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155A -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 - Google Patents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155A
KR20070046155A KR1020077004830A KR20077004830A KR20070046155A KR 20070046155 A KR20070046155 A KR 20070046155A KR 1020077004830 A KR1020077004830 A KR 1020077004830A KR 20077004830 A KR20077004830 A KR 20077004830A KR 20070046155 A KR20070046155 A KR 2007004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sieve
sieve carbon
adsorption
nitrogen gas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1798B1 (ko
Inventor
유키히토 오타
Original Assignee
구라레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레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레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4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nitrogen
    • C01B21/0405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21/0433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21/045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in solids
    • C01B21/0455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in solids characterised by the adsorbent
    • C01B21/0461Carbon bas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06Active carbon with molecular sie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6Molecular sieves other than 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02Dimensions
    • B01D2253/304Linear dimensions, e.g. particle shap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4Specific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0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2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4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16Other waste gases from CVD treatment 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07Controlling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2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tw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01D53/053Pressure swing adsorption with storage or buffer ves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분자체 탄소의 사용량이 적고, 또한 사용되는 원료 공기가 적은 공업적으로 유리한 PSA 법을 제공하는 것. 분자체 탄소로서 강열 잔분 0,7중량% 이하에서, 하기 (I 및 II) 식을 만족시키는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고, PSA 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1)lnC≤0.325+5.14×ln{(0.64+0.098)×Q/(P+0.098)} (I) (2)lnU≤2.124-0.135×lnC (II) 식 중, C 는 제품 질소 중의 산소 농도 (ppm), Q 는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P 는 흡착 압력 (MPa), U 는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이다.

Description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METHOD OF SEPARATING NITROGEN GAS AND MOLECULAR SIEVE CARBON}
본 발명은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분자체 탄소를 충전한 적어도 2 기의 흡착탑의 일방에 질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료 가스를 가압 하에서 공급하여 고압 흡착을 실시하고, 흡착을 끝낸 흡착탑은 저압 재생을 실시하고, 각각의 흡착탑에서 고압 흡착과 저압 재생을 교대로 반복하여 질소를 제품 가스로서 분리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분자체 탄소로서 강열 잔분이 0.7중량% 이하에서 하기 (I 및 II) 식을 만족시키는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에 관한 것이다.
(1)lnC≤0.325+5.14×ln{(0.64+0.098)×Q/(P+0.098)} (I)
(2)lnU≤2.124-0.135×lnC (II)
식 중, C 는 제품 질소 중의 산소 농도 (ppm), Q 는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P 는 흡착 압력 (MPa), U 는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이다.
최근, 금속의 처리, 반도체의 제조, 화학 공업에 있어서의 시일 가스 등 각종 분야에서 질소 가스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고, 이러한 질소 가스를 제조하는 방 법으로서, 분자체 탄소 등의 탄소 다공체를 사용하여 가압 공기로부터 질소를 분리하는 압력 스윙 흡착법 (이하, PSA 법이라고 약기함.) 이 많이 실시되고 있다. PSA 법이란, 원료 가스를 공기로 하였을 경우에, 통상 2 기 이상의 분자체 탄소를 충전한 흡착탑을 사용하고, 일방의 흡착탑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여 산소의 흡착을 실시하여, 질소를 제품 가스로서 취출함과 함께, 그 사이 타방의 흡착탑을 탈착으로 처리하고, 복수의 흡착탑 사이에서 산소의 흡착과 탈착을 교대로 반복하여, 산소와 질소의 흡착 속도의 차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질소를 얻는 방법이다.
흡착탑을 2 기 사용하여 질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기 등의 혼합 가스로부터 PSA 법에 의해 산소를 제거하고, 제품 가스로서 질소를 얻는 상압 (常壓) 재생에 의한 종래의 방식을 도 1 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흡착탑 (4) 의 흡착 공정에서는, 공기 등의 원료 가스를 원료 가스 공급 라인 (1) 으로부터 도입하고, 압축기 (2) 로 압축하여, 냉각기 (3) 를 통해 흡착탑 (4) 으로 도입한다. 각 흡착탑에는 흡착제인 분자체 탄소가 충전되어 있고, 원료 가스 중의 산소가 우선적으로 흡착제로 흡착, 제거되어, 나머지 질소가 제품 저장조 (6) 로 보내지고, 제품 가스 라인 (16) 으로부터 취출된다.
