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360A -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360A
KR20220039360A KR1020200122396A KR20200122396A KR20220039360A KR 20220039360 A KR20220039360 A KR 20220039360A KR 1020200122396 A KR1020200122396 A KR 1020200122396A KR 20200122396 A KR20200122396 A KR 20200122396A KR 20220039360 A KR20220039360 A KR 2022003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base container
unit
moisture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556B1 (ko
Inventor
이재형
김종우
김동영
마경준
박종철
이현승
임진우
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0012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5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US17/477,887 priority patent/US20220091596A1/en
Priority to US17/478,045 priority patent/US20220088550A1/en
Priority to JP2021152560A priority patent/JP2022051710A/ja
Priority to JP2021152561A priority patent/JP2022051711A/ja
Priority to CN202111097571.8A priority patent/CN114247377A/zh
Priority to CN202111097559.7A priority patent/CN114288941A/zh
Priority to EP21197815.0A priority patent/EP3970845A1/en
Priority to EP21197880.4A priority patent/EP3970846A1/en
Publication of KR2022003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화장품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하여, 화장품메이커 또는 판매 매장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함침부재를 사용하는 컴팩트형 쿠션류 화장품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SMETIC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미용 및 피부 건강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는 점점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제조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 또는 진단하고, 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적절한 화장료의 배합비를 산출한 후 그에 따라 화장료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화장품 제조 장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자동화된 장치로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의 화장품 제조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화장품 제조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 또는 진단하는 것으로부터 화장품을 제조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제공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앞에서 화장품의 완성을 기다리는 것은 단지 지루한 과정일 뿐이다. 따라서, 호기심에 기초한 1~2회의 이용을 기대할 수는 있겠으나, 지속적인 화장품 제조 장치의 이용율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화장품이 실제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화장품 제조 장치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화장료가 담겨진 화장품 용기의 조립 마무리를 위해 화장품 용기의 뚜껑을 결합하거나, 토출부재를 결합해주거나, 화장품 용기를 화장품 제조 장치로부터 인출하여 사용자에게 건네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품 제조 장치는 즉석에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화장품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었는 바, 이에 따라 함침부재를 사용하는 쿠션류 화장품을 제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64963호(2018.06.15.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화장품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품의 제조 과정이 완전히 자동화되어 있어 화장품메이커 또는 판매 매장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품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함침부재를 사용하는 컴팩트형 쿠션류 화장품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함침부재에 화장료를 함침시키는 흡습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로서, 상기 흡습부는, 상기 함침부재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를 전달받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베이스 용기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된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흡습 도구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 도구는 기 설정된 압력으로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는 상기 흡습 도구에 의한 함침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 도구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용기의 정위치 상태를 유지시키는 정위치 홀더; 및 상기 정위치 홀더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 도구는, 상기 정위치 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베이스 용기가 진입되도록 상기 정위치 홀더가 상승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되는 웨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위치 홀더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하방에 상기 베이스 용기가 안착된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가 위치할 때, 상기 베이스 용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정위치 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더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 레버; 및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가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홀더부에 의해 정위치 상태로 고정된 상기 베이스 용기 내부의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실린더; 일부분이 상기 가압 실린더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 실린더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가압 실린더의 외부로 노출되어 눌러질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압 핸들; 및 상기 가압 실린더 및 상기 가압 핸들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상기 가압 핸들이 눌러질 때 그 외력을 상기 가압 실린더에 전달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정위치 홀더에 중력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정위치 홀더에 연결 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화장품 제조 장치 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정위치 홀더에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웨이트부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정위치 홀더가 상승되도록 상기 정위치 홀더의 무게보다 더 무거운 중량이 제공되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는, 상기 흡습 도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흡습 도구의 하방 위치까지 연장되게 제공되는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 상기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 상에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일측에 상기 베이스 용기가 안착되는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
상기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 및 상기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에 평행하게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의 일측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베이스 용기용 스토퍼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습부를 이용하여 함침부재에 화장료를 함침시키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함침부재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를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된 베이스 용기를 흡습 도구 하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된 상기 베이스 용기를 상기 흡습 도구의 정위치 홀더로 고정하는 단계; 및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기 함침부재를 상기 흡습 도구의 가압부로 적어도 한번 이상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침부재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를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이전에, 이송수단에 의해 빈 상태의 혼합 용기에 화장료를 수용하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화장료가 수용된 혼합 용기로부터 상기 베이스 용기에 상기 화장료를 수용시키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화장료가 저장된 상기 베이스 용기에 상기 함침부재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기 함침부재를 상기 흡습 도구의 가압부로 적어도 한번 이상 가압하는 단계 이후에,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베이스 용기를 조립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 용기에 커버 용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이송수단에 의해 조립이 된 완제품 용기를 상기 조립부로부터 서빙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화장품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하여, 화장품메이커 또는 판매 매장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함침부재를 사용하는 컴팩트형 쿠션류 화장품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송수단 미도시)이다.
도 5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부품 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인 부품거치유닛과 흡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인 흡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인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부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다 자세히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화장품 종류에 따른 제조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7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7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도 7을 "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흡습부의 정위치 홀더 및 가압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화장품"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피부에 미용 효과를 부여하거나, 피부를 보호하거나, 피부 상태를 개선 또는 변화시키거나, 이들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제품으로 이해될 수 있고, "화장료"는 이러한 화장품을 구성하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성비"는 화장품으로서 제공되는 각각의 화장료의 중량비 또는 부피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품 제조 장치(10)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1)은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화장품이란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피부 상태를 분석하거나 진단한 결과에 따라 화장품의 조성비를 결정하고, 결정된 조성비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맞춤형 화장품은 사용자의 의사 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콘텍스트(context)에 따라 결정된 조성비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콘텍스트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및 기 설정된 공간 범위, 사용자의 쇼핑 이력, 사용자의 구매이력,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기록 등 사용자의 생활과 관련된 데이터로서, 임의의 장비 또는 제3자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는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1)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스템(1)은 맞품형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성비를 결정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화장품 제조 장치(10)와 단말기(20)와 운영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품 제조 시스템(1)은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이고,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 설정된 하나의 조성비를 갖는 화장품을 생산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화장품 제조 시스템(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일방에서 타방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화장품 제조에 필요한 조성비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화장료를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에 담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용기는 후술하는 펌프형 용기로 제공되는 제1 용기와 콤팩트형 용기로 제공되는 제2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용기와 제2 용기는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혼합 용기(161)와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구성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완성된 용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기가 펌프형 용기인 경우, 혼합 용기(161)와 구성품 중 하나인 토출부재(162)가 결합되어 제1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도 6 참조).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혼합 용기(161)가 반드시 제1 용기의 일부로 제공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성품은 토출부재(162)와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수용 용기(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수용 용기와 토출부재(162)가 결합되어 제1 용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용기가 콤팩트형 용기인 경우, 구성품의 일부인 베이스 용기(164)와 함침부재(168)와 커버 용기(166)가 결합되어 제2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구성품은 제1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예를 들어, 혼합 용기(161)와 토출부재(162)가 결합하는 경우 토출부재(162), 별도의 수용 용기와 토출부재(162)가 결합하는 경우 수용 용기 및 토출부재(162)) 및 제2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예를 들어, 베이스 용기(164), 함침부재(168), 커버 용기(16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성비 데이터는 복수 개의 화장료의 종류와 그 구성비율을 포함하는 전자적 데이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비 데이터는 완전히 가공되어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제공될 수도 있고, 가공을 위한 기초 데이터(사용자 콘텍스트(context) 포함)가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전달됨으로써 화장품 제조 장치(1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성비 데이터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단말기(20)로부터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성비 데이터는 단말기(20)로부터 직접 화장품 제조 장치(10)에 제공되거나,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운영 주체가 관리하는 운영 서버(40)를 통해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20)는 조성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 촬영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말기(20)는 사용자 콘텍스트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정보는 운영 서버(40), 화장품 제조 장치(1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센서(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센서는 카메라, 수분 센서, 유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센서가 카메라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기(20)에 제공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피부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조성비 데이터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단말기(20)의 측정 센서로부터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단말기(20)는 측정 센서 (예를 들어, 카메라, 수분 센서, 유분 센서 등)을 통해 측정된 결과를 그대로 화장품 제조 장치(10)에 전달하거나, 이를 분석하거나 진단한 