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382B1 -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382B1
KR101699382B1 KR1020140143444A KR20140143444A KR101699382B1 KR 101699382 B1 KR101699382 B1 KR 101699382B1 KR 1020140143444 A KR1020140143444 A KR 1020140143444A KR 20140143444 A KR20140143444 A KR 20140143444A KR 101699382 B1 KR101699382 B1 KR 10169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ribs
rib
pane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255A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4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382B1/ko
Priority to US14/918,864 priority patent/US9609855B2/en
Priority to JP2015207750A priority patent/JP6097368B2/ja
Publication of KR2016004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for trol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공구가 회전·이송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밀링가공 부위를 줄이는 대신에 공작물이 회전하고 절삭공구가 이송하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선반가공 부위를 최대화하여 낚시릴 프레임의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가공 코스트는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가 접촉하는 낚시릴 프레임의 외관을 좀 더 용이하게 모따기 가공, 특히 내(內)모따기 가공하여 곡선화할 수 있도록 한 낚시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은 팜(palm)사이드 제1패널;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 제1 및 제2 패널 사이에 배열된 스풀배치 공간부; 상기 공간부를 유지하며, 제1 및 제2 패널을 연결하고 낚싯대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제1리브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 및 제2 패널 내측 둘레의 내(內)모따기부 형성용 선반가공을 위하여 제1 및 제2 패널 각각과 제1리브 사이에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제1리브는 바디와, 이 바디 양측의 절곡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REEL FRAME FOR FISHING}
본 발명은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공구가 회전·이송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밀링가공 부위를 줄이는 대신에 공작물이 회전하고 절삭공구가 이송하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선반가공 부위를 최대화하여 낚시릴 프레임의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가공 코스트는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가 접촉하는 낚시릴 프레임의 외관을 좀 더 용이하게 모따기 가공, 특히 내(內)모따기 가공하여 곡선화할 수 있도록 하여 그립감 및 파지 안정성을 향상시킨 낚시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베이트(bait) 릴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고기 낚시용 릴이 합성수지 사출 부품과 다이캐스팅 프레임을 채용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큰 물고기 낚시용 트롤링(trolling, 또는 지깅(jigging)) 릴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괴(봉상괴(棒狀塊) 등)를 절삭 가공하여 높은 강도의 프레임을 채용한다.
종래의 낚시릴, 특히 트롤링 릴과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737883호(등록일자 2007년07월04일) [양 베어링 릴]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낚시꾼과 연결하기 위한 하니스를 장착 가능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하니스 사용시의 낚시꾼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217156호(등록일자 2012년12월24일)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레버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0-0056966호(공개일자 2010년05월28일)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드래그(drag) 조정 장치,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10-1374235호(등록일자 2014년03월07일) [낚시용 릴]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핸들 조작에 의해 드래그력을 조절할 수 있어 낚싯줄에 과도한 장력이 걸릴 때 낚싯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풀의 백 래시에 의한 파머 현상(낚싯줄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모두 낚시릴 프레임의 절삭 가공 특성과는 무관한 기술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절삭공구가 회전·이송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밀링가공 부위를 줄이는 대신에 공작물이 회전하고 절삭공구가 이송하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선반가공 부위를 최대화하여 낚시릴 프레임의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가공 코스트는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가 접촉하는 낚시릴 프레임의 외관을 좀 더 용이하게 모따기 가공, 특히 내(內)모따기 가공하여 곡선화할 수 있도록 한 낚시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팜(palm)사이드 제1패널과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 사이에 스풀배치 공간부를 유지하는 연결부로 낚싯대 장착부재 결합용 제1리브를 비롯한 보강용 제2 또는 제3 리브가 구비되는 경우, 알루미늄 등의 금속괴를 회전시키면서 절삭공구를 이송하여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를 곡선 선반가공함에 있어 주가공대상인 제1 및 제2 패널의 가공 모서리부, 즉 모따기부 중 외(外)모따기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공이 어렵고 공간부와 접하는 내(內)모따기부의 선반가공을 위하여 제1 내지 제 3리브가 바디 및 이 바디 양 단부의 제1 및 제2 패널 결합용 절곡단부를 갖는 구조로 구성하고,
