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158A - 권사, 권사 유닛 및 권사 유닛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권사, 권사 유닛 및 권사 유닛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158A
KR20090059158A KR1020097007694A KR20097007694A KR20090059158A KR 20090059158 A KR20090059158 A KR 20090059158A KR 1020097007694 A KR1020097007694 A KR 1020097007694A KR 20097007694 A KR20097007694 A KR 20097007694A KR 20090059158 A KR20090059158 A KR 2009005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ilament
winding
wound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타 키무라
카츠히코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9005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02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do not ro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02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do not rotate
    • B65H49/04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06Package-supporting devices for a single operative package
    • B65H49/08Package-supporting devices for a single operative package enclosing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02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do not rotate
    • B65H49/04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14Package-supporting devices for several operative packages
    • B65H49/16Stand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5/00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 B65H55/04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characterised by method of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6Flat cores, e.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2/00Winding, tensioning, or guiding
    • Y10S242/901Figure eight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과제> 감음 자국이 나지 않도록 사상체(絲狀體)를 감아 보지(保持)할 수 있는 권사(卷絲)의 제공.
<해결 수단> 이 권사(11)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14)와, 줄 걸이부(15, 16)과, 보조 플레이트(17, 18)를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수지,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고,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중앙부(21)에서 구부러진다. 줄 걸이부(15, 16)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양단부(兩端部)에 설치되어 있다. 보조 플레이트(17, 18)는 줄 걸이부(15, 16)에 고정되고, 플랜지(flange)를 구성한다. 보조 플레이트(17, 18)의 단부(端部)는, 베이스 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다.
Figure P1020097007694
권사, 권사 유닛, 권사 유닛 제조 방법, 줄 걸이부, 보조 플레이트

Description

권사, 권사 유닛 및 권사 유닛 제조 방법{THREAD SPOOL, THREAD SPOOL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READ SPOOL UNIT}
본 발명은 낚싯줄, 수술용 봉합실 그 외의 사상체(絲狀體)를 보지(保持)하는 권사(卷絲)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권사에 낚싯줄, 수술용 봉합실 그 외의 사상체가 인출 가능한 상태로 감긴 권사 유닛 및 그 제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낚싯줄은, 종래부터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50m ~ 150m 정도)로 재단되어, 판매되고 있다. 다만, 장척(長尺)의 낚싯줄은 취급에 불편이 있는 것으로부터, 통상 낚싯줄은 권사에 권취(卷取)된 상태로 판매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특허 문헌 14 참조). 권사는 일반적으로 원통상(圓筒狀)의 코어(core)를 가지고 있고, 당해 코어에 낚싯줄이 감긴다. 권사에 낚싯줄을 감는 장치도 종래부터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5 ~ 특허 문헌 25 참조). 이와 같은 장치는, 낚싯줄에 일정의 텐션(tension)을 발생시킨 상태로 당해 낚싯줄을 상기 코어에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30207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23127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04358호
[특허 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18446호
[특허 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18334호
[특허 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00151호
[특허 문헌 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13150호
[특허 문헌 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15637호
[특허 문헌 9]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15636호
[특허 문헌 10]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09742호
[특허 문헌 1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70871호
[특허 문헌 1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69646호
[특허 문헌 1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71887호
[특허 문헌 1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99173호
[특허 문헌 1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095399호
[특허 문헌 16]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084943호
[특허 문헌 1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51206호
[특허 문헌 1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48987호
[특허 문헌 19]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14471호
[특허 문헌 20]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80641호
[특허 문헌 2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005671호
[특허 문헌 2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09824호
[특허 문헌 2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09822호
[특허 문헌 2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88475호
[특허 문헌 2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137933호
낚싯줄이 원통상의 코어에 감긴 것에 의하여, 당해 낚싯줄에 감음 자국이 날 우려가 있다. 낚싯줄에 감음 자국이 나면, 사용 시에 낚싯줄이 나선상으로 변형하고, 낚시꾼에게 있어서 상당히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이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1이나 특허 문헌 15에 개시된 권사가 제공되어 있고, 이 권사에 감긴 낚싯줄은, 감음 자국이 거의 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권사에서는 낚싯줄의 감음 자국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고, 이 때문에 낚싯줄에 감음 자국이 나지 않는 권사의 실현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수술용 봉합실도 권사에 권취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수술용 봉합실은 의사가 절개창이나 열상 등의 조직을 밀착시켜 봉합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 때, 수술용 봉합실에 감음 자국이 나있으면, 의사는 안전하게 수술을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의사의 안전의 관점으로부터도, 수술용 봉합실에 감음 자국이 없는 권사의 실현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관련되는 배경의 기초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낚싯줄, 수술용 봉합실 그 외의 사상체를 감음 자국을 내는 일 없이 보지하고, 게다가 이 사상체를 사용하는 자가 소망의 길이의 사상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권사 및 당해 권사에 사상체가 구비된 권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권사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권사는, 중앙부 및 양단부(兩端部)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는, 중앙부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하여 양단부끼리가 대향하는 절첩(折疊) 자세와 양단부끼리가 대칭으로 이반하는 전개(展開)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 한 쌍의 줄 걸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줄 걸이부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줄 걸이부는 당해 줄 걸이부에 사상체가 감아 걸릴 때에 당해 사상체가 매끄러운 곡선상(曲線狀)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외주면(外周面)을 구비하고 있다.
이 권사에 사상체가 감기고, 보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개 자세로 변화된다. 이 상태로 한 쌍의 줄 걸이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사상체의 일방(一方)의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소정 부위, 예를 들면 한 쌍의 줄 걸이부의 중간에 고정된다. 사상체는 일방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다. 이때, 사상체는 당해 일방의 줄 걸이부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도 무방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도 무방하다. 나아가, 당해 사상체는 타방(他方)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다. 이때, 당해 사상체는, 서로 크로스(cross)하도록 타방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다. 즉, 당해 사상체가 일방의 줄 걸이부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 있는 경우에는 타방의 줄 걸이부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리고, 또한, 당해 사상체가 일방의 줄 걸이부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 있는 경우에는 일방의 줄 걸이부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린다. 당해 사상체는, 마찬가지로 하여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호(交互)로 연속하여 감아 걸리고, 그 결과 장척의 사상체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변화된다. 이것에 의하여,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서로 크로스하도록 감겨 있던 사상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서 환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된다.
전술과 같이 사상체가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호로 걸치도록 감기기 때문에, 당해 사상체는 강하게 잡아당겨지는 일 없이 매우 느슨하게 감긴다. 그리고, 사상체가 양 줄 걸이부에 감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변화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사상체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 당해 사상체에 발생하는 장력은 거의 제로로 된다. 따라서 이 사상체는 거의 무장력의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지되는 것으로 되고, 이 사상체에 감음 자국이 나는 일이 없다. 나아가, 이 사상체의 사용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지된 사상체의 타방의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소망의 길이의 사상체를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때, 일방의 줄 걸이부 및 타방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 사상체는, 이들 각 줄 걸이부로부터 교호로 풀리도록 꺼내진다. 따라서, 사상체는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다량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꺼내지는 일은 없다.
