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664A -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664A
KR20100126664A KR1020107016517A KR20107016517A KR20100126664A KR 20100126664 A KR20100126664 A KR 20100126664A KR 1020107016517 A KR1020107016517 A KR 1020107016517A KR 20107016517 A KR20107016517 A KR 20107016517A KR 20100126664 A KR20100126664 A KR 2010012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organic solution
inert gas
solven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나리 야스이
타카시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야스이 세에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야스이 세에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야스이 세에끼
Publication of KR2010012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warp or cur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32B2038/168Removing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9/00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 B32B2379/08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복합재료시트의 박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내열성, 내후성, 내굴곡성, 형상유지성, 박리강도 등이 뛰어난 고품질의 복합재료시트를 얻을 수 있는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길이방향으로 운반되는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에 대하여, 유기용제 중의 용매를 10 내지 15% 잔류할 때까지 가열건조하는 예비가열수단(12)를 형성하고, 예비가열수단(12)에 의하여 예비가열된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를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반입, 반출할 수 있는 큐어오븐(13)을 구비하고, 예비가열수단(12)에 있어서 큐어오븐(13)으로 반입되기 직전의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를 불활성가스 분위기내로 유지하여 기재(2)의 산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18)을 구비하고, 큐어오븐(13) 내에 기재(2)의 건조를 위한 유기용액이 도포되지 않은 면이 말리도록 운반함과 동시에 기재(2) 및 유기용액을 가열하는 롤(21)과, 이 롤(21)과 기재(2) 사이에 불활성가스 막을 형성하도록 함과 아울러 큐어오븐(13) 내를 기재(2)의 산화를 방지하는 저산소농도로 유지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23,24)과, 롤(21)에 말려 있는 기재(2)에 도포되어 있는 유기용액을 수지(3)의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유기용제 중의 용매의 잔유량을 1% 이하(바람직하게는 0.5% 이하)로 하는 가열수단(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TION OF COMPOSITE MATERIAL SHEET}
본 발명은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재 상에 유기용제를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의 박막층을 구비한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재 상에 수지의 박막층을 구비한 복합재료시트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재로서 금속 박막의 일종인 동박(銅箔)을 이용한 복합재료시트는 플렉시블(flexible)프린트 기판으로, 기재를 스테인레스박(SUS박)으로 한 것은 HDD(하드디스크)의 스프링재로, 또한 기재를 양백(洋白)으로 한 것은 절연쉴드로, 또한 기재를 PET(폴리에스테르필름), PEN, PES, 부티랄, 나일론 등으로 한 것은 내열성필름 또는 전자용 커버레이필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이용분야에 걸친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에 있어서, 길이가 긴 장척의 기판을 롤러 등의 운반수단에 의하여 도공위치까지 운반함과 동시에, 도공위치에 있어서 다이코트나 그라비아코트 등의 도공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기재 상에 유기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유기용제를 건조하고 유기용제 중의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유기용제의 경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기재 상에 상기 유기용제를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의 박막층이 형성된 복합재료시트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복합재료시트를 성형함에 있어서, 기재 상에 도포한 유기용제를 건조하여 경화함으로써 기재 상에 수지의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복합재료시트의 폭방향의 양끝 가장자리가 수지의 박막층 쪽으로 말려올라가 필름 전체가 둥글게 되는 이른바 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근래의 휴대전화기, 액정텔레비젼, 기타 전자기기에 있어서 소형화, 복잡화가 진행되어 이들 기기에 이용되고 있는, 기재를 동박으로 한 복합재료시트로 이루어진 플렉시블프린트 기판에 대하여 더욱 더 박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우수한 내열성, 내후성, 내굴곡성, 형상유지성, 박리강도 등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를 만족시킬만한 것은 없었다.
다시 말하자면, 동박에 도포되는 수지는 폴리이미드수지이지만 상기 폴리이미드수지는 수지의 전구체(前驅體)인 아믹산 용액을 도포원료로 하고, 건조시에 상기 용액 내의 NMP 용매를 제거하도록 하여 큐어(경화)하면서 반응시켜 폴리이미드수지로 하기 때문에 반응에 의한 수축이 다른 수지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고 컬이 보다 발생하기 쉽다.
