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995A -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5995A KR20070105995A KR1020077018509A KR20077018509A KR20070105995A KR 20070105995 A KR20070105995 A KR 20070105995A KR 1020077018509 A KR1020077018509 A KR 1020077018509A KR 20077018509 A KR20077018509 A KR 20077018509A KR 20070105995 A KR20070105995 A KR 200701059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polyoxymethylene
- conductive
- component
- polyamide oligom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전도성 충전재, 적어도 하나의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개시한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 옥시메틸렌의 단일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9.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전도성 충전재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4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이 감소되거나 제거된 열화를 나타내도록 조성물을 안정화시킨다. 추가로, 더 높은 온도, 압력 및 고연료 함량 환경에 노출시켰을 때, 상기 물품은 목적하는 물리적 특성을 유지한다.
폴리옥시메틸렌, 전도성 충전재, 보론 옥시산,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내열화성
Description
<관련된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5년 1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644,299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도성 중합체, 더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내열화성을 가지는 전기적 전도성, 정전기 소산성, 및 대전방지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전도성 중합체 물질은 전자기파의 투과를 방지하기 위해 부품으로부터의 정전기적 전하의 소산, 정전기적 분무 페인팅, 및 전기적 성분의 가리움을 비롯한 많은 분야에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전기적 전도도를 증가시키는 일차적인 방법은 금속성 분말, 금속성 섬유, 이온성 전도성 중합체, 본질적인 전도성 중합체 분말, 예를 들어, 폴리피롤, 탄소 섬유 또는 카본 블랙과 같은 전도성 첨가제로 중합체를 충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접근법은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금속성 섬유 및 중합체 분말은 부족한 내부식성 및 불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추가로, 이들의 밀도는 고중량 적재물을 필요하게 하므로, 이들의 사용은 종종 비실용적이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또는 피치계 탄소 섬유를 기본 수지에 첨가하여 전도성 중합체를 생성할 때, 전도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높은 충전재 함량은 기본 수지에 특이한 특성의 열화를 야기한다. 복잡한 모양의 최종 생성물을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면, 섬유의 비교적 큰 크기로 인해 고르지못한 충전재 분포 및 섬유 배향이 발생하기 쉽고, 이는 불균일한 전기적 전도도를 야기한다.
카본 블랙은 많은 적용에 대해 첨가제로서 선택되고 있다. 그러나 카본 블랙의 사용도 또한 다수의 현저한 단점을 가진다. 첫째로, 중합체의 전도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카본 블랙의 양이 비교적 많다. 둘째로, 전도성 카본 블랙의 높은 형태학적 "구조"가 고 전단 용융 처리 동안 분해된다. 상기 형태학적 구조는 형성된 부품의 인성 특성을 상기 특성이 많은 적용에 대해 너무 열악한 정도로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심지어 인성 수준이 주어진 적용에 적합하더라도, 생성물의 표면으로부터의 카본 블랙의 탈피 또는 마멸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형적인 카본 블랙 제조 방법으로부터 생성된 고유의 화학적 불순물이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에서 이들 물질의 사용을 비실용적이게 한다.
다수의 적용에서 카본 블랙 대신에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카본 블랙보다 적은 양의 탄소 나노튜브를 중합체에 첨가하여 전도성 최종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탄소 나노튜브를 중합체에 첨가하여 최종 생성물의 인장 및 굴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었다.
탄소 나노튜브는 전형적으로 나노튜브의 원통형 축 주위에 사실상 동심으로 배치된 흑연 외부 층이 있는 연동 튜브의 형태이다. 나노튜브는 전형적으로 사실 상 열분해적으로 침착된 열 탄소 오버코트가 없다.
탄소 나노튜브는 전형적으로 길이 대 직경 비율이 적어도 5이고, 직경이 500 나노미터 미만인 탄소 필라멘트이다. 나노튜브의 벽 두께는 보통 3.5 내지 75 나노미터인 나노튜브의 외부 직경의 약 0.1 내지 0.4배이다. 고강도 나노튜브가 필요한, 예를 들어, 나노튜브를 보강재로서 사용하는 적용에서 외부 직경은 사실상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탄소 나노튜브에 대한 일 단점은 탄소 나노튜브가 산성이고 기본 수지의 특성의 열화를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을 특정 환경, 예를 들어 고온 또는 고압 환경 또는 고연료 함량 환경에 노출시킬 때, 열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일 예로서, 기본 수지가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옥시메틸렌이고, 성분을 자동차 연료 계를 위해 사용할 때, 이들 성분은 고연료 함량 환경에 종속된다. 따라서, 성분의 열화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개요 및 장점>
본 발명은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전도성 충전재, 적어도 하나의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 옥시메틸렌의 단일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9.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전도성 충전재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4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관련된 분야를 특징짓는 불충분한 점을 극복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조합은 그로부터 형성된 조성물 및 물품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가성 환경, 예를 들어 연료 환경에 노출시킬 수 있고, 조성물의 안정성의 결과로서 열화가 감소된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물품의 물리적 특성이 긴 기간 동안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물품을 열화시키는 전도성 충전재의 산도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수반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하였을 때 하기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되므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시간 동안 히드로퍼옥사이드 중에 침지시킨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에 대한 파단 인장 응력 및 변형율의 퍼센트 보존율의 도표이다.
