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922A - 현상제 공급 케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 케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922A
KR20080077922A KR1020080015300A KR20080015300A KR20080077922A KR 20080077922 A KR20080077922 A KR 20080077922A KR 1020080015300 A KR1020080015300 A KR 1020080015300A KR 20080015300 A KR20080015300 A KR 20080015300A KR 20080077922 A KR20080077922 A KR 2008007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upply
supply case
mounting
load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294B1 (ko
Inventor
데쯔오 이소무라
데루아끼 쯔루사끼
유끼히로 기또자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장착부에 탈착 가능한 현상제 공급 케이스는 현상제를 내측에 저장하는 케이스 본체,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완료시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되는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경우 장착 부하(W)를 발생하는 결합부 및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 피장착부의 일부분과 맞닿게 되도록 제공되어 결합부가 피결합부와 결합되기 이전에 장착 부하(P1)를 발생하는 부하 발생부를 포함하고, 장착 부하(W) 및 장착 부하(P1)가 P1 ≥ W인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1020080015300
화상 형성 장치, 현상제 공급 케이스, 현상제, 장착 부하, 결합부

Description

현상제 공급 케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DEVELOPER SUPPLY CAS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 및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부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 분야에 있어서, 분말 현상제가 전자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로서 사용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가 소모되면,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된다.
매우 미세한 분말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작동 중에 분산되어 작동자 및 주변을 더럽히게 된다.
최근 들어, 별도로 제공되는 조작부를 작동시킴으로써 개방되는 토출 포트를 개방시키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현상제를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대부분 사용된다.
앞선 구성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현상제 수용 포트가 서로 일치한 상태에서 토출 포트 개방 작동 이 수행되지 않으면 현상제를 공급할 수가 없다. 그렇지 않으면, 현상제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서 분산되어 그 내부를 더럽히게 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현상제 수용 포트는 서로 확실하게 일치될 필요가 있다. 일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화상 형성 장치 내부로 완전하게 장착되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 및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수용 포트는 치수적으로 서로 확실하게 일치하게 된다.
또한, 로크 기구가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 내에 제공되어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로 장착된 이후에 로크 해제되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현상제 수용 포트가 서로 일치하게 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로크가 토출 포트를 개방하기 위해 로크 해제되는 지점에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현상제 수용 포트는 서로 확실하게 일치하게 된다. 이는 현상제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현상제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분산되어 그 내부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은 밀봉 부재를 가지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62861호에 개시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를 밀봉하는 케이스 셔터는 두 개의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케이스 셔터는 두 개의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어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로 장착되는 경우, 케이스 셔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되는 결합 부재와 맞닿게 되어서, 케이스 셔터는 일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케이스 셔터는 타방향(셔터 개방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장착 방향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의 지점 및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수용 포트의 지점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셔터가 이러한 상태에서 개방되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토출 포트 및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수용 포트는 서로 확실하게 일치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62861호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는 케이스 셔터 내에 제공된 탄성 부재에 저항하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로 장착된다.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장착력의 증가에 기인하여, 사용자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이 완료된 것으로 오인하여 이러한 지점에서 장착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셔터가 이러한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셔터는 셔터 내에 제공되는 로크 부재에 의해 미끄러질 수 없도록 규제된다. 사용자가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개방할 수 없게 되어 현상제는 공급될 수 없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작동 중의 부하 변동과 관련하여 장착 작동을 증진시키는 구성이 일본 특개평 9-90729호에 개시된다.
일본 특개평 9-90729호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보틀 홀더(bottle holder) 내에 여기 스프링을 가져서 여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토너 보틀의 스톱퍼가 토너 보틀 내부로 끼워 맞춤될 때 발생되는 작동력보다 큰 구성을 개시한다.
일본 특개평 9-90729호에 개시된 구성은 회전 제어식 보틀 홀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부착을 위해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 방 측면 내부로 밀려 움직이게 되는 전방 접근의 구성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여기 스프링을 사용하는 구성은 부품의 수를 증가시킨다. 구성에 있어 비용 부담이 커진다.
그 장착력을 최소로 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설계되어 왔다. 감소된 장착력은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피사입부 내부로 신뢰성 있게 장착시킨다.
앞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공급 케이스는 현상제를 내측에 저장하는 케이스 본체,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완료시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되는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경우 장착 부하(W)를 발생하는 결합부 및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 피장착부의 일부분과 맞닿게 되도록 제공되어 결합부가 피결합부와 결합되기 이전에 장착 부하(P1)를 발생하는 부하 발생부를 포함하고, 장착 부하(W) 및 장착 부하(P1)가 P1 ≥ W인 관계를 만족한다.
앞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 부재, 현상제에 의해 정전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 현상 장치로 공급될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착탈 가능한 피장착부 및 피장착부 내부로 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완료시 현상제 공급 케이스 내에 제공되는 결합부와 결합되는 경우 장착 부하(W)를 발생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고, 피장착부는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현상제 공급 케이스 내에 제공되는 부하 발생부와 맞닿게 되는 부분을 가지고 결합부가 피결합부와 결합되기 이전에 장착 부하(P1)를 발생하고, 장착 부하(W) 및 장착 부하(P1)가 P1 ≥ W인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피사입부 내부로 신뢰성 있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첨부 도면 참조)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동일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거기에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가지고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전자사진술을 채용하고 거기에 장착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서 전자사진 복사기의 구성이 도1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1에서, 전자사진 복사 장치 본체(100 : 이후 장치 본체로 칭함)에 있어서, 원본(101)은 문서 유리(102) 상에 위치되고 복수의 거울(M) 및 광학부(103)의 렌즈(Ln)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104) 상에서 화상 정보가 이미지화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시트 카세트(105, 106, 107, 108) 상에 적재된 시트(P) 중에서, 조작부(도시 생략)로부터의 사용자에 의한 정보 입력 또는 원본(101)의 시트 크기에 가장 적합한 시트가 시트 카세트(105 내지 108)의 시트 크기 정보에 따라 선택된다.
