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057A - 자동 제빵기 - Google Patents

자동 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057A
KR20110025057A KR1020100054794A KR20100054794A KR20110025057A KR 20110025057 A KR20110025057 A KR 20110025057A KR 1020100054794 A KR1020100054794 A KR 1020100054794A KR 20100054794 A KR20100054794 A KR 20100054794A KR 20110025057 A KR20110025057 A KR 20110025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bread
blade
kneading
brea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아키 다구치
도시하루 후지와라
요시나리 시라이
마사오 하야세
마사유키 시모자와
다카시 와타나베
야스유키 이토
가즈야 야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2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505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2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50575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혼련 공정, 발효 공정, 및 소성 공정을 순차 수행하는 자동 제빵기는, 제빵 원료를 넣기 위해서 사용되는 빵 용기와,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빵 용기를 수용하는 소성실 , 상기 소성실 내에 있는 상기 빵 용기 내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쇄 블레이드와,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회전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분쇄용 모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 제빵기{Automatic bread machine}
본 발명은, 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자동 제빵기에 관한 것이다.
시판의 가정용 자동 제빵기는, 제빵 원료를 넣은 빵 용기를 본체 내의 소성실에 넣고, 빵 용기 내의 제빵 원료를 혼련 블레이드로 혼련하여 반죽하고 발효 공정을 거친 후, 빵 용기를 그대로 빵 굽기 틀로서 빵을 굽는 구조의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 문헌 1에 자동 제빵기의 일례를 볼 수 있다.
제빵 원료에 건포도나 너트 등의 속 재료를 혼합하여, 속 재료가 들어간 빵을 굽기도 한다. 특허 문헌 2에는, 건포도, 너트류, 치즈 등의 제빵 부(副)재료를 자동적으로 투입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동 제빵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드는 쌀가루 빵은 독특한 식감(食感)이 있고, 밀의 빵과는 다른 수요가 있다. 종래의 자동 제빵기는 주로 밀가루을 주원료로 하여 빵을 만드는 것이었다. 종래의 자동 제빵기를 사용하여, 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빵을 만드는 경우에는, 쌀가루는 밀가루와 함수율(含水率)이 다르고,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 수분을 방출한다고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밀을 주원료로 하여 빵을 만드는 경우와 같은 공정에서는, 불룩한 쌀가루 빵을 만들 수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빵 굽는 공정의 하나인 이스트균의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행하는 가스 빼기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구워지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자동 제빵기가 제안되었다(특허 문헌 3). 이것에 의하면, 쌀가루로부터의 수분 방출을 억제할 수 있어, 쌀가루를 주원료로서 빵을 굽는 경우에도, 불룩한 빵을 구울 수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개2000-116526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제3191645호공보 [특허문헌3]일본특개2004-255163호공보
빵을 제조하는 경우, 지금까지는 밀이나 쌀 등의 곡물을 제분한 가루나, 그기에 각종 보조 원료를 혼합한 믹스가루를 입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만 했다. 수중에 곡물 알갱이(전형적인 것은 쌀)가 있어도, 그것으로부터 직접 빵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종래 이용되는 시판의 쌀가루는 비교적 정백(精白) 비율이 높은 쌀을 원료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정백 비율을 선택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근년 건강지향의 고조 등도 있고, 빵의 원료로서 영양가나 맛, 색이나 외형과 같은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백미로부터 현미까지의 정백 비율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진 것으로서, 제분 공정을 거치는 일 없이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데 편리한 구조를 갖춘 자동 제빵기를 제공하여, 빵 제조를 보다 친밀한 것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혼련 공정, 발효 공정, 및 소성 공정을 순차 수행하는 자동 제빵기로서, 제빵 원료를 넣기 위해서 사용되는 빵 용기와,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빵 용기를 수용하는 소성실과, 상기 소성실 내에 있는 상기 빵 용기내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쇄 블레이드와,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회전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분쇄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빵 용기 내에 곡물 알갱이를 넣어 그것을 분쇄 블레이드로 분쇄하는 것에 의해, 빵 용기 내에서 제빵 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분쇄 곡물 알갱이는 그대로 빵 용기 내에서 빵으로 구울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용기 내에서 곡물 알갱이를 분쇄하고 나서 빵 용기로 옮기는 경우와 같이 바꿔 옮김에 수반하는 손실(다른 용기에 잔류하여 빵 용기에 들어가지 않는 분쇄 곡물 알갱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혼련 공정 이후에 있어서는, 분쇄 블레이드를 빵 용기 외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분쇄 블레이드에 방해받는 일 없이 빵을 구울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소성실을 덮는 뚜껑이 설치되고, 상기 소성실에 상기 빵 용기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소성실이 상기 뚜껑에 덮인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블레이드는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기 빵 용기내로 늘어뜨려져 있는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초체(칼집 형상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이나 분쇄 블레이드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여 다치는 것과 같은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초체는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부분이 불룩한 부분으로 되어 있고, 불룩한 부분의 내면에는 식품의 유동을 저해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과 분쇄 블레이드의 점유 면적에 따른 보호 공간을 초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요철로 식품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서, 분쇄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초체에는, 상기 불룩한 부분에 공기 빼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불룩한 부분의 내부에 공기 머무름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불룩한 부분으로의 식품의 진입이 공기 머무름에 의해서 저해되지 않아, 분쇄를 착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상기 분쇄용 모터는, 상기 뚜껑에 윗쪽으로부터 꽂는 것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는 상기 모터 케이스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늘어뜨려져 있으며, 상기 모터 케이스와 함께 상기 뚜껑으로부터 빼기 가능한 것이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빵 용기 내에서 곡물 알갱이를 분쇄한 후, 회전축과 분쇄 블레이드를 모터 케이스 모두 뚜껑으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해서, 회전축과 분쇄 블레이드에 방해받는 일 없이 혼련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상기 분쇄용 모터는 상기 뚜껑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분쇄용 모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빵 용기 내에서 곡물 알갱이를 분쇄한 후,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모터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방해받는 일 없이 혼련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로부터 리프트 업(lift up) 가능함과 동시에, 리프트 업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프트 업 상태로 뚜껑을 회동하는(열린 자세로 한다) 것에 의해서, 상기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횡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모터에 착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착탈이 편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혼련체를 구비하고, 상기 소성실에 상기 빵 용기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련체가 윗쪽으로부터 상기 빵 용기 내로 늘어뜨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과 분쇄 블레이드는 혼련체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회전축이나 분쇄 블레이드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여 다친다고 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분쇄 블레이드와 혼련체는 모두 빵 용기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윗쪽으로부터 늘어 뜨려 빵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빵 용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혼련체는,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돔형의 생지(生地) 반죽부와, 상기 생지 반죽부의 위쪽에 설치된 회전체 형상의 생지 반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돔형의 생지 반죽부에서 생지를 반죽할 때, 생지는 위쪽으로 차츰 차츰 올라가려고 한다. 생지의 치솟음은 윗쪽의 생지 반환부에서 억제되기 때문에, 생지는 생지 반죽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때문에, 생지를 충분하게 반죽할 수 있다.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혼련체는, 상기 생지 반죽부와 생지 반환부의 사이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반죽 아암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죽 아암이 생지를 걸어서, 생지를 혼련체에 확실하게 추종시키기 때문에 생지를 충분히 반죽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축과 혼련체가 별개의 모터로 구동되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쇄 블레이드에 요구되는 고속 회전과, 혼련체에 요구되는 저속·고토오크의 회전을 무리없이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자동 제빵기 내에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련체를 지지하는 승강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련체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의해서, 상기 빵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와, 상기 빵 용기로부터 끌어 올려진 상태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쇄 블레이드(회전축의 하단에 설치된다)와 혼련체가 소성실 내의 빵 용기 내에 배치된 상태와, 그것으로부터 끌어 올려진 상태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혼련체가 상기 빵 용기로부터 끌어 올려진 상태에서, 빵의 소성이 행하여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 분쇄 블레이드 및 혼련체의 흔적을 남기는 일 없이 빵을 구울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소성실의 윗쪽으로부터 늘어 뜨려지는 회전축과, 상기 소성실내의 상기 빵 용기를 그 저부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접근하는 분쇄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곡물 알갱이를 넣은 빵 용기를 엘리베이터로 상승시켜서, 윗쪽에서 대기하는 분쇄 블레이드로 곡물 알갱이를 분쇄하는 것에 의해서, 빵 용기내에서 제빵 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분쇄 곡물 알갱이가 들어간 빵 용기를 소성실의 저부로 내리면, 그대로 빵 용기 내에서 빵을 구울 수 있다.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초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이나 분쇄 블레이드에 손가락이 접촉하여 다치는 것과 같은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빵 용기의 저부에는 혼련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는, 상기 빵 용기가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혼련 블레이드에 연결되는 원동축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곡물 알갱이의 분쇄로부터 빵의 소성까지의 일관 작업을 자동 제빵기 내의 빵 용기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분쇄용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승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쇄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의해서, 상기 소성실에 배치된 상기 빵 용기의 저부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접근하는 분쇄 위치와, 상기 소성실에 배치된 상기 빵 용기 바깥이 되는 퇴피 위치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곡물 알갱이를 넣은 빵 용기 중에 분쇄 블레이드를 내려서 곡물 알갱이를 분쇄하는 것에 의해서, 빵 용기 내에서 제빵 원료를 제조하고, 그대로 빵 용기 내에서 빵을 구울 수 있다.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수평이 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자동 제빵기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는, 예를 들면, 상기 분쇄용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회전축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과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유지부를 상기 승강부에 대해서 지지하는 지축과, 상기 유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협동하여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맞추어 상기 유지부의 자세 변경을 행하는 자세 변경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승강부가 상승했을 때, 그때까지 수직인 분쇄축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부가 튕겨져 올라가서, 유지부가 완전하게 빵 용기의 밖으로 나올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되어 신속하게 다음 행정으로 옮길 수 있다. 또한,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 유지부를 회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가진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퇴피 위치는 상기 빵 용기의 윗쪽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인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이것에 의하면, 구워진 빵을 자동 제빵기의 상면으로부터 꺼내는 구조를 얻기 쉽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승강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축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 축에 대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구성에 의해서 얻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과 분쇄용 모터를 유지하는 승강부가 빵 용기로부터 나온 후에, 회전축 및 분쇄용 모터를 빵 용기의 윗쪽으로부터 퇴피시킨다. 그리고, 승강부가 하강할 때에, 회전축 및 분쇄용 모터를 퇴피 위치로부터 빵 용기의 위쪽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초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이나 분쇄 블레이드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여 다치는 것과 같은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빵 용기의 저부에는 혼련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는, 상기 빵 용기가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혼련 블레이드에 연결되는 원동축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곡물 알갱이의 분쇄로부터 빵의 소성까지의 일관 작업을 자동 제빵기 내의 빵 용기에서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용 모터, 상기 분쇄용 모터, 및 상기 원동축을 회전시키는 혼련용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회전하여 행하는 분쇄 행정 에 있어서, 상기 분쇄 블레이드의 회전을 멈추는 분쇄 휴지(休止) 기간을 마련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쇄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분쇄 휴지 기간 중에 방열하여, 분쇄 곡물 알갱이의 온도를 너무 올리지 않도록 하면서 분쇄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분쇄 휴지 기간의 사이, 상기 혼련 블레이드가 회전하여도, 상기 분쇄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분쇄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외장체에 닿지 않는 위치까지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켜 두고 상기 혼련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쇄 도중에 곡물 알갱이가 혼련 블레이드에 의해 뒤섞이기 때문에, 입도의 불균일이 적은 분쇄 곡물 알갱이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소성실의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 뚜껑과, 상기 차폐 뚜껑을 움직여서 상기 소성실을 폐색시키는 폐색부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또, 이상의 구성의 자동 제빵기에서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빵 용기 내의 혼련 블레이드, 또는, 상기 혼련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공통의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쇄 블레이드의 회전과 혼련 블레이드(또는 혼련체)의 회전을 서로 관련지어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곡물 알갱이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 후의 곡물가루를 혼련하는 단계에 있어서, 곡물 알갱이의 종류나 양에 적합한 회전을 분쇄 블레이드와 혼련 블레이드에 부여하여서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지하고 있는 곡물 알갱이를 이용하여 빵을 구울 수 있어서, 곡물가루를 입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곡물 알갱이의 분쇄로부터 빵의 소성까지를, 일관해서 소성실 내의 빵 용기 중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빵 생지에 이물이 혼입하는 위험이 적다. 더욱이, 다른 용기 내에서 곡물 알갱이를 분쇄하고 나서 빵 용기로 옮기는 것과 달리, 분쇄 곡물 알갱이가 다른 용기에 부착하여 남는다고 하는, 옮겨 이동하는데 수반하는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쌀의 경우로 말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기호의 정백도의 쌀로부터 직접 쌀가루 빵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섬유질이 풍부하고 영양가가 높은 현미를 사용한 현미 빵이나, 소화가 양호한 백미나 배아미(胚芽米)를 사용한 빵이나, 백미와 현미의 중간의 정백 비율이 되는 분도 미(米)(3 분도 미, 5 분도 미, 7 분도 미 등)를 사용한 빵 등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백 비율의 차이는 영양가의 차이 이외에도, 섬유질의 양에 영향을 받는 식감의 차이에도 나타난다. 또한, 정백 비율의 차이 뿐만이 아니라, 품종 개량에 의해 쌀 알레르기의 주요인인 단백질을 저감시킨 저알레르기 미를 사용한 쌀가루 빵과 같은 것도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로, 도 1과 직각의 방향으로 단면한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분쇄 유니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분쇄 유니트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분쇄 유니트의 구성요소인 분쇄 블레이드와 초체의 하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로, 뚜껑으로부터 분쇄 유니트를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로, 뚜껑으로부터 분쇄 유니트를 빼낸 상태를, 도 7과 직각의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제어 블록도.