도 2는 다양한 시간 동안 히드로퍼옥사이드 중에 침지시킨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에 대한 인장 모듈러스의 퍼센트 보존율의 도표이다.
도 3은 다양한 시간 동안 히드로퍼옥사이드 중에 침지시킨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의 퍼센트 중량 증가율의 도표이다.
도 4는 다양한 시간 동안 히드로퍼옥사이드 중에 침지시킨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에 대한 정적 감쇠의 도표이다.
도 5는 다양한 시간 동안 히드로퍼옥사이드 중에 침지시킨 본 발명의 조성물 로부터 형성된 물품의 부피 및 표면 저항성의 도표이다.
다양한 환경에 노출시켰을 때 개선된 내열화성을 가지는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개선된 내성 이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은 다양한 환경에 의존하는 목적하는 부피 저항성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적용의 연료 환경 중의 물품은 SAE J 1645 "연료 계-정전기적 전하"에 따라 106 Ohm·cm 미만의 부피 저항성을 요구한다. 다른 환경은 104 내지 108 Ohm·cm의 부피 저항성을 요구할 수 있다. 특정 적용에 따라, 주요 적용은 목적하는 부피 저항성과 개선된 내열화성을 가지는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전도성 충전재, 적어도 하나의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적어도 하나의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 옥시메틸렌의 단일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단일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촉매의 존재하에서 포름알데히드 또는 트리옥산을 중합하여 제조한다. 단일중합체는 옥시메틸렌 반복 단위 (-CH2O-)로 구성된다.
상기 유형의 공중합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중합체는 중합체의 주요 사슬 내에 적어도 50 몰%의 반복 단위 -CH2O-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 특히 반복 단위 -CH2O- 이외에, 또한 5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몰%, 특히 0.3 내지 10 몰%의 하기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C1-C4-알킬 또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할로겐 치환된 알킬이고, R5는 -CH2-, -CH2O- 또는 C1-C4-알킬- 또는 C1-C4-할로알킬 치환된 메틸렌 기, 또는 상응하는 옥시메틸렌 기이고, n은 0 내지 3이다.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혼입된 미국 특허 제 5,369,177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들 기는 유리하게는 시클릭 에테르의 고리 절단에 의해 공중합체로 도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의 용융점은 적어도 150℃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5,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7,000 내지 150,000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말단 기에서 안정화되고 사슬 말단에서 C-C 결합을 가진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9.5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9 중량 퍼센트, 특히 70 내지 98.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바람직한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바스프 코퍼레이션 (BASF Corp.)으로부터 울트라폼 (Ultraform)®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전형적으로 약 1014 Ohm·cm의 저항성을 가지고 절연체로서 작용한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강인화 중합체,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성분, 및 에폭시 함유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반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수지일 수 있고, 용융점이 바람직하게는 22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15℃ 미만이다.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800 내지 약 10,000이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내부 결합 및 말단을 가진다. 내부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디에틸 아디페이트,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도데칸디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도데칸디산 및 카프로락탐, 또는 헥사메틸렌 디아민, 아디프산 및 카프로락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도된다.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예는 폴리헥사메틸렌아젤라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세바크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도데칸디아미드, 폴리-11-아미노운데칸아미드 및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도데칸디아미드, 또는 락탐의 고리 절단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라우로락탐 또는 라우로락탐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산 성분으로서의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및/또는 디아민 성분으로서의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을 기재로 한 폴리아미드 및 상술한 중합체 또는 이들의 성분 중 둘 이상을 공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아미드 기본 수지가 또한 적합하다.
