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350A -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350A
KR20090078350A KR1020097009744A KR20097009744A KR20090078350A KR 20090078350 A KR20090078350 A KR 20090078350A KR 1020097009744 A KR1020097009744 A KR 1020097009744A KR 20097009744 A KR20097009744 A KR 20097009744A KR 20090078350 A KR20090078350 A KR 20090078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optical fiber
fusion
optical connector
heat sh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884B1 (ko
Inventor
도시히코 혼마
츠토무 와타나베
유키히로 요코마치
요시쿄 다메쿠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6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fibre stu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9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using encapsulation for protection, e.g. adhesive, molding or casting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3Adjustment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ment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커넥터 페룰을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홀더로부터 취출하지 않고 단척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할 수 있는 홀더를 얻는다.
광 커넥터 페룰(7)을 구비한 커넥터 플러그(10)를 수용하고, 광 커넥터 페룰(7)에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5) 및 상기 커넥터 플러그(10)를 보호하는 홀더(51)이며, 상기 단척 광 파이버(5)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71)에 상기 홀더(51)마다 장착되면, 수용하고 있는 플러그 프레임(9)으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가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Description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HOLDER, FUSION SPLICER, AND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단척 광 파이버가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ferrule)을 구비한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해서 보호하는 홀더와,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와, 이들의 홀더나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여 광 커넥터를 조립하는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내 광 배선 등에 있어서는, 현지에서 광 파이버 케이블에 광 커넥터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현지에서, 광 파이버 심선 단부에 광 커넥터 페룰을 접속하는 구조의 일 형태로서, 특허문헌 1(도 25)에 도시하는 광 커넥터(110)가 있다.
여기에 개시한 광 커넥터(110)는, 미리 광 커넥터 페룰(102)에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103)와, 현지의 광 파이버 심선(100)이 융착 접속에 의해 접속되며, 그 융착 접속부(105)의 주위가 보호 슬리브(101)로 덮어져서 보강되어 있다.
이 광 커넥터(110)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21)이, 광 커넥터 페룰(102)로부 터 융착 접속부(105)를 덮는 보호 슬리브(101)의 후방의 광 파이버 심선(100)의 일부의 범위까지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여기에서, 커넥터 하우징(121)은, 광 커넥터 페룰(102)의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로 수용한 플러그 프레임(122)과, 광 파이버 심선(100)의 단부를 수용한 부트(boot)(123)와, 일단이 플러그 프레임(122)에 끼워맞춤·일체화하는 동시에 타단이 부트(123)에 끼워맞춤·일체화하는 통 형상의 스톱 링(12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프레임(122) 내의 광 커넥터 페룰(102)은 압축 코일 스프링(125)에 의해 선단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125)은, 커넥터 접속시에, 광 커넥터 페룰(102)의 후퇴를 허용하고, 해당 광 커넥터 페룰(102)과 대향 광 커넥터의 광 커넥터 페룰의 접촉 압력을 규정 범위로 유지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82257 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광 커넥터(110)에서 사용하는 광 커넥터 페룰(102)은, 현지로의 반입이나 보관시 등에, 해당 광 커넥터 페룰(102)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단척 광 파이버(103)에 굽힘 등이 작용해서 파손되지 않도록 신중한 취급이 요구된다.
그래서, 현지로의 반입이나 보관시 등에 이들의 광 커넥터 페룰(102)이나 단척 광 파이버(103)를 보호할 목적으로, 이들을 수용·보지하는 수용 케이스의 이용이 고려된다.
그러나, 수용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어도, 현지에서 단척 광 파이버(103)에 다른 광 파이버 심선(100)을 융착 접속할 때에는, 수용 케이스로부터 광 커넥터 페룰(102)을 취출하여, 현지에서 준비한 융착 접속기에 세팅하지 않으면 안 되며, 융착 접속기에 세팅할 때까지의 취급 중에 광 커넥터 페룰(102)이나 단척 광 파이버(103)가 파손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척 광 파이버가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을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커넥터 페룰을 수용한 상태인 채로 단척 광 파이버를 융착 접속기의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광 커넥터 페룰을 수용한 홀더를 장착할 수 있는 융착 처리부와, 파이버 상호의 융착 접속부를 덮는 열수축 튜브를 열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를 구비한 융착 접속기를 제공하다 것이며, 또한 상기 홀더 및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광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는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14]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1] 단척 광 파이버가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을 수용하는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광 커넥터 페룰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광 커넥터 페룰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위치 결정하는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광 커넥터 페룰을 수용하는 페룰 수용부가 형성된 홀더 본체에 상기 광 커넥터 페룰을 가압하는 덮개 부재가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3]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1]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단척 광 파이버가 장착된 상기 광 커넥터 페룰이 그 외주를 플러그 프레임으로 덮은 커넥터 플러그의 형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5]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위치 결정하는 V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프레임을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가 형성된 홀더 본체에 상기 플러그 프레임을 가압하는 덮개 부재가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7]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홀더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V홈에 위치 결정된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홀더를 장착한 홀더 장착부가 장비된 융착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상기 [10]에 기재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융착 처리부로 형성한 융착 접속부의 외주에 씌운 열수축 튜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열수축 처리부는 상기 홀더를 장착한 홀더 장착부가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상기 [11]에 기재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처리부는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기 광 파이버 심선측보다도 상기 단척 광 파이버측쪽이 가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가열 온도 분포를 설정한 제 1 열수축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상기 [12]에 기재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처리부는 상기 열수축 튜브의 단부측보다도 중간부측쪽이 가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가열 온도 분포를 설정한 제 2 열수축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상기 [1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융착 접속기를 사용해서 융착 접속하고, 상기 단척 광 파이버에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이 융착 접속된 광 커넥터를 조립하는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을 상기 융착 접속기의 융착 처리부의 심선 장착부에 세팅하는 공정과,
상기 융착 처리부의 홀더 장착부에 상기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한 상기 홀더를 세팅하는 공정과,
상기 융착 처리부에 있어서, 상기 홀더 장착부에 장착된 홀더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와, 상기 심선 장착부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단척 광 파이버와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해서 융착 접속부를 형성한 후, 상기 융착 접속부 상에 열수축 튜브를 갖는 보호 슬리브를 씌우는 공정과,
상기 융착 접속부를 열수축 처리부로 이송하고, 상기 보호 슬리브의 열수축 튜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홀더에 의하면, 단척 광 파이버가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을 구비한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한 상태로 해 놓으면, 광 커넥터 페룰이나 단척 광 파이버를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홀더는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한 상태인 채로 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를 융착 접속기의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융착 접속할 때에 홀더로부터 커넥터 플러그를 취출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해져, 융착 접속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융착 접속기에 의하면, 홀더를 장착할 수 있는 홀더 장착부가 장비된 융착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로부터 커넥터 플러그를 취출하지 않더라도 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서, 융착 접속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융착 처리부에 병설하여, 파이버 상호의 융착 접속부를 덮는 열수축 튜브를 열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홀더로부터 커넥터 플러그를 취출하지 않더라도 열수축 튜브의 열수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상기 홀더 및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광 커넥터 페룰이나 단척 광 파이버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광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홀더에 캡을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홀더의 덮개 부재를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제 2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홀더의 덮개 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일 실시형태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융착 접속기의 융착 처리부의 확대도,
도 9는 도 7의 융착 접속기의 열수축 처리부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확대도,
도 10은 도 7의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여 조립을 하는 광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커넥터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보호 슬리브나 후방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보호 슬리브의 확대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B-B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의 순서의 설명도,
도 16은 도 15의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으로 완성된 광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광 커넥터의 분해 측면도,
도 18의 (a)는 도 17에 도시한 광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18의 (b)는 보강 튜브를 장착한 변형예의 요점부 종단면도,
도 19의 (a)는 도 20에 도시한 광 커넥터 페룰의 단면도, 도 19의 (b)는 해당 광 커넥터 페룰에 접속된 열수축 튜브의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제 3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홀더의 덮개 부재를 폐지(閉止)한 상태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홀더의 정면도,
도 2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융착 접속기의 열수축 처리부의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확대도,
도 25는 종래의 융착 접속 구조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광 커넥터 3 : 광 파이버 심선
5 : 단척 광 파이버 7 : 광 커넥터 페룰
9 : 플러그 프레임 9a : 축소 직경부
9b : 계지 홈 10 : 커넥터 플러그
11 : 스토퍼 13 : 융착 접속부
15 : 보호 슬리브 17 : 내부 공간
19 : 구조체 21 : 부트
22 : 더스트 캡 23 : 페룰 가압 스프링
25 : 열수축 튜브 27 : 심봉
29 : 접착 튜브 31 : 연결 부품
33 : SC 커넥터 노브 35 : 공간
37 : 보강 튜브 51 : 홀더
53 : 플러그 수용부 54 : 홀더 본체
56 : 덮개 부재 58 : 회전 지지축
61 : V홈 63 : 홀더
71 : 융착 접속기 73 : 홀더 장착부
74 : 융착 처리부 76 : 열수축 처리부
78 : 심선 장착부 79 : V홈 부재
81 : V홈 부재 83 : 전극
86 : 제 1 열수축 처리부 87 : 제 2 열수축 처리부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융착 접속기,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의 순서로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제 1 실시형태로서, 덮개 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홀더에 캡을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홀더의 덮개 부재를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다.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의 홀더(51)는 광 커넥터 페룰(7)을 수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광 커넥터 페룰(7)(도 11 참조)에 외측으로 끼워진 플러그 프레임(9)에 스토퍼(11)가 끼워맞춤 장착된 커넥터 플러그(10)에, 더스트 캡(22)이 장착된 상태로 수용하고, 광 커넥터 페룰(7)에 미리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5) 및 커넥터 플러그(10)를 보호한다.
