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133A -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4133A
KR20080104133A KR1020087021116A KR20087021116A KR20080104133A KR 20080104133 A KR20080104133 A KR 20080104133A KR 1020087021116 A KR1020087021116 A KR 1020087021116A KR 20087021116 A KR20087021116 A KR 20087021116A KR 20080104133 A KR20080104133 A KR 20080104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ey
rod
integrated
bar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로 오이에
가즈유키 시미즈
히로시 도네
다카히로 와시즈
류이치 다바타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4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change equal to a sum deposi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87Banknote chang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은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 화폐처리기(3) 및 제어수단(5)을 구비한다. 제어수단(5)의 유저 지시부(50a, 50b)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산출한다. 제2지시가 보내진 경우에 화폐수납부(경화수납부(106) 또는 지폐수납부(206))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 중 전술의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화폐방출부(경화취출구(116) 또는 지폐취출구(216))에서 방출시키도록 지령부(52)가 지령을 부여한다.
거스름돈, 제어수단, 봉형집적경화, 화폐, 지폐, 경화

Description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CHANGE REPLENISHING/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복수 금종(金種)의 봉형집적경화(봉금경화(棒金硬貨); 동일 금종의 경화를 일정 개수씩 봉 형상으로 정리해서 포장한 것)를 수납할 수 있는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봉금수납고(棒金收納庫)) 및 경화나 지폐 등의 화폐를 처리하기 위한 화폐처리기를 구비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에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포장을 풀어서 얻은 흐트러진 경화(loose coin)를 거스름돈용으로서 경화 거스름돈 기기에 보충할 때에 관리하기 위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636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63682호 공보에 기재된 시스템은 경화 거스름돈 기기나 지폐 거스름돈 기기를 포함하는 POS 레지스터(Point-Of-Sale register) 및 상기 POS 레지스터에 통신 접속된 포장 경화 처리장치를 구비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필요에 따라 포장 경화 처리장치로부터 봉형집적경화(포장 경화)를 내보내고, 상기 봉형집적경화의 포장을 풀어서 얻은 흐트러진 경화를 거스름돈용으로서 POS 레지스터의 경화 거스름돈 기기에 보충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63682호 공보에 제안된 종래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서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 내의 특정 금종의 경화가 니얼리 엠프티 상태(nearly empty condition; 거의 없는 상태)로 된 경우에 포장 경화 처리장치로부터 그 특정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취출하고, 상기 봉형집적경화의 포장을 풀어서 흐트러진 경화로 하여, 경화 거스름돈 기기에 상기 흐트러진 경화를 보충한다.
그리고, 이러한 흐트러진 경화의 보충이 반복되면, 포장 경화 처리장치 내의 특정 금종의 봉형집적경화가 니얼리 엠프티 상태로 되고, 봉형집적경화의 보충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봉형집적경화는 점포의 출납실 등에서 관리되고, 상기 출납실로부터 봉형집적경화를 조달한다. 이 경우, 현금의 관리를 위해, 출납실로부터 반출되는 봉형집적경화와 등가(동일한 금액)의 화폐를 출납실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출납실로부터 봉형집적경화를 반출해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포장 경화 처리장치에 상기 봉형집적경화를 보충한 경우에는 상기 보충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지폐나 경화를 지폐 거스름돈 기기 또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로부터 취출하고, 이렇게 취출된 지폐를 출납실에 제공해야만 했다. 이러한 작업은 출납원 등에게 큰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봉형집적경화의 보충과 관련한 일련의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납장치 본체, 상기 수납장치 본체에 대하여 인출가능하게 제공된 특정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각각 1개씩 수납가능한 복수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가 제공된 봉형집적경화 서랍 및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의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 마다 봉형집적경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봉형집적경화 유무 검출부를 구비하고, 복수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수납할 수 있는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 외부로부터 화폐를 수용하는 화폐수용부, 상기 화폐수용부에 의해 수용된 화폐를 금종별로 수납하는 화폐수납부 및 상기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화폐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근방에 배치되는 화폐처리기; 및 상기 화폐처리기의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를 상기 화폐방출부에서 자동적으로 방출시키게 제어하고, 조작자가 지시를 부여하기 위해 유저 지시부 및 상기 화폐처리기에 지령을 주는 지령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지시부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상기 봉형집적경화 유무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산출하고, 제2지시가 보내진 때에 상기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 중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상기 화폐방출부에서 방출되도록 상기 지령부가 지령을 부여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이다.
