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527A - 정보처리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그것들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그것들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527A
KR20100112527A KR1020100030723A KR20100030723A KR20100112527A KR 20100112527 A KR20100112527 A KR 20100112527A KR 1020100030723 A KR1020100030723 A KR 1020100030723A KR 20100030723 A KR20100030723 A KR 20100030723A KR 20100112527 A KR20100112527 A KR 2010011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server
mf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257B1 (ko
Inventor
히로키 쇼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wer Sour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정보처리장치는,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하고, 그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한다. 이 정보처리장치는, 보통 상태로부터 절전상태로 이행할 때에,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정기적인 송신을 계속 유지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그것들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ETWORK INTERFACE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해당 네트워크상의 서버와 통신가능한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나 프린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수법이 도입되어 왔다. 그 중에서, 딥 슬립(deep sleep)이라고 불리는 수법은, 정보처리장치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이후, NIC), 그리고 정보처리장치의 조작부를 제외한 각 부위에의 전원공급을 정지 함에 의해 정보처리장치를 휴면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장치가 딥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의 소비 전력을 대단히 낮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대단히 낮은 전력으로 정보처리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딥 슬립 기술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가 딥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프린터부에 있는 드럼 및 정착기와, 콘트롤러부에 있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 때, 정보처리장치는 인쇄나 화상처리 등의 정보처리장치가 갖는 주된 기능을 실행할 수 없다.
정보처리장치는, 딥 슬립 상태로부터 보통 상태(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조건을 갖고 있다. 정보처리장치가 그 조건을 만족시켰을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었던 부위에의 전력의 공급을 시작하고, 정보처리장치의 주된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상태(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한다.
일반적으로, 그 복귀 조건은, (1) 정보처리장치의 조작부의 버튼이 눌려진 경우와, (2) 정보처리장치의 NIC가 그 복귀 조건에 일치하는 특정한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의 2가지 경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정보처리장치가 딥 슬립 상태일 경우에도, 조작부와 NIC에는 전력공급이 행해지고, 센서는 버튼 가압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와, 네트워크 패킷 수신이 행하여진 것인가 아닌가를 감시한다.
전술한 복귀 조건에 일치하는 특정한 네트워크 패킷은, 일반적으로는 1) 그 정보처리장치 자체 앞에 송출한 패킷(목적지 매체 접근 제어(MAC)어드레스가 그 정보처리장치 자체인 패킷), 2) 슬립 복귀 패킷, 3) 특정 프로토콜의 브로드 캐스트 패킷을 포함한다. 2)의 슬립복귀 패킷은, 정보처리장치를 딥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특정한 패킷 패턴을 갖는 패킷을 말한다. 3)의 특정 프로토콜의 브로드 캐스트 패킷, 또는 멀티캐스트 패킷은, 네트워크상의 다른 노드가 네트워크상의 정보처리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패킷을 말한다. 정보처리장치는, NIC에서 수신한 패킷이 이것들의 패킷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딥 슬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딥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주어진 네트워크 패킷에 대하여 응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리(proxy) 응답이라고 불리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딥 슬립 상태에서는 정보처리장치의 CPU도 정지하기 때문에, 통상은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응답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LAN상의 노드가 정보처리장치앞에 송출한 패킷을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하면, 상기 복귀 조건이 만족되어, 정보처리장치는 딥 슬립 상태로부터 반드시 복귀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장치에 대하여 빈번히 통신을 행하는 노드들이 있는 환경이나, 또 통신의 빈도가 보다 적은 경우일지라도, 노드가 다수 존재하는 환경에서, 정보처리장치는 빈번히 딥 슬립으로부터 복귀하기도 한다. 따라서, 딥 슬립 상태를 장시간 계속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소비 전력을 보다 낮은 레벨로 저감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대리 응답이다. 대리 응답은, NIC에 특정한 패킷에 응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기술에 의해, 정보처리장치가 LAN으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패킷 중 특정한 데이터 패턴을 갖는 패킷에 대하여, 딥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지 않고 응답(패킷에 의해 회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딥 슬립 상태를 가능한 계속 길게 하여, 정보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보다 낮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대리 응답 기술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259906에는, 보통 처리를 행하는 CPU1과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CPU2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절전상태에서는 CPU2가 수신 패킷에 대하여 응답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대리 응답 기술에서, NIC는 수신한 네트워크 패킷에 대한 응답 처리만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NIC는, 수신 패킷에 대한 응답이라고 하는 수동적인 처리를 행할 뿐이다.