피부 상태 데이터를 화장품 제조 장치(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 센서가 단말기(20)의 일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센서가 단말기(20)와 별도의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단말기(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조성비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20)는 상술한 피부 상태 데이터를 운영 서버(40)를 통해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영 서버(40)는 단말기(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조성비 데이터를 가공하여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단말기(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운영 서버(40)에 전달하고, 운영 서버(40)에 의해 생성된 조성비 데이터를 전달받아 화장품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운영 서버(40)는 상술한 것처럼 조성비 데이터의 가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조성비 데이터를 가공하여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제공하거나, 전달받은 조성비 데이터를 그대로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운영 서버(40)는 단말기(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별도로 수집한 사용자 콘텍스트(context)를 기초로 각 사용자에 맞는 조성비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 또는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요청에 따라 가공된 조성비 데이터를 화장품 제조 장치(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화장품 용기를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품 제조 장치(10)가 두 종류의 화장품 용기(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모든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펌프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통해 화장료를 토출하는 펌프형 용기와, 화장료를 함침부재에 저장하고 퍼프 등의 화장도구를 통해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콤팩트형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펌프형 용기를 제1 용기, 콤팩트형 용기를 제2 용기라 하겠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화장품 제조 장치(10)가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립 틴트, 마스카라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스틱형 용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펌프가 형성되지 않은 단순한 화장품 용기 본체와 캡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용기와 제2 용기의 종류는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으며, 제1 용기와 제2 용기는 각각 임의의 화장품 용기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기술하겠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내부을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송수단 미도시)이고, 도 5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본체의 타측에 배치된 부품 공급부(1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인 부품거치유닛(50)과 흡습부(6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인 흡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인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부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화장품 제조 공간(102)을 제공하는 본체(100); 화장료가 저장된 복수 개의 카트리지(142)를 보관하는 화장료 저장부(140); 화장료를 수용하여 혼합시킬 수 있는 혼합 용기(161) 및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품을 제공하는 부품 공급부(160); 화장료 저장부(140)로부터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를 공급하는 화장료 공급부(200); 화장료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화장료를 저장하고 있는 혼합 용기(161)에 외력을 가해 혼합 용기(161) 내의 화장료를 혼합하는 혼합부(400); 제1 용기와 제2 용기가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품거치유닛(50); 콤팩트형 용기의 일 구성요소로서 제공되는 함침부재(168)에 화장료를 함침시키는 흡습부(600); 화장료 공급부(200)와 부품 공급부(160)와 혼합부(400)와 흡습부(600)와 부품거치유닛(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혼합 용기(161) 및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800); 및 화장료 공급부(200)와 이송수단(800)과 혼합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화장품 또는 맞춤형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품거치유닛(50)은 제1 용기가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300)와, 제2 용기가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립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착부(300)와 조립부(500)는 테이블(114)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결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 장치(10)가 제1 용기만을 제조하는 경우, 흡습부(600)와 조립부(500)의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조성비에 따라 화장료를 혼합하고, 혼합된 화장료를 화장품 용기(예를들어,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에 담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화장품을 판매하는 소매점이나, 사용자가 방문하여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매장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대량 생산을 위한 화장품 제조 공장에 설치되거나, 화장품 판매가 이뤄지는 공간이 아닌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어 화장품을 제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0)는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고,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부품 공급부(160), 화장료 공급부(200), 이송수단(800), 부품거치유닛(50), 흡습부(600) 등)들이 설치될 수 있는 화장품 제조 공간(102)을 제공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 공간(102)을 제공하기 위해 본체(100)는 필요한 임의의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화장품 제조 공간(102)에는 상술한 화장료 저장부(140), 부품 공급부(160), 화장료 공급부(200), 부품거치유닛(50)(안착부(300) 와 조립부(500)), 혼합부(400), 흡습부(600), 이송수단(800) 등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화장품 제조 공간(10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화장품 제조 공간(102)을 형성하는 임의의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화장품 제조 장치(10)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도4 참조), 화장료 공급부(200)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부품 공급부(160)는 전면 좌측 중앙, 부품거치유닛(50)은 전면 우측 중앙, 이송수단(800)은 후측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혼합부(400)는 부품 공급부(16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료 공급부(200)가 좌측과 우측 2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와 같은 배치와 화장료 공급부(200)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들의 배치는 이송수단(800)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이면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전면은 도 3을 기준으로 +y 방향, 우측은 +x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부품거치유닛(50)은 테이블(11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흡습부(600)는 테이블(1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품거치유닛(50)은 안착부(300)와 조립부(500)를 포함할 수 있고, 안착부(300)를 기준으로 테이블(114)의 일측에는 조립부(50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흡습부(600)의 가압부(640)가 노출될 수 있다(도 4 기준). 여기서, 가압부(640)는 테이블(114)에 형성된 홀을 통해 노출되고, 후술하는 이송수단(800)이 노출된 가압부(640)를 누를 수 있다. 가압부(640)는 제2 용기의 제조 시, 함침부재(168)에 화장료를 함침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체(100)는 화장품 제조 공간(102)을 외부 공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20)은, 투명창(122)이 배치되는 전면 하우징(120a)과, 전면 하우징(120a)과 연결부재(123)를 통해 연결되는 후면 하우징(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23)는 경첩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전면 하우징(120a)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바,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내부 구성의 정비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일부에는 외부에서 화장품 제조 공간(102)에서 이뤄지는 화장품 제조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22)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20)의 정면 중앙 영역이 투명창(122)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송수단(800)의 동작 및 화장품 제조 공간(102)에서 이뤄지는 작업의 전체 또는 일부를 사용자에게 공개할 수 있어, 화장품 제조 장치(10)를 통해 제조되는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상태 정보나 맞춤형 화장품의 제조 과정 및 이에 관련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정보들을 입력받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으며, 음향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 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가 제공되는 위치는 투명창(122)과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전면 좌측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자신의 피부 상태를 분석, 진단한 결과를 확인하거나, 자신에게 제공될 맞춤형 화장품의 조성비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제조할 맞춤형 화장품의 조성비 데이터를 조정하거나, 특정 조성비 데이터를 갖는 화장품을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되는 맞춤형 화장품의 개인화를 위해 필요한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측에는 복수 개의 개폐도어(126)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폐도어(126)를 열어 카트리지(142)를 교환하거나, 화장품 제조 공간(102)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정비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 공간(102)이 되는 하우징(120)의 하측에는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하부 받침(127)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부품 공급 도어(129)가 제공될 수 있다. 부품 공급 도어(129)는 후술하는 부품 공급부(160)의 전면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부품 공급 도어(129)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회동 구조 또는 슬라이드 구조로 제공될 수 있고, 부품 공급부(160)의 트레이(165)가 본체(100)의 외부로 이동할 때 밀려 개방된 후, 트레이(165)가 본체(100)의 내부로 이동하면 원 상태로 복귀하여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별도의 로봇은 부품 공급 도어(129)를 개방하고, 제1 용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예를 들어, 혼합 용기(161)와 토출부재(162))과 제2 용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예를 들어, 베이스 용기(164)와 함침부재(168)와 커버 용기(166))을 부품 공급부(160)에 놓을 수도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가 부품 공급부(160)에 놓여지면, 사용자는 부품 공급 도어(129)를 개방하여 조립이 완료된 완제품을 꺼낼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다른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흡습부 도어(128)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습부 도어(128)가 제공됨으로써, 후술하는 흡습부(600)의 정비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110)에는 화장품 제조 장치(10)가 제2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장료의 혼합 이후 필요가 없어진 혼합 용기(161)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112)가 제공될 수 있다. 수거부(112)는 조립부(5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베이스(110)에 천공된 홀 형태로 제공되어 베이스 용기(164)에 토출을 마친 혼합 용기(161)를 이송수단(800)이 수거부(112) 상에서 단순히 낙하시킴으로써 수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거부(112)의 하측에는 버려지는 혼합 용기(161)를 모으기 위한 수거통(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화장료 저장부(140)는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카트리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체(100)의 일측은 베이스(110)에 설치된 이송수단(800)을 기준으로 한 하나의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고, 본체(100)의 타측은 상기 일측과 다른 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화장료 저장부(140)가 이송수단(8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각각의 카트리지(142)에는 화장품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화장료가 저장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화장료는 복수 개의 카트리지(142)에 나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142)는 화장료 공급부(200)에 제공된 펌프 등의 화장료 공급수단(2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저장된 화장료가 소진된 경우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42)는 복수 개가 제공되고, 각각의 카트리지(142)에는 기 설정된 종류의 화장료가 저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복수 개의 카트리지(142)는 하우징(120)을 구성하는 일측 벽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142)의 교체를 위해 하우징(120)의 일부는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142)는 튜브(143)를 통해 화장료 공급수단(220)과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142)에 저장된 화장료는 화장료 공급수단(220)을 거쳐, 혼합 용기 이송부(250)에 위치된 혼합 용기(161)로 토출될 수 있다.
화장료 공급부(200)는 화장료 저장부(1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공급부(200)는 화장료 저장부(140)에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은 도 3을 기준으로 +z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장료 공급부(200)는 제어부(900)에 의해 생성된 조성비에 따라 카트리지(142)에 저장된 화장료를 혼합 용기 이송부(250)에 있는 혼합 용기(161)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조성비는 기 설정되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거나, 단말기(20)와 운영 서버(40)로부터 전달받거나,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부(900)에 의해 연산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공급부(200)는 독립적인 공간에서 분리되도록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료 공급부(200)는 본체(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각의 화장료 공급부(200)는 화장료 공급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여 카트리지(142)에 저장된 화장료를 이송시키는 화장료 공급수단(220); 화장료 공급수단(220)으로부터 이송되는 화장료가 토출되는 복수 개의 토출구(232); 혼합 용기(161)를 고정하고 복수 개의 토출구(232) 하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혼합 용기 이송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화장료 공급수단(220)은 기 설정된 속도로 카트리지(142)로부터 화장료를 흡입하여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를 토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공급수단(220)은 미세 유량 조절이 가능한 연동펌프(peristaltic pu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 공급수단(220)의 화장료 흡입 및 토출 속도는 기 설정된 조건 또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00)는 혼합 용기(161)에 주입된 화장료의 양에 따라 화장료 공급수단(220)으로서 제공된 연동펌프를 제어함으로써 공급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화장료 공급수단(220)은 화장료 공급부 지지대(2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혼합 용기 이송부(250)는 화장료 공급수단(220)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공급부 지지대(235)의 일측에는 화장료가 토출되는 토출구(232)가 제공될 수 있으며, 토출구(232) 하측으로 혼합 용기 이송부(250)가 이동되어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다.