(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는 각 줄 걸이부의 각각의 단면(端面)에, 플랜지(flange)를 형성하는 보조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조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각 줄 걸이부에 플랜지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상체를 각 줄 걸이부에 감아 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게다가 각 줄 걸이부에 일단 감아 걸린 사상체는, 간단히 각 줄 걸이부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3)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줄 걸이부는 외주면이 원호를 형성하는 원 기둥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상기 줄 걸이부의 단면에 고정된 플랜지부와, 일단이 플랜지부에 연속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줄 걸이부가 간단한 형상이기 때문에, 권사의 제조 코스트의 상승이 억제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권사의 외형 형상이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권사는, 그 사용자에게 있어서 들기 쉬운 형상으로 된다. 나아가, 보조 플레이트의 플랜지부에 의하여, 사상체를 각 줄 걸이부에 감아 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각 줄 걸이부에 일단 감아 걸린 사상체는, 간단히 각 줄 걸이부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나아가, 보조 플레이트의 고정부의 측 가장자리에 테이퍼(taper)가 설치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전술과 같이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사상체가 감아 걸릴 때에, 당해 사상체는, 고정부의 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사상체를 양 줄 걸이부 사이에 교호로 감아 거는 작업이 일층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4)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권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즉, 이 권사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주벽 및 제2 주벽을 가지고 있다. 제1 주벽 및 제2 주벽은, 예를 들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제1 주벽 및 제2 주벽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코방(小判, 납작한 일본 금화)형 등의 여러 가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제1 주벽의 일방의 단부와 제2 주벽의 일방의 단부가 결합체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제1 주벽의 타방의 단부와 제2 주벽의 타방의 단부는 결합되어 있지 않다. 즉, 제1 주벽의 타방의 단부 및 제2 주벽의 타방의 단부는 개방 단부로 되어 있다. 상기 결합체는 판상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이 결합체는, 제1 주벽의 일방의 단부와 제2 주벽의 일방의 단부를 전면적으로 결합한다. 단, 이 결합체는 상기 일방의 단부의 긴쪽 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주벽의 일방의 단부와 제2 주벽의 일방의 단부 사이를 간헐적으로 결합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1 주벽의 내면에 제2 주벽 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제1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상기 개방 단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彎曲)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주벽의 내면에 제1 주벽 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제2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돌출부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상기 개방 단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중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예를 들면 원호상 또는 타원호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주벽의 내면의 상기 결합체 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제1 편상부(片狀部)와가 신연(伸延)하고 있다. 제1 편상부의 중도의 이면(裏面)은, 제1 돌출부의 돌출 단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1 편상부의 상기 개방 단부의 선단(先端) 가장자리는, 상기 개방 단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다. 또한, 제2 주벽의 내측의 상기 결합체 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를 향하여 제2 편상부가 신연하고 있다. 제2 편상부의 중도의 이면은, 제2 돌출부의 돌출 단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2 편상부의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 가장자리는, 상기 개방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다. 제1 편상부의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부 및 제2 편상부의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부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고 있다. 제1 편상부의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 가장자리 및 제2 편상부의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 가장자리도, 예를 들면 원호상 또는 타원호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제1 편상부 및 제2 편상부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종이 그 외의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사이에 사상체(예를 들면 낚싯줄이나 수술용 봉합실)가 걸쳐진다. 당해 사상체의 선단부는 상기 개방 단부 측에 배치된다. 사상체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의 사이에서 크로스하도록(8자상으로) 감아 걸리고, 또한 당해 크로스한 위치(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중심)에서 접힌다.
이와 같이 구성된 권사에서는, 예를 들면 제1 돌출부의 근방에 사상체의 기단부가 고정된다. 이 사상체는, 제1 돌출부의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감아 걸리고, 결합체의 부근에서 되돌아오며, 나아가 제2 돌출부의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감기고, 결합체의 부근에서 되돌아온다. 이 상태에서는, 사상체는 제1 편상부 및 제2 편상부와 제1 주벽 및 제2 주벽의 사이에 있고, 자연히 풀리는 일은 없다. 단, 사상체가 잡아당겨지면, 제1 돌출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사상체의 부분이 제1 편상부의 선단부를 휘게 하여, 제1 편상부의 표면 측으로 변위한다. 이 상태로 한층 더 사상체가 당겨지면, 사상체 중 결합체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 및 결합체로부터 제2 돌출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풀린다. 나아가, 사상체가 당겨지면, 제2 돌출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사상체의 부분이 제2 편상부의 선단부를 휘게 하여, 제2 편상부의 표면 측으로 변위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하여, 순서대로 사상체가 꺼내진다.
이 권사에서는, 사상체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의 사이에서 8자상으로 권취되기 때문에, 사상체가 풀릴 때에 사상체에 감음 자국이 나지 않는다. 게다가, 사상체가 풀릴 때는, 단순히 사상체의 선단이 직선적으로 잡아당겨지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사상체의 인출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1 편상부의 폭 치수는, 제1 돌출부의 돌출 단면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결합체 측을 향하여 점차 작게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마찬가지로, 제2 편상부의 폭 치수는 제2 돌출부의 돌출 단면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결합체 측을 향하여 점차 작게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사상체가 꺼내질 때에, 제1 편상부 및 제2 편상부가 사상체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 없이, 빠르게 사상체가 꺼내진다.
상기 본체부는, 소요의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케이스에 수용하여 두면, 휴대에 편리하다.
(5) 나아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은, 중앙부 및 양단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는, 중앙부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하여 양단부끼리가 대향하는 절첩 자세와 양단부끼리가 대칭으로 이반하는 전개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 한 쌍의 줄 걸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줄 걸이부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줄 걸이부는, 당해 줄 걸이부에 사상체가 감아 걸렸을 때에 사상체가 매끄러운 만곡상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이 권사 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개 자세로 된 상태로, 일방의 줄 걸이부에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린 후에 계속해서 타방의 줄 걸이부에 반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리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차한 상태로 권취된 장척의 사상체와, 이 사상체, 줄 걸이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수용 보지하는 케이싱과, 당해 사상체를 케이싱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사상체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감겨있다. 사상체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감기고, 보지된다. 또한, 사상체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꺼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개 자세로 변화된다. 이 상태로 한 쌍의 줄 걸이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사상체의 일방의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소정 부위, 예를 들면 한 쌍의 줄 걸이부의 중간에 고정된다. 사상체는, 한 쌍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다. 이때, 사상체는 줄 걸이부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도 무방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도 무방하다. 계속해서, 당해 사상체는, 타방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다. 이때, 당해 사상체는, 서로 크로스하도록 타방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다. 즉, 당해 사상체가 일방의 줄 걸이부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있는 경우에는 타방의 줄 걸이부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리고, 또한, 당해 사상체가 일방의 줄 걸이부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있는 경우에는, 일방의 줄 걸이부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린다. 당해 사상체는, 마찬가지로 하여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호로 연속하여 감아 걸리고, 그 결과 장척의 사상체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변화되고, 케이싱에 수용된다. 이것에 의하여 서로 크로스하도록 감겨 있던 사상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서 환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케이싱 내에서 보지된다. 이 사상체의 단부는 안내부에 삽통되고, 케이싱의 외부로 유도된다.
사상체는,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호로 걸치도록 감겨 있기 때문에, 당해 사상체는,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강하게 잡아당겨지는 일 없이 매우 느슨하게 감긴다. 그리고, 사상체가 양 줄 걸이부에 감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변화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사상체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 당해 사상체에 발생하는 장력은 거의 제로로 된다. 따라서, 이 사상체는, 거의 무장력의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지되는 것이 되고, 당해 사상체에 감음 자국이 나는 일이 없다. 나아가, 이 사상체의 사용자는, 상기 안내부로부터 도출된 사상체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소망의 길이의 사상체를 케이싱으로부터(즉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때 일방의 줄 걸이부 및 타방의 줄 걸이부에 감아 걸린 사상체는, 이들 각 줄 걸이부로부터 교호로 풀리도록 꺼내진다. 따라서, 사상체는,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다량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꺼내지는 일은 없다.
(6) 상기 안내부는, 상기 사상체가 삽통되는 삽통공이 설치된 튜브(tube)를 가지고, 당해 삽통공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향하여 점차 매끄럽게 확경(擴徑, 직경을 크게 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통공이 상기와 같이 확경되는 것에 의하여, 사상체는 케이싱의 내측으로부터 안내부로 매끄럽게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상체가 안내부로 진입할 때에 굴곡하는 일이 없어, 사상체의 손상이 방지된다.
(7) 복수의 상기 케이싱이 취부되는 취부부와, 상기 사상체의 사용자의 복부에 상기 취부부를 배치하도록 당해 사용자의 요부(腰部)에 계지(係止)되는 보지 벨트가 더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사상체의 사용자는, 보지 벨트를 허리에 감는 것만으로 복수의 권사 유닛을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상체의 사용자는 복수의 사상체를 신속하게 매니지먼트(management)할 수 있다.
