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969A -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969A
KR20080076969A KR1020087015312A KR20087015312A KR20080076969A KR 20080076969 A KR20080076969 A KR 20080076969A KR 1020087015312 A KR1020087015312 A KR 1020087015312A KR 20087015312 A KR20087015312 A KR 20087015312A KR 20080076969 A KR20080076969 A KR 2008007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owder
food
ink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252B1 (ko
Inventor
게사오 안도
Original Assignee
버그 고교 유겐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5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92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26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024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778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066314B2/ja
Application filed by 버그 고교 유겐가이샤 filed Critical 버그 고교 유겐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7/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s other than charge patterns, e.g. an electric conductivity pattern; Processes involving a migration, e.g. photoelectrophoresis, photoelectrosolography; Processes involving a selective transfer, e.g. electrophoto-adhesive processes; Apparatus essentially involving a single such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41M1/125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using a field of force, e.g. an electrostatic field, or an electric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using electric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는, 분체 잉크를 소정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름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과 피인쇄물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분체 잉크를 피인쇄물에 부착시킨다. 복수의 스크린(34a∼34d)을 피인쇄물 (1)의 위쪽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한다. 복수의 스크린(34a∼34d) 을 샤프트(4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고, 샤프트(46)를 중심으로 하여 스크린 (34a∼34d)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34a∼34d)을 피인쇄물(1)의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정전인쇄, 스크린, 브러쉬, 분체, 잉크

Description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ELECTROSTATIC PRINTING DEVICE AND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특히 정전력을 이용하여 분체 잉크를 피인쇄물의 표면에 부착시켜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을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식품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력을 이용한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한 식품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정전력을 이용하여 분체(粉體) 잉크(powder ink)를 피인쇄물의 표면에 부착시켜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을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정전인쇄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정전인쇄장치에서는 1 색의 분체 잉크에 의한 인쇄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피인쇄물에 다색 인쇄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색의 수만큼 정전인쇄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41은 종래의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3색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장치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먼저 정전인쇄장치 (5OOa)에 있어서 1색째의 인쇄를 행한 후, 피인쇄물(1)이 탑재된 팔레트(550)를 다 음의 정전인쇄장치(500b)로 이송하고, 이 정전인쇄장치(500b)에서 2색째의 인쇄를 행한다. 그리고 정전인쇄장치(500b)에서의 2색째의 인쇄의 종료후, 다시 팔레트 (550)를 다음의 정전인쇄장치(500c)로 이송하고, 이 정전인쇄장치(500c)에서 3색째의 인쇄를 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다색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정전인쇄장치를 설치하여 각각의 정전장치에서 각각의 색에 의한 인쇄가 행하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다색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색의 수만큼 정전인쇄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다색 인쇄를 행하기 위한 비용도 매우 높아져 버린다.
또, 피인쇄물이 탑재된 팔레트를 다음의 정전인쇄장치로 이송할 때에 스크린에 대하여 팔레트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이송시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팔레트 내에서의 피인쇄물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색에 따라 인쇄위치가 다르게 되기 때문에 피인쇄물에 대하여 정확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할 수 없다.
도 42는 종래의 정전인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종래의 정전인쇄장치는, 피인쇄물(600)의 위쪽에 배치되는 스탠실 스크린(610)과, 스크린(610) 위의 회전브러시(620)와, 분체 잉크(630)를 브러시(620)에 공급하는 호퍼(640)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린에는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이 메시망(61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호퍼(640)로부터 공급되는 분체 잉크(630)는 브러시(620)의 회전에 의해 스 크린(610)의 메시망(61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밀어내진다. 피인쇄물(600)과 스크린(610)과의 사이에는 직류전원(DC)에 의해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피인쇄물(600)과 스크린(610) 사이에 정전계가 형성되어 있다. 메시망(611)을 통과하여 하전된 분체 잉크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피인쇄물(600)을 향하여 직진하여 피인쇄물 (600)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크린(610)의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이 피인쇄물(600)의 표면에 인쇄된다.
그러나 종래의 정전인쇄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피인쇄물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 피인쇄물에 대하여 매회 스크린(610)의 밑에 피인쇄물(600)을 배치하고 나서 인쇄를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쇄까지의 처리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인쇄에도 손이 많이 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정전인쇄장치에서는 연속 인쇄를 실질적으로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이 현상이다.
그런데, 종래 식품용 성형용기에 이형제나 그 밖의 가식성 분체를 도포하는 경우는,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형상의 그물코를 가지는 체(700)를 사용하여 가식성 분체(710)를 식품용 성형용기(720)의 위쪽으로부터 흔들어 떨어뜨려 성형용기(720)의 내면에 부착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체(700)를 사용한 경우에는 성형용기(720)의 내부의 측면이나 경사면에 가식성 분체(710)를 부착시키는 것이 어렵고, 가식성 분체(710)가 성형용기의 바닥면으로 낙하하여 퇴적된다. 또 가식성 분체(710)를 체(700)로부터 낙하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큰 입자지름의 분체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입자지름이 큰 것은 질량이 크기 때문에 특히 성형용기(720)의 측면에는 부착되 기 어렵고,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성형용기(720)의 바닥면으로 낙하하여 퇴적된다. 따라서 가식성 분체(710)를 성형용기(720)의 내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성형용기(720)의 측면에 가식성 분체(710)를 부착시켰다 하여도 체(700)를 사용한 도포에서는 가식성 분체(710)의 부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약간의 충격으로 박리되어 바닥면으로 낙하된다. 또한 체(7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 (700)를 좌우로 흔들기 때문에 가식성 분체(710)가 성형용기(720)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로도 낙하하기 때문에 낭비가 많다는 문제도 있다.
또, 성형식품의 표면에 가식성 분체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체를 사용한 방법 외에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800) 속에 성형식품(810)과 가식성 분체(820)를 넣은 후, 회전드럼(800)을 회전시켜 성형식품(810)의 표면에 가식성 분체(820)를 부착시키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회전드럼 (800)을 회전시켰을 때에 식품(810)끼리가 부딪쳐 식품(810)의 형상이 망가져 상품가치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식품에 조미료를 첨가하여 맛내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통상, 식품의 가공공정에 있어서 조미료를 식품에 혼입하여 이겨서 속에 넣어 가공하거나, 식품의 표면에 액체형상의 조미료를 뿌려 첨가하거나, 또는 분체형상의 조미료를 상기한 체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있다.
그러나 조미료를 식품에 혼입하여 식품에 조미료를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조미료를 혼입한 식품을 가열가공 등을 행하면 조미료의 기능이나 풍미가 가열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있다. 또 천연색소 등은 일반적으로 열에 약하여 가열가공 중 에 변색되는 것이 있다.
또, 식품의 표면에 조미료를 뿌려 첨가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액체의 조미료가 사용되나,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액체 조미료를 도포하면 액체조미료 중의 수분의 영향을 받아 풍미, 식감을 손상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밀기울이나 건조김 등은 액체 조미료를 도포하면 식품 본체가 수분에 의해 녹아버려 원래의 기능을 잃어 버린다.
또, 예를 들면 체을 사용하여 푸딩이나 젤리 등의 반고체의 표면에 코코아가루 등의 분체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부착력이 약하여 식품의 반송 중의 충격 등에 의해 식품의 표면에 도포한 코코아가루가 벗겨지거나, 또는 벗겨진 코코아가루가 굳어지거나 하여 맛과 미관이 손상된다.
또, 가식성 시트 위에 액체의 가식성 잉크를 활판인쇄에 의해 도포하고, 이 가식성 시트를 식품에 얹어 인쇄한 도안을 식품에 전사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가식성 시트를 수분이 있는 식품의 표면에 얹으면 식품 표면의 수분에 의해 가식성 시트가 녹아, 액체 잉크에 의해 인쇄된 도안이 식품의 표면에 전사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액체의 가식성 잉크가 사용되기 때문에, 인쇄시에 잉크의 수분에 견딜 수 있게 가식성 시트의 바탕을 두껍게 하거나, 시트에 내수성을 가지게 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가식성 시트를 사용하여 도안을 전사한 식품을 먹었을 때의 입맛이 나빠지고, 또한 식감도 좋지 않다.
