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850B1 - 피부색조정용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색조정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850B1
KR100509850B1 KR1019950030375A KR19950030375A KR100509850B1 KR 100509850 B1 KR100509850 B1 KR 100509850B1 KR 1019950030375 A KR1019950030375 A KR 1019950030375A KR 19950030375 A KR19950030375 A KR 19950030375A KR 100509850 B1 KR100509850 B1 KR 10050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kin
composition
light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986A (ko
Inventor
기무라아사
요시다마리
야기타요시아키
다나카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247315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93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731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46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731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667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96000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색 조정 방법,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및 이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착색 운모티탄에 관한 것으로서,
모반, 혈관종, 불그레한 얼굴, 검버섯, 주근깨등에 의해 생긴 피부의 이상 농색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 조정하려고 하는 피부색에 대해서 보색 또는 보색 근방의 색 영역을 투과 간섭광으로서 갖는 물질을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로서 배합한 후, 상기 조성물을 피부의 농색 부분에 피복한 것으로 피부의 투명감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모양으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한 피부색 조정 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이며, 또한 표면 산화철에 의한 빛의 흡수를 크게 하고 투과 간섭색이 약해지지 않도록 한 상기 피부색 조정 조성물로서 평균 입자 직경 60∼150nm의 미립자 산화철을 운모티탄 상에 피복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DJUSTING SKIN-COLOR}
본 발명은 피부색 조정 방법,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및 이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착색 운모티탄, 구체적으로는 모반, 혈관종, 불그스런 얼굴, 검버섯, 주근깨 등에 의해 발생한 피부의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피부색 조정 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에 적합하고 뛰어난 2색성과 고채도의 투과광을 가지는 착색 운모티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료, 예를들면 메이크업 화장료는 화장료 기제로서의 탈크, 산화티탄, 마이카, 카올린, 산화아연, 탄산 마그네슘 등의 백색안료와, 산화철, 카본블랙, 레이크안료 등의 착색안료 및 염료, 유지류, 유화제, 항료 등을 적당하게 배합해서 백분, 고체형 백분, 유화형 파운데이션, 수분산형 파운데이션, 유분산형 파운데이션, 립스틱의 화장료로서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서는 특허공개 90-30401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고은폐성 분말체를 사용한 피부의 변색트러블용의 메이크업 화장료가 보고되는 등,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커버하는 화장료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피부의 변색트러블을 커버하기 위한 종래의 화장료는 이들의 이상색을 가지는 피부를 이산화티탄, 아연화등의 은폐력이 큰 기제로 피복함으로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감추고 또한 피부상의 조성물색을 원하는 피부색으로 조정하기 위해 안료를 배합한 화장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배합해서 얻어진 이들의 화장료는 피부의 변색트러블(검버섯, 주근깨, 모반, 혈관종 등)을 자연스런 형태로 커버하는 것은 어렵다.
즉, 모반이나 혈관종과 같은 농색, 또는 광범위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에 대해서는 고은폐성의 기제를 사용하거나 두꺼운 칠을 하거나 안료 배합량이 많은 화장료를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투명감이 있는 피부색을 연출할 수 없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즉, 피부는 그 표면만으로 빛을 반사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빛에 대해서 반투막형상으로 되어 있다. 빛은 피부중에 수 mm에 걸쳐 투과하고 각 피부층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피부의 외관이 보호된다. 이 때문에 피부는 투명감이 있는 독특한 외관을 띈다. 그러나 은폐력이 큰 안료 등을 다량으로 사용하면 빛은 실질적으로 모두 안료층에서 반사해 버리고 투명감이 전혀 없는 부자연스런 외관으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의 충분한 커버능력을 가지고 또한 피부의 투명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피부색 조정방법,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착색 운모티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운모티탄과 같은 특정한 파장의 빛을 투과한다는 필터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에 착안해서 이 필터효과를 사용하면 투명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피부의 이상농색부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미립자 산화철을 운모티탄상에 피복함으로써 뛰어난 2색성을 가지고 투과간섭광이 착색제에 의해 약화되지 않는 착색 운모티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색 조정방법은 간섭광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하고 그 투과간섭광의 파장을 임의로 조정하고 간섭작용에 의해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투과간섭광의 파장을 피부의 농색부분에 대해 보색의 투과간섭색이 되도록 조정한 물질을 상기 피부상에 피복함으로서 피부의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은 조정하고자 하는 피부색에 대해 보색 또는 보색에 근접한 색영역을 투과광으로서 가지는 물질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정하고자 하는 피부색에 대해 보색 또는 보색에 근접한 색영역을 투과광으로서 가지는 물질의 배합량이 전체분말량에 대해 10중량%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조정하고자 하는 피부색에 대해 보색 또는 보색에 근접한 색영역을 투과광으로서 가지는 물질이 운모티탄인 것이 적합하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색 조정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은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조정하고자 하는 피부색에 대해 보색 또는 보색에 근접하는 색영역을 투과광으로서 가지는 물질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에 대해 보색의 색을 투과간섭색으로서 가지는 물질(이하 간섭성 물질이라 한다)은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배합되고, 일반적으로 무색 혹은 유색으로 투명하고 얇은 물질 또는 그것을 박막으로서 담체상에 피복한 물질을 그 색조나 두께 또는 박막두께를 소정의 값으로 조정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기제의 은폐력을 이용하지 않고 간섭을 가지는 물질의 투과간섭광이 특정한 파장의 광에 대한 필터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에 착안해서 이 필터효과를 이용해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조정하는 피부색 조정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개발했다. 그 작용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A) 도에 있어서 피부(10)에는 통상의 피부색 부분(10a)과, 변색부분(여기서는 청색변색이라 한다)(10b)이 존재하고 있다. 이 피부(10)상에 백색광(12)이 조사되면 피부(10a)로부터의 반사광은 개념적으로 청색계 반사광(12a)과 적색계 반사광(12b)이 균형을 취한 상태로 구성되고 아름다운 피부색으로서 유지된다. 한편 피부(10b)로부터의 반사광은 청색계 반사광(12a)과 적색계 반사광(12b)의 균형이 깨져 청색계 반사광(12a)의 반사량이 상대적으로 상당히 많게 되기 때문에 파랗게 보이게 된다.
이와같은 피부의 변색부분(10b)을 은폐하기 위해 종래에 있어서는 제 1(B) 도와 같이 은폐력이 큰 안료층(14)을 피부(10)상에 설정한다. 이 결과 빛은 모두 안료층(14)에 의해 반사되고 안료층(14)의 색이 그대로 피부색으로서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은폐력이 높은 안료층(14)은 빛을 투과하지 않고 피부가 가지는 자연스러운 투명감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은폐력이 낮고 또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의 색조와 보색관계에 있는 투과광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이다.
즉, 제 1(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면 투과간섭광이 적색계 광(12b')이고 반사간섭광이 청색계 광(12a')인 운모티탄(16)을 배합한 조성물(18)을 피부(10)에 도포한다. 그리고 백색광에 조사되면 운모티탄(16)에 의해 청색간섭색(12a')이 반사되고 피부(10)에는 투과 적색간섭광(12b')이 도착한다. 투과 적색계간섭광(12b')은 투과한 피부색 부분(10a)으로부터는 상기 제 1(A) 도와 같이 반사 되고 한쪽 청색 변색부분(10b)에서도 같은 투과 적색 간섭광(12b')이 조사되지만 청색광 성분은 그다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동 변색부분(10b)으로부터의 반사광에도 청색성분은 거의 포함되지 않는다.
그 결과 통상의 피부색 부분(10a)이나 이상 청색부분(10b)도 거의 동일한 색조로서 유지된다. 또한 조성물질층(18)자체의 은폐력은 낮기 때문에 피부(10)에 상당량의 빛이 조사되고 피부자체가 가지는 자연스러운 투명감도 충분히 발휘된다.
다음으로 제 2 도에 의거해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투과간섭광을 가지는 물질(박막)에 단색광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간섭광에 대해 고찰하면 제 2(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막(1)에 단색광(2)이 입사된 경우, 박막(1)에 입사한 단색광의 일부분은 그 제 1 면(1a)으로부터 반사되어 3a가 되고 그 나머지의 빛은 박막(1)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고 제 2 면(1b)으로부터 반사 되어 3b가 된다. 여기서 제 1 면(1a)에서 반사된 빛(3a)과 제 2 면(1b)에서 반사된 빛(3b)이 동시에 눈으로 들어온다. 그러나 여기서 2개의 다른 매체의 경계면에 있어서 위상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즉 굴절율 n의 매체(5)내를 진입해 간 빛이 굴절율 n'의 매체(박막 1)와의 경계면에 있어서 반사 및 굴절을 이루었을 때, n>n'인 경우에는 입사광선과 반사광선이 입사점에 있어서 동일 위상차를 가지고 n<n'의 경우에는 입사광선과 반사광선과의 사이에 π만큼의 위상차를 발생한다. 그것을 파장의 벗어남으로 표현하면 반파장의 벗어남이 된다.