(8) 더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의 제조 방법은, 중앙부 및 양단부를 가지고, 중앙부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하여 양단부끼리가 대향하는 절첩 자세와 양단부끼리가 대칭으로 이반하는 전개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사상체가 감아 걸린 경우에 당해 사상체가 매끄러운 곡선상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외주면을 가지는 한 쌍의 줄 걸이부를 구비한 권사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개 자세로 된 상태로, 일방의 줄 걸이부에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린 후에 계속해서 타방의 줄 걸이부에 반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리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호로 교차한 상태로 사상체가 감기는 공정과, 사상체가 줄 걸이부에 감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자세 변화되는 공정과, 절첩 자세로 자세 변화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사상체가 인출 가능한 상태로 케이싱에 수용되고 위요(圍繞) 보지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법에 의하면, 권사는 사상체와는 별개로 제조되고, 권사에 대하여 사상체가 감기는 것에 의하여 권사 유닛이 완성한다. 환언하면, 권사만이 미리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으로서의 권사가 효율적으로 생산되고, 부품 코스트가 삭감된다. 마찬가지로, 미리 대량으로 제조된 사상체가 권사에 효율적으로 감기기 때문에, 사상체를 권사에 감는 작업의 코스트가 저감된다. 따라서, 권사 유닛이 효율적으로 싼값으로 제조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권사는 상기와 같이 자세 변화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상체가 사용된 후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개 자세로 변화되는 것에 의하여, 다시 사상체만이 권사에 감긴다. 즉, 권사의 리사이클이 가능하게 되어, 쓰레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련되는 권사는, 감음 자국이 나는 일 없이, 사상체를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권사에 사상체가 감긴 권사 유닛에서는, 당해 권사로부터 꺼내진 사상체는, 곧고 매끄러운 상태가 유지된다. 그 결과, 사상체가 낚싯줄인 경우는, 감음 자국에 의한 노화가 방지되고, 수중에서 자연의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사상체가 수술용 봉합실인 경우 의사는 봉합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의 전면 덮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의 케이싱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의 사상체의 권취 요령을 모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로부터 줄이 풀리는 요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의 본체부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권사 유닛 11: 권사
12: 사상체 13: 케이싱
14: 베이스 플레이트 15: 줄 걸이부
16: 줄 걸이부 17: 보조 플레이트
18: 보조 플레이트 21: 중앙부
22: 외주면 23: 내면
24: 외주면 25: 단면
26: 단면 27: 플랜지부
28: 고정부 30: 측 가장자리
31: 플랜지부 32: 고정부
34: 측 가장자리 41: 가이드 링
44: 관통공 45: 관통공
46: 삽통공 51: 사상체의 일단
52: 사상체의 타단 60: 권사 유닛
61: 케이스 72: 상벽(제1 주벽)
73: 하벽(제2 주벽) 74: 단벽(결합체)
76: 단원통상부(제1 돌출부) 77: 단원통상부(제2 돌출부)
78: 설편부(제1 편상부) 82: 설편부(제2 편상부)
86: 권사 98: 본체부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권사 유닛(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권사 유닛(10)은, 권사(11)와, 이 권사(11)에 권취되고, 보지된 사상체(12)와, 사상체(12) 및 권사(11)를 수용하는 케이싱(1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상체(12)는 낚싯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10)은 낚싯줄이 권사에 권취된 낚싯줄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권사(11)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권사(11)의 평면도, 도 5는, 도4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11)는, 베이스 플레이트(14)와, 줄 걸이부(15, 16)와, 보조 플레이트(17, 18)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수지, 종이,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박육(薄肉)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중앙부(21)의 제1 부위(19) 및 제2 부위(20)에서 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곧게 연 장된 자세(전개 자세)와, 당해 자세로부터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자세(절첩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절첩 자세로 되었을 때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양단부끼리가 대향한다(도 2 및 도 9 참조).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전개 자세로 되었을 때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양단부끼리가 대칭으로 이반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줄 걸이부(15) 및 줄 걸이부(16)는, 수지, 목재,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사상체(12)는, 후술의 요령으로 줄 걸이부(15, 16)에 감아 걸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줄 걸이부(15)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줄 걸이부(15)의 외주면(22)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줄 걸이부(15)에 감아 걸린 사상체(12)는, 원호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줄 걸이부(15)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4)의 내면(23)에 돌설(突設, 튀어나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줄 걸이부(15)의 축방향 치수(도 3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치수)는, 예를 들면 5㎜ ~ 10㎜로 설정된다. 단, 이 치수는, 사상체(12)의 선경(線徑, 선의 직경)에 대응하여 적의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줄 걸이부(16)는 줄 걸이부(15)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진다. 즉, 줄 걸이부(16)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24)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줄 걸이부(16)에 걸어 감긴 사상체(12)는, 원호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줄 걸이부(16)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줄 걸이부(15)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4)의 내면(23)에 돌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줄 걸이부(16)는, 상기 중앙부(21)를 기준으로 하여 줄 걸이부(15)와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줄 걸이부(16)의 축방향 치수(동 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치수)는, 줄 걸이부(15)의 축 방향 치수와 마찬가지로 5㎜ ~ 10㎜로 설정된다. 단, 줄 걸이부(16)의 축방향 치수는, 줄 걸이부(15)의 축방향 치수에 따라 변화하고, 줄 걸이부(15)의 축방향 치수와 동일 치수로 설정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절첩 자세로 변화하였을 때는, 줄 걸이부(15)의 단면(25)과 줄 걸이부(16)의 단면(26)이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줄 걸이부(15, 16)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줄 걸이부(15, 16)의 형상은 원기둥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들 줄 걸이부(15, 16)는, 걸어 감긴 사상체가 매끄러운 곡선상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종류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줄 걸이부(15, 16)는, 단면이 반원형의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곡면이 형성된 이형(異形)의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보조 플레이트(17)는 수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조 플레이트는, 박육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플레이트(17)는 줄 걸이부(15)의 단면(25)에 취부되어 있다. 보조 플레이트(17)의 취부 수단은 접착제 외 열 융착 그 외의 기지의 고착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보조 플레이트(17)는, 플랜지부(27)와 고정부(28)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7)는, 보조 플레이트(17)의 굴곡부(29)보다도 외측, 즉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일단부 측의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7)는, 줄 걸이부(15)의 단면(25)에 고정되고, 플랜지를 구성하고 있다. 플랜지부(27)는 베이스 플레이트(14)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27) 및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줄 걸이부(15)의 양단면에 설치된 플랜지를 구성하고 있다.
타방 고정부(28)는, 플랜지부(27)에 연속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4)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28)의 일단이 플랜지부(27)에 연속하고 있고, 이 연속하는 부위가 상기 굴곡부(29)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부(28)의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제1 부위(19)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28)는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7)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4)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8)의 측 가장자리(30)가 경사하고 있다. 즉, 고정부(28)의 폭 방향 치수(D, 베이스 플레이트(14)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중심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치수(D)는, 고정부(28)가 플랜지부(27)에 연속하고 있는 부위에 있어서 최대이며, 고정부(28)가 베이스 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 최소이다.