이 절곡단부와 제1 및 제2 패널 사이에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하고, 결국 이 리세스로 인하여 선반가공용 절삭공구가 회전하는 금속괴 중 제1 및 제2 패널의 내(內)모따기부를 곡선 가공하도록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선반가공 모따기 부위를 최대화 한 낚시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측면 관찰시 제1패널은 제2패널 보다 면적이 작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릴 프레임을 잡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낚시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은
팜(palm)사이드 제1패널;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
제1 및 제2 패널 사이에 배열된 스풀배치 공간부;
상기 공간부를 유지하며, 제1 및 제2 패널을 연결하고 낚싯대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제1리브를 포함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 및 제2 패널 내측 둘레의 내(內)모따기부 형성용 선반가공을 위하여 제1 및 제2 패널 각각과 제1리브 사이에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제1리브는 바디와, 이 바디 양측의 절곡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에서
상기 연결부는 제1리브와 이격되고, 바디 및 이 바디 양 단부의 리세스 형성용 절곡단부를 갖는 보강용 제2리브 또는 제2 및 제3 리브를 더 포함하고,
측면 관찰시 제1패널은 제2패널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제1리브에는 낚싯대 장착부재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은 팜(palm)사이드 제1패널과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 사이에 스풀배치 공간부를 유지하는 연결부로 낚싯대 장착부재 결합용 제1리브를 비롯한 보강용 제2 또는 제3 리브가 구비되는 경우, 알루미늄 등의 금속괴를 회전시키면서 절삭공구를 이송하여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를 곡선 선반가공함에 있어 주(主)가공대상인 제1 및 제2 패널의 가공 모서리부, 즉 모따기부 중 외(外)모따기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공이 어렵고 공간부와 접하는 내(內)모따기부의 선반가공을 위하여 제1 내지 제 3리브가 바디 및 이 바디 양 단부의 제1 및 제2 패널 결합용 절곡단부를 갖는 구조로 구성하고, 이 절곡단부와 제1 및 제2 패널 사이에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하고, 결국 이 리세스로 인하여 선반가공용 절삭공구가 회전하는 금속괴 중 제1 및 제2 패널의 내(內)모따기부를 곡선 가공하도록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선반가공 모따기 부위를 최대화 할 수 있고, 또 측면 관찰시 제1패널은 제2패널 보다 면적이 작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릴 프레임을 잡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파지특성을 크게 향상시킨 바, 결국 절삭공구가 회전·이송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밀링가공 부위를 줄이는 대신에 공작물이 회전하고 절삭공구가 이송하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가공비가 소요되는 선반가공 부위를 최대화하여 낚시릴 프레임의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가공 코스트는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가 접촉하는 낚시릴 프레임의 외관을 좀 더 용이하게 모따기 가공, 특히 내(內)모따기 가공하여 곡선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 프레임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R) 프레임(F)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팜(palm)사이드 제1패널(10) 및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20) 쪽을 외측, 스풀(S) 배치 공간부(30) 쪽을 내측을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F)을 구비한 낚시릴(R)은 프레임(F), 스풀(S), 스풀 회전용 핸들(H)로 구성된다(그 외 드래그 파워 조절 기구 등 통상의 낚시릴 관련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낚시릴(R)은 릴을 낚싯대에 고정하기 위한 족부(足部), 즉 낚싯대 장착부재(M)가 프레임(F)의 연결부(40) 중 제1리브(41)에 리벳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나아가 낚시바늘 등의 채비 수초나 물 속 바위 등이 장애물에 걸렸을 경우 강제 탈출하거나 낚싯줄을 끊어 보전하고자 할 경우 낚싯대를 잡고 강제로 당기는 힘에도 스풀이 밀려 줄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L)를 구성하는 버튼(L1)이 팜(palm)사이드 제1패널(10)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F)은 제1패널(10), 제2패널(20), 스풀배치 공간부(30), 공간부를 유지한 상태로 두 패널을 잇는 제1리브(41)를 포함하는 연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본 프레임(F)은 베이트(bait) 릴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물고기 낚시용 트롤링(trolling, 또는 지깅(jigging)) 릴의 개선된 가공기법 및 이를 위한 프레임의 구조를 위주로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이캐스팅 프레임의 후가공 기법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절삭가공 원재료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또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20)이라 함은 핸들(H)과 스풀(S)을 연결하는 다양한 잠금기어 부품이 내장되는 부위이기에 업계에서 통상 지칭하는 용어이며,
'팜(palm)사이드' 제1패널(10)이라 함은 낚시 활동시 릴(R)의 제1패널(10)을 주로 손으로 잡고(손바닥 접촉부위임) 낚싯대와 함께 조작하기에 업계에서 통상 지칭하는 용어이다.