그렇지만, 요즘, 여러 가지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되어, 이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된 정보처리장치는, 각각의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가 딥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정보처리장치로부터 능동적으로 네트워크 패킷을 때때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등록상표)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탑재한 컴퓨터를 도입하고 있는 LAN환경에서는, 마스터 브라우즈 서버(이하, MBS라고 부른다)라고 불리는 이름 관리 서버가 존재하고 있다. MBS는, LAN의 관리자나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고, LAN상의 노드끼리가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 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이 네트워크 환경에 참가하는 정보처리장치는, 주어진 간격으로 MBS의 검색을 행하고 나서, 발견한 MBS에 대하여 정보처리장치 자체의 컴퓨터 이름(네트워크 베이직 입출력 시스템(NetBIOS)명)을 주어진 간격으로 등록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것은, MBS에서 보존된 정보가 주어진 경과시간에서 소거되어서,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LAN상의 각 노드는, 정보처리장치 자체의 정보가 소거되기 전에 재등록을 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NetBIOS명은, 서버 메시지 블록(SMB)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노드들 중에서 파일의 송수신을 행할 때에 사용된 정보다.
이러한 처리에서, MBS가 정보를 소거하는 시간이나 간격 등의 갱신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환경이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종별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에는 MBS에 대하여 정보처리장치 자체의 정보를 등록하는 시간간격이 설정된다. 그 설정에 따라 상기 MBS에의 등록 처리는, 정보처리장치의 메인 CPU에 의해 처리된다. 그렇지만,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딥 슬립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CPU는 결국 정지될 것이다. 그 때문에, 정보처리장치는, MBS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시간간격을 알 수 없어, 등록 처리가 일체 실행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별도의 예로서, NetBIOS와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서포트하는 기기는, LAN 위에 WINS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주어진 간격으로 정보처리장치 자체의 NetBIOS명과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WINS서버에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WINS서버(Windows(등록상표) Internet Name Service서버)는, 네트워크상의 각 노드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를 한 쌍으로 해서 관리하는 서버다. WINS서버는, LAN환경에 있어서 관리자등의 유저에 의해 설치된다. 따라서, 정보처리장치에는 WINS서버를 지정하기 위한 등록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정보처리장치는, WINS서버의 IP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등록 유닛을 구비한다. 그 정보처리장치는, 등록된 어드레스에 대하여 정보처리장치 자체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의 쌍을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등록시에, WINS서버로부터 정보처리장치에 대하여, 다음번의 등록 시간이 지정된다. 지정된 등록 시간이 되면, 다시 정보처리장치는 WINS서버에 대하여 정보처리장치 자체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의 쌍을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일련의 등록 처리는, 정보처리장치의 메인CPU에 의해 처리된다. 그렇지만,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딥 슬립 상태가 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CPU는 결국 정지될 것이다. 그 때문에, 정보처리장치는, WINS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등을 알 수 없어, 등록 처리가 일체 실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거쳐서 상기 서버에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절전상태로 이행하는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정보처리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정보처리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정보처리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복합기(MFP)에서 실행되는 정의된 처리 "A"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통신시스템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0)(이하, MFP라고 한다)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1)(이하, NIC라고 한다)를 거쳐서 허브(hub)(102)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정보처리시스템은, MFP(100)와 NIC(101)로 구성되어 있다. 허브(102)는, 또한 LAN(103)에 접속되어 있고, 정보처리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1)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상의 각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허브(102)에는, NIC(101)의 이외에도 PC(104)와 WINS서버(105)가 접속되어 있다. PC(104)는 마스터 브라우즈 서버(이하, MBS라고 한다)로서 동작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다. WINS서버(105)는, WINS서버의 기능을 갖춘 퍼스널 컴퓨터다. 일반적으로는, WINS서버가 존재하는 LAN환경에 있어서는, MBS는 존재하지 않거나, WINS서버는 MBS로서 동작하지 않는다. 이것은, WINS서버가 MBS가 MBS를 대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WINS서버와 MBS가 배타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즉, 도 1의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WINS서버(105)가 존재할 경우에는, PC(104)은 MBS로서 동작하지 않고 일반적인 PC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반대로, WINS서버(10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PC(104)은 MBS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WINS서버와 MBS가 배타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양쪽이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MFP(100) 및 NIC(101)으로 이루어진 정보처리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NIC(101)는, 인텔리전트형 네트워크 카드 모듈에 의해 실현된, MFP(100)에 및 MFP로부터 착탈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다. 그리고, NIC(101)는, NIC(101)용의 CPU(201), RAM(202), 판독전용 메모리(ROM)(203), 네트워크 I/F(204), 발광다이오드(LED)(205), 확장 인터페이스(I/F)(206), 및 이들 구성요소를 상호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207)를 구비하고 있다.