보조 플레이트(18)는 수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며, 보조 플레이트(17)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덧붙여, 도 3에서는, 보조 플레이트(18) 및 줄 걸이부(16)의 구조가 명료하게 도시되도록, 보조 플레이트(18)가 기립한 상태로 그려져 있다. 단, 실제로는, 보조 플레이트(18)는 줄 걸이부(16)에 고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플레이트(18)는, 보조 플레이트(17)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조 플레이트(18)는 박육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보조 플레이 트(18)는, 줄 걸이부(16)의 단면(26)에 취부되어 있다. 보조 플레이트(18)의 취부 수단은, 접착제 외 열 융착 그 외의 기지의 고착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보조 플레이트(18)는 플랜지부(31)와 고정부(3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1)는, 보조 플레이트(18)의 굴곡부(33)보다도 외측, 즉 베이스 플레이트(14)의 타단부 측의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1)는 줄 걸이부(16)의 단면(26)에 고정되고, 플랜지를 구성하고 있다. 플랜지부(31)는 베이스 플레이트(14)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플랜지부(31) 및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줄 걸이부(16)의 양단면에 설치된 플랜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32)는, 플랜지부(31)에 연속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32)의 일단이 플랜지부(31)에 연속하고 있고, 이 연속하는 부위가 상기 굴곡부(33)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부(32)의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제2 부위(2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2)는,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1)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4)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32)의 측 가장자리(30)가 경사하고 있다. 즉, 고정부(32)의 폭 방향 치수(D, 베이스 플레이트(14)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중심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치수(D)는 고정부(32)가 플랜지부(31)에 연속하고 있는 부위에 있어서 최대이며, 고정부(32)가 베이스 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 최소이다. 고정 부(28) 및 고정부(32)의 폭 방향 치수(D)가 전술과 같이 변화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3)은 직방체의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3)은 수지나 종이 등으로 구성된다. 케이싱(13)의 전면에 개구(開口)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에 연속하여 케이싱(13)의 내부에 수용실(35)이 구획되어 있다. 이 수용실(35)은, 상기 절첩 자세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14)를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수용실(35)은, 상기 절첩 자세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4)가 도 2에 있어서 화살표(37)의 방향을 따라 수용실(35)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소정의 보지력으로 케이싱(13)에 보지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13)은 전면 덮개(3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면 덮개(36)는, 케이싱(13)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실(35)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 전면 덮개(36)는, 면 파스너(surface fastener, 38)(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면 파스너(38)는 훅 테이프(hook tape, 39) 및 루프 테이프(loop tape, 40)를 갖는다(도 2 참조). 루프 테이프(40)가 케이싱(13)에 설치되고, 훅 테이프(39)가 전면 덮개(36) 측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 덮개(36)가 닫혀졌을 때는, 훅 테이프(39)와 루프 테이프(40)가 계합하고, 전면 덮개(36)는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도 6은, 전면 덮개(36)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덮개(36)는 가이드 링(guide ring, 41,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 링(41)은 수지, 금속 그 외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는, 가이드 링(41)은 Sic(실리콘 카바이드, silicon carbide)로 구성된다.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41)은 튜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링(41)은 전면 덮개(36)를 관통하고, 당해 전면 덮개(36)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링(41)은 링 본체(42)와 고정구(43)를 구비하고 있다. 링 본체(42) 및 고정구(43)는, 각각 관통공(44, 45)을 구비하고 있다. 링 본체(42)는, 전면 덮개(36)의 내측으로부터 당해 전면 덮개(36)를 관통하여 끼워 넣어져 있다. 고정구(43)는 전면 덮개(36)를 관통한 링 본체(42)에 당해 전면 덮개(36)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링 본체(42) 및 고정구(43)는, 협동하여 전면 덮개(36)를 사이에 끼우고,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41)이 전면 덮개(36)에 취부되어 있다.
가이드 링(41)이 전면 덮개(36)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44, 45)이 관통하고, 케이싱(1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連通)하는 삽통공(46)을 구성한다. 상기 사상체(12)는 이 삽통공(46)에 삽통되고, 케이싱(1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삽통공(46)의 일부가 확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관통공(44)의 내경 치수는, 케이싱(13)의 내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삽통공(44)은, 케이싱(13)의 내측을 향하여 열린 깔대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46)이 관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는, 후술된다.
도 7은 케이싱(13)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3)은 사지구(47)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사지구(47)는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사지구(47)는, 중앙부(48)와 외연부(外緣部, 49)를 가지고, 외연부(49)는 중앙부(48)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약간 상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사지구(絲止具, 47)는, 사상체(12)를 가(假)보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3)으로부터 꺼내진 사상체(12)의 선단부가, 케이싱(13)과 외연부(49)(도 7 참조)의 사이(50)에 밀어 넣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사상체(12)는 사지구(47)에 보지된다. 단, 사상체(12)가 잡아당겨지는 것에 의하여, 사상체(12)는 간단히 사지구(47)로부터 이탈한다.
도 8은, 사상체(12)의 권취 요령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a)는 평면도이며, 동 도(b)는 측면도이다.
전술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상체(12)는 낚싯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전개 자세로 변화된 상태로, 사상체(12)의 일단(51)이 베이스 플레이트(14)의 내면(23)에 고정된다. 사상체(12)의 고정 위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상체(12)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중앙부(21)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이 사상체(12)는,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보조 플레이트(17)의 사이에서 줄 걸이부(15) 측에 둘러쳐지고, 당해 줄 걸이부(15)의 외주면(22)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린다. 계속해서, 사상체(12)는,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보조 플레이트(17)의 사이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보조 플레이트(18)의 사이로 둘 러쳐지고, 당해 줄 걸이부(16)의 외주면(24)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린다. 나아가, 사상체(12)는,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보조 플레이트(18)의 사이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보조 플레이트(17)의 사이로 둘러쳐진다. 이때, 사상체(12)는 당해 사상체(12)와 크로스하도록 둘러쳐진다. 그리고, 당해 사상체(12)는, 줄 걸이부(15)의 외주면(22)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린 후, 전술과 마찬가지로 줄 걸이부(16)에 감아 걸린다. 즉, 사상체(12)는, 서로 크로스하여 8자상을 나타내도록 줄 걸이부(15)와 줄 걸이부(16)의 사이에 교호로 감아 걸린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상체(12)는, 줄 걸이부(15)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리고, 줄 걸이부(16)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 있지만, 사상체(12)는, 줄 걸이부(16)에 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리고, 줄 걸이부(15)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걸려 있어도 무방하다. 요컨대, 사상체(12)는, 줄 걸이부(15)와 줄 걸이부(16)의 사이에 교호로 교차하도록 감아 걸려있으면 된다. 소정의 길이(낚싯줄의 경우는, 예를 들면 150m)의 사상체(12)가 권사(11)에 감아 걸리면, 당해 사상체(12)가 절단되고, 그 타단(52)이 권사(11)로부터 외부로 유도된다(도 8 참조).
도 9는,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절첩 자세로 변화하였을 때의 권사(11)의 측면도이다.
전술과 같이 권사(11)에 사상체(12)가 감아 걸린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절첩 자세로 변화된다. 이것에 의하여, 사상체(12)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권사(11)는,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3)에 수용된다. 이때, 케이싱(13)의 전면 덮개(36)가 열리고, 권사(11)가 케이싱(13)에 삽입된다. 환 언하면, 권사(11)는, 케이싱(13)에 의하여 위요되고 보지된다. 사상체(12)의 타단(52)은, 케이싱(13)의 전면 덮개(36)에 설치된 가이드 링(41)에 삽통되고, 이 상태로 당해 전연 마개(36)가 닫힌다. 이것에 의하여 사상체(12)는, 케이싱(13)의 외부로 꺼내지고, 권사 유닛(10)이 완성한다. 이 사상체(12)의 사용자(낚시꾼)는, 사상체(12)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소망의 길이의 사상체(12)를 꺼낼 수 있다.
