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387A - 낚시용 부품 - Google Patents

낚시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387A
KR20070061387A KR1020060123062A KR20060123062A KR20070061387A KR 20070061387 A KR20070061387 A KR 20070061387A KR 1020060123062 A KR1020060123062 A KR 1020060123062A KR 20060123062 A KR20060123062 A KR 20060123062A KR 20070061387 A KR20070061387 A KR 20070061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mponent
fishing
film lay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06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가 전해 부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제1 부품 본체인 프레임(5)의 측판(8) 및 제2 측판(9), 및 복수개의 연결부(10)는, 마그네슘 합금제이며, 제1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는, 양극 산화 피막층 및 제1 절연막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제어 기구(20)를 구성하는 제2 부품 본체인 클러치 캠(40)의 캠부(45) 및 클러치 플레이트(46), 클러치 요크(41), 2개의 핀(44), 클러치 리턴 기구(43)의 해제 부재(47) 및 래칫 휠(48)은, 스테인레스 합금제이며, 제2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는 제2 절연막층이 형성되어 있다.
낚시, 릴, 전해 부식, 합금, 절연막, 산화 피막, 캠, 클러치

Description

낚시용 부품{FISHING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관련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클러치 온 상태에서의 제1측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클러치 온 상태에서의 제2측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의 제2측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릴 본체의 각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상기 릴 본체의 각 부재의 표면 처리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클러치 기구의 각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상기 클러치 기구의 각 부재의 표면 처리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8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도 9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도 8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도 9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5: 프레임
6a: 제1 측 커버 6b: 제2 측 커버
8: 제1 측판 9: 제2 측판
10: 연결부 20: 클러치 제어 기구
40: 클러치 캠 41: 클러치 요크
43: 클러치 리턴 기구 44: 핀
45: 캠부 46: 클러치 플레이트
47: 해제 부재 48: 래칫 휠
70: 제1 부품 본체 71: 양극 산화 피막층
72: 제1 절연막층 80: 제2 부품 본체
81: 제2 절연막층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73165호 공보
본 발명은, 낚시용 부품, 특히,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야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릴 등의 낚시 용품에 사용되는 부품, 특히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은 표면에 도료에 의한 도막(塗膜)이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와 같은 도막을 형성하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이 부식 분위기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내식성(耐蝕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다른 금속제 부품 사이에 소금물 등의 도전성 액체가 침입하면, 마그네슘 합금과 다른 금속의 이온화 경향의 차이에 따라서 국부전지(局部電池)가 형성되고,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이 전해 부식(電解腐蝕)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의 표면에 절연막층이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절연막층을 형성하면, 마그네슘 합금이 표층 측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다른 금속제 부품에서 국부전지가 쉽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이 전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의 표면에 절연막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의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제의 부품 본체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마그네슘제의 부품 본체의 표면 전체에 동일한 절연막층을 형성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특히, 마그네슘제의 부품 본체의 표면의 일부에 핀홀(pinhole) 등이 생성되고, 절연성이 낮은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핀홀이 생성된 마그네슘제의 부품 본체와 다른 금속제 부품 사이에 소금물 등의 도전성 액체가 침입하면, 마그네슘 합금과 다른 금속의 이온화의 경향의 차이에 의하여 국부전지가 형성되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 체가 전해 부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가 전해 부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발명 1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 부품로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와, 제1 부품 본체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와, 제2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 형성된 절연막층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낚시용 부품에서는,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 상에 절연막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 상에 절연막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표면의 일부에 핀홀 등이 생성되고 마그네슘 합금의 일부가 