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336A - 매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336A
KR20080077336A KR1020080014470A KR20080014470A KR20080077336A KR 20080077336 A KR20080077336 A KR 20080077336A KR 1020080014470 A KR1020080014470 A KR 1020080014470A KR 20080014470 A KR20080014470 A KR 20080014470A KR 20080077336 A KR20080077336 A KR 20080077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roller
conveying
conveyance
endless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후리하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2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volving at least two planes of transport form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B65H2301/3122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2Orientation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321Standing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belts an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5Driving or guiding arrangements
    • B65H2404/253Relative position of driving and idle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매체 반송 기구는, 매체 반송로를 따라서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기능한다. 정보 판독 수단은 시트 형상 매체의 담지 영역이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정보 판독 위치를 통과할 때, 반송되는 시트 형상 매체의 상기 담지 영역에 담지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 걸리고, 벨트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무단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1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종동 풀리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누름 롤러를 갖는다.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제 1 누름 롤러 사이의 닙부와, 상기 정보 판독 위치와의 사이의 상기 매체 반송로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반송되는 매체의 선단과 상기 담지 영역의 후단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상기 제 1 종동 풀리는 상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로부터 상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매체 처리 장치{A MEDIA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수표 등의 시트 형상 매체를 1매씩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면서, 거기에 담지(擔持)되어 있는 자기 문자, 화상 정보 등의 담지 정보를 판독하는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담지 정보의 판독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 속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반입된 수표, 어음 등의 수표류(유가증권류)를 수표 판독 장치에 올려놓아, 그들의 표면 화상 및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라서 수표류의 분류 작업 등을 행하고 있다. 또, 최근에 있어서는 전자 결제의 보급에 따라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 자기 잉크 문자를 컴퓨터 처리하여, 수표류를 컴퓨터에 의하여 관리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2에는 이와 같은 수표 판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표 판독 장치의 수표 반송 기 구는 일반적으로 반송 모터의 회전력을 무단 벨트를 거쳐 수표 반송로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 롤러에 전달하고, 수표를 상류측의 반송 롤러로부터 하류측의 반송 롤러로 반송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넘겨주면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표는 반송로를 따라서 배치된 자기 헤드,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해서, 자기 문자 잉크 또는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면서 반송된다. 판독 동작 중에 있어서 수표의 반송 속도가 변동되면, 예를 들어 자기 헤드로부터 얻어지는 검출 신호 패턴도 변동되게 된다. 그 결과, 자기 헤드에 의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정밀도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판독 동작 중에 있어서는 수표의 반송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4-206362 호
특허문헌 2. 미국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2004/0257626 호
여기서, 반송로를 따라서 배치된 반송 롤러에 무단 벨트를 인장 상태로 감아 걸고, 무단 벨트를 반송 모터에 의해서 구동하는 반송 기구에 있어서는, 무단 벨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변동되면, 그에 기인하여, 무단 벨트가 감겨 걸려 있는 반송 롤러의 지지축에 작용하는 부하가 변동되어 지지축 휨 량이 변동된다. 무단 벨트의 인장력은 반송 롤러 및 누름 롤러의 닙(nip)부에 수표가 돌입할 때에 생기는 부하에 의해서 변동된다. 또,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반송 모터에 의한 구동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무단 벨트에 감겨 걸려 있는 각 반송 롤러로부터 작용하는 부하 변동과, 상기 부하 변동에 의한 지지축에 작용하는 부하가 순차적으로 가산되어 증폭되므로, 구동 위치로부터 멀어진 무단 벨트의 부위에 있어서는 인장력이 크게 변동된다.
인장 변동이 큰 부분이 감겨 걸려 있는 반송 롤러의 지지축은 장력 변동에 따라서 휨 량이 크게 변동된다. 반송 롤러 지지축의 휨 량의 변동이 크면, 반송 롤러와 누름 롤러의 축 간 거리가 변동되어, 벨트의 이동량과 반송 모터의 구동량이 비례하지 않게 되어, 수표 반송 속도(반송 피치)에 흐트러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반송 롤러 및 누름 롤러의 닙부에 수표가 운반될 때에는 닙 력에 기인하여 수표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크면 수표 반송 속도에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반송되는 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하고, 정밀도 좋게 시트 형상 매체의 담지 정보를 판독 가능한 매체 처리 장치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 반송로를 따라서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기능하는 매체 반송 기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의 담지 영역이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정보 판독 위치를 통과할 때, 반송되는 상기 시트 형상 매체의 상기 담지 영역에 담지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는 정보 판독 수단을 가지며,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 걸리고, 벨트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무단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1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종동 풀리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누름 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제 1 누름 롤러 사이의 닙부와, 상기 정보 판독 위치와의 사이의 상기 매체 반송로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반송되는 매체의 선단과, 상기 담지 영역의 후단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1 종동 풀리는 상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로부터 상류에 배치된다.
