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875A -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화장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화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875A
KR20070115875A KR1020077017801A KR20077017801A KR20070115875A KR 20070115875 A KR20070115875 A KR 20070115875A KR 1020077017801 A KR1020077017801 A KR 1020077017801A KR 20077017801 A KR20077017801 A KR 20077017801A KR 20070115875 A KR20070115875 A KR 2007011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skin
composition
white pigment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가츠야마
사토시 도모마사
히데오 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7011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 화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은폐력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수득할 수 있는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파운데이션 및 화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은 비백색 색재를 포함하고,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색재 조성물의 하기 측정 조건의 분광 반사율을 측정할 때, 백색 하지상의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이 75 % 이상이고, 백색 하지상의 Y값이 25 내지 6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 조건)
색재 조성물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분산하고, 백흑 은폐율 시험지의 백색 하지상의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이 10±2%가 되도록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고,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코팅을 실시하고, 분광 측색기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다.

Description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 화장 방법{COLORANT COMPOSITION FOR SKIN CARE COSMETIC, FOUNDATION MAKING USE OF THE SAME, AND METHOD OF MAKEUP}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파운데이션 및 화장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 등의 피부 화장료에서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의 색 불균형을 감추기 위해 은폐력이 높고, 또한 목적으로 하는 피부색으로 조색(調色)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은폐력을 높이기 위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고굴절률의 백색 안료가 이용되지만, 특히 이산화티탄은 굴절률이 2.5~2.7로 화장품용 분말 중에서도 가장 높으므로 광의 산란 효과가 크고, 은폐력이 강하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산화티탄의 사용에 의해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의 색 불균형은 감출 수 있지만, 은폐력을 높이기 위해 다량으로 배합한 경우, 불투명한 마무리가 되고, 맨피부의 자연스러운 질감이 수득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 왔다. 한편, 이산화티탄의 배합량을 적게 하면 기미나 주근깨 등의 색 불균형이 충분히 은폐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은폐력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수득할 수 있는 화장료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은폐력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수득할 수 있는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파운데이션 및 화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우선 맨피부의 피부 내부를 전반(傳搬)하는 광에 착안하였다. 피부 등의 광산란 매체에서는 피부상으로 조사된 광의 일부가 내부로 투과되고, 내부의 산란체에 반사되므로 조사 부위와는 다른 부위로부터도 사출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사출 부위의 분포가 맨피부의 질감의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하여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피부 화장료로서 이용되는 색재로서 파장 630 nm 내지 700 nm의 광의 흡수율이 작은 것을 배합하여 상기 사출 부위의 분포가 맨피부와 가까워지고, 자연스러운 질감이 수득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색재 조성물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색재 조성물의 하기 측정 조건의 분광 반사율을 측정할 때, 백색 하지(下地)상에서의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이 75 % 이상이며, 백색 하지상의 Y값이 25 내지 6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 조건)
색재 조성물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분산하고, 백흑 은폐율 시험지의 백색 하지상의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이 10±2%가 되도록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고,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코팅을 실시하고, 분광 측색기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다.
상기 색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색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백색 색재는 리솔루빈 BCA, 선셋옐로(サンセットエロ-) FCF, 타트라진, 핸서옐로(ハンサエロ-)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복수 선택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제형(多劑型) 파운데이션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제형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배합한 백색 안료 조성물을 피부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피부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 방법에 있어서,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피부상으로의 도포량은 전체량으로 0.1 mg/㎠ 내지 5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제형(一劑型) 파운데이션은 비백색 색재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파운데이션중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의 분광 반사율이 하기 측정 조건으로 측정할 때, 백색 하지상의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이 75 % 이상이고, 백색 하지상의 Y값이 25 내지 6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 조건)
파운데이션 중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분산하고, 백흑 은폐율 시험지의 백색 하지상의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이 10±2%가 되도록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고,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코팅을 실시하고, 분광 측색기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다.
상기 일제형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에 배합되는 비백색 색재 전량과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비율[비백색 색재 전량/(고굴절률 백색 안료+비백색 색재 전량)]이 20 질량% 내지 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제형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배합량이 1 질량% 내지 2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제형(多劑型) 파운데이션이라는 것은 색재 조성물과 백색 안료 조성물이 별체(別體)로서 제조되고, 사용자가 이것들을 피부상에서 혼합, 또는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일제형(一劑型) 파운데이션이라는 것은 화장료로서 일체(一體)로 제조된 것을 가리킨다.
또한, 상기 「파운데이션중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이라는 것은 일제형 파운데이션에 대해 고굴절률 백색 안료 이외의 부분은 동일한 조성이고, 고굴절률 백색 안료만을 배합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가리킨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에 의하면,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반사율이 높으므로 자연스러운 질감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제형 파운데이션에 의하면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구비하므로 양자를 모두 피부에 도포하여 은폐력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 방법에 의하면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은폐력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제형 파운데이션에 의하면 은폐력을 유지하면서 화장 피부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수득할 수 있다.
도 1은 피부로 광이 입사될 때 피부 내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사출 위치가 넓어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피부상에 백색 광속을 조사할 때의 전반광 강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산화티탄의 도포량과 전반광 강도 분포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화장막에 의한 광의 흡수율을 변화시킬 때의 각각의 전반광 강도 분포,
도 5는 화장 피부의 질감과 전반광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6은 샘플 3-1 내지 샘플 3-6의 백색 하지상의 분광 반사 스펙트럼 및
도 7은 색재 조성물의 백색 하지상의 분광 반사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은 비백색 색재를 포함한 색재 조성물로서, 상기 색재 조성물에 대한 하기 측정 조건에서의 분광 반사율을 측정할 때, 백색 하지상의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이 75 % 이상이고, 백색 하지상의 Y값이 25 내지 6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상기 색재 조성물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측정 조건)