일방의 흡착탑이 흡착으로 처리되어 있을 때에, 타방의 흡착탑은 탈착 공정에 있고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즉, 흡착탑 (4) 에 의해 흡착되고 있을 때에, 밸브 (7, 10 및 12) 는 열림 상태, 밸브 (8, 9, 11, 13 및 14) 는 닫힘 상태에 있다. 또, 오리피스 (15) 로부터, 흡착탑 (4) 으로부터 나오는 가스의 일부가 탈착 공정 중의 탑에 유입하여 세정을 실시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밸브 (7, 10 및 12) 가 닫힘 상태가 된다. 이어진 균압 공정에서는, 밸브 (11 및 14) 를 열림 상태로 하고, 흡착을 끝낸 흡착탑 (4) 의 잔압을 흡착탑 (5) 으로 회수한다. 그 후, 밸브 (8, 9 및 13) 가 열림 상태, 밸브 (7, 10, 11, 12 및 14) 가 닫힘 상태가 되고, 흡착탑 (5) 이 흡착으로 처리되고, 흡착탑 (4) 이 탈착으로 처리된다. 흡착탑 (5) 의 흡착이 끝나면 밸브 (8, 9 및 13) 를 닫힘으로 하고, 밸브 (11 및 14) 를 열림 상태로 하여 균압 공정을 실시하고, 흡착탑 (5) 의 잔압을 흡착탑 (4) 으로 회수한다. 상기의 조작이 정기적으로 반복되어 제품 질소가 제조된다.
이들 밸브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축차 자동적으로 교체되도록 되어 있고, 제품 질소는 제품 저장조 (6) 에 저장되고, 제품 가스 취출 라인 (16) 으로부터 취출되어 소비된다. 분자체 탄소에 흡착된 가스 (산소) 의 탈착은 감압에 의해 실시되고, 밸브 (9 또는 10) 가 열림 상태일 때에 분자체 탄소에 흡착된 가스가 탈착되어, 탈착 가스는 배기 라인 (17) 으로부터 배기된다.
그런데, PSA 법을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분리 성능이 우수한 분자체 탄소의 관점으로부터의 검토와, PSA 시스템의 합리화에 관련되는 관점으로부터의 검토가 필요하고, 지금까지 많은 PSA 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2 관점으로부터 검토된 것은 적다. 예를 들어, 코크스에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고온에서 처리하고, 코크스의 세공 (細孔) 중에 카본을 침착시켜 세공을 조정한 분자체 탄소의 제조법이 알려져 있어, 공기로부터 산소를 분리하여 질소 가스의 제조에 적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고 소52-18675호
또, 야자 껍질 분말에 콜타르 피치 등을 바인더로서 조립 (造粒) 하여 건류한 후, 염산 세정하고 또한 콜타르 피치 등을 함침하여 열처리하고 분자체 탄소로하여 공기로부터 질소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공고 소61-8004호
또한, 야자 껍질 분말에 콜타르 피치 등을 바인더로서 조립하고, 건류한 후 염산 세정하고, 크레오소트유를 함침하여 열처리하고 분자체 탄소로 하여 공기로부터 질소 가스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공고 평5-66886호
한편, PSA 시스템의 관점으로부터도 여러 개량된 방식이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분자체 탄소로서 가압 하에서 단성분 흡착을 실시하였을 때의 산소와 질소의 1 분 후의 흡착 용량비로 규정한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고, 대기압 재생 공정에 있어서 배기 밸브를 여는 시간과 제품 질소 가스를 흡착탑 내에 흘리는 시간이 특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조작을 실시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4 : 특허 제2619839호
또, 분자체 탄소로서 가압 하에서 단성분 흡착을 실시하였을 때의 산소와 질소의 1 분 후의 흡착 용량비로 규정한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고, 제품 질소 가스의 취출량 및 제품 저장조의 유효 용적과 흡착탑 1 탑당 유효 용적을 규정하고 흡착 공정의 시간을 특정하여 실시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5).
