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29B1 - 낚시용 부품 - Google Patents

낚시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29B1
KR101743529B1 KR1020120021041A KR20120021041A KR101743529B1 KR 101743529 B1 KR101743529 B1 KR 101743529B1 KR 1020120021041 A KR1020120021041 A KR 1020120021041A KR 20120021041 A KR20120021041 A KR 20120021041A KR 101743529 B1 KR101743529 B1 KR 10174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pool shaft
shaft
layer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619A (ko
Inventor
아키라 니이츠마
쇼우지 나카가와
사토시 이케부쿠로
켄이치 카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47114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75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32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0004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2010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풀 축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內周面)과 스풀 축의 외주면(外周面)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킨다.
<해결 수단> 스풀(12)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스풀(12)의 표층 측에는 알루마이트(alumite) 처리에 의한 알루마이트층(81)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축(16)은, 스풀(12)의 내주부에 장착되어,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는 PBID(Plasma-Based Ion Deposition) 처리에 의한 DLC(Diamond Like Carbon)층(82)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부품{FISHING COMPONENT}
본 발명은, 낚시용 릴,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의 스풀 축, 특히, 낚싯줄을 감기 및 방출하는 낚시용 릴,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의 스풀 축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낚시용 릴에는, 주로 스피닝 릴과 양베어링 릴이 있다. 이런 종류의 낚시용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 축과, 스풀 축에 장착된 줄 감기용의 스풀을 가지고 있다. 양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은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3 참조).
이와 같은 낚시용 릴에서는, 스풀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輕金屬)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 축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어, 릴 본체에 장착된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혹은, 스풀 축은, 피니언 기어나 스풀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옥외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은 낚시용 릴에 사용되는 부품, 특히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에는, 표면에 도료(塗料)에 의한 도막(塗膜)이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도막을 형성하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이 부식(腐食) 분위기에 드러나지 않게 되어, 내식성(耐蝕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다른 금속제 부품과의 사이에 염수(鹽水) 등의 도전성이 있는 액체가 침입하면, 마그네슘 합금과 다른 금속의 이온화 경향의 차이에 의하여 국부 전지가 형성되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이 전해(電解) 부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부품과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의 사이에 마그네슘과 이온화 경향이 가까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품을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4 참조). 여기에서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과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의 사이에 알루미늄 합금제의 슬리브(sleeve)를 개장하는 것에 의하여,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과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에서 국부 전지가 형성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이 전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5-2679호 특허 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06287호 특허 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97474호 특허 문헌 4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256333호
상기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는,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內周面)과 스풀 축의 외주면(外周面)의 사이가 고하중(高荷重) 혹은 고속으로 상대 회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하중 혹은 고속으로 상대 회전하면,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사이에서 타서 눌어붙는 것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타서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사이에 오일이나 그리스(grease)를 충전(充塡)하고 있다. 그러나, 오일이나 그리스는 해수(海水)의 침입이나 사용 후의 세면 등에 의하여 유출해 버리기 때문에, 낚시꾼은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사이에 오일이나 그리스를 부지런히 보충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상기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과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의 사이에 알루미늄 합금제의 슬리브를 개장하고 있으므로, 알루미늄 합금제의 슬리브를 별도 설치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點數)가 증가하여, 제조 코스트가 증대할 우려가 있다.