급송 및 분리 장치(105A, 106A, 107A, 108A)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P) 중 하나는 감광 드럼(104)의 광학부(103)의 주사 타이밍과의 동기 회전에 의해 반송부(109)를 통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로 반송된다. 장치 본체(100)는 전사 및 분리 대전기(111, 112)를 포함한다.
현상제(T)는 정착부(114)에 의한 열 및 압력으로서 반송부(113)에 의해 반송된 시트(P) 상에 정착된다. 단면 복사의 경우에 있어서, 시트(P)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고 이어서 배출 롤러(116)에 의해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양면 복사의 경우에 있어서, 시트(P)는 배출 반전부(115)의 플랩퍼(118)의 제어에 의해 재공급 반송 경로(119, 120)를 통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로 반송되고 단면 복사의 것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앞선 구성의 장치 본체(100) 내에는 현상 장치(201), 세척부(202) 및 대전기(203)가 감광 드럼(104) 주위에 배열된다. 여기서, 현상 장치(201)는 감광 드럼(104) 상의 현상제(T)를 흡수하여 광학부(103)에 의해 감광 드럼(104) 상에서 정전 화상으로서 이미징된 원본(101) 상의 정보가 눈에 보이도록 만든다. 공급 반송 부재(150)를 통해 현상 장치(201)로 현상제(T)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2a 및 도2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2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2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 셔터(3), 패킹재(4), 핸들(5), 커플링(6) 및 내부 스톱퍼(7)를 가진다.
도3a 및 도3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착탈 가능한 피장착부로서의 현상제 수용 호퍼(이후 호퍼로 칭함)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3a는 호퍼 셔터가 밀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3b는 호퍼 셔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호퍼(10)는 호퍼 셔터(11), 구동 중계 기어(12), 돌기부(13, 14), 교반 기어(15), 위치 설정 구멍(16), 케이스 가이드(17), 비양립(incompatible) 부착부(18) 및 위치 설정 리브(19)를 가진다. 호퍼 셔터(11)는 현상제 수용 개구(11-1)를 가진다.
(케이스 본체)
케이스 본체(2)가 도4a 및 도4b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4a는 케이스 본체(2)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4b는 케이스 본체(2)의 후방 사시도이다.
케이스 본체(2)는 그 바닥부에 공급 개구(2-1) 및 셔터 가이드 레일(2-2)을 가진다. 케이스 본체(2)는 그 일단부면 상에 충전 포트(2-3), 위치 설정 핀(2-4) 및 커플링 구멍(2-5)을 가진다. 케이스 본체(2)의 반대측 상의 단부면은 유지부(2-6) 및 핸들 장착부(2-7)를 가진다. 케이스 본체(2)는 양 측면 상에 위치 설정 리브(2-8), 가이드 레일(2-9) 및 비양립 리브(2-10)를 가지고 그 상부면 상에 단차 리브(2-11)를 가진다.
공급 개구(2-1)는 케이스 본체(2) 내에 저장된 현상제를 호퍼(10)로 공급하고 밀봉 부재로서의 셔터(3)에 의해 공급 개구(2-1) 주위에 제공되는 패킹재(4, 도2a 참조)를 가압함으로써 밀봉되는 개구이다. 밀봉된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 내에 저장되는 현상제는 공급 개구(2-1)로부터 누설될 수 없다.
셔터 가이드 레일(2-2)은 셔터(3)를 미끄럼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레일이다. 충전 포트(2-3)는 현상제를 케이스 본체(2) 내부로 충전시키는데 사용된다. 현상제는 충전 포트(2-3)를 통해 케이스 본체(2)로 충전된다. 충전 포트(2-3)는 이어서 내부 스톱퍼(7)에 의해 밀봉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인 위치 설정 핀(2-4)은 충전 포트(2-3)를 구비한 단부면의 오른쪽 및 왼쪽에 제공된다. 호퍼(10)의 피결합부로서의 위치 설정 구멍(16) 및 위치 설정 핀(2-4)은 서로 결합된다. 이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호퍼(10)에 위치 설정 및 고정된다.
커플링 구멍(2-5)은 충전 포트(2-3)를 구비한 단부면 상에 제공된다. 커플링(6)은 커플링 구멍(2-5)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오일 밀봉과 같은 샤프트 밀봉 부재가 커플링 구멍(2-5) 주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그 장착시에 호퍼(10) 내부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2-6)는 충전 포트(2-3)를 구비하는 단부면의 반대 측면 상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에 장착시키도록 유지부(2-6)를 유지시킨다.
핸들 장착부(2-7), 핸들 로크 개방 피결합부(2-7-1) 및 핸들 로크 밀봉 피결합부(2-7-2)는 유지부(2-6)를 구비하는 단부면 상에 제공된다. 핸들(5)은 핸들 장착부(2-7)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와 호퍼(10) 사이에서 위치 설정을 수행하는 위치 설정 리브(2-8) 및 호퍼(10)의 케이스 가이드(17)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2-9)은 케이스 본체(2)의 양측면 상에 제공된다. 비양립 리브(2-10)도 측면 상에 제공된다. 호퍼(10)의 비양립 부착부(18) 및 비양립 리브(2-10)의 조합은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색상 또는 장치가 양립할 수 없게 한다.