카프로락탐, 헥사메틸렌디아민, p,p'-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및 아디프산 기재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특히 적합한 폴리아미드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카프로락탐,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아디프산의 공중합체이고, 프로피온산은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말단을 캡핑하기 위해 이용되고,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약 3000 g/mol이다. 바람직한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BASF Aktiengesellschaft)의 상품명 울트라미드 (Ultramid)®1C 하에서 판매되는 제품이다. 또 다른 적합한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상품명 엘바미드 (Elvamide)®하에서 듀폰 (Du Pont)에 의해 판매된다.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말단 아미노 기 대 말단 산 기의 비율은 출발 화합물의 분자 비율을 달리하여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2캡핑된다. 즉, 말단에 자유 말단 아미노 기 또는 말단 산 기가 없다.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캡핑하기 위해 다양한 성분, 예를 들어 1염기 또는 2염기 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중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양은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5 내지 약 2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 중량 퍼센트, 특히 약 0.01 내지 약 0.75 중량 퍼센트이다.
하기에 엘라스토머 중합체 또는 엘라스토머라고도 언급한 강인화 중합체는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중에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약 50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약 4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강인화 중합체의 바람직한 유형은 에틸렌/프로필렌 (EPM)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EPDM) 고무이다. EPM 고무는 일반적으로 이중 결합이 없는 반면, EPDM 고무는 탄소 원자 100개당 1개 내지 20개의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EPDM 고무를 위한 디엔 단량체의 예는 공액 디엔, 예를 들어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 5개 내지 25개 탄소 원자의 비공액 디엔, 예를 들어 펜타-1,4-디엔, 헥사-1,4-디엔, 헥사-1,5-디엔, 2,5-디메틸헥사-1,5-디엔 및 옥타-1,4-디엔, 시클릭 디엔,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옥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알케닐노르보르넨, 예를 들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부틸리덴-2-노르보르넨, 2-메트알릴-5-노르보르넨 또는 2-이소프로페닐-5-노르보르넨 및 트리시클로디엔, 예를 들어 3-메틸트리시클로[5.2.1.0.2.6]-3,8-데카디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헥사-1,5-디엔, 5-에틸리덴노르보르넨 및 디시클로펜타디엔이 바람직하다. EPDM 고무의 디엔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고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50 중량 퍼센트, 특히 약 1 내지 약 8 중량 퍼센트이다.
EPDM 고무는 또한 추가 단량체, 예를 들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아미드로 그래프트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고무의 추가 군은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고무는 더구나 미국 특허 제 5,369,177호에 기재된 에폭시 함유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중에 존재하는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입체 장애형 아미노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유도체, 예를 들어 4-아세톡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아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톡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페녹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벤질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4-(페닐카르바모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옥살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말로네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아디페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테레프탈레이트, 1,2-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옥시)에탄,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헥사메틸렌-1,6-디카르바메이트, 비스(1-메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아디페이트, 및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벤젠-1,3,5-트리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더구나, 비교적 고분자량의 피페리딘 유도체, 예를 들어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딜에탄올 또는 폴리 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디일(2,2,6,6-테트라메틸-14-피페리디닐) 이미노와의 디메틸 석시네이트 중축합체가 적합하다. 상기 유형의 화합물은 시바 가이기 아게 (Ciba Geigy AG)로부터 상품명 티누빈 (Tinuvin)®하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산화방지제는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중에 약 0.1 내지 약 2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 특히 약 0.2 내지 약 1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광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UV 광 안정화제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또는 벤조페논 유도체 또는 방향족 벤조에이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광 안정화제는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 중에 약 0.1 내지 약 2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 특히 약 0.2 내지 약 1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아밀-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이소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1,1-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2,4-(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1,1-디메틸에틸)-6-(1-메틸프로필)-페놀 및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1-디메틸프로필)-페놀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유형의 화합물은 시바 가이기 아게로부터 상품명 키마솔브 (Chimassorb)®하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바람직한 벤조페논 유도체는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설포벤조페논 및 2-히드록시-4-옥시벤질벤조페논이다. 방향족 벤조에이트 유도체의 예는 p-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및 p-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에폭시 함유 화합물은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2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 퍼센트,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 특히 약 0.2 내지 약 1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에폭시 함유 화합물은 방향족,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알콜 또는 약 3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의 카르복실산 또는 시아누르산과 할로겐화 에폭사이드, 바람직하게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단량체 및 올리고머 (중)축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쉘 케미컬스 (Shell Chemicals)로부터 상품명 에피코테 (Epikote)®하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에폭시 함유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DIN 16,945 (방법 A 또는 B)에 따라 결정한 에폭사이드 수 (epoxide number)가 약 0.1 내지 약 15 당량/kg,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11 당량/kg이다.