CPU(201)는, ROM(203)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을 판독해서 각 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CPU(201)는, 시스템 버스(207)에 접속된 네트워크I/F(204)를 통해 허브(102)에 접속하고, 아울러 허브(102)를 통해 LAN(103)상의 단말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CPU(201)는, LAN(103)상의 인쇄 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나 프린터 제어 명령 등의 각종 데이터(네트워크 패킷)를 수신하여, 확장I/F(206)를 통해 MFP(100)에 전송한다. 그 결과, MFP(100)에서 인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RAM(202)은, CPU(201)의 주메모리,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기억영역으로서 사용된다. LED(205)는, NIC(10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LED(205)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I/F(204)와 허브(102)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나 통신 모드 등의 각 종 동작 상태를 LED의 색이나 점멸 패턴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확장I/F(206)는, NIC(101)와 MFP(100)를 접속하기 위한 I/F이며, 로컬 케이블(210)을 통해 MFP(100)측의 확장I/F(224)에 접속되어 있다. 확장I/F(206)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NIC(101)는, 이 커넥터에 의해 MFP(100)에 및 MFP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고,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MFP에 해당 NIC(101)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MFP(100)는, 제어부(220), 조작부(230), 스캐너(240) 및 프린터(25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20)에는, MFP(100)용의 CPU (221), RAM(222), ROM(223), 확장I/F(224), 조작부I/F(225), 디바이스I/F(226)와, 이들 구성요소를 상호접속하는 시스템 버스(227)가 구비되어 있다. CPU(221)는, ROM(22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각 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CPU(221)는, 확장I/F(224)를 통해 NIC(101)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바이스I/F(226)를 통해 프린터(250)에 출력한다. RAM(222)은, CPU(221)의 주메모리, 워크 에어리어 등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RAM(222)은, 도시되지 않은 증설 포트에 접속되는 옵션RAM에 의해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230)에는, MFP(100)의 동작 모드 등의 설정이나 인쇄 데이터의 취소 등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버튼들과, MFP(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액정 패널이나 LED등의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통신 모드의 설정도, 조작부(230)를 통해서 행할 수 있다. 프린터(250)는, 공지의 인쇄 기술을 이용한 프린터이며, 예를 들면 전자사진방식(레이저 빔 방식), 잉크젯 방식 또는 승화(열전사)방식등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를 실행한다. 또한, 스캐너(240)는,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들을 MFP(100)에 입력한다. MFP(100)는, 스탠바이 상태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딥 슬립(절전)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딥 슬립 상태(절전상태)를 사용하여, 특정한 유닛(조작부(230)이나 확장I/F(224)등)를 제외한 각 유닛에 대한 전력공급을 정지 함에 의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은, NIC(101) 및 MFP(100)의 소프트웨어 구성도다. 여기에서는, NIC(101)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의 설정에 관계되는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NIC(101) 및 MFP(100)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소프트웨어 이외의 각종 소프트웨어도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각 종류의 소프트웨어는, NIC(101) 또는 MFP(100)의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다. NIC(101) 또는 MFP(100)가 기동한 것에 따라, 각 종류의 소프트웨어는, RAM에 판독되어, 각 CPU에 의해 실행된다.
NIC(10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301)은, 네트워크I/F 드라이버(302) 및 통신제어부(303)가 구비되어 있다. 네트워크I/F 드라이버(302)는, 네트워크I/F(204)에 의한 통신 처리의 실행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303)는, 후술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MFP(100)측으로부터 지시된 내용에 따라, 허브(102)에 접속된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을 행한다.
한편, MFP(100)측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311)은, NIC드라이버(312) 및 통신 실행부(313)가 구비되어 있다. NIC드라이버(312)는, NIC(101)에 대하여 각종 지시를 송신하고, NIC(101)에게 각종 동작을 실행시킨다. 통신 실행부(313)는, 후술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NIC(101)가, 허브(102)에 접속된 네트워크 노드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NIC드라이버(312)를 통해 통신제어부(303)에 각종의 설정 지시를 행하게 한다. MFP(10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311)상에서 동작하는 각 종류의 소프트웨어 중, NIC드라이버(312)는 OS(311)의 커널 스페이스에서 동작하는 반면에, 통신 실행부(313)는 OS(311)의 유저 스페이스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통신 실행부(313)는, NIC드라이버(312)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하여서 NIC(101)에게 각종 정보의 설정을 행하게 한다. 각종 정보란, 예를 들면, MBS에의 등록 실행의 유무, MBS에 등록하는 시간간격, WINS서버에의 등록 실행의 유무, WINS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IP 어드레스, 및 MFP(100)의 컴퓨터 이름(이하, NetBIOS명)을 말한다. 또한, 통신 실행부(313)는, MFP(100)가 스탠바이 상태일 경우에, MBS에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를 실행한다. 설정 기억부(314)에는, MFP(100)가 스탠바이 상태일 경우, 또는 딥 슬립 상태일 경우에, NIC(101)가 허브(102)와 통신할 때의 통신에 관한 각종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것처럼, MBS에의 등록 실행의 유무, MBS에 등록하는 시간간격, WINS서버에의 등록 실행의 유무, WINS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MFP(100)의 NetBIOS명을 포함한다. 또한, MFP(100)의 IP 어드레스와 서브네트 마스크 등의 MFP(100)가 외부 노드와 네트워크 통신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도 기억되어 있다. MFP(100)의 CPU(221)는, 통신 실행부(313)에 의해 결정된 정보를 설정 기억부(314)에 기억시키고, 그 설정 기억부(31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NIC(101)에 대한 지시를 송신한다.
