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757B1 -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757B1
KR102496757B1 KR1020220087372A KR20220087372A KR102496757B1 KR 102496757 B1 KR102496757 B1 KR 102496757B1 KR 1020220087372 A KR1020220087372 A KR 1020220087372A KR 20220087372 A KR20220087372 A KR 20220087372A KR 102496757 B1 KR102496757 B1 KR 10249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mirror
cartridge
cosmetics
informat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권종오
Original Assignee
(주)퀸덤
주식회사 구즈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퀸덤, 주식회사 구즈토 filed Critical (주)퀸덤
Priority to KR102022008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스마트 거울을 구비하며,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카트리지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하부 중심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하부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디스펜서부와, 상기 디스펜서부를 중심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링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화장품 공급장치; 및 상기 화장품 공급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 정보를 제공하고, 날씨,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마마트 거울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Smart mirror type cosmetic supply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객관적인 피부 타입 및 상태를 진단하여 분석 결과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고, 사용자 피부 타입에 가장 적합한 화장품 및 사용량으로 자동으로 조절 및 토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약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여 필요에 따라 공급하는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용기본체의 내부에 피스톤을 내장하여 피스톤을 가압함에 따라 내용물을 공급하는 주사기형 용기가 여러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사기형 용기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단일의 내용물을 수용하였다가 피스톤 가압시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었다.
내용물 중에는 소정의 액상 화장품과 미백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잔주름 제거 등에 효과가 좋은 비타민이나, 통 상적인 겔(gel)상의 화장품이 담겨 진다.
통상적인 아이 크림 등 한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각 사용 회차마다 사용할 양만큼 캡슐 등의 형태로 개별포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은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도 비교적 많은 양이 캡슐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용기에 수용한 후 일반적인 스포이드나 주사기구 조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거나 푸쉬 펌프(push pump)의 구성을 가지는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사용할 때마다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포이드 구조의 인출 수단의 경우 고무로 된 압착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입되어 인출되는 양이 변동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1209호(명칭: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등록일자: 2013년 9월 16일)이 선행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사용자가 매번 다른 상품을 써보고 우연히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발견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자신의 피부 타입에 대한 정보를 알기 어렵고, 정보의 다양화로 인해 지인 추천, 인터넷 검색 등의 간접 경험 정보에 의해 구매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날씨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화장품 사용법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 사용자 맞춤형 피부 컨설팅 및 화장품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 거울을 사용하면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스마트 거울 하단으로 손을 근접시키면 사용자에게 알맞는 화장품이 자동으로 순서에 따라 최적의 적정량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화장품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둘째,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획득한 피부 또는 얼굴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객관적인 피부 타입 및 상태를 진단하여 분석 결과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셋째, 본 발명은 피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피부 타입에 가장 적합한 화장품 정보를 제공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획득한 실시간 온도, 습도 및 날씨에 맞게 화장품 사용량을 자동으로 조절 및 토출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 잔여량을 모바일 기기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제1 수단은,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로, 전면에 스마트 거울을 구비하며,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카트리지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하부 중심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하부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디스펜서부; 및 상기 디스펜서부를 중심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링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제2 수단은,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으로, 전면에 스마트 거울을 구비하며,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카트리지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하부 중심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하부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디스펜서부와, 상기 디스펜서부를 중심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링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화장품 공급장치; 및 상기 화장품 공급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 정보를 제공하고, 날씨,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마트 거울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링형 지지 프레임은, 바닥에 지지되는 원판형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하여 고정되는 타원 링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디스펜서부는, 전면부에 설치되어 하단부에 환경정보, 카트리지 정보 및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 거울; 상기 스마트 거울 후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 케이스; 상기 타원형 케이스 내부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형 화장품 카트리지; 상기 막대형 화장품 카트리지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하단부에 형성된 토출구와 연결되어 제어 동작에 의해 상기 화장품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 상기 스마트 거울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하단으로 인입되는 사용자 손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스마트 거울과 상기 토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수신받은 상기 환경정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화장품의 토출량을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장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의 