특허 문헌 5 : 특허 제2623487호
이들 개량된 PSA 시스템은 분자체 탄소의 개량과 함께 검토함으로써, 더욱 공업적으로 우수한 PSA 법을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PSA 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는 PSA 장치 자체가 작고, 바꿔 말하면 분자체 탄소의 사용량이 적고, 또한 사용하는 원료 공기가 적은 PSA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이러한 PSA 시스템을 개발한 예로서,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압력 상승 속도와 균압 공정의 시간을 규정하고, 고순도의 질소 가스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6). 또, 다른 PSA 방식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높이를 0.5∼1.5㎜ 의 범위로 한 주상 (柱狀) 의 분자체 탄소를 사용함으로써 분리 성능을 높인 PSA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7).
특허 문헌 6 : 일본 공개특허 2001-342013호
특허 문헌 7 : 일본 공개특허 2003-104720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 문헌 6 및 특허 문헌 7 에 제안된 PSA 법은 개량된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으로서, 상당히 진전된 PSA 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6 에 개시된 PSA 법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공기량은 적지만 사용되는 분자체 탄소는 그래도 적은 것이라고 만은 할 수 없다. 또, 특허 문헌 7 에 개시된 PSA 법에 의하면, 사용하는 분자체 탄소당 질소의 발생량은 많지만, 공업적 측면에서 보면 공기의 사용량은 반드시 적다고는 할 수 없다.
PSA 법을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분자체 탄소의 사용량이 적고, 또한 사용하는 원료 공기가 적다는 2 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2 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PSA 시스템은 아직 완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자체 탄소의 사용량이 적고, 또한 사용하는 원료 공기가 적은 공업적으로 유리한 PSA 법을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는 PSA 법에 대해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PSA 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강열 잔분이 0.7중량% 이하인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는 것, 및 제품 질소 가스 중의 산소 농도와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및 흡착 압력, 그리고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과 제품 질소 가스 중의 산소 농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들이 특정의 관계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분자체 탄소를 충전한 적어도 2 기의 흡착탑의 일방에 질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료 가스를 가압 하에서 공급하여 고압 흡착을 실시하고, 흡착을 끝낸 흡착탑은 저압 재생을 실시하고, 각각의 흡착탑에서 고압 흡착과 저압 재생을 교대로 반복하여 질소를 제품 가스로서 분리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분자체 탄소로서 강열 잔분이 0.7중량% 이하에서 하기 (I 및 II) 식을 만족시키는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이다.
(1)lnC≤0.325+5.14×ln{(0.64+0.098)×Q/(P+0.098)} (I)
(2)lnU≤2.124-0.135×lnC (II)
여기서, C 는 제품 질소 중의 산소 농도 (ppm), Q 는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P 는 흡착 압력 (MPa), U 는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발명은, 강열 잔분이 0.7% 이하인 분자체 탄소 로서, 적어도 2 기의 흡착탑의 일방에 질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료 가스를 가압 하에서 공급하여 고압 흡착을 실시하고, 흡착을 끝낸 흡착탑은 저압 재생을 실시하여, 각각의 흡착탑에서 고압 흡착과 저압 재생을 교대로 반복하여 질소를 제품 가스로서 분리할 때에, 하기 (I' 및 II') 식을 만족시키는 분자체 탄소이다.
(1)lnC≤0.325+5.14×ln{(0.64+0.098)×Q/(P+0.098)} (I)
(2)lnU≤2.124-0.135×lnC (II)
여기서, C 는 제품 질소 중의 산소 농도 (ppm), Q 는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P 는 흡착 압력 (MPa), U 는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분자체 탄소의 사용량이 적고, 또한 사용되는 원료 공기가 적은 공업적으로 유리한 PSA 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PSA 법에 의하면, 사용되는 분자체 탄소 및 원료 공기량을 줄여 고순도 질소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PSA 방식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PSA 장치 플로우의 일례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료 가스 공급 라인 2 : 압축기
3 : 냉각기 4 : 흡착탑
5 : 흡착탑 6 : 제품 질소 가스 저장조
7∼14 : 밸브 15 : 오리피스
16 : 제품 질소 가스 취출 라인
17 : 배기 가스 라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분자체 탄소로서 강열 잔분이 0.7중량% 이하에서 하기 (I 및 II) 식을 만족시키는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
(1)lnC≤0.325+5.14×ln{(0.64+0.098)×Q/(P+0.098)} (I)
(2)lnU≤2.124-0.135×lnC (II)
식 중, C 는 제품 질소 중의 산소 농도 (ppm), Q 는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P 는 흡착 압력 (MPa), U 는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이다.