본 실시형태의 홀더(51)는, 플러그 프레임(9)을 수용하는 리세스인 플러그 수용부(53)가 상방으로 개방해서 형성된 홀더 본체(54)에, 플러그 수용부(53)를 덮어서 플러그 수용부(53)에 수용되어 있는 플러그 프레임(9)을 가압하는 개폐식의 덮개 부재(56)가 장비되어 있다.
단척 광 파이버(5)가 연장하는 홀더 본체(54)의 전단측에는,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54)로부터 연장한 단척 광 파이버(5)의 주위를 덮고, 단척 광 파이버(5) 및 플러그 프레임(9)을 보호하는 상자형의 캡(57)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57)은 대전 방지 재료에 의해 형성해 두면 좋다.
덮개 부재(56)는 홀더 본체(54)의 후단측에 감입된 회전 지지축(58)에 의해 홀더 본체(54)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 지지축(58)을 회전 중심으로 한 회동 동작에서,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a) 방향으로 개폐한다.
덮개 부재(56)는 홀더 본체(54) 상에 덮이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그 양측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시에 손가락을 거는 파지부(56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56)는 홀더 본체(54)에 수용된 플러그 프레임(9)의 기단부 주변을 시인 가능한 창문 구멍(56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홀더(51)는,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척 광 파이버(5)가 통과하는 홀더 본체(54)의 전단벽(54a)의 상단면에, 플러그 프레임(9)으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를 위치 결정 지지하는 V홈(6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5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V홈(61)에 위치 결정된 단척 광 파이버(5)를 전단벽(54a)에 대하여 가압한다.
그리고, 플러그 수용부(53)를 형성한 홀더 본체(54)와, 홀더 본체(54)에 형성된 V홈(61)과, 이 V홈(61)에 단척 광 파이버(5)를 가압하는 덮개 부재(56)를 구비한 홀더(51)는, 단척 광 파이버(5)와 현지의 다른 광 파이버 심선(3)(도 8 참조)을 융착 접속하는 후술의 융착 접속기(71)에 장착되면, 그대로 플러그 수용부(53)에 수용하고 있는 플러그 프레임(9)으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를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홀더(51)에 의하면, 미리 단척 광 파이버(5)가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7)에 외측으로 끼워진 플러그 프레임(9)을 해당 홀더(51)에 수용한 상태로 해 놓으면, 해당 홀더(51)는 광 커넥터 페룰(7)이나 단척 광 파이버(5)를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현지로의 반입이나 보관시 등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51)는 플러그 프레임(9)을 수용한 상태인 채로 광 커넥터 페룰(7)에 장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5)를 융착 접속기(71)의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융착 접속할 때에 커넥터 플러그(10)를 홀더(51)로부터 취출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해져, 융착 접속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광 파이버 심선끼리를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에 홀더(51)를 장착하면, 전용의 융착 접속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의 홀더(51)에는, 플러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를 위치 결정 지지하는 V홈(6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홀 더(51)에 수용한 광 커넥터 페룰(7)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는 V홈(61)에 의해 홀더(51) 상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홀더(51)를 융착 접속기(71)에 세팅했을 때에 단척 광 파이버(5)의 위치 결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의 홀더(51)는 플러그 프레임(9)을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53)가 상방으로 개방해서 형성된 홀더 본체(54)에 플러그 수용부(53)를 덮어서 해당 플러그 수용부(53)에 수용되어 있는 플러그 프레임(9)을 가압하는 덮개 부재(56)가 장비된 구성 때문에, 홀더(51)로의 플러그 프레임(9)의 출입은 개폐식의 덮개 부재(56)를 개폐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의 홀더(51)는 플러그 프레임(9)을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53)가 상방으로 개방해서 형성된 홀더 본체(54)에 플러그 프레임(9)으로부터 연장된 단척 광 파이버(5)를 위치 결정 지지하는 V홈(61)이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 부재(56)가 V홈(61)에 위치 결정된 단척 광 파이버(5)를 가압한다.
따라서, 홀더 본체(54)에 수용된 플러그 프레임(9)으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는 홀더 본체(54)에 장비된 V홈(61)에 의해 위치 결정되며, 또한 덮개 부재(56)에 의해 V홈(61)에 고정되므로, 단척 광 파이버(5)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56)는 V홈(61)보다도 단척 광 파이버(5)의 단말측으로 돌출부를 마련해 두고, 이 돌출부가 단척 광 파이버(5)를 V홈(61)을 향해서 상방으로부터 가압하는 것으로 단척 광 파이버(5)가 비스듬히 하방으로 향하도록 해 두면, 단 척 광 파이버(5)에 굽힘 자국(kink) 등이 있어도 V홈(61)을 따르도록 교정되며, 융착 접속에 있어서도 위치 결정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 부재(56)에는 플러그 프레임(9)의 기단부 주변을 시인 가능한 창문 구멍(56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56)를 개방하지 않아도 수용하고 있는 플러그 프레임(9)의 수용 상태 및 형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54)에 수용한 플러그 프레임(9)의 시인을 쉽게 하기 위해서, 덮개 부재(56)에 창문 구멍(56b)을 마련하는 것으로 했지만, 창문 구멍(56b)을 장비하지 않고 대신에 덮개 부재(56)를 투명 재료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덮개 부재(56)를 투명 재료로 형성했을 경우에도, 덮개 부재(56)를 개방하지 않고 수용되어 있는 플러그 프레임(9)을 육안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더에 있어서, 홀더 본체(54)와 덮개 부재(56)의 연결 위치나 덮개 부재(56)의 개폐 방향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제 2 실시형태이며, 캡을 제외한 상태로 해서 개폐식의 덮개 부재를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덮개 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홀더(63)는 후술하는 광 커넥터 페룰(7)(도 11 참조)에 외측으로 끼워진 플러그 프레임(9)을 더스트 캡(22) 및 스토퍼(11)가 끼워맞춤 장착된 상태로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53)를 갖는 홀더 본체(54)와, 이 홀더 본체(54)에 개폐 가능하게 장비되어서 플러그 수용부(53)를 덮는 덮개 부재(56)를 구비하는 점은, 제 1 실시형태와 공통이다.
단지, 이 홀더(63)의 경우에는 덮개 부재(56)의 장착 위치나, 개폐 방향이 개량되어 있다. 이 홀더(63)의 경우, 덮개 부재(56)는 홀더 본체(54)의 측단부에 감입된 회전 지지축(58)에 의해, 도 6에 화살표(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쪽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플러그 프레임(9)을 수용하는 홀더 본체(54)에 대하여, 덮개 부재(56)의 장착 위치나 개폐 방향은 적시에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일 실시형태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융착 접속기의 융착 처리부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융착 접속기에 장비된 열수축 처리부의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융착 접속기(71)는 광 파이버 설비의 공사가 실행되는 현지에서, 광 커넥터 페룰(7)에 미리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5)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하는 장치이다.
이 융착 접속기(71)는 전술한 홀더(51)에 수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5)를 홀더(51)마다 장착하는 것으로,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에 대한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홀더 장착부(73)가 장비된 융착 처리부(74)와, 융착 처리부(74)에서 융착 접속한 단척 광 파이버(5)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의 융착 접속부(13)(도 13 참조)의 외주에 씌운 열수축 튜브(25)를 히터에 의해 가열 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융착 처리부(74)는 통상적으로 개폐 커버(77)에 의해 덮어지는 장치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있다.
융착 처리부(74)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지의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을 세팅하는 심선 장착부(78)와, 심선 장착부(78)의 선단에 배치되어서 심선 장착부(78)에 세팅된 광 파이버 심선(3)의 선단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V홈 부재(79)와, 홀더 장착부(73)에 세팅된 홀더(51)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의 선단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V홈 부재(81)와, 이들의 한쌍의 V홈 부재(79, 81) 사이에 배치되어서, 맞댄 파이버끼리를 방전에 의해 융착시키는 전극(83)을 구비하고 있다.
단척 광 파이버(5)를 위치 결정하는 V홈 부재(81)와, 홀더 장착부(73)에 세팅된 홀더(51)의 V홈(61)은 단척 광 파이버(5)를 일직선 상에 지지·위치 결정하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다.
