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89B1 -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89B1
KR102336189B1 KR1020190170260A KR20190170260A KR102336189B1 KR 102336189 B1 KR102336189 B1 KR 102336189B1 KR 1020190170260 A KR1020190170260 A KR 1020190170260A KR 20190170260 A KR20190170260 A KR 20190170260A KR 102336189 B1 KR102336189 B1 KR 10233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smetic
cartridges
determin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362A (ko
Inventor
강윤정
김주애
장경식
김형규
조안나
김현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70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89B1/ko
Priority to PCT/KR2020/015349 priority patent/WO2021125551A2/ko
Priority to JP2022528689A priority patent/JP2023507545A/ja
Priority to EP20904048.4A priority patent/EP4079283A4/en
Priority to CN202080074908.0A priority patent/CN114616049A/zh
Priority to US17/775,771 priority patent/US20220382241A1/en
Publication of KR2021007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362A/ko
Priority to KR1020210169523A priority patent/KR102527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89B1/ko
Priority to KR1020220004177A priority patent/KR20220011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8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special applications and not provided for in the relevant subclasses, (e.g. making dies, filament wind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01F33/84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with means for customizing the mixture on the point of sale, e.g. by sensing, receiving or analys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to be m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01F33/848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using data, i.e. barcodes, 3D codes or similar type of tagging information, as instruction or identification cod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and mix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02To application field of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맞춤형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표 색상(target color)을 결정하는 단계, 커버력(coverage level)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감(texture)을 결정하는 단계, 및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커버력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카트리지가 상이하도록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A cosmetic manufacturing device and dispensing information determining method of the cosmetic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뷰티 산업의 발전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피부 타입에 따라 건성 피부용, 중성 피부용 및 지성 피부용 등의 화장품이 있고, 피부 색상에 따라 베이지색, 핑크 베이지색 등의 화장품이 있고, 기능에 따라 미백용, 주름 개선용 및 자외선 차단용 등의 화장품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피부(모발) 특성 또는 색상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화장품의 제공만으로는 모든 사용자의 요구를 맞추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사용자마다 각 사용자의 피부(모발) 특성 또는 색상에 따라 필요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이 다를 수 있어, 기성 화장품만으로 모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개시는 화장품 제조장치가 맞춤형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은 목표 색상(target color)을 결정하는 단계, 커버력(coverage level)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감(texture)을 결정하는 단계, 및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커버력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카트리지가 상이하도록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카트리지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는 커버력이 제1 커버력이면 제1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고, 커버력이 제2 커버력이면 제2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의 카트리지 중 제1 색상을 표현하는 화장료의 티타늄디옥사이드 함량은 제2 그룹의 카트리지 중 제1 색상을 표현하는 화장료의 티타늄디옥사이드 함량과 상이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은 토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은 바코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된 바코드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은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른 배합비로 총 토출량이 샘플 무게가 되도록 샘플 화장품을 토출하는 단계, 및 샘플 화장품을 토출한 후 토출 정보의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는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와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는 제1 커버력을 위한 제1 그룹의 카트리지와 제2 커버력을 위한 제2 그룹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커버력에 따라 제1 그룹과 제2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결정된 목표 색상에 따라 선택된 그룹 내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하는 단계, 및 결정된 사용감에 따라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합비를 선택하는 단계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된 대상 카트리지 각각의 잔량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배합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을 결정하고,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커버력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카트리지가 상이하도록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커버력이 제1 커버력이면 제1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고, 커버력이 제2 커버력이면 제2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토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는 바코드를 입력받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바코드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는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른 배합비로 총 토출량이 제1 무게가 되도록 샘플 화장품을 토출하고, 샘플 화장품을 토출한 후 토출 정보의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을 수신하고,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는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와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는 제1 커버력을 위한 제1 그룹의 카트리지와 제2 커버력을 위한 제2 그룹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결정된 커버력에 따라 제1 그룹과 제2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결정된 목표 색상에 따라 선택된 그룹 내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하고, 결정된 사용감에 따라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된 대상 카트리지 각각의 잔량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배합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을 만족시키는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결정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가까운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와 용기 이송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가 마운터에 장착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토출 모듈에서 접촉 바디를 분리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터 서포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셀 보호부가 제1 상태일 때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셀 보호부가 제2 상태일 때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대기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기본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코드 입력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관리 모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전원 모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화장품 제조 방법에 따라 대상 카트리지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6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피부 정보 및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색상 정보를 직접 입력받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토출 정보를 설정 받기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1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2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2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3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4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4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5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5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6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부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3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41은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42는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믹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믹싱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믹싱 어셈블리의 제2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5는 도 42에 도시된 믹싱 어셈블리의 제3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제1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제2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8은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9는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목표 색상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0은 본 개시에 따른 목표 색상에 따른 배합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51은 본 개시에 따른 목표 색상에 따른 배합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52는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토출 정보를 수정 및 최종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화장품 제조 시스템은 화장품 제조장치(1), 단말기(2) 및 서버(3)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화장품 제조 시스템은 화장품 제조장치(1)에서 구비된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적어도 하나에서 토출되는 화장품 조성물을 받는 용기(51, 도 4 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용기(51)는 본 개시의 화장품 제조장치(1)의 사용에만 이용되는 전용품이라 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사용자 개개인에 적합한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고 있는 복수의 카트리지(11, 도 2 참고)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적어도 하나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킴으로써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화장품 조성물의 종류 및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 각각을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화장품 제조 방법을 단말기(2) 또는 서버(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 방법은 복수의 카트리지(11)에서 토출될 화장품 조성물의 종류 및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 방법은 기 설정된 규칙으로 생성된 코드(code)일 수 있다. 코드는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코드의 숫자 또는 문자는 복수의 카트리지(11)에서 토출될 화장품 조성물의 종류와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2)는 화장품 제조 방법을 화장품 제조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는 사용자 개개인에 적합한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화장품 제조 방법을 획득할 수 있고, 화장품 제조 방법을 화장품 제조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기(2)는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조 방법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는 화장품 제조 시스템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기(2)는 서버(3)와 통신을 통해 화장품 제조 방법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2)는 피부 정보, 색상 정보 및 사용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3)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3)가 서버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조 방법을 산출하고, 산출된 화장품 제조 방법을 단말기(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3)는 사용자별 화장품 제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와 용기 이송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케이스(5)(6)(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5)(6)(7)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5)(6)(7)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5)(6)(7)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카트리지(11), 카트리지 회전 모터(48) 및 토출 모듈(12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6)(7)는 어퍼 케이스(5), 미들 케이스(6) 및 로어 케이스(7)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실시 예에 따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케이스(5)(6)(7)는 원 피스(one piece) 또는 투 피스(two piece)로 형성되거나, 혹은 3 이상의 피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스(5)(6)(7)가 어퍼 케이스(5), 미들 케이스(6) 및 로어 케이스(7)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어퍼 케이스(5)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 케이스(5)의 상면에는 개폐부(5a)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5a)는 카트리지(11)의 교체를 위해 오픈 또는 클로즈될 수 있다. 개폐부(5a)는 탈착 가능한 캡(cap) 형태이거나, 슬라이드 도어 형태일 수 있다. 즉, 개폐부(5a)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개폐부(5a)를 오픈시켜 카트리지(11)를 교체할 수 있다.
어퍼 케이스(5)에는 디스플레이(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111)는 미들 케이스(6) 또는 로어 케이스(7)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1)의 화장품 제조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어퍼 케이스(5)는 하면이 개방될 수 있고, 어퍼 케이스(5)의 내측에는 토출 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케이스(5)는 토출 모듈(12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어퍼 케이스(5)는 토출 모듈(120)의 외부로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고, 이 경우 심플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미들 케이스(6)는 로어 케이스(7)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케이스(6)는 투명 소재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미들 케이스(6)를 통해 카트리지(11)가 회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미들 케이스(6)가 투명 소재 또는 반투명 소재인 경우, 후술하는 마운터(21), 토출 가이드(12) 등을 가리는 이너 케이스(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로어 케이스(7)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케이스(7)에는 케이스 커버(7a)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7a)는 용기(51)가 삽입 또는 제거될 때 오픈 및 클로즈될 수 있다. 용기(51)는 용기 게이트(7b)를 통과할 수 있고, 케이스 커버(7a)는 용기 게이트(7b)를 열린 상태 혹은 닫힌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케이스 커버(7a)는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오픈 및 클로즈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7a)는 슬라이더(44)의 위치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커버(7a)의 하단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어, 슬라이더(44)가 케이스(5)(6)(7) 외부를 향해 이동할 때 슬라이더(44)에 밀려 케이스 커버(7a)를 여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슬라이더(44)가 케이스(5)(6)(7) 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용기 게이트(7b)를 닫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복수의 카트리지(11), 복수의 카트리지(11)를 회전시키는 카트리지 회전 모터(48),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키는 토출 모듈(120), 복수의 카트리지(11)에서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이 담기는 용기(51)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송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11)는 각각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고 있을 수 있다.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 반제품 또는 완제품일 수 있다. 화장품은 스킨, 로션, 크림, 클린징 크림, 클린징 워터, 클린징폼, 썬크림,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바디스크럽, 바디워시,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등 사용자의 피부, 모발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11)는 마운터(21)에 장착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마운터(2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마운터(21)에는 복수의 카트리지(11) 각각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미도시)의 개수는 카트리지(1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마운터(21)에 연결되는 회전부(35), 회전부(35)를 지지하는 로어 베이스(31) 및 어퍼 베이스(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베이스(31)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내부 구조를 지지할 수 있다. 로어 베이스(31)에는 전원 모듈(67), PCB 모듈(69), 용기 이송 모듈(40), 용기 이송 모터(49), 카트리지 회전 모터(48)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안착될 수 있다.
용기 이송 모듈(40)은 용기(51)가 제1 토출 위치(P1), 제2 토출 위치(P2) 또는 사용자 위치(P3)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4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토출 위치(P1), 제2 토출 위치(P2) 및 사용자 위치(P3)는 일직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51)의 이동 거리 및 움직임을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로어 베이스(31)에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서포터(34)가 안착되고, 베이스 서포터(34)는 어퍼 베이스(33)를 지지할 수 있다.
어퍼 베이스(33)에는 마운터(21)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터 서포터(65)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어퍼 베이스(33)에는 마운터(21)를 회전시키는 기어(61)가 안착될 수 있다.
기어(61)는 카트리지 회전 모터(4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기어(61)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35) 및 회전부(35)에 연결된 마운터(2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카트리지 회전 모터(48)는 마운터(21)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카트리지(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마운터(21)에는 복수의 카트리지(11)가 장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운터(21)에는 21개의 카트리지(11)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카트리지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운터(21)에 21개의 카트리지(11)가 장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카트리지(11)가 마운터(21)에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11)는 제1 반지름(R1)을 갖는 제1 원 및 제2 반지름(R2)을 갖는 제2 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원과 제2 원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가상의 원일 수 있다.
마운터(21)는 외둘레는 원 형상일 수 있다.