이러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에 있어서 특정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보충할 경우, 조작자는 단지 유저 지시부에 제1지시를 주고, 이후에 봉형집적경화가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보충되고, 그리고 제2지시를 부여함으로써, 보충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가 화폐처리기로부터 방출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보충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화폐처리기로부터 수동으로 취출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일련의 보충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에는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봉형집적경화 유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유무에 관한 정보가 보내지고, 상기 정보에 기초해서 해당 제어수단이 화폐처리기에 직접 지령을 주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 POS 레지스터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시스템 전체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유저 지시부는 상기 화폐처리기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유저 지시부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만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을 상기 수납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조작자에 의한 봉형집적경화 서랍의 인출/압입이 규제되고, 조작자가 예를 들면 제1지시를 보내기 전에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봉형집적경화를 수납해버리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폐처리기는 상기 화폐 중 경화를 출납하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와 상기 화폐 중 지폐를 출납하는 지폐 거스름돈 기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지령부는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해당 화폐의 수량이 최소로 되게 금종 및 수량을 조합시켜 상기 화폐방출부에서 방출시키도록 지령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화폐방출부에서 방출되는 대체 화폐의 수량이 최소로 되어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유저 지시부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수납되어 있는 봉형집적경화의 합계 금액이 감소한 것으로 산출된 경우, 상기 지령부는 상기 화폐처리기에 대하여 화폐를 방출하지 않도록 지령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 및 화폐처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상측 사시도이고, (b)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의 변위를 (a) 폐쇄 위치, (b) 압입 위치, (c) 검출 시작/종료 위치, (d) 검출 종료/시작 위치, (e) 인출 위치의 각 위치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에 있어서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과 변위 검출수단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로터리 엔코더 및 센서의 출력 신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경화 거스름돈 기기 및 지폐 거스름돈 기기의 케이스의 앞 부분 표면에 각각 제공된 조작·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 및 화폐처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상측 사시도이고, (b)는 하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의 변위를 (a) 폐쇄 위치, (b) 압입 위치, (c) 검출 시작/종료 위치, (d) 검출 종료/시작 위치, (e) 인출 위치의 각 위치에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에 있어서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과 변위 검출수단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로터리 엔코더 및 센서의 출력 신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2에 나타낸 경화 거스름돈 기기 및 지폐 거스름돈 기기의 케이스의 앞 부분 표면에 각각 제공된 조작·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 경화처리기 및 제어기의 구체적인 구성,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 및 변형예를 차례로 설명한다.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은 경화나 지폐 등의 화폐를 처리하기 위한 화폐처리기(3), 복수 금종(金種)의 봉형집적경화(봉금경화(棒金硬貨))를 수납할 수 있는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봉금수납고(棒金收納庫))(1) 및 이러한 화폐처리기(3)나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제어수단)(5)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출납원 등에 의해 조작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와 화폐처리기(3)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다.
화폐처리기(3)는 경화를 출납하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와 지폐를 출납하는 지폐 거스름돈 기기(3B)로 구성된다. 경화 거스름돈 기기(3A) 및 지폐 거스름돈 기기(3B)는 각각 제어 유닛(36, 37)을 갖고, 상기 제어 유닛(36, 37)은 제어기(5)에 통신 접속된다. 또한,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는 제어 유닛(16)을 갖고, 상기 제어 유닛(16)도 제어기(5)에 통신 접속된다.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구성]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는 수납장치 본체(1a) 및 상기 수납장치 본체(1a)에 대하여 각각 (수평한 종방향으로) 전방으로 수동에 의해 인출가능하게 부착된 3개의 봉형집적경화 서랍(drawer)(11, 12, 13)을 구비한다.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는 특정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1개씩 수납할 수 있는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도 2 참조)가 복수 설치된다.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에 있어서의 봉형집적경화의 수납 자세는 봉형집적경화의 축선이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인출 방향(종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을 향한 수평자세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단(上段)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1)에는 8개의 1엔 봉형집적경화용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와 2개의 5엔 봉형집적경화용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가 제공된다. 또한, 중단(中段)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2)에는 8개의 10엔 봉형집적경화용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와 2개의 50엔 봉형집적경화용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가 제공된다. 하단(下段)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3)에는 8개의 100엔 봉형집적경화용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와 2개의 500엔용 봉형집적경화용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가 제공된다.