색재 조성물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분산하고, 백흑 은폐율 시험지의 백색 하지상의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이 10±2 %가 되도록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고,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코팅을 실시하고, 분광 측색기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비백색 색재로서 구체적으로는 아마란스, 엘리스로신, 뉴코쿠신, 프록신B, 로즈벵갈, 아시드레드, 타트라진, 선셋옐로 FCF, 리솔루빈 B, 리솔루빈 BCA, 레이크레드 C, 레이크레드 CBA, 리솔레드, 리솔레드 CA, 리솔레드BA, 리솔레드 SR, 로다민 B, 로다민 B 스테아레이트, 테트라클로르테트라브롬프로레세인, 톨루이딘레드, 테트라브롬플루오레세인, 수단Ⅲ, 헤린돈핑CN, 에오신YS, 디브롬플루오레세인, 파마넌트오렌지, 벤티딘오렌지G, 오렌지Ⅱ, 플루오레세인, 우 라닌, 퀴놀린옐로(キノリンエロ-)WS, 퀴놀린옐로SS, 벤티딘옐로(ベンチジンエロ-)G, 피라닌콘크, 비롤라민R, 브릴리언트퍼스트스카렛, 파마넌트레드F5R, 폰소SX, 오렌지I, 오렌지SS, 핸서옐로, 나프톨옐로(ナフト-ルエロ-) S, 메타닐옐로(メタニルエロ-), 퍼스트라이트옐로(ファストライトエロ-) 3G 등의 알루미늄 레이크 또는 지르코늄 레이크 또는 바륨 레이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유기계 색소를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331877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331878호의 방법 등에 따라 점토로 복합화하여 안료화한 것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용도로서의 범용성을 고려하면 리솔루빈 BCA, 선셋옐로 FCF, 타트라진, 핸서옐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복수 선택하고,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은 통상 사용하는 농도에서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광의 흡수율이 매우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고굴절률 백색 안료라는 단어를 굴절률이 1.9 이상의 백색 안료라고 정의한다. 또한, 백색 안료라는 것은 그 입자직경이 0.1 ㎛ 내지 1 ㎛인 것(통상의 의미로 백색 안료로서 이용되는 입자직경)을 의미하고, 자외선 차단제로서 이용되는 미립자 산화티탄이나 미립자 산화아연(입자직경이 약 0.01 ㎛ 오더)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로서 특히 이산화티탄, 단 통상 안료로서 사용되는 입자직경 0.1 ㎛ 내지 1 ㎛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제로서 이용되는 미립자 산화티탄은 입자직경이 약 0.01 ㎛인 오더이고, 가시광 영역에서의 산란 효과는 거의 없고, 본 명세서 중에서는 백색 안료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탈크나 마이카 등의 굴절률이 1.9 미만의 안료는 통상 체질(體質) 안료로서 이용되고, 후술하는 시험(표 10 참조)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충분한 은폐력이 수득되지 않는다. 이는 안료의 주위의 기재(또는 공기)와의 굴절률의 차가 작으면, 충분한 산란 효과가 수득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굴절률이 1.9 이상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배합함으로써 은폐력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의 화장 피부를 수득할 수 있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제형 파운데이션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제형 파운데이션의 사용자는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색재 조성물을 별도로 피부에 도포하고, 사용자 본인의 피부색에 맞춰 색재 조성물의 피부로의 도포량을 조정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색재 조성물의 갯수는 1 개(즉,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색재 조성물의 2 제)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색조를 가진 복수의 색재 조성물을 백색 안료 조성물과 셋트로 해도 좋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2 제형(二劑型)이라도 충분히 다양한 피부색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색재 조성물을 별도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색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 미리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백색 안료 조성물의 색조로서는 백색에 한정되지 않고, 비백색 색재를 배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피부색이 옅은 사람에게 맞춰 백색 안료 조성물을 조색(調色)해두고, 사용자 자신이 본인의 피부색에 맞춰 적절한 색재 조성물의 도포량을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당연하지만 비백색 색재를 백색 안료 조성물에 미리 배합해둔 경우에도 백색 안료 조성물(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과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 방법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배합한 백색 안료 조성물을 피부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피부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백색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과, 색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의 순서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화장 방법에 있어서,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피부상으로의 도포량은 전체량으로 0.1 mg/㎠ 내지 5 m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0.1 mg/㎠ 미만이면 충분한 은폐력이 수득되지 않고, 또한, 5 mg/㎠ 보다 많아지면 자연스러운 맨 피부감이 수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파운데이션으로서 색재 조성물과 백색 안료 조성물을 나눠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색재가 630 nm 내지 700 nm에서 흡수를 갖지 않고, 이제까지 이용되어 온 산화철계 색재로 조제된 파운데이션과 색조가 다른 것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은 적색 색재, 황색 색재, 백색 색재 뿐만 아니라 채도 조정용으로 630 nm 내지 700 nm에서 흡수를 가진 흑색 색재가 사용되고, 맨피부색에 가까운 색으로 미리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대로 피부에 도포하여도 도포색의 차이로 생기는 위화감은 적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색재 조성물은 630 nm 내지 700 nm에서 흡수를 갖지 않고, 색조를 피부색과 합치시킬 수 없으므로 직접 바르면 큰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색재 조성물을 도포 하는 공정과 백색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을 나누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도포색의 차이로 위화감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방법을 화장법으로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1 회 도포하는 쪽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파운데이션을 도포 전에 상기 색재 조성물(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음)과 백색 안료 조성물을 각 사람에게 맞도록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에서는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색재 조성물과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 조성물을 별체로 한 다제형 파운데이션에 대해 설명했지만, 물론 통상의 파운데이션과 같이 일체로서 제조된 형태(일제형 파운데이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제형 파운데이션은 비백색 색재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일제형 파운데이션중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의 분광 반사율을 하기 측정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 백색 하지상에서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이 75 % 이상이고, 백색 하지상의 Y값이 25 내지 6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 조건)
파운데이션중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분산하고, 백흑 은폐율 시험지의 백색 하지상의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이 10±2 %가 되도록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고,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코팅을 실시하고, 분광 측색기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다.
또한, 일제형 파운데이션에 배합되는 색재 전량에 대한 비백색 색재의 비율[비백색 색재 전량/(고굴절률 백색 안료 전량 + 비백색 색재 전량)]은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90 %, 더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70 %이면 좋다. 즉, 배합 비율이 20 % 미만이면 도포색이 너무 하얗게 되어 화장색이 부자연스러워진다. 한편, 90 % 보다 많으면 도포색이 빨갛게 되어 얇게 도포할 필요가 있으므로 충분한 은폐력이 수득되지 않는다. 또는 20 % 내지 70 %이면 더 자연스러운 화장색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일제형 파운데이션에 배합되는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양은 1 질량% 내지 2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 % 미만의 경우는 은폐력이 충분하지 않고, 25 % 보다 크면 은폐력은 충분히 있지만, 피부색이 짙은 사람에 대해서는 화장색이 약간 하얗게 된다.
또한, 파운데이션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형 타입, 파우더 타입, 유성 스틱 형상, W/O 또는 O/W 에멀젼 타입 등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이 본 발명의 개략 구성이고, 이하에 의해 상세한 설명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이르는 과정에서 본 발명자들은 맨피부의 전반광의 강도 분포, 즉 광의 조사점(照射点)을 중심으로 한 반사면상의 사출 분포에 착안했다. 피부 등의 산란 매체에서는 입사된 광은 그 입사 부위와는 다른 부위로부터도 사출된다. 즉,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사 광속은 피부 내에 투과하고, 피부 내의 산란체에 의해 반사, 산란을 받는다. 피부 내에서의 반사, 산란 위치는 그 깊이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으므로 피부내로부터 다시 사출되는 광은 처음의 조사 위치와는 다른 위치로부터도 사출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 피부내로부터의 사출 위치의 분포가 맨피부의 질감을 정하는 큰 인자라고 생각하고, 피부 화장료를 도포할 때에도 이 분포가 맨 피부와 가까워지는 조건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도 2는 피부상으로 반경 0.5 mm의 백색 광속을 조사할 때의 전반광(傳搬光)의 강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횡축은 조사 중심으로부터 거리(㎝), 종축은 반사광의 강도이다. 도 2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사 중심 이외의 반사광의 강도(전반광 강도)에 대해 적색광(파장역 630 nm 내지 700 nm)의 기여가 압도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파장역 630 nm 내지 700 nm의 광의 전반광 강도 분포가 피부의 질감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적색광, 특히 파장역 633 nm의 광에 초점을 두고 맨피부에 가까운 전반광 강도 분포를 갖기 위한 피부 화장료의 조건을 조사하기 위한 예비 실험을 실시했다.
