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172A -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172A
KR20090086172A KR1020090009885A KR20090009885A KR20090086172A KR 20090086172 A KR20090086172 A KR 20090086172A KR 1020090009885 A KR1020090009885 A KR 1020090009885A KR 20090009885 A KR20090009885 A KR 20090009885A KR 20090086172 A KR20090086172 A KR 2009008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ressing member
check
pressing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808B1 (ko
Inventor
도시유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5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for separating substantially vertically stack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6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2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volving at least two planes of transport form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B65H2301/3122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9Other means designated for special purpose
    • B65H2404/694Non driven means for pressing the handled material on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s
    • B65H2404/6942Non driven means for pressing the handled material on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s in sliding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표를 선회식의 가압 부재에 의해 권출 롤러에 가압해서 확실하게 반송로로 송출할 수 있는 수표 송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수표 송출 장치(9)는 수표(4)를 선회식의 제 1 가압 부재(26)로 권출 롤러(25)에 가압하고, 그 선단 부분을 제 2 가압 부재(27)에 의해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가압한다. 제 1 가압 부재(26)가 이동을 개시한 후에 선회 부재(34)가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하고, 제 2 가압 부재(27)의 이동이 개시된다. 제 2 가압 부재(27)의 이동 개시 시점을 제 1 가압 부재(26)보다도 늦추는 것에 의해, 수표(4)를 제 1 가압 부재(26)에 의해 권출 롤러(25)에 가압한 후에 수표(4)의 선단측의 부분을 제 2 가압 부재(27)에 의해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수표(4)를 권출 롤러(25)에 의해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MEDIUM TRANSPORTING DEVIC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수표, 기록 용지 등의 매체를 분리해서 한장씩 송출하기 위한 매체 송출 장치 및 상기 매체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매체의 송출을 실행하는 수표 처리 장치, 프린터, 스캐너, 자기 판독 장치 등의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들어온 수표, 어음 등의 수표류(유가 증권류)를 수표 처리 장치에 걸쳐서, 그들의 표면이나 이면의 화상 및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따라 수표류의 구분 작업 등을 실행하고 있다. 최근에 있어서는 전자 결제의 보급에 따라 판독한 화상 데이터, 자기 잉크 문자를 컴퓨터 처리하고, 수표류를 컴퓨터에 의해 관리하는 것도 실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수표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수표 처리 장치에서는 수표가 적층 상태에서 수표 삽입부에 삽입되고, 권출 롤러에 의해 수표가 반송로로 송출된다. 권출 롤러로 수표를 송출하기 위해서, 수 표 삽입부에는 수표를 권출 롤러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로서는 일반적으로 그 일단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함으로써, 그 타단에서 수표를 권출 롤러측에 가압 가능한 선회식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선회식의 가압 부재는 평행 이동식의 가압 부재에 비해서, 기구가 간단하고, 동작의 신뢰성도 높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206362 호 공보
선회식의 가압 부재는 권출 롤러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수표의 부분만을 상기 외주면에 가압하고, 그 이외의 수표의 부위에 있어서, 수표가 적층 방향으로는 구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수표의 송출 방향의 선단 부분에 접은 자국 등이 생긴 경우 등에는, 이 선단 부분은 가압되어 있지 않으므로 넓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수표 삽입부로부터 수표를 송출하기 위한 좁은 폭의 송출구를 거쳐서 송출될 때에 송출구에 걸리기 쉬운 해당 부분에 막힌 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다.
평행 이동식의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수표 삽입부 내의 수표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면, 이러한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평행 이동식의 가압 부재는 그 이동 기구가 선회식의 것에 비해서 복잡하게 되고, 또한 부품 개수도 많아지므로, 제조 비용이 높고, 신뢰성도 낮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아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201501 호에 있어서, 선회식의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수표 등의 시트 형상 매체를 매체 삽입부에서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는 매체 송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 개시한 매체 송출 장치에서는, 가압 부재로서, 시트 형상 매체를 권출 롤러에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와, 시트 형상 매체의 송출 방향의 선단측의 부위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를 배치하고, 쌍방의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한 상태에서 시트 형상 매체를 송출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선회식의 제 1 및 제 2 가압 부재의 이동을 적절하게 실행 함으로써, 매체를 권출 롤러의 측에 가압할 수 있도록 한 매체 송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는,
매체가 삽입되는 매체 삽입부와,
상기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매체가 송출되는 매체 송출구와,
상기 매체 송출구를 향해 매체를 안내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매체 가이드면과,
상기 제 1 매체 가이드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매체를 매체 송출구를 향해 송출하기 위한 권출 롤러와,
상기 제 2 매체 가이드면 측에 배치된 제 1 지지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 2 매체 가이드면 측의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권출 롤러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매체 가압 위치까지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에 설치한 제 2 지지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 측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돌출 위치까지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한 선회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는,
상기 선회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로 향해 선회시키도록 제 1 선회 방향의 부세력을 주는 부세 부재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 및 상기 선회 부재가 함께 선회하도록, 이들 제 2 가압 부재 및 상기 선회 부재를 접촉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 근방에 있을 때, 상기 선회 부재가 접촉하는 고정측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 부재는 상기 고정측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선회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상기 제 2 가압 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에서는, 제 1 가압 부재를 대기 위치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까지 선회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제 2 가압 부재가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까지 선회한다. 따라서, 제 2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선단 부분에 접은 자국 등이 생겨 있는 매체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권출 롤러에 의해 송출되는 매체를 가는 폭의 송출구로부터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에서는, 제 1 가압 부재가 대기 위치 근방에 있는 상태에서는 선회 부재가 강제적으로 제 1 선회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소정량만 큼 선회시켜지고 있으며, 선회 부재와 제 2 가압 부재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제 1 가압 부재의 대기 위치에 불균형이 있어도, 소정 거리만큼 제 1 가압 부재의 대기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제 2 가압 부재는 퇴피 위치에 도달하고 있어서, 확실하게 퇴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 부재를 대기 위치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를 향해서 선회시키면, 그것에 따라 선회 부재가 제 1 선회 방향으로 복귀된다.
선회 부재가 제 1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 상기 선회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에 접근하고, 해당 제 2 가압 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복귀된다. 접촉 상태가 되면, 선회 부재 및 제 2 가압 부재가 일체가 되어서 함께 선회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회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에 접촉하는 시점은 선회 부재가 고정측 접촉부로부터 빠지는 시점이기도 하다. 선회 부재가 고정측 접촉부에서 빠지면, 선회 부재는 제 1 선회 방향으로의 선회가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선회 부재에 작용하고 있는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선회 부재가 제 1 선회 방향으로 선회한다. 선회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에 접촉한 후에는,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제 2 가압 부재는 선회 부재와 함께 제 1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고, 돌출 위치까지 선회한다.