도 6의 예시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14 카트리지(11-1 내지 11-14)는 제1 원을 따라 배치되고, 제15 내지 제21 카트리지(11-15 내지 11-21)는 제2 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배치 방식은 2차 로터리 방식일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한 면적 내에 배치되는 카트리지(11)의 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화장품 제조장치(1)의 부피가 일정할 때 제1 실시 예와 같이 카트리지(11)를 배치할 경우, 화장품 제조장치(1)에 배치되는 카트리지(11)의 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화장품 제조장치(1)의 부피 최소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 경우, 토출 모듈(120)은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키는 제1 토출 모듈(120a)과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키는 제2 토출 모듈(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장치(1)가 제1 내지 제14 카트리지(11-1 내지 11-14)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킬 경우 토출시킬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는 카트리지가 제1 토출 위치(P1)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마운터(2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제1 토출 모듈(120a)이 제1 토출 위치(P1)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카트리지를 가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장품 제조장치(1)가 제15 내지 제21 카트리지(11-15 내지 11-21)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킬 경우 토출시킬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는 카트리지가 제2 토출 위치(P2)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마운터(2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제2 토출 모듈(120b)이 제2 토출 위치(P2)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카트리지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 토출 모듈(120a)은 제1 토출 위치(P1)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토출 모듈(120b)은 제2 토출 위치(P2)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달리, 화장품 제조장치(1)는 하나의 토출 모듈만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토출 모듈이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를 가압하기 위한 위치와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를 가압하기 위한 위치를 이동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카트리지(11)는 외둘레가 사각형 형상인 마운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카트리지가 마운터에 장착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카트리지(11)가 스테이지 방식으로 장착되기 위한 마운터(23)의 상면이 도시된 도면일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배치 방식은 스테이지 방식일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마운터(23)에는 카트리지(11)가 관통되어 장착되는 장착홀(h)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장착홀(h)은 X축과 Y축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카트리지(11)는 X축과 Y축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 따르면, 복수의 카트리지(11)는 5개의 행과 4개의 열을 따라 총 20개의 카트리지(11)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이송 모듈(40)과 토츨 모듈(120)은 각각 토출될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한 면적 내에 배치되는 카트리지(11)의 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마운터(23)를 회전시키기 카트리지 회전 모터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제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 모듈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토출 모듈에서 접촉 바디를 분리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토출 모듈(120)은 승강 모터(121), 승강 모터(121)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모터(121)는 승강 부재(123)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모터(121)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승강 부재(123)는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승강 부재(123)는 하강하면서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승강 부재(123)에 의해 압력을 받는 카트리지(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이 토출될 수 있다.
토출 모듈(120)은 승강 부재(123)와 카트리지(11)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부재(123)는 메인 바디(122)와 메인 바디(122)를 덮는 접촉 바디(124)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바디(122)에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가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는 메인 바디(122)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일 수 있다.
접촉 바디(124)는 메인 바디(122)의 하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접촉 바디(124)는 리미트 스위치를 덮을 수 있고, 이 경우 리미트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다.
승강 부재(123)가 카트리지(1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일 때 메인 바디(122)의 하면과 접촉 바디(124)의 상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부재(123)가 카트리지(1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일 때,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는 승강 부재(123)와 카트리지(11)의 비접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승강 부재(123)가 하강할 경우, 접촉 바디(124)가 카트리지(11)의 상단에 제일 먼저 접촉되며, 접촉 바디(124)는 카트리지(11)와의 접촉에 의해 들리면서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를 누름으로써,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는 승강 부재(123)와 카트리지(11)가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모듈(120)은 접촉 바디(124)가 카트리지(11)와 먼저 접촉함으로써 접촉 바디(124)와 카트리지(11)의 접촉 여부를 먼저 감지한 후, 접촉 바디(124)와 카트리지(11)의 접촉 상태로 감지될 때 승강 부재(123)가 카트리지(11)를 가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 토출 모듈(120)이 제1 토출 모듈(120a)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토출 모듈(120b)은 제1 토출 모듈(120a)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토출 모듈(120a)과 마찬가지로, 제2 토출 모듈(120b)은 승강 모터(126), 승강 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토출 모듈(120a)이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의 상단에 접촉되는 제1 승강 부재(123), 제1 승강 부재(123)의 카트리지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 및 제1 승강 부재(123)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모터(121)를 갖고, 제2 토출 모듈(120b)이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의 상단에 접촉되는 제2 승강 부재(127), 제2 승강 부재(127)의 카트리지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카트리지 감지 센서(미도시), 및 제2 승강 부재(127)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 모터(126)를 갖을 수 있다.
제2 승강 부재(127)의 상세 구조 및 내부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제1 승강 부재(123)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토출 모듈(120)에 의해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카트리지(11)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가 도시된 도면이다.
복수의 카트리지(11) 각각은 에어리스펌프 용기일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11)는 각각 내부에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1b), 수용부(11b) 내부의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부(11b)에서 토출시키는 작동부(11c), 작동부(11c)에 의해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이 지나는 노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1)는 토출 가이드(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12)의 하판에는 노즐부(13)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 가이드(12)는 작동부(11c)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부(11c)의 하단은 토출 가이드(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작동부(11c)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12)는 마운터(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부재(123)가 카트리지(11)의 상면(11a)을 가압할 경우, 수용부(11b)와 작동부(11c)가 하강할 수 있고, 이 때 작동부(11c)는 토출 가이드(12)의 하판에 걸려 스프링(미도시)이 압축되어 수용부(11b) 내부의 피스톤(미도시)을 위로 밀 수 있다. 승강 부재(123)가 카트리지(11)의 상면(11b)에서 이격될 경우, 스프링(미도시)이 풀리면서 피스톤(미도시)이 내려오고, 이 때 피스톤(미도시)이 위로 밀릴 때 생긴 공기압이 화장품 조성물을 밀면서 화장품 조성물을 노즐부(13)를 지나 수용부(11b)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카트리지(11) 각각은 토출 가이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12)는 마운터(21)의 상판(21a)과 하판(2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승강 부재(123)가 카트리지(11)에 압력을 가할 때, 승강 부재(123)의 압력이 마운터(21)에도 미치기 때문에, 마운터(21)가 상하방향으로 헐거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장품 제조장치(1)는 마운터(21)를 지지하는 마운터 서포터(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터 서포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터 서포터(6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터 서포터(65)는 스크류(S)에 의해 어퍼 베이스(33)에 고정될 수 있다.
마운터 서포터(65)는 어퍼 베이스(33)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마운터 서포터(65)의 하단(65b)은 어퍼 베이스(33)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마운터 서포터(65)에는 마운터(21)에 접촉되는 베어링(65a)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65a)은 마운터(21)의 하판(21b)을 지지하며, 마운터(21)의 회전시 마운터(21)와 마운터 서포터(65)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짝수개의 마운터 서포터(65)를 포함하고, 짝수개의 마운터 서포터(65) 각각은 인접한 마운터 서포터(65)와 일정 거리를 갖도록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운터 서포터(65)는 마운터(21)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혹은, 화장품 제조장치(1)는 복수개의 마운터 서포터(65)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마운터 서포터(65)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토출 위치(P1) 및 제2 토출 위치(P2)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운터(21)에서 승강 부재(123)에 의해 보다 압력이 강하게 가해지는 부분의 유격(裕隔)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제조장치(1)는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 또는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받기 위해 용기(51)가 이동하도록 용기 이송 모듈(4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화장품 제조장치(1)의 용기 이송 모듈(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셀 보호부가 제1 상태일 때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셀 보호부가 제2 상태일 때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용기 이송 모듈(40)은 용기(51)가 안착되는 슬라이더(44), 슬라이더(44)를 진퇴시키는 축(41), 축(41)을 따라 슬라이더(44)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송 모터(49)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44)에는 용기(51)가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44)에는 용기(51)가 안착되는 용기 홀더(50)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 홀더(50)는 슬라이더(44)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 홀더(50)에는 용기(51)가 수용되는 용기 공간(50a)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 공간(50a)의 수평방향 단면적 크기는 용기(51)의 수평방향 단면적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용기(51)는 용기 공간(50a)에 보다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1)에서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이 용기(51)의 내부에 수용되지 못하고 용기(51)를 따라 흘러 내린 경우, 용기(51)를 따라 흘러 내린 화장품 조성물은 용기 홀더(50)에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11)에서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이 용기(51)와 용기 홀더(5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떨어져 오염을 일으키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용기 홀더(50)의 분리 세척만으로 화장품 제조장치(1)를 청결 상태로 유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슬라이더(44)는 축(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44)는 축(41)을 따라 제1 토출 위치(P1, 도 5 참고), 제2 토출 위치(P2, 도 5 참고) 및 사용자 위치(P3, 도 5 참고)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토출 위치(P1)는 제1 반지름(R1)을 갖는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을 담기 위한 위치일 수 있다. 제1 토출 위치(P1)는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받기 위한 용기(51)의 위치뿐만 아니라 용기(51)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2 토출 위치(P2)는 제2 반지름(R2)을 갖는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을 담기 위한 위치일 수 있다. 제2 토출 위치(P2)는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받기 위한 용기(51)의 위치뿐만 아니라 용기(51)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사용자 위치(P3)는 용기 이송 모듈(40), 특히 슬라이더(44)에 용기(51)가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 위치(P3)는 사용자에 의해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용기(51)의 위치뿐만 아니라 용기(51)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1 토출 위치(P1) 및 제2 토출 위치(P2)는 케이스(5)(6)(7)의 내부에 형성되고, 사용자 위치(P3)는 케이스(5)(6)(7)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 위치(P1) 및 제2 토출 위치(P2)가 케이스(5)(6)(7)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화장품 제조시 오염물이 포함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며, 사용자 위치(P3)는 케이스(5)(6)(7)의 외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51)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제거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 가능하며, 제조된 화장품을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슬라이더(44)가 제1 토출 위치(P1) 또는 제2 토출 위치(P2)일 때, 케이스 커버(7a, 도 4 참고)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44)가 제1 토출 위치(P1) 또는 제2 토출 위치(P2)에서 사용자 위치(P3)로 이동할 때 슬라이더(44)는 케이스 커버(7a)를 밀 수 있고, 슬라이더(44)가 사용자 위치(P3)에 위치한 경우 케이스 커버(7a)는 오픈될 수 있다.
즉, 케이스 커버(7a)는 슬라이더(44)가 제1 토출 위치(P1) 또는 제2 토출 위치(P2)일 때 닫히고, 슬라이더(44)가 사용자 위치(P3)일 때 열릴 수 있다.
