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274A -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및 그의용도 - Google Patents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및 그의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274A
KR20060047274A KR1020050032760A KR20050032760A KR20060047274A KR 20060047274 A KR20060047274 A KR 20060047274A KR 1020050032760 A KR1020050032760 A KR 1020050032760A KR 20050032760 A KR20050032760 A KR 20050032760A KR 20060047274 A KR20060047274 A KR 2006004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glass
flat panel
protective film
film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635B1 (ko
Inventor
다케시 야마나카
미노루 하나오카
요시키 고바야시
히데아키 사카쿠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엔에이치 테크노 글라스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엔에이치 테크노 글라스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65G49/069Means for avoiding damage to stacked plate glass, e.g. by interposing paper or powder spacers in the st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성 보호 필름을 채용함으로써 마더 글래스의 수송, 보관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마더 글래스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일 없이, 박리할 때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하고, 보강 효과도 얻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필름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그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 Ra가 0.2㎛ 이하이고 표면 조도 Rz가 1.0㎛이하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으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와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를 구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 가교물을 함유하며 폭스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및 그의 용도{FILM FOR PROTECTING MOTHER GLASS FOR FLAT PANEL DISPLAY AND US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사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마더 글래스
2 점착제층
2a 점착성 면
3 필름 기재
4 요철 처리 필름
본 발명은 각종 표시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더 글래스(mother glass)의 표면을 보호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특히 마더 글래스를 보호하여 운반하기 위한 기술로서 유용하다.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에는 유리 기판이 사용된다. 공장에서 제조된 유리판은 마더 글래스로서 유통(운반)되고, 이것이 유리 기판으로 가공된다. 마더 글래스의 운반, 보관, 출하 동안의 수송, 및 고객에서의 보관으로 인해 유리 표면에 흠이 생기면, 이는 수율을 저하시키고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며, 따라서 통상적으로 유리 표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유지 형태가 채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및 보관에 관해서는, 슬릿상의 홈을 형성하여 마더 글래스를 1장씩 홈에 고정시킴으로써 마더 글래스끼리의 표면 접촉을 방지하고 있고, 그 때 주로 발포 성형품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곤포 성형품은 크게 2종류로 분류된다. 하나는 박스내에 홈이 형성되고, 거기에 마더 글래스를 고정시켜 뚜껑을 덮음으로써 밀폐 곤포하는 박스형 곤포 용기이다. 다른 하나는 L자 패드라고도 불리며, L자형의 발포 성형품의 내측에 마더 글래스를 고정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L자형의 발포 성형품을 기본 곤포 매수(예컨대 20장)로 묶은 마더 글래스의 네 모서리에 배치하고, 테이프로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어느 곤포 상태이든 장단점이 있고, 예컨대 청정도의 관점에서 보면 L자형의 발포 성형품이 세정 용이성 때문에 유리하지만, 곤포의 안정성 및 용이한 취급의 관점에서 보면 박스형이 유리하여, 최종적으로는 목적 및 고객 사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마더 글래스의 대형화도 요구되어 왔고, 대형화된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및 보관에 대해서는 전술한 곤포 형태로는 대응하기 어렵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큰 발포 성형품의 청정한 세정은 어렵다. L자형 곤포재에서는, 밀폐용 외장에 비닐 백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어된 청정도를 갖는 재료를 입수하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비용에 관해서도, 이러한 방법에서는 단위 용적당 공간에 들어가는 유리의 매수가 적어 적재 효율이 매우 낮으므로 물류 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이 발포 성형품 자체도 크기 증가로 인해 발포 정밀도의 한계에 가까워지고 있다. 또는, 마더 글래스의 중량이 크게 불어났기 때문에 강도적으로도 문제가 있고, 이 때문에 발포 성형품을 금속 막대로 보강한다. 이는 복잡하고도 대규모의 것이 되며, 그 결과 입수하기 어렵고 고가의 것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으로 마더 글래스를 포장하여 겹쳐 쌓아 운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 1999-1205 호, 제 2003-237833 호 및 제 2003-273189 호 참조). 특히,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 1999-1205 호에는, 필름 표면에 미세한 요철 가공을 실시하여 정전기의 발생 및 찰상을 방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과 같이 비점착 시이트 또는 포장에서는, 마더 글래스의 대형화에 따라 마더 글래스와의 스침 및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요철 가공한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더 글래스의 정전기 발생 및 찰상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비점착 시트 또는 포장에서는, 먼지도 개입하기 쉬워져 마더 글래스 및 그 적층물의 취급성도 양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유리의 보강 효과도 거의 없다.