우선, 5 % 안료급 이산화티탄(트로녹스RKB2 바이엘제) 바세린 P 분산체를 하기 표 1과 같이 도포량(mg/㎠)을 바꿔 그 때의 전반광 강도 분포의 변화를 측정했다. 또한, 하기 표 1에는 각각의 도포량에 대응한 전체 투과율[직진(直進) 투과율 + 확산(擴散) 투과율]도 나타냈다. 실험 조건으로서는 상기 팔 내측 부위 5×5㎠를 도포 범위로 하고, 광원으로서 HeNe 레이저(파장 633 nm)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광속 직경을 0.5 mm로 했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1
도 3에 상기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여기서, 횡축은 조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종축은 반사광의 강도로 했다. 도 3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포량이 5 mg/㎠ 이상일 때 조사점에서 떨어진 위치의 전반광 강도가 현저히 저하한다. 단, 통상 파운데이션 등으로 사용되는 범위(1 mg/㎠ 내지 5 mg/㎠)의 도포량에서는 맨피부와 비교하여 그다지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즉,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투과율이 적어도 55 % 이상일 때는 이산화티탄의 광의 산란 효과는 전반광 강도 분포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유색 색재에 의한 광흡수가 어떻게 전반광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5 % 안료급 이산화티탄 바세린 P 분산체에 흑산화철을 0 질량%, 0.125 질량%, 0.25 질량%, 0.5 질량% 첨가한 조성물 A 내지 조성물 D에 대해, 각각의 전체 투과율이 대략 일정(60 %)해지도록 도포량을 조절하여 전반광 강도 분포를 조사했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2
도 4가 그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횡축은 조사 중심으로부터 거리(㎝)이고, 종축은 반사광의 강도로 했다. 도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흑산화철을 배합하여 전반광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포층의 투과율이 거의 동일해도 전반광 강도는 도포층중에서 광흡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상 파운데이션 등의 피부 화장료로서 이용되는 조건하에서는 전반광 강도 분포에 대해 색재에 의한 광흡수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하와 같은 이유라고 생각된다. 피부 내에 입사된 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 내에서 산란, 흡수를 받고, 다시 피부외로 사출된다. 여기서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이 도포막에 의한 광산란, 광흡수에 의해 피부 내에 입사되는 광의 양 자체는 감소되지만, 피부 내로 입사된 광속은 피부 내부에서 산란을 받아 넓어져간다. 그리고, 피부내로부터 다시 사출되는 광 중, 일부는 도포막을 투과하고, 일부는 도포막으로부터 재반사를 받아 다시 피부 내로 입사된다. 이 재반사를 받은 광은 다시 피부내에서 산란하고, 일부가 도포막을 투과하며, 일부가 재반사를 받는 것을 반복한다. 광산란은 크지만 광흡수는 적은 도포막의 경우(상기 이산화티탄만을 배합한 경우에 상당), 광이 도포막을 투과할 때(피부로의 입사시 및 피부로부터 사출시)에 거의 흡수를 받지 않고, 또한 도포막으로 재반사하여 다시 피부내로 복귀할 때에도 광흡수에 의한 강도의 감소는 거의 없다. 그 결과, 전반광 강도의 감소가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 광산란의 정도는 상기와 거의 동일하지만 광흡수가 큰 도포막의 경우(이산화티탄에 흑산화철을 첨가했을 때 상당하는 경우), 피부로의 입사 및 사출시의 광흡수에 의한 광의 감쇠 뿐만 아니라 도포막에서의 재반사시에도 흡수에 의해 광강도가 감쇠된다. 이 때문에 입사 위치로부터 떨어질수록 그 전반광 강도의 감쇠는 커진다고 생각된다.
색재 조성물에 사용되는 색재의 광학적 특성과 마무리에 대해
계속해서 상기 결과를 기초로 색재 조성물에 배합하는 색재로서, 적색계 색재로서 리솔루빈 BCA(도요 잉크제), 황색계 색재로서 타트라진 알루미늄 레이크(선케미컬제)를 이용하여 샘플을 작성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비교로서 파운데이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적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을 이용한 샘플도 작성했다. 하기 표 3에 그 조성비(질량%), 색재 조성물의 색조(이산화티탄 혼합전) 및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후의 화장 피부의 색조, 은폐력 및 자연스러운 질감에 대한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3
[백색 안료 혼합 후의 조성물의 색조(단, 피부에 도포하기 전)의 평가 기준]
◎ : 피부색에 매우 가깝다.
○ : 피부색에 약간 가깝다.
△ : 피부색에서 약간 멀다.
× : 피부색에서 멀다.
(은폐력의 평가 기준)
◎ : 감추어진다.
○ : 약간 감추어진다.
△ : 약간 감추어지지 않는다.
× : 감추어지지 않는다.
(자연스러운 질감의 평가 기준)
◎ : 투명감이 있고, 요철이 눈에 띄지 않는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약간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약간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여기서, 샘플 3-2가 일반적인 색재인 적산화철, 황산화철, 및 흑산화철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이다. 또한, 샘플 3-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색재 조성물이며, 적색광 범위의 흡수가 적은 색재, 리솔루빈 BCA 및 타트라진을 사용한 것이다. 샘플 3-3은 샘플 3-6에 흑산화철을 배합하고, 색재 조성물(백색 안료 혼합 후) 자체의 색조를 피부색으로 조정한 것이다. 또한, 샘플 3-1은 샘플 3-2의 색재 조성물로부터 흑산화철을 제외한 것, 샘플 3-4는 샘플 3-6의 타트라진 대신에 황산화철을 배합한 것, 샘플 3-5는 샘플 3-6의 리솔루빈 BCA 대신에 적산화철을 배합한 것이다.
관능 평가 시험은 표 3의 각 샘플의 색재 조성물에 동일한 양의 이산화티탄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실시했다.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산화티탄의 도포량이 동일하므로 은폐력의 효과 자체에 차이는 없다. 그러나, 화장 피부에 대한 자연스러운 질감의 평가에 관해서는 샘플 3-6은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지만, 그외에는 모두 효과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샘플 3-6은 흑산화철을 배합하지 않고, 색재 조성물 자체의 색조는 선명한 적색이며, 또한 이산화티탄 혼합 후에도 피부색과는 떨어진 색조를 띄지만, 후술하는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에 도포할 때의 색은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종래의 화장품인 샘플 3-1을 도포한 화장 피부와, 샘플 3-6을 도포한 화장 피부를 비교 관찰하면 피부의 요철이나 그늘이 보이는 방식에 차가 있었다. 전반광 강도가 낮은 것(샘플 3-1 내지 3-5)에서는 요철이 눈에 띄고 피부의 그늘 부분도 검고 진한 것에 대해, 전반광 강도가 높은 것(샘플 3-6)에서는 요철이 눈에 띄지 않고, 또한 그늘은 빨갛고 옅은 색을 띠었다. 이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료에서는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사출되는 광의 강도가 낮으므로 도 5(a)의 사선부에 도시한 부분에 그늘이 선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3-6의 화장료에서는 맨피부에 가까운 전반광 강도를 가지므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이 입사되지 않은 위치(그늘이 되는 부분)에서도 다른 위치로 입사된 광이 피부내에서 내부 산란을 받고, 그늘이 되는 부분의 위치로부터도 사출되어 온다. 이 때문에 피부의 요철에 의한 그늘이 맨피부에 가깝고, 자연스러운 질감이 된다고 생각된다.
도 6에 샘플 3-1 내지 샘플 3-6의 조성물(단, 백색 안료 혼합 전의 색재 조성물)을 백흑 은폐율 시험지상에 코팅했을 때의 백색 하지상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또한, 분광 반사 스펙트럼은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했다.