이 권사 유닛(10)에서는, 권사(11)의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전개 자세로 된 상태로 사상체(12)가 한 쌍의 줄 걸이부(15, 16) 사이에 걸치도록 감기기 때문에, 사상체(12)는 강하게 잡아당겨지는 일 없이 매우 느슨하게 감긴다. 그리고, 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절첩 자세로 변화되는 것에 의하여, 사상체(12)가 환상으로 형성되고, 사상체(12)에 발생하는 장력은 거의 제로로 된다. 이 때문에, 사상체(12)는, 거의 무장력의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보지되기 때문에, 사상체(12)에 감음 자국이 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낚시꾼이 사상체(12, 낚싯줄)를 권사(11)로부터 꺼냈을 때에, 사상체(12)가 곧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낚시꾼은 낚싯줄을 다루기 쉽고, 쾌적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덧붙여, 이 사상체(12)는, 낚시꾼 외에 수술용 봉합실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의사가 권사(11)로부터 사상체(12)를 꺼낸 경우에 사상체(12)는 곧은 상태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의사는, 수술에 있어서의 봉합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이 사상체(12)의 사용자는, 당해 사상체(12)를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소망의 길이의 사상체(12)를 꺼낼 수 있다. 이때, 사상체(12)는 각 줄 걸이부(15, 16)로부터 교호로 풀리도록 꺼내진다. 따라서 사상체(12)는,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 여 다량으로 꺼내지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권사(11)에 보조 플레이트(17, 18)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이들 보조 플레이트(17, 18)는 각각 줄 걸이부(15, 16)에 설치된 플랜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사상체(12)를 줄 걸이부(15, 16)에 감아 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사상체(12)를 권사(11)에 감는 작업의 코스트가 저감된다. 게다가, 각 줄 걸이부(15, 16)에 일단 감아 걸린 사상체(12)는, 간단히 줄 걸이부(15, 16)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그 결과, 권사 유닛(10)의 케이싱(13) 내에서 사상체(12)가 얽혀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4) 및 줄 걸이부(15, 16)가 매우 간단한 형상이기 때문에, 권사(11)의 제조 코스트의 상승이 억제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절첩 자세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권사 유닛(10)의 외형 형상이 직방체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권사 유닛(10)은 그 사용자에게 있어서 들기 쉬운 형상으로 된다. 나아가,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플레이트(17)의 고정부(28) 및 보조 플레이트(18)의 고정부(32)의 각각의 폭 방향 치수(D)가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중심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변화하고 있다. 즉,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플레이트(17)의 측 가장자리(30) 및 보조 플레이트(18)의 측 가장자리(34)에 테이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사상체(12)가 줄 걸이부(15, 1)에 감아 걸릴 때에, 당해 사상체(12)는 각 측 가장자리(30, 34)를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사상체(12)를 줄 걸이부(15, 16)에 감아 거는 작업이 일층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10)에서는,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41)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사상체(12)는, 권사(11)의 내부로부터 원활히 꺼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41)의 삽통공(46)의 일부가 확경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상체(12)는 케이싱(13)의 내측으로부터 가이드 링(41)으로 매끄럽게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상체(12)가 가이드 링(41)에 진입할 때에 굴곡하는 일이 없어, 사상체(12)의 손상이 방지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10)은, 전술과 같이 권사(11)가 사상체(12)와는 별개로 제조되고, 권사(11)에 대하여 사상체(12)가 감기는 공정,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절첩 자세로 자세 변화되는 공정, 및 권사(11)가 케이싱(13)에 수용되는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환언하면, 권사(11)만이 미리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으로서의 권사(11)가 효율적으로 생산되고, 부품 코스트가 삭감된다. 마찬가지로, 미리 대량으로 제조된 사상체(12)가 권사(11)에 효율적으로 감기기 때문에, 사상체(12)를 권사(11)에 감는 작업의 코스트가 저감된다. 그 결과, 권사 유닛(10)이 효율적으로 값싸게 제조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권사(11)는, 전술과 같이 자세 변화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상체(12)가 사용된 후는, 베이스 플레이트(14)가 전개 자세로 변화되는 것에 의하여, 다시 사상체(12)만이 권사(11)에 감긴다. 즉, 권사(11)의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쓰레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60)의 분해 사시도이다.
권사(86)는 케이스(61)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61)는 속 박스(62)와 겉 박스(63)로 이루어진다. 속 박스(62)는 직사각형상의 저벽(底壁, 64)과, 저벽(6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측벽(65, 66)과, 저벽(6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단벽(端壁, 67, 68)과, 단벽(67, 68)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계지편(69, 70)을 갖는다. 측벽(65)은 저벽(64)의 일방의 긴쪽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측벽(66)은 저벽(64)의 타방의 긴쪽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단벽(67)은 저벽(64)의 일방의 짧은쪽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단벽(68)은 저벽(64)의 타방의 짧은쪽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계지편(69)은 단벽(67)의 위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계지편(70)은 단벽(68)의 위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단벽(67)은 후술하는 실이 꺼내지기 위한 관통공(7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겉 박스(63)의 외형 형상은 중공으로 편평한 직방체이다. 이 겉 박스(63)는 양단의 벽이 결여된 구조이다.
도 11은, 권사(86)로부터 실이 꺼내지는 용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권사(86)는, 도 11(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벽(72, 제1 주벽)과 하벽(73, 제2 주벽)을 가지고 있다. 상벽(72) 및 하벽(73)은, 모두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자는,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상벽(72) 또는 하벽(73)의 일방의 짧은쪽 가장자리끼리가 단 벽(74, 결합체)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단벽(74)은 상벽(72) 및 하벽(73)의 각각의 짧은쪽 가장자리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벽(72) 및 하벽(73)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고 있다. 이와 같이, 권사(86)는, 대략 C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벽(74)의 반대 측의 단부는, 개방 단부로 되어 있다. 이들 상벽(72), 하벽(73) 및 단벽(74)에 의하여 본체부(98)가 형성되어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방 단부에 폐색 부재(8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폐색 부재(87)는, 하벽(73)의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고, 당해 개방 단부를 폐색하고 있다.
상벽(72)의 이면, 즉 하벽(73)과 대향하는 면에 단(短)원통상부(76, 제1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원통상부(76)는, 상벽(72)의 상기 개방 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단원통상부(76)는, 상벽(72)의 짧은쪽 가장자리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하벽(73)의 이면, 즉 상벽(72)과 대향하는 면에 단원통상부(77, 제2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원통상부(77)는 하벽(73)의 상기 개방 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단원통상부(77)는, 하벽(73)의 짧은쪽 가장자리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단원통상부(77)는 단원통상부(76)와 대응한다. 이들 단원통상부(76, 77)는 같은 크기이다. 단원통상부(76, 77)는, 그 평면 형상이 원형이기 때문에,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만곡부를 가지고 있다.
상벽(72)의 이면에 설편부(舌片部, 78)는 그 기단부가 단벽(74)의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설편부(78)는 확대부(79)와 중간부(80)와 선단부(81)를 가진다. 확대부(79)의 폭 치수(상벽(72)의 짧은쪽 가장자리 방향의 치수)는,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서서히 확대하고 있다. 중간부(80)의 폭 치수는 일정하다. 선단부(81)는 중간 부(80)에 연속하고 있다. 이 설편부(78)의 중심 축선은, 단원통상부(76)의 중심축과 교차한다. 중간부(80)의 폭 치수는, 상벽(72)의 폭 치수보다도 약간 작다. 이 중간부(80) 중 상벽(72)과 대향하는 부분에 단원통상부(76)의 돌출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선단부(81)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하벽(73)의 이면에 설편부(82, 제2 편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부(82)는, 설편부(78)와 마찬가지의 형상이다. 즉, 설편부(82)는 확대부(83), 중간부(84), 선단부(85)를 가지고, 이들은 확대부(79), 중간부(80), 선단부(81)와 마찬가지의 형상이다. 또한, 설편부(82)의 중심 축선은, 단원통상부(77)의 중심축과 교차한다. 중간부(84)의 폭 치수는, 하벽(73)의 폭 치수보다도 약간 작다. 이 중간부(84) 중 하벽(73)과 대향하는 부분에 단원통상부(77)의 돌출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선단부(85)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도 12는 권사(86)의 본체부(98)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이 권사(86)는, 동 도(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의 후지(厚紙)가 한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후지가 구부러지는 것에 의하여, 폐색 부재(87)를 가지는 본체부(98)가 형성된다. 단원통상부(76, 77), 설편부(78, 82)도 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원통상부(76, 77), 설편부(78, 82)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설 편부(78, 82)의 선단부(81, 85)는 휠 수 있다. 덧붙여, 본체부(98), 단원통상부(76, 77), 설편부(78, 82)는, 종이 이외에 합성 수지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낚싯줄은, 다음의 요령으로 권사(86)에 권회된다.