그래서 광학적으로 기밀한 매체로부터 광학적으로 소홀한 매체로 입사한 광선이 그 경계면에 있어서 반사할 때에는 파형은 그대로 굽은 형태로 반사하지만 광학적으로 소홀한 매체로부터 광학적으로 기밀한 매체로 진입해 그 경계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경우에는 입사점 부근에서 반파장 만큼 분실된 형태로 반사한다. 그러나 굴절의 경우에는 n>n'이거나 n<n'이더라도 굴절광선에 위상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의 경우에는 박막(1)의 두께가 사용되고 있는 빛의 파장의 정수배인 곳에서 그 작용이 없어지고 따라서 어둡게되고 박막(1)의 두께가 빛의 반파장, 또는 그 기수배인 곳에서 그 작용이 강하게 되어 밝게 보인다.
또한 투과간섭광에 대해 고찰하면 제 2(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한 물체의 박막(1)에 단색광(2)이 입사한 경우 박막(1)의 면(1a)에서 입사한 단색광의 일부분은 박막(1)을 통과해서 제 2 면(1b)에서 출사해서 4a가되고 나머지의 빛은 제 2 면(1b)에서 반사해서 제 1 면(1a)에서 다시 반사한 후 제 2 면(1b)에서 출사 해서 4b가 된다. 그리고 이 투과간섭광(4)은 박막(1)의 두께가 사용되고 있는 빛의 파장의 정수배인 곳에서 그 작용이 강해 밝게 보이고 박막(1)의 두께가 빛의 반파장, 또는 그 홀수배인 곳에서 그 작용이 없어져 어둡게 보인다.
이상은 단색광을 박막에 조사한 경우에 대해서 사용되는 박막의 두께와 빛강도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했지만 어느 특정한 막두께를 가지는 박막에 자연색광을 접한 경우에는 강해진 파장광이 박막의 두께에 의해 변화한다. 그리고 소정의 박막두께에서 어느 파장광이 반사간섭광에 있어서 그 작용을 강하게 해서 밝게 보인 경우에는 투과간섭광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그 작용을 약하게 해서 어둡게 보인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반사간섭광의 파장광과 보색관계에 있는 투과 간섭색이 얻어진다. 이와같이 간섭을 가지는 물질은 특정한 파장광에 대한 필터효과를 가지고 있고 박막두께를 제어하는 것으로 임의의 파장광의 필터로 할 수 있다.
한편,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은 피부에 백색광이 입사하고 그 이상 농색부분에 대응하는 파장광을 산란반사하는 결과 인식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백색광의 안쪽에서 특히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에 대응하는 파장광을 상기한 원리에 의거 제거한 광이 피부에 입사하도록 하면 좋다.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가령 청색색계라고 하면 청색계에 대응하는 400∼550nm부근의 파장광을 투과간섭광에 포함하지 않는, 또는 적은 물질을 피부상에 피복함으로써 피부내에서의 청색계의 발색이 자연스럽게 억제되고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투과간섭광의 파장의 억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박막두께를 조정하는 것으로 임의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표면간섭광(반사간섭광)에 대해서는 상기한 원리에 의거 투과간섭색과 보색관계에 있는 파장광이 강조된다. 따라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이 청색계라고 하면 푸른 표면간섭색이 되지만 간섭색은 빛의 입사각에 대해서 방향성이 있고 정반사 근방에서 강하게 발현하고 그 밖의 방향에서는 거의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로 파운데이션을 피복함으로써 또는 간섭광을 가지는 물질과 동시에 착색제를 배합함으로써 색수정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적색계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피부색 조정방법 또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로서 투과광이 파장 400∼550nm에 최대피크(청색∼녹색계)를 가지는 물질을 전체 분말량에 대해 10 중량% 이상 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 조정 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방법 및 조성물은 특히 혈관종과 같은 피부가 빨간 농색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유용하다. 파장 400∼550nm의 투과 간섭광을 최대 피크(청색∼녹색계)에 가지는 물질은 운모티탄을 소재로서 사용한 경우 운모상에 광학적 박막이 190∼270nm 또는 405∼500nm의 이산화티탄을 피복한 것이 해당한다.
또한 하기 A의 측정법에 의해 구해진 은폐력이 100 이하이고 또한 하기 B의 측정법에 의해 구해진 적색 커버력이 적어도 8 이상인 피부의 적색계의 이상 농색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피부색 조정 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이다.
A :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농도 80중량% 니트로셀룰로오스 부형제(VEHICLE)에 혼합한 후 백색 및 흑색의 바탕을 가지는 은폐력 시험지에 두께 30㎛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기 백색바탕과 흑색바탕에 대해 색을 측정한 값의 색차 △E를 사용해서 하기식(1)에 의해 구한다.
은폐력 = (1 ÷△E) X 100 …(1)
B :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농도 80중량%로 니트로셀룰로우스 부형제에 혼합한 후 적색투명 PET필름에 두께 30㎛가 되도록 도포하고 입사광각 45° 수광각 -15°로 측정을 실시해서 하기식(2)에 의해 구한다.
적색커버력 = {(V-W)/V} x 100 …(2)
(식중 V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있지 않는 적색투명 PET필름의 600∼730nm에 대한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내고, W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분포한 적색투명 PET필름의 600∼730nm에 대한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적색커버력은 10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의 청색계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하는 피부색 조정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투과광이 파장 400∼550nm에 최소피크(황색∼적색계)를 가지는 물질을 전체분말량에 대해 10중량%이상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 조정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이다. 이 방법 및 조성물은 특히 모반과 같은 피부가 파란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유용하다.
파장 400∼550nm의 투과 간섭광을 최소 피크(황색∼적색계)에 가지는 물질은 운모티탄을 소재로서 사용한 경우 운모상에 광학적 막두께가 290∼380nm 또는 530∼660nm의 이산화티탄을 피복한 것이 해당된다.
또한 하기 A의 측정방법에 의해 구해진 은폐력이 100 이하이고 또한 하기 C의 측정법에 의해 구해진 청색 커버력이 적어도 40 이상인 피부의 청색계의 이상 농색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하는 피부색 조정 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이다.
A :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농도 80중량%로 니트로셀룰로오스 부형제에 혼합한 후 백색 및 흑색 바탕을 가지는 은폐력 시험지에 두께 30㎛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기 백색 바탕과 흑색 바탕에 대한 측정 값의 색차 △E를 사용해서 하기식(1)에 의해 구한다.
은폐력 = (1 ÷△E) x 100 …(1)
C :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농도 80 중량%로 니트로셀룰로오스 부형제에 혼합한 후 청색 투명 PET필름에 두께 30㎛가 되도록 도포하고 입사광각 45° 수광각 -15°로 측정을 실시해서 하기식(3)에 의해 구한다.
청색커버력 = {(X-Y)/X} x 100 …(3)
(식중 X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있지 않는 청색투명 PET필름의 400∼550nm에 대한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내고, Y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분포한 청색투명 PET필름의 400∼550nm에 대한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청색커버력은 45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다시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금속이온 밀쇄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항산화제, 향료, 각종 약제 등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배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섭성 물질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의 분말량에 대해 10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상이다. 간섭성 물질로서는 예를들면 이산화티탄 피복운모, 산화지르코늄 피복운모, 알루미늄 피복운모, 산화철 피복운모, 판형상 산화티탄, 판형상 산화철, 판형상 알루미나, 실리카 피복운모, 판형상 실리카, 간섭성 수지 분말체, 저차산화티탄 피복운모, 어인박(물고기비늘) 또는 이들의 물질에 유색의 유기·무기 착색제를 피복한 것 등을 들수 있지만 이들의 물질에 다른 유기물질이나 금속산화물, 금속, 점토 광물등으로 피복 혹은 복합화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광을 가지는 물질로서 운모티탄을 사용하고 착색제로서 산화철 등을 기제중에 배합한 경우 운모티탄의 간섭작용은 산화철 등에 의한 광의 흡수, 산란때문에 현저하게 약화된다. 따라서 종래 산화철 등을 직접 운모티탄에 피복해서 산화철 등에 의한 광의 흡수, 산란을 억제하는 소재, 즉 2색성의 펄(pearl)제가 있다.
그러나 이 2색성 펄제는 산화철 등의 미립자 직경이 수백 nm로 크기 때문에 이것에 의한 빛의 흡수가 크게 되고 운모티탄에 의한 투과간섭광이 약하게 되어 그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련된 착색 운모티탄은 평균 미립자 직경 60∼150nm의 미립자 산화철을 운모티탄상에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모티탄(A)과 미립자 산화철(B)과의 비(중량비)가 (A):(B)-(99.5:0.5)에서 (90:10)인 것이 적합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하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간섭성 물질로서 조정하고자 하는 피부색에 대해 보색의 색을 투과간섭색으로서 가지고 운모티탄상에 평균 입자경 60∼150nm의 미립자 산화철을 피복한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이 적합하다. 여기서 운모티탄(A)과 미립자 산화철(B)과의 비(중량비)는 (A):(B)-(99.5:0.5)∼(9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1)∼(97:3)이다. (A):(B)가 90:10을 넘으면 투과간섭이 약해지고 (A):(B)가 99.5:0.5보다 작으면 2색성이 약해진다.