도 1O은 제 1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전체 흐름도(flow chart).
도 11은 제 1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분쇄전 함침 공정의 흐름도.
도 12는 제 1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분쇄 공정의 흐름도.
도 13은 제 1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혼련 공정의 흐름도.
도 14는 제 1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발효 공정의 흐름도.
도 15는 제 1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소성 공정의 흐름도.
도 16은 제 2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전체 흐름도.
도 17은 제 2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분쇄 후 함침 공정의 흐름도.
도 18은 제 3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전체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
도 2O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로, 도 19와 직각의 방향으로 단면한 수직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분쇄 유니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분쇄 유니트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로, 뚜껑을 리프트 업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로, 뚜껑을 리프트 업하고, 또한 개방한 자세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5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
도 26은 도 25와 같은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로, 도 25와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7은 혼련체를 단면하여 나타내는 회전축의 측면도.
도 28은 혼련체의 상면도.
도 29는 혼련체와 분쇄 블레이드의 하면도.
도 3O은 혼련 작업의 제 1의 설명도.
도 31은 혼련 작업의 제 2의 설명도.
도 32는 혼련 작업의 제 3의 설명도.
도 33은 혼련 작업의 제 4의 설명도.
도 34는 혼련 작업의 제 5의 설명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제어 블록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정면도.
도 37은 도 36의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
도 38은 도 36의 자동 제빵기를 도 37과 직각의 방향으로 단면한 수직 단면도.
도 39는 도 37와 같은 수직 단면도로, 도 37과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4O은 도 39의 상태의 자동 제빵기를 도 39와 직각의 방향으로 단면한 수직 단면도.
도 4l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제어 블록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
도 43은 도 42의 자동 제빵기의 수평 단면도.
도 44은 엘리베이터 하강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도 42와 같은 수직 단면도.
도 45는 엘리베이터 하강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도 42와 같은 수직 단면도.
도 46은 도 45의 자동 제빵기의 수평 단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제어 블록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자동 제빵기의 수직 단면도.
도 49는 도 48의 자동 제빵기의 수평 단면도.
도 50은 엘리베이터를 하강 가능 상태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도 48과 같은 수직 단면도.
도 51은 도 50의 자동 제빵기의 수평 단면도.
도 52는 엘리베이터 하강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도 48과 같은 수직 단면도.
도 53은 엘리베이터를 중간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 48와 같은 수직 단면도.
도 54는 도 53의 상태에서 혼련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55는 분쇄 행정에서의 구성요소 동작 차트.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자동 제빵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 제 1 실시 형태 )
제 1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1A)를, 도 1 내지 도 18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도면의 좌측이 자동 제빵기(1A)의 정면(앞면)측, 도면의 우측이 자동 제빵기(1A)의 배면(후면)측이다. 또한, 자동 제빵기(1A)에 정면으로부터 마주본 관찰자의 왼쪽이 자동 제빵기(1A)의 좌측, 오른쪽이 자동 제빵기(1A)의 우측인 것으로 한다.
자동 제빵기(1A)는 박스형의 본체(10)를 가진다. 본체(10)는 합성 수지제의 외각(外殼)을 가지며, 그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양단을 연결한 コ자형의 합성 수지제 핸들(11)을 가지고 운반할 수 있다.
본체(1O)의 상면 앞부분에는 조작부(2O)가 형성된다(예를 들면 도 3 참조). 조작부(2O)에는, 빵의 종류(밀가루 빵, 쌀가루 빵, 속 재료가 들어간 빵 등)의 선택키, 조리 내용의 선택키, 타이머 키, 스타트키, 취소키 등과 같은 조작키 그룹(21)과, 설정된 조리 내용이나 타이머 예약 시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2)는 액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다.
조작부(2O)로부터 뒤의 본체 상면은 합성 수지제의 뚜껑(3O)으로 덮인다(예를 들면 도 1 참조). 뚜껑(30)은 도시하지 않은 경첩축에서 본체(10)의 배면측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고, 그 경첩축을 지점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회동한다.
본체(lO)의 내부에는 소성실(4O)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1, 2 참조). 소성실(40)은 판금제로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여기로부터 빵 용기(5O)를 넣을 수 있다. 소성실(4O)은 수평 단면의 직사각형의 주변 측벽(4Oa)과 저벽(4Ob)을 구비한다.
소성실(4O)의 저벽(40b)에는 소성실(4O)의 중심에 해당하는 개소에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빵 용기 지지부(13)가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1, 2 참조). 빵 용기 지지부(13)의 내부는, 소성실(4O)의 저벽(40b)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소성실(4O)의 내부로 노출하고 있다.
빵 용기 지지부(13)의 중심에는, 수직인 회전축(원동축)(14)이 지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2 참조). 회전축(14)의 하단은 빵 용기 지지부(13)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여기에는 풀리(15)가 고정되어 있다.
빵 용기 지지부(13)는, 빵 용기(50)의 저면에 고정된 통 형상의 프레임 시트(51)를 수용하는 빵 용기(50)를 지지한다. 프레임 시트(51)도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이다.
빵 용기(5O)는 판금제이며, 양동이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예를 들면 도 1, 2 참조), 상면의 개구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휴대용의 핸들(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다. 빵 용기(5O)의 수평 단면은 네 귀퉁이를 둥글게 한 직사각형이며, 4변중 대향하는 2변의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밭이랑 형상의 돌기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빵 용기(50)의 저부 중심에는 혼련 블레이드(52)가 배치되어 있다. 혼련 블레이드(52)는, 빵 용기(50)의 저부 중심에 밀봉 대책을 실시하여 지지된 수직인 회전축(블레이드 회전축)(53)의 상단의 비원형 단면부에, 단순한 끼워 넣기로 장착되며, 공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착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종류의 혼련 블레이드(52)에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다.
회전축(53)은 회전축(14)에 연결되고, 회전축(14)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지만, 그 동력 전달 수단으로는 프레임 시트(51)로 둘러싸지는 커플링(54)이 이용된다(도 2 참조). 즉, 커플링(54)을 구성하는 2부재 가운데, 한편은 회전축(53)의 하단에 고정되고, 다른 편은 회전축(14)의 상단에 고정된다.
빵 용기 지지부(13)의 내주면과 프레임 시트(51)의 외주면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형성된다. 이들 돌기는 주지의 바요넷트(bajonett) 결합을 구성한다. 즉 빵 용기(5O)를 빵 용기 지지부(13)에 장착할 때, 프레임 시트(51)의 돌기가 빵 용기 지지부(13)의 돌기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빵 용기(50)를 내리고, 프레임 시트(51)가 빵 용기 지지부(13)에 들어간 후, 빵 용기(5O)를 수평으로 비틀면, 빵 용기 지지부(13)의 돌기의 아래쪽 면에 프레임 시트(51)의 돌기가 맞물리고, 빵 용기(5O)가 위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조작으로, 커플링(54)의 연결도 동시에 달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빵 용기(50)의 설치시 비틀기 방향은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 방향에 일치시키며, 혼련 블레이드(52)가 회전하여도 빵 용기(5O)가 빠지지 않도록 하여 둔다.
소성실(4O)의 내부에 배치된 가열 장치(41)(예를 들면 도 1, 2 참조)가 빵 용기(5O)를 포위하여 제빵 원료를 가열한다. 가열 장치(41)는 시즈 히터(seeds heater)에 의해 구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판금제의 기초 프레임(12)이 설치된다. 기초 프레임(12)에는 모터(혼련용 모터)(60)가 장착된다. 모터(60)는 수직축으로서 아래쪽 면으로부터 출력축(61)이 돌출한다. 출력축(61)에는 회전축(14)의 풀리(15)에 벨트(62)로 연결하는 풀리(63)가 고정되어 있다.
뚜껑(3O)에는, 빵 용기(5O)의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조금 벗어난 개소에, 통형상의 수직 관통부(31)가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1, 2 참조). 그리고 이 수직 관통부(31)에, 윗쪽으로부터 분쇄 유니트(7OA)가 삽입된다.
