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847A -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847A
KR20060043847A KR1020050020240A KR20050020240A KR20060043847A KR 20060043847 A KR20060043847 A KR 20060043847A KR 1020050020240 A KR1020050020240 A KR 1020050020240A KR 20050020240 A KR20050020240 A KR 20050020240A KR 20060043847 A KR20060043847 A KR 2006004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heet
weight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933B1 (ko
Inventor
히로아키 기시오카
유타카 도사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9/00Presence of polycarbonate
    • C09J2469/006Presence of polycarbonate in the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점착제층이 특정 아크릴계 중합체(a) 및 특정 올리고머(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터치 패널{TRANSPARENT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TOUCH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시이트의 제 1 실시양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사용되고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F/G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F/F/P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투명 양면 점착 시이트
2 투명 기재
3,4 투명 점착제층
5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
51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 배치된 구성을 갖는 2장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터치 패널 본체부)
51a 상부측의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51b 하부측의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51c 접착층
51d 은 페이스트 층
52 투명 플라스틱 기판
61 F/G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
61a 상부측의 전도성 PET
61b 하부측의 전도성 유리
61c 접착층
61d 은 페이스트 층
62 F/F/P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
62a 상부측의 전도성 PET
62b 하부측의 전도성 PET
62c 접착층
62d 은 페이스트 층
62e 투명 양면 접착 테이프
62f 투명 보강판
본 발명은,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투명성, 들림/박리 방지성 및 휨 방지성이 우수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상기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사용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휴대 전화기, PHS 단말기 등의 모바일형 전화기 단말기, 및 PDA 단말기 등) 등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추구하는 기술적 목표의 주요 방향은, 박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고해상도화, 고휘도화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입력 장치로서 터치 패널을 탑재한 PDA에서는, 경량화 및 깨짐 방지의 관점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기재로 하여, 그 한 면에 ITO(인듐 주석 산화물) 등의 전도성 층을 형성한 투명 전도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전도성 PET 등)]이 점착제에 의해 전도성 유리에 적층되어 있는 구성(이른바「F/G 타입」)으로 된 터치 패널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전도성 PET 등)의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한 형태로 배치하여(대향 배치하여) 보강재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투명 점착제를 통해 적층된 구성(이른바「F/F/P 타입」)으로 된 터치 패널로 이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적층되 는 구성을 갖는 터치 패널은 LCD 모듈 위에 액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 층을 통해 접착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F/G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F/F/P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61은 F/G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 61a는 상부측의 전도성 PET, 61b는 하부측의 전도성 유리, 61c는 접착층, 61d는 은 페이스트 층, 62는 F/F/P 타입 구성의 터치 패널, 62a는 상부측의 전도성 PET, 62b는 하부측의 전도성 PET, 62c는 접착층, 62d는 은 페이스트 층, 62e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62f는 투명 보강판이다.
상기 F/F/P 타입의 터치 패널을 보강재로서의 투명 보강판에 부착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널리 사용된다. 이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는, 투명 점착제층만으로 구성된 무기재(無基材) 타입의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무기재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기재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대하여는, 고온이나 고온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접착 계면에 들림 또는 박리를 야기하지 않는 특성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보강판으로서 기능하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 등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은, 흡수된 수분이나 잔류 단량체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고 발포 원인으로 되는 탈기(outgassing)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 등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통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차단성을 갖는 기재 필름에 적층되어 있으면, 고온이나 고온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포(발포)에 의해, 기판과 점착제층의 접착 계면에서 들림 또는 박리가 발생하여 외관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시인성이 현저히 손상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예컨대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을 적당히 조정하거나,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대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점착부여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가하거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여 공중합시켜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으로부터 기포가 발생하더라도 들림 또는 박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예컨대, JP-A-1989-178567, JP-A-2003-238915, JP-A-2003-342542, JP-A-1995-228850, JP-A-1998-279907, JP-A-1998-310754, JP-A-2000-73025, JP-A-2000-73026, JP-A-2000-109771, JP-A-2001-335767 및 JP-A-2002-30264 참조(여기서, "JP-A"는 미심사되고 공개된 일본 특허 출원을 의미함")].
그러나,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을 적당히 조정하는 방법은, 들림/박리 방지성(내발포성)의 개선에 한계가 있다. 또한, 점착제에 점착부여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이 많아지면 투명성이 손상되는 것으로 인해 배합량이 저절로 한정되어 버려, 이 경우에도, 들림/박리 방지성의 개선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접착성을 높이는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들림/박리 방지성에 한계가 있어 높은 요구 수준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또한, 최근, 투명 보강판으로서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 등)의 두께를 얇게 하여, 터치 패널을 박형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투명 플라스틱 기판의 두께가 감소하면, 고온이나 고온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 예컨대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되는 터치 패널(F/F/P 타입의 터치 패널 등)에 발생하는 휨이 현저해져, 종래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는 이러한 휨을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되는 터치 패널 등의 피착체에 휨을 발생시키는 가혹한 조건하(구체적으로는, 고온이나 고온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피착체에 휨을 방지하는 휨 방지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들림/박리 방지성이 우수하며 휨 방지성도 우수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상기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사용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을 제조할 때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상기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사용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투명 점착제층 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 특정 아크릴계 중합체와 특정 올리고머를 조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고, 또한 상기 투명 점착제층이 투명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이용하여,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을 제공하였으며, 이 터치 패널은 고온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 투명 보강판으로서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으로부터 기포가 발생하더라도 접착 계면에 들림 또는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더구나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되는 터치 패널의 휨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따라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투명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점착제층이, 하기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이다.