피복하는 미립자 산화철의 평균 미립자직경은 60∼150nm이고 바람직하게는 80∼120nm이다. 평균 미립자직경이 60nm보다 작으면 산화철에 의한 착색효과가 약해져 2색성이 떨어지게 되고 평균 미립자직경이 150nm보다 크면 산화철에 의한 빛의 흡수가 강하게 되기 때문에 투과간섭이 약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착색 운모티탄을 이 피부색 조정용의 간섭광을 가지는 물질로서 사용한 경우는 미립자직경이 60∼150nm로 작은 미립자 산화철에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산화철에 의한 빛의 흡수가 작고 투과간섭광이 착색제에 의해 약해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착색 운모티탄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의 전체분말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상이다.
본 발명의 착색 운모티탄의 기반이 되는 운모티탄을 제조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을 취할수 있다.
그 제법으로서는 진공증착처리도 있지만 일본국 특공소43-2564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황산티타닐, 4염화티탄 등의 티탄의 무기산염을 운모의 존재하에서 중화법 또는 가수분해법에 의해 분해하고 함수산화티탄 혹은 이산화티탄을 석출시킨후 대기중 500∼1000℃, 바람직하게는 700∼900℃의 온도로 소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사용하는 운모는 어떤 것이라도 좋고 예를들면 백운모, 흑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등을 들수 있다. 입자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화장품 안료나 일반 공업용 안료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입자경 1∼50㎛정도로 입자 형상이 가능한 한 편평한 것이 아름다운 간섭색이 발휘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운모티탄의 제조법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염화제1철, 염화제2철, 황산제1철, 황산제2철, 초산제1철, 초산제2철, 슈산제1철, 슈산제2철암모늄, 황산제2철암모늄, 인산제2철, 구연산제2철, 유산제1철, 푸말산철 등의 무기, 유기철 화합물의 수용액중에 상기 방법으로 합성한 운모티탄을 첨가한 후, 상기 운모티탄 성분철 화합물의 수용액을 일단 가성소다, 가성칼리, 암모늄수등의 알칼리를 사용해서 pH5.6∼7.0, 바람직하게는 pH6.0∼6.5의 범위로 조정해서 철화합물의 일부를 중화 분해시키고 함수산화철의 초미립자를 운모티탄의 미립자표면에 석출시킨다.
다음으로 이 초미립자 함수산화철 피복운모티탄을 분산시킨 철화합물 수용액에 온도를 가해서 50∼100℃, 바람직하게는 80℃이상으로 승온시킨 후, 가성소다, 가성칼리, 암모늄수 등의 알카리수용액을 첨가해서 pH를 8.0∼9.5로 유지하고 철화합물을 완전하게 중화분해시키고 이것을 150℃이상, 바람직하게는 400℃이상으로 소성함으로써 앞서 운모티탄입자 표면에 석출시킨 초미립자 산화철을 핵으로 하는 미립자 산화철 피복운모티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미립자 함수산화철 피복운모티탄을 분해시킨 철화합물 수용액에 철화합물의 중화분해에 필요한 해당량 이상의 요소를 첨가한 후 이것을 교반하면서 온도를 가해 50∼100℃, 바람직하게는 80℃이상으로 유지하고 철화합물을 완전하게 중화분해시키고 이것을 150℃이상, 바람직하게는 400℃이상으로 소성함으로써 앞서 운모티탄 미립자표면에 석출시킨 초미립자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요소는 철화합물과 함께 반응전에 미리 가해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운모티탄은 그 뛰어난 2색성을 이용해서 화장료용의 안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중의 착색 운모티탄의 배합량은 전체분말량에 대해 10중량%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착색 운모티탄을 사용해서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얻을 경우 조정하고자 하는 피부색에 대해 보색의 색을 투과간섭색으로서 가지고 운모티탄상에 평균 입자경 60∼150nm의 미립자 산화철을 피복한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피부의 적색계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광학적 박막 두께가 190∼270nm 또는 405∼500nm의 이산화티탄으로 피복된 운모티탄상에 다시 평균 입자경 60∼150nm의 미립자 산화철을 피복한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분말체 성분으로서는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셀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어운모, 바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소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알루미너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소세코우),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금속비누(미리스틴산아연, 파루미틴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의 무기분말, 폴리아미드수지분말(나일론분말), 폴리에틸렌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분말, 폴리스티렌분말, 스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분말, 벤조그아나민수지분말, 폴리4불화에틸렌분말, 셀룰로스분말 등의 유기분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백색안료, 산화철(벤가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저차산화티탄 등의 무기흑색계 안료, 망간바이오레이트, 코발트바이오레이트 등의 무기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산화티탄코테드탈크, 착색산화티탄코테드마이카, 산화티탄코테드옥시염화비스머스, 착색산화티탄코테드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머스, 어인박 등의 펄안료, 알루미늄파우더, 캇빠파우더 등의 금속분말안료,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4호, 적색205호, 적색220호, 적색226호, 적색228호, 적색405호, 연보라색203호, 연보라색204호, 황색205호, 황색401호, 청색404호 등의 유기안료,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106호, 적색227호, 적색230호, 적색401호, 적색505호, 연보라색205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2호, 황색203호, 녹색3호, 청색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키 등의 유기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색소 등을 들수 있다. 이들은 1종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좋다. 단 일반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분말이라면 좋고 상기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적합한 화장료 중에서는 필요에 따라 다시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금속이온봉쇄제,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항산화제, 향료, 각종 약제 등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배합해도 좋다.
이들의 약품 또는 화장품으로서 허용되는 기제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수 있다.
유제로서는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원료유제라면 좋고 예를들면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바세린, 폴리이소프틸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옥틸도데칸올, 디-(2-에틸헥실)숙시네이트, 디이소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이소스테아린산트리글리세라이드, 야자유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에탄올, 옥틸도데칸올, 헥사데실알코올, 세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라우린산, 팔미틴산,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라놀린, 미츠로, 올리브유와 같은 탄화수소, 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저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고급 지방산 혹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부색 조정방법,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및 이것에 사용되는 착색 운모티탄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배합 비율은 모두 중량%로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자들은 은폐력과 피부 외관의 자연스러움의 관계에 착안했다.
즉 표 1에 나타낸 기본 배합의 콤팩트 파운데이션을 제조하고 상기 방법에 의거해 은폐력을 측정하는 한편, 통상의 피부색의 피부상에 도포하고 외관의 관찰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표 1]
상기표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조성물의 은폐력과 해당 조성물을 실제로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자연스러움에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고 은폐력이 500을 넘으면 그 조성물을 도포한 피부는 분이 그대로 남기 때문에 자연스런 피부의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은폐력이 100정도 이하인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예를들면 배합예 1 또는 2와 같이 은폐력이 100이하인 조성물에서는 피부상의 이상 농색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은폐력을 높이지 않고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의 피부색 조정을 도모하기 위해 간섭성 물질의 응용에 대해 검토를 실시했다.
제조예 1
우선 본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간섭성 물질의 한 예로서 미립자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제조예를 나타낸다.
운모 50부를 이온교환수 500부에 첨가해서 충분하게 교반한 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얻어진 분산액에 농도 40중량%의 황산티타닐수용액 312.5부를 첨가해서 교반하면서 가열해서 6시간 비등시켰다. 방냉후, 여과, 수세하고 900℃로 소성해서 청색의 간섭색을 가진 이산화티탄으로 피복된 운모(운모티탄)100부를 얻었다.
또한 별도로 슈산제2철암모늄 53.6부 및 요소 22.5부를 이온교환수 2000부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0.1M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pH5.8로 조정하고 얻어진 수용액에 먼저 합성한 운모티탄 100부를 가해 충분히 교반해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이 pH 5.8로 조정한 운모티탄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가열해서 6시간 비등시켰다. 방냉후 여과, 수세하고 400℃로 소성해서 피부색의 외관색과 청색의 선명한 반사 간섭 및 황색의 선명한 투과 간섭을 가지는 미립자 산화철로 피복된 운모티탄 103부를 얻었다.
제 3 도는 얻어진 미립자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반사 간섭광(도면중 A로 나타낸다)및 투과 간섭광(도면중 B로 나타낸다)의 파장(nm)과 반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반사간섭광의 측정은 무라우에 색채과학 연구소의 goniospectrophotometer GCMS-3에 의한 것으로 하고 투과간섭광의 측정은 시마즈 제작소의 크로마토스캐너에 의한 것으로 했다. 또한 제 4 도는 비교를 위해 본 제조예와 동일하게 청색의 반사 간섭을 가지는 시판되는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멀사제 듀오크롬YB)을 사용해서 제 3 도와 같이 측정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 3 도 및 제 4 도를 비교하면 본발명품의 투과간섭광과 반사간섭광의 분광반사율 곡선을 함께 종래 제품에 비교해서 반사율이 높고 또한 곡선의 형상이 가파르고 단일에 가까운 파장광에 반사 극대, 극소를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품은 종래제품에 비해 투과 간섭광 및 반사 간섭광이 강하고 또한 고채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5 도는 얻어진 미립자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정반사광 및 확산반사광의 파장과 반사율과의 관계를 무라우에 색채 과학연구소의 goniospectrophotometer GCMS-3에 의해 측정해서 나타낸 것이다. 조건은 입사각-70° 정반사각 60° 확산반사각 50° 시료 15㎛두께, 투명PET필름 100㎛두께로 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본 제조예와 동일하게 청색의 반사 간섭을 가지는 시판품인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멀사제 듀오크롬YB)을 사용해서 제 5 도와 같이 측정을 실시한 결과를 제 6 도에 나타냈다.