나아가, 상기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는, 스풀이 슬리브를 통하여 스풀 축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스풀과 스풀 축의 상대 위치에 오차가 생기기 쉬워져, 스풀 외주(外周)가 스풀 축에 대하여 흔들리기 쉬워지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풀 축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스풀과 스풀 축의 상대 위치의 오차를 가급적으로 줄이는 것과 함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하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의 전해 부식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부품은, 스풀과, 스풀 축과, 절연성 DLC층과, 양극 산화 피막층(陽極 酸化 被膜層)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마그네슘 합금제이다. 스풀 축은, 스풀의 내주부(內周部)에 직접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다. 절연성 DLC층은,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 DLC 성막(成膜) 처리에 의하여 형성된다. 양극 산화 피막층은, 스풀의 표층 측에 형성되어 있고,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 DLC층을 형성하고, 스풀에 스풀 축을 장착한 후에 행하여지는 양극 산화 처리(陽極 酸化 處理)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낚시용 부품에서는, 스풀 축의 표층 측에 DLC(Diamond Like Carbon,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축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낚시꾼이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사이에 오일이나 그리스를 부지런히 보충하지 않아도,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사이에서 타서 눌어붙는 것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이 경우, 마그네슘 합금에 의하여 스풀을 경량화·저관성화(低慣性化)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마그네슘 합금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스풀과 직접 접촉 가능한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과 스풀 축의 사이에서 전해 부식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에 스풀 축을 장착하였을 때,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은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과 접촉하여,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과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의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품을 개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억제하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이 전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스풀과 스풀 축의 사이에 슬리브를 개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스풀과 스풀 축의 상대 위치의 오차를 가급적으로 줄일 수 있어, 스풀 외주가 스풀 축으로 대하여 흔들리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을 형성하고,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에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을 취부(取付)한 후에, 양극 산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이 외부에 노출해 있어도,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을 마스킹(masking)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과 함께, 고가(高價)이고 가공 곤란한 티탄 합금제의 스풀 축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한층 더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의 내마모성이 향상하는 것과 함께, 스풀 축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풀 축의 회전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양극 산화 피막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의 내식성을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스풀에 스풀 축을 고정한 후에, 양극 산화 처리를 행할 때,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축을 마스킹할 필요가 없어진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부품은, 발명 1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절연성 DLC층은, 절연성 DLC 성막 처리인 플라스마 이온 성막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PBID(Plasma-Based Ion Deposition, 플라스마 이온 성막법)에 의하여, 스풀 축의 표층 측에 DLC층이 형성된다. PBID법은, PBII법과 동시에 행하여지는 성막 처리이고, C이온을 조사(照射)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의 표층 측에 DLC층이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플라스마 이온 성막 처리에 의하여, 스풀 축과의 밀착성이 높은 DLC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부품은, 발명 1 또는 2의 낚시용 부품에 있어서, 스풀의 스풀 축과의 계합부에는 양극 산화 피막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제의 스풀 축의 표층 측에 DLC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축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베어링이나 피니언 기어의 내주부와 스풀 축의 외주부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에 스풀 축을 장착하였을 때,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은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과 접촉하여,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억제하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품이 전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종래와 같이 스풀과 스풀 축의 사이에 슬리브를 개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스풀과 스풀 축의 상대 위치의 오차를 가급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양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양베어링 릴의 스풀 및 스풀 축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 축의 표면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기 표면 처리의 스텝 S1이 행하여졌을 때의 상기 스풀 축의 확대 모식도.
도 6은 상기 표면 처리의 스텝 S2가 행하여졌을 때의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 축의 확대 모식도.