토출량을 계산하고, 상기 잔존량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수신받은 카트리지의 잔존량이 미리 설정된 잔존량 이하가 되면, 해당 카트리지를 자동 주문하도록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는, 토너 카트리지, 앰플 카트리지 및 크림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획득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저장하고, 미리 수집한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피부상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피부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컨설팅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얼굴 피부 타입 및 상태를 진단 및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와 현재 날씨,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사용자 맞춤의 화장품 및 토출량으로 화장품을 토출시켜 화장품을 공급하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와 피부 컨설팅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되는 피부 케어 서비스 또는 화장품 카트리지의 정기 구독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카트리지 정보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촬영되어 수집된 얼굴 또는 피부 영상, 사용자의 사용자 리뷰 또는 만족도 조사 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장품 카트리지 제조 공정의 스마트화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의 데이터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등의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메이크업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이 구매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스마트 스토어 연동하여 뷰티 케어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블록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의 화장품 카트리지 교체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블록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스마트 거울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블록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은, 전면에 스마트 거울(132)을 구비하며,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카트리지(133)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하부 중심의 토출구(134a)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134a) 하부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134a)를 통해 토출되는 디스펜서부(130)와, 상기 디스펜서부(130)를 중심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링형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화장품 공급장치(100); 및 상기 화장품 공급장치(1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133) 정보를 제공하고, 날씨,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마마트 거울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자신의 얼굴 피부 타입 및 상태를 진단 및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와 현재 날씨,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알맞는 화장품 조합을 다수개의 화장품 카트리지(133)가 구비되어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정량의 화장품을 자동으로 토출시켜 화장품을 공급하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인의 피부 타입 등에 대한 정보와 그에 알맞는 화장품을 찾기가 쉽지 않고, 외부 환경에 따른 화장품의 올바른 사용이 쉽지 않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인의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피부 타입 및 진단 정보와 날씨, 온도 및 습도 등의 얼굴 피부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제공되는 피부 진단 정보 및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스마트 거울(132) 후면에 구비되는 화장품 공급장치(100)에 의해,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화장품 조합, 순서 및 정량으로 화장품을 공급할 수 있으며, 스마트 거울(132)을 통해 해당하는 공급되는 화장품의 정보, 환경정보 등을 거울의 하단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20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 자신의 얼굴 또는 피부 상태를 촬영하여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에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외부의 피부 컨설팅 서버(300)와 연동하여 진단 및 분석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서 쵤영된 피부 데이터를 다수개의 항목으로 분석하는 피부 타입 진단 알고리즘을 통해 피부 상태 진단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고, 국소 부위가 아닌 얼굴 전체로 확대함으로써 전체 부위에 대한 피부상태 진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피부 상태에 알맞는 최적의 화장품 및 사용법(레시피)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품 공급장치(100)는 링형 지지 프레임(110)과 중심 양측에서 회동가능한 화장품의 자동으로 공급되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디스펜서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100)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100)는 전면에 사용자가 화장을 할 때 필수적으로 필요한 거울의 기능과 장치의 동작 정보와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거울(132)을 구비하고, 후면에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화장품을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134a)를 통해 일정량의 화장품을 토출 되도록 화장품 카트리지(133), 토출장치(134), 감지 센서 및 무선통신장치와 이들을 통합 제어하는 제어부(MCU)가 수납되어 구비되는 화장품 디스펜서부(130)와 화장품 디스펜서부(130) 측면 양쪽을 중심으뢰 스마트 거울(132)이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링형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형 지지 프레임(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되는 원판형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하여 고정되는 링형 프레임으로 구비되 것일 수 있다. 즉, 저면에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재질로 바닥에 마찰력을 높여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원판형 바닥부와, 원판형 바닥부 중심에서 일측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직립되는 타원 링 형상의 프레임(111)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타원 링 형상의 프레임(111)을 일정한 넓이를 갖는 막대가 수직한 방향의 길이 방향을 갖는 타원을 형성하는 구조로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원판형 바닥판 중심에 고정 연결된 구조이고, 내측 중심 양측에는 디스펜서부(130)가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힌지(115)를 구비할 수 있다. 힌지(115)를 통해 스마트 거울(132)이 회동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할 때 각도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부(130)의 후면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31)와 수납되는 다수개의 화장품 카트리지(133)를 교체하기 위해 열거나 닫는 커버(131c)를 구비하고, 디스펜서부(130) 하단에는 화장품 카트리지(133)에서 토출되는 화장품을 토출장치(134)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134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100)의 화장품 카트리지(133) 교체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화장품 카트리지(133)를 교체하기 위한 디스펜서부(130)의 후면 커버(131c)를 개방하는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디스펜서부(130)의 케이스(131)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화장품 카트리지(133)를 탈착시키는 모식도를 도시한다.