또한 폴리이미드수지가 NMP 용매를 유기용제로부터 휘발시키기 어려운 수지인 것도 폴리이미드수지의 컬 발생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상기 NMP용매가 거의 100% 제거되지 않으면 배선시 땜납으로 선을 연결함에 있어서, 250℃ 이상으로 열을 받았을 경우 폴리이미드수지 내의 NMP용매가 증발하고, 동박과 폴리이미드가 박리되어 필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며, 최악의 경우에는 동박과 폴리이미드가 박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아믹산용액을 동박에 코팅한 후에 스테인레스메쉬시트에 코팅 후 재료를 붙이고 이를 질소분위기내의 오븐에 넣어 가열하도록 하였으나, 500℃ 내지 700℃에서 48시간동안 넣지 않으면 NMP용매가 제거되지 않아 제품으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테인레스메쉬의 흔적이 요철로 남게되어 제품으로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다층일 때에는 흔적에 공기가 들어갈 가능성이 있어 다층의 플렉시블기판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양질의 복합재료시트를 운반하면서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합재료시트의 박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열성, 내후성, 내굴곡성, 형상유지성, 박리강도 등이 뛰어난 고품질의 복합재료시트를 얻을 수 있는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는, 연속된 기재 상에 유기용제와 용매로 이루어진 유기용액을 도포한 후, 이 기재 상의 유기용액을 소정 분위기 온도하에서 건조하여 경화함으로써 상기 기재 상의 상기 유기용제를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의 박막층을 구비한 복합재료시트를 제조하는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운반되는 유기용액을 도포된 기재에 대하여 상기 유기용제중의 용매를 10 내지 15% 잔류할때까지 가열건조하는 예비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예비가열수단에 의하여 예비가열된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반입, 반출할 수 있는 큐어오븐(cure oven)을 구비하고, 상기 예비가열수단에 있어서 상기 큐어오븐에 반입되기 직전의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불활성가스 분위기내에 유지하여 기재의 산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큐어오븐 내에 상기 기재의 건조를 위한 유기용액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면을 말아서 운반함과 동시에 상기 기재 및 유기용액을 가열하는 롤과, 상기 롤과 기재와의 사이에 불활성가스 막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큐어오븐 내를 상기 기재의 산화를 방지하는 저산소농도로 유지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롤에 말려 있는 기재에 도포되어 있는 유기용액을 상기 수지의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유기용제 중의 용매의 잔유량을 1% 이하(바람직하게는 0.5% 이하)로 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는 예비가열수단에 의하여 상기 유기용제 중의 용매를 10 내지 15% 잔류할 때까지 가열건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큐어오븐에 반입되기 직전부분에서 불활성가스 공급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활성가스 분위기 내에서 유지되어 기재의 산화가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비가열수단으로부터 큐어오븐 내로 반입된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는 건조를 위한 유기용액이 도포되지 않은 면을 가열상태에 있는 롤의 외주면 사이에 불활성 가스도막을 개재하여 운반되고, 운반되는 동안에는 큐어오븐 내의 기재 산화를 방지하는 저산소농도의 분위기내를 통과함으로써 산화가 방지된다. 동시에 상기 유기용제는 롤 및 가열수단으로부터 부여된 열량에 의해 수지의 유리전이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잔류량이 1% 이하(바람직하게는 0.5% 이하)로 되도록 용매가 충분히 제거되어 경화된다. 