분쇄 유니트(7OA)는 합성 수지제의 모터 케이스(71)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도 4, 5 참조). 모터 케이스(71)는 상면에 핸들(72)을 가지며, 수직축의 모터(분쇄용 모터)(73)를 내장하고 있다. 모터 케이스(71)의 상부 외주에는 고리형상의 돌기(71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71a)는 수직 관통부(31)의 상부 테두리에 맞물려서 모터 케이스(71)의 그 이상의 하강을 멈추는 것이며, 돌기(71a)가 모터 케이스(71) 의 하강을 멈춘 시점에서, 모터 케이스(71)의 상면은 뚜껑(30)의 상면과 거의 한 면으로 된다. 수직 관통부(31)의 수평 단면 형상과 모터 케이스(71)의 수평 단면 형상은 모두 사변형이며, 뚜껑(30)에 삽입된 분쇄 유니트(7OA)는 뚜껑(30)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모터(73)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출력축(74)에 회전축(75)이 연결된다. 회전축(75)의 하단에는 분쇄 블레이드(76)가 고정되어 있다. 상단이 모터 케이스(71) 에 고정된 초체(77)가 회전축(75)과 분쇄 블레이드(76)를 둘러싼다. 초체(77)는 스텐레스 강판 등의 판금으로 형성되는 원통형 부재이다. 초체(77)의 하단, 즉 분쇄 블레이드(76)를 둘러싸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큰, 튤립 꽃을 거꾸로 한 것 같은 형태의 불룩한 부분(77a)으로 되어 있다.
불룩한 부분(77a)의 내면에는 분쇄 블레이드(76)에 대향하는 요철(77b)이 형성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불룩한 부분(77a)을 소정 각도 간격으로 안쪽에 밀어넣고, 이것에 의해 요철(77b)을 형성하고 있다(도 6 참조). 불룩한 부분(77a)의 내부에는 수평인 빔(78)이 고정되고, 이 빔(78)에 회전축(75)을 지지하는 베어링(79)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불룩한 부분(77a)에는, 분쇄 블레이드(76)보다 위의 레벨에 공기 빼기 구멍(77C)이 형성되어 있다(도 4, 5 참조).
자동 제빵기(1A)의 동작 제어는, 도 9 에 나타내는 제어장치(80)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어장치(8O)는 본체(lO) 내의 적소(소성실(40)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개소가 바람직하다)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의해 구성되고, 지금까지 설명한 조작부(2O) 및 가열 장치(41) 외, 모터(혼련용 모터)(6O)의 모터 드라이버(81), 모터 (분쇄용 모터)(73)의 모터 드라이버(82), 및 온도 센서(83)가 접속된다. 온도 센서(83)는 소성실(4O) 내에 배치되어서 소성실(40)의 온도를 검지한다. 도면부호 84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이다.
모터(73)와 모터 드라이버(82)의 접속은 수직 관통부(31)의 내부에서 접속하는 커넥터(85)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1 참조). 커넥터(85)의 한편은 수직 관통부(31)의 내면에 고정되고, 다른 편은 모터 케이스(71)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 케이스(71)를 수직 관통부(31)에 삽입하면, 커넥터(85)는 접속 상태로 된다.
계속하여, 자동 제빵기(1A)를 이용하여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 1O으로부터 도 18까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 중에서, 도 10으로부터 도 15까지의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제 l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이다.
도 1O은 제 1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O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형태에서는, 분쇄전 함침 공정(#1O), 분쇄 공정(#20), 혼련 공정(#30), 발효 공정(#40), 소성 공정(#5O)의 순서로 공정이 진행한다. 계속하여, 각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분쇄전 함침 공정(#1O)에서는, 우선 단계 #11에 있어서, 사용자가 곡물 알갱이를 계량하여, 소정량을 빵 용기(5O)에 넣는다. 곡물 알갱이로는 쌀 입자가 가장 입수하기 쉽지만, 그 이외의 곡물, 예를 들면 밀, 보리, 밤, 피(稗), 메밀, 옥수수 등의 알갱이도 이용 가능하다.
단계 #12에서는 사용자가 액체를 계량하여, 소정량을 빵 용기(5O)에 넣는다. 액체로서 일반적인 것은 물이지만, 맛국물과 같은 맛성분을 가지는 액체라도 좋고, 과즙이라도 좋다.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어도 괜찮다. 또한 단계 #11과 단계 #12는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다.
빵 용기(5O)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는 작업은, 빵 용기(50)를 소성실(40) 로부터 꺼내서 실행해도 좋고, 빵 용기(50)를 소성실(40)에 넣은 채로 실행해도 괜찮다. 빵 용기(50)를 출입하기 위해서, 또는 소성실(4O) 내의 빵 용기(50) 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기 위해서 뚜껑(30)을 열 때는, 분쇄 유니트(7OA)를 뚜껑(3O)으로부터 빼내 둔다.
소성실(4O) 내의 빵 용기(5O)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거나, 또는 외부에서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은 빵 용기(50)를 소성실(40)에 장착하면, 뚜껑(30)을 닫아 수직 관통부(31)에 분쇄 유니트(70A)를 꽂아 넣는다. 돌기(71a)에 의해 하강을 멈출때까지 분쇄 유니트(70A)를 꽂아넣으면, 커넥터(85)가 접속됨과 동시에, 하단에 분쇄 블레이드(76)를 구비한 회전축(75), 및 그것들을 둘러싸는 초체(77)는 뚜껑(30)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빵 용기(5O)의 내부로 늘어뜨려진 형태가 된다.
혼련 블레이드(52)는, 강하하는 초체(77)가 부딪히지 않는 방향을 향하여 둔다. 또는, 초체(77)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를 혼련 블레이드(52)의 원점 위치로 하고, 회전을 끝낸 혼련 블레이드(52)는 반드시 원점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하여도 괜찮다.
분쇄 유니트(7OA)를 수직 관통부(31)에 완전하게 꽂아넣은 상태에서는, 분쇄 블레이드(76) 및 초체(77)의 불룩한 부분(77a)의 하단은 빵 용기(5O)의 내저면에 소정 거리까지 접근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20) 중의 소정의 조작 키를 눌러서, 액체 함침의 타임 카운트를 스타트시킨다. 이 시점으로부터 단계 #13이 시작된다.
단계 #13에서는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을 빵 용기(50) 내에서 정지 위치시키고, 곡물 알갱이에 액체를 함침시킨다. 일반적으로, 액체 온도가 높아질수록 함침이 촉진되므로, 가열 수단(41)에 통전하여서 소성실(40)의 온도를 높이도록 하여도 괜찮다.
단계 #14에서는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정지 위치를 개시하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분쇄전 함침 공정(#1O)은 종료한다. 이것은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표시나, 음성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분쇄전 함침 공정(#10)에 이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분쇄 공정(#2O)이 수행된다. 사용자가 조작부(20)를 통하여 분쇄 작업 데이터(곡물 알갱이의 종류나 양, 지금부터 굽는 빵의 종류 등)를 입력하고, 스타트 키를 누르면 분쇄가 개시된다.
단계 #21에서는, 제어장치(80)가 분쇄 유니트(7OA)의 모터(73)를 구동하고, 회전축(75)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 중에서 분쇄 블레이드(76)가 회전을 개시한다. 분쇄 블레이드(76)에 의한 분쇄는, 곡물 알갱이에 액체가 침입한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곡물 알갱이를 중심까지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다. 초체(77)의 불룩한 부분(77a)의 내면에 형성된 요철(77b)이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의 유동을 억제하고, 분쇄를 촉진한다. 불룩한 부분(77a)에는 공기 빼기 구멍(77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룩한 부분(77a)의 내부에 공기 머무름이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불룩한 부분(77a)으로의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의 진입이 공기 머무름에 의해서 저해되지 않고 분쇄를 착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분쇄 블레이드(76)가 회전하고 있는 사이, 빵 용기(50) 내의 곡물 알갱이는, 액체와 함께, 불룩한 부분(77a)과 빵 용기(5O)의 내저면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불룩한 부분(77a) 안으로 들어가서, 분쇄 블레이드(76)에서 분쇄되어 불룩한 부분(77a)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반복하고, 세편화(細片化) 되어 간다.
단계 #22에서는, 원하는 분쇄 곡물 알갱이를 얻기 위해서 설정대로의 분쇄 패턴(분쇄 블레이드를 연속 회전시키는지, 정지 기간을 끼워 넣어서 단속 회전시키는지, 단속 회전시키는 경우, 어떻게 간격을 잡는지, 회전 시간의 길이를 어떻게 할까 등)이 완수되었는지를 제어장치(8O)가 체크한다. 설정대로의 분쇄 패턴이 완수되면 단계 #23으로 진행되어 분쇄 블레이드(63)의 회전을 종료하고, 분쇄 공정 #2O는 종료한다. 이것은,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표시나, 음성 등으로 사용자에 알린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분쇄전 함침 공정(#10)의 뒤, 사용자의 조작으로 분쇄 공정(#20)이 개시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분쇄전 함침 공정(#1O)의 이전이나, 분쇄전 함침 공정(#1O)의 도중에서 분쇄 작업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고, 분쇄전 함침 공정(#10)의 종료후, 자동적으로 분쇄 공정(#20)이 개시되도록 구성하여도 괜찮다.
분쇄 공정(#20)에 이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혼련 공정(#30)이 수행된다. 거기에 앞서 사용자는 뚜껑(3O)으로부터 분쇄 유니트(7OA)를 빼내 놓고, 도 7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관통부(31)에 분쇄 유니트(7OA) 대신이 되는 더미 마개(9O)를 꽂아넣어 둔다. 더미 마개(90)는 모터 케이스(71)와 동일 치수이며, 상면에는 핸들(9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초체(77)가 빵 용기(50) 내에 늘어뜨린 상태에서 혼련 블레이드(52)가 회전하면, 혼련 블레이드(52)는 초체(77)에 충돌해 버린다. 그래서, 빵 용기(50) 의 내부에 초체(77)가 존재하는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마련하고, 이 검지 수단이 초체(77)의 존재를 검지하고 있는 사이는 모터(6O)를 구동할 수 없도록 해 두는 것이 좋다.
혼련 공정(#30)에 들어가는 시점에서는, 빵 용기(50) 안의 곡물 알갱이와 액체는, 페이스트 형상 또는 슬러리(slurry) 형상의 생지 원료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혼련 공정(#3O)의 개시시점의 것을 「생지 원료」라고 칭하고, 혼련이 진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생지 상태에 가까워진 것은, 반완성 상태이라도 「생지 」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31에서는 사용자가 생지 원료에 소정량의 글루텐(gluten)을 투입한다. 필요에 따라서, 식염, 설탕, 쇼트닝과 같은 조미 재료도 투입한다. 또한, 조미 재료는 분쇄 공정(#1O)의 개시 단계에서, 빵 용기(50)에 투입하여 두어도 괜찮다. 또한, 자동 제빵기(1A)에 글루텐이나 조미 재료의 자동 투입 장치를 설치하여 두고,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그것들을 투입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괜찮다.
사용자는, 단계#31에 전후하여서, 조작부(2O)로부터 빵의 종류나 조리 내용의 입력을 실시한다. 준비가 갖출 즈음에서 사용자가 스타트 키를 누르면, 혼련 공정(#3O)으로부터 발효 공정(#40), 더욱이 소성 공정(#50)으로 자동적으로 연속하는 제빵 작업이 개시된다.