한편, 마더 글래스 사이에 플라스틱 필름(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 2003-226354 호 참조) 또는 합지를 넣는 방법도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마더 글래스로부터 합지를 박리하는 경우에, 플라스틱 필름에 함유된 첨가물 또는 종이 가루에 의한 오염의 문제가 걱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성 보호 필름을 채용함으로써 마더 글래스의 수송 및 보관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마더 글래스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일없이 박리할 때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하며, 보강 효과도 제공하는 표면 보호 필름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히 마더 글래스 표면의 오염 방지성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바, 특정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 Ra 및 표면 조도 Rz를 충분히 작게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은 필름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 Ra가 0.2㎛ 이하이고 표면 조도 Rz가 1.0㎛ 이하이며,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및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가교물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의 폭스(Fox)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내지 -10℃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이다.
Figure 112005020541315-PAT00001
상기 식에서,
Tg(K)는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Wn(-)은 각 단량체의 중량분율을 나타내고,
Tgn(K)은 각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n은 각 단량체의 종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는 각종 제품으로 가공하기 전의 유통될 수 있는 상태의 유리판으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지칭한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예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따르면, 점착성 보호 필름을 채용하기 때문에 마더 글래스와의 스침 및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고 먼지 등도 개입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찰상의 방지에 유효하고, 마더 글래스 및 그 적층물의 취급성도 양호하게 된다. 그 결과, 마더 글래스의 수송 및 보관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보강 효과도 얻어지기 때문에, 마더 글래스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마더 글래스의 대형화에 대해서도 휨 및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특정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 Ra 및 표면 조도 Rz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마더 글래스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일없이 박리할 때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점착제층에는 이형 면의 표면 조도 Ra가 0.2㎛ 이하이고 표면 조도 Rz가 1.0㎛ 이하인 세퍼레이터가 접착되어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퍼레이터를 이용하면, 박리 후 보호 필름을 사용할 때,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 Ra 및 표면 조도 Rz를 상기 범위로 제어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가 보다 확실히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방법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을 마더 글래스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하고, 이를 복수 적층하여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방법에서는, 상기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마더 글래스의 수송 및 보관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마더 글래스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일없이 박리할 때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하게 되며, 또한 보강 효과도 얻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보호 필름이 접착된 마더 글래스를 복수 적층할 때, 요철 가공된 필름을 개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보호 필름이 접착된 마더 글래스끼리의 밀착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마더 글래스의 취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필름의 배면을 요철 가공하면, 점착성 면에도 요철이 생기기 쉽고, 표면 조도의 증대에 의해 점착제 잔류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보호 필름의 기재는 요철 가공하지 않고서 요철 가공된 필름을 개재시키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특히 유효하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보호 필름 부착 마더 글래스는 본 발명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을 마더 글래스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마더 글래스 적층물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을 마더 글래스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하고, 이를 복수 적층한 것이다. 이들에 따르면, 전술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보호 필름을 접착하기 때문에, 마더 글래스의 수송 및 보관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더구나 마더 글래스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일없이 박리할 때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하게 되며, 또한 보강 효과도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사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기재(3)의 한 면에 점착제층(2)을 가지며, 그 점착성면(2a)을 마더 글래스(1)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함으로써 사용된다. 이 점착제층(2)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와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를 구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 가교물을 함유한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뷰틸 아크릴레이트,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닐 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들 수 있다.
