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015A - 동전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동전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015A
KR20070090015A KR1020077016114A KR20077016114A KR20070090015A KR 20070090015 A KR20070090015 A KR 20070090015A KR 1020077016114 A KR1020077016114 A KR 1020077016114A KR 20077016114 A KR20077016114 A KR 20077016114A KR 20070090015 A KR20070090015 A KR 20070090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passage
unit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87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71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87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852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5160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9299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기 외부 동전과 기 내부 동전의 현금 관리를 명확하게 구별하고, 동전 입금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에 있어서의 동전 막힘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동전 입출금기를 제공한다.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앞쪽에 칸막이 프레임체(23)를 배치하고,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에 저장 호퍼부(13)나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설치한다. 칸막이 프레임체(23)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바깥으로부터 나누는 분리위치와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다. 분리위치의 칸막이 프레임체(23)를 잠그는 잠금수단(24)을 설치한다. 저장 호퍼부(13)영역이나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 영역에 위치하는 동전은 자유롭게 조작 가능하게 하고, 금종별 동전량적투출부(17)의 동전은 잠금수단(24)의 자물쇠해제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개방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한다. 저장 호퍼부(13) 영역이나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 영역에서의 동전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전 입출금기{COIN DISPENSER}
본 발명은, 동전을 입금 및 출금하는 동전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전 입출금기에서는, 기체(機體)의 앞쪽 상부에 기체내에 투입되는 입금 동전 및 기체내로부터 내보내지는 출금 동전을 받아들이는 동전 받음부가 설치되고, 이 동전 받음부의 아래쪽에 동전 받음부로부터 방출되는 동전을 받아 들여 1매씩 내보내는 저장 인출부가 설치되고, 이 저장 인출부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받아들여 반송하는 동전 통로가 기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 동전 통로의 아래쪽에는, 동전 통로에서 동전 종류별로 분기(分岐)되는 동전을 일시 보류(保留)하는 금종별(金種別) 동전 일시보류부, 이 금종별 동전 일시보류부에 일시 보류한 동전을 겹쳐 쌓는 상태(중적(重積)상태)로 수납하는 금종별 동전 중적투출부(重積投出部)가 기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한쪽 하부에는, 입금시의 오버플로우 동전, 출금 동전, 회수 동전, 보충 동전 등을 받아 들여 저장 인출부로 보내는 반송 컨베이어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기체의 후부에는, 보충 동전을 수납하여 반송 컨베이어로 방출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동전 통로를 통해서 입금시의 오버플로우 동전이나 동전 회수시의 회수 동전 등을 수납하는 동전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 입금시에 있어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에 있어서, 동전 받음부에 투입된 입금 동전을 저장 인출부에서 동전 통로에 1매씩 내보내어, 이 동전 통로에서 입금 동전을 식별하는 동시에 동전 종류종별로 분류하여 금종별 동전 일시보류부에 일시 보류하고, 금종별 동전 일시보류부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가 가득찬 금종에 대해서는 오버플로우 동전으로서 반송 컨베이어로 보내어 일괄 일시 보류한다.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의 완료후의 입금 승인에 의한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는, 금종별 동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에 수납하고, 반송 컨베이어상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저장 인출부 및 동전 통로를 통해서 동전 카세트까지 반송하여 수납하고 있다.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의 완료후의 입금 비승인(非承認)에 의한 입금 반환 처리에 있어서는, 금종별 동전 일시보류부의 입금 반환 동전을 반송 컨베이어로 방출하고, 이 반송 컨베이어상의 입금 반환 동전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저장 인출부 및 동전 통로를 통해서 동전 받음부로 반송하여 반환하고 있다. 동전 출금시에는, 금종별 동전 중적 투출부로부터 출금에 필요한 출금 동전을 반송 컨베이어로 투출(投出)하고, 이 출금 동전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저장 인출부 및 동전 통로를 통해서 동전 받음부로 반송하여 지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이러한 동전 입출금기로는, 은행의 계원(텔러), 슈퍼나 백화점 등의 관계자가 조작하여 동전의 입금 처리 및 출금 처리(슈퍼나 백화점의 경우는 거스름돈 동전의 투출처리가 되지만 이것도 출금 처리로서 취급한다) 등을 실시하는 계원용의 동전 입출금기가 있다. 이 동전 입출금기에서는, 동전 입금시에 있어서의 입 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에 있어서, 저장 인출부영역이나 동전 통로영역 등에서 동전의 막힘이 발생했을 경우, 계원이 열쇠로 기체의 커버를 잠금 해제하여 개방하고, 저장 인출부영역이나 동전 통로영역에서 막혀 있는 동전 등을 없애는 등의 동전 막힘을 해소하고, 그 해소후에는, 커버를 닫고 열쇠로 잠궈,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를 재개하고 있다. 열쇠는 동전 입출금기의 관리자 등이 관리하거나 소정의 관리 장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4-341676호 공보(제13-15페이지, 도 11∼15)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동전 입출금기에서는, 동전 입금시에 있어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시에 저장 인출부영역이나 동전 통로영역 등에서 발생한 동전 막힘을 해소하는 경우에, 계원이 동전 입출금기의 관리자 등으로부터 열쇠를 빌려 오거나 소정의 관리 장소로부터 열쇠를 가져올 필요가 있으며, 게다가, 기체의 커버를 개방하기 위해서 열쇠로 잠금 해제하거나, 동전 막힘의 해소후에도 닫힌 커버를 열쇠로 잠궈야만 하므로, 동전 막힘의 해소에 시간과 수고가 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체의 커버를 잠금 해제하여 개방함으로써, 저장 인출부영역이나 동전 통로영역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에 있어서의 동전 즉 입금 수납전의 동전과 함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동전도 자유롭게 닿는 것이 가능해져, 입금 수납 전(前)의 기(機) 외부 동전과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에 수납되어 있는 기 내부 동전의 현금 관리가 구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 외부 동전과 기 내부 동전의 현금 관리를 명확하게 구별하고, 동전 입금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에 있어서의 동전 막힘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동전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동전 입출금기는, 기체(機體)와, 상부가 배후부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는 회전 가능한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앞면의 사이에 동전을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을 구비하고, 호퍼 프레임의 적어도 하부영역에는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에 의해서 개폐 가능한 가동 호퍼 프레임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된 저장 호퍼부와,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받아 들여 반송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로서, 상기 기체의 앞면 폭방향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동시에 동전 식별부, 금종별 분기부 및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가 설치되고, 동전 보충시에 금종별 분기부에서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분기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와,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로부터 동전 식별 분류 통로 외부로 꺼내지는 동전을 일괄하여 일시 보류하는 동시에,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수납시 및 반환시에 방출하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와, 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을 수납시에는 수납 루트로, 반환시에는 반환 루트로 보내게 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기체내에 착탈 가능한 동전 카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 일시보류부로부터 수납 루트로 보내진 동전을 수납하는 동전일괄 수납부와, 상기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배후부영역에서 기체의 앞면폭방향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상기 각 금종별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겹쳐 쌓는 상태로 수납하는 금종별 수납부를 가진 동시에 이들 금종별 수납부의 동전을 투출하는 동전투출부를 가진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와, 상기 저장 호퍼부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가 앞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외부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위치와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 프레임체와, 이 칸막이 프레임체를 분리위치에서 자물쇠를 채워 잠그는 잠금수단과, 상기 기체의 앞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 및 상기 반환 루트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입금 반환 동전을 수집하는 동전 수집구(收集具)가 착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 호퍼부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영역에 위치하는 동전은 상기 잠금수단에 의하여 칸막이 프레임체가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 외부 동전으로 하고,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동전은 상기 잠금수단의 자물쇠해제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의 개방에 의해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 내부 동전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저장 호퍼부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가 앞면에 설치된 칸막이 프레임체를, 기체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외부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위치와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분리위치에서 잠금수단에 의해 자물쇠를 채우는 것에 의해, 저장 호퍼부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영역에 위치하는 동전은 잠금수단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가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 외부 동전으로 하고,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동전은 잠금수단의 자물쇠해제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의 개방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 내부 동전으로 하여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져, 동전 입금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처리 등에 있어서의 저장 호퍼부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영역에서의 동전 막힘의 해소를 자물쇠해제조작 없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동전 입출금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동전 입출금기에 있어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 및 동전일괄 수납부는 기체의 앞면폭방향의 한쪽 및 다른쪽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은 기 외부 동전으로 하고, 동전일괄 수납부의 동전은 기 내부 동전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은 기 외부 동전으로 하여 자물쇠해제조작없이 꺼내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기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동전 카세트로 구성되는 동전일괄 수납부의 동전은 기 내부 동전으로서 용이하게 회수가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동전 입출금기에 의하면, 저장 호퍼부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가 앞면에 설치된 칸막이 프레임체를, 기체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바깥로부터 나누는 분리위치와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분리위치에서 잠금수단에 의해 자물쇠를 채우는 것에 의해, 저장 호퍼부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영역에 위치하는 동전은 잠금수단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의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 외부 동전으로 하고,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동전은 잠금수단의 자물쇠해제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의 개방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 내부 동전으로 하여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고, 동전 입금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 등에 있어서의 저장 호퍼부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영역에서의 동전 막힘의 해소를 자물쇠해제조작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동전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동전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은 기 외부 동전으로서 꺼낼 수 있고, 또한, 기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동전 카세트로 구성되는 동전일괄 수납부의 동전은 기 내부 동전으로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동전 입출금기의 도 2에 있어서의 A-A화살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2]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칸막이 프레임체의 정면도이다.
[도 4]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경사 원반이 구비한 동전 긁어올림 돌기를 나 타내고, (a)는 단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5] 상기 경사 원반의 일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a)는 도 2에 있어서의 B-B화살표시의 단면도, (b)는 도 2에 있어서의 D-D화살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6] 상기 경사 원반 및 동전 가이드 부재의 도 2에 있어서의 E-E화살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7] 상기 받아넘김 원판의 정면도이다.
[도 8] 상기 받아넘김 원판의 도 7에 있어서의 F-F화살표시의 측면도이다.
[도 9] 상기 받아넘김 원판의 도 7에 있어서의 G-G화살표시의 측면도이다.
[도 10] 상기 도 2에 있어서의 H-H화살표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a)는 동전을 반송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단면도, (b)는 정규 동전을 반송하고 있는 경우의 단면도, (c)는 이물질의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1] 상기 동전 분류부가 동전을 분류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a)는 동전투출시의 단면도, (b)는 동전으로의 진동 부여시의 단면도이다.
[도 13]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4]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금종별 수납부의 바닥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진동용 캠 구동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6] 상기 도 2의 동전 입출금기를 오른쪽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로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에서의 동전 일시 보류로부터 동전일괄 수납부로의 동전 방출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상기 도 2의 동전 입출금기를 오른쪽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로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에서의 동전 일시 보류로부터 저장 호퍼부에의 동전 방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동전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9]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제어의 블록도이다.
[도 20]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입금 계수(計數)로부터 일시 보류까지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1]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입금 반환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2]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입금 비환류(非還流) 수납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3]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입금 환류 수납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4]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출금 계수로부터 일시 보류까지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5]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출금 방출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6]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장전(裝塡) 계수(計數) 및 보충 계수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7] 상기 동전 입출금기의 회수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8] 상기 저장 호퍼부로부터 동전 식별 분류 통로로의 동전의 인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9] 상기 도 28에 계속되는 저장 호퍼부로부터 동전 식별 분류 통로로의 동전의 인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0] 상기 도 29에 계속되는 저장 호퍼부로부터 동전 식별 분류 통로로의 동전의 인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1]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 원반 및 동전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32]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 원반 및 동전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33]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경사 원반의 동전 긁어올림 돌기의 측면도이다.
[도 34]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경사 원반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I-I화살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35]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금종별 분기부의 사시도이다.
[도 36] 상기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기체 13 저장 호퍼부
15 동전 식별 분류 통로 17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
18 동전일괄 일시보류부 20 동전 일괄 보류부
21 동전 수집구 22 동전 수집구 배치부
23 칸막이 프레임체 24 잠금수단
27 경사 원반 28 호퍼 프레임
30 가동 호퍼 프레임부 80 동전 식별부
86 금종별 분기부 87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
105 금종별 수납부 106 동전투출부
151 동전 카세트 175 제어수단
C 동전
M8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으로서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용 모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0에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 입출금기는, 기체(11)를 가지며, 이 기체(11)의 계원(텔러)과 마주보는 앞면측(도 1 및 도 16의 왼쪽의 앞면, 도 2의 앞쪽)에는, 기 외부로 개구된 앞면 개구(11a)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앞면 개구(11a)의 전방 영역을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10)가 배치되어 있다.
개폐 커버(10)는, 기체(11)의 앞면폭방향의 전 영역에 대응한 가로폭으로 기체(11)의 앞면으로부터 상면 앞부분까지의 앞면 개구(11a)를 일체로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개폐 커버(10)의 하단부가 기체(11)의 앞면 하부에 대해서 개폐 커버 지지축(10a)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개폐 커버(10)는, 개폐 커 버 지지축(10a)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체(11)의 앞면 개구(11a)의 전방 영역을 폐색한 폐색 위치와 기체(11)의 전방으로 넘어져 개방된 개방 위치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기체(11)내에는, 기체(11)의 앞면폭방향 중앙영역(좌우 방향 중앙영역)에 동전(도면내에는 부호 C로 나타내고, 이하 생략한다)을 받아 들여 상부영역의 동전 인출구(12)로부터 1매씩 내보내는 저장 호퍼부(13)가 배치되고, 이 저장 호퍼부(13)의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저장 호퍼부(13)의 바로 위영역으로 방향 변환하여 반송하는 동전 송입(送入)용 방향 변환 통로(14)가 배치되고, 저장 호퍼부(13)의 위쪽에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를 통해서 1매씩 이송되는 동전을 반송하면서 식별 및 분기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가 기체(1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기체(11)의 오른쪽에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로부터 분기되는 입금 리젝트 동전을 수납하는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가 배치되고,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배후부측에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로 동전 종류별로 분기되는 동전을 상부로부터 받아 들여 수납하는 동시에 출금시나 회수시에 하부로부터 동전을 1매씩 투출하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가 기체(1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기체(11)의 왼쪽에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말단까지 반송된 동전을 일시 보류하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가 배치되고, 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일시 보류 동전을 하부의 제1 방출측과 저장 호퍼부(13)측인 제2 방출측으로 전환하여 방출하는 방출수단(19)이 배치되고,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아래쪽에 방출수단(19)으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부터 방출 되는 일시 보류 동전을 일괄 수납하는 동전일괄 수납부(20)가 배치되고, 기체(11)의 앞면측 하부에서 폭방향 중앙영역에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 및 저장 호퍼부(13)로부터 방출되는 입금 반환 동전을 수집하는 동전 수집구(21)가 착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22)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11)의 앞면 개구(11a)에는 이 앞면개구(11a)를 개폐 가능한 칸막이 프레임체(23)가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칸막이 프레임체(23)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 및 동전일괄 수납부(20)의 영역을 제외한 기체(11)의 앞면 개구(11a)의 대략 전 영역을 은폐 가능하게 하는 형상의 칸막이 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칸막이 프레임체(23)의 하단부가 기체(11)의 앞면측 하부에 대해서 칸막이 프레임체지지축(23a)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즉, 칸막이 프레임체(23)는, 칸막이 프레임체 지지축(23a)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체(11)의 앞면 개구(11a)를 폐색하는 동시에 기체(11)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바깥으로부터 나누는 분리위치와, 기체(11)의 전방으로 개방 이동하는 동시에 기체(11)의 앞면 개구(11a)를 개방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이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전방으로의 개방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개방 스토퍼(23b)가 기체(11) 측에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프레임체(23)에는, 이 칸막이 프레임체(23)를 분리위치에서 자물쇠를 채우는 잠금수단(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수단(24)은, 열쇠를 꽂아넣고 회동 조작함으로써, 자물쇠채움, 자물쇠해제가 가능한 키 실린더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측의 저장 호퍼부(13)영역,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영역,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영역 등에 위치하는 동전은 계원에 의한 개폐 커버(10)의 개방에 의해서 자유롭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 외부 동전으로서 취급되고,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동전은 잠금수단(24)의 자물쇠해제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개방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기 내부 동전으로서 취급된다. 또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은 기 외부 동전으로서 취급되고, 동전일괄 수납부(20)의 동전은 기 내부 동전으로서 취급된다.