또한,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 마다 봉형집적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시스템(18)(봉형집적경화 유무 검출부)을 구비한다. 상기 검출시스템(18)은, 예를 들면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이 수납장치 본체(1a)에 밀어 넣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 마다 봉형집적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제어 유닛(16)은 검출시스템(18)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해서 특정한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에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수납장치 본체(1a)의 전면에는 판정수단으로서의 제어 유닛(16)의 판정 결과에 기초해서 각 금종의 봉형집적경화의 FULL(완전히 채워짐)/EMPTY(품절)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1b)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봉형집적경화 서 랍(11, 12, 13)으로부터 (보통, 출납원 등에 의해) 취출된 봉형집적경화를 「취출 봉형집적경화」라고 칭한다.
도 3에는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수납장치 본체(1a)(도 2 참조) 내부에 제공된 프레임(F)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F)은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을 상기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저부에는 투광 부분(개구 또는 투명 부분)(15)이 형성된다. 상기 투광 부분(15)은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있어서의 복수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도 2 참조)가 제공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동시에, 가장 앞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보다도 전방의 봉형집적경화 서랍의 선단 부근까지 연장된다. 도 5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좌측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랙(R)이 제공된다.
도 4에는 3개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을 대표해서, 하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수납장치 본체(1a)의 전면 패널(1c)(도 2 참조)을 기준으로 한 여러 종방향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a)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전면이 전면 패널(1c)과 대략 면 일치된 「폐쇄 위치」;
(b)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이 폐쇄 위치보다 더 밀어 넣어져서,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전면이 전면 패널(1c)로부터 조금 들어간 「압입 위치」;
(c)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인출시에 검출시스템(18)(도 1 참조)에 의한 검출이 시작되고,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압입시에는 검출시스템(18)에 의한 검 출이 종료하는 「검출 시작/종료 위치」;
(d)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인출시에 검출시스템(18)에 의한 검출이 종료하고,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압입시에는 검출시스템(18)에 의한 검출이 시작되는 「검출 종료/시작 위치」;
(e)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의 모든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도 2 참조)에 대한 봉형집적경화(B)의 수납/취출이 가능해질 때까지 인출된 「인출 위치」;
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4에는 상기 검출시스템(18)(도 1 참조)을 대표해서, 아래의 봉형집적경화 직경센서(S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앞 부분에는 하나의 봉형집적경화 직경센서(S1)와 3개의 봉형집적경화 구멍센서(S21, S22, S23)가 제공된다. 봉형집적경화 직경센서(S1)는 3개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투광 부분(15)을 상하에 끼워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프레임(F)(수납장치 본체(1a))에 고정된 발광 유닛 및 수광 유닛을 갖는다. 봉형집적경화 직경센서(S1)는 폐쇄 위치(도 4(a) 참조)에 있는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가장 앞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보다도 전방의 투광 부분(15)을 광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각 봉형집적경화 구멍센서(S21, S22, S23)는 각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대응해서 제공된다. 각 봉형집적경화 구멍센서(S21, S22, S23)는 각각 대응하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을 양측으로부터 끼워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프레임(F)(수납장치 본체(1a))에 고정된 발광 유닛 및 수광 유닛을 갖는 다. 각 봉형집적경화 구멍센서(S21, S22, S23)는 대응하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수납되는 봉형집적경화(B)의 중심에 대응하는 높이를 광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F)의 앞 부분 좌측에는 상단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1)에 대략 대응한 높이에 단일의 2상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E)가 제공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 엔코더(E)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축(e1)을 갖는다. 입력축(e1)에는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랙(R)에 대응하는 3개의 피니언(P)이 고정된다.