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705A -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2705A KR20070102705A KR1020077017976A KR20077017976A KR20070102705A KR 20070102705 A KR20070102705 A KR 20070102705A KR 1020077017976 A KR1020077017976 A KR 1020077017976A KR 20077017976 A KR20077017976 A KR 20077017976A KR 20070102705 A KR20070102705 A KR 200701027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transmission
- chain
- contact
- pin
- main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체인(1)은 복수의 링크(2)와, 이들 링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쌍의 제1 및 제2의 핀(3, 4)을 구비하고 있다. 제1의 핀(3)은 제2의 핀(4)에 대하여 접촉부(D)에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한다. 제1의 핀(3)은 체인 폭방향(W)에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끝면(17)을 포함하고, 각 끝면(17)에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촉 영역(24)은 접촉 중심점(M)을 포함하고 있다. 제1의 핀(3)은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을 포함하고 있다. 체인(1)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D)와 접촉 중심점(M)의 상대위치가 제1종 핀(3a)과 제2종 핀(3b)에서 서로 다르다.
동력 전달 체인, 동력 전달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풀리식 무단변속기(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등의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무단형상의 동력 전달 체인에는, 복수의 링크를 체인 진행 방향으로 늘어 놓고, 이웃하는 링크끼리를 핀으로 연결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6 참조). 이 동력 전달 체인은 핀의 한쌍의 끝부가 풀리의 테이퍼 디스크에 접촉함으로써 풀리와의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을 행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8-31272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4-30125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4-19082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평1-169149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평1-169150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3-201248호 공보
이 때문에, 동력 전달 체인의 구동시에 각 핀이 풀리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지게 되고, 핀과 풀리의 주기적인 충돌에 기인하는 충돌음이 발생한다. 이 충돌음은 소음의 원인이 되고, 저소음화의 달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동력 전달 체인 및 이것을 구비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직선 영역 및 풀리에 감기는 영역에 교대로 추이하는 동력 전달 체인이,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주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는 대향 부재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향 부재는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에 대응하는 링크 플레이트, 또는 상기 대응하는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부재 중 어느 한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상기 대향부는 상기 동력 전달 체인의 굴곡에 따라 변위하는 접촉부에서, 구름 접촉 및 미끄럼 접촉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에서 대향 부재에 접촉한다. 각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체인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끝면을 포함한다. 각 상기 끝면에 상기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 영역은 접촉 중심점을 포함한다.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는 복수 종류의 주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체인의 상기 직선 영역을 상기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종류마다 다르다.
본원 발명자는 예의 연구의 결과, 동력 전달 체인에 있어서 각 핀이 풀리에 순차적으로 접촉할 때의 주기를 랜덤한 것으로 한다는 착상을 얻었다. 이것에 의해 핀과 풀리의 접촉음의 주파수를 광범위하게 분포시키고, 그 결과,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예의 연구의 결과, 핀의 풀리에 대한 기준점과, 핀의 링크에 대한 기준점의 상대 위치를 핀마다 다르게 하는 것이, 상기 접촉의 주기를 랜덤한 것으로 하는데에 유효하다라는 지견을 얻었다.
본 형태에 의하면, 각 주동력 전달 부재가 풀리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질 때의 맞물림의 주기를 랜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주동력 전달 부재가 풀리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질 때의 맞물림음의 발생 주기를 랜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맞물림음의 주파수를 광범위하게 분포시켜서 특정한 주파수에 피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동력 전달 체인의 구동에 따르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체인을 구비하는 동력 전달 장치로서의 체인식 무단변속기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라이브 풀리(드리븐 풀리) 및 체인의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체인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체인 직선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제1의 핀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1의 핀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뒷부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1의 핀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뒷부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체인의 요부를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본 제1의 핀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IXB-IXB선을 따르는 제1의 핀의 뒷부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IXC-IXC선을 따르는 제1의 핀의 뒷부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본 제1의 핀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XB-XB선을 따르는 제1의 핀의 뒷부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XC-XC선을 따르는 제1의 핀의 뒷부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본 제1의 핀의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MB-XIB선을 따르는 제1의 핀의 뒷부에 평행한 단면도 이다.
도 11(C)는 도 11(A)의 XIC-XIC선을 따르는 제1의 핀의 뒷부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의 핀을 체인 진행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의 핀을 체인 진행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1종 핀 및 제2종 핀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의 핀을 체인 진행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의 핀을 체인 진행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A)는 체인의 맞물림 주파수와, 제1의 핀 및 한쪽의 풀리간의 충돌시의 상대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비교예 1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0(B)는 체인의 맞물림 주파수와, 제1의 핀 및 한쪽의 풀리간의 충돌시의 상대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비교예 2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0(C)는 체인의 맞물림 주파수와, 제1의 핀 및 한쪽의 풀리간의 충돌시의 상대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실시예 1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0(D)는 체인의 맞물림 주파수와, 제1의 핀 및 한쪽의 풀리간의 충돌시의 상대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실시예 2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체인을 구비하는 동력 전달 장치로서의 체인식 무단변속기(이하에서는, 단지 무단변속기라고도 함)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무단변속기(100)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며, 제1의 풀리로서의 금속(구조용 강철 등)제 드라이브 풀리(60)와, 제2의 풀리로서의 금속(구조용 강철 등)제 드리븐 풀리(70)와, 이들 한쌍의 풀리(60, 70) 사이에 감아걸린 무단형상의 동력 전달 체인(1)(이하에서는, 단지 체인이라고도 함)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풀리(60, 70) 사이에 체인(1)을 개재해서 동력이 전달된다. 또, 도 1 중의 체인(1)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일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무단변속기(100)의 구동시, 체인(1)은 직선으로 뻗어진 직선 영역과, 한쌍의 풀리(60, 70) 중 어느 한쪽으로 감기는 영역을 교대로 추이한다.
도 2는 도 1의 드라이브 풀리(60)(드리븐 풀리(70)) 및 체인(1)의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드라이브 풀리(60)는 차량의 구동원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축(61)에 부착되는 것이다. 드라이브 풀리(60)는 고정 시브(62)와 가동 시브(6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시브(62) 및 가동 시브(63)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시브면(62a, 63a)을 각각 갖고 있다. 시브면(62a, 63a)은 원추면 형상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각 시브면(62a, 63a)은 드라이브 풀리(60)의 중심축선(A1)에 직교하는 평면(B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각 시브면(62a, 63a)과 상기 평면(B1)이 이루는 각(풀리 반각(C1))은, 예를 들면 11°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 시브면(62a, 63a) 사이에 홈이 구획되고, 이 홈에 의해 체인(1)을 강압으로 끼워서 유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시브(63)에는, 홈 폭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 액츄에이터(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변속시에, 입력축(61)의 축방향(도 2의 좌우방향)으로 가동 시브(63)를 이동시킴으로써 홈 폭을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그것에 의하여, 입력축(61)의 지름방향(도 2의 상하방향)으로 체인(1)을 이동시키고, 드라이브 풀리(60)의 체인(1)에 관한 유효반경(체인(1)의 감김 반경에 상당)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드리븐 풀리(70)에 있어서 드라이브 풀리(60)와 대응하는 참조 부호를 괄호 내에 나타내고 있다. 드리븐 풀리(7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륜(도시 생략)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축(7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드리븐 풀리(70)는 드라이브 풀리(60)와 마찬가지로, 고정 시브(73) 및 가동 시브(72)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시브(73) 및 가동 시브(72)는 드라이브 풀리(60)와 마찬가지로, 체인(1)을 강압으로 끼우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시브면(73a, 72a)을 각각 갖고 있다.
각 시브면(73a, 72a)은 드리븐 풀리(70)의 중심축선(A2)에 직교하는 평면(B2)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각 시브면(73a, 72a)과 상기 평면(B2)이 이루는 각(풀리 반각(C2))은, 예를 들면 11°로 설정되어 있다. 즉, 드라이브 풀리(60)의 풀리 반각(C1)과 드리븐 풀리(70)의 풀리 반각(C2)은 같게 되어 있다(C1=C2).
드리븐 풀리(70)의 가동 시브(72)에는 드라이브 풀리(60)의 가동 시브(63) 와 마찬가지로 유압 액츄에이터(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고, 변속시에 이 가동 시브(72)를 이동시킴으로써 홈 폭을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그것에 의하여 체인(1)을 이동시키고, 드리븐 풀리(70)의 체인(1)에 관한 유효반경(체인(1)의 감김 반경에 상당)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은 체인(1)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체인 직선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에서는, 체인(1)의 직선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체인(1)은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로서의 링크(2)와, 이들의 링크(2)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연결 부재(200)는 주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제1의 핀(3)과, 부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제2의 핀(4)을 포함하고 있다. 각 연결 부재(200)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핀(3, 4)은 쌍을 이루고 있다.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핀(3, 4)은 서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 구름 슬라이딩 접촉이란 구름 접촉 및 미끄름 접촉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체인(1)의 진행 방향을 따른 방향을 체인 진행 방향(X)이라고 하고, 체인 진행 방향(X)에 직교하고 또한 제1 및 제2의 핀(3, 4)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을 체인 폭방향(W)이라고 하며, 체인 진행 방향(X) 및 체인 폭방향(W)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방향(V)이라고 한다.