또 사용자가 쉽게 릴 프레임을 잡고 낚시활동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보다 조작성 및 그립감, 파지 용이성 등의 특성을 확보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측면 관찰시 제1패널(10)은 제2패널(20) 보다 면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패널(10)(20) 사이에 배열·축설된 스풀(S) 배치 공간부(30)를 공간부를 유지하는 연결부(40)는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패널을 연결하고 낚싯대 장착부재(M)가 결합되는 제1리브(41)를 포함하는데,
이 제1리브에는 낚싯대 장착부재(M)가 수용되어 접촉 면적을 넓혀 결합상태의 안정성을 높이는 함몰부(41a) 및 리벳팅 등의 방식으로 장착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공(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리브는 살빼기를 위하여 중간에 절삭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두 분체로 분리되어 있다.
또 연결부(40)는 보강용 제2리브(43) 또는 제2 및 제3 리브(43,45)를 더 포함하는데, 이들은 제1리브(41)와 이격되어 있고,
제1 내지 제3 리브는 낚싯대 장착부재(M)가 구비된 하부측에 치우쳐 있고, 상부는 상대적으로 스풀(S)에 감긴 낚싯줄이 풀리고 감기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프레임(F) 가공시 손바닥 등의 손, 기타 신체부위와 접촉하는 외면은 가급적 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모서리 부위는 모따기(chamfer, 모깎기 또는 면취(面取)) 가공을 통하여 외면을 부드럽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 제조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괴(봉상괴(棒狀塊) 등) 등을 절삭 가공하는데,
그 공법으로는 선반가공과 밀링가공이 있다.
선반가공은 공작물이 회전하고 절삭공구의 이송(移送)하여 가공하므로 척 등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가공물의 외면을 대칭되게 원형 가공하는데 적합하며, 상대적으로 가공비가 저렴하다.
이에 비하여 밀링가공은 공작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절삭공구의 회전 및 이송(移送)을 통하여 가공하므로, 직선 및 곡선 형상의 가공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가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공비가 고가이다.
종래 일반적인 낚시릴 프레임에서도 팜(palm)사이드 제1패널(10) 및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20)의 외측 모서리 가공부, 즉 외(外)모따기부(13)(23)의 형성을 선반가공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공간부(30)와 접하는 제1 및 제2 패널(10)(20)의 내측 모서리 가공부, 즉 내(內)모따기부(11)(21)는 공작물 회전시 연결부(40)를 구성하는 각 리브(41,43,45)로 인한 간섭으로 선반가공이 불가능하여 일일이 밀링가공을 행하여야 하는 부위에 해당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프레임(F)에서는 각 리브(41,43,45)의 형상이 최종적으로 바디(B)와, 이 바디 양측에 구비되고 리세스(r)와 접하는 절곡단부(b)로 구성되고, 이 절곡단부가 제1 및 제2 패널의 내측과 연결되어 공간부(30)를 유지하는 구조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금속괴(봉상괴(棒狀塊) 등)를 먼저 선반가공하여 전체적인 윤곽, 특히 설계 형상에 맞게 제1 및 제2 패널(10)(20)의 내외(內外) 모따기부(11,21)(13,23)를 형성하고, 또 연결부를 구성하는 각 리브(41,43,45)의 외면 형상(즉, 내모따기부(11,21) 형성을 위한 선반가공 절삭공구 팁의 진입을 보장하는 리세스(r)(각 내외 모따기부(11,21)(13,23) 사이의 외주면부(10s) 면 보다 깊게 형성됨)까지 형성하는 형상으로, 최종적으로 리세스(r)는 각 리브의 바디(B) 양측의 절곡단부(b)의 외측을 구성하고, 리세스(r)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패널(10,20)은 내모따기부(11,21)가 형성되어 내외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갖게 됨)까지 형성한다.
이어 자체 회전하고 이송하는 밀링가공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공간부(30)를 형성하고, 각 리브(41,43,45)가 따로 분리된 형태로 가공되도록 하여 각 리브의 공간부와 접하는 면을 가공한다.