그리고, 저장 호퍼부(13),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 동전일괄 수납부(20), 동전 수집구 배치부(22)가, 기체(11)의 앞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 호퍼부(13)는, 상부가 뒤쪽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축선(25)인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경사 원반(27), 및 이 경사 원반(27)의 앞면과의 사이에 동전을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28)을 구비하고, 경사 원반(27)의 주위면 상부영역에는 경사 원반(27)의 정회전에 의해 동전을 내보내는 동전 인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 원반(27)은,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23c)에 배치되는 동시에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측과 면일치하도록 배치되고, 경사 원반용 모터(M1)(도 19 참조)의 구동으로 인출 회전 방향인 정회전 방향(도 2의 반시계 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도 2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호퍼 프레임(28)은, 저장 호퍼 부(13)내에 동전을 투입하기 쉽도록, 호퍼 프레임(28)의 윗가장자리 중앙영역의 높이가 윗가장자리 양측부영역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호퍼 프레임(28)의 적어도 하부영역에는 방출구(29)가 형성되고, 이 방출구(29)를 폐색하는 가동 호퍼 프레임부(30)가 상단측의 축부(31)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부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는,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으로서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용 모터(M8)(도 19 참조)의 구동에 의해서 개폐 구동한다.
경사 원반(27)의 앞면에는, 중앙영역에 원형의 고위부(高位部)(32)가 형성되고, 이 고위부(32)의 바깥둘레영역에 고위부(32)로부터 처리하는 동전 중의 최소 동전 두께보다 조금 작은 치수만큼 낮은 저위부(低位部)(33)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 원반(27)의 회전축선(25)으로부터의 제1 소정 반경영역(r1)으로서, 고위부(32)와 저위부(33)의 단차부에는, 동전의 둘레가장자리가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도 5(b) 참조). 이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보다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서, 저위부(33)에는,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로부터의 반경 방향 치수가 처리하는 동전중의 최대 동전지름보다 조금 큰 치수가 되어 동전의 배면을 유지하는 동전면 유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동전면 유지부(35)에 있어서의 회전축선(25)으로부터의 제2 소정 반경영역(r2)에는, 경사 원반(27)의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동전 긁어올림 돌기(36)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각 동전 긁어올림 돌기(36) 는, 경사 원반(27)의 정회전시에, 처리하는 최대 동전지름으로부터 최소 동전지름까지의 어느 동전이라 하더라도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와의 사이에서 동전 1매를 유지하여 경사 원반(27)의 상부영역으로 긁어 올릴 수 있다. 동전 긁어올림 돌기(3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원반(27)의 정회전시에,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동전에 접촉하는 금속제의 핀(37)과 후속하는 가이드부(38)를 가지며, 이 금속제의 핀(37)에 의해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이 정회전 방향에 대한 핀(37)에 대해서 반대 방향측의 가이드부(38)는, 동전면 유지부(35)로부터 핀(37)의 선단을 향해서 경사형상으로 수지제의 가이드 부위(38a), 이 가이드 부위(38a)와 마찬가지로 수지제로 가이드 부위(38a)와 핀(37)을 접속하는 접속 부위(38b,38b)로 구성되고, 경사 원반(27)을 역회전시키는 처리시에, 이 가이드부(38)에 의해 동전이 핀(37)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동전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전면 유지부(35)에 있어서의 제2 소정 반경영역(r2)보다 반경 방향 바깥쪽의 제3 소정 반경영역(r3)에는, 경사 원반(27)의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동전 무너뜨림 돌기(39)가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동전 무너뜨림 돌기(39)는, 복수의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에 각각 대응하여 동전 긁어올림 돌기(36)로부터 회전축선(25)을 중심으로 정회전 방향에 대해서 후방으로 소정 각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동전 무너뜨림 돌기(39)는,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와 마찬가지로 핀(37)과 가이드부(3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와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에 의해 동전을 긁어 올려 내보내는 동전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47)가 구성되어 있다.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는, 원둘레 방향의 복수의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에 대응하여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형성되고, 이들 각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의 원둘레 방향 길이는 경사 원반(27)의 정회전시에 대응하는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사이에 1매의 동전을 유지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복수의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 사이에는, 고위부(32)와 저위부(33)의 단차부를 경사면으로 하여 동전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낙하시키는 슬라이드낙하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 원반(27)의 상부영역에 있어서, 경사 원반(27)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 즉 경사 원반(27)의 정회전 방향에 대응한 왼쪽방향으로 동전을 내보내는 동전 인출구(12)를 구성하는 상하의 동전 가이드 부재(41,42)가 배치되어 있다. 위쪽인 한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41)는, 호퍼 프레임(28)로부터 돌출하는 경사 원반(27)의 상부영역으로부터 동전 인출구(12)에 걸쳐, 경사 원반(27)의 앞면보다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인 다른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42)는, 동전면 유지부(35)의 앞면에 근접 대향하여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로부터 계속해서 동전을 받아들일수 있게 하고,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사이에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로부터 받은 동전을 유지하여 경사 원반(27)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안내한다. 이 동전 가이드 부재(42)의 동전면 유지부(35)에 대향하는 면에는, 회전이동하는 동전 긁어올림 돌기(36) 및 동전 무너뜨림 돌기(39)가 통과하는 홈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동전 가이드 부재(42)에는, 동전 인출구(12)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다층 상태로 보내지는 동전을 동전면 유지부(35)에 접하는 동전 1층에 대해서 다층과 겹쳐지는 나머지 동전을 저장 호퍼부(13)내에 슬라이드낙하시키는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44)는, 동전 가이드 부재(42) 윗가장자리에, 동전면 유지부(35)에 접하는 동전이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치수의 가이드면(45), 및 이 가이드면(45)을 남기고 동전을 슬라이드낙하시키는 경사면(46)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는, 저장 호퍼부(13)의 동전 인출구(12)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사이에, 기체(1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한쪽인 왼쪽방향을 향하여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180° 방향 변환하여 좌우 방향의 다른쪽인 오른쪽방향으로 내보내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는,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에 형성되어 있어 경사 원반(27)의 동전면 유지부(35)와 면일치하게 동전의 배면을 가이드하는 통로면(51)을 가지고 있다. 이 통로면(51)의 안둘레측 및 바깥둘레측의 양측에는, 동전 인출구(12)로부터 연속하여 동전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동전 가이드 부재(41) 및 동전 가이드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이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에는, 동전 인출구(12)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입구 근방의 사이에,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에 맞닿아 이 동전을 1매씩 분리 상태로 후단의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향하여 반송하는 받아넘김 원판(52)이 배설되어 있다. 이 받아넘김 원판(52)은,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23)에 배치되어 있어, 통로용 모터(M2)(도 19 참조)에 의해서 도 2 반시계 회전 방향의 한방향으로만 회전 구동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아넘김 원판(52)은, 경사 원반(27)의 동전면 유지부(35) 및 통로면(51)과 대략 면일치로 경사 원반(27)의 회전축선(25)과 평행한 회전축선(53)인 회전축(5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면부(55)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면부(55)에 있어서의 회전축선(53)으로부터의 소정 반경영역에는,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절결부(56)에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에 맞닿아 이 동전을 1매씩 분리 상태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향하여 반송하는 받아넘김 돌기(57)가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다.
이 받아넘김 돌기(57)는, 회전축(54)을 직교하여 관통하는 지지축(58)에 의해서 받아넘김 원판(52)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요동 가능하도록 축지지되고, 이 지지축(58)에 장착된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스프링(59)으로 회전면부(55)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즉 받아넘김 원판(52)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힘이 가해져 회전면부(55)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한 상태로 절결부(56)의 가장자리에 맞닿아 돌출형성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받아넘김 돌기(57)는, 회전면부(55)의 앞면측으로 처리하는 최소 동전 두께보다 작은 치수만큼 돌출하는 동시에, 회전면부(55)측으로 누를 때 즉 받 아넘김 원판(52)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누를 때에 회전면부(55)내로 매몰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는, 저장 호퍼부(13)보다 위쪽영역을 기체(11)의 폭방향의 한쪽인 왼쪽으로부터 다른쪽인 오른쪽으로 동전을 반송하는 제1 통로영역(65), 동전의 반송 방향을 제1 통로영역(65)의 말단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는 동시에 기체(11)의 폭방향의 왼쪽을 향하여 되접히는 되접힘 통로영역(66), 이 되접힘 통로영역(66)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1)의 폭방향의 왼쪽을 향하여 동전을 반송하는 제2 통로영역(67)을 구비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로영역(65∼67)은,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로부터 연속하여 동전의 배면을 가이드하는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에서 형성된 통로면(51)을 가지며, 이 통로면(51)의 양측에는,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로부터 연속하여 동전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동전 가이드 부재(68,69)가 배치되어 있다.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始端)측에 있어서의 한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68)로서는,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동전 가이드 부재(41)를 겸용하고 있다.
이들 통로영역(65∼67)에 걸쳐서, 받아넘김 원판(52)에 의해 1매씩 구분 상태로 이송되는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반송하는 동전 반송체(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동전 반송체(70)는, 무단형상의 벨트(71)로 구성되고, 이 벨트(71)의 통로면(51)에 대향하는 면에는 벨트(71)의 길이방향으로 처리하는 최대 동전지름보다 큰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돌기(7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벨트(71)는 통로면(51)에 대해서 처리하는 최대두께 동전보다 큰 치수로 대향 배치되고, 돌기(72)는 통로면(51)에 대해서 처리하는 최소 동전 두께보다 작은 치수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벨트(71)는,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부 및 종단(終端)부, 제2 통로영역(67)의 시단부 및 종단부의 각각의 안둘레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풀리(73,73,73,73)에 걸쳐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2 통로영역(67)의 종단부의 풀리(73)와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부의 풀리(73)의 사이의 바깥둘레측에 배치되어 벨트(71)를 누르는 텐션 롤러(74)에 의해서 텐션이 부여되고 있다. 각 풀리(73,73,73,73)에는, 벨트(71)의 돌기(72)가 걸어맞춤하는 반원형상의 걸어맞춤홈(75)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71)는, 받아넘김 원판(52)과 공통의 통로용 모터(M2)에 의해서 받아넘김 원판(52)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을 행하고, 받아넘김 원판(52)에 의해 1매씩 구분 상태로 이송되는 동전을 벨트 길이 방향의 돌기(72) 사이에 받아 들여 1매씩 구분한 상태로, 동전의 뒤쪽에 위치하는 돌기(72)로 동전을 눌러 반송한다. 한편, 받아넘김 원판(52) 및 벨트(71)에 의한 동전의 반송 속도는, 경사 원반(27)에 의한 동전의 인출 속도보다 다소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제1 통로영역(65)에는, 동전을 아래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68){동전 가이드 부재(41)를 겸용}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부(68a)에 밀어붙이는 폭맞춤부재(77), 이물(78){예를 들면 처리하는 최소 동전지름보다 지름이 작은 외국 동전이나 클립 등을 포함한 이물(78)}을 분리하여 저장 호퍼부(13)로 수수(收受)시키는 이물 분리부(79), 동전을 식별하는 동전 식별부(80)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영역은, 왼쪽의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에 이어 오른쪽을 향하는 좌우 방향 통로영역이며, 이 좌우 방향 통로영역에 폭맞춤부재(77) 및 이물 분리부(79)가 배치되어 있다.
폭맞춤부재(77)는, 위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69)측에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으로 통로내에 돌출되고, 동전을 아래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68){동전 가이드 부재(41)를 겸용}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68a)에 밀어붙인다.
이물 분리부(79)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71)에 대향하여, 통로면(51)에 분리홈부(81)가 형성되고, 이 분리홈부(81)내에 통로면(51)보다 경사 각도를 크게 한 분리가이드면(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 가이드면(82)의 아래쪽으로의 연장면은 동전 가이드 부재(68)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부(68a)보다 왼쪽에 배치한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하는 정규 동전은, 분리홈부(81)에 비집고 들어가는 일 없이, 동전의 하부가 동전 가이드 부재(68)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68a)에 실린 채로 분리홈부(81)를 통과하여 후단으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지름 동전 등의 이물은, 이물의 상부측이 분리 홈부(81)에 비집고 들어가고, 이물의 하부가 동전 가이드 부재(68)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부(68a)로부터 벗어나 낙하하여, 저장 호퍼부(13)에 수수된다.
동전 식별부(80)는, 정규 동전의 종류, 오염되어 있거나 식별 불가능하거나 외국 동전 등의 리젝트 동전을 식별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접힘 통로영역(66)에는, 입금 리젝트 동 전을 분기하는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의 구조는, 제2 통로영역(67)에 설치되는 금종별 분기부(86)와 동일한 구조이며, 그 구조를 금종별 분기부(86)에 있어서 설명한다.
이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의 하부에는, 분기된 입금 리젝트 동전을 아래쪽의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에 도입하는 입금 리젝트 동전 슈트(85)가 배치되어 있다.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에 도입된 입금 리젝트 동전은, 기체(11)의 앞면측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로영역(67)에서는 동전을 아래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69)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부(69a)에 실어 반송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제2 통로영역(67)에는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분기하는 금종별 분기부(86)가 설치되고, 이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영역에는 일시보류용 동전을 제2 통로영역(67)으로부터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 꺼내는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 금종별 분기부(86)에서는, 통로면(51)으로부터 아래쪽의 동전 가이드 부재(69)에 걸쳐 개구부(88)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88)내에 분기 부재(89)가 통로 방향(반송 방향)으로 평행한 축부(90)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분기 부재(89)는, 축부(90)로 지지되는 지지부(91)를 가지며, 이 지지부(91)의 상단에 비분기 해당 금종의 동전을 통과시키는 통과 가이드부(92)가 설치되고, 지지부(91)의 배후부에 분기 해당 금종의 동전을 개구부(88)의 배후부측에 받아 들여 분기시키는 분기 가이드부(9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분기 부재(89)의 지지부(91)에는 각 아암(94)을 통하여 각 분기용 모터(M5-1∼M5-6)(도 19 참조)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통과 가이드부(92)가 개구부(88)에 위치하는 통과 위치와, 분기 가이드부(93)가 개구부(88)의 전방으로 퇴피하는 분기 위치로 전환된다.
통과 가이드부(92)는, 통로 방향으로부터 보아 단면이 대략 ㄷ자형이고, 동전을 지지하여 통과 가능하게 하는 통과홈(95)을 가지며, 도 1에 나타내는 통과 위치일 때에는, 통과홈(95)의 오른쪽면 및 바닥면이 통로면(51) 및 동전 가이드 부재(69)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부(69a)와 대략 면일치가 되어 이들 통로면(51) 및 동전 가이드 부재(69)의 동전 지지 가장자리부(69a)와 함께 동전의 하부에 있어서의 배면 및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여, 동전의 통과를 허용한다. 한편, 통과홈(95)의 좌면은, 우면에 대해서 최대 동전 두께 보다 약간 커지는 치수가 되어 동전의 통과를 허용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분기 위치일 때에는, 개구부(88)의 전방으로 퇴피한다.