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랙(R)과, 대응하는 피니언(P)은 적어도 해당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이 검출 시작/종료 위치(도 4(c) 참조)와 검출 종료/시작 위치(도 4(d) 참조) 사이(폐쇄 위치(도 4(a) 참조)와 인출 위치(도 4(e) 참조)의 사이에서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에 필요한 범위 내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치합하고, 적어도 해당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치합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로터리 엔코더(E)가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에 비례한 수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의 로터리 엔코더(E), 랙(R) 및 피니언(P)은 수납장치 본체(1a)에 대한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16)에는 상기 검출시스템(18)을 구성하는 봉형집적경화 직경센서(S1), 봉형집적경화 구멍센서(S21, S22, S23) 및 로터리 엔코더(E)가 접속된다. 또한, 제어 유닛(16)에는 표시 패널(1b)(도 2 참조), 메모 리(M) 및 통신 인터페이스(T)가 접속된다. 메모리(M)에는 모든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있어서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의 위치와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에 수납되어야 할 봉형집적경화의 금종의 대응 관계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T)는 제어기(5)와 제어 유닛(16)을 통신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유닛(16)은 로터리 엔코더(E)의 출력으로부터 특정되는 어느 하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와 봉형집적경화 직경센서(S1) 및 봉형집적경화 구멍센서(S21, S22, S23)의 각 출력에 기초해서 해당 봉형집적경화 서랍의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에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수납장치 본체(1a)에 대하여 봉형집적경화 서랍을 수동으로 인출/압입하는 경우, 로터리 엔코더(E), 봉형집적경화 직경센서(S1) 및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대응하는 봉형집적경화 구멍센서(S21, S22, S23)는 각각 도 7에 (이들의 일부를)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70, 72, 74)를 출력한다. 이들 출력 신호 중, 로터리 엔코더(E)의 펄스 신호(70)에 의해 수납장치 본체(1a)에 대한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가 특정되고, 이에 따라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의 각 봉형집적경화 센서(S1; S21, S22, S23)에 대한 종방향의 변위가 특정된다. 또한, 각 봉형집적경화 센서(S1; S21, S22, S23)의 신호(72; 74)에 의해 각 봉형집적경화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외연) 및 내측 가장자리(내연)(5엔 및 50엔의 관통된(구멍이 난) 경화 이외의 경우에는 외측 가장자리만)에 의한 투광/차 광(차광의 유무)의 천이(遷移)가 특정된다.
이에 의해, 특정한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 마다 봉형집적경화(B)의 유무뿐만 아니라, 수납되어 있는 봉형집적경화(B)의 직경 및 중심 구멍의 유무도 특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해서, 제어 유닛(16)은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14)에 존재하는 봉형집적경화(B)가 원래 수납해야 할 금종의 봉형집적경화(B) 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화폐처리기의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화폐처리기(3)는 경화를 출납하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와 지폐를 출납하는 지폐 거스름돈 기기(3B)로 구성된다.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와 지폐 거스름돈 기기(3B)는, 각각:
외부로부터 화폐(경화 또는 지폐)를 수용하는 화폐수용부(경화수용구(114)와 지폐수용구(214));
상기 화폐수용부로부터 수용된 수용 화폐의 금종을 식별하는 화폐식별부(경화 식별센서(101)와 지폐 식별센서(201));
상기 화폐식별부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수용 화폐를 금종별로 수납하는 화폐수납부(경화수납부(106)와 지폐수납부(206)); 및
상기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를 외부에 방출하기 위한 화폐방출부(경화취출구(116)와 지폐취출구(216))를 구비한다.
이하, 경화 거스름돈 기기(3A) 및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의 구성에 대해서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 거스름돈 기기(3A)는 앞 부분에 경화수용구(114) 및 경화취출구(116)가 제공된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수용구(114)로부터 수용된 경화를 일층일렬 상태로 반입하기 위한 경화 반입기구(102)가 제공된다. 경화 반입기구(102)의 후방에는 상기 경화 반입기구(102)에 의해 반입된 경화를 반송(搬送)하는 경화반송로(103)가 연장된다. 상기 경화반송로(103)의 도중에는 경화의 금종 등을 식별하는 경화 식별센서(101)와 리젝트(reject)된 경화 등을 배출하기 위한 경화배출부(109)가 제공된다. 경화배출부(109)의 하방향에는 배출된 리젝트 경화 등을 수납하는 기내 수납 상자(104)가 케이스(1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경화반송로(103)의 하류측에는 경화를 금종에 의해 선별하는 금종선별부(105)가 제공된다. 또한, 금종선별부(105)에 의해 선별된 경화를 금종별로 수납하는 경화수납부(106)와 상기 경화수납부(106)에 수납된 경화를 선택적으로 반출하는 경화 반출기구(108)가 구비된다. 경화 반출기구(108)에 의해 반출된 경화는 경화취출구(116)에서 방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낸 지폐 거스름돈 기기(3B)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의 대략 중앙부에 제공된 환상의 주회반송로(203a)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스(210) 내에는 지폐 반입유닛(202), 지폐수납부(206), 지폐 방출유닛(208), 출금 리젝트부(204) 및 지폐회수 카세트(207)가 주회반송로(203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해서 배치된다.