표층 측에 노출되어 있어도, 제2 부품 본체 상에 형성된 절연막층에 의해 스테인레스 합금이 표층 측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와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 사이에 소금물 등의 도전성 액체가 침입해도, 마그네슘 합금과 스테인레스 합금에 의하여 국부전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가 전해 부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발명 1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제1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 형성된 절연막층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 상에 절연막층이 형성되고,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 상에 절연막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 부재의 표면에 절연막층이 형성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가 전해 부식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3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발명 1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제1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 형성된 양극 산화 피막층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양극 산화 피막층은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성이 높으므로, 부품 본체의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발명 3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양극 산화 피막층의 표층 측에 형성된 절연막층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제1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는, 양극 산화 피막층 및 절연막층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막층에 의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가 표층 측에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발명 5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절연막층은 전착도장법(電着塗裝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절연막층은 전착도장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균일한 도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예를 들어 양이온형 전착도료의 기체 수지인 폴리아민 수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부품 본체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발명 1 내지 발명 5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제1 부품 본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사용된다. 제2 부품 본체는 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부품에 사용된다. 이 경우, 옥외의 부식 분위기 에서 많이 사용되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및 그 내부 부품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릴 본체가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내부 부품에서 전해 부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발명 6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내부 부품은 낚시용 릴의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이 경우, 클러치 플레이트, 클러치 해제용의 클러치 멈춤쇠, 래칫 휠, 클러치 캠, 클러치 캠 스토퍼, 클러치 요크 등의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를 스테인레스 합금으로 형성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강도를 높게 유지하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릴 본체가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서 전해 부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의 후부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후술하는 스풀축(16)(도 3 참조)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a) 및 제2 측 커버(6b)와, 앞커버(7)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제1 측판(8)과 제2 측판(9)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를 구성하는 각 부재, 즉 프레임(5)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 및 복수개의 연결부(10)(제1 부품 본체의 일례)는, 마그네슘 합금제이며, 각 부재의 표면에는 각종 표면 처리가 행하여져 있다.
다음에, 릴 본체(1)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표면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각 부재의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70)(도 8 참조)가 되는 모재를 준비한다(도 9의 S1).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70)의 표층 측에는, 양극 산화 처리(도 9의 S2)에 의해, 양극 산화 피막층(71)(도 8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양극 산화 피막층(71)의 표층 측에는, 전착도장 처리(도 9의 S3)에 의해, 제1 절연막층(72)(도 8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양극 산화 피막층(71)은, 양극 산화 피막층(71)에 의해 표층 측의 도료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기초 피막이다. 양극 산화 피막층(71)은,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70)를 양극으로 설정하고, 황산, 옥살산, 크롬산 등의 용액 내에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때문에 피막이 형성된다. 상기 양극 산화 피막층(71)은, 전기 절연성이 높고, 내식성 및 내마모성도 우수하다.