lnC 로서는 또한 식 (III)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lnC≤0.0958+5.25×ln{(0.64+0.098)×Q/(P+0.098)} (III)
본 발명의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흡착탑에는 분자체 탄소가 충전되는데, 이러한 분자체 탄소는, 3∼5Å 의 초마이크로 구멍이 존재하고, 세공 직경이 가지런한 목탄, 석탄, 코크스, 야자 껍질, 수지, 피치 등을 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탄화하여 제조된 식물계, 석탄계, 수지계, 피치계 등의 탄소질 재료를 탈회, 세공 조정한 것이다. 포함되는 회분을 탈회하기 쉽다는 점에서 식물계 탄소질 재료가 바람직하다. 식물계 탄소질 재료 중에서도 야자 껍질이 바람직하다.
야자 껍질과 같은 식물계 탄소질 재료는 통상 회분을 2.0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야자 껍질과 같은 식물계 탄소질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분을 0.7중량% 이하로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회분을 0.7중량% 이하로 감소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염산으로 여러 차례 반복 세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분 0.7중량% 이하란, 활성탄의 원료인 탄소질 재료를 세공 조정하여 분자체 탄소로 하였을 때의 분자체 탄소주 (注) 에 함유되는 회분을 말한다. 회분을 0.7중량% 이하로 감소시킨 후에 세공 조정을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만족시키는 분자체 탄소를 얻을 수 있다.
흡착 시간은 일반적으로 20 초∼120 초로 설정되는데, 40 초∼70 초로 실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체 탄소의 형상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용적으로는 외경 (D) 이 0.4∼1.5㎜ 인 구상 또는 원주상 (펠릿상) 으로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주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의 길이 (L)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L/D=2∼5 정도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분자체 탄소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조제된다. 즉, 야자 껍질 분말을 콜타르 및/또는 콜타르 피치를 바인더로서 조립하여 600℃ ∼ 900℃ 에서 건류한 후, 염산 등의 광산으로 반복 세정하고, 수세, 건조시킨 후, 크레오소트유 등의 세공 처리재를 함침시켜, 600℃ ∼ 900℃ 에서 열처리하고 불활성 가스 중에서 냉각시키면 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회분을 0.7중량% 이하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마이크로 구멍을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여 PSA 법을 실시함으로써,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공기로부터 질소 가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자체 탄소를 사용함으로써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공기로부터 질소 가스를 제조할 수 있는 이유를 반드시 명확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탄소질 재료를 미리 탈회 (脫灰) 처리하고 강열 잔분을 0.7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세공 용적이 증가하여, 산소의 흡착 용량이 증가하고, 또한 세공 조정할 때에 불순물이 적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질소를 분리하는데 적합한 세공이 형성되는 것이 추찰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체 탄소 A 의 제조:
미분쇄한 야자 껍질탄 100 중량부에 콜타르 40 중량부 및 물 8 중량부를 가하여 잘 혼련하고, 유압 프레스기로 가압하여 0.8㎜ 의 노즐로부터 압출하고 원주상으로 형성하였다. 얻어진 원주상의 조립탄을 유동식 건류로를 이용하여 600℃ 에서 30 분간 열처리하고 질소 중에서 냉각시켰다.