이들 알킬부는 직쇄이거나 분지형일 수 있다. 또한, 이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등의 카복실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바이닐계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의 함유량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중 0.5 내지 10몰%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5몰%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를 후술하는 가교제에 의해 충분히 가교될 수 없으며, 점착제층의 용제-불용분율이 감소하여 보호 필름의 박리시 마더 글래스의 표면에 점착제 잔류가 쉽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10몰%를 초과하면, 초기 접착성에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1 내지 8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작용기를 갖지 않는 다른 바이닐계 단량체 등이 공중합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와 상기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기 수학식 1의 폭스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2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12℃이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25℃보다 낮은 경우 점착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마더 글래스로부터의 박리가 곤란해진다. 반대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0℃보다 높은 경우, 이러한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상온에서의 초기 점착력이 결핍되어 마더 글래스의 보호 기능이라는 역할을 다할 수 없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20541315-PAT00002
상기 식에서,
Tg(K)는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Wn(-)은 각 단량체의 중량분율을 나타내고,
Tgn(K)은 각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n은 각 단량체의 종류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단량체에 의한 단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인 Tgn(K)는 각종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 1의 각 단량체에 관해 표 1의 값을 채용한다. 또한, 문헌에 수치가 없거나 문헌의 수치와 불일치하는 그 밖의 단량체의 경우, 일반적인 열분석, 예컨대 시차열분석이나 동적점탄성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채용한다.
Figure 112005020541315-PAT00003
본 발명에서, 상기 공중합체를 가교제에 의해 가교하여 점착제층을 구성하며, 가교는 상기 바이닐계 단량체의 작용기와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가교제는 상기 바이닐계 단량체의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적어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테트라글라이시딜 메타자일렌다이아민, 테트라글라이시딜-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세인, 테트라글라이시딜다이아미노다이페닐메테인, 트라이글라이시딜 p-아미노페놀, 다이글라이시딜아닐린, 다이글리시딜 o-톨루이딘 등의 폴리글라이시딜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배합량은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의 함유량에 의존하며,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부이다. 상기 배합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가 충분히 가교되지 않고 점착제층의 용제-불용분율이 저하되어 점착제 잔류가 쉽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상기 배합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초기 점착력이 결핍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종래 공지된 각종 점착부여제, 및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억제제, 실레인 커플링제, 무기 또는 유기 충전재, 금속 가루, 안료 등의 분체, 입자, 호일 등의 종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되는 필름 기재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 기재의 두께는 10 내지 300㎛가 바람직하며, 30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 범위에서는, 대형 마더 글래스에 사용할 때에도 보호 필름의 접착 및 박리의 취급성, 및 유리의 보강 성능이 양호해지고, 더구나 유리 가공 또는 운반시 상처를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필름 기재 상에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이 채용되지만, 상기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용액을 도포한 후, 가열 등의 처리에 의해 상기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제조된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 Ra가 0.2㎛ 이하이고, 표면 조도 Rz가 1.0㎛ 이하이며, 점착제층 표면의 Ra와 Rz가 상기 수치 범위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Ra와 Rz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표면 조도 Ra가 0.2㎛를 넘는 경우, 유리 표면에 입자상의 오염물이 잔류하고, Rz가 1.0㎛를 넘는 경우도 유리 표면에 입자상의 오염물이 잔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Ra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며, Rz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를 상기 수치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형성 후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를 상기 수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는 필름이나 시이트, 세퍼레이터 등(이들 필름등의 표면 형태는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를 특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을 점착제층에 접착하는 방법, 또는 기재 배면의 표면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롤 형상으로 권취했을 때에 점착제층 표면의 표면 조도를 상기 범위로 설정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이 때, 점착제층에 접착될 수 있는 표면의 표면 조도 Ra가 0.2㎛ 이하이고 표면 조도 Rz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Ra가 0.1㎛ 이하이고 Rz가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이형 면에 상기 표면 조도를 갖는 세퍼레이터가 접착되어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기재로서는 종이 및 플라스틱 필름이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는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세퍼레이터에 사용되는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뷰텐 필름, 폴리뷰타다이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바이닐 필름, 염화바이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필름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보통 약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 ㎛이다. 세퍼레이터의 점착제층 접합면에는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마이드계 이형제, 또는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이형제 처리가 적절히 실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유리 표면에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0.1 내지 30㎛가 바람직하며, 0.5 내지 20㎛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을 갖는 마더 글래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2a)을 마더 글래스(1)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한 것이다. 도 2는 보호 필름을 양면에 접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1)로서는, 다운플로우법(downflow method), 융해법(fusion method), 플로팅법(floating method)으로 제조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조도 Rmax는 30㎚ 이하가 바람직하며, 특히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의 조성물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소다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소다석회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등이 적합하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의 제조에 사용하는 마더 글래스일지라도 본 발명에 의해서 최근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두께가 0.3 내지 0.7㎜이며, 장측이나 단측이 1000㎜ 이상인 마더 글래스에 대해 유효하다.