- 아크릴계 중합체(a) :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내지 900,000인 아크릴계 중합체,
- 올리고머(b) : 단독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내지 190℃이며 또한 환상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6000인 올리고머.
상기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의 투명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서, 올리고머(b)의 비율은 아크릴계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에서의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로는 아크릴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는 모두 단량체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는,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헤이즈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이고, 상기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의 2개의 투명 점착제층 중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투명 점착제층이 투명 플라스틱 기판과 접촉하도록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적층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이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부재 또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시이트의 제 1 실시양태를 부분적으로 나 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투명 양면 점착 시이트, 2는 투명 기재, 3은 투명 점착제층, 4는 투명 점착제층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투명 양면 점착 시이트는 투명 기재(2)의 양 면에 각각 투명 접착제층(3, 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또한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점착제층이 하기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 형성되어 있다.
- 아크릴계 중합체(a) :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내지 900,000인 아크릴계 중합체,
- 올리고머(b) : 단독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내지 190℃이며 또한 환상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6000인 올리고머.
[아크릴계 중합체(a)]
아크릴계 중합체(a)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메트)아크릴레 이트[「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중합체(a)는,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로 된 아크릴계 중합체이며,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a)에 있어서의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특히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단량체 주성분으로서의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a)에 있어서,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단 량체 주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또한,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한 비율의 상한으로서는,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적어도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99중량% 이하(특히, 97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이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이면 박리력이나 응집력이 저하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산 무수물(예컨대,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함유 단량체)도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비율로서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비율이 과소이면 피착체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확보할 수 없는 한편, 과다이면 점착제의 점도 상승에 의한 도공성 불량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필요에 따라, C4-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카 복실기-함유 단량체에 대하여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공중합성 단량체)가 병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중합성 단량체의 비율은,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의 범위에서, 단량체 성분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양호한 점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중합체(a)의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하(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5℃)가 되도록 하는 사용량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C1-3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C13-20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비방향족 환-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아릴옥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아릴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등의 방향족 환-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라이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바이닐 아세테이트, 바이닐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바이닐 에스터계 단량체; 스타이렌, α- 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단량체;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함유 단량체;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렌, 뷰타디엔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바이닐 에터 등의 바이닐 에터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에 있어서, 공중합성 단량체의 예로는, 헥산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티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다이바이닐벤젠, 뷰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성 단량체를 추가로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하나 이상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예컨대,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및 N,N-다이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뷰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하이드록시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N-치환)아마이드계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함유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 이상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고온에서 점착제 황변의 원인이 되므로 이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아크릴계 중합체(a)는 공지되거나 관용의 중합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용액 중합방법, 유화 중합방법, 괴상 중합방법이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중합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용액 중합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또는 관용의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메틸뷰티로나이트릴),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세인-1-카보나이트릴), 2,2'-아조비스(2,4,4-트라이메틸펜테인), 다이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 벤조일 퍼옥사이드, t-뷰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사이드, t-뷰틸 퍼옥시벤조에이트, 다이큐밀 퍼옥사이드, 1,1-비스(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t-뷰틸퍼옥시)사이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의 경우는, 유용성의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보통의 사용량이면 좋고, 예컨대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1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컨대 2-머캅토에탄올, 라우릴 머캅탄, 글라이시딜 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에틸헥실 싸이오글리콜레이트, 2,3-다이머캅토-1-프로판올, α-메틸스타이렌 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에는, 각종 일반 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n-뷰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터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세인, n-헵테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중합체(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이상 900,000 이하 (500,000 내지 900,000)인 것이 중요하다.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550,000 내지 850,000(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00 내지 800,000)이다.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미만인 경우, 점착제로서 필요한 점착력을 발휘할 수 없으며, 한편 900,000을 초과하면 점착제의 점도 상승에 의해 도공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나 연쇄 이동제의 종류나 그 사용량, 중합시 온도나 시간 등의 중합 조건, 단량체 농도, 단량체 적하 속도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올리고머(b)]
올리고머(b)는, 단독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내지 190℃이고 환상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며,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고 있다. 즉, 올리고머(b)는,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로 형성된 올리고머이며,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올리고머(b)에 있어서,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단독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내지 190℃이고, 또한 분자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g가 60 내지 190℃인 이러한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있어서의 환으로서는, 방향족 환이나 비방향족 환일 수 있지만, 비방향족 환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족 환으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탄화수소 환(예컨대, 벤젠환이나, 나프탈렌 등에 있어서의 축합탄소환 등)이나, 각종 방향족 헤테로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방향족 환으로서는, 비방향족 지환식환(사이클로펜테인환, 사이클로헥세인환, 사이클로헵테인환, 사이클로옥테인환 등의 사이클로알케인환; 사이클로헥센환 등의 사이클로알켄환 등), 비방향족 가교된 환(예컨대, 피네인, 피넨, 보네인, 노보네인, 노보넨 등에 있어서의 2환식 탄화수소환; 아다만테인 등에 있어서의 3환식 탄화수소환; 4환식 탄화수소환 등의 기타 가교된 탄화수소환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사이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비방향족 환-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릴옥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릴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환-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스타이렌이나,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단량체 등의 분자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단독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내지 190℃가 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환상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의해 형성된 단독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내지 190℃가 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특히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비방향족 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가 바람직하며, 특히 투명성의 관점에서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량체 주성분으로서의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올리고머(b)에 있어서,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비율은, 단량체 주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인 것이 중요하고,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또한,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한 비율의 상한으로서는,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적어도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99중량% 이하(특히, 97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비율이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이면, 박리력이나 응집력이 저하된다.