여기서,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가장 적은 위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무단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에 감겨 걸려 있는 구동 풀리에 대하여, 당기는 쪽인 상기 무단 벨트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이다. 따라서, 상기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반송 롤러의 상기 제 1 종동 풀리를, 상기 구동 풀리에 대하여, 상기 무단 벨트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 근접한 부분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 1 반송 롤러를 속도 변동이 적게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 처리 장치에서는, 제 1 반송 롤러에는 다른 반송 롤러에 비하여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더 적은 부분이 감겨 걸려 있다. 따라서, 제 1 반송 롤러에 감겨 걸려 있는 무단 벨트의 부분에는 시트 형상 매체가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운반되었을 때에 큰 장력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시트 형상 매체가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운반되었을 때에 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 속도에 흐트러짐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담지 정보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가 억제 또는 방지된다.
또, 상기 무단 벨트는 치형부가 있는 벨트이고, 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제 1 종동 풀리는 상기 무단 벨트와 계합하는 치형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 1 종동 풀리의 속도 변동을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로가 긴 경우 등에 있어서는,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운반되는 반송 롤러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즉,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2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정보 판독 위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종동 풀리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2 누름 롤러를 더 갖고 있어도 되며, 상기 제 2 종동 풀리는, 상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 풀리로부터 상류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시트 형상 매체가 운반되는 반송 롤러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그들을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벨트 구동용의 구동 풀리의 당기는 쪽의 상류측에 인접 배치함으로써, 다른 반송 풀리에 비하여,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적은 부분이, 이들 제 1 및 제 2 반송 풀리에 각각 감겨 걸린다. 따라서,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시트 형상 매체가 이들 반송 풀리에 의해서 회전되는 반송 롤러에 운반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담지 정보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가 억제 또는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3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종동 풀리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3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3 누름 롤러를 더 갖고 있어도 되며, 상기 제 1 반송 롤러 및 제 2 반송 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비하여 크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에 시트 형상 매체를 밀어붙이기 위한 각 누름 롤러의 직경도 상기 제 3 누름 롤러에 비하여 커도 된다.
이와 같이 롤러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시트 형상 매체가 닙부에 운반될 때에 상기 시트 형상 매체에 작용하는 반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시트 형상 매체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반송 롤러에 운반될 때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담지 정보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매체 처리 장치를 수표 판독 장치 등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보 판독 수단으로서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 헤드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정보 판독 수단으로서 화상 판독 수단이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정보 판독 수단이,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화상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 헤드는 상기 판독 수단에 대하여 상기 벨트 이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바 코드 등의 자기 정보를 읽기 위하여 속도 정밀도가 요구되는 자기 헤드를 속도 변동이 적은 구동 풀리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 1 반송 롤러의 상기 제 1 종동 풀리를, 모터로 구동되는 상기 구동 풀리로 하는 것은 무단 벨트로의 속도 변동 요소를 줄이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매체 처리 장치에서는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더 작은 부분을,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시트 형상 매체가 운반되는 반송 풀리에 감아 걸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시트 형상 매체가 운반될 때에 반송 롤러에 작용하는 부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담지 정보 판독 중에 있어서의 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에 기인하는 담지 정보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담지 정보가 판독되면서 운반되는 반송 롤러 및 누름 롤러의 직경이 그 이외의 반송 롤러 및 누름 롤러의 직경보다 각각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반송 롤러 및 누름 롤러의 닙부에 운반되는 시트 형상 매체에 작용하는 반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담지 정보 판독 중에 있어서의 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에 기인하는 담지 정보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 또는 회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수표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표 처리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수표 처리 장치(1)는 본체 케이스(2)와, 그 상측에 덮은 덮개 케이스(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내부에 각 부품이 편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덮개 케이스(3)에는 폭이 좁은 수직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표(4)(시트 형상 매체)의 반송로(5)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5)는 위에서 본 경우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하고 있고, 직선 형상의 상류측 반송로 부분(6)과, 이것에 연속하는 만곡 형상 반송로 부분(7)과, 이것에 연속하는 약간 굴곡진 하류측 반송로 부분(8)을 구비하고 있다.