다음에,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정보처리시스템(200)에서 실행된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흐름도 중, 파선으로부터 좌측의 각 단계는 MFP(100)의 CPU(221)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그 파선으로부터 우측의 각 단계는 NIC(101)의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단계S401에 있어서, MFP(100)는 정보처리시스템(200)의 기동을 행한다. 그 시스템의 기동이란, MFP(100)의 전원이 투입되어, 각종의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MFP(100)가 MFP로서의 모든 기능의 시작이 완료한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단계S402에 있어서, MFP(100)는 정의된 처리 "A"의 처리를 행한다. 그 정의된 처리 "A"에 관해서,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흐름도의 각 단계는, MFP(100)의 CPU(221)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501에 있어서, MFP(100)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수행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처리에서는, 설정 기억부(314)에 기록되어 있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값이, WINS서버에의 설정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 단계S502로 이행한다. 한편, 설정 기억부(314)에 기록되어 있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값이,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단계S501에서 NO)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는, 단계S504로 이행한다.
단계S502에 있어서, MFP(100)는, 설정 기억부(314)에 보존되어 있는 WINS서버의 IP 어드레스에, 동일한 설정 기억부(314)에 보존되어 있는 MFP(100)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MFP(100)는, WINS서버에 MFP(100)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그 후에, 단계S503에 있어서, MFP(100)는 단계S502에 있어서의 WINS서버에의 등록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MFP(100)는, 단계S502에 있어서 송신한 등록 요구에 대하여, 등록이 성공적인 응답을 WINS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MFP(100)가 등록이 성공적인 응답을 수신할 때, MFP(100)는, WINS서버에의 다음번의 등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그리고, MFP(100)는, WINS서버에의 다음번의 등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해둔다. MFP(100)가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없어, 등록 처리에 실패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단계S503에서 NO), 단계S508로 이행한다.
단계S508에 있어서, 통신 실행부(313)는 MFP(100)의 조작부(230)의 일부인 표시부에, WINS서버에의 등록에 실패한 것을 유저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WINS서버에의 등록에 실패했습니다.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부에 표시될 것이다.
단계S503에 있어서, WINS서버에의 등록이 성공적이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단계S503에서 YES), MFP(100)는, 상기 정의된 처리 "A"를 종료하고나서, 도 4의 단계S403으로 이행된다.
단계S501에 있어서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가 필요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정 기억부(314)에 기록되어 있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값이,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단계S501에서 N0)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는, 단계S504로 이행한다. 단계S504에 있어서, MFP(100)는 MBS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MFP(100)는, MFP(100)와 동일한 IP서브네트 내에, MBS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 그리고, 그 MFP(100)와 동일한 IP서브네트내에 MBS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MBS는 MFP(100)가 송출하는 그 검색 요구 패킷에 대하여 응답한다. MFP(100)는, 단계S504에 있어서 검색 요구 패킷을 송신한 후에, MBS로부터의 응답을 주어진 길이의 시간동안 기다린다. 단계S505에 있어서, MFP(100)는, MBS가 발견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송신한 검색 요구 패킷에 대한 MBS로부터의 응답이 주어진 기간내에 있는 경우에는, MBS가 발견되었다고 판단하고(단계S505에서 YES), 단계S506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주어진 길이의 시간 후에도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MBS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판단해서(단계S505에서 NO), 단계S508로 진행된다.
단계S506에 있어서, MFP(100)는, 응답을 송신한 MBS의 IP 어드레스에, 상기 설정 기억부(314)에 보존되어 있는 MFP(100)의 NetBIOS명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MFP(100)는, MBS에 MFP(100)의 NetBIOS명을 등록한다. 그 후에, 단계S507에 있어서, MFP(100)는, 단계S506에 있어서의 MBS에의 등록이 성공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MFP(100)는, 단계S506에 있어서 송신한 등록 요구에 대하여, 등록이 성공적인 응답을 MFP(100)가 MBS로부터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MFP(100)가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없고, 등록 처리에 실패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단계S507에서 NO), 단계S508로 이행한다.
단계S508에 있어서, 통신 실행부(313)는, MFP(100)의 조작부(230)의 일부인 표시부에, MBS에의 등록에 실패한 것을 유저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MBS에의 등록에 실패했습니다.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부에 표시된다.
단계S507에 있어서, MBS에의 등록이 성공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S507에서 YES), MFP(100)는, 상기 정의된 처리 "A"를 종료하고, 도 4의 단계S403으로 진행된다.