홀더 장착부(73)는 미리 홀더(51)를 장착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커넥터 플러그(10)를 취출하고, 홀더 장착부(73)에 세팅되어 있는 홀더(51)에 수납한다.
열수축 처리부(76)는 전용의 개폐 커버(84)를 구비하고, 융착 처리부(74)에 인접해서 장비되어 있다.
개폐 커버(84)를 개방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열수축 처리 부(86)와 제 2 열수축 처리부(87)의 두 개의 열수축 처리부가 병설되어 있다.
또한, 열수축 처리부(76)는 두 개의 열수축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일의 열수축 처리부(186)(도 24 참조)로 구성되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열수축 처리부(86, 87)는 후술하는 가열 온도 분포가 다르지만 어느 것이나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제 1 열수축 처리부(86)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 열수축 처리부(86)는, 열수축 튜브(25)를 가열하는 도시하지 않는 히터가 배치된 가열부(88)와, 커넥터 플러그(10)를 수납한 홀더(51)를 위치 결정해서 장착하는 홀더 장착부(89)와, 심선 장착부(90)가 장비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홀더 장착부(89)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홀더 장착부(89) 및 심선 장착부(90)에는 광 파이버 심선 및 홀더(9)의 튀어나감을 억제하는 개폐 커버(91)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열수축 처리부(86)는 열수축 튜브(25)의 광 파이버 심선(3)측보다도 단척 광 파이버[커넥터 플러그(9)]측쪽이 가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히터에 의한 가열 온도 분포가 설정되어 있다.
제 2 열수축 처리부(87)는 열수축 튜브(25)의 단부측보다도 중간부측쪽이 가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히터에 의한 가열 온도 분포가 설정되어 있다.
제 1 열수축 처리부(86)는 열수축 튜브(25)의 단부가 후술하는 연결 부품(31) 등에 접속되는 구성의 보호 슬리브(15)의 경우에 바람직한 구성이며, 먼저 단척 광 파이버측을 고온으로 가열 수축하고 그 후에 광 파이버 심선측이 수축하도록 히터에 가열 온도 분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가열시에 열수축 튜브(25) 내에 발생하는 기포가 광 파이버 심선측 단부로부터 빠지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열수축 처리부(87)를 마련해 두면, 통상의 광 파이버 심선끼리의 접속을 실행할 경우에 있어서도 가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수축 튜브의 중앙부를 고온으로 가열 수축하고 그 후에 단부가 수축하도록 히터에 가열 온도 분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가열시에 열수축 튜브 내에 발생한 기포가 양단부로부터 빠지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융착 접속기(71)는 광 커넥터 페룰(7)을 수용한 홀더(51)를 장착할 수 있는 홀더 장착부(73)가 장비된 융착 처리부(7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51)로부터 광 커넥터 페룰(7)을 취출하지 않더라도 광 커넥터 페룰(7)에 장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5)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서, 융착 접속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융착 처리부(74)에 병설하여, 파이버 상호의 융착 접속부(13)를 덮는 열수축 튜브(25)를 열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76)를 구비하고 있으면, 동일한 융착 접속기(71)뿐만 아니라, 조속히 열수축 튜브(25)의 열수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수축 처리부(76)는 융착 처리부(74)에 있어서의 홀더 장착부(73)와 같이 커넥터 플러그(10)를 수용한 홀더(51)마다 장착할 수 있는 홀더 장착부(89)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융착 처리 후에 홀더(51)를 이 홀더 장착부(89)에 위치 결정 배치함으로써, 홀더(51)로부터 연장한 융착 접속부(13) 상의 열수축 튜브(25)를 적절한 가열 온도 분포로 열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술한 가열 온도 분포를 갖는 제 2 열수축 처리부(87)가 마련되어 있으면, 커넥터 플러그를 갖는 단척 파이버와 광 파이버 심선의 접속과, 광 파이버 심선끼리의 융착 접속 및, 양자의 접속 형태의 경우의 열수축 튜브의 가열 처리가 한 개의 융착 접속기로 공용하는 것도 가능해서, 전용의 융착 접속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융착 접속기(71)의 경우에는, 열수축 처리부(76)로서 열수축 튜브(25)를 가열하는 히터의 가열 온도 분포가 상이한 두 개의 열수축 처리부(7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열수축 처리부(76)를 선택함으로써 열수축 튜브(25)의 장착 형태에 맞춘 가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전 홀더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 본체에 대하여 덮개 부재가 장비된 구성이라고 했지만, 이 덮개 부재는 융착 접속기의 개폐 커버로 겸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4 및 도 16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광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커넥터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보호 슬리브나 후방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보호 슬리브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B-B 단면도이며, 도 15는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 며, 도 16은 도 15의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으로 완성된 광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이 광 커넥터(1)는 현지의 광 파이버 심선(3)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프레임(9)에 광 커넥터 페룰(7)(도 11 참조)을 수용시킨 커넥터 플러그(10)와, 이 커넥터 플러그(10)의 외주에 끼워맞춤되는 SC 커넥터 노브(knob)(33)와, 광 커넥터 페룰(7)에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5)와 현지의 광 파이버 심선(3)의 융착 접속부(13)(도 13 참조)의 주위를 덮는 보호 슬리브(15)와, 보호 슬리브(15)를 배치하는 내부 공간(17)을 갖는 동시에 선단이 플러그 프레임(9)에 결합되어서 플러그 프레임(9)에 일체화되는 후방 하우징(18)과, 단척 광 파이버(5)에 융착 접속되는 광 파이버 심선(3)의 단부 부근을 수용해서 해당 광 파이버 심선(3)을 보호하는 동시에 선단이 후방 하우징(18)의 기단에 결합 일체화되는 부트(21)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플러그(1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척 광 파이버(5)가 미리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7)과, 이 광 커넥터 페룰(7)을 수용·보지하는 플러그 프레임(9)과, 플러그 프레임(9)의 기단측 개구에 끼워맞춤 장착되어 광 커넥터 페룰(7)이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의 스토퍼(11)와, 스토퍼(11)와 광 커넥터 페룰(7)의 확대 직경부(7b)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서 플러그 프레임(9) 내의 광 커넥터 페룰(7)을 후퇴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페룰 가압 스프링(23)과, 플러그 프레임(9)의 선단으로 돌출하는 광 커넥터 페룰(7)의 선단 축부(7a)를 덮도록 플러그 프레임(9)의 선단측에 장착되는 더스트 캡(22)을 구비한 구성이다.
커넥터 플러그(10)는 전술한 홀더(51, 63)에 수용 보지된다.
광 커넥터 페룰(7)은, 대향하는 광 커넥터 페룰에 맞대기(butt) 접속되는 선단 축부(7a)의 후방에, 외경이 직경 확대된 확대 직경부(7b)가 장비된 형상으로 선단 축부(7a)와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단척 광 파이버(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단척 광 파이버(5)가 연장하는 광 커넥터 페룰(7)의 기단측의 외주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슬리브(15)를 결합하기 위한 슬리브 결합 돌기(7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광 커넥터 페룰(7)은 플러그 프레임(9)의 기단측 개구에 삽입되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대 직경부(7b)의 전단이 플러그 프레임(9)의 내주에 돌출 설치된 축소 직경부(9a)에 접촉함으로써,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커넥터 페룰(7)의 선단이 소정 길이(L1)만큼 플러그 프레임(9)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위치 규제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프레임(9)에 위치 결정된 광 커넥터 페룰(7)의 선단에는, 보관시 등에 파이버 단면에 먼지 등이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더스트 캡(22)이 피복 장착된다.
융착 접속부(13)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척 광 파이버(5)의 단부의 피복(5a)을 벗긴 부분(5b)과, 광 파이버 심선(3)의 단부의 피복(3a)을 벗긴 부분(3b)을 서로 붙게 해서, 붙은 파이버 단면끼리를 융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보호 슬리브(15)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25)와, 해당 열수축 튜브(25)에 삽입 통과하는 심봉(core rod)(27) 및 접착 튜 브(29)와, 열수축 튜브(25)의 일단에 고착된 연결 부품(31)을 구비하며, 해당 연결 부품(31)이 광 커넥터 페룰(7)에 결합된다.
열수축 튜브(25)는 가열기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하면, 열수축하여, 삽입 통과되어 있는 심봉(27)에 밀착한 상태로 된다.
심봉(27)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원형의 중실인 둥근 막대로, 보강용의 심재로서, 열수축 튜브(25)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심봉(27)으로서는, 강선, 유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 튜브(29)는 심봉(27)을 종방향으로 따르는 형태로 열수축 튜브(25) 내에 삽입 통과된 접착제 제의 튜브이며, 열수축 튜브(25)를 열수축시킬 때의 가열로 연화되며, 도 14에 도시한 열수축 튜브(25)와 심봉(27) 사이의 빈틈(34)을 채우는 접착제로 된다.