제 1 가압 부재가 대기 위치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를 향해서 이동을 개시한 후의 시점, 즉 선회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에 접촉한 시점으로부터, 제 2 가압 부재가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를 향해서 이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선회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에 접촉하는 시점을 바꾸는 것에 의해, 제 2 가압 부재가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을 개시하는 시점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 부재를 매체 가압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에 있어서는, 우선 제 1 가압 부재가 이동하는데 따라서, 제 2 가압 부재 및 선회 부재도 이동한다. 단지, 이 때는 제 2 가압 부재는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제 1 가압 부재로부터 돌출한 돌출 상태인 채이다. 제 1 가압 부재가 매체 가압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복귀되는 도중의 위치에 있어서, 선회 부재가 고정측 접촉부에 닿는다. 이후에는, 제 1 가압 부재가 대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에 따라, 선회 부재가 강제적으로 제 1 선회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이로써, 제 2 가압 부재는 선회 부재와 함께 퇴피 위치를 향해서 선회를 개시한다.
제 2 가압 부재가 퇴피 위치에 도달하면 제 2 가압 부재는 제 1 가압 부재 측에 접촉하고, 그 이상 선회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고정측 접촉부에 접촉하고 있는 선회 부재는 제 1 가압 부재의 대기 위치로의 선회에 따라 더욱 제 1 선회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선회시켜지고, 상기 선회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로부터 멀어진다. 선회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후에 제 1 가압 부재가 대기 위치까지 복귀된다.
이와 같이, 제 2 가압 부재가 제 1 가압 부재의 측의 퇴피 위치로 복귀된 후에, 또한 제 1 가압 부재의 복귀 동작에 연동해서 선회 부재가 선회한다. 따라서, 제 1 가압 부재의 대기 위치에 불균형이 생겨도, 이 불균형은 선회 부재의 선회량(소정 거리)에 의해 흡수되므로, 제 2 가압 부재를 항상 제 1 가압 부재의 측의 퇴피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가압 부재의 대기 위치에 불균형이 생겨도, 제 2 가압 부재가 제 1 가압 부재의 측으로부터 매체 삽입부 내에 돌출한 상 태인 채가 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제 2 가압 부재가 매체 삽입부에 매체를 삽입할 때의 장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제 2 가압 부재를 배치한 것에 의해 매체 삽입부의 폭이 좁아질 일도 없으므로, 매체의 수납 매수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압 부재가 매체 가압 위치로 이동하고, 매체를 권출 롤러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가 형성된 후에, 제 2 가압 부재가 돌출 위치에 도달하고, 매체를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가압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압 부재에 의해 최초에 매체를 권출 롤러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매체를 가압 롤러의 외주면에 대하여 확실하게 가압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체의 송출 동작이 확실하게 실행된다. 또한, 매체의 중앙부를 눌러서 가지런히 한 후, 넓어져 있는 선단부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선단부의 넓이를 확실하게 가지런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가 접촉 가능한 제 1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부에 의해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상기 퇴피 위치가 규정되며,
상기 선회 부재를 상기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매체의 송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계합 아암 및 상기 송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계합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상기 선회 부재의 상기 제 1 계합 아암이 상기 제 1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 접촉 가능한 제 2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세 부재를 상기 선회 부재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사이에 인장 상 태에서 가설된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 2 지지축에 권취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그 일단을 상기 선회 부재에 걸고, 그 타단을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걸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1 계합 아암 및 제 2 계합 아암의 길이, 제 2 접촉부 및 고정측 접촉부의 위치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 2 가압 부재가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를 향해서 이동을 개시하는 시점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대기 위치 및 상기 매체 가압 위치로 선회시키는 구동 기구를 갖고 있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매체 가압 위치로 이동할 때에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선회 부재가 상기 고정측 접촉부에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제 1 속도로 선회시키고, 상기 선회 부재가 상기 고정측 접촉부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상기 이동 속도를 제 2 속도까지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매체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매체는, 예컨대 권출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쓰러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의 매체에 대하여, 제 2 매체 가이드면측으로부터 고속으로 제 1 가압 부재를 이동시켜서 제 1 매체 가이드면 측을 향해서 가압하면, 비스듬히 쓰러져 있는 매체가 그대로의 자세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서, 전체로서 부상된 상태에서 권출 롤러에 가압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자기 잉크 문자 판독 불량의 원인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가압 부재를 대기 위치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킬 때에, 최초에는 느린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고, 다음에 빠른 제 2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느린 속도로 비스듬히 쓰러져 있는 매체를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체가 부상하는 일 없이 제 1 가압 부재에 의해 수직하게 선 상태로 일으켜진다. 그 다음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의 매체가 빠른 속도로 제 1 매체 가이드면을 향해서 가압된다. 따라서, 매체의 부상이 생기는 일 없이, 또한 효율적으로 매체를 권출 롤러에 가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은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구성의 매체 송출 장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매체 처리 장치에 의하면,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매체를 안정한 상태에서 매체 송출구로부터 송출할 수 있으므로, 매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에서는,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매체를 제 1 가압 부재에 의해 권출 롤러에 가압하는 동시에 제 2 가압 부재에 의해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가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2 가압 부재를 제 1 가압 부재와는 다른 타이밍에서 동작시켜서 매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알맞은 타이밍에서 제 2 가압 부재에 의해 매체를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가압할 수 있고, 이것 에 의해 종이 걸림이 없이 매체를 권출 롤러에 의해 매체 송출구로부터 송출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시트 형상 매체 송출 장치를 구비한 시트 형상 매체 처리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표 처리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표 처리 장치(1)는 본체 케이스(2)와, 이 상측에 씌운 커버 케이스(3)를 구비한다. 커버 케이스(3)에는 좁은 폭의 수직홈으로 이루어진 수표(4)(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로(5)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5)는 도 2에 있어서 위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고, 직선 형상의 상류측 반송로 부분(6)과, 이것에 연속하는 만곡 형상 반송로 부분(7)과, 이것에 연속하는 약간 굴곡된 하류측 반송로 부분(8)을 구비하고 있다.