장착 부하 발생 유닛으로서의 단차 리브(2-11)는 케이스 본체(2)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다. 단차 리브(2-11)의 기능은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셔터)
셔터(3)가 도5a 및 도5b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5a는 셔터(3)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5b는 셔터(3)의 후방 사시도이다.
셔터(3)는 케이스 본체(2)의 셔터 가이드(2-2)를 셔터(3) 내에 제공되는 셔터 갈고리부(3-2)와 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 본체(2)에 미끄럼 가능하게 고정된다. 현상제가 공급되기 이전에, 셔터(3)는 셔터 개구(2-1)를 밀봉하기에 적절한 위치에 놓여진다. 현상제가 호퍼(10)로 공급되면, 셔터(3)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기어(3-1)는 호퍼(10) 내에 제공되는 구동 중계 기어(12)로부터의 회전 구동을 수용한다. 셔터(3)는 현상제 공급 개구(2-1)를 개방하도록 케이스 본체(2)의 셔터 가이드(2-3)를 따라 개방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 내의 현상제가 소모된 이후, 기어(3-1)는 구동 중계 롤러(12)로부터 회전시의 것과 반대되는 회전 구동을 수용한다. 셔터(3)는 현상제 공급 개구(2-1)를 밀봉시키는 위치로 미끄러져서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시킨다.
(핸들)
핸들이 도6a 및 도6b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6a는 핸들(5)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6b는 핸들(5)의 후방 사시도이다.
핸들(5)은 케이스 본체(2)의 핸들 장착부(2-7)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5)은 전방 표면 상에 조작부(5-1) 및 측면 표면 상에 기어(5-2)를 가진다. 사용자는 핸들(5)을 회전시키도록 조작부(5-1)를 회전식으로 작동시킨다. 회전 구동은 기어(5-2)로부터 호퍼(10) 내에 제공되는 구동 중계 기어(12)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3) 및 핸들(5)은 분리되어 제공된다. 셔터(3) 및 핸들(5)은 단일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핸들(5)의 구동이 셔터(3)로 전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셔터(3) 내에 제공되는 기어(3-1) 및 핸들(5) 내에 제공되는 기어(5-2)는 불필요하다. 호퍼(10) 내에 제공되는 구동 중계 기어(12) 역시 불필요하다.
핸들(5)은 사용자가 조작부(5-1)를 실수로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셔터(3)의 밀봉 해제를 규제하는 로크부를 가진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부는 개방 방향 결합부(5-3), 밀봉 방향 결합부(5-4) 및 로크 해제부(5-5)를 가진다. 케이스 본체(2) 내에 제공되는 핸들 로크 개방 피결합부(2-7-1) 및 개방 방향 결합부(5-3)는 서로 결합된다. 핸들 로크 밀봉 피결합부(2-7-2) 및 밀봉 방향 결합부(5-4)는 서로 결합된다. 핸들(5)은 개방 방향 및 밀봉 방향 양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결합부로서의 로크 해제부(5-5)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호퍼(10) 내부로의 장착시 호퍼(10)의 동작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호퍼(10) 내부로 장착되는 경우, 로크 해제부(5-5)는 피결합부로서의 호퍼(10)의 돌기부(14, 도3a 참조)에 의해 장착 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된다.
핸들(5)의 로크 결합부(5-3, 5-4)의 케이스 본체(2)의 피결합부(2-7-1, 2-7-2)와의 결합은 해제되어 핸들(5)을 회전시킨다.
(커플링)
커플링(6)이 도7a 및 도7b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7a는 커플링(6)의 정방 사시도이고, 도7b는 커플링(6)의 후방 사시도이다.
커플링(6)은 케이스 본체(2) 내에 제공되는 교반 부재(도시 생략)로 호퍼(10)의 구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어(6-1)는 커플링(6)의 원주면 상에 제공된다. 커플링(6)은 쓰러스트(thrust) 방향에 있어서 회전 중심 위치에 제공되는 갈고리부(6-2)에 의해 교반 부재(도시 생략)와 결합한다. 커플링(6)은 축 방향 부분의 일부분이 절결된 D 절결부(6-3)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교반 부재(도시 생략)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호퍼(10) 내부로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장착하는 상태가 도8a, 도8b 및 도8c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8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완전하게 밀려 움직여진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c는 핸들(5)이 회전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a에 있어서,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2)의 유지부(2-6)를 유지하여, 이를 호퍼(10)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후방 측면 내부로 밀어 움직여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로 장착한다. 가이드 레일(2-9)은 케이스 가이드(17)에 의해 안내되어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장착을 위해 호퍼(10)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후방 측면으로 밀려 움직이게 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사용자에 의해 호퍼(10) 내부로 완전하게 장착된 이후에, 그/그녀는 도8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핸들(5)을 회전식으로 작동시키도록 핸들의 조작부를 유지한다. 도8c는 핸들(5)이 회전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호퍼(10)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호퍼(10) 내에 제공되는 피위치 설정부로서의 위치 설정 구멍(16) 및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위치 설정부로서의 위치 설정 핀(2-4)은 서로 끼워진다. 위치 설정 구멍(16) 및 위치 설정 핀(2-4)은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호퍼(10) 내부로의 장착 완료 시에 서로 끼워진다. 장착 방향에 있어서 후방 쪽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단부면은 호퍼(10)에 위치 설정 및 고정된다. 도9a 및 도9b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9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9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단부면은 위치 설정 구멍(16)과 위치 설정 핀(2-4)을 서로 끼움으로써 호퍼(10)에 고정된다. 구동 전달 시, 호퍼(10)의 교반 기어(15)와 커플링(6)의 커플링 기어(6-1) 사이의 중심 거리를 규제함으로써 기어 점핑(jumping)이 방지될 수 있다. 끼움 치수 릴레이션(relation)이 위치 설정 구멍(16) 및 위치 설정 핀(2-4)을 서로 끼우기 위해 채용되어 느슴함을 억제한다. 장착 부하(W)는 위치 설정 구멍(16) 및 위치 설정 핀(2-4)을 서로 끼우기 위해 증가된다.