보호 슬리브(15)는 당초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25)의 일단에 심봉(27)의 단부와 접착 튜브(29)의 단부가 소정 길이(L2)만큼 돌출한 상태로 열수축 튜브(25)와 심봉(27)과 접착 튜브(29)를 위치 결정하고, 이 위치 결정 상태에서 열수축 튜브(25)의 일단에 연결 부품(31)의 기단이 고정된다.
연결 부품(31)은 열수축 튜브(25) 및 심봉(27)의 단부가 압입 또는 접착 또는 용착되는 것에 의해, 이들에 고정·일체화되어 있다.
연결 부품(31)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커넥터 페룰(7)측의 단부가 광 커넥터 페룰(7)의 기단에 외측으로 끼우는 통부(31a)로 되어 있으며, 이 통부(31a)에는 광 커넥터 페룰(7)의 슬리브 결합 돌기(7c)가 계합하는 계합 구 멍(31b)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 구멍(31b)과 슬리브 결합 돌기(7c)를 계합함으로써, 보호 슬리브(15)의 일단이 광 커넥터 페룰(7)에 결합·일체화된 상태로 된다.
이상의 보호 슬리브(15)는, 광 커넥터(1)를 조립할 때에는, 미리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18)이나 부트(21)와 함께 광 파이버 심선(3)을 삽입 통과시켜 두고, 광 파이버 심선(3)과 단척 광 파이버(5)의 융착 접속 후에 융착 접속부(13) 상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연결 부품(31)을 광 커넥터 페룰(7)의 기단에 결합하면, 융착 접속부(13)가 정확히 보호 슬리브(15)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단척 광 파이버(5) 및 보호 슬리브(15)의 열수축 튜브(25), 심봉(27), 접착 튜브(29)의 길이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하면, 단척 광 파이버(5)와 광 파이버 심선(3)의 융착 접속 후, 그 융착 접속부(13)를 덮도록 보호 슬리브(15)를 융착 접속부(13) 상으로 이동시키고, 보호 슬리브(15)의 연결 부품(31)을 광 커넥터 페룰(7)에 결합시킨 후, 열수축 튜브(25)에 열을 가하고, 융착 접속부(13)의 전후의 광 파이버 심선(3) 및 단척 광 파이버(5)를 심봉(27)을 종방향으로 따르는 상태로 고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열수축 튜브(25)를 열수축시킨 상태에서는, 보호 슬리브(15) 내에 배치되는 단척 광 파이버(5) 및 광 파이버 심선(3)의 파이버 위치와, 광 커넥터 페룰(7)의 축 중심이 일치하도록 연결 부품(31) 및 심봉(27) 등의 직경 치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18)은 보호 슬리브(15)의 주위를 덮는 통 형상 구조체로서 수지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 하우징(18)의 선단은 플러그 프레임(9)의 기단에 외측으로 끼우는 통부(18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부(18a)에는, 플러그 프레임(9)의 기단에 외측으로 끼웠을 때에, 플러그 프레임(9)에 끼워맞춤 장착되어서 결합·일체화한 스토퍼(11)의 기단 외주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계지 갈고리(19c)에 계합하는 계지 구멍(18b)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후방 하우징(18)은, 보호 슬리브(15)의 열수축 처리 후에, 보호 슬리브(15) 상에 씌울 수 있어, 선단측의 계지 구멍(18b)을 플러그 프레임(9)의 계지 갈고리(19c)에 계합시킴으로써, 플러그 프레임(9)에 결합되어서 일체화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후방 하우징(18)이 결합된 플러그 프레임(9)의 외주에는, 커넥터 접속할 때의 노브부가 되는 SC 커넥터 노브(33)가 피복 장착된다. 이 SC 커넥터 노브(33)는 광 커넥터(1)의 선단측의 외관을 제공하다 외장 부재로, 외측면에는 잡기 쉽게 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33a)이 형성되어 있다.
부트(21)는, 후방 하우징(18)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광 파이버 심선(3)에 급격한 굽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광 파이버 심선(3)을 보호하는 것으로, 선단이 후방 하우징(18)의 기단에 긴밀 끼워맞춤 또는 나착(螺着)함으로써 후방 하우징(18)에 결합 일체화된다.
단지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후방 하우징(18)과 일체화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슬리브(15)의 타 단(15a)과 이 타단(15a)에 대향하는 부트(21) 내의 내벽 단부(21a) 사이에는 보호 슬리브(15)의 후퇴를 허용하는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트(21)의 내벽 단부(21a)의 후방에는 광 파이버 심선(3)에 씌워지는 보강 튜브(37)가 삽입 장착된다.
보강 튜브(37)는 선단에 직경 확대한 빠짐방지부(37a)가 마련되어 있어, 빠짐방지부(37a)가 걸리는 것으로 부트(21)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보강 튜브(37)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튜브로, 광 파이버 심선(3)이 급격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먼저 설명한 홀더(51) 및 융착 접속기(71)를 사용하여, 도 16에 도시한 광 커넥터(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이 조립 방법에서는, 미리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플러그(10)를 수용한 홀더(51)를 준비해 둔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슬리브(15)나 후방 하우징(18)이나 부트(21)는 현지의 광 파이버 심선(3)에 삽입 통과시켜 둔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기(71)의 융착 처리부(74)의 심선 장착부(78)에 세팅하는 공정과, 커넥터 플러그(10)가 수용되어 있는 홀더(51)를 융착 처리부(74)의 홀더 장착부(73)에 세팅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어서, 융착 처리부(74)에 있어서, 홀더 장착부(73)에 장착된 홀더(51)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5)와, 심선 장착부(78)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한다.
그리고, 단척 광 파이버(5)와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해서 융착 접속부(13)를 형성한 후, 도 1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부(13) 상에, 열수축 튜브(25)를 갖고서 미리 광 파이버 심선(3)에 삽입 통과시켜둔 보호 슬리브(15)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보호 슬리브(15)의 일단의 연결 부품(31)을 플러그 프레임(9)에 연결시켜서, 보호 슬리브(15)의 일단이 플러그 프레임(9)에 결합한 슬리브·플러그 결합체(16)를 얻는 공정을 실시한다.
또한, 슬리브·플러그 결합체(16)를 보지한 홀더(51)를 열수축 처리부(76)의 제 1 열수축 처리부(86)로 이송해서 홀더 장착부(89)에 세팅하는 공정을 실시한 후 보호 슬리브(15)의 열수축 튜브(25)를 가열 수축시켜서, 도 1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축한 열수축 튜브(25)에 의해 융착 접속부(13)가 보강된 구조체(19)를 얻는 공정이 실시된다.
그 후, 구조체(19)를 홀더(51)로부터 취출하고, 구조체(19)의 플러그 프레임(9)에, 미리 광 파이버 심선(3)에 삽입 통과시켜둔 후방 하우징(18) 및 부트(21)를 결합하여, 도 15의 (e)에 도시한 완성 구조를 얻는다.
이상의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서는, 홀더(51) 및 융착 접속기(71)를 사용하는 것으로, 광 커넥터 페룰(7)이나 단척 광 파이버(5)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광 커넥터(1)를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융착 접속기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홀더, 융착 접속기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형태의 홀더에 이용되는 광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광 커넥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광 커넥터는 광 코드(code)(70)를 접속하는 코드형, 광 파이버 심선(3)을 접속하는 심선형의 쌍방에 적용 할 수 있다. 심선형 광 커넥터는 SC 커넥터 노브의 형상이 약간 다른 것 외에는 코드형 광 커넥터와 대략 공통의 부품이 이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코드형 광 커넥터(간단히, 「광 커넥터」라고 지칭함)(1B)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 커넥터(1B)는, 대향하는 광 커넥터의 결합되는 선단측(도 18의 좌측)으로부터 SC 커넥터 노브(181)와, 플러그 프레임(183)과, 파이버 내장 페룰(광 커넥터 페룰)(185)과, 보호 슬리브(187)와, 페룰 가압 스프링(189)과, 후방 하우징(191)과, 코킹 링(caulking ring)(193)과, 부트(195)를 주요한 부재로서 갖고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스토퍼(11), 연결 부품(31)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8의 (a)는 도 17에 도시한 광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도 18의 (b)는 보강 튜브를 장착한 변형예의 요점부 종단면도이다.
광 커넥터 페룰(185)은, 대향하는 광 커넥터 페룰에 맞대기 접속되는 선단 축부(7a)의 후방에, 외경이 직경 확대된 확대 직경부(7b)가 장비된 형상으로 선단 축부(7a)와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단척 광 파이버(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광 커넥터 페룰(185)의 단척 광 파이버(5)가 연장되는 기단측의 외주에는, 후술하는 보호 슬리브(187)를 결합하기 위한 슬리브 결합 돌기(7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광 커넥터 페룰(185)은 플러그 프레임(183)의 기단측 개구에 삽입되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대 직경부(7b)의 전단이 플러그 프레임(183)의 내주에 돌출 설치된 축소 직경부(9a)에 접촉함으로써,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광 커넥터 페룰(185)의 선단이 소정 길이(L1)만큼 플러그 프레임(18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위치 규제된다.