제 5 도 및 제 6 도를 비교하면 본 발명품의 정반사광과 확산반사광의 분광 반사율 곡선은 종래 제품에 비교해서 반사율차가 높고 또한 곡선의 현상이 가파르기 때문에 본 발명품은 종래 제품에 비해 정반사광 및 확산반사광이 모두 강하고 또한 고채도로 뛰어난 2색성을 가지는 착색 운모티탄(착색 펄제)인 것을 알 수 있다.
제 조 예 2
슈산제2철암모늄 53.6부 및 요소 22.5부를 이온교환수 2000부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0.1M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pH6.2로 조정해서 얻어진 수용액에 독일Merck사제의 적색간섭 운모티탄(테미론스레이트)100부를 가해 충분하게 교반해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이 운모티탄 분산액을 교반가열하면서 6시간 비등시켰다. 방냉후, 여과, 수세하고 400℃로 소성해서 피부색의 외관색과 적색의 선명한 반사간섭 및 녹색의 선명한 투과간섭을 가지는 미립자 산화철로 피복된 운모티탄 102부를 얻었다.
얻어진 미립자 산화철 피복 적색간섭 운모티탄의 표면을 피복하고 있는 산화철의 입자도를 조사하기 위해 별도로 운모티탄을 가하지 않고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산화철을 합성했다.
얻어진 산화철의 입자도를 Hiac/Royco사제 레이저 회절식 입자도 측정기 NICOMP270으로 측정한 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입자경 71nm에서 35∼300nm으로 정규 분포하는 입자도 분포를 가지는 것을 알았다.
다음으로 시판되는 운모화합물을 배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 1∼4와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지는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실시예 5, 6을 각각 비교예를 참조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 비교예 1∼3
표 2에 나탄낸 조성의 청색계 농색부분 보정용 유성 콤팩트파운데이션을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고 청색 커버력 및 은폐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함께 표 2에 나타낸다.
(제법)
(3)∼(6)을 가열용해후, (7)∼(14)를 첨가하고, 디스퍼 분산한다. 이것을 특수기화제 TK밀처리하고, 85℃로 가열한다. 미리, 90℃로 가열용융, 혼합하여 둔 (1), (2) 및 (15)를 이것에 첨가하고, 탈기한다. 소정의 중간 접시에 채워, 방냉 하여 청색계 농색 부분 보정용 유성 콤팩트 형상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표 2]
*1 : TiO2 피복운모
(말사제 프라멘코블, TiO2/ 마이카 = 43∼49 / 51∼57, TiO2의 광학적 막두께 약 310nm, 황∼적색계의 투과광)
*2 : TiO2 피복운모
(말사제 프라멘코레드, TiO2/ 마이카 = 37∼43 / 57∼63, TiO2의 광학적 막두께 약 250nm, 청∼녹색계의 투과광)
*3 : Fe2O3 34.0% 피복운모(황∼적색계의 투과광)
다음에, 얻어진 청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콤팩트 파운데이션의 커버효과, 투명감, 마무리의 자연스러움에 대해서 평가했다. 평가방법은 심한정도의 파란점(태전모반 등)의 농색부분보유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 3 자가 보고 판정하여, 5(있거나 또는 자연)부터 1(없거나 또는 부자연)까지의 5단계 평가를 하고, 각 평가값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피부색의 측정(정상부와 농색부)을 미놀타 측색계 CM-1000에 의해 도포전후로 실시하고, 색의 차이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이 효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표 3]
표 3 에서 분명히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황∼적색의 투과광을 갖는 분말을 배합한 실시예 1, 2의 파운데이션은 태전모반의 청색 농색부의 커버효과(피부색 보정효과)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투명감이 있어 자연스럽게 마무리되었다. 특히, 황∼적색의 투과간섭광을 갖는 운모 티탄을 사용한 실시예 2는 종래에 없는 우수한 마무리가 되었다. 또한 이 보정용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 시판되는 파우더 리파운데이션을 도포하면, 운모 티탄의 광택이 자연스러운 투명감으로 변화하여 정상부와 손색이 없는 마무리가 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의 이산화 티탄을 다량 배합한 비교예 1은 커버 효과는 있지만, 투명감이 없는 가루가 많은 마무리였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을 배합한 비교예 2는 우수한 은폐성을 나타냈지만, 마무리가 부자연스럽게 번쩍거리는 느낌이 있고, 버석거리는 감촉이었다. 또 흥미로운 것은, 실시예 2와 보색관계에 있는 황∼적색계의 반사간섭광을 갖는 운모티탄을 사용한 비교예 3은 투명감이 있지만, 커버효과가 거의 없어 보정용 파운데이션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 3, 4,비교예 4∼6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의 적색계 농색의 부분보정용 스틱 파운데이션을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고, 적색커버력 및 은폐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 낸다.
(제법)
(3)∼(6)을 가열용해 후, (7)∼(14)를 첨가하고, 디스퍼 분산한다. 이것을 특수기화제 TK밀로 처리하고, 85℃로 가열한다. 미리, 95℃로 가열용융, 혼합해 둔 (1), (2) 및 (15)를 이것에 첨가하고, 탈기한다. 소정의 스틱용기에 채워, 방냉하여 적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스틱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표 4]
*4 : 적산화철 처리 TiO2 피복운모
(말사제 듀오크롬 YR, Fe2O3 / TiO2 /마이카 = 3∼5 / 36∼42 / 56∼61, TiO2의 광학적 막두께 약 250nm, 청∼적색계의 투과광)
*5 : 적산화철 처리 TiO2 피복운모
(말사제 듀오크롬 YB, Fe2O3 / TiO2 / 마이카 = 1∼ 2 / 44∼49 / 48∼54, TiO2의 광학적 막두께 약 310nm, 황∼적색계의 투과광)
*6 : Fe2O3 48.0% 피복운모(청∼녹색계의 투과광)
다음에, 얻어진 적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스틱 파운데이션의 커버효과, 투명감, 마무리의 자연스러움에 대해서 평가를 했다. 평가방법은 심한정도의 빨간점(혈관종 등)의 농색부분보유자 10명을 대상으로 하고, 제 3 자가 보고 판정하여, 5(있거나 또는 자연)부터 1(없거나 또는 부자연)까지의 5단계 평가를 하고, 각 평가값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피부색의 측정(정상부와 농색부)을 상기 방법으로 색차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이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표 5]
표 5에서 분명히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청∼녹색의 투과광을 갖는 분말을 배합한 실시예 3, 4의 파운데이션은 혈관종인 적색 농색부의 커버 효과(피부색 보정 효과)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투명감이 있어 자연스럽게 마무리되었다. 특히 청∼녹색의 투과 간섭광을 갖는 운모티탄을 사용한 실시예 4는 종래에 없는 우수한 마무리가 되었다. 또한, 이 보정용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 시판되는 유화 파운데이션을 도포하면 운모티탄의 광택이 자연스럽게 투명하게 되었다.
이것에 대해 종래의 이산화티탄을 다량 배합한 비교예 4는 커버 효과는 있지만, 투명감이 없는 가루가 많은 마무리였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을 배합한 비교예 5는 우수한 은폐성을 나타냈지만, 마무리가 부자연스럽게 번쩍거리는 느낌이 있고, 버석거리는 감촉이었다. 또 흥미로운 일은 실시예 4와 보색관계에 있는 청∼녹색계의 반사간섭광을 갖는 운모티탄을 사용한 비교예 6은 투명감이 있지만, 커버 효과가 거의 없어 보정용 파운데이션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었다.
은폐력, 청색계 커버력 및 적색계 커버력의 효과 시험
① 은폐력 효과시험법
(시료)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청색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S-1),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적색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S-2), 시판품인 피부의 농색부분 커버용인 부분용 기초 파운데이션(주식회사 자생당제, 스포츠커버, R-1) 및 시판품인 부분용 기초 파운데이션(C사제, R-2)을 시료로 사용했다.
(방법)
상기 각 시료를 80중량%의 농도로 니트로 셀룰로오스 부형제에 소형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것을 백색 및 흑색 바탕을 갖는 은폐력 시험지에 애플리케이터에 의해 30㎛의 두께로 도포했다. 다음에 백색 및 흑색 바탕에 도포한 시료의 색조를 미놀타 CM1000을 사용하여 측색하고, 얻어진 백색 및 흑색 바탕에 도포한 시료의 색차 △E를 구하고, 또 이 색차를 이용하여 (1)식에 의해 은폐력을 구했다.