각 링크(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인 진행 방향(X) 전후에 나란하는 한쌍의 끝부로서의 전단부(5) 및 후단부(6), 및 이들 전단부(5) 및 후단부(6)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7)를 포함하고 있다.
전단부(5) 및 후단부(6)에는 제1의 관통구멍으로서의 앞 관통구멍(9), 및 제2의 관통구멍으로서의 뒤 관통구멍(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7)는 앞 관통구멍(9) 및 뒤 관통구멍(10) 사이를 칸막이하는 기둥부(8)를 갖고 있다. 이 기둥부(8)는 체인 진행 방향(X)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다.
또한 각 링크(2)에 있어서의 둘레가장자리부는 매끈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링크(2)를 이용하여, 제1∼제3의 열(51∼5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열(51), 제2의 열(52) 및 제3의 열(53)은 각각 체인 폭방향(W)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링크(2)를 포함하고 있다. 제1∼제3의 열(51∼53)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 열의 링크(2)는 체인 진행 방향(X)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가지런히 정돈되어 있다. 제1∼제3의 열(51∼53)은 체인 진행 방향(X)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 어 있다.
제1∼제3의 열(51∼53)의 링크(2)는 각각, 대응하는 연결 부재(200)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제1∼제3의 열(51∼53)의 링크(2)와 상대 회전 가능(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열(51)의 링크(2)의 앞 관통구멍(9)과, 제2의 열(52)의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은 체인 폭방향(W)으로 나란히 서로 대응하고 있고, 이들의 관통구멍(9, 10)을 삽입통과하는 연결 부재(200)에 의해 제1 및 제2의 열(51, 52)의 링크(2)끼리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열(52)의 링크(2)의 앞 관통구멍(9)과, 제3의 열(53)의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은 체인 폭방향(W)으로 늘어서서 서로 대응하고 있고, 이들의 관통구멍(9, 10)을 삽입통과하는 연결 부재(200)에 의해 제2 및 제3의 열(52, 53)의 링크(2)끼리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제1∼제3의 열(51∼53)은 각각 1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체인 진행 방향(X)을 따라 제1∼제3의 열(51∼53)이 반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 진행 방향(X)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열의 링크(2)끼리가, 대응하는 연결 부재(200)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무단형상을 이루는 체인(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의 핀(3)은 체인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장척(판형상)의 동력 전달 부재이다. 제1의 핀(3)의 둘레면(11)은 체인 폭방향(W)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둘레면(11)은 체인 진행 방향(X)의 전방을 향하는 대향부로서의 앞부(12)와, 체인 진행 방향(X)의 후방을 향하는 등부로서의 뒷부(13)와, 직교방향(V)에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끝부로서의 일단부(14) 및 타단부(15)를 갖고 있다.
앞부(12)는 단면형상이 매끈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제2의 핀(4)과 접촉부(D)에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앞부(12)의 단면 중, 체인(1)의 직선 영역에 있어서의 접촉부(D)보다 체인 외경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링크(2) 사이의 굴곡각의 증대에 따라 접촉부(T)의 변위량의 변화율이 증대하는 변화율 증대 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곡선으로서의 인벌류트 곡선(involute curve)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면의 인벌류트 곡선은, 체인 폭방향(W)로부터 보아서 앞부(12)보다 체인 내경측의 위치에 중심이 배치된 소정의 기초 원(BC)에 기초하고 있다.
뒷부(13)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면은 체인 진행 방향(X)과 직교하는 소정의 평면(E)(도 4에 있어서 지면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Z)을 갖고 있다. 뒷부(13)는 평면(E)에 대하여 도면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기울어 있고, 체인 내경측을 향하고 있다.
일단부(14)는 제1의 핀(3)의 둘레면(11) 중, 체인 외경측(직교방향(V)의 한쪽)의 끝부를 구성하고 있고, 체인 외경측을 향해서 볼록 만곡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15)는 제1의 핀(3)의 둘레면(11) 중, 체인 내경측(직교방향(V)의 다른쪽)의 끝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체인 내경측을 향해서 볼록 만곡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의 핀(3)은 뒷부(13)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두께 방향(G)에 관해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다. 또한 체인 폭방향(W)로부터 보았을 때의 뒷부(13)에 평행한 높이 방향(H)에 관해서 소정의 높이를 갖고 있다.
제1의 핀(3)의 길이 방향(체인 폭방향(W))에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끝부(16)는 체인 폭방향(W)의 한쌍의 끝부에 배치되는 링크(2)로부터 체인 폭방향(W)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끝부(16)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동력 전달면으로서의 끝면(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끝면(17)은 체인 폭방향(W)에 직교하는 평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이들의 끝면(17)은 각 풀리(60, 70)가 대응하는 시브면(62a, 63a, 72a, 73a)(도 2 참조)에 마찰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제1의 핀(3)은 상기 대응하는 시브면(62a, 63a, 72a, 73a) 사이에 끼워지고, 이것에 의해 제1의 핀(3)과 각 풀리(60, 70) 사이에서 동력이 전달된다. 제1의 핀(3)은 그 끝면(17)이 직접 동력 전달에 기여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베어링용 강철(SUJ2) 등의 고강도 내마모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제1의 핀(3)을 체인 폭방향(W)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1의 핀(3)의 두께 방향(G)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뒷부(13)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을 따른 단면도이며, 제1의 핀(3)의 높이 방향(H)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단면 도이다.
도 5∼도 7을 참조하여, 제1의 핀(3)의 끝면(17)은 구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인 폭방향(W)의 외측으로 볼록 만곡되어 있다. 이 끝면(17)은 소정의 곡률반경(R)을 갖고 있고, 체인 내경측을 향하고 있다.
상기 소정의 곡률반경(R)은, 예를 들면 40㎜∼200㎜의 범위(40≤R≤200.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150㎜)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끝면(17)은 서로 교차하는 2방향으로서의 두께 방향(G) 및 높이 방향(H)의 각각에 대해서, 곡률반경을 갖고 있다.
또한 제1의 핀(3)의 일단부(14)는 그 타단부(15)와 비교하여, 체인 폭방향(W)으로 길게(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뒷부(13)에 평행한 단면으로부터 보아서, 끝면(17)의 최상부(23)(정점)와 상기 끝면(17)의 곡률 중심점(J)을 연결하는 제1의 직선(K1)과, 끝면(17)의 최상부(23)를 지나 체인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제2의 직선(K2)은, 소정의 각도(L)를 이루어 교차하고 있다. 이 각도(L)는, 도 2에 나타내는 풀리 반각{C1(C2)}과 같다(L=C1=C2).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끝면(17)에는 접촉 영역(24)이 형성되어 있다. 끝면(17) 중, 그 접촉 영역(24)이 상기 각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접촉 영역(24)은 체인 폭방향(W)로부터 보아서, 예를 들면 타원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접촉 중심점(M)(접촉 영역(24)의 도심에 상당)을 갖고 있다. 접촉 중심점(M)은 끝면(17)의 최상부(23)와 일치하고 있다. 한쌍의 접촉 중심점(M) 사이의 거리(DM)는 각 제1의 핀(3) 사이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체인 폭방향(W)을 따라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접촉 영역(24)의 소정부로서의 장축(N)은, 상술한 체인 진행 방향(X)과 직교하는 평면(E)에 대하여 소정의 받음각(F)(예를 들면 5∼1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0°.)을 갖고 있다. 즉, 장축(N)은 평면(E)에 대하여 도면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10°기울어 있다. 장축(N)은 체인 외경측에서 내경측을 향함에 따라 체인 진행 방향(X)측으로 진행되어 있다.
이 받음각(F)은, 예를 들면 제1의 핀(3)의 뒷부(13)의 경사각(Z)과 같게 되어 있다(F=Z).
상술한 바와 같이, 끝면(17)이 구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 영역(24)은, 두께 방향(G) 및 높이 방향(H)의 각각에 관해서 곡률반경을 갖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의 핀(4)(스트립, 또는 인터피스라고도 함)은 제1의 핀(3)과 같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체인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장척(판형상)의 대향 부재이다. 제2의 핀(4)은 대응하는 링크(2)와 쌍을 이루는 제1의 핀(3)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부재이다.
제2의 핀(4)은 상기 각 풀리의 시브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1의 핀(3)보다 체인 폭방향(W)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2의 핀(4)은 쌍을 이루는 제1의 핀(3)에 대하여 체인 진행 방향(X)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체인 진행 방향(X)에 관해서 제2의 핀(4)은 제1의 핀(3)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제2의 핀(4)의 둘레면(18)은 체인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둘레 면(18)은 체인 진행 방향(X)의 후방을 향하는 뒷부(19)와, 체인 진행 방향(X)의 전방을 향하는 앞부(20)와, 직교방향(V)에 관한 한쌍의 끝부로서의 일단부(21) 및 타단부(22)를 갖고 있다.