플러그 프레임(183)에 위치 결정된 광 커넥터 페룰(185)의 선단에는, 보관시 등에 파이버 단면에 먼지 등이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더스크 캡(22)(도 2 참조)이 피복 장착된다.
또한, 광 커넥터 페룰(185)의 선단면은 미리 경면 연마되어 있어서, 현지에서의 연마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광 커넥터 페룰(185)이 삽입된 플러그 프레임(183) 내에는 페룰 가압 스프링(189)이 삽입된다. 이 페룰 가압 스프링(189)은 후술하는 플러그 프레임(183)에 계합하는 후방 하우징(191)과 광 커넥터 페룰(185)의 확대 직경부(7b) 사이에 끼워져서 보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광 커넥터 페룰(185)의 확대 직경부(7b)를 상술한 플러그 프레임(183)의 축소 직경부(9a)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후퇴 가능하게 탄성 지지한다.
도 19의 (a)는 도 20에 도시한 광 커넥터 페룰의 단면도이며, 도 19의 (b)는 해당 광 커넥터 페룰에 접속된 열수축 튜브의 종단면도이다.
융착 접속부(13)는 단척 광 파이버(5)의 단부의 피복(5a)을 벗긴 부분(5b)과, 광 파이버 심선(3)의 단부의 피복(3a)을 벗긴 부분(3b)을 서로 붙게 해서, 붙은 파이버 단면끼리를 융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피복(5a)을 벗긴 단척 광 파이버(5)의 단면은, 미리 광 파이버에 굽힘 응력을 걸어서 절단하는 벽개(cleavage)에 의해 또는 연마에 의해 경면 가공되어, 현지에서의 경면 가공을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또한, 단척 광 파이버(5)의 단면은 융착 접속 전에 방전 처리해서 에지를 챔퍼링해 두면, 연마에 의해 발생하는 에지로부터의 치핑(chipping)을 막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단척 광 파이버(5)는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현지까지 반송되므로, 흠집이나 급수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카본 코팅 파이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척 광 파이버(5)는 MFD를 작게 한 굽힘에 강한 파이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슬리브(187)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25)와, 해당 열수축 튜브(25)에 삽입 통과한 심봉(27) 및 접착 튜브(29)(도 14 참조)를 구비하고, 해당 열수축 튜브(25)가 광 커넥터 페룰(185)에 결합된다. 광 파이버 심선(3)은 광 코드(70)의 단부의 외피(72)를 소정 길이 제거한 상태로 광 커넥터(1B) 내에 장착되며, 보호 슬리브(187)는 광 커넥터 페룰(185)과는 결합하지 않는 타단측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3)의 외주를 덮고 있다.
열수축 튜브(25)는 가열기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하면, 열수축하여, 삽입 통과되어 있는 심봉(27)에 밀착한 상태로 된다.
접착 튜브(29)는 열수축 튜브(25)를 열수축시킬 때의 가열로 연화되며, 열수축 튜브(25)와 심봉(27) 사이의 빈틈(34)을 채우는 접착제로 된다.
보호 슬리브(187)는 일단에 심봉(27)의 단부와 접착 튜브(29)의 단부가 일치한 상태로, 열수축 튜브(25)와 심봉(27)과 접착 튜브(29)를 위치 결정하고, 이 위치 결정 상태에서 광 커넥터 페룰(185)의 슬리브 결합 돌기(7c)에 고정된다.
광 커넥터 페룰(185)은 열수축 튜브(25) 및 심봉(27)의 단부가 압입 또는 접착 또는 용착되는 것에 의해, 이들에 고정·일체화되어 있다.
보호 슬리브(187)는 광 커넥터 페룰(185)의 기단의 슬리브 결합 돌기(7c)에 결합하면, 융착 접속부(13)가 정확히 보호 슬리브(187)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단척 광 파이버(5) 및 보호 슬리브(187)의 열수축 튜브(25), 심봉(27), 접착 튜브(29)의 길이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보호 슬리브(187)는 단척 광 파이버(5)와 광 파이버 심선(3)의 융착 접속 후 그 융착 접속부(13)를 덮도록 이동시키고, 광 커넥터 페룰(185)에 접촉한 후 열수축 튜브(25)에 열을 가하여 광 파이버 심선(3) 및 단척 광 파이버(5)를 심봉(27)을 종방향으로 따르는 상태로 고정한다.
이렇게 열수축 튜브(25)를 열수축시켰을 때, 열수축 튜브(25)의 단부가 광 파이버 심선(3)의 피복(3a) 및 슬리브 결합 돌기(7c) 상에 2㎜ 이상 겹치도록 각 부품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191)은 보호 슬리브(187)의 주위를 덮는 통 형상 구조체로 수지 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 하우징(191)의 선단은 플러그 프레임(183)의 기단에 감입하는 통부(191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부(191a)에는, 플러그 프레임(183)의 기단에 감입했을 때에, 플러그 프레임(183)의 기단 외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계지 구멍(183a)에 계합하는 계지 갈고리(19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의 후방 하우징(191)은 보호 슬리브(187)의 열수축 처리 후에 보호 슬리브(187) 상으로 이동해서 씌워져서, 선단측의 계지 갈고리(191b)를 플러그 프레임(183)의 계지 구멍(183a)에 계합시킴으로써, 플러그 프레임(183)에 결합되어서 일체화된다.
후방 하우징(191)이 결합된 플러그 프레임(183)의 외주에는 커넥터 접속할 때의 노브부가 되는 SC 커넥터 노브(181)가 피복 장착된다. 이 SC 커넥터 노브(181)는 광 커넥터(1B)의 선단측의 외관을 제공하는 외장 부재로서, 외측면에는 잡기 쉽게 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33a)이 형성되어 있다.
부트(195)는 후방 하우징(191)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광 코드(70)에 급격한 굽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광 코드(70)를 보호하는 것으로, 선단이 후방 하우징(191)의 기단에 끼워맞춤 또는 나착함으로써 후방 하우징(191)에 결합 일체화된다.
단지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후방 하우징(191)과 일체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보호 슬리브(187)의 타단(187a)(도 19 참조)과 이 타단(187a)에 대향하는 부트(195) 내의 내벽 단부 사이에는 보호 슬리브(187)의 후퇴를 허용하는 공간 (35)(도 1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트(195)는,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벽 단부의 후방에 광 코드(70)에 씌워지는 보강 튜브(37)가 삽입 장착된 구성이어도 좋다.
보강 튜브(37)는 선단에 직경 확대된 빠짐방지부(37a)가 마련되어 있어, 빠짐방지부(37a)가 부트(195) 내의 내벽 단부에 걸리는 것으로,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보강 튜브(37)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튜브로 광 코드(70)가 급격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광 커넥터(1B)는, 현지의 광 코드(70)의 외피(72)를 제거해서 노출한 광 파이버 심선(3)에 광 커넥터 페룰(185)의 단척 광 파이버(5)를 융착 접속할 때에, 융착 접속시의 작업이 양호하게 되도록 광 코드(70)의 단부의 외피(72)를 크게 벗긴다. 광 코드(70)는 단부에 있어서 외피(72)를 벗기면 (제거하면), 외측 주위를 항장력 섬유[Kevlar(케블라)](174)로 덮은 광 파이버 심선(3)이 노출한다.
항장력 섬유(174)와 외피(72)는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서, 후방 하우징(191)의 후단부(191c)에 외삽된다. 외삽된 외피(72)의 외주에는 코킹 링(193)이 씌워지며, 코킹 링(193)은 직경 축소 방향으로 코킹된다. 코킹 링(193)이 직경 축소함으로써, 외피(72)와 항장력 섬유(174)는 코킹 링(193)과 후단부(191c)에 압착되어, 후방 하우징(191)에 고정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홀더에 있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제 3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홀더의 덮개 부재를 폐지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홀더의 정면도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홀더(151)는 광 커넥터 페룰(185)(도 17 참조)을 더스트 캡(22)이 장착된 상태로 수용하여 광 커넥터 페룰(185)을 보호한다.
본 실시형태의 홀더(151)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수용하는 리세스인 페룰 수용부(153)가 상방으로 개방해서 형성된 홀더 본체(154)에 페룰 수용부(153)를 덮어서 페룰 수용부(153)에 수용되어 있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가압하는 개폐식의 덮개 부재(156)가 장비되어 있다.
단척 광 파이버(5)가 연장하는 홀더 본체(154)의 전단측에는, 홀더 본체(154)로부터 연장한 단척 광 파이버(5)의 주위를 덮고, 단척 광 파이버(5)를 보호하는 상자형의 캡(57)(도 2 참조)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57)은 대전 방지 재료에 의해 형성해 두면 좋다.
덮개 부재(156)는 홀더 본체(154)의 측부에 감입된 회전 지지축(158)에 의해 홀더 본체(154)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 지지축(158)을 회전 중심으로 한 회동 동작에서, 도 20에 도시하는 화살표(c) 방향으로 개폐한다.