도 7은 상기 표면 처리의 스텝 S3이 행하여졌을 때의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 축의 확대 모식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 축의 표면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표면 처리의 스텝 S11이 행하여졌을 때의 상기 스풀 축의 확대 모식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상기 표면 처리의 스텝 S12가 행하여졌을 때의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 축의 확대 모식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bait cast) 용의 로우 프로파일(low profile)형의 양베어링 릴이다. 이 양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drag)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star drag, 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a) 및 제2 측 커버(6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前方)을 덮는 전(前) 커버(7)와, 상부를 덮는 섬 레스트(thumb rest, 8)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줄 감기용의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1쌍의 제1 측판(5a), 제2 측판(5b)과,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와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된 스풀(12)과,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level wind) 기구(15)와, 서밍(thumbing, 엄지손가락을 릴에 걸고 낚싯줄을 조정하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손가락의 바대로 되는 클러치 레버(clutch lever, 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12)은, 제1 측판(5a)의 개구(開口, 5d)를 통과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6b)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3)의 계탈(係脫, 걸리거나 풀리는 것) 및 제어를 행하기 위한 클러치 계탈 기구(19)와, 드래그 기구(21)와,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a)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12b)와, 줄 감기 몸통부(12b)의 양단(兩端)에 각각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플랜지(flange)부(12a)와, 줄 감기 몸통부(12b)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내주에 스풀 축(16)에 고정되는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12b), 플랜지부(12a) 및 보스부(12c)는, 알루미늄 합금의 부재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풀(12)은, 스풀 축(16)에 예를 들어 세레이션(serration) 결합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세레이션 결합 등의 요철(凹凸)에 의한 고정 법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이나 인서트(insert) 성형 등, 여러 가지의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 축(1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합금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봉상(棒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6b)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一端)은, 제2 측 커버(6b)에 형성된 보스부(6c)에 베어링(24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 축(16)의 타단(他端)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23) 내에서 베어링(24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24a, 24b)는 밀봉 볼 베어링(sealed ball bearing)이다. 스풀 축(16)의 대경(大徑) 부분(16a)의 우단(右端)은, 제2 측판(5b)의 관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계합(係合, 걸어 맞춤) 핀(16b)이 고정되어 있다. 계합 핀(16b)은, 직경을 따라 대경 부분(16a)을 관통하고 있으며,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스풀(12) 및 스풀 축(16)의 표면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풀(12)의 표층 측에는 알루마이트(alumite) 처리에 의한 알루마이트층(81,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축(16)은, 스풀(12)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는 PBID(Plasma-Based Ion Deposition, 플라스마 이온 성막법) 처리에 의한 DLC층(82, Diamond Like Carbon,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층, 도 5 ~ 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풀(12) 및 스풀 축(16)의 표면 처리 공정을 도 4에 도시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에 있어서,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82)을 형성한다(도 5 참조). DLC층(82)은, PBID(Plasma-Based Ion Deposition, 플라스마 이온 성막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PBID법은, PBII법과 동시에 행하여지는 성막 처리이며, C 이온을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8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2에 있어서,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82)이 형성된 상태에서, 스풀(12)의 내주부에 스풀 축(16)을 세레이션 결합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한다(도 6 참조). 덧붙여, 스풀(12)의 내주부에 스풀 축(16)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스풀(12)의 양측방)의 스풀 축(16)은 외부에 노출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3에 있어서, 스풀(12)에 스풀 축(16)을 고정한 후에 있어서, 스풀(12)의 표층 측에 알루마이트층(81)을 형성한다(도 7 참조). 알루마이트층(81)은, 알루미늄 합금의 양극 산화 처리(알루마이트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산화막이며, 알루미늄 합금제의 스풀(12)을 양극으로 하여 유산(硫酸) 등의 전해질 용액 중에서 전해하면, 양극으로 발생하는 산소 때문에 산화막이 형성된다. 알루마이트층(81)은, 탈지(脫脂), 에칭(etching), 중화 등의 전처리와, 전해 처리 등의 양극 산화 처리와, 봉공 처리(封孔處理) 등의 후처리의 3개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덧붙여, 양극 산화 처리를 행할 때, 스풀(12)에 스풀 축(16)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해질 용액에 넣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스풀(12)의 내주부에 스풀 축(16)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스풀(12)의 양측방)의 스풀 축(16)이 외부에 노출하여 전해질 용액에 드러나게 되지만,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8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을 마스킹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는, DLC층(82)이 형성되고, 스풀(12)의 표층 측에는, 알루마이트층(81)이 형성된다.
기어 기구(1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30)과, 핸들 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통상(筒狀)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이 기어 기구(18)의 핸들 축(30)의 상하 위치는, 섬 레스트(8)의 높이를 낮게 하기 때문에, 종래의 위치보다 낮다. 이 때문에, 기어 기구(18)를 수납하는 제2 측판(5b) 및 제2 측 커버(6b)의 하부는, 제1 측판(5a) 및 제1 측 커버(6a)의 하부보다 하방(下方)에 위치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5b)의 외방으로부터 내방(內方)으로 연장되어, 중심에 스풀 축(16)이 관통하는 통상(筒狀) 부재이며, 스풀 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단부(左端部)는, 베어링(43)에 의하여 제2 측판(5b)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43)도 밀봉 볼 베어링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 우단 측 외주부에 형성되어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이빨부(32a)와, 타단 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와, 이빨부(32a)와 맞물림부(32b)의 사이에 형성된 잘록부(32c)를 가지고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 기어(32)의 단면(端面)에 직경을 따라 형성된 오목 홈으로 이루어지며, 거기에 스풀 축(16)을 관통하여 고정된 계합 핀(16b)이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된다. 