또, 종래 식품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형에 흘려 넣거나, 수작업으로 형상을 만들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어, 성형하기 위하여 막대한 노동력과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면 화과자의 일종인 설탕뽑기(鼈甲飴)는 철판 위에 설탕을 바짝 조린 것을 노즐로부터 도안모양에 낙하시키고, 그 후 냉각하여 설탕을 굳히고, 굳어진 설탕을 철판으로부터 빼내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성형식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숙련기가 필요하였다. 또 스펀지케이크 위에 생크림 등으로 데코레이션케이크를 만드는 경우에도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곱고 아름다운 데코레이션케이크를 만들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저 비용이고도 콤팩트한 구성으로 정확하고 또한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행할 수 있는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균일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 분체 잉크의 낭비가 적은 정전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용 성형용기의 내면에 가식성 분체를 균일하고 또한 강고하게 부착시켜 낭비가 적고, 외관적으로도 곱고 아름다운 식품을 간단하게 제조하는 식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 3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식품에 첨가되는 조미료의 풍미, 식감을 손상하지 않고 조미료를 성형식품에 강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식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 4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을 고온의 기름으로 튀기지 않고 간단하게 튀김을 만들 수 있는 식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 5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식성 시트를 얇게 할 수 있어, 식품의 풍미, 식감을 손상하지 않고 가식성 시트 위의 패턴을 식품에 전사할 수 있는 식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 6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름이 큰 입자의 가식성 분체를 식품의 표면에 강고하게 부착시켜 외관 및 식감이 좋은 식품을 만들 수 있는 식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 7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련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이어도 간단하게 복잡한 형상의 식품을 만들 수 있는 식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 8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분체 잉크를 소정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름과 동시에, 그 스크린과 피인쇄물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체 잉크를 상기 피인쇄물에 부착시키는 정전인쇄장치로서,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피인쇄물의 위쪽에 이동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을 상기 피인쇄물의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형태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을 상기 피인쇄물의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복수의 정전인쇄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정전인쇄장치만으로 다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간을 작게 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 필요로 하는 고압 직류전원이나 각종 기기류도 하나로 충분하기 때문에, 다색 인쇄를 행하기 위한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피인쇄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색의 분체 잉크에 의한 다색 인쇄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색에 따라 인쇄위치가 어긋나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피인쇄물에 대하여 정확하고 또한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는 다른 색 또는 종류의 분체 잉크를 문질러 바를 수 있다. 다른 색의 분체 잉크를 사용하면 다색 인쇄가 가능하게 되고, 다른 종류의 분체 잉크를 사용하면 다종류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종류 인쇄로서는, 예를 들면 과자 등의 피인쇄물에 코코아가루와 슈거파우더 등 다른 종류의 분체 잉크를 겹쳐서 인쇄하는 경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분체 잉크는, 유색이고 아니고를 불문하고 피인쇄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모든 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분체 잉크를 소정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름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과 피인쇄물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체 잉크를 상기 피인쇄물에 부착시키는 정전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피인쇄물의 위쪽으로 순차 이동시켜 인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방법이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분체 잉크를 소정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름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과 피인쇄물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체 잉크를 상기 피인쇄물에 부착시키는 정전인쇄장치로서, 피인쇄물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피인쇄물의 위쪽으로 복수의 스크린을 이동하는 스크린이동기구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한 피인쇄물의 이동속도와 상기 스크린이동기구에 의한 상기 스크린의 이동속도를 동기시키는 동기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장치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연속하여 정전인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속도가 매우 빨라져 인쇄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형 경량화된 정전인쇄장치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크린의 청소 등을 행하기 위하여 장치의 운전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인쇄위치의 상류측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상의 피인쇄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센서와, 상기 높이 검출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피인쇄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인쇄물의 피인쇄면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인쇄거리)는, 피인쇄물과 스크린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생기지 않는 최소 거리로 하는 것이 선명한 인쇄를 행하는 데에 있어서 이상적이다. 피인쇄물의 높이는 각 피인쇄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반송 컨베이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한 경우에는 각각의 피인쇄물로 최적의 인쇄거리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높이 검지센서에 의해 각각의 피인쇄물의 높이를 검지하고, 이 높이 검지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리프터의 상승거리를 조정하여 각각의 피인쇄물의 높이에 따라 인쇄거리를 최적의 것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피인쇄물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선명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상기 스크린을 배치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한쪽의 측부의 상면에 설치된 측편을 가지는 스크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측편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스크린을 끼워 유지하는 협지부와, 상기 평판의 한쪽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편의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평판의 다른쪽 측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의 거리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2개의 스크린 유닛이 인접한 경우에 한쪽의 스크린 유닛의 개구부의 위쪽에 다른쪽의 스크린 유닛의 돌출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은 스크린 유닛의 측편의 협지부와 뒤쪽의 스크린 유닛의 측판의 돌출부와의 쌍방에 의해 구속되게 되어, 스크린이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2개의 스크린 유닛을 인접시켜 인쇄를 행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적확한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 스크린의 청소 등을 2개의 스크린 유닛을 인접시켜 행하는 것으로 하면, 작업이 하기 쉬워져 효과적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측편의 모서리부를 위쪽으로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스크린 유닛을 인접시키는 경우에 한쪽의 스크린 유닛은 다른쪽의 스크린 유닛과 서서히 접촉면적을 늘리면서 인접한다. 이때 스크린 유닛은 상기 모서리부부터 접촉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이 모서리부를 위쪽으로 구부림으로써 접촉시의 저항을 적게 하여 스크린 유닛을 원활하게 인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분체 잉크를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는 원통형상의 스크린 브러시와, 상기 스크린 브러시의 중심의 바로 위보다도 상기 스크린 브러시의 회전방향측의 위치로부터 분체 잉크를 상기 스크린 브러시에 공급하는 호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체 잉크를 스크린 브러시에 살포할 때에는 분체끼리의 응집 등에 의해 살포된 분체 잉크가 불균일하게 되나, 스크린 브러시의 바로 위에서 분체 잉크를 살포한 경우, 스크린 브러시에 살포된 불균일한 분체 잉크가 그대로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져 피인쇄물에 부착되는 분체 잉크에도 농담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스크린 브러시의 중심의 바로 위에서 회전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로부터 분체 잉크를 공급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다. 즉, 스크린 브러시에 살포된 분체 잉크가 불균일하여도 스크린 브러시의 중심의 바로 위에서 회전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살포되기 때문에, 분체 잉크는 스크린 브러시의 경사각도가 큰 바깥 둘레면에 닿고, 스크린 브러시의 회전력에 의해 조각조각으로 부서져 확산되어 문질러 바르는 위치의 바로 앞(인쇄위치의 바로 앞)의 스크린상에 낙하된다. 이 때문에 분체 잉크를 스크린에 균일하게 문질러 바를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분체 잉크를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는 스크린 브러시와, 인쇄위치의 상류측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상에 피인쇄물이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피인쇄물검지센서와, 상기 피인쇄물검지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반송 컨베이어상에 피인쇄물이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상의 피인쇄물이 인쇄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스크 린 브러시를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이간되는 브러시 이간기구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인쇄물이 인쇄위치에 없을 때에, 분체 잉크를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면, 스크린의 아래쪽으로 분체 잉크가 흩날려 피인쇄물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나 기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체 잉크가 쓸데 없이 소비된다. 또 이와 같이 분체 잉크로 더러워진 후의 반송 컨베이어에 피인쇄물을 탑재하면 그 피인쇄물의 바닥면이 더러워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상에 피인쇄물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스크린 브러시를 스크린으로부터 떼어 냄으로써 분체 잉크가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분체 잉크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나 기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일이 없고, 또 분체 잉크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인쇄가 행하여진 후에 상기 스크린이동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스크린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맞닿는 맞닿음편과, 상기 맞닿음편에 의하여 긁어 모아진 분체 잉크를 회수하는 회수박스를 가지는 잉크 회수장치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인쇄에 사용되지 않은 분체 잉크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진공에 의해 분체 잉크를 흡수하는 것이 있으나, 이 방법에서는 분체 잉크와 함께 공기 중의 먼지도 흡인되어 버려 회수된 분체 잉크를 재이용할 수 없어 폐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인쇄에 사용되지 않은 분체 잉크는 전체의 약 3할 정도이고, 이와 같이 진공에 의한 방법에서는 다량의 분체 잉크가 낭비가 된다. 상기한 잉크 회수장치에 의하면 분 체 잉크만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고, 회수된 분체 잉크에는 먼지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재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치의 운전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분체 잉크를 소정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름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과 피인쇄물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체 잉크를 상기 피인쇄물에 부착시키는 정전인쇄장치로서, 분체 잉크를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는 원통형상의 스크린 브러시와, 상기 스크린 브러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린 브러시 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장치이다.
스크린의 인쇄패턴에 따라서는 스크린상의 위치에 따라 분체 잉크의 소비량이 다른 경우가 있으나, 축방향으로도 스크린 브러시를 이동시켜 문질러 바름을 행함으로써 스크린상의 위치에 따라 분체 잉크의 소비량이 다른 경우이더라도 스크린상의 분체 잉크를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잉크량 제어를 하지 않고 스크린상의 잉크량을 균일하게 하여 균일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스크린 브러시의 회전과 축방향의 이동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전기적인 제어도 1 계통으로 되기 때문에 제어를 위한 전기회로도 간단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분체 잉크를 소정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름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과 피인쇄물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 기 분체 잉크를 상기 피인쇄물에 부착시키는 정전인쇄장치로서,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가열 핀과, 상기 가열 핀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검지하여 제어하는 온도센서와, 가열된 고온증기를 피인쇄물에 분사하는 슬릿이 형성된 분사판을 가지고, 증기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증기를 가열 핀에 접촉시켜 피인쇄물의 정착에 필요한 온도의 증기를 생성하는 정착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장치이다.
피인쇄물의 표면에 부착시킨 분체 잉크를 증기에 의해 정착하는 경우, 피인쇄물의 표면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피인쇄물의 표면에 닿은 증기의 온도가 저하하여 결로된다. 이와 같이 증기가 필요 이상으로 결로되면 피인쇄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인쇄된 분체 잉크가 정착 전에 흘러 잘 정착할 수 없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시간(2초 내지 5초) 동안에 고온의 증기를 피인쇄물의 표면에 분사하여 피인쇄물의 표면에 분체 잉크가 흐르지 않고 곱고 아름답게 정착할 수 있는 필요한 수분과 온도를 줄 필요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분체 잉크의 정착에 필요한 온도의 고온증기를 순간에 분출판의 슬릿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분체 잉크가 수분에 의해 흐르는 일이 없어, 분체 잉크의 정착을 완전하게 행하여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8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가식성 분체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고, 상기 스크린과 식품용 성형용기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가식성 분체를 상기 식품용 성형용기에 부착시키고, 상기 가식성 분체를 부착시킨 식품용 성형용기에 원료식품 을 넣어 식품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과 식품용 성형용기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진 가식성 분체를 상기 식품용 성형용기에 부착시키고, 원료식품을 상기 가식성 분체가 부착된 식품용 성형용기에 넣어 성형되는 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용 성형용기에 형성된 오목부의 측면이나 경사면에 대해서도 가식성 분체를 균일하고 또한 강고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가식성 분체를 부착시키는 것이 어려웠던 식품용 성형용기의 오목부의 측면에도 균일하게 가식성 분체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할 수 없었던 복잡한 형상의 식품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소정의 패턴을 스크린에 형성함으로써 식품용 성형 가공용기 내면의 소정의 개소만 도포할 수 있어 가식성 분체의 낭비가 적고, 외관적으로 곱고 아름다운 식품을 만들 수 있다. 또 필요한 부분 이외에 가식성 분체가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낭비가 적다.
여기서 가식성 분체에는 천연색소 또는 합성색소를 포함한 가식성 분체, 분체 조미료, 분체유지 등이 포함된다. 분체 조미료에는 고추, 후추, 매실 등의 향신료, 코코아가루, 베이킹파우더, 밀가루, 분말차가루, 슈거파우더, 감미료 외에 일반적인 조미료로서의 소금, 설탕, 간장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8 헝태는, 분체 조미료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고, 상기 스크린과 성형식품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체 조미료를 상기 성형식품에 부착시켜 성형식품을 조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 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과 성형식품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진 분체 조미료를 상기 성형식품에 부착시켜 조미되는 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방법에서는 좀처럼 도포하기가 어려웠던 고추, 후추, 매실 등의 조미료를 5 μ내지 50 μ정도의 입자지름을 가지는 분체로 하여 식품 표면에 강고하고 또한 곱고 아름답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액체 조미료, 액체 감미료, 액체 향신료 등을 가하면 건조하기 어려운 식품이나 수분에 의해 악영향을 받기 쉬운 식품에 대하여 정전인쇄에 의해 가식성 분체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공정이 필요없고, 또 수분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식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 분체 조미료를 식품성형후나 가열가공후의 최종 단계에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중의 열에 의한 영향이 없다. 따라서 식품에 도포된 분체 조미료의 참신한 맛이나 풍미를 손상하는 일 없이 식품을 만들 수 있다. 또 천연색소 등도 식품가공후에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중의 열에 약한 색소도 변색되지 않아 풍미를 손상하지 않고 곱고 아름다운 식품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는, 분체 유지(油脂)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고, 상기 스크린과 반가공 식품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체 유지를 상기 반가공 식품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과 반가공 식품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진 분체 유지를 상기 반가공 식품에 부착시킨 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가공 식품에 분체 유지를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의 전자렌지에 의해 간단하게 튀김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을 고온의 기름 속에 넣어 튀길 필요가 없다. 또 대량의 분체 유지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없던 식감과 맛의 튀김을 가정의 전자렌지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또 야채 등의 열에 약한 식품의 주위에 옷을 입혀 분체 유지를 도포하면 식품을 열로 손상시키지 않고, 또 맛을 변하지 않게 튀김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는, 가식성 분체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고, 상기 스크린과 가식성 시트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가식분체를 상기 가식성 시트에 부착시키고, 상기 가식 분체가 부착된 가식성 시트를 원료식품에 얹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과 가식성 시트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진 가식성 분체를 상기 가식성 시트에 부착시키고, 상기 가식성 분체가 부착된 가식성 시트를 원료식품에 얹어 제조되는 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잉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료식품에 얹는 가식성 시트의 소재를 선택할 때에 잉크에 의한 수분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 가식성 시트에 비접촉으로 가식성 분체를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식성 시트의 강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없어 가식성 시트를 아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식성 시트를 식품에 얹은 경우에 가식성 시트가 완전히 녹아 없어져 버리기 때문에 식품의 풍미, 식감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는, 가식성 접착제를 성형식품에 도포하여 가식성 분체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가식성 접착제가 도포된 성형식품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가식성 분체를 상기 성형식품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과 가식성 접착제가 도포된 성형식품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진 가식성 분체를 상기 성형식품에 부착시킨 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는 할 수 없었던 지름이 큰 입자의 가식성 분체도 성형식품의 표면에 강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 섬유형상의 가식성 분체를 성형식품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형식품의 표면에 섬유형상의 가식성 분체가 돌출한 외관으로 하여 외관 및 식감이 좋은 식품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는, 가식성 분체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고, 상기 스크린과 가공판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가식 분체를 상기 가공판의 표면에 적층시켜 상기 가식성 분체로 이루어지는 식품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7 형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과 가공판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진 가식성 분체를 상기 가공판의 표면에 적층하여 성형되는 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방법에 의하여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어도 간단하게 복잡한 형상의 식품을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는, 평판형상의 기초부(10)와, 기초부(10)에 고정 배치되는 탑재스테이지(20)와, 스크린 유닛(30a∼30d)을 회전시키는 회전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과자 등의 피인쇄물(1)은, 금속제의 팔레트(50) 내에 정렬되어 탑재스테이지(20) 위에 탑재된다. 이 탑재스테이지(20)에는 직류전원(DC)가 접속되어 있다.