단계 #32에서는, 제어장치(80)는 모터(6O)를 구동한다. 그러면, 생지 원료 중에서 혼련 블레이드(52)가 회전을 개시한다. 또한 제어부(8O)는, 필요에 따라서 가열 장치(41)로 통전하여서, 소성실(4O)의 온도를 올린다. 혼련 블레이드(52)가 회전함에 따라서 생지 원료는 혼련되고, 소정의 탄력을 구비한다. 하나로 연결된 생지(dough)로 반죽해 간다. 혼련 블레이드(52)가 생지를 휘둘러 빵 용기(5O)의 내벽에 내던짐으로써, 혼련에 「반죽」의 요소가 더해지게 된다. 빵 용기(5O)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5Oa)는 「반죽」을 돕는다.
단계 #33에서는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 개시 이래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O)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34로 진행된다. 단계#34에서는 사용자가 뚜껑(3O)을 열어 생지에 이스트균을 투입한다.
단계 #35에서는 생지에 이스트균을 투입하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O)가 체크한다. 원하는 생지를 얻는데 필요한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36로 진행되어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이 종료한다. 이 시점에서, 하나로 연결되어서 필요한 탄력을 갖춘 생지가 완성하고 있다.
또한 단계#34에서 생지에 투입하는 이스트균은 드라이 이스트이면 좋다. 이스트균 대신에 베이킹 파우더를 이용하여도 괜찮다. 또, 이스트균이나 베이킹 파우더에 대해서도 자동 투입 장치를 채용하여서,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 속 재료가 들어간 빵을 굽는 경우는, 혼련 공정(#3O)의 어느 한 단계에서 속 재료를 투입한다. 속 재료 투입에 대해서도 자동 투입 장치의 채용이 가능하다.
혼련 공정(#30)에 이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발효 공정(#40)이 수행된다. 단계 #41에서는 혼련 공정(#30)을 거친 생지가 발효 환경에 놓여진다. 즉 제어장치(8O)는 소성실(4O)을, 필요가 있으면 가열 장치(41)로 통전하고, 발효가 진행되는 온도대로 한다. 사용자는 생지를 필요에 따른 형태를 준비하여 정지 위치시킨다.
단계 #42에서는 생지를 발효 환경에 두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O)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발효 공정(#40)은 종료한다.
발효 공정(#40)에 이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소성 공정(#5O)이 수행된다. 단계 #51에서는 발효한 생지가 소성환경에 놓여진다. 즉 제어장치(80)는 빵 굽기에 필요한 전력을 가열 장치(41)로 보내고, 소성실(40)의 온도를 빵 굽기 온도 대까지 상승시킨다.
단계 #52에서는 생지를 소성환경에 두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O)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소성 공정(#50)은 종료한다. 여기서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표시 또는 음성에 의해 제빵 완료의 알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는 뚜껑(3O)를 열어 빵 용기(5O)를 꺼낸다.
계속하여 제 2 형태의 제빵 공정을 도 16와 도1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16은 제 2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6에서는, 분쇄 공정(#20), 분쇄 후 함침 공정(#6O), 반죽 공정(#30), 발효 공정(#40), 소성 공정(#5O)의 순서로 공정이 진행한다. 계속하여, 도 17에 근거하여 분쇄 후 함침 공정(#60)의 내용을 설명한다.
단계 #61에서는, 분쇄 공정(#2O)(제 1 형태와 같게 행해진다)에서 형성된 생지 원료가 빵 용기(50)의 내부에서 정지 위치된다. 이 생지 원료는, 분쇄전 함침 공정을 거치지 않았던 것이다. 정지 위치되어 있는 사이에, 분쇄 곡물 알갱이에 액체가 침입되어 간다. 제어장치(80)는 필요에 따라 가열 장치(41)로 통전하여 생지 원료를 가열하여 함침을 촉진한다.
단계 #62에서는 정지 위치 개시 이래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O)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분쇄 후 함침 공정(#60)은 종료한다. 분쇄 후 함침 공정(#60)이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혼련 공정(#3O)으로 이행한다. 혼련 공정(#3O) 이후의 공정은 제 1 형태의 제빵 공정과 같다.
계속하여 제 3 형태의 제빵 공정을 도 1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제 3 형태의 빵 제조 공정의 전체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분쇄 공정(#20)의 전에 제 1 형태의 분쇄전 함침 공정(#1O)을 두고, 분쇄 공정(#2O)의 뒤에 제 2 형태의 분쇄 후 함침 공정(60)을 두고 있다. 혼련 공정(3O) 이후의 공정은 제 1 형태의 제빵 공정과 같다.
분쇄 유니트(7OA)는 곡물 알갱이를 분쇄할 뿐만 아니라, 너트류나 입사귀(葉物) 야채 등의 속 재료의 세편화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알갱이의 미세한 속 재료를 넣은 빵을 구울 수 있다. 분쇄 유니트(7OA)는 빵에 혼합되는 속 재료 이외의 식품 재료나, 생약 원료의 분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9 내지 도 24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중에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자동 제빵기(1B)가 제 1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1A)와 다른 것은, 분쇄 유니트의 구성이다. 즉 자동 제빵기(lB)는, 모터 (분쇄용 모터)(73)도 포함하여 뚜껑(3O)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한 구성(분쇄 유니트(7OA)의 구성)이 아니고, 모터(73)가 뚜껑(30)에 내장된 형태의 분쇄 유니트(70B)로 되어 있다.
분쇄 유니트(7OB)에서는, 회전축(75), 분쇄 블레이드(76), 및 초체(77)는 모터(7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9O)(도 21, 22 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뚜껑(30)은, 경첩축을 지점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회동할 뿐만 아니라, 지점 위치 그 자체의 상승, 즉 리프트 업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3, 24 참조).
뚜껑(3O)의 리프트 업 때문에, 본체(10)의 배면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리프트 업 칼럼(91)이 설치된다. 리프트 업 칼럼(91)은 본체(1O)의 배면에 장착된 초형의 가이드(92)에 수납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리프트 업 칼럼(91)의 상하동의 동력원으로서는 인력을 이용해도 좋고, 모터나 에어 실린더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는 리프트 업 칼럼(91)을 스프링으로 위쪽으로 가압하여, 리프트 업 칼럼(91)을 눌러 내리고 록크를 걸치면 리프트 업 칼럼(91)은 아래쪽에 머물러고, 록크를 풀면 스프링의 힘으로 리프트 업 칼럼(91)이 상승하여 뚜껑(3O)이 리프트 업 상태가 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괜찮다. 이 리프트 업 칼럼(91)의 상단에, 경첩축(93)으로 뚜껑(3O)을 장착한다.
자동 제빵기(1B)에 있어서, 소성실(4O)로부터 빵 용기(50)를 꺼내거나 소성실(4O)에 빵 용기(5O)를 넣거나 할 때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0)을 리프트 업한다. 그 위에,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O)을 개방 자세로 한다. 이렇게 하면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9O)가 횡방향이 되는(회전축(75)이 수평이 된다) 것이므로,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90)를 모터(73)에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거나 작업을 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분쇄 공정(#2O)을 종료하고, 혼련 공정(#30)으로 옮길 때에도 뚜껑(30)을 리프트 업하여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9O)를 떼어내 둔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단일의 제어장치(8O)에 의해서, 분쇄 블레이드(76)의 회전과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을 서로 관련지어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곡물 알갱이를 분쇄할 단계와, 분쇄 후의 곡물 가루를 혼련하는 단계에 있어서, 곡물 알갱이의 종류나 양에 적합한 회전을 분쇄 블레이드(63)와 혼련 블레이드(52)에 부여하여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1OO)를, 도 25 내지 도 35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5 및 도 35에 있어서, 도면의 좌측이 자동 제빵기(1OO)의 정면(전면)측, 도면의 우측이 자동 제빵기(10O)의 배면(후면)측이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제빵기(1OO)는, 합성 수지제의 외각을 구비한 박스형의 본체(11O)를 가진다. 본체(11O)의 상면은 합성 수지제의 뚜껑(12O)으로 덮인다. 뚜껑(12O)은 경첩축(121)에서 본체(11O)의 배면측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있고, 경첩축(121)을 지점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회동한다.
본체(11O)의 내부에는, 주변 측벽(13Oa)과 저벽(13Ob)을 구비하는 소성실(13O)이 설치되어 있다. 소성실(13O)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소성실(4O)과 같은 구성이며, 제빵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132)가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소성실(13O)의 저벽(130b)에는, 빵 용기(14O)의 저면에 고정된 통 형상의 프레임 시트(141)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빵 용기 지지부(131)가 고정되어 있다.
빵 용기 지지부(131)의 내주면과 프레임 시트(141)의 외주면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빵 용기 지지부(13)와 프레임 시트(51)와 같게, 각각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게 주지의 바요넷트(bajonett) 결합을 구성한다. 또한, 빵 용기(140)의 설치시 비틀기 방향은 후술하는 혼련체의 회전 방향에 일치시켜서, 혼련체가 회전하여도 빵 용기(14O)가 빠지지 않게 해 둔다.
빵 용기(140)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빵 용기(5O)와 거의 같으며,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뻗는 밭이랑 형상의 돌기부(14Oa)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과는 달리, 빵 용기(14O)의 저부 중심에는 수직인 수용축(142)이 배치되어 있다. 수용축(142)은, 빵 용기(14O)의 저부 중심에 밀봉 대책을 실시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단은 소경부로 되어 있다.
뚜껑(120)의 내부에는 수평인 승강 데크(승강부)(150)가 설치된다. 승강 데크(15O)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 수단을 따라서,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승강한다. 승강 데크(15O)를 승강시키는 것은 뚜껑(120)의 배면 측에 배치된 승강 모터(151) 이다. 승강 모터(151)는 수직축이며, 하향으로 돌출한 모터축(152)에 이송 나사(153)가 고정되어 있고, 이 이송 나사(153)에 승강 데크(15O)로부터 뻗어 나오는 브라켓(154)에 장착된 너트(155)가 결합하고 있다. 승강 모터(151)가 이송 나사(153)를 회전시키면, 이송 나사(153)의 축선 방향으로 너트(155)가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승강 데크(15O)에 승강이 생기는 구조이다. 동력 전달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이송 나사(153)와 너트(155)에는 볼 나사와 볼 너트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승강 데크(150)의 상면에는 분쇄 모터(160)와 혼련 모터(17O)가 고정되어 있다. 분쇄 모터(160)와 혼련 모터(17O)는 모두 수직축이며, 모터축(161, 171)이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모터축(161)에는 하단에 분쇄 블레이드(163)를 구비한 수직인 회전축(162)(도 2 참조)이 직접 결합된다.
회전축(162)의 외측에는, 회전축(16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선방향으로는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통축(172)이 설치된다. 통축(172)의 상단에는 풀리(173)가 고정된다. 풀리(173)는 모터축(171)에 고정된 풀리(174)에 벨트(175)로 연결하고 있다. 풀리(174)는 풀리(173)를 감속 회전시키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통축(172)은 저속·고토오크로 회전한다.