핸들(5) 내에 제공되는 로크부의 로크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로 장착시킴으로써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10a, 도10b 및 도10c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0a는 핸들(5) 및 케이스 본체(2)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크부가 로크된 상태)를 도시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도10a의 상태에서 호퍼(10) 내부로 장착되고 있는 동안, 호퍼(10)의 피결합부로서의 돌기부(14, 도3a 참조) 및 핸들(5)의 결합부로서의 로크 해제부(5-5)가 서로 맞닿게 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이러한 상태에서 후방 측면을 향해 장착되고 있는 동안, 로크 해제부(5-5)는 장착 방향의 반대쪽, 즉 도10a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된다. 케이스 본체(2)의 피결합부(2-7-1, 2-7-2 : 도4a 참조)와의 핸들(5)의 결합부(5-3, 5-4 : 도6a 참조)의 결합은 해제되어 핸들(5)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방향 결합부(5-4)의 변위는 1mm이다. 도10b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다. 호퍼(10)의 돌기부 및 핸들(5)의 로크 해제부(5-5)가 서로 맞닿게 되는 위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2mm의 거리로 설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5)은 사용자에 의해 도10b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10c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다. 핸들(5)은 회전되어 그 회전 구동이 구동 중계 기어(12)를 통해 셔터(3)로 전달된다. 셔터(3)는 이어서 개방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후술될 바와 같이, 셔터(3)의 미끄럼 시에, 호퍼 셔터(11) 역시 미끄러진다. 호퍼 셔터(11) 내에 제공되는 현상제 수용 구멍(11-1) 및 케이스 본체(2)의 공급 개구(2-1)는 서로 일치한다. 케이스 본체(2) 내에 저장되는 현상제는 호퍼(10)로 공급된다.
로크부의 수지성(resinous) 스프링 특성은 핸들(5) 로크부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된다. 로크 해제부(5-5)의 스프링 특성에 대항하여 핸들 로크를 해제시킬 필요가 있다. 장착 부하(W)는 핸들 로크의 해제시 증가된다.
(셔터의 작동)
밀봉 부재로서의 셔터(3)의 작동이 도11a, 도11b 및 도11c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1a 내지 도11c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셔터(3) 및 호퍼(10) 만을 도시한다. 도11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완전하게 장착되어 셔터(3) 및 호퍼 셔터(11)가 완전하게 서로 끼워진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c는 셔 터(3) 및 현상제 셔터(11)가 현상제 수용 개구(11-1)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를 개방시키도록 미끄러진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a에 있어서, 호퍼(10)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시, 셔터(3)는 부착을 위해 호퍼(10)의 호퍼 셔터(11)에 끼워진다. 셔터(3)의 단부면은 부착을 완료시키도록 호퍼의 맞닿음 면과 맞닿게 된다. 도11b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장착 방향에 있어 케이스 본체(2)의 공급 개구(2-1)의 위치 및 호퍼 셔터(11)의 현상제 수용 개구(11-1)의 위치는 서로 일치한다.
핸들(5)은 셔터(3)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된다. 셔터(3) 및 호퍼 셔터(11)가 서로 끼워지기 때문에, 셔터(3)는 개방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호퍼 셔터(11) 역시 미끄러진다. 호퍼 셔터의 현상제 수용 개구(11-1) 및 공급 개구(2-1)는 서로 일치한다.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 케이스(1)로부터 호퍼(10)로 공급될 수 있다.
(단차 리브)
장치 본체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시 장착 부하를 발생하는 장착 부하 발생 유닛으로서의 단차 리브(2-11)가 설명될 것이다. 도12a, 도12b 및 도12c는 단차 리브(2-11)와 위치 설정 리브(19) 사이의 간섭(접촉)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2a 및 도12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12c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의 상부 표면 상에 돌기부로서 단차 리브(2-11)를 가진다. 도12a, 도12b 및 도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리브(2-11)는 케이스 본체(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 어 다른 높이를 가지는 높은 리브(2-11-1) 및 낮은 리브(2-11-2)를 가진다. 호퍼(10)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프로세스에 있어서, 단차 리브(2-11)는 호퍼(10) 내에 제공되는 위치 설정 리브(19)와 간섭(접촉)한다. 간섭에 의해,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변형되면서 장착된다. 이 시점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호퍼(10) 내부로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장착 부하는 증가된다. 이 시점에서의 장착 부하의 변화는 도12a, 도12b 및 도12c의 각각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될 것이다.
(A) 상태 :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2)의 유지부(2-6)를 유지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로 장착한다. 도12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단차 리브(2-11)의 높은 리브(2-11-1)가 위치 설정 리브(19)와 간섭하는 지점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높은 리브(2-11-1)가 위치 설정 리브(19)와 간섭하기 시작하는 (A) 상태에 있게 되는 지점은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15mm의 거리로 설정된다.