화장료 공급수단(220)과 화장료가 토출되는 토출구(232) 사이에는 연결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공급수단(220)이 연동펌프로 제공되는 경우, 연결유로는 튜브(143)일 수 있다. 즉, 튜브(143)는 화장료 공급수단(220)을 통해 카트리지(142)와 토출구(232)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장료 공급수단(220)은 각각의 카트리지(142)에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카트리지(142)에 하나의 화장료 공급수단(220)이 연결되고, 각각의 화장료 공급수단(220)이 카트리지(142)에 저장된 화장료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화장료 공급수단(220)은 카트리지(142)에 저장된 화장료를 혼합 용기 이송부(250)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로 토출할 수 있다.
혼합 용기 이송부(250)는 혼합 용기(161)를 삽입하기 위한 혼합 용기용 안착홈(2547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혼합 용기 이송부(250)는 복수 개의 토출구(232)가 배치된 방향(y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혼합 용기 이송부(250)는 혼합 용기용 안착홈(2547a)에 혼합 용기(161)를 안착시키고, 토출구(232) 하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복수 개의 토출구(232)에서 토출되는 화장료를 혼합 용기(161)에 수용할 수 있다(도 5 참조). 여기서, 토출구(232)는 화장료 공급수단(220)과 동일하거나, 더 많은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혼합 용기 이송부(250)는 각각의 토출구(232) 하부에 기 설정된 시간 대기 후, 다음의 토출구(232)로 이동할 수 있다. 혼합 용기 이송부(250)가 기 설정된 시간 대기하는 동안, 토출구(232)로부터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가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합 용기 이송부(250)는 혼합용기용 가이드 레일(252)을 따라 이동되는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 상부에 제공되고 혼합 용기(161)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혼합 용기용 안착홈(2547a); 및 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으로부터 연장되고 이송수단(800)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혼합 용기 이송부(250)의 하부에는 토출구(232)의 배치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혼합용기용 가이드 레일(252)이 제공될 수 있고,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의 하부에는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가 걸릴 수 있는 혼합용기용 스토퍼(256)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용기용 가이드 레일(252)과 혼합용기용 스토퍼(256)는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혼합용기용 스토퍼(256)에는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가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홈의 간격은 화장료 공급수단(220)의 토출구의 간격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의 이동은 이송수단(800)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송수단(800)은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으로부터 연장되는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를 파지한 후 y축 방향으로 왕복운동 시킬 수 있다.
이송수단(800)은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를 파지하여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고,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을 이동시킨 후, 다른 위치의 혼합용기용 스토퍼(256)의 홈에 끼움으로써 다시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을 구속 상태로 만들어 화장료가 토출되는 동안 혼합 용기(161)가 해당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이 혼합용기용 스토퍼(256)에 고정되어 혼합 용기(161)에 어느 하나의 화장료가 토출되는 동안, 이송수단(800)은 자유롭게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제조 공정을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실시예에 따라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의 이동 및 위치 유지는 별도로 제공된 구동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은 리니어 모터 가이드에 제공된 이동 블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900)는 리니어 모터 가이드를 제어함으로써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가 정위치에서 화장료 공급수단(220)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료를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의 내부에는 혼합 용기(161)의 무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센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화장료 공급부(200)에 의해 혼합 용기(161)로 화장료가 주입됨에 따라 혼합 용기(161)의 무게는 변화할 수 있고, 제어부(900)는 무게 센서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화장료 공급부(200)를 통한 화장료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부품 공급부(160)는 화장품 제조 장치(10)에서 조립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예를 들어, 제1 용기와 제2 용기)의 구성품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품 공급부(160)는 구성품이 놓여질 수 있는 트레이(165); 제1 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품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용기 구성품 지지부(163); 및 제2 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품을 지지할 수 있는 제2 용기 구성품 지지부(169)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혼합 용기(161)와 화장품에 필요한 구성품 등 부품 공급부(160)에 의해 공급되는 것들을 통칭하여 "부품들"이라고 하겠다.
트레이(165)는 베이스(110)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가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65)는 부품 공급 도어(129)를 통해 본체(100)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또는 별도의 로봇은 제1 용기를 형성하는 구성품과 제2 용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부품 공급부(160)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으며, 조립이 완료된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용이하게 본체(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용기 구성품 지지부(163)는 혼합 용기(161)를 지지할 수 있는 혼합 용기 지지부(163a); 및 토출부재(162)를 지지할 수 있는 토출부재 지지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용기 지지부(163a)에는 혼합 용기(161)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제공될 수 있다. 토출부재 지지부(163b)에는 토출부재(162)를 지지함과 동시에 스트로우(1622)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용기 구성품 지지부(169)는 베이스 용기(164)를 지지할 수 있는 베이스용기 지지부(169a); 함침부재(168)를 지지할 수 있는 함침부재 지지부(169b); 및 커버 용기(166)를 지지할 수 있는 커버용기 지지부(169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65)의 전면에는 홈(167)이 제공될 수 있으며, 조립이 완료된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는 트레이(165)의 홈(167)에 놓여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용기는 혼합 용기(161)와 토출부재(162)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부재(162)는 압력차를 발생시켜 유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펌핑파트(1621); 펌핑파트(1621)에 연결되고 혼합 용기(16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혼합 용기(161)에 저장된 화장료를 흡입할 수 있는 스트로우(1622); 및 혼합 용기(161)의 입구부(1611)를 밀폐할 수 있는 캡(1623)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용기(161)는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스트로우(1622)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부(1611)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용기(161)는 제1 용기의 일부로서 완성된 제품의 화장료를 저장하는 용도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혼합 용기(161)는 화장품을 혼합하는데 사용된 후, 그대로 맞춤형 화장품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또한, 제2 용기는 베이스 용기(164)와 함침부재(168)와 커버 용기(166)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용기(164)는 화장료와 스펀지로 제공되는 함침부재(168)를 수용할 수 있고, 커버 용기(166)는 베이스 용기(164) 내부에 있는 함침부재(168)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커버 용기(166)에는 퍼프 등 화장도구가 미리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용기(166)는 베이스 용기(164)에 결합되되 화장도구를 지지하고 함침부재(168)를 덮는 내측 커버와, 화장도구를 덮음으로서 용기 전체를 보호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각각 회동 이동하여 함침부재(168) 또는 화장도구를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 공간(102)에는 제1 용기와 제2 용기가 조립될 수 있는 부품거치유닛(50)이 제공될 수 있다(도 7 참조).
구체적으로, 부품거치유닛(50)은 제1 용기가 조립될 수 있는 안착부(300); 및 제2 용기가 조립될 수 있는 조립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거치유닛(50)은 테이블(114) 상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부품거치유닛(50)과 소정거리 이격된 테이블(114)에는 가압부(640)가 노출될 수 있는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안착부(300)는 맞춤형 화장품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혼합 용기(161)가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위치이거나, 제1 용기의 조립에 있어서 혼합 용기(161)를 지지하는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송수단(800)으로 2개의 로봇 암이 사용되는 경우, 안착부(300)는 2개의 로봇 암이 모두 접근 가능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2개의 로봇 암 사이에서 부품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합 용기(161)는 종단면이 모서리가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300)에는 혼합 용기(16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혼합 용기 안착홈(302)이 제공될 수 있다. 이송수단(800)은 혼합 용기 안착홈(302)에 혼합 용기(161)가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혼합 용기(161)의 방향을 기 설정된 방향으로 전환한 후 안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혼합 용기(161)는 기 설정된 위치에 항상 위치될 수 있고, 회전 방향의 외력에 대항하여 토출부재(162)와의 결합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조립부(500)는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품들을 조립함으로서 완성된 제품으로서 화장품을 제조하는 위치 및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부(500)에서 제2 용기의 조립이 이뤄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기의 조립은 안착부(300)에서 이뤄지고, 제2 용기의 조립은 조립부(500)에서 이뤄지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용기의 조립과 제2 용기의 조립이 모두 안착부(300)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착부(300)는 조립부(500)로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의 조립과 제2 용기의 조립이 모두 조립부(500)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 각각의 용기의 구체적인 조립 과정은 후술하겠다.