또한, 지폐 반입유닛(202), 각 지폐수납부(206), 지폐 방출유닛(208), 출금 리젝트부(204) 및 지폐회수 카세트(207)와 주회반송로(203a)의 사이를 접속하는 지폐의 접속반송로(203b)가 각각 형성된다. 주회반송로(203a)의 우측 부분에는 여기를 통과하는 지폐의 금종 등을 식별하기 위한 지폐 식별센서(201)가 제공된다. 또한, 주회반송로(203a)와 각 접속반송로(203b)의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 전환수단(미도시)이 주회반송로(203a)를 따라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10)의 전면에는 지폐 반입유닛(202)에 대응한 지폐수용구(214) 및 지폐 방출유닛(208)에 대응한 지폐취출구(216)가 제공된다. 지폐회수 카세트(207)는 케이스(2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에 있어서, 지폐 반입유닛(202)은 지폐수용구(214)에 삽입된 입금 지폐를 반입해서, 상기 지폐를 주회반송로(203a)측으로 반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지폐수납부(206)는 지폐 식별센서(201)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지폐를 금종별로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통상적으로는 1천엔 지폐용, 2천엔 지폐용, 5천엔 지폐용 및 1만엔 지폐용의 4개의 지폐수납부에 나눠져서 이용된다. 그리고, 지폐 방출유닛(208)은 각 지폐수납부(206)로부터 취출된 지폐를 지폐취출구(216)에서 방출하여, 상기 지폐를 외부로 뽑게 하기 위한 것이다. 출금 리젝트부(204)는 출금 리젝트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폐회수 카세트(207)는 각 지폐수납부(206)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기의 구성]
이하, 도 1 및 도 2를 이용해서 제어기(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기(5)는 조작·표시부(유저 지시부)(50a, 50b), 연산부(51) 및 지령부(52)를 구비한다.
조작·표시부(50a)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의 케이스(110)의 앞 부분 상면에 제공되고, 또한 조작·표시부(50b)는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의 케이스(210)의 앞 부분 상면에 제공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표시부(50a, 50b)는 각각 알람 버튼(60), 환전 버튼(61), 회수 버튼(62), 재고 버튼(63), 리셋 버튼(64) 및 스타트 버튼(65)을 갖는다.
여기에서, 출납원 등이 환전 버튼(61)을 누르면, 조작·표시부(50a, 50b)에 있어서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시작지시(제1지시)가 주어지게 된다. 또한, 출납원이 환전 버튼(61)을 누른 후에 스타트 버튼(65)을 누르면, 조작·표시부(50a, 50b)에 있어서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종료지시(제2지시)가 주어지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산부(51)는 조작·표시부(50a, 50b)에 각각 통신 접속되는 동시에,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제어 유닛(16)에 통신 인터페이스(T)를 통해서 통신 접속된다. 상기 연산부(51)는 조작·표시부(50a, 50b)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시작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종료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연산부(51)에는 제1지시가 보내지기 전에 미리 검출시스템(18)에 의해 검출된 가장 최근의 각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 내의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가 기억된다. 그리고,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시작지시가 보 내질 때부터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종료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이 수납장치 본체(1a)로부터 인출되어, 봉형집적경화가 봉형집적경화 서랍 내에 보충된다. 이후,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이 수납장치 본체(1a)에 밀어 넣어지는 경우, 검출시스템(18)에 의해 다시 봉형집적경화 서랍 내의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가 검출된다. 이와 같이 새롭게 검출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비교함으로써,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가 산출된다.
또한, 출납원 등에 의해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시작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종료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만 수납장치 본체(1a)로부터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제어기(5)에 의해 해당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인출/압입이 규제되게 이루어진다.