제1 절연막층(72)은, 예를 들어 폴리아민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양이온형전착도료를 사용한 전착도장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착도장을 행하는 경우는, 양극 산화 피막층(71)을 형성한 제1 부품 본체(70)을 도료조(塗料槽)에 침지시키고, 제1 부품 본체(70)을 음극, 도료층에 설치한 전극판을 양극으로 하여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도료를 전기적으로 도착(塗着)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절연 막층(72)은 전착도장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양극 산화 피막층(71)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하기 용이하게 된다.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 본체(11) 및 제2 측판 본체(12)와, 제1 측판 본체(11) 및 제2 측판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이동 지지부(13) 및 제2 이동 지지부(1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1 측판 본체(11)는, 후부에 스풀 인출용의 암나사가 부착된 원형 개구(11a)가 형성되며, 대체로 판형의 부재이다. 상기 암나사 부분에 릴 본체(1)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케이스(65)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로 삽입되어 있다. 제1 측판 본체(11) 및 제2 측판 본체(12)의 후부에는, 도 3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면(11b, 12b)이 형성된 절결부(11c, 12c)가 설치되어 있고, 절결부(11c, 12c)에 제1 이동 지지부(13) 및 제2 이동 지지부(14)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이동 지지부(13) 및 제2 이동 지지부(14)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제1 측판 본체(11) 및 제2 측판 본체(12)의 원호형면(11b, 12b)에 밀착하도록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면이 형성된 장착부(13a, 14a)와, 제1 측판 본체(11) 및 제2 측판 본체(12)의 판형부분과 일면 배치되는 판형부(13b, 14b)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13a, 14a)에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1 이동 지지부(13)의 선단에는 제1 측판 본체(11)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걸림부(13c)가, 기단에는 제1 측판 본체(11)의 외측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나사고정부(13d)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7) 의 일부가 출입하는 개구(13e)가 형성되고, 판형부(13b)의 기단 측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캠(40)의 일부가 결합되는 원호형의 슬릿(13f)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동 지지부(14)의 선단에는, 제2 측판 본체(12)의 외측면에 형성된 보스부(12a)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걸림공(14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일부가 출입하는 개구(14e)가 형성되고, 판형부(14b)의 기단 측에는 클러치 캠의 일부가 결합되는 원호형의 슬릿(14f)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스풀(15)과, 스풀(15)에 균일하게 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24)와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섬 레스트(thumb rest)를 겸한 클러치 조작 부재(17)와, 핸들(2)과 스풀(15) 사이에서 회전력의 전달 및 차단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6b)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5) 및 레벨 와인드 기구(24)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18)와,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9)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20)와, 드래그 기구(21)와, 스풀(15)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측 커버(6a)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15)은, 양측부에 플랜지부(15a)를 구비하고 있고, 양쪽의 플랜지부(15a) 사이에 줄 권취 보디부(15b)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15)은 그 중심을 관 통하는 스풀축(16)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6)은 한 쌍의 베어링(33a, 33b)에 의해 프레임(5)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풀축(16)의 제2 측 커버(6b) 측의 단부는 제2 측 커버(6b)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24)는, 제1 측판(8)과 제2 측판(9)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 통(25)과, 가이드통(2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웜 샤프트(26)와, 라인 가이드(27)를 구비하고 있다. 웜 샤프트(26)의 단부에는, 회전 전달 기구(18)를 구성하는 기어(28)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웜 샤프트(26)에는 나선형의 홈(26a)이 형성되어 있고, 라인 가이드(27)의 일부가 상기 나선형의 홈(26a)과 서로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회전 전달 기구(18)를 통하여 웜 샤프트(26)가 회전됨으로써, 라인 가이드(27)는 가이드통(25)을 따라 왕복하면서 움직인다.
회전 전달 기구(18)는,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터 기어(31)와, 마스터 기어(31)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2)와, 상기 웜 샤프트(26)의 단부에 고정된 기어(28)를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일단측 외주부에 형성된 톱니부(32a)와, 타단면에 형성된 맞물림부(32b)와, 톱니부(32a)와 맞물림부(32b) 사이에 형성된 소경부(32c)를 포함하고 있다. 