도 4의 단계S403에 있어서, MFP(100)는, WINS서버 또는 MBS에 정보를 등록해야 할 시간이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처리에서, MFP(100)에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MBS에의 등록 처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에서, 참조하는 시간의 정보가 변화한다.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MFP(100)는, 전회 WINS서버에 등록 처리를 행했을 때에 WINS서버로부터 통지된 시간이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 시간정보는 WINS서버로부터 수신되어, MFP(100)에 격납된다. 한편, MFP(100)는, MBS에의 등록 처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 기억부(314)에 기억되어 있는 MBS에 등록하는 시간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고, 전회 MBS에 등록했을 때부터 그 시간간격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계S403에 있어서, 등록 시간이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S403에서 YES), 단계S402로 진행되어, 전술의 정의된 처리 "A"(도 5의 흐름도 참조)를 실행한다. 등록 시간이 되지 않은 경우에(단계S403에서 NO), 단계S404로 이행한다.
단계S404에 있어서, MFP(100)는, 정보처리장치 자체가 딥 슬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이 조건은, 미리 유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것이며, 이 처리에서는, 유저에 의한 어떠한 조작도 주어진 길이의 시간동안 행해지지 않은 경우, 또는 프린트 동작이 종료하고나서 주어진 길이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MFP(100)가 딥 슬립 상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MFP(100)가 단계S404의 판정의 결과로서, 딥 슬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에는(단계S404에서 YES), 단계S405에 진행되어, MFP(100)는 딥 슬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S405에서, 통신 실행부(313)는 NIC(101)에 보내주는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를 행한다. 통신 실행부(313)는 설정 기억부(314)로부터, 다음의 정보를 취득한다. (1) MBS에의 등록 실행의 유무, (2) MBS에의 등록 시간간격, (3) WINS서버에의 등록 실행의 유무, (4) WINS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5) MFP(100)의 NetBIOS명. 또한, 통신 실행부(313)는, OS(311)로부터 MFP(100)자신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와 MBS에의 등록 처리를 동시에 행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1)과 (3)의 설정 값은 배타적인 관계에 있다. 즉, (1)과 (3)의 한쪽만이 Yes가 될 것이다. 통신 실행부(313)는, 설정 기억부(314)로부터 정보의 취득을 행할 때는 전용의 API를 사용하고, 또 OS(311)로부터 정보의 취득을 행할 때는 ioctl(입력/출력 제어)명령을 사용한다.
다음에, 단계S406에 있어서, 통신 실행부(313)는, 단계S405에서 취득한 정보를 NIC(101)내의 통신제어부(303)에 통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통신 실행부(313)는, 미리 NIC드라이버(312)에 의해 준비된 ioctl명령을 사용하여, 단계S405에서 취득한 정보를 통신제어부(303)에 통지한다. 다음에, MFP(100)측의 처리로서 단계S407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동시에 NIC(101)측의 처리로서 단계S408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계S407에서는, CPU(221)는 MFP(100)를 딥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처리를 행하고, CPU(221)는 그 동작을 정지시킨다. 즉, CPU(221)는, 조작부(230)와 확장I/F(224)등의 특정한 유닛을 제외하는 각 유닛에의 전력공급을 정지시킨다.
단계S408에서, NIC(101)의 통신제어부(303)가, 딥 슬립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딥 슬립 동작 모드란, MFP(100)가 딥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아래에 설명된 것과 같은 단계S409로부터 단계S418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행하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이 딥 슬립 동작 모드는, MFP(100)가 딥 슬립 상태인 동안 계속된다. MFP(100)가 딥 슬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란, 조작부(230)의 특정한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린 경우, MFP(100)가 특정한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한 경우, 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단계S418의 처리가 행해진 경우를 말한다. 조작부(230)의 특정한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린 경우나 MFP(100)가 특정한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NIC(101)가 처리하고 있는 단계가 단계S409로부터 단계S417 중 어떠한 단계인 경우에도, CPU(201)는 그 처리를 중단한다. 그리고, NIC(101)는 MFP(100)에 대하여 딥 슬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의 복귀를 촉진시키는 신호(복귀 지시)를 송신한다. MFP(100)가 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MFP(100)는 단계S407에서 정지한 각 부위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키고, MFP(100)는 다시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단계S419). 그 후에, MFP(100)는, 단계S402로 되돌아가고, 다시 상술한 것과 같은 상기 정의된 처리 "A"를 실행한다. 즉, MFP(100)는, 필요에 따라 정기적인 정보의 송신을 재개하게 된다. MFP(100)가 조작부(230)의 특정한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리거나 특정한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한 요인들에 의해 딥 슬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MFP(100)는 단계S402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나, MFP(100)가 후술하는 단계S418의 처리에 의해 NIC(101)로부터 통지된 복귀 지시에 따라 딥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 MFP(100)는, 단계S402의 처리를 행하기 전에, 표시부에 WINS서버 또는 MBS에의 등록에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 이것은, MFP(100)가 NIC(101)로부터 수신하는 복귀 지시에는, MFP(100)가 WINS서버 또는 MBS에의 등록에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사실을 유저가 통지받기 때문이다.
정보처리시스템(200)에서는, 정보처리시스템(200)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의 동안에, S402로부터 S419의 단계들의 처리가 루프하여 실행되게 된다.