분기 가이드부(93)는, 앞면측으로부터 보아 단면이 대략 L자형이고, 상부측이 제2 통로영역(67)의 통로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제2 통로영역(67)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경사부(96), 이 경사부(96)의 하부측으로부터 제2 통로영역(67)의 통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수직부(91)를 가지고 있다. 분기 가이드부(93)에는, 벨트(11)의 돌기(12)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서 절결부(9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 가이드부(93)는, 도 11에 나타내는 분기 위치일 때에는, 통로면(51)으로부터 앞면측으로 돌출하여, 제2 통로영역(67)을 반송하고 있는 동전 을 경사부(96) 및 수직부(97) 또한 지지부(91)의 배면측을 통해서 개구부(88)내에 들어간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통과 위치일 때에는, 개구부(88)의 후방으로 퇴피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는, 이 금종별 분기부(86)와 동일 구조가 이용되고, 그 구동에는 분기용 모터(M5-0)(도 19 참조)가 이용된다.
각 금종별 분기부(86)의 배후부측에는, 각 금종별 분기부(86)에서 개구부(88)의 배후부측으로 분기된 동전을 받아 들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1)로 유도하는 금종별 슈트(99)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1)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배후부영역에서 기체(1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각 금종별 분기부(86)로부터 분기되어 금종별 슈트(99)로 유도되는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겹쳐 쌓는 상태로 수납하는 금종별 수납부(105)를 가지고 있다. 이들 금종별 수납부(105)는, 금종별 분기부(86)로부터 분기된 동전을 상부로부터 겹쳐 쌓아 수납하고, 이 겹쳐 쌓아 수납된 동전을 하부로부터 1매씩 전방으로 투출하는 동전을 위로 넣어 아래로 나오는 식의 통체로서, 상부가 배후부 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통체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금종별 수납부(105)의 하부에는, 금종별 수납부(105)내에 수납된 동전을 지지하여 수평 상태로 중적시키는 동시에, 겹쳐 쌓아 수납된 동전을 하부로부터 1매씩 전방으로 투출하는 동전 종류별의 동전투출부(106)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각 동전투출부(106)는, 금종별 수납부(105)의 하단부로부터 동전 1매가 통과 가능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저면 가이드(107)를 가지며, 이 저면 가이드(107)상에는 이 저면 가이드(107)에 실어 전방으로 투출되는 동전의 폭방향 양측 위치를 가이드하는 양측의 측면 가이드(108,108)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금종별 수납부(105)의 하단부와 저면 가이드(107)와 양측의 측면 가이드(108,108)의 사이에서, 동전을 전방으로 투출하는 동전투출구(109)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 가이드(107)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에 슬릿형상의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10)에는 금종별 수납부(105)의 하부영역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고 저면 가이드(107)에 실리는 최하위의 동전을 투출하는 투출부재(1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투출부재(111)의 전단측에는 가이드 롤러(112)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이 가이드 롤러(112)가 저면 가이드(107)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판(113)상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배치되며, 투출부재(111)의 전단측이 수평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금종별 수납부(105)의 배후부측에는 상단의 회동 지지점(11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 레버(115)가 배치되고, 이 요동 레버(115)의 회동 지지점(114)으로부터 멀어진 하단측의 선단에 투출부재(111)의 후단이 연결축(116)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각 요동 레버(115)의 회동 지지점(114)은 동전 종류별의 투출용 모터(M6-1∼M6-6)(도 19 참조)에 의해서 회동 구동되어, 각 요동 레버(115)가 요동한다. 그리고,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출부재(111)는, 금종별 수납부(105)의 하부영역에 진출하여 이 금종별 수납부(105)내의 겹쳐 쌓여진 동전을 실은 위치를 정위치로 하고, 동전투출시에, 금종별 수납부(105)의 하부영역으로부터 후방영역으로 퇴피한 후에 다시 하부영역으로 진출하여 겹쳐 쌓여진 동전 중의 최하위의 동전을 동전투출구(109)로부터 눌러 움직여 투출한다.
또한, 정위치에 위치하는 각 투출부재(111)의 가이드 롤러(112)의 아래쪽 위치에는, 가이드판(113)에 개구부(113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개구부(113a)에 가이드 롤러(11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축(117)에 의해서 지지된 진동용 캠(118)이 회전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진동용 캠(118)의 주위면에는, 바깥둘레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판(113)의 윗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롤러(112)를 밀어 올리는 상승 작용면부(118a)와, 바깥둘레면이 평탄형상으로 잘려 있어 가이드판(113)의 윗면과 면일치가 되는 것을 허용하는 하강 작용면부(118b)가 형성되어 있다. 진동용 캠(118)의 하강 작용면부(118b)가 가이드판(113)의 윗면과 면일치가 되는 위치는, 투출부재(111)의 상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 하고 있으며, 이 규제 위치를 회전 정지 위치로 하고 있다. 그리고, 진동용 캠(118)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롤러(112)와 함께 투출부재(111)가 연결축(116)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이동하고, 투출부재(111)에 실리는 겹쳐 쌓여진 동전에 직접적으로 상하 진동을 부여한다.
한편, 저면 가이드(107)의 아랫면에는 상승하는 가이드 롤러(112)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홈부(107a)가 형성되고, 금종별 수납부(105)에는 상승하는 투출부재(111)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홈부(10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출부 재(111) 및 가이드 롤러(112)의 자중으로 가이드 롤러(112)는 진동용 캠(118)의 주위면과의 맞닿는 상태가 보증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117)은 동전 종류별의 복수의 금종별 수납부(105)에 걸쳐서 공통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축(117)에 각 금종별 수납부(105)의 각 진동용 캠(118)이 지지되어, 각 진동용 캠(118)이 일체로 회전한다. 지지축(117)은, 전기적 구동부로서의 진동용 모터(M9)에 의해서 한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지지축(117) 및 진동용 모터(M9) 등에서, 금종별 수납부(105)로 동전을 받아 넣을 때에 진동용 캠(118)에 회전을 부여하는 진동용 캠 구동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진동용 캠(118)의 하강 작용면부(118b)가 가이드판(113)의 윗면과 면일치가 되는 규제 위치를 검지하는 진동용 캠 위치 검지 수단(119)을 구비하고, 이 진동용 캠 위치 검지 수단(119)은, 지지축(117)에 부착된 예를 들면 슬릿을 가진 검지판(120), 이 검지판(120)의 슬릿을 검지하는 정위치 검지 센서(S1)를 구비하고, 이 정위치 검지 센서(S1)의 검지에 기초하여 진동용 캠(118)의 위치를 검지한다.
동전투출구(109)에는, 투출동전의 통과를 검지하는 카운트 센서(S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카운트 센서(S2)는, 저면 가이드(107)에 형성된 센서구멍(107b)을 통해서 투출동전의 통과를 검지한다.
또한,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하부에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을 일시 보류하는 동시에 하부에 임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일시 보류한 투출동전을 방출하는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하부의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투출동전 일시 보류프레임(122), 및 이 투출동전 일시 보류프레임(122)의 저면의 방출구(123)를 개폐하는 셔터(124)를 가지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하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을 투출동전 일시 보류프레임(122)에 받아 넣어 셔터(124)상에 일시 보류한다. 셔터(124)는, 투출동전 일시보류부용 모터(M7)(도 19 참조)의 구동에 의해서 개폐된다.
다음에, 도 2,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는, 기체(11)의 왼쪽에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꺼내지는 동전을 일괄하여 일시 보류하는 동시에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 또는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프레임 모양의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 및 이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의 저면의 방출구(131)를 개폐하는 셔터(132)를 가지며,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꺼내지는 동전을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내에 받아 넣고 저면의 방출구(131)를 폐쇄하는 셔터(132)상에 일시 보류한다.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은, 상단의 지지축(133)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그 형상이 지지축(133)을 중심으로 한 부채형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아랫면이 지지축(133)을 중심으로 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132)는,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의 저면의 방출구(131)를 개폐하는 셔터부(134), 및 이 셔터부(134)를 지지하는 셔터 지지부(135)를 가지며, 셔터 지지부(135)의 상단이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과 동일한 지지축(133)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셔터부(134)는, 지지축(133)을 중심으로 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출수단(19)은,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을 동전일괄 수납부(20)측인 제1 방출측과 저장 호퍼부(13)측인 제2 방출측으로 전환하여 방출시킨다. 이 방출수단(19)은,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용 모터(M3)(도 19 참조)의 구동에 의해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용 이동 기구(140), 및 셔터용 모터(M4)(도 19 참조)의 구동에 의해 셔터(13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셔터용 이동기구(141)를 가지고 있다.
동전일괄 수납부(20)측인 제1 방출측에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부터 방출되는 동전을 받아 들여 동전일괄 수납부(20)로 유도하는 제1 방출 슈트(142)가 배치되고, 저장 호퍼부(13)측인 제2 방출측에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부터 방출되는 동전을 받아 들여 저장 호퍼부(13)로 유도하는 제2 방출 슈트(14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이 전후방향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여 그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의 저면의 방출구(131)를 셔터(132)로 폐쇄하고 있는 위치를, 일시보류용 동전추출 부(87)로부터 꺼내지는 동전을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에 일괄하여 일시 보류하는 일시 보류 위치로 한다.
또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을 동전일괄 수납부(20)측인 제1 방출측에 방출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을 후방으로 요동시켜 제1 방출 슈트(142)상에 임하게 하고, 계속해서, 셔터(132)를 전방으로 요동시켜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의 저면의 방출구(131)를 개방하여,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을 제1 방출 슈트(142)로 방출한다. 이 상태를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제1 방출측 위치로 한다.
또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을 저장 호퍼부(13)측인 제2 방출측에 방출하는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을 전방으로 요동시켜 제2 방출 슈트(143)상에 임하게 하고, 계속해서, 셔터(132)를 후방으로 요동시켜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의 저면의 방출구(131)를 개방하여,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을 제2 방출 슈트(143)에 방출한다. 이 상태를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제2 방출측 위치로 한다.
다음에, 도 2,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일괄 수납부(20)는, 기체(11)의 앞면으로부터 기체(11)내에 설치된 장착부(150)에 착탈 가능한 동전 카세트(15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동전 카세트(151)는, 장방형의 6면으로 구성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체(11)내의 장착부(150)에 배치하여 동전일괄 수납부(20)로서 이용하는 것 외에,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배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 회수하는 회수 동전을 받아 들이는 동전 수집 구(21)로서도 이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동전 카세트(151)는, 가장 긴 변이 기체(11)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동시에 높이가 높아지도록 세워서 기체(11)내의 장착부(150)에 전방으로부터 꽂아 넣어져 배치되고,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부터 일괄 수납하는 동전을 받아 들이는 제1 배치 자세(제1 받아들임 자세)와, 가장 긴 변이 기체(11)의 폭방향에 따르는 동시에 높이가 낮아지도록 넘어뜨려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전방으로부터 꽂아 넣어져 배치되고,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 회수하는 회수 동전을 받아들이는 제2 배치 자세(제2 수입 자세)로 이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동전 카세트(151)가 제1 배치 자세일 때에 윗면이 되는 면(151a)의 중앙에는, 제1 방출 슈트(142)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동전을 받아 들이는 제1 동전 받아들임구(152)가 형성되고, 이 제1 동전 받아들임구(152) 안쪽에는 제l 셔터(153)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동전 카세트(151)내에 제1 셔터(153)를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는 제1 개폐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동전 카세트(151)가 제1 배치 자세일 때에 기체(11)내의 장착부(150)로의 꽂아넣음방향 F1의 선단면이 되는 면(151b)에는, 기체(11)내에 배열설치된 제1 셔터 개방 부재(154)가 삽입되는 제1 삽통구멍(1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 카세트(151)를 장착부(150)에 전방으로부터 꽂아 넣을 때에, 제1 셔터 개방 부재(154)가 제1 삽통구멍(15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 셔터개폐기구가 작동하여 제1 셔터(153)를 개방하고, 또한, 동전 카세트(151)를 장착부(150)로부터 전방으로 뽑아낼 때에, 제1 셔터 개방 부재(154)가 제1 삽통구멍(155)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제1 셔터개폐기구가 제1 셔터(153)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동전 카세트(151)가 제2 배치 자세일 때에 윗면이 되는 면(151c)에는,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의 방출구(12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동전을 받아들이는 제2 동전 받아들임구(156)가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제2 동전 받아들임구(156)의 안쪽에는 제2 셔터(157)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동전 카세트(151)내에 제2 셔터(157)를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2 개폐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동전 카세트(151)가 제2 배치 자세일 때에 기체(11)의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의 꽂아 넣는 방향 F2의 선단면이 되는 면(151a)에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내에 배설된 제2 셔터 개방 부재(158)가 삽입되는 제2 삽통구멍(15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 카세트(151)를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전방으로부터 꽂아 넣을 때, 제2 셔터 개방 부재(158)가 제2 삽통구멍(159)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2 셔터개폐기구가 작동하여 제2 셔터(157)를 개방하고, 또한, 동전 카세트(151)를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부터 전방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제2 셔터 개방 부재(158)가 제2 삽통구멍(159)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의해, 제2 셔터개폐기구가 제2 셔터(157)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다음에, 도 2,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는, 기체(11)의 앞면측 하부에서 폭방향 중앙영역에 설치되고, 전방으로부터 동전 수집구(21)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는, 동전 수집구(21)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의 안쪽과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의 왼쪽에 스토퍼(160,16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 수집구(21)로서는, 출금 동전 수집용 및 회수 동전 수집용으로서 판지상자(carton:162)가 이용되고, 또한, 회수 동전 수집용으로서 동전일괄 수납부(20)의 동전 카세트(151)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판지상자(162) 및 동전 카세트(151) 모두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11)의 개폐 커버(10)에는, 저장 호퍼부(13)의 전방영역에 이 저장 호퍼부(13)로 동전을 투입하는 투입구(164)가 형성되고, 가동 호퍼 프레임부(30)의 전방영역에 이 가동 호퍼 프레임부(30)의 개방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부(165)가 형성되며, 동전 카세트(151)의 전방영역에 이 동전 카세트(151)의 착탈이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착탈구가 형성되고,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의 전방영역에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로부터 입금 리젝트 동전을 꺼내는 도시하지 않는 추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164)의 안쪽에는, 상부가 배후부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의 호퍼 프레임(28)의 상부로부터 저장 호퍼부(13)내에 투입되는 동전을 유도하는 투입구프레임(164a)이 형성되고, 이 투입구프레임(164a)의 배후부측에 투입구(164)를 개폐하는 투입구 셔터(166)가 배치되어 있다. 투입구 셔터(166)는, 개폐 커버(1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입금시나 보충시에 투입구(164)를 개방하고, 출금시에 투입구(164)를 폐색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 프레임(28)의 높이가 낮은 윗가장자리부 중앙영역을 개폐하는 호퍼 커버(167)가 배치되어 있다. 이 호퍼 커버(167)는, 칸막이 프레임체(23)에 기체(11)의 폭방향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가능하 도록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칸막이 프레임체(23)가 분리위치에 있는 통상의 사용시에는, 호퍼 프레임(28)의 높이가 낮은 윗가장자리부 중앙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퇴피하고, 한편, 칸막이 프레임체(23)를 자물쇠해제하여 개방할 때에 호퍼 프레임(28)의 높이가 낮은 윗가장자리부 중앙영역에 슬라이드 배치함으로써, 호퍼 프레임(28)내에 동전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에서 칸막이 프레임체(23)을 전방으로 경사되도록 개방했을 때, 호퍼 프레임(28)의 높이가 낮은 윗가장자리부 중앙영역으로부터 동전이 넘쳐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 19에는, 동전 입출금기를 제어하는 제어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블록도에 있어서, 제어부(170)는, 상위기(上位機)로부터의 신호나, 입금, 출금, 보충, 회수의 각 처리의 지령 및 각종 모드의 지령을 하는 조작 지령부(171), 입금, 출금, 보충, 회수의 각 처리의 지령 상태의 표시, 금액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72), 저장 호퍼부(13)내의 동전의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 호퍼용 센서군(173),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 등의 통로에서 동전을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 통로용 센서군(174)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각 모터(M1∼M9)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에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일시 보류한 후의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 또는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있어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을 수납시에는 수납 루트로, 반환시에는 반환 루트로 보내게 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수단(175)을 가지고 있다.