이 시점에서 사용자는 높은 리브(2-11-1)와 위치 설정 리브(19) 사이의 간섭에 의해 장착 부하를 느끼게 된다. (A) 상태인 지점은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15mm의 거리이다. 사용자는 장착이 완료된 것으로 오인할 수 없다. 이 시점에서 장착 부하(P1)는 장착 부하(W) 이상인 약 2 내지 3kgf로 조정된다. 사용자는 장착 부하를 느끼지만, 장착 작동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장착 완료로 오인할 수 없는 거리는 실험적으로 확인된다. 장착 완료 지점이 깨끗한 경우,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5mm 정도면 충분하다. 장착 완료 지점이 깨끗하지 않은 경우, 약 10 mm가 필요하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15mm의 거리에서는 장착 완료를 오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B) 상태 :
사용자는 (A) 상태로부터 계속하여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로 장착한다. 도12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높은 리브(2-11-1) 및 위치 설정 리브(19) 사이의 간섭이 완료되는 지점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밀어 움직이는 경우, 높은 리브(2-11-1)와 위치 설정 리브(19) 사이의 간섭은 점진적으로 제거된다. 이 시점에서의 장착 부하는 P1으로부터 P2로 감소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B) 상태인 지점은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2mm의 거리로 설정된다.
(C) 상태 :
사용자는 (B) 상태로부터 계속하여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로 장착한다. 도12c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완전하게 호퍼(10) 내부로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시점에서, 높은 리브(2-11-1)는 위치 설정 리브(19)를 완전하게 통과하게 된다. 위치 설정 리브(19)는 짧은 리브(2-11-2)와 간섭한다. 간섭에 의해,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호퍼(10)에 고정된다.
호퍼(10)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장착 부하를 증가시키는 장착 부하 발생 인자는 (1) 핸들(5) 내에 제공되는 로크부의 로크 해제력 및 (2) 위치 설정 핀(2-4)과 호퍼측 끼움 구멍(16) 의 끼움력이다. 두 개의 장착 부하 발생 지점은 (B) 상태로부터 (C) 상태까지의 지점으로 설정된다. 단차 리브(2-11)의 높은 리브(2-11-1)와 낮은 리브(2-11-2) 사이의 높이 차는 미리 측정된 두 개의 장착 부하의 것 이상인 크기를 가지는 부하가 (B) 상태로부터 (C) 상태까지의 프로세스 중에 감소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치수로서, 높은 리브(2-11-1)의 높이는 1.3mm로 설정되고 낮은 리브(2-11-2)의 높이는 0.8mm로 설정된다. 양 리브 사이의 높이 차는 0.5mm이다. 위치 설정 리브(19)와 높은 리브(2-11-1) 사이의 간섭으로부터 위치 설정 리브(19)와 낮은 리브(2-11-2) 사이의 간섭까지의 단차 리브(2-11)에 의한 장착 부하의 변화는 푸쉬-풀 게이지(스프링 밸런스)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러한 측정은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이를 호퍼(10) 내부로 장착하는 방향으로 푸쉬-풀 게이지에 의해 밀려 움직일 때 게이지에 의해 표시되는 값을 판독함으로써 수행된다. 위치 설정 리브(19)와 높은 리브(2-11-1) 사이의 간섭시 장착 부하(P1)는 2.5kgf이다. 높은 리브(2-11-1)가 위치 설정 리브(19)를 통과한 이후의 낮은 리브(2-11-2)의 장착 부하(P2)는 1.5kgf이다. 즉, 장착 부하가 약 1.0kgf 만큼 감소된 것이 관찰된다. (1) 핸들(5) 내에 제공되는 로크부의 로크 해제력 및 위치 설정 핀(2-4)과 호퍼측 끼움 구멍(16)을 서로 끼우기 위해 필요한 힘의 합, 즉 장착 부하(W)는 약 0.7kgf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을 위해 적용되는 부하 사이의 관계는 P1 ≥ P2+W로 설정된다. (B) 상태로부터 (C) 상태까지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작동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1) 핸들(5) 내 제공되는 로크부의 로크 해제력 및 (2) 위치 설정 핀(2-4)과 호퍼측 끼움 구멍(16)의 끼움에 기인하여 장착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느낄 수가 없다. 사용자는 장착 작동의 정지 없이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로 완전하게 장착한다.
도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 부하과 장착 위치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13에 도시된 그래프에 있어서, 수직 축은 장착 부하를 나타내고, 수평 축은 장착 위치를 나타내고, 수평 축의 오른쪽 방향은 장착 방향을 나타내며, 점선은 장착 완료 지점을 나타낸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부하(W)가 발생되는 지점에 따라 장착 부하가 P1으로부터 P2로 감소되도록 설계된다. 사용자는 증가된 장착 부하(W)를 느끼지 않고 장착 완료 위치까지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장착 부하 발생 인자, 즉 (1) 핸들(5)에 제공되는 로크부의 로크 해제력 및 (2) 위치 설정 핀(2-4)과 호퍼측 끼움 구멍(16)을 서로 끼우는데 필요한 힘을 가지는 구성이 설명되어 있다. 반듯이 두 개의 장착 부하 발생 인자기 있을 필요는 없다. 단지 한개의 인자도 작동을 수행하여 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 리브(2-11)는 장착 부하 발생 유닛으로서 사용된다. 낮은 리브(2-11-2)에 의한 장착 부하(P2)는 낮은 리브(2-11-2)를 제공하지 않고 0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장착 부하(W) 및 장착 부하(P1)는 P1 ≥ W인 관계를 만족한다. 도14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다.
단차 리브(2-11)를 대신하여, 시트 또는 다른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5는 다른 부재를 구비한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15에 있어서, 마찰 부재(8)는 위치 설정 리브(19)와 간섭하는 마찰 부재이고 소정의 마찰 계수를 가진다.