회전부(40)는, 기초부(10)에 고정된 회전통(42)과, 베어링(44)을 거쳐 회전통(42)에 지지되는 샤프트(46)를 구비하고 있고, 이 샤프트(46)의 상단에 4개의 스크린 유닛(30a∼30d)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스크린 유닛(30a∼30d)은, 샤프트(46)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아암(32a∼32d)과, 이 회전아암(32a∼32d)에 설치된 스탠실 스크린(34a∼34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탠실 스크린(34a∼34d)은 샤프트(4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탠실 스크린(34a∼34d)은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탠실 스크 린(34a∼34d)에는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이 메시망(36a∼36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탠실 스크린(34a∼34d)의 전위는 접지전위가 된다. 인쇄시에는 스탠실 스크린의 상면에 분체 잉크가 살포되고, 이 분체 잉크가 우레탄 스펀지 브러시 등에 의해 스탠실 스크린에 문질러 발라진다. 이와 같은 분체 잉크로서는 천연색소 또는 합성색소를 포함한 가식성 잉크, 코코아가루, 밀가루, 분말차가루, 슈거파우더, 또는 공업용 분체 잉크 등,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의 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에 있어서 사용하는 피인쇄물(1)은 과자 등의 식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공업제품이어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스탠실 스크린(34a∼34d)에는 각각 다른 색의 분체 잉크가 살포되어 문질러 발라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는 4색 인쇄용 정전인쇄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탠실 스크린(34a∼34d)에 각각 다른 종류의 분체 잉크를 살포하여 문질러 바름으로써 4종류 인쇄용 정전인쇄장치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피인쇄물(1)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팔레트(50)의 오목부에 과자 등의 피인쇄물(1)을 정렬시키고, 피인쇄물(1)이 실린 팔레트(50)를 탑재스테이지(20)에 탑재한다. 다음에 1색째의 스탠실 스크린(34a)이 탑재스테이지(2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스크린 유닛(30a)을 회전시킨다. 도 1은 이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탠실 스크린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회전아암(32a∼32d)에 걸어멈춤 자유로운 위치 결 정기구를 탑재스테이지(20)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1색째의 스탠실 스크린(34a)을 탑재스테이지(20)의 위쪽에 위치시킨 후, 스탠실 스크린(34a)의 상면에 1색째의 분체 잉크를 살포하고, 이 분체 잉크를 우레탄 스펀지 브러시 등에 의해 스탠실 스크린(34a)에 문질러 바른다. 이때 직류전원(DC)에 의해 스탠실 스크린(34a)과 탑재스테이지(20)와의 사이에 직류 고전압, 예를 들면 5000 내지 6000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스탠실 스크린(34a)과 탑재스테이지(20)와의 사이에 정전계를 형성한다. 스탠실 스크린(34a)에 문질러 발라진 분체 잉크는 스탠실 스크린(34a)의 메시망(36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밀어 내지나, 메시망(36a)을 통과하여 하전된 분체 잉크는, 상기 정전계에 의해 상대전극인 탑재스테이지(20), 즉 피인쇄물(1)을 향하여 가속되어 1색째의 분체 잉크가 피인쇄물(1)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1색째의 인쇄가 완료된다.
1색째의 인쇄의 완료후, 직류전원(DC)에 의한 고전압의 인가를 정지하고, 2색째의 스탠실 스크린(34b)이 탑재스테이지(2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스크린 유닛(30b)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스탠실 스크린(34b)의 상면에 2색째의 분체 잉크를 살포하여 스탠실 스크린(34b)에 문질러 바른다. 이때 직류전원(DC)에 의해 스탠실 스크린(34b)과 탑재스테이지(20)와의 사이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2색째의 분체 잉크를 피인쇄물(1)에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2색째의 인쇄가 완료된다.
이하, 3색째, 4색째의 인쇄에 대해서도 3색째의 스탠실 스크린(34c) 및 4색째의 스탠실 스크린(34d)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함으로써 피인쇄물 (1)에 대하여 4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스탠실 스크린 (34a∼34d)을 사용하여 4색 인쇄를 행하는 정전인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스탠실 스크린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색수의 다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정전인쇄장치만으로 다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간을 작게 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 필요로 하는 고압 직류전원이나 각종 기기류도 하나로 충분하기 때문에 다색 인쇄를 행하기 위한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피인쇄물(1)을 탑재스테이지(20)에 탑재한 채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색의 분체 잉크에 의한 다색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색에 따라 인쇄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어, 피인쇄물(1)에 대하여 정확하고 또한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재 또는 요소와 동일한 작용 또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는, 탑재스테이지(20)를 타고 넘어 설치되는 슬라이딩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딩부(60)는 탑재스테이지(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지지기둥(62, 63)과 2개의 지지기둥(62, 63) 사이에 가설되는 2개의 레일 (64, 65)로 구성되어 있고, 이 레일(64, 65)에는 스크린 유닛(70)이 슬라이딩 베어링(72)을 거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크린 유닛(70)은 3개의 스탠실 스크린(74a∼74c)을 구비하고 있고, 각 스탠실 스크린(74a∼74c)은 칸막이판(75a, 75b)에 의해 각각 칸막이되어 있다.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탠실 스크린(74a∼74c)은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탠실 스크린(74a∼74c)에는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이 메시망(76a∼76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탠실 스크린(74a∼74c)의 전위는 접지전위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스탠실 스크린(74a∼74c)에 각각 다른 색의 분체 잉크가 살포되어 문질러 발라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는 3색 인쇄용 정전인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탠실 스크린 (74a∼74c)에 각각 다른 종류의 분체 잉크를 살포하여 문질러 바름으로써 다종류 인쇄용 정전인쇄장치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피인쇄물(1)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피인쇄물(1)이 탑재된 팔레트(50)를 탑재스테이지(20)에 탑재한 후, 1색째의 스탠실 스크린(74a)이 탑재스테이지(2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스크린 유닛(7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스탠실 스크린(74a)의 상면에 1색째의 분체 잉크를 살포하고, 이 분체 잉크를 우레탄 스펀지 브러시 등에 의해 스탠실 스크린(74a)에 문질러 바른다. 이때 직류전 원(DC)에 의해 스탠실 스크린(74a)과 탑재스테이지(20)와의 사이에 직류 고전압, 예를 들면 5000 내지 6000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스탠실 스크린(74a)과 탑재스테이지(20)와의 사이에 정전계를 형성한다. 스탠실 스크린(74a)에 문질러 발라진 분체 잉크는 스탠실 스크린(74a)에 형성된 메시망(76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밀어 내지나, 메시망(76a)을 통과하여 하전된 분체 잉크는, 상기 정전계에 의해 상대전극인 탑재스테이지(20), 즉 피인쇄물(1)을 향하여 가속되어 1색째의 분체 잉크가 피인쇄물(1)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1색째의 인쇄가 완료된다.
1색째의 인쇄완료 후, 직류전원(DC)에 의한 고전압의 인가를 정지하고, 2색째의 스탠실 스크린(74b)이 탑재스테이지(2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스크린 유닛(7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도 3은 이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스탠실 스크린(74b)의 상면에 2색째의 분체 잉크를 살포하고 스탠실 스크린(74b)에 문질러 바른다. 이때 직류전원(DC)에 의해 스탠실 스크린 (74b)과 탑재스테이지(20)와의 사이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2색째의 분체 잉크를 피인쇄물(1)에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2색째의 인쇄가 완료된다.
이하, 3색째의 인쇄에 대해서도 3색째의 스탠실 스크린(74c)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함으로써 피인쇄물(1)에 대하여 3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스탠실 스크린(74a∼74c)을 사용하여 3색 인쇄를 행하는 정전인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스탠실 스크린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색수의 다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정전인쇄장치만으로 다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간을 작게 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 필요로 하는 고압 직류전원이나 각종 기기류도 하나로 충분하기 때문에, 다색 인쇄를 행하기 위한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피인쇄물(1)을 탑재스테이지(20)에 탑재한 채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색의 분체 잉크에 의한 다색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색에 따라 인쇄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어, 피인쇄물(1)에 대하여 정확하고 또한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할 수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탠실 스크린의 전위를 접지전위로 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탠실 스크린에 직류전원을 접속하여 탑재스테이지의 전위를 접지전위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는 과자나 빵 등의 피인쇄물(1)의 표면에 분체 잉크를 부착시키는 인쇄부(110)와, 피인쇄물(1)의 표면에 부착시킨 분체 잉크를 정착시키는 정착부(120)와,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피인쇄물(1)은 과자 등의 식품에 한정하지 않고, 공업제품이어도 좋다. 또 분체 잉크로서는 천연색소 또는 합성색소를 포함한 가식성 잉크, 코코아가루, 밀가루, 분말차가루, 슈거파우더, 또는 공업용 분체 잉크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인쇄부(110)에는 평판형상의 복수의 스크린 유닛(200)과, 인쇄위치의 스크린 유닛(200)의 위쪽에 배치된 원통형상의 스크린 브러시(202)와, 스크린 브러시(202)의 위쪽에 배치된 호퍼(204)와, 피인쇄물(1)이 탑재되는 반송 팔레트(206)를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20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정착부(120)에는 인쇄부(110)에 있어서 분체 잉크를 부착시킨 피인쇄물(1)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300)와, 피인쇄물(1)에 부착된 분체 잉크를 정착시키는 정착장치(310)가 설치되어 있다.