또한, 올리고머(b)는,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로서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의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와 같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산 무수물(예컨대,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함유 단량체)도 카복실기-함유 단량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비율로서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비율이 과소이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과다이면 중합시의 온도 조절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올리고머(b)에는, 필요에 따라, Tg가 60 내지 190℃인 환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나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에 대하여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공중합성 단량체)가 병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중합성 단량체의 비율은,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의 범위에서 단량체 성분의 종류에 따라 적 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양호한 점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올리고머(b)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이상(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80℃)이 되도록 하는 사용량이 바람직하다. 또한, 올리고머(b)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미만이면 점착제의 접착성이 저하되고, 그 결과 들림/박리 방지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러한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라이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바이닐 아세테이트, 바이닐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바이닐 에스터계 단량체;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함유 단량체;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렌, 뷰타다이엔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바이닐 에터 등의 바이닐 에터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올리고머(b)에 있어서, 공중합성 단량체로서, 헥산다이올 다이(메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티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다이바이닐벤젠, 뷰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성 단량체를 추가로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로서, 하나 이상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예컨대,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및 N,N-다이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뷰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하이드록시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N-치환)아마이드계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함유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 이상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고온에서 점착제 황변의 원인이 되므로 이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올리고머(b)는, 공지 또는 관용의 중합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머(b)의 중합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용액 중합방법, 유화 중합방법, 괴상 중합방법이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중합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용액 중합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올리고머(a)의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또는 관용의 것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메틸뷰티로나이트릴),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세인-1-카보나이트릴), 2,2'-아조비스(2,4,4-트라이메틸펜테인), 다이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 벤조일 퍼옥사이드, t-뷰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다이-t-뷰틸 퍼옥사이드, t-뷰틸 퍼옥시벤조에이트, 다이큐밀 퍼옥사이드, 1,1-비스(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t-뷰틸퍼옥시)사이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의 경우는, 유용성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보통의 사용량이면 좋고, 예컨대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15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컨대 2-머캅토에탄올, 라우릴 머캅탄, 글라이시딜 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에틸헥실 싸이오글리콜레이트, 2,3-다이머캅토-1-프로판올, α-메틸스타이렌 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예컨대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15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으로서는, 각종 일반 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 로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n-뷰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터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세인, n-헵테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머(b)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이상 6000 이하(3000 내지 6000)인 것이 중요하다. 올리고머(b)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3300 내지 5500(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5000)이다.
올리고머(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나 연쇄 이동제의 종류나 그 사용량, 중합시 온도나 시간 등의 중합 조건, 단량체 농도, 단량체 적하 속도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중합체(a)나 올리고머(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GPC 측정 장치로서, 상품명「HLC-8120 GPC」(도소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폴리스타이렌 환산치에 의해 다음 GPC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GPC의 측정 조건
·샘플농도: 0.2중량%(테트라하이드로퓨란용액)
·샘플주입량: 10㎕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유량: 0.6 ㎖/분
·컬럼 온도(측정 온도): 40℃
·컬럼: 상품명「TSKgelSuperHM-H/H4000/H3000/H2000」(도소주식회사제)
·검출기: 시차 굴절계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상기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서, 아크릴계 중합체(a) 대 올리고머(b)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올리고머(b)는 아크릴계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중량부)의 비율로 이용할 수 있다. 올리고머(b)의 비율이, 아크릴계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이면, 올리고머(b)의 첨가에 의한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고, 35중량부를 초과하면 아크릴계 중합체(a)에 의한 점착 특성에 크게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아크릴계 중합체(a)와 올리고머(b) 이외에, 필요에 따라, 가교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노화방지제, 박리조정제, 점착부여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교제를 이용하여, 아크릴계 중합체(a)나 올리고머(b)를 가교시키는 것에 의해, 점착제로서의 응집력을 한층 증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와 동시에, 가교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방법으로서는, 가열 가교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가교제에는 종래 공지된 것이 널리 포함된다. 가교제로서는, 특히 다작용성 멜라민 화합물,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작용성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틸화 트라이메틸올멜라민, 뷰틸화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다이글라이시딜아닐린, 글리세롤 다이글라이시딜에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과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과 헥사메틸렌디이소사이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폴리에터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아크릴계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0.001 내지 20중량부(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a)와 올리고머(b)와, 필요에 따라, 가교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거나, 또한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점착제층이, 상기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투명 점착제층으로 되어 있다. 즉, 투명 기재의 각각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투명 점착제층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즉, 한 쪽 또는 양쪽)의 투명 점착제층이,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투명 점착제 층 중 적어도 어느 한 편의 투명 점착제층이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양쪽의 투명 점착제층이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2개의 투명 점착제층 중 하나의 투명 점착제층만이,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다른 면의 투명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투명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를 함유하고 올리고머(b)는 함유하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 등의 공지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각 투명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5 내지 1000㎛(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또한, 각 투명 점착제층은, 단층 구성 또는 다층 구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투명 기재)
투명 기재로서는, 투명한 기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폴 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등의 폴리에스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폴리설폰, 폴리아릴레이트, 상품명「아톤(Arton)(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JSR사 제품)」, 상품명「제오노아(Zeonor)(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니폰제온사 제품)」등의 플라스틱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필름 또는 시이트(포괄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으로 칭하기도 함)는 투명 기재로서 사용된다. 고도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 투명 기재로서 사용하기 바람직하다.