마찰 부재(8)는 단차 리브(2-11)의 높은 리브(2-11-1)에 대응하는 지점에 제공된다. 그 두께는 0.5mm이다. PET가 그 재료로서 사용된다. 단차 리브(2-11)의 것과 거의 동일한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위치 설정 리브(19)와의 마찰 부재(8)의 마찰 계수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임의의 장착 강도의 변화량이 측정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와 다른 부재로서 마찰 부재를 사용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항상될 수 있다.
[비교예]
도17은 비교예로서 단차 리브(2-11)가 없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17에 있어서, 단차 리브(2-11)의 낮은 리브(2-11-2)에 대응하는 리브(2-12)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장착력은 리브(2-12)와 위치 설정 리브(19) 사이의 간섭에 의해 0.3kgf 만큼 증가된다. 리브(2-12)와 위치 설정 리브(19) 사이의 간섭은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2mm의 거리에서 발생된다.
호퍼(10) 내부로의 비교예에 도시된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시, 다음의 3개의 부하가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2mm의 거리에서 적용된다. (1) 핸들(5) 내에 제공되는 로크부의 로크 해제력, (2) 위치 설정 핀(2-4)과 호퍼측 끼움 구멍(16)을 서로 끼우는 것에 의한 장착 부하, (3) 리브(2-12)와 위치 설정 핀(19) 사이의 간섭에 의한 장착 부하. 3개의 부하의 증가에 의해, 부하는 약 1.0kgf 만큼 증가된다. 사용자는 장착 완료 지점 앞으로 2mm의 거리에서 장착 완료를 오인하여 장착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실제, 열 명 중 두 명이 장착 완료 지점 이전에 장착을 정지하였다.
도15는 비교예에 도시된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지점과 장착 부하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15에 도시된 그래프에 있어서, 수직 축은 장착 부하를, 수평 축은 장착 지점을, 수평 축의 오른쪽 방향은 장착 방향을, 그리고 점선은 장착 완료 지점을 나타낸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부하(W, P2)는 장착 완료 지점 이전에서 발생된다. 부하에 기인하여, 사용자가 장착 완료 지점 이전, 즉 W 및 P2가 발생되는 지점에서 장착을 중단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시의 결합부의 결합 이전에서,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 큰 부하가 발생된다. 장착 부하는 사용자가 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결합부의 결합시의 것보다 작거나 변화가 없도록 설정된다. 사용자는 결합부의 결합 이전에 장착 완료를 오인할 수 없다.
장착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 내의 덜거덕거림에 기인한 현상제의 분산을 방지하도록 위치 설정 및 고정된다.
셔터(3)의 밀봉은 장착 이전에 로크부에 의해 로크된다. 셔터(3)는 실수로 개방될 수 없다. 조작부(5-1)의 오작동은 방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서의 구성이 이후 설명될 것이다. 앞선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서 표시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 셔터(3), 패킹재(4), 핸들(5), 커플링(6) 및 내부 스톱퍼(7)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셔터(3)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호퍼(10) 내부에 장착될 때까지 위치를 규제하는 로크부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도19a 및 도19b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사시도이고, 도1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3)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2)는 셔터(3)의 셔터 로크부(3-3)와 결합되는 로크 피결합부(2-13)를 가진다. 셔터(3)는 셔터 로크부(3-3)를 가진다. 셔터 로쿠부(3-3)는 로크 해제부(3-3-1) 및 결합부(3-3-2)를 가진다.
결합부(3-3-2)가 셔터(3)가 공급 개구(2-1)를 밀봉하는 지점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로크 피결합부(2-13)와 결합되어 개방 방향으로의 셔터(3)의 미끄럼을 규제한다.
셔터(3)의 셔터 로크 해제 구성이 도19a, 도19b 및 도19c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9a는 셔터(3)가 공급 개구(2-1)를 밀봉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9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1)가 호퍼(10) 내부에 장착되고 셔터 로크부(3-3)가 호퍼의 돌기부에 의해 도19a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19c는 셔터(3)가 회전되어 공급 개구(2-1)를 개방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현상제 공급 케이스(1)는 호퍼(10) 내부로 장착된다. 피결합부로서의 돌기부(13, 도3 참조)는 호퍼(10)의 셔터(3)의 로크 해제부(3-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작동과 연동시킴으로써, 셔터(3)의 결합부로서의 로크 해제부(3-3-1) 및 돌기부(13)는 서로 맞닿게 되어 케이스 본체(2)의 로크 피결합부(2-13)와 셔터 로크 결합부(3-3-2)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셔터 로크부(3-3)의 수지성 스프링 특성은 셔터 로크 결합부(3-3-2) 및 로크 피결합부(2-13)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된다. 셔터 로크는 셔터 로크부(3-3)의 스프링 특성에 저항하여 해제될 필요가 있다.
호퍼(10)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프로세스 중에, 셔터 로크가 해제된다. 로크 해제를 위해 필요한 장착 부하는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는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단차 리브(2-11)와 동일한 리브를 가진다. 셔터 로크를 로크 해제하는 지점은 도12b 및 도12c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설정된다.