다음으로, 80℃ 의 0.6N (규정) 의 염산 중에 교반하면서 충분히 침지시킨 후 염산을 배기하였다. 이 염산 세정을 3 회 반복하고, 수세하여 건조시켜서 정제탄을 얻었다. 이 정제탄을 외열식 전기로에 투입하여 900℃ 에서 열처리하고 질소 중에서 냉각시킨 후, 크레오소트유의 140∼260℃ 유분 (留分) 3 중량부를 가하여 로터리킬른에서 소량의 질소 가스 통류 하, 상온으로부터 400℃ 까지 20 분 동안 승온하여 크레오소트유를 충분히 함침시키고, 추가로 700℃ 까지 20분 동안 승온하여 열처리한 후, 상온까지 질소 중에서 냉각시켜 분자체 탄소를 얻었다.
분자체 탄소 B 의 제조:
염산 세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분자체 탄소 A 와 동일하게 하여 분자체 탄소를 얻었다.
분자체 탄소 C 의 제조:
염산 세정을 상온에서 1 회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분자체 탄소 A 와 동일하게 하여 분자체 탄소를 얻었다.
분자체 탄소 D 의 제조:
1.6㎜ 의 노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분자체 탄소 A 와 동일하게 하여 분 자체 탄소를 얻었다.
분자체 탄소 E 의 제조:
0.4㎜ 의 노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분자체 탄소 A 와 동일하게 하여 분자체 탄소를 얻었다.
분자체 탄소 F 의 제조:
미분쇄한 야자 껍질탄 100 중량부에 콜타르 40 중량부 및 물 8 중량부를 가하여 잘 혼련하고, 유압 프레스기로 가압하여 0.6㎜ 의 노즐로부터 압출하고 원주상으로 형성하였다. 얻어진 원주상의 조립탄을 후카에 파우텍크 주식회사 제조 하이 스피드 믹서 FS-G 형을 사용하여 60℃, 회전수 400rpm 로 평균 입경 1.0㎜ 의 구상으로 성형하였다. 이 구상탄을 유동식 건류로를 사용하여 600℃ 에서 30 분간 열처리하고 질소 중에서 냉각시켰다. 이후에는 분자체 탄소 A 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자체 탄소 F 를 얻었다. 이상의 분자체 탄소 A∼F 에 대하여, 강열 잔분으로서의 회분, 산소 평형 흡착량을 측정하고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 있어서, mL 는 밀리리터를 나타낸다. 강열 잔분이 적으면 산소 평형 흡착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17133590-PCT00001
실시예 1∼10, 비교예 1∼4
흡착탑에 상기 분자체 탄소 A∼F 를 각각 3.0L (리터) 충전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압력으로 PSA 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에 있어서, NL 는 노멀 리터이고, 표준 상태에서의 질소 가스량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17133590-PCT00002
본 발명에 의해, 분자체 탄소의 사용량이 적고, 또한 사용하는 원료 공기가 적은 공업적으로 유리한 PSA 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PSA 법에 의하면, 사용하는 분자체 탄소 및 원료 공기량을 줄여 고순도 질소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 에,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PSA 방식을 실시할 수 있어, 산업상 유용하다.

Claims (8)

  1. 분자체 탄소를 충전한 적어도 2 기의 흡착탑의 일방에 질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료 가스를 가압 하에서 공급하여 고압 흡착을 실시하고, 흡착을 끝낸 흡착탑은 저압 재생을 실시하며, 각각의 흡착탑에서 고압 흡착과 저압 재생을 교대로 반복하여 질소를 제품 가스로서 분리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분자체 탄소로서 강열 잔분 0.7중량% 이하인 분자체 탄소를 사용하여, 하기 (I 및 II) 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1)lnC≤0.325+5.14×ln{(0.64+0.098)×Q/(P+0.098)} (I)
    (2)lnU≤2.124-0.135×lnC (II)
    (식 중, C 는 제품 질소 중의 산소 농도 (ppm), Q 는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P 는 흡착 압력 (MPa), U 는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이 분자체 탄소가 식물계 탄소질 재료를 원료로 하는 분자체 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이 식물계 탄소질 재료가 야자 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분자체 탄소가 구상 또는 원주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분자체 탄소의 외경이 0.4∼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6. 강열 잔분이 0.7% 이하인 분자체 탄소로서, 적어도 2 기의 흡착탑의 일방에 질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료 가스를 가압 하에서 공급하여 고압 흡착을 실시하고, 흡착을 끝낸 흡착탑은 저압 재생을 실시하고, 각각의 흡착탑에서 고압 흡착과 저압 재생을 교대로 반복하여 질소를 제품 가스로서 분리할 때에, 하기 (I' 및 II') 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체 탄소.