상류측 반송로 부분(6)의 상류측에는 수표 송출 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수표 송출 장치(9)는 넓은 폭의 수직홈으로 이루어지는 수표 삽입부(1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수표 삽입부(10)에 삽입된 수표(4)가 한장씩 상류측 반송로 부분(6)으로 송출된다. 하류측 반송로 부분(8)의 하류단은 좌우로 분기한 분기로(11a, 11b)를 거쳐서, 각각 넓은 폭의 수직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수표 배출부(12, 13)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측 반송로 부분(6)에는 수표(4)의 표면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표면측 스캐너(14) 및 이면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이면측 스캐너(15)가 배치되어 있다. 이면측 스캐너(15)의 하류측에는 수표(4)에 인쇄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용의 자기 헤드(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반송로 부분(8)에는 인쇄 기구(17)가 배치되어 있다. 인쇄 기구(17)는, 예컨대 수표(4)에 가압되는 인쇄 위치와, 이 인쇄 위치로부터 후퇴한 대기 위치의 사이를 구동용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시키고, 이동 가능한 구조의 것이다. 또한, 분기로(11a, 11b)의 분기점에는 교환판(11c)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교환판(11c)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수표(4)를 가를 수 있다.
(제어계)
도 3은 수표 처리 장치(1)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이다. 수표 처리 장치(1)의 제어계는 ROM, RAM 및 CPU를 구비한 제어부(101)를 갖고 있다. 제어부(101)는 통신 케이블(102)을 거쳐서 상위의 컴퓨터 시스템(103)에 접속된다. 컴퓨터 시스템(103)은 표시기(103a), 키보드, 마우스 등의 조작부(103b) 등의 입출력 기기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컴퓨터 시스템(103)의 측으로부터 수표 판독 동작의 개시 지령 등이 제어부(101)에 입력된다.
제어부(101)는 컴퓨터 시스템(103)으로부터 판독 동작의 개시 지령을 수취하면, 수표 삽입부(10)로부터 수표(4)를 송출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30), 반송로(5)에 따라 수표(4)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모터(18)를 구동하고, 수표(4)를 한장씩 반송로(5)로 송출시키고, 송출된 수표(4)를 반송로(5)에 따라 반송시킨다. 제어 부(101)에는 표면측 스캐너(14), 이면측 스캐너(15) 및 자기 헤드(16)에 의해 판독된 수표(4)의 표면 화상 정보, 이면 화상 정보 및 자기 잉크 문자 정보가 입력된다. 이들의 정보는 컴퓨터 시스템(103)에 공급되어, 화상 처리, 문자인식 처리 등이 실행된다. 또한, 제어부(101)는 판독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해 인쇄 기구(17) 및 교환판(11c)의 구동을 제어하며, 정상인 수표(4)는 인쇄 기구(17)에 의해 인쇄되어 제 1 수표 배출부(12)로 배출되고, 정상이 아닌 수표(4)는 제 2 수표 배출부(13)로 배출된다.
제어부(101)에 의한 수표(4)의 반송 제어는 반송로(5)에 대해서 배치되어 있는 각종의 센서, 예컨대 용지 길이 검출기(111), 중복 이송 검출기(112), 잼 검출기(113), 인쇄 검출기(114) 및 배출 검출기(115) 등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해 실행된다. 또한, 제어부(101)에는 본체 케이스(2)에 형성된 전원 스위치 등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105)가 접속되어 있다.
(수표 처리 동작)
도 4는 수표 처리 장치(1)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우선, 조작자가 상위의 컴퓨터 시스템(103)의 조작부(103b)로부터 판독해 개시 지령을 입력하면, 수표 처리 장치(1)는 수표(4)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후에, 수표 삽입부(10)로부터 수표(4)를 한장씩 분리해서 반송로(5)로 송출하는 송출 동작을 개시한다[단계(ST1), (ST2)].
송출된 수표(4)는 반송로(5)에 따라 반송된다[단계(ST3)]. 반송되는 수표(4)의 표면 화상 및 이면 화상 및 자기 잉크 문자가 각각, 표면측 스캐너(14), 이면측 스캐너(15) 및 자기 헤드(16)에 의해 판독된다[단계(ST4)].
판독된 정보는 통신 케이블(102)을 거쳐서 상위의 컴퓨터 시스템(103)에 송신된다[단계(ST5)]. 컴퓨터 시스템(103)의 측에 있어서 판독된 표면 화상, 이면 화상 및 자기 잉크 문자 정보를 처리한다. 제어부(101)는 판독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수표(4)가 상하 반대인 상태로 반송된 경우에는 자기 잉크 문자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판독 불량이라고 판단된다. 수표(4)가 표리 반대의 상태에서 반송된 경우에는 자기 잉크 문자 정보를 얻을 수 없으므로, 판독 불능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수표(4)가 접혀 있거나 찢어져 있거나, 반송시에 비뚤어짐 등으로 자기 잉크 문자의 일부가 판독 불능의 경우에도 판독 불량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표리의 화상 정보로부터 수표(4)가 접혀 있거나, 찢어져 있거나, 반송시에 비뚤어짐 등으로, 금액 정보 등의 소정의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판독 불량이라고 판단된다.
단계(ST8)에서 정상인 판독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T10)에서 인쇄 기구(17)를 인쇄 위치로 이동한다. 수표(4)는 인쇄 기구(17)에 의해 「전자결제 완료」 등의 인쇄가 실행되고, 단계(ST11)에서 교환판(11c)에 의해 제 1 수표 배출부(12)의 측으로 배출되고, 그 후에 단계(ST12)에서 반송 동작을 종료한다.
이것에 대해서, 단계(ST8)에 있어서, 판독 불량, 판독 불능 등의 판단 결과가 난 경우에는 단계(ST14, ST11)에 있어서, 교환판(11c)은 교환된다. 인쇄 기구(17)는 대기 위치에 보지되고, 수표(4)로의 인쇄는 실행되지 않는다. 수표(4)는 교환판(11c)에 의해 제 2 수표 배출부(13)로 갈리고, 거기로 배출되며, 그 후에 단 계(ST12)에서 반송 동작을 종료한다.
(수표 송출 장치)
다음에, 도 5는 수표 삽입부(10)를 구비한 수표 송출 장치(9)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우선, 수표 송출 장치(9)의 수표 삽입부(10)는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제 1 매체 가이드면(21) 및 제 2 매체 가이드면(22)과, 바닥면(20)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은 대략 평탄한 수직면이다. 제 2 매체 가이드면(22)은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일정한 간격으로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평행 가이드면 부분(22a)과, 이 평행 가이드면 부분(22a)의 전단으로부터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을 향해서 대략 90도의 각도로 꺾여 만곡된 직교 가이드면 부분(22b)과, 이 직교 가이드면 부분(22b)의 단부로부터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대하여 좁은 간격으로 대략 평행으로 대향하는 평행 가이드면 부분(22c)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매체 가이드면(22)의 평행 가이드면 부분(22a)과, 이것에 대향하고 있는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부분에 의해, 수표(4)를 삽입하기 위한 넓은 폭의 수표 수납 부분(10a)이 규정되어 있다. 이 수표 수납 부분(10a)의 선단은 직교 가이드면 부분(22b)에 의해 폭이 좁아져 있다. 또한, 수표 수납 부분(10a)의 앞에는 송출측 평행 가이드면 부분(22c)과, 이것에 대향하고 있는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부분에 의해, 대략 일정 폭이 좁은 수표 송출 통로(23)가 규정되어 있다. 이 수표 송출 통로(23)의 앞이 반송로(5)에 연결되는 수표 송출구(23a)이다.