이에 의하여 컬이 전혀 없는 박막형상의 복합재료시트로서 내열성, 내후성, 내굴곡성, 내형상유지성, 박리강도 등이 뛰어난 고품질의 복합재료시트가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동 박막이고, 수지는 폴리이미드수지이며, 불활성가스는 질소가스이며, 상기 예비가열수단의 불활성가스 공급수단 부분에서의 산소농도는 500 내지 1000PPM이며, 상기 큐어오븐 내의 산소농도는 100 내지 5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동박 등의 동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질소가스에 의해 기재인 동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폴리이미드 수지를 함유하는 용매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여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복합재료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복합재료시트의 박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컬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내열성, 내후성, 내굴곡성, 형상유지성, 박리강도 등이 뛰어난 고품질의 복합재료시트를 얻을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큐어오븐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복합재료시트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장치(1)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박 등의 동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기재(2)에 폴리이미드수지(3)를 적층한 복합재료시트(4)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제조장치(1)는 기재(2)의 원반롤(5)로부터 두루마리장치(6)에 이르는 기재(2)의 운반경로를 가지며, 이 일련의 운반경로 중에는 기재(2)의 운반을 유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롤(7)이 설치되어 있다. 원반롤(5)의 하류에는 이 원반롤(5)에 말려들어가는 장척의 기재(2)를 계속 공급하는 공급장치(8)가 있다. 이 공급장치(8)의 하류에는 상기 공급장치(8)로부터 공급된 기재(2)의 표면에 폴리이미드수지의 전구체로서의 아믹산 용액(유기용제와 용매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도공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공장치(9)로는 다이 코터, 리버스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그라비아롤의 지름이 50㎜ 이하인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설치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수지가 흡수성이 강해 공기를 빨아들이면 점도의 변화가 생기거나 백탁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코팅후의 폴리이미드 특성을 잃게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공기가 닿지 않는 다이 코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도공장치(9)의 하류측에는 기재(2)상의 유기용제 중 용매를 10 내지 15% 잔류할때까지 가열건조하는 예비가열수단으로서의 복수의 건조오븐(10,11,12)이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건조오븐(10,11,12)의 하류측에는 유기용제를 최종적으로 경화시켜 폴리이미드수지(3)로 만드는 큐어오븐(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큐어오븐(13)의 하류측에는 고열상태의 복합재료시트(4)를 서냉하는 서냉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서냉장치(14)와 두루마리장치(6)의 사이에는 냉각된 복합재료시트(4)를 말아서 구동하는 두루마리 구동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예비가열수단으로서의 복수의 건조오븐(10,11,12) 중 상류측의 두개의 건조오븐(10,11)은 복수의 적외선 혹은 원적외선에 의한 히터(16)를 유기용액에 대면하도록 설치하였고,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를 약 150℃정도까지 서서히 가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건조오븐(10,1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오븐(12)은 복수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에 의한 히터(17)를 유기용액에 대면하는 측과 필요에 따라 기재(2)에 대면하는 측으로 설치되어 있고, 최종적으로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를 약 300 내지 350℃정도까지 서서히 가열하여 유기용제 중의 용매를 10 내지 15% 잔류할때까지 가열건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큐어오븐(13)에 반입되기 직전의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에 대해서는 유기용액에 대면하는 측 및 기재(2)에 대면하는 측 쌍방에 히터(17)를 설치하고, 또한 양 히터(17) 사이에 불활성 가스로서의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산소농도가 500 내지 1000PPM의 불활성가스 분위기를 형성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으로서의 질소가스노즐(18)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큐어오븐(13)으로 반입되기 직전의 건조오븐(12) 내에 있어서, 기재(2)는 불활성가스 분위기 내로 유지되어 산화가 방지된다.