이들 투명 플라스틱 기재 중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한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다. 즉, 투명 기재로서, 고온이나 고온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투명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PET 필름 또는 시이트가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4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4 내지 25㎛)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는 단층 및 복층의 어느 형태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투명 기재의 표면에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밑칠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의 적당한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 점착제층의 보호를 목적으로 각 투명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가 겹쳐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 으며 공지된 박리 라이너로부터가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다른 층(예컨대, 중간층, 하지층 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우수한 투명성을 가져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구성하는 기재나 점착재로서, 투명성을 갖는 것(투명 기재, 투명 점착제층)이 사용되고 있다.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가시광 영역에서 측정한 총 광 투과율(JIS K 7361에 준함)이 85%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인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헤이즈(JIS K 7136에 준함)로서는, 예컨대 2.0% 이하(바람직하게는 1.5%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보통의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기재의 각각의 면에 소정의 점착제 조성물(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각각 건조 후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직접 도공하는 방법, 소정의 점착제 조성물(올리고머-함유 아크릴형 점착제 조성물) 및 다른 점착제 조성물 등을 건조 후의 두께가 소정 두께가 되도록, 소정의 박리처리면 상에 1장 또는 2장의 세퍼레이터에 도공하여, 2장의 투명 점착제층을 각각 형성한 후, 각 투명 점착제층을 투명 기재의 소정 면으로 전사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을 조합한 방법(구체적으로는, 한 편의 투 명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투명 기재의 소정 면에 직접 도공하여 형성하고, 다른 편의 투명 점착제층은 세퍼레이터 상에 형성한 것을 투명 기재의 소정의 면에 전사하여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에 있어서는, 관용의 코터, 예컨대 그라비어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스프레이 코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는, 적절히 폭을 절단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한다. 이러한 롤 형상으로 권취된 형태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2장의 투명 점착제층이 2장의 박리 라이너로 각각 보호될 수 있거나, 또는 양면이 박리 처리면으로 된 1장의 박리 라이너로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상기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투명 점착제층을 갖거나, 기재 등도 투명성을 가져 우수한 투명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색조 변화를 야기하는 성분(예컨대, 아크릴계 중합체(a) 또는 올리고머(b)에서의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질소원자-함유 단량체 등)을 이용함으로써, 색조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높은 투명성 및 색조 변화 방지성을 장기간 고도로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상기 투명 점착제층을 통해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의 피착제에 접착된 경우,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으로부터 발생한 기체(발포)에 의한 접착 계면에서 들림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특성 등의 들림/박리 방지성(내발포박리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 에서 발생한 기포(발포)에 의해 발생하는 접착 계면에서의 들림 또는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장기간의 접착 신뢰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더구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투명 기재를 갖는 기재 부착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이기 때문에,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되는 터치 패널(예컨대, F/F/P 타입의 터치 패널 등) 등의 피착체에 휨을 발생시키는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피착체 대해 휨을 발생시키기 않는 등의 휨 방지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투명 플라스틱 기판의 두께가 얇고 F/F/P 타입의 터치 패널 등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이용되는 터치 패널에 대해 휨을 발생시키는 가혹한 조건하(구체적으로는 고온이나 고온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터치 패널에 대해 발생하는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F/F/P 타입의 터치 패널 등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종래에 사용되는 것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 배치된 2장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이, 투명 보강판으로서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적층된 형태의 터치 패널(투명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을 제조할 때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에서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부착하는데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유용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사용되고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5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간단히,「터치 패널」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51은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 배치된 구성을 갖는 2장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터치 패널 본체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51a는 상부측의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51b는 하부측의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51c는 접착층, 51d는 은 페이스트 층, 52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며, 1 내지 4는, 상기와 같이, 각각 1은 투명 양면 점착 시이트, 2는 투명 기재, 3은 투명 점착제층, 4는 투명 점착제층이다. 도 2에 도시된 터치 패널(5)에서는, 터치 패널 본체부(51)가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1)를 통해 투명 플라스틱 기판(52)에 적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1)에 있어서, 2개의 투명 점착제층(3, 4) 중 적어도 투명 점착제층(4)이 상기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투명 점착제층이고, 이 투명 점착제층(4)이 투명 플라스틱 기판(52)에 접촉되어 투명 양명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1)가 투명 플라스틱 기판(52)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점착제층(3)은 상기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또는 다른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투명 점착제층이고, 터치 패널 본체부(51)(즉, 터치 패널 본체부(51)에서의 하부측의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51b))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본체부(51)는 2장의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51a, 51b)이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 배치된 형태로 접착층(51c), 은 페이스트 층(51d)과 함께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상기 올리고머-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투명 점착제층이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부착되는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로서는, 도 2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 배치된 2장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이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적층된 형태의 터치 패널(즉, 이른바 「F/F/P 타입」의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즉, 「F/F/P 타입」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 배치된 2장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한 면에 전도성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 2장의 투명 전도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전도성 PET)이 전도성층 형성면 끼리 대향하는 형태로 배치(대향 배치)되고, 접착층 및 은 페이스트 층을 통해 적층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전도성 PET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의 한 면에 전도성층으로서 투명 전도막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투명 전도막으로서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에 의한 투명 박막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측의 전도성 PET는 상부 전극이고, 하부측의 전도성 PET은 하부 전극이다.