한편, 용기 이송 모듈(40)은 슬라이더(44)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 가이드(4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더 가이드(42)(43)는 축(4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42)(43)는 슬라이더(44)가 균형을 잃지 않고 축(41)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고, 이 경우 용기(51)의 이동에 따른 용기(51)에서 화장품 조성물이 배출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용기 이송 모터(49)는 슬라이더(44)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축(4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이송 모터(49)는 축(41)을 회전시킬 수 있고, 축(41)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44)가 이동할 수 있다. 축(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44)의 이동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슬라이더(44)의 내부에는 로드셀(135)이 배치될 수 있다. 로드셀(135)은 슬라이더(44)의 내부에 배치되어, 용기 홀더(50)의 하중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로드셀(135)은 용기 홀더(50)에 용기(51)가 수용된 경우에는 용기(51)의 하중과 용기 홀더(50)의 하중을 모두 전달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로드셀(135)은 용기 홀더(50)에 용기(51)가 수용된 경우, 용기(51)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용기(51)를 용기 홀더(50)에 넣는 경우, 과도한 압력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로드셀(135)이 용기 홀더(50)의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용기(51)에 의해 용기 홀더(50)에 과도한 하중이 전달될 경우, 로드셀(135)에 임계치 이상의 하중이 전달되므로, 로드셀(135) 고장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 등으로부터 로드셀(135)을 보호하기 위해 용기 이송 모듈(40)은 로드셀 보호 바디(47) 및 로드셀 보호 바디(47)를 안내하는 보호 바디 가이드(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호 바디 가이드(45)는 축(41)의 끝에 형성될 수 잇다.
로드셀 보호 바디(47)는 용기(51)의 하중을 로드셀(135)에 선택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 보호 바디(47)에는 고정부(47a)와 경사부(47b)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7a)가 로드셀 보호 바디(47)의 일단에 형성된 경우, 경사부(47b)는 로드셀 보호 바디(47)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7a)는 슬라이더(44)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47a)의 위치는 슬라이더(44)의 위치와 관계없이 고정될 수 있다. 경사부(47b)는 중력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슬라이더(44)가 제1 토출 위치(P1) 또는 제2 토출 위치(P2)에 위치할 때, 경사부(47b)는 축(41)의 상단에 놓일 수 있고, 축(41)을 따라 슬라이더(44)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44)가 사용자 위치(P3)를 향해 이동할 경우, 경사부(47b)는 축(41)을 따라 이동하다가 보호 바디 가이드(45)를 타고 보호 바디 가이드(45)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즉, 슬라이더(44)가 사용자 위치(P3)에 위치할 때 경사부(47b)는 보호 바디 가이드(45)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47b)가 축(41)의 상단에 위치할 경우에는, 로드셀 보호 바디(47)의 상단이 용기 홀더(50)의 하단(50b)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홀더(50)의 하중은 모두 로드셀(135)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드셀(135)은 용기 홀더(5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용기 홀더(50)에 용기(51)가 수용된 경우에는, 로드셀(135)이 측정한 무게는 용기(51)의 무게와 용기 홀더(50)의 무게의 합일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47b)가 보호 바디 가이드(45)의 상면 위치할 경우에는, 로드셀 보호 바디(47)의 상단이 용기 홀더(50)의 하단(50b)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홀더(50)의 하중 중 적어도 일부가 로드셀 보호 바디(47)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홀더(50)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용기 홀더(50)에 가해진 압력 중 적어도 일부가 로드셀 보호 바디(47)로 분산되고, 이에 따라 로드셀(135)이 보호될 수 있다. 즉, 로드셀 보호 바디(47)는 슬라이더(44) 내부에 배치되는 로드셀(135)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카트리지 잔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카트리지 잔량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11) 각각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잔량 센서는 카트리지(11)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미만인지 판단하는 수위 센서(131)일 수 있다.
수위 센서(131)는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미만인지 판단하는 제1 수위 센서와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미만인지 판단하는 제2 수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센서(131)는 마운터(21) 또는 접촉 바디(124)에 장착될 수 있다.
먼저, 수위 센서(131)가 마운터(21)에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수위 센서(131)는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적외선을 방사한 후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반사되는 적외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카트리지의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미만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는 반사되는 적외선이 감지되면 카트리지의 잔량을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으로 판단하고, 반사되는 적외선이 감지되지 않으면 카트리지의 잔량을 기설정된 기준량 미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카트리지(11)에서 기준량에 해당하는 높이를 향해 마운터(21)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센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적외선 센서가 하나의 센싱 소자만을 포함할 경우, 적외선 센서는 카트리지 잔량이 정해진 기준량 미만인지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적외선 센서가 복수의 센싱 소자를 포함할 경우, 카트리지(11)의 예상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센싱 소자는 카트리지(11)에서 다른 높이를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N개의 센싱 소자 각각의 감지 결과를 통해 카트리지 잔량이 제1 기준량 이상인지, 제1 기준량 미만 제2 기준량 이상인지, …, 제N-1 기준량 미만 제N 기준량 이상인지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위 센서(131)가 접촉 바디(124)에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수위 센서(131)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고, 이 경우 적외선 센서는 접촉 바디(124)에서 적외선을 방사한 후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며, 반사되는 적외선의 감지 시간을 통해 카트리지(11) 내부의 피스톤(미도시)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피스톤(미도시)의 높이를 통해 카트리지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직전 카트리지 잔량에서 로드셀(135)을 통해 감지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량을 감산하는 방식을 통해 카트리지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자력 감지를 통해 카트리지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잔량 센서는 자석 감지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카트리지(11)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미도시)에는 자석(미도시)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카트리지(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자석을 감지하는 자석 감지 센서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고, 화장품 제조장치(1)는 자석 감지 센서를 통해 자석을 감지함으로써 피스톤(미도시)의 높이를 획득함으로써 카트리지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카트리지 잔량 감지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화장품 제조장치(1)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인터페이스(110), 구동부(120), 센서부(130), 통신 모듈(140) 및 컨트롤러(15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인터페이스(110), 구동부(120), 센서부(130) 및 통신 모듈(14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에 의한 정보 입력을 수신하거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는 디스플레이(111), 입력부(112), 스피커(113) 및 카메라(114)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11)는 어퍼 케이스(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111)는 어퍼 케이스(5)의 상면 외에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들 케이스(6) 또는 로어 케이스(7)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1)의 위치는 케이스(5)(6)(7)에 한정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입력부(11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2)는 물리적인 키 버튼일 수 있다. 또는, 입력부(112)는 터치 입력을 수신 가능한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입력부(112)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스피커(113)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13)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13)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14)는 사용자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제1 토출 모듈(120a), 제2 토출 모듈(120b), 용기 이송 모터(49) 및 카트리지 회전 모터(48)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 모듈(120a)은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들, 도 6의 예시에서 제1 내지 제14 카트리지들(11-1 내지 11-14)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제2 토출 모듈(120b)은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들, 도 6의 예시에서 제15 내지 제21 카트리지들(11-15 내지 11-21)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용기 이송 모터(49)는 용기(51)가 제1 토출 위치(P1), 제2 토출 위치(P2) 또는 사용자 위치(P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 회전 모터(124)는 토출될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를 제1 토출 위치(P1)의 상부 또는 제2 토출 위치(P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운터(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센서부(130)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카트리지 잔량 센서(131), 기준 위치 센서(132), 도어 센서(133), 온습도 센서(134), 바코드 리더기(136) 및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잔량 센서(131)는 카트리지(11)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준 위치 센서(132)는 제1 기준 위치 센서(132a), 제2 기준 위치 센서(132b) 및 제3 기준 위치 센서(133c)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 위치 센서(132a)는 제1 승강 모터(121) 및 제2 승강 모터(126)가 기 정해진 제1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제2 기준 위치 센서(132b)는 용기 이송 모터(49)가 기 정해진 제2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제3 기준 위치 센서(132c)는 카트리지 회전 모터(48)가 기 정해진 제3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도어 센서(133)는 개폐부(5a) 및 케이스 커버(7a) 중 적어도 하나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124)는 케이스(5)(6)(7)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로드셀(135)은 용기 홀더(5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용기 홀더(50)에 용기(51)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로드셀(135)이 감지한 무게는 용기 홀더(50) 자체의 무게를 의미하고, 용기 홀더(50)에 용기(51)가 삽입된 경우 로드셀(135)이 감지한 무게는 용기 홀더(50) 자체의 무게와 용기(51)의 무게를 합한 무게를 의미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136)는 화장품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코드를 스캔할 수 잇다.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는 제1 승강 부재(123) 및 제2 승강 부재(127) 각각이 카트리지(11)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단말기(2)와 통신할 수 있다. 혹은, 통신 모듈(140)은 서버(3)와 통신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0)은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USC(미도시), SD 카드 리더기(미도시) 및 와이파이 모듈(미도시) 등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장치(1)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을 통해 단말기(2)와 통신하고, 와이파이 모듈(미도시)을 통해 서버(3)와 통신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컨트롤러(150)는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11).
컨트롤러(150)는 구동부(120)의 초기화, 센서부(130)의 초기화, 통신 모듈(140)의 초기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1 승강 모터(121), 제2 승강 모터(126), 용기 이송 모터(49) 및 카트리지 회전 모터(28) 각각을 기준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부(120)의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 센서(131), 기준 위치 센서(132), 도어 센서(133), 온습도 센서(134), 로드셀(135), 바코드 리더기(136) 및 카트리지 감지 센서(125a)(125b) 각각의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을 블루투스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통신 모듈(140)의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단말기(2)와 연동을 위한 대기 상태로 제어한 후 단말기(2)와 연동함으로써 통신 모듈(140)의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품 제조장치(1)의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혹은,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품 제조를 완료하거나,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품 제조가 중단된 경우 초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50)는 통신 모듈(140)을 통해 단말기(2)로부터 토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50)는 바코드 리더기(136)를 통해 토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2)를 통해 토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며, 컨트롤러(150)는 더 다양한 방법으로 토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토출 정보는 화장품 제조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출 정보는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카트리지 정보와 카트리지에서 토출될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대상 카트리지는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카트리지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S15).
컨트롤러(150)는 복수의 카트리지(11) 각각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는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11)의 잔량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이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료량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7).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료량은 토출 정보에 따라 획득한 화장품 조성물의 예정 토출량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토출 예정인 카트리지(11) 각각의 잔량이 예정 토출량 이상인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트리지(11-1)의 잔량이 30g이고, 토출 정보에 제1 카트리지(1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의 예정 토출량이 20g인 경우,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을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료량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 제1 카트리지(11-1)의 잔량이 10g이고, 토출 정보에 제1 카트리지(1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의 예정 토출량이 20g인 경우,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을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료량 미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이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료량 미만이면 카트리지 잔량 부족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19).
즉,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에 따른 대상 카트리지의 목표 무게가 대상 카트리지의 잔량 보다 클 경우 카트리지 잔량 부족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50)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카트리지 잔량 부족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 부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 부족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스피커(113)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50)는 통신 모듈(140)을 통해 카트리지 잔량 부족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 부족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2)가 카트리지 잔량 부족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2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며, 컨트롤러(150)는 더 다양한 방법으로 카트리지 잔량 부족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이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료량 이상이면 화장품 제조 명령의 수신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21).