은폐력 - ( 1 ÷ △E ) X 100 …(1)
또한, 은폐력 1000은 색차가 0.1이고, 흑백 바탕을 함께 완전하게 은페하는 수준, 은폐력 100은 색차가 1.0이고, 흑백 바탕에서 거의 색조에 차가 없는 수준 및 은폐력 10은 색차가 10.0이고, 흑백 바탕이 분명하게 판별되는 수준이다.
② 청색계 커버력 효과 시험방법
(시료)
은폐력 효과시험에 있어서의 S-1, R-1 및 R-2를 사용했다.
(방법)
청색의 투명 PET 필름에 은폐력 효과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료를 도포 하고, 이것을 무라우에 색채과학연구소제의 변각측색기 GCMS3을 사용하여 입사각 45° 수광각 -15°의 조건으로 측색을 했다.
대조하여 측정한 청색의 투명 PET 필름의 파장 400∼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적분값과, 시료를 도포한 청색 PET 필름의 파장 400∼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적분값과의 차비를 (3)식에 의해 구하고, 청색커버력으로 했다.
청색커버력 = { (X-Y) / X } X 100 … (3)
(식중, X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있지 않은 청색 투명 PET필름의 400∼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내고, Y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청색 투명 PET 필름의 400∼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낸다.)
③ 적색계 커버력 효과시험법
(시료)
은폐력 효과시험에 있어서의 S-2, R-1 및 R-2를 사용했다.
(방법)
적색의 투명 PET 필름에 청색계 커버 효과측정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료를 도포하고, 이것을 무라우에 색채과학연구소제의 변각측색기 GCMS3을 사용하여 입사각 45° 수광각 -15°의 조건으로 측색을 했다.
대조하여 측정한 적색의 투명 PET 필름의 파장 600∼73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적분값과, 시료를 도포한 적색 PET 필름의 파장 600∼730nm에 있어서의 반사율과의 차비를 (2)식에 의해 구하고, 적색커버력으로 했다.
적색커버력 = { (V-W) / V } X 100 …(2)
(식중, V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있지 않은 적색 투명 PET필름의 600∼73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내고, W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적색 투명 PET필름의 600∼73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적분값을 나타낸다.)
④ 결과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청색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인 S-1과 종래제품인 R-1, R-2의 은폐력 및 청색커버력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 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색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인 S-2와 종래제품인 R-1, R-2의 은폐력 및 적색커버력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S-1, S-2와 비교하면 종래의 부분용 기초 파운데이션인 R-1, R-2는 매우 높은 은폐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제품은 모든 피부의 농색부위를 은폐함으로써 색보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S-1 및 S-2는 종래제품과 비교하면, 그 수 십분의 일에서 수 백분의 일에 해당하는 값의 은폐력 밖에 가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 8 도에서는 청색커버력은 은폐력이 거의 없는 S-1 쪽이 종래제품 R-1, R-2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9 도에서는 적색커버력은 은폐력이 거의 없는 S-2 쪽이 종래제품 R-1, R-2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한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은 은폐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청색 및 적색커버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비교예 7∼9
표 6에 나타내는 조성의 청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콤팩트 파운데이션을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고, 청색커버력 및 은폐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제법)
(3)∼(6)을 가열용해후, (7)∼(14)를 첨가하고, 디스퍼 분산한다. 이것을 특수화제 TK밀 처리하고, 85℃로 가열한다. 미리, 90℃로 가열용융, 혼합하여 둔 (1), (2) 및 (15)를 이것에 첨가하여 탈기한다. 소정의 중간접시에 채워, 방냉하여 청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콤팩트형상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표 6]
*7 : 제조예 1의 착색 운모티탄
( 외관색 : 피부색, 반사간섭색 : 청색, 투과간섭색 : 황색)
*8 : 말사제 듀오크롬 YB
( 외관색 : 피부색, 반사간섭색 : 청색, 투과간섭색 : 황색)
다음에, 얻어진 청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콤팩트 파운데이션의 커버효과, 투명감, 마무리의 자연스러움에 대해서 평가를 했다. 평가방법은 심한정도의 파란점(태전모반 등)의 농색부분보유자 10명을 대상으로 하고, 제 3 자가 보고 판정하여 5(있거나 또는 자연)부터 1(없거나 또는 부자연)까지의 5단계 평가를 하여 각 평가값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피부색의 측정(정상부와 이상농색부)을 미놀타 측색계 CM-1000로도포 전후에 실시하고, 색차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이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표 7]
표 7 에서 분명히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색 투과간섭광을 갖는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실시예 5의 파운데이션은 태전모반의 청색 이상농색부의 커버효과(피부색 보정효과)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투명감이 있어 자연스럽게 마무리되었다. 또한, 이 보정용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 시판되는 파우더 리파운데이션을 도포하면, 운모티탄의 광택이 자연스러운 투명감으로 변화하고, 정상부와 손색이 없는 마무리를 할수 있다.
이것에 대해 종래의 이산화 티탄을 다량배합한 비교예 7은 커버 효과는 있지만, 투명감이 없는 가루가 많은 마무리가 되었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을 배합한 비교예 8는 우수한 은폐성을 나타냈지만, 마무리에 부자연스럽게 번쩍거리는 느낌이 있고, 버석거리는 감촉이 있었다. 시판되는 산화철 피복운모티탄을 사용한 비교예 9는 비교예 7, 8과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우수했지만, 투명감이 있고, 마무리가 자연스러운 점에서 본 발명의 착색 운모티탄을 사용한 실시예 5보다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6, 비교예 10∼12
표 8에 나타나는 조성의 적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스틱 파운데이션을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고, 적색커버력 및 은폐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제법)
(3)∼(6)을 가열용해후, (7)∼(14)를 첨가하고, 디스퍼 분산한다. 이것을 특수기화제 TK밀로 처리하고, 85℃로 가열한다. 미리, 95℃로 가열용융, 혼합해 둔 (1), (2) 및 (15)를 이것에 첨가하고, 탈기한다. 소정의 스틱 용기에 채워, 방냉하여 적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스틱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표 8]
*9 : 제조예 2의 착색 운모티탄
( 외관색 : 피부색, 반사 간섭색 : 적색, 투과 간섭색 : 녹색)
*10 : 말사제 듀오크롬 YR
( 외관색 : 피부색, 반사 간섭색 : 청색, 투과 간섭색 : 황색)
다음에, 얻어진 적색계 농색 부분보정용 유성 콤팩트 파운데이션의 커버효과, 투명감, 마무리의 자연스러움에 대해서 평가를 했다. 평가방법은 심한정도의 파란점(혈관종 등)의 농색부분보유자 10명을 대상으로 하고, 제 3 자가 보고 판정하여 5(있거나 또는 자연)부터 1(없거나 또는 부자연)까지의 5단계 평가를 하여 각 평가값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피부색의 측정(정상부와 이상농색부)을 상기 방법으로 색차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이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표 9]
표 9 에서 분명히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색 투과광을 갖는 제조예 2의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실시예 6의 파운데이션은 혈관종인 적색 농색부의 커버효과(피부색 보정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또한 투명감이 있는 자연스러운 마무리였다. 또한, 이 보정용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 시판하는 유화 파운데이션을 정상부, 농색부 양쪽에 도포한 바, 농색부의 광택이 억제되고, 정상부와 손색이 없는 마무리가 되었다.
이것에 대해 종래의 이산화 티탄을 다량 배합한 비교예 10은 커버효과는 있지만, 투명감이 없는 분말이 많은 마무리가 되었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을 배합한 비교예 11은 우수한 은폐성을 나타냈지만, 마무리가 부자연스럽게 번쩍거리는 느낌이 있고, 버석거리는 감촉이었다. 또한,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제조예 2의 착색 운모티탄과 동계색의 투과간섭광(녹색)을 갖는 시판되는 산화철 피복운모티탄을 사용한 경우에도 비교예 10, 11과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우수했지만, 투명감, 마무리의 부자연스러운 점에서 본 발명의 착색 운모티탄을 사용한 실시예 6 쪽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6 에서 사용한 제조예 2의 착색 운모티탄의 투과간섭광과 보색에 가까운 관계에 있는 황색의 투과간섭광을 갖는 시판되는 착색 운모티탄을 사용한 비교예 12는 투명감이 있지만 커버 효과가 거의 없어 보정용 파운데이션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는 것이었다.
은폐력, 청색계 커버력 및 적색계 커버력의 효과 시험
① 은폐력 효과시험법
(시료)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청색계의 피부색 조정 조성물(S-3),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적색계의 피부색 조정조성물(S-4), 시판품인 피부의 농색 부분커버용인 부분용 기초 파운데이션(주식회사 자생당제, 스포츠커버, R-1) 및 시판품인 부분용 기초 파운데이션(C사제, R-2)을 시료로 하여 이용했다.