(측정 조건)
색재 조성물 1.0 g에 니트로셀룰로스 래커(무약 도료제, 상품명:니트론클리어) 15 g에 분산하고,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실시하고, 분광 측색기(코니카미놀타제 제품명:CM2600d)를 이용하여 개구 직경 11 mmφ, SCE 모드(정반사광 제거)로 측정을 실시했다. 또한, 백흑 은폐율 시험지는 Leneta FORM 5C, OPACITY CARTS size : 7-5/8×10-1/4 in(194 × 260 mm)을 사용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장 피부가 자연스러운 질감인 샘플 3-6에서는 백색 하지상의 파장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75 % 이상이다(또한,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은 약 10 %이다). 이제 파장역 630 nm 내지 700 nm에서 흡수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화장 피부가 부자연스러운 다른 샘플을 보면 상기 파장역에서의 광흡수가 큰(반사율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파장역에서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화장 피부를 자연스러운 질감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적색광 영역(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전반광 강도가 화장 피부의 자연스러운 질감에 영향을 주는 증거이다. 이와 같이 3-6의 조성물에 의해 자연스러운 질감이 수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 파운데이션에서는 채도, 명도 조정을 위해 반드시 좋은만큼 가시광선 파장 영역 전역에서 흡수를 가진 흑색 색재를 첨가하고, 맨피부의 색과 거의 동등한 색으로 맞춰 도포색과 맨피부의 색 사이에 위화감이 적다. 그러나, 3-6의 조성물은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광흡수가 작으므로 고굴절 백색 안료 혼합 후의 조성물의 색조도 일반적인 파운데이션의 색조와 비교하여 명도 및 채도가 매우 높게 된다. 이 때문에 피험자에 따라서는 도포색을 자연스럽게 맞추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3-6과 같이 채도, 명도가 높은 조성물을 위화감없이 바르는 방법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고굴절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색재 조성물과, 고굴절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 조성물을 별개로 바르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 피부색에 대해 비교적 용이하게 도포색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표 3의 샘플 3-6에 대해 백색 안료를 혼합한 후의 색재 조성물을 4-1, 백색 안료 혼합 전의 색재 조성물을 4-2로 하여 4 인의 피험자에 대해 조성물 4-1을 직접 도포할 때의 도포색과, 백색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나서 조성물 4-2를 도포할 때의 도포색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4
(백색 안료 조성물의 조제 방법)
이산화티탄을 바세린에 분산하고, 3 개 롤러로 3 회 혼련하여 충분히 분산한 것을 백색 안료 조성물로 했다. 또한, 백색 안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이산화티탄(트로녹스RKB2 바이엘제) 10 질량%, 바세린 90 질량%로 했다.
(시험 방법)
4-1을 4 명의 피험자에게 0.5 mg/㎠ 도포할 때의 도포색과, 백색 안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4-2를 도포색이 자연스러워지도록 적당량 도포할 때의 도포색을 육안으로 판정했다.
(도포색의 평가 기준)
◎ : 자연스러움
○ : 허용할 수 있는 자연스러움
△ : 약간 부자연스러움
× : 명확히 부자연스러움
상기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험자에 따라 색재 조성물 도포량을 조정하면서 도포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러운 도포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개인차는 있지만 각질층, 진피층에 존재하는 케라틴이나 콜라겐에 의한 백색의 산란과 혈액중의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등에 의한 적색 성분(황색 포함)이 적당히 혼합되는 것에 의해 우선 피부색에 근사한 색이 생기고, 또한 멜라닌에 의한 갈색~흑색 성분에 의해 채도, 명도가 낮아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피부색의 색조를 결정짓는 것은 혈액에 의한 적색 성분과 산란에 의한 백색 성분으로서 사용자 각자에 대해 이들 비율이 적절히 구성되면 맨피부와 채도, 명도가 다소 상이해도 자연스럽게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실제, 630 nm 내지 700 nm에서 흡수를 갖지 않은 색재로 구성한 3-6은 고굴절 안료 혼합 전에 있어서, 혈액과 아주 유사한 선명한 적색을 띄고 있지만, 3-1 내지 3-5와 같이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에 사용되는 산화철계 색재를 이용한 경우는 선명한 적색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자연스러운 생체의 피부색 구성을 모방한 색재 구성을 취하고 있으므로, 흑색이 없어도 피부색과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또한,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색재 조성물(적색 성분)과 고굴절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백색 성분)로 나누는 것에 의해 색재 조성물의 양을 조정하면서 도포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사용자의 피부색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사고 방식은 종래에 전혀 없고,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맨피부의 색과 맞추는 것이 전제이고, 흑색 안료는 파운데이션의 필수 성분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또한, 적색의 색재 조성물 중에는 적색 색재와 황색 색재가 포함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조합에 의해 백색 안료를 혼합할 때의 피부색 색조가 변화된다. 따라서, 적색 색재와 황색 색재의 조합과, 백색 안료와의 혼합의 조합을 바꾸면 매우 많은 조합이 존재하게 되지만, 색재 조성물과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나누는 것에 의해 조합을 크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파운데이션을 2제로 나누는 것은 이치에 맞다.
이하, 고굴절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색재 조성물이 만족해야 할 광학적 성질에 대해 설명한다.
색재 조성물의 광학적 특성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색재 조성물에 이용되는 적정한 색재의 광학적 성질에 대해 고찰한다. 본 발명의 색재 조성물에 요구되는 조건은, (1) 630 nm 내지 700 nm에서 흡수를 갖지 않는 것,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2) 이 색재 조성물은 백색 안료를 혼합할 때 피부색이 되는 조건이 필요해진다.
이들 성질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백흑 은폐율 시험지상에 적당한 농도에 의해 코팅을 하고, 그만큼 광반사율 곡선으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색재 조성물중의 색재의 종류 및 농도는 각기 다르므로 적당한 방법으로 코팅량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피부색의 색상은 YR에 속하는 바와 같이 색재 조성물은 적색계로부터 황색계의 색재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색재 조성물이 청색에서 녹색의 흡수를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코팅 후의 백색 하지상의 분광 반사율 곡선이 대략 우측 상부 곡선인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은폐율 시험지상의 색재 조성물의 코팅량을 표준화하기 위해 400 nm의 반사율이 10±2 %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을 실시한다. 이 때, 코팅 후의 백색 하지상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이 코팅 전의 백색 하지의 분광 반사율에 대해 거의 저하되지 않거나, 또는 그 이상이면 색재 조성물의 해당 파장의 흡수율이 거의 없는 것이 확인된다.
계속해서 백색 색재와 혼합할 때 피부색이 되는 조건에 대해 생각해보자. 본 방법에 의해 코팅함으로써 백색 하지상의 400 nm의 반사율과 700 nm의 반사율이 정해진다. 이 때, 400 nm 내지 700 nm의 파장의 반사율 분포가 도 7의 그래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낮은 경우, 색재 조성물은 매우 적색인 것을 의미하므로, 백색 안료와 혼합하면 적색으로 시프트하는 것이 예상된다. 한편, 도 7의 그래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높은 경우, 색재 조성물은 황색이 되고, 백색 안료와 혼합하면 황색이 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를 가진 반사율 분포가 필요한 것이 유추되지만, 이 반사율 분포의 크기를 3자극값의 Y값(2° 시야, D65, JIS Z-8701, Z-8722)을 지표로서 치환할 수 있다.