조성물은 또한 전도성 충전재를 포함한다.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의도 없이, 전도성 충전재는 적어도 약간 산성이라고, 이는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의 열화를 증가시킨다고 여겨진다. 전도성 충전재의 일 예는 탄소 나노튜브이다. 전도성 충전재가 다른 전도성 충전재,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전도성 규회석, 전도성 탄소 분말 등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전도성 충전재가 전도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나노튜브는 전형적으로 흑연 층으로부터 형성된 튜브의 형태를 가진다. 흑연 층은 원통형 축 주위에 동심으로 배열된다. 탄소 나노튜브는 단일 벽 또는 다중 벽일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의 길이 대 직경 비율은 적어도 약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0이다. 나노튜브의 직경은 전형적으로 약 3 내지 약 500 나노미터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0 나노미터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50 나노미터의 범위 내이다. 탄소 나노튜브의 길이는 전형적으로 약 0.5 내지 약 1,0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0.8 내지 약 10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μm이다. 탄소 나노튜브는 흑연 층이 주위에 형식적으로 권취되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 중심을 가진다 (즉 흑연 층은 중공 중심 주위에 감긴다). 상기 공동의 직경은 전형적으로 약 0.001 내지 약 0.1 μm, 바람직하게는 약 0.008 내지 약 0.015 μm이다. 탄소 나노튜브의 전형적인 실시양태에서, 공동 주위의 나노튜브 벽은 8개 흑연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는 복수의 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직경 약 1,000 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직경 약 500 μm 이하의 응집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응집체는 제비집, 코머사 (combed yarn), 또는 개방 네트워크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단량체의 중합 이전, 동안 또는 이후에 탄소 나노튜브를 조성물에 첨가하여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을 형성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는 하이퍼리온 커탤러시스 (Hyperion Catalysis) 또는 어플라이드 사이언스즈 인코퍼레이티드 (Applied Sciences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전도성 충전재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4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충전재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처음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은 또한 제 1 폴리아미드 및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약 0.5:1 내지 약 5:1, 바람직하게는 약 0.5:1 내지 약 3:1,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2:1의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대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 비율로 존재한다.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을 통해 첨가된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조성물에 첨가된 유일한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일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추가의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첨가되지 않는다면,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될 수 있다.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상기 기술한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나열한 임의의 적합한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적용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5 중량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의 상품명 울트라미드® 1C하에서 판매되는 제품이다. 또 다른 적합한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상품명 엘바미드®하에서 듀폰에 의해 판매된다.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을 형성하기 위한 적합한 산은 붕산, 메타붕산, 및 테트라붕산을 포함한다. 적합한 보론 염은 알칼리 금속 보론 옥시산, 알칼리 토금속 보론 옥시산, 및 금속 보론 옥시산이다. 적합한 알칼리 금속은 리튬, 나트륨, 칼륨 및 루비듐을 포함한다. 적합한 알칼리 토금속은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및 바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보론 옥시산 염은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보론 옥시산 염은 보통 보락스 (Borax)라고 불리우는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 데카히드레이트와 같은 수화 형태로 첨가한다.
보론 옥시산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첨가한다.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의도 없이, 보론 옥시산 및 제 1 및/또는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조합은 전도성 충전재에 대해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을 안정화시키고 특정 환경에 노출시켰을 때 조성물의 열화를 방지한다고 여겨진다. 보론 옥시산 및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전도성 충전재보다 덜 산성이고, 보론 옥시산 및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그 자체로 폴리옥시메틸렌의 캡핑을 통해 및 폴리옥시메틸렌의 열화로부터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을 흡착하여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의 중화를 돕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은 안정화제 성분으로서 완전히 혼합된 형태로 제공한다. 이어서 안정화제 성분을 미리 제조한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에 직접 첨가하여 개선된 내열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20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이외에, 안정화제 성분은 또한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상기 기술한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과 유사하게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과 같다. 일 바람직한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바스프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울트라폼®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9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은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상기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안정화제는 또한 조성물을 추가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산 스캐빈저, 접착 촉진제, 및 광 안정화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안정화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산 스캐빈저는 칼륨 카르보네이트 또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하나의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는 피큐 코퍼레이션 (PQ Corporation)으로부터의 앰보솔(Ambosol) 500이다.
상기 기술한 성분 이외에, 조성물은 또한 통상적인 첨가제 및 가공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포름알데히드 또는 산 스캐빈저, 가소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접착 촉진제, 광 안정화제 및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약 0.001 내지 약 5 중량 퍼센트이다.
조성물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성분의 혼합은 유리하게는 압출기에서 수행한다.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물품은 특정 환경에 노출시켰을 때 자유 라디칼로 열화되고 포름산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환경에 노출시켰을 때 개선된 내열화성을 가지는 물품을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의 물품의 형성 및 본원에 나타낸 물품의 특정 특성을 예시하는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함이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다면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중량 퍼센트인 하기 표 1에 열거된 성분으로부터 형성하였다.