(방법)
상기한 방법에 준한다.
② 청색계 커버력 효과 시험 방법
(시료)
은폐력 효과 시험에 있어서의 S-3, R-1 및 R-2를 사용했다.
(방법)
상기한 방법에 준한다.
③ 적색계 커버력 효과 시험법
(시료)
은폐력 효과시험에 있어서의 S-4, R-1 및 R-2를 사용했다.
(방법)
상기한 방법에 준한다.
④ 결과
제 10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청색계의 피부색 조정 조성물인 S-3과 종래제품인 R-1, R-2의 은폐력 및 청색커버력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 1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색계의 피부색 조정 조성물인 S-4와 종래제품인 R-1, R-2의 은폐력 및 적색커버력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S-3, S-4와 비교하면 종래의 부분용 기초 파운데이션인 R-1, R-2는 매우 높은 은폐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제품은 모든 피부의 농색부위를 은폐하므로써 색보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S-3 및 S-4은 종래제품과 비교하면 그 수 십분의 일에서 수 백분의 일에 해당하는 값의 은폐력 밖에 가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 10 도에서는 청색커버력은 은폐력이 거의 없는 S-3 쪽이 종래제품 R-1, R-2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11 도에서는 적색커버력은 은폐력이 거의 없는 S-4 쪽이 종래제품 R-1, R-2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한 피부색 조정 조성물은 은폐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청색 및 적색커버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황∼적색의 투과간섭광을 갖는 운모티탄을 배합한 S-1과 제조예 1의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S-3을 비교하면, 은폐력은 양측 모두 거의 차이가 없고, 제조예 1의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S-3쪽이 S-1보다도 높은 청색커버력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4의 청∼녹색의 투과간섭광을 갖는 운모티탄을 배합한 S-2와 제조예 2의 착색 운모티탄과 배합한 S-4를 비교하면, 은폐력에 거의 차가 없는데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S-4쪽이 보다 높은 적색 커버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제조예 1 및 2 에서 얻어지는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것과 배합하지 않은 것은 착색 운모티탄을 배합한 쪽이 은폐력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청색커버력 또는 적색커버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은 이하의 실시예로부터도 분명히 알 수 있다.
실시예 7 청색 농색 부분 보정용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배합처방)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7.0중량%
(2) 디메틸폴리실록산 3.0
(3)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0
(4) 덱스트린지방산 에스테르처방 운모티탄
(청색간섭색계) 18.0
(메르크사제 테미론블-MP-155, TiO2 / 마이카 = 48∼53 / 47∼52, TiO2의학적 막두께 약 310nm, 황∼적색계 투과광)
(5)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처리이산화티탄 4.0
(6)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처리산화철계안료 2.0
(7) 파라벤 0.2
(8) 1, 3 - 부틸렌글리콜 4.0
(9) 이온교환수 나머지부
(제법)
(1)∼(3)을 교반혼합한 후, (4)∼(6)을 첨가하여 분산시킨다. 그 사이에 (9)에 (7) 및 (8)을 용융시킨 수상부를 첨가하여 유화시키므로써 은폐력이 10이고, 청색커버력이 55인 청색 농색 부분보정용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효과)
이 파운데이션을 태전모반의 청색 농색부분을 갖는 패널에 도포한 바, 투명감이 있는 마무리가 됨에도 불구하고, 농색부분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고, 우수한 은폐효과를 나타냈다. 정상부와 이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농색부의 양자에 시판되는 고형백분을 도포한 바, 농색부의 보정 파운데이션에 의한 광택이 억제되고, 양부위의 차는 거의 없어 자연스러운 마무리 느낌이었다.
실시예 8 적색 농색 부분보정용 스틱형상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배합처방)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8.0중량%
(2) 폴리에틸렌왁스 10.0
(3) 카르나바로우 1.0
(4) 폴리옥시알킬렌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0.5
(5) 세스키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 1.5
(6) 실리콘처리운모티탄(적색간섭색계) 5.0
(메르크사제 티미카이리데센트레드, TiO2 / 마이카 = 39∼45 / 55∼61, TiO
의 광학적 막두께 약 250nm, 청∼녹색계 투과광)
(7) 실리콘처리탈크 2.0
(8) 실리콘처리세리사이트 10.0
(9) 실리콘처리이산화티탄 9.0
(10) 실리콘처리 적산화철 1.0
(11) 실리콘처리 황산화철 2.0
(12) 구형상 나일론파우더 5.0
(13) 파라벤 0.1
(14) 향료 적당량
(15) 1, 3 - 부틸렌글리콜 4.0
(16) 이온교환수 나머지부
(제법)
(1)∼(5) 및 (14)를 90℃로 가열하여 용융후, (6)∼(12)를 첨가하여 90℃에서 균질혼합기로 분산한다. 또한, 미리 95℃로 가열하여 둔 (13), (15), (16)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유화한다. 그 후 소정의 스틱용기에 충전하여 실온까지 냉각하여 은폐력이 9이고, 적색커버력이 11인 적색 농색 부분보정용 스틱상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효과)
이 스틱상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은 혈관종과 같은 심한정도의 적색계 농색부에 대해 투명감이 있는 자연스러운 마무리로 효과적으로 농색부분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여드름자국, 붉은 얼굴 등과 같은 경미한 정도의 적색계 농색부분의 보정에도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9 경미한 정도의 적색 농색 부분보정용 파우더 리파운데이션
(배합처방)
(1) 탈크 20.0중량%
(2) 세리사이트 38.8
(3) 운모티탄(적색간섭계) 9.0
(말사제 듀오크롬 YR, 청∼녹색계 투과광)
(4) 이산화티탄 11.0
(5) 구형상폴리스틸렌 5.0
(6) 적산화철 0.6
(7) 황산화철 1.8
(8) 흑산화철 0.1
(9) 헤링튼핑크 0.2
(10) 파라벤 0.5
(11) 유동파라핀 5.0
(12) 디메틸실리콘 5.0
(13)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2.0
(14) 세레신 1.0
(제법)
(1)∼(9)를 교반혼합한 것에 미리 가열용융하여 둔 (10)∼(14)를 첨가하고, 혼합분산한다. 이것을 페르베라이저로 분쇄하고, 중간접시에 넣어 형태를 만들어 은폐력이 14이고, 적색커버력이 12인 경정도의 적색 농색 부분보정용 파우더 리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효과)
이 파우더 리파운데이션을 여드름자국, 붉은 얼굴 등의 경미한 정도의 적색 농색부분의 패널에 도포한 바, 피부의 붉은 기운을 효과적으로 보정하여 맨살에 더 가깝게 자연스럽게 마무리가 되었다.
실시예 (10) 청색 농색 부분 보정용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배합 처방)
(1) 데카메틸 시클로펜타 실록산 27.0중량%
(2) 디메틸 폴리실록산 3.0
(3) 폴리옥시 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0
(4) 덱스트린지방산 에스테르 처리
착색 운모 티탄(청색 간섭색계) 18.0
(제조예 (1)의 착색 운모 티탄을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처리한 것)
(5)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처리 이산화티탄 4.0
(6)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처리
산화철계 안료 2.0
(7) 파라벤 0.2
(8) 1, 3 부틸렌 글리콜 4.0
(9) 이온 교환수 잔여부
(제조법)
(1)∼(3)을 교반 혼합한 후 (4)∼(6)을 첨가하여 분산시킨다. 그 중에 (9)에 (7) 및 (8)을 용융시킨 수상부를 더하여 유화시키는 것에 의해 은폐력이 12이고 청색 커버력이 65인 청색 농색 부분 보정용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효과)
본 파운데이션을 태전모반의 청색 농색 부분을 갖는 패널에 도포한 바 투명감이 있게 마무리되는데도 불구하고 농색부분을 효과적으로 보정하여 우수한 은폐 효과를 나타냈다. 정상부와 본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농색부의 양자상에 시판의 고형 흰분말을 도포한 바 농색부의 보정 파운데이션에 의해 광택이 억제되어 양 부위의 차이는 거의 보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마무리된 느낌이었다.
또 실시예(7)와 비교하면 은폐력에 큰 차이는 없고 착색 운모 티탄을 배합한 본 실시예쪽이 청색 커버력이 높고 자연스러운 마무리가 된 느낌이다.