즉, 제어수단(175)에 의한 수납 제어에서는, 비환류 수납 모드와 환류 수납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비환류 수납 모드에서는,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에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19)에 의해 제1 방출측의 동전일괄 수납부(20)로 보낸다. 또한, 환류 수납 모드에서는,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에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19)에 의해 제2 방출측이 되는 저장 호퍼부(13)측으로 보내어, 가동 호퍼 프레임부(30)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작동에 의해, 동전의 보충이 필요한 금종 동전은 대응하는 금종의 금종별 분기부(86)에서 분기하여 대응하는 금종별 수납부(105)로 보충하고, 동전의 보충이 필요하지 않은 금종 동전은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를 경유하여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 일시 보류하고, 저장 호퍼부(13)의 모든 동전을 대응하는 금종별 분기부(86) 또는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에 보낸 후에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19)에 의해 제1 방출측의 동전일괄 수납부(20)에 보낸다. 한편, 이러한 동전의 흐름이 수납 루트가 된다.
또한, 제어수단(175)에 의한 반환 제어에서는,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19)에 의해 제2 방출측의 저장 호퍼부(13)측에 보내는 동시에 가동 호퍼 프레임부(30)의 개방 자세를 통해서 저장 호퍼부(13)의 아래쪽에 방출시킨다. 한편, 이 동전의 흐름이 반환 루트가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175)은, 이물 분리부(79)에서 분리되어 저장 호퍼부(13)로 수수된 이물(78)을 가동 호퍼 프레임부(30)의 개방에 의해 동전 수집구 배치부(22) 로 방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20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동전 입출금기에 의한 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동전 입출금기는, 예를 들면 금융기관의 계원인 텔러가 조작하는 것으로, 고객으로부터 받은 입금 동전을 입금 처리하거나 고객에게 지불하는 출금 동전을 출금 처리하는 것이다.
도 20에는,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입금 계수(計數)로부터 일시 보류까지의 처리를 나타낸다. 조작 지령부(171)에서 입금 처리를 지령하고, 고객으로부터 받은 입금 동전을 기체(11)의 개폐 커버(10)의 투입구(164)로부터 저장 호퍼부(13)에 투입함으로써, 저장 호퍼부(13)에 투입된 입금 동전을 호퍼용 센서군(173)으로 검지하여 입금 처리를 개시한다. 입금 처리의 개시에 의해,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를 각각 회전시킨다.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에 의해 저장 호퍼부(13)내의 입금 동전을 동전 인출구(12)로부터 1매씩 분리 상태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에 내보내고,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에 의해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입금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받는 동시에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의 돌기(72) 사이에 받아넘겨,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의 돌기(72)에 의해 입금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따라서 반송한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제1 통로영역(65)을 반송하는 입금 동전을 동전 식별부(80)에 의해 식별한다.
동전 식별부(80)에 의한 식별의 결과, 정규로 식별된 입금 동전은, 제1 통로영역(65)으로부터 되접힘 통로영역(66)을 통해서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까지 반송되어, 이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꺼내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에 수납한다. 이 때,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에서는, 동전 일괄 일시 보류프레임(130) 및 셔터(132)가 일시 보류 위치에 있고,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받아 들인 입금 동전을 일괄 일시 보류한다.
동전 식별부(80)에 의한 식별의 결과, 리젝트 동전으로 식별된 입금 리젝트 동전은, 되접힘 통로영역의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로 분기하고, 입금 리젝트 동전 슈트(85)를 통하여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로 유도하여 개폐 커버(10)의 추출구로부터 꺼내기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에서 입금 동전을 검지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동전 식별부(80)에서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으면, 투입된 모든 입금 동전의 입금 계수로부터 일시 보류까지의 처리를 완료한 것으로 하여,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를 각각 정지시킨다. 또한, 식별 결과는 표시부(112)에 표시하고, 입금 동전의 수납 또는 반환을 확인한다. 또한, 리젝트 동전이 있었을 경우에는,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로부터 입금 리젝트 동전을 꺼내어 고객에게 반환한다.
또한,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에서 동전 있음으로 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전 식별부(80)에서 입금 수납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으면, 경사 원반(27)을 일시 정지시켜, 이 경사 원반(27)의 역회전과 정회전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반복하여, 이 사이에 동전이 저장 호퍼부(13)로부터 내보내져 동전 식별부(80)에서 검지하면, 경사 원반(27)을 정회전으로 복귀시킨다. 이 경사 원반(27)을 역회전시킬 때, 동전 긁어올림 돌기(36) 및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에 설치된 가이드부(38)에 의해 입금 수납 동전이 핀(37)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동전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 호퍼부(13)에 입금 동전과 함께 이물(78)이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에 있어서의 제1 통로영역(65)의 동전 식별부(80)로부터 상류영역에 설치한 이물 분리부(79)에서 이물(78)을 분리하여 저장 호퍼부(13)에 수수시킨다. 그 때문에,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에서 동전있음으로 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전 식별부(80)에서 입금 수납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경사 원반(27)을 일시 정지시키고, 이 경사 원반(27)의 역회전과 정회전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반복하지만, 동전 식별부(80)에서는 입금 수납 동전을 검지하지 않는 상태를 계속한다. 이 경사 원반(27)의 역회전과 정회전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반복해도, 동전 식별부(80)에서 입금 수납 동전을 검지하지 않으면, 이물(78)이 있음으로 판단하여, 저장 호 퍼부(13)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를 개방하여 이물(78)을 하부의 판지상자(162)에 방출한다. 이 때, 경사 원반(27)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이물(78)을 보다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에서의 이물(78)에 의한 동전 막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78)을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에 있어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측의 저장 호퍼부(13)영역,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영역,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영역 등에서 동전 막힘이 발생하거나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에서 동전 막힘이 발생했을 경우, 계원은, 기체(11)의 개폐 커버(10)를 전방으로 넘어뜨리도록 개방하여, 기체(11)의 앞면측에 임하는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앞면측의 저장 호퍼부(13)영역,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영역,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영역 등이나,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노출시킨다. 개폐 커버(10)의 개방에는, 열쇠에 의한 자물쇠해제조작의 필요가 없고, 곧바로 개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막힘을 일으키고 있는 동전을 없애는 등 동전 막힘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해소 후에는, 개폐 커버(10)를 기체(11)에 닫아 처리를 계속하여 재개하거나, 입금 반환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입금 동전을 일단 반환 처리하고 나서 재차,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를 한다. 이 때, 칸막이 프레임체(23)는, 기체(11)의 앞면 개구(11a)를 폐색하는 동시에 기체(11)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외부로부터 나누는 분리위치에서 잠겨져 있기 때문에, 계원은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동전에 접촉할 수 없다. 한편, 개폐 커버(10)의 개방은, 후술하는 입금 환류 처리, 보충 처리 등 일 때에도 개방할 수 있다.
도 21에는,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일시 보류후의 입금 동전 반환의 처리를 나타낸다. 조작 지령부(171)에 의해서 입금 동전 반환이 지령되는 것에 의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내의 입금 반환 동전을,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제2 방출측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제2 방출측인 저장 호퍼부(13)측으로 방출하고, 제2 방출 슈트(143)를 통해서 저장 호퍼부(13)로 보낸다.
저장 호퍼부(13)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를 개방하여, 저장 호퍼부(13)내의 입금 반환 동전을 호퍼 프레임(28)의 방출구(29)로부터 아래쪽의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 방출하고,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미리 배치되어 있는 판지상자(162)에 수수한다. 판지상자(162)를 기체(11)의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부터 꺼내어, 판지상자(162)내의 입금 반환 동전을 반환한다. 그 후,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일시 보류 위치로 되돌려, 저장 호퍼부(13)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를 닫고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도 22에는,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일시 보류후의 입금비환류 수납의 처리를 나타낸다. 미리 입금비환류 수납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 지령부(171)에 의해서 입금 동전 수납이 지령되는 것에 의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내의 입금 수납 동전을,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제1 방출측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제1 방출측인 동전일괄 수납부(20)측으로 방출하여, 제1 방출 슈트(142)를 통해서 동전일괄 수납부(20) 즉 동전 카세트(151)에 수납한다. 그 후,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일시 보류 위치로 되돌려,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동전 카세트(151)는, 제1 배치 자세로서 기체(11)내의 장착부(150)에 전방으로부터 꽂아 넣어 배치함으로써, 제1 셔터 개방 부재(154)가 제1 삽통구멍(15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 셔터개폐기구가 작동하여 제1 셔터(153)가 개방 이동하고, 제1 동전 받아들임구(152)가 개방되고 있어, 이 제1 동전 받아들임구(152)로부터 입금 수납 동전을 받아 들여 수납한다.
도 23에는,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일시 보류후의 입금 환류 수납의 처리를 나타낸다. 미리 입금 환류 수납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 지령부(171)에 의해서 입금 동전 수납이 지령됨으로써,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내의 입금 수납 동전을,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제2 방출측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제2 방출측인 저장 호퍼부(13)측으로 방출하여, 제2 방출 슈트(143)를 통해서 저장 호퍼부(13)에 보낸다.
그 후,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동전일괄 수납부(20)로 입금 수납 동전을 방출하는 제1 방출측 위치로 이동시켜,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를 다시 각각 회전시킨다.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에 의해 저장 호퍼부(13)내의 입금 수납 동전을 동전 인출구(12)로부터 1매씩 분리 상태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에 내보내고,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에 의해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입금 수납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받는 동시에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의 돌기(72) 사이에 받아 넘겨,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의 돌기(72)에 의해 입금 수납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따라서 눌러 움직여 반송한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제1 통로영역(65)을 반송하는 입금 수납 동전을 동전 식별부(80)에 의해 식별한다.
동전 식별부(80)에 의한 식별의 결과, 정규로 식별된 입금 수납 동전은, 제1 통로영역(65)으로부터 되접힘 통로영역(66)을 통해서 제2 통로영역(67)으로 반송하고, 해당하는 금종의 금종별 분기부(86)에서 제2 통로영역(67)으로부터 분기하여, 금종별 슈트(99)를 통해서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금종별 수납부(105)에 수납한다.
이 때,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에서는, 도 1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용 모터(M9)를 구동하고, 지지축(117)에 의해서 각 진동용 캠(118)을 일체로 회전시킨다. 각 진동용 캠(118)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롤러(112)와 함께 투출부재(111)가 연결축(116)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이동하고, 투출부재(111)에 실리는 겹쳐 쌓여진 동전에 직접적으로 상하 진동을 부여한다. 그 때문에, 금종별 수납부(105)의 상부로부터 받아들여진 동전은, 상하 진동하는 겹쳐 쌓여진 동전상에 낙하하여 진동이 전해져, 넘어지기 쉽고, 동전이 서는 경우 없이 겹쳐 쌓을 수 있다.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금종별 수납부(105)가 가득찬 상태가 된 금종의 입금 수납 동전 즉 오버플로우 동전은, 해당하는 금종별 분기부(86)에서 분기하지 않고 통과시켜,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꺼내어, 동전일괄 수납부(20)로 입금 수납 동전을 방출하는 제1 방출측 위치로 이 동하고 있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통해서 동전일괄 수납부(20)에 수납한다.
동전 식별부(80)에 의한 식별의 결과, 리젝트 동전으로 식별된 입금 리젝트 동전은, 되접힘 통로영역의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에서 분기하고, 입금 리젝트 동전 슈트(85)를 통과하여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로 도입된다.
그리고,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에서 입금 동전을 검지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동전 식별부(80)에서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으면, 모든 입금 수납 동전의 수납 처리를 완료한 것으로 하여,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일시 보류 위치로 되돌리고,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를 각각 정지시켜,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리젝트 동전이 있었을 경우에는,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로부터 입금 리젝트 동전을 꺼내어 회수한다. 또한, 이물(78)이 있는 경우는, 도 20과 동일한 처리를 거쳐 이물(78)을 판지상자(162)에 방출하여, 표시부(172)에서 판지상자(162)를 빼내는 것을 텔러에 촉구한다.
한편,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꺼내는 입금 수납 동전 즉 오버플로우 동전은,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에 일시 보류하고,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으로 입금 동전을 검지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동전 식별부(80)에서 입금 수납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게 되고 나서, 동전일괄 수납부(20)에 수납해도 좋다.
도 24에는, 출금 처리에 있어서의 출금 계수로부터 일시 보류까지의 처리를 나타낸다. 조작 지령부(171)에서 출금 처리를 지령하여, 출금 금액을 입력함으로 써,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 중의 출금 해당 금종의 동전투출부(106)가 동작하고, 이 동작한 동전투출부(106)에 의해 금종별 수납부(105)내의 하부의 동전을 1매씩 동전투출구(109)로부터 투출하여, 이 동전투출구(109)로부터 투출하는 투출동전의 매수를 카운트 센서(S2)로 검지하여 카운트한다. 동전투출구(109)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은,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에 수납한다. 이 때,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에서는, 투출동전 일시 보류프레임(122)의 방출구(123)를 셔터(124)로 폐쇄하고 있으며, 투출된 투출동전을 일괄하여 일시 보류한다.
도 25에는, 출금 처리에 있어서의 출금 방출의 처리를 나타낸다.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 출금 금액분의 동전의 투출을 완료하면, 투출동전 일시 보류프레임(122)의 셔터(124)를 개방하여,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내에 일시 보류하고 있던 투출동전을 투출동전 일시 보류프레임(122)의 방출구(123)로부터 아래쪽의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 방출하여,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미리 배치되어 있는 판지상자(162)에 수수한다. 판지상자(162)를 기체(11)의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부터 꺼내어, 판지상자(162)내의 투출동전을 고객에게 지불한다. 그 후, 셔터(124)를 투출동전 일시 보류프레임(122)의 방출구(123)를 폐색하는 상태로 되돌려,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을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에 일시 보류함으로써, 출금 지시 동전량과 실제로 투출된 동전량이 일치했을 때에 판지상자(162)에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출금 지시 동전량과 실제로 투출된 동전량에서 잘못된 계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금시(입금시, 후술의 보충시 및 회수시등) 등에 있어서,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에서 동전 막힘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계원은 동전 입출금기의 관리자 등으로부터 열쇠를 빌려 오거나 소정의 관리 장소로부터 열쇠를 가져온다. 그 후, 기체(11)의 개폐 커버(10)를 전방으로 넘어뜨리도록 개방하고, 호퍼 커버(167)를 호퍼 프레임(28)의 높이가 낮은 윗가장자리부 중앙영역에 슬라이드시켜 폐색하고,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잠금수단(24)을 열쇠로 자물쇠해제하여, 칸막이 프레임체(23)를 전방으로 넘어뜨리도록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칸막이 프레임체(23)의 배후부측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노출시켜, 동전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동전 막힘의 해소 후에는, 칸막이 프레임체(23)를 후방을 향하여 넘어뜨리는 것에 의해, 기체(11)의 앞면 개구(11a)를 폐색하는 동시에 기체(11)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외부로부터 나누는 분리위치로 이동시켜, 분리위치로 위치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잠금수단(24)을 열쇠로 자물쇠를 채워, 개폐 커버(10)를 기체(11)로 닫아 출금 처리를 계속하여 재개하거나, 일단 리세트 처리하고 나서 새롭게 출금 처리를 다시 한다.