하벽(73)의 일방의 긴쪽 가장자리를 긴쪽 가장자리(89), 타방의 긴쪽 가장자리를 긴쪽 가장자리(90)라 한다. 상벽(72)의 일방의 긴쪽 가장자리(상기 긴쪽 가장자리(89)와 같은 측의 긴쪽 가장자리)를 긴쪽 가장자리(91), 타방의 긴쪽 가장자리(상기 긴쪽 가장자리(90)와 같은 측의 긴쪽 가장자리)를 긴쪽 가장자리(92)라 한다. 확대부(79)의 일방의 가장자리(상기 긴쪽 가장자리(91)의 근방에 있는 가장자리)를 가장자리(93)라 하고, 확대부(79)의 타방의 가장자리(상기 긴쪽 가장자리(92)의 근방에 있는 가장자리)를 (95)라 한다. 확대부(83)의 일방의 가장자리(상기 긴쪽 가장자리(89)의 근방에 있는 가장자리)를 가장자리(94)라 하고, 확대부(83)의 타방의 가장자리(상기 긴쪽 가장자리(90)의 근방에 있는 가장자리)를 (96)라 한다.
낚싯줄(88)의 기단부는, 하벽(73) 또는 설편부(82)의 확대부(83)의 긴쪽 가장자리(89)의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낚싯줄(88)은 기단부로부터 설편부(82)와 하벽(73)의 사이를 단원통상부(77)까지 연장하여, 단원통상부(77)에 감아 걸린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88)은 긴쪽 가장자리(90) 측으로 되돌아오고, 설편부(82)의 확대부(83)의 가장자리(96)의 일부와 교차하여 단벽(74)의 중앙 부근까지 연장된다. 이 작업에 의하여 낚싯줄(88)은 대략 타원형의 환상으로 형성된다.
낚싯줄은 나아가, 상벽(72)의 긴쪽 가장자리(91) 측으로 연장되고, 설편부(78)의 확대부(79)의 가장자리(93)와 교차하여, 설편부(78)와 상벽(72)의 사이로 들어간다. 낚싯줄(88)은 단원통상부(76)에 감아 걸리고, 이것에 의하여 긴쪽 가장자리(92) 측으로 되돌아오고, 확대부(79)의 가장자리(95)에 교차하여 단벽(74) 측으로 연장한다. 나아가, 낚싯줄(88)은, 하벽(73)의 긴쪽 가장자리(89) 측으로 연장하고, 확대부(83)의 가장자리(94)에 교차하여 설편부(82)의 사이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여, 낚싯줄(88)이 한바퀴 감겨, 8자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단원통상부(76, 77) 사이에 교호로 낚싯줄(88)이 감아 걸린다. 덧붙여 동 도면에서는, 도면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낚싯줄(88)이 한바퀴 감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낚싯줄(88)의 선단은 예를 들면 도 12(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편부(78)의 선단부(81)의 중도로부터, 폐색 부재(87)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97)을 통하여 외부로 꺼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설편부(82)의 선단부(85)의 중도로부터 낚싯줄(88)의 선단부가 꺼내지는 일도 있다. 그 후 도 12(a)의 한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서 후지가 구부러지고, 도 11(a)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8자상으로 형성된 낚싯줄(88)은, 그 중심에서 접혀 환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98)는 속 박스(62)에 수용된다. 속 박스(62)에 권사(86)의 폐색 부재(87)가 수용된다. 이때, 폐색 부재(87)는 속 박스(62)의 단벽(67)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폐색 부재(87)로부터 꺼내진 낚싯줄(88)은, 속 박스(62)의 단벽(67) 관통공(71)으로부터 외부로 꺼내진다. 그리 고 계지편(69, 70)이 저벽(64)과 평행하게 되도록 구부려지고, 이 상태로 속 박서(62)가 겉 박스(63)에 수용된다.
도 11(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88)의 선단부가 설편부(82)의 중도에 교차하여 설편부(78, 82)의 사이로부터 관통공(97)을 통과하고 있는 경우, 낚싯줄(88)의 선단이 상방으로 잡아당겨지면, 당해 낚싯줄(88)이 설편부(82)의 선단부(85)를 상벽(72) 측으로 휘게 하고, 낚싯줄(88) 중 설편부(82)와 하벽(73)의 사이에 있는 부분이 설편부(78, 82) 사이로 이동한다(도 11(b)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한층 더 낚싯줄(88)이 잡아당겨지면, 낚싯줄(88) 중 단벽(74)의 근방에 있던 부분이 설편부(78)의 가장자리(93)를 통과하여 단원통상부(78)의 폐색 부재(87)의 근방까지 이동한다(도 11(c) 참조). 이 상태로 낚싯줄(88)이 잡아당겨지면, 설편부(78)가 설편부(82) 측으로 휘고, 낚싯줄(88) 중 단벽(74)으로부터 단원통상부(76)의 근방에 있던 부분이 설편부(78, 82) 사이로 이동한다(도 11(d)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한층 더 낚싯줄(88)이 잡아당겨지면, 낚싯줄(88) 중 단벽(74) 근방에 위치하는 되돌아온 부분이 꺼내진다(도 11(e)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단원통상부(76, 77) 사이에 감긴 낚싯줄(88)이 한바퀴분 만큼 꺼내진다. 나아가 낚싯줄(88)이 꺼내지는 경우는, 도 11에 도시된 작업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88)은 8자상으로 감겨있기 때문에, 꺼내진 낚싯줄(88)에는 감음 자국이 나있지 않다. 또한, 작업자는, 낚싯줄(88)을 간단히 직선적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간단히 낚싯줄(88)을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권사(86)는 후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권사(86)를 구성 하는 재료는 후지 이외의 것도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고무, 합성 수지 등 여러 종류의 재료에 의하여 권사(86)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61)는 속 박스(62)와 겉 박스(63)를 가지지만, 겉 박스(63) 만으로 케이스(61)가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속 박스(62)나 겉 박스(63)를 투명 재료에 의하여 구성하고, 본체부(98)가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속 박스(62)나 겉 박스(63)를 방수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겉 박스(63)의 적소에 파스너를 설치하고, 낚시꾼의 의복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케이스(4)를 취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폐색 부재(87)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100)의 사시도이다.
이 권사 유닛(10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권사 유닛(10)과, 이를 보지하는 홀더(holder, 101)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101)는, 예를 들면 낚시꾼이 허리에 장착할 수 있고, 낚시꾼은 이 홀더(101)를 장착한 상태로 낚시를 행할 수 있다. 덧붙여, 홀더(101)에 보지된 권사 유닛(10)은, 도 1부터 도 9에 도시된 구조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 권사 유닛(10)에 관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101)에 4개의 권사 유닛(10)이 보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4 종류의 사상체(12)가 권사 유닛(100)에 보지되어 있는 것이 된다. 다만, 홀더(101)에 보지되는 권사 유닛(10)의 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101)는, 프런트 플레이트(front plate, 102, 취부부)와, 보지 벨트(103)를 구비하고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02)는,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프런트 플레이트(102)는, 길고 가는 대상(帶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취부부(104, 105)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06)를 갖는다. 낚시꾼은 프런트 플레이트(102)를 복부에 댄 상태로 홀더(101)를 장착한다. 이때, 프런트 플레이트(102)는 낚시꾼의 복부를 따라 변형하고, 낚시꾼의 신체를 따른다.
연결부(106)는 프런트 플레이트(102)의 중앙부가 노치(notch)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프런트 플레이트(102)는 낚시꾼의 체형에 맞춰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프런트 플레이트(102)가 충분한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부(106)가 생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취부부(104) 및 취부부(105)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낚시꾼이 홀더(101)를 장착한 상태로, 취부부(104)가 낚시꾼의 복부의 우측에 배치되고, 취부부(105)가 낚시꾼의 복부의 좌측에 배치된다. 취부부(104) 및 취부부(105)에 각각 2개의 권사 유닛(10)이 취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복부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2종류의 낚싯줄을 보지할 수 있고, 실제로 낚시를 하고 있는 중에 적절한 낚싯줄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다.