    (1)lnC≤0.325+5.14×ln{(0.64+0.098)×Q/(P+0.098)} (I')
    (2)lnU≤2.124-0.135×lnC (II')
    (식 중, C 는 제품 질소 중의 산소 농도 (ppm), Q 는 1 분 동안에 제조되는 흡착탑 1 기의 유효 용적당 질소 가스량, P 는 흡착 압력 (MPa), U 는 제조되는 질소 가스량에 대한 원료 공기량의 비율을 나타냄.)
  7. 제 6 항에 있어서,
    이 분자체 탄소가, 식물계의 탄소재를 원료로 하는 분자체 탄소이고, 세공 조정을 실시하는 공정 이전에 탈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체 탄소.
  8. 제 7 항에 있어서,
    이 식물계 탄소질 재료가 야자 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체 탄소.
KR1020077004830A 2004-08-30 2005-08-09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 KR100851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0485 2004-08-30
JP2004250485 2004-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155A true KR20070046155A (ko) 2007-05-02
KR100851798B1 KR100851798B1 (ko) 2008-08-13

Family

ID=3599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830A KR100851798B1 (ko) 2004-08-30 2005-08-09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0408B2 (ko)
EP (1) EP1798197B1 (ko)
JP (1) JP4893944B2 (ko)
KR (1) KR100851798B1 (ko)
CN (1) CN100548874C (ko)
RU (1) RU2355630C2 (ko)
WO (1) WO2006025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25413B1 (ru) 2007-11-12 2016-12-30 Эксонмобил Апстрим Рисерч Компани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WO2009134543A1 (en) 2008-04-30 2009-11-0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oil from utility gas stream
JP5766397B2 (ja) * 2009-09-16 2015-08-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ンモニア製造方法及び装置
JP5889288B2 (ja) 2010-05-28 2016-03-22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一体型吸着器ヘッド及び弁設計及びこれと関連したスイング吸着法
TWI495501B (zh) 2010-11-15 2015-08-11 Exxonmobil Upstream Res Co 動力分餾器及用於氣體混合物之分餾的循環法
RU2467793C2 (ru) * 2011-02-03 2012-11-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основе графита "НИИграфит" Углеродное молекулярное сито
JP6402864B2 (ja) * 2011-02-10 2018-10-10 ソニー株式会社 空気浄化用の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空気浄化用のフィルターを構成する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水浄化用の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水浄化用のカートリッジを構成する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
JP6218355B2 (ja) 2011-02-10 2017-10-25 ソニー株式会社 濾材
US9162175B2 (en) 2011-03-01 2015-10-20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compact configuration multiple swing adsorption bed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12161828A1 (en) 2011-03-01 2012-11-2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 rotary valve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AU2012259377B2 (en) 2011-03-01 2016-12-01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s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hydrocarbon stream by swing adsorption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s
WO2012118755A1 (en) 2011-03-01 2012-09-0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n encased adsorbent contractor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WO2012118757A1 (en) 2011-03-01 2012-09-0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 reciprocating valve head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AU2012223486A1 (en) 2011-03-01 2013-08-1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 rotary valve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US9034079B2 (en) 2011-03-01 2015-05-1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s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hydrocarbon stream by swing adsorption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s
DE102011083519A1 (de) * 2011-09-27 2013-03-28 Siemens Ag Transformator mit Stickstofferzeugungseinrichtung
CN102502579B (zh) * 2011-10-28 2013-06-12 湖州强马分子筛有限公司 一种果壳基碳分子筛的制备方法
CN103566911A (zh) * 2012-08-03 2014-02-12 张璐 一种增加与气体接触面积的碳分子筛制造方法
US9034078B2 (en) 2012-09-05 2015-05-1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n adsorbent contactor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JP2014111525A (ja) * 2012-11-06 2014-06-19 Eco Carbon Kk 有機前駆体、有機前駆体の製造方法