맞물림부(32b)는, 타단면의 직경 상에 형성된 결합홈(32d)을 포함하고 있어서, 스풀축(16)에 장착된 결합핀(16a)과 결합 또는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맞물림부(32b)의 외주면은 베어링(35)에 의해 제2 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니언 기어(32)의 맞물림부(32b)의 결합홈(32d)과 스풀축(16)의 결합핀(16a) 에 의해 핸들(2)과 스풀(15) 사이에서 회전력의 전달 및 차단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19)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의 결합홈(32d)과 스풀축(16)의 결합핀(16a)이 이탈되면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차단되어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에, 클러치 조작 부재(17)와 클러치 제어 기구(20)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6에 나타낸 결합 위치와 도 7에 나타낸 이탈 위치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클러치 제어 기구(20)와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동 지지부(13) 및 제2 이동 지지부(14)의 장착부(13a, 14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조작부(17a) 및 제2 조작부(17b)와, 제1 이동 지지부(13) 및 제2 이동 지지부(14)의 판형부(13b, 14b)의 내측면과 간극을 두고 스풀(15)의 후방에 배치된 제3 조작부(17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조작부(17a) 및 제2 조작부(17b)는, 제3 조작부(17c)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볼 때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부(17a) 및 제2 조작부(17b)의 선단부에는, 개구(13e, 14e)를 관통하여 제1 측판 본체(11) 및 제2 측판 본체(12)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봉형의 장식부(17d, 17e)가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식부(17d, 17e)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제1 이동 지지 부(13) 및 제2 이동 지지부(14)의 장착부(13a, 14a) 상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조작부(17a) 및 제2 조작부(17b)의 선단에는, 릴 본체(1)의 전방으로 회동 조작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하여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 조작부(17f, 17g)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회동에 의해 스풀축심 X 주위로 회동하는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캠(40)에 의해 스풀축(16)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는 클러치 요크(41)와, 클러치 요크(41)를 스풀축(16)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42)과, 클러치 오프 상태의 클러치 기구(19)를 핸들(2)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과 연동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클러치 리턴 기구(43)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캠(40)은, 클러치 요크(41)를 스풀축 방향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캠면을 가지고, 제2 측판 본체(12)에 스풀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캠부(45)와, 캠부(45)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2 측판 본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러치 플레이트(46)를 구비하고 있다.
캠부(45)는, 스풀축(1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된 통형의 캠 본체부(45a)와, 캠 본체부(45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클러치 리턴 기구(43)가 장착되는 돌출부(45b)와, 캠 본체부(45a)의 일면에 스풀축(16)과 동일한 중심으로 배치된 캠면(45c)을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본체부(45a)의 배면에는 결합 볼록부(45d)가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플레이트(46)에 형성된 결합공(46c)이 상기 결합 볼록부(45d)와 결합되어,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회동을 캠부(45)에 전달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1)에는 도시하지 않은 결합부가 형성되고, 캠면(45c)이 결합부에 결합되어서, 클러치 요크(41)가 스풀축 방향 외측으로 가압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6)는, 제2 측판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46a) 및 장착부(46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스풀축심 X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절곡된 장착부(46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착부(46b)는, 제1 이동 지지부(13) 및 제2 이동 지지부(14)의 판형부(13b, 14b)에 형성된 슬릿(13f, 14f)을 관통하고 있고, 양쪽 관통 부분의 사이에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제3 조작부(17c)가 장착부(46b)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핀(44)에 의해 스풀축(16)의 축심 X와 평행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16)은 클러치 요크(41)에 대해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풀축(16)이 회전하여도, 클러치 요크(41)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1)는 그 중앙부에 피니언 기어(32)의 소경부(32c)에 결합되는 결합부(41a)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1)를 지지하는 2개의 핀(44)의 외주에서, 클러치 요크(41)와 제2 측 커버(6b) 사이에 코일 스프링(42)이 배치되어, 클러치 요크(41)가 스풀축 내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측의 클러치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서, 그 맞물림부(32b)의 결합홈(32d)과 스풀축(16)의 결합핀(16a)이 결합되어 클러치 온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1)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는 경우는, 결합홈(32d)과 결합핀(16a)의 결합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클러치 리턴 기구(43)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부재(47)와 래칫 휠(48)을 구비하고 있다. 해제 부재(47)는 캠부(45)의 돌출부(45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해제 부재(47)의 선단에는, 래칫 휠(48)의 외주부에 접촉 가능한 멈춤쇠(47a)가 형성되어 있다. 해제 부재(47)는 토글 스프링(49)에 의해 요동 방향의 양 방향으로 나누어져 가압되고 있다.