건조오븐(12)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큐어오븐(13)의 윗면에는 복합재료시트(14)를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반입, 반출할 수 있는 입구(19)와 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큐어오븐(13) 내의 중앙부에는 복합재료시트(4)의 기재(2)를 건조하기 위한 유기용매가 도포되지 않은 면을 말아서 운반하는 지름 200 내지 1000㎜의 롤(21)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가로로 걸려 있다. 이 롤(21)은 자유회전과 구동회전를 자유로이 전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재(2)에 불필요한 장력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는 롤(21)을 자유회전시켜도 된다. 또한 롤(21) 안에는 기재(2)를 폴리이미드수지(3)의 유리전이점(약 350℃)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저온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유기용제를 폴리이미드화하기 위하여 유기용제를 유리전이점 이상(예를 들면 380 내지 420℃)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서, 유기용제와 대면하는 원뿔상의 위치에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에 의한 가열히터(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열히터(22) 및 롤(21) 안의 히터에 의한 가열로 인하여 기재(2)에 도포되어 있는 유기용제 중의 용매의 잔유량이 1% 이하(바람직하게는 0.5% 이하)로 되어 양질의 폴리이미드수지가 된다. 또한 롤(21)과 복합재료시트(4)의 기재(2)의 사이에 불활성가스 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불활성가스의 일종인 질소가스를 롤(21)의 상부 외주면을 향하여 분출하는 막형성용 질소가스노즐(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불활성가스 막을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롤(21)의 외주면을 거칠게하여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매트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또한 큐어오븐(13) 안을 저산소농도(예를 들면 100 내지 500PPM)로 하기 위하여 불활성가스의 일종인 질소가스를 필요량 공급하는 적어도 1개의 질소가스노즐(2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막 형성용 질소가스노즐(23)과 질소가스노즐(24)에 의하여 롤(21)과 기재(2)와의 사이에 불활성가스 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큐어오븐(13) 내를 저산소농도로 유지하여 기재(2)로서의 동 박막의 현저한 산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이 형성된다. 큐어오븐(13) 내를 저산소농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입구(19)와 출구(20)에 각각 질소가스커튼을 형성하는 커튼용 질소가스노즐(25)을 설치하면 된다.
큐어오븐(13)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서냉장치(14)는, 고열상태의 복합재료시트(4)를 상온까지 서냉하기 위하여 복수의 적외선 혹은 원적외선에 의한 히터(26)를 폴리이미드수지(3)에 대면하는 측과 필요에 따라 기재(2)에 대면하는 측으로 설치되고, 기재(2)의 동 결정화의 안정성을 도모하여 폴리이미드수지(3) 및 기재(2)는 평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원반롤(5)에서 공급장치(8)를 사이에 두고 도공장치(9) 부분에 기재(2)를 운반한 후, 이 기재(2) 위에 유기용제 폴리이미드 수지의 전구체로서의 아믹산 용액을 도포한다. 이 경우, 마무리 상태에서의 복합재료시트(4)의 기재(2) 두께를 약 9㎛, 폴리이미드수지(3)의 두께를 약 10㎛로 한다.
그리고 기재(2) 위에 유기용매를 도포한 후, 이 기재(2)를 예비가열수단으로서의 복수의 건조오븐(10,11,12) 안으로 운반하고, 각 건조오븐(10,11,12) 안에서 기재(2) 위의 유기용매를 소정의 분위기온도하에서 건조함으로써 유기용제의 경화를 촉진시킨다. 이 때, 블로워 등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유기용제의 표면에 열풍을 가함으로써 건조를 효율적으로 행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비가열수단의 상류측의 2개의 건조로(10,11)에서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는 약 150℃ 정도까지 서서히 가열된다. 이어서 이들 건조오븐(10,1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오븐(12)에서 복수의 히터(17)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를 약 300 내지 350℃정도까지 서서히 가열하여 유기용제 중의 용매를 10 내지 15% 잔류할 때까지 가열건조한다. 또한 큐어오븐(13)에 반입되기 직전의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2)에 대해서는 유기용액에 대면하는 측 및 기재(2)에 대면하는 측의 쌍방에 설치된 양 히터(17)의 사이에 질소가스노즐(18)로부터 불활성가스로서 질소가스가 공급되어 산소농도가 500 내지 1000PPM인 불활성가스 분위기가 형성됨으로써, 양 히터(17)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되는 기재(2)의 동은 효과적으로 산화가 방지된다.