인쇄부(110)의 스크린 유닛(200)에는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탠실 스크린(210)이 수용되어 있고, 이 스크린(210)에는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이 메시망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스크린 유닛(200)이 인쇄부(110)에 설치되어 있다. 호퍼(204)는 분체 잉크를 스크린 브러시(202)에 공급하는 것으로, 스크린 브러시(202)는 호퍼(204)로부터 공급된 분체 잉크를 스크린 유닛(200) 내의 스크린(210)에 문질러 바르는 것이다.
반송 팔레트(206) 위에 탑재된 피인쇄물(1)은 반송 컨베이어(208)에 의해 인쇄위치로 반송되고, 이 때 스크린 유닛(200) 내의 스크린(210)과 반송 팔레트(206)와의 사이에 직류 고전압, 예를 들면 5000 내지 6000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스크린(210)과 반송 팔레트(206) 사이에 정전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스크린 브러시(202)에 의해 분체 잉크가 스크린(210)에 문질러 발라지고, 메시망을 통과하여 하전된 분체 잉크가 상기 정전계에 의해 상대전극인 반송 팔레트(206)를 향하여 가속되어 반송 팔레트(206)상의 피인쇄물(1)에 부착된다. 분체 잉크를 부착시킨 피 인쇄물(1)은 인쇄부(110)의 반송 컨베이어(208)로부터 정착부(120)의 반송 컨베이어(300)에 보내지고, 정착부(120)의 정착장치(310)의 내부를 통과한다. 정착장치(310)에 있어서는 피인쇄물(1)이 고온증기에 의해 가열되고, 이 가열에 의해 피인쇄물(1)의 표면에 부착된 분체 잉크가 정착된다.
인쇄부(110)의 반송 컨베이어(208)에는 반송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반송 팔레트(20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반송 팔레트(206)의 위에 피인쇄물(1)이 탑재된다. 반송 컨베이어(208)의 아래쪽에는 구동모터(2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212)의 출력축(212a)은 마이터기어(도시 생략)를 거쳐 반송 컨베이어(208)의 구동축(214)에 연결되어 있다.
또, 인쇄부(110)의 각 스크린 유닛(200)은, 2개의 스프로킷(216a, 216b) 사이에 건너 질러진 반송체인(218)에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스프로킷(216a)은 마이터기어(도시 생략)를 거쳐 종동축(2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종동축(220) 및 반송 컨베이어(208)의 구동축(214)에는 각각 스프로킷(222a, 222b)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스프로킷(222a, 222b) 사이에는 체인(224)이 건너 질러져 있다.
상기한 구동모터(212)를 구동하면 구동모터(212)의 회전은 반송 컨베이어 (208)의 구동축(214)에 전달됨과 동시에 구동축(214)의 스프로킷(222b)에 연결된 체인(224)을 거쳐 스프로킷(222a 및 216a)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12)의 회전에 의하여 반송 컨베이어(208)가 구동됨과 동시에, 스프로킷(216a)이 회전하여 스크린 유닛(200)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타원궤도를 그리며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모터(212), 구동축(214), 스프로킷(216a, 216b, 222a, 222b), 체인(218, 224) 및 종동축(220)에 의하여, 반송 컨베이어(208)에 의해 이동되는 피인쇄물(1)의 위쪽으로 스크린(210)을 이동하는 스크린이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 컨베이어(208)의 구동축(214)의 회전과 스프로킷(216a)의 회전은 동기하고 있어, 반송 컨베이어(208)에 의한 반송 팔레트(206)의 이동속도와 스크린 유닛(200)과의 이동속도가 같아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스크린이동기구 및 반송 컨베이어(208)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208)에의한 피인쇄물(1)의 이동속도와 스크린이동기구에 의한 스크린(210)의 이동속도를 동기시키는 동기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208)에 의한 피인쇄물(1)의 이동속도와 스크린이동기구에 의한 스크린(210)의 이동속도와의 비를 조정하면서 동기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피인쇄물(1)에 인쇄되는 패턴을 이동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스크린 유닛(200)은 타원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하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유닛(200)이 인쇄위치에 있을 때는 그 전후의 스크린 유닛(200)과 인접하게 되어 있다. 인쇄위치에서 인쇄가 행하여진 후, 스크린 유닛(200)은 전후의 스크린 유닛과 떨어지고(이하, 이 위치를 제 1 중간위치라 함), 다시 인쇄위치와는 반대측의 위치(이하, 작업위치라 함)에서 전후의 스크린 유닛과 인접한다. 그후 스크린 유닛(200)은 전후의 스크린 유닛과 떨어지고(이하, 이 위치를 제 2 중간위치라 함), 다시 인쇄위치에서 전후의 스크린 유닛과 인접한다.
인쇄위치의 상류측, 즉 반송 컨베이어(208)의 진행방향의 상류측에는 반송 컨베이어(208)의 위쪽에 위치하는 반송 팔레트(206)를 사이에 두고 피인쇄물검지센서(2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피인쇄물검지센서(226)로서는 투광부(226a)와 수광부(226b)로 이루어지는 광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반송 팔레트(206)에는 광 센서의 투광부(226a)로부터 발생된 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광 통과구멍(206a)이 형성되어 있다. 피인쇄물(1)이 반송 팔레트(206) 위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투광부(226a)로부터 발생된 빛은 반송 팔레트(206)의 광 통과구멍(206a)을 통과하여 수광부(226b)에서 수광되어, 반송 팔레트(206) 위에 피인쇄물(1)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지된다. 한편 피인쇄물(1)이 반송 팔레트(206) 위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투광부(226a)로부터의 빛은 반송 팔레트(206)상의 피인쇄물(1)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226b)에는 도달하지 않아 반송 팔레트(206) 위에 피인쇄물(1)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검지된다. 이 피인쇄물검지센서(226)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30)에 보내진다.
*또, 인쇄위치의 상류측에는 반송 팔레트(206)에 탑재된 피인쇄물(1)의 높이를 검지하는 높이 검지센서(228)도 설치되어 있고, 이 높이 검지센서(228)도 상기한 피인쇄물검지센서(226)와 마찬가지로 광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이 높이 검지센서(228)의 출력신호도 제어부(130)에 보내진다.
인쇄위치에는 반송 컨베이어(208)의 반송레일을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터 (230)가 설치되어 있고, 리프터(230)에 의하여 반송레일이 위쪽에 들어 올려지면 반송 컨베이어(208)의 반송 팔레트(206)도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피인쇄물(1)의 피인쇄면과 스크린(210) 사이의 거리(이하, 인쇄거리라 함)는 피인쇄물(1)과 스크린(210)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생기지 않는 최소 거리로 하는 것이 선명한 인쇄를 행하는 데에 있어서 이상적이다. 피인쇄물(1)의 높이는 각 피인쇄물(1)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반송 팔레트(206)와 스크린(21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고정한 경우에는 각각의 피인쇄물(1)에서 최적의 인쇄거리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높이 검지센서(228)에 의해 각각의 피인쇄물(1)의 높이를 검지하고, 이 높이 검지센서(228)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리프터(230)의 상승거리를 조정하여 각각의 피인쇄물(1)의 높이에 따라 인쇄거리를 최적의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전인쇄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피인쇄물(1)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선명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a는 스크린(210)을 떼어 낸 상태의 스크린 유닛(200)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정단면도, 도 7c는 인쇄위치에 있어서의 스크린 유닛(2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린 유닛(200)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개구부(232)가 형성된 평판(234)과, 스크린 유닛 이동방향측의 평판(234)의 측부 상면에 설치된 측편(236)과, 반송체인(218)에 설치되는 설치판(238)을 구비하고 있다. 평판(234)의 개구부(232)의 하부에는 스크린(210)을 지지하는 스크린지지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측편(236)은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234)의 스크린지지부(240)의 위쪽으로부터 스크린 유닛(20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스크린지지부(240) 의 위쪽에 위치하는 협지부(242)와 평판(234)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44)를 가지고 있다. 스크린(210)은 그 한쪽 끝이 평판(234)의 스크린지지부(240)와 측편(236)의 협지부(242)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 상태로 평판(234)의 개구부(232)에 배치된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편(236)의 돌출부(244)의 길이(L1)는, 다른쪽의 측부로부터 개구부(232)까지의 길이(L2)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스크린 유닛이 인접한 경우에는 앞쪽의 스크린 유닛의 개구부(232)의 위쪽에 뒤쪽의 스크린 유닛의 돌출부(244)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유닛(200b)이 인쇄위치로 왔을 때에는 스크린 (210b)은 그 스크린 유닛(200b)의 협지부(242b)와 뒤쪽의 스크린 유닛(200a)의 돌출부(244a)와의 쌍방에 의해 구속되게 되어 스크린 브러시(202)를 문질러 바를 때에 스크린(21Ob)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적확한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 마찬가지로 작업위치에 있어서도 스크린 유닛(200) 내에서 스크린 (210)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210)의 청소 등을 작업위치에서 행하는 것으로 하면 작업이 하기 쉬워져 효과적이다.
또,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편(236)의 설치판(238)측의 모서리부 (246)는 위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스크린 유닛(200)이 타원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린 유닛(200)이 제 2 중간위치로부터 인쇄위치에 이를 때 또는제 1 중간위치로부터 작업위치에 이를 때에 앞쪽의 스크린 유닛(200)과 서서히 접촉면적을 늘리면서 최종적으로 인쇄위치 또는 작업위치에 있어서 앞쪽의 스크린 유 닛(200)에 인접한다. 이때 스크린 유닛(200)은 앞쪽의 스크린 유닛(200)과 상기한 모서리부(246)로부터 접촉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이 모서리부(246)를 위쪽으로 구부림으로써, 접촉시의 저항을 적게 하여 스크린 유닛(200)을 원활하게 인접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인쇄부(110)의 인쇄위치 주변의 정단면도, 도 9는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204)는 분체 잉크를 수용하는 호퍼용기(250)와, 호퍼용기(250)의 내부에 설치된 호퍼 브러시(252)와, 고정 프레임(254)에 설치된 호퍼용기 지지부(256)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린 브러시 (202)에 공급되는 분체 잉크는, 호퍼용기(250)의 위쪽으로부터 투입된다. 호퍼용기(250)의 바닥면 및 호퍼용기 지지부(256)에는 투입된 분체 잉크를 스크린 브러시(202)에 살포하기 위한 살포구멍(257)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프레임(254)에는 호퍼 브러시(252)를 회전시키는 호퍼 브러시 회전모터(258)가 설치되어 있고, 이 호퍼 브러시 회전모터(258)에는 호퍼 브러시(252)의 회전축(252a)이 연결되어 있다. 호퍼 브러시 회전모터(258)의 구동에 의해 호퍼 브러시(252)를 회전시킴으로써 호퍼용기(250) 내에 투입된 분체 잉크가 살포구멍(257)으로부터 스크린 브러시 (202)에 살포된다.