단계S409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NIC(101)에 있어서 실행되는 딥 슬립 동작 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S409에 있어서, 통신제어부(303)는 MFP(100)로부터 정보가 통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처리는, 후술하는 WINS서버나 MBS에의 등록 처리(딥 슬립 동작 모드)를 행할 때에 취득된 정보가 모두 통지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는 것이며, 딥 슬립 동작 모드가 실행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에 해당한다.
MFP(100)로부터 정보가 통지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S409에서 NO), 즉 단계S406에서 통신 실행부(313)가 통지하는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단계S421로 진행한다. 정보가 불충분하다란, 전술한 통신 실행부(313)로부터 통지된 (1)∼(5)의 정보 중, 비록 (1)이 YES일지라도 (2)의 정보가 없는 경우, 비록 (3)이 YES일지라도 (4)의 정보가 없는 경우, 및 (5)의 정보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NIC(101)가 WINS서버나 MBS에의 등록 처리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NIC(101)는 단계S410이후의 딥 슬립 동작 모드를 실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단계S421로 진행되고, NIC(101)는 딥 슬립 동작 모드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NIC(101)자체는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네트워크 패킷의 수신이나 소정의 대리 응답의 처리는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단계S409에 있어서, 딥 슬립 동작 모드로서 NIC(101)이 동작하기 위해서 정보가 모두 통지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S409에서 YES), 단계S410으로 이행한다. 단계S410에서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사용될 것인가를 확인한다. 이 처리에서는, MFP(100)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포함되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값(상기(3)의 설정 값)이, WINS서버에의 설정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값(YES)인 경우에, 단계S411로 이행한다. 한편, MFP(100)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포함되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값이,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값(단계S410에서 NO)인 경우에, 단계S414로 이행한다.
단계S411에 있어서, MFP(100)는, MFP(100)로부터 통지된 WINS서버의 IP 어드레스에, 같은 방식으로 통지된 MFP(100)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MFP(100)는, WINS서버에 MFP(100)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그 후에, 단계S412에 있어서, MFP(100)는, 단계S411에 있어서의 WINS서버에의 등록이 성공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MFP(100)는, 단계S411에 있어서 송신한 등록 요구에 응답하여, 등록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WINS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 등록이 성공적인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할 때, NIC(101)는, WINS서버에의 다음번의 등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그리고, NIC(101)는 WINS서버에의 다음번의 등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해둔다. NIC(101)가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없고, 등록 처리에 실패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단계S412에서 NO), 단계S418로 이행한다. 등록이 성공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단계S412에서 YES), 단계S413으로 이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WINS서버에의 등록 간격은 WINS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만, 단계S411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MFP(100)가 행하고 있었던 등록 처리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관계없이 등록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 이유는, MFP(100)에 있어서 최후에 행하여진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NIC(101)의 통신제어부(303)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딥 슬립 동작 모드로 이행할 때, NIC(101)는 MFP(100)가 행한 최후의 등록 처리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관계없이 우선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WINS서버내에서 관리된 MFP(100)의 NetBIOS명과 IP 어드레스가 시간의 경과에 의해 소거되는 것을 막는다.
단계S418에 있어서, NIC(101)의 통신제어부(303)는, MFP(100)에 대하여 스탠바이 상태로의 복귀 지시를 송신한다. 또한, 여기에서 송신되는 복귀 지시에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MBS에의 등록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S419에서, MFP(100)는, 복귀 지시를 수신했을 경우, 단계S407에서 정지한 각 부위를 복귀시켜, MFP(100)는 다시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처리에서, MFP(100)는, 수신한 복귀 지시에 포함된, 등록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고, 그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를 행한다. 즉, "WINS서버에의 등록에 실패했습니다.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 또는 "MBS에의 등록에 실패했습니다.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와 같은 메시지가 MFP(1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단계S412에 있어서,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가 성공적인 경우에는(단계S412에서 YES), 단계S413으로 진행된다. 단계S413에 있어서, NIC(101)는, WINS서버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따라 WINS서버에의 등록 시간이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WINS 서버에의 등록 시간이 된 경우에는(단계S413에서 YES), 다시 단계S410으로 이행한다.
단계S410에 있어서,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가 필요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행해진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MFP(100)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포함되는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값이, WINS서버에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는(단계S410에서 NO), 단계S414로 이행한다. 단계S414에 있어서, NIC(101)는 MBS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NIC(101)는, NIC(101)와 동일한 IP서브네트내에, MBS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
그리고, NIC(101)와 동일한 IP서브네트내에 MBS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MBS는 NIC(101)로부터 송출된 그 검색 요구 패킷에 대하여 응답한다. NIC(101)는, 단계S414에 있어서 그 검색 요구 패킷을 송신한 후에, MBS로부터의 응답을 주어진 길이의 시간동안 기다린다. 단계S415에 있어서, NIC(101)는 MBS가 발견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즉, 송신한 검색 요구 패킷에 대한 MBS로부터의 응답이 주어진 길이의 시간내에 있는 경우에는, MBS가 발견되었다고 판단하고(단계S415에서의 YES), 단계S416으로 진행된다. 한편, 그 주어진 길이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MBS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판단해서(단계S415에서 NO), 단계S418로 진행된다. 단계S418에서, NIC(101)는 전술한 처리를 행한다.