컨트롤러(150)는 입력부(112)를 통해 화장품 제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112)는 화장품 제조 명령을 수신시, 기본 토출 명령 및 샘플 토출 명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기본 토출 명령은 사용자가 해당 화장품을 사용하기에 충분한 양을 토출시키는 명령이고, 샘플 토출 명령은 사용자가 해당 화장품을 사용하기 전에 테스트 용으로 비교적 작은 양을 토출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기본 토출 명령을 수신하면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총 토출량을 제1 무게로 설정하고, 샘플 토출 명령을 수신하면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총 토출량을 제1 무게 보다 작은 제2 무게로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품 제조 명령을 수신하면 용기 삽입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S23).
이하, 컨트롤러(150)가 용기 삽입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컨트롤러(150)는 용기(51)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로드셀(135)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용기 홀더(50)에는 용기(51)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로드셀(135)의 측정값을 통해 영점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영점 보정을 수행한 후 사용자 위치(P3)이 슬라이더(44)가 위치하도록 용기 이송 모듈(4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사용자 위치(P3)에 슬라이더(44)를 위치시킨 후 디스플레이(111) 및 스피커(1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용기 삽입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 삽입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용기 삽입 완료를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51)를 슬라이더(44)에 삽입한 후 입력부(112)에 용기 삽입 완료를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51)를 감지할 수 있다(S25).
컨트롤러(150)는 슬라이더(44)에 용기(51)의 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 삽입 완료를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면, 용기(51)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로드셀(135)을 통한 용기(51) 무게의 측정값을 통해 용기(51)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용기(51)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로드셀(135)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로드셀(135)의 측정값이 영점 이하이면 용기(51)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로드셀(135)의 측정값이 영점 초과이면 용기(51)가 삽입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51)가 감지되지 않으면 용기 확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27).
컨트롤러(150)는 용기(51)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경우 용기 확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 확인 알림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1) 및 스피커(113)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51)가 감지되면 토출 정보에 따라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S29).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적어도 하나를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할 수 있고, 대상 카트리지는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카트리지(11)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카트리지(11)가 제1 토출 위치(P1) 또는 제2 토출 위치(P1)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카트리지 회전 모터(48)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대상 카트리지가 제1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인 경우 대상 카트리지가 제1 토출 위치(P1)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11)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마운터(21)를 회전시키고, 대상 카트리지가 제2 원을 따라 배치된 카트리지인 경우 대상 카트리지가 제2 토출 위치(P2)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카트리지 마운터(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11)의 위치에 따라 용기(51)가 이동하도록 용기 이송 모듈(4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용기(51)가 대상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담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용기 이송 모듈(40)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11)가 제1 토출 위치(P1)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면 용기(51)가 제1 토출 위치(P1)에 위치하고, 카트리지(11)가 제2 토출 위치(P2)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면 용기(51)가 제2 토출 위치(P2)에 위치하도록 용기 이송 모듈(4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선택된 카트리지(11)에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S31).
컨트롤러(150)는 대상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카트리지(11)와 용기(51)를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시킨 후 카트리지(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11)와 용기(51)가 제1 토출 모듈(120a)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면 제1 토출 모듈(120a)을 제어하여 카트리지(11)의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고, 카트리지(11)와 용기(51)가 제2 토출 모듈(120b)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면 제2 토출 모듈(120b)을 제어하여 카트리지(11)의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승강 부재(123)(127)와 대상 카트리지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승강 부재(123)(127)와 대상 카트리지의 접촉이 감지될 경우 대상 카트리지에 압력을 가하도록 승강 부재(123)(127)를 제어하는 토출 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가 토출 모드를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 예정인 카트리지(11)가 복수인 경우, 단계 S29에서 복수의 카트리지(11)를 선택하고, 선택된 복수의 카트리지(11) 각각에 대해 단계 S31과 단계 S33에 따른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50)는 대상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한 후, 대상 카트리지 잔량을 감지한 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을 모두 토출한 후, 용기 제거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S33).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카트리지 각각에서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을 완료한 후 용기 제거 프로세스를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컨트롤러(150)가 용기 제거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컨트롤러(150)는 용기(51)가 사용자 위치(P3)로 이동하도록 용기 이송 모듈(4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51)를 사용자 위치로 이동시킨 후 디스플레이(111) 및 스피커(1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용기 제거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 제거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용기 제거 완료를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51)를 슬라이더(44)에서 제거한 후 입력부(112)에 용기 제거 완료를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 제거 완료를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면 슬라이더(44)를 제1 토출 위치(P1) 또는 제2 토출 위치(P2)로 이동시킨 후 로드셀(135)의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로드셀(135)의 측정값이 영점 초과이면 용기(51)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로드셀(135)의 측정값이 영점 이하이면 용기(51)가 제거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51) 제거를 감지할 수 있다(S35).
컨트롤러(150)는 용기(51)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경우 용기 확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 확인 알림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1) 및 스피커(113)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51) 제거를 감지하면 화장품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단계 S31을 구체화한 방법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토출 모듈(120a)이 제1 토출 위치(P1)에 위치한 카트리지(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제2 토출 모듈(120b)은 후술하는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토출 위치(P2)에 위치한 카트리지(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이하, 토출 모드를 4단계로 나누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1)의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방법은 2 이상의 토출 모드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150)는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의 무게에 따라 2 이상의 토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1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하도록 제1 토출 모듈(120a)을 제어할 수 있다(S101).
제1 토출 모드는 화장품 조성물을 1회 토출시 비교적 대량 토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토출 모드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 토출함으로써 화장품 토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감지 센서(150a)(150b)를 통해 카트리지(11)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 후 제1 승강 부재(123)가 제1 펄스로 하강하도록 제1 승강 모터(1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승강 부재(123)는 대상 카트리지에 제1 펄스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펄스는 후술하는 제2 내지 제4 펄스 중 가장 클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1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한 후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1 무게의 차 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103).
화장료 무게는 용기(51)에 토출된 화장료의 무게일 수 있다.
목표 무게는 해당 카트리지에서 토출하고자 하는 화장료의 총량일 수 있다.
제1 무게는 기 설정된 무게로, 후술하는 제2 및 제3 무게 중 가장 클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1 무게의 차 보다 작으면, 다시 제1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1 무게의 차 이상일 때까지 제1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1 무게의 차 이상이면, 제2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하도록 제1 토출 모듈(120a)을 제어할 수 있다(S105).
제2 토출 모드는 화장품 조성물을 1회 토출시 비교적 중량 토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감지 센서(150a)(150b)를 통해 카트리지(11)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 후 제1 승강 부재(123)가 제2 펄스로 하강하도록 제1 승강 모터(1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승강 부재(123)는 대상 카트리지에 제2 펄스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펄스는 제1 펄스 보다 작고, 후술하는 제3 내지 제4 펄스 보다 클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2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한 후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1 무게의 차 이상이고, 목표 무게와 제2 무게의 차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107).
화장료 무게는 용기(51)에 토출된 화장료의 무게일 수 있다.
목표 무게는 해당 카트리지에서 토출하고자 하는 화장료의 총량일 수 있다.
제2 무게는 기 설정된 무게로, 제1 무게 보다 작고, 후술하는 제3 무게 보다 클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1 무게의 차 이상이고, 목표 무게와 제2 무게의 차보다 작으면, 다시 제2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2 무게의 차 이상일 때까지 제2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2 무게의 차 이상이면, 제3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하도록 제1 토출 모듈(120a)을 제어할 수 있다(S109).
제3 토출 모드는 화장품 조성물을 1회 토출시 비교적 소량 토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감지 센서(150a)(150b)를 통해 카트리지(11)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 후 제1 승강 부재(123)가 제3 펄스로 하강하도록 제1 승강 모터(1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승강 부재(123)는 대상 카트리지에 제3 펄스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3 펄스는 제1 및 제2 펄스 보다 작고, 후술하는 제4 펄스 보다 클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3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한 후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2 무게의 차 이상이고, 목표 무게와 제3 무게의 차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111).
화장료 무게는 용기(51)에 토출된 화장료의 무게일 수 있다.
목표 무게는 해당 카트리지에서 토출하고자 하는 화장료의 총량일 수 있다.
제3 무게는 기 설정된 무게로, 제1 및 제2 무게 보다 작을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2 무게의 차 이상이고, 목표 무게와 제3 무게의 차보다 작으면, 다시 제3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3 무게의 차 이상일 때까지 제3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와 제3 무게의 차 이상이면, 제4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하도록 제1 토출 모듈(120a)을 제어할 수 있다(S113).
제4 토출 모드는 화장품 조성물을 1회 토출시 비교적 미량 토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4 토출 모드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함으로써 화장품 조성물이 목표 토출량 보다 많이 토출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감지 센서(150a)(150b)를 통해 카트리지(11)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 후 제1 승강 부재(123)가 제4 펄스로 하강하도록 제1 승강 모터(1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승강 부재(123)는 대상 카트리지에 제4 펄스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4 펄스는 제1 내지 제3 펄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소정 시간 대기할 수 있다(S117).
이는, 카트리지(11)의 노즐부(13)에 맺힌 화장품 조성물까지 용기(51)에 담기 위함이다.
한편, 도 16에 따르면, 제4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한 후에만 소정 시간 대기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토출 모드, 제2 토출 모드 및 제3 토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한 후에도 소정 시간 대기하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소정 시간 대기한 후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9).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 미만이면, 다시 제4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하고, 소정 시간 대기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 이상일때까지 제4 토출 모드로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화장료 무게가 목표 무게 이상이면 화장료 토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줄여가면서 카트리지(11)의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함으로써, 화장료 토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화장료 토출량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1)의 디스플레이(111)가 표시하는 다양한 화면을 설명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대기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화면은 대기 화면의 예시일 수 있다. 대기 화면은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즉, 대기 화면은 절전모드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화면은 '화면을 터치하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5)는 초기화 직후 또는 소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거나 소정 시간 이상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기본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150)는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되돌리기 아이콘(1001), 코드 입력 아이콘(1010), 관리 모드 아이콘(1020) 및 전원 모드 아이콘(10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되돌리기 아이콘(1001)은 이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되돌리기 아이콘(1001)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코드 입력 아이콘(1010)은 화장품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코드를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코드 입력 아이콘(1010)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후술하는 코드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 모드 아이콘(1020)은 화장품 제조장치(1)의 기기 관리를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관리 모드 아이콘(1020)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후술하는 관리 모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모드 아이콘(1030)은 화장품 제조장치(1)의 전원과 관련된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전원 모드 아이콘(1030)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후술하는 전원 모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코드 입력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150)는 코드 입력 아이콘(1010)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드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코드 입력 화면은 되돌리기 아이콘(1001), 바코드 스캔 아이콘(1011), 직접 입력 아이콘(1012) 및 매뉴얼 아이콘(10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되돌리기 아이콘(1001)은 이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코드 입력 화면에서 되돌리기 아이콘(1001)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기본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캔 아이콘(1011)은 화장품 제조 방법을 포함하고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바코드 스캔 아이콘(1011)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111)가 바코드 화면(미도시)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하고, 바코드 리더기(136)를 스캔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직접 입력 아이콘(1012)은 화장품 제조 방법을 포함하고 있는 코드를 직접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직접 입력 아이콘(1012)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코드를 구성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화면(미도시)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매뉴얼 아이콘(1030)은 대상 카트리지와 대상 카트리지에서의 토출량을 수동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잇다. 컨트롤러(150)는 매뉴얼 아이콘(1030)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대상 카트리지와 대상 카트리지 각각에서의 토출량을 입력 받기 위한 화면(미도시)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관리 모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150)는 관리 모드 아이콘(1020)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리 모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 모드 화면은 되돌리기 아이콘(1001), 카트리지 교체 아이콘(1021), 청소 아이콘(1022), 로그기록 아이콘(10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되돌리기 아이콘(1001)은 이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관리 모드 화면에서 되돌리기 아이콘(1001)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기본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카트리지 교체 아이콘(1021)은 화장품 제조장치(1)에 장착된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적어도 하나를 교체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교체 아이콘(1021)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교체할 카트리지의 번호를 입력 받기 위한 화면(미도시)을 표시할 수 있고, 카트리지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트리지 번호에 대응하는 카트리지가 개폐부(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카트리지 회전 모터(48)를 제어할 수 있다.