상류측 반송로 부분(6)의 상류단은 폭이 넓은 수직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표 삽입부(9)에 연통하고 있다. 하류측 반송로 부분(8)의 하류단은 좌우로 분기한 분기로(10a, 10b)를 거쳐, 각각 폭이 넓은 수직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수표 배출부(11, 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판독 대상인 수표(4)는 그 표면(4a)의 하단 부분에 자기 잉크 문자(4A)가 인쇄되어 있다. 또, 표면(4a)에는 소정 무늬의 배경에 금액, 발행인, 번호, 사인 등이 기재되어 있고, 이면(4b)에는 이서(裏書) 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수표 반송용 기구 부분)
도 3은 수표 처리 장치(1)에 편성되어 있는 수표 반송용 기구 부분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반송로(5)를 따라서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 부분을 골라내어 도시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표 삽입부(9)에는 여기에 적층 상태로 삽입된 수표(4)를 반송로(5)를 향하여 송출하기 위한 투입 롤러(13)와, 수표(4)를 투입 롤러(13)에 밀어붙이기 위한 밀어붙임 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또, 투입 롤러(13)에 의해서 투입된 수표(4)를 반송로(5)에 송출하기 위한 송출 통로(15)에는, 수표(4)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로(5)에 송출하기 위한 분리 기구로서, 분리 패드(16)와, 분리 롤러(17) 및 리타드 롤러(18)로 이루어지는 분리 롤러 쌍이 배치되어 있다. 투입 롤러(13), 분리 롤러(17) 및 밀어붙임 부재(14)는 공통의 송출 모터(19)에 의해서 구동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표(4)를 반송로(5)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기구는 반송 모터(21)와, 이 반송 모터(21)의 회전축에 장착한 구동 풀리(22)와, 반송로(5)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반송 롤러(31∼36), 중간 기어(37)와, 각 반송 롤러(31∼36)에 밀어붙여져서 함께 회전하는 누름 롤러(41∼46)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중간 기어(37)의 회전은 평기어로 맞물려 있는 제 2 배출 롤러(38), 전달 기어(48), 제 1 배출 롤러(39) 및 제 2 배출 롤러(38)와 제 1 배출 롤러(39)에 밀어붙여져서 함께 회전하는 가압 롤러(47, 49)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반송 모터(21)의 회전을 각 반송 롤러(31∼36) 및 중간 기어(37)에 전달하기 위한 무단 벨트(23)를 구비하고 있고, 무단 벨트(23)는 구동 풀리(22)로부터, 무단 벨트(23)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무단 벨트(23)를 내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텐션 롤러(24), 반송 롤러 종동 풀리(36a), 가이드 롤러(25), 중간 기어 종동 풀리(37a), 반송 롤러 종동 풀리(31a, 32a), 가이드 롤러(26, 27), 반송 롤러 종동 풀리[33a, 34a(제 2 반송 롤러의 종동 풀리), 35a(제 1 반송 롤러의 종동 풀리)]를 경유하여 다시 구동 풀리(22)로 리턴하는 무한궤도를 따라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무단 벨트(23)는 내주에 치형부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이고, 무단 벨트(23)가 이동되는 구동 풀리(22)와 무단 벨트(23)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각 종동 풀리는 무단 벨트(23)의 치형부와 맞물리는 치형부가 외주에 형성된 풀리이며, 각 반송 롤러(31∼36)는 하측에 종동 풀리가 형성되고 상측에 고무 등으로 형성된 롤러부를 구비하여 본체 프레임측에 형성된 축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무단 벨트(23)의 진로를 변경하기 위한 각 가이드 롤러(25, 26, 27)는 무단 벨트(23)의 외주와 접촉하는 원주 형상을 이루어 회전 자유롭게 본체 프레임측에 지지되어 있다.
반송 롤러(31∼34)는 상류측 반송로 부분(6)에 있어서의 상류단, 그 중간 정도의 위치, 및 만곡 형상 반송로 부분(7)과의 경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35)(제 1 반송 롤러)는 만곡 형상 반송로 부분(7)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36)는 하류측 반송로 부분(8)에 있어서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중간 기어(37) 및 제 2 배출 롤러(38)는 제 2 수표 배출부(12)의 배출구 부분에 배치되고, 제 1 배출 롤러(39)는 제 1 수표 배출부(11)의 배출구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상류측 반송로 부분(6)에 있어서의 반송 롤러(31, 32) 사이에는 자기 잉크 문자 착자용의 자석(51)이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32, 33) 사이에는 표면 화상 판독 수단으로서의 표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및 이면 화상 판독 수단으로서의 이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3)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33, 34) 사이에는 자기 잉크 문자 판독용의 자기 헤드(54)가 배치되어 있다.