지령부(52)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에 따른 정보가 연산부(51)로부터 보내지도록 이루어지는 동시에, 화폐처리기(3)의 각 제어 유닛(36, 37)에 지령을 부여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지령부(52)는 조작·표시부(50a, 50b)로부터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종료지시가 보내질 경우에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동일한 금액)의 화폐를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의 경화취출구(116) 또는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의 지폐취출구(216)에서 방출시키도록, 제어 유닛(36, 37)에 지령을 부여한다.
이때, 지령부(52)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 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해당 화폐의 수량이 최소로 되게 금종 및 수량을 조합시켜서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의 경화취출구(116) 또는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의 지폐취출구(216)에서 방출시키도록 지령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100엔 경화가 50개 포장된 100엔 봉형집적경화의 1개가 새롭게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수납된 경우에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액은 5,000엔이 되므로, 화폐처리기(3)로부터 방출되는 화폐의 수량이 최소로 되도록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의 지폐취출구(216)로부터 5천엔 지폐가 1장 방출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50엔 경화가 50개 포장된 50엔 봉형집적경화의 1개가 새롭게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경우에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에 새롭게 수납된 금액은 2,500엔이 되므로,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의 지폐취출구(216)로부터 2천엔 지폐가 1장 (혹은 2천엔 지폐가 사용 불가로 설정된 경우에는 1천엔 지폐가 2장)방출되는 동시에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의 경화취출구(116)로부터 500엔 경화가 1장 방출되게 이루어진다. 또는, 10엔 경화가 50개 포장된 10엔 봉형집적경화의 1개가 새롭게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경우에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에 새롭게 수납된 금액은 500엔이 되므로, 경화 거스름돈 기기(3A)의 경화취출구(116)로부터 500엔 경화가 1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조작·표시부(50a, 50b)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시작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종료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하나의(일)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보충하는 동시에 다른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봉형집적경화 서랍으로부터 취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수납되어 있는 봉형집적경화의 합계 금액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에 수납되어 있는 봉형집적경화의 합계 금액이 감소한 것으로 연산부(51)에 의해 산출된 경우, 지령부(52)는 화폐처리기(3)에 대해 「대피 모드」가 되도록 지령을 준다. 이 경우, 지령부(52)는 화폐방출부(경화취출구(116) 또는 지폐취출구(216))에 대하여 화폐를 방출하지 않게 하는 지령을 부여하게 된다. 화폐처리기(3)가 대피 모드로 된 경우, 출납원 등이 한번 리셋 버튼(64)을 길게 누르고, 이후 다시 리셋 버튼(64)을 누름으로써, 대피 모드가 해제되어 봉형집적경화의 보충 종료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작용 효과]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기(5)의 조작·표시부(유저 지시부)(50a, 50b)에 있어서 출납원 등의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산출하고, 제2지시가 보내진 때에 화폐수납부(경화수납부(106) 또는 지폐수납부(206))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 중 전술의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화폐방출부(경화취출구(116) 또는 지폐취출구(216))에서 방출시키도록 지령부(52)가 지령을 부여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에서 특정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보충할 경우, 조작자는 단지 조작·표시부(50a, 50b)에 제1지시를 주고, 이후에 봉형집적경화가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보충되고, 그리고 제2지시를 부여함으로써, 보충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가 화폐처리기(3)로부터 방출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보충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화폐처리기로부터 수동으로 취출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일련의 보충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기(5)에는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의 검출시스템(18)에 의해 검출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유무에 관한 정보가 보내지고, 상기 정보에 기초해서 해당 제어기(5)가 화폐처리기(3)에 직접 지령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외부에 POS 레지스터(Point-Of-Sale register)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시스템 전체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의 조작·표시부(50a, 50b)(유저 지시부)가 경화 거스름돈 기기(3A) 및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출납원 등의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기(5)는 조작·표시부(50a, 50b)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만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을 수납장치 본체(1a)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를 제어하고 있으므로, 