또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 아크릴 수지제 투명 기판(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클레이트)제 투명 기판 등), 폴리에스터제 투명 기판(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투명 기판), 트라 이아세틸셀룰로스제 투명 기판 등을 들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이 바람직하다.
투명 플라스틱 기판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 기판은 단층의 형태를 갖거나, 다층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투명 플라스틱 기판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의 것보다 얇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의 두께로서는 예컨대 100㎛ 내지 3.0㎜(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서는 종래 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이용하여도 그 휨이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되고, 터치 패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은,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음극선관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EL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서의 터치 패널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광학 필름을 부착할 때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기판에 광학 필름을 부착할 때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이용하면, 고온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 투명 기판 또는 광학 필름 등으로부터 기포가 발생하여도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계면에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들림/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접착성으로 투명 기판과 광학 장치를 접착시킬 수 있고, 더구나 광학 필름의 우수한 시인성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외관 불량도 야기하지 않는다.
상기 광학 필름으로서는 광학 특성을 갖는 필름(또는 시이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필름 도광 필름, 반사 방지 필름, 전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을 적층시킨 투명 기판으로서는, 예컨대 투명 플라스틱 기판, 투명 유리 기판 등이 이용된다.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 아크릴 수지제 투명 기판(예컨대 폴리(메틸렌 메타크릴레이트)제 투명 기판 등), 폴리에스터제 투명 기판(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투명 기판 등),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제 투명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유리 기판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각종 유리재에 의한 유리제 투명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기판(투명 플라스틱 기판, 투명 유리 기판 등)으로서는 예컨대 터치 패널 및 각종 표시 패널(각종 디스플레이에서의 스크린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로서는 액정 패널 이외에 음극선관 표시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시 패널, EL 디스플레이의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을 투명 기판에 부착한 제품 또는 장치는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장치의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음극선관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EL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1]
단량체 성분으로서 뷰틸 아크릴레이트 97중량부, 아크릴산 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3부, 및 중합 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233.8중량부를 분리형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3℃로 가열하고, 10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농도가 30중량%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A」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득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A에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중합체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50,000이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2]
단량체 성분으로서 뷰틸 아크릴레이트 94중량부, 아크릴산 6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2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중량%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B」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득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B에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중합체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700,000이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3]
단량체 성분으로서 뷰틸 아크릴레이트 80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아크릴산 5중량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중량%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득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C에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중합체 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0,000이었다.
[올리고머의 제조예 1]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단독중합체(폴리(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66℃] 96중량부 및 아크릴산 4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2-머캅토에탄올 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20중량부를 분리형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70℃로 가열하고, 3시간 반응시키고, 추가로 75℃에서 2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농도가 50중량%인 올리고머 용액(「올리고머 용액 A」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득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용액 A에서의 올리고머(「올리고머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이었다.
[올리고머의 제조예 2]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단독중합체(폴리(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66℃] 94중량부 및 아크릴산 6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α-메틸스타이렌 다이머 10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 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10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20중량부를 분리형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85℃로 가열하고, 5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농도가 50중량%인 올리고머 용액(「올리고머 용액 B」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득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용액 B에서의 올리고머(「올리고머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300이었다.
[올리고머의 제조예 3]
연쇄 이동제로서 2-머캅토에탄올 1.5중량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올리고머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형분 농도가 50중량%인 올리고머 용액(「올리고머 용액 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득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용액 C에서의 올리고머(「올리고머 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100이었다. 즉, 올리고머 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00 초과이었다.
[올리고머의 제조예 4]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단독중합체(폴리(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66℃] 100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2-머캅토에탄올 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20중량부를 분리형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70℃로 가열하고, 3시간 반응시키고, 추가로 75℃에서 2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농도가 50중량%인 올리고머 용액(「올리고머 용액 D」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 득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용액 D에서의 올리고머(「올리고머 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700이었다. 따라서, 올리고머 D에서는 단량체 성분으로 카복실-함유 단량체가 이용되지 않았다.