이처럼 스풀(S) 설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공회전축이 구성되도록 선반의 척에 재료(금속괴(봉상괴(棒狀塊) 등) 등)인 공작물을 고정하고 회전하면서 선반가공용 절삭공구를 이송하여 제1 및 제2 패널(10)(20)의 내외(內外) 모따기부(11,21)(13,23)를 포함하는 전체 외곽형상을 가공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는 형태로 1차적으로 선반가공하고,
이후 1차 선반가공시의 가공회전축과 교차축 방향이나 엇갈림축 방향으로 회전 및 이송하는 밀링가공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공간부(30) 및 이 공간부와 접하는 제1 및 제2 패널(10,20)의 내측면 및 각 리브(41,43,45)의 접면을 2차적으로 밀링가공하여 본 발명의 프레임(F)을 완성하는데,
다양한 방향에서 관찰한 프레임 도면을 도시한 도 2의 [B], [C], [D]에서는 종래 낚시릴 구조에서 밀링가공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선반가공으로 가공된 주요 부위, 즉 내(內)모따기부(11,21)가 격자무늬로 표시하여 현출하고 있으며,
주로 이 내모따기부와 인접하고 제1 내지 제3 리브(41,43,45)의 측면 및 제1리브(41)의 함몰부(41a) 및 고정공(41b) 둘레가 밀링가공으로 형성됨을 빗금무늬로 표시하여 현출하였다.
물론 제1 및 제2 패널이 공간부(30)와 접하는 면과
(선반가공시 척에 물린 공작물이 가공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각 리브의 절곡단부(b)의 외면, 즉 리세스(r)가 형성되는 것과 같이, 절곡단부(b)와 제1 및 제2 패널이 접하는 부분이 공통적으로 접하는 가상의 원의 내부에 위치한 면)
각 리브의 내면과 역시 밀링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나 이 부위는 편의상 현출하지 않았다.
제1 및 제2 패널(10)(20)의 내외(內外) 모따기부(11,21)(13,23)의 선반가공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나 비용절감 효과 외에도 공작물을 회전하면서 선반가공 절삭공구를 이송·접촉하여 원형 절삭 가공하므로 동심도가 향상되어 고품질의 곡면도 및 우수한 표면질감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밀링가공까지 거친 최종 프레임(F)에서 리브의 절곡단부(b), 즉 리세스(r)로 인하여 낚시릴(R)에서 팜(palm)사이드 제1패널(10)에 대한 그립감 및 파지 안정성까지 증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베이트 릴, 트롤링 릴, 드래그 파워 조절, 스풀의 브레이킹 파워 조절 구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낚시릴 및 프레임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 낚시릴 F: 프레임
S: 스풀 H: 핸들
M: 낚싯대 장착부재
L:잠금부 L1: 스냅버튼
10,20: 패널 11,21: 내모따기부
13,23: 외모따기부 30: 공간부
40: 연결부 41,43,45: 리브
B: 바디 b: 절곡단부
r: 리세스

Claims (3)

  1. 팜(palm)사이드 제1패널(10);
    기어(gear)사이드 제2패널(20);
    제1 및 제2 패널 사이에 배열된 스풀배치 공간부(30);
    상기 공간부(30)를 유지하며, 제1 및 제2 패널(10,20)을 연결하고 낚싯대 장착부재(M)가 결합되는 제1리브(41)를 포함하는 연결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패널(10,20) 내측 둘레의 내(內)모따기부 형성용 선반가공을 위하여 제1 및 제2 패널(10,20) 각각과 제1리브(41) 사이에 리세스(r)를 형성하도록 제1리브(41)는 바디(B)와, 이 바디 양측의 절곡단부(b)를 갖되,

    선반의 척에 재료인 공작물을 고정하고 회전하면서 선반가공용 절삭공구를 이송하여 제1 및 제2 패널(10)(20)의 내외(內外) 모따기부(11,21)(13,23) 및 각 내외 모따기부(11,21)(13,23) 사이의 외주면부(10s) 면 보다 깊게 형성되는 리세스(r)를 포함하는 전체 외곽형상을 가공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는 형태로 1차적으로 선반가공하고,
    이후 1차 선반가공시의 가공회전축과 교차축 방향이나 엇갈림축 방향으로 회전 및 이송하는 밀링가공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공간부(30) 및 이 공간부와 접하는 제1 및 제2 패널(10,20)의 내측면 및 제1리브(41)의 접면을 2차적으로 밀링가공하여 바디(B)와, 이 바디 양측에 구비되고 리세스(r)와 접하는 절곡단부(b)를 포함하는 제1리브(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제1리브(41)와 이격되고, 바디(B) 및 이 바디 양 단부의 리세스(r) 형성용 절곡단부(b)를 갖는 보강용 제2리브(43) 또는 제2 및 제3 리브(43,45)를 더 포함하며,
    1차 선반가공 후 제2, 제3 리브(43,45)의 접면을 2차적으로 밀링가공으로 형성하여
    내외(內外) 모따기부(11,21)(13,23) 및 각 내외 모따기부(11,21)(13,23) 사이의 외주면부(10s) 면 보다 깊게 형성되는 선반가공된 리세스(r)와 접하는 바디(B) 양측의 절곡단부(b)를 갖는 제2, 제3 리브(43,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면 관찰시 제1패널(10)은 제2패널(20) 보다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프레임.
