버가 2 kHz 이상의 주파수영역에서 음향 투과 손실이 질량법칙의 근사 곡선(3 dB/1 옥타브의 비율로 주파수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넘는 증가를 보이는 데 대하여, 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또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9년 9월 18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17003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 2, 3 방음 커버
4 흡음재
5 연질 차음층
6 연질 커버
7 시일 부재
8 공기층
9 통기성 재료
10 열프레스 용착

Claims (6)

  1. 음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에 적층되고, JIS L1018(1999)로 측정한 통기율이 10 cc/㎠·sec 이하인 연질 차음층과,
    상기 연질 차음층과의 사이에서 공기층을 형성하고, JIS K7127(1999)로 측정한 영률이 0.2∼1.5 GPa인 연질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층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차음층의 JIS K7127(1999)로 측정한 영률은 상기 연질 커버의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커버와 상기 연질 차음층이 접촉하는 주연 단부를 구비하고, 이 주연 단부는 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커버의 주연 단부와 상기 연질 차음층의 주연 단부가 직접 또는 시일 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
  5. JIS K7127(1999)로 측정한 영률이 0.2∼1.5 GPa인 연질 커버를 성형하는 공정과,
    흡음재와, JIS L1018(1999)로 측정한 통기율이 10 cc/㎠·sec 이하인 연질 차음층의 적층체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연질 차음층은 상기 연질 커버와 대향하도록 중첩하여 이 연질 차음층과 이 연질 커버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연질 커버의 주연 단부와, 상기 연질 차음층의 주연 단부를 연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커버의 제조 방법.
  6.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방음 커버를 상기 흡음재가 엔진에 접촉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방법.
KR1020100091949A 2009-09-18 2010-09-17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 KR101544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7003 2009-09-18
JP2009217003A JP5459838B2 (ja) 2009-09-18 2009-09-18 防音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136A true KR20110031136A (ko) 2011-03-24
KR101544622B1 KR101544622B1 (ko) 2015-08-17