뒷부(19)는 체인 진행 방향(X)과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뒷부(19)는 쌍을 이루는 제1의 핀(3)의 앞부(12)와 대향하고 있고, 링크(2) 사이의 굴곡에 따라 앞부(12)와 접촉부(D)에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어 있다.
앞부(20)는 뒷부(19)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21)는 제2의 핀(4)의 둘레면(18) 중, 체인 외경측의 끝부를 구성하고 있고, 체인 외경측을 향해서 볼록 만곡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22)는 제2의 핀(4)의 둘레면(18) 중, 체인 내경측의 끝부를 구성하고 있고, 체인 내경측을 향해서 볼록 만곡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 제1의 핀(3)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의 핀(3)과 쌍을 이루는 제2의 핀(4)과의 접촉부(D)의 궤적이, 대체로 인벌류트 곡선으로 된다.
체인(1)은 소위 압입 타입의 체인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핀(3)은 각 링크(2)의 앞 관통구멍(9)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루즈 핏) 있음과 아울러, 각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에 상대이동이 규제되도록 해서 압입 끼워맞춰지고, 제2의 핀(4)은 각 링크(2)의 앞 관통구멍(9)에 상대이동이 규제되도록 해서 압입 끼워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각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링크(2)의 앞 관통구멍(9)에는 제1의 핀(3)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짐과 아울러, 이 제1의 핀(3)과 쌍을 이루는 제2의 핀(4)이 상대이동이 규제되도록 해서 압입 끼워맞쳐지고, 각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에는 제1의 핀(3)이 상대이동이 규제되도록 압입 끼워맞쳐져 있음과 아울러, 이 제1의 핀(3)과 쌍을 이루는 제2의 핀(4)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체인 진행 방향(X)에 인접하는 링크(2)가 서로 굴곡할 때, 즉 체인(1)이 굴곡할 때에 대응하는 제1의 핀(3)은 변위하는 접촉부(D) 위에서 쌍을 이루는 제2의 핀(4)에 대하여 구름 슬라이딩 접촉한다.
또한 체인(1)은 소정의 연결 피치(P)를 갖고 있다. 연결 피치(P)란 체인(1)의 직선 영역에 있어서의 체인 진행 방향(X)으로 이웃하는 제1의 핀(3) 사이의 피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체인(1)의 직선 영역의 링크(2)의 앞 관통구멍(9) 내의 제1 및 제2의 핀(3, 4)의 서로의 접촉부(D)와, 상기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 내의 제1 및 제2의 핀(3, 4)의 서로의 접촉부(D) 사이의, 체인 진행 방향(X)의 거리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피치(P)는 예를 들면 8㎜로 설정되어 있다.
도 8은 체인(1)의 요부를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또,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할 때는, 체인(1)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제1의 핀(3)은 복수 종류의 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이들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이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 어 있는 점에 있다.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이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이란,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불규칙」이란 주기성 및 규칙성의 적어도 한쪽이 없는 것을 말한다.
체인(1)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종 핀(3a)의 접촉부(D) 및 그 접촉 중심점(M) 사이의 상대 위치와, 제2종 핀(3b)의 접촉부(D) 및 그 접촉 중심점(M) 사이의 상대 위치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종 핀(3a)의 끝면(17)의 최상부(23)는 상기 끝면(17)의 도심과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즉, 제1종 핀(3a)의 끝면(17)의 접촉 영역(24)의 접촉 중심점(M)은 상기 끝면(17)의 도심과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높이 방향(H) 및 두께 방향(G)의 각각에 관해서 접촉 중심점(M)은 제1의 핀(3)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2종 핀(3b)의 끝면(17)의 최상부(23)는 상기 끝면(17)의 도심(Q)에 대하여 오프셋해서 배치되어 있다. 즉, 제2종 핀(3b)의 끝면(17)의 접촉 영역(24)의 접촉 중심점(M)은 상기 끝면(17)의 도심(Q)에 대하여 오프셋해서 배치되어 있다.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아서, 제2종 핀(3b)의 끝면(17)의 접촉 중심점(M)은 상기 끝면(17)의 도심(Q)에 대하여 체인 진행 방향(X) 및 직교방향(V)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쌍방)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종 핀(3a)의 끝면(17)의 접촉 중심점(M)과 상기 제1종 핀(3a)의 끝면(17) 의 곡률 중심점의 상대 위치, 및 제2종 핀(3b)의 끝면(17)의 접촉 중심점(M)과 상기 제2종 핀(3b)의 끝면(17)의 곡률 중심점의 상대 위치는, 체인 진행 방향(X), 체인 폭방향(W) 및 직교방향(V)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이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체인(1)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종 핀(3a)의 접촉부(D)에 대한 그 접촉 중심점(M)의 상대 위치와, 제2종 핀(3b)의 접촉부(D)에 대한 그 접촉 중심점(M)의 상대 위치는, 체인 진행 방향(X) 및 직교방향(V)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쌍방)에 있어서 상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체인(1)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1의 핀(3)의 끝면(17)의 접촉 중심점(M)을 기준으로 하는, 체인 진행 방향(X)에 관한 이웃하는 제1의 핀(3) 사이의 거리(접촉 중심점간 피치(α))가 복수 종류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종 핀(3a)끼리 또는 제2종 핀(3b)끼리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이웃함으로써 형성되는 접촉 중심점간 피치(α1)와, 제1종 핀(3a)과 제2종 핀(3b)이 체인 진행 방향(X)으로 이웃함으로써 형성되는 접촉 중심점간 피치(α2)의 2종류이다.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이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 중심점간 피치(α1) 및 접촉 중심점간 피치(α2)는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된다.
「접촉 중심점간 피치(α1) 및 접촉 중심점간 피치(α2)가 체인 진행 방 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이란, 접촉 중심점간 피치(α1) 및 접촉 중심점간 피치(α2)의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체인 폭방향(W)에 관해서, 제1종 핀(3a)의 한쌍의 끝면(17)의 최상부(23)(접촉 중심점(M)) 사이의 거리와, 제2종 핀(3b)의 한쌍의 끝면(17)의 최상부(접촉 중심점(M)) 사이의 거리는 서로 같다.
체인 폭방향(W)과 직교하는 투영 평면(S)에 있어서, 체인 진행 방향(X)과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x축과, 직교방향(V)을 따라 연장되는 y축을 갖는 2차원 상대 좌표계가 설치되어 있다. 제1종 핀(3a)의 접촉부(D) 및 접촉 중심점(M)을 상기 투영 평면(S)에 투영했을 때에 접촉부(D)의 투영점을 원점으로 하는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이하, 단지 「제1종 핀(3a)의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라고 한다.)는 예를 들면 (Δx1, Δy1)로 되어 있다. 즉, 제1종 핀(3a)의 접촉부(D)에 대하여 그 접촉 중심점(M)은 x축방향으로 Δx1만큼 이격되어 있음과 아울러, y축방향으로 Δy1만큼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종 핀(3b)의 접촉부(D) 및 접촉 중심점(M)을 상기 투영 평면(S)에 투영했을 때에 접촉부(D)의 투영점을 원점으로 하는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이하, 단지 「제2종 핀(3b)의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라고 한다.)는, 예를 들면 (Δx2, Δy2)로 되어 있다. 즉, 제2종 핀(3b)의 접촉부(D)에 대하여 그 접촉 중심점(M)은 x축방향으로 Δx2만큼 이격되어 있음과 아울러, y축방향으로 Δy2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종 핀(3a)의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의 2개의 좌표성분이, 제2종 핀(3b)의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가 대응하는 좌표성분의 적어도 한쪽(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쌍방)과 다르다.