조작자에 의한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의 인출/압입이 규제되고, 조작자가 예를 들면 제1지시를 보내기 전에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봉형집적경화를 수납해버리는 오조작(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기(5)의 지령부(52)는 봉형집적경화 서랍(11, 12, 13)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해당 화폐의 수량이 최소로 되게 금종 및 수량을 조합시켜 화폐방출부(경화취출구(116) 또는 지폐취출구(216))에서 방출시키도록 지령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화폐방출부에서 방출되는 대체 화폐의 수량이 최소가 되어 출납원 등의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본 실시예에 의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은 상기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폐처리기(3)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3A) 및 지폐 거스름돈 기기(3B)의 양쪽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경화 거스름돈 기기(3A)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화폐처리기(3)의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를 화폐방출부에서 자동적으로 방출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는, 상기의 제어기(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어 유닛(16, 36, 37)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것이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 지시부가 화폐처리기(3)에 제공되는 대신에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1)에 제공되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수납장치 본체, 상기 수납장치 본체에 대하여 인출가능하게 제공된 특정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각각 1개씩 수납가능한 복수의 봉형집적경화 수납부가 제공된 봉형집적경화 서랍 및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의 각 봉형집적경화 수납부 마다 봉형집적경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봉형집적경화 유무 검출부를 구비하고, 복수 금종의 봉형집적경화를 수납할 수 있는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
    외부로부터 화폐를 수용하는 화폐수용부, 상기 화폐수용부에 의해 수용된 화폐를 금종별로 수납하는 화폐수납부 및 상기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화폐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근방에 배치되는 화폐처리기; 및
    상기 화폐처리기의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를 상기 화폐방출부에서 자동적으로 방출시키게 제어하고, 조작자가 지시를 부여하기 위해 유저 지시부 및 상기 화폐처리기에 지령을 주는 지령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지시부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상기 봉형집적경화 유무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산출하고, 제2지시가 보내진 때에 상기 화폐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폐 중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상기 화폐방출부에서 방출되도록 상기 지령부가 지령을 부여하게 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유저 지시부는 상기 화폐처리기에 제공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유저 지시부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만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을 상기 수납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를 제어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폐처리기는 상기 화폐 중 경화를 출납하는 경화 거스름돈 기기와 상기 화폐 중 지폐를 출납하는 지폐 거스름돈 기기로 구성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지령부는 상기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새롭게 수납된 봉형집적경화와 등가의 화폐를, 상기 화폐의 수량이 최소로 되게 금종 및 수량을 조합시켜 상기 화폐방출부에서 방출시키도록 지령을 부여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유저 지시부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지시가 보내질 때부터 제2지시가 보내질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봉형집적경화 수납장치의 봉형집적경화 서랍에 수납되어 있는 봉형집적경화의 합계 금액이 감소한 것으로 산출된 경우, 상기 지령부는 상기 화폐처리기에 대하여 화폐를 방출하지 않도록 지령을 부여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KR1020087021116A 2006-03-03 2007-02-02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KR20080104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7657 2006-03-03
JP2006057657A JP4795056B2 (ja) 2006-03-03 2006-03-03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133A true KR20080104133A (ko) 2008-12-01

Family

ID=3845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116A KR20080104133A (ko) 2006-03-03 2007-02-02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89212B2 (ko)
EP (1) EP2000993A4 (ko)
JP (1) JP4795056B2 (ko)
KR (1) KR20080104133A (ko)
CN (1) CN101395637B (ko)
WO (1) WO2007099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6149B2 (en) * 2005-03-31 2011-03-01 Glory Ltd. Change replenishment management system and coin roll storage
JP4804949B2 (ja) * 2006-02-15 2011-11-0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棒金収納庫