[올리고머의 제조예 5]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단독중합체(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65℃] 97중량부 및 아크릴산 3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2-머캅토에탄올 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20중량부를 분리형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70℃로 가열하고, 3시간 반응시키고, 추가로 75℃에서 2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농도가 50중량%인 올리고머 용액(「올리고머 용액 E」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수득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용액 E에서의 올리고머(「올리고머 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500이었다. 따라서, 올리고머 E에서는 단량체 성분으로 환형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이용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1 내지 3 및 올리고머의 제조예 1 내지 5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중합체 A 내지 C) 및 올리고머(올리고머 A 내지 E)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GPC 측정 장치로서, 상품명「HLC-8120 GPC」(도소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폴리스타이렌 환산치에 의해 다음 GPC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GPC의 측정 조건
·샘플농도: 0.2중량%(테트라하이드로퓨란용액)
·샘플주입량: 10㎕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유량: 0.6 ㎖/분
·컬럼 온도(측정 온도): 40℃
·컬럼: 상품명「TSKgelSuperHM-H/H4000/H3000/H2000」(도소주식회사제)
·검출기: 시차 굴절계
(실시예 1)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A 100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올리고머 용액 A 20중량부(고형분), 가교제로서 상품명「테트라드(Tetrad) C」(미츠비시가스 화학사제: 4작용성 에폭시 가교제) 0.05중량부(고형분)를 혼합하여 점착제 용액(「점착제 용액 A」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하였다. 이 점착제 용액 A를 한 면에 박리 처리가 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의 박리처리면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5㎛가 되도록 커튼 코팅하고, 130℃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하여 투명 점착제층(「투명 점착제층 A」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점착제층 A 상에 두께가 25㎛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전광선 투과율: 90.0%, 헤이즈: 1.3%, 「기재 A」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적층하고, 추가로 기재 A 상에 점착제 용액 A를 투명 점착제층 A에서와 같이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5㎛가 되도록 커튼 코팅하고, 130℃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하여 투명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를 50℃에서 72시간 에이징함으로써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시이트는 기재 부착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실시예 2)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B 100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올리고머 용액 B 20중량부(고형분), 가교제로서 상품명「테트라드 C」(미츠비시가스 화학사제: 4작용성 에폭시 가교제) 0.05중량부(고형분)를 혼합하여 점착제 용액(「점착제 용액 B」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하였다. 이 점착제 용액 B를 이용하고 기재 A 대신 두께가 12㎛인 PET 필름(전광선 투과율: 90.0%, 헤이즈: 1.3%, 「기재 B」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시이트는 기재 부착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실시예 3)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A 100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상품명「테트라드 C」(미츠비시가스 화학사제: 4작용성 에폭시 가교제) 0.05중량부(고형분)를 혼합하여 점착제 용액(「점착제 용액 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점착제 용액 A를 한 면에 박리 처리가 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의 박리 처리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5㎛가 되도록 커튼 코팅하고, 130℃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하여 투명 점착제층(투명 점착제층 A)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점착제층 A에 기재 B[PET 필름(전광선 투과율: 90.0%, 헤이즈: 1.3%, 두께: 12㎛)]을 적층시키고, 추가로 기재 B 상에 상기 점착제 용액 C를 투명 점착제층 A에서와 동일하게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5㎛가 되도록 커튼 코팅하고, 130℃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하여 투명 점착제 층(「투명 점착제층 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형성하고, 추가로 50℃에서 72시간 에이징함으로써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시이트는 기재 부착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실시예 4)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C 100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올리고머 용액 A 20중량부(고형분), 가교제로서 상품명「테트라드 C」(미츠비시가스 화학사제: 4작용성 에폭시 가교제) 0.05중량부(고형분)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용액(「점착제 용액 D」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용액 D를 이용하고 기재 A 대신 기재 B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시이트는 기재 부착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비교예 1)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B 100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올리고머 용액 C 20중량부(고형분), 가교제로서 상품명「테트라드 C」(미츠비시가스 화학사제: 4작용성 에폭시 가교제) 0.05중량부(고형분)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용액(「점착제 용액 E」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용액 E를 이용하고 기재 A 대신 기재 B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시이트는 기재 부착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비교예 2)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B 100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올리고머 용액 D 20중량부(고형분), 가교제로서 상품명「테트라드 C」(미츠비시가스 화학사제: 4작용성 에폭시 가교제) 0.05중량부(고형분)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용액(「점착제 용액 F」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용액 F를 이용하고 기재 A 대신 기재 B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시이트는 기재 부착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비교예 3)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B 100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올리고머 용액 E 20중량부(고형분), 가교제로서 상품명「테트라드 C」(미츠비시가스 화학사제: 4작용성 에폭시 가교제) 0.05중량부(고형분)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용액(「점착제 용액 G」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용액 G를 이용하고, 기재 A 대신 기재 B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시이트는 기재 부착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점착제 용액 A를 한 면에 박리 처리가 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의 박리 처리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5㎛가 되도록 커튼 코팅하고, 130℃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하고, 추가로 50℃에서 72시간 에이징함으로써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점 착 시이트는 무기재 타입 양면 점착 시이트이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수득된 각 점착 시이트에 대하여, 투명성, 들림/박리 방지성, 휨 방지성을 하기 측정방법 또는 평가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투명성 평가방법)
각 점착 시이트를 슬라이드 글라스(상품명「S-1111」 마츠나미(MATSUNAMI)사 제품)에 적층하여, 점착제층/슬라이드 글라스의 층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의 헤이즈값(%)을, 헤이즈미터(장치 상품명「HM-150」 무라카미(Murakami)색채기술연구소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헤이즈값(%)은, 「[확산투과율(%)/전광선투과율(%)]×100」의 식을 이용하여 구했다. 또한, 슬라이드 글라스만의 헤이즈값(%)은 0.4(%)였다.