상기한 살포구멍(257)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브러시(202) 중심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스크린 브러시(202) 중심의 바로 위에서 회전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분체 잉크를 스크린 브러시(202)에 살포할 때에는 분체끼리의 응집 등에 의해 살포된 분체 잉크가 불균일하게 되나, 스 크린 브러시(202)의 바로 위에서 분체 잉크를 살포한 경우, 스크린 브러시(202)에 살포된 불균일한 분체 잉크가 그대로 스크린(210)에 문질러 발라져 피인쇄물(1)에 부착되는 분체 잉크에도 농담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 브러시(202)의 중심의 바로 위에서 회전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부터 분체 잉크를 공급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다. 즉, 스크린 브러시(202)에 살포된 분체 잉크가 불균일하여도 스크린 브러시(202) 중심의 바로 위에서 회전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살포되기 때문에, 살포구멍(257)으로부터 낙하한 분체 잉크는 스크린 브러시(202)의 경사각도가 큰 바깥 둘레면에 닿아 스크린 브러시(202)의 회전력에 의해 조각조각으로 부서져 확산되어 문질러 바르는 위치의 바로 앞(인쇄위치의 바로 앞)의 스크린(210)상으로 낙하된다. 이 때문에 분체 잉크를 스크린(210)에 균일하게 문질러 바를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254)에는 지지축(26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가동 프레임(2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프레임(262)의 하부에는 상기한 스크린 브러시(202)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 브러시(202)는 우레탄 스펀지(264)와, 우레탄 스펀지(264)를 장착한 슬라이드통체(266)와, 슬라이드통체(266)의 내부에 배치된 스플라인축(268)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스크린 브러시(202)의 우레탄 스펀지(264)는 스크린(210)에 접촉하고 있다. 슬라이드통체(266)는 베어링을 거쳐 스플라인축(268)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되어 있고, 또 슬라이드통체(266)에 설치된 키(도시 생략)와 스플라 인축(268)에 형성된 키홈(도시 생략)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스플라인축(268)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크린 브러시(202)의 스플라인축(268)은 가동프레임(262)에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플라인축(268)의 끝부에는 스프로킷(270)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가동프레임(262)의 상부에는 스크린 브러시(202)를 회전시키는 스크린 브러시 회전모터(27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린 브러시 회전모터(272)는 체인(274)을 거쳐 상기 스플라인축(268)의 스프로킷(27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크린 브러시 회전모터(272)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 브러시(202)의 스플라인축(268)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린 브러시(202)의 슬라이드통체(266)에는 가동프레임(262)에 고정된 캠(276)이 걸어맞춰지는 캠홈(27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 브러시 회전모터(272)의 구동에 의해 스플라인축(268)이 회전하면 스플라인축(268)과 함께 슬라이드통체(266)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캠(276)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드통체(266)가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통체(266), 스플라인축(268), 스프로킷(270), 스크린 브러시 회전모터(272), 체인(274), 캠(276)에 의해 스크린 브러시(20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린 브러시 구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스크린(210)의 인쇄패턴에 따라서는 스크린(210)상의 위치에 따라 분체 잉크의 소비량이 다른 경우가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도 스크린 브러시 (202)를 이동시켜 문질러 바르기를 행함으로써 스크린(210)상의 위치에 따라 분체 잉크의 소비량이 다른 경우에도 스크린(210)상의 분체 잉크를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잉크량 제어를 하지 않고 스크린(210)상의 잉크량을 균일하게 하여, 균일하고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모터만으로 스크린 브러시(202)의 회전과 축방향의 이동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가 간단해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전기적인 제어도 1계통으로 되기 때문에, 제어를 위한 전기회로도 간단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의 이동폭(W)은, 분체 잉크의 소비량이 적은 위치로부터 분체 잉크의 소비량이 많은 위치에 이르는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프레임(262)의 상부에는 에어실린더(28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에어실린더(280)의 로드(280a)의 선단은 고정 프레임(254)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에어실린더(280)는 상기한 피인쇄물검지센서(226)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작동한다. 즉, 인쇄위치로 반송된 반송 팔레트(206) 위에 피인쇄물(1)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에어실린더(280)가 작동하여 에어실린더(280)의 로드(280a)가 연장되고, 가동프레임(262)이 지지축(26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때 스크린 브러시(202)의 우레탄 스펀지(264)는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스크린(210)으로부터 이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프레임(262), 지지축(260), 에어실린더(280)에 의해 스크린 브러시(202)를 스크린(210)으로부터 이간하는 브러시 이간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인쇄물(1)이 인쇄위치에 없을 때에 분체 잉크를 스크린(210)에 문질러 바르면, 스크린(210)의 아래쪽으로 분체 잉크가 흩날려 피인쇄물(1)을 반송하는 반송 팔레트(206)나 기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체 잉크가 쓸데 없이 소비된다. 또 이와 같이 분체 잉크로 더러워진 후의 반송 팔레트(206)에 피인쇄물(1)을 탑재하면 그 피인쇄물(1)의 바닥면이 더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위치로 반송된 반송 팔레트(206) 위에 피인쇄물(1)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스크린 브러시(202)의 우레탄 스펀지(264)를 스크린(210)으로부터 떼어 냄으로써 분체 잉크가 스크린(210)에 문질러 발라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분체 잉크에 의해 반송 팔레트(206)나 기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일이 없고, 또 분체 잉크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에어실린더(280)의 작동과 동시에 호퍼 브러시 회전모터(258)의 구동을 정지하고, 호퍼(204)로부터 스크린 브러시(202)에 대한 분체 잉크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스크린 브러시(202)를 설치하지 않고, 단일의 스크린 브러시(202)에 의해 분체 잉크를 스크린(210)에 문질러 바르고 있다. 스크린(210)에 분체 잉크를 단시간에 다량으로 문질러 바르기 위하여 복수의 스크린 브러시(202)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스크린 브러시(202), 스크린 (210) 및 피인쇄물(1)의 위치관계가 각 스크린 브러시(202)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인쇄 어긋남이 생겨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린 브러시 (202)는, 지름이 큰 브러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브러시로 필요량의 분체 잉크를 문질러 바를 수 있으므로, 인쇄 어긋남이 생기지 않아 곱고 아름다운 인 쇄를 행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부(110)의 제 1 중간위치에는 인쇄후의 스크린 유닛(200)으로부터 인쇄에 사용되지 않았던 분체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장치(28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내는 잉크 회수장치(282)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회수장치(282)는 스크린 유닛(200)을 반입하는 반입구(284a)와 이것을 반출하는 반출구(284b)가 형성된 회수박스(284)를 구비하고 있고, 이 회수박스(284)의 내부에는 이동하는 스크린 유닛(200)의 상하면에 맞닿는 복수의 고무판(맞닿음편)(286)이 배치되어 있다. 스크린 유닛(200)은 회수박스(284)의 반입구(284a)로부터 회수박스(284)의 내부로 도입되고, 그 상하면이 내부의 고무판(286)에 맞닿아 인쇄에 사용되지 않은 분체 잉크가 고무판(286)에 의하여 긁어 모아져 스크린 유닛(200)의 통과후에 회수박스(284)의 바닥부로 떨어진다. 회수박스(284)의 바닥부에 모인 분체 잉크는 도시 생략한 인출구로부터 인출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인쇄에 사용되지 않았던 분체 잉크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진공에 의해 분체 잉크를 흡수하는 것이 있으나, 이 방법에서는 분체 잉크와 함께 공기 중의 먼지도 흡인하여 버려 회수된 분체 잉크를 재이용할 수 없어 폐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인쇄에 사용되지 않은 분체 잉크는 전체의 약 3할 정도로, 이와 같이 진공에 의한 방법으로는 다량의 분체 잉크가 낭비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잉크 회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분체 잉크만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고, 회수된 분체 잉크에는 먼지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재이용할 수 있 다. 이 때문에 장치의 운전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착장치(3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정착장치(31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착장치(310)는 측벽에 매설된 히터(312)와, 복수의 가열 핀(314)을 가지는 1쌍의 가열부(316a, 316b)와, 히터(31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18)를 구비하고 있다. 정착장치(310)의 상부에는 예를 들면 100℃의 증기를 도입하는 증기 도입구(3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증기 도입구(320)는 도시 생략한 증기원에 접속된다. 정착장치(3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슬릿(322)이 형성된 분사판(324)이 배치되어 있다. 1쌍의 가열부(316a, 316b)는 각각의 가열 핀(314)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열부(316a, 316b) 사이에는 사행하는 유로(326)가 형성되어 있다.
증기 도입구(320)로부터 도입된 증기는, 가열부(316a, 316b) 사이의 사행유로(326)를 히터(312)에 의하여 가열된 가열 핀(314)과 접촉하면서 흘러, 단시간에 예를 들면 400℃의 고온증기가 된다. 이 고온증기는 분사판(324)의 슬릿(322)으로부터 피인쇄물(1)의 표면에 분사된다. 가열부(316a, 316b)의 가열 핀(314)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 핀(314)과 증기와의 접촉면적이 커져 단시간에 증기의 온도를 확실하게 올릴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318)에 의해 히터(312)의 온도를 제어하여 피인쇄물(1)의 정착에 필요한 온도의 증기를 생성한다. 피인쇄물(1)의 비열이나 표면 온도에 따라 분사되는 증기의 온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만두와 같은 비열이 작은 것은 약 120℃, 달걀부침과 같은 비열이 큰 것 은 약 400℃의 고온증기로 한다.
피인쇄물의 표면에 부착시킨 분체 잉크를 증기에 의해 정착하는 경우, 피인쇄물의 표면의 온도가 낮으면 피인쇄물의 표면에 닿은 증기의 온도가 저하하여 결로된다. 이와 같이 증기가 필요 이상으로 결로되면 피인쇄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인쇄된 분체 잉크가 정착 전에 흘러 잘 정착할 수 없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시간(2초 내지 5초) 동안에 고온의 증기를 피인쇄물의 표면에 분사하여 피인쇄물의 표면에 분체 잉크가 흐르지 않아 곱고 아름답게 정착할 수 있는 필요한 수분과 온도를 줄 필요가 있다.