여기에서, 상기 성분 Δx1, Δx2는 각각, 0㎜∼2.0㎜의 범위(≤Δx1≤2.0, 또한 0≤Δx2≤2.0)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Δx1, Δx2의 각각에 있어서, 그 값이 0㎜미만, 즉, 마이너스의 값으로 되면 각 접촉 중심점(M)이 대응하는 접촉부(D)보다 체인 진행 방향(X)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설정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성분 Δx1, Δx2의 각각에 있어서, 그 값이 2㎜를 넘으면 핀 중심이 후방으로 이행하면 할수록 각 풀리(60, 70)와의 상대 충돌 속도가 커지고, 진동·소음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각 성분 Δx1, Δx2의 범위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성분 Δy1, Δy2는 각각, 0.5㎜∼2.4㎜의 범위(0.5≤Δy1≤2.4, 또한 0.5≤Δy2≤2.4)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Δy1, Δy2의 각각에 있어서, 그 값이 0.5㎜보다 작아지면 치수에도 의하지만, 각 풀리(60, 70)와 접촉했을 때의 연결 피치가 직선상태의 연결 피치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성분 Δy1, Δy2의 각각에 있어서, 그 값이 2.4㎜를 넘으면 각 풀리(60, 70)에의 접촉시의 연결 피치가 과대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각 성분 Δy1, Δy2의 범위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성분 Δx1과 성분 Δx2의 차분의 절대값 |x1-x2|은, 0.1㎜∼1.0㎜의 범위(0.1≤|Δx1-Δx2|≤1.0)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분의 절대값 |Δx1-Δx2|이 0.1㎜보다 작아지면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을 랜덤하게 배치해도, 맞물림 n차의 피크의 분산이 작고, 소음저감 효과가 작다. 상기 차분의 절대값 |Δx1-Δx2|이 1.0㎜보다 커지면 제1의 핀(3)의 끝면(17)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24)의 범위가 정상인 범위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차분의 절대값 |Δx1-Δx2|을 상기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성분 Δy1과 성분 Δy2의 차분의 절대값 |Δy1-Δy2|은, 0.1㎜∼0.5㎜의 범위(0.1≤|Δy1-Δy2|≤0.5)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분의 절대값 |Δy1-Δy2|이 0.1㎜보다 작아지면 맞물림 1차 피크의 분산 효과가 작다. 또한 상기 차분의 절대값 |Δy1-Δy2|이 0.5㎜보다 커지면 체인(1)의 회전반경이 커졌을 때에, 정상인 순서에서의 제1의 핀(3)과 각 풀리(60, 70)의 접촉이 저해된다. 따라서, 상기 차분의 절대값 |Δy1-Δy2|을 상기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상이, 무단변속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 무단변속기(100)에 있어서 입력축(61)의 회전 구동에 따라 드라이브 풀리(60)가 회전하면 체인(1)은 회전 구동하고, 제1종 핀(3a) 및 제2종 핀(3b)이 순차적으로 각 풀리(60, 70)에 물려넣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체인(1)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종 핀(3a)의 접촉부(D)와 그 접촉 중심점(M)의 상대 위치, 및 제2종 핀(3b)의 접촉부(D)와 그 접촉 중심점(M)의 상대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1의 핀(3)이 각 풀리(60, 70)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지는 타이밍을 달리하여 맞물림의 주기를 랜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각 제1의 핀(3)이 각 풀리(60, 70)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질 때의 맞물림음의 발생 주기를 랜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맞물림음의 주파수를 광범위하게 분포시켜서 특정한 주파수에 피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체인(1)의 구동에 따르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종 핀(3a)의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의 2개의 좌표성분(Δx1, Δy1)을, 제2종 핀(3b)의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좌표가 대응하는 2개의 좌표성분(Δx2, Δy2) 중 적어도 한쪽과 다르게 하고 있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Δx2, Δy2의 쌍방과 다르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종 핀(3a)의 접촉부(D)의 투영점에 대한 그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과, 제2종 핀(3b)의 접촉부(D)의 투영점에 대한 그 접촉 중심점(M)의 투영점의 위치를 다르게 한다고 하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소음저감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의 핀(3)의 접촉 영역(24)은 서로 교차하는 2방향으로서의 두께 방향(G) 및 높이 방향(H)의 2방향에 관해서 각각 곡률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접촉 영역(24)과 각 풀리(60, 70)의 대응하는 시브면(62a, 63a, 72a, 73a)의 접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체인(1)의 구동시의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핀(3)에 받음각(F)을 설치함으로써, 제1의 핀(3)의 배치를 최적화하고, 각 풀리(60, 70)와의 결합을 보다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핀(3)을 각 링크(2)의 앞 관통구멍(9)에 헐겁게 끼움과 아울러 각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에 압입 끼워맞추고, 제2의 핀(4)을 각 링크(2)의 앞 관통구멍(9)에 압입 끼워맞춤과 아울러 각 링크(2)의 뒤 관통구멍(10)에 헐겁게 끼우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1의 핀(3)의 끝면(17)이 각 풀리(60, 70)의 대응하는 시브면(62a, 63a, 72a, 73a)에 접촉할 때에, 쌍을 이루는 제2의 핀(4)이 상기 제1의 핀(3)에 대하여 구름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링크(2)끼리의 굴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핀(3, 4) 사이에 있어서, 서로의 구름 접촉 성분이 많고 미끄름 접촉 성분이 매우 적고, 그러면 그 결과, 각 제1의 핀(3)의 끝면(17)이 상기 각 시브면(62a, 63a, 72a, 73a)에 대하여 거의 회전하지 않고 접촉하게 되어 마찰 손실을 저감해서 높은 전동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핀(3, 4)의 서로의 접촉부(D)의 궤적이 대체로 인벌류트 형상을 그리도록 되어 있음로써, 각 제1의 핀(3)이 각 풀리(60, 70)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질 때에 체인(1)에 현진동적인 운동(chordal action)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체인(1)의 구동시의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동효율 및 정숙성이 우수한 무단변속기(100)를 실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A)는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 제1의 핀(3A)의 측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IXB-IXB선을 따르는 제1의 핀(3A)의 뒷부(13)에 평행한 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IXC-IXC선을 따르는 제1의 핀(3A)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도 9(C)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제1의 핀(3A)의 각 끝면(17A)이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서로 교차하는 2방향에 관해서 크라우닝 가공(더블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핀(3A)의 끝면(17A)에는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두께 방향(G) 및 높이 방향(H)의 각각에 관해서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즉, 도 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핀(3A)의 끝면(17A)의 뒷부(13)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이 크라우닝 가공된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형상은 체인 폭방향(W)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상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여도 좋고, 복수 종류의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핀(3A)의 끝면(17A)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이 크라우닝 가공된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형상은 중간부가 체인 폭방향(W)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상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여도 좋고, 복수 종류의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A)는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 제1의 핀(3B)의 측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XB-XB선을 따르는 제1의 핀(3B)의 뒷부(13)에 평행한 단면도이며, 도 10(C)는 도 10(A)의 XC-XC선을 따르는 제1의 핀(3B)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도 10(C)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각 제1의 핀(3B)의 끝면(17B)이 원통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뒷부(13)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끝면(17B)은 소정의 곡률반경(RB)(예를 들면 150㎜)을 갖고 있다.
또한 제1의 핀(3B)의 뒷부(13)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끝면(17B)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의 핀(3B)의 한쌍의 끝면(17B) 사이의 체인 폭방향(W)의 길이는 체인 내경측을 향함에 따라서 짧아져 있다.
이 끝면(17B)의 원통면은 중심축선(A3)을 갖고 있고, 제1의 핀(3B)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 중심축선(A3)은 체인 외경측에서 내경측을 향함에 따라서 체인 폭방향(W)의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 경사는 제1의 핀의 종류마다 다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A)는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 제1의 핀(3C)의 측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MB-XIB선을 따르는 제1의 핀(3C)의 뒷부(13)에 평행한 단면도이며, 도 11(C)는 도 11(A)의 XIC-XIC선을 따르는 제1의 핀(3C)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도 11(C)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제1의 핀(3C)의 끝면(17C)이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1방향에 관해서 크라우닝 가공(싱글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어,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핀(3C)의 끝면(17C)에는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즉, 도 1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핀(3C)의 끝면(17C)의 뒷부(13)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이 크라우닝 가공된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형상은 중간부가 체인 폭방향(W)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상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여도 좋고, 복수 종류의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여도 좋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핀(3C)의 끝면(17C)의 뒷부(13)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이 직선형상을 하고 있다. 제1의 핀(3C)의 한쌍의 끝면(17C) 사이의 체인 폭방향(W)의 거리는 체인 내경측을 향함에 따라서 짧아져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 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각 제1의 핀이 각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결합)할 때의 접촉 주기가 랜덤화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피치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링크로서, 연결 피치가 상대적으로 긴 링크로서의 링크(2)와, 연결 피치가 상대적으로 짧은 링크로서의 링크(2D)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2D)는 그 기둥부(8D)의 체인 진행 방향(X)의 두께가, 링크(2)의 기둥부(8)의 체인 진행 방향(X)의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크(2D)의 연결 피치(PD)는 링크(2)의 연결 피치(P)보다 짧게(PD<P) 되어 있다.
링크(2)와 링크(2D)(링크(2)를 포함하는 링크 열과 링크(2D)를 포함하는 링크 열)는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 이 경우의 「랜덤하게 배열」이란, 링크(2) 및 링크(2D)의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제1의 핀(3)이 각 풀리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질 때의 맞물림음의 발생 주기를 보다 한층 랜덤하게 하고, 상기 맞물림음의 주파수를 광범위하게 분포시킬 수 있고, 구동시의 소음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제1의 핀을 체인 진행 방향(X)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각 제1의 핀이 각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할 때의 접촉 주기가 랜덤화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끝면의 접촉 중심점간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으로서 제1의 핀(3, 3E)이 설치되어 있다. 체인 폭방향(W)에 있어서의 제1의 핀(3E)의 한쌍의 끝면(17)의 접촉 중심점(M) 사이의 거리(TE)는, 제1의 핀(3)의 한쌍의 끝면(17)의 접촉 중심점(M) 사이의 거리(T)보다 짧게(TE<T) 되어 있다.