조립부(500) 상에서 베이스 용기(164)와, 함침부재(168)와, 커버 용기(166)의 결합(제2 용기의 조립)이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수단(800)에 의해 베이스 용기(164)가 조립부(500) 상에 위치하고, 혼합 용기(161)에 저장된 화장료가 베이스 용기(164)에 넣어진 후, 함침부재(168)가 베이스 용기(164)에 올려진 후, 흡습부(600)에서 흡습과정을 거친 후, 커버 용기(166)가 함침부재(168)를 덮도록 베이스 용기(16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조립부(500)는 제2 용기의 조립 과정에 있어서 혼합 용기(161)의 혼합된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될 수 있는 베이스 용기 안착홈(5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수단(800)은 부품 공급부(160)의 베이스 용기(164)를 파지하여 베이스 용기 안착홈(50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혼합이 완료된 혼합 용기(161)는 안착부(300) 또는 혼합부(400)로부터 이송수단(800)에 의해 이송된 후, 조립부(500) 상의 베이스 용기(164)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베이스 용기(164)는 적어도 일부분이 모서리가 있는 구조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용기 안착홈(502)은 베이스 용기(164)에 형성된 모서리 구조 또는 원기둥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송수단(800)은 베이스 용기 안착홈(502)에 베이스 용기(164)가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베이스 용기(164)의 방향을 기 설정된 방향으로 전환한 후 안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용기(164)는 기 설정된 위치에 항상 위치될 수 있고, 회전 방향의 외력에 대항하여 커버 용기(166)와의 결합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부(500) 상에 안착되어 혼합된 화장료의 수용이 완료된 베이스 용기(164)에는 이송수단(800)에 의해 함침부재(168)가 수용될 수 있다. 함침부재(168)의 수용이 완료된 베이스 용기(164)는 다시 이송수단(800)에 의해 흡습부(600)로 이동되어 흡습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흡습부(600)에서는 제2 용기에 포함되는 함침부재(168)에 화장료를 함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조립부(500) 상에서 화장료의 수용 및 함침부재(168)의 적재가 완료된 베이스 용기(164)는 흡습부(600)로 이동되며, 흡습부(600)에 제공된 흡습 도구(620)에 의해 화장료가 함침부재(168)에 충분히 함침될 수 있다. 흡습 도구(620)는 함침부재(168)를 기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함침 작용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흡습부(600)는 흡습 도구(620)와,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조).
흡습 도구(620)는 베이스 용기(164)에 삽입된 함침부재(168)를 가압하여 화장료를 함침부재(168)에 함침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는 조립부(500)로부터 이동된 베이스 용기(164)를 안착시킨 후, 흡습 도구(620)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에 안착된 베이스 용기(164)의 내부에는 화장료와 함침부재(168)가 수용되어 있다.
흡습 도구(620)는 테이블(114) 하부에서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상승과 하강하여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에 안착된 베이스 용기(164)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정위치 홀더(630)와, 정위치 홀더(630)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용기(164) 상부에 있는 함침부재(168)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114)에는 가압부(640)가 노출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수단(800)은 노출된 가압부(640)를 눌러 함침부재(168)를 함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는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베이스용기용 이동블럭(652)과, 베이스용기용 이동블럭(652)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베이스용기용 가이드 레일(651)과, 베이스용기용 이동블럭(652)을 이동시키는 베이스용기용 걸림레버(653)와, 베이스용기용 걸림레버(653)를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베이스용기용 스토퍼(6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수단(800)은 베이스용기용 걸림레버(653)를 파지하여,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된 베이스용기용 이동블럭(652)을 가압부(640)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흡습부(600)에서 흡습이 완료된 베이스 용기(164)는 이송수단(800)에 의해 다시 조립부(500)로 이송되어 안착되고, 이송수단(800)은 커버 용기(166)를 부품 공급부(160)로부터 가져와 베이스 용기(164)에 결합시킬 수 있다. 베이스 용기(164)와 커버 용기(166)의 결합은 후크 결합 등의 기구적 끼움 결합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송수단(800)은 소정의 외력을 커버 용기(166)에 가할 수 있다.
혼합부(400)는 화장료 공급부(200)를 통해 화장료의 수용이 완료된 혼합 용기(161)에 외력을 가해 화장료가 혼합 용기(161) 내에서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혼합부(400)는 혼합 용기(161)에 수용된 화장료를 혼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혼합부(400)는 혼합 용기(161)를 고속으로 공전 운동시킴과 동시에 자전 운동시킴으로써 화장료를 혼합하는 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구체적으로, 혼합부(400)는 혼합 용기(161)가 삽입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재(402); 및 제1 회전부재(40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회전부재(4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재(402)는 상기 제2 회전부재(404)의 중심(M)에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제1 회전부재(402)는 제어부(900)에 의해 기 설정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수단(800)은 혼합 용기(161)를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 제1 회전부재(402)에 삽입할 수 있는바, 이송수단(800)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혼합부(400)는 혼합 용기(161)를 수용한 후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만큼 동작될 수 있고, 혼합부(400)에서의 혼합 과정이 완료되면 이송수단(800)에 의해 혼합 용기(161)는 후속 공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800)은 부품 공급부(160)에 놓여져 있는 화장료가 들어있지 않은 혼합 용기(161)를 파지하여 화장료 공급부(200)의 혼합 용기 이송부(2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혼합 용기(161)를 본체(100)의 일측(도 4 기준 좌측)에 배치된 혼합 용기 이송부(250)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부품 공급부(160)로부터 혼합 용기 이송부(250)로 직접이동시킬 수 있고, 혼합 용기(161)를 본체(100)의 타측(도 4 기준 우측)에 배치된 혼합 용기 이송부(250)로 이동시킬 때에는 부품 공급부(160)로부터 안착부(300)를 거쳐 혼합 용기 이송부(2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800)은 혼합 용기 이송부(250) 상에서 화장료의 수용을 마치거나 혼합부(400)에서 혼합 과정이 수행된 후의 혼합 용기(161)를 안착부(3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800)은 안착부(300)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에 토출부재(162)를 결합하여 제1 용기로 조립하거나, 또는 조립부(500)에 베이스 용기(164)를 안착시키고, 혼합 용기(161)에 수용된 화장료를 베이스 용기(164)에 부은 후, 함침부재(168)를 혼합 용기(161)에 넣고, 흡습부(600)를 통해 함침부재(168)에 화장료를 함침시키고, 함침부재(168)를 수용한 베이스 용기(164)를 커버 용기(166)로 덮는 과정을 거쳐 제2 용기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800)은 조립이 완료된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를 부품 공급부(160)의 홈(167)에 놓을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800)은 부품 공급부(160)의 트레이(165)를 밀어, 트레이(165)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게 하게, 조립이 완료된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송수단(800)은 부품 공급부(160)에 제공된 상기 구성품을 부품거치유닛(50)으로 이동시키고, 부품거치유닛(50)으로 이동된 상기 구성품으로부터 펌프형 용기로 제공되는 제1 용기로 조립하거나, 콤팩트형 용기로 제공되는 제2 용기로 조립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이송 유닛(801, 80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수단(800)으로 2개의 이송 유닛(801, 802)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송유닛의 개수는 1개 이상이면 그 개수는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이송수단(800)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형 용기를 형성하는 제1 용기 조립 시,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 중 하나는 토출부재(162)의 캡(1623)을 파지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토출부재(162)의 스트로우(1622)가 부품거치유닛(50)에 있는 혼합 용기(161)의 입구부(1611)와 정렬되도록 상기 스트로우(1622)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콤팩트형 용기를 형성하는 제2 용기 조립 시,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 중 하나는 상기 제2 용기를 구성하는 베이스 용기(164)를 부품거치유닛(50)에 안착시키고, 다른 하나는 혼합 용기(161)에 수용된 화장료가 상기 베이스 용기(164)에 이동되도록 상기 혼합 용기(161)를 뒤집을 수 있다.