제 1 POM 성분은 바스프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울트라폼®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옥시메틸렌과 디옥솔란의 공중합체였다. 전도성 충전재는 하이퍼리온 인코퍼레이티드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였다. 안정화제는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다면 안정화제의 총 중량 기준 중량 퍼센트인 표 2에 열거된 성분으로부터 형성하였다. 실시예 1 및 2는 각각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보론 옥시산 염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 실시예이다.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바스프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울트라폼®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옥시메틸렌과 디옥솔란의 공중합체였다.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프로피온산으로 2캡핑된 폴리아미드 6과 폴리아미드 6,6의 공중합체였다. 보론 옥시산 염은 보레이트라고도 공지된 보통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 데카히드레이트라고 불리우는 테트라붕산의 금속 염이었다. 첨가제 A는 칼륨 카르보네이트이고, 첨가제 B는 앰보솔 500이었다.
당업자가 아는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에 대해 컴파운딩 작업을 실시하였다. 컴파운딩 작업은 성분을 함께 건조 블렌드한 후, 2축 압출기에서 성분을 배합하였다. 2축 압출기로 냉각된 생성물을 압출한 후, 생성물을 펠렛화하고, 이어서 펠렛을 건조시켰다.
이어서 펠렛화된 생성물을 물품으로 성형하였다. 물품은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 또는 다른 유사한 제조 기술로부터 형성할 수 있었다. 물품은 적용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펠렛화 생성물은 원반 또는 인장 막대로 성형할 수 있었다.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 시료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험한 물리적 특성은 인장 모듈러스 및 항복 및 파단 응력/변형률 (ISO-527), 노치 샤르피 (Notched Charpy) (ISO-179)를 포함하였다. 시료에 대한 50% 상대 습도에서의 표면 및 부피 저항성 (ASTM D4496 및 ESD STM 11.11/11.12)도 또한 시험하였다.
하기 표 4는 110℃ 및 1,000 시간에서의 열 노화 후 실시예 1 내지 11로부터의 각 시료에 대한 특성의 퍼센트 (%) 보존율을 예시한다.
표 3 및 4에서,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일반적으로 인장 및 모듈러스 특성을 감소시키지만, 신장 특성을 증가시켰다. 추가로,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일반적으로 파단 인장 응력 및 노치 샤르피 충격 특성의 퍼센트 보존율을 증가시키고, 파단 인장 변형률 특성을 감소시켰다.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은 일반적으로 신장률을 감소시키고, 인장 및 모듈러스에 대해선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은 일반적으로 파단 인장 변형률 특성을 증가시키고, 파단 인장 응력 및 노치 샤르피 충격 특성을 감소시켰다.
하기 표 5는 실시예 1 내지 11에서 형성된 시료의 다른 추가적인 특성을 예시한다.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잔여 포름알데히드의 양을 낮추고, 용융 유동 속도, 용융 부피 속도, 및 저항성을 증가시켰다.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은 일반적으로 용융 유동 속도, 용융 부피 속도, 및 저항성을 낮추고, 잔여 포름알데히드를 증가시켰다.
상기 자료 경향으로부터, 낮은 저항성 및 높은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의 존재는 둘 모두 일반적으로 이들 특성에 반대의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의 양을 물품의 특정 적용을 위해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적용은 더 낮은 저항성을 요구하는 반면, 물리적 특성은 그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더 높은 저항성과 함께 안정한 물리적 특성을 요구하는 일부 적용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이외에,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고, 연료에 대한 노출의 영향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12는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다면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중량 퍼센트인 의해 표 6에 열거한 조성물에 따라 형성하였다.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바스프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울트라폼®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옥시메틸렌과 디옥솔란의 공중합체였다. 전도성 충전재는 하이퍼리온 인코퍼레이티드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다중 벽 탄소 나노튜브였다.
안정화제는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다면 안정화제의 총 중량 기준 중량 퍼센트인 표 7에 나열된 성분으로부터 형성하였다.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은 바스프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울트라폼®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옥시메틸렌과 디옥솔란의 공중합체였다.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프로피온산으로 2캡핑된 폴리아미드 6과 폴리아미드 6,6의 공중합체였다. 보론 옥시산 염은 보레이트라고도 공지된 보통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 데카히드레이트라고 불리우는 테트라붕산의 금속 염이었다.
당업자가 아는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에 대해 컴파운딩 작업을 실시하였다. 컴파운딩 작업은 성분을 함께 건조 블렌드한 후, 2축 압출기에서 성분을 배합하였다. 2축 압출기로 냉각된 생성물을 압출한 후, 생성물을 펠렛화하고, 이어서 펠렛을 건조시켰다.