제1의 핀(3)과 제1의 핀(3E)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 이 경우의 「랜덤하게 배열」이란 제1의 핀(3) 및 제1의 핀(3E)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각 제1의 핀이 각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할 때의 접촉 주기가 랜덤화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크(2) 사이의 굴곡에 따르는 접촉부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이동)의 궤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으로서, 제1의 핀(3, 3F)이 설치되어 있다.
제1의 핀(3F)의 둘레면(11F)의 앞부(12F)의 단면형상은, 제1의 핀(3)의 앞부(12)의 단면형상과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앞부(12F)의 단면형상 중, 체인의 직선 영역에 있어서의 접촉부(DF)에 대하여 체인 외경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인벌류트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벌류트 곡선의 기초원의 반경(UF)은 제1의 핀(3)의 앞부(12)의 단면의 인벌류트 곡선의 기초원의 반경(U)보다 작게 되어 있다(UF<U).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의 핀(3)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의 핀(3)의 접촉부(D)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의 궤적과, 제1의 핀(3F)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의 핀(3F)의 접촉부(DF)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의 궤적은 상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1의 핀(3)과 제1의 핀(3F)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 이 경우의 「랜덤하게 배열」이란 제1의 핀(3) 및 제1의 핀(3F)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핀의 종류마다 체인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를 다르게 함과 아울러, 접촉부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의 궤적을 다르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으로서 제1종 핀(3La) 및 제2종 핀(3Lb)이 설치되어 있다.
제1종 핀(3La)의 앞부(12La)는 제2의 핀(4L)의 뒷부(19)와 접촉부(DLa)에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하는 변화율 증대 부분으로서의 주체부(121La)와, 도피부(122La)를 포함하고 있다. 주체부(121La)는 링크(2) 사이의 굴곡각의 증대에 따라 접촉부(DLa)의 변위량의 변화율이 증대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종 핀(3Lb)의 앞부(12Lb)는 제2의 핀(4L)의 뒷부(19)와 접촉부(DLb)에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하는 변화율 증대 부분으로서의 주체부(121Lb)와, 도피부(122Lb)를 포함하고 있다. 주체부(121Lb)는 링크(2) 사이의 굴곡각의 증대 에 따라 접촉부(DLb)의 변위량의 변화율이 증대하게 되어 있다.
제1종 핀(3La)의 주체부(121La)의 단면의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소정의 곡선으로서의 인벌류트 곡선(INVLa)은 중심(CLa) 및 반경(RbLa)을 갖는 기초원(BLa)에 기초하고 있다. 중심(CLa)은 체인 진행 방향(X)에 직교하고 또한 체인의 직선 영역에 있어서의 접촉부(DLa1)를 포함하는 평면(EL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인벌류트 곡선(INVLa)과 접촉부(DLa1)는 교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종 핀(3Lb)의 주체부(121Lb)의 단면의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소정의 곡선으로서의 인벌류트 곡선(INVLb)은 중심(CLb) 및 반경(RbLb)을 갖는 기초원(BLb)에 기초하고 있다. 중심(CLb)은 체인 진행 방향(X)에 직교하고 또한 체인의 직선 영역에 있어서의 접촉부(DLb1)를 포함하는 평면(ELb)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인벌류트 곡선(INVLb)과 접촉부(DLb1)는 교차하고 있다.
제1종 핀(3La)의 인벌류트 곡선(INVLa)의 기초원(BLa)의 반경(RbLa)은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60㎜로 설정되어 있다. 제2종 핀(3Lb)의 인벌류트 곡선(INVLb)의 기초원(BLb)의 반경(RbLb)은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45㎜로 설정되어 있다.
즉, 제1종 핀(3La)은 기초원의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1종의 주동력 전달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고, 제2종 핀(3Lb)은 기초원의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종의 주동력 전달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종 핀(3La) 및 제2종 핀(3Lb)의 접촉부(DLa, DLb)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의 궤적이 상이하도록 되어 있다.
제2종 핀(3Lb)의 인벌류트 곡선(INVLb)의 기초원(BLb)의 반경(RbLb)은 제1종 핀(3La)의 인벌류트 곡선(INVLa)의 기초원(BLa)의 반경(RbLa)의 예를 들면 60%∼85%의 범위(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75%)로 설정된다. 제1종 핀(3La)의 접촉부(DLa1)와 제2종 핀(3Lb)의 접촉부(DLb1)(제1종 핀(3La)의 인벌류트 곡선(INVLa)의 기점과 제2종 핀(3Lb)의 인벌류트 곡선(INVLb)의 기점)는, 체인 진행 방향(X)으로 일직선 상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체인 폭방향(W)과 직교하는 투영 평면(S)에 있어서, 체인 진행 방향(X)에 대하여 받음각(F)만큼 경사져서 체인 진행 방향(X)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체인 지름방향의 내측으로 진행되는 Lx축과, Lx축과 직교해서 연장되는 Ly축을 갖는 2차원 상대 좌표계가 설치되어 있다.
제1종 핀(3La)의 접촉부(DLa1) 및 접촉 중심점(MLa)을 상기 투영 평면(S)에 투영했을 때의, 접촉부(DLa1)의 투영점을 원점으로 하는 상기 상대 좌표계에 있어서의 접촉 중심점(MLa)의 투영점의 좌표(이하, 단지 「제1종 핀(3La)의 접촉 중심점(MLa)의 투영점의 좌표」라고 함)는, 예를 들면 (ΔLx1, ΔLy1)로 되어 있다. 즉, 제1종 핀(3La)의 접촉부(DLa1)에 대하여 그 접촉 중심점(MLa)은 Lx축 방향으로 ΔLx1만큼 이격되어 있음과 아울러, Ly축 방향으로 ΔLy1만큼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종 핀(3Lb)의 접촉부(DLb1) 및 접촉 중심점(MLb)을 상기 투영 평면(S)에 투영했을 때의, 접촉부(DLb1)의 투영점을 원점으로 하는 접촉 중심점(MLb)의 투영점의 좌표(이하, 단지 「제2종 핀(3Lb)의 접촉 중심점(MLb)의 투영점의 좌표」라고 함)는, 예를 들면 (ΔLx2, ΔLy2)로 되어 있다. 즉, 제2종 핀(3Lb)의 접촉부(DLb1)에 대하여 그 접촉 중심점(MLb)은 Lx축 방향으로 ΔLx2만큼 이격되어 있음과 아울러, Ly축 방향으로 ΔLy2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1종 핀(3La)의 ΔLy1은 상대적으로 짧게 되고, 제2종 핀(3Lb)의 Δy2는 상대적으로 길게 되어 있다(ΔLy1<ΔLy2). 즉, 제1종 핀(3La)의 접촉부(DLa1)와 접촉 중심점(MLa)의 상대 위치는, 체인 지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서의 L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되고, 제2종 핀(3Lb)의 접촉부(DLb1)와 접촉 중심점(MLb)의 상대 위치는 상기 L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어 있다.
상기ΔLy1과 ΔLy2의 차분(ΔLy2-ΔLy1)은, 예를 들면 0.05㎜∼0.4㎜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 제1종 핀(3La)의 ΔLx1과 제2종 핀(3Lb)의 ΔLx1은, 같은 값이여도 좋고, 서로 다른 값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x축 및 y축의 상대 좌표계에 있어서도, 제2종 핀(3Lb)의 접촉부(DLb1) 및 접 촉 중심점(MLb) 사이의 y축방향의 상대 거리는, 제1종 핀(3La)의 접촉부(DLa1) 및 접촉 중심점(MLa) 사이의 y축방향의 상대 거리와 비교해서 길다.
바꾸어 말하면, 체인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1종 핀(3La)의 접촉부(DLa1)와 접촉 중심점(MLa)의 상대 위치는 체인 지름방향에 관해서 상대적으로 가깝게 되어 있다. 또한 체인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2종 핀(3Lb)의 접촉부(DLb1)와 접촉 중심점(MLb)의 상대 위치는 체인 지름방향에 관해서 상대적으로 멀게 되어 있다.
제2의 핀(4L)은 체인 지름방향의 한쌍의 끝부(체인 지름방향 바깥쪽의 끝부 및 체인 지름방향 안쪽의 끝부)의 각각에 한쌍의 플랜지부(25, 26)를 갖고 있고, 체인 지름방향의 한쌍의 끝부의 각각이 체인 진행 방향(X)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크(2)와 제2의 핀(4L)의 서로의 압입 부분의 접촉 면적을 많게 하여, 링크(2)에 생기는 응력을 낮은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제2의 핀(4)에 있어서, 체인 지름방향의 한쌍의 끝부의 어느 한쪽에만 플랜지부(25) 또는 플랜지부(26)를 형성해도 된다.