상기 Y값의 적정한 범위에 대해 검토한다. 표 5, 표 6, 표 7,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재 조성물을 여러 가지 배합 농도(질량%)로 조제하고, 400 nm의 반사율이 10±2%의 범위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하며,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 및 Y값을 측정하고, 또한 백색 안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다음에 각 색재 조성물을 겹쳐 도포할 때의 피부색으로서의 자연스러움을 평가했다.
(피부색으로서의 자연스러움의 평가 기준)
◎ : 피부색으로서 자연스러움
○ : 피부색으로서 약간 자연스러움
△Y : 피부색으로서 약간 황색임
△R : 피부색으로서 약간 적색임
×Y : 피부색으로서 너무 황색임
×R : 피부색으로서 너무 적색임
(색재 조성물)
1) 리솔루빈 BCA-타트라진계 제 1
유색 색재로서 리솔루빈 BCA(도우요우 잉크제)와, 타트라진 알루미늄 레이크(선케미컬제)를 사용하고,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샘플을 작성했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5
2) 리솔루빈 BCA-타트라진계 제 2
유색 색재로서 리솔루빈 BCA(도우요우 잉크제)와, 타트라진 알루미늄 레이크(기시 가세이(주)제)를 사용하고,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샘플을 작성했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6
3) 선셋옐로FCF-타트라진계
유색 색재로서 선셋옐로 FCF(선케미컬제)와, 타트라진 알루미늄 레이크(선케미컬제)를 사용하고,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샘플을 작성했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7
4) 선셋옐로FCF-핸서옐로계
유색 색재로서 선셋옐로FCF(선케미컬제)와, 핸서옐로(기시 가세이제)를 사용하고,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샘플을 작성했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8
백색 안료 조성물의 조제 방법
이산화티탄을 바세린에 분산하고, 3 개 롤러로 3 회 혼련하여 충분히 분산한 것을 백색 안료 조성물로 했다. 또한, 백색 안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이산화티탄(트로녹스RKB2 바이엘제) 10 질량%, 바세린 90 질량%로 했다.
색재 조성물의 조제 방법
각 색재를 각각 30 중량%씩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에 분산하고, 3 개 롤러로 3회 혼련하여 충분히 분산시킨 것을 나머지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에 분산하고, 그 후 바세린을 첨가하여 가열 용해하고, 수욕(水浴)중에서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겔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서 이용했다.
도포색의 확인 방법
백색 안료 조성물을 피부에 1 mg/㎠ 도포한 후, 각 색재 조성물의 덧바름을 실시하고, 도포색의 색조를 화장품 기술자에 의해 평가했다.
400 nm , 630 nm 내지 700 nm 에서의 분광 반사율 및 Y값의 측정 방법
1)의 처방에서는 1 g, 2)의 처방에서는 1.6 g, 3)의 처방에서는 1 g, 4)의 처방에서는 1 g의 양의 각 색재 조성물에 각각 니트로셀룰로스 래커(무사시 페인트제 제품명:니트론클리어)를 첨가하여 16 g으로 하여 충분히 혼련했다. 그리고,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로 백흑 은폐율 시험지[Leneta FORM 5C, OPACITY CARTS size: 7-5/8×10-1/4in(194×260 mm)]에 도포하고, 분광 측색기(미놀타제 제품명: CM2600d)를 이용하여 SCE 모드(정반사광 제거), 개구 직경 11 mm로 400 nm의 분광 반사율, 630 nm 이상의 (평균) 분광 반사율 및 Y값을 구했다. 즉, 도포막의 막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도포막중의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여 400 nm의 분광 반사율이 10±2 %가 되도록 했다.
상기 표 5 내지 표 8의 결과로부터 색재의 선택에 의해 적정 범위는 다르지만, Y값이 커지면 황색이 되고, 작아지면 적색에 의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한 색재의 조합에 의해 그 Y값의 적정 범위는 변하지만, 대략 그 범위를 25 내지 65로 조제하면 백색 안료와 혼합할 때 피부색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0 내지 60의 범위이면 백색 안료와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할 때, 더 자연스러운 피부색을 수득할 수 있다.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도포량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 방법에서,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바람직한 도포량에 대해 조사했다.
백색 안료 조성물로서는 안료급 이산화티탄(트로녹스RKB2 바이엘제)을 바세린에 분산하고, 3 개 롤러로 3 회 혼련하여 충분히 분산한 것(백색 안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이산화티탄 10 질량%, 바세린 90 질량%로 함)을 이용하고, 또한 색재 조성물로서는 상기 표 3의 샘플 3-6(단, 백색 안료 혼합 전)을 이용했다.
백색 안료 조성물의 도포량을 바꿔 도포 후의 색조가 부자연스러워지지 않을 때까지 색재 조성물을 도포했다. 이 때의 은폐력 및 자연스러운 질감에 대한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09
(은폐력의 평가 기준)
◎ : 은폐된다.
○ : 약간 은폐된다.
△ : 약간 은폐되지 않는다.
× : 은폐되지 않는다.
(자연스러운 질감의 평가 기준)
◎ : 투명감이 있고, 요철이 눈에 띄지 않는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약간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약간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상기 표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산화티탄의 도포량이 0.1 mg/㎠ 이하이면 충분한 은폐력이 수득되지 않고, 또한 5 mg/㎠ 이상이면 화장 피부의 자연스러움이 손상되었다. 따라서 이산화티탄의 도포량은 0.1 mg/㎠ 내지 5 mg/㎠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안료의 굴절률과 은폐력의 관계
은폐력과 안료의 굴절률의 관계를 조사하는 시험을 실시했다. 하기 표 10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10
(은폐력의 평가 기준)
◎ : 은폐된다.
○ : 약간 은폐된다.
△ : 약간 은폐되지 않는다.
× : 은폐되지 않는다
(자연스러운 질감의 평가 기준)
◎ : 투명감이 있고, 요철이 눈에 띄지 않는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약간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약간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또한, 표 중의 수치는 질량%이다. 또한, 색재 조성물(백색 안료 혼합 전)로서 리솔루빈 BCA(도우요우 잉크사제) 0.13 질량%, 타트라진(선케미컬사제) 4.87 질량%를 혼합한 것을 이용했다.
이 결과로부터 충분한 은폐력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백색 안료로서 굴절률이 1.9 이상인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히 이산화티탄이 바람직한 것도 알 수 있다.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배합량 및 유색 색재 조성물과의 배합 비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제형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유색 색재 조성물과 고굴절률 백색 안료(이산화티탄)의 바람직한 배합 비율을 조사하기 위해, 하기 표에 나타내는 조성(질량%)으로 샘플을 작성하고, 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백색 안료 혼합 전의 색재 조성물은 표 5의 5-3과 동일한 조성을 사용했다.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색재 조성물의 조제 방법)
각 색재를 각각 30 중량%씩,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에 분산하고, 3 개 롤러로 3 회 혼련하여 충분히 분산시킨 것을 나머지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에 분산하고, 그 후 바세린을 첨가하여 가열 용해하고, 수욕중에서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겔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 사용했다.
Figure 112007056258557-PCT00011
Figure 112007056258557-PCT00012
Figure 112007056258557-PCT00013
Figure 112007056258557-PCT00014
화장색, 은폐력, 자연스러운 질감의 각 항목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화장색)
×적색: 부자연스럽게 적색
×백색: 부자연스럽게 백색
△적색: 약간 부자연스럽게 적색(피부색이 상당히 진한 사람용)
△백색: 약간 부자연스럽게 백색(피부색이 상당히 옅은 사람용)
○적색: 통상의 피부에는 적색이지만, 피부색이 진한 사람에게는 좋다
○백색: 통상의 피부에는 새하얗지만, 피부색이 하얀 사람에게는 좋다
◎: 매우 자연스럽고 사용하기 쉽다(통상의 피부색의 사람용)
◎옅음: 매우 자연스러움(통상의 피부색의 경우 옅게 도포함)
◎ 적색 : 매우 자연스러움(피부의 색이 약간 진한 사람용)
◎ 백색: 매우 자연스러움(피부색이 약간 하얀 사람용)
(은폐력)
◎: 은폐력이 크다.