다음에, 수표 송출 장치(9)는 수표(4)를 송출하기 위한 권출 롤러(25)와, 수표(4)를 권출 롤러(25)의 측에 가압하기 위한 제 1 가압 부재(26)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26)에 연동해서 수표(4)를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에 가압하기 위한 제 2 가압 부재(27)를 구비하고 있다[도 6의 (c)도 참조]. 도 5에 있어서는 제 2 가압 부재(27)의 윤곽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가압 부재(27)에 사선 모양을 부여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권출 롤러(25)에 의해 수표 송출 통로(23)로 송출된 수표(4)를 한장씩 반송로(5)로 송출하기 위한 분리 패드(28) 및 분리 롤러대(29)를 구비하고 있다.
권출 롤러(25)는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있어서의 수표 송출 방향의 중간정도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그 외주면(25a)이 약간 제 1 매체 가이드면(21)으로부터 수표 삽입부(10)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있다. 권출 롤러(25)에 대향하고 있는 다른 쪽의 제 2 매체 가이드면(22)의 평행 가이드면 부분(22a)에는 개구부(22e)(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2e)를 거쳐서 제 1 가압 부재(26)는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압 부재(27)는 제 1 가압 부재(26)에 조립되어 있다.
수표(4)의 송출시에는 제 1 가압 부재(26)가 이동해서, 수표 삽입부(10) 내의 수표(4)를 권출 롤러(25)에 가압하고, 제 2 가압 부재(27)가 이동해서 수표(4)의 송출 방향의 선단 부분을 권출 롤러(25) 측의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권출 롤러(25)를 회전하면, 상기 권출 롤러(25)에 접촉하고 있는 수표(4)가 수표 송출 통로(23)로 송출되고, 이곳을 거쳐서 반송로(5)의 측에 공 급된다. 또한, 수표(4)의 송출 방향의 선단 부분은 수표 송출 통로(23)를 향해 가지런해진다.
다음에, 분리 패드(28)는 스프링력에 의해 수표 송출 통로(23) 내로 진출하는 선회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고, 그 선단이 항상 수표 송출 통로(23)에 있어서의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가압되고, 수표 송출 통로(23)를 봉쇄한 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권출 롤러(25)에 의해 송출되는 수표(4)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분리 패드(28)를 밀어내면서 통과한다. 이 때, 수표(4)는 한장씩으로 분리된다. 분리 패드(28)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분리 롤러대(29)는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에 배치된 분리 롤러(29a)와, 다른 쪽측에 배치된 지연 롤러(retard roller)(29b)를 구비하고 있다. 지연 롤러(29b)는 소정의 가압력으로 분리 롤러(29a)의 외주면에 가압되어 있다. 지연 롤러(29b)는 도시하지 않는 토크 리미터에 의해 수표 송출 방향으로의 회전 부하 토크가 주어져 있다. 분리 패드(28)에서 분리할 수 없었던 수표(4)는 분리 롤러(29a)와 지연 롤러(29b)에 의해 거의 완전히 한장씩 분리된다.
분리 롤러(29a)는 구동용 모터(3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30)의 회전은 구동측 톱니바퀴(31a)로부터 톱니바퀴(31b, 31c)를 경유해서 전달 톱니바퀴(31d)로부터 분리 롤러(29a)에 전달된다. 구동용 모터(30)는 권출 롤러(25)의 회전 구동원으로서도 이용되고 있고, 그 회전이 구동측 톱니바퀴(31a), 톱니바퀴(31b, 31c) 및 전달 톱니바퀴(31e)를 경유해서 권출 롤러(2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가압 부재 및 제 2 가압 부재)
도 6의 (a)는 제 1 및 제 2 가압 부재(26, 27)가 각각 대기 위치 및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제 1 가압 부재(26)가 매체 가압 위치를 향해서 소정량만큼 선회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의 (c)는 제 1 및 제 2 가압 부재(26, 27)가 매체 가압 위치 및 돌출 위치로 각각 선회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도, 제 2 가압 부재(27)를 표시하기 위해서 해당 제 2 가압 부재(27)에 사선 모양을 부여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제 1 가압 부재(26)는 수표 송출 통로(23)의 하류단측의 근방 위치에 배치한 제 1 수직 지지축(32)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수직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해서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다. 제 1 가압 부재(26)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제 2 매체 가이드면(22)의 평행 가이드면 부분(22a)보다도 후퇴한 대기 위치(26A)와, 도 6의 (c)에 도시하는 수표 삽입부(10)의 수표 수납 부분(10a) 내로 돌출해서 수표(4)를 권출 롤러(25)의 외주면(25a)에 가압 가능한 매체 가압 위치(26C)와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가압 부재(27)는 제 1 가압 부재(26)에 있어서의 선회 선단부(26b)에 설치한 제 2 수직 지지축(33)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고, 도 6의 (a)에 도시하는 제 1 가압 부재(26) 내에 인입된 퇴피 위치(27A)와,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제 1 가압 부재(26)로부터 선단부(27a)가 소정량만큼 돌출한 돌출 위치(27C)와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가압 부재(26)가 매체 가압 위치(26C)로 선회할 때, 돌출 위치(27C)에 있는 제 2 가압 부재(27)의 선단의 가이드면(27b)에 의해, 수표(4)의 선단측의 부분을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에 가압 가능하다.
제 1 가압 부재(26)는 구동용 모터(30)(도 5 참조)에 의해 선회 구동된다. 구동용 모터(30)가 스텝핑 모터인 경우에는 단계수에 근거해 제 1 가압 부재(26)의 선회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가압 부재(26)의 대기 위치(26A)는, 예컨대 장치 본체측에 부착되어 있는 기계 스위치 등의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제 1 가압 부재(26)를 수표 삽입부(10)에 삽입된 수표(4)에 가압하는 동작은, 예컨대 수표 삽입부(10)에 장착된 투과형의 광학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표(4)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허가된다. 수표(4)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표 처리 장치(1)의 상위 기기인 컴퓨터 시스템(103)(도 3 참조)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또는 수표 처리 장치(1)의 조작 버튼 등에 의한 수동 조작 입력 지령에 근거하여, 구동 모터가 구동되고, 제 1 가압 부재(26)가 대기 위치(26A)로부터 권출 롤러(25)를 향해서 선회하고, 수표(4)를 상기 권출 롤러(25)에 가압한 상태를 형성한다.
