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86B1 -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86B1
KR102606486B1 KR1020230000518A KR20230000518A KR102606486B1 KR 102606486 B1 KR102606486 B1 KR 102606486B1 KR 1020230000518 A KR1020230000518 A KR 1020230000518A KR 20230000518 A KR20230000518 A KR 20230000518A KR 102606486 B1 KR102606486 B1 KR 10260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hrink tube
heat
heating device
heat sh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건익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유씨엘스위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스위프트(주) filed Critical 유씨엘스위프트(주)
Priority to KR102023000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6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with heat-shrinkabl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등 현장에서 토치와 같은 화기가 있는 가열장치 대신에, 열수축튜브를 히팅부 내에 삽입하는 작동만으로 광커넥터의 열수축튜브 부분을 손쉽고 용이하게 열수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열수축튜브로 인하여 광커넥터의 방수가 되면서, 충전식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위치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맨홀 내에서도 화재위험이 없는 안전한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Optical cable heat shrink tube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옥외용 광커넥터를 조립함에 있어서, 옥외용 광커넥터와 광케이블 조립부간의 방수를 위한 열수축튜브를 옥외에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열수축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수축 튜브라 함은, 전선에 피복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피복시키는 것으로서, 열수축 튜브는 열을 가하면 직경방향으로 수축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열수축튜브를 열성형시킬때에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열수축튜브를 끼운 후 별도의 가열도구, 예를들면, 토치, 버너 등과같은 가열도구로서 와이어(또는 케이블)를 감싸고 있는 열수축튜브를 가열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열수축튜브를 작업자가 가스토치와 같은 가열도구를 이용하여 열수축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또한 길어지게되어 생산성이 하락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되는 열수축튜브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춰 작업을 하는 것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맨홀 내부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맨홀내의 인화성 물질에 의한 폭발 및 화재위험성이 있다는 안전성의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88090호(2018.08.03.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용 광커넥터와 광케이블을 감싸는 열수축튜브 부분이 수평으로 눕혀 삽입되는 제 1히팅부와, 상기 제 1히팅부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히팅부를 통해, 열수축튜브를 화재의 위험성이 없이 손쉽고 안전하게 열수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맨홀 등에서 작업시 화재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되는 열수축튜브의 종류에 따라 히팅온도 및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충전식 사용도 가능하며 사용시기나 작업위치에 제한이 없는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광케이블(A)과 옥외용 광커넥터(B)를 조립하여 옥외용 광커넥터(C)를 완성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옥외용 광커넥터와 광케이블간에 열수축튜브(D)를 열수축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이며,
열수축튜브(D)가 외주연에 끼워진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의 연결부위가, 내부에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배치되고, 상기 열수축튜브(D)의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 1히팅부(10);
상기 제 1히팅부(10)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튜브(D)의 상부를 히팅하는 제 2히팅부(20);
상기 제 1, 2히팅부(10, 20)의 동작제어 및 전원잭(34)이 구비되는 제어부(30); 로 구성되어,
옥외용 광커넥터의 방수가 가능하여 실외 사용이 용이하며, 현장 또는 맨홀내에서 열수축튜브(D)의 가열에 가열시 화기가 있는 가열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화재위험 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수축튜브가 히팅위치에 수평으로 삽입장착되는 작업만으로 2개의 히팅부에 의해 손쉽고 안전하게 열수축튜브의 히팅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기가 있는 히팅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맨홀 내부에서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화재위험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수축튜브의 종류에 따라, 히팅온도 및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식 및 전원연결식 모두 가능하여, 작업위치에 대해 제한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밀착패드를 더 구비한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의 열수축튜브 장착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에 의해, 열수축되는 열수축튜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에 열수축튜브(D)를 조립하여 옥외용 광커넥터(C)를 형성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방수를 위하여 열수축튜브(D)를 열수축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이며;
상기 히팅장치의 일측끝단부에는 상기 광케이블(A)가 길게 놓여지고, 타측끝단부에는 상기 광커넥터(B)의 중앙부가 놓여지고, 상기 광커넥터(B)의 끝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열수축튜브(D)가 외주연에 끼워진 상기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의 연결부위가, 내부에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배치되고, 상기 열수축튜브(D)의 하부의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 1히팅부(10);