KR1020140143444A 2014-10-22 2014-10-22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KR101699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444A KR101699382B1 (ko) 2014-10-22 2014-10-22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US14/918,864 US9609855B2 (en) 2014-10-22 2015-10-21 Reel frame for fishing
JP2015207750A JP6097368B2 (ja) 2014-10-22 2015-10-22 加工性が向上した釣り用リールフレー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444A KR101699382B1 (ko) 2014-10-22 2014-10-22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55A KR20160047255A (ko) 2016-05-02
KR101699382B1 true KR101699382B1 (ko) 2017-01-24

Family

ID=5579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444A KR101699382B1 (ko) 2014-10-22 2014-10-22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09855B2 (ko)
JP (1) JP6097368B2 (ko)
KR (1) KR101699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6354B2 (ja) * 2020-12-21 2024-02-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け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98B1 (ko) 1999-11-19 2007-02-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2008263888A (ja) * 2007-04-23 2008-11-06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け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106A (en) * 1982-09-28 1984-11-13 Oscar Kovalovsky Geared fishing reel
US4715555A (en) * 1986-11-24 1987-12-29 Mcchristian Jr Robert L Dual mode fishing reel assembly
JPH09298996A (ja) * 1996-05-13 1997-11-25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及びそのフレーム
JP3525055B2 (ja) * 1998-07-27 2004-05-1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KR100310252B1 (ko) * 1999-06-22 2001-11-14 박종섭 유기 반사방지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153178A (ja) 2000-11-17 2002-05-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4535742B2 (ja) * 2004-02-03 2010-09-0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US7234661B2 (en) 2004-07-21 2007-06-26 Shimano Inc. Drag adjustment device for a dual-bearing reel
JP2006149225A (ja) * 2004-11-25 2006-06-1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7159427A (ja) * 2005-12-09 2007-06-28 Shimano Inc 釣り用部品
JP5242353B2 (ja) 2008-11-20 2013-07-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JP5258688B2 (ja) * 2009-07-14 2013-08-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JP5507374B2 (ja) * 2010-07-26 2014-05-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JP5961378B2 (ja) * 2011-12-22 2016-08-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JP6517466B2 (ja) * 2012-12-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374235B1 (ko) 2013-12-18 2014-03-13 권오현 낚시용 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98B1 (ko) 1999-11-19 2007-02-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2008263888A (ja) * 2007-04-23 2008-11-06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けリー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blog.naver.com/knife1403/1013595743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55A (ko) 2016-05-02
JP2016082972A (ja) 2016-05-19
US20160113260A1 (en) 2016-04-28
US9609855B2 (en) 2017-04-04
JP6097368B2 (ja)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438B2 (en) Spinning reel spool support structure
KR101699382B1 (ko)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EP2689661A1 (en) A handle assembly for a spinning reel
US20110233316A1 (en) Master gear assembly
KR20010060328A (ko) 양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6000107B2 (ja) 釣竿用グリップ
JP2006238746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US20180338480A1 (en) Universal fishing reel
EP2387881B1 (en) Spinning reel spool
JP470901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51242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KR101697222B1 (ko) 스플 잠금용 스냅버튼을 구비한 낚시릴
JP5476986B2 (ja) 手持ち式電動工具及び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2009273374A (ja) 釣り竿
EP1474974B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and method of the same
JP356655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TWI731021B (zh) 雙軸承捲線器
JP6603147B2 (ja) 魚釣用リール及びそのハンドル操作ノブ
JP2000236786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103886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149225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120595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9284781A (ja) 釣り竿用の仕掛け係止具
JP2005323544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094824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