○: 은폐력이 약간 크다
△: 은폐력이 약간 작다
△×: 은폐력이 작다
×: 은폐력이 없다
(자연스러운 질감)
◎: 투명감이 있고, 요철이 눈에 띄지 않는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약간 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약간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 부자연스러운 마무리이다.
표 11A 내지 표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제(基劑)중의 산화티탄량을 0.05 질량% 내지 40 질량%까지 변화시켜 시험을 실시했다.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농도가 1 질량% 미만인 경우(샘플 11-1 내지 샘플 11-5)는 은폐력이 충분하지 않고, 피부 결점을 감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25 질량% 이상(샘플 11-12 내지 샘플 11-14)이면 은폐력은 충분하지만, 피부색이 약간 짙은 사람에 대해서는 하얗게 부자연스러워지므로 1 % 내지 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25 %가 바람직하다.
비백색 색재와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배합 비율에 관해서는 비백색 색재 전량/(이산화티탄+비백색 색재 전량) 질량%를 11.1 %에서 98 %까지 변화시켜 시험을 실시했다.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90 % 보다 색재량이 큰 경우(샘플 11-1 내지 샘플 11-5), 도포색이 적색이 되므로 옅게 바를 필요가 있고, 은폐력이 작아진다. 한편, 20 % 보다 작으면(샘플 11-12 내지 샘플 11-14) 도포색이 하애지므로 피부가 하얀 사람이 아니면 부자연스럽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90 %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70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몇가지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처방중인 수치는 모두 질량%이다.
실시예 1 2 제형 파운데이션
실시예 1에서는 색재 조성물과 백색 안료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2 제형 파운데이션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 실시예 1에서 예로 든 백색 안료 조성물과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은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성 타입 백색 안료 조성물
(처방)
디메틸폴리실록산 5
이소스테아린산 0.5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3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티탄 10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피복 탈크 잔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피복 세리사이트 20
N-라우로일-L-리신 0.1
금속비누 처리 탈크 8
구형상 실리카 5
비타민E 아세테이트 0.1
에틸파라벤 적량
트리메톡시 계피산 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시릴이소펜틸 1
파라메톡시 계피산 2-에틸헥실 3
구형상 폴리아크릴산 알킬 분말 6
(조제 방법)
처방 중인 분말부에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를 첨가하고, 헨셀 믹서로 혼합 후, 펄페라이저로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을 수지 중간 접시에 충전하고, 프레스 성형하여 유성 타입 백색 안료 조성물을 수득했다.
W/O 크림 타입 백색 안료 조성물
(처방)
〈유상부〉
디메틸폴리실록산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4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
〈분말부〉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티탄 10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세리사이트 10
N-라우로일-L-리신 0.1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적량
〈수상부〉
프로필렌글리콜 5
물 잔여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를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혼합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유분 혼합물에 대해 수상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분간 유화하며, W/O 크림 타입 백색 안료 조성물을 수득했다.
파우더 타입 색재 조성물
(처방)
디메틸폴리실록산 5
이소스테아린산 0.5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3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1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
선셋옐로 FCF(선케미컬사제) 6.32
타트라진 Al 레이크(선케미컬사제) 3.68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피복 탈크 잔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피복 세리사이트 20
N-라우로일-L-리신 0.1
금속비누 처리 탈크 8
구형상 실리카 5
비타민E 아세테이트 0.1
에틸파라벤 적량
트리메톡시 계피산 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시릴이소펜틸 1
파라메톡시 계피산 2-에틸헥실 3
구형상 폴리아크릴산 알킬 분말 6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에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를 첨가하고, 헨셀 믹서로 혼합 후, 펄페라이저로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을 수지 중간 접시에 충전하고, 프레스 성형하여 파우더 타입 색재 조성물을 수득했다.
이 색재 조성물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80 %이고, 또한 Y값은 45 %이었다.
유화 고형 W/O 타입 색재 조성물
(처방)
〈유상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
디메틸폴리실록산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0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2
팔미틴산 0.5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 1
초산 토코페롤 0.1
δ-토코페롤 0.1
〈분말부〉
리솔루빈 BCA(도우요우 잉크사제) 0.25
타트라진 Al레이크(선케미컬사제) 9.75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무수 규산 2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세리사이트 15
가교형 실리콘 분말(트레필 E-506) 3
N-라우로일-L-리신 0.1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적량
〈수상부〉
디프로필렌글리콜 3
정제수 잔여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를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분간 혼합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유분 혼합물에 대해 수상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유화했다. 수득된 혼합물을 수지 중간 접시에 충전하고, 유화 고형 W/O 타입 색재 조성물을 수득했다.
이 색재 조성물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80 %이고, Y값은 50이었다.
W/O 크림 타입 색재 조성물
(처방)
〈유상부〉
디메틸폴리실록산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공중합체 4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
〈분말부〉
리솔루빈 BCA(도우요우 잉크사제) 0.17
타트라진 Al레이크(기시 가세이제) 9.83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세리사이트 10
N-라우로일-L-리신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수상부〉
프로필렌글리콜 5
물 잔여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를 8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혼합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유분 혼합물에 대해 수상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유화하고, W/O 크림 타입 색재 조성물을 수득했다. 이 색재 조성물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79 %이고, Y값은 36이었다.
스틱 타입 색재 조성물
(처방)
〈유상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2
디메틸폴리실록산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7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6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4
〈분말부〉
선셋옐로 FCF(선케미컬사제) 14
핸서옐로 마이카 베이스(색재 함유량 25 %)(기시 가세이제) 24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를 9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혼합 분쇄를 실시한 후, 스틱 금형에 흘려넣어 스틱 타입 색재 조성물을 수득했다. 이 색재 조성물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80 %이고, Y값은 46이었다.
실시예 1에서 예로 든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색재 조성물에 의하면 어느 조합에서도 투명감이 우수하고, 요철이 눈에 띄지 않는 자연스러운 마무리를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2- 파우더 파운데이션(일제형)
(처방)
디메틸폴리실록산 5
이소스테아린산 0.5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3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
리솔루빈 BCA(도우요우 잉크사제) 0.13
타트라진 Al 레이크(선케미컬사제) 4.87
구형상 PMMA 피복 운모 6
미립자 산화아연 0.5
미립자 산화티탄 2
합성금운모 2
금속비누 처리 탈크 8
구형상 실리카 5
비타민E 아세테이트 0.1
에틸파라벤 적량
트리메톡시 계피산 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시릴이소펜틸 1
파라메톡시 계피산 2-에틸헥실 3
구형상 폴리아크릴산 알킬분말 6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피복 탈크 잔여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피복 세리사이트 20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피복 산화티탄 15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에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를 첨가하고, 헨셀믹서로 혼합 후, 펄페라이저로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을 수지 중간 접시에 충전하고, 프레스 성형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수득했다.