통축(172)에는 혼련체(176)가 고정된다. 혼련체(176)(도 27~ 도 29도 참조)는, 분쇄 블레이드(163)와 그것을 장착한 회전축(162)을 둘러싸는 돔형의 생지 반죽부(177)와 생지 반죽부(177)의 위쪽에 설치된 회전체 형상의 생지 반환부(178) 를 구비한다. 생지 반죽부(177)는 반구를 약간 편평하게 한 형상이고, 생지 반환부(178)는 주판 구슬 형상이며, 양자는 동일한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생지 반죽부(177)와 생지 반환부(178)의 사이의 잘록해진 부분으로부터, 복수의 반죽 암(막대 형태의 암)(179)이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반죽 암(179)의 선단은, 생지 반죽부(177)와 생지 반환부(178)의 각 최대 직경부보다 쑥 들어가 있다. 반죽 암(179)의 수에는 한정이 없지만, 너무 많아지면 그 사이에 생지가 비집고 들어갈 수 없게 되므로, 2개 내지 4개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혼련체(176)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일체 성형할 수도 있고, 합성 수지제 부품의 조합, 금속제 부품의 조합, 또는 합성 수지제 부품과 금속제 부품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자동 제빵기(1OO)의 동작 제어는, 도 35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8O)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어장치(180)는 본체(11O) 내의 적소(제 1 실시 형태와 같음)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장치(18O)에는, 가열 장치(132) 외에, 본체(110) 의 표면의 적소, 예를 들면 정면에 설치된 조작부(111)와, 승강 모터(151)의 모터 드라이버(181), 분쇄 모터(160)의 모터 드라이버(182), 혼련 모터(170)의 모터 드라이버(183), 및 온도 센서(184)가 접속된다. 온도 센서(184)는 소성실(130) 내에 배치되어, 소성실(30)의 온도를 검지한다. 도면부호 185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제빵기(10O)도, 제 1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1A) 와 같게, 제 1 , 제 2 및 제 3 형태의 빵 제조 공정(도 1O ~ 도 18 참조)에 의해서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자동 제빵기(10O)를 이용하여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경우의 동작 가운데,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분쇄전 함침 공정(#10)(도 11 참조)에 있어서의, 단계 #11 , #12의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계량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같다. 이하, 이들의 단계에서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 제빵기(1OO)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빵 용기(14O)를 출입하기 위해서, 또는 소성실(130) 내의 빵 용기(140)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기 위해서 뚜껑(120)을 열 때는, 승강 데크(150)를 도 25에 나타내는 상승 위치에 두어, 회전축(162), 분쇄 블레이드(163), 및 혼련체(176)의 모두가 뚜껑(120)으로부터 밖으로 밀려나오지 않게 해 둔다.
또한, 소성실(130) 내의 빵 용기(14O)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어 뚜껑(120)을 닫은 후, 또는, 외부에서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은 빵 용기(140)를 소성실(130)에 장착하여 뚜껑(12O)을 닫은 후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뚜껑(120)이 닫혀진 후에는, 승강 데크(15O)가 강하되어, 회전축(162), 분쇄 블레이드(163), 및 혼련체(176)는 빵 용기(14O) 내로 늘어뜨려 간다. 그리고, 한계까지 승강 데크(15O)를 강하시키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62)의 하단면에 형성한 오목부가 수용축(142)의 상단의 소경부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62)의 하단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후, 수용축(142)은 회전축(162)과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또, 이 시점에서, 분쇄 블레이드(163)와 생지 반죽부(177)는, 빵 용기(140)의 저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 후에 행해지는, 단계 #13의 정지 위치, 및, 단계 #14의 시간 체크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분쇄전 함침 공정(#1O)에 이어,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동작으로 분쇄 공정(#2O)(도 12 참조)이 개시된다. 단계 #21에서는, 제어장치(180)가 분쇄 모터(16O)를 구동하여, 회전축(162)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 중에서 분쇄 블레이드(163)가 회전을 개시한다. 혼련체(176)는 정지하고 있다. 분쇄 블레이드(163)에 의한 분쇄는, 곡물 알갱이에 액체가 침입한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곡물 알갱이를 중심까지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분쇄 블레이드(163)가 회전하고 있는 사이, 빵 용기(14O) 내의 곡물 알갱이는, 액체와 함께, 생지 반죽부(177)와 빵 용기(140) 내저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생지 반죽부(177) 중에 들어가서, 분쇄 블레이드(163)로 분쇄되어 생지 반죽부(77)가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반복하여, 세편화되어 간다.
또한, 단계 #22의 설정 분쇄 패턴이 완수했는지 않했는지의 확인 및, 단계 #23의 분쇄 블레이드(163)의 회전 종료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다.
분쇄 공정(#20)에 이어 혼련 공정(#3O)(도 13 참조)이 수행된다.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게, 혼련체(176)(본 실시 형태에서는 혼련 블레이드 없음)를 회전하기 전의 #31의 준비 동작(글루텐 및 조미 재료의 투입 외, 조작부(111)의 설정, 스타트 키의 가압 등을 포함한다)을 한다(도 3O 참조).
단계 #32에서는, 제어장치(180)는 혼련 모터(170)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생지 원료 중에서 혼련체(176)가 회전을 개시한다. 또 제어장치(180)는, 필요에 따라서 가열 장치(132)에 통전하여, 소성실(130)의 온도를 올린다. 혼련체(176)가 회전함에 따라서 생지 반죽부(177)에서 생지 원료는 혼련되어서, 소정의 탄력을 구비하는 하나로 연결된 생지 (dough)로 반죽해 간다.
도 31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지(A)는 생지 반죽부(177)의 외주로부터 생지 반죽부(177)의 상면으로 차츰차츰 올라가려고 한다. 위쪽에 생지 반환부(178)가 억제하고 있으므로, 생지(A)의 차츰 차츰 올라가려고 하는 것은 일정 한계에 머문다. 이 상태의 생지(A)를,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죽 암(179)이 걸어서 생지(A)를 혼련체(176)에 확실하게 추종시키기 때문에, 생지(A)를 충분히 반죽할 수 있다. 빵 용기(14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14Oa)는 반죽을 돕는다.
그 후에 행해지는, 단계 #33의 시간 체크, 단계 #34의 이스트균의 투입, 단계 #35의 시간 체크, 단계 #36의 혼련체(176)의 회전 종료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혼련체(176)의 회전 종료 후, 제어장치(18O)는 승강 모터(151)를 구동하여 승강 데크(15O)를 상승시킨다. 회전축(162), 분쇄 블레이드(163), 및 혼련체(176)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빵 용기(14O)로부터 끌어 올려진다. 생지(A)는 생지 반죽부(177)의 외주면과 빵 용기(14O)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빠져나가서 빵 용기(14O)의 저부에 낙하한다. 소성 시에는, 생지(A)의 내부에 회전축(162), 분쇄 블레이드(163), 및 혼련체(176)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흔적을 남기는 일 없이 빵을 구울 수 있어 빵의 모양새가 좋아진다.
혼련 공정(#30)에 이어 순차 수행되는, 발효 공정(#4O)(도 14) 및 소성 공정(#5O)(도 15)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제 2 및 제 3 형태의 제빵 공정에 있어서의, 분쇄 후 함침 공정(#60)(도 17)의 동작도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분쇄 블레이드(163)는 곡물 알갱이를 분쇄할 뿐만 아니라, 너트류나 입사귀 야채 등의 속 재료의 세편화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알갱이가 미세한 속 재료를 넣은 빵을 구울 수 있다. 분쇄 블레이드(163)는, 빵에 혼합하는 속 재료 이외의 식품 재료나, 생약 원료의 분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제어장치(180)에 의해, 분쇄 블레이드(163)의 회전과 혼련체(176)의 회전을 서로 관련 지어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은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 제 3 실시 형태 )
제 3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2OO)를, 도 36 내지 도 41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8과 도 40에 있어서, 도면의 좌측이 자동 제빵기(2OO)의 정면(전면)측, 도면의 우측은 자동 제빵기(200)의 배면(후면)측이다. 또한, 자동 제빵기(20O)에 정면에서 마주본 관찰자의 왼쪽이 자동 제빵기(2OO)의 좌측, 오른쪽이 자동 제빵기(200)의 우측인 것으로 한다.
자동 제빵기(2OO)는 박스형의 본체(21O)를 가진다. 본체(21O)의 정면 좌측에는, 후술하는 소성실로 통하는 개구부와, 그것을 닫는 도어(211)가 설치되어 있다(도 36 참조). 도어(211)는 하단을 지점으로하여 수직면 내에서 회동하는 것이고, 상단에 핸들(212), 핸들(212) 보다 아래의 개소에 관찰창(213)을 가지고 있다. 관찰창(213)에는 내열유리가 삽입되어 있다.
본체(210)의 정면에는, 도어(211)의 우측의 개소에 조작부(220)가 형성된다(도 36 참조). 조작부(220)에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게, 조작키 그룹(221)과 표시부(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22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210)의 내부에는, 도어(211)의 뒤편의 위치에 빵 용기(240)를 수용하는 소성실(230)이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37, 38 참조). 소성실(230)의 측벽과 저벽은 판금제이다. 제 1 실시 형태의 소성실(40)과 같게, 소성실(23O)의 내부에는 제빵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231)가 배치된다.
소성실(230) 아래에는 판금제의 기초 프레임(214)이 설치된다. 기초 프레임(214)에는, 소성실(23O)의 중심에 해당하는 개소에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빵 용기 지지부(215)가 고정되어 있다. 빵 용기 지지부(215)의 내부는 소성실(23O)의 저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소성실(23O)의 내부로 노출된다.
빵 용기 지지부(215)의 중심에는 원동축(216)이 수직으로 지지된다. 원동축(216)의 하단은 빵 용기 지지부(215)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여기에 풀리(217)가 고정된다. 빵 용기 지지부(215)는, 빵 용기(24O)의 저면에 고정된 통 형상의 프레임 시트(241)를 받아들여서 빵 용기(240)를 지지한다. 프레임 시트(241)도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이다.
빵 용기(240)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빵 용기(5O)와 같고,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밭이랑 형상의 돌기부(140a)가 형성되고, 그 저부 중심에 혼련 블레이드(242)가 배치된다. 혼련 블레이드(`242)는, 제 l 실시 형태와 같게, 빵 용기(240)의 저부 중심에 밀봉 대책을 실시하여 지지되는 수직인 블레이드 장착축(블레이드 회전축)(243)의 상단의 비원형 단면부에, 단순한 끼워넣기로 장착된다.
블레이드 장착축(243)은 원동축(216)에 연결되어서 동력이 전달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장착축(243)의 하단에는 커플링 부재(244)가 고정되고, 원동축(216)의 상단에는 커플링 부재(244)에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245)가 고정된다.
본체(210)의 내부에는 혼련 모터(25O)가 설치된다. 혼련 모터(25O)는 수직축으로서, 아래쪽 면으로부터 모터축(251)이 돌출한다. 모터축(251)에는, 원동축(216)의 풀리(217)에 벨트(253)로 연결하는 풀리(252)가 고정되어 있다. 풀리(252)는 풀리(217)를 감속 회전시키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원동축(216)은 저속·고토오크로 회전한다.