보호 필름의 접착은 유리 반송 라인 상에 설치한 롤러로 가압하여 접착하는 방법, 핸드 롤러를 이용하는 방법, 가압식 라미네이터를 사용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더 글래스 적층물은 상술한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2a)을 마더 글래스(1)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하고, 이를 복수 적층시킨 것이다. 도시한 예(적층 전 상태)에서는, 마더 글래스(1)를 적층할 때 그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하고 요철 가공된 요철 처리 필름(4)을 개재시키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요철 처리 필름(4)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요철 처리 필름(4)을 개재시키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마더 글래스끼리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마더 글래스의 취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 필름에 의해 마더 글래스(1)의 표면의 청정도가 유지되므로 합지나 그 밖의 완충재를 개재시킬 수 있다.
요철 처리 필름(4)으로서는, 엠보싱 가공한 필름, 발포 처리한 필름, 샌드블라스트나 연마롤, 화학 처리 등으로 조면화한 필름, 미립자를 함유시켜 요철을 형성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요철 처리 필름(4)은 다공질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2a)을 마더 글래스(1)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하고, 이를 복수 적층하여 운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요철 가공된 필름을 개재시키는 것 이외는 종래의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방법과 동일하며 종래 방법 중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실시예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등에서의 평가 항목은 하기와 같이 측정했다.
1)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
하기 수학식 1의 폭스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20541315-PAT00004
상기 식에서,
Tg(K)는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Wn(-)은 각 단량체의 중량분율을 나타내고,
Tgn(K)은 각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n은 각 단량체의 종류를 나타낸다.
Tgn(K)는 표 1의 값을 채용했다.
2) 초기 점착력
액정 기판용 마더 글래스에 표면 보호 필름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압력 8㎏/㎝(선압 환산), 속도 0.3 m/분으로 접착시켰다.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인장 속도 0.3m/분, 각도 180ㅀ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초기 점착력으로 했다. 액정 기판용 마더 글래스를 다운드로잉(downdrawing method)법에 의해 성형하고, 연마 없이도 표면 조도 Rmax는 10㎚ 이하였다. 또한, 유리 조성물은 무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로 했다.
3) 박리력
액정 기판용 마더 글래스에 표면 보호 필름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압력 8㎏/㎝(선압 환산), 속도 0.3m/분으로 접착시켰다. 그 후, 50℃의 열풍 순환 건조기에서 3일간 보관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인장 속도 0.3 m/분, 각도 180ㅀ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측정했다.
4) 표면 조도 측정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 표면의 조도를 조사하기 위해, 표면 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측정 결과로부터 산술 평균 조도(Ra) 및 10점 평균 조도(Rz)를 구했다. 시료는 약 1㎝ㅧ1㎝로 절단한 후, 유리판 상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여, 2% 루테늄산 수용액으로 10분 동안 실온에서 증기 염색 처리를 실시한 것에 대해 표면 형상 측정을 했다.
표면 형상 측정기는 KLA-TencorP-11을 이용하고, 측정 조건은 측정 길이 2000㎛, 주사 속도 400㎛/sec, 주사 회수 100회(20㎛ 간격), 하중 3 ㎎으로 실시했다.