백색 안료 혼합 전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80 %이고, Y값은 50이었다. 본 실시예 2의 파우더 파운데이션에 의하면 투명감이 우수하고, 요철이 눈에 띄지 않는 자연스러운 마무리를 수득할 수 있었다.
비교예 1-파우더 파운데이션(일제형)
(처방)
디메틸폴리실록산 5
이소스테아린산 0.5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3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
구형상 PMMA 피복 운모 6
미립자 산화아연 0.5
미립자 산화티탄 2
합성금운모 2
금속비누 처리 탈크 8
구형상 실리카 5
비타민E 아세테이트 0.1
δ-토코페롤 0.1
에틸파라벤 적량
트리메톡시 계피산 메틸 비스(트리메틸실록시)시릴이소펜틸 1
파라메톡시 계피산 2-에틸헥실 3
구형상 폴리아크릴산 알킬 분말 6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피복 탈크 잔여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피복 세리사이트 20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피복 산화티탄 15
알킬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황산화철 3
알킬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벵갈라 1
알킬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흑산화철 적량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에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를 첨가하고, 헨셀믹서로 혼합 후, 펄페라이저로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을 수지 중간 접시에 충전하고, 프레스 성형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수득했다. 백색 안료 혼합전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60 %이고, Y값은 38이었다.
본 비교예 1의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이용한 경우, 피부의 모공이나 작은 요철이 걱정되고, 또한 가루감이 눈에 띄는 마무리였다.
실시예 3-유화 고형 W/O 파운데이션(일제형)
(처방)
〈유상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
디메틸폴리실록산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0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2
팔미틴산 0.5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
초산 토코페롤 0.1
δ-토코페롤 0.1
〈분말부〉
리솔루빈 BCA(도우요우 잉크사제) 0.17
타트라진 Al 레이크(기시 가세이사제) 9.83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무수규산 2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티탄 15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세리사이트 10
가교형 실리콘 분말(트레필 E-506) 3
N-라우로일-L-리신 0.1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 적량
〈수상부〉
디프로필렌글리콜 3
정제수 잔여
(조제 방법)
처방중인 분말부를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혼합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유분 혼합물에 대해 수상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분간 유화했다. 수득된 혼합물을 수지 중간 접시에 충전하고, 유화 고형 W/O 파운데이션을 수득했다.
여기서, 비백색 색재인 선셋 옐로, 타트라진의 배합 비율은 표 6의 6-5와 동일해지도록 했다. 백색 안료 혼합 전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79 %이고, Y값은 36이었다. 본 실시예 3의 유화 고형 W/O 파운데이션에 의하면 투명감이 우수하고, 요철이 눈에 띄지 않는 자연스러운 마무리를 수득할 수 있다.
비교예 2-유화 고형 W/O 파운데이션(일제형)
(처방)
〈유상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
디메틸폴리실록산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0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2
팔미틴산 0.5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
초산 토코페롤 0.1
δ-토코페롤 0.1
〈분말부〉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황산화철 3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벵갈라 1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흑산화철 적량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무수 규산 2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티탄 15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세리사이트 10
산화티탄·벵갈라 피복 운모 3
가교형 실리콘 분말(트레필 E-506) 3
N-라우로일-L-리신 0.1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 적량
〈수상부〉
디프로필렌글리콜 3
정제수 잔여
(조제 방법)
처방 중인 분말부를 8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유상부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혼합 분쇄를 실시했다. 수득된 분말·유분 혼합물에 대해 수상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 분간 유화했다. 수득된 혼합물을 수지 중간 접시에 충전하고, 유화 고형 W/O 파운데이션을 수득했다. 백색 안료 혼합 전의 630 nm 내지 700 nm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은 59 %이고, Y값은 37이었다.
본 비교예 2의 유화 고형 W/O 파운데이션을 이용한 경우, 피부의 모공이나 작은 요철이 걱정이 되고, 또한 가루감이 눈에 띄는 마무리였다.

Claims (9)

  1. 비(非)백색 색재를 포함하는 색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색재 조성물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상기 색재 조성물에 대해 하기 측정 조건으로의 분광 반사율을 측정할 때, 백색 하지(下地)상의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이 75 % 이상이고, 백색 하지상의 Y값이 25 내지 6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측정 조건)
    색재 조성물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분산하고, 백흑 차폐율 시험지의 백색 하지상의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이 10±2 %가 되도록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고,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코팅을 실시하고, 분광 측색기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非)백색 색재는 리솔루빈 BCA, 선셋옐로 FCF, 타트라진, 핸서옐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복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정물.
  3.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 조성물과, 제 1 항 또는 제 2 항 에 기재된 색재 조성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제형(多劑型) 파운데이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조성물과 상기 색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제형 파운데이션.
  5.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배합한 백색 안료 조성물을 피부상에 도포하는 공정; 및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색재 조성물을 피부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피부상으로의 도포량은 전체량(全量)으로 0.1 mg/㎠ 내지 5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7. 비(非)백색 색재와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일제형(一劑型)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중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에 대해 분광 반사율을 하기 측정 조건으로 측정할 때, 백색 하지상의 파장 630 nm 내지 7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의 최소값이 75 % 이상이고, 백색 하지상의 Y값이 25 내지 6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제형(一劑型) 파운데이션.
    (측정 조건)
    파운데이션 중의 고굴절률 백색 안료를 제외한 부분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분산하고, 백흑 은폐율 시험지의 백색 하지상의 파장 400 nm에서의 분광 반사율이 10±2 %가 되도록 색재 조성물의 농도를 조정하고, 클리어런스 0.101 mm의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백흑 은폐율 시험지에 코팅을 실시하여 분광 측색기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에 배합되는 비백색 색재 전량과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비율[비백색 색재 전량/(고굴절률 백색 안료 + 비백색 색재 전량)]이 20 질량% 내지 9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제형 파운데이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고굴절률 백색 안료의 배합량이 1 질량% 내지 25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제형 파운데이션.