소성실(23O)의 천정부에는, 본체(21O)의 천정면 상에 반이 돌출하는 모터실(260)이 형성되고, 그 중에 분쇄 모터(261)가 설치된다. 분쇄 모터(261)는 수직축으로, 모터축(262)이 하향으로 돌출한다. 모터축(262)에는, 하단에 분쇄 블레이드(264)를 구비한 수직인 회전축(263)이 직접 결합된다. 회전축(262)과 분쇄 블레이드(264)는 분쇄 모터(261)(소성실(23O)의 윗쪽)로부터 늘어뜨리는 형태가 된다.
회전축(263)과 분쇄 블레이드(264)를 초체(265)가 둘러싼다. 초체(265)는 스텐레스 강판 등의 판금으로부터 형성되는 원통형상 부재이다. 초체(265)의 하단, 즉 분쇄 블레이드(264)를 둘러싸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크고, 알의 껍질의 상부 반쪽 부분과 같은 형태로 부풀어 올라 있다.
소성실(230)의 내부에는, 빵 용기(240)를 아래로부터 지지하여 들어 올리는 엘리베이터(승강부)(27O)가 배치된다. 엘리베이터(270)는 프레임 시트(241)를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금속 부품이며, 그 일단에는 수평으로 튀어나온 브라켓(271)이 형성되어 있다. 소성실(230)의 측벽에는, 브라켓(271)을 통과하는 수직 방향의 긴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271)의 위쪽에 닿는 본체(210)의 천정부에는 승강 모터(272)가 설치된다. 승강 모터(272)는 수직축으로, 하향으로 돌출하는 모터축(273)에 이송 나사(274)가 고정되어 있다. 이송 나사(274)는 브라켓(271)에 장착된 너트(275)에 결합한다. 승강 모터(272)가 이송 나사(274)를 회전시키면, 이송 나사(274)의 축선방향으로 너트(275)가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7O)에 승강이 생기는 구조이다. 동력 전달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이송 나사(274)와 너트(275)에는 볼 나사와 볼 너트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자동 제빵기(200)의 동작 제어는, 도 41에 나타내는 제어장치(28O)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어장치(280)는 본체(21O) 내의 적소(제 1 실시 형태와 같이)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의해 구성되고, 조작부(220) 및 가열 장치(231) 외에, 혼련 모터(25O)의 모터 드라이버(281), 분쇄 모터(261)의 모터 드라이버(282), 승강 모터(272)의 모터 드라이버(283), 및 온도 센서(284)가 접속된다. 온도 센서(284)는 소성실(230) 내에 배치되고, 소성실(230)의 온도를 검지한다. 도면부호 285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제빵기(200)도, 제 1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1A) 와 같게, 제 1, 제 2 및 제 3 형태의 빵 제조 공정(도 10~ 도 18 참조)에 의해서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자동 제빵기(20O)를 이용하여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경우의 동작 가운데,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분쇄전 함침 공정(#10)(도 11 참조)에 있어서의, 단계 #11 , #12의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계량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같다. 이하, 이러한 단계에서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 제빵기(2OO)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빵 용기(24O)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을 넣는 작업은, 도어(211)를 열어서 빵 용기(240)를 소성실(230)로부터 나오도록 하여도 좋고, 빵 용기(24O)를 소성실(23O)에 넣은 채로 행하여도 괜찮다. 이때, 엘리베이터(27O)는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강하 위치에 있다. 소성실(23O) 내의 빵 용기(24O)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거나, 또는 외부에서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은 빵 용기(240)를 소성실(230)에 넣으면, 도어(211)를 닫는다.
이 후에 행해지는, 단계#13의 정지 위치, 및, 단계#14의 시간 체크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분쇄전 함침 공정(#1O)에 이어,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준비 동작(분쇄 작업 데이터의 입력, 스타트 키의 가압)으로 분쇄 공정(#2O)(도 12 참조)이 개시된다. 다만,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달리, 분쇄 블레이드(264)의 회전을 개시하기 전에, 제어장치(280)는 승강 모터(272)를 구동하고 엘리베이터(270)를 상승시킨다.
엘리베이터(27O)는, 도 39 및 도 4O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빵 용기(240)의 저부에 분쇄 블레이드(264)가 접근하는 곳(분쇄 위치)까지 상승한다. 엘리베이터(27O)가 정지한 시점에서는, 분쇄 블레이드(264) 및 초체(265)는 빵 용기(24O)의 내저면에 소정 거리까지 접근하고 있다. 이때 혼련 블레이드(242)는 분쇄 블레이드(264)와 초체(265)에 부딪히지 않는 방향을 향해 둔다. 또는, 초체(265)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를 혼련 블레이드(242)의 원점 위치로 하고, 회전을 끝낸 혼련 블레이드(242)는 반드시 원점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하여 두어도 괜찮다.
단계 #21에서는, 제어장치(280)는 분쇄 모터(261)를 구동하고, 회전축(263) 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 중에서 분쇄 블레이드(264)가 회전을 개시한다. 분쇄 블레이드(264)에 의한 분쇄는, 곡물 알갱이에 액체가 침입한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곡물 알갱이를 중심까지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분쇄 블레이드(264)가 회전하고 있는 사이, 빵 용기(240) 내의 곡물 알갱이는, 액체와 함께, 초체(265)와 빵 용기(240)의 내저면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초체(265)안으로 들어와, 분쇄 블레이드(264)로 분쇄되어 초체(265)의 밖에 나오는 것을 반복하여, 세편화되어 간다.
또한, 단계 #22의 설정 분쇄 패턴이 완수했는지 않했는지 확인, 및, 단계 #23의 분쇄 블레이드(264)의 회전 종료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다. 다만, 자동 제빵기(200)에 있어서는, 분쇄 블레이드(264)의 회전 작동의 후에, 이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즉, 분쇄 블레이드(264)의 회전이 종료하면, 엘리베이터(270)를,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강하시킨다. 빵 용기(240)가 소성실(23O)의 저부로 내려진 것에 의해, 커플링 부재(244, 245)의 연결이 부활한다. 이것에서 분쇄 공정(#2O)은 종료하고, 분쇄 공정 종료시의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다.
분쇄 공정(#2O)에 이어 순차 수행되는, 혼련 공정(#3O) (도 13), 발효 공정(#4O)(도 14) 및 소성 공정(#5O)(도 15)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제 2 및 제 3 형태의 제빵 공정에 있어서의, 분쇄 후 함침 공정(#6O) (도 17)의 동작도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분쇄 블레이드(264)는, 곡물 알갱이를 분쇄하는 이외의 용도(너트류 등의 속 재료의 세편화, 빵에 혼합하는 속 재료 이외의 식품 재료나 생약 원료의 분쇄 등)에도 이용할 수 있는 점은, 제 2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단일의 제어장치(280)에 의해, 분쇄 블레이드(264)의 회전과 혼련 블레이드(242)의 회전을 서로 관련 지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은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와 같다.
( 제 4 실시 형태 )
제 4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300A)를, 도 42 내지 도 47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3에 있어서, 도면의 아래쪽이 자동 제빵기(30OA)의 정면(전면)측, 도면의 위쪽이 자동 제빵기(30OA)의 배면(후면)측이다. 또한, 자동 제빵기(3OOA)에 정면에서 마주본 관찰자의 왼쪽이 자동 제빵기(3OOA)의 좌측, 오른쪽이 자동 제빵기(3OOA)의 우측인 것으로 한다.
자동 제빵기(300A)는 박스형의 본체(31O)를 가진다. 본체(31O)의 정면 좌측에는, 후술하는 소성실로 통하는 개구부와, 그것을 닫는 도어(311)(도 4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311)는 하단을 지점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회동하는 것이며, 상단에 핸들(312)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31O)의 외면의 일부에는, 도 47에 나타내는 조작부(32O)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 3 실시형태의 자동 제빵기(2OO)와 같은 구성(도36 참조)을 채용하여 좋다). 조작부(320)에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게, 조작키 그룹과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310)의 내부에는, 도어(311)의 안쪽 위치에, 빵 용기(340)를 수용하는 소성실(33O)이 설치되어 있다. 소성실(330)의 측벽과 저벽은 판금제(내열성의 재료의 일예)이다. 제 1 실시 형태의 소성실(4O)과 같게, 소성실(33O)의 내부에는 제빵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331)가 배치된다. 또한, 소성실(330)은 그의 상면이 개구한 구성으로 해도 되지만, 도 42 등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차폐 뚜껑(33O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 뚜껑(330a)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폐 뚜껑(330a)에 의한 상면 개구의 개폐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소성실(33O)의 아래에는, 제 3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2OO)의 경우와 같게, 빵 용기 지지부(315)가 고정된 기초 프레임(314)이 설치된다. 제 3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게, 빵 용기 지지부(315)의 중심에는 원동축(316)이 수직으로 지지되고, 이 원동축(316)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풀리(317), 혼련 모터(35O), 모터축(351), 풀리(352), 벨트(353)로 이루어진)도 제 3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빵 용기(340)의 저면에 고정된 통 형상의 프레임 시트(341)를 수용하는 빵 용기 지지부(315)의 외주면과, 통 형상의 프레임 시트(341)의 외주면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빵 용기 지지부(13)와 프레임 시트(51)와 같게, 각각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게 주지의 바요넷트 결합을 구성한다. 또한, 빵 용기(340)의 설치시 비틂 방향은 후술하는 혼련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에 일치시켜서, 혼련 블레이드가 회전하더라도 빵 용기(340)가 빠지지 않게 해 둔다.
빵 용기(340)의 구성은 제 1(제 3) 실시 형태의 빵 용기(5O)와 같고,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밭이랑 형상의 돌기부(34Oa)가 형성되고, 그 저부 중심에 혼련 블레이드(342)가 배치된다. 혼련 블레이드(342)는, 제 1( 제 3) 실시 형태와 같게, 빵 용기(34O)의 저부 중심에 밀봉 대책을 실시하여 지지된 수직인 블레이드 설치축(블레이드 회전축)(343)의 상단의 비원형 단면부에 단순한 끼워맞추어서 장착된다.
블레이드 설치축(343)은 원동축(316)에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블레이드 설치축(343)의 하단에는 커플링 부재(344)가 고정되고, 원동축(316)의 상단에는 커플링 부재(344)에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345)가 고정된다. 커플링 부재(344, 345)는 프레임 시트(341)와 빵 용기 지지부(315)로 둘러 싸인다. 또한, 빵 용기(34O)를 빵 용기 지지부(3)에 장착하는 조작(상술의 바요넷트 결합을 얻는 조작)으로, 커플링 부재(344, 345)의 연결도 동시에 달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310)의 내부에는 엘리베이터(승강부)(360)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36O)는, 승강 모터(361)를 동력원으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칼럼(362)을 따라서 승강한다. 엘리베이터(360)에는 케이싱(유지부)(363)이 수평인 지축(64)에 의해 수직면 안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케이싱(363) 은, 그 내부에 분쇄 모터(370)와, 분쇄 모터(37O)의 축으로 연결된 분쇄축(회전축)(371)을 유지하고 있다. 분쇄축(371)의 선단은 케이싱(363)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며, 거기에 분쇄 블레이드(372)가 고정되어 있다.