이처럼 디스펜서부(130) 후면에는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타원형의 케이스(131)를 구비하고, 케이스(131) 내부에 토너 카트리지, 앰플 카트리지 및 크림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막대형 화장품 카트리지(133)가 다수개 장착되어 수납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카트리지와 말단에 접촉하여 화장품의 토출과 토출시간, 토출속도, 토출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토출장치(134)가 구비되어 디스펜서부(130) 중심 최하단 말단부에 형성된 토출구(134a)와 연결되어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40여개의 화장품 레시피 중 피부 진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개인 피부에 맞는 처방형 카트리지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피부에 알맞는 최적의 화장품을 쉽고 간편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화장품 카트리지(133)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 캡슐 구조로 내부에 일정량의 화장품이 들어가 있고, 하단에는 토출장치(134)의 결합부와 결합 접촉할 수 있는 토출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토출부는 평상시에는 화장품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밀폐되어 있지만,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134b)가 토출부를 가압하면서 결합 접촉되는 경우, 밀폐가 해제되어 화장품이 결합부를 통해 토출장치(134)의 내부 유로관(미도시)을 통해 말단의 토출구(134a)를 통해 토출될 수 있으며, 토출장치(134)의 내부 유로관을 제어하여 토출시간, 토출속도, 토출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화장품 카트리지에서 토출구로 연결되는 유로관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화장품이 서로 혼합되거나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막대형 카트리지의 토출부와 토출장치(134), 결합부의 구조는 간단한 접촉 결합에 의해 화장품을 용이하게 외부로 토출 가능하도록 하고, 토출시간, 토출량, 토출 속도 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변형 또는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블록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은, 디스펜서부(130)와, 상기 디스펜서부(130)를 중심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링형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화장품 공급장치(100); 및 상기 화장품 공급장치(1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133) 정보를 제공하고, 날씨,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마트 거울(132)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펜서부(130)는, 전면부에 스마트 거울(132)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 케이스(131); 상기 타원형 케이스(131) 내부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형 화장품 카트리지(133); 상기 막대형 화장품 카트리지(133)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31) 하단부에 형성된 토출구(134a)와 연결되어 제어 동작에 의해 상기 화장품을 토출 시키는 토출장치(134); 상기 스마트 거울(132)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134a) 하단으로 인입되는 사용자 손을 감지하는 감지부(136); 상기 스마트 거울(132)과 상기 토출장치(13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5); 및 상기 모바일 기기(20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37)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137)는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미용 컨설팅 서버(300)와 연결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장치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작동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거울(132) 하단으로 손을 인입시키면 디스펜서부(130)의 감지부(136)가 사용자 손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35)가 수신받아 토출장치(134)를 통해 미리 설정된 화장품 카트리지(133)의 순서, 토출량 등의 제어정보에 따라 화장품을 토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감지부(136)는 사용자가 스마트 거울 하단으로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손을 인입시켰을 경우,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센서 기기로서,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 광 또는 전자파 등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모두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화장을 하기 위해, 스마트 거울 하단에 손을 근접시키는 경우, 디스펜서부(130)의 토출구(134a) 내부 또는 일측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35)가 수신받아 미리 설정된 화장품 및 토출량으로 화장품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토출장치(134)에 제어명령을 보내고, 토출장치(134)에 의해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을 순차적으로 토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공급장치는, 최초 사용자가 토출구(134a) 하단으로 손을 근접시키면,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최초 제1 단계의 미리 설정된 화장품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을 최적의 사용량으로 토출된다. 사용자가 제1 단계에서 토출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다시 토출구(134a) 하단으로 사용자의 손을 근접시키는 경우 적외선 센서가 다시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제2 단계의 화장품을 최적의 사용량으로 토출되고, 사용자가 화장품을 순서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맞는 최적의 사용량으로 화장품을 사용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사용자가 토출구(134a) 하단으로 손을 근접시키면 최종 제 3단계의 화장품이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적 사용 단계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작동할 수 있는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화장품 카트리지(133) 순서, 토출량 등의 제어정보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수집한 날씨,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정보와, 사용자가 촬영하여 획득한 얼굴 및 피부의 영상을 분석하여 피부 진단 및 분석 정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 앰플 카트리지 및 크림 카트리지의 토출 순서 및 토출량 등의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135)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수신받은 환경정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화장품 카트리지(133) 정보(카트리지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종류, 수용량, 유통기한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화장품의 토출량이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장치(13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의 토출량을 계산하고, 상기 잔존량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200)가 상기 수신받은 카트리지의 잔존량이 미리 설정된 잔존량 이하가 되면, 해당 카트리지를 자동 주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거울(132)은 전술한 모바일 기기(200)에서 수집한 날씨,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정보를 하단부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동작 여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무선통신 기기의 동작여부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스마트 거울(132)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의 스마트 거울(132)의 상단은 전면 거울에 해당하고, 하단 위치에는 디스플레이부(13)는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또는 디스펜서부(13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LED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200)에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실시간을 현재 날씨(13b), 온도(13a), 습도, 미세먼지 정보 등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전술한 스마트 거울(132)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마트 거울(132)에 표시되는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135)가 해당 날씨 또는 환경에 알맞는 화장품의 종류 또는 토출량 등을 산출하거나 미리 설정된 토출량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환경정보의 하단 영역에는 화장품 카트리지(133) 정보(13d)를 표시할 수 있는데, 토너, 앰플, 크림 등이 토출될 때 표시등으로 표시하여 각 화장품 카트리지(133)의 화장품의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화장품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토출되는 동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 표시등(13e)을 더 구비하여 명확하게 화장품 카트리지(133)의 