KR1020077017801A 2005-03-23 2006-03-22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화장 방법 KR20070115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3561 2005-03-23
JP2005083561A JP5363696B2 (ja) 2005-03-23 2005-03-23 肌化粧料用色材組成物、それを用いたファンデーション、化粧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875A true KR20070115875A (ko) 2007-12-06

Family

ID=3702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801A KR20070115875A (ko) 2005-03-23 2006-03-22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화장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60856A1 (ko)
EP (1) EP1862159A4 (ko)
JP (1) JP5363696B2 (ko)
KR (1) KR20070115875A (ko)
CN (1) CN101146512A (ko)
TW (1) TWI382853B (ko)
WO (1) WO2006101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1476B1 (fr) * 2006-05-29 2011-12-23 Oreal Procede de coloration d'une peau foncee
JP2008285429A (ja) * 2007-05-16 2008-11-27 Shiseido Co Ltd 仕上げ用化粧料
JP2009126818A (ja) * 2007-11-22 2009-06-11 Shiseido Co Ltd スキンケア化粧料
FR2975589B1 (fr) * 2011-05-26 2016-08-26 Lvmh Rech Composition de maquillage produisant un changement de couleur a l'application
US11116841B2 (en) * 2012-04-20 2021-09-14 Klox Technologies Inc. Biophotonic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US20130281913A1 (en) 2012-04-20 2013-10-24 Klox Technologies Inc. Biophoton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viding biophotonic treatment
JP5878447B2 (ja) * 2012-09-12 2016-03-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ベースメイク化粧料
JP6420174B2 (ja) * 2015-02-26 2018-11-07 花王株式会社 化粧肌の自然な仕上りを評価する方法
FR3045330B1 (fr) * 2015-12-16 2019-05-03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base de pigments blancs et d'agregats spheriques de dioxyde de titane
US10703913B2 (en) 2015-12-25 2020-07-07 Shiseido Company, Ltd. Titanium dioxide powder and cosmetic formulated therewith
WO2018061242A1 (ja) 2016-09-27 2018-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着色シート製造方法、および、着色シート
CN106501188A (zh) * 2016-11-15 2017-03-15 攀钢集团钛业有限责任公司 涂料遮盖力检测方法和对比方法
WO2018117020A1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資生堂 塗布制御装置、塗布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3595618A1 (en) * 2017-03-14 2020-01-22 Imertech Sas Use of talc for pearlescence in liquid compositions
JP6799242B2 (ja) * 2017-05-29 2020-12-16 東色ピグメント株式会社 化粧料
JP7017325B2 (ja) 2017-06-26 2022-02-08 株式会社 資生堂 二酸化チタン粉体を配合した乳化化粧料
JP7084112B2 (ja) 2017-06-26 2022-06-14 株式会社 資生堂 二酸化チタン粉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粉末化粧料
EP3798191B1 (en) 2018-05-23 2023-06-14 Kose Corporation Novel titanium oxide powder and cosmetic formulated therewith
KR102336189B1 (ko) * 2019-12-18 2021-1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JP2022051225A (ja) 2020-09-18 2022-03-31 チタン工業株式会社 カルシウムチタン複合酸化物を主成分とする粒子からなる顔料及びその使用
JP2022086603A (ja) 2020-11-30 2022-06-09 チタン工業株式会社 カルシウムチタン複合酸化物を主成分とする粒子からなる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9274A1 (de) * 1972-10-07 1974-04-18 Bayer Ag Herstellung von gefaelltem rotem eisen(iii)-oxid
US3957969A (en) * 1973-07-13 1976-05-18 Shiseeido Co., Ltd. Cosmetic stick comprising water-in-oil emulsion
US4385166A (en) * 1980-03-24 1983-05-24 Sun Chemical Corporation Printing inks based on poly(amide-ester) resins
US4623396A (en) * 1983-09-14 1986-11-18 Shiseido Company Ltd. Titanium-mica composite material
JP2915454B2 (ja) * 1989-11-30 1999-07-05 株式会社資生堂 ホトクロミック性肌色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62148A (en) * 1990-03-07 1993-11-16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barium sulfate
US5171572A (en) * 1990-03-07 1992-12-15 Kao Corporation Barium sulfat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JP3456674B2 (ja) * 1994-09-14 2003-10-14 株式会社資生堂 着色雲母チタン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肌色調整用組成物
ES2231779T3 (es) * 1994-09-14 2005-05-16 Shiseido Company Limited Procedimiento para igualar el color de la piel y mica recubierta de oxido de titanio coloreado utilizada a tal efecto.
US5498808A (en) * 1995-01-20 1996-03-12 United Color Manufacturing, Inc. Fluorescent petroleum markers
JPH0930917A (ja) * 1995-07-20 1997-02-04 Miyoshi Kasei:Kk 無機金属酸化物−粘土鉱物の被覆粉体及び該被覆粉体を配合した化粧料
JP3425011B2 (ja) * 1995-08-03 2003-07-07 株式会社資生堂 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3573890B2 (ja) * 1996-11-25 2004-10-06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US5885596A (en) * 1997-07-23 1999-03-2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fine lines and/or wrinkles
JPH1192688A (ja) * 1997-09-17 1999-04-06 Shiseido Co Ltd 複合粉末
JPH11209243A (ja) * 1998-01-20 1999-08-03 Shiseido Co Ltd ファンデーション
JPH11209238A (ja) * 1998-01-22 1999-08-03 Kao Corp 化粧料
JP3696394B2 (ja) * 1998-02-25 2005-09-1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質感補正メークアップ化粧料
FR2777178B1 (fr) * 1998-04-10 2000-06-02 Oreal Kit de maquillage associant un pigment goniochromatique et un pigment monocolore ayant une des couleurs du pigment goniochromatique, ses utilisations
JP2001010929A (ja) * 1999-07-02 2001-01-16 Shiseido Co Ltd 複合粉末
US6500415B2 (en) * 2000-06-05 2002-12-31 Showa Denko K.K. Cosmetic composition
DE10120179A1 (de) * 2001-04-24 2002-10-31 Merck Patent Gmbh Farbige Pigmente
JP2002332211A (ja) * 2001-05-09 2002-11-22 Daito Kasei Kogyo Kk 着色球状ポリアミド粉体と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3104843A (ja) * 2001-09-28 2003-04-09 Kanebo Ltd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AU2003227260A1 (en) * 2002-03-28 2003-10-13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Fine particle dispersant, and cosmetics, coating materials, inks, storage materials and lubricants, containing the same
US20050113485A1 (en) * 2002-05-24 2005-05-26 Nippon Sheet Glass Co., Ltd. Flaky particles, and cosmetic,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and ink composition ezch containing the same
US20040086473A1 (en) * 2002-06-17 2004-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step sebum and perspiration absorption foundation kit and associated methods
US20040086474A1 (en) * 2002-06-17 2004-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step cosmetic benefit foundation kit and associated methods
WO2004045524A2 (en) * 2002-11-15 2004-06-03 Color Access, Inc. Transparent concealing cosmetic compositions
FR2848822B1 (fr) * 2002-12-24 2006-01-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type fond de teint destinee au maquillage des peaux foncees
JP2004217613A (ja) * 2002-12-27 2004-08-05 Kose Corp 油性固形化粧料
JP4438310B2 (ja) * 2003-04-16 2010-03-24 ロレアル 化粧品用添加剤
FR2854897B1 (fr) * 2003-05-12 2007-05-04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pour redui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JP4418352B2 (ja) * 2004-03-01 2010-02-17 花王株式会社 アミド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6512A (zh) 2008-03-19
TW200700087A (en) 2007-01-01
EP1862159A4 (en) 2013-04-10
EP1862159A1 (en) 2007-12-05
JP2006265134A (ja) 2006-10-05
US20090060856A1 (en) 2009-03-05
WO2006101122A1 (ja) 2006-09-28
JP5363696B2 (ja) 2013-12-11
TWI382853B (zh)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5875A (ko)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화장 방법
KR100486442B1 (ko) 자연스럽게 보이는 화장품 조성물
TWI290472B (en) Cosmetic composition
CA1339920C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ory ingredient and cosmetics
US5628934A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ory composition and cosmetics
CN104379114B (zh) 包含非干涉型散射粒子及气凝胶粒子的化妆品组合物以及化妆提亮方法
US20100061947A1 (en) Uv protective cosmetic product incorporating titanium dioxide and transparent iron oxide
JP5878447B2 (ja) ベースメイク化粧料
JP5653697B2 (ja) ベースメイクアップ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2719372B1 (en) Emulsion-type make-up ba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2120916A1 (ja) ベースメイク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1423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US2016036123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ordered macroporous material
JP4709643B2 (ja) 肌の印象演出方法
JP4058208B2 (ja) 光応答性高演色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6165797B2 (ja) リキッドファンデーション
KR100598496B1 (ko) 화장료용 안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7220638B2 (ja) 乳化型ベースメイク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1610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3012458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H11152210A (ja) 化粧料
JPH09309819A (ja) 日焼け肌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