래칫 휠(48)은 핸들축(30)에 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다수의 톱니부(48a)가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부(48a)가 해제 부재(47)의 멈춤쇠(47a)를 가압하여 클러치 캠(40)을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린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를 구성하는 각 부재, 즉 클러치 캠(40)의 캠부(45) 및 클러치 플레이트(46), 클러치 요크(41), 2개의 핀(44), 클러치 리턴 기구(43)의 해제 부재(47) 및 래칫 휠(48)(제2 부품 본체의 일례)은, 스테인레스 합금제이며, 각 부재의 표면에는 각종 표면 처리가 행하여져 있다.
다음에, 클러치 제어 기구(20)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표면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각 부재의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80)(도 10 참조)가 되는 모재를 준비한다(도 11의 S11).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80)의 표층 측에는, 전착도장 처리(도 11의 S12)에 의 해, 제2 절연막층(81)(도 10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연막층(81)은, 예를 들어 폴리아민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양이온형전착도료를 사용한 전착도장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착도장을 행하는 경우는, 제2 부품 본체(80)을 도료조에 침지시키고, 제2 부품 본체(80)를 음극, 도료층에 설치한 전극판을 양극으로서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도료를 전기적으로 도착시킨다. 이와 같이 제2 절연막층(81)은 전착도장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청성(anti-corrosion performance)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2 부품 본체(80)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하기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드래그 기구(21) 등의 다른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래그 기구(2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31)에 가압되는 마찰 플레이트(60)와, 스타 드래그(3)의 회전 조작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60)를 마스터 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플레이트(6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축(16)을 그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62, 63)와, 플레이트(62, 63)에 의한 스풀축(16)의 고정력을 조절하기 위한 캡(64)을 구비하고 있다. 캡(64)의 내주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측 커버(6b) 측에 형성된 수나사와 서로 맞물려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내에 설치된 원통형의 브레이크 드럼(66)과, 브레이크 드럼(66)의 내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브레이크슈(67)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슈(67)는, 스풀축(16)에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 되고, 스풀(15)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68)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직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듀얼 베어링 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도 3의 스풀축심 X보다 상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41)는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스풀축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로써 피니언 기어(32)는 결합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의 결합홈(32d)과 스풀축(16)의 결합핀(16a)이 서로 맞물려서 클러치 온 상태가 되어 있고,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마스터 기어(31) 및 피니언 기어(32)를 통하여 스풀축(16) 및 스풀(15)에 전달된다. 이 때,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캡(64)의 체결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풀(15)이 회전할 때의 저항력을 조정할 수 있다.
캐스팅을 행하는 경우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밍하는 손가락으로 제3 조작부(17c)를 가압한다. 이 가압 조작에 의해,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스풀축심 X 주위에 하방으로 회동하여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 조작 부재(17)와 클러치 플레이트(46)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하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클러치 플레이트(46)는 스풀축심 X를 중심으로 하여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클러치 플레이트(46)와 캠부(45)는 결합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플레이트(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캠부(45)도 토글 스프링(4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축(16)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캠부(4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캠부(45)의 캠 면(45c)에 클러치 요크(41)의 결합부가 맞닿아 있으므로, 클러치 요크(41)는 캠면(45c)을 따라 스풀축 방향 바깥쪽(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클러치 요크(41)는 피니언 기어(32)의 소경부(32c)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요크(41)가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피니언 기어(32)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를 도 3의 스풀축심 X보다 하측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32)의 결합홈(32d)과 스풀축(16)의 결합핀(16a)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축(16) 및 스풀(15)에 전달되지 않는다.