여기에서는 피니언 기어(32)가 외방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 축(16)의 계합 핀(16b)이 이탈하면, 핸들 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맞물림부(32b)와 계합 핀(16b)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3)가 구성된다. 계합 핀(16b)과 맞물림부(32b)가 계합하면, 스풀 축(16)보다 대경의 피니언 기어(32)로부터 스풀 축(16)에 토크(torque)가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비틀림 변형이 보다 줄어들고, 토크 전달 효율이 향상한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 사이의 후부(後部)에서 스풀(12)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계탈 기구(1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clutch yoke, 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40)는, 스풀 축(16)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핀(41)(일방만 도시)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는 그 중앙부에 피니언 기어(32)의 잘록부(32c)에 계합하는 계합부(40a)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를 지지하는 각 핀(41)의 외주에서, 클러치 요크(40)와 제2 측 커버(6b)의 사이에는 스프링(42)이 배치되어 있어, 클러치 요크(40)는 스프링(42)에 의하여 항상 내방으로 압박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통상(通常)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방의 클러치 계합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 축(16)의 계합 핀(16b)이 계합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2)가 외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계합 핀(16b)의 계합이 빠져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메인 기어(31)에 압압(押壓, 내리누르는 것)되는 마찰 플레이트(45)와, 스타 드래그(3)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마찰 플레이트(45)를 메인 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46)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 축(16)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 축(16)의 협지력(挾持力)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스(65)에 고정된 제동 부재(68)와, 제동 부재(68)의 내주 측에 동심(同芯)으로 배치되어 스풀 축(16)에 고정된 회전 부재(66)와, 회전 부재(66)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6개의 이동 부재(67)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양베어링 릴에서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8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축(16)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베어링(24a, 24b)의 내주부와 스풀 축(16)의 외주부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스풀(12)의 표면에 알루마이트 처리를 할 때에, 스풀 축(16)의 외주에 마스킹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스풀(12)의 표면 처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부품은, 양베어링 릴의 스풀(12) 및 스풀 축(16)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스풀 축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 본체(1)가 비원형(非圓形)의 양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릴 본체(1)가 원형의 양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DLC층(82)은, PBID(Plasma-Based Ion Deposition, 플라스마 이온 성막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다른 성막 처리에 의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12)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테인리스 합금보다 비중이 작은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이나 합성 수지에 의하여 스풀(12)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스풀(12)을 마그네슘 합금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의 알루미늄 합금을 마그네슘 합금으로 바꾸어 읽고, 알루마이트 처리를 양극 산화 처리로 바꾸어 읽는 것에 의하여, 다른 구성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8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12)에 스풀 축(16)을 고정하였을 때,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12)은 DLC층(82)과 접촉하여,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12)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12)의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품을 개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억제하면서,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12)이 전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종래와 같이 스풀(12)과 스풀 축(16)의 사이에 슬리브를 개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스풀(12)과 스풀 축(16)의 상대 위치의 오차를 가급적으로 줄일 수 있어, 스풀(12) 외주가 스풀 축(16)에 대하여 흔들리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82)을 형성하고,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12)에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을 취부한 후에, 양극 산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이 외부에 노출해 있어도,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8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을 마스킹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과 함께, 고가이고 가공 곤란한 티탄 합금제의 스풀 축(16)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한층 더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DLC층(8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내마모성이 향상하는 것과 함께, 스풀 축(16)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풀 축(16)의 회전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스풀(12)을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의 알루미늄 합금을 합성 수지로 바꾸어 읽고, 상기 실시예의 스풀(12) 및 스풀 축(16)의 표면 구조 및 표면 처리 공정을 제외한 구성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풀(12)을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의 스풀(12) 및 스풀 축(16)의 표면 구조에 관하여 도 9 및 도 10에 의하여 설명한다.
스풀(12)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를 성형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스풀(12)의 표층 측에는, 합성 수지가 노출해 있다. 스풀 축(16)은, 스풀(12)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는 PBID(Plasma-Based Ion Deposition, 플라스마 이온 성막법) 처리에 의한 DLC층(92, Diamond Like Carbon,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층, 도 9 및 도 10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12)을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의 스풀(12) 및 스풀 축(16)의 표면 처리 공정을 도 8에 도시한다.