이송수단(800)은 상술한 베이스(110) 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부품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수단(800)으로서 로봇 암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이송수단(800)은 하나의 로봇 암에 대응될 수 있는 제1 이송유닛(801)과 다른 하나의 로봇 암에 대응될 수 있는 제2 이송유닛(8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은 각각 다관절 로봇암(810)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관절 로봇암(810)이 가질 수 있는 자유도는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관절 로봇암(810)으로서 6자유도를 갖는 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은 하나의 로봇암 제어부(820)에 연결되고, 로봇암 제어부(820)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로봇암 제어부(820)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을 제어하여 기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이와 같은 다관절 로봇암(810)은 다양한 형태의 공지의 장치들이 존재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이의 구조 및 제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겠다.한편, 제1 이송유닛(801)에는 제1 그립퍼(840)가 제공되고, 제2 이송유닛(802)에는 제2 그립퍼(860)가 제공된다. 제1 그립퍼(840)와 제2 그립퍼(860)는 각각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이 수행해야하는 기능에 적합한 구조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립퍼(840, 860)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이송수단(800)의 기능 및 동작으로서 설명된 것은, 제1 이송유닛(801) 및 제2 이송유닛(8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및 동작에 사용되는 이송유닛은 구성요소들의 배치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은 화장료 공급부(200)가 배치된 위치에 따라, 부품 공급부(160)에 제공된 혼합 용기(161)를 화장료 공급부(200)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도 4기준 좌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로부터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제2 이송유닛(802)은 부품 공급부(160)에 배치된 혼합 용기(161)를 파지하고, 일측에 배치된 혼합 용기 이송부(250)로 혼합 용기(161)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타측(도 4 기준 우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로부터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제2 이송유닛(802)은 부품 공급부(160)에 배치된 혼합 용기(161)를 파지하고 혼합 용기(161) 안착부(3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 후, 제1 이송유닛(801)은 안착부(300)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를 파지하여, 타측에 배치된 혼합 용기 이송부(250)로 혼합 용기(16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은 화장품 제조 공간(102)의 내측에서 어느 한쪽에서 이뤄지는 작업과 다른 한쪽에서 이뤄지는 작업을 나누어 담당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801)는 타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 안착부(300), 조립부(500), 흡습부(6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부품을 이동시키거나, 제1 용기와 제2 용기(흡습 과정 포함)의 조립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유닛(801)은 안착부(300)로부터 타측에 배치된 혼합 용기 이송부(250)로 혼합 용기(161)를 이송시키거나, 타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 하부에서 혼합 용기 이송부(250)를 이동시키거나, 안착부(300)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에 토출부재(162)를 조립하거나, 조립부(500)에 안착된 베이스 용기(164)에 함침부재(168)를 제공하거나, 조립부(500)로부터 흡습부(600)로 베이스 용기(164)를 이송시키거나, 흡습부(600) 내에서 베이스 용기(164)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이동시키거나, 흡습부(600)로부터 흡습이 완료된 상태의 베이스 용기(164)와 함침부재(168)를 다시 조립부(500)로 이송시키거나, 조립부(500)에 안착된 베이스 용기(164)에 커버 용기(166)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그립퍼(840)는 각각의 부품들을 파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그립퍼(840)는 흡습부(600) 상에서의 베이스 용기(164)의 이송을 위해 제공되는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를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립퍼(840)는 회동에 의해 토출부재(162)를 안착부(300)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에 결합하는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또한, 제2 이송유닛(802)은 부품 공급부(160), 일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 안착부(300), 혼합부(400), 조립부(5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부품을 이동시키거나, 제1 용기와 제2 용기(흡습 과정 포함)의 조립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송유닛(802)은 부품 공급부(160)로부터 혼합 용기(161)를 일측(도 4 기준 좌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로 이동시키거나, 화장료 공급부(200) 하부에서 혼합 용기 이송부(250)를 이동시키거나, 일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로부터 혼합 용기(161)를 혼합부(400)로 이동시키거나, 혼합부(400)로부터 안착부(300)로 혼합이 완료된 혼합 용기(161)를 이동시키거나, 혼합 용기(161)와 토출부재(162)의 조립을 보조하거나, 안착부(300)에서 조립이 완료된 제1 용기 또는 조립부(500)에서 조립이 완료된 제2 용기를 부품 공급부(160)의 홈(167)으로 이동시키거나, 흡습부(600)에서의 흡습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이를 위해, 제2 그립퍼(860)는 혼합 용기(161)를 파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그립퍼(860)는 혼합 용기 이송부(250)에 제공되는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를 파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그립퍼(860)는 제1 이송유닛(801)이 토출부재(162)를 혼합 용기(161)에 결합할 때, 스트로우(1622)를 정렬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2 그립퍼(860)는 흡습부(600)의 흡습 도구(62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다관절 로봇암(810)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바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수단(800)으로서 다관절 로봇암(810)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축 방향 직선 이동이 가능한 이송 장치 등이 이송수단(800)으로서 제공되고 여기에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의 장치들이 추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9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의 이동과 화장료 공급부(200)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단말기(20)와 운영 서버(4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받은 피부 측정 데이터로부터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 피부 상태 분석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상태 분석부(910)는 분석된 결과를 제공받을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그리고, 제어부(900)는 피부 상태 분석부(910)에서 생성된 피부 상태 분석 결과에 따라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료들의 조성비 데이터를 결정하는 조성비 결정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비 결정부(920)는 조성비를 기 설정된 계산식에 피부 상태 분석 결과를 변수값으로 대입함으로서 결정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되 있는 복수 개의 조성비 중에 피부 상태 분석 결과에 가장 근접하거나 가장 적합한 조성비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성비 데이터는 사용되는 화장료의 종류와 양 및 그 투입 비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각각의 조성비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장품의 색상이나 점도 등의 물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0)는 결정된 조성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성비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조성비 수정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시된 조성비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를 그대로 수용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조성비 데이터를 이용할 것인지 결정하고 그 수정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조성비 데이터는 비율 그 자체일 수도 있고, 해당 조성비 데이터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의 색상이나 물성 등의 특성 정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수정된 데이터도 화장품의 색상이나 물성 등의 특성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성비 수정부(9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가 아닌 단말기(20)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단말기(20)를 통해 수정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화장품의 종류를 수신받는 화장품 종류 수신부(940)와 원하는 제조 모드를 수신하는 제조 모드 수신부(950)와, 조성비 결정부(920)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품 종류 수신부(940)로 제공되는 정보는 제조하고자 하는 맞춤형 화장품의 종류가 제1 용기인지 제2 용기 여부일 수 있고, 제조 모드 수신부(950)로 제공되는 정보는 견본을 수령하는 모드인지 완제품을 수령하는 모드인지 여부일 수 있다. 여기서, 견본은 화장료의 조성비는 유지하되 상대적으로 소량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이고, 완제품은 하나의 판매 제품으로서 구비해야 할 기 설정된 용량이 모두 채워진 화장품을 의미한다.
또한, 제조 모드는 견본 수령 후 완제품을 요청하는 모드, 견본 수령 후 다시 변경된 조성비에 따른 견본을 요청하는 모드, 및 견본 수령 후 폐기 처분을 요청하는 모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조 모드는 견본 수령 후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화장품의 종류나 제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에게 화장품의 종류 및 제조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20)나 운영 서버(40)를 통해서도 화장품의 종류나 제조 모드를 화장품 제조 장치(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다.
도 11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900)에 의해 조성비를 포함하는 제조될 화장품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10); 제어부(900)에 의해 화장료 공급부(200)와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화장료 저장부(140)에 저장된 화장료를 조성비에 따라 혼합 용기(161)에 토출시키는 단계(S20); 제어부(900)에 의해 혼합부(400)와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혼합 용기(161)에 토출된 화장료를 혼합시키는 단계(S30); 제어부(900)에 의해 혼합 용기(161)에 수용된 화장료가 견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혼합 용기(161)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조성비의 변경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S40); 및 제어부(900)에 의해 상기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혼합 용기(161)에 수용된 화장료를 펌프형 용기로 제공되는 제1 용기와 콤팩트형 용기로 제공되는 제2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S40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S10은 후술하는 S110, S120, S130, S140, S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S20은 후술하는 S210, S220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S30은 후술하는 S230, S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S40은 후술하는 S310, S320, S330, S340, S350, S360, S370, S380, S390, S400, S420, S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S50은 후술하는 S500, S900 단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2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제어 방법을 보다 자세히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900)는 화장품 종류 수신부(9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화장품의 종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10). 화장품의 종류 데이터는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받거나, 단말기(20) 및 운영 서버(40) 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또한, 제어부(900)는 제조 모드 수신부(9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조를 원하는 제품이 견본인지, 또는 완성품인지에 대한 제조 모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20). 제조 모드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받거나, 단말기(20) 또는 운영 서버(4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피부 상태 분석부(91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한다(S130). 상술한 것처럼, 피부 상태 분석부(910)는 이미 분석된 결과를 단말기(20)와 운영 서버(4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제어부(900)의 조성비 결정부(920)는 S130 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성비 데이터를 결정하고, S120 단계에서 수집한 제조 모드에 따라 화장품으로서 제조될 양을 결정한다(S140). 이 단계에서, 화장료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종류의 화장료의 공급량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견본 제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화장품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화장료의 공급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완제품 제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양으로서 하나의 판매 제품으로서 구비해야 할 설정된 용량이 화장품의 총 제조량으로 설정되고 이를 위한 각각의 화장료의 공급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성비 결정부(92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조성비 중에 피부 상태 분석 결과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조성비 데이터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140 단계는 사용자의 화장품 구매 이력을 고려하여, 조성비 결정부(920)에 의해 조성비 데이터가 결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20)에 의해 측정된 피부 상태보다 밝은 색상의 화장품을 구매한 이력이 많은 경우, 조성비 결정부(920)는 피부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한 조성비 데이터보다 밝은 색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조성비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의 조성비 수정부(9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결정된 조성비 데이터(피부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한 조성비, 화장품 구매 이력을 고려한 조성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조성비의 수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성비 데이터 및 각각의 화장료의 공급량을 수정할 수 있다(S150).
S150 단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단말기(20)를 통해 조성비를 수정하지 않을 것을 선택할 수도 있고, 이 경우 S140 단계에서 결정된 조성비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상술한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는 화장품 제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그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는 더 세분화된 단계로 나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화장품 제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의 수집 및 데이터 가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물리적인 화장품이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제어부(900)는 로봇암 제어부(820)를 제어하여 이송수단(8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이송수단(800)은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각각의 단계에 있어서 제1 이송유닛(801) 및 제2 이송유닛(8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이송수단(800)으로서 화장품 제조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혼합 용기(161)를 화장료 공급부(2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10).