실제 측정된 셔터 로크 해제력은 약 0.3kgf이다. 이를 제1 실시예에서의 장착 부하 증가 인자(0.7kgf)와 합치면, 장착 부하는 약 1.0kfg만큼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단차 리브(2-11)가 제공된다. 장착 부하는 도12b의 상태로부터 도12c의 상태까지 약 1.0kgf 만큼 감소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에 가해지는 장착 부하(W)는 다음의 (1) 내지 (3)을 포함한다. (1) 핸들(5) 내에 제공되는 로크부의 로크 해제력의 장착 부하, (2) 위치 설정 핀(2-4)과 호퍼측 끼움 구멍(16)을 서로 끼우는 것에 의한 장착 부하, (3) 셔터 로크의 로크 해제력의 장착 부하. 도12b의 상태로부터 도12c의 상태까지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장착 작동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결합에 따르는 증가된 장착 부하(W)를 느끼지 않고 현상제 공급 케이스(1)를 호퍼(10) 내부로 완전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앞선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피장착부 내부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로서 도시된다. 장착 부재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피장착부 내부로 완전히 장착되기 바로 직전에 결합에 의한 장착 부하를 발생하는 임의의 장착 부재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결합부의 결합 이전에, 결합부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 더 큰 부하가 발생되고 장착 부하는 사용자가 결합부의 결합시 부하를 느낄 수 없도록 변화되어 설정된다. 사용자는 결합부의 결합 이전에 장착 완료로 오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 청구범위의 범위는 변형 및 등가 구조와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넓은 범위의 해석에 준하여야만 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고 있는, 2007년 2월 21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 출원 제2007-040158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도1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2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사시도이고, 도3a는 호퍼 셔터(11)가 밀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b는 호퍼 셔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후방 사시도.
도5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후방 사시도.
도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후방 사시도.
도7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7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의 후방 사시도.
도8a, 도8b 및 도8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호퍼 내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8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호퍼와 맞닿아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c는 핸들(5)이 회전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a 및 도9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호퍼 내부로의 장착 중 위치 설정 핀과 위치 설정 구멍을 서로 끼우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9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호퍼 내부로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이고, 도9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호퍼 내부로 장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a, 도10b 및 도10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 로크를 로크 해제 및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10a는 핸들 로크가 로크 해제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b는 핸들 로크가 로크 해제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c는 핸들이 회전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a, 도11b 및 도11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부착 및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11a는 셔터가 부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b는 셔터가 부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c는 셔터가 회전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a, 도12b 및 도12c는 단차 리브(2-11)와 위치 설정 리브(19) 사이의 간섭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2a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높은 리브 간섭 개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2b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높은 리브 간섭 종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2c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장착 부하(P1, P2, W)와 장착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14는 낮은 리브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장착 부하를 도시한 그래프.
도15는 마찰 부재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16은 장착 부하(P2, W)와 장착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17은 비교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사시도.
도18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1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사시도.
도19a, 도19b 및 도19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 케이스(1)의 셔터 로크를 로크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19a는 셔터 로크가 로크 해제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9b는 셔터 로크가 로크 해제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9c는 셔터가 회전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제 공급 케이스
2-1 : 공급 개구
2-11 : 단차 리브
2-11-1 : 높은 리브
2-11-2 : 낮은 리브
5 : 핸들
6 : 커플링
10 : 호퍼
11-1 : 현상제 수용 개구
19 : 위치 설정 리브

Claims (14)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공급 케이스이며,
    현상제를 내측에 저장하는 케이스 본체와,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완료시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되는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경우 장착 부하(W)를 발생하는 결합부와,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 피장착부의 일부분과 맞닿게 되도록 제공되어 결합부가 피결합부와 결합되기 이전에 장착 부하(P1)를 발생하는 부하 발생부와,
    상기 장착 부하(W) 및 장착 부하(P1)가 P1 ≥ W인 관계를 만족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발생부는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결합부가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경우 장착 부하(P1)보다 작은 장착 부하(P2)를 발생하고, 상기 장착 부하(W), 장착 부하(P1) 및 장착 부하(P2)는 P1 ≥ P2+W인 관계를 만족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위치 설정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제공되는 피위치 설정부에 끼워지는 위치 설정부인 현상제 공급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발생부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에 제공되는 돌기부인 현상제 공급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발생부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에 제공되는 마찰 부재인 현상제 공급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제공되어 현상제를 토출하는 개구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밀봉 부재를 개방하기 위한 작동을 수행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에 제공되어 조작부의 운동을 규제하는 로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로크부에 제공되어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피결합부와 결합됨으로써, 로크부의 로크를 해제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제공되어 현상제를 토출하는 개구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밀봉 부재에 제공되어 조작부의 운동을 규제하는 로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로크부에 제공되어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피결합부와 결합됨으로써, 로크부의 로크를 해제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
  8.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정전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현상제에 의해 정전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현상 장치로 공급될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가 착탈 가능한 피장착부와,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완료시 현상제 공급 케이스 내에 제공되는 결합부와 결합되는 경우 장착 부하(W)를 발생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장착부는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현상제 공급 케이스에 제공되는 부하 발생부와 맞닿게 되는 부분을 가지고 결합부가 피결합부와 결합되기 이전에 장착 부하(P1)를 발생하고,
    상기 장착 부하(W) 및 장착 부하(P1)가 P1 ≥ W인 관계를 만족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발생부는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결합부가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경우 장착 부하(P1)보다 작은 장착 부 하(P2)를 발생하고, 상기 장착 부하(W), 장착 부하(P1) 및 장착 부하(P2)는 P1 ≥ P2+W인 관계를 만족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현상제 공급 케이스를 위치 설정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되는 피위치 설정부에 끼워지는 위치 설정부인 화상 형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발생부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에 제공되는 돌기부인 화상 형성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발생부는 현상제 공급 케이스에 제공되는 마찰 부재인 화상 형성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케이스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케이스 본체에 제공되어 현상제를 토출하는 개구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밀봉 부재를 개방하기 위한 작동을 수행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에 제공되어 조작부의 운동을 규제하는 로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로크부에 제공되어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피결합부와 결합됨으로써, 로크부의 로크를 해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케이스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케이스 본체에 제공되어 현상제를 토출하는 개구와,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밀봉 부재에 제공되어 조작부의 운동을 규제하는 로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로크부에 제공되어 피장착부 내부로의 현상제 공급 케이스의 장착 중에 피결합부와 결합됨으로써, 로크부의 로크를 해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015300A 2007-02-21 2008-02-20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31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0158 2007-02-21