각 권사 유닛(10)은, 예를 들면 면 파스너를 통하여 프런트 플레이트(102)에 취부되어 있다. 즉, 권사 유닛(10) 또는 프런트 플레이트(102) 중 어느 일방에 훅 테이프가 고정되고, 권사 유닛(10) 또는 프런트 플레이트 중 어느 타방에 루프 테이프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권사 유닛(10)이 착탈 가능하게 프런트 플레이 트(102)에 취부된다. 또한 권사 유닛(10)을 구성하는 케이싱(13, 도 2 참조)이 프런트 플레이트(102)에 고착되는 것에 의하여, 권사 유닛(10)이 프런트 플레이트(102)에 취부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케이싱(13)은, 예를 들면 접착제 등에 의하여 프런트 플레이트(102)에 고착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권사 유닛(10)이 프런트 플레이트(102)의 전면에 노출하고 있지만, 프런트 플레이트(102)에 포켓이 설치되고, 이 포켓에 권사 유닛(10)이 수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당해 포켓은 포켓 본체와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켓 본체는, 권사 유닛(10)이 출납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권사 유닛(10)을 완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는 파스너를 통하여 포켓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스너는 방수 파스너인 것이 바람직하며, 낚시꾼이 이 파스너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포켓 본체의 개구가 간단히 개폐된다. 낚시꾼은, 상기 파스너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를 개방하여 권사 유닛(10)을 포켓 본체에 수용할 수 있고, 또한, 권사 유닛(10)을 포켓 본체로부터 꺼낼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덮개는 사상체(12)가 꺼내지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권사 유닛(10)으로부터 꺼내진 사상체(12)는 상기 덮개의 구멍에 삽통되고, 외부로 유도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상기 덮개를 조작하는 일 없이 사상체(12)를 꺼낼 수 있다.
보지 벨트(103)는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지 벨트(103)는 2분할되어 있고, 벨트편(107, 108)과, 이들을 접속하는 버 클(buckle, 109)을 구비하고 있다. 벨트편(107)의 일단(112)은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102)의 우단에 연결되어 있다. 벨트편(108)의 일단(113)은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102)의 좌단에 연결되어 있다. 벨트편(107)의 타단에 버클(109)의 수편(雄片, 110)이 고정되어 있고, 벨트편(108)의 타단에 버클(109)의 암편(雌片, 111)이 고정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는 이들 수편(110)과 암편(111)이 계합하고 있고, 각 벨트편(107, 108)이 연결되어 있다. 버클(109)이 조작되는 것에 의하여 수편(110)과 암편(111)의 계합이 해제되고, 각 벨트편(107, 108)이 분리된다. 덧붙여, 버클(109)은 기지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따라서 버클(109)에 관한 설명은 생략된다.
낚시꾼은 낚시를 행할 때에 권사 유닛(100)을 신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권사 유닛(10)을 장비할 수 있다. 이 권사 유닛(100)은, 보지 벨트(10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프런트 플레이트(102)를 복부에 댄 상태로 보지 벨트(103)를 허리에 감는 것만으로 간단히 권사 유닛(100)을 장착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02)에 복수의 권사 유닛(10)이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과 같이, 낚시꾼은, 당해 낚시 장소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낚싯줄을 신속하게 매니지먼트할 수 있다. 덧붙여, 낚싯줄 유닛(1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줄 유닛(10)이기 때문에, 꺼내진 낚싯줄에 감음 자국이 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8)

  1. 중앙부 및 양단부(兩端部)를 가지고, 중앙부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하여 양단부끼리가 대향하는 절첩(折疊) 자세와 양단부끼리가 대칭으로 이반하는 전개(展開)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줄 걸이부를 가지고,
    당해 줄 걸이부는, 감아 걸린 사상체(絲狀體)가 매끄러운 곡선상(狀)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외주면(外周面)을 구비하고 있는 권사(卷絲).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는 각 줄 걸이부의 각각의 단면(端面)에, 플랜지(flange)를 형성하는 보조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권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줄 걸이부는, 외주면이 원호를 형성하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상기 줄 걸이부의 단면에 고정된 플랜지부와, 일단(一端)이 플랜지부에 연속 하는 고정부를 가지고,
    당해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他端)이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권사.
  4. 제1 주벽 및 제2 주벽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주벽의 일방(一方)의 단부와 제2 주벽의 일방의 단부가 결합체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1 주벽의 타방(他方)의 단부 및 제2 주벽의 타방의 단부가 개방 단부로 되어 있는 본체부와,
    제1 주벽의 내면에 제2 주벽 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彎曲)하고 있는 제1 돌출부와,
    제2 주벽의 내측에 제1 주벽 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는 제2 돌출부와,
    제1 주벽의 내면의 상기 결합체 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신연(伸延)하고, 중도의 이면(裏面)이 제1 돌출부의 돌출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先端) 가장자리가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부가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제1 편상부(片狀部)와,
    제2 주벽의 내면의 상기 결합체 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신연하고, 중도의 이면이 제2 돌출부의 돌출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 가장자리가 상기 개방 단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적어도 상기 개방 단부 측의 선단부가 가요성을 가지는 제2 편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권사.
  5. 중앙부 및 양단부를 가지고, 중앙부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하여 양단부끼리가 대향하는 절첩 자세와 양단부끼리가 대칭으로 이반하는 전개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사상체가 감아 걸린 경우에 사상체가 매끄러운 곡선상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외주면을 가지는 한 쌍의 줄 걸이부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개 자세로 된 상태로, 일방의 줄 걸이부에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린 후에 계속해서 타방의 줄 걸이부에 반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리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차한 상태로 권취된 장척(長尺)의 사상체와,
    당해 사상체, 줄 걸이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수용 보지(保持)하는 케이싱과,
    당해 사상체를 케이싱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 권사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사상체가 삽통되는 삽통공이 설치된 튜브(tube)를 가지고, 당해 삽통공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향하여 점차 매끄럽게 확경(擴徑)되어 있는 권사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케이싱이 취부되는 취부부와,
    상기 사상체의 사용자의 복부에 상기 취부부를 배치하도록 당해 사용자의 요부(腰部)에 계지(係止)되는 보지 벨트를 구비하고 있는 권사 유닛.
  8. 중앙부 및 양단부를 가지고, 중앙부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하여 양단부끼리가 대향하는 절첩 자세와 양단부끼리가 대칭으로 이반하는 전개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당해 벨트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사상체가 감아 걸린 경우에 당해 사상체가 매끄러운 곡선상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외주면을 가지는 한 쌍의 줄 걸이부를 구비한 권사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개 자세로 된 상태로, 일방의 줄 걸이부에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린 후에 계속해서 타방의 줄 걸이부에 반 소정 방향으로 감아 걸리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줄 걸이부 사이에 교호로 교차한 상태로 사상체가 감기는 공정과,
    사상체가 줄 걸이부에 감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첩 자세로 자세 변화되는 공정과,
    절첩 자세로 자세 변화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사상체가 인출 가능한 상태로 케이싱에 수용되고 위요(圍繞) 보지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권사 유닛의 제조방법.