상기 제 1히팅부(10)의 상부에서 개폐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튜브(D)의 상부의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 2히팅부(20); 로 구성되고,
상기 히팅장치에 히팅온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열수축튜브(D)를 간편하게 열수축시키며,
상기 광커넥터(B)의 중앙부가 놓여지는 히팅장치의 타측끝단부에는 상호간 대향되는 'U'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히팅부(10)에는 제 1고정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히팅부(20)에는 제 2고정부(42)를 형성하고, 제 1, 2고정부(41, 42)는 내주연에 밀착패드(43)가 구비되어서, 히팅시에 상기 광커넥터(B)를 고정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제 1히팅부(1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비어있는 반원형태의 'U' 자형 단면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2히팅부(20)는 상기 제 1히팅부(10)를 덮거나 열수 있는 커버 저면에 일자형의 평판형 형태로 설치되는 히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에 관한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히팅장치는
사전에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 및 외부전원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식이 모두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히팅부의 동작제어 및 전원잭(34)이 구비되는 제어부(30); 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전원 ON/OFF부(31), 히팅 ON/OFF부(32), 배터리 전원량 표시부(33)가 구비되며,
최초에 사전설정 히팅온도와 히팅시간이 사전세팅되어 있되,
히팅온도와 히팅시간은 사용되는 열수축튜브(D)의 종류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는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를 조립하여 옥외용 광커넥터(C)를 형성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 조립부에 열수축튜브(D)를 열수축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2히팅부(10, 20)의 2개 히팅구성을 가지는 제 1경우와, 커버에 제 2히팅부(20)가 설치되지 않고, 제 1히팅부(10)만을 사용하는 제 2경우를 가질 수 있음이다.
상기 제 1경우의 경우,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에 열수축튜브(D)를 조립하여 옥외용 광커넥터(C)를 형성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열수축튜브(D)를 열수축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이며,
열수축튜브(D)가 외주연에 끼워진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의 연결부위가, 내부에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배치되고, 상기 열수축튜브(D)의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 1히팅부(10);
상기 제 1히팅부(10)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튜브(D)의 상부를 히팅하는 제 2히팅부(20); 로 구성되고,
히팅장치에 히팅온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열수축튜브(D)를 간편하게 열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장치의 일측끝단부에는 상기 광케이블(A)가 길게 놓여지고, 타측끝단부에는 상기 광커넥터(B)의 중앙부가 놓여지고, 상기 광커넥터(B)의 끝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광커넥터(B)의 중앙부가 놓여지는 히팅장치의 타측끝단부에는 상호간 대향되는 'U'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히팅부(10)에는 제 1고정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히팅부(20)에는 제 2고정부(42)를 형성하고, 제 1, 2고정부(41, 42)는 내주연에 밀착패드(43)가 구비되어서, 히팅시에 상기 광커넥터(B)를 고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경우는,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에 열수축튜브(D)를 조립하여 옥외용 광커넥터(C)를 형성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열수축튜브(D)를 열수축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이며,
열수축튜브(D)가 외주연에 끼워진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의 연결부위가, 내부에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배치되고, 상기 열수축튜브(D)의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 1히팅부(10);
상기 제 1히팅부(10)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튜브(D)의 상부는 히팅부가 없이 제 1히팅부(10)의 열이 차단되도록 커버형태로 구성되고,
히팅장치에 히팅온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열수축튜브(D)를 간편하게 열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제 2경우는, 실시예에 따라,
삭제
광케이블(A)의 외피에 열수축튜브(D) 조립작업을 현장에서 하기 위한 히팅장치로, 광케이블(A)의 연결부위가 내부에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배치되고, 열수축튜브(D)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1히팅부(10)가 구성되고, 히팅장치에 히팅온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열수축튜브(D)를 간편하게 열수축시키며,
히팅장치는 내부에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이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는 열수축튜브(D)를 통해 광커넥터의 방수가 가능하여, 옥외용 광커넥터(C)의 실외 사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며, 현장 또는 맨홀내에서 열수축튜브(D)의 가열에 화기가 있는 가열장치(ex: 토치 등)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화재위험 없이 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제 1히팅부(10), 제 2히팅부(20),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2히팅부(10, 20) 모두 설치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히팅부(10)는 하우징(11)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함몰형성됨으로써, 열수축튜브(D)가 외주연에 끼워진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의 연결부위가, 내부에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배치되고, 상기 열수축튜브(D)의 외주연을 히팅할 수 있도록 하는 히팅장치이다.