Family

ID=4306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49A KR101544622B1 (ko) 2009-09-18 2010-09-17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1475B2 (ko)
JP (1) JP5459838B2 (ko)
KR (1) KR101544622B1 (ko)
CN (1) CN102019885B (ko)
GB (1) GB24737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4972A (zh) * 2015-05-12 2015-11-11 上海华特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注塑成型汽车隔音垫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7143A1 (de) * 2008-08-08 2010-02-11 Airbus Deutschland Gmbh Isolationsaufbau zum thermischen und akustischen Isolieren eines Luftfahrzeugs
JP5608383B2 (ja) * 2009-02-12 2014-10-15 豊和繊維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エンジンアンダーカバー
GB0904099D0 (en) * 2009-03-10 2009-04-22 Bpb Ltd Laminated acoustic soundproofing panel
DE102010051583A1 (de) * 2010-11-05 2012-05-10 Progress-Werk Oberkirch Ag Schallabsorbierendes Abschirmelement
US9093060B2 (en) * 2011-01-26 2015-07-28 Nichias Corporation Sound-proof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sound-proof molding, and sound insulation method
US8827032B1 (en) * 2012-06-07 2014-09-09 Tod M. Kea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enuating sound generated by machinery
CN104603551B (zh) 2012-07-11 2018-05-18 特灵国际有限公司 用于隔振的方法和装置
IN2015DN01982A (ko) 2012-08-17 2015-08-14 Trane Int Inc
JP5997037B2 (ja) * 2012-12-25 2016-09-21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防音装置
EP2989264B1 (en) * 2013-04-23 2021-10-20 Artex AB Sound dampening device
JP6115950B2 (ja) * 2013-06-20 2017-04-1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密閉型ヘッドホン
JP6372989B2 (ja) * 2013-10-09 2018-08-15 株式会社パー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圧縮機用防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021847A1 (de) * 2013-12-21 2015-06-25 Diehl Aircabin Gmbh Schallschutzvorrichtung zur Abtrennung von einem Bereich in einem Flugzeug
JP6484408B2 (ja) 2014-06-24 2019-03-13 ニチアス株式会社 防音材、及び防音カバーの製造方法
JP2016061182A (ja) *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Roki エンジンカバー
US10731648B2 (en) 2014-11-07 2020-08-04 Trane International Inc. Sound control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CN104485096B (zh) * 2014-12-09 2018-03-30 国网浙江省电力公司 一种降噪吸声层
CN104816678A (zh) * 2015-05-27 2015-08-05 南通加隆塑胶有限公司 一种内贴消声垫片的车座椅储物盒
CN104966511A (zh) * 2015-07-30 2015-10-07 贵州大学 一种二元嵌入式圆柱空腔吸声覆盖层
CN105172709A (zh) * 2015-10-30 2015-12-2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降噪组件、具有它的动力总成以及电动车辆
JP6655569B2 (ja) * 2017-02-28 2020-02-26 ニチアス株式会社 エンジンユニット
JP6500930B2 (ja) * 2017-03-31 2019-04-17 マツダ株式会社 機能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030660B1 (en) 2017-05-31 2018-07-24 Trane International Inc. Pulsation and vibration control device
JP7260245B2 (ja) * 2017-06-14 2023-04-18 株式会社レゾナック シート状低周波吸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004153A1 (ja) * 2017-06-26 2020-05-21 ニチアス株式会社 防音用被覆材およびエンジンユニット
FR3085223B1 (fr) * 2018-08-27 2020-08-21 Arianegroup Sas Panneau d'attenuation acoustique ayant des performances ameliorees dans les basses et moyennes frequences
JP7213693B2 (ja) * 2019-01-11 2023-01-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遮音構造
CN109807043A (zh) * 2019-01-17 2019-05-28 张兰 一种耐腐蚀的电气工程用消声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20186449A1 (en) * 2019-03-05 2022-06-16 Ronnie CAIL Sound barrier panel and glare screen
CN110530028B (zh) * 2019-09-23 2023-09-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壳体、热水器及降噪控制方法
JP7328353B2 (ja) * 2019-12-12 2023-08-16 旭化成株式会社 多層吸音材
CN111267598B (zh) * 2020-02-10 2021-09-14 山东格菱电动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蓄电池固定装置
JP2024014355A (ja) * 2022-07-22 2024-02-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音響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6219A1 (de) * 1974-07-26 1976-02-05 Pregler Richard Vielzweck-isoliermatte fuer waende, insbesondere fuer fahrzeugwaende
GB1505213A (en) * 1975-07-02 1978-03-30 Dresser Corp Laminated self-supporting automotive headliner
JPS55104528A (en) * 1979-02-02 1980-08-11 Asahi Fiber Glass Co Ltd Noise absorbing structure for atuomobile engine
JPS59209935A (ja) * 1983-05-13 1984-11-28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ダツシユインシユレ−タ
JPS6294033U (ko) * 1985-11-29 1987-06-16
JPS63190998A (ja) * 1987-02-04 1988-08-08 中川産業株式会社 断熱防音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180619A (en) * 1989-12-04 1993-01-19 Supracor Systems, Inc. Perforated honeycomb
JPH08232676A (ja) * 1995-02-23 1996-09-10 Yamakawa Ind Co Ltd 吸音機能付自動車用エンジンカバー
JPH09251295A (ja) * 1996-03-14 1997-09-22 Isuzu Motors Ltd 吸音材及び遮音カバー
JP3533862B2 (ja) 1997-01-24 2004-05-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カバー
FR2847919B1 (fr) * 2002-12-02 2005-11-11 Hutchinson Panneau acoustique a double paroi
CN2617633Y (zh) * 2003-04-14 2004-05-26 上海申沃客车有限公司 后置大客车发动机仓顶壁的新型吸声隔热结构
US7011181B2 (en) * 2003-07-08 2006-03-14 Lear Corporation Sound insulation system
JP2006098966A (ja) 2004-09-30 2006-04-13 Nichias Corp 防音カバー
JP2006199276A (ja) * 2004-12-24 2006-08-03 Kobe Steel Ltd 吸音構造
EP1710126B1 (en) * 2005-04-04 2009-04-01 Rieter Technologies AG Sealed thin multi-layer sound absorber
FR2888386B1 (fr) * 2005-07-07 2007-09-07 Faurecia Automotive Ind Snc Ensemble a mousse de tortuosite elevee, et application de celle-ci a l'insonorisation d'espaces clos
DE102006027230A1 (de) * 2006-06-09 2007-12-20 EFA -Entwicklungsgesellschaft für Akustik mbH Akustisch und thermisch wirkende Isolation
US7770692B2 (en) * 2007-09-14 2010-08-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acoustic trea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4972A (zh) * 2015-05-12 2015-11-11 上海华特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注塑成型汽车隔音垫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9885B (zh) 2014-07-30
JP5459838B2 (ja) 2014-04-02
US8061475B2 (en) 2011-11-22
GB201015662D0 (en) 2010-10-27
JP2011064167A (ja) 2011-03-31
CN102019885A (zh) 2011-04-20
US20110067949A1 (en) 2011-03-24
KR101544622B1 (ko) 2015-08-17
GB2473745B (en) 2015-11-04
GB2473745A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136A (ko)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
JP5459835B2 (ja) 自動車用防音カバー
JP5715163B2 (ja) 防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音成形体及び防音方法
JP4767209B2 (ja) 防音カバー
US7690480B2 (en) Soundproof material
JP4691388B2 (ja) 超軽量な防音材
EP2998163B1 (en) Engine cover
JP6283044B2 (ja) 防音カバー
WO2013035614A1 (ja) 吸気ダクト
JP3498085B1 (ja) 超軽量な防音材
JP2011156897A (ja) 防音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3930484B2 (ja) 超軽量な防音材
JP2005121994A (ja) 超軽量な防音材
JP2004359043A (ja) 車両用インシュレータ
JP2023114559A (ja) 防音材及び防音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