실시예 (11) 적색 농색 부분 보정용 스틱모양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배합 처방)
(1) 데카메틸 시클로펜타 실록산 38.0중량%
(2) 폴리에틸렌 왁스 10.0
(3) 카르나바로우(carnaubawax) 1.0
(4)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0.5
(5) 세스키이소 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5
(6) 실리콘 처리 착색 운모 티탄
(적색 간섭색계) 5.0
(제조예 2의 착색운모 티탄을 실리콘 처리함)
(7) 실리콘 처리 활석 2.0
(8) 실리콘 처리 세리사이트 10.0
(9) 실리콘 처리 이산화티탄 9.0
(10) 실리콘 처리 적산화철 1.0
(11) 실리콘 처리 황산화철 2.0
(12) 구형 나일론 분말 5.0
(13) 파라벤 0.1
(14) 향료 적당량
(15) 1, 3 부틸렌 글리콜 4.0
(16) 이온 교환수 잔여부
(제조법)
(1)∼(5) 및 (14)를 90℃로 가열하여 용융후 (6)∼(12)를 더하여 90℃로하여 균일혼합기(homogenizer)로 분산한다. 또 미리 95℃로 가열해 놓은 (13),(15),(16)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유화한다. 그 후 소정의 스틱 용기에 충전하여 온실까지 냉각하고 목적한 은폐력이 10 이고 적색 커버력이 14인 적색 농색 부분 보정용 스틱 모양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효과)
상기 스틱 모양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은 혈관종과 같은 중증의 적색계 농색 부분에 대해서 투명감이 있는 자연스러운 마무리가 되어 효과적으로 농색 부분을 덮을 뿐만 아니라 여드름 자국, 불그레한 얼굴 등과 같은 경미한 정도의 적색계 농색 부분의 보정에도 효과적이다.
또 실시예(8)와 비교하면 은폐력에 큰 차이는 없고 착색 운모 티탄을 배합한 본 실시예쪽이 다소 높은 적색 커버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경미한 정도의 적색 농색부분 보정용 분말 파운데이션
(배합 처방)
(1) 활석 20.0중량%
(2) 세리사이트 38.8
(3) 착색 운모 티탄(적색 간섭계) 9.0
(제조예 (2)의 착색 운모 티탄)
(4) 이산화티탄 11.0
(5) 구형 폴리스틸렌 5.0
(6) 적산화철 0.6
(7) 황산화철 1.8
(8) 흑산화철 0.1
(9) 헤링튼핑크 0.2
(10) 파라벤 0.5
(11) 유동 파라핀 5.0
(12) 디메틸 실리콘 5.0
(13)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2.0
(14) 세레신 1.0
(제조법)
(1)∼(9)를 교반 혼합한 것에 미리 가열 용융해 놓은 (10)∼(14)를 첨가하여 혼합 분산한다. 이것을 페르베라이저로 분쇄하여 중간 접시에 타형하여 은폐력이 17이고 적색 커버력이 14인 경미한 정도의 적색 농색 부분 보정용 분말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효과)
상기 분말 파운데이션을 여드름 자국, 불그스레한 얼굴을 한 경미한 정도의 패널에 도포한 바, 피부의 불그레함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고 또 맨피부에 가깝게 자연스러운 마무리가 된 느낌이었다.
(실시예 13) 경미한 정도의 청색 농색 부분 보정용 분말 파운데이션
(배합처방)
(1) 활석 20.0중량%
(2) 세리사이트 38.8
(3) 착색 운모 티탄(청색 간섭계) 9.0
(제조예(1)의 착색 운모 티탄)
(4) 이산화티탄 11.0
(5) 구형 폴리스틸렌 5.0
(6) 적산화철 0.6
(7) 황산화철 1.8
(8) 흑산화철 0.1
(9) 해링튼핑크 0.2
(10) 파라벤 0.5
(11) 유동 파라핀 5.0
(12) 디메틸 실리콘 5.0
(13)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2.0
(14) 세레신 1.0
(제조법)
(1)∼(9)를 교반 혼합한 것에 미리 가열 용융해 놓은 (10)∼(14)를 첨가하여 혼합 분산한다. 이것을 페르베라이저로 분쇄하여 중간 접시에 타형하여 은폐력이 15이고 청색 커버력이 52인 경미한 정도의 청색 농색 부분 보정용 분말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상기 파운데이션을 경미한 정도의 청색 농색 부분의 얼굴을 한 패널에 도포한 바, 피부의 푸르스레함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고 또 맨피부에 가깝게 자연스러운 마무리가 된 느낌이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색 조정용 방법 및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은 종래와 같이 피부의 이상 농색 부분을 은폐력에 의해 덮어 감추는 것이 아니라 조정하려고 하는 피부의 이상 농색 부분의 색조와 보색 관계에 있는 투과 간섭광을 갖는 물질을 배합한 것이다. 따라서 투과 간섭광에 의해 피부의 이상 농색 부분의 색조가 약해지고 보색되므로 은폐력이 낮은 데도 불구하고 피부의 투명감을 잃어버리지 않고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피부의 이상 농색 부분을 눈에 띄게 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착색 운모 티탄에 의하면 표면 산화철에 의한 빛의 흡수가 작아져 투과 간섭색이 약해지지 않으므로 그 필터 효과가 약해지지 않음으로 그 필터 효과를 충분히 이용하여 피부의 이상 농색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이상 농색부분(짙은색 부분)과 정상부분에 대한 간섭작용의 종래예와 본 발명과의 비교대조도,
제 2 도는 간섭성 물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3 도는 본발명에 의한 미립자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반사광 및 투과 간섭광의 반사율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 특성도,
제 4 도는 종래의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반사 간섭광 및 투과 간섭광의 반사율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 특성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미립자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정반사광 및 확산반사광의 파장과 반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 6 도는 종래의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한 예인 정반사광 및 확산반사광의 파장과 반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 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미립자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의 정밀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청색계의 피부색 조정조성물인 S-1의 은폐력과 청색 커버력을 종래 제품과 비교해서 나타낸 도면,
제 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색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인 S-2의 은폐력과 적색 커버력을 종래 제품과 비교해서 나타낸 도면,
제 10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청색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인 S-3의 은폐력과 청색 커버력을 종래 제품과 비교해서 나타낸 도면,
제 1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색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인 S-4의 은폐력과 적색 커버력을 종래 제품과 비교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부 10a : 피부색 부분
10b : 변색 부분 12 : 백색광
12a : 청색계 반사광 12b : 적색계 반사광
12a' : 청색계광 12b' : 적색계광
14 : 안료층 16 : 운모티탄

Claims (5)

  1. 피부의 적색계 농색 부분에 적용되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해 광투과율 및 광반사율에 파장 선택성이 있는 간섭성 물질이 배합되고, 상기 간섭성 물질은 반사 간섭광이 400∼550 nm의 파장에서 최소 피크(황색계∼적색계)를 갖고, 투과 간섭광이 400∼550 nm의 파장에서 최대 피크(청색계∼녹색계)를 갖는 간섭성 물질이고,
    상기 간섭성 물질은 운모상에 광학적 막 두께가 190∼270 nm 또는 405∼500nm인 이산화티탄을 피복한 운모티탄이고,
    상기 간섭성 물질의 배합량은 전체 분말량에 대해서 1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이고,
    상기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은 하기 A의 측정법에 의해 구한 색차(色差) △E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계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A: 80 중량% 농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초화면(硝化綿) 부형제(vehicle)에 혼합한 후, 백색 바탕과 흑색 바탕을 갖는 은폐력 시험지에 30 ㎛의 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백색 바탕과 흑색 바탕에서의 색 측정값의 색차(色差) △E를 구한다.
  2. 피부의 청색계 농색 부분에 적용되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해 광투과율 및 광반사율에 파장 선택성이 있는 간섭성 물질이 배합되고, 상기 간섭성 물질은 반사 간섭광이 400∼550 nm의 파장에서 최대 피크(청색계∼녹색계)를 갖고, 투과 간섭광이 400∼550 nm의 파장에서 최소 피크(황색계∼적색계)를 갖는 간섭성 물질이고,
    상기 간섭성 물질은 운모 상에 광학적 막 두께가 290∼380 nm 또는 530∼660nm인 이산화티탄을 피복한 운모티탄이고,
    상기 간섭성 물질의 배합량은 전체 분말량에 대해서 1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이고,
    상기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은 하기 A의 측정법에 의해 구한 색차 △E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계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A: 80 중량% 농도의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을 초화면(硝化綿) 부형제(vehicle)에 혼합한 후, 백색 바탕과 흑색 바탕을 갖는 은폐력 시험지에 30 ㎛의 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백색 바탕과 흑색 바탕에서의 색 측정값의 색차 △E를 구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간섭성 물질은, 광학적 막 두께가 190∼270 nm 또는 405∼500 nm인 이산화티탄으로 피복된 운모 티탄 상에 평균 입자 직경 60∼150nm의 미립자 산화철이 추가로 피복된 착색 운모 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계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간섭성 물질은, 광학적 막 두께가 290∼380 nm 또는 530∼660 nm인 이산화티탄으로 피복된 운모 티탄 상에 평균 입자 직경 60∼150nm의 미립자 산화철이 추가로 피복된 착색 운모 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계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착색 운모 티탄의 배합량이 전체 분말량에 대해서 1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 조정용 조성물.