상기 제 1히팅부(1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비어있는 반원형태의 'U' 자형 단면형태를 가지며, 열수축튜브(D)가 완전히 삽입되어져 하우징(11)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깊이를 가진다.
상기 제 2히팅부(20)는 전술된 제 1히팅부(10)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튜브(D)의 상부를 히팅하는 히팅장치이다.
즉, 이러한 제 2히팅부(20)는 제 1히팅부(10)가 형성된 하우징(11)에서, 제 1히팅부(10)를 덮거나 열수 있는 커버 저면에 일자형의 평판형 형태로 설치되는 히팅부분이다.
물론, 이러한 제 2히팅부(20)의 저면 외곽에는 국부적으로 영구자석(22)이 설치되어 있도록 하고, 하우징(11)에도 이러한 영구자석(22)과 대응되는 부위에 금속재의 착탈부(12)를 형성하여, 제 2히팅부(20)가 제 1히팅부(10) 상면에 대응되며 닫혔을 시, 상호간의 착탈이 가능토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히팅부(10)의 일측(광커넥터(B)가 올려지는 부분)에는 'U'자형태의 홈을 형성하는 제 1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제 1고정부(41)와 대응되는 제 2히팅부(20)의 일측에도 'U'자형태의 홈을 형성하는 제 2고정부(42)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 2히팅부(20)가 제 1히팅부(10)에 닫혔을시, 제 1, 2고정부(41, 42)는 링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 부분에 광커넥터(B)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 1, 2고정부(41, 42)는 내주연에 밀착패드(43)가 구비되어, 제 1, 2고정부(41, 42)가 광커넥터(B) 외주연에 밀착시 광커넥터(B)의 회전 및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부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제어부(30)는 하우징(11)의 상부면에서 제 1, 2히팅부(10, 20)의 동작제어 및 전원잭(34)이 구비되는 부분이다.
동작제어는 상부면에서 사용자가 누르거나 터치하여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형태이며, 본 발명의 히팅장치는 하우징(11)의 외주연에 전원잭이 끼워지도록 하여, 미리 하우징(11) 내장 배터리에 충전시켜 충전식으로 사용되거나, 직접 전원잭을 전원잭(34)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작제어로는 전원 ON/OFF부(31), 히팅 ON/OFF부(32), 디스플레이 형태의 배터리 전원량 표시부(33)가 구비되어 있으며, 히팅 ON을 누르는 경우, 최초에 사전설정 히팅온도와 히팅시간이 사전세팅되어 있되, 이러한 히팅온도와 히팅시간은 사용되는 열수축튜브(D)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제 1히팅부 11: 하우징
12: 착탈부 20: 제 2히팅부
21: 커버 22: 영구자석
30: 제어부 31: 전원 ON/OFF부
32: 히팅 ON/OFF부 33: 배터리 전원량 표시부
34: 전원잭 41: 제 1고정부
42: 제 2고정부 43: 밀착패드
A: 광케이블 B: 광커넥터
C: 옥외용 광커넥터 D: 열수축튜브

Claims (9)

  1.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에 열수축튜브(D)를 조립하여 옥외용 광커넥터(C)를 형성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방수를 위하여 열수축튜브(D)를 열수축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이며;
    상기 히팅장치의 일측끝단부에는 상기 광케이블(A)가 길게 놓여지고, 타측끝단부에는 상기 광커넥터(B)의 중앙부가 놓여지고, 상기 광커넥터(B)의 끝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열수축튜브(D)가 외주연에 끼워진 상기 광케이블(A)과 광커넥터(B)의 연결부위가, 내부에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배치되고, 상기 열수축튜브(D)의 하부의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 1히팅부(10);
    상기 제 1히팅부(10)의 상부에서 개폐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튜브(D)의 상부의 외주연을 히팅하는 제 2히팅부(20); 로 구성되고,
    상기 히팅장치에 히팅온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열수축튜브(D)를 간편하게 열수축시키며,
    상기 광커넥터(B)의 중앙부가 놓여지는 히팅장치의 타측끝단부에는 상호간 대향되는 'U'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히팅부(10)에는 제 1고정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히팅부(20)에는 제 2고정부(42)를 형성하고, 제 1, 2고정부(41, 42)는 내주연에 밀착패드(43)가 구비되어서, 히팅시에 상기 광커넥터(B)를 고정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제 1히팅부(1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비어있는 반원형태의 'U' 자형 단면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2히팅부(20)는 상기 제 1히팅부(10)를 덮거나 열수 있는 커버 저면에 일자형의 평판형 형태로 설치되는 히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장치는