도 26에는, 보충 처리로서, 기체(11)내에 동전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초기 보충에 있어서의 장전 계수, 및 기체(11)내의 동전이 감소했을 때의 도중 보충에 있어서의 보충 계수의 처리를 나타낸다.
조작 지령부(171)에서 보충 처리를 지령함으로써,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 를 동전일괄 수납부(20)로 입금 수납 동전을 방출하는 제1 방출측 위치로 이동시킨다. 보충 동전을 저장 호퍼부(13)에 투입함으로써, 저장 호퍼부(13)에 투입된 보충 동전을 호퍼용 센서군(173)으로 검지하여 보충 처리를 개시한다. 보충 처리의 개시에 의해,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를 각각 회전시킨다.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에 의해 저장 호퍼부(13)내의 보충 동전을 동전 인출구(12)로부터 1매씩 분리 상태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로 내보내어,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에 의해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보충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의 돌기(72) 사이에 받아 넘겨,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의 돌기(72)에 의해 보충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따라서 눌러 움직이게 하여 반송한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제1 통로영역(65)을 반송하는 보충 동전을 동전 식별부(80)에 의해 식별한다.
동전 식별부(80)에 의한 식별의 결과, 정규로 식별된 보충 동전은, 제1 통로영역(65)으로부터 되접힘 통로영역(66)을 통해서 제2 통로영역(67)으로 반송되고, 해당하는 금종의 금종별 분기부(86)에서 제2 통로영역(67)으로부터 분기하여, 금종별 슈트(99)를 통해서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금종별 수납부(105)에 수납한다.
이 때에도, 진동용 캠(118)의 회전에 의해 금종별 수납부(105)내의 겹쳐 쌓 여진 동전에 상하 방향의 진동을 주는 것에 의해, 금종별 수납부(105)내에 낙하하는 보충 동전이 서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겹쳐 쌓을 수 있다.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금종별 수납부(105)가 가득찬 상태가 된 금종의 입금 수납 동전 즉 오버플로우 동전은, 해당하는 금종별 분기부(86)에서 분기하지 않고 통과시켜,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꺼내어, 동전일괄 수납부(20)에 입금 수납 동전을 방출하는 제1 방출측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통해서 동전일괄 수납부(20)에 수납한다.
동전 식별부(80)에 의한 식별의 결과, 리젝트 동전과 식별된 보충 리젝트 동전은, 되접힘 통로영역의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에서 분기하여, 입금 리젝트 동전 슈트(85)를 통해서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에 수납한다.
그리고,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으로 입금 동전을 검지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동전 식별부(80)에서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으면, 투입된 모든 보충 동전의 보충 처리를 완료한 것으로 하여,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를 일시 보류 위치로 되돌려, 저장 호퍼부(13)의 경사 원반(27),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를 각각 정지시켜, 보충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리젝트 동전이 있었을 경우에는,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를 기체(11)로부터 꺼내어,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16)내로부터 보충 리젝트 동전을 꺼내어 회수한다.
또한,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에서 동전있음으로 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전 식별부(80)에서 보충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으면, 경사 원반(27)을 일단 정지시켜, 이 경사 원반(27)의 역회전과 정회전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회수 반복하여, 이 사이에 보충 동전이 저장 호퍼부(13)로부터 내보내져 동전 식별부(80)에서 검지하면, 경사 원반(27)을 정회전으로 복귀시킨다.
또한, 저장 호퍼부(13)에 입금 동전과 함께 이물(78)이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에 있어서의 제1 통로영역(65)의 동전 식별부(80)보다 상류영역에 마련한 이물 분리부(79)에서 이물(78)을 분리하여 저장 호퍼부(13)로 수수시킨다. 그 때문에,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에서 동전있음으로 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전 식별부(80)에서 보충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경사 원반(27)을 일단 정지시켜, 이 경사 원반(27)의 역회전과 정회전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반복하지만, 동전 식별부(80)에서는 보충 동전을 검지하지 않는 상태를 계속한다. 이 경사 원반(27)의 역회전과 정회전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반복해도, 동전 식별부(80)에서 보충 동전을 검지하지 않으면, 이물(78)이 있음으로 판단하고, 저장 호퍼부(13)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를 개방하여 이물(78)을 하부의 판지상자(162)로 방출한다. 이 때, 경사 원반(27)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이물(78)을 보다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에서의 이물(78)에 의한 동전 막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78)을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제2 통로영역(67)의 말단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87)로부터 꺼내는 보충 동전 즉 오버플로우 동전은,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에 일시 보류하고, 저장 호퍼부(13)의 호퍼용 센서군(173)으로 보충 동전을 검지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동 전 식별부(80)에서 보충 동전을 소정 시간 식별하지 않게 되고 나서, 동전일괄 수납부(20)에 수납해도 좋다.
도 27에는, 동전 카세트(151)를 이용한 회수 처리를 나타낸다.
기체(11)내의 장착부(150)에 배치되어 있던 동전 카세트(151)를 빼낸다. 이 빼낸 동전 카세트(151)가 제1 셔터 개방 부재(154)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제1 셔터개폐기구가 제1 셔터(153)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그 결과, 동전 카세트(151)내에 수납되어 있는 동전은 수납 상태가 보증된다.
빼낸 동전 카세트(151)를 제2 배치 자세로 하여, 기체(11)의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전방으로부터 꽂아 넣어 배치한다. 동전 카세트(151)를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전방으로부터 꽂아 넣을 때, 제2 셔터 개방 부재(158)가 제2 삽통구멍(159)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2 셔터개폐기구가 작동하여 제2 셔터(157)가 개방 이동하고, 제2 동전 받아들임구(156)가 개방한다. 제2 동전 받아들임구(156)는,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의 방출구(123)의 하부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조작 지령부(171)에서 회수 처리를 지령함으로써,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의 셔터(124)를 개방한 후,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동전투출부(106)가 동작하여, 이 동전투출부(106)에 의해 금종별 수납부(105)내의 하부의 회수 동전을 1매씩 동전투출구(109)로부터 투출하고, 이 동전투출구(109)로부터 투출하는 회수 동전의 매수를 카운트 센서(82)로 검지하여 카운트한다. 동전투출구(109)로부터 투출되는 회수 동전은, 셔터(124)가 개방되어 있는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를 통해서,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배치된 동전 카세트(151)의 제2 동전 받아들임 구(156)로부터 받아 들여 수납한다.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내의 모든 회수 동전을 투출하면,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의 셔터(124)를 닫고 회수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제1 배치 자세시에 수납된 수납 동전 및 제2 배치 자세시에 수납된 회수 동전이 수용된 동전 카세트(151)를 기체(11)의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부터 전방으로 빼내어 회수한다. 동전 카세트(151)를 동전 수집구 배치부(22)로부터 전방으로 빼낼 때, 제2 셔터 개방 부재(158)가 제2 삽통구멍(159)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제2 셔터개폐기구가 제2 셔터(157)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한편, 회수 처리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에 판지상자(162)를 배치하여 이 판지상자(162)로 회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 투출되는 회수 동전을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에 일시 보류하고, 이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에 소정 매수분의 회수 동전을 일시 보류하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의 회수 동전의 투출을 일단 중단하고, 셔터(124)를 개방하여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내의 회수 동전을 판지상자(162)로 방출하고, 그 후, 셔터(124)를 닫아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로부터의 회수 동전의 투출을 재개한다고 하는 회수 동작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판지상자(162)의 수용량에 따른 회수 동전량을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에 일시 보류시킨 후, 판지상자(162)로 회수 동전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수 동전량이 너무 많아서 판지상자(162)로부터 회수 동전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동전 입출금기에 의하면, 저장 호퍼부(13)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 등이 앞면에 설치된 칸막이 프레임체(23)를, 기체(11)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외부로부터 나누는 분리위치와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를 기체(11)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분리위치에서 잠금수단(24)에 의해 자물쇠를 채움으로써, 저장 호퍼부(13)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영역 등에 위치하는 동전은 잠금수단(24)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잠금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 외부 동전으로 하고,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의 동전은 잠금수단(24)의 자물쇠해제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개방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내부 동전으로 하여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동전 입금시의 입금 식별 일시 보류 처리 등에 있어서의 저장호퍼부(13)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영역 등에서의 동전 막힘의 해소를 자물쇠해제조작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동전은 기 외부 동전으로서 꺼낼 수 있고, 또한, 기체(11)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동전 카세트(151)로 구성되는 동전일괄 수납부(20)의 동전은 기 내부 동전으로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저장 호퍼부(13)로부터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로의 동전의 인출 분리 반송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원반(27)의 정회전에 의해, 저장 호퍼부(13)의 하부영역에 있어서 동전면 유지부(35)에 배면이 유지되는 동전(C1)을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사이에서 1매 유지하여 경사 원반(27)의 상부영역으로 긁어 올려, 동전 인출구(12)로 보낸다.
이 때,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사이에 복수매의 동전이 브릿지 형상으로 겹쳐 쌓여져 긁어 올려지려고 해도,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사이에는 1매의 동전만이 유지되고, 브릿지형상으로 겹쳐진 동전은 낙하한다. 특히, 원둘레 방향의 복수의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 사이에는 슬라이드낙하부(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릿지형상으로 겹쳐진 동전이 슬라이드낙하부(40)를 통해서 빠른 시점에서 확실히 낙하한다. 그 때문에,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사이에 1매의 동전만을 유지하여 동전 인출구(12)로 보낼 수 있고, 동전 인출구(12) 근방에서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36) 사이에 동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 원반(27)의 상부영역으로 긁어올려져 동전 인출구(12)로 이송되는 동전(C2)을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로부터 동전 가이드 부재(42)로 받아들여, 이 동전 가이드 부재(42)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36) 사이에 동전을 1매 유지하여 동전 인출구(12)로부터 경사 원반(27)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의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를 향하여 내보낸다.
이 때, 동전 가이드 부재(42)의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44)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다층 상태로 이송되는 동전을 동전면 유지부(35)에 접하는 동전의 1층으로 하여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로 보내는 동시에 나머지 동전을 슬라이드낙하시키므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에 동전을 1매씩 분리 상태로 반송할 수 있고, 동전 인출구(12) 부근에서 동전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44)로부터 슬라이드낙하한 동전을 저장 호퍼부(13)에 수수하므로, 슬라이드낙하한 동전도 내보낼 수 있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로 내보내는 동전(C3)을, 동전 긁어올림 돌기(36)로부터 계속 이어진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에 의해 동전 가이드 부재(42)의 사이에 유지하여 내보낸다. 그리고,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에 의해 동전 가이드 부재(42)의 사이에 유지하여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로 내보내는 동전(C4)을, 받아넘김 원판(52)의 받아넘김 돌기(57)에 받아 넘긴다.
이 때, 경사 원반(2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동전을 내보내는 동전 인출구(12)에 이르는 영역, 혹은 동전 인출구(12)의 근방영역 등에 있어서, 동전 가이드 부재(42)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의 사이에 동전의 브릿지가 발생하여도,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에 의해 동전의 브릿지를 무너뜨릴 수 있어, 동전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아넘김 원판(52)의 받아넘김 돌기(57)는, 동전 가이드 부재(42)의 사이에 정체하는 동전이 물려 들어와도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면부(55)내로 매몰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동전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에 내보내진 동전(C5)을, 받아넘김 원판(52)의 받아넘김 돌기(57)로 누르면서 대략 U자형의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를 따라서 반송하고, 동전(C5)의 반송 방향을 왼쪽방향으로부터 위쪽을 지나 왼쪽방향으로 향하게 하도록 방향 변환한다.
받아넘김 원판(52)의 받아넘김 돌기(57)로 누르면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시단영역에 반송한 동전(C6)은, 통로면(51)과 벨트(71)의 사이에 또한 벨트(71)의 길이 방향의 돌기(72)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다.
받아넘김 원판(52)의 받아넘김 돌기(57)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시단영역에 동전(C7)을 반송한 후에 그 동전(C7)으로부터 이반(離反)하여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받아들여 나간다.
받아넘김 원판(52)의 받아넘김 돌기(57)가 이반한 동전(C8)에 벨트(71)의 돌기(72)가 맞닿아, 이 돌기(72)로 동전(C8)을 누르면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따라서 반송한다.
이와 같이, 경사 원반(27)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 위치에서 동전 인출구(12)에 임하여 받아넘김 원판(52)을 설치하고, 이 받아넘김 원판(52)에는 경사 원반(27)의 동전면 유지부(35)와 대략 면일치로 경사 원반(27)의 회전축선(25)과 평행한 회전축선(5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면부(55)를 설치하고, 이 회전면부(55)에 있어서의 회전축선(53)으로부터의 소정 반경영역에는 회전면부(55)로부터 앞면측으로 소정량 돌출하는 동시에 회전면부(55)측으로 누를 때에 회전면부(55)내로 매몰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받아넘김 돌기(57)를 형성함으로써, 이 받아넘김 돌기(57)가 동전 인출구(12)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에 맞닿아 이 동전을 1매씩 분리 상태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를 향하여 반송하므로, 동전 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 호퍼부(13)를 대형화하지 않고 동전 수납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받아넘김 원판(52)을 동전 인출구(12)와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와 동전 통로의 입구 근방의 사이에 설치하고, 이 받아넘김 원판(52)의 받아넘김 돌기(57)로 동전을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에 1매씩 분리 상태로 보내므로, 벨트(71)에 의해 동전을 확실하게 1매씩 구분 상태로 반송할 수 있어,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로의 동전의 처리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동전 인출구(12)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입구의 사이에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를 설치했으므로, 저장 호퍼부(13)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가 기체(11)의 폭방향으로 병치(倂置)되는 경우가 없고, 저장 호퍼부(13)의 상부에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일부를 설치할 수 있어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1에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동전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47)의 다른 예이며, 경사 원반(27)에는, 동전면 유지부(35)에 있어서의 회전축선(25)인 회전축(26)으로부터의 제2 소정 반경영역(r2)로부터 제3 소정 반경영역(r3)의 범위에, 반경 방향으로 1개이며 경사 원반(27)의 앞면측으로 최소 동전 두께보다 작아지는 치수로 돌출하는 돌기부(180)가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돌기부(180)에,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와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의 양쪽 모두의 기능을 일체로 갖게하고 있다.
이 돌기부(180)에 대응하여, 동전 가이드 부재(42)의 홈부(43)도 지름 방향으로 1개 형성된다. 이 홈부(43)와 경사 원반(27)의 동전면 유지부(35)의 간격 t는, 홈부(43)에 동전이 비집고 들어가지 않도록, 처리하는 최소 동전 두께보다 작 은 치수로 설정된다.