청소 아이콘(1022)은 화장품 제조장치(1)가 청소 모드로 동작시키는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청소 아이콘(1022)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청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50)는 청소 모드로 동작시 일정 시간 사용되지 않은 카트리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미사용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소량 토출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UV LED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청소 모드로 동작시 마운터(21)를 회전시키면서 카트리지(11) 각각의 노즐부(13)가 살균되도록 UV LED 모듈(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자품 제조 장치(1)는 청소 솔 또는 스폰지와 같은 브러쉬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청소 모드로 동작시 마운터(21)를 회전시키면서 브러쉬 모듈(미도시)이 카트리지(11) 각각의 노즐부(13)를 청소하도록 브러쉬 모듈(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
로그기록 아이콘(1023)은 화장품 제조장치(1)의 사용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로그기록 아이콘(1023)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화장품 제조장치(1)의 사용 시간, 화장품 제조장치(1)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표시하는 전원 모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150)는 전원 모드 아이콘(1030)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 모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모드 화면은 되돌리기 아이콘(1001), 시스템 종료 아이콘(1031), 다시 시작 아이콘(1032), 절전 모드 아이콘(10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되돌리기 아이콘(1001)은 이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전원 모드 화면에서 되돌리기 아이콘(1001)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기본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 종료 아이콘(1031)은 화장품 제조장치(1)을 종료시키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시스템 종료 아이콘(1031)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전원 오프시킬 수 있다.
다시 시작 아이콘(1032)은 화장품 제조장치(1)를 종류 후 다시 시작시키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다시 시작 아이콘(1032)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전원 오프 후 전원 온시킬 수 있다.
절전 모드 아이콘(1033)은 화장품 제조장치(1)을 절전 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절전 모드 아이콘(1033)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대기 모드로 제어한 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화장품 제조 방법에 따라 대상 카트리지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화장품 제조 방법은 색상 정보와 커버력 정보 및 사용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커버력 정보가 고 커버 TYPE인 경우, 색상 A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B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C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D를 갖는 카트리지 및 색상 E를 갖는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트리지 각각의 토출량을 선택함으로써 색상 정보에 따른 색이 발색되는 화장품 제조를 위한 토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커버력 정보가 중 커버 TYPE인 경우, 색상 F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G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H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I를 갖는 카트리지 및 색상 J를 갖는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트리지 각각의 토출량을 선택함으로써 색상 정보에 따른 색이 발색되는 화장품 제조를 위한 토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커버력 정보가 내추럴 TYPE인 경우, 색상 K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L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M를 갖는 카트리지, 색상 N를 갖는 카트리지 및 색상 O를 갖는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트리지 각각의 토출량을 선택함으로써 색상 정보에 따른 색이 발색되는 화장품 제조를 위한 토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50)는 색상 정보 및 커버력 정보와는 별도로 사용감 정보에 따라 쉬머링 화장료를 갖는 카트리지, 수분촉촉 화장료를 갖는 카트리지, Standard 화장료를 갖는 카트리지, 글로우 화장료를 갖는 카트리지 및 매트 화장료를 갖는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술한 색상 정보 및 커버력 정보에 따른 토출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1)가 연동된 단말기(2)를 통해 토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의 제어 블록도이다.
단말기(2)는 입력부(201), 카메라(202), 색상 감지부(203), 이미지 처리부(204), 디스플레이부(206), 통신부(207), 메모리(208) 및 컨트롤러(21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스마트 와치(smart watch)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데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01)는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색상을 선택하는 입력 명령,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커버력을 선택하는 입력 명령 및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사용감을 선택하는 입력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01)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형성되거나, 물리적인 키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202)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02)는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되도록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색상 감지부(203)는 카메라(202)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피부 색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204)는 카메라(202)로 촬영된 이미지에 켈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6)는 화장품 제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6)는 색상 감지부(203)가 감지한 사용자의 피부 색상,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에 따른 발색 색상, 피부 분석 정보, 커버력 정보 및 사용감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207)는 염색제 제조 장치(1) 및 서버(3)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08)는 화장품 제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8)는 색상 정보, 커버력 정보 및 사용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화장품 제조를 위한 토출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단말기(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입력부(201), 카메라(202), 색상 감지부(203), 이미지 처리부(204), 디스플레이부(206), 통신부(207) 및 메모리(208)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단말기(2)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2)는 기 촬영된 사진 또는 단말기(2)에 구비된 카메라(202)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2)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는 얼굴 이미지 분석을 통해 잡티, 주름, 피부결, 다크서클 등의 위치, 분포, 정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6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21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통해 색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색상 감지부(203)를 제어할 수 있다.
색상 정보는 사용자의 피부 색상 정보 및 사용자의 피부 색상에 따른 파운데이션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3)는 색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컨트롤러(203)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2501)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6)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3)는 카메라(202)가 촬영한 얼굴 이미지에 켈리브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이미지 처리부(20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03)는 이미지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이미지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이미지에 켈리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미지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이미지에 켈리브레션을 수행하지 않도록 이미지 처리부(2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조건은 색온도, 조도, 얼굴 위치, 그림자 여부, 역광 여부 및 난반사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은 색 온도가 5,500~5,800K이고, 조도가 500~540lux이고, 색온도가 상이한 두 광원이 얼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카메라(202)와 얼굴이 평행하기 위치하며, 빛이 사용자의 얼굴에 골고루 비쳐지며, 얼굴에 그림지가 없고, 화면 안에 플레어(Flare)가 생기지 않으며, 소정 거리 이내에 광원이 존재하지 않으며, Spot light이 비춰지지 않으며, 역광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켈리브레이션이 수행된 이미지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피부 정보 및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210)는 이미지(2601), 피부 정보(2603) 및 색상 정보(2605)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06)를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2601)는 분석 대상이 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일 수 있다.
피부 정보(2603)는 이미지(2601)에서 분석한 잡티, 주름, 피부결, 다크서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정보(2603)는 티, 주름, 피부결, 다크서클 등을 수치화한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 정보(2605)는 이미지(2601)에서 분석한 사용자의 피부 색상에 따른 파운데이션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색상 정보(2605)는 화장품 제조장치(1)를 통해 제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운데이션 색상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지(2601) 분석 결과에 따른 파운데이션 색상이 아닌 다른 파운데이션 색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색상 정보를 직접 입력받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210)는 이미지(2601)를 통한 색상 정보의 분석 결과가 아닌, 피부 측색기(미도시) 또는 피부 진단기(미도시)와 같은 별도의 피부 진단 기기로 측정된 색상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6)는 스킨톤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팝업 화면(2701)을 표시할 수 있고, 팝업 화면(2701)을 통해 스킨 톤 코드를 입력 받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토출 정보를 설정 받기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06)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출 정보를 설정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6)는 피부 정보(2801)와 화장품 조절 정보(2803)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화장품 조절 정보(2803)는 색상 정보(2805), 커버력 선택 아이콘(2807), 사용감 선택 아이콘(A)을 포함할 수 있다.
색상 정보(2805)는 도 26에 도시된 화면 또는 도 27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결정된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력 선택 아이콘(2807)은 사용자로부터 커버력을 선택 받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커버력 선택 아이콘(2807)을 통해 커버력을 고커버, 중커버 또는 내추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나, 커버력의 종류와 그 개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트롤러(210)는 커버력 선택 아이콘(2807)을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커버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감 선택 아이콘(A)은 사용자로부터 사용감을 선택 받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도 29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감으로 영양보습, 수분촉촉, 쫀쪽밀착, 실키 및 매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사용감 선택 아이콘(A)에 표시되는 사용감은 화장품 제조장치(1)에 구비된 카트리지 중 사용감과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을 갖는 카트리지의 화장품 조성물의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사용감 선택 아이콘(A)을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사용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획득한 색상 정보, 커버력 정보 및 사용감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10)는 색상 정보, 커버력 정보 및 사용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한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에서의 토출량을 나타내는 코드 등과 같은 토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토출 정보를 화장품 제조장치(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07)를 제어할 수 있고, 토출 정보를 수신한 화장품 제조장치(1)는 토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카트리지(11)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0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사용감 선택 아이콘(A)의 다양한 변형 예를 설명한다.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1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이 제조될 때 사용감을 결정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총 토출량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6)는 사용감 종류를 선택받는 아이콘(3001)과 함께 최대 용량이 정해진 이미지(3002)를 표시할 수 있고, 도 30의 예시에 따르면 이미지(3002)는 시험관일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사용감 종류를 선택받는 아이콘(3001)을 통해 사용감을 결정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선택될 때마다 물질이 채워지도록 이미지(30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미 선택한 사용감을 결정하는 화장료량과 앞으로 남은 사용감 결정 화장료량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3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2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06)는 사용감 종류를 선택받는 아이콘(3101)을 숫자 대신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고, 도 31의 예시에 따르면 이미지는 물방울일 수 있다.