우선, 도 8에 도시하는 스텝 S11에 있어서,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92)을 형성한다(도 9 참조). DLC층(92)은, PBID(Plasma-Based Ion Deposition, 플라스마 이온 성막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PBID법은, PBII법과 동시에 행하여지는 성막 처리이고, C 이온을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9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하는 스텝 S12에 있어서,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 DLC층(92)이 형성된 상태에서, 스풀 축(16)을 금형에 넣어 스풀(12)을 인서트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2)의 내주부에 스풀 축(16)을 고정한다(도 10 참조). 덧붙여, 스풀(12)의 내주부에 스풀 축(16)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스풀(12)의 양측방)의 스풀 축(16)은 외부에 노출해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표층 측에는, DLC층(92)이 형성되고, 스풀(12)의 표층 측에는, 합성 수지가 노출해 있다.
이 경우에는, 합성 수지에 의하여, 스풀(12)을 경량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스풀(12)을 성형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2)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축(16)은, 스테인리스 합금제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티탄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에 의하여 스풀 축(16)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스풀 축(16)을 알루미늄 합금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은 DLC층(82)과의 밀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스풀 축(16)의 표면에 미리 양극 산화 피막층 이나 도금층을 형성하고 나서, 양극 산화 피막층이나 도금층의 표면에 DLC층(8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릴 본체
2 : 핸들
3 : 스타 드래그
5 : 프레임
5a : 제1 측판
5b : 제2 측판
5d : 개구
6a : 제1 측 커버
6b : 제2 측 커버
6c : 보스부
7 : 전 커버
8 : 섬 레스트
12 : 스풀
12a : 플랜지부
12b : 줄 감기 몸통부
12c : 보스부
13 : 클러치 기구
15 : 레벨 와인드 기구
16 : 스풀 축
16a : 대경 부분
16b : 계합 핀
17 : 클러치 레버
18 : 기어 기구
19 : 클러치 계탈 기구
21 : 드래그 기구
22 : 캐스팅 컨트롤 기구
23 : 원심 브레이크 기구
24a : 베어링
24b : 베어링
30 : 핸들 축
31 : 메인 기어
32 : 피니언 기어
32a : 이빨부
32b : 맞물림부
32c : 잘록부
40 : 클러치 요크
40a : 계합부
41 : 핀
42 : 스프링
43 : 베어링
45 : 마찰 플레이트
46 : 압압 플레이트
51 : 마찰 플레이트
52 : 제동 캡
65 : 브레이크 케이스
66 : 회전 부재
67 : 이동 부재
68 : 제동 부재
81 : 알루마이트층
82, 92 : DLC층

Claims (11)

  1. 마그네슘 합금제의 스풀과,
    상기 스풀의 내주부(內周部)에 직접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스풀 축과,
    상기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절연성 DLC 성막 처리에 의하여 형성된 절연성 DLC층과,
    상기 스풀의 표층 측에 형성된 양극 산화 피막층(陽極 酸化 被膜層)
    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 산화 피막층은, 상기 스풀 축의 표층 측에 상기 절연성 DLC층을 형성하고, 상기 스풀에 상기 스풀 축을 장착한 후에 행하여지는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DLC층은, 상기 절연성 DLC 성막 처리인 플라스마 이온 성막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상기 스풀 축과의 계합부에는 상기 양극 산화 피막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낚시용 부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21041A 2011-03-04 2012-02-29 낚시용 부품 KR101743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47114 2011-03-04
JP2011047114A JP5647543B2 (ja) 2011-03-04 2011-03-04 釣り用部品
JPJP-P-2011-133243 2011-06-15
JP2011133243A JP2013000043A (ja) 2011-06-15 2011-06-15 釣り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619A KR20120101619A (ko) 2012-09-14
KR101743529B1 true KR101743529B1 (ko) 2017-06-05

Family

ID=4580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041A KR101743529B1 (ko) 2011-03-04 2012-02-29 낚시용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46604B2 (ko)
EP (1) EP2494866B1 (ko)
KR (1) KR101743529B1 (ko)
CN (1) CN102652506B (ko)
MY (1) MY153847A (ko)
TW (1) TWI6413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7466B2 (ja) * 2012-12-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14155470A (ja) * 2013-02-18 2014-08-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それを備えた両軸受リール
JP6411009B2 (ja) * 2013-03-29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部品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5065914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JP6376739B2 (ja) * 2013-09-30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JP7015690B2 (ja) * 2017-12-27 2022-02-0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スイッチ