분쇄축(371) 중에, 케이싱(363)의 밖으로 돌출하는 부분과, 분쇄 블레이드(372)를 초체(373)가 둘러싼다. 초체(373)는 스텐레스 강판 등의 판금으로 형성되는 회전체이고, 알의 껍질의 일부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케이싱(363)의 이동 경로안에는, 엘리베이터(36O)의 승강에 맞추어 케이싱(363)의 자세 변경을 행하는 자세 변경체(366)가 배치된다. 안내 칼럼(362)의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365)의 선단으로부터 늘어 뜨리는 로드가 자세 변경체(366)를 구성한다. 케이싱(363)의 단부에는 자세 변경체(366)의 하단이 닿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부(363a)가 형성되어 있다.
자동 제빵기(30OA)의 동작 제어는, 도 47에 나타내는 제어장치(38O)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어장치(38O)는 본체(31O)의 적소(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의해 구성되고, 조작부(32O) 및 가열 장치(331) 외, 혼련 모터(35O)의 모터 드라이버(381), 승강 모터(361)의 모터 드라이버(382), 분쇄 모터(37O)의 모터 드라이버(383), 및 온도 센서(384)가 접속된다. 온도 센서(384)는 소성실(33O) 내에 배치되어서 소성실(330)의 온도를 검지한다. 도면부호 385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이다. 또한, 소성실(330)에 차폐 뚜껑(330a) 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차폐 뚜껑(33Oa)으로 소성실(330)을 폐색하기 위한 폐색 수단(예를 들면 모터)을 제어장치(380)에 의해서 동작 제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제빵기(3OOA)도, 제 1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1A)와 같게, 제 1, 제 2 및 제 3 형태의 빵 제조 공정(도 10~ 도 18 참조)에 의해서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자동 제빵기(2OO)를 이용하여 곡물 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경우의 동작 가운데,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분쇄전 함침 공정(#lO) (도 11 참조)에 있어서의, 단계 #11 , #12의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계량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같다. 이하, 이러한 단계에서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 제빵기(300A)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빵 용기(34O)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는 작업은, 도어(311)(도 43 참조)를 열어서, 빵 용기(34O)를 소성실(33O) 로부터 꺼내어 행하여도 좋고, 빵 용기(34O)를 소성실(33O)에 넣은 채로 행하여도 괜찮다. 이때, 엘리베이터(360)는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상승 위치에 있다. 케이싱(363)은, 돌기부(363a)가 자세 변경체(364)에 맞닿고, 분쇄축(371)이 수평이 되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이 케이싱(363)의 퇴피 위치이다.
소성실(330) 내의 빵 용기(340)에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거나, 또는 외부에서 곡물 알갱이와 액체를 넣은 빵 용기(34O)를 소성실(330)에 넣으면, 도어(311) 를 닫는다. 이후에 행해지는, 단계 #13의 정지 위치 및, 단계 #14의 시간 체크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분쇄전 함침 공정(#10)에 이어,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준비 동작(분쇄 작업 데이터의 입력, 스타트 키의 가압)으로 분쇄 공정(#20)(도12 참조)이 개시된다. 다만,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달리, 분쇄 블레이드(372)의 회전을 개시하기 전에, 제어장치(380)는 승강 모터(361)를 구동하고, 엘리베이터(360)를 하강시킨다. 또한, 소성실(33O)에 차폐 뚜껑(33Oa)을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36O) 를 하강시키기 전에 차폐 뚜껑(33Oa)을 이동하여 소성실(330)의 상면은 개방하여 둔다.
엘리베이터(36O)가 하강함에 따라서, 케이싱(363)은 도 44에 나타내는 경사 자세가 되고, 그 다음에 도 45에 나타내는 수직 자세가 된다. 엘리베이터(360) 는 케이싱(363)이 수직 자세가 된 후에도 하강을 계속하여서, 분쇄 블레이드(372) 를 빵 용기(34O)의 저부로부터 소정 거리의 곳(분쇄 위치)까지 접근시킨다. 이때 혼련 블레이드(342)는, 분쇄 블레이드(372)와 초체(373)에 부딪히지 않는 방향으로 향해 둔다. 또는, 초체(373)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를 혼련 블레이드(342)의 원점 위치로 하고, 회전을 끝낸 혼련 블레이드(342)는 반드시 원점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하여도 괜찮다.
단계 #21에서는, 제어장치(38O)가 분쇄 모터(370)를 구동하고, 분쇄축(371) 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곡물 알갱이와 입자의 혼합물 중에서 분쇄 블레이드(372) 가 회전을 개시한다. 분쇄 블레이드(372)에 의한 분쇄는, 곡물 알갱이에 액체가 침입한 상태로 행해지기 때문에, 곡물 알갱이를 중심까지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분쇄 블레이드(372)가 회전하고 있는 사이, 빵 용기(340) 내의 곡물 알갱이는 액체와 함께, 초체(373)와 빵 용기(34O) 내저면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초체(373) 중으로 들어가서, 분쇄 블레이드(372)로 분쇄되어 초체(373)의 밖에 나오는 것을 반복하여서 세편화되어 간다.
또한, 단계 #22의 설정 분쇄 패턴이 완수 했는지 않했는지의 확인 및, 단계 #23의 분쇄 블레이드(264)의 회전 종료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다. 다만, 자동 제빵기(300A)에 있어서는, 분쇄 블레이드(372)의 회전 이동 후에, 이하의 동작을 한다.
즉, 분쇄 블레이드(264)의 회전이 종료하면, 엘리베이터(360)를,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엘리베이터(360)가 상승함에 따라서, 케이싱(363)은 수직이었던 분쇄축(371)이 수평이 되도록 자세를 바꾸어 최종적으로는 도 42 및 도 43의 퇴피 위치로 자리 잡게 된다. 또한, 소성실(330)에 차폐 뚜껑(330a)을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이 케이싱(363)의 퇴피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서, 차폐 뚜껑(33Oa)을 움직여서 소성실(33O 의 상면은 폐색된다.
분쇄 공정(#2O)에 이어서 순차 수행되는, 혼련 공정(#30)(도 13), 발효 공정(#4O)(도 14) 및, 소성 공정(#50)(도 15)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제 2 및 제 3 형태 제빵 공정에 있어서의, 분쇄 후 함침 공정(#6O)(도 17)의 동작도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제 1 및 제 3 형태 빵 제조 공정의 경우에는, 분쇄전 함침 공정(#10) 에서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세팅 완료 후에 스타트 키를 누르면, 마지막 소성 행정(#50)까지 전자동으로 제빵 작업이 진행하도록 구성하여도 괜찮다. 또한, 제 2 형태 빵 제조 공정의 경우에는, 분쇄 공정(#2O)에서 곡물 알갱이와 액체의 세팅 완료 후에 스타트 키를 누르면, 마지막 소성 행정(#50)까지 전자동으로 제빵 작업이 진행하도록 구성하여도 괜찮다. 이것들은 제 2 및 제 3 실시 형태의 자동 제빵기(100, 200)에도 들어맞는다.
또한, 분쇄 블레이드(372)는, 곡물 알갱이를 분쇄하는 이외의 용도(너트류 등의 속 재료의 세편화, 빵에 혼합하는 속 재료 이외의 식품 재료나 생약 원료의 분쇄등)에도 이용할 수 있는 점은, 제 2 및 제 3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단일의 제어장치(38O)에 의해, 분쇄 블레이드(372)의 회전과 혼련 블레이드(342)의 회전을 서로 관련 지어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은 제 1 내지 제 3 실시 형태와 같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 48 내지 도 5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구성요소 가운데, 제 4 실시 형태와 공통하는 것에는 제 4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가 제 4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엘리베이터(360)와 케이싱(363)의 구성이다. 즉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케이싱(363)은 엘리베이터(36O)에 일체화되어서 수직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48 , 5O , 52 등 참조). 또한, 도 48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6O)는 안내 칼럼(362)에 대해 수평면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고, 도시하지 않은 동력원(예를 들면 모터)이 엘리베이터(360)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케이싱(63)이 수평면 내에서 선회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8 및 도 49는 분쇄 행정(#20)이 개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360)는 상승 위치에 있고, 또한 케이싱(363)이 빵 용기(340)의 윗쪽으로부터 도피하는 위치에 회동하게 할 수 있다. 이 위치는 분쇄 모터(370) 및 분쇄축(71)(선단에 분쇄 블레이드(372)를 구비한다)을 유지하는 케이싱(363)의 퇴피 위치가 된다. 분쇄 행정(#20)이 개시되면, 도 50 및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60)는 90°회동하고, 케이싱(363)을 빵 용기(34O)에 머무르게 하는 위치까지 선회시킨다. 그 후 엘리베이터(36O)는 하강하고, 분쇄 블레이드(372)를 빵 용기(340)의 저부로부터 소정 거리의 곳(분쇄 위치)까지 접근시킨다(도 52 상태). 혼련 블레이드(342)가 분쇄 블레이드(372)와 초체(373)에 부딪히지 않게 해 두는 것은 제 4 실시 형태와 같다.
분쇄가 종료하고, 분쇄 모터(370)가 정지하면, 엘리베이터(360)는 도 5O의 높이까지 상승한다. 케이싱(363)과 초체(373)가 빵 용기(340)의 밖으로 나오면, 엘리베이터(360)는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동하고, 케이싱(363)은 퇴피 위치까지 선회한다.
제어장치(380)는, 분쇄 행정(#20)에서, 엘리베이터(360)(승강 모터(361)), 분쇄 모터(370), 및 혼련 모터(350)를 도 55의 차트와 같이 제어한다. 즉, 엘리베이터(360)를 하강시켜, 분쇄 모터(370)를 온으로 하여 분쇄를 개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분쇄 모터(370)를 오프로 하고, 분쇄 휴지 기간으로 들어간다. 분쇄 휴지 기간에 들어가면, 제어장치(380)는 엘리베이터(36O)를, 도 53 및 도 54에 나타내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의 중간의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혼련 블레이드(342)를 회전시킨다. 분쇄 블레이드(372)와 초체(373)는 혼련 블레이드(342)보다 충분히 높게 끌어 올려지고 있어서, 혼련 블레이드(342)가 회전하여도 그것들에 부딪히는 일은 없다.