제1종 핀(3La)의 오목부로서의 도피부(122La)는, 제2의 핀(4L) 중 체인 외경측에 있는 한쪽의 플랜지부(25)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피부(122La)는 제1종 핀(3La)의 둘레면 중,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아서 뒤 관통구멍(10)에 압입되어 있는 부분(27)과, 주체부(121La)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체부(121La)에 대하여 움푹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크(2)끼리의 굴곡에 따라 제1종 핀(3La) 및 제2의 핀(4)의 접촉부(DLa)가 변위하였을 때에, 한 쪽의 플랜지부(25)가 제1종 핀(3La)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도피부(122La)의 움푹 패인 부분은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종 핀(3Lb)의 도피부(122Lb)는 제2의 핀(4L) 중 체인 외경측에 있는 한쪽의 플랜지부(25)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도피부(122Lb)는 주체부(121Lb)와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연결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체부(121Lb)의 인벌류트 곡선(INVLb)의 기초원(BLb)의 반경(RbLb)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있음으로써, 주체부(121Lb)의 체인 외경측의 끝부가 제2의 핀(4)에 대하여 충분하게 체인 진행 방향(X)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피부(122Lb)를 움푹 패인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제2의 핀(4L)의 한쪽의 플랜지부(25)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2종 핀(3Lb)의 도피부(122Lb)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종 핀(3La)의 도피부(122La)의 형상과 제2종 핀(3Lb)의 도피부(122Lb)의 형상이 상이하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제1종 핀(3La)과 제2종 핀(3Lb)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1종 핀(3La)과 제2종 핀(3Lb)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 이 경우의 「랜덤하게 배열」이란 제1종 핀(3La) 및 제2종 핀(3Lb)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체인에 설치되는 제1종 핀(3La)의 수와 제2종 핀(3Lb)의 수에 관해서, 제2종 핀(3Lb)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있다. 또, 제1종 핀(3La)의 수와 제2종 핀(3Lb)의 수를 같게 하여도 좋고, 제2종 핀(3Lb)의 수를 상대적으로 많게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종 핀(3La) 및 제2종 핀(3Lb)이 풀리에 순차적으로 물려넣어질 때의 맞물림음의 주파수를 광범위하게 분포시킬 수 있고, 소음의 피크값을 매우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체인 구동시의 진동 및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각 제1의 핀이 각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할 때의 접촉 주기가 랜덤화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인 직선 영역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의 소정부로서의 장축의 받음각(경사)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으로서, 받음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받음각 핀으로서의 제1의 핀(3), 및 받음각이 상대적으로 큰 대받음각 핀으로서의 제1의 핀(3G)이 설치되어 있다.
제1의 핀(3)의 받음각(F)과 제1의 핀(3G)의 받음각(FG)은 서로 다르고, 제1의 핀(3)의 받음각(F)은 제1의 핀(3G)의 받음각(FG)보다 작게(FG<F) 되어 있다.
또한 제1의 핀(3) 및 제1의 핀(3G)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랜덤하게 배열」이란 제1의 핀(3) 및 제1의 핀(3G) 중 적어 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제1의 핀을 체인 진행 방향(X)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각 제1의 핀이 각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할 때의 접촉 주기가 랜덤화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강성(탄성율)이 다른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으로서,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강성 핀으로서의 제1의 핀(3), 및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강성 핀으로서의 제1의 핀(3H)이 설치되어 있다.
제1의 핀(3)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JIS 규격 SUJ2(고탄소 크롬 베어링용 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1의 핀(3H)은 예를 들면, SUS440C(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의 핀(3)과 제1의 핀(3H)은 체인 진행방향(X)으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랜덤하게 배열」이란 제1의 핀(3) 및 제1의 핀(3H)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마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체인(1)의 장력이 발생하였을 때의 제1의 핀(3)과 제1 의 핀(3H)의 휘어짐 양이 다른 것으로 되고, 그 결과, 각 제1의 핀(3, 3H)이 순차적으로 각 풀리에 물려넣어질 때의 주기가 랜덤한 것으로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연결 부재로서의 단일의 제1의 핀(3)에 의해 체인 진행 방향(X)으로 이웃하는 링크(2J)끼리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향 부재로서의 각 링크(2J)의 앞 관통구멍(9J)에 대응하는 제1의 핀(3)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지고, 각 링크(2J)의 뒤 관통구멍(10J)에 대응하는 제1의 핀(3)이 상대이동이 규제되도록 압입 끼워넣어져 있다.
앞 관통구멍(9J)의 둘레가장자리부(30)의 체인 진행 방향(X)에 관한 앞부(31)는 직교방향(V)으로 연장되는 단면형상을 갖고 있고, 앞 관통구멍(9J)에 헐겁게 끼워진 제1의 핀(3)의 앞부(12)와 접촉부(DJ)에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링크(2J)와 상기 링크(2J)에 헐겁게 끼워진 제1의 핀(3)은 서로 구름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의 핀(3) 사이의 연결 피치를 보다 짧게 해서 각풀리에 일시에 물려넣어지는 제1의 핀(3)의 수를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핀(3)의 1개당의 부하를 저감해서 각 풀리와의 충돌력을 저감할 수 있고,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의 핀(3)의 끝면(17)을 복수의 곡률반경을 갖는 구면상의 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1의 핀(3)은 접촉부 및 접촉 중심점간의 상대 위치가 상이한 3종류 이상의 핀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 제1의 핀(3A)의 각 끝면(17A)의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는 2방향은, 상기 예시한 2방향에 한하지 않고 별도의 방향이라도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의 핀(3B)의 끝면(17B)을 복수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본 제1의 핀(3C)의 각 끝면(17C)의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는 방향은, 상기 예시한 방향에 한하지 않고 별도의 방향이라도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피치가 상이한 3종류 이상의 링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쌍의 동력 전달면의 접촉 중심점간의 거리가 상이한 3종류 이상의 제1의 핀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부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의 궤적이 상이한 3종류 이상의 제1의 핀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의 핀(3)의 뒷부(13)와 제1의 핀(3G)의 뒷부(13G)를 서로 평행하게 하여 두고, 접촉 타원(24)의 장축(N)의 받음 각(F)과 접촉 타원(24G)의 장축(NG)의 받음각(FG)을 서로 다르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받음각이 상이한 3종류 이상의 제1의 핀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강성이 상이한 3종류 이상의 제1의 핀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한 랜덤 수단 중 어느 하나를 더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5∼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도 1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도 1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한 랜덤 수단을 2종류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핀이 접촉부 및 접촉 중심점간의 상대 위치가 상이한 3종류 이상의 핀을 포함하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 피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링크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소음저감 효과를 극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연결 피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링크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도 소음저감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핀은 각 링크의 뒤 관통구멍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제2의 핀(4)은 각 링크 앞 관통구멍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제2의 핀(4)은 각 풀리(60, 70)에 결합하도록 되 어 있어도 된다.
또한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핀의 서로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의 궤적이 인벌류트 곡선을 그리도록 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핀의 앞부의 형상이 단면 인벌류트 곡선을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2의 핀(4)의 뒷부(19)가 단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1의 핀의 앞부의 단면형상과 쌍을 이루는 제2의 핀(4)의 뒷부(19)의 단면형상을 바꾸어 넣어도 좋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의 핀(3)의 끝면의 형상은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더블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된 형상이여도 좋고,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원통면이여도 좋고,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싱글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된 형상이여도 좋다.
또한, 제1의 핀(3)은 각 링크(2G)의 뒤 관통구멍(10G)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어도 된다. 또한 쌍을 이루는 제1의 핀(3) 및 대응하는 링크(2G)의 서로의 구름 슬라이딩 접촉의 궤적이 인벌류트 곡선을 그리도록 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핀(3)의 앞부(12)의 단면형상이 인벌류트 곡선을 포함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링크(2G)의 앞 관통구멍(9G)의 앞부(31)의 단면형상이 직선형상을 포함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의 핀(3)의 앞부(12)의 단면형상과 링크(2G)의 앞 관통구멍(9G)의 앞부(31)의 단면형상을 바꾸어 넣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랜덤 수단과 같은 랜덤화 수단 중 어느 하나를 더 형성해도 되 고, 상기한 랜덤 수단과 같은 랜덤화 수단의 2종류 이상을 더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의 핀의 끝면의 곡률반경을 제1의 핀의 종류마다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체인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를, 제1의 핀의 종류마다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한 체인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상이한 3종류 이상의 제1의 핀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체인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직교방향(V)(y축방향) 또는 Ly방향에 관해서만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체인의 직선 영역을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체인 진행 방향(X)을 따른 방향(x축방향) 또는 Lx방향에 관해서만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의 핀의 등부와 상기 제1의 핀의 접촉 영역의 장축은 서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제1의 핀의 길이 방향의 한쌍의 끝부의 각각의 근방에, 상기 제1의 핀의 끝면과 같은 동력 전달면을 갖는 부재가 배치된 소위 블록 타입의 동력 전달 체인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링크의 앞 관통구멍과 뒤 관통구멍의 배치를 서로 교체하여도 좋다. 또한, 링크의 앞 관통구멍과 뒤 관통구멍 사이의 기둥부에 연통 홈(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링크의 탄성변형량(가요성)을 늘릴 수 있고, 링크에 생기는 응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풀리(60) 및 드리븐 풀리(70)의 쌍방의 홈 폭이 변동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한쪽의 홈폭만이 변동하고, 다른쪽이 변동하지 않는 고정 폭으로 한 형태라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홈 폭이 연속적(무단계)으로 변동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단계적으로 변동하거나, 고정식(무변속)인 등의 다른 동력 전달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기의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변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레임의 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로 해야 한다.