하류측 반송로 부분(8)에 있어서의 반송 롤러(36)의 하류측에는 인쇄 기구(56)가 배치되어 있다. 인쇄 기구(56)는 수표(4)에 가압되는 인쇄 위치와, 이 인쇄 위치로부터 후퇴한 대기 위치의 사이를, 구동용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쇄 기구(56)는 플런저에 의하여 눌려서 수표(4)에 인쇄하는 스탬프 기구이더라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반송로(5)에는 수표 반송 제어를 위하여 각종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자석(51)의 근방 위치에는 송출되는 수표(4)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용지 길이 검출기(61)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54)의 대향 부위에는 수표(4)가 중첩된 상태에서 반송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중첩 반송 검출기(62)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35)의 바로 앞쪽 위치에는 잼 검출기(63)가 배치되어 있어, 이 검출기(63)에 의해서 소정 시간 이상에 걸쳐 계속해서 수표(4)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로(5)에 수표가 걸린 종이 걸림 상태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송 롤러(36)의 상류측 위치에는 인쇄 기구(56)에 의해서 인쇄되는 수표(4)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인쇄 검출기(6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5)로부터 제 1, 제 2 수표 배출부(11, 12)로 분기되어 있는 분기로(10a, 10b)의 위치에는 이들에 배출 되는 수표를 검출하기 위한 배출 검출기(6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분기로(10a, 10b)의 상류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서 전환 조작되는 전환판(66)이 배치되어 있다. 전환판(66)은 제 1, 제 2 수표 배출부(11, 12)에 대하여, 반송로(5)의 하류단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수표(4)를 선택된 배출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예의 반송로(5)에 있어서의 자기 헤드(54)에 의한 판독 위치(54A)로부터 반송 롤러(36)와 누름 롤러(46) 사이의 닙부까지의 길이는 판독 대상인 수표(4)의 긴 변 방향(반송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본 예에서는 판독 위치(54A)로부터 상기 닙부까지의 길이는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 있어서의 수표(4)의 최대 길이 8.75인치보다 긴 240㎜로 설정된다. 따라서, 수표(4)의 선두가 반송 롤러(36)와 누름 롤러(46) 사이의 닙부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그 후단이 자기 헤드(54)의 판독 위치(54A)를 통과하여 종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표(4)는 자기 헤드(54)에 의하여 자기 잉크 문자가 판독되면서, 반송 롤러(34)(제 2 반송 롤러) 및 누름 롤러(44), 및 반송 롤러(35)(제 1 반송 롤러) 및 누름 롤러(45)에 순차적으로 운반되면서 반송되게 된다. 또, 수표(4)는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53)에 의하여 화상이 판독되면서, 반송 롤러(33) 및 누름 롤러(43), 반송 롤러(34) 및 누름 롤러(44), 및 반송 롤러(35) 및 누름 롤러(45)에 순차적으로 운반되면서 반송되게 된다.
(반송 롤러의 배치 관계)
본 예의 수표의 반송 기구에 있어서는 무단 벨트(23)에 있어서의 각 롤러의 감아 거는 부분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단 벨트(23)에 있어서의 구동 풀리(22)에 대하여 당기는 쪽인 벨트 구동 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한 반송 롤러 종동 풀리(35a)(제 1 반송 롤러의 종동 풀리)에 무단 벨트(23)가 감겨 걸려 있다. 이 반송 롤러 종동 풀리(35a)(제 1 반송 롤러의 종동 풀리)의 상류측에 인접한 반송 롤러 종동 풀리(34a)(제 2 반송 롤러의 종동 풀리)에 무단 벨트(23)가 감겨 걸려 있다. 또, 벨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여, 반송 롤러 종동 풀리(33a, 32a, 31a), 중간 기어 종동 풀리(37a) 및 반송 롤러 종동 풀리(36a)의 순서로 무단 벨트(23)가 감겨 걸려 있다.
여기서, 수표(4)가 각 반송 롤러(31∼36) 및 종동 풀리(37)에 순차적으로 운반되면서 반송될 때에는 하나의 반송 롤러의 감아 거는 부분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단 벨트(23)의 장력 변동과, 상기 장력 변동에 의한 각 지지축의 부하 변동이 무단 벨트(23)의 구동 위치인 구동 풀리(22)의 상류측을 향하여, 인접하는 반송 롤러의 종동 풀리에 순차적으로 가산되어 증폭되어 간다. 따라서, 각 반송 롤러의 종동 풀리에 발생하는 장력 변동은 각종 반송 롤러 종동 풀리(35a, 34a, 33a, 32a, 31a), 중간 기어 종동 풀리(37a) 및 반송 롤러 종동 풀리(36a)의 순서로 커진다.
본 예에서는 무단 벨트(23)의 장력 변동이 가장 작은 부분이 제 1 반송 롤러 종동 풀리(35a)로 감아 거는 부분이 되고, 다음으로 장력 변동이 작은 것은 감아 거는 부분이 제 2 반송 롤러(34)의 종동 풀리(34a)의 감아 거는 부분이 되며, 그 다음으로 장력 변동이 작은 롤러 감아 거는 부분이 반송 롤러(33)의 종동 풀리(33a)의 감아 거는 부분이 되어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34)(제 2 반송 롤러), 반송 롤러(35)(제 1 반송 롤러)는 수표(4)가 자기 헤드(54)에 의해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중에 운반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반송 롤러(33, 34 및 35)는 수표(4)가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53)에 의한 판독 중에 운반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수표 운반시에, 이들 반송 롤러(33, 34, 35)에 큰 장력 변동이 작용하면, 그들의 롤러 지지축의 휨 량이 크게 변동되고, 이에 따라서 벨트 이동량과 반송 모터의 구동량이 비례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수표(4)가 운반되었을 때에 수표 반송 속도에 흐트러짐이 생겨, 자기 헤드(54)에 의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정밀도,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53)에 의한 화상 판독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자기 헤드(54)에 의한 판독 정밀도는 수표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에 영향을 받기 쉽다.