덮개 부재(156)는 홀더 본체(154) 상에 덮이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그 일 측부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시에 손가락을 거는 파지부(156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156)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154)에 수용된 광 커넥터 페룰(185)의 기단부 주변을 시인 가능하도록 전단부(156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홀더(151)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154)의 전단벽(154a)의 상단면에 광 커넥터 페룰(185)의 슬리브 결합 돌기(7c)를 위치 결정 지지하는 오목부(161)가 구비되어 있다. 슬리브 결합 돌기(7c)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척 광 파이버(5)가 동축 형태로 연장한다.
덮개 부재(156)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일 때에는 더스트 캡(22)을 거쳐서 광 커넥터 페룰(185)을 가압 보지함으로써, 오목부(161)에 슬리브 결합 돌기(7c)를 위치 결정한다. 또한, 덮개 부재(156)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직접 가압 보지하는 것이어도 물론 좋다. 또한, 페룰 수용부(153)의 축선 방향의 길이는 광 커넥터 페룰(185)의 확대 직경부(7b)의 전단으로부터 더스트 캡(22)의 후단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이로써, 더스트 캡(22)을 장착한 광 커넥터 페룰(185)은 축선 방향으로 백래시(backlash)없이 수용된다. 홀더(151)는 확대 직경부(7b)의 전단을 페룰 수용부(153)의 전방부 내벽에 접촉함으로써, 단척 광 파이버(5)의 돌출 길이(L2)(도 21 참조)를 10㎜ 정도로 설정한다. 즉, 홀더(151)에 대한 단척 광 파이버(5)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홀더(151)는, 현지의 다른 광 파이버 심선(3)(도 23 참조)을 융착 접속하는 후술의 융착 접속기(171)에 장착되면, 그대로 페룰 수용부(153)에 수용하고 있는 광 커넥터 페룰(185)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가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홀더(151)에 의하면, 미리 단척 광 파이버(5)가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185)을 해당 홀더(151)에 수용하고 캡(57)을 장착 한 상태로 해 놓으면, 해당 홀더(151)는 광 커넥터 페룰(185)이나 단척 광 파이버(5)를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현지로의 반입이나 보관시 등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151)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수용한 상태인 채로 단척 광 파이버(5)를 융착 접속기(171)의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융착 접속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171)에 홀더(151)를 장착하는 것으로, 기존의 광 파이버 심선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전용의 융착 접속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홀더(151)에는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를 위치 결정 지지하는 오목부(161)가 구비되어 있으며, 해당 홀더(151)에 수용한 광 커넥터 페룰(185)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는 오목부(161)에 의해 홀더(151) 상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홀더(151)를 융착 접속기(171)에 세팅했을 때에 단척 광 파이버(5)의 위치 결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홀더(151)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수용하는 페룰 수용부(153)가 상방으로 개방해서 형성된 홀더 본체(154)에 페룰 수용부(153)에 수용되어 있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가압하는 덮개 부재(156)가 장비된 구성 때문에, 홀더(151)로의 광 커넥터 페룰(185)의 출입은 개폐식의 덮개 부재(156)를 개폐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본체(154)에 수용된 광 커넥터 페룰(185)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는 오목부(161)에 의해 위치 결정되며, 또한 덮개 부재(156)에 의해 광 커넥터 페룰(185)이 고정되므로, 단척 광 파이버(5)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156)에는 광 커넥터 페룰(185)의 기단부 주변을 시인 가능한 전단부(156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156)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수용하고 있는 광 커넥터 페룰(185)의 수용 상태 및 형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154)에 수용한 광 커넥터 페룰(185)의 시인을 쉽게 하기 위해서, 덮개 부재(156)에 전단부(156b)를 마련하는 것으로 했지만, 전단부(156b)를 형성하지 않고 대신에 덮개 부재(156)를 투명 재료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덮개 부재(156)를 투명 재료로 형성했을 경우에도, 덮개 부재(156)를 개방하지 않고 수용되어 있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육안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홀더(151)를 사용하는 융착 접속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융착 접속기의 열수축 처리부의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확대도이다.
융착 접속기(171)는 광 파이버 설비의 공사가 실행되는 현지에서 광 커넥터 페룰(185)에 미리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5)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하는 장치이다.
이 융착 접속기(171)는 전술한 홀더(151)에 수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5)를 홀더(151)마다 장착하는 것으로,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에 대한 융착 위 치에 위치 결정하는 홀더 장착부(173)가 장비된 융착 처리부(174)와, 융착 처리부(174)로 융착 접속한 단척 광 파이버(5)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의 융착 접속부(13)(도 19 참조)의 외주에 씌운 열수축 튜브(25)를 히터에 의해 가열 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176)를 구비하고 있다.
융착 처리부(174)는 통상적으로 개폐 커버(177)에 의해 덮어지는 장치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있다.
융착 처리부(174)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지의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을 세팅하는 심선 장착부(178)와, 심선 장착부(178)의 선단에 배치되어서 심선 장착부(178)에 세팅된 광 파이버 심선(3)의 선단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V홈 부재(79)와, 홀더 장착부(173)에 세팅된 홀더(151)로부터 연장하는 단척 광 파이버(5)의 선단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V홈 부재(81)와, 이들의 한쌍의 V홈 부재(79, 81) 사이에 배치되어서, 맞댄 파이버끼리를 방전에 의해 융착시키는 전극(83)을 구비 하고 있다.
단척 광 파이버(5)를 위치 결정하는 V홈 부재(81)와, 홀더 장착부(173)에 세팅된 홀더(151)의 오목부(161)는 단척 광 파이버(5)를 일직선 상에 지지·위치 결정하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다.
홀더 장착부(173)는 미리 홀더(151)를 장착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취출하고, 홀더 장착부(173)에 세팅되어 있는 홀더(151)에 수납한다.
열수축 처리부(176)는 전용의 개폐 커버(184)를 구비하여, 융착 처리부(174) 에 인접해서 장비되어 있다.
개폐 커버(184)를 개방하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 처리부(186)가 마련되어 있다.
열수축 처리부(186)는 열수축 튜브(25)를 가열하는 도시하지 않는 히터가 배치된 가열부(88)와, 홀더(151)로부터 취출한 광 커넥터 페룰(185)을 위치 결정하여 장착하는 페룰 장착부(189)와, 심선 장착부(90)가 장비되어 있다.
페룰 장착부(189) 및 심선 장착부(90)에는 광 파이버 심선의 튀어나감을 억제하는 개폐 커버(91)가 장착되어 있다.
열수축 처리부(186)는 열수축 튜브(25)의 광 파이버 심선(3)측보다도 단척 광 파이버(5)측쪽이 가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히터에 의한 가열 온도 분포가 설정되어 있다.
열수축 처리부(186)는 열수축 튜브(25)의 단부가 광 커넥터 페룰(185)의 슬리브 결합 돌기(7c)에 접속되는 보호 슬리브(187)로 바람직한 구성이다. 먼저 단척 광 파이버(5)측을 고온으로 가열 수축하고, 그 후에 광 파이버 심선(3)측이 수축하도록 히터에 가열 온도 분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수축에 따라 열수축 튜브(25) 내에 잔존 발생하는 기체가 광 파이버 심선(3)측 단부로부터 빠지기 쉽게 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융착 접속기(171)는 광 커넥터 페룰(185)을 수용한 홀더(151)를 장착할 수 있는 홀더 장착부(173)가 장비된 융착 처리부(17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151)로부터 광 커넥터 페룰(185)을 취출하지 않더라도 광 커 넥터 페룰(185)에 장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5)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서, 융착 접속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전 홀더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 본체에 대하여 덮개 부재가 장비된 구성으로 했지만, 이 덮개 부재는 융착 접속기의 개폐 커버로 겸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홀더(151) 및 융착 접속기(171)를 사용하여, 도 17에 도시한 광 커넥터(1B)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이 조립 방법에서는 미리 광 커넥터(1B)를 수용한 도 21에 도시하는 홀더(151)를 준비해 둔다. 또한, 보호 슬리브(187), 후방 하우징(191), 부트(195)는 현지의 광 파이버 심선(3)에 삽입 통과시켜 둔다.
이어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기(171)의 융착 처리부(174)의 심선 장착부(178)에 세팅하는 공정과, 광 커넥터 페룰(185)이 수용되어 있는 홀더(151)를 융착 처리부(174)의 홀더 장착부(173)에 세팅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어서, 융착 처리부(174)에 있어서, 홀더 장착부(173)에 장착된 홀더(151)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5)와, 심선 장착부(178)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한다.
그리고, 단척 광 파이버(5)와 광 파이버 심선(3)을 융착 접속해서 융착 접속부(13)를 형성한 후, 광 커넥터 페룰(185)을 홀더(151)로부터 취출하고,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부(13) 상에 열수축 튜브(25)를 갖는 보호 슬리 브(187)를 이동해서 씌우고, 또한 보호 슬리브(187)의 일단을 광 커넥터 페룰(185)의 슬리브 결합 돌기(7c)에 삽입한 페룰·슬리브 결합체(201)를 얻는 공정을 실시한다.