다음에, 도 32에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도 동전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47)의 다른 예로서, 경사 원반(27)에는, 동전면 유지부(35)에 있어서의 회전축선(25)인 회전축(26)으로부터의 제2 소정 반경영역(r2)으로부터 제3 소정 반경영역(r3)의 범위에, 반경 방향으로 3개이며 경사 원반(27)의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81)가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반경 방향으로 3개의 돌기부(181)에, 동전 긁어올림 돌기(36)와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의 양쪽 모두의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이 돌기부(181)에 대응하여, 동전 가이드 부재(42)의 홈부(43)도 지름 방향으로 3개 형성된다. 이들 홈부(43)의 폭은 좁아, 홈부(43)에 동전이 비집고 들어가는 일은 없다.
한편, 돌기부(181)는 반경 방향으로 3개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33에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경사 원반(27)에는 각 동전 긁어올림 돌기(36) 및 각 동전 무너뜨림 돌기(39)가 배후부측으로부터 앞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하는 구멍부(183)가 형성되고, 경사 원반(27)의 배면측에는 각 동전 긁어올림 돌기(36) 및 각 동전 무너뜨림 돌기(39)를 지지하여 경사 원반(27)의 앞면측으로 돌출시키는 판 스프링(184)이 배치되어 있다.
경사 원반(27)의 정회전시에, 동전과 맞닿는 동전 긁어올림 돌기(36)나 동전 무너뜨림 돌기(39)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판 스프링(184)의 가압에 저항하여 동 전 긁어올림 돌기(36)나 동전 무너뜨림 돌기(39)가 경사 원반(27)의 배면측으로 퇴피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전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4에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경사 원반(27)의 앞면측은 동전면 유지부(35)와 면일치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는 경사 원반(27)의 앞면측에 돌출하는 동전면 유지 돌기(186)로 형성되며, 슬라이드낙하부(40)는 원둘레 방향의 동전면 유지 돌기(18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5 및 도 36에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각 금종별 분기부(86)에는, 통로면(51)에 동전을 분기하는 개구부(188)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88)에 동전을 분기하는 분기 부재(18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분기 부재(189)는,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류측이 통로내에 진퇴 가능하게 하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통로내에 돌출하여 반송되어 오는 동전을 개구부(188)내에 넣어 분기하는 분기 위치와, 개구부(188)내로 퇴피하여 동전을 통과시키는 퇴피 위치의 사이에 요동한다. 분기 부재(189)에는, 벨트(71)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서 절결부(1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금종별 분기부(86)의 구조는,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제1 통로영역(65)에 배치해도 좋다.
한편,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제2 통로영역(67)에만,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84) 및 각 금종별 분기부(86)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저장 호퍼부(13)에 관하여, 경사 원반(27)은, 회전축(26)을 갖는 경우와 갖지 않는 경우중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회전축(26)을 갖지 않는 경우는, 경사 원반(27)의 둘레가장자리에 경사 원반(27)의 위치 결정 겸 자세 유지용의 복수의 롤러와 경사 원반(27)의 회전용의 구동 롤러를 마련한다.
경사 원반(27)에는, 슬라이드낙하부(40)를 형성하지 않고,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를 원둘레 방향의 전영역에 형성해도 좋다.
저장 호퍼부(13)의 개폐 가능한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는, 호퍼 프레임(28)의 하부영역의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호퍼 프레임(28)의 전 영역의 경우라도 좋다.
입금 동전 반환시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30)의 개방은,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를 개방 자세로 해도,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 이전부터 가동 호퍼 프레임부(30)를 개방 자세로 해도 좋다.
또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의 받아넘김 원판(52)에 관하여, 인출구부(12)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입구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즉,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인출구부(12)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입구 내부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거나, 혹은, 인출구부(12)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입구 앞근방에 배치하고, 받아넘김 원판(52)으로부터 방출되는 동전을 가이드편 등으로 경사진 아래쪽으로 약간 슬라이드 하강시킨 후에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의 벨트(71)에 보내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동전 식별 분류 통로(15)에 관하여, 저장 호퍼부(13)보다 위쪽영역을 기체(11)의 폭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동전을 반송하는 제1 통로영역(65)에 대해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영역이 저장 호퍼부(13)의 위쪽영역에 설치되고, 특히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영역이 저장 호퍼부(13)의 바로 위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저장 호퍼부(13)의 위쪽에서 저장 호퍼부(13)의 바로 위쪽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쪽 위치에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영역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14)를 없애, 저장 호퍼부(13)의 동전 인출구(12)에 임하게 하여 제1 통로영역(65)의 시단을 대향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방출수단(19)에 관하여, 수납측으로의 수납용 방출구와 이 수납용 방출구를 개폐하는 수납용 셔터, 반환측으로의 반환용 방출구와 이 반환용 방출구를 개폐하는 반환용 셔터를 각각 구비하여도 좋다. 혹은,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방출구와 셔터는 각각 1개씩이고,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부터 방출되는 동전을 받아 들이는 슈트의 도중에 수납측과 반환측으로의 방출 전환편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의 방출구와 셔터는 각각 1개씩이고, 동전일괄 일시보류부(18)로부터 방출되는 동전을 받아 들이는 슈트의 도중에, 수납측에의 수납용 방출구와 이 수납용 방출구를 개폐하는 수납용 방출구 셔터, 반환측으로의 반환용 방출구와 이 반환용 방출구를 개폐하는 반환용 방출구 셔터를 각각 갖추어도 좋다.
또한, 칸막이 프레임체(23)의 잠금수단(24)에 관하여, 열쇠에 의해서 잠금 해제, 잠금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자기(磁氣)카드나 IC카드 등의 카드에 의해서 잠금해제, 잠금이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17)는, 동전을 위로 넣기, 아래로 빼기하는 타입에 한정하지 않고, 동전을 위로 넣기 위로 빼기하는 타입이라도 좋다.
또한, 투출동전 일시보류부(121)를 설치하지 않고, 동전 수집구 배치부(22)의 동전 수집구(21)에 수납해도 좋다.
다음에, 동전 입출금기에 관하여, 다른 목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 입금 동전을 출금 동전으로 순환 사용하는 동전 입출금기로서는, 은행의 계원(텔러), 슈퍼나 백화점 등의 계원이 조작하여 동전의 입금 처리 및 출금 처리(슈퍼나 백화점의 경우는 거스름돈 동전의 투출처리가 되지만 이것도 출금 처리로서 취급한다) 등을 실시하는 계원용의 순환식의 동전 입출금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3549784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 입출금기는, 기체의 앞면에 설치되는 저장 호퍼부를 가지며,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받아 들여 1매씩 반송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는, 저장 호퍼부로부터 기체폭방향 좌단을 향하는 식별 통로영역, 이 식별 통로영역말단으로부터 기체 좌단 근방을 따라서 기체 뒤쪽 방향을 향하는 후방 통로영역, 이 후방 통로영역말단의 기체 좌단 근방으로부터 기체 우단을 향해서 기체의 배후부측에서 기체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금종별 동전 분류 통로영역을 가지고 있다. 후방 통로영역에는 리젝트 동전을 분기하는 리젝트 동전 분기부가 형성되고, 금종별 동전 분류 통로영역에는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분기하는 복수의 금종별 동전 분기 부가 배치되어 있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복수의 금종별 동전 분기부에 대응하는 하부 위치에는 분기된 동전을 일시 보류하는 복수의 금종별 일시보류부가 기체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이들 각 금종별 일시보류부의 배후부 방향에는 입금 승인시에 각 금종별 일시보류부의 동전을 수납하는 각 금종별 동전 수납투출부가 기체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기체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각 금종별 동전 수납투출부의 전방 하부 위치에는, 각 금종별 동전 수납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출금 동전을 기체폭방향의 좌단 영역 및 우단 영역의 어느 방향으로도 반송 가능하게 하는 반송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의 좌단에는 이 반송 컨베이어로 좌단으로 반송되는 출금 동전을 전방으로 반송하는 왼쪽 반송부가 설치되고, 그 왼쪽 반송부의 전단에 임하여 출금 동전을 수수하는 왼쪽 출금상자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의 우단에는 이 반송 컨베이어에서 우단으로 반송되는 출금 동전을 전방으로 반송하는 오른쪽 반송부가 설치되고, 그 오른쪽 반송부의 전단에 임하여 출금 동전을 수수하는 오른쪽 출금상자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동전 식별 분류 통로가, 기체의 앞면에 배치되는 저장 호퍼부로부터, 기체폭방향 좌단으로 향하고, 또한 기체 좌단 근방을 따라서 기체 배후부 방향을 향하며, 또한 기체 배후부 위치에서 기체 좌단 근방으로부터 기체 우단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수평면상에서 대략 U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금 동전은, 기체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각 금종별 동전 수납투출부로부터 그 앞쪽의 반송 컨베이어로 보내지고, 이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오른쪽 반송부를 경유하여 오른쪽 출금상자로, 또는 왼쪽 반송부를 경유하여 왼쪽 출금상자로 각각 반송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기체의 폭방향, 깊이 방향으로 커지고, 또한, 동전을 출금하기 위해서, 반송 컨베이어, 오른쪽 반송부 및 왼쪽 반송부 등을 구비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이나 고가가 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각 금종별 동전 수납투출부로부터 투출된 출금 동전을 반송 컨베이어, 오른쪽 반송부, 왼쪽 반송부 등을 통해서 지불하기 때문에, 이들 반송 컨베이어, 오른쪽 반송부, 왼쪽 반송부 등에 있어서 출금 동전의 흩어짐이 발생하여 잔류할 우려가 있고, 출금 동전의 잔류가 생겼을 경우에는, 지정한 출금 동전의 액수와 실제로 오른쪽 출금상자 또는 왼쪽 출금상자에 지불된 출금 동전의 액수에 잘못된 계산이 발생할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고 염가로 할 수 있고, 게다가, 출금 동전의 액수의 잘못된 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동전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동전 입출금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기체와,
상부가 뒤쪽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앞면과의 사이에서 동전을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을 구비하고, 경사 원반의 주위면 상부영역에는 동전 인출구가 형성되고, 호퍼 프레임의 적어도 하부영역에는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에 의해서 개폐 가능한 가동 호퍼 프레임부가 설치되고,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된 저장 호퍼부와,
이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받아 들여 반송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로서, 저장 호퍼부보다 위쪽영역을 기체폭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동전을 반송하는 제1 통로영역, 동전의 반송 방향을 제1 통로영역말단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는 동시에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되접히는 되접힘 통로영역, 이 되접힘 통로영역말단으로부터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동전을 반송하는 제2 통로영역을 구비하고, 제1 통로영역에는 동전 식별부가 설치되고, 제1 통로영역, 되접힘 통로영역 및 제2 통로영역의 어느 하나의 통로영역에는 금종별 분기부가 설치되고, 제2 통로영역의 말단영역에는 일시보류용 동전을 제2 통로영역으로부터 꺼내는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가 설치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와,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로부터 제2 통로영역 외부로 꺼내지는 동전을 일괄하여 일시 보류하는 동시에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 및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하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와,
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제1 방출측과 저장 호퍼부측인 제2 방출측으로 전환하여 보내는 방출수단과,
이 방출수단에 의해 제1 방출측으로 방출되는 동전을 일괄 수납하는 동전일괄 수납부와,
상기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배후부영역에서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상기 각 금종별 분기부로부터 분기된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겹쳐 쌓는 상태로 수납하는 금종별 수납부를 가진 동시에 이들 금종별 수납부의 하부에 동전을 투출하는 동전투출부를 가진 금종별동전중적투출부와,
상기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에는, 상기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 류 동전을 방출수단에 의해 제1 방출측의 동전일괄 수납부로 보내고, 상기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는, 상기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에 의해 제2 방출측의 저장 호퍼부측으로 보내는 동시에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에 의한 가동 호퍼 프레임부의 개방 자세를 통해서 저장 호퍼부의 아래쪽으로 방출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기체의 앞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 및 상기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저장 호퍼부의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입금 반환 동전을 수집하는 동전 수집구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 호퍼부, 동전 식별 분류 통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 및 동전일괄 수납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이 동전 입출금기의 구성에 의하면, 경사 원반 및 하부영역이 개폐 가능한 호퍼 프레임을 가지는 저장 호퍼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하고,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반송하면서 식별 및 분류 가능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 있어서의 제1 통로영역, 되접힘 통로영역 및 제2 통로영역을 기체의 앞면측의 폭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제2 통로영역말단으로부터 꺼내지는 동전을 일괄 일시 보류하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하고, 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을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에는 제1 방출측으로 보내고, 입금 반환 지령시에는 제2 방출측인 저장 호퍼부로 보내는 방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방출수단으로 제1 방출측에 보내지는 동전을 일괄 수납하는 동전일괄 수납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하고,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서 동전 종류별로 분기되는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동시에 수납한 동전을 투출 가능하게 하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배후부영역에서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열하고, 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 동전 및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저장 호퍼부로 보내져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입금 반환 동전을 수집하는 동전 수집구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를 기체의 앞면측 하부에 설치했으므로,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고 염가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출금 동전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출금 동전의 액수의 잘못된 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와
상부가 배후부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앞면과의 사이에서 동전을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을 구비하고, 경사 원반의 주위면 상부영역에는 동전 인출구가 형성되고, 호퍼 프레임의 적어도 하부영역에는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에 의해서 개폐 가능한 가동 호퍼 프레임부가 설치되고,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된 저장 호퍼부와,
이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받아 들여 반송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로서, 저장 호퍼부보다 위쪽영역을 기체폭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동전을 반송하는 제1 통로영역, 동전의 반송 방향을 제1 통로영역말단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는 동시에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되접히는 되접힘 통로영역, 이 되접힘 통로영역 말단으로부터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동전을 반 송하는 제2 통로영역을 구비하고, 제1 통로영역에는 동전 식별부가 설치되고, 제1 통로영역, 되접힘 통로영역 및 제2 통로영역의 어느 하나의 통로영역에는 금종별 분기부가 설치되고, 제2 통로영역의 말단영역에는 일시보류용 동전을 제2 통로영역으로부터 꺼내는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가 설치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와,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로부터 제2 통로영역 외부로 꺼내지는 동전을 일괄하여 일시 보류하는 동시에,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 및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하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와,
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제1 방출측과 저장 호퍼부측인 제2 방출측으로 전환하여 보내는 방출수단과,
이 방출수단에 의해 제1 방출측으로 방출되는 동전을 일괄 수납하는 동전일괄 수납부와,
상기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배후부영역에서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상기 각 금종별 분기부에서 분기된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겹쳐 쌓는 상태로 수납하는 금종별 수납부를 가짐과 동시에 이들 금종별 수납부의 하부에 동전을 투출하는 동전투출부를 가지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와,
상기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에는, 상기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에 의해 제2 방출측이 되는 저장 호퍼부측으로 보내어, 가동 호퍼 프레임부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저장 호퍼부의 경사 원반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작동에 의해, 동전의 보충이 필요한 금종 동전은 대응하는 금종의 금종별 분 기부에서 분기하여 대응하는 금종별 수납부로 보충하고, 동전의 보충이 필요하지 않은 금종 동전은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 동전일괄 일시보류부, 방출수단을 통해서 제1 방출측의 동전일괄 수납부로 보내고,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는, 상기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에 의해 제2 방출측의 저장 호퍼부측으로 보내는 동시에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에 의한 가동 호퍼 프레임부의 개방 자세를 통하여 저장 호퍼부의 아래쪽으로 방출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기체의 앞면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 및 상기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저장 호퍼부의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입금 반환 동전을 수집하는 동전 수집구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 호퍼부, 동전 식별 분류 통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 및 동전일괄 수납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이 동전 입출금기의 구성에 의하면, 경사 원반 및 하부영역이 개폐 가능한 호퍼 프레임을 가지는 저장 호퍼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하고,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반송하면서 식별 및 분류 가능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 있어서의 제1 통로영역, 되접힘 통로영역 및 제2 통로영역을 기체의 앞면측의 폭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제2 통로영역말단으로부터 꺼내지는 동전을 일괄 일시 보류하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하고, 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을 제1 방출측 또는 제2 방출측인 저장 호퍼부에 보내는 방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방출수단을 통해서 제1 방출측에 보내지는 동전을 일 괄 수납하는 동전일괄 수납부를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하고,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서 동전 종류별로 분기되는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동시에 수납한 동전을 투출 가능하게 하는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배후부영역에서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열하고, 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 및 입금 동전 반환 지령시에 저장 호퍼부로 보내져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입금 반환 동전을 수집하는 동전 수집구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를 기체의 앞면측 하부에 설치했으므로,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나 염가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출금 동전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출금 동전의 액수의 잘못된 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금 동전 수납 지령시에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방출수단에 의해 제2 방출측의 저장 호퍼부에 보내어,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 재차 보내고, 동전의 보충이 필요한 금종 동전을 분기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에 보충할 수 있다.