도 32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3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06)는 사용감 종류를 선택받는 아이콘(3201)을 슬라이드 바로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사용감을 결정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총 토출량이 정해져 있는 경우, 총 토출량을 슬라이드 바에 따라 결정된 비율로 나누어 각 사용감을 결정하는 화장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총 토출량을 걱정할 필요없이 사용감을 원하는 대로 사용감을 결정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6)는 기본 세팅 아이콘(3202)을 더 표시할 수 있고, 컨트롤러(210)는 기본 세팅 아이콘(3202)이 선택되면 슬라이드 바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겪을 수 있는 사용감 결정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4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06)는 사용감 종류를 선택받는 아이콘을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형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어느 하나의 사용감을 나타내는 화장료량이 줄어들면 다른 사용감을 나타내는 화장료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총 토출량을 걱정할 필요없이 사용감을 원하는 대로 사용감을 결정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34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5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이 제조될 때 사용감을 결정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총 토출량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6)는 기 정해진 개수의 아이콘(3401)과 사용감을 나타내는 아이콘(3402)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기 정해진 개수의 아이콘(3401) 각각을 사용감을 나타내는 아이콘(3402)에 분배시키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5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감 선택 아이콘의 제6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06)는 사용감을 나타내는 아이콘 각각에 '-' 아이콘과 '+'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 아이콘과 '+' 아이콘을 통해 사용감을 결정하는 화장료량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부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11)의 노즐부(13)는 화장품 조성물의 통로인 노즐(13-1)과 노즐(13-1) 주변을 감싸는 노즐 가이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가이드(13-2)의 길이는 노즐(13-1)의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노즐 가이드(13-2)는 노즐(13-1)의 주변을 감싸기 대문에, 노즐(13-1)의 끝에 있던 화장품 조성물이 다른 구성요소에 떨어지거나 묻는 경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노즐 가이드(13-2)는 노즐(13-1)이 다른 구성요소에 부딪히면서 파손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노즐 가이드(13-2)는 오염 발생을 최소화하며, 노즐(13-1)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노즐부(13)는 노즐 가이드(13a)와 노즐 상부(13b)와 가 제1 피스이고, 노즐 하부(13c)가 제2 피스인 이중 사출 구조일 수 있다. 또는, 노즐부(13)는 노즐 가이드(13a)가 제1 피스이고, 노즐(13b)이 제2 피스인 이중 사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피스는 제2 피스 보다 단단한 소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 사출 구조의 노즐부(13)는 노즐(13-1)이 부드럽기 때문에 노즐(13-1) 주변에 내용물이 굳어도 쉽게 제거가 가능하며, 필요 부분만 소프트 피스로 제조하는 이중 사출을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37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받는 용기(51) 및 용기(51)의 믹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기는 사용자 위치(P3)에서 제공되는 용기일 수 있다.
도 3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37의 예시를 참조하면, 용기는 구김이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는 비닐 소재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용기에는 화장품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담길 수 있고, 2) 화장품 조성물이 모두 담기면 캡에 의해 닫힐 수 있다.
3) 사용자는 화장품 조성물이 모두 담긴 용기를 캡으로 닫은 후 손을 이용하여 용기 내 화장품 조성물을 섞을 수 있다.
4) 용기의 캡은 펌프로 교체될 수 있고, 펌프로 교체된 용기 자체가 파우치에 수용될 수 있다.
5) 사용자는 파우치를 통해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38의 예시를 참조하면, 용기는 구김이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는 비닐 소재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용기에는 화장품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담길 수 있고, 2) 화장품 조성물이 모두 담기면 캡에 의해 닫힐 수 있다.
3) 사용자는 화장품 조성물이 모두 담긴 용기를 캡으로 닫은 후 손을 이용하여 용기 내 화장품 조성물을 섞을 수 있다.
4) 내부 화장품 조성물이 믹싱된 용기의 내용물은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소재의 용기에 담길 수 있다. 이 때, Static mixing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5) 내용물이 담긴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소재의 용기를 통해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1) 용기에는 화장품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담길 수 있다. 이 때, 용기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소재일 수 잇다.
2) 소형 회전기가 장착된 튜브 펌프에 의해 용기 내부의 화장품 조성물이 섞일 수 있다.
3) 화장품 조성물이 섞인 용기는 캡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사용자는 화장품 조성물이 섞인 용기를 통해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0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용기에는 화장품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담길 수 있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대상 카트리지 각각에서 순차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을 용기에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장치(1)는 대상 카트리지가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인 경우, 제1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고, 제2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고, 제3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고, 제4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제조장치(1)는 카트리지 각각에 포함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성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제조장치(1)는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가 복수인 경우, 점성이 높은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부터 순차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장치(1)는 대상 카트리지가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이며, 제1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성이 제일 크고, 그 다음 제2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성이 크고, 그 다음 제3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성이 크고, 제4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점성이 제일 작은 경우, 제1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고, 제2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고, 제3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하고, 제4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찍 토출되는 화장품 조성물일수록 점성이 높아 용기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퍼지기 보다는 수직방향으로 쌓일 수 있고, 나중에 토출되는 화장품 조성물일수록 점성이 낮아 수평방향으로 퍼지기 때문에 먼저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과 잘 섞이므로, 별도의 믹싱 모듈 없이 화장품 조성물들이 잘 섞이는 이점이 있다.
도 41은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 및 화장품 조성물의 믹싱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화장품 제조장치(1)는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대상 카트리지 각각에서 순차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을 기 설정된 소량 토출시키는 소량 토출 동작을 반복 실시할 수 있다.
도 41의 예시를 참조하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대상 카트리지가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인 경우, 제1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기 설정된 소량 토출하고, 제2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기 설정된 소량 토출하고, 제3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기 설정된 소량 토출하고, 제4 카트리지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기 설정된 소량 토출하는 소량 토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소량은 목표 토출량 보다 적은 양일 수 있다.
이 경우, 믹싱을 위한 별도의 동작 없이도 용기 내 화장품 조성물이 자동으로 섞이는 이점이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개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되는 용기는 교반기(미도시)를 통해 믹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제7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은 믹싱 장치를 통해 믹싱될 수 있다.
도 42는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믹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3은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믹싱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믹싱 어셈블리의 제2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5는 도 42에 도시된 믹싱 어셈블리의 제3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화장품 제조 시스템은 믹싱 장치(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믹싱 장치(1000)는 화장품 제조장치(1)를 통해 제공되는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을 섞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즉, 믹싱 장치(1000)는 화장품 제조장치(1)에서 용기(51)로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들이 용기(51) 내에서 잘 섞이도록 용기(51)를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믹싱 장치(1000)는 믹싱 어셈블리(1100) 및 내부에 믹싱 어셈블리(1100)가 수용되는 하우징(100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5)에는 믹싱 어셈블리(110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00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5)의 상면에는 용기(51)가 하우징(1005) 내부로 출입 가능한 입구(100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01)과 입구(1002)는 수직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구(1002)를 통해 믹싱 어셈블리(1100)에 용기(51)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하우징(1005)의 외면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믹싱 어셈블리(1100)는 모터(1101), 회전 부재(1110), 회전축(1120), 고정 부재(1130), 용기 수용부(1160) 및 지지 부재(1103)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101)는 회전축(1120)을 통해 회전 부재(111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부재(1110)는 모터(110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부재(111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부재(1110)에는 고정 부재(1130)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30)는 회전 부재(1110)와 용기 수용부(116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30)는 용기 수용부(1160)를 회전 부재(1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용기 수용부(1160)는 회전 부재(1110)의 회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즉, 용기 수용부(1160)는 회전 부재(1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용기 수용부(1160)에는 용기(51)가 수용될 수 있다. 용기 수용부(1160)에는 수용부 캡(116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 캡(1161)은 용기 수용부(1160)의 회전에 의해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이 수용 공간(1003)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용부 캡(1161)은 용기 수용부(1160)와 수용 공간(1003)을 차단할 수 있다.
용기 수용부(1160)에 수용된 용기(51)는 용기 수용부(116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들이 서로 섞일 수 있다.
한편, 용기 수용부(1160)에는 용기(51)가 수용되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용기 수용부(1160)에 연결된 고정 부재(1130) 또는 회전 부재(1110)가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믹싱 어셈블리(1100)는 회전 부재(1110)의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밸런싱 부재(1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1110)에는 밸런싱 부재(114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1110)의 일단에 고정 부재(1130)가 연결되고, 회전 부재(1110)의 타단에 밸런싱 부재(114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130)와 밸런싱 부재(1140)는 회전 부재(1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연결될 수 있다.
밸런싱 부재(1140)는 연결 부재(1151)(1152)에 의해 회전 부재(11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1103)는 믹싱 어셈블리(11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1103)는 모터(1101), 회전 부재(1110), 회전축(1120), 고정 부재(1130) 및 용기 수용부(116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용기 수용부(1160)의 회전시 용기 수용부(1160) 자체의 진동 등이 최소화되도록 상측과 하측 각각이 회전 부재(1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부재(1130)는 용기 수용부(1160)의 상측과 연결되는 어퍼 고정 부재(1131) 및 로어 고정 부재(1132)를 포함하고, 회전 부재(1110)는 어퍼 고정 부재(1131)와 연결되는 어퍼 회전 부재(1111) 및 로어 고정 부재(1132)에 연결되는 로어 회전 부재(1112)를 포함하고, 회전축(1120)은 어퍼 회전 부재(1111)에 연결되는 어퍼 회전축(1121) 및 로어 회전 부재(1112)와 연결되는 로어 회전축(1122)을 포함하고, 밸런싱 부재(1140)는 어퍼 회전 부재(1111)에 연결되는 어퍼 밸런싱 부재(1141) 및 로어 회전 부재(1112)에 연결되는 로어 밸런싱 부재(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51)(1152)는 어퍼 밸런싱 부재(1141)를 어퍼 회전 부재(1111)에 고정시키는 어퍼 연결 부재(1151) 및 로어 밸런싱 부재(1142)를 로어 회전 부재(1112)에 고정시키는 로어 연결 부재(1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회전축(1121)의 길이(d1)와 로어 회전축(1122)의 길이(d2)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어퍼 회전축(1121)의 길이(d1)와 로어 회전축(1122)의 길이(d2)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아래 제1 변형 예를 통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용기 수용부(1160)의 상측 및 하측이 각각 회전 지지 부재(1103)에 지지될 경우, 믹싱 어셈블리(1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믹싱 어셈블리(110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믹싱 어셈블리(1100)의 제1 변형 예를 설명한다.
제1 변형 예에 따르면, 믹싱 어셈블리(1100)에서 어퍼 회전축(1121)의 길이(d1)와 로어 회전축(1122)의 길이(d1)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회전축(1121)의 길이(d1)가 로어 회전축(1122)의 길이(d1) 보다 길거나, 반대로 어퍼 회전축(1121)의 길이(d1)가 로어 회전축(1122)의 길이(d1) 보다 짧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퍼 회전축(1121)의 길이(d1)와 로어 회전축(1122)의 길이(d1)가 상이할 경우, 용기 수용부(1160)는 기울어진 채로 회전 부재(1110)에 연결될 수 있고, 기울어진 상태로 용기 수용부(1160)가 회전할 경우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들은 보다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더 잘 섞이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변형 예에서는, 어퍼 회전축(1121)의 길이(d1)와 로어 회전축(1122)의 길이(d1)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믹싱 어셈블리(1100)의 제2 변형 예를 설명한다.
제2 변형 예에 따르면, 용기 수용부(1160)의 상측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퍼 고정 부재(1131)를 통해 어퍼 회전 부재(11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수용부(1160)는 어퍼 회전축(1121)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어퍼 회전 부재(1111)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제2 변형 예에 따른 믹싱 어셈블리(1100)는 로어 고정 부재(1132), 로어 회전 부재(1112), 로어 밸런싱 부재(1142), 로어 회전축(1122) 및 로어 연결 부재(115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제2 변형 예에 따른 믹싱 어셈블리(1100)는 가이드 레일(1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70)은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과 연결되며,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70)에는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과 연결되는 가이드부(1172) 및 가이드부(1172)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부(11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수용부(1160)는 모터(1101)에 의해 상측이 회전하며, 용기 수용부(1160)의 상측이 회전할 때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은 레일부(1171)가 안내하는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수용부(1160)는 상측과 하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들이 잘 섞이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수용부(1160)는 가이드부(1172)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 때 제1 방향으로 기울어졌다가, 가이드부(1172)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할 때는 제2 방향으로 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들이 사방으로 움직이므로, 보다 더 잘 섞이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믹싱 어셈블리(1100)의 제3 변형 예를 설명한다.