클러치 오프될 때의 모습을 도 7에 나타낸다. 여기서,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하방의 이탈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클러치 플레이트(46) 및 캠부(45)가 회전하면, 해제 부재(47)의 전방 측의 선단은 래칫 휠(48) 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캐스팅 후에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신속하게 다시 클러치 온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서밍한 손가락의 선단으로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제1 또는 제2 조작부(17a, 17b) 중 어느 하나의 가압 조작부(17f, 17g)를 가압하여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이탈 위치로부터 결합 위치에 회동시킨다. 이로써, 클러치 캠(40)은 도 7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6에 나타낸 결합 위치에 되돌아온다. 이 결과,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클러치 요크(41)가 가압된 피니언 기어(32)는 결합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결합핀(16a)이 피니언 기어(32)의 결합홈(32d)에 결합되어, 클러치 기구(19)가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어서, 핸들(2)에 의해 핸들축(30) 및 래칫 휠(48)을 시계방향(줄을 권취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 휠(48)의 톱니부(48a)에 의해 해제 부재(47)의 멈춤쇠(47a)가 가압된다. 그러면, 캠부(45)는 결합 위치로 되돌아와서 클러치 기구(19)는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듀얼 베어링 릴에서,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제1 부품 본체(70)는 마그네슘 합금제이며, 제1 부품 본체(70)의 표층 측에는 양극 산화 피막층(71) 및 제1 절연막층(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제어 기구(20)를 구성하는 제2 부품 본체(80)는 스테인레스 합금제이며, 제2 부품 본체(80)의 표층 측에는 제2 절연막층(8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70) 상에 제1 절연막층(72)이 형성되고,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80) 상에 제2 절연막층(8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제1 절연막층(72)의 표면이 손상되어 마그네슘 합금이 표층 측에 노출되어도, 제2 부품 본체(80) 상에 형성된 제2 절연막층(81)에 의해 스테인레스 합금이 표층 측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70)와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80) 사이에 소금물 등의 도전성 액체가 침수해도, 마그네슘 합금과 스테인레스 합금에서 국부전지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가 전해 부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부품은,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1)나 클러치 제어 기구(20)를 구성하는 제1 부품 본체(70) 및 제2 부품 본체(8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든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 체(70) 및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80)를 구비하는 낚시 용품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 본체(1)가 원형이 아닌 듀얼 베어링 릴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릴 본체(1)가 원형인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부품 본체(70) 상에 양극 산화 피막층(71) 및 제1 절연막층(72)를 형성하고 있지만,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품 본체(70) 상에 양극 산화 피막층(71)만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품 본체(70) 상에 제1 절연막층(72)만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절연막층(72) 및 제2 절연막층(81)은 양이온형 전착도료를 사용한 전착도장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절연막층의 원재료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 특성을 가지는 도료에 의한 도막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 상에 절연막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 본체가 전해 부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 부품으로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제1 부품 본체와,
    상기 제1 부품 본체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제2 부품 본체와,
    상기 제2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 형성된 절연막층
    을 구비한 낚시용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 형성된 절연막층을 더 구비한, 낚시용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본체의 표층 측에 형성된 양극 산화 피막층을 더 구비한, 낚시용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산화 피막층의 표층 측에 형성된 절연막층을 더 구비한, 낚시용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층은 전착도장법(電着塗裝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부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본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사용되고,
    상기 제2 부품 본체는 상기 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부품에 사용되는, 낚시용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품은 상기 낚시용 릴의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인, 낚시용 부품.