KR1019950030375A 1994-09-14 1995-09-14 피부색조정용조성물 KR100509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247315A JP3109390B2 (ja) 1994-09-14 1994-09-14 肌色調整方法
JP24731494A JP3384628B2 (ja) 1994-09-14 1994-09-14 肌色調整用組成物
JP94-247314 1994-09-14
JP94-247316 1994-09-14
JP24731694A JP3456674B2 (ja) 1994-09-14 1994-09-14 着色雲母チタン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肌色調整用組成物
JP94-247315 1994-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986A KR960009986A (ko) 1996-04-20
KR100509850B1 true KR100509850B1 (ko) 2006-04-17

Family

ID=2733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375A KR100509850B1 (ko) 1994-09-14 1995-09-14 피부색조정용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90916A (ko)
EP (1) EP0701810B1 (ko)
KR (1) KR100509850B1 (ko)
DE (1) DE69533768T2 (ko)
ES (1) ES2231779T3 (ko)
TW (1) TW4645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0599B1 (fr) 1996-07-02 1998-12-31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des agents de coloration cristaux liquides et leur utilisation
EP0957140A3 (en) * 1998-05-14 2000-05-10 Nikki Chemical Co., Ltd. Ultraviolet-cutoff material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6306409B1 (en) * 1998-11-02 2001-10-23 Shiseido Co., Ltd. Light-responding high color-rendering makeup cosmetic preparation
US6165260A (en) * 1999-03-30 2000-12-26 Engelhard Corporation Pearlescent pigments exhibiting color travel
US6165450A (en) * 1999-05-03 2000-12-26 Em Industries, Inc. Sprayable sunscreen compositions
ATE328571T1 (de) 1999-07-20 2006-06-15 Beiersdorf Ag Emulgatorfreie feindisperse systeme vom typ wasser-in-öl
DE19939835A1 (de) 1999-08-21 2001-02-22 Beiersdorf Ag Wasserhaltige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Stifte
US20030157041A1 (en) * 2000-01-13 2003-08-21 Dreher John D. Optical makeup compositon
US6428773B1 (en) 2000-01-13 2002-08-06 Color Access, Inc. Shadow-effect cosmetic composition
US20030211058A1 (en) * 2000-01-19 2003-11-13 Matts Paul Jonathan Skin care compositions
CA2505963C (en) * 2002-11-15 2009-06-02 Color Access, Inc. Transparent conceal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transparent component and a non-interference platelet
US20040223928A1 (en) * 2003-05-08 2004-1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FR2856300A1 (fr) * 2003-06-18 2004-12-24 Galderma Res & Dev Composition pharmaceutique topique teinte a base de metronidazole
JP4789409B2 (ja) * 2003-11-07 2011-10-12 ロレアル 着色無機顔料内包粒子及び無機顔料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US7695726B2 (en) * 2004-01-23 2010-04-1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igmented cosmetic composition exhibiting radiance with soft focus
DE102004012135A1 (de) * 2004-03-12 2005-09-29 Beiersdorf Ag Zubereitung gegen gerötete Haut
US20050249684A1 (en) * 2004-05-07 2005-11-10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Taurate formulated pigmented cosmetic composition exhibiting radiance with soft focus
US7780955B2 (en) 2004-11-12 2010-08-24 L'oreal Cosmetic composition with a lightening effect
FR2877839B1 (fr) * 2004-11-12 2008-09-2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effet eclaircissant
JP5363696B2 (ja) * 2005-03-23 2013-12-11 株式会社 資生堂 肌化粧料用色材組成物、それを用いたファンデーション、化粧方法
US9089493B2 (en) * 2005-09-16 2015-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US8518445B2 (en) * 2006-01-20 2013-08-27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Changing skin-color perception using quantum and optical principles in cosmetic preparations
FR2901476B1 (fr) * 2006-05-29 2011-12-23 Oreal Procede de coloration d'une peau foncee
EP1889598B1 (en) * 2006-07-18 2016-02-03 L'Oréal Cosmetic composition in powdered form
EP1889599A1 (fr) * 2006-07-21 2008-02-20 L'oreal Composition et procédé de maquillage des peaux foncées
US20080019933A1 (en) * 2006-07-21 2008-01-24 L'oreal Method of making-up dark skin
FR2903899B1 (fr) * 2006-07-21 2012-01-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ortant une phase aqueuse et au moins un pigment interferentiel apte a generer des points de surbrillance
US20080095723A1 (en) * 2006-07-21 2008-04-24 L'oreal Cosmetic composition
EP1897529A1 (fr) * 2006-07-21 2008-03-12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FR2903895A1 (fr) * 2006-07-21 2008-01-25 Oreal Procede de maquillage des peaux foncees.
JP5535425B2 (ja) * 2006-12-22 2014-07-02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ィラ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US20080175931A1 (en) * 2007-01-19 2008-07-24 Nathalie Schlemer Cosmetic foundation
DE102007010986A1 (de) * 2007-03-05 2008-09-11 Merck Patent Gmbh Übergangsmetallhaltige Effektpigmente
CN101785783A (zh) * 2009-01-22 2010-07-28 朱晓颂 金属Ti微粒子在促进或增大皮肤外用抗菌或杀菌药物功效上的用途
EP2377508B1 (de) * 2010-04-14 2012-10-17 PM-International AG Kosmetische O/W-Emulsion zur Hautpflege
FR2967348B1 (fr) 2010-11-17 2013-05-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contour des yeux
US9320687B2 (en) 2013-03-13 2016-04-2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4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3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209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KR20160047937A (ko) * 2014-10-23 2016-05-03 (주)아모레퍼시픽 청색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피부 투명감 증진용 조성물
FR3061004B1 (fr) * 2016-12-28 2019-08-16 L V M H Recherche Composition cosmetique universelle
JP7242256B2 (ja) * 2018-11-06 2023-03-20 ロレアル ゴニオクロマチック顔料及び白色顔料を含むメイクアップ用粉末組成物
CN115551465A (zh) 2020-05-29 2022-12-30 莱雅公司 用于护理和/或化妆角蛋白材料的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905A (en) * 1989-11-30 1993-01-05 Shiseido Co., Ltd. Photochromic flesh-colored pig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956628A (ja) * 1995-08-25 1997-03-04 Dedo Suisen Kk シャワ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5644B1 (ko) 1962-06-26 1968-11-05
US3437515A (en) * 1965-01-11 1969-04-08 Mearl Corp Method of coating surfaces with high index oxides
DE2064591A1 (de) * 1970-01-06 1971-07-15 Unilever N.V., Rotterdam (Nieder lande) Haarsprayzusammensetzung
US4038099A (en) * 1971-08-30 1977-07-26 The Mearl Corporation Rutile-coated mica nacreous pigmen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S5948410A (ja) * 1982-09-11 1984-03-19 Shiseido Co Ltd 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9666A (ja) * 1984-07-05 1986-01-28 Pola Chem Ind Inc 着色真珠光沢顔料の製造法
JP2842617B2 (ja) 1989-05-17 1999-01-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ファンデーション
JP2978989B2 (ja) * 1990-12-04 1999-11-15 エンジェルハード・コーポレイション 改良板状顔料
JPH0656628A (ja) * 1992-08-07 1994-03-01 Pola Chem Ind Inc 粉体化粧料
GB9415451D0 (en) * 1994-07-30 1994-09-21 Procter & Gamble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905A (en) * 1989-11-30 1993-01-05 Shiseido Co., Ltd. Photochromic flesh-colored pig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956628A (ja) * 1995-08-25 1997-03-04 Dedo Suisen Kk シャワ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90916A (en) 1997-11-25
KR960009986A (ko) 1996-04-20
EP0701810A1 (en) 1996-03-20
DE69533768D1 (de) 2004-12-23
DE69533768T2 (de) 2005-11-03
TW464505B (en) 2001-11-21
ES2231779T3 (es) 2005-05-16
EP0701810B1 (en)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850B1 (ko) 피부색조정용조성물
EP111053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ollow metal oxide plate powder
US20050061205A1 (en) Titanium oxide composition having high brilliant color, composition comprising coating and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U2639301A (en) Shadow-effect cosmetic composition
US6416573B2 (en) Composite pigment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WO2006049696A1 (en) Novel pigments for wrinkle-hiding cosmetic applications
WO2006049697A1 (en) Novel silica- or silicate-based pigments for wrinkle-hiding cosmetic applications
KR20210012999A (ko) 신규 산화 티탄 분체 및 이것을 배합하는 화장료
JP2000319540A (ja) 光透過性新規複合機能粉体
JP4438310B2 (ja) 化粧品用添加剤
JP2001288038A (ja) 化粧料
JP3697428B2 (ja) 着色雲母チタン
JP2004339185A (ja) 干渉色薄片状タルク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3055573A (ja) 積層型干渉性球状顔料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3109390B2 (ja) 肌色調整方法
JP3456674B2 (ja) 着色雲母チタン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肌色調整用組成物
JP3384628B2 (ja) 肌色調整用組成物
JPH0920609A (ja) 無機金属水酸化物−粘土鉱物の被覆粉体及び該被覆粉体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2121116A (ja) 化粧料
JP3492966B2 (ja) 化粧料
JP3796278B2 (ja) 肌色調整用組成物
JP2002146237A (ja) 新規な有色虹彩箔光沢顔料及びこれら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2004123681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3563578B2 (ja) くすみ肌色改善剤
JP5086594B2 (ja) 睫毛用又は眉毛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