단계S416에 있어서, NIC(101)는, 그 응답을 송신한 MBS의 IP 어드레스에, MFP(100)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포함된 MFP(100)의 NetBIOS명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MBS에 NIC(101)의 NetBIOS명을 등록한다. 그 후에, 단계S417에 있어서, NIC(101)는 단계S416에 있어서의 MBS에의 등록이 성공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NIC(101)는, 단계S416에 있어서 송신한 등록 요구에 대하여, 등록이 성공적인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MBS로부터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NIC(101)가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없고, 등록 처리에 실패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단계S417에서 NO), 단계S418로 이행한다. 단계S418에서, NIC(101)는 전술한 처리를 행한다. 단계S417에 있어서, MBS에의 등록이 성공적이라도 판단되는 경우에는(단계S417에서 YES), 단계S413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NIC(101)는 MFP(100)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포함된 MBS에의 등록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등록 시간이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등록 시간이 되었을 경우에는(단계S413에서 YES), 단계S410으로 이행한다.
이렇게, NIC(101)의 딥 슬립 동작 모드에서는, 단계S410∼단계S417의 처리가 루프해서 정기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본래 MFP(100)에 있어서 실행된 정기처리를, MFP(100)가 딥 슬립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NIC(101)에게 대리 처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비록 MFP(100)가 딥 슬립 상태일지라도, 정보처리시스템(200)이 참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처리가 계속된다. 그 때문에, MFP(100)가 딥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WINS서버 또는 MBS에의 등록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재빨리 MFP(100)를 딥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시켜, MFP(100)의 표시부에 그 취지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유저는, 상황을 파악해 적절한 조치를 가능한 빨리 취할 수 있다. 상기 도 4의 흐름도에서는, MFP(100)는, 딥 슬립 상태에의 이행 조건을 만족시킨 후(단계S404에서 YES), NIC(101)에 보내지는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나, NIC(101)에 보내지는 정보의 수집은, 이 타이밍에서 행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면 MFP(100)가 기동한 직후에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의 일례로서 MFP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MFP뿐만 아니라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장치 및 PC등의 장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6)

  1. 정보처리장치로서,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거쳐서 상기 서버에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절전상태로 이행하는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소정의 서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소정의 서버가 아닌 경우,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해당 서버에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기 위한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지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보통 상태로 복귀하는 복귀 지시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된 복귀 지시가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표시부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서버는 WINS서버이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컴퓨터 이름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를 행한 후,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정보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상기 보통 상태로 복귀한 후,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정보의 송신을 재개하는, 정보처리장치.


  6.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정보처리장치가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정보, 및 상기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보통 상태로부터 절전상태로 이행할 때에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간격에 상관없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한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송신이 실패했을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절전상태로부터 보통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지시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WINS서버이며,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컴퓨터 이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10.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거쳐서 상기 서버에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절전상태로 이행하는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 경우,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소정의 서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소정의 서버가 아닌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해당 서버에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기 위한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지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보통 상태로 복귀하는 복귀 지시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복귀 지시가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표시부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서버는 WINS서버이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컴퓨터 이름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4.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정보처리장치가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정보, 및 상기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보통 상태로부터 절전상태로 이행할 때에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정보처리장치에게 아래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거쳐서 상기 서버에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절전상태로 이행하는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 경우, 상기 기억된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게 아래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정보처리장치가 정기적인 간격으로 송신하는 정보, 및 상기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보통 상태로부터 절전상태로 이행할 때에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00030723A 2009-04-09 2010-04-05 정보처리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그것들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267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4996A JP2010244464A (ja) 2009-04-09 2009-04-09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JP-P-2009-094996 2009-04-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878A Division KR101297758B1 (ko) 2009-04-09 2012-10-18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527A true KR20100112527A (ko) 2010-10-19
KR101267257B1 KR101267257B1 (ko) 2013-05-24

Family

ID=429352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723A KR101267257B1 (ko) 2009-04-09 2010-04-05 정보처리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그것들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20115878A KR101297758B1 (ko) 2009-04-09 2012-10-18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878A KR101297758B1 (ko) 2009-04-09 2012-10-18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97298B2 (ko)
JP (1) JP2010244464A (ko)
KR (2) KR101267257B1 (ko)
CN (2) CN1018591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7398B2 (ja) * 2010-11-01 2015-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848256B2 (en) 2011-04-08 2014-09-30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cquiring color correction data before entering a power saving mode