KR1020060123062A 2005-12-09 2006-12-06 낚시용 부품 KR20070061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6547A JP2007159427A (ja) 2005-12-09 2005-12-09 釣り用部品
JPJP-P-2005-00356547 2005-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387A true KR20070061387A (ko) 2007-06-13

Family

ID=3812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062A KR20070061387A (ko) 2005-12-09 2006-12-06 낚시용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30514B2 (ko)
JP (1) JP2007159427A (ko)
KR (1) KR20070061387A (ko)
CN (1) CN1977596A (ko)
MY (1) MY139858A (ko)
SG (1) SG133487A1 (ko)
TW (1) TW2007277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46B1 (ko) * 2009-06-26 2012-03-2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러치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070088A1 (it) * 2007-06-27 2008-12-28 Lupini Targhe S P A Targhetta con emblema, in particolare per veicoli
JP4963279B2 (ja) * 2007-08-06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878718B2 (ja) * 2011-09-27 2016-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956740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製造方法
JP5956741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JP6517466B2 (ja) * 2012-12-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14155470A (ja) * 2013-02-18 2014-08-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それを備えた両軸受リール
JP6411009B2 (ja) * 2013-03-29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部品
JP6218532B2 (ja) * 2013-09-27 2017-10-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101553704B1 (ko) * 2013-12-17 2015-09-17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하이브리드 클러치 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
JP6368525B2 (ja) * 2014-04-16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6374700B2 (ja) * 2014-05-16 2018-08-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376848B2 (ja) * 2014-06-03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復帰機構
JP6371141B2 (ja) * 2014-07-08 2018-08-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699382B1 (ko) * 2014-10-22 2017-01-24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KR101697215B1 (ko) * 2014-11-20 2017-01-17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라인 접촉 강화부재를 갖는 라인가이드를 구비한 낚시릴
JP6530615B2 (ja) * 2015-02-26 2019-06-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10239B2 (ja) * 2017-08-08 2021-07-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083429B1 (ko) * 2017-10-26 2020-03-0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프론트커버의 탈착이 편리한 낚시 릴
JP7122167B2 (ja) * 2018-06-11 2022-08-19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7046743B2 (ja) * 2018-07-06 2022-04-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345348B2 (ja) * 2019-10-16 2023-09-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23084191A (ja) 2021-12-07 2023-06-1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に装着される腐食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3486A (en) * 1987-04-01 1990-07-24 Seiko Epson Corporation Coated article and method of production
JPH07113401B2 (ja) * 1991-01-30 1995-12-06 株式会社東芝 真空環境用歯車伝達機構
JP2004275193A (ja) * 1997-12-10 2004-10-07 Shimano Inc 部品組立体
JP2000014288A (ja) * 1998-07-01 2000-01-18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073165A (ja) 1999-09-09 2001-03-21 Shimano Inc マグネシウム製部品
JP2001321036A (ja) * 2000-03-08 2001-11-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
JP2002166223A (ja) * 2000-11-30 2002-06-11 Shimano Inc 塗装部品
JP4553495B2 (ja) * 2001-01-24 2010-09-2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US20050133651A1 (en) * 2003-10-31 2005-06-23 Chung Cheung Fishing reel gear mechanism coating
JP2005312320A (ja) * 2004-04-27 2005-11-1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の構成部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46B1 (ko) * 2009-06-26 2012-03-2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러치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7781A (en) 2007-08-01
SG133487A1 (en) 2007-07-30
US7530514B2 (en) 2009-05-12
JP2007159427A (ja) 2007-06-28
MY139858A (en) 2009-11-30
CN1977596A (zh) 2007-06-13
US20070181728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1387A (ko) 낚시용 부품
JP2007159427A5 (ko)
KR101743529B1 (ko) 낚시용 부품
US6209816B1 (en) Mechanical assembly with incompatible metallic materials
KR101488151B1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US7104485B2 (en)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WO2001011113A1 (fr) Bain de depot galvanoplastique de ruthenium noir
JP2000342127A (ja) 塗装部品
JP5008331B2 (ja) 屋外用部品
JP2007270276A (ja) 屋外用部品
JP2002218871A (ja)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US6672525B2 (en) Fishing gear
JP5647543B2 (ja) 釣り用部品
JP2005312320A (ja) 魚釣用リ−ルの構成部品
JP4221243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アルマイト処理方法
JP2023084191A (ja) 魚釣用リ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に装着される腐食部材
US20120152748A1 (en) Part, timepie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art
JP2000312549A (ja) 魚釣り用リールの構成部材
JP20013210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ェースギア
JP4324490B2 (ja) 釣り用塗装部品
JP2001028978A (ja) 魚釣用リール
JP2001045926A (ja)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
JP462559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BR112020013928A2 (pt) pino de contato elétrico de pressão
JP200102897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