혼련 블레이드(342)는, 소정 시간 회전한 후에 정지한다. 엘리베이터(36O)는 도 5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하강하고, 분쇄 휴지 기간은 마지막을 알린다. 그리고 분쇄가 재개된다. 이와 같은 분쇄 휴지 기간과 분쇄 기간의 사이클이, 최초의 분쇄 기간의 후에 수사이클 반복되고, 그래서 분쇄 행정(#20)은 마지막이 된다. 예를 들면, 분쇄 휴지 기간을 10초(장시간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5분 등도 된다), 분쇄 기간을 60초(30초 등의 단시간이라도 좋다)로 하고, 최초의 분쇄 기간의 후에 분쇄 휴지 기간과 분쇄 기간을 6 사이클에서 7 사이클(더욱 길게 하여 10회 등이라도 상관없다)반복하는 시간 설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쇄를 실시하면, 분쇄 블레이드(372)와 곡물 알갱이의 사이의 마찰열이나, 분쇄축(371)을 통해서 전해지는 분쇄 모터(37O)의 열에 의해, 분쇄 곡물 알갱이의 온도가 상승한다. 방치하면, 빵 제조에 적합하지 않는 온도까지 분쇄 곡물 알갱이의 온도가 상승할 우려가 있지만, 이와 같이 분쇄 휴지기간을 설정함으로써, 분쇄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분쇄 휴지 기간 중에 방열하여, 분쇄 곡물 알갱이의 온도를 너무 올리지 않게 하면서 분쇄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 휴지 기간의 사이, 혼련 블레이드(342)가 회전하여도 초체(373)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까지 엘리베이터(360)가 상승하고, 게다가 혼련 블레이드(342)가 회전하여 곡물 알갱이를 혼합시키기 때문에, 입도의 불균일이 적은 분쇄 곡물 알갱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쇄 수법은,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제 4 실시 형태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경우, 케이싱(363)의 퇴피 위치가 소성실(330) 외의 본체(3lO) 안쪽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워진 빵을 꺼내기 위해서, 본체(31O) 전방에 도어(311)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본체 상면으로부터 꺼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1A,1B,100,200,300A: 자동 제빵기
10,110,210,310: 본체
20,111,220,320: 조작부
11,72,91,212,312: 핸들
30,120:뚜껑
40,130,230,330:소성실
50,140,240,340: 빵 용기

Claims (19)

  1. 혼련 공정, 발효 공정, 및 소성 공정을 순차 수행하는 자동 제빵기로서,
    제빵 원료를 넣기 위해서 사용되는 빵 용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빵 용기를 수용하는 소성실;
    상기 소성실 내에 있는 상기 빵 용기 내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쇄 블레이드;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회전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분쇄용 모터로 구성되는 자동 제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성실을 덮는 뚜껑이 설치되고,
    상기 소성실에 상기 빵 용기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소성실이 상기 뚜껑에 덮인 상태에서, 상기 분쇄 블레이드는 상기 뚜껑보다 상기 빵 용기 내로 늘어 뜨려지는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제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상기 분쇄용 모터는, 상기 뚜껑에 윗쪽으로부터 꽂아 넣는 것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에 내장되고 있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는, 상기 모터 케이스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늘어 뜨려져서, 상기 모터 케이스와 함께 상기 뚜껑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한 자동 제빵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상기 분쇄용 모터는 상기 뚜껑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포함한 분쇄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분쇄용 모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자동 제빵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로부터 리프트 업 가능함과 동시에, 리프트 업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자동 제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혼련체를 구비하고,
    상기 소성실에 상기 빵 용기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련체가 위쪽으로부터 상기 빵 용기 내로 늘어 뜨려지는 자동 제빵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혼련체는,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둘러싸는 돔형의 생지 반죽부와, 상기 생지 반죽부 위쪽에 설치된 회전체 형상의 생지 반환부를 구비하는 자동 제빵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자동 제빵기 내에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련체를 지지하는 승강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련체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의해서, 상기 빵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와, 상기 빵 용기로부터 끌어 올려진 상태와의 변경이 가능한 자동 제빵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소성실의 윗쪽으로부터 늘어 뜨려지는 회전축과,
    상기 소성실 내의 상기 빵 용기를, 그 저부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접근하는 분쇄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자동 제빵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빵 용기의 저부에는 혼련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는, 상기 빵 용기가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혼련 블레이드에 연결하는 원동축이 설치되어 있는 자동 제빵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분쇄용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승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쇄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의해서, 상기 소성실에 배치된 상기 빵 용기의 저부에 상기 분쇄 블레이드가 접근하는 분쇄 위치와, 상기 소성실에 배치된 상기 빵 용기 바깥이 되는 퇴피 위치로 변경되는 자동 제빵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수평이 되는 자동 제빵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회전축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과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유지부를 상기 승강부에 대해서 지지하는 지축과,
    상기 유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협동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맞추어 상기 유지부의 자세 변경을 행하는 자세 변경체를 구비하는 자동 제빵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퇴피 위치는 상기 빵 용기의 윗쪽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인 자동 제빵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승강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축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 축에 대해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자동 제빵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빵 용기의 저부에는 혼련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는, 상기 빵 용기가 상기 소성실의 저부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혼련 블레이드에 연결하는 원동축이 설치되어 있는 자동 제빵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용 모터, 상기 분쇄용 모터, 및 상기 원동축을 회전시키는 혼련용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분쇄 블레이드를 회전하여 행하는 분쇄 행정에서, 상기 분쇄 블레이드의 회전을 멈추는 분쇄 휴지 기간을 마련한 제어를 행하는 자동 제빵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분쇄 휴지 기간의 동안, 상기 혼련 블레이드가 회전하여도, 상기 분쇄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분쇄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외장체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까지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켜 두어서 상기 혼련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자동 제빵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소성실의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 뚜껑과, 상기 차폐 뚜껑을 움직여서 상기 소성실을 폐색시키는 폐색부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자동 제빵기.
KR1020100054794A 2009-09-02 2010-06-10 자동 제빵기 KR201100250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2230A JP2011050567A (ja) 2009-09-02 2009-09-02 自動製パン器
JP2009202585A JP2011050575A (ja) 2009-09-02 2009-09-02 自動製パン機
JPJP-P-2009-202585 2009-09-02
JPJP-P-2009-202230 2009-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057A true KR20110025057A (ko) 2011-03-09

Family

ID=4362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794A KR20110025057A (ko) 2009-09-02 2010-06-10 자동 제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48247A1 (ko)
KR (1) KR20110025057A (ko)
CN (1) CN102028008A (ko)
TW (1) TW2011089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3592B (zh) * 2011-07-21 2014-02-2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半自动制作花式面包的面包机及其制作方法
CN102949108B (zh) * 2011-08-25 2015-03-11 威斯达电器(中山)制造有限公司 全自动面包机及面包的制作方法
JP5824617B2 (ja) * 2012-03-16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パン生地生成機及びそのパン生地を用いた製パン機
JP5810280B2 (ja) * 2012-07-20 2015-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動製パン器
CN104602579B (zh) * 2012-09-06 2016-09-0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自动面包机
JP6118687B2 (ja) * 2013-05-20 2017-04-1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製パン機の運転方法
CN105028538A (zh) * 2015-06-13 2015-11-11 海宁水磨坊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油面筋自动加工设备
CN105919479B (zh) * 2016-06-23 2018-04-27 叶雨玲 带可滑动的搅拌头的面包机
CN106562462A (zh) * 2016-11-04 2017-04-19 覃贤强 一种富硒保健汤圆及其制备方法
WO2020003165A1 (en) * 2018-06-27 2020-01-02 Gendroi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Autonomous rice and flat bread cooking device
CN114128739A (zh) * 2021-12-10 2022-03-04 韩松洁 一种药食同源面包及其制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2257A (en) * 1978-11-24 1980-05-13 France Bed Co., Ltd. Cooking apparatus
US4463022A (en) * 1980-02-25 1984-07-31 Sterner Mark H Method of grinding and cooking whole grain
US4649810A (en) * 1985-08-22 1987-03-17 Wong Don M Automatic cooking apparatus
US4762057A (en) * 1985-10-11 1988-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atic bread producing machine
DE3784381T2 (de) * 1986-06-20 1993-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rot.
JPH01141623A (ja) * 1987-11-27 1989-06-02 Toshiba Corp パン焼き器
US4903588A (en) * 1988-09-05 1990-02-27 Kabushiki Kaisha Toshiba Bread baking apparatus
US5380086A (en) * 1992-08-27 1995-01-10 K-Tec, Inc. Multipurpose food mixing appliance specially adapted for kneading dough
US5408922A (en) * 1993-06-07 1995-04-25 Gupta; Rajendra P. Automatic food processor
US5479850A (en) * 1993-10-22 1996-01-02 The Andersons Apparatus and method for a breadmaking machine
US5464646A (en) * 1994-07-01 1995-11-07 University Of Hawaii Manufacturing of acridity-free raw flour from Araceae tubers
JP3012825U (ja) * 1994-12-21 1995-06-27 船井電機株式会社 製パン器の撹拌羽根の駆動装置
US5510127A (en) * 1995-01-13 1996-04-23 Raymond Industrial Ltd. Process for making bread in an automatic bread maker
US5463936A (en) * 1995-01-23 1995-11-07 Toastmaster Inc. Combined bread baker and butter churn
JP3191645B2 (ja) * 1995-10-27 2001-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製パン機
JPH10179410A (ja) * 1996-12-26 1998-07-07 Mk Seiko Co Ltd 自動製パン機
US6056990A (en) * 1997-05-15 2000-05-02 Cargill, Incorporated Milled cereal by-product which is an additive for flour and dough
JP2000116526A (ja) * 1998-10-13 2000-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製パン機
EP1552750A4 (en) * 2002-07-12 2006-01-18 Shitogi Japan Co Ltd RICE FLUID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BREADS / CAKES, RICE BREADS AND CAKE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KR101050052B1 (ko) * 2002-11-25 2011-07-19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쌀가루의 제조 방법과 그 용도
JP3851623B2 (ja) * 2003-02-07 2006-11-29 株式会社新潟グルメ 自動製パン器
JP3998062B2 (ja) * 2003-02-19 2007-10-24 株式会社福盛ドゥ 自動製パン器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パンの製造方法
JP3913724B2 (ja) * 2003-09-16 2007-05-09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製パン機
CN2741476Y (zh) * 2004-08-27 2005-11-23 邓志明 带搅拌器的面包机
US7461801B2 (en) * 2007-01-05 2008-12-09 Lyu Jan Co., Ltd. Multi-functional food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8981A (en) 2011-03-16
US20110048247A1 (en) 2011-03-03
CN102028008A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5057A (ko) 자동 제빵기
JP5449795B2 (ja) 自動製パン機
EP2308312A1 (en) Method for producing food dough to be cooked and method for producing bread
WO2011024778A1 (ja) 自動製パン機
JP2010035476A (ja) パン製造方法
JP5347833B2 (ja) 自動製パン器
WO2011024776A1 (ja) 自動製パン機
JP5289245B2 (ja) 自動製パン機
JP5295040B2 (ja) 自動製パン機
CN112913877A (zh) 一种和面用可自动控量的无尘加面漏斗
JP5295039B2 (ja) 自動製パン機
US20110290121A1 (en)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US20120266757A1 (en) Automatic bread maker
JP5472372B2 (ja) 調理装置
JP2011050575A (ja) 自動製パン機
JP2010246590A (ja) 自動製パン機
JP4859965B2 (ja) 自動製パン機
JP2010246589A (ja) 自動製パン機
JP5295041B2 (ja) 自動製パン機
CN102258069B (zh) 自动制面包机
TWI406646B (zh) 自動製麵包機
JP5682695B2 (ja) 自動製パン機
JP2010246588A (ja) 自動製パン機
JP2010184080A (ja) 自動製パン機
WO2010117049A1 (ja) ミキサー用アタッチメント、ミキサー用アタッチメントを使用するパン製造方法、ミキサー用アタッチメントを使用するパン生地製造方法、及び回転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