RU2529233C1 (ru) * 2013-05-06 2014-09-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емеров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активного угля
CN103601159B (zh) * 2013-11-25 2016-06-08 广东太安伊侨气体设备有限公司 Tqn全自动量控节能氮气机
AU2015294518B2 (en) 2014-07-25 2019-06-2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having a valve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KR20170053682A (ko) 2014-11-11 2017-05-16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페이스트 임프린트를 통한 고용량 구조체 및 모노리스
SG11201703809RA (en) 2014-12-10 2017-06-29 Exxonmobil Res & Eng Co Adsorbent-incorporated polymer fibers in packed bed and fabric contactors, and methods and devices using same
JP2018503507A (ja) 2014-12-23 2018-02-08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構造化吸着剤塔、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RU2597600C1 (ru) * 2015-04-14 2016-09-10 Леонид Федорович Шестиперстов Разделение газовых смесей способом короткоцикловой безнагревной адсорб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рех адсорбционных колонн
US9861929B2 (en) 2015-05-15 2018-01-0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WO2016186726A1 (en) 2015-05-15 2016-11-2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US20190001299A1 (en) * 2015-08-22 2019-01-03 Entegris, Inc. Microcrystalline cellulose pyrolyzate adsorbent and gas supply packages comprising same
EP3344371B1 (en) 2015-09-02 2021-09-1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Proces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using an overhead stream of a demethanizer as purge gas
US10124286B2 (en) 2015-09-02 2018-11-1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EP3368189A1 (en) 2015-10-27 2018-09-0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EA201891043A1 (ru) 2015-10-27 2018-10-31 Эксонмобил Апстрим Рисерч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в короткоцикловой адсорбции и способ, относящийся к ним
EP3368188A1 (en) 2015-10-27 2018-09-0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CN108883357A (zh) 2015-11-16 2018-11-23 埃克森美孚上游研究公司 吸附剂材料和吸附二氧化碳的方法
US10427088B2 (en) 2016-03-18 2019-10-01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EP3463620A1 (en) 2016-05-31 2019-04-10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WO2017209860A1 (en) 2016-05-31 2017-12-0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US10434458B2 (en) 2016-08-31 2019-10-08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CA3033235C (en) 2016-09-01 2022-04-1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wing adsorption processes for removing water using 3a zeolite structures
US10328382B2 (en) 2016-09-29 2019-06-2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testing swing adsorption processes
JP7021226B2 (ja) 2016-12-21 2022-02-16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発泡幾何構造および活性材料を有する自己支持構造
CA3045034C (en) 2016-12-21 2021-06-2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elf-supporting structures having active materials
US11331620B2 (en) 2018-01-24 2022-05-1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WO2019168628A1 (en) 2018-02-28 2019-09-06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CN109092010B (zh) * 2018-05-29 2021-01-15 浙江天采云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mocvd制程废气全温程变压吸附提氢再利用的方法
US10835856B2 (en) 2018-08-14 2020-11-1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arbon molecular sieve adsorbent
US10730006B2 (en) 2018-08-14 2020-08-0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ort separation for rotary bed PSA
US10744450B2 (en) 2018-08-14 2020-08-1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ulti-bed rapid cycle kinetic PSA
WO2020131496A1 (en) 2018-12-21 2020-06-2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Flow modul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yclical swing adsorption