5) 피착체 표면의 입자상 잔류물 측정
피착체로서 액정 기판용 마더 글래스를 이용했다. 여기에 각종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하고, 보호 필름을 3)과 같은 조건으로 박리한 후, 0.28 내지 10㎛의 입자수를 측정했다. 분석 장치는 히타치전자엔지니어링(주)제 LS-5000를 이용했다. 또한, 거의 모든 입자는 점착제 잔류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1
뷰틸 아크릴레이트 68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9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다이클로라이드 0.1중량부, 유화제로서 소듐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1.5중량부, 및 물 100중량부를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고, 80℃에서 5시간 유화 중합하고, 15중량% 암모니아수로 pH 7.0으로 조정하여 고형분 50중량%의 공중합체 유화액을 수득했다.
이 유화액을 염산으로 염석시키고, 수세척하고, 건조하여 아크릴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이 아크릴 공중합체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아크릴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톨릴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3중량부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얻었다.
한 면을 코로나 처리한 두께 60㎛의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도막이 10㎛가 되도록 이 용액을 도포한 후, 80℃의 건조기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표면 조도 Ra=0.01㎛, Rz=0.06㎛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2
표면 조도 Ra=0.03㎛ 및 Rz=0.17㎛를 갖는 접착용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비교예 1
표면 조도 Ra=0.06㎛ 및 Rz=0.33㎛를 갖는 접착용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비교예 2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47중량부,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53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아이소비스뷰티로나이트릴 0.1중량부를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고 톨루엔 중에서 50℃에서 24시간 중합하여 고형분 50중량%의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다음으로, 아크릴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5중량부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얻었다.
한 면을 코로나 처리한 두께 60㎛의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도막이 3㎛가 되도록 이 용액을 도포한 후, 80℃의 건조기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표면 조도 Ra=0.01㎛ 및 Rz=0.06㎛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비교예 3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8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아이소비스뷰티로나이트릴 0.1중량부를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고, 톨루엔 중에서 50℃에서 24시간 중합하여 고형분 50중량%의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다음으로, 아크릴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5중량부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얻었다.
한 면을 코로나 처리한 두께 60㎛의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도막이 3㎛가 되도록 이 용액을 도포한 후, 80℃의 건조기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표면 조도 Ra=0.01㎛ 및 Rz=0.06㎛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20541315-PAT00005
표 2의 결과가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는 입자상 잔류물 수가 적고, 초기 점착력이나 박리력도 적절하였다. 이에 반해, 표면 조도가 더욱 큰 비교예 1에서는 입자상 잔류물 수가 약 10배가 되고, 초기 점착력이나 박리력도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비교예 2에서는 입자상 잔류물 수가 더욱 증가하여, 박리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유리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비교예 3에서는 초기 점착력이나 박리력이 없고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정 기판용 마더 글래스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했을 때 입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액정 패널 제조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0.5㎛ 이상의 입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주목할 만한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점착성 보호 필름은 마더 글래스의 수송 및 보관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주고, 마더 글래스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일없이 피착체로부터 양호하게 박리되며 보강 효과도 제공해 줄 수 있다.

Claims (6)

  1. 필름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조도 Ra가 0.2㎛ 이하이고 표면 조도 Rz가 1.0㎛ 이하이며,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및 작용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를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 가교물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의 폭스(Fox)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내지 -10℃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수학식 1
    Figure 112005020541315-PAT00006
    상기 식에서,
    Tg(K)는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Wn(-)은 각 단량체의 중량분율을 나타내고,
    Tgn(K)은 각 단량체에 의한 단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고,
    n은 각 단량체의 종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이형 면의 표면 조도 Ra가 0.2㎛ 이하이고 표면 조도 Rz가 10㎛ 이하인 세퍼레이터가 상기 점착제층에 접착되어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을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하고, 이를 복수 적층하여 운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접착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를 복수 적층할 때, 요철 가공된 필름을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의 운반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부착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의 점착성 면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되고, 이를 복수 적층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적층물.