본 예에서는 자기 헤드(54)에 의한 판독 중에 수표(4)가 운반되는 제 1 반송 롤러(35), 제 2 반송 롤러(34)는 무단 벨트(23)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적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수표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 헤드(54)에 의한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 또는 회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53)에 의한 판독 중에 수표(4)가 운반되는 반송 롤러(33)도 무단 벨트(23)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다른 반송 롤러(32, 31), 중간 기어(37)나 반송 롤러(36)에 비하여 적은 부분이 감겨 걸려 있으므로, 화상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 또는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무단 벨트(23)의 장력 변동이 가장 큰 부분이 반송 롤러(36)의 반송 롤러 종동 풀리(36a)의 감아 거는 부분이 된다. 반송 롤러 종동 풀 리(36a)에 의해서 회전되는 반송 롤러(36)와 누름 롤러(46) 사이의 닙부에 수표(4)의 선두가 도달할 때까지는 그 후단이 자기 헤드(54)의 판독 위치(54A)를 통과하여 종료되고 있으므로, 반송 롤러 종동 풀리(36a)의 최대의 장력 변동이 화상 판독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기 헤드(54)에 의한 판독 중에 수표(4)가 운반되는 반송 롤러(34) 및 반송 롤러(35)의 외경 치수가 다른 반송 롤러(31, 32, 33, 36)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 반송 롤러(34, 35)에 수표(4)를 밀어붙이기 위한 각 누름 롤러(43, 44)의 외경 치수도, 다른 누름 롤러(41, 42, 45, 46)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롤러 외경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수표(4)가 이들의 닙부에 운반될 때에 상기 수표(4)에 작용하는 반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 잉크 문자가 판독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수표(4)가 상기 반송 롤러(34, 35)에 운반될 때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헤드(54)에 의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어계)
도 5는 수표 판독 장치(1)의 제어계를 도시한 개략 블록도이다. 수표 판독 장치(1)의 제어계는 ROM, RAM을 구비하고, CPU를 중심으로 구성된 제어부(71)를 갖고 있다. 제어부(71)는 통신 케이블(72)을 거쳐 상위의 컴퓨터 시스템(73)에 접속된다. 컴퓨터 시스템(73)은 표시기(73a), 키보드, 마우스 등의 조작부(73b) 등의 입출력 기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73) 측으로부터 수표 판독 동작 의 개시 지령 등이 제어부(71)에 입력된다.
제어부(71)는 판독 동작의 개시 지령을 수취하면, 송출 모터(19), 반송 모터(21)를 구동하여 수표(4)를 1매씩 반송로(5)에 송출시키고, 송출된 수표(4)를 반송로(5)를 따라서 반송시킨다. 제어부(71)에는 표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이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3) 및 자기 헤드(54)에 의해서 판독된 수표(4)의 표면 화상 정보, 이면 화상 정보 및 자기 잉크 문자 정보가 입력된다. 이들 정보는 컴퓨터 시스템(73)에 공급되어, 화상 처리, 문자 인식 처리 등이 행해지고, 판독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판단 결과가 제어부(71)에 공급된다. 제어부(71)는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인쇄 기구(56) 및 전환판(66)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71)에 의한 수표(4)의 반송 제어는 반송로(5)에 배치되어 있는 용지 길이 검출기(61), 중첩 반송 검출기(62), 잼 검출기(63), 인쇄 검출기(64) 및 배출 검출기(65)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또한, 제어부(71)에는 본체 케이스(2)에 형성된 전원 스위치 등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75)가 접속되어 있다.
(수표 처리 동작)
도 6은 수표 처리 장치(1)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 개략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판독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가 상위의 컴퓨터 시스템(73)의 조작부(73b)로부터 판독 개시 지령을 입력하면, 송출 모터(19)에 의해서 투입 롤러(13)가 회전하는 동시에 밀어붙임 부재(14)가 이동하여 수표(4)를 투입 롤러(13)에 밀어붙인다. 그 결과, 수표(4)가 투입 롤러(13)에 의해서 송출된다. 송출 통로(15)에 투입된 수표(4)는 송출 통로(15)에 배치되어 있는 분리 기구[분리 패드(16), 및 분리 롤러(17) 및 리타드 롤러(18)]에 의해서 1매씩 분리되어 반송로(5)에 송출된다(단계 ST1, ST2).
용지 길이 검출기(61)에 의해서 송출된 수표(4)의 선단이 검출되면, 반송 모터(21)가 구동하여, 각 반송 롤러(31∼36) 및 중간 기어(37)가 회전 구동된다. 송출된 수표(4)는 반송 롤러(31∼36)에 순차적으로 넘겨주면서 반송로(5)를 따라서 반송된다(단계 ST3). 반송되는 수표(4)의 표면 화상 및 이면 화상, 및 자기 잉크 문자가 각각 표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이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3) 및 자기 헤드(54)에 의해서 판독된다(단계 ST4).