이어서 펠렛화된 생성물을 물품으로 성형하였다. 물품은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 또는 다른 유사한 제조 기술로부터 형성할 수 있었다. 물품은 적용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펠렛화 생성물은 원반 또는 인장 막대로 성형할 수 있었다.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 시료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험한 물리적 특성은 인장 모듈러스 및 항복 및 파단 응력/변형률 (ISO-527), 노치 샤르피 (ISO-179), 및 인장 막대의 중량 증가를 포함하였다. 시험한 전기적 특성은 50% 상대 습도에서의 표면 및 부피 저항성 (ASTM D4496, ESD STM 11.11 및 11.12), 및 정적 감쇠 (유럽 표준 CECC 00015/1)를 포함하였다. 시료 물품의 부피 저항성은 약 1 x 102 Ω·cm였고, 표면 저항성은 약 1 x 104 Ω/Sq였다. 하기 표는 연료 중에 침지시키기 전 (대조부) 및 연료 중에 침지시킨 후의 시료의 물리적 특성을 열거하였다.
각 시료의 대조부는 연료로의 임의의 노출 전에 시험하고, 물리적 특성을 기록하였다. 시료 1에 관련하여, 시료 물품에 대해 72℃에서 96 시간 동안 연료 침지 A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료 침지 A를 위해 사용한 연료 혼합물은 5% 메탄올, 0.5% 물, 및 84.5%의 50% 톨루엔/30% 이소옥탄/15% 디-이소부틸렌/5% 에탄올을 포함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기록하고 시료 중 퍼센트 변화를 결정하였다.
시료 2 내지 6에 대해 60℃에서 지시된 상이한 길이의 시간 동안 연료 침지 B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료 침지 B를 위해 사용한 연료 혼합물은 메탄올 15% 및 이소옥탄 및 톨루엔 (Ml5)의 50/50 부피 혼합물 리터당 10 mMol의 ter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TBHP)가 있는 이소옥탄 및 톨루엔 (Ml5)의 50/50 부피 혼합물 85%를 포함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기록하고, 퍼센트 변화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12로부터 형성된 시료는 소량의 중량 증가를 나타내고, 물리적 특성의 열화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시료 2 내지 시료 6을 비교하였을 때, 추가 1950 시간 후의 물리적 특성은 사실상 동일하였다. 그러한 연료 환경에 노출시켰을 때 실시예 12로부터 형성된 시료는 안정하지만, 또한 충분히 낮은 저항성을 가진다고 여겨진다.
상기 시험 결과를 기초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물품은 침지 후 개선된 내열화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5는 이들 시험의 결과를 도표적으로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침지 후 파단 인장 응력 및 변형률의 퍼센트 보존율을 나타내었다. 인장 응력의 퍼센트 보존율은 100% 약간 미만으로 떨어진 반면, 인장 변형률의 퍼센트 보존율은 100% 초과로 증가하였다. 도 2는 인장 모듈러스의 퍼센트 보존율이 모든 시간 동안 60% 초과로 유지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3은 침지 후 시료에 대한 퍼센트 중량 증가의 도표이다. 시료는 약 2%를 약간 초과하는 안정 수준에 달하였다. 도 4 및 5는 시료의 전도성 특성을 예시한다. 도 5는 침지 후, 물품의 부피 및 표면 저항성 (옴)을 나타낸다. 부피 및 표면 저항성이 유지되고, 이는 이러한 환경에 노출시켰을 때 열화가 감소되거나 제거된 물품을 나타낸다.
명백하게, 상기 교시로부터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명확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Claims (33)
-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 옥시메틸렌의 단일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9.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4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도성 충전재,적어도 하나의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적어도 하나의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약 0.5:1 내지 약 5:1의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대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 비율로 존재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 준으로 약 0.01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이 알칼리 금속 보론 옥시산, 알칼리 토금속 보론 옥시산, 및 금속 보론 옥시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이 리튬, 나트륨, 칼륨, 및 루비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이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및 바륨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이 추가로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 데카히드레이트로 규정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사실상 2캡핑된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상기 폴리아미드 올 리고머가 안정화제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완전히 혼합된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 성분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2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 성분이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 옥시메틸렌의 단일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이 상기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9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이 상기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상기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도성 폴리 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800 내지 약 10,000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카프로락탐 또는 라우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된 내부 결합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디에틸 아디페이트,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도데칸디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도데칸디산 및 카프로락탐, 또는 헥사메틸렌 디아민, 아디프산 및 카프로락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도된 내부 결합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전도성 충전재가 추가로 탄소 나노튜브로 규정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직경이 약 500 나노미터 미만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길이 대 직경 비율이 적어도 5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이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5 내지 약 2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이 강인화 중합체를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내지 약 5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이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성분, 및 에폭시 함유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제 1항의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개선된 내열화성을 가지는 물품.