이때, 일측(도 4기준 좌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 측으로 혼합 용기(161)가 이동될 때에는, 부품 공급부(160)에 있는 혼합 용기(161)가 화장료 공급부(200)로 바로 이동될 수 있고, 타측(도4 기준 우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 측으로 혼합 용기(161)가 이동될 때에는, 부품 공급부(160)에 있는 혼합 용기(161)는 안착부(300)에 안착된 후, 화장료 공급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 용기(161)가 화장료 공급부(2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혼합 용기 이송부(250)의 혼합 용기용 안착홈(2547a)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S210 단계가 2회차부터 수행되는 경우, 즉 견본 제조 모드로서 혼합 용기(161)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다가 다시 회수된 후 수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으로 부품 공급부(160)에 있는 혼합 용기(161)를 바로 화장료 공급부(200)로 이동시키거나, 부품 공급부(160)에 있는 혼합 용기(161)를 안착부(300)로 이동시키고, 안착부(300)로부터 다시 화장료 공급부(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S210 단계가 수행되는 회차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어되는 방법이 달라지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견본으로서 제공된 혼합 용기(161)를 후속 과정에서도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공정 낭비 및 재료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바 제품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후, 제어부(900)에 의해 화장료 공급부(200)를 제어하여 기 결정되어 있는 조성비에 따라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를 공급한다(S220). 제어부(900)는 기 결정되어 있는 조성비 데이터 및 제조량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카트리지(142)로부터 화장료 공급수단(220)을 통해 화장료가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혼합 용기 이송부(250)의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을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수단(800)은 혼합용기용 걸림 레버(255)를 조작하여 혼합용기용 스토퍼(256)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고, 조성비 데이터에 따라 기 설정된 순서대로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을 이동시키며 혼합 용기(161)가 화장료 공급수단(220)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에 배치된 혼합 용기 이송부(250)의 이동은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타측에 배치된 혼합 용기 이송부(250)의 이동은 제1 이송유닛(8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S220 단계에서 제어부(900)는 공급되는 화장료의 양에 따라 화장료 공급수단(220)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142)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화장료를 혼합 용기(161)로 공급하는 경우, 화장료 공급수단(220)은 해당 카트리지(142)에서 공급되어야 할 총량(A)에 대해 기 공급된 양(B)의 비율(B/A)이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화장료가 공급될 수도 있도록 하고, 상기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화장료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한 제어가 불필요한 초기 구간에서는 고속 공급이 이뤄질 수 있는 바, 전체적인 화장료 공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공급된 양(B)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제어부(900)가 화장료 공급수단(220)이 구동된 시간, 속도의 기록에 따라 공급량을 산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거나, 혼합용기용 이동 블록(254)에 제공된 무게 센서로부터 변화되는 무게 데이터를 수신하여 산출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화장료 공급부(200)에서 화장료의 주입이 완료된 혼합 용기(161)는 이송수단(800)에 의해 혼합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S230).
여기서, 일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에서 혼합 용기(161)로 화장료의 주입이 완료된 경우, 혼합 용기(161)는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화장료 공급부(200)로부터 바로 혼합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타측에 배치된 화장료 공급부(200)에서 혼합 용기(161)로 화장료의 주입이 완료된 경우, 혼합 용기(161)는 제1 이송유닛(801)에 의해 안착부(300)에 안착된 후,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안착부(300)로부터 혼합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혼합부(400)를 구동(예를 들어, 회전)하여 혼합 용기(161)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혼합 용기(161)에 수용된 화장료를 혼합한다(S240). 혼합부(400)는 상술한 것처럼, 혼합 용기(161)를 고속으로 공전시킴과 동시에 자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혼합 용기(161) 내부의 화장료는 잘 혼합될 수 있다. 이때, 혼합부(400)가 회전을 멈춘 후, 혼합 용기(161)가 삽입되는 혼합부(400)의 제1 회전부재(402)는 제어부(900)에 의해 동일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수단(800)은 혼합 용기(161)를 기 설정된 위치에 멈춘 제1 회전부재(402)에 삽입할 수 있는바, 혼합 용기(161)를 제1 회전부재(402)에 삽입하기 위한 제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S210 단계 내지 S240 단계는 혼합 용기(161)에 화장료를 공급하고, 혼합 용기(161)에 수용된 복수 개의 화장료를 혼합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S24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900)는 S120 단계에서 수집된 제조 모드가 견본 제조 모드인지, 또는 완제품 제조 모드인지 판단한다(S310).만약, 견본 제조 모드가 아니라 완제품 제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라면, 화장품 종류에 따라 화장품을 제조하는 과정(S500)이 수행될 수 있다. S500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제어부(900)는 S500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부품 공급부(160)의 홈(167)으로 전달된 완성된 화장품 용기(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를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S900). 구체적으로, 제어부(900)는 제2 이송유닛(802)을 제어하여 완성된 화장품 용기(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를 부품 공급부(160)의 홈(167)에 놓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부품 공급 도어(129)를 열어 부품 공급부(160)에 놓여진 완성된 화장품 용기를 수취해 갈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유닛(802)은 부품 공급부(160)의 트레이(165)를 밀어, 부품 공급부(160)에 놓여진 완성된 화장품 용기를 본체(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견본 제조 모드인 경우, 제어부(900)는 혼합 용기(161)에 담겨진 혼합이 완료된 화장료를 견본으로서 사용해볼 수 있도록 이송수단(800)으로 혼합부(400)의 혼합 용기(161)를 부품 공급부(160)의 홈(167) 또는 혼합 용기 지지부(163a)로 이동시킬 수 있다(S320). 이때, 제2 이송유닛(802)이 이송수단(800)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이 혼합부(400)의 혼합 용기(161)를 안착부(300)로 이동시킨 후, 안착부(300)로부터 부품 공급부(160)로 혼합 용기(161)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부품 공급부(160)로 전달된 혼합 용기(161)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S330). S330 단계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S900 단계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견본 제조 모드를 선택하였는바, 사용자는 견본으로서 제공된 혼합 용기(161)를 수취하여 시험 사용해 본 후, 이를 다시 부품 공급부(160), 구체적으로는 부품 공급부(160)의 홈(167) 또는 혼합 용기 지지부(163a)에 올려 놓을 수 있다.
이때, 트레이(165) 또는 홈(167) 또는 혼합 용기 지지부(163a) 중 적어도 하나에 무게 센서 등의 소정의 감지 수단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견본 화장품을 다시 혼합 용기(161)를 돌려 놓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견본 화장품을 사용 완료 후 혼합 용기(161)를 부품 공급부(160)에 돌려 놓았는지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9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부품 공급부(160)를 자동으로 회수함을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혼합 용기(161)를 부품 공급부(160)에 돌려놓는 동작을 유도할 수도 있다.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이용하여 부품 공급부(160)의 트레이(165)를 다시 본체(10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혼합 용기(161)를 다시 회수할 수 있다(S340).
이와 함께 제어부(900)는 제조 모드 수신부(9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후속 제조 모드 데이터 및 필요한 경우 조성비 수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350). 후속 제조 모드는 상술한 S120 단계에서의 제조 모드와 마찬가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완제품 제조 요청, 조성비 수정 요청, 폐기 요청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후속 제조 모드가 조성비 수정 요청인 경우, 제어부(900)는 조성비 수정부(930)를 통해 조성비 수정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더 수집할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수집된 후속 제조 모드가, 완제품 제조 요청인 경우(S360), 제어부(900)는 완제품 제조에 대응되도록 화장품의 총 제조량 데이터를 변경하고, 제조 모드를 견본 제조 모드에서 완제품 제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370). 이때, 추가 제조할 화장품의 제조량 데이터는 완제품에서 요구되는 총 용량에서 견본으로서 제공된 용량을 제외한 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900)는 견본으로서 제공된 초기 무게와 수거된 무게의 차이를 감안하여 추가 제조할 화장품의 제조량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상술한 S210 이하의 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의 화장료 공급이 기 설정된 조성비에 따라 이뤄지고, 완제품 제조 모드로 데이터가 변경되어 있으므로 S31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S500 단계 이하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S360 단계의 판단 결과, 완제품 제조 요청이 아닌 경우, 제어부(900)는 사용자의 요청이 조성비 수정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80). 본 순서도에서는 S360 단계와 S380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제 제어 프로그램 상에서 이는 하나의 분기 로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S38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조성비 수정 요청이 아닌 경우 이는 제조된 견본의 폐기 요청으로 처리하며,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부품 공급부(160)로부터 혼합된 화장료가 저장된 혼합 용기(161)를 수거부(112)로 이동시킬 수 있다(S420). 이때, 제2 이송유닛(802)이 이송수단(800)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S38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조성비 수정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900)는 그와 같은 조성비 수정이 가능한지 판단한다(S390). 사용자의 수정 요청은 다양하게 이뤄질 수 있는 바, 경우에 따라서는 혼합 용기(161)에 기 제조된 화장료로는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성분의 화장료가 배제되거나, 특정 화장료가 완제품에 포함되어야 할 양보다 더 많이 투입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조된 호장료가 저장되어 있는 혼합 용기(161)에 추가적인 화장료 공급으로는 대응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9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조성비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S430), S420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된 견본인 혼합 용기(161)를 수거할 수 있다.
한편, S390 단계에서 조성비 수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900)는 수정 요청된 조성비에 따라 새로운 견본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비 데이터 및 제조량을 결정한다(S400). 이는 실질적으로 S150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이미 혼합 용기(161)에 투입되어 있는 화장료의 용량을 고려하여 각각의 화장료의 추가 투입량이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상술한 S210 이하의 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른 샘플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의 화장료 공급이 변경된 조성비 데이터 및 제조량에 따라 이뤄지고, 여전히 견본 제도 모드인 상태인 바 S31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S320 단계 이하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견본의 수정을 요청하는 횟수는 제한될 수 있고, 제어부(900)는 S350 단계, S370 단계의 수행 전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한된 횟수를 고지하거나, 더 이상의 견본 수정 요청이 불가능함을 알려줄 수 있다.