또한, 페룰·슬리브 결합체(201)를 열수축 처리부(176)의 열수축 처리부(186)로 이송하고, 보호 슬리브(187)의 열수축 튜브(25)를 가열 수축시켜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축한 열수축 튜브(25)에 의해 융착 접속부(13)가 보강된 구조체를 얻는 공정이 실시된다.
그 후에, 구조체로 된 광 커넥터 페룰(185)에, 플러그 프레임(183)과, 미리 광 파이버 심선(3)에 삽입 통과시켜둔 후방 하우징(191) 및 부트(195)를 결합해서 도 18에 도시하는 완성 구조를 얻는다.
이상의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서는, 홀더(151) 및 융착 접속기(171)를 사용하는 것으로, 광 커넥터 페룰(185)이나 단척 광 파이버(5)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광 커넥터(1B)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태양을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6년 11월 13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제 2006-307142 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인다.
홀더는 광 커넥터 페룰을 구비한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한 상태로 하고 있으면, 광 커넥터 페룰이나 단척 광 파이버를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홀더는 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를 융착 접속기의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융착 접속할 때에 홀더로부터 커넥터 플러그를 취출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해져, 융착 접속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는 홀더로부터 커넥터 플러그를 취출하지 않더라도 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되어 있는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서, 융착 접속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융착 처리부에 병설해서 열수축 튜브를 열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홀더로부터 커넥터 플러그를 취출하지 않더라도 열수축 튜브의 열수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은, 상기 홀더 및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광 커넥터 페룰이나 단척 광 파이버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광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Claims (14)

  1. 단척 광 파이버가 장착된 광 커넥터 페룰(ferrule)을 수용하는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광 커넥터 페룰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커넥터 페룰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위치 결정하는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커넥터 페룰을 수용하는 페룰 수용부가 형성된 홀더 본체에, 상기 광 커넥터 페룰을 가압하는 덮개 부재가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척 광 파이버가 장착된 상기 광 커넥터 페룰이 그 외주를 플러그 프레임으로 덮은 커넥터 플러그의 형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위치 결정하는 V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프레임을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가 형성된 홀더 본체에, 상기 플러그 프레임을 가압하는 덮개 부재가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V홈에 위치 결정된 상기 단척 광 파이버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0. 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홀더를 장착한 홀더 장착부가 장비된 융착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처리부로 형성한 융착 접속부의 외주에 씌운 열수축 튜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열수축 처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열수축 처리부는 상기 홀더를 장착하는 홀더 장착부가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처리부는,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기 광 파이버 심선측보다도 상기 단척 광 파이버측쪽이 가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가열 온도 분포를 설정한 제 1 열수축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처리부는, 상기 열수축 튜브의 단부측보다도 중간부측쪽이 가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가열 온도 분포를 설정한 제 2 열수축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기.
  14. 광 커넥터 페룰에 장착된 단척 광 파이버와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을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여 융착 접속하여, 상기 단척 광 파이버에 다른 광 파이버 심선이 융착 접속된 광 커넥터를 조립하는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을 상기 융착 접속기의 융착 처리부의 심선 장착부에 세팅하는 공정과,
    상기 융착 처리부의 홀더 장착부에, 상기 광 커넥터 페룰을 수용한 홀더를 세팅하는 공정과,
    상기 융착 처리부에 있어서, 상기 홀더 장착부에 장착된 홀더에 위치 결정되 어 있는 상기 단척 광 파이버와, 상기 심선 장착부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단척 광 파이버와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을 융착 접속해서 융착 접속부를 형성한 후, 상기 융착 접속부 상에 열수축 튜브를 갖는 보호 슬리브를 씌우는 공정과,
    상기 융착 접속부를 열수축 처리부로 이송하여, 상기 보호 슬리브의 열수축 튜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20097009744A 2006-11-13 2007-11-13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1361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7142 2006-11-13
JPJP-P-2006-307142 2006-11-13
PCT/JP2007/072023 WO2008059843A1 (fr) 2006-11-13 2007-11-13 Support, soudeuse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connecteur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350A true KR20090078350A (ko) 2009-07-17
KR101361884B1 KR101361884B1 (ko) 2014-02-12

Family

ID=3940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744A KR101361884B1 (ko) 2006-11-13 2007-11-13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34874B2 (ko)
EP (3) EP2081064B1 (ko)
JP (1) JP5277962B2 (ko)
KR (1) KR101361884B1 (ko)
CN (2) CN201199271Y (ko)
CA (2) CA2668920C (ko)
RU (1) RU2460100C2 (ko)
WO (1) WO200805984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407A1 (ko) 2010-07-08 2012-01-12 Park Chan Soul 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KR101252392B1 (ko) * 2009-10-28 2013-04-08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커넥터의 조립 방법
EP2594974A1 (en) 2011-11-21 2013-05-22 Chan Soul Park Optical connector
KR20150000722U (ko) * 2012-06-01 2015-02-25 디에이취 인포텍 (웨이하이) 아이엔씨. 광섬유 열융착 커넥터용 홀더
KR102606486B1 (ko) * 2023-01-03 2023-11-30 유씨엘스위프트(주)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528A (ja) * 2006-04-10 2007-10-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5184865B2 (ja) * 2006-11-13 2013-04-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7467899B2 (en) 2007-01-31 2008-12-2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Ferrule transfer method and ferrule holder
JP4886644B2 (ja) * 2007-09-14 2012-02-29 株式会社精工技研 光コネクタキット
JP4719755B2 (ja) * 2008-02-29 2011-07-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EP2299305A4 (en) * 2008-06-13 2017-11-15 Fujikura, Ltd. Connection method, connection tool, and connection jig for optical fiber
US9075204B2 (en) * 2008-08-04 2015-07-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connector construction tool
JP5211940B2 (ja) * 2008-08-29 2013-06-12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導波路、光電気混載基板及び光モジュール
CH700691B1 (de) * 2009-03-20 2020-09-15 Diamond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pleissen von Lichtwellenleitern, sowie Verwendung eines Endstückes in einer Vorrichtung zum Spleissen.
KR101096495B1 (ko) 2009-04-16 2011-12-20 주식회사 옵텔콤 접속기 홀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EP2426535B1 (en) * 2009-04-30 2017-11-08 Adamant Kogyo Co., Ltd. Optical connector plug
US8459880B2 (en) 2009-07-31 2013-06-11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onnectors,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U2009350495B8 (en) * 2009-07-31 2015-11-12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onnectors,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5395616B2 (ja) 2009-10-28 2014-01-22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フェルールホルダ
JP5486904B2 (ja) * 2009-11-12 2014-05-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光コネクタを備えた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ホルダ
JP5280336B2 (ja) * 2009-11-12 2013-09-0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ホルダ
WO2011087941A1 (en) * 2010-01-15 2011-07-21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fiber handler for a fiber optic connection termination system
JP2011185975A (ja) * 2010-03-04 2011-09-22 Seikoh Giken Co Ltd 光コネクタキット
US8385713B2 (en) 2010-04-06 2013-02-26 Fiber Instruments Sales Inc Universal optical fiber fusion splice connector holder
US8388242B2 (en) 2010-05-19 2013-03-05 Adc Telecommunications, Inc. In-line splice with integrated splice holder
JP5309403B2 (ja) * 2010-12-24 2013-10-0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5916996B2 (ja) * 2010-12-28 2016-05-11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5799471B2 (ja) 2011-02-18 2015-10-2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部の補強方法及び融着接続機
DE102011111420B4 (de) 2011-08-23 2015-11-19 Audi Ag Verfahren zur Steuerung lenkbarer Hinterräder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CN102436041B (zh) * 2011-12-23 2013-11-13 广东尚能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光纤固定接头保护组件及其施工装置
US20150331190A1 (en) * 2012-03-31 2015-11-19 Jiekangte Science & Technology Co.,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with cutting and positioning function
US8939655B2 (en) 2012-06-29 2015-01-27 Corning Cable Systems Llc Dust caps, fiber optic connectors, and fiber optic splitter modules incorporating interlocking key features
US20150301287A1 (en) * 2012-07-20 2015-10-22 Inno Instrument, Inc. Multifunctional optical fiber fixing clamp
GB2509532B (en) * 2013-01-07 2016-05-04 Miniflex Ltd Caddy for Protecting Multi Optical Fibre Cable During Duct Installation
JP2013092810A (ja) * 2013-02-21 2013-05-1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ホルダ