(들림/박리 방지성 평가방법)
각 점착 시이트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88㎛: PET 필름)에 적층한 후, 이를 폴리카보네이트판(두께: 1㎜; PC 판)에 부착 고정하여, PET 필름/점착 시이트/PC 판의 층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조했다. 이 시험편을 70℃ 오븐에 5시간 투입함으로써 내열성 시험을 했다. 이 내열성 시험 후, 육안으로 접착 계면(점착제층과 폴리카보네이트판의 계면)에 외관 결점이 되는 기포나 들림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기준>
A: 기포 또는 들림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B: 기포 또는 들림이 조금이더라도 관찰되었다.
(휨 방지성 평가방법)
각 점착 시이트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25㎛, PET 필름)에 적층시킨 후, 이를 폴리카보네이트판(두께: 0.5㎜; PC 판)에 부착 고정하여, PET 필름/점착 시이트/PC 판의 층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조했다. 이 시험편을 60℃× 95% RH의 항온항습기, 70℃의 항온기내에 각각 250시간 위치시키고, 꺼내어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PC 판의 휨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휨의 수치는 시험편을 평면 상에 두었을 때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떠 있는 최대 높이(즉, 시험편이 있는 평면과, 시험편의 평면과 마주하는 면 사이의 간격중 최대 간격)로 하였다.
<평가 기준>
A: 어느 조건하(60℃×95% RH 및 70℃)에서도 휨이 0.5㎜ 미만이었다.
B: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하(60℃×95% RH 및/또는 70℃)에서 휨이 0.5㎜ 이상 1.0㎜ 이하이었다.
C: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하(60℃×95% RH 및/또는 70℃)에서 휨이 1.0㎜초과이었다.
Figure 112005012803148-PAT00001
표 1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기재 부착 타입 점착 시이트는 투명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들림/박리 방지성 및 휨 방지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고온이나 고온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우수한 접착성으로 피착체와의 양호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피착체에 들림이 전혀 또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두께가 얇은 피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의 실시양태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투명성이 우수하고, 들림/박리 방지성 및 휨 방지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을 제조할 때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점착제층이,
    (a)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내지 900,000인 아크릴계 중합체, 및
    (b) 단독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내지 190℃이며 또한 환상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종 이상을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1종 이상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6000인 올리고머
    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b)의 비율이 아크릴계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 각각에서의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아크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가 단량체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질소원자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헤이즈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6.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 형태의 터치 패널로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의 2개의 투명 점착제층 중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올리고머(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투명 점착제층이 투명 플라스틱 기판과 접촉되도록 투명 플라스틱 기판에 적층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폴리카보네이트제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KR1020050020240A 2004-03-12 2005-03-10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터치 패널 KR101130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0501A JP4515118B2 (ja) 2004-03-12 2004-03-12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JP-P-2004-00070501 2004-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847A true KR20060043847A (ko) 2006-05-15
KR101130933B1 KR101130933B1 (ko) 2012-03-30

Family

ID=3482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240A KR101130933B1 (ko) 2004-03-12 2005-03-10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202238A1 (ko)
EP (1) EP1574557B1 (ko)
JP (1) JP4515118B2 (ko)
KR (1) KR101130933B1 (ko)
CN (1) CN100412154C (ko)
AT (1) ATE386092T1 (ko)
DE (1) DE602005004680T2 (ko)
PL (1) PL1574557T3 (ko)
TW (1) TWI277644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263A2 (ko) 2010-04-05 2011-10-13 ㈜엘지하우시스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터치 패널
WO2012070791A3 (ko) * 2010-11-22 2012-09-27 (주)엘지하우시스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표시장치
KR20140031920A (ko) * 2011-05-02 2014-03-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KR101385844B1 (ko) * 2010-10-20 2014-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KR20170113803A (ko) * 2016-03-25 2017-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1925B2 (en) 2004-03-08 2010-04-06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nd surface protecting film
TWI387629B (zh) 2004-07-26 2013-03-01 Nitto Denko Corp 壓感黏合劑組成物、壓感黏合片及表面保護膜
JP2006232882A (ja) * 2005-02-22 2006-09-07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
JP4358190B2 (ja) 2005-03-16 2009-11-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258719B1 (ko) 2005-05-20 2013-04-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표면 보호 필름
DE102005027350A1 (de) * 2005-06-13 2006-12-14 Tesa Ag Doppelseitige Haftklebebänder zur Herstellung bzw. Verklebung von LC-Displays mit lichtabsorbierenden Eigenschaften
JP2007051271A (ja) * 2005-07-21 2007-03-01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両面粘着テープ、接着方法及び携帯用電子機器
TWI384049B (zh) 2005-09-05 2013-02-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JP4837360B2 (ja) * 2005-10-27 2011-12-14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両面粘着フィルム
JP5382841B2 (ja) * 2005-10-31 2014-01-08 日東電工株式会社 導電性積層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用電極板、タッチパネルおよび導電性積層フィルム用粘着剤
US20100316816A1 (en) * 2005-12-02 2010-12-16 Tesa S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displays having light-reflecting and absorbing properties