- 옥시메틸렌의 공중합체, 옥시메틸렌의 단일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적어도 하나의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적어도 하나의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며,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및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약 0.5:1 내지 약 5:1의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 대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 비율이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하는,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정화제 성분.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이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안정화제 성분.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안정화제 성분.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이 안정화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9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안정화제 성분.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이 알칼리 금속 보론 옥시산, 알칼리 토금속 보론 옥시산, 및 금속 보론 옥시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것인 안정화제 성분.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옥시산 또는 이들의 염이 추가로 나트륨 테트 라보레이트 데카히드레이트로 규정되는 것인 안정화제 성분.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사실상 2캡핑된 것인 안정화제 성분.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성분이 제 2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강인화 중합체,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성분, 및 에폭시 함유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정화제 성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4429905P | 2005-01-14 | 2005-01-14 | |
US60/644,299 | 2005-01-14 | ||
PCT/EP2006/000210 WO2006074922A1 (en) | 2005-01-14 | 2006-01-12 | Conductive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5995A true KR20070105995A (ko) | 2007-10-31 |
KR101226424B1 KR101226424B1 (ko) | 2013-01-24 |
Family
ID=3609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8509A KR101226424B1 (ko) | 2005-01-14 | 2006-01-12 |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7648653B2 (ko) |
EP (1) | EP1841823B1 (ko) |
JP (1) | JP5049138B2 (ko) |
KR (1) | KR101226424B1 (ko) |
CN (1) | CN101103075B (ko) |
AT (1) | ATE407179T1 (ko) |
BR (1) | BRPI0606701B1 (ko) |
DE (1) | DE602006002593D1 (ko) |
ES (1) | ES2310902T3 (ko) |
PL (1) | PL1841823T3 (ko) |
WO (1) | WO200607492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04447A1 (ko) * | 2012-12-28 | 2014-07-03 |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 |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면서 가공특성 및 열안정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32081A1 (ja) * | 2005-09-16 | 2007-03-22 |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 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組成物 |
JP2010144112A (ja) * | 2008-12-22 | 2010-07-01 | Polyplastics Co | 燃料用部品 |
JP2012140482A (ja) * | 2010-12-28 | 2012-07-26 | Hodogaya Chem Co Ltd | ポリアセタール樹脂/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導電性樹脂複合材料 |
US20140137975A1 (en) * | 2012-11-21 | 2014-05-22 | Ticona Llc | Plasticized, Conductive Polyoxymethylene for Fuel Applications |
WO2014093055A1 (en) * | 2012-12-13 | 2014-06-19 | Ticona Llc | Laser-weldable electrostatically dissipative polyoxymethylene based on stainless steel fibers |
WO2020250895A1 (ja) * | 2019-06-10 | 2020-12-17 | 旭化成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KR20200142622A (ko) * | 2019-06-12 | 2020-12-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방법 |
WO2022075107A1 (ja) * | 2020-10-09 | 2022-04-14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部品 |
CN116783245A (zh) * | 2020-12-23 | 2023-09-19 | 宝理塑料株式会社 | 聚缩醛树脂组合物以及燃料接触体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357A (en) * | 1891-07-07 | Wagon-jack | ||
US3960964A (en) * | 1973-12-26 | 1976-06-01 | Texaco Inc. | Hydrocarbon upgrading process |
US3960984A (en) * | 1974-04-16 | 1976-06-01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omposition of oxymethylene polymer and amide oligomers |
JPS5951937A (ja) * | 1982-09-16 | 1984-03-26 | Polyplastics Co |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
JPS59105047A (ja) * | 1982-12-07 | 1984-06-18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アセタ−ル樹脂組成物 |
JPH0598167A (ja) * | 1990-07-20 | 1993-04-20 | Sanyo Chem Ind Ltd | 複合樹脂組成物 |
US5424338A (en) * | 1992-08-06 | 1995-06-13 | Basf Corporation | Rigid hydrophilic polyurethane foams |
CN1100557A (zh) * | 1994-06-18 | 1995-03-22 | 华南理工大学 | 一种导电塑料的制备方法 |
JPH101592A (ja) * | 1996-06-19 | 1998-01-06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 |
JP3789555B2 (ja) * | 1996-06-19 | 2006-06-28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AT404241B (de) * | 1996-06-26 | 1998-09-25 | Isovolta | Beschichtungssystem sowie dess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acrylat- oberflächenbeschichtungen an schichtpressstoffplatten |