한편, 제 2 가압 부재(27)는 제 1 가압 부재(26)의 선회 동작에 연동해서 퇴피 위치(27A) 및 돌출 위치(27C)로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제 2 가압 부재(27)를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명한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27)의 측의 부분을 취출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도 참조해서 설명하면 제 2 가압 부재(27)는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가압 부 재(26)에 설치한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하고, 제 2 수직 지지축(33)에는 상기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한 선회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수직 지지축(33)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5)이 권취되어 있고, 그 일단(35a)이 제 2 가압 부재(27)에 걸려 있으며, 그 타단(35b)이 선회 부재(34)에 걸려 있다.
선회 부재(34)는 제 2 수직 지지축(3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링부(34a)와, 링부(34a)로부터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 간격으로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연장 아암(34b, 34c)과, 이들 연장 아암(34b, 34c)의 선단을 연결하고, 대략 90도의 각도를 펼친 원호부(34d)와, 링부(34a)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계합 아암(34e)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 아암(34b)은 제 2 수직 지지축(33)에 대하여 수표 송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계합 아암(34e)은 역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선회 부재(34)의 원호부(34d)에 있어서의 제 2 가압 부재(27) 측의 단부는 연장 아암(34b)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한 제 1 계합 아암(34f)이 되어 있다. 이 제 1 계합 아암(34f)에 대향하는 제 2 가압 부재(27) 측의 부위에는 제 2 접촉부(27c)가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1 계합 아암(34f)이 제 2 접촉부(27c)에 접촉한 상태로 보지되어 있고, 선회 부재(34) 및 제 2 가압 부재(27)는 일체가 될 수 있어서, 함께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회 부재(34)의 원호부(34d)에 있어서 다른 쪽의 단부도 연장 아 암(34c)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 단부에는 스프링 걸이(34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걸이(34g)에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일단을 걸고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36)은 대략 수표 송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그 다른 쪽의 단부는 장치 본체 측의 부위에 형성한 스프링 걸이(38)에 걸려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의해 선회 부재(34)는 항상 화살표로 도시하는 제 1 선회 방향(34A)[제 2 가압 부재(27)를 돌출하는 방향]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회 부재(3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 상태로 보지되고, 인장 코일 스프링(36)에 의해 항상 제 2 가압 부재(27)를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부재(34)는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 상태로 보지되어 있고, 이들이 일체가 되어서 함께 제 1 선회 방향(34A)으로 선회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가압 부재(27)에 있어서의 선회측의 선단부(27a)에는 퇴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기(2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7d)에 대향하고 있는 제 1 가압 부재(26)의 측의 부위에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돌기(27d)가 접촉 가능한 제 1 접촉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압 부재(27)의 퇴피 위치(27A)는 돌기(27d)가 제 1 접촉부(26d)에 닿음으로써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가압 부재(27)는 돌기(27d)가 제 1 접촉부(26d)에 닿으면, 그 이상은 퇴피 방향으로 선회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가압 부재(26)의 선회측의 선단부(26b)의 근방 위치에는 도 6 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측에 고정측 접촉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측 접촉부(37)는 제 1 가압 부재(26)의 선회에 따라 이동하는 선회 부재(34)의 계합 아암(34e)의 선단부의 이동 궤적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6의 (b),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가압 부재(26)가 매체 가압 위치(26C)로부터 대기 위치(26A)로 복귀되는 도중의 선회 위치(26B)에 있어서, 선회 부재(34)의 계합 아암(34e)의 선단부가 고정측 접촉부(37)에 닿는다. 또한, 계합 아암(34e)과 고정측 접촉부(37)의 접촉 상태는 제 1 가압 부재(26)가 선회 위치(26B)로부터 대기 위치(26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가압 부재(26)가 대기 위치(26A)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6의 (a),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부재(34)는 강제적으로 제 1 선회 방향(34A)과는 역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선회시켜진 상태가 된다.
(수표 송출 동작)
도 8은 수표 송출 장치(9)에 있어서의 수표 송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가압 부재(26, 27)의 동작을 중심으로 수표 송출 장치(9)의 수표 송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 1 및 제 2 가압 부재(26, 27)는 도 6의 (a) 및 도 7의 (b)의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측 접촉부(37)에 의해 선회 부재(34)는 강제적으로 제 1 선회 방향(34A)과는 역방향으로 선회시켜진 상태에 있고, 그 제 1 계합 아암(34f)이 제 2 가압 부재(27)의 제 1 접촉면(27d)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수표 삽입부(10)에 수표(4)를 적층 상태로 삽입하면,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수표(4)가 삽입된 것이 검출된다. 상위 기기로부터의 지령 또는 수동 조작 입력에 의해 구동용 모터(30)를 구동하면, 제 1 가압 부재(26)가 수표 삽입부(10)로 돌출해서 수표(4)를 권출 롤러(25)의 측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선회를 개시한다.
제 1 가압 부재(26)가 대기 위치(26A)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26C)를 향해서 제 1 수직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하면, 해당 제 1 가압 부재(26)에 탑재되어 있는 선회 부재(34)도 고정측 접촉부(3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선회 부재(34)는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제 1 선회 방향(34A)으로 서서히 복귀되고, 제 2 가압 부재(27)에 서서히 접근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가압 부재(27)는 선회하지 않고, 제 1 가압 부재(26)에 접촉한 퇴피 위치(27A)에 보지된 채이다.
제 1 가압 부재(26)가 소정량만큼 선회하면, 도 6의 (b) 및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부재(34)가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선회 부재(34)가 고정측 접촉부(37)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에 도달한다. 본 예에서는 이 시점에 있어서, 제 1 가압 부재(26)가 수표 삽입부(10)로 돌출하는 직전의 선회 위치가 되어 있다. 제 2 가압 부재(27)는 여전히 제 1 가압 부재(26)에 접촉한 퇴피 위치(27A)의 상태인 채이다.