큐어오븐(13)의 상류측에 있어서 약 300 내지 350℃ 정도로 서서히 가열되는 기재(2)의 동 박막과 유기용제는 커튼용 질소가스노즐(25)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약 300℃정도의 질소가스커튼 및 입구(19)를 차례로 지나 큐어오븐(13) 내로 반입된다. 기재(2)의 동 박막은 폴리이미드수지(3)와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약간 표면이 거칠게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큐어오븐(13) 안은 질소가스노즐(24)에 의하여 공급되는 약 300℃ 정도의 질소가스에 의하여 100 내지 500PPM의 저산소농도로 유지되고 있다. 기재(2)는 경화 전의 건조를 위한 폴리이미드수지(22)가 도포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을 자유자재로 회전하는 롤(21)에 말려들어갈 때, 막형성용 질소가스노즐(23)로부터 분출된 약 300℃정도의 질소가스가 롤(21)의 외주면을 따라, 구체적으로는 해당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매트한 부분에 의하여 질소가스가 들어가도록 유지함으로써 롤(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질소가스 박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기재(2)는 폴리이미드수지(3)의 유리전이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롤(21)에 붙음으로써 해당 유리전이점 이하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기재(2)인 동 박막은 산화작용을 받지 않게 되며 또한 비정상적으로 가열되는 일이 없어진다.
동시에 기재(2)의 외측에 도포되어 있는 폴리이미드수지(3)는 가열히터(22)에 의하여 폴리이미드수지(3)의 유리전이점(350℃) 이상의 온도, 즉 380 내지 420℃의 온도로 가열되고, 함유되어 있는 용매인 NMP는 거의 100%(NMP의 잔유량이 1% 이하(바람직하게는 0.5% 이하)) 제거된다. 이에 따라 폴리이미드화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큐어오븐(13) 내의 약간의 산소가 경화되어 있는 폴리이미드수지(3)의 두께방향으로 침투하고, 기재(2)의 동 박막까지 도달하여 동이 약간 산화되어 폴리이미드수지(3)와 결합성을 보다 한층 공고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폴리이미드수지(3)가 경화되어 최종제품으로 된 복합재료시트(4)는, 큐어오븐(13)으로부터 출구(20) 및 커튼용 질소가스노즐(25)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약 300℃정도의 질소가스커튼을 차례로 지나 외부의 건조오븐(12) 안으로 반출된다.
그 후, 복합재료시트(4)는 건조오븐(12)을 지난 후 서냉장치(14)에 도달하고, 해당 서냉장치(14)에 의해 상온까지 서냉되어 기재(2)의 동 결정화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폴리이미드수지(3) 및 기재(2)는 평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컬이 전혀 없는 박막형상의 복합재료시트(4)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2)인 동 박막의 두께를 9 내지 25㎛로 하고, 폴리이미드수지(3)의 두께를 10 내지 25㎛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복합재료시트(4)는 내열성, 내후성, 내굴곡성, 형상유지성, 박리강도 등이 뛰어난 고품질의 것이 된다.
그 후 복합재료시트(4)는 두루마리장치(6)에 말려들어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재료시트로서 기재의 양면에 폴리이미드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

  1. 연속한 기재 상에 유기용제와 용매로 이루어지는 유기용액을 도포한 후, 이 기재 상의 유기용액을 소정의 분위기온도하에서 건조하여 경화함으로써 상기 기재 상에 상기 유기용제를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의 박막층을 구비한 복합재료시트를 제조하는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운반되는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에 대하여 상기 유기용제 중의 용매를 10 내지 15% 잔류할때까지 가열건조하는 예비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예비가열수단에 의하여 예비가열된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반입, 반출할 수 있는 큐어오븐을 구비하고,
    상기 예비가열수단에 있어서 상기 큐어오븐에 반입되기 직전의 유기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불활성가스 분위기 내로 유지하여 기재의 산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큐어오븐 내에 상기 기재의 건조를 위한 유기용액이 도포되지 않은 면이 말리도록 운반함과 동시에 상기 기재 및 유기용액을 가열하는 롤과, 이 롤과 기재 사이에 불활성가스 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큐어오븐 내를 상기 기재의 산화를 방지하는 저산소농도로 유지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롤에 말려있는 기재에 도포되어 있는 유기용액을 상기 수지의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유기용제중의 용매의 잔유량을 1% 이하(바람직하게는 0.5% 이하)로 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동 박막이고, 수지는 폴리이미드수지이며, 불활성가스는 질소가스이며, 상기 예비가열수단의 불활성가스 공급수단 부분에서의 산소농도는 500 내지 1000PPM이며, 상기 큐어오븐 내의 산소농도는 100 내지 5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


KR1020107016517A 2008-02-29 2008-12-24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 KR20100126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0030 2008-02-29
JPJP-P-2008-050030 2008-0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664A true KR20100126664A (ko) 2010-12-02

Family

ID=4101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517A KR20100126664A (ko) 2008-02-29 2008-12-24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300351A1 (ko)
JP (1) JP5421237B2 (ko)
KR (1) KR20100126664A (ko)