JP2013208811A (ja) * 2012-03-30 2013-10-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95524B2 (ja) * 2012-05-23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972094B2 (ja) * 2012-08-06 2016-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18515B2 (ja) * 2013-09-05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36966B2 (ja) * 2015-11-10 2016-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ター
JP6794281B2 (ja) * 2016-03-31 2020-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80604B2 (ja) * 2017-08-25 202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81242B2 (ja) * 2018-03-19 2022-06-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機器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833309B (zh) * 2018-07-25 2020-04-07 清华大学 集线服务器
US10992485B2 (en) * 2019-05-25 2021-04-27 Devashi TANDON Network device having interface capable of operating in independent mod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698B2 (ja) 1989-08-10 1999-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H10187373A (ja) * 1996-12-26 1998-07-14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省電力モード通知方法
JP3563256B2 (ja) 1998-02-13 2004-09-08 富士通株式会社 省電力機能の遠隔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0092098A (ja) 1998-06-23 2000-03-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ネ―ムサ―バおよび名前解決デ―タ生成方法
JP2000101648A (ja) * 1998-07-23 2000-04-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ネットワ―ク接続装置
KR100303087B1 (ko) 1998-09-30 2001-09-24 전주범 주문형비디오시스템에있어서세션및자원운용기및그운용방법
US6718381B1 (en) * 1999-01-26 2004-04-06 Dell Usa L.P. Removal notification for a computer system
KR100325809B1 (ko) * 1999-05-20 2002-02-27 윤종용 네트워크 프린터에서의 대기시간 절약방법
JP3906890B2 (ja) * 2000-03-13 2007-04-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
AU2002229629A1 (en) * 2000-12-08 2002-06-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power save in a mobile terminal
JP2002218099A (ja) * 2001-01-17 2002-08-02 Ricoh Co Ltd 通信システム
JP3512015B2 (ja) * 2001-03-30 2004-03-29 ミノルタ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プリンタ、サービス代行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3888452B2 (ja) * 2001-07-02 2007-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印刷方法
JP3627723B2 (ja) 2002-04-26 2005-03-09 村田機械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2004220564A (ja) * 2002-12-26 2004-08-05 Seiko Epson Corp デバイス連携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デバイス用プログラム、並びにデバイス連携管理方法
JP4133459B2 (ja) * 2003-03-06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集線装置,ネットワーク対応装置,通信システム
JP2005020626A (ja) * 2003-06-27 2005-01-20 Nec Corp 無線基地局、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の制御プログラム
JP4271520B2 (ja) 2003-07-22 2009-06-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242431A (ja) 2004-02-24 2005-09-08 Nec Computertechno Ltd 拡張カード、コンピュータ、データ受信システム、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01446A (ja) 2004-04-07 2005-10-27 Kyocera Mita Corp 共用装置およびこれに適用されるプログラム
JP4208783B2 (ja) * 2004-07-28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設定時刻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59906A (ja) 2005-03-15 2006-09-28 Ricoh Co Ltd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省電力制御方法、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293983A (ja) * 2005-03-18 2006-10-26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539882B2 (en) * 2005-05-30 2009-05-26 Rambus Inc. Self-powered devices and methods
JP4337056B2 (ja) 2005-09-12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状態検出方法及び通信状態検出プログラム
US20070067445A1 (en) * 2005-09-16 2007-03-22 Smart Link Ltd. Remote computer wake-up for network applications
JP2007148829A (ja) 2005-11-28 2007-06-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64220B2 (ja) * 2006-06-23 2009-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4470006B2 (ja) * 2008-04-30 2010-06-02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省電力支援装置
CN101287036B (zh) 2008-05-29 2011-09-07 德信无线通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防止手机在待机状态下被无端唤醒的方法及设备
US7831702B2 (en) * 2008-09-30 2010-11-09 Jeffrey Wayne Johnson Plug and play energy efficiency solution and automatic data-push method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9174A (zh) 2010-10-13
KR101297758B1 (ko) 2013-08-20
CN101859174B (zh) 2013-03-13
JP2010244464A (ja) 2010-10-28
KR101267257B1 (ko) 2013-05-24
CN103279182B (zh) 2017-08-11
US9497298B2 (en) 2016-11-15
CN103279182A (zh) 2013-09-04
US20100262691A1 (en) 2010-10-14
KR20120131129A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257B1 (ko) 정보처리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그것들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N109218552B (zh) 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US796641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956339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543677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allow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be in a power saving mode for an extended period and allowing an application part to continue functioning
JP201911801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7098B2 (ja) 印刷装置
JP200929635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動作モード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014059A (ja) 印刷装置、プログラム、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JP2017177573A (ja)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バスに接続されたPCIデバイス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6494835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3886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起動制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2011233959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JP6463163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3345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ontrols wireless network func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917958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requesting print job from server system based on detected event
JP588925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9924059B2 (en) Apparatus having power-saving function,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6852124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798278B2 (ja) 複合機、複合機において実行される制御方法及び複合機の制御プログラム
JP6439939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2016175314A (ja) 印刷装置,読取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6277773B2 (ja) 画像処理装置
JP492119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1095945A (ja) ネットワーク機器の管理プログラム、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