판독된 정보는 통신 케이블(72)을 거쳐 상위의 컴퓨터 시스템(73)에 송신된다(단계 ST5). 컴퓨터 시스템(73) 측에 있어서 판독된 표면 화상, 이면 화상, 및 자기 잉크 문자 정보를 처리하여, 판독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표(4)가 상하 반대인 상태에서 반송된 경우에는 자기 잉크 문자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판독 불량이라고 판단된다. 수표(4)가 표리 반대인 상태에서 반송된 경우에는 자기 잉크 문자 정보가 얻어지지 않으므로, 판독 불능이라고 판단된다. 또, 수표(4)가 접혀 있거나 찢어져 있거나 반송시에 스큐(skew)되는 등에 의해, 자기 잉크 문자의 일부가 판독 불능인 경우에도 판독 불량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표리의 화상 정보로부터, 수표(4)가 접혀 있거나 찢어져 있거나 반송시에 스큐되는 등에 의해, 금액 정보 등의 소정의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등에도 판독 불량이 라고 판단된다.
여기서, 수표 처리 장치(1) 측에서는 반송되는 수표(4)의 선두가 인쇄 기구(56)에 의한 인쇄 위치(56A)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수표(4)의 반송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춘다(단계 ST6). 반송되는 수표(4)의 선두 위치는 예를 들어, 용지 길이 검출기(61)에 의해서 수표(4)의 선두가 검출된 시점부터의 반송 모터(21)의 단계 수에 의하여 관리된다. 수표(4)의 반송을 멈춘 상태에서, 판독의 양호/불량 판단 결과를 컴퓨터 시스템(73) 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ST7).
판단 결과를 수신한 후에는 그것이 정상적인 판독이라고 판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표(4)의 반송을 재개하고, 동시에 인쇄 기구(56)를 인쇄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ST8, ST9). 수표(4)는 인쇄 기구(56)에 의해서 「전자결제필」 등의 인쇄가 행해지면서 반송되고, 전환판(66)에 의해서 제 1 수표 배출부(11) 측으로 배출된다(단계 ST10). 배출 검출기(65)에 의해서 수표(4)의 후단이 검출된 후에는 수표 반송 동작이 종료된다(단계 ST11, ST12). 그런 후에 다음 수표(4)의 송출 및 반송을 개시한다.
이에 대하여, 판독 불량, 판독 불능 등의 판단 결과가 나온 경우에는(단계 ST8) 수표(4)의 반송을 재개하고(단계 ST13), 동시에 전환판(66)의 전환 동작을 행한다. 인쇄 기구(56)는 대기 위치에 보유유지하고, 수표(4)에의 인쇄는 행하지 않는다. 수표(4)는 전환판(66)에 의해서 제 2 수표 배출부(12)에 할당되어 그곳에 배출된다(단계 ST14). 배출 검출기(65)에 의해서 수표(4)의 후단이 검출된 후에는 수표 반송 동작을 종료하고(단계 ST11, ST12), 다음 수표(4)의 판독을 위한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중첩 반송 검출기(62)에 의해서 수표의 중첩 반송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인터럽트 처리가 행해져, 반송을 즉시 정지하고, 예를 들어 조작부(75)에 배치되어 있는 경고 램프 등을 거쳐 이상 반송이 발생하였다는 취지의 경고를 행하고, 수표가 반송로(5)로부터 제거되어 초기 상태로 돌아가기를 기다린다. 마찬가지로, 잼 검출기(63)에 의해서 수표가 반송로(5)에 걸린 상태에 빠졌음이 검출된 경우에도 동일한 인터럽트 처리가 발생한다.
(수표 처리 장치에 의한 작용효과)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수표 처리 장치(1)에서는 무단 벨트(23)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더 작은 부분을, 자기 헤드(54)에 의하여 자기 잉크 문자가 판독되면서 수표(4)가 운반되는 반송 벨트(34, 35)에 감아 걸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수표(4)가 운반될 때에 반송 롤러(34, 35)에 작용하는 부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중에 있어서의 수표(4)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반송 롤러(34, 35)의 외경을 그 이외의 반송 롤러보다 크게 하고, 이들에 밀어붙여져 있는 누름 롤러(43, 44)의 외경도 다른 누름 롤러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반송 롤러(34, 35) 및 누름 롤러(44, 45)의 닙부에 운반되는 수표(4)에 작용하는 반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중에 있어서의 수표(4)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에 기인하는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무단 벨트(23)에 있어서의 장력 변동이 더 작은 부분을,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 53)에 의하여 화상이 판독되면서 수표(4)가 운반되는 반송 롤러(33, 34, 35)에 감아 걸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수표(4)가 운반될 때에 반송 롤러(33, 34, 35)에 작용하는 부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화상의 판독 중에 있어서의 수표(4)의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속도의 흐트러짐에 기인하는 화상의 판독 정밀도의 저하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을 수표 처리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수표 이외의 시트 형상 매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프린터나 스캐너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 무단 벨트나 풀리의 구성에 대해서도 타이밍 벨트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평벨트, V 벨트, 원 벨트 타입에서 그것에 대응한 풀리 형상의 것이더라도 상관없으나, 속도 변동을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타이밍 벨트에 의한 전달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반송 롤러인 반송 롤러(35)는 무단 벨트(23)를 거쳐 반송 모터(21)의 회전축에 장착한 구동 풀리(22)에 의해서 회전되는 실시형태로 하였으나, 제 1 반송 롤러 종동 풀리(35a)를, 모터(21)로 직접 구동하는 것은 무단 벨트에의 속도 변동 요소를 줄이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하류에 있는 정보 판독 수단 으로서의 자기 헤드(54)의 판독 위치(54A)로부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구동 풀리(22)로부터 하류에 배치된 반송 롤러 종동 풀리(36a)에 의해서 회전되는 반송 롤러(36)와 누름 롤러(46) 사이의 닙부까지의 길이를 240㎜로 하였다. 그러나, 수표가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한창 판독되고 있는 도중에 반송 롤러(36)와 누름 롤러(46)에 닙 되지 않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 길이는 8.75 인치를 초과하면 된다. 또, 정보 판독 수단으로서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가 자기 헤드(54)보다 벨트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길이는 반송 롤러(36)와 누름 롤러(46) 사이의 닙부로부터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52)의 정보 판독 위치와의 사이의 길이에 상당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를 각국에서 사용되는 수표 중의 최대 길이보다 크게 설정하였으나, 수표 처리 장치의 용도를 더 짧은 특정 수표용으로 한정하면 8.75 인치 이하이더라도 상관없다. 그러나, 하나의 기종으로 각국의 모든 수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는 8.75 인치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표 처리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표 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수표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수표의 반송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1의 수표 처리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수표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표 처리 장치 2 : 본체 케이스