또한,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하부에, 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을 일시 보류하는 동시에 하부에 임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에 일시 보류한 투출동전을 방출하는 투출동전 일시보류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되는 투출동전을 투출동전 일시보류부에 일시 보류하므로, 예를 들면, 투출동전이 출금 동전인 경우에는, 출금 지시 동전량과 실제로 투출된 동전량이 일치했을 때에 동전 수집구에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출금 지시 동전량과 실제로 투출된 동전량에서 잘못된 계산이 발생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투출동전이 회수 동전인 경우에는, 동전 수집구의 수용량에 대응한 양을 투출동전 일시보류부에 일시 보류시킨 후, 동전 수집구로 동전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동전량이 너무 많아서 동전 수집구로부터 동전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제1 통로영역의 동전 식별부보다 후류영역, 되접힘 통로영역, 제2 통로영역의 다른쪽 근방영역중의 어느 하나에는 입금 리젝트 동전을 분기하는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가 설치되고, 이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입금 리젝트 동전을 수납하여 기체 앞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입금 리젝트 동전을, 기체 앞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입금 리젝트 동전 수납부에 수납하기 때문에, 입금 리젝트 동전의 회수에 시간이 걸리지 않고, 입금 리젝트 동전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 있어서의 제1 통로영역의 동전 식별부보다 상류영역에, 이물을 분리하여 저장 호퍼부에 수수시키는 이물 분리부가 설치되고, 제어수단은, 이물 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저장 호퍼부에 수수된 이물을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에 의한 소정의 시기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의 개방에 의해 동전 수집구 배치부로 방출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 있어서의 제1 통로영역의 동전 식별부보다 상류영역에 설치한 이물 분리부에서 이물을 분리하여 저장 호퍼부에 수수시키고, 저장 호퍼부에 수수한 이물을 소정의 시기의 가동 호퍼 프레임부의 개방에 의해 동전 수집구에 방출시키므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서의 이물에 의한 동전 막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을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
「금종별 분기부는 제2 통로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금종별 분기부를 제1 통로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제2 통로영역에 설치하고, 이 제2 통로영역의 금종별 분기부로부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상부영역으로 동전을 보내므로,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에서의 동전 수납량을 늘리거나 동전 수납량을 줄이지 않고 동전투출부의 높이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는 제1 통로영역의 동전 식별부보다 후류영역에 설치되고, 금종별 분기부는 제2 통로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통로영역의 동전 식별부보다 후류영역의 입금 리젝트 동전 분기부에서 입금 리젝트 동전을 분기한 후, 제2 통로영역의 금종별 분기부에서 정규 동전을 분기하므로, 정규 동전의 분기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시단영역의 사이에,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방향 변환하여 저장 호퍼부의 바로 위쪽영역에 위치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시단영역으로 보내는 대략 U자형의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가 설치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시단영역의 사이에,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방향 변환하여 저장 호퍼부의 바로 위쪽영역에 위치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시단영역으로 보내는 대략 U자형의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를 설치했으므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의 기체폭방향에 있어서 의 길이가 짧아져, 기체의 폭방향으로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에는,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 보내는 받아넘김 돌기를 가진 받아넘김 원판이 설치되고,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는, 받아넘김 원판에 의해 1매씩 구분 상태로 이송되는 동전을 구분 상태로 반송하는 동전 반송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의 받아넘김 원판에 의해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동전 반송체로 보내므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에서의 식별이나 분기 등의 처리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는,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내보내지는 동전을 방향 변환하여 기체폭방향의 다른쪽으로 내보내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시단영역은, 기체폭방향의 다른쪽으로 향하는 통로영역이 되고, 받아넘김 원판은,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와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시단영역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가, 저장 호퍼부의 동전 인출구로부터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내보내지는 동전을 방향 변환하여 기체폭방향의 다른쪽으로 내보내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시단영역이, 기체폭방향의 다른쪽으로 향하는 통로영역이 되므로, 동전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기체폭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아져, 기체의 폭방향으로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에 관하여, 목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3-187288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원반을 이용하여 동전을 내보내는 동시에 이 동전을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는 저장 동전 인출 분리 반송 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저장 동전 인출 분리 반송 장치는, 상부가 배후부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의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앞면과의 사이에 동전을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저장 호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이 저장 호퍼부의 경사 원반으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1매씩 받아 들여 반송하는 동전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 원반에는, 경사 원반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반경영역까지 내원면영역이 형성되고, 이 내원면영역 바깥둘레로부터 경사 원반 바깥둘레까지 링형상의 외륜면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내원면영역의 면은 외륜면 영역의 면보다 소정 두께 치수(처리하는 최소두께 동전의 두께 치수 보다 약간 작은 두께 치수) 분만큼 앞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 내원면영역과 외륜면영역과의 경계면에는 동전이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경계 둘레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 원반의 외륜면영역의 소정 반경영역에는,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소정피치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에는 각 동전 긁어올림 돌기가 배치되고, 각 동전 긁어올림 돌기는 경사 원반의 이면에 고정된 각 판스프링으로 외륜면영역의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경사 원반의 회전에 의해, 동전 긁어올림 돌기로 경사 원반의 하부영역의 동전을 경계 둘레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서 유지 하면서 회전 원판의 상부영역으로 긁어 올려, 동전 통로의 시단에 내보낸다. 이 동전의 긁어올림시에, 동전 긁어올림 돌기가 동전 막힘에 의한 무리한 부하를 일으키면, 동전 긁어올림 돌기는 판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외륜면영역으로부터 퇴피한다.
동전 통로의 시단은, 경사 원반의 상부영역으로서 동전 긁어올림 돌기와 경계 둘레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동전을 유지하여 이동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동전 통로는, 외륜면영역의 앞면에 근접 대향하여 경계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동전을 받는 동시에 동전 긁어올림 돌기와의 사이에서 동전을 유지하여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안내하는 동전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동전 가이드 부재보다 상부영역에서 외륜면영역의 앞면에 대향되는 동시에 동전 통로의 앞면영역을 따라서 대향되는 반송 벨트가 팽팽하게 설치되고, 이 반송 벨트에 의해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반송한다. 그리고, 경사 원반의 회전에 의해 경계 둘레가장자리부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로 유지되어 상승해 온 동전을 동전 가이드 부재로 받아들여 이 동전 가이드 부재와 동전 긁어올림 돌기의 유지로 변화함으로써, 회전하는 반송 벨트에 의해 동전을 1매씩 구분 상태로 동전 통로를 따라서 반송한다.
동전 통로의 시단 전단의 근방 위치에는, 동전을 경사 원반의 외륜면영역과 반송 벨트의 사이에 확실하게 1매씩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경사 원반의 외륜면영역의 앞면에 임하여 동전의 통과를 두께 방향으로 1매로 규제하는 동전 1매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동전 1매 규제부에 도달하는 2매 겹치는 동전이, 동전 1매 규제부에서 1층이 되지 않고 막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동전 통로의 시단에 있어서, 동전이 경사 원반의 외륜면영역과 반송 벨트와의 사이에 진입할 때에도, 동전의 진입이 정체하여, 경사 원반의 외륜면영역과 반송 벨트의 사이에서 막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종래에는, 동전 1매 규제부나 동전 통로의 시단에 있어서 동전 막힘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제1의 문제가 있다. 또한, 그러한 동전 막힘은, 경사 원반과 호퍼 프레임로 구성되는 저장 호퍼부에 수용하는 동전 수용량에도 영향이 있고, 만일, 경사 원반의 하부영역의 1/2정도까지 동전을 수용했다고 하면, 동전이 다층 상태인 채로 동전 1매 규제부로 이송되어, 1층 상태로 할 수 없고 동전 막힘이 많이 발생하기 쉬워져, 동전 막힘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사 원반의 하부영역의 1/3정도 밖에 동전을 수용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 저장 호퍼부의 동전 수용량을 늘리려고 하면, 경사 원반의 지름을 크게 해야만 하여, 저장 호퍼부가 대형이 된다. 이와 같이, 종래는, 저장 호퍼부로의 동전 수납량을 늘리려고 하면, 저장 호퍼부가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제2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동전 입출금기에 이용하는데에 적합한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로서, 동전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 호퍼부를 대형화하지 않고 동전류 수납량을 증가할 수 있는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한편, 각 구성요소의 「동전류」로 나타낸 것(예를 들면 동전류 둘레가 장자리 유지부 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동전」으로 나타낸 것(예를 들면 동전 둘레가장자리 유지부(34) 등)에 대응한다.
「상부가 뒤쪽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앞면과 사이에서동전류를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을 가지는 저장 호퍼부와,
상기 경사 원반의 앞면에 있어서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제1 소정 반경영역으로 형성되고, 동전류의 둘레가장자리가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와,
상기 경사 원반의 앞면에 있어서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보다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로부터의 반경 방향 치수가 처리하는 동전류를 지름 방향으로 1매 유지하는 치수로 되어 동전류의 배면을 유지하는 동전류면 유지부와,
이 동전류면 유지부에 있어서의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제1 소정 반경영역보다 큰 소정 반경영역에,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경사 원반의 앞면측으로 돌출되어, 경사 원반의 회전시에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의 사이에 동전류 l매를 유지하여 경사 원반의 상부영역으로 긁어 올리는 동시에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외부로 내보내는 복수의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와,
상기 경사 원반의 상부영역에 있어서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동전류를 내보내는 동전류 인출구를 구성하고, 경사 원반의 상부영역에 있어서 동 전류면 유지부의 앞면에 근접 대향하여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로부터 동전류를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와의 사이에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로부터 받은 동전류를 유지하여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안내하는 동전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 위치에 있어 상기 동전류 인출구에 임해서 설치되고, 동전류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류에 맞닿아 이 동전류를 1매씩 분리 상태로 후단을 향하여 반송하는 받아넘김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
이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 위치에 있어서 동전류 인출구에 임해 받아넘김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이 받아넘김 돌기가 동전류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류에 맞닿아 이 동전류를 1매씩 분리 상태로 후단을 향하여 반송하므로, 동전류 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 호퍼부를 대형화하지 않고 동전류 수납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부가 배후부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앞면과의 사이에서 동전류를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을 가지는 저장 호퍼부와,
상기 경사 원반의 앞면에 있어서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제1 소정 반경영역에 형성되고, 동전류의 둘레가장자리가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와,
상기 경사 원반의 앞면에 있어서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보다 반경 방향 바깥쪽에 형성되고,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로부터의 반경 방향 치수가 처리하는 최대 동전류 지름보다 조금 큰 치수로 되어 동전류의 배면을 유지하는 동전류면 유지부와,
이 동전류면유지부에 있어서의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제1 소정 반경영역보다 큰 소정 반경영역에,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경사 원반의 앞면측으로 돌출되어, 경사 원반의 회전시에 처리하는 최대 동전류 지름으로부터 최소 동전류 지름까지의 어느 동전류라 하더라도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와의 사이에서 동전류 1매를 유지하여 경사 원반의 상부영역으로 긁어 올리는 동시에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으로 내보내는 복수의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와,
상기 경사 원반의 상부영역에 있어서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동전류를 내보내는 동전류 인출구를 구성하고, 경사 원반의 상부영역에 있어서 동전류면 유지부의 앞면에 근접 대향하여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로부터 동전류를 받아들일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와의 사이에서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로부터 받아들인 동전류를 유지하여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안내하는 동전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 위치에 있어서 상기 동전류 인출구에 임해서 설치되고, 경사 원반의 동전류면유지부와 대략 면일치로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면부와, 이 회전면부 에 있어서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소정 반경영역에 적어도 1개 설치되고, 회전면부로부터 앞면측으로 소정량 돌출하는 동시에 회전면부측으로 누를 때에 회전면부내로 매몰 가능하게 하고, 동전류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류에 맞닿아 이 동전류를 1매씩 분리 상태로 후단을 향하여 반송하는 받아넘김 돌기를 가진 받아넘김 원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
이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경사 원반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 위치에 있어서 동전류 인출구에 임해 받아넘김 원판을 설치하고, 이 받아넘김 원판에는 경사 원반의 동전류면 유지부와 대략 면일치하게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면부를 설치하고, 이 회전면부에 있어서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소정 반경영역에는 회전면부로부터 앞면측으로 소정량 돌출하는 동시에 회전면부측으로 누를 때에 회전면부내로 매몰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받아넘김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이 받아넘김 돌기가 동전류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류에 맞닿아 이 동전류를 1매씩 분리 상태로 후단을 향하여 반송하므로, 동전류 막힘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저장 호퍼부를 대형화하지 않고 동전류 수납량을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동전류 지름이 큰 것부터 작은 것까지 혼재하고 있어도 동전류는 1매씩 분리 상태로 후단을 향하여 반송되어 동전류 막힘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는, 동전류 긁어올림 돌기와 동전류 무너뜨림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동전류 긁어올림 돌기는,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제1 소정 반경영역보다 큰 제2 소정 반경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동전 류 무너뜨림 돌기는, 동전류면 유지부에 있어서의 제2 소정 반경영역보다 반경 방향 바깥쪽의 제3 소정 반경영역에,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경사 원반의 앞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이들 복수의 동전류 무너뜨림 돌기는, 복수의 동전류 긁어올림 돌기에 각각 대응하여 동전류 긁어올림 돌기보다 경사 원반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 후방으로 소정 각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사 원반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동전류를 내보내는 동전류 인출구에 이르는 영역, 혹은 동전류 인출구의 근방영역 등에 있어서,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와 동전류 긁어올림 돌기의 사이에 동전류의 브릿지가 발생하여도, 동전류 무너뜨림 돌기에 의해 동전류의 브릿지를 무너뜨릴 수 있어, 동전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는, 원둘레 방향의 복수의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에 대응하여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형성되고, 이들 각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의 원둘레 방향 길이는 경사 원반의 회전시에 대응하는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의 사이에서 1매의 동전류를 유지하는 길이가 되어, 이들 복수의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 사이에는, 동전류를 하부로 슬라이드낙하시키는 슬라이드낙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와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로 동전류를 유지하여 긁어올릴 때, 브릿지상태가 된 2매의 한쪽이 슬라이드낙하부를 통해서 빠른 시점에서 확실하게 낙하시켜,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와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의 사이에서 1매의 동전류만을 유지하여 동전류 인출구로 보낼 수 있고, 동전류 인출구 근방에 있어서 동전류 긁어올림 인출 돌기부와 동전류 둘레가장자리 유지부의 사이에서 동전류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전류 인출구를 구성하는 동전류 가이드 부재에는, 두께 방향으로 다층 상태로 보내지는 동전류를 1층으로 하고 나머지를 슬라이드낙하시키는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저장 호퍼부는, 상기 동전류 가이드 부재의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로부터 슬라이드낙하하는 동전류를 수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류 인출구를 구성하는 동전류 가이드 부재의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다층 상태로 보내지는 동전류를 1층으로 하여 받아넘김 원판으로 보내는 동시에 나머지 동전류를 슬라이드낙하시키므로, 받아넘김 원판으로 동전류를 1매씩 분리 상태로 후단으로 반송할 수 있어, 동전류 인출구 부근에 있어서 동전류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로부터 슬라이드낙하한 동전류를 저장 호퍼부에 수수하므로, 슬라이드낙하한 동전류도 내보낼 수 있다.