CN (1) CN101965228B (ko)
DE (1) DE112008003735T5 (ko)
TW (1) TW200940333A (ko)
WO (1) WO2009107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9966B2 (ja) * 2009-09-08 2014-04-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6280194B1 (ja) * 2016-12-12 2018-02-14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塗装乾燥装置および塗装乾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2848A (en) * 1964-03-03 1968-01-09 Mc Donnell Dougla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evaporative coating
US3379803A (en) * 1964-05-04 1968-04-23 Union Carbide Corp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on of polymer-forming vapor under vacuum
US3867901A (en) * 1968-06-03 1975-02-25 Eastman Kodak Co Apparatus for production of photographic elements
GB1253124A (ko) * 1969-02-28 1971-11-10
US3565039A (en) * 1969-06-25 1971-02-23 Inca Inks Printing and coating apparatus
US3861351A (en) * 1973-12-06 1975-01-21 Dusenbery Co John Apparatus for coating and stacking printed sheets
US4053990A (en) * 1976-03-03 1977-10-18 Sav-Sol Drying Systems, Inc. Differential pressure drying and solvent recovery unit
DE3038791C2 (de) * 1980-10-14 1985-08-01 Lohmann Gmbh & Co Kg, 5450 Neuwie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lösungsmittelhaltigem Material
US4365423A (en) * 1981-03-27 1982-12-2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oated sheet material
JPS5879566A (ja) * 1981-11-04 1983-05-1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塗布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142993A (ja) * 1984-08-07 1986-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樹脂への導体層形成方法
US4809639A (en) * 1986-07-15 1989-03-07 Yasui Seiki Co. Ltd. Coating device
US5192585A (en) * 1987-05-20 1993-03-09 Kawasaki Steel Corp. Differential pressure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JP2552929B2 (ja) * 1990-02-20 1996-11-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処理室壁のウエブ貫通部のガスシール装置
DE4023442A1 (de) * 1990-07-24 1992-01-30 Pagendar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einer beschichteten substratbahn
JPH05228418A (ja) * 1991-12-27 1993-09-07 Mitsui Toatsu Chem Inc フレキシブル金属箔積層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3011366B2 (ja) * 1995-10-26 2000-02-21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膜形成素材を含む基板の焼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0508050A (ja) * 1996-03-29 2000-06-27 ミネソタ・マイニング・アンド・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カンパニー 複数の乾燥用サブゾーンを用いて支持体上のコーティングを乾燥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5621983A (en) * 1996-03-29 1997-04-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ckeling excess air when drying a coating on a substrate
TW448236B (en) * 1996-05-21 2001-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hin film,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and electronic component incorporating the same
US5906862A (en) * 1997-04-02 1999-05-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 coating on a substrate
US6337102B1 (en) * 1997-11-17 2002-01-08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Low pressure vapor phase deposition of organic thin films
US6045864A (en) * 1997-12-01 2000-04-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por coating method
JP2000127186A (ja) * 1998-10-28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樹脂薄膜の製造方法
JP4000706B2 (ja) * 1999-03-12 2007-10-31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シート状材料の加熱処理方法及び加熱処理装置
JP2001179919A (ja) 1999-12-24 2001-07-03 Sumitomo Bakelite Co Ltd 積層板の製造方法
ATE497028T1 (de) * 2000-06-22 2011-02-15 Panasonic Elec Works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akuum-ausdampfen
US6468595B1 (en) * 2001-02-13 2002-10-22 Sigma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accum deposition of cationic polymer systems
US6802315B2 (en) * 2001-03-21 2004-10-12 Hollingsorth & Vose Company Vapor deposition treated electret filter media