KR1020050032760A 2004-04-21 2005-04-20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및 그의용도 KR101085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5545A JP4455139B2 (ja) 2004-04-21 2004-04-21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JP-P-2004-00125545 2004-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274A true KR20060047274A (ko) 2006-05-18
KR101085635B1 KR101085635B1 (ko) 2011-11-22

Family

ID=3530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760A KR101085635B1 (ko) 2004-04-21 2005-04-20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및 그의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53277A1 (ko)
JP (1) JP4455139B2 (ko)
KR (1) KR101085635B1 (ko)
CN (1) CN1689934B (ko)
BE (1) BE1016833A3 (ko)
SG (2) SG116625A1 (ko)
TW (1) TW200536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827B2 (ja) * 1997-07-28 2005-11-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JP4688431B2 (ja) * 2004-04-21 2011-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7219027A (ja) * 2006-02-14 2007-08-30 Tomoegawa Paper Co Ltd 異方散乱粘着部材
JP2008102271A (ja) 2006-10-18 2008-05-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JP2008138066A (ja) * 2006-12-01 2008-06-19 Lintec Corp 再剥離粘着シート
JP4673344B2 (ja) * 2007-06-0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CN101855080B (zh) * 2007-11-08 2013-03-13 琳得科株式会社 剥离片材及压敏粘合剂制品
JP4813509B2 (ja) * 2008-03-13 2011-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固定方法
JP5592615B2 (ja) * 2008-04-07 2014-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表面保護フィルム
JP5544835B2 (ja) * 2008-12-03 2014-07-09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4805999B2 (ja) * 2008-12-09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WO2010131655A1 (ja) * 2009-05-13 2010-11-1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シート
DE102009031421A1 (de) * 2009-07-01 2011-01-05 Tesa Se Verwendung von Haftklebebändern
JP5359774B2 (ja) * 2009-10-22 2013-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保護フィルム
JP2012054006A (ja) * 2010-08-31 2012-03-15 Gunze Ltd 透明導電性ガスバリ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874159B2 (ja) * 2010-08-31 2016-03-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積層体、およびそれを巻き取ったガラスロール、並びに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DE102010043881A1 (de) * 2010-11-12 2012-05-16 Tesa Se Haftklebebänder zur Verklebung von Fenstern insbesondere in Mobilgeräten
JP5394561B2 (ja) * 2011-12-19 2014-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フィルム用キャリアフィルム及び積層体
DE102012203623A1 (de) * 2012-03-07 2013-09-12 Tesa Se Verbundsystem zur Verkapselung elektronischer Anordnungen
JPWO2013154091A1 (ja) * 2012-04-13 2015-12-1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用合紙の評価方法
JP2014084336A (ja) * 2012-10-19 2014-05-12 Dic Corp 保護粘着フィルム
JP5705272B2 (ja) * 2013-06-24 2015-04-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6105412B2 (ja) * 2013-07-03 2017-03-29 早川ゴム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粘着テープ
EP2881408B1 (en) 2013-12-04 2017-09-20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Styrene-based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US9902850B2 (en) 2014-06-26 2018-02-27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9790362B2 (en) 2014-06-27 2017-10-17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using the same
US9850333B2 (en) * 2014-06-27 2017-12-26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Copolymer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US9856371B2 (en) 2014-06-27 2018-01-02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ow-gloss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KR101822697B1 (ko) 2014-11-18 2018-01-30 롯데첨단소재(주) 외관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6534564B2 (ja) 2015-06-19 2019-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7008173A (ja) 2015-06-19 2017-01-12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7039859A (ja) 2015-08-20 2017-02-23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付表面保護フィルム
JP6319331B2 (ja) * 2016-01-12 2018-05-0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3225669B1 (en) * 2016-03-31 2020-12-30 Nitto Denko Corporation Surface protection sheet
JP6856374B2 (ja) * 2016-03-31 2021-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JP6603258B2 (ja) * 2017-03-31 2019-11-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保護シート