제 1 가압 부재(26)가 더욱 매체 가압 위치(26C)를 향해서 선회하면, 선회 부재(34)가 고정측 접촉부(37)로부터 멀어지고,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제 1 선회 방향(34A)으로 선회한다. 선회 부재(3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 상태로 보지되기 때문에, 선회 부재(34)와 일체가 되어서 함께 제 2 가압 부재(27)가 퇴피 위치(27A)로부터 돌출 위치(27C)를 향해서 선회를 개시하기 시작한다.
이 다음은 제 1 가압 부재(26)가 수표(4)를 권출 롤러(25)에 가압 가능한 매체 가압 위치(26C)까지 이동하고, 제 2 가압 부재(27)가 수표(4)의 한장의 송출 방향의 선단측의 부분을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가압 가능한 돌출 위치(27C)까지 이동한다. 이 결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표 삽입부(10)에 다발로 삽입되어 있는 수표(4)는 그 중간 정도의 부위에 있어서 제 1 가압 부재(26)의 선단면(26a)에 의해 권출 롤러(25)의 측에 가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수표(4)는 그 송출 방향의 선단 부위에 있어서 제 2 가압 부재(27)의 가이드면(27b)에 의해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에 가압된 상태가 된다.
수표(4)의 선단 부분이 제 2 가압 부재(27)에 의해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수표(4)의 선단 부분에 접은 자국 등이 생긴 경우라도, 수표(4)의 선단 부분이 넓어지는 일 없이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에 가압되기 때문에, 제 2 매체 가이드면(22)에 있어서의 직교 가이드면 부분(22b) 등에 닿은 상태인 채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권출 롤러(25)에 의해 수표(4)가 확실하게 수표 송출 통로(23)에 안내되어서 송출된다.
제 1 가압 부재(26)가 대기 위치(26A)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26C)를 향해서 이동을 개시한 후의 시점, 즉 선회 부재(34)가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한 시점으로부터, 제 2 가압 부재(27)가 퇴피 위치(27A)로부터 돌출 위치(27C)를 향해서 이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선회 부재(34)가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하는 시점 을 바꾸는 것에 의해, 제 2 가압 부재(27)가 퇴피 위치(27A)로부터 돌출 위치(27C)에 이동을 개시하는 시점을 간단히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회 부재(34)의 계합 아암(34e)과 고정측 접촉부(37)의 접촉 시점을 조정하고, 선회 부재(34)가 제 2 가압 부재(27)에 접촉할 때까지 필요한 선회량을 증감함으로써, 제 2 가압 부재(27)가 이동을 개시하는 시점을 적절한 시점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제 2 가압 부재(27)의 이동을 개시하는 시점을 늦추는 것에 의해, 제 1 가압 부재(26)가 매체 가압 위치(26C)로 이동하고, 먼저 수표(4)를 권출 롤러(25)에 가압해서 가지런히 한 상태가 형성되고, 그 후에 제 2 가압 부재(27)가 돌출 위치(27C)에 도달하고, 수표(4)를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가압해서 가지런히 한 상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먼저 수표(4)의 중앙 부근을 눌러서 가지런히 하고서, 수표(4)의 송출 방향의 선단측의 부분을 억압해서 가지런히 함으로써, 선단측의 부분이 넓어져 있어도, 확실하게 가지런히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 부재(26)에 의해 최초에 수표(4)를 권출 롤러(25)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수표(4)를 권출 롤러(25)의 외주면에 대하여 확실하게 가압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그 후에 수표(4)의 송출 방향의 선단측의 부분을 가압해서 가지런히 하는 것에 의해, 수표(4)의 송출 동작이 확실하게 실행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수표(4)가 없는 것을 알면, 수표(4)의 송출이 종료했다고 판단되고, 구동용 모터(30)에 의해 제 1 가압 부재(26)를 매체 가압 위치(26C)로부터 대기 위치(26A)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 때, 제 1 가압 부재(26)가 제 1 수직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해서 복귀된다. 제 2 가압 부재(27) 및 선회 부재(34)는 제 2 수직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하지 않고, 제 2 가압 부재(27)는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1 가압 부재(26)로부터 돌출한 상태인 채이다.
제 1 가압 부재(26)가 도 6의 (b)에 도시하는 선회 위치(26B)까지 돌아오면, 선회 부재(34)가 고정측 접촉부(37)에 닿는다. 이 다음은 제 1 가압 부재(26)가 대기 위치(26A)로 복귀됨에 따라서, 선회 부재(34)가 강제적으로 제 1 선회 방향(34A)과는 역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이로써, 제 2 가압 부재(27)도 선회 부재(34)와 함께 퇴피 위치(27A)를 향해서 돌아오기 시작한다.
제 2 가압 부재(27)가 퇴피 위치(27A)에 도달하면, 그 선단의 돌기(27d)가 제 1 가압 부재(26)의 측에 제 1 접촉부(26d)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제 2 가압 부재(27)는 그 이상 선회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고정측 접촉부(37)에 접촉하고 있는 선회 부재(34)는 제 1 가압 부재(26)의 대기 위치(26A)로의 선회에 따라 더욱 제 1 선회 방향(34A)과는 역방향으로 더욱 강제적으로 선회시켜져서, 상기 선회 부재(34)가 제 2 가압 부재(27)로부터 멀어져 간다. 선회 부재(34)가 제 2 가압 부재(27)로부터 소정량만큼 멀어진 후에 제 1 가압 부재(26)가 대기 위치(26A)까지 복귀되고, 도 6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 2 가압 부재(27)가 제 1 가압 부재(26)의 측의 퇴피 위치(27A)로 복귀된 후에, 또한 제 1 가압 부재(26)의 복귀 동작에 연동해서 선회 부재(34)가 선회한다. 따라서, 제 1 가압 부재(26)의 대기 위치(26A)에 불균형이 생겨도, 이 불균형은 선회 부재(34)의 선회량에 의해 보상되므로, 제 2 가압 부재(27)를 항 상 제 1 가압 부재(26)의 내부에 수납된 퇴피 위치(27A)로 확실하게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가압 부재(26)의 대기 위치(26A)에 불균형이 생겨도, 제 2 가압 부재(27)가 제 1 가압 부재(26)의 측로부터 수표 삽입부(10) 내에 돌출한 상태인 채가 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제 2 가압 부재(27)가 수표 삽입부(10)에 수표(4)를 삽입할 때의 장해가 되는 일이 없고, 제 2 가압 부재(27)를 배치한 것에 따라 수표 삽입부(10)의 폭이 좁아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수표(4)의 수납 매수도 확보할 수 있다.