EP2972536A4 (en) * 2013-03-11 2016-10-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GLASS FIBER PLUGS AND FIBER OPTICAL CABLE ASSEMBLIES WITH A GLASS FIBER CABLE ASSEMBLED IN THE JACK OF THE FIBER OPERATOR
US9389370B2 (en) 2013-03-21 2016-07-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connector for jacketed cables
US9052469B2 (en) 2013-04-26 2015-06-09 Corning Cable Systems Llc Preterminated fiber optic connector sub-assemblies, and related fiber optic connectors,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US11156781B2 (en) * 2013-06-14 2021-10-26 Chiral Photonics, Inc. Passive aligning optical coupler array
US10564348B2 (en) * 2013-06-14 2020-02-18 Chiral Photonics, Inc. Passive aligning optical coupler array
US10914891B2 (en) * 2013-06-14 2021-02-09 Chiral Photonics, Inc. Multichannel optical coupler
US11966091B2 (en) * 2013-06-14 2024-04-23 Chiral Photonics, Inc. Multichannel optical coupler array
US10838155B2 (en) 2013-06-14 2020-11-17 Chiral Photonics, Inc. Multichannel optical coupler
US20150063756A1 (en) * 2013-08-29 2015-03-05 Coring Cable Systems Llc System for terminating one or more optical fibers and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used in same
US9817187B2 (en) * 2013-09-06 2017-11-14 Afl Telecommunications Llc End cap holder
US9285559B1 (en) 2014-11-07 2016-03-15 Miniflex Limited Installation of optical fiber cables in ducts
US11513298B2 (en) 2014-11-07 2022-11-29 Ppc Broadband Fiber Ltd. Preconnectorized multi-fiber drop cables and methods for deploying and assembling preconnectorized multi-fiber drop cables
JP2017173512A (ja) * 2016-03-23 2017-09-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US20210199890A1 (en) * 2018-05-17 2021-07-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onnector
US20200033533A1 (en) * 2018-07-24 2020-01-30 Elenion Technologies, Llc On-wafer testing of photonic chips
US11016247B2 (en) 2018-10-11 2021-05-25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Mechanical splice protective sleeve for securing a splice area formed by splicing a plural of optical fibers
US11565378B2 (en) 2019-07-02 2023-01-31 Us Conec Ltd. Fiber handling tool with spring loaded doors
CN113655571A (zh) * 2020-05-12 2021-11-16 富晋精密工业(晋城)有限公司 光缆治具、光纤连接器制作方法及光纤连接器
CN112137355A (zh) * 2020-10-09 2020-12-29 济南艾雅贸易有限公司 一种化妆品展台
WO2023135866A1 (ja) * 2022-01-14 2023-07-2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360B1 (ko) * 1980-03-13 1985-03-22 닛본 덴신덴와 고오샤 광파이버 접속부의 보강부재
JPS57181507A (en) * 1981-04-30 1982-11-09 Hitachi Cable Ltd Reinforcing method for juncture of optical fibers by molding
JPS58212915A (ja) * 1982-06-04 1983-12-10 Sumitomo Electric Ind Ltd 熱収縮チユ−ブの加熱方法及び装置
JPS6198302A (ja) * 1984-10-19 1986-05-16 Fujikura Ltd 熱収縮チユ−ブ加熱装置
JPH077139B2 (ja) * 1985-12-24 1995-01-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浮動ホルダ型光コネクタ
US4744627A (en) * 1986-11-03 1988-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fiber holder
JPS6418113A (en) * 1987-07-13 1989-01-2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JPH0555105U (ja) * 1991-12-26 1993-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ー
US5481640A (en) * 1994-06-27 1996-01-02 Fiberlign Division Of Preformed Line Products (Canada) Ltd. Tool for fusing optical fibers
JPH0990167A (ja) * 1995-09-21 1997-04-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光ファイバ用フェルール取付け治具
CA2226052A1 (en) * 1997-02-13 1998-08-13 Diamond Sa Plug for an optical fiber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5813902A (en) * 1997-04-14 1998-09-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ber end-face preparation and connector assembly
JPH10319279A (ja) * 1997-05-16 1998-12-04 Oki Electric Ind Co Ltd 光モジュールおよび放熱基板
JPH1123883A (ja) * 1997-07-02 1999-01-29 Fujikura Ltd ファイバホルダ
JP3542008B2 (ja) * 1998-02-13 2004-07-1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心線固定方法
EP0939327A3 (de) * 1998-02-27 2002-02-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eranschluss für Lichtwellenleit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6052505A (en) * 1998-08-31 2000-04-18 Lucent Technologies Inc. Fiber curvature measurement fixture
EP1134603B1 (en) * 1998-11-26 2009-06-17 SMK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a ferrule
JP4096493B2 (ja) 1999-06-14 2008-06-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端末ロッドレンズ付き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3293594B2 (ja) * 1999-06-29 2002-06-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保護部材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DE19933740C2 (de) * 1999-07-19 2003-10-30 Ccs Technology Inc Lichtwellenleiterstecker und Verfahren zum Anschluß an das Ende eines Lichtwellenleiters
US6318903B1 (en) * 2000-02-29 2001-11-20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for backplane
US7113679B2 (en) * 2000-05-26 2006-09-26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drop cables and preconnectorized assemblies having toning portions
US7111990B2 (en) * 2000-05-26 2006-09-26 Corning Cable Systems, Llc Figure-eight preconnectorized fiber optic drop cables and assemblies
JP2002082257A (ja) * 2000-09-06 2002-03-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部品
JP2003329873A (ja) * 2001-12-27 2003-11-19 Fujikura Ltd 位置決め機構を備えた光ファイバ把持具、光ファイバアダプタ、及び光ファイバ加工装置
US7220061B2 (en) * 2002-06-24 2007-05-22 Diamond Sa Connector-plug part for an optical plug-in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a connector-plug part to the end of an optical waveguide cabl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4141891B2 (ja) * 2003-05-01 2008-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補強方法及び光ファイバ補強装置
US7216512B2 (en) * 2003-10-31 2007-05-15 Corning Cable Systems, Llc Method of making an optical fiber by laser cleaving
US7212718B2 (en) * 2003-11-12 2007-05-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treatment of optical fiber reinforcing memb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JP3889405B2 (ja) * 2004-03-17 2007-03-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US20050213897A1 (en) * 2004-03-29 2005-09-29 Palmer Jeffrey D Field-installable fusion spliced fiber optic connector kits and methods therefor
JP4474279B2 (ja) * 2004-12-27 2010-06-02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現場組立光コネクタ
JP4377820B2 (ja) * 2005-01-14 2009-12-02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ロック解除機構
JP3962413B2 (ja) * 2005-03-30 2007-08-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プラグ
JP4800726B2 (ja) 2005-03-31 2011-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候剤組成物
JP2006350210A (ja) * 2005-06-20 2006-12-28 Fujitsu Ltd 光ファイバ整列具
JP3784826B1 (ja) * 2005-09-28 2006-06-14 クロスター産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接続装置
US7329049B2 (en) * 2005-12-27 2008-02-12 Corning Cable Systems Llc Splice connector for verifying an acceptable splice termination
US7264410B1 (en) * 2006-03-16 2007-09-04 Corning Cable Systems Llc Dual function splice component for mechanical splice connect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392B1 (ko) * 2009-10-28 2013-04-08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커넥터의 조립 방법
US8539796B2 (en) 2009-10-28 2013-09-24 Sei Optifrontier Co., Ltd. Method for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WO2012005407A1 (ko) 2010-07-08 2012-01-12 Park Chan Soul 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EP2594974A1 (en) 2011-11-21 2013-05-22 Chan Soul Park Optical connector
US9069140B2 (en) 2011-11-21 2015-06-30 Chan Soul Park Optical connector
KR20150000722U (ko) * 2012-06-01 2015-02-25 디에이취 인포텍 (웨이하이) 아이엔씨. 광섬유 열융착 커넥터용 홀더
KR102606486B1 (ko) * 2023-01-03 2023-11-30 유씨엘스위프트(주)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199271Y (zh) 2009-02-25
EP2778729B1 (en) 2024-04-03
EP2778729A2 (en) 2014-09-17
CA2668920C (en) 2018-11-06
RU2009122333A (ru) 2010-12-20
CA2921732A1 (en) 2008-05-22
US7934874B2 (en) 2011-05-03
EP2081064A1 (en) 2009-07-22
EP2081064A4 (en) 2013-08-07
WO2008059843A1 (fr) 2008-05-22
EP2081064B1 (en) 2019-06-26
EP2851722A1 (en) 2015-03-25
JPWO2008059843A1 (ja) 2010-03-04
CA2668920A1 (en) 2008-05-22
EP2778729A3 (en) 2014-12-24
US20090238523A1 (en) 2009-09-24
CN101535853A (zh) 2009-09-16
CA2921732C (en) 2019-01-08
RU2460100C2 (ru) 2012-08-27
KR101361884B1 (ko) 2014-02-12
JP5277962B2 (ja)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884B1 (ko)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5192094B2 (ja) 光コネクタ
JP4719755B2 (ja) 光コネクタ
US9170372B2 (en) Ferrule transfer method and ferrule holder
JP2013529798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ー及びその組立方法
WO2011052634A1 (ja) 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9271427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