EP0831117B1 (de) | 1996-09-18 | 2001-02-14 | Basf Aktiengesellschaft | Elektrisch beheizbare Formteile |
JP3696363B2 (ja) * | 1997-03-18 | 2005-09-14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JP4969720B2 (ja) | 2000-10-23 | 2012-07-04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
DE10162903B4 (de) * | 2000-12-26 | 2009-04-30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Polyoxymethylenharz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
JP2003082247A (ja) * | 2001-06-28 | 2003-03-19 | Toray Ind Inc |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
JP2003041091A (ja) * | 2001-07-26 | 2003-02-13 | Toray Ind Inc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
JP2004010803A (ja) * | 2002-06-10 | 2004-01-15 | Asahi Kasei Corp | 導電性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
JP2004176062A (ja) * | 2002-11-15 | 2004-06-24 | Toray Ind Inc | 光ピックアップ部品用錠剤、それから得られる光ピックアップ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625255B2 (ja) * | 2002-12-27 | 2011-02-02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帯電防止剤および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
DE102004005419A1 (de) * | 2004-02-03 | 2005-08-18 | Basf Ag | Stabilisierte POM-Formmassen |
JP2005255734A (ja) | 2004-03-09 | 2005-09-22 | Asahi Kasei Chemicals Corp | 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組成物 |
-
2006
- 2006-01-12 EP EP06700510A patent/EP1841823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1-12 US US11/813,965 patent/US764865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1-12 AT AT06700510T patent/ATE407179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1-12 JP JP2007550750A patent/JP504913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1-12 DE DE602006002593T patent/DE602006002593D1/de active Active
- 2006-01-12 CN CN2006800022786A patent/CN10110307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1-12 PL PL06700510T patent/PL1841823T3/pl unknown
- 2006-01-12 BR BRPI0606701A patent/BRPI0606701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1-12 WO PCT/EP2006/000210 patent/WO2006074922A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6-01-12 ES ES06700510T patent/ES2310902T3/es active Active
- 2006-01-12 KR KR1020077018509A patent/KR10122642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04447A1 (ko) * | 2012-12-28 | 2014-07-03 |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 |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면서 가공특성 및 열안정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03075A (zh) | 2008-01-09 |
CN101103075B (zh) | 2010-10-13 |
JP5049138B2 (ja) | 2012-10-17 |
US7648653B2 (en) | 2010-01-19 |
PL1841823T3 (pl) | 2009-02-27 |
JP2008527128A (ja) | 2008-07-24 |
KR101226424B1 (ko) | 2013-01-24 |
DE602006002593D1 (de) | 2008-10-16 |
WO2006074922A1 (en) | 2006-07-20 |
US20080121847A1 (en) | 2008-05-29 |
EP1841823B1 (en) | 2008-09-03 |
EP1841823A1 (en) | 2007-10-10 |
ES2310902T3 (es) | 2009-01-16 |
ATE407179T1 (de) | 2008-09-15 |
BRPI0606701A2 (pt) | 2010-03-16 |
BRPI0606701B1 (pt) | 201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6424B1 (ko) | 전도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
EP1983029B1 (de) | Gehäuse aus einer Polyamidformmasse mit verbesserter Fließfähigkeit,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 |
KR20080091763A (ko) | 휴대 전자 기기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휴대 전자기기용 성형품 | |
JP4982947B2 (ja)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JP2012229345A (ja) | 成形品 | |
JP2012057151A (ja) |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絶縁用部品 | |
KR101257693B1 (ko) |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
KR101420632B1 (ko) |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면서 가공특성 및 열안정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 |
EP2940074B1 (en) | Carbon nanotube-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improved processability properties and heat stability, and molded article thereof | |
KR102204087B1 (ko)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JP3177606B2 (ja)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
EP1699871A1 (en) | High temperature diesel-resistant polyacetal molded articles | |
KR100523361B1 (ko) | 내연료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과 이의 성형품 | |
WO1998014510A1 (en) | Color stable flame retarded polyamide resin | |
JP2004010803A (ja) | 導電性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 |
EP2938673B1 (en) | Conductive polyoxymethylene based on stainless steel fibers | |
CN1798800A (zh) | 具有改进了热稳定性的聚甲醛均聚物 | |
KR100937626B1 (ko) | 도전성 및 내연료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수지 조성물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JP2023156045A (ja) | ポリアミド組成物 | |
JP2023035802A (ja) | ポリアミド組成物 | |
JP2023096511A (ja) | 電装部品及び電装部品においてイオンマイグレーション及びブリードアウトの発生を抑制しながら、耐熱エージング性を向上させ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