본 출원은, 2005년 2월 4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특원 2005-29574호, 및 2005년 10월 14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특원 2005-301033호에 대응하고 있고, 이들 출원의 전체 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갖추어지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2
제1 및 제2의 핀을 갖고, 제1의 핀의 끝면이 구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체인에 관한, 하기의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2를 제작했다.
비교예 1은, 각 제1의 핀의 끝면의 형상이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고,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각 제1의 핀 사이에서 같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 피치는 모두 같게 되어 있다.
비교예 2는, 각 제1의 핀의 끝면의 형상이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고,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각 제1의 핀 사이에서 같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피치에 대해서는 연결 피치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피치 링크와, 연결 피치가 상대적으로 긴 장피치 링크가 설치됨으로써, 2종류의 연결 피치가 설정되어 있다. 단피치 링크의 연결 피치에 대한 장피치 링크의 연결 피치의 비는 약1.2이다. 단피치 링크와 장피치 링크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은, 제1의 핀으로서 끝면의 형상이 상이한 2종류의 제1의 핀을 갖고 있다.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체인 진행 방향 및 체인 폭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직교방향, y축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제1의 핀의 종류마다 약 0.2㎜ 다르다. 이들 2종류의 제1의 핀은 체인 진행 방향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 피치는 모두 같게 되어 있다.
실시예 2는, 제1의 핀으로서 끝면의 형상이 상이한 2종류의 제1의 핀을 갖고 있다.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체인 진행 방향 및 체인 폭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직교방향, y축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제1의 핀의 종류마다 약 0.2㎜ 다르다. 이들 2종류의 제1의 핀은 체인 진행 방향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피치에 대해서는, 연결 피치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피치 링크와, 연결 피치가 상대적으로 긴 장피치 링크가 설치됨으로써 2종류의 연결 피치가 설정되어 있다. 단피치 링크의 연결 피치에 대한 장피치 링크의 연결 피치의 비는 약1.2이다. 단피치 링크와 장피치 링크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2의 각각에 대해서, 한쌍의 풀리에 감아걸어서 동력 전달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를 구동했을 때의 제1의 핀과 한쪽의 풀리의 충돌시의 상대속도에 대해서 조사했다. 결과를 도 20에 나타낸다.
또, 도 20의 각 그래프도에 있어서, 가로축은 제1의 핀과 풀리의 1초당의 충돌 회수(맞물림 주파수)이며, 세로축은 제1의 핀과 풀리의 충돌시의 양자의 상대속도이다.
도 2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특정한 맞물림 주파수(약 600의 정수배의 주파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공진이 발생하고, 제1의 핀과 풀리가 충돌할 때의 상대속도가 크고, 높은 피크를 발생하고 있다. 그 결과, 제1의 핀과 풀리의 충돌시의 에너지가 크고,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에서는 상기 특정의 맞물림 주파수에 있어서의 제1의 핀과 풀리가 충돌할 때의 상대속도가 비교예 1보다 억제되어는 있지만, 비교예 1과 같이 상기 특정의 맞물림 주파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공진이 생기고, 피크가 생기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핀과 풀리가 충돌할 때의 상대속도가 크고, 그 결과, 제1의 핀과 풀리의 충돌시의 에너지가 크고, 비교적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20(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특정한 맞물림 주파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피크가 발생할 일이 없고, 또한, 피크값이 0.04m/s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핀과 풀리가 충돌할 때의 상대속도가 억제되어 있고, 제1의 핀과 풀리의 충돌시의 에너지를 작게 해서 소음을 보다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20(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특정한 맞물림 주파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피크가 발생할 일이 없고, 또한, 피크값이 0.02m/s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핀과 풀리가 충돌할 때의 상대속도가 보다 억제되어 있고, 제1의 핀과 풀리의 충돌시의 에너지를 보다 작게 해서 소음을 더 한층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2가 정숙성에 관해서 매우 우수한 것이 실증되었다. 특히, 실시예 2와 같이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의 핀을 설치하는 것에 추가로, 연결 피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링크를 설치하는 것이, 정숙성의 향상에 매우 유효한 것이 실증되었다.
Claims (23)
- 직선 영역 및 풀리에 감기는 영역에 교대로 추이하는 동력 전달 체인이,복수의 링크 플레이트와,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연결 부재는 주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는 대향 부재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포함하며;상기 대향 부재는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에 대응하는 링크 플레이트, 또는 상기 대응하는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부재 중 어느 한쪽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상기 대향부는 상기 동력 전달 체인의 굴곡에 따라 변위하는 접촉부에서, 구름 접촉 및 미끄럼 접촉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에서 대향 부재에 접촉하고;각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는 체인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끝면을 포함하고;상기 풀리의 대응하는 시브면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이 각 상기 끝면에 형성되며;상기 접촉 영역은 접촉 중심점을 포함하고;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는 복수 종류의 주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동력 전달 체인의 상기 직선 영역을 상기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가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종류마다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굴곡각의 증대 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변위량의 변화율이 증대하는 변화율 증대 부분을 포함하고,상기 변화율 증대 부분은 상기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소정의 기초원에 기초하는 소정의 곡선을 이루고,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는 기초원의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1종의 주동력 전달 부재와, 기초원의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종의 주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동력 전달 체인의 직선 영역을 상기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제1종의 주동력 전달 부재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는, 체인 지름방향에 관해서 상대적으로 가깝게 되고,상기 동력 전달 체인의 직선 영역을 상기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제2종의 주동력 전달 부재의 접촉부와 접촉 중심점의 상대 위치는, 상기 체인 지름방향에 관해서 상대적으로 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곡선은 인벌류트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중심점 및 상기 접촉부를 상기 체인 폭방향과 직교하는 투영 평면에 투영했을 때에, 그 투영 평면 내의 2차원 상대 좌표계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투영점을 원점으로 하는 상기 접촉 중심점의 투영점의 좌표의 2개의 좌표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종류마다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각 상기 끝면은 서로 교차하는 2방향에 관해서 각각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각 상기 끝면은 구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대향 부재로서의 부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와는 쌍을 이루고,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에 대응하는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체인 진행 방향 전후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의 관통구멍을 갖고,상기 제1의 관통구멍에는, 대응하는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쳐지고 또한 대응하는 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가 상대이동이 규제되어서 끼워맞추어지며,상기 제2의 관통구멍에는, 대응하는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가 상대이동이 규제되어서 끼워맞춰지고 또한 대응하는 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는 체인 지름방향 바깥쪽의 끝부 및 체인 지름방향 안쪽의 끝부를 포함하고,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의 상기 체인 지름방향 바깥쪽의 끝부 및 상기 체인 지름방향 안쪽의 끝부 중 적어도 한쪽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는 체인 지름방향 바깥쪽의 끝부 및 체인 지름방향 안쪽의 끝부를 포함하고,상기 부동력 전달 부재의 상기 체인 지름방향 바깥쪽의 끝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에 상기 플랜지부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상기 한쌍의 끝면의 상기 접촉 중심점간의 거리가, 각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복수 종류 사이에서 서로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각 상기 끝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2방향에 관해서 각각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각 상기 끝면은 원통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각 상기 끝면에는, 소정의 1방향으로 크라우닝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가 상기 풀리의 대응하는 상기 시브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할 때의 접촉 주기가 랜덤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랜덤하게 배치된 복수 종류의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상기 체인 진행 방향에 관한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 피치는 상기 복수 종류의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랜덤하게 배치된 복수 종류의 주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력 전달 부재의 한쌍의 끝면의 상기 접촉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 종류의 주동력 전달 부재 사이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굴곡에 따르는 접촉부의 이동 궤적이, 상기 복수 종류의 주동력 전달 부재 사이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진행 방향에 대한 각 상기 끝면의 상기 접촉 영역의 소정부의 경사가, 상기 복수 종류의 주동력 전달 부재 사이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은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타원형 형상을 이루고,상기 접촉 영역의 상기 소정부는 타원의 장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동력 전달 부재는 상이한 강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원추면 형상의 시브면을 각각 갖는 한쌍의 풀리를 구비하고, 이들 한쌍의 풀리 사이에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력 전달 체인을 통해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029574 | 2005-02-04 | ||
JP2005029574 | 2005-02-04 | ||
JPJP-P-2005-00301033 | 2005-10-14 | ||
JP2005301033A JP4941698B2 (ja) | 2005-02-04 | 2005-10-14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2705A true KR20070102705A (ko) | 2007-10-19 |
Family
ID=3677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7976A KR20070102705A (ko) | 2005-02-04 | 2006-02-03 |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892127B2 (ko) |
EP (1) | EP1845286B8 (ko) |
JP (1) | JP4941698B2 (ko) |
KR (1) | KR20070102705A (ko) |
CN (1) | CN101111694B (ko) |