3 : 덮개 케이스 4 : 수표
5 : 반송로 6 : 상류측 반송로 부분
7 : 만곡 형상 반송로 부분 8 : 하류측 반송로 부분
9 : 수표 삽입부 10a, 10b : 분기로
11 : 제 1 수표 배출부 12 : 제 2 수표 배출부
13 : 투입 롤러 14 : 밀어붙임 부재
15 : 분리 패드 16 : 분리 롤러
17 : 리타드 롤러 18 : 송출 통로
19 : 송출 모터 21 : 반송 모터
22 : 구동 풀리 23 : 무단 벨트
24 : 텐션 롤러 25∼27 : 가이드 롤러
31∼36 : 반송 롤러 37 : 중간 기어
41∼47 : 가압 롤러 38 : 제 2 배출 롤러
48 : 전달 기어 39 : 제 1 배출 롤러
49 : 가압 롤러 51 : 자석
52 : 표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 53 : 이면측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
54 : 자기 헤드 56 : 인자 기구

Claims (11)

  1. 매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매체 반송로를 따라서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기능하는 매체 반송 기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의 담지(擔持) 영역이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정보 판독 위치를 통과할 때, 반송되는 상기 시트 형상 매체의 상기 담지 영역에 담지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는 정보 판독 수단을 갖고,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 걸리고, 벨트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무단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1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종동 풀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누름 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제 1 누름 롤러 사이의 닙(nip)부와, 상기 정보 판독 위치와의 사이의 상기 매체 반송로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반송되는 매체의 선단과, 상기 담지 영역의 후단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1 종동 풀리는 상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로부터 상류에 배치되는
    매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벨트는 치형부가 있는 벨트이고,
    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제 1 종동 풀리는 상기 무단 벨트와 계합하는 치형부를 갖는
    매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2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정보 판독 위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종동 풀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2 반 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2 누름 롤러를 더 가지며,
    상기 제 2 종동 풀리는 상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 풀리로부터 상류에 배치되는
    매체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3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종동 풀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3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3 누름 롤러를 더 가지며,
    상기 제 1 반송 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 1 누름 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 3 누름 롤러의 직경보다 큰
    매체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3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종동 풀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3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3 누름 롤러를 더 가지며,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 2 누름 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 3 누름 롤러의 직경보다 큰
    매체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독 수단은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도록 기능하는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독 수단은 화상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독 수단은,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도록 기능하는 자기 헤드와 화상 판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 헤드는 상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으로부터 하류에 배치되는
    매체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 풀리는 상기 구동 풀리인
    매체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기구는,
    상기 무단 벨트가 감겨 걸리고, 상기 무단 벨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 4 종동 풀리와,
    상기 매체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종동 풀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4 반송 롤러와,
    상기 시트 형상 매체를 상기 제 4 반송 롤러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4 반송 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4 누름 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 4 종동 풀리는, 상기 벨트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로부터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반송 롤러와 상기 제 4 누름 롤러 사이의 닙부와, 상기 정보 판독 위치와의 사이의 상기 매체 반송로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반송되는 매체의 선단과, 상기 담지 영역의 후단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매체 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매체는 수표이고,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상기 수표에 담지되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수표 판독 장치인
    매체 처리 장치.