제3 변형 예에 따르면, 용기 수용부(1160)의 상측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퍼 고정 부재(1131)를 통해 어퍼 회전 부재(11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수용부(1160)는 어퍼 회전축(1121)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어퍼 회전 부재(1111)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제3 변형 예에 따른 믹싱 어셈블리(1100)는 로어 고정 부재(1132), 로어 회전 부재(1112), 로어 밸런싱 부재(1142), 로어 회전축(1122) 및 로어 연결 부재(115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제3 변형 예에 따른 믹싱 어셈블리(1100)는 스프링 부재(1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180)은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과 연결되어, 용기 수용부(116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1180)는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을 다양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수용부(1160)는 모터(1101)에 의해 상측이 회전하며, 용기 수용부(1160)의 상측이 회전할 때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은 스프링 부재(1180)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수용부(1160)는 상측과 하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용기 수용부(1160)의 하측이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용기(51) 내 화장품 조성물들이 잘 섞이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6 내지 도 47을 참조하여, 화장품 제조장치(1)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도 4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제1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제1 변형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복수의 카트리지(11)에서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이 지나는 통로(201), 통로(201)를 통과한 화장품 조성물이 섞이는 믹싱 모듈(203), 믹싱 모듈(203)에서 믹싱된 화장품을 용기(51)로 토출시키는 디스펜서(205) 및 클리닝 모듈(2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품 제조장치(1)는 토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카트리지(11) 중 적어도 하나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고,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은 통로(201)를 통과한 화장품 조성물은 믹싱 모듈(203)에서 믹싱될 수 있다. 디스펜서(205)는 믹싱 모듈(203)에서 믹싱된 화장품 조성물을 용기(51)로 토출시킬 수 있다. 용기(51)는 믹싱 모듈(203)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수용할 수 있다.
클리닝 모듈(207)은 믹싱 모듈(203)에서 믹싱된 화장품 조성물을 용기(51)로 토출시킨 후 믹싱 모듈(203)에 남은 화장품 조성물이 제거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세척액을 주입할 수 있다.
도 4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제2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제2 변형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복수의 카트리지(11)에서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301) 및 밸브(303), 믹싱 모듈(305), 클리닝 모듈(307), 에어 탱크(308) 및 프로 펌프(309)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이 토출되도록 레귤레이터(301) 및 밸브(303)를 제어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301) 및 밸브(303)에 의해 카트리지(11)에서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은 믹싱 모듈(305)을 통과할 수 있고, 믹싱 모듈(305)에서 섞인 혼합물은 용기(51)에 수용될 수 있다. 클리닝 모듈(307)은 믹싱 모듈(305)에서 섞인 혼합물이 용기(51)에 수용된 후 믹싱 모듈(305)에 남은 화장품 조성물이 제거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세척액을 주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장치(1)는 에어 탱크(308)가 화장품 조성물의 이동을 위한 공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에어 탱크(308)는 압축기(compressor)일 수도 있다. 프로 펌프(309)를 통해 화장품 조성물을 정량 토출한 후 토출된 화장품 조성물은 믹싱 모듈(305)에서 섞여 용기(51)에 수용될 수 있다. 클리닝 모듈(307)은 믹싱 모듈(305)에서 섞인 혼합물이 용기(51)에 수용된 후 믹싱 모듈(305)에 남은 화장품 조성물이 제거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세척액을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1)는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 각각이 사용자 선호에 맞도록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토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8은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트롤러(150)는 바코드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1).
바코드는 토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일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바코드 리더기(126)를 통해 바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용기(51)에 부착된 바코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코드는 사용자가 이전에 화장품을 제조할 때 생성된 바코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150)는 토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다시 사용하고 싶은 경우 바코드만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화장품을 제조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바코드를 통해 추후 동일 제품을 보다 편리하게 주문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바코드의 생성 방법, 바코드의 부착 위치 등은 다양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바코드가 입력되면, 바코드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203).
즉, 컨트롤러(150)는 바코드가 입력되면, 바코드에서 리드(read)된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50)는 바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목표 색상을 결정하고(S205), 커버력을 결정하고(S207), 사용감을 결정할 수 있다(S209).
목표 색상, 커버력 또는 사용감 각각은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거나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9를 참조하여, 목표 색상을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받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49는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목표 색상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111)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색상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9에는 색상 종류가 45개로 한정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색상표에 표시된 색상들 사이는 그라데이션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A, B, C, D 각각은 RGB 색상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RGB 색상값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RGB 색상값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색상표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입력부(112)를 통해 색상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으면, (A*a)+(B*b)/(a+b)를 통해 목표 색상인 T의 RGB 색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a, b는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색상표에서 A와 T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b는 색상표에서 B와 T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150)는 계산식을 통해 목표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목표 색상을 결정할 경우, 색상 종류가 많아지더라도,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상을 목표 색상으로 보다 정확하게 획득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시, 도 48을 설명한다.
컨트롤러(150)는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211).
이하, 컨트롤러(150)가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컨트롤러(150)는 복수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카트리지는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와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는 제1 커버력을 위한 제1 그룹의 카트리지와 제2 커버력을 위한 제2 그룹의 카트리지와 제3 커버력을 위한 제3 그룹의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력은 고 커버력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그룹의 카트리지는 색상 A를 표현하는 A 카트리지, 색상 B를 표현하는 B 카트리지, 색상 C를 표현하는 C 카트리지, 색상 D를 표현하는 D 카트리지 및 색상 E를 표현하는 E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력은 중 커버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그룹의 카트리지는 색상 F를 표현하는 F 카트리지, 색상 G를 표현하는 G 카트리지, 색상 H를 표현하는 H 카트리지, 색상 I를 표현하는 I 카트리지 및 색상 J를 표현하는 J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버력은 저 커버력을 의미할 수 있고, 제3 그룹의 카트리지는 색상 K를 표현하는 K 카트리지, 색상 L를 표현하는 L 카트리지, 색상 M를 표현하는 M 카트리지, 색상 N를 표현하는 N 카트리지 및 색상 O를 표현하는 O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색상 A, 색상 F, 색상 K는 같을 수 있다. 이하, 색상 A, 색상 F, 색상 K는 각각 제1 색상(예를 들어, 핑크)으로 가정한다. 다만, 색상 A를 표현하는 A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색상 F를 표현하는 F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및 색상 K를 표현하는 K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색상 B, 색상 G, 색상 L는 같을 수 있다. 이하, 색상 B, 색상 G, 색상 L는 각각 제2 색상(예를 들어, 옐로우)으로 가정한다. 다만, 색상 B를 표현하는 B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색상 G를 표현하는 G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및 색상 L를 표현하는 L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색상 C, 색상 H, 색상 M는 같을 수 있다. 이하, 색상 C, 색상 H, 색상 M는 각각 제3 색상(예를 들어, 다크 핑크)으로 가정한다. 다만, 색상 C를 표현하는 C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색상 H를 표현하는 H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및 색상 M를 표현하는 M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색상 D, 색상 I, 색상 N는 같을 수 있다. 이하, 색상 D, 색상 I, 색상 N는 각각 제4 색상(예를 들어, 다크 옐로우)으로 가정한다. 다만, 색상 D를 표현하는 D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색상 I를 표현하는 I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및 색상 N를 표현하는 N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색상 E, 색상 J, 색상 O는 같을 수 있다. 이하, 색상 E, 색상 J, 색상 O는 각각 제5 색상(예를 들어, 베이지)으로 가정한다. 다만, 색상 E를 표현하는 E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색상 J를 표현하는 J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 및 색상 O를 표현하는 O 카트리지 내 화장료의 함유된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티타늄디옥사이드(TiO2)는 미백색 분말로, 커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색상을 결정하는 카트리지에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외에,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색소가 함유될 수 있다. 색상을 결정하는 카트리지에는 각각이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또는 흑색 산화철 등의 함량이 다르게 함유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50)는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커버력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카트리지가 상이하도록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커버력이 고 커버력으로 결정되면 제1 그룹의 카트리지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선택하고, 커버력이 중 커버력으로 결정되면 제2 그룹의 카트리지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선택하고, 커버력이 저 커버력으로 결정되면 제3 그룹의 카트리지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결정된 커버력에 따라 제1 내지 제3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 내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따라 대상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 커버력이 갖는 그룹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가 선택될 경우, 목표 색상대로 화장품이 제조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커버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는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커버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들이 혼합될 경우 커버력 또는 색상이 설계한 대로 제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커버력이 갖는 그룹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가 선택되도록 토출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화장품을 제조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목표 색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각 그룹 내에서 선택된 카트리지들이 표현하는 색상 및 화장료의 배합비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색상이 동일하다면, 커버력이 고 커버력일 경우 A 카트리지:B 카트리지:C 카트리지:D 카트리지:E 카트리지=X1:X2:X3:X4:X5으로 화장료를 토출하고, 커버력이 중 커버력일 경우 F 카트리지:G 카트리지:H 카트리지:I 카트리지:J 카트리지=X1:X2:X3:X4:X5으로 화장료를 토출하고, 커버력이 저 커버력일 경우 K 카트리지:L 카트리지:M 카트리지:N 카트리지:O 카트리지=X1:X2:X3:X4:X5으로 화장료를 토출하도록 대상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50)는 커버력에 따라 카트리지 그룹을 선택한 후, 그룹 내 카트리지들이 토출할 화장료의 배합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0은 본 개시에 따른 목표 색상에 따른 배합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제1 예시 도면이다.
화장품 제조장치(100)는 목표 색상 각각에 대응하는 화장료의 배합비가 매핑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예시를 참조하면,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은 목표 색상을 의미하고, 각 셀에는 배합비가 매핑되어 있다.
컨트롤러(150)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정해진 테이블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를 선택함으로써, 대상 카트리지 및 대상 카트리지 각각에서의 토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1은 본 개시에 따른 목표 색상에 따른 배합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제2 예시 도면이다.