피인쇄물(1)에 부착시킨 분체 잉크를 증기에 의해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분체 잉크가 증기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여 겔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겔화한 분체 잉크에 80℃ 이상의 열을 가하면, 분체 잉크는 그후 경화하여 표면에 정착된다. 이때 피인쇄물(1)의 표면도 분체 잉크와 마찬가지로 80℃ 또는 그 이상의 온도가 아니면 분체 잉크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분체 잉크의 정착에 필요한 온도의 고온증기를 순간에 분사판(324)의 슬릿(32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분체 잉크가 수분에 의해 흐르는 일이 없어 분체 잉크의 정착을 완전하게 행하여 곱고 아름다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 유닛(200)은, 반송 컨베이어(208)에 의해 반송되는 피인쇄물(1)과 동기하여 타원 궤도를 그리며 이동한다. 스크린 유닛(200)이 인쇄위치에 오면 스크린 브러시(202)에 의해 분체 잉크가 스크린 유닛(200) 내의 스크린(210)에 문질러 발라지고, 피인쇄물(1)의 표면에 분체 잉크를 부착시켜 인쇄를 행한다. 인쇄를 행한 후의 스크린 유닛(200)은 제 1 중간위치에 배치된 잉크 회수장치(282) 내에 도입되고, 여기서 스크린 유닛(200)의 상하면에 남은 분체 잉크가 회수된다. 그후 스크린 유닛(200)은 작업위치 및 제 2 중간위치를 경유한 후, 다시 인쇄위치로 이동되고, 여기서 상기한 인쇄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가 연속하여 반복된다. 또한 제 2 중간위치에 스크린 유닛(200)의 상하면에 완강하게 부착된 분체 잉크를 진공에 의해 흡수하는 클리닝장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에 의하면, 연속하여 정전인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속도가 매우 빨라져 인쇄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형 경량화된 정전인쇄장치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작업위치에서 스크린(210)의 청소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210)의 청소 등을 행하기 위하여 장치의 운전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스크린 유닛(200)이 수평면내와 타원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크린 유닛(200)을 상하로 이동시켜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한 식품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한 작용 또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 는 도 13의 정전인쇄장치의 스탠실 스크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오목부(410)가 형성된 식품용 성형용기(420)의 위쪽에는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탠실 스크린(4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린(430)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에 대응한 복수의 개구(432)가 형성되어 있고, 가식성 분체(440)를 문질러 바르기 위한 패턴(4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32)는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측면(410a)에 대응하는 부분, 즉 패턴(434)의 바깥 둘레부분에 의해 대부분 형성되어 있다. 성형용기(420) 및 스크린(430)은 각각 직류전원(DC)에 접속되어 있다.
먼저, 스크린(430) 위에 살포된 가식성 분체(440)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 (450)를 사용하여 문질러 바른다. 이때 성형용기(420)와 스크린(430)과의 사이에 직류전원(DC)에 의해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성형용기(420)와 스크린(430)과의 사이에 정전계를 형성한다. 스크린(430)에 형성된 개구(432)를 통과하여 하전된 가식성 분체(440)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성형용기(420)를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내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측면(410a)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측면(410a)은 대면하는 스크린 패턴에 대하여 도포면적이 넓기 때문에 성형용기(420)를 향하여 직진하여 온 분체입자(440)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측면(410a)에 대응하는 부분에 보다 많은 개구(432)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분체입자(440)를 측면(410a) 근방으로 날려 성 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내면의 전면에 걸쳐 가식성 분체(440)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내면에 부착된 가식성 분체(440)는 정전기에 의하여 성형용기(420)의 내면에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전력에 의해 가식성 분체(440)를 날리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입자의 지름이 작은 분체를 사용할 수 있어 성형용기(420)의 내면에 부착시키는 분체의 질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측면(410a)에 부착된 분체는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바닥면으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정전기에 의해 강고하게 측면(410a)에 부착된다.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에 가식성 분체(440)를 도포한 후, 이 오목부 (410)에 식품원료를 따라 넣어 식품의 성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식품용 성형용기(420)의 박리제로서 사용하는 베이킹파우더를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내면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이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에 식품원료를 넣어 식품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식성 분체(440)를 성형용기 (420)의 내면에 강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원료를 성형용기(420)에 따라 넣어 성형된 식품을 성형용기(420)로부터 뺄 때에 가식성 분체(440)가 식품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낭비가 적고, 외관적으로도 곱고 아름다운 식품을 간단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식품용 성형용기로서의 뜨거워진 상판(420a)의 표면에 가식성 분체로서의 분체 유지(440)를 도포하여 뜨거워진 상판(420a)의 내면의 기름칠을 행하는 예이다. 스탠실 스크린(430)으로부터 밀어 내진 분체 유지(440)는 뜨거워진 상판(420a)을 향하여 정전기력으로 곧바로 날아 가, 뜨거워진 상판(420a)의 표면에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뜨거워진 상판(420a)에 필요한 개소에 필요한 양의 기름(440)을 분체유로서 도포할 수 있으므로 낭비가 없고, 또 필요범위 이외로 분체유지(440)가 흩날리지 않기 때문에 주위를 기름으로 지저분하게 하는 일이 없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는 복수의 스탠실 스크린[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스크린(430a, 430b, 430c)]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스탠실 스크린(430a, 430b, 430c)은 식품용 성형용기(420)의 위쪽에 교대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먼저, 제 1 스크린(430a) 위에 살포된 제 1 가식성 분체(440a)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450)를 사용하여 문질러 바른다. 이때 성형용기(420)와 제 1 스크린 (430a) 사이에 직류전원(DC)에 의해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성형용기(420)와 제 1 스크린(430a) 사이에 정전계를 형성한다. 제 1 스크린(430a)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여 하전된 제 1 가식성 분체(440a)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성형용기(420)를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내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제 1 가식성 분체층(442a)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2 스크린(430b)을 성형용기(420)의 위쪽에 배치하고, 제 2 스크린(430b) 위에 살포된 제 2 가식성 분체(440b)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450)를 사용하여 문질러 바른다. 이에 의하여 제 2 가식성 분체(440b)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성형용기(420)을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내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제 1 가식성 분체층(442a)의 위에 제 2 가식성 분체층(442b)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3 스크린(430c)을 성형용기(420)의 위쪽에 배치하고, 제 3 스크린(430c) 상에 살포된 제 3 가식성 분체(440c)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450)를 사용하여 문질러 바른다. 이에 의하여 제 3 가식성 분체(440c)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성형용기(420)를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의 내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제 2 가식성 분체층(442b)의 위에 제 3 가식성 분체층(442c)을 형성한다.
성형용기(420)의 오목부(410)에 3층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성 분체층(442a, 442b, 442c)을 도포한 후, 이 오목부(410)에 식품원료를 따라 넣어 식품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종류의 가식성 분체를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반복하여 몇겹으로도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없던 새로운 맛의 식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예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푸딩이나 젤리 등의 반 고형물의 성형식품(422a)의 표면에 코코아가루 등의 분체 조미료(444)를 도포하여 맛내기를 행하는 예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딩이나 젤리 등의 반고형물의 성형식품 (422a)은 도전성의 가공대(460) 위에 탑재되어 있고, 이 위쪽에 스크린(4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린(430)에는 분체 조미료(444)를 문질러 바르기 위한 패턴이 개구(43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공대(460) 및 스크린(430)은 각각 직류전원(DC)에 접속되어 있다.
먼저, 스크린(430)상에 살포된 분체 조미료(444)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450)를 사용하여 문질러 바른다. 이때 가공대(460)와 스크린(430) 사이에 직류전원(DC)에 의해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성형식품(422a)과 스크린(430) 사이에 정전계를 형성한다. 스크린(430)에 형성된 개구(432)를 통과하여 하전된 분체 조미료(444)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가공대(460)를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식품(422a)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푸딩이나 젤리 같은 수분이 비교적 많은 식품(422a)에 대하여 수분이 적은 분체 조미료 (444)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의 수분을 증가시키지 않고 조미할 수 있어, 식감 및 맛이 좋은 식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전병 등 다소 요철이 있는 성형식품(422b)에 분체 조미료(444)를 도포하는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전병 등 표면에 다소 요철이 있는 성형식품(422b)이어 도 그 표면에 분체 조미료(444)를 곱고 아름답게, 또한 강고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수용성 감미료 등을 도포하는 경우와 달리, 건조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식품의 제조공정이 간략화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0은 도 19의 A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예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성형식품으로서의 즉석 건면(422c)에 조미료를 사용하여 배합한 스프맛의 분체 조미료(444)를 도포하는 예이다. 스탠실 스크린으로부터 밀어내진 분체 조미료(444)는 건면(422c)을 향하여 정전기력으로 곧 바로 날아 간다. 건면(422c)에는 스펀지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면(422c)을 향하여 날아 온 분체 조미료(444)는 건면(422c)의 내부의 간극을 통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면(422c) 내부의 면의 표면에도 강고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만들어진 즉석 건면(422c)에는 상기 분체 스프[분체 조미료 (444)]가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즉석 건면(422c)을 뜨거운 물 속에 넣으면 분체 스프가 뜨거운 물에 녹아 풍미있는 스프가 만들어져, 즉석면을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조미 건조면의 제조방법에서는 액체 조미료 속에 면을 침지한 후 건조시킬 필요가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면을 건조시킬 필요가 없어 조미 건조면을 매우 간단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분체 조미료(444) 속에 다소의 분체 유지를 넣어 두어 도포후에 열을 가함으로써 이 분체유지를 녹이고, 그후 굳힘으로써 건면(422c)에 부착시킨 분체 조미료(444)의 부착력을 늘릴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성형식품의 평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는, 복수의 스탠실 스크린[도 2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스크린(430a, 430b, 430c)]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스탠실 스크린(430a, 430b, 430c)은 스펀지케이크 등의 성형식품(422d)의 위쪽에 교대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먼저, 제 1 스크린(430a)상에 살포된 제 1 분체 조미료(444a)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450)를 사용하여 문질러 바른다. 이때 가공대(460)와 제 1 스크린(430a) 사이에 직류전원(DC)에 의해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성형식품(422d)과 제 1 스크린(430a) 사이에 정전계를 형성한다. 제 1 스크린(430a)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여 하전된 제 1 분체 조미료(444a)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가공대(460)를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식품(422d)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제 1 분체 조미료층(446a)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2 스크린(430b)을 성형식품(422d)의 위쪽에 배치하고, 제 2 스크린(430b)상에 살포된 제 2 분체 조미료(444b)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450)를 사용하여 문질러 바른다. 이에 의하여 제 2 분체 조미료(444b)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가공대(460)를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식품(422d)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제 1 분체 조미료층(446a)에 인접하는 제 2 분체 조미료층(446b)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3 스크린(430c)을 성형용기(422d)의 위쪽에 배치하고, 제 3 스크린(430c)상에 살포된 제 3 분체 조미료(444c)를 문질러 바름 브러시(450)를 사용하 여 문질러 바른다. 이에 의하여 제 3 분체 조미료(444c)는 정전계 속을 상대전극인 가공대(460)를 향하여 직진하여 성형식품(422d)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제 2 분체 조미료층(446b)에 인접하는 제 3 분체 조미료층(446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성형식품(422d)의 표면에 분체 조미료층(446a, 446b, 446c)을 잘 구분하여 곱고 아름답게 도포할 수 있고, 종래에 없던 새로운 맛, 풍미, 식감의 식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크린(430a, 430b, 430c)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심원형상으로 분체 조미료층(446a, 446b, 446c)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내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웨이퍼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예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웨이퍼스 등의 수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성형식품(422e)에 바닐라 등의 분체 조미료(444)를 도포하는 예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스(422e)의 표면에 분체 조미료(444)를 도포한 후, 이 웨이퍼스(422e)에 또 1매의 웨이퍼스를 겹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액체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웨이퍼스 등의 수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식품(422e)이더라도 그 식품의 식감을 손상하지 않고 맛있는 식품으로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성형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 조미김, 카스테라, 전병, 쿠키, 주먹밥, 새우전병, 맛을 내기 위해 도포된 마요네즈 등의 겔형상 물질, 케이크의 생크림, 얼린 두부 등을 들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에 나타내는 예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멜론빵 등의 성형식품(422g)의 표면에 예를 들면 딸기맛의 분체 조미료(444a)를 도포하고, 그 상면에 땅콩맛의 분체 조미료(444b)를 도포하고, 다시 그 상면에 멜론맛의 분체 조미료(444c)를 도포하는 예이다. 