「동전류 인출구의 후단에는 동전류를 반송하는 동전류 통로가 설치되고, 이 동전류 통로에는 동전류를 1매씩 구분 상태로 반송하는 동전류 반송체가 설치되고, 받아넘김 원판은, 동전류 인출구와 동전류 통로의 입구 근방의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 원반으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류를 받아넘김 돌기에 의해 1매씩 분리 상태로 동전류 통로의 동전류 반송체로 보낸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받아넘김 원판을 동전류 인출구와 동전류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와 동전류 통로의 입구 근방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 받아넘김 원판의 받아넘김 돌기로 동전류를 동전류 통로의 동전류 반 송체에 1매씩 분리 상태로 보내므로, 동전류 반송체에 의해 동전류를 확실하게 1매씩 구분 상태로 반송할 수 있어, 동전류 통로에서의 동전류의 처리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동전류 인출구와 동전류 통로의 입구의 사이에는 동전류 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가 설치되고, 받아넘김 원판은, 동전류 인출구와 동전류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와 동전류 통로의 입구 근방의 사이에 설치되고, 경사 원반으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류를 받아넘김 돌기에 의해 1매씩 분리 상태로 동전류 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를 경유하여 동전류 통로의 동전류 반송체로 보낸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류 인출구와 동전류 통로의 입구와의 사이에 동전류 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를 설치했으므로, 저장 호퍼부와 동전류 통로가 장치의 폭방향으로 병치되는 경우가 없어, 저장 호퍼부의 상부에 동전류 통로의 일부를 설치할 수 있어 소형화할 수 있다.
「동전류 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는, 경사 원반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동전류 인출구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류를 방향 변환하여 좌우 방향의 다른쪽으로 내보내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동전류 통로의 시단영역은, 동전류 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에 계속해서 좌우 방향의 다른쪽을 향하는 좌우 방향 통로영역을 가지며, 이 좌우 방향 통로영역에 이물을 분리하는 이물 분리부가 형성되고, 저장 호퍼부는, 상기 이물 분리부에서 분리되는 이물을 수수 가능하게 하고, 적어도 하부영역이 이물을 방출하기 위해서 개방 가능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류 통로부의 시단영역의 좌우 방향 반송영역에 이물 분리부를 설치하고, 이 이물 분리부에서 분리한 이물을 저장 호퍼부에 수수하므로, 이물이 동전류 통로의 후 단에 보내지는 경우가 없어, 이물이 동전류 통로의 후단으로 보내져 막힘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 호퍼부에 수수된 이물은, 저장 호퍼부의 개방에 의해서 방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물이 막히지 않고 반환될 수 있다.
「기체를 구비하고, 저장 호퍼부는 기체폭 방향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동시에, 동전류 통로는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이 동전류 통로는, 동전류 송입용 방향 변환 통로에 접속되어 저장 호퍼부보다 위쪽영역을 기체폭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동전류를 반송하는 제1 통로영역, 동전류의 반송 방향을 제1 통로영역말단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동시에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되접히는 되접힘 통로영역, 이 되접힘 통로영역 말단으로부터 기체폭방향의 한쪽을 향하여 동전류를 반송하는 제2 통로영역을 구비하고, 제1 통로영역에는 동전류 식별부가 설치되고, 제2 통로영역에는 종류별 동전류 분기부가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전류 통로가, 기체폭방향의 제1 통로영역 및 제2 통로영역, 이들 제1 통로영역과 제2 통로영역을 접속하는 되접힘 통로영역을 구비하므로, 동전류 통로의 전체 통로길이가 긴데도 불구하고 기체폭방향 길이가 짧아져, 기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기체의 앞면으로부터 동전류 통로의 전체의 보수를 할 수 있다.
한편, 저장 동전류 인출 분리 반송 장치는, 동전 입출금기 외에, 동전 입금기, 동전 분류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유기(遊技)용의 메달이나 토큰 등을 처리하는 메달 처리기나 토큰 처리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동전류로서는, 동전에 한정하지 않고, 코인이나 토큰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은행의 계원(텔러), 슈퍼나 백화점 등의 계원이 조작하여 동전의 입금 처리 및 출금 처리(슈퍼나 백화점의 경우는 거스름돈 동전의 투출처리가 되지만 이것도 출금 처리로서 취급한다)등을 하는 동전 입출금기 등에 이용된다.

Claims (2)

  1. 기체(機體)와,
    상부가 뒤쪽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는 회전 가능한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앞면과의 사이에서 동전을 저장하는 호퍼 프레임을 구비하고, 호퍼 프레임의 적어도 하부영역에는 가동 호퍼 프레임부 개폐 수단에 의해서 개폐 가능한 가동 호퍼 프레임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체의 앞면측에 배치된 저장 호퍼부와,
    이 저장 호퍼부로부터 내보내지는 동전을 받아 들여 반송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로서, 상기 기체의 앞면폭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동전 식별부, 금종별(金種別) 분기부 및 일시 보류(保留)용 동전추출부가 설치되고, 동전 보충시에 금종별 분기부에서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분기(分岐)하는 동전 식별 분류 통로와,
    이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일시보류용 동전추출부로부터 동전 식별 분류 통로 외부로 꺼내지는 동전을 일괄하여 일시 보류하는 동시에, 입금 일시 보류 동전을 수납시 및 반환시에 방출하는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와,
    이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을 수납시에는 수납 루트로, 반환시에는 반환 루트로 보내게 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기체내에 착탈 가능한 동전 카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 일시보류부 로부터 수납 루트로 보내진 동전을 수납하는 동전일괄 수납부와,
    상기 동전 식별 분류 통로의 배후부영역에서 기체의 앞면폭방향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상기 각 금종별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동전을 동전 종류별로 겹쳐 쌓는 상태로 수납하는 금종별 수납부를 가진 동시에 이들 금종별 수납부의 동전을 투출(投出)하는 동전투출부를 가진 금종별 동전 중적투출부(重積投出部)와,
    상기 저장 호퍼부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가 앞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내의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앞쪽에 위치하여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바깥으로부터 나누는 분리위치와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를 기체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 프레임체와,
    이 칸막이 프레임체를 분리위치에서 자물쇠를 채워 잠그는 잠금수단과,
    상기 기체의 앞면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로부터 투출된 투출동전 및 상기 반환 루트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입금 반환 동전을 수집하는 동전 수집구(收集具)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전 수집구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 호퍼부영역 및 동전 식별 분류 통로영역에 위치하는 동전은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의 잠금상태에서도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機) 외부 동전으로 하고, 금종별 동전중적투출부의 동전은 상기 잠금수단의 자물쇠해제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체의 개방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機) 내부 동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동전일괄 일시보류부 및 동전일괄 수납부는 기체의 앞면폭방향의 한쪽 및 다른쪽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동전일괄 일시보류부의 동전은 기 외부 동전으로 하고, 동전일괄 수납부의 동전은 기 내부 동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KR1020077016114A 2004-12-28 2005-12-15 동전 입출금기 KR20070090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8778 2004-12-28
JP2004378779A JP5127113B2 (ja) 2004-12-28 2004-12-28 貯留硬貨類繰出分離搬送装置
JPJP-P-2004-00378779 2004-12-28
JP2004378778A JP2006185237A (ja) 2004-12-28 2004-12-28 硬貨入出金機
JP2005051608A JP4689299B2 (ja) 2005-02-25 2005-02-25 硬貨入出金機
JPJP-P-2005-00051608 2005-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015A true KR20070090015A (ko) 2007-09-04

Family

ID=3661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114A KR20070090015A (ko) 2004-12-28 2005-12-15 동전 입출금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65349B2 (ko)
EP (2) EP1843302A4 (ko)
KR (1) KR20070090015A (ko)
CA (1) CA2592520A1 (ko)
WO (1) WO20060706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45B1 (ko) *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3401A4 (en) * 2006-09-11 2010-08-25 Glory Kogyo Kk DEVICE FOR RECEIVING AND EJECTING COINS OF CURRENCY
WO2008099477A1 (ja) * 2007-02-14 2008-08-21 Glory Ltd. 硬貨入出金機
US8371911B2 (en) 2008-01-28 2013-02-12 Glory Ltd. Coin transporting device and coin handling machine
WO2010106962A1 (ja) * 2009-03-19 2010-09-2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
EP3252721B1 (en) * 2011-02-22 2021-09-01 Glory Ltd. Coin feeding apparatus
JP5775776B2 (ja) 2011-09-28 2015-09-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繰出装置、硬貨入出金機および硬貨繰出方法
US8967361B2 (en) 2013-02-27 2015-03-03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s
US9022841B2 (en) * 2013-05-08 2015-05-05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or sorting mach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GB2514156A (en) * 2013-05-15 2014-11-19 Crane Payment Solutions Ltd Money item dispensing
JP6241224B2 (ja) * 2013-11-22 2017-12-06 レシ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硬貨識別装置
JP6187193B2 (ja) * 2013-11-27 2017-08-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SE1650550A1 (en) 2016-04-25 2017-10-26 Scan Coin Ab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coins from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JP2018014013A (ja) * 2016-07-22 2018-01-25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US11004294B2 (en) * 2016-11-22 2021-05-11 Nippon Conlux Co., Ltd. Coin batch loading device
ZA201904689B (en) * 2018-07-30 2020-05-27 Cima Machine for depositing and dispensing coins
EP4254368A3 (en) * 2018-11-01 2023-12-27 Asahi Seiko Co., Ltd. Coin deposit/disbursal device, coin elevation device, and coin elevation device of coin deposit/disbursal device
CN109903451A (zh) * 2019-03-08 2019-06-18 苏州少士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硬币清分机
KR102512152B1 (ko) * 2020-09-03 2023-03-22 임연수 비접촉 센싱 방식을 갖는 산업용 컨베이어의 이송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334A (en) * 1971-08-05 1974-01-29 Ncr Rotary disk coin dispenser with spring tabs
US4396029A (en) * 1981-02-17 1983-08-02 Anderson Daryl A Coin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US4558711A (en) * 1983-07-08 1985-12-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processing apparatus
US4748197A (en) 1984-06-27 1988-05-31 Allied Corporation Fiber for reinforcing plastic composites and 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therefrom
JPS6258392A (ja) 1985-09-06 1987-03-14 オムロン株式会社 硬貨放出機
US5000718A (en) * 1988-06-04 1991-03-19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dispensing apparatus
US5021026A (en) * 1988-07-22 1991-06-04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2538531Y2 (ja) * 1991-06-26 1997-06-18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投出装置
TW208747B (ko) 1991-10-03 1993-07-01 Roreru Bank Machine Kk
JPH05159126A (ja) * 1991-12-02 1993-06-25 Asahi Seiko Kk 硬貨送出装置
US5295899A (en) * 1992-03-03 1994-03-22 Adams Thomas P Two disc coin handling apparatus
US5232399A (en) * 1992-03-11 1993-08-03 Atoll Technology Devices for the separation of coins, token and the like
JP2573634Y2 (ja) * 1993-02-05 1998-06-04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送出装置
JP3320154B2 (ja) 1993-08-09 2002-09-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自動露光機の露光枠部材
US5688166A (en) * 1996-07-10 1997-11-18 Chen; Chih-Nan Apparatus for counting coins
US5876285A (en) * 1997-11-21 1999-03-02 Aurora Gaming Cabinet and hopper combination for gaming machines
JP4470020B2 (ja) * 1999-06-09 2010-06-02 旭精工株式会社 ホッパ装置のコイン放出ガイド
JP3549784B2 (ja) 1999-09-30 2004-08-0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循環式硬貨入出金機
US6196913B1 (en) * 1999-12-23 2001-03-06 Cummins-Allison Corp. Cash till manifold having a sixth coin bin for a coin sorter
US6264545B1 (en) * 2000-02-26 2001-07-24 The Mage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in processing
US6709324B1 (en) * 2000-04-27 2004-03-23 Igt Size adjustable coin escalator for use in gaming apparatus
EP2261866A3 (en) * 2000-09-18 2012-06-2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sorting apparatus and coin receiving system
JP2002150347A (ja) * 2000-11-08 2002-05-24 Asahi Seiko Kk コインホッパ用のディスク
US6695689B2 (en) * 2000-12-13 2004-02-24 Asahi Seiko Co., Ltd. Detector unit for coin blockage in a coin dispenser
ES2259984T3 (es) * 2000-12-28 2006-11-01 Mei, Inc. Aparato para la manipulacion de dinero.
JP3550370B2 (ja) * 2001-03-05 2004-08-04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硬貨釣銭機
JP4093753B2 (ja) 2001-12-14 2008-06-0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繰出装置
US7066807B2 (en) * 2002-03-12 2006-06-27 Asahi Seiko Co., Ltd. Compact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JP4336519B2 (ja) * 2003-05-14 2009-09-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4784807B2 (ja) 2004-08-05 2011-10-05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処理装置
US7144318B2 (en) * 2004-08-18 2006-12-05 Paokai Electronic Enterprise Co., Ltd. Carrying disk device of coin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45B1 (ko) *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0606A1 (ja) 2006-07-06
EP2081160B1 (en) 2013-06-19
CA2592520A1 (en) 2006-07-06
US8465349B2 (en) 2013-06-18
EP1843302A4 (en) 2009-08-26
US20080085671A1 (en) 2008-04-10
US20090004959A2 (en) 2009-01-01
EP1843302A1 (en) 2007-10-10
EP2081160A1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0015A (ko) 동전 입출금기
JPH0338635B2 (ko)
JPWO2008099477A1 (ja) 硬貨入出金機
JP4772547B2 (ja) 卓上型硬貨入出金機
JP4689299B2 (ja) 硬貨入出金機
JP3499702B2 (ja) 硬貨入出金機
JP2006185237A (ja) 硬貨入出金機
JPS626396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3248849B2 (ja) 硬貨入出金機
JP4585887B2 (ja) 硬貨入出金機
JP3664948B2 (ja) 硬貨処理機
JPH10228556A (ja) 硬貨搬送装置および硬貨入金処理機の残留硬貨類搬送装置
JP2710597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の硬貨回収装置
JP2001351146A (ja) 硬貨処理機
JP5033592B2 (ja) 硬貨処理機
JP2001351147A (ja) 硬貨処理機
JP2020197769A (ja) 硬貨処理装置及び現金取扱装置
JPS61182192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2001076206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0030111A (ja) 硬貨入金処理機
JPH08212409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2002216210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の入金一時保留硬貨搬送装置
JPH04340693A (ja) 硬貨処理装置
JP2001351153A (ja) 硬貨処理機
JPH0512980U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