    사전에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 및 외부전원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식이 모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동작제어 및 전원잭(34)이 구비되는 제어부(30); 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전원 ON/OFF부(31), 히팅 ON/OFF부(32), 배터리 전원량 표시부(33)가 구비되며,
    최초에 사전설정 히팅온도와 히팅시간이 사전세팅되어 있되,
    히팅온도와 히팅시간은 사용되는 열수축튜브(D)의 종류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000518A 2023-01-03 2023-01-03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KR10260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518A KR102606486B1 (ko) 2023-01-03 2023-01-03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518A KR102606486B1 (ko) 2023-01-03 2023-01-03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486B1 true KR102606486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518A KR102606486B1 (ko) 2023-01-03 2023-01-03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4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350A (ko) * 2006-11-13 2009-07-17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2010217271A (ja) * 2009-03-13 2010-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収縮性補強スリーブの加熱装置及び融着接続機
WO2017075778A1 (en) * 2015-11-05 2017-05-11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Heating apparatus for fiber optic connector
JP2017142469A (ja) * 2016-02-12 2017-08-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補強スリーブの加熱装置および融着接続機
KR20180088090A (ko) 2017-01-26 2018-08-03 영창실리콘 주식회사 히팅케이블의 전원연결부 보호방법 및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350A (ko) * 2006-11-13 2009-07-17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홀더 및 융착 접속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2010217271A (ja) * 2009-03-13 2010-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収縮性補強スリーブの加熱装置及び融着接続機
WO2017075778A1 (en) * 2015-11-05 2017-05-11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Heating apparatus for fiber optic connector
JP2017142469A (ja) * 2016-02-12 2017-08-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補強スリーブの加熱装置および融着接続機
KR20180088090A (ko) 2017-01-26 2018-08-03 영창실리콘 주식회사 히팅케이블의 전원연결부 보호방법 및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22333A (ru) Держател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ащивания сплавлением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оптического коннектора
KR20140004684A (ko) 광 파이버 보강용 가열기 및 광 파이버 융착 접속 장치
KR102606486B1 (ko) 광케이블 열수축튜브 히팅장치
JP2003162904A5 (ko)
CN110293316A (zh) 一种轻型手持式激光摆动焊接头
ES2105587T3 (es) Dispositivo adaptador de un mecanismo electrico a una canaleta para cables electricos.
KR101571813B1 (ko) 케이블 튜브 열수축 장치
JP2959954B2 (ja) パイプ表面の加熱装置
EP3995157B1 (en) Electric heating fragrance diffuser
KR102327129B1 (ko)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 전선 보호기구
US20220155523A1 (en) Reinforcement sleeve heating device and fusion splicing machine
CN107702143A (zh) 一种电子点火器及放热焊接设备
FI62190B (fi) Arrangemang foer faestning av gaskromatografikolonn
CN215988178U (zh) 一种耐高温硅胶线缆
KR102578373B1 (ko) 케이블 가이드 융착접속기
CN209963771U (zh) 多功能应急充电宝
CN112789537A (zh) 光纤熔接连接部的加强装置及具有其的熔接连接机
CN217641166U (zh) 一种铅封装置、防护罩及断路器
CN202615011U (zh) 一种带光纤保护的通讯机箱
CN206973495U (zh) 一种支架灯
GB2504465A (en) Heating stations for heating heat-shrink tubing surrounding a cable
CN207504021U (zh) 一种带照明灯的蓄电器
JPS5915027Y2 (ja) 熱収縮性スリ−ブ加熱装置
EP1779034A1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box
CN108808371B (zh) 一种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