JP4795056B2 (ja) * 2006-03-03 2011-10-1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US20090184034A1 (en) * 2008-01-17 2009-07-23 Kazuhiro Doi Methods and systems for sorting bank notes, providing a change fund and balancing revenue
JP5165432B2 (ja) * 2008-03-25 2013-03-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棒金収納庫及び棒金管理機
JP5165438B2 (ja) * 2008-03-28 2013-03-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補助保管装置および釣銭機システム
JP2009238150A (ja) * 2008-03-28 2009-10-15 Glory Ltd 釣銭機システム
WO2010013517A1 (ja) * 2008-07-31 2010-02-0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金銭処理装置
JP5187054B2 (ja) * 2008-07-31 2013-04-24 富士電機株式会社 金銭処理装置
CN102122405A (zh) * 2011-01-05 2011-07-13 深圳市怡化电脑有限公司 自助存取款机及其加钞方法
CN103456076A (zh) * 2012-05-31 2013-12-18 光荣株式会社 找钱处理系统
JP5461672B2 (ja) * 2012-12-13 2014-04-0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補助保管装置および釣銭機システム
JP6556979B2 (ja) * 2013-12-02 2019-08-07 株式会社Sum Field 棒金管理装置並びにそれを適用した棒金管理システム、棒金補充方法及び貨幣入出金システム
US9424705B1 (en) * 2014-07-14 2016-08-23 Glory Ltd. Money handling apparatus
JP6318969B2 (ja) * 2014-08-18 2018-05-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JP6650272B2 (ja) * 2016-01-07 2020-02-1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JP6706078B2 (ja) * 2016-01-15 2020-06-0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管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JP6088677B1 (ja) * 2016-02-05 2017-03-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決済装置
JP6344629B2 (ja) * 2017-02-23 2018-06-20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現金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7789A (ja) 1981-08-28 1983-03-05 株式会社東芝 紙葉束放出機
JPS62287390A (ja) * 1986-06-06 1987-12-14 オムロン株式会社 支払機能をもつ自動両替機
JP2851747B2 (ja) * 1992-04-27 1999-01-2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棒金払い出し機
JPH0659958A (ja) 1992-08-10 1994-03-04 Fujitsu Ltd ファイル書込処理方式
JP2599232Y2 (ja) * 1993-01-13 1999-08-30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包装硬貨管理装置
JPH07249139A (ja) * 1994-03-14 1995-09-26 Oki Electric Ind Co Ltd 棒金放出機
JPH11250314A (ja) 1998-03-03 1999-09-17 Toshiba Corp 棒金入出金装置
JP4162299B2 (ja) * 1998-08-31 2008-10-08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貨幣入出金装置
EP1180747B1 (en) * 2000-08-10 2004-11-17 Mars Incorporated Currency handling apparatus
JP2002117430A (ja) * 2000-10-11 2002-04-19 Yunirekku:Kk 両替機の管理システム
DE10105332A1 (de) 2001-02-05 2002-08-29 Hess Sb Automatenbau Gmbh & Co Münzrollengeber
JP4053318B2 (ja) * 2002-03-11 2008-02-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補充システムおよび釣銭補充方法
JP4536336B2 (ja) * 2003-06-10 2010-09-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取扱システム
JP4795056B2 (ja) * 2006-03-03 2011-10-1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9212B2 (en) 2010-09-07
EP2000993A2 (en) 2008-12-10
EP2000993A9 (en) 2009-03-11
CN101395637B (zh) 2010-12-08
WO2007099734A1 (ja) 2007-09-07
CN101395637A (zh) 2009-03-25
US20090017740A1 (en) 2009-01-15
JP2007233920A (ja) 2007-09-13
JP4795056B2 (ja) 2011-10-19
EP2000993A4 (en)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4133A (ko)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JP4832913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EP3171339B1 (en) Money handling apparatus
EP1909237A2 (en) Coin-roll Storing Machine
JP4776904B2 (ja)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釣銭補充管理方法、棒金収納庫、判定手段を備えた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5187054B2 (ja) 金銭処理装置
JP2009282559A (ja) 貨幣入出金装置
JP2008191835A (ja) 包装硬貨処理システムおよび包装硬貨払出装置
JP2013196083A (ja) 金銭処理装置
JP6697246B2 (ja) 貨幣管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管理方法
JP6770372B2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6749769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入出金機
JP2019144661A (ja) 硬貨処理システムおよび硬貨処理方法
JP2018005616A (ja) 包装硬貨処理機、包装硬貨処理方法
JP5193696B2 (ja) 包装硬貨処理機
JP2018036951A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JP5415487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4918731B2 (ja) メダル貸出装置
JP2008077195A (ja) 現金処理装置
JP2002329233A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自動取引機
JP2014081801A (ja) 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6618784B2 (ja) 棒金収納装置および装着部
JP4538648B2 (ja) メダル貸出装置及びメダル貸出装置におけるメダルの貸出方法
JP2022071120A (ja) 硬貨処理システムおよび硬貨処理方法
JP4996930B2 (ja) 包装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