이와 같이 하면 딸기맛층(446a), 땅콩맛층(446b), 멜론맛층(446c)이 순서대로 겹쳐친 멜론빵(422g)을 만들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성형식품의 평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예는 용기(424)에 들어 간 티라미스(422h)의 표면에 3종의 분체 조미료(444a, 444b, 444c)를 도포하는 예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0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티라미스(422h)의 표면에 다른 종류의 분체 조미료층(446a, 446b, 446c)을 형성할 수 있어, 장소에 따라 맛이 다른 티라미스(422h)를 만들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예는 옷을 입힌 튀김, 예를 들면 돈까스, 크로켓, 튀김, 커리빵 등의 반가공 식품(426)의 표면에 분체 유지(448)를 도포하는 예이다. 이와 같이 반가공 식품(426)의 표면에 분체 유지(448)를 도포함으로써 고주파 가열(전자렌지)에 의해 가열할 뿐으로 조리할 수 있는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고온의 기름 속에 넣어 튀기지 않더라도 튀김식품을 가정에서 간단 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포하는 분체 유지(448)의 양이나 막 두께의 조정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포한 분체 유지(448)에 어느 정도의 접착력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체 유지(448)의 연화점정도의 온도를 히터(470) 또는 열풍을 주어 분체 유지(448)를 반가공 식품(426)의 표면에 용해 고착시켜도 좋다. 또 이와 같은 반가공 식품(426)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분체 유지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있는 가식성 분체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체 유지와 겔화제 분말 분체를 섞은 가식성 분체를 사용하면 전자렌지로 가열하여 조리한 경우에 바삭한 식감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반가공 식품(426)에 분체 유지(448)를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의 전자렌지에 의해 간단하게 튀김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을 고온의 기름 속에 넣어 튀길 필요가 없다. 또 대량의 분체 유지(448)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없던 식감과 맛의 튀김을 가정의 전자렌지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또 야채 등의 열에 약한 식품의 주위에 옷을 입혀 분체 유지(448)를 도포하면 식품을 열로 손상시키지 않고, 또 맛을 변하게 하지 않고 튀김을 만들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2는 도 31에 나타내는 성형식품을 가열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예는 식빵(422i)의 표면에 분체 조미료(444)를 도포하여, 예를 들면 식빵의 맛내기를 행하는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탠 실 스크린(430)에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나 도안 등의 패턴(434)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분체 조미료(444)로서 슈거파우더 등을 사용하면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빵(422i)을 토스터(472)로 가열하면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슈거파우더가 도포된 부분(473)이 타서 눌어 도포된 도안이 짙은 갈색으로 도드라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식빵의 표면에 도포하는 분체 조미료(444)의 수분량이 적기 때문에 빵의 식감을 손상하지 않고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맛과 식감을 가지는 식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생크림이나 잼 등이 도포된 식빵에도 분체 조미료(444)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많은 종류의 분체 조미료(444)를 다층에 도포하면 지금까지 없는 변화가 있는 맛을 가지는 빵을 만들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예는 스펀지케이크 등의 식품(422j)에 가식성 분체(440)를 도포하여 도안의 아우트라인(474)을 작성하는 예이다. 이와 같이 요철이 있는 스펀지케이크(422j)의 표면에 가식성 분체(440)에 의해 도안의 아우트라인(474)을 작성하면 아우트라인(474)에 따라 생크림 등을 바름으로써 누구나 간단하게 곱고 아름다운 데코레이션케이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5는 도 34에 나타내는 가식성 시트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내는 예는, 예를 들면 오블라트 등의 전분 등으로 만든 가식성 시트(428)의 표면에 가식성 분체(440)를 도포하는 예이다. 이와 같은 가식성 시트(428)의 두께는 0.1 내지 0.5mm 또는 그것 이하이다. 이와 같은 가식성 시트(428)에 가식성 분체(440)를 도포하여 도안을 인쇄함으로써, 이 가식성 시트(428)를 원료식품(429)의 표면에 얹으면 식품(429) 표면의 수분을 흡수하여 가식성 시트(428)가 식품에 녹아 없어져 가식성 분체(440)만이 식품(429)의 표면에 남아, 표면에 도안이 그려진 식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식성 시트(428)로서 조미료 등에 의해 맛을 낸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액체 잉크를 사용하지 않고 비접촉으로 가식성 분체(440)를 가식성 시트(428)에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식성 시트(428)의 바탕지의 두께나 내수성, 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가식성 시트(428)를 얇게 할 수 있고, 가식성 시트(428)를 원료식품(429)에 얹은 경우에, 가식성 시트(428)가 완전하게 녹아 남지 않게 되어 식품의 풍미, 식감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가식성 분체(향신료 등의 조미료, 색소 등)를 대량으로 가식성 시트(428)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식성 시트(428)를 원료식품의 표면에 얹거나 서로 섞거나 하여 지금까지는 없던 풍미, 식감, 외관의 식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7은 도 36의 B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예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표면에 가식성 접착제(480)를 도포한 성형식품(422k)에 섬유형상의 가식성 분체(440)를 도포하는 예이다. 이와 같이 미리 성형식품(422k)에 가식성 접착제(480)를 도포하여 둠으로써, 가식성 분체(440)를 강고하게 성형식 품(422k)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식성 접착제(480)로서는 성형식품(422k)의 표면과 가식성 분체(440)를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어느 정도 점도가 있는 가식성 호료,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전인쇄장치에 의해 식품의 표면에 가식성 분체(440)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입자지름이 5 μ내지 80μ의 입자의 지름이 작은 가식성 분체를 사용하지 않으면 식품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가식성 접착제(480)를 사용함으로써, 입자의 지름이 큰 가식성 분체이더라도 식품(422k)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가식성 분체는 성형식품(422k)을 향하는 도중에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극되기 때문에 성형식품의 표면에 섬유형상의 가식성 분체가 돌출하게 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에 나타내는 예는 표면이 매끄러운 팥빵(422m)의 위에 가식성 접착제(480)를 도포하고, 그 후 정전인쇄에 의해 가식성 분체(440)를 도포하는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표면이 매끄러운 식품(422m)이더라도 가식성 분체(440)를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9에 나타내는 예는 가공대(가공판)(460)의 위에 스탠실 스크린 (430)에 형성된 패턴형상으로 가식성 분체(440)를 적층시키고, 그 후 가열 소성하여 성형하는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변함없는 패턴형상을 가지는 식품을 숙련이나 경험없이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가공대(460)의 위에 스크린의 패턴형상으로 설탕 파우더를 도포하여 이 설탕파우더를 두껍게 쌓은 후, 가공대(460)를 가열하여 설탕 파우더를 녹여 냉각하면 간단하게 설탕뽑기(鱉甲飴)를 만들 수 있다.
도 40a 및 도 40b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a 및 도 40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공대(460)의 위에 스크린(430)의 패턴형상으로 설탕 파우더(440d)를 적층 도포한 후(도 40a), 동일한 스크린(430)으로부터 부풀림가루로서 중조(440e)를 적층 도포하여(도 40b) 굽는다. 이에 의하여 설탕이 눌어 중조와 서로 섞여 부피감이 있는 설탕뽑기를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공대(460)를 용기형상으로 하고, 이 내부에 물을 발라도 좋다. 이 용기형상의 가공대의 내부에 스크린의 패턴형상으로 밀가루를 적층 도포하고, 그후 동일한 스크린으로부터 밀가루의 위에 부풀림가루로서 중조를 적층 도포한다. 그리고 가공대를 가열하여 밀가루 파우더를 구우면, 비교적 형상에 요철이 있는 입체적인 식품을 만들 수 있다. 또는 기름을 뺀 가공대 위에 스크린의 패턴형상으로 베이킹파우더를 적층 도포한 후, 수분을 분무하면서 가공대를 가열하여 베이킹파우더를 구우면, 부피감이 있는 입체적인 식품을 만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품제조방법에 의하면,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방법에 의하여 숙련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이더라도 간단하게 복잡한 형상의 식품을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써 실시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정전력을 이용하여 분체 잉크를 피인쇄물의 표면에 부착시켜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패턴을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정전인쇄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은 정전력을 이용한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한 식품제조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정단면도,
도 7c는 인쇄위치에 있어서의 스크린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인쇄부의 인쇄위치 주변의 정단면도,
도 9는 도 5에 나타내는 인쇄부의 인쇄위치 주변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스크린 브러시가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도 5에 나타내는 잉크 회수장치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5에 나타내는 정착장치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정전인쇄장치의 스탠실 스크린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0은 도 19의 A부의 부분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성형식품의 평면도,
도 23은 도 21에 나타내는 성형식품에 도포되는 패턴을 변경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 략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내는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웨이퍼스를 나타내는 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성형식품의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0은 도 29에 나타내는 식품에 도포된 분체 유지의 접착력을 늘릴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2는 도 31에 나타내는 성형식품을 가열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5는 도 34에 나타내는 가식성 시트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7은 도 36의 B부의 부분 확대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0a 및 도 40b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1은 종래의 정전인쇄장치를 사용하여 3색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장치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2는 종래의 정전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3은 종래의 체를 사용하여 가식성 분체를 식품용 성형용기에 도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4는 종래의 회전드럼을 사용하여 가식성 분체를 성형식품에 도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1)

  1. 분체 잉크를 소정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에 문질러 바름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과 피인쇄물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체 잉크를 상기 피인쇄물에 부착시키는 정전인쇄장치로서,
    분체 잉크를 상기 스크린에 문질러 바르는 원통형상의 스크린 브러시와,
    상기 스크린 브러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린 브러시 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장치.
KR1020087015312A 2001-06-27 2002-06-24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KR100925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95296A JP4659282B2 (ja) 2001-06-27 2001-06-27 静電印刷装置及び静電印刷方法
JPJP-P-2001-00195296 2001-06-27
JP2001302626A JP2003102400A (ja) 2001-09-28 2001-09-28 食品製造方法
JPJP-P-2001-00302626 2001-09-28
JPJP-P-2001-00377804 2001-12-11
JP2001377804A JP4066314B2 (ja) 2001-12-11 2001-12-11 静電印刷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798A Division KR100896038B1 (ko) 2001-06-27 2002-06-24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969A true KR20080076969A (ko) 2008-08-20
KR100925252B1 KR100925252B1 (ko) 2009-11-05

Family

ID=273470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798A KR100896038B1 (ko) 2001-06-27 2002-06-24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KR1020087015312A KR100925252B1 (ko) 2001-06-27 2002-06-24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KR1020087015313A KR100896039B1 (ko) 2001-06-27 2002-06-24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798A KR100896038B1 (ko) 2001-06-27 2002-06-24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13A KR100896039B1 (ko) 2001-06-27 2002-06-24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080597B2 (ko)
EP (1) EP1410908A4 (ko)
KR (3) KR100896038B1 (ko)
CN (1) CN1294008C (ko)
HK (1) HK1133993A1 (ko)
TW (1) TW553831B (ko)
WO (1) WO20030023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347A (ko) * 2014-07-04 2017-03-08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스크린 인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30171D0 (en) * 2003-12-30 2004-02-04 Phoqus Pharmaceutical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powder material to substrates
US8460519B2 (en) * 2005-10-28 2013-06-11 Applied Materials Inc. Protective offset sputtering
US8454804B2 (en) * 2005-10-28 2013-06-04 Applied Materials Inc. Protective offset sputtering
EP2023742A4 (en) * 2006-05-12 2017-07-19 Mars, Incorporated Food-grade toner
KR100693132B1 (ko) * 2006-06-23 2007-03-14 동해전장 주식회사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FR2932717B1 (fr) * 2008-06-24 2011-03-25 Dubuit Mach Machine a imprimer.