WO (1) | WO200608293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28779B2 (ja) * | 2005-10-06 | 2012-09-19 |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 伝動用無端ベ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ベルト式無段変速機 |
JP4803423B2 (ja) * | 2005-10-14 | 2011-10-26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JP4826899B2 (ja) * | 2006-03-30 | 2011-11-30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JP4923799B2 (ja) * | 2006-07-13 | 2012-04-25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JP5218804B2 (ja) * | 2006-09-15 | 2013-06-26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JP5250780B2 (ja) * | 2006-09-23 | 2013-07-31 |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 リンクプレートチェーン |
JP2008101747A (ja) * | 2006-10-20 | 2008-05-01 | Jtekt Corp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JP2008144825A (ja) * | 2006-12-08 | 2008-06-26 | Jtekt Corp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US20100035713A1 (en) * | 2006-12-08 | 2010-02-11 | Yoshihisa Miura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
WO2008069319A1 (ja) | 2006-12-08 | 2008-06-12 | Jtekt Corporation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JP5160096B2 (ja) * | 2007-01-31 | 2013-03-13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JP2008298242A (ja) * | 2007-06-01 | 2008-12-11 | Jtekt Corp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JP5211606B2 (ja) * | 2007-09-25 | 2013-06-12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EP2192325A4 (en) | 2007-09-27 | 2011-12-21 | Jtekt Corp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
JP5211610B2 (ja) * | 2007-09-27 | 2013-06-12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JP5211609B2 (ja) * | 2007-09-27 | 2013-06-12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JP4893562B2 (ja) * | 2007-09-27 | 2012-03-07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JP2009085411A (ja) * | 2007-10-03 | 2009-04-23 | Toyota Central R&D Labs Inc | 無段変速機用ベルト |
JP4997538B2 (ja) | 2007-10-22 | 2012-08-08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装置 |
JP4997537B2 (ja) * | 2007-10-22 | 2012-08-08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JP5152575B2 (ja) * | 2008-04-16 | 2013-02-27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DE102009003626A1 (de) | 2009-03-16 | 2010-09-30 | Cheng, Yue, Dr. | Laschenkette |
JP5639135B2 (ja) * | 2011-10-31 | 2014-12-10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チェーン式無段変速機 |
JP5851799B2 (ja) | 2011-10-31 | 2016-02-03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無段変速機のチェーン |
NL1040333C2 (nl) * | 2013-08-12 | 2015-02-16 | Gear Chain Ind Bv | Transmissieketting met met poelieschijven samenwerkende scharniersamenstellingen. |
CN106461025B (zh) * | 2014-05-07 | 2019-02-26 |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 用于板链的摆式接头 |
JP6298736B2 (ja) * | 2014-08-08 | 2018-03-20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無段変速機及び無段変速機を設計する方法 |
NL2014092B1 (nl) * | 2015-01-07 | 2016-09-30 | Drive Tech Holland Ltd | Overbrengorgaan en transmissie voorzien van een dergelijke overbrengorgaan. |
CN106051129B (zh) * | 2016-08-11 | 2018-08-14 | 杭州东华链条集团有限公司 | 一种新型cvt变速箱 |
DE102018118226A1 (de) * | 2018-07-27 | 2020-01-30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Laschenkette |
US20230112146A1 (en) * | 2020-02-19 | 2023-04-13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Rocker pin for a rocker pin pair of a plate link chain |
JP2023067130A (ja) * | 2021-10-29 | 2023-05-16 | 大同工業株式会社 | チェーン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51832A (en) * | 1925-12-01 | 1927-12-06 | Morse Chain Co | Drive chain |
US3120723A (en) * | 1961-10-24 | 1964-02-11 | Cincinnati Milling Machine Co | Machine tool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circular contours |
DE3027834C2 (de) * | 1980-07-23 | 1982-11-04 | P.I.V. Antrieb Werner Reimers GmbH & Co KG, 6380 Bad Homburg | Laschenkette fü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
DE3631213A1 (de) * | 1986-09-13 | 1988-03-24 | Piv Antrieb Reimers Kg Werner | Laschenkette fue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mit asymmetrischem scheibenkeil |
JPS63201248A (ja) | 1987-02-14 | 1988-08-19 |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 屋根構造 |
JPH0522666Y2 (ko) * | 1987-06-18 | 1993-06-10 | ||
JP2562160B2 (ja) | 1987-12-25 | 1996-12-11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伝動ベルト |
JPH0769001B2 (ja) * | 1987-12-25 | 1995-07-2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伝動ベルト |
JPH0522666A (ja) | 1991-07-17 | 1993-0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2値画像信号輪郭抽出装置 |
DE4330696C1 (de) | 1993-09-10 | 1995-03-30 | Piv Antrieb Reimers Kg Werner | Laschenkette fü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
DE4429223C1 (de) | 1994-08-18 | 1995-08-24 | Manfred Rattunde | Geräuscharme Laschenkette für Kegelscheibengetriebe |
NL1000294C2 (nl) * | 1995-05-03 | 1996-11-05 | Gear Chain Ind Bv | Transmissieketting voor een kegeldrijfwerk. |
DE19960914A1 (de) * | 1998-12-28 | 2000-06-29 | Luk Getriebe Systeme Gmbh | Umschlingungsmittel |
DE10003131B4 (de) * | 1999-02-06 | 2012-03-29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Laschenkette |
IT1306145B1 (it) * | 1999-05-21 | 2001-05-30 | Quintilio Lupi | Utensile rotativo ad azione combinata abrasiva e a frammentazione perla esecuzione di profili o di tagli su lastre di materiale fragile |
JP3091454B1 (ja) | 1999-06-23 | 2000-09-25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サイレントチェーン |
JP4560954B2 (ja) * | 2000-12-05 | 2010-10-13 |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 伝動用無端ベルト |
JP2001234982A (ja) * | 2000-02-24 | 2001-08-31 | Borg Warner Automotive Kk | 動力伝達用チェーンベルト |
JP2004190829A (ja) | 2002-12-13 | 2004-07-08 | Koyo Seiko Co Ltd | 動力伝達用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JP2004301257A (ja) * | 2003-03-31 | 2004-10-28 | Koyo Seiko Co Ltd | 動力伝達チェ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
JPWO2005038295A1 (ja) * | 2003-10-17 | 2007-01-11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動力伝達チェ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
KR20060126483A (ko) * | 2003-10-29 | 2006-12-07 |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
US20050187057A1 (en) * | 2004-01-14 | 2005-08-25 | Koyo Seiko Co., Ltd.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same |
-
2005
- 2005-10-14 JP JP2005301033A patent/JP494169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2-03 KR KR1020077017976A patent/KR200701027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02-03 US US11/883,722 patent/US789212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2-03 WO PCT/JP2006/301893 patent/WO200608293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2-03 EP EP06713036.9A patent/EP1845286B8/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2-03 CN CN200680003891XA patent/CN10111169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80161148A1 (en) | 2008-07-03 |
EP1845286B1 (en) | 2015-11-11 |
CN101111694B (zh) | 2011-04-20 |
JP2006242374A (ja) | 2006-09-14 |
US7892127B2 (en) | 2011-02-22 |
EP1845286B8 (en) | 2016-03-16 |
EP1845286A1 (en) | 2007-10-17 |
CN101111694A (zh) | 2008-01-23 |
EP1845286A4 (en) | 2010-03-03 |
WO2006082937A1 (ja) | 2006-08-10 |
JP4941698B2 (ja) | 2012-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102705A (ko) |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 |
EP1884682B1 (en) | Power transmission chain,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transmission member of the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 |
JP3136999B2 (ja) | 無段変速機用vベルト | |
JP2007051711A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EP1900967B1 (en)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 |
KR20070012312A (ko) | 동력전달 체인 및 그것을 사용한 동력전달 장치 | |
WO2007043209A1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
US20070191166A1 (en)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 |
EP2053270B1 (en)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
KR20070020291A (ko) | 동력 전달 체인 및 그를 이용한 동력 전달 장치 | |
KR20080018914A (ko) |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 |
JP4737507B2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EP2116741B1 (en)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06226452A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JP2005226831A (ja) | 動力伝達チェ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 |
CN102635667A (zh) | 一种无级变速用滚销链 | |
WO2007043618A1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 |
JP4761113B2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US20080004146A1 (en) |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06226405A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JP2005291322A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JPS59500924A (ja) | 連続可変の円錐形プ−リイ伝達装置用チエ−ン | |
JP2006234019A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JP4591764B2 (ja) |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 |
US8979687B2 (en) | Torque transmission chain and torque transmiss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