KR102255560B1 (ko) * 2018-02-20 2021-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DE102018132945B4 (de) * 2018-12-19 2020-12-31 Schott Ag Plattenförmiger Gegensta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WO2021003740A1 (zh) * 2019-07-11 2021-01-1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盖板、柔性显示屏及显示面板
CN111100578A (zh) * 2019-12-30 2020-05-05 江苏晶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胶粘剂制品
CN114348328A (zh) * 2021-12-31 2022-04-15 安徽汉柔光电科技有限公司 超薄柔性玻璃薄板的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563B1 (ko) * 1993-10-29 2002-04-24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세구조표면을갖는압감접착제
US5693405A (en) * 1995-01-13 1997-12-02 Tredegar Industries, Inc. Masking film having embossed areas and unembossed areas
US6063838A (en) * 1995-02-16 2000-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H08259914A (ja) * 1995-03-22 1996-10-08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H11181367A (ja) * 1997-11-10 1999-07-06 Minnesota Mining & Mfg Co <3M> 粘着シートおよび窓ガラス構造体
JPH11353709A (ja) * 1998-06-05 1999-12-24 Nitto Denko Corp 光ディスク基板の接着方法及び光ディスク基板接着用両面粘着シ−ト
JP3961697B2 (ja) * 1998-10-07 2007-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自動車塗膜保護用シート
DE19940681A1 (de) * 1999-08-27 2001-03-01 Basf Ag Cholesterisches Schichtmaterial mit verbesserter Farbbeständigkei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5135494B2 (ja) * 1999-12-22 2013-02-06 綜研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23228A (ja) * 2000-05-15 2001-11-22 Nitto Denko Corp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US6372074B1 (en) * 2000-06-14 2002-04-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protective coating for color filters
JP3710368B2 (ja) * 2000-09-25 2005-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633488B1 (ko) * 2001-11-08 2006-10-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의 분단 방법, 유리 기판의 분단 장치 및 액정 패널 제조 장치
JP4069625B2 (ja) * 2002-01-09 2008-04-0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感圧型接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組立体並びにその組立方法
JP2003237833A (ja) * 2002-02-18 2003-08-27 Corning Inc ガラス基板包装体
JP4618761B2 (ja) * 2002-04-25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保護テープ、光学用保護テープ処理層形成剤、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光学フィルム、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画像表示装置
US6773787B2 (en) * 2002-05-01 2004-08-10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 diffusing articles and methods to manufacture thereof
JP2004051914A (ja) * 2002-07-24 2004-02-19 Lintec Corp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37638B2 (ja) * 2002-08-09 2010-03-2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再剥離型表面保護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及び再剥離型表面保護シート
JP4688431B2 (ja) * 2004-04-21 2011-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89934B (zh) 2010-10-06
US20050253277A1 (en) 2005-11-17
TW200536761A (en) 2005-11-16
CN1689934A (zh) 2005-11-02
SG136942A1 (en) 2007-11-29
KR101085635B1 (ko) 2011-11-22
JP2005306996A (ja) 2005-11-04
JP4455139B2 (ja) 2010-04-21
SG116625A1 (en) 2005-11-28
BE1016833A3 (fr)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635B1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마더 글래스 보호 필름 및 그의용도
JP4688431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EP2093268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0586207B1 (ko) 표면보호 필름 및 이로 이루어진 적층체
JP5577074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US20110236682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laminated construction
JP2010189545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型光学部材
TWI626291B (zh) 光擴散黏著劑層及光擴散黏著膜
CN111527168B (zh) 玻璃单元的制造方法和压敏粘合片
JP2014047280A (ja) 表面保護用シート
JP6835477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キャリア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7115510B2 (ja) 積層基板、および梱包体
JP2017043710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キャリア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2005314513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表面保護フィルム
CN113943541A (zh) 粘合带
TW201920568A (zh) 黏著劑組成物、黏著片及光學構件
JP4592291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表面保護フィルム
JP7092823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7465318B2 (ja) 粘着剤層、粘着フィルム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2014047279A (ja) 表面保護用シート
JP6810185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WO2023074468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793233B2 (ja) 光拡散粘着フィルム
JP5861617B2 (ja) 物品保護用フィルム
JP6655681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用剥離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