(제 1 가압 부재의 속도 제한)
여기서, 제 1 가압 부재(26)를 대기 위치(26A)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26C)까지 이동시키는 때의 이동 속도를 대기 위치(26A)로부터 도중까지는 저속(제 1 속도)으로 하고, 그 후에 고속(제 2 속도)으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선회 부재(34)의 계합 아암(34e)이 고정측 접촉부(37)로부터 빠지기 직전의 시점까지는 저속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후는 가속해서 고속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제 1 가압 부재(26)의 구동용 모터(30)가 스텝핑 모터이기 때문에, 예컨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30)의 구동률을 도중에서 높이고[시점(t1∼t2)], 제 1 가압 부재(26)의 속도를 저속(V1)으로부터 고속(V2)으로 전환하도록 하면 좋다. 구동용 모터(30)는 DC 모터 등이어도 무방하고, 도시하지 않는 엔코더를 이용하여 제어해도 좋다. 또한, 저속(V1)으로부터 고속(V2)에 이르기까지 무단계로 이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표 삽입부(10)에 삽입되어 있는 수표(4)가 소량인 경우 등은 권출 롤러(25)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매체 가이드면(21)에 대하여 비스듬히 쓰러져 있는 상태가 되는 일이 있다. 이 상태의 수표(4)에 대하여 제 2 매체 가이드면(22)의 측로부터 고속으로 제 1 가압 부재(26)를 이동시켜서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의 측을 향해서 밀어넣으면, 그 기세에 의해 수표(4)가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전체로서 부상된 상태(4')인 채로 권출 롤러(25)에 가압되는 일이 있다. 이렇게 부상하거나 비스듬해진 상태로 반송되면, 자기 잉크 문자 판독 불량의 원인도 된다.
제 1 가압 부재(26)를 대기 위치(26A)로부터 매체 가압 위치(26C)를 향해서 이동시킬 때에 처음에는 느린 제 1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비스듬히 쓰러져 있는 수표(4)를 부상하는 일 없이 제 1 가압 부재(26)에 의해 서서히 수직으로 선 상태로 일으킬 수 있다. 이 다음은 수직하게 선 상태의 수표(4)가 빠른 속도로 제 1 매체 가이드면(21)을 향해서 가압된다. 따라서, 수표(4)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단 시간으로 수표(4)를 권출 롤러(25)에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 부재(26)의 이동 속도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바꾸는 시점은 상기와는 다른 시점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가압 부재(26)의 선단부가 수표 삽입부(10) 내에 소정량만큼 돌출한 후에 가속해서 고속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실시형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수표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수표 송출 장치로서 이 용한 예이다. 본 발명의 매체 송출 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자기 판독 장치 등 수표 처리 장치 이외의 시트 형상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표 처리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표 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수표 처리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수표 처리 장치의 수표 처리 동작의 개략 흐름도,
도 5는 수표 송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6은 제 1 및 제 2 가압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제 2 가압 부재의 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수표 송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제 1 가압 부재의 구동용 모터의 제어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제 1 가압 부재에 의한 수표의 가압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수표 처리 장치 2 : 본체 케이스
3 : 커버 케이스 4 : 수표
5 : 반송로 6 : 상류측 반송로 부분
7 : 만곡 형상 반송로 부분 8 : 하류측 반송로 부분
9 : 수표 송출 장치 10 : 수표 삽입부
10a : 수표 수납 부분 10b : 수표 가이드 부분
11a, 11b : 분기 통로 11c : 교환판
12 : 제 1 수표 배출부 13 : 제 2 수표 배출부
14 : 표면측 스캐너 15 : 이면측 스캐너
16 : 자기 헤드 17 : 인쇄 기구
18 : 반송 모터 21 : 제 1 매체 가이드면
22 : 제 2 매체 가이드면 22a : 평행 가이드면 부분
22b : 직교 가이드 면 부분 22c : 송출측 평행 가이드면 부분
23 : 수표 송출 통로 23a : 수표 송출구
25 : 권출 롤러 25a : 외주면
26 : 제 1 가압 부재 26A : 대기 위치
26B : 선회 위치 26C : 매체 가압 위치
26a : 선단면 26b : 선단부
26d : 제 1 접촉부 27 : 제 2 가압 부재
27A : 퇴피 위치 27C : 돌출 위치
27a : 선단부 27b : 가이드면
27c : 제 2 접촉부 27d : 돌기
28 : 분리 패드 29 : 분리 롤러대
29a : 분리 롤러 29b : 지연 롤러
30 : 구동용 모터 32 : 제 1 수직 지지축
33 : 제 2 수직 지지축 34 : 선회 부재
34A : 제 1 선회 방향 34a : 링부
34b : 연장 아암 34c : 연장 아암
34d : 원호부 34e : 계합 아암
34f : 제 1 계합 아암 34g : 스프링 걸이
35 : 비틀림 코일 스프링 36 : 인장 코일 스프링
37 : 고정측 접촉부 101 : 제어부
102 : 통신 케이블 103 : 컴퓨터 시스템
103a : 표시기 103b : 조작부
111 : 용지장 검출기 112 : 중복 이송 검출기
113 : 잼 검출기 114 : 인쇄 검출기
115 : 배출 검출기

Claims (8)

  1. 매체가 삽입되는 매체 삽입부와,
    상기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매체가 송출되는 매체 송출구와,
    상기 매체 송출구를 향해 매체를 안내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매체 가이드면과,
    상기 제 1 매체 가이드면의 측에 배치되어, 상기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매체를 매체 송출구를 향해 송출하기 위한 권출 롤러와,
    상기 제 2 매체 가이드면의 측에 배치된 제 1 지지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 2 매체 가이드면의 측의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권출 롤러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매체 가압 위치까지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에 설치한 제 2 지지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측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매체 가이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돌출 위치까지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한 선회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송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로 향해 선회시키도록 제 1 선회 방향의 부세력을 가하는 부세 부재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 및 상기 선회 부재가 함께 선회하도록, 이들 제 2 가압 부재 및 상기 선회 부재를 접촉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 근방에 있을 때, 상기 선회 부재가 접촉하는 고정측 접촉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 부재는 상기 고정측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선회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상기 제 2 가압 부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송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상기 매체 가압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제 2 가압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송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가 접촉 가능한 제 1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부에 의해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상기 퇴피 위치가 규정 되며,
    상기 선회 부재는 상기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매체의 송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계합 아암 및 상기 송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계합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상기 선회 부재의 상기 제 1 계합 아암이 상기 제 1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 접촉 가능한 제 2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송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선회 부재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사이에 인장 상태에서 가설된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지지축에 권취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선회 부재에 걸려 있으며, 그 타단이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송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대기 위치 및 상기 매체 가압 위치로 선회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 1 가압 부 재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매체 가압 위치로 이동할 때,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송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선회 부재가 상기 고정측 접촉부에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며,
    상기 선회 부재가 상기 고정측 접촉부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상기 이동 속도를 제 2 속도까지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송출 장치.