KR1020097007694A 2006-09-15 2006-10-02 권사, 권사 유닛 및 권사 유닛 제조 방법 KR20090059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51736 2006-09-15
JP2006251736A JP3899117B1 (ja) 2006-09-15 2006-09-15 糸巻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158A true KR20090059158A (ko) 2009-06-10

Family

ID=379421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694A KR20090059158A (ko) 2006-09-15 2006-10-02 권사, 권사 유닛 및 권사 유닛 제조 방법
KR1020070027107A KR100842811B1 (ko) 2006-09-15 2007-03-20 실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107A KR100842811B1 (ko) 2006-09-15 2007-03-20 실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99256B2 (ko)
EP (1) EP2093180B1 (ko)
JP (1) JP3899117B1 (ko)
KR (2) KR20090059158A (ko)
CN (2) CN101528576B (ko)
AU (1) AU2006348333B2 (ko)
BR (1) BRPI0622011A2 (ko)
CA (1) CA2664225C (ko)
RU (1) RU2415801C2 (ko)
WO (1) WO2008032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485A1 (ja) * 2007-07-10 2009-01-15 Shimano, Inc. 糸巻及び糸状体ユニット
JP4072565B1 (ja) * 2007-07-30 2008-04-09 冨士太 木村 糸繰り出し装置
JP5674081B2 (ja) * 2008-03-12 2015-02-25 冨士太 木村 糸状体ユニット
JP4401427B1 (ja) * 2008-11-25 2010-01-20 冨士太 木村 糸巻き
JP5571964B2 (ja) * 2010-01-25 2014-08-13 株式会社シマノ 糸の巻回装置
JP5798121B2 (ja) * 2010-09-01 2015-10-21 株式会社キム工 糸収容体
JP5739263B2 (ja) * 2011-07-29 2015-06-24 株式会社キム工 条体の容器
GB2509666B (en) 2011-10-31 2017-12-13 Measurement Ltd Combination tire temperature, pressure and depth measuring device
WO2014036293A1 (en) * 2012-08-31 2014-03-06 Adc Telecommunicatios, Inc. Cable packing systems and methods
CN106006167B (zh) * 2016-07-18 2018-12-14 张雅 一种手术室护理用手术线固定装置
JP6116744B1 (ja) * 2016-10-17 2017-04-19 冨士太 木村 条体の収容体
JP6978310B2 (ja) * 2017-12-28 2021-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糸係止具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CN114212608B (zh) * 2021-12-10 2023-10-31 内蒙古生力资源集团红旗化工有限公司 一种8字型绕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7510A (en) * 1951-11-02 1954-05-04 Osborne Harold Smith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andling and storing strand material
JPS4737418U (ko) 1971-05-14 1972-12-25
JPS5723408Y2 (ko) * 1979-11-15 1982-05-21
JPS5676671A (en) * 1979-11-29 1981-06-24 Fujitsu Ltd Digital telephone network monitor system
US5109983A (en) * 1991-01-28 1992-05-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ckage for an optical fiber jumper
JPH04355410A (ja) * 1991-06-01 1992-12-09 Sumitomo Electric Ind Ltd 通信線収納具および収納方法
JP2539756B2 (ja) 1993-11-17 1996-10-02 関西真空株式会社 糸条類のスプ―ル巻き方法及び装置
JPH09137933A (ja) 1995-11-14 1997-05-27 Katsura Clean Center:Kk バキューム車の排気脱臭装置
JP2909424B2 (ja) 1996-01-10 1999-06-23 冨士太 木村 釣糸巻取装置
JP3121547B2 (ja) 1996-10-08 2001-01-09 冨士太 木村 釣糸巻取り装置
JP2872974B2 (ja) 1996-10-08 1999-03-24 冨士太 木村 釣糸巻取り装置
JPH10253836A (ja) * 1997-03-14 1998-09-25 Hakusan Seisakusho:Kk 光ケーブル心線の余長処理装置
JP2966374B2 (ja) 1997-06-12 1999-10-25 冨士太 木村 釣糸巻取装置
JPH11180641A (ja) 1997-12-24 1999-07-06 Fujita Kimura 釣糸巻取機の巻取ガイド装置
JP2912615B1 (ja) * 1998-06-19 1999-06-28 大電株式会社 電線・ケーブル包装体
JP3076805B1 (ja) 1999-10-14 2000-08-14 冨士太 木村 釣糸姿勢矯正装置
JP2001151206A (ja) 1999-11-25 2001-06-05 Fujita Kimura 結束装置
JP2001148987A (ja) 1999-11-25 2001-06-05 Fujita Kimura 釣糸束製造装置
JP2001299173A (ja) 2000-04-28 2001-10-30 Fujita Kimura 釣糸用スプール
JP2002084943A (ja) 2000-09-19 2002-03-26 Fujita Kimura 釣糸ユニットおよび釣糸巻取装置
JP3641198B2 (ja) 2000-09-25 2005-04-20 冨士太 木村 釣糸ユニットおよび釣糸巻取装置
JP3505506B2 (ja) 2000-12-08 2004-03-08 木村 冨士太 スプール
JP3455737B2 (ja) 2001-06-14 2003-10-14 冨士太 木村 釣糸ユニットおよび釣糸巻取装置
JP2002369646A (ja) 2001-06-15 2002-12-24 Fujita Kimura 釣糸用スプール組立体および釣糸用スプール
JP3414725B2 (ja) 2001-07-02 2003-06-09 冨士太 木村 釣糸用スプール組立体および釣糸用スプール
CN2497543Y (zh) * 2001-09-13 2002-07-03 卢汉吉 钓鱼用手持式绕线器
JP2004215636A (ja) 2003-01-15 2004-08-05 Fujita Kimura 釣糸用スプール
JP2004215637A (ja) 2003-01-15 2004-08-05 Fujita Kimura 釣糸用スプール
JP2004313150A (ja) 2003-04-16 2004-11-11 Fujita Kimura 釣糸切断具及び釣糸用スプール
JP2005000151A (ja) 2003-06-11 2005-01-06 Fujita Kimura 釣糸用スプール
JP3685796B2 (ja) 2004-02-04 2005-08-24 冨士太 木村 糸巻
JP3816084B2 (ja) 2004-04-20 2006-08-30 冨士太 木村 糸巻き
CN1763286A (zh) * 2004-10-19 2006-04-26 陆利群 手摇绕线器
JP2005218446A (ja) 2005-01-18 2005-08-18 Fujita Kimura 糸巻
JP3878196B2 (ja) 2005-02-15 2007-02-07 冨士太 木村 釣糸用スプール
JP2006230207A (ja) * 2005-02-22 2006-09-07 Fujita Kimura 釣糸用スプール
US7072560B1 (en) * 2005-03-10 2006-07-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wist free method of optical fiber stowage and payout
US7330627B2 (en) * 2006-04-07 2008-02-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iled cable product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8576B (zh) 2011-03-16
CN101955091B (zh) 2012-01-25
AU2006348333A1 (en) 2008-03-20
JP3899117B1 (ja) 2007-03-28
US20090277989A1 (en) 2009-11-12
EP2093180A4 (en) 2011-01-12
KR100842811B1 (ko) 2008-07-01
RU2415801C2 (ru) 2011-04-10
US7699256B2 (en) 2010-04-20
WO2008032420A1 (fr) 2008-03-20
CN101528576A (zh) 2009-09-09
EP2093180B1 (en) 2012-12-12
CA2664225A1 (en) 2008-03-20
CA2664225C (en) 2013-12-31
CN101955091A (zh) 2011-01-26
BRPI0622011A2 (pt) 2011-12-20
JP2008067671A (ja) 2008-03-27
AU2006348333B2 (en) 2012-09-06
EP2093180A1 (en) 2009-08-26
KR20080025281A (ko) 2008-03-20
RU2009114157A (ru)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9158A (ko) 권사, 권사 유닛 및 권사 유닛 제조 방법
CN105120768A (zh) 缝合器
JP4995535B2 (ja) 釣り糸携帯具
JP2011211469A (ja) イヤホンコード巻き付け収納装置
JP5117497B2 (ja) 糸巻及び糸状体ユニット
KR200277447Y1 (ko) 고정밴드
JP3235254U (ja) 釣具用バンド
JP3137772U (ja) 釣り用仕掛の包装体
KR200484589Y1 (ko) 이어폰 줄 정리기
JP2018117767A (ja) こぶ付紐用の先端固定具
KR200194980Y1 (ko) 릴 낚시줄 풀림 방지용 밴드
JPH11266765A (ja) 糸付き釣り針用包装体
JP2576826Y2 (ja) 魚釣用リールケース
JPH053018Y2 (ko)
JP2005287361A (ja) イカ角
KR200334486Y1 (ko) 낚싯대 보호캡
JPS5912070Y2 (ja) 釣り針保持具
JP3056636U (ja) ごみ収集用袋
JP3107147U (ja) ポケット紐束
JPS6038968Y2 (ja) 医科用縫合針セツトのケ−ス
JP2011156084A (ja) 紐保持具
JP2014046578A (ja) ペンホルダー付の手帳カバー
GB2211648A (en) Guitar strap attachment
JP2006345469A (ja) イヤホン絡み防止ケース
JP2004008383A (ja) かば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