특히, 도 51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카트리지 각각에서 5g 단위로 최소 0g, 최대 20g 토출 가능하며, 총 20g을 추출한다고 가정한 경우에 가능한 배합비에 따른 목표 색상을 매핑한 테이블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50)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정해진 테이블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를 선택함으로써, 대상 카트리지 및 대상 카트리지 각각에서의 토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 목표 색상이 동일하나 배합비가 복수개일 수도 있다. 컨트롤러(150)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된 대상 카트리지 각각의 잔량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배합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밝기 4, 색상 4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화장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카트리지 잔량에 기초하여 6개의 배합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카트리지 잔량이 배합비에 따른 토출량 보다 적으면 해당 배합비를 제외하는 방식, 특정 카트리지의 잔량이 기준량 이상이면 해당 카트리지에서 화장료가 가장 많이 토출되는 배합비를 선택하는 방식 등을 통해 복수의 배합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료를 토출할 색상 카트리지를 결정한 후, 컨트롤러(150)는 결정된 사용감에 따라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감을 결정하는 카트리지의 개수는 5개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상술한 예시와 같이, 커버력에 따라 카트리지 그룹이 3개로 구분되고, 각 카트리지 그룹에 서로 다른 색상을 표현하는 카트리지가 5개씩 구비되는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에서 5g 단위로 총 20g 화장료가 토출될 경우 총 70가지 색상 조합이 가능하고, 5개의 사용감을 결정하는 카트리지에서 5g 단위로 총 15g 화장료가 토출될 경우 총 35가지 사용감 조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총 7,350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0개의 카트리지로 매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므로, 카트리지의 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품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카트리지의 개수, 토출 단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트롤러(150)는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된 화장료들을 믹싱될 수 있고, 사용자는 믹싱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화장품 제조장치(1)에서 제조된 화장품이 잘 맞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제조된 화장품은 폐기되어야 하는 등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장품 제조장치(1)는 토출 정보가 결정되면 샘플 화장품을 먼저 토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2는 본 개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가 토출 정보를 수정 및 최종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트롤러(150)는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토출 정보에 따라 샘플 화장품을 토출할 수 있다(S301).
여기서, 샘플 화장품은 배합비가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른 배합비와 동일하나, 총 토출량이 샘플 무게인 화장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 무게는 약 4 내지 7g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샘플 화장품을 미리 사용해볼 수 있다. 사용자는 샘플 화장품을 색상판과 비교하여 원하는 색상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샘플 화장품을 사용한 후 최종 제조될 화장품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는 샘플 화장품을 사용한 결과, 바꾸고 싶은 점에 있으면 화장품 제조장치(1)에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수정 명령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3).
컨트롤러(150)는 수정 명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확정 명령을 수신하고(S305), 확정 명령에 따라 제1 토출 정보를 최종 토출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S307).
한편, 컨트롤러(150)는 수정 명령을 수신하면, 수정 명령에 따라 수정된 제2 토출 정보를 최종 토출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S309).
이 경우, 컨트롤러(150)는 최종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컨트롤러 또는 단말기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화장품 제조장치 2: 단말기
5, 6, 7: 케이스 7a: 케이스 커버
11: 카트리지 12: 토출 가이드
13: 노즐부 21: 마운터
40: 용기 이송 모듈 44: 슬라이더
45: 보호 바디 가이드 47: 로드셀 보호 바디
48: 카트리지 회전 모터 49: 용기 이송 모터
50: 용기 홀더 51: 용기
65: 마운터 서포터 111: 디스플레이
120: 토출 모듈 121: 승강 모터
122: 메인 바디 123: 승강 부재
124: 접촉 바디 P1: 제1 토출 위치
P2: 제 2토출 위치 P3: 사용자 위치

Claims (20)

  1. 복수의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장품 제조장치가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목표 색상(target color)을 결정하는 단계;
    커버력(coverage level)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감(texture)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상기 커버력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카트리지가 상이하도록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카트리지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력이 제1 커버력이면 제1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고,
    상기 커버력이 제2 커버력이면 제2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카트리지 중 제1 색상을 표현하는 화장료의 티타늄디옥사이드 함량은 상기 제2 그룹의 카트리지 중 제1 색상을 표현하는 화장료의 티타늄디옥사이드 함량과 상이한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바코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된 바코드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른 배합비로 총 토출량이 샘플 무게가 되도록 샘플 화장품을 토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샘플 화장품을 토출한 후 상기 토출 정보의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는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와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는
    제1 커버력을 위한 제1 그룹의 카트리지와 제2 커버력을 위한 제2 그룹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커버력에 따라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결정된 목표 색상에 따라 선택된 그룹 내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하는 단계; 및
    결정된 사용감에 따라 상기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비를 선택하는 단계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 상기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된 대상 카트리지 각각의 잔량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배합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11. 복수의 카트리지;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을 결정하고, 상기 목표 색상, 커버력 및 사용감에 기초하여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목표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상기 커버력에 따라 화장료를 토출하는 카트리지가 상이하도록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버력이 제1 커버력이면 제1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고, 상기 커버력이 제2 커버력이면 제2 그룹의 카트리지 내에서 대상 카트리지를 결정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카트리지 중 제1 색상을 표현하는 화장료의 티타늄디옥사이드 함량은 상기 제2 그룹의 카트리지 중 제1 색상을 표현하는 화장료의 티타늄디옥사이드 함량과 상이한
    화장품 제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바코드를 입력받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바코드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라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결정된 토출 정보에 따른 배합비로 총 토출량이 제1 무게가 되도록 샘플 화장품을 토출하고,
    상기 샘플 화장품을 토출한 후 상기 토출 정보의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정 명령 또는 확정 명령에 따라 토출 정보를 결정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는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와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는
    제1 커버력을 위한 제1 그룹의 카트리지와 제2 커버력을 위한 제2 그룹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결정된 커버력에 따라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결정된 목표 색상에 따라 선택된 그룹 내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하고,
    결정된 사용감에 따라 상기 사용감을 결정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료를 토출할 대상 카트리지로 선택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서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를 선택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기 정해진 테이블에 상기 결정된 목표 색상에 대응하는 배합비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된 대상 카트리지 각각의 잔량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배합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KR1020190170260A 2019-12-18 2019-12-18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KR10233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60A KR102336189B1 (ko) 2019-12-18 2019-12-18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PCT/KR2020/015349 WO2021125551A2 (ko) 2019-12-18 2020-11-04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JP2022528689A JP2023507545A (ja) 2019-12-18 2020-11-04 化粧品製造装置および化粧品製造装置の吐出情報決定方法
EP20904048.4A EP4079283A4 (en) 2019-12-18 2020-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OSMETIC AND METHOD FOR DETERMINING OUTPUT INFORMATION FOR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COSMETIC
CN202080074908.0A CN114616049A (zh) 2019-12-18 2020-11-04 化妆品制造装置及化妆品制造装置的排出信息决定方法
US17/775,771 US20220382241A1 (en) 2019-12-18 2020-11-04 Cosmetic manufacturing device, and discharge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osmetic manufacturing device
KR1020210169523A KR102527003B1 (ko) 2019-12-18 2021-11-30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KR1020220004177A KR20220011761A (ko) 2019-12-18 2022-01-11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60A KR102336189B1 (ko) 2019-12-18 2019-12-18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523A Division KR102527003B1 (ko) 2019-12-18 2021-11-30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362A KR20210078362A (ko) 2021-06-28
KR102336189B1 true KR102336189B1 (ko) 2021-12-07

Family

ID=7647868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260A KR102336189B1 (ko) 2019-12-18 2019-12-18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KR1020210169523A KR102527003B1 (ko) 2019-12-18 2021-11-30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KR1020220004177A KR20220011761A (ko) 2019-12-18 2022-01-11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523A KR102527003B1 (ko) 2019-12-18 2021-11-30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KR1020220004177A KR20220011761A (ko) 2019-12-18 2022-01-11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82241A1 (ko)
EP (1) EP4079283A4 (ko)
JP (1) JP2023507545A (ko)
KR (3) KR102336189B1 (ko)
CN (1) CN114616049A (ko)
WO (1) WO20211255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3154A1 (en) * 2022-01-04 2023-07-13 Blee. Llc System and device for customization of cosmetics
KR20230161678A (ko) * 2022-05-19 2023-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디스펜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437B1 (ko) 2016-04-18 2017-09-13 희엽 정 피부 측정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WO2018231915A1 (en) * 2017-06-16 2018-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uter asissted colorimetric make up method for camouflaging skin color deviations
KR101936751B1 (ko) 2017-05-22 2019-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918A (ja) * 2000-12-20 2002-07-05 Pola Chem Ind Inc 化粧料情報作成装置,化粧料情報作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5363696B2 (ja) * 2005-03-23 2013-12-11 株式会社 資生堂 肌化粧料用色材組成物、それを用いたファンデーション、化粧方法
KR100708319B1 (ko) * 2006-09-18 2007-04-18 아람휴비스(주)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JP2010249731A (ja) * 2009-04-17 2010-11-04 Yamato Scale Co Ltd 過負荷防止機構を備えたロードセル
CN105208996B (zh) * 2013-03-11 2018-02-09 爱伊肤株式会社 化妆品现场制造装置以及一次性混合容器
FR3015872B1 (fr) * 2013-12-27 2017-03-24 Oreal Dispositif de maquillage comportant une pluralite d'encres cosmetiques
KR102099352B1 (ko) * 2016-01-27 2020-04-09 로레알 화장품 재료를 선택하고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U2017217455C1 (en) * 2016-02-08 2019-01-17 Sephora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ulation and dispensing of visually customized cosmetics
KR20170140648A (ko) * 2016-06-13 2017-12-21 김준환 개인 맞춤화된 화장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US11742089B2 (en) * 2016-12-01 2023-08-29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ustomized cosmetics provis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23318B1 (ko) * 2017-03-27 2021-11-09 (주)아모레퍼시픽 개인 맞춤형 화장품 토출 장치
TW201911084A (zh) * 2017-08-04 2019-03-16 日商資生堂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程式、及化粧品提供裝置
KR20190138546A (ko) * 2018-06-05 2019-12-13 희엽 정 화장품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437B1 (ko) 2016-04-18 2017-09-13 희엽 정 피부 측정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KR101936751B1 (ko) 2017-05-22 2019-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8231915A1 (en) * 2017-06-16 2018-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uter asissted colorimetric make up method for camouflaging skin color devi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031A (ko) 2021-12-13
EP4079283A2 (en) 2022-10-26
US20220382241A1 (en) 2022-12-01
EP4079283A4 (en) 2023-12-20
KR20220011761A (ko) 2022-01-28
KR20210078362A (ko) 2021-06-28
WO2021125551A2 (ko) 2021-06-24
JP2023507545A (ja) 2023-02-24
WO2021125551A3 (ko) 2021-08-05
KR102527003B1 (ko) 2023-04-28
CN114616049A (zh)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003B1 (ko)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장치의 토출 정보 결정 방법
CN109937085A (zh) 混合用于肌肤护理的共混组合物的设备
KR20210078361A (ko)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102334651B1 (ko) 화장품 제조장치
KR20210078360A (ko) 화장품 제조장치의 동작 방법
WO2018164905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smart cosmetic dispensers and skin scanning devices
CN105725452A (zh) 描画装置以及描画装置的描画控制方法
US11911733B2 (en) Hair dye dispenser and system comprising thereof
US11751666B2 (en) Apparatus for connected hair pigment dispenser
US20230052182A1 (en) Dispenser
EP3970846A1 (en)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manufacturing system
KR102649398B1 (ko) 염색제 제공 시스템
KR102670613B1 (ko) 염색제 디스펜서
KR20220039204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369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102496757B1 (ko)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39360A (ko)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9357A (ko)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58876A (ko) 염색제 디스펜서
KR20220039472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381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201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396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030053945A (ko) 휴대용 충전식 자동 렌즈 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