상술한 S310 단계 내지 S430 단계는 사용자에게 견본 화장품을 제공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 또는 자신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맞춤형 화장품의 견본을 수령하여 테스트해 보거나 이를 변경하여 다시 한번 테스트해 볼 수도 있고, 바로 완제품을 제조하거나 견본 테스트 후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 제조 장치(10)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S500 단계로서 수행되는 화장품 종류(예를 들어, 제1 용기인지 제2 용기인지 여부)에 따른 제조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13는 도 12의 화장품 종류에 따른 제조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S500 단계로서,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으로 혼합부(400)에서 혼합이 완료된 혼합 용기(161)를 부품거치유닛(50)(구체적으로는, 안착부(300))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안착부(300)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는 후속 공정을 위해 대기될 수 있다(S510).
S110 단계에서 수집된 화장품의 종류가 제1 용기인 경우(S520),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부품 공급부(160)에 제공된 토출부재(162)를 안착부(300)에 안착된 혼합 용기(161)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S610). 이 과정은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이송유닛(802)은 토출부재(162)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토출부재(162)를 계속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의 종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단말기(20)로부터 제어부(900)에 전달될 수 있다.이후,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안착부(300) 상의 혼합 용기(161)에 토출부재(162)를 결합시킨다(S620). 혼합 용기(161)와 토출부재(162)의 결합은 나사 결합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혼합 용기(161)는 안착부(300)의 혼합 용기 안착홈(30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송수단(800)은 혼합 용기(161)의 상단부에 토출부재(162)를 맞춘 후, 토출부재(162)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결합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토출부재(162)는 스트로우(1622)와 펌핑파트(1621)와 캡(162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스트로우(1622)는 캡(1623)과 혼합 용기(161)의 나사결합 이전에 혼합 용기(161)의 내부로 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스트로우(1622)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그 형상이나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바, 결합 과정에서 제1 이송유닛(801)이 스트로우(1622)가 혼합 용기(161)의 입구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이송유닛(802)이 캡(1623)을 파지하고, 제1 이송유닛(801)이 스트로우(1622)가 안착부(300)에 있는 혼합 용기(161)의 입구부(1611)와 정렬되도록 스트로우(1622)오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혼합 용기(161)와 토출부재(162)의 결합이 완료됨으로써 제1 용기가 완제품으로서 제공되고,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안착부(300) 상의 조립된 용기를 부품 공급부(160)로 이동시킬 수 있다(S630). 이는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S610 내지 S630 과정은 제1 용기의 조립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S520 단계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종류가 제2 용기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부품 공급부(160)에 있는 베이스 용기(164)를 조립부(500)로 이동시킨다(S710). 이 과정은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이송수단(800)은 안착부(300)로부터 혼합 용기(161)를 가져와 베이스 용기(164)의 내부로 혼합된 화장료를 부어서 배출할 수 있다(S720). 혼합 용기(161)로부터의 화장료 배출은 혼합 용기(161)를 회전시켜 중력에 의해 화장료가 자연스럽게 낙하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송수단(800)은 혼합 용기(161)를 소정 각도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혼합 용기(161) 내부의 화장료가 완전히 모두 배출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송수단(800)은 관성에 의해 조금이라도 더 많은 화장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혼합 용기(161)를 기 설정된 각도록 회전시켜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흔드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용기(161)는 150도 내지 180도 회전할 수 있으며, 180도 회전한 경우는 혼합 용기(161)의 입구부(1611)가 바닥을 향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S720 단계를 수행한 이송수단(800)을 더 제어하여 화장료의 배출이 완료된 혼합 용기(161)를 수거부(112)로 이동시켜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부품 공급부(160)로부터 함침부재(168)를 파지하여 화장료가 수용되어 있는 베이스 용기(164)에 삽입할 수 있다(S730). 이 과정은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900)는 함침부재(168)가 수용되어 있는 베이스 용기(164)를 이송수단(800)으로 흡습부(600)로 이동시킬 수 있다(S740). 이 과정은 제1 이송유닛(8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흡습부(600)에서는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를 통해 베이스 용기(164)를 흡습 도구(6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흡습 도구(620)에 의해 흡습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750). 제어부(900)는 베이스 용기(164)의 이동 및 흡습 도구(620)의 동작을 위해 이송수단(8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를 동작시켜 베이스 용기(164)를 이동시키는 동작은 제1 이송유닛(801)의해 수행되고, 흡습 도구(620)를 통해 흡습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은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흡습 과정은 제1 이송유닛(801)과 제2 이송유닛(802)의 협업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의 이동 구조는 상술한 혼합 용기 이송부(25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 이동 블록, 걸림 레버, 스토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의 이동 블록은 흡습 도구(620)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를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 의해, 베이스 용기(164)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료는 함침부재(168)에 충분히 함침될 수 있다.S750 단계에서의 흡습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흡습부(600)로부터 조립부(500)로 베이스 용기(164)를 다시 이동시킬 수 있다(S760). 이 과정은 제1 이송유닛(8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그리고,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부품 공급부(160)로부터 커버 용기(166)를 꺼내와 조립부(500) 상의 베이스 용기(164)에 결합시킬 수 있다(S770). 이 과정 또한 제1 이송유닛(8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 용기(164)와 커버 용기(166)의 결합이 완료됨으로써 제2 용기가 완제품으로서 완성되고, 제어부(900)는 이송수단(800)을 제어하여 조립부(500) 상의 조립된 용기를 부품 공급부(160)로 이동시킬 수 있다(S780). 이는 제2 이송유닛(8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S710 내지 S780 과정은 제2 용기의 조립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장품 제조 장치(10) 및 화장품 제조 장치(10)의 제어 방법은 펌프형 용기로서의 제1 용기와 콤팩트형 용기로서의 제2 용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제조 장치(10)는 제1 용기 및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화장품 용기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되고, 동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설명에서 다른 종류의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구성요소 및 제어 방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과 함께 도 14 내지 도 17을 더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흡습부(6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흡습부(600)는 화장료와 함침부재(168)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164)를 전달받아 함침부재(168)에 화장료를 함침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흡습부(600)는 상기 조립부(500)에 안착된 베이스 용기(164)에 화장료가 담기고, 그 화장료 위에 함침부재(168)가 수용된 상태에서 화장료가 함침부재(168)에 용이하게 함침(흡수)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이에 흡습부(600)는 흡습 도구(620) 및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습 도구(620)는 함침부재(168)를 기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여 화장료를 함침부재(168)에 함침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는 흡습 도구(620)에 의한 함침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화장료와 함침부재(168)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164)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흡습 도구(620)는 정위치 홀더(630) 및 가압부(64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웨이트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습 도구(620)는 안착부(300)와 조립부(500)가 제공되는 테이블(114)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정위치 홀더(630)는 테이블(114)의 하부에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정위치 홀더(630)는 지지대(631), 홀더부(632), 홀더 레버(633) 및 가이드부(6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631)는 홀더부(632), 홀더 레버(633) 및 가이드부(634)가 지지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632)는 지지대(631)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하방에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된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가 위치될 때 베이스 용기(164)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베이스 용기(164)의 정위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홀더 레버(633)는 지지대(631)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이송수단(800) 중 어느 하나의 이송유닛(예컨대, 제1 이송유닛(801))가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 지지대(631)를 움직일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634)는 테이블(114)의 하면과 흡습부(60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대(631)를 관통하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대(631)가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631)가 상승한 상태에서 홀더부(632)의 직하방에 베이스 용기(164)가 놓이게 되면 이송수단(800)이 홀더 레버(633)를 잡고 지지대(631)를 하방으로 하강시켜 홀더부(632)에 의해 베이스 용기(164)가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어 정위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 용기(164)가 움직이지 않고 정위치 상태에 고정되면 상기 가압부(640)가 정위치 홀더(630)내에서 승강되면서 베이스 용기(164)에 들어있는 함침부재(168)를 가압하여 베이스 용기(164)에 수용된 화장료가 함침부재(168)에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640)는 가압 실린더(641), 가압 핸들(642) 및 가압 스프링(6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가압 실린더(641)는 상기 홀더부(632)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홀더부(632)에 의해 정위치 상태로 고정된 베이스 용기(164)의 내부에 들어 있는 함침부재(168)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핸들(642)은 일부분이 가압 실린더(64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가압 실린더(641)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부분은 가압 실린더(641)의 상부 외부로 노출되어 이송수단(800)에 의해 눌러질 수 있도록 돌출된다.