동작 및 화장품 토출 여부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거울(132) 최 하단 중심에는 디스플레이부(13)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13f)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스마트 거울(132)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확장된 뷰티 케어 서비스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와 피부 컨설팅 서버(300)와 연동하여 실행되는 피부 케어 서비스 또는 화장품 카트리지(133)의 정기 구독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카트리지(133) 정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촬영되어 수집된 얼굴 또는 피부 영상, 사용자의 사용자 리뷰 또는 만족도 조사 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장품 카트리지(133) 제조 공정의 스마트화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의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고, 모바일 기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등의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메이크업 정보제공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구매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스마트 스토어 서비스로도 확장 가능하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200)와 함께 피부 케어 서비스 플랫폼을 구성하는 피부 컨설팅 서버(300)는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획득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저장하고, 미리 수집한 피부 관련한 빅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피부상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피부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에 적용되는 피부 케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의 웹 및 앱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모바일 기기
200: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
300: 피부 컨설팅 서버

Claims (7)

  1. 삭제
  2. 전면에 스마트 거울을 구비하며,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카트리지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하부 중심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하부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디스펜서부와, 상기 디스펜서부를 중심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링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장품 공급장치; 및
    상기 화장품 공급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 정보를 제공하고, 날씨,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마트 거울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며, 카메라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디스펜서부는,
    전면부에 설치되어 하단부에 환경정보, 카트리지 정보 및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 거울;
    상기 스마트 거울 후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 케이스;
    상기 타원형 케이스 내부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형 화장품 카트리지;
    상기 막대형 화장품 카트리지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하단부에 형성된 토출구와 연결되어 제어 동작에 의해 상기 화장품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
    상기 스마트 거울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하단으로 인입되는 사용자 손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스마트 거울과 상기 토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수신받은 상기 환경정보,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 및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화장품의 토출량을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화장품의 토출량을 계산하며, 상기 잔존량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수신받은 카트리지의 잔존량이 미리 설정된 잔존량 이하가 되면, 해당 카트리지를 자동 주문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카트리지는,
    토너 카트리지, 앰플 카트리지 및 크림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획득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저장하고, 미리 수집한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피부상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컨설팅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시스템.
KR1020220087372A 2022-07-15 2022-07-15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KR102496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72A KR102496757B1 (ko) 2022-07-15 2022-07-15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72A KR102496757B1 (ko) 2022-07-15 2022-07-15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757B1 true KR102496757B1 (ko) 2023-02-09

Family

ID=8522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372A KR102496757B1 (ko) 2022-07-15 2022-07-15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7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080B1 (ko) * 2014-10-11 2016-01-19 이순탁 화장품 디스펜서
KR20180127697A (ko) * 2017-05-22 2018-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1126502A (ja) * 2020-02-11 2021-09-02 アイコン・エーア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ICON AI Inc.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て人工知能ボイスアシスタントと連動するスマートメイクミラー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080B1 (ko) * 2014-10-11 2016-01-19 이순탁 화장품 디스펜서
KR20180127697A (ko) * 2017-05-22 2018-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1126502A (ja) * 2020-02-11 2021-09-02 アイコン・エーア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ICON AI Inc.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て人工知能ボイスアシスタントと連動するスマートメイクミラーデバ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4295B2 (en) Consumer products applicator and related methods
US10314740B2 (en) Eye drop dispenser
US8245877B2 (en) Dispenser with palm reader
DK3099355T3 (en) Therapeutic product release device
EP13823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customized pharmaceutical mixture
JP2020520754A (ja) 化粧品供給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07530224A (zh) 使用传感器监测药物方案依从性
WO202000655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item location, list creation, routing, imaging and detection
CN105228943A (zh) 能确定容器的饮料容积的饮料制备机器和相应方法
KR20030028745A (ko) 개별 맞춤형 화장 조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3311788A1 (en) Ocular instillation assisting tool
CA3132309C (en) Custom formulation systems
KR102496757B1 (ko)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시스템
CN116761668A (zh) 用于化妆品分配装置的智能隔室系统
KR20210125154A (ko) 복약 관리 시스템
KR20160134950A (ko)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20095768A1 (en) Dermal spray apparatus and method
US20220382241A1 (en) Cosmetic manufacturing device, and discharge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osmetic manufacturing device
CN112006579A (zh) 洗手液的分配方法和基于物联网的体温监测洗手液机
KR20180077622A (ko) 의약품 자동판매기
EP3766472A1 (en) Instillation assistance tool
CA3146544A1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US20220091596A1 (en)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manufacturing system
US10912716B2 (e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delivery and taking of medication pills and a monitoring method
KR20220039204A (ko) 화장품 제조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화장품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