  8. 제 1 항의 매체 송출 장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KR1020090009885A 2008-02-06 2009-02-06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KR101035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6018A JP5076937B2 (ja) 2008-02-06 2008-02-06 シート状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JPJP-P-2008-026018 2008-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172A true KR20090086172A (ko) 2009-08-11
KR101035808B1 KR101035808B1 (ko) 2011-05-20

Family

ID=4067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885A KR101035808B1 (ko) 2008-02-06 2009-02-06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699307B2 (ko)
EP (2) EP2319785B1 (ko)
JP (1) JP5076937B2 (ko)
KR (1) KR101035808B1 (ko)
CN (2) CN102390747B (ko)
CA (2) CA2743318C (ko)
ES (2) ES256730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6937B2 (ja) * 2008-02-06 2012-1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状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CN101549377B (zh) 2009-03-12 2011-01-12 泰安市硕力液压设备厂 方形压头可调活络模具板材曲面成形装置
US8348260B2 (en) * 2011-02-28 2013-01-08 Burroughs, Inc.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ssembly and sub-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3082519A (ja) * 2011-10-07 2013-05-09 Seiko Epson Corp シート状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JP6095373B2 (ja) * 2012-02-09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02588B2 (ja) * 2015-07-31 2019-11-0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有価媒体処理装置、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価媒体処理方法
JP6724309B2 (ja) * 2015-08-21 2020-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2235A (ja) 1982-05-18 1983-11-25 Fuji Xerox Co Ltd 用紙送り装置
JPS6067345A (ja) * 1984-07-04 1985-04-17 Sanyo Electric Co Ltd 紙葉類送出装置
JPS628935A (ja) 1985-07-05 1987-01-16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JPS6250140A (ja) 1985-08-30 1987-03-04 Toyo Seikan Kaisha Ltd 印刷機のインキング装置
JPS62146832A (ja) * 1985-12-20 1987-06-3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紙葉類の繰出し装置
US5088718A (en) * 1990-12-06 1992-02-18 Pitney Bowes Inc. High capacity sheet feeder
GB9105095D0 (en) * 1991-03-11 1991-04-24 H & G Process Contracting Improved clean power generation
JPH0667345A (ja) 1992-08-24 1994-03-11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6127705A (ja) 1992-10-19 1994-05-10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6298381A (ja) * 1993-04-12 1994-10-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縦型給紙装置
JPH06336392A (ja) 1993-05-25 1994-12-06 Toshiba Corp ハンド
JPH07323935A (ja) 1994-04-07 1995-12-12 Fujitsu Ltd 画像読み取り装置用給紙装置及び給紙装置付き画像読み取り装置並びに給紙装置
JP3319240B2 (ja) 1995-08-28 2002-08-26 富士電機株式会社 一括投入シートの一葉繰り出し装置
JP3349922B2 (ja) * 1997-06-13 2002-11-25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WO2004018336A1 (ja) * 2002-08-26 2004-03-04 Fujitsu Limited 媒体搬送装置
JP2004206362A (ja) * 2002-12-25 2004-07-22 Canon Electronics Inc 小切手類読取装置
KR100724877B1 (ko) 2003-06-27 2007-06-0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용지 공급 장치
JP4200879B2 (ja) 2003-10-30 2008-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給紙装置
JP3801600B2 (ja) 2003-06-27 2006-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給紙装置
KR100610946B1 (ko) * 2003-11-14 2006-08-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용지 수용 장치 및 용지 처리 장치
JP4792728B2 (ja) 2003-11-14 2011-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用紙収容装置及び当該用紙収容装置を備えた用紙処理装置
JP2005289625A (ja) 2004-04-05 2005-10-20 Seiko Epson Corp 給紙装置
JP4644025B2 (ja) 2005-04-12 2011-03-0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030135B2 (ja) 2006-07-18 2012-09-19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圧電単結晶振動子および圧電振動ジャイロ
JP4876956B2 (ja) * 2007-02-19 2012-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4821643B2 (ja) 2007-02-19 2011-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送り出し装置
JP4770757B2 (ja) * 2007-02-28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EP1964801B1 (en) * 2007-03-01 2014-02-26 Seiko Epson Corporation Media storage apparatus and media processing apparatus
JP2009029523A (ja) * 2007-07-24 2009-02-12 Toshiba Corp 折り処理装置とこれを備えた装置、及び折り処理方法
JP5076937B2 (ja) 2008-02-06 2012-1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状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4929A1 (en) 2009-08-06
CA2652335A1 (en) 2009-08-06
CN102390747B (zh) 2014-12-17
EP2319785B1 (en) 2016-03-30
EP2088101B1 (en) 2011-09-28
EP2088101A2 (en) 2009-08-12
EP2319785A1 (en) 2011-05-11
CA2743318C (en) 2012-01-03
CN101504729B (zh) 2012-02-22
ES2567308T3 (es) 2016-04-21
US7699307B2 (en) 2010-04-20
CA2652335C (en) 2012-01-03
JP2009184777A (ja) 2009-08-20
ES2370137T3 (es) 2011-12-13
JP5076937B2 (ja) 2012-11-21
US20100219578A1 (en) 2010-09-02
KR101035808B1 (ko) 2011-05-20
US8038142B2 (en) 2011-10-18
CN102390747A (zh) 2012-03-28
CN101504729A (zh) 2009-08-12
CA2743318A1 (en) 2009-08-06
EP2088101A3 (en)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08B1 (ko)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KR10073973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급지방법
US6302606B1 (en)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955123B1 (ko) 매체 송출 장치, 매체 처리 장치 및 수표 송출 장치
US8714547B2 (en) Paper dischar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paper discharge apparatus
US8727340B2 (en) Media separating and feeding device and media processing device
JP2004345769A (ja) 用紙処理装置
US8047544B2 (en) Printing apparatus
KR20080077336A (ko) 매체 처리 장치
KR20060063202A (ko) 레지스트레이션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7900907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2010195510A (ja) 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CN117842738A (zh) 打印设备和控制打印设备的方法
JP5229357B2 (ja) 媒体送り出し装置
JP3012073B2 (ja) 記録装置
JP4034080B2 (ja) 用紙後処理装置
US20100230894A1 (en) Printing apparatus
JP3028968U (ja) 用紙格納装置
JP3698985B2 (ja) 紙葉類集積装置
JP200032719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68968A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002645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38014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08201502A (ja) 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分離方法
JP200101918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