KR1020080014470A 2007-02-19 2008-02-18 매체 처리 장치 KR20080077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7454A JP4876956B2 (ja) 2007-02-19 2007-02-19 媒体処理装置
JPJP-P-2007-00037454 2007-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336A true KR20080077336A (ko) 2008-08-22

Family

ID=3950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470A KR20080077336A (ko) 2007-02-19 2008-02-18 매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67109B2 (ko)
EP (1) EP1959404B1 (ko)
JP (1) JP4876956B2 (ko)
KR (1) KR20080077336A (ko)
ES (1) ES238258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08B1 (ko) * 2008-02-06 2011-05-2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1715A (ja) 2011-02-18 2012-09-10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カバーの取付構造
CN102886995B (zh) * 2011-07-20 2015-03-0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介质处理装置、支票处理装置以及介质处理装置的控制方法
EP3384246B1 (en) 2015-12-03 2020-05-06 Renishaw PLC Encoder apparatus
CN113998416B (zh) * 2021-11-08 2022-07-01 宁夏广天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皮带张紧度监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5031A (en) * 1971-04-14 1973-02-06 Rowe International Inc Post validator for bill acceptor
US3966047A (en) * 1974-11-27 1976-06-29 Rowe International Inc. Paper currency acceptor
US4030726A (en) * 1975-12-11 1977-06-21 Ncr Corporation Document feeding mechanism
US4035614A (en) * 1976-03-25 1977-07-12 Umc Industries, Inc. Card validating apparatus
US4599632A (en) * 1982-08-30 1986-07-08 At&T Bell Laboratories Photodetector with graded bandgap region
JPS5958876U (ja) 1982-10-12 1984-04-1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選別装置
JPS614275U (ja) * 1984-06-15 1986-01-11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JPS638892A (ja) * 1986-06-30 1988-01-14 富士電機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
US5150894A (en) * 1991-03-27 1992-09-29 Bell & Howell Company Diverter mechanism for flat document conveyor system
US5259490A (en) * 1991-10-04 1993-11-09 Coin Bill Validator, Inc. Antifraud currency acceptor
JP3018719B2 (ja) 1992-03-12 2000-03-13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JP3094628B2 (ja) 1992-03-12 2000-10-03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US6068187A (en) * 1994-10-18 2000-05-30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for recording media
JPH11339098A (ja) * 1998-05-22 1999-12-10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DE50014443D1 (de) * 1999-03-10 2007-08-09 Oce Printing Systems Gmbh Ein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tonerbildes von einem tonerträgerband auf ein trägermaterial unter beibehaltung einer konstanten bandspannung
JP2001344635A (ja) 2000-06-02 2001-12-14 Birukon Kk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JP4562265B2 (ja) 2000-09-29 2010-10-13 サンデン株式会社 紙葉類識別収納装置
JP5193409B2 (ja) * 2001-09-21 2013-05-08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と紙葉類処理装置の点検方法とテスト媒体
US6902105B2 (en) * 2001-10-22 2005-06-07 Seiko Epson Corporation Negotiable instrument processing device, negotiable instrument processing method and negotiable instrument processing system
JP2004206362A (ja) 2002-12-25 2004-07-22 Canon Electronics Inc 小切手類読取装置
ITTO20030033U1 (it) * 2003-02-27 2004-08-28 Panini Spa Apparecchio per la scannerizzazione di assegni bancari con un dispositivo di tipo perfezionato per l'alimentazione di assegni.
ITTO20030032U1 (it) * 2003-02-27 2004-08-28 Panini Spa Apparecchio scanner per la scannerizzazione di assegni bancar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08B1 (ko) * 2008-02-06 2011-05-2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송출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82583T3 (es) 2012-06-11
EP1959404A2 (en) 2008-08-20
US8167109B2 (en) 2012-05-01
JP4876956B2 (ja) 2012-02-15
JP2008201504A (ja) 2008-09-04
EP1959404A3 (en) 2009-04-22
EP1959404B1 (en) 2012-04-11
US20080196996A1 (en)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123B1 (ko) 매체 송출 장치, 매체 처리 장치 및 수표 송출 장치
KR20080077336A (ko) 매체 처리 장치
US8727340B2 (en) Media separating and feeding device and media processing device
CN102390747B (zh) 片状媒体输出装置
JP2008102661A (ja) 小切手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485518B2 (en) Sheet media feeding device, sheet media separation method, and sheet media processing device
JP2009046297A (ja) 記録媒体処理装置の搬送状態判定方法
JP2759379B2 (ja) 有価証券の印字装置
TW445216B (en) Passbook handling device
US7900907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2009018891A (ja) 媒体分離機構、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KR1021777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이송장치
JP3822036B2 (ja) 媒体搬送装置
KR950007850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 방출장치
JP2009018892A (ja) 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JP2008201502A (ja) 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分離方法
WO2017175429A1 (ja) 磁気読取装置及び小切手処理装置
JP2009018875A (ja) 媒体分離機構、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JP2017182660A (ja) 媒体処理装置
JP2008001495A (ja) 媒体搬送装置
JP2008201503A (ja) 媒体送り出し装置
JP2009018890A (ja) 媒体分離送り出し機構および媒体処理装置
JPH05132174A (ja) カード類の重送阻止装置
JPH04371435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11225378A (ja) 媒体送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