US8892249B2 (en) 2011-08-26 2014-11-18 Elwha Llc Subst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systems
US9922576B2 (en) 2011-08-26 2018-03-20 Elwha Llc Ingestion intelligenc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material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10026336B2 (en) 2011-08-26 2018-07-17 Elwha Llc Refuse intelligenc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9240028B2 (en) 2011-08-26 2016-01-19 Elwha Llc Re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9785985B2 (en) 2011-08-26 2017-10-10 Elwha Llc Selec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9111256B2 (en) 2011-08-26 2015-08-18 Elwha Llc Selec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330447A1 (en) 2012-06-12 2013-12-12 Elwha LLC,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the State of Delaware Substrate Structure Deposi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System and Method
US10192037B2 (en) 2011-08-26 2019-01-29 Elwah LLC Re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054255A1 (en) 2011-08-26 2013-02-28 Elwha LLC,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the State of Delaware Controlled substance authorization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9997006B2 (en) 2011-08-26 2018-06-12 Elwha Llc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9947167B2 (en) 2011-08-26 2018-04-17 Elwha Llc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9037478B2 (en) 2011-08-26 2015-05-19 Elwha Llc Substanc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330451A1 (en) 2012-06-12 2013-12-12 Elwha LLC,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the State of Delaware Substrate Structure Duct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System and Method
US8989895B2 (en) 2011-08-26 2015-03-24 Elwha, Llc Subst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systems
US10121218B2 (en) 2012-06-12 2018-11-06 Elwha Llc Substrate structure injec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system and method
CN104417108B (zh) * 2013-11-25 2016-11-23 三江县蓝世章民族工艺美术厂 竹筒顶面多色丝网印刷的方法
CN106042613B (zh) * 2016-07-21 2018-08-28 易视智瞳科技(深圳)有限公司 锡膏印刷机及其印刷方法
EP3575719A4 (en) * 2017-01-25 2020-10-21 Think Laboratory Co., Ltd. WATERPROOF SHEET SUBSTRATE SURFACE DRYING DEVICE,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PROCESS
KR102514736B1 (ko) * 2017-02-03 2023-03-27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분체막 형성방법 및 분체 성막장치
CN107187185A (zh) * 2017-06-28 2017-09-22 太仓市虹鹰印花有限公司 一种印花机用支架
EP3482939B1 (de) * 2017-11-10 2020-05-20 Exentis Group AG Siebbereitstellungssystem
JP7105592B2 (ja) * 2018-03-30 2022-07-25 日立造船株式会社 粉体成膜装置および粉体膜形成方法
CN114160299B (zh) * 2021-11-02 2023-10-24 台州市四通供排水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实验浮选分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4024A (en) * 1929-05-22 1933-06-13 Maurice M Kasanof Steaming unit for tentering machines
US2627667A (en) * 1946-10-07 1953-02-10 Joseph R Gillis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inks
US2731732A (en) * 1953-05-19 1956-01-24 Crown Zellerbach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nd drying moisture settable ink
US3238635A (en) * 1963-01-07 1966-03-08 Interche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heet and web material
US3285167A (en) * 1963-10-04 1966-11-15 Crocker Citizens Nat Bank Electrostatic printing system with controlled powder feed
US3299804A (en) * 1964-05-13 1967-01-24 Unimark Corp Article handling and electrostatic im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US3343483A (en) * 1965-03-15 1967-09-26 Unimark Corp Electrostatic printing with stencils mounted on a drum
US3251298A (en) * 1965-06-04 1966-05-17 Rome R Rudolph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generally cylindrical workpieces
US3665851A (en) * 1965-07-19 1972-05-30 Electrostatic Printing Corp Electrostatic screen process printing
US3358594A (en) * 1966-01-17 1967-12-19 American Can Co Electrostatic printing with a magnetic brush feed
US3828670A (en) * 1968-10-31 1974-08-13 Continental Can Co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rinting using triboelectric inking developers
JPS4914686A (ko) * 1972-06-06 1974-02-08
JPS5321325B2 (ko) * 1973-07-11 1978-07-01
JPS5095014A (ko) * 1973-12-21 1975-07-29
US3933091A (en) * 1974-06-17 1976-01-20 New Products Corporation Apparatus for screen printing bottles
JPS593277B2 (ja) * 1975-02-12 1984-01-23 オリジンデンキ カブシキガイシヤ ゼツエンブツヘノ インサツホウホウ
JPS5281186A (en) 1975-12-27 1977-07-07 Shirou Ichinose Stencil adjusting apparatus for flat screen printing machine
JPS53103087A (en) 1977-02-10 1978-09-07 Akira Ijiri Automatic screen printing method by flat screen pattern
JPS5912195Y2 (ja) * 1980-02-06 1984-04-13 有限会社琉球スクリ−ン印刷 Tシャツプリント装置
JPS56115240A (en) 1980-02-15 1981-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ld for extrusion-molding pattern sheet
JPS57167049A (en) * 1981-04-08 1982-10-14 Origin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rinting
JPS58201689A (ja) * 1982-05-19 1983-11-24 Origin Electric Co Ltd 静電印刷方法及び装置
JPS61181367A (ja) 1985-02-05 1986-08-14 Oomoriya:Kk 積層食品の製造方法
DE3532695C1 (de) 1985-09-13 1986-11-27 Audi AG, 8070 Ingolstadt Abgasturbolader fuer eine Fahrzeug-Brennkraftmaschine
JPS6263138U (ko) * 1985-10-09 1987-04-20
US4750419A (en) * 1986-03-24 1988-06-14 Meredith Steven A Process and a machine for printing on articles by silk screening
IT1197924B (it) * 1986-10-28 1988-12-21 Prodotti Antibiotici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alimenti di origine animale
JPS63137659A (ja) * 1986-11-28 1988-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食用インキの定着方法
JPS63163189A (ja) 1986-12-25 1988-07-06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充電式電子時計回路
JPS63162774A (ja) * 1986-12-26 1988-07-06 Ikeda Touka Kogyo Kk 静電スクリ−ン印刷用可食性粉体インキ
JP2699336B2 (ja) 1987-01-08 1998-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比制御装置
JPH0443040Y2 (ko) * 1987-04-10 1992-10-12
JPS63170135U (ko) * 1987-04-23 1988-11-07
JPH01310991A (ja) * 1988-06-10 1989-12-15 Origin Electric Co Ltd 静電印刷装置
JPH02178046A (ja) * 1988-12-28 1990-07-11 Nissha Printing Co Ltd 印刷圧調整装置
US4974508A (en) * 1989-03-08 1990-12-04 Andersen Edward A Screen printing apparatus
JP2599006B2 (ja) * 1989-11-09 1997-04-09 明治製菓株式会社 固形食品の製造法
JPH0425463A (ja) * 1990-05-21 1992-01-29 Kanebo Ltd 布帛に複合模様を形成する方法
JPH04183360A (ja) * 1990-11-16 1992-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固形状食品に対する絵付け方法
JP3314434B2 (ja) 1993-02-09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H07205401A (ja) * 1994-01-13 1995-08-08 Kyodo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インク回収装置
JPH09171A (ja) * 1995-06-21 1997-01-07 Takamitsu Morizaki 調理用シート
JPH10150927A (ja) * 1996-11-18 1998-06-09 Fujio Yamaguchi 印刷オブラート
US5934545A (en) * 1997-02-21 1999-08-10 Gordon; Thomas A. Ball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ball grid array
JP3837849B2 (ja) * 1997-07-14 2006-10-25 味の素株式会社 包皮型米飯食品の製造方法
JP3336232B2 (ja) 1997-07-31 2002-10-21 雪印冷凍食品株式会社 電子レンジ食品
JP4039731B2 (ja) * 1998-04-17 2008-01-30 谷電機工業株式会社 ペーストのスクリーン印刷におけるスクリーン版クリーニング方法
US5970864A (en) * 1998-05-06 1999-10-26 Svec; Daniel C. Stenciling device with registration apparatus
JP2000236845A (ja) * 1999-02-18 2000-09-05 Kibun Foods Inc 静電印刷方法
IT1313835B1 (it) * 1999-11-02 2002-09-23 Aisa Spa Macchina serigrafica rotante per la stampa di oggetti cilindrici consupporti dei telai di stampa a movimento rettilineo verso/da l'ogget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347A (ko) * 2014-07-04 2017-03-08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스크린 인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252B1 (ko) 2009-11-05
CN1522202A (zh) 2004-08-18
HK1133993A1 (en) 2010-04-16
WO2003002348A1 (fr) 2003-01-09
US20080106587A1 (en) 2008-05-08
US20040250715A1 (en) 2004-12-16
US7775158B2 (en) 2010-08-17
KR20040019020A (ko) 2004-03-04
US7314003B2 (en) 2008-01-01
EP1410908A4 (en) 2011-10-05
EP1410908A1 (en) 2004-04-21
US20060219105A1 (en) 2006-10-05
TW553831B (en) 2003-09-21
KR100896039B1 (ko) 2009-05-11
US7080597B2 (en) 2006-07-25
KR100896038B1 (ko) 2009-05-11
KR20080075200A (ko) 2008-08-14
CN1294008C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252B1 (ko)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US8151695B2 (en) Automated belt cooking machine
US3537406A (en) Decorating bread products
US20060275532A1 (en) Ink jet printing of snacks with high reliability and image quality
CN109051126B (zh) 一种食品转料装置
CN109051125B (zh) 一种食品自动化生产系统
CN108967467B (zh) 一种食品折叠设备
WO1995018020A2 (en) Silk-screen process for decorating items and associated apparatus
CN111957256A (zh) 一种速熟食品的加工装置及方法
CN100579793C (zh) 静电印刷装置
JP4066314B2 (ja) 静電印刷装置
JP2003102400A (ja) 食品製造方法
JP2004208837A (ja) 厚玉子焼の焼成方法および焼成装置
JPH09171A (ja) 調理用シート
CN216025814U (zh) 一种奶茶杯生产用涂胶装置
TW446544B (en) Method for forming delicate pattern on food
KR20020023847A (ko) 김구이 장치
JPS61205460A (ja) シ−ト状魚肉ねり製品の製造法とその装置
CN107443873A (zh) 印铁机的清洁装置与片材预热装置的跨连驱动机构
AT2775U3 (de) Lebensmittelfarbstrahldrucker mit software und dekorträger zum dekorieren von torten und div. anderen lebens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