US6987162B2 (en) * 2001-10-23 2006-01-17 Tien Tsai Lin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ing high-density polyimide (HPI) film
JP4136509B2 (ja) * 2001-12-18 2008-08-2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並びにプリプレグの製造装置並びに絶縁層付銅箔の製造方法
US7112351B2 (en) * 2002-02-26 2006-09-26 Sion Powe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vacuum thin film deposition
JP2004050007A (ja) * 2002-07-18 2004-02-1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塗布方法
US6911671B2 (en) * 2002-09-23 2005-06-28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for depositing patterned layers in OLED displays
US6949296B2 (en) * 2002-12-31 2005-09-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imide substrates having enhanced flatness, isotropy and thermal dimensional stability,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hereto
EP2610568A1 (en) * 2003-03-26 2013-07-03 Fujifilm Corporation Drying method for a coating layer
JP4360956B2 (ja) * 2004-03-24 2009-11-11 新日鐵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の製造方法
JP4669715B2 (ja) * 2005-02-23 2011-04-13 株式会社康井精機 複合材料シートの製造装置
KR101431280B1 (ko) * 2005-12-06 2014-08-20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방법, 반송 장치 및 하드 코트층을 갖는 기능성필름과 반사 방지층을 갖는 기능성 필름
WO2008093112A1 (en) * 2007-02-02 2008-08-07 G24 Innovations Limited Web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4355032B2 (ja) * 2007-12-05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WO2009104382A1 (ja) * 2008-02-20 2009-08-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JP5394765B2 (ja) * 2008-03-31 2014-01-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ペロブスカイト型酸化物膜、強誘電体、圧電素子、液体吐出装置
WO2010122742A1 (ja) * 2009-04-22 2010-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JP5439097B2 (ja) * 2009-09-08 2014-03-12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5469966B2 (ja) * 2009-09-08 2014-04-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47020B (ko) 2014-08-01
WO2009107310A1 (ja) 2009-09-03
JP5421237B2 (ja) 2014-02-19
JPWO2009107310A1 (ja) 2011-06-30
US20100300351A1 (en) 2010-12-02
CN101965228A (zh) 2011-02-02
TW200940333A (en) 2009-10-01
DE112008003735T5 (de) 2011-02-17
CN101965228B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18B1 (ko) 접착 시트, 금속 적층 시트 및 인쇄 배선판
TW201800213A (zh) 覆金屬積層板之製造方法及覆金屬積層板
JP5692220B2 (ja) 延伸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092991B1 (ko)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TWI333895B (ko)
TWI432113B (zh) A method for producing a copper-clad laminate, a copper foil for use, and a laminated apparatus for a copper-clad laminate
CN101151946B (zh) 柔性覆铜层叠基板的制造方法以及多层层叠体
KR20100126664A (ko) 복합재료시트의 제조장치
CN110662358A (zh) 覆金属层叠板的制法、被覆加压辊的制法及修复方法
JP2013082149A (ja) 延伸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669715B2 (ja) 複合材料シートの製造装置
TWI406756B (zh) Flexible polyimide metal laminated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JPH11930A (ja) 耐熱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0204178A (ja) 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0137193A (ja) 複合材料シート製造機
JP5134198B2 (ja) ポリイミド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の利用
JP2018202290A (ja) 積層シート製造装置
JPH02180682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用基板の製造方法
TWI678285B (zh) 覆金屬板的製作方法
US20070138690A1 (en) Process for producing synthetic resin film having molecular orientation controlled in md direction
JP2005152792A (ja) 複合材料シートの製造方法
JP2799227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用基板の製造方法
KR20130062083A (ko) 캐리어필름 제조장치
JP4549705B2 (ja) フレキシブル積層板の製造方法
TWI311454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laminated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4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30

Effective date: 2017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