또한, 가압 스프링(643)은 가압 실린더(641)와 가압 핸들(642)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가압 핸들(642)이 눌러질 때 그 외력을 가압 실린더(641)에 탄력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송수단(800)의 제2 이송유닛(802)이 가압 핸들(642)을 1회 이상 누르면 가압 실린더(641)가 함침부재(168)를 적절한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함침부재(168)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베이스 용기(164)의 화장료가 함침부재(168)에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웨이트부(660)는 정위치 홀더(630)에 어떠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을 때 베이스 용기(164)가 정위치 홀더(630)의 하방으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정위치 홀더(630)가 최대한 위로 상승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정위치 홀더(630)는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해 있을 수 있는 바,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된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가 정위치 홀더(630)의 하방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정위치 홀더(630)를 별도로 상승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된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의 진입시 정위치 홀더(630)와 간섭되지 않도록 웨이트부(660)를 이용하여 정위치 홀더(630)가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이트부(660)는 정위치 홀더(630)에 중력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정위치 홀더(630)에 연결 라인(661)을 매개로 연걸될 수 있다. 연결 라인(661)은 통상의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원할하게 연결 라인(661)의 방향이 전환되고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 라인(661)의 경로 상에는 하나 이상의 풀리와 같은 도르래 기구(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웨이트부(660)는 정위치 홀더(630)의 무게보다 더 무겁도록 구성되어 정위치 홀더(6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거나 제거되면 웨이트부(660)의 중량에 의해 정위치 홀더(630)가 상승되도록 한다.
따라서, 웨이트부(660)가 정위치 홀더(630)의 지지대(63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정위치 홀더(630)는 웨이트부(660)의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승해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정위치 홀더(630)가 웨이트부(660)에 의해 상승해 있기 때문에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에 베이스 용기(164)가 탑재된 상태에서 홀더부(632)를 별도로 들어올리지 않아도 베이스 용기(164)가 홀더부(63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베이스 용기(164)가 홀더부(632)의 하방에 위치하면, 이송수단(800)은 홀더 레버(633)를 잡고 아래로 눌러 홀더부(63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베이스 용기(164)를 정위치 상태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바, 이때 지지대(631) 및 홀더부(632)가 하방 이동됨에 따라 웨이트부(660)는 이송수단(800)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올라갈 수 있다.
또한, 함침부재(168)의 함침이 종료된 경우, 이송수단(800)이 홀더 레버(633)를 위로 살짝 들어올리면 웨이트부(660)의 자중에 의해 정위치 홀더(630) 전체가 쉽게 위로 상승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정위치 홀더(630)를 상승시키기 위해 이송수단(800)에 들어가는 외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는 흡습 도구(620)에 의해 함침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화장료와 함침부재(168)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164)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는 정위치 홀더(630)의 홀더부(632)의 하부 위치로 베이스 용기(16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는 정위치 홀더(630)의 하방까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화장료와 함침부재(168)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용기 이송부(650)는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651),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652),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653) 및 베이스 용기용 스토퍼(65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651)은 흡습 도구(620)의 외측으로부터 흡습 도구(620)의 하방까지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652)은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651) 상에 설치되어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651)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베이스 용기(164)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653)는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652)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652)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수단(800)은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653)를 잡고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652)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용기용 스토퍼(654)는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65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651)에 평행하게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65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용기용 스토퍼(654)에는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653)의 일측이 걸릴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걸림홈(654a)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654a)에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653)가 걸리면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652)의 이동이 제한되어 흡습부(600)의 흡습 과정시 베이스 용기(164)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화장품 제조 시스템 10 : 화장품 제조 장치
20 : 단말기
40: 운영서버 100 : 본체
140 : 화장료 저장부 160 : 부품 공급부
200 : 화장료 공급부 300 : 안착부
500 : 조립부 600 : 흡습부
700 : 서빙부 800 : 이송수단
900 : 제어부 600 : 흡습부
620 : 흡습 도구 630 : 정위치 홀더
640 : 가압부 650 : 베이스 용기 이송부

Claims (12)

  1. 함침부재에 화장료를 함침시키는 흡습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로서, 상기 흡습부는,
    상기 함침부재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를 전달받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베이스 용기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 용기에 수용된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흡습 도구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도구는 기 설정된 압력으로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는 상기 흡습 도구에 의한 함침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도구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용기의 정위치 상태를 유지시키는 정위치 홀더; 및
    상기 정위치 홀더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도구는,
    상기 정위치 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베이스 용기가 진입되도록 상기 정위치 홀더가 상승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되는 웨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홀더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하방에 상기 베이스 용기가 안착된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가 위치할 때, 상기 베이스 용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정위치 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더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 레버; 및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가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홀더부에 의해 정위치 상태로 고정된 상기 베이스 용기 내부의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실린더;
    일부분이 상기 가압 실린더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 실린더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가압 실린더의 외부로 노출되어 눌러질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압 핸들; 및
    상기 가압 실린더 및 상기 가압 핸들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상기 가압 핸들이 눌러질 때 그 외력을 상기 가압 실린더에 전달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정위치 홀더에 중력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정위치 홀더에 연결 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화장품 제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정위치 홀더에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웨이트부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정위치 홀더가 상승되도록 상기 정위치 홀더의 무게보다 더 무거운 중량이 제공되는
    화장품 제조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는,
    상기 흡습 도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흡습 도구의 하방 위치까지 연장되게 제공되는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
    상기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 상에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일측에 상기 베이스 용기가 안착되는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
    상기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 및
    상기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에 평행하게 베이스 용기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용기용 이동 블록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베이스 용기용 걸림 레버의 일측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베이스 용기용 스토퍼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10. 흡습부를 이용하여 함침부재에 화장료를 함침시키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함침부재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를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된 베이스 용기를 흡습 도구 하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된 상기 베이스 용기를 상기 흡습 도구의 정위치 홀더로 고정하는 단계; 및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기 함침부재를 상기 흡습 도구의 가압부로 적어도 한번 이상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가 수용된 베이스 용기를 베이스 용기 이송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이전에,
    이송수단에 의해 빈 상태의 혼합 용기에 화장료를 수용하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화장료가 수용된 혼합 용기로부터 상기 베이스 용기에 상기 화장료를 수용시키는 단계;
    이송수단에 의해 화장료가 저장된 상기 베이스 용기에 상기 함침부재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기 함침부재를 상기 흡습 도구의 가압부로 적어도 한번 이상 가압하는 단계 이후에,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베이스 용기를 조립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 용기에 커버 용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이송수단에 의해 조립이 된 완제품 용기를 상기 조립부로부터 서빙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122396A 2020-09-22 2020-09-22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3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96A KR102635556B1 (ko) 2020-09-22 2020-09-22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7/478,045 US20220088550A1 (en) 2020-09-22 2021-09-17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manufacturing system
JP2021152560A JP2022051710A (ja) 2020-09-22 2021-09-17 化粧品製造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化粧品製造システム
JP2021152561A JP2022051711A (ja) 2020-09-22 2021-09-17 化粧品製造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化粧品製造システム
US17/477,887 US20220091596A1 (en) 2020-09-22 2021-09-17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manufacturing system
CN202111097571.8A CN114247377A (zh) 2020-09-22 2021-09-18 化妆品制造装置、其控制方法以及化妆品制造系统
CN202111097559.7A CN114288941A (zh) 2020-09-22 2021-09-18 化妆品制造装置、其控制方法以及化妆品制造系统
EP21197815.0A EP3970845A1 (en) 2020-09-22 2021-09-20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manufacturing system
EP21197880.4A EP3970846A1 (en) 2020-09-22 2021-09-21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manufactu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96A KR102635556B1 (ko) 2020-09-22 2020-09-22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360A true KR20220039360A (ko) 2022-03-29
KR102635556B1 KR102635556B1 (ko) 2024-02-08

Family

ID=8099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396A KR102635556B1 (ko) 2020-09-22 2020-09-22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653A (ko) * 2005-05-13 2006-11-17 (주)아모레퍼시픽 오일리 메이크업 분말의 가압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694147B1 (ko) * 2015-02-03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함침재에 내용물을 함침시키는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180064963A (ko)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맞춤형 화장품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12597B1 (ko) * 2015-11-19 2018-10-2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화장품 제조공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8193106A (ja) * 2017-05-19 2018-12-06 株式会社南陽 スポンジファンデーション製造装置及びスポンジファンデーション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653A (ko) * 2005-05-13 2006-11-17 (주)아모레퍼시픽 오일리 메이크업 분말의 가압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694147B1 (ko) * 2015-02-03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함침재에 내용물을 함침시키는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912597B1 (ko) * 2015-11-19 2018-10-2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화장품 제조공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4963A (ko)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맞춤형 화장품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8193106A (ja) * 2017-05-19 2018-12-06 株式会社南陽 スポンジファンデーション製造装置及びスポンジファンデーショ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556B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835B2 (en) Automated delivery system of a cosmetic sample
JP2021527457A (ja) 化粧品ディスペンサー
JP7317130B2 (ja) カスタムブレンド合成物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3152700A1 (en) Dye dispensing system
EP3970846A1 (en)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manufacturing system
JP2023528554A (ja) 化粧品材料の分注のための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220039360A (ko)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9357A (ko)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35576B1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102635579B1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396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381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472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20220039204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US20230232964A1 (en) Apparatus for Connected Hair Pigment Dispenser
EP4091498A1 (en) Dispenser
KR20230140001A (ko) 진동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KR20230139995A (ko) 화장품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078361A (ko)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102334651B1 (ko) 화장품 제조장치
KR102496757B1 (ko)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KR102236106B1 (ko) 피부미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00492B1 (ko)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장치
KR102649398B1 (ko) 염색제 제공 시스템
KR20240020582A (ko) 화장품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