JP2007040158 2007-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922A true KR20080077922A (ko) 2008-08-26
KR101031294B1 KR101031294B1 (ko) 2011-04-29

Family

ID=3970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300A KR101031294B1 (ko) 2007-02-21 2008-02-20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53351B2 (ko)
EP (1) EP2012188B1 (ko)
JP (1) JP5067865B2 (ko)
KR (1) KR101031294B1 (ko)
CN (1) CN101251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84735T3 (es) 2006-05-23 2020-09-30 Canon Kk Sistema de suministro de revelador
JP5463719B2 (ja) * 2009-04-16 2014-04-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600267B2 (en) 2009-04-28 2013-1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provided with the same
CN102597887B (zh) 2009-09-04 2014-06-18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JP4849169B2 (ja) 2009-12-25 2012-0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4941566B2 (ja) * 2010-01-27 2012-05-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532543B2 (en) 2010-01-27 2013-09-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RU2523738C2 (ru) * 2010-03-31 2014-07-20 Киосера Докьюмент Солюшнз Инк. Элемент ограничения вращения, 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GB2482310B (en) * 2010-07-28 2013-04-10 Illinois Tool Works Printer device
JP5514697B2 (ja) * 2010-11-02 2014-06-04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580841B1 (ko) * 2011-11-17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N104081290B (zh) 2012-01-31 2018-06-08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以及调色剂容器
JP5783924B2 (ja) * 2012-02-03 2015-09-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89010B2 (ja) * 2012-01-31 2014-09-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435116B2 (ja) 2012-03-15 2014-03-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粉体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粉体補給装置、および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
US8873996B1 (en) * 2013-05-29 2014-10-28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syste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a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with bypassing actuation
JP5625097B2 (ja) * 2013-10-09 2014-11-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回転規制部材、機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24853B2 (ja) * 2013-12-03 2018-05-16 エスプリンティン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632558B2 (ja) * 2014-07-18 2014-11-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632557B2 (ja) * 2014-07-18 2014-11-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9855B2 (ja) * 2014-08-25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711672B2 (ja) * 2016-04-05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24983B2 (ja) * 2016-08-19 2019-06-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10221529A (zh) * 2019-06-10 2019-09-10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补充盒及显影剂补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7277A (ja) * 1991-02-22 1992-09-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217250B2 (ja) 1995-09-21 2001-10-0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
JP3284334B2 (ja) * 1996-11-18 2002-05-2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シャッタ部材及びこれを使用するトナー補給装置
JPH10213959A (ja) 1997-01-30 1998-08-11 Konica Corp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08153B2 (ja) 1997-06-19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87388A (ja) * 1998-02-25 2000-07-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450757B2 (ja) 1998-09-22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3403132B2 (ja) 1999-10-29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撹拌翼及びトナー補給容器
JP2002172843A (ja) * 2000-09-27 2002-06-18 Riso Kagaku Corp インクボトル装着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インクボトル
US6704533B2 (en) 2000-12-08 2004-03-0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stirring rotation member
US6990301B2 (en) *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357441B1 (en) 2002-04-24 2007-03-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6987942B2 (en) 2002-04-24 2006-01-17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kit
JP3854893B2 (ja) 2002-04-25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4143325B2 (ja) 2002-04-26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駆動伝達部材
JP4314006B2 (ja) * 2002-09-30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20168B2 (ja) * 2002-12-24 2009-08-2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3990997B2 (ja) 2003-03-11 2007-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005070406A (ja) 2003-08-25 2005-03-17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US7274895B2 (en) 2003-08-25 2007-09-25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Developing unit with pressing guide mechanism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developing unit
JP4343625B2 (ja) 2003-08-29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005352159A (ja) 2004-06-10 2005-12-22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JP4636853B2 (ja) * 2004-11-1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39074A (ja) * 2004-11-12 2006-06-0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JP4579655B2 (ja) * 2004-11-12 2010-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50403B2 (ja) 2004-11-12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63296B2 (ja) 2004-11-12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34061B2 (ja) * 2005-02-14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560443B2 (ja) * 2005-05-24 2010-10-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33783A (ja) 2005-07-26 2007-02-08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JP4802872B2 (ja) * 2006-06-08 2011-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27621B2 (en) 2011-09-27
EP2012188A1 (en) 2009-01-07
US20110164898A1 (en) 2011-07-07
KR101031294B1 (ko) 2011-04-29
CN101251737B (zh) 2010-06-09
EP2012188B1 (en) 2018-04-11
US7953351B2 (en) 2011-05-31
US20080199224A1 (en) 2008-08-21
JP2008233862A (ja) 2008-10-02
JP5067865B2 (ja) 2012-11-07
CN101251737A (zh)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294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11650536B2 (en) Toner cartridge, toner supplying mechanism and shutter
EP1818729B1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8494417B2 (en) Opening/closing member,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36853B2 (ja)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03439B2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979336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JP2006139069A (ja)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97589A (ko)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6544169B2 (ja)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3082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22765B2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09780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17924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76757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02493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