JP6914207B2 (ja) * 2018-01-12 2021-08-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276A (ja) 2006-03-31 2007-10-18 Shimano Inc 屋外用部品
JP2007270275A (ja) 2006-03-31 2007-10-18 Shimano Inc 屋外用部品
JP2007267676A (ja) 2006-03-31 2007-10-18 Shimano Inc 屋外用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679Y2 (ja) 1991-07-02 1997-07-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軸支構造
JPH05296248A (ja) * 1992-04-21 1993-1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摺動部材
EP0816123B1 (en) * 1996-06-27 2009-02-18 Daiwa Seiko Inc. Member for fishing or sport tool
SG80003A1 (en) * 1997-12-10 2001-04-17 Shimano Kk Mechanical assembly with incompatible metallic materials
JP3585373B2 (ja) 1997-12-10 2004-11-04 株式会社シマノ 部品組立体
JPH11206287A (ja) 1998-01-29 1999-08-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3766778B2 (ja) * 2000-03-13 2006-04-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ライニング材の製造方法
TW518203B (en) * 2001-01-10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JP2004294204A (ja) * 2003-03-26 2004-10-21 Seiko Epson Corp 時計
US7241050B2 (en) * 2004-07-29 2007-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ydrodynamic bearing device
US20060079863A1 (en) * 2004-10-08 2006-04-13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s coated with diamond-like carbon
JP2006177527A (ja) * 2004-12-24 2006-07-06 Kayaba Ind Co Ltd エアー切換弁
JP2007097474A (ja) 2005-10-04 2007-04-1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
CN201141398Y (zh) * 2007-05-30 2008-10-29 襄阳鹰牌荣华轴承有限公司 镀膜轴承
CN101492782B (zh) * 2008-04-02 2012-10-17 何旭坤 一种铝合金及该铝合金制品的氧化着色工艺
CN101665969A (zh) * 2008-09-03 2010-03-1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铝或铝合金表面阳极处理方法
JP5388649B2 (ja) * 2009-03-24 2014-0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ェブ走行位置規制方法、ウェブ搬送装置、及びウェブ裁断装置
JP2011047114A (ja) 2009-08-25 2011-03-10 Sansei Tsusho Kk コーナー材
JP5519256B2 (ja) * 2009-12-03 2014-06-1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裏面が研削された基板を研磨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427111B2 (en) 2009-12-22 2013-04-2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Battery,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of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276A (ja) 2006-03-31 2007-10-18 Shimano Inc 屋外用部品
JP2007270275A (ja) 2006-03-31 2007-10-18 Shimano Inc 屋外用部品
JP2007267676A (ja) 2006-03-31 2007-10-18 Shimano Inc 屋外用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2506A (zh) 2012-09-05
CN102652506B (zh) 2016-02-10
MY153847A (en) 2015-03-31
TW201249336A (en) 2012-12-16
US8746604B2 (en) 2014-06-10
TWI641317B (zh) 2018-11-21
US20120223173A1 (en) 2012-09-06
EP2494866A1 (en) 2012-09-05
EP2494866B1 (en) 2013-04-24
KR20120101619A (ko) 201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529B1 (ko) 낚시용 부품
KR101979018B1 (ko)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및 낚시용 릴
KR20070061387A (ko) 낚시용 부품
JP2007159427A5 (ko)
JP2013099265A5 (ko)
US9468199B2 (en) Reel part for fishing reel
KR20140103847A (ko) 양 베어링 릴의 피니언 기어 및 그것을 구비한 양 베어링 릴
KR20120023574A (ko) 듀얼 베어링 릴
KR20150077323A (ko) 양 베어링 릴의 피니언 기어 및 양 베어링 릴
JP2014155470A5 (ko)
KR101998090B1 (ko)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JP5536594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3099264A5 (ko)
JP2004275193A (ja) 部品組立体
JP5647543B2 (ja) 釣り用部品
JP2013000043A (ja) 釣り用リール
JP2013000043A5 (ko)
US20230172180A1 (en) Fishing reel and corrosion member mounted on fishing reel
JP4324490B2 (ja) 釣り用塗装部品
JP20013210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ェースギ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