EP3962641A1 (en) 2019-04-30 2022-03-0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EMHC-N1-4A-607) Rapid cycle adsorbent bed
WO2021071755A1 (en) 2019-10-07 2021-04-1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dsorption processes and systems utilizing step lift control of hydraulically actuated poppet valves
EP4045173A1 (en) 2019-10-16 2022-08-2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EMHC-N1-4A-607) Dehydration processes utilizing cationic zeolite rh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675A (en) 1975-08-04 1977-02-12 Bando Chem Ind Ltd Conveyer belt device
JPS5945914A (ja) * 1982-06-07 1984-03-15 Kuraray Chem Kk 炭素系分子篩の製法
JPS618004A (ja) 1984-06-22 1986-01-14 松下電工株式会社 集毛ケ−プ
JPS62176908A (ja) * 1986-01-29 1987-08-03 Kuraray Chem Kk 炭素分子篩の製法
JP2619839B2 (ja) 1990-01-31 1997-06-11 鐘紡株式会社 窒素ガスの分離方法
JP2623487B2 (ja) 1990-02-10 1997-06-25 鐘紡株式会社 窒素ガスの分離方法
US5187141A (en) * 1990-08-24 1993-02-16 Jha Mahesh 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ctivated carbon from coal by mild gasification and hydrogenation
JPH0566886A (ja) 1991-09-06 1993-03-19 Toshiba Corp タツチパネル制御システム
JP3446771B2 (ja) * 1993-12-09 2003-09-1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高比表面積炭素材料の製造方法
JP3604820B2 (ja) * 1996-06-26 2004-12-22 カネボウ株式会社 圧力スイング吸着式窒素ガス発生装置
JP4761635B2 (ja) 2000-03-27 2011-08-31 大陽日酸株式会社 窒素ガス発生方法
JP2002159820A (ja) 2000-11-27 2002-06-04 Kuraray Chem Corp 混合ガスの分離法
DE10127768A1 (de) * 2001-06-07 2002-12-19 Carbo Tech Aktivkohl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hlenstoffmolekularsieben für die Gewinnung von Stickstoff aus Luft
JP3768134B2 (ja) * 2001-09-28 2006-04-19 エア・ウォーター株式会社 分子ふるい炭素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力スイング吸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0408B2 (en) 2010-03-02
EP1798197B1 (en) 2014-11-26
RU2355630C2 (ru) 2009-05-20
EP1798197A4 (en) 2011-03-23
US20070261550A1 (en) 2007-11-15
CN100548874C (zh) 2009-10-14
JPWO2006025198A1 (ja) 2008-05-08
RU2007110477A (ru) 2008-10-10
CN101010257A (zh) 2007-08-01
EP1798197A1 (en) 2007-06-20
KR100851798B1 (ko) 2008-08-13
WO2006025198A1 (ja) 2006-03-09
JP4893944B2 (ja)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798B1 (ko) 질소 가스의 분리 방법 및 분자체 탄소
EP0840708B1 (fr) Procede pour la purification de melanges gazeux a base d'hydroge ne utilisant une zeolite x echangee au lithium
JP6760583B2 (ja) 活性炭の製造方法
EP0300868B1 (fr) Adsorbant pour la purification des gaz et procédé de purification
US9149758B2 (en) Continuous oxygen production method and continuous oxygen adsorption and desorption device using oxygen adsorbing agent
RU243662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родного адсорбента
JP5159970B1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51390A (zh) 一种壳聚糖炭‑二氧化钛纳米管复合吸附材料的制备方法
JPS62132543A (ja) 分子篩活性炭、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混合ガスから特定ガスを分離する方法
JP2022082773A (ja) 炭素質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浄水用フィルター及び浄水器
CN103832975A (zh) 从含氯和氧的混合气中回收氯气和氧气的方法
Hardianti et al. Characteriz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coal and its application as adsorbent on mine acid water treatment
CN107999139B (zh) 一种提高氯乙烯粗品纯度的无汞催化剂的制备方法
CN113198420A (zh) 一种改性活性炭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20169115A (ja) 活性炭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3590067A (zh) 一种脱除盐水中有机氮的方法
CN109012602A (zh) 一种椰壳活性炭的制备方法
RU226425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истого углер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Zhang et al. Preparation and phenol adsorption property of tobacco stem based modified porous materials
JPH0663397A (ja) 水素精製用分子篩炭素材
RU250972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териала, содержащего фуллерен и кремний
CN109734091B (zh) 一种口感改善活性炭的制备工艺及其应用
JP2023173875A (ja) 吸着剤の製造方法
JP3710733B2 (ja) ビール粕成形炭のリン溶出防止処理法、リン溶出防止処理されたビール粕成形炭、及び該ビール粕成形炭からなる水質浄化材
CN114031075A (zh) 一种煤基超级电容器用活性炭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