JP5219359B2 (ja) * 2006-02-21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85145B2 (ja) * 2006-03-15 201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262234A (ja) * 2006-03-28 2007-10-11 Daio Paper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電子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US20080220194A1 (en) * 2007-03-08 2008-09-11 Ross Alan Spalding Burnham Kit for adhesive products
JP5118880B2 (ja) 2007-05-08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製品、ディスプレイ
US7764344B2 (en) * 2007-07-12 2010-07-27 Brian Yi Ruggedized and high-brightness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2007062447A1 (de) * 2007-12-20 2009-06-25 Tesa Ag Doppelseitiges Haftklebeband für Flüssigkristallanzeigesysteme
JP5428158B2 (ja) * 2007-12-27 2014-02-26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4813509B2 (ja) 2008-03-13 2011-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固定方法
JP2009256607A (ja) * 2008-03-17 2009-11-05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層、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539630B2 (ja) * 2008-08-04 2014-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発泡体の固定方法および積層体
WO2010024192A1 (ja) * 2008-08-25 2010-03-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インプット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JP5242331B2 (ja) 2008-10-16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5199917B2 (ja) * 2009-02-25 2013-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型機能性フィルム
JP2010254956A (ja) * 2009-03-30 2010-11-11 Dic Corp 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4994413B2 (ja) * 2009-04-01 2012-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的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粘着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1723375B1 (ko) * 2009-05-26 2017-04-05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JP5679641B2 (ja) * 2009-06-26 2015-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DE102009031421A1 (de) * 2009-07-01 2011-01-05 Tesa Se Verwendung von Haftklebebändern
JP5541707B2 (ja) * 2009-08-19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
JP5443917B2 (ja) * 2009-09-18 2014-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絶縁テープ
JP5368249B2 (ja) 2009-10-20 2013-12-1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5578835B2 (ja) * 2009-11-16 2014-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5544853B2 (ja) * 2009-12-09 2014-07-09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
JP5484104B2 (ja) * 2010-01-29 2014-05-0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5981686B2 (ja) * 2010-02-18 2016-08-3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光学用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36538B2 (ja) 2010-03-10 2016-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US20120156456A1 (en) * 2010-03-14 2012-06-21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double-sided self-adhesive sheet
KR101585270B1 (ko) 2010-03-16 2016-01-13 (주)엘지하우시스 점착 필름 및 터치패널
KR101824274B1 (ko) 2010-03-25 2018-01-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KR101591105B1 (ko) * 2010-04-06 2016-02-02 (주)엘지하우시스 터치 패널용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542285B1 (ko) 2010-10-20 2015-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KR101576689B1 (ko) * 2010-11-24 2015-12-10 (주)엘지하우시스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768718B1 (ko) * 2010-11-24 2017-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TWI447192B (zh) * 2010-11-24 2014-08-01 Lg Hausys Ltd 觸控面板用黏結劑組合物、黏結薄膜及觸控面板
TWI457652B (zh) 2011-05-12 2014-10-21 Wistron Corp 全平面觸控面板
EP2722736B1 (en) * 2011-07-19 2018-07-11 LG Chem, Ltd. Touch panel
KR101595146B1 (ko) * 2011-07-19 2016-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패널
KR101279486B1 (ko) * 2011-08-17 2013-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CN104093806B (zh) * 2011-11-18 2017-04-05 3M创新有限公司 压敏粘合剂组合物
JP5898505B2 (ja) * 2012-01-20 2016-04-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硬質平面板貼合用樹脂シート、積層体及び表示体
JP2013155313A (ja) * 2012-01-31 2013-08-15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基材用粘着シート
JP2013163781A (ja) * 2012-02-13 2013-08-22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KR20130131795A (ko) * 2012-05-24 2013-12-04 (주)엘지하우시스 유연도가 높은 점착 조성물
KR101404399B1 (ko) * 2012-05-30 2014-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EP2898356B1 (en) * 2012-09-20 2017-0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structured film comprising nanoparticles and monomer comprising alkylene oxide repeat units
WO2014136765A1 (ja) 2013-03-05 2014-09-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粘着テープ、及び、両面粘着テープ
JP6021716B2 (ja) * 2013-03-29 2016-1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粘着剤組成物
EP2803712A1 (en) * 2013-05-17 2014-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ssembly
CN103525327A (zh) * 2013-10-24 2014-01-22 天津恩特斯电子有限公司 紫外线硬化膜
JP6287331B2 (ja) * 2014-02-28 2018-03-07 東亞合成株式会社 粘着付与剤、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N106459708B (zh) 2014-03-26 2018-11-23 3M创新有限公司 紫外固化型(甲基)丙烯酸酯压敏粘合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0854352B1 (en) * 2014-10-22 2020-12-01 University Of South Florida Conducting films and methods for forming them
WO2016076265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フィルム、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並びに自動車ホイール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
US20160137884A1 (en) * 2014-11-18 2016-05-19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6352196B2 (ja) * 2015-01-23 2018-07-0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248996B2 (ja) * 2015-09-07 2017-12-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学部材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7132871A (ja) * 2016-01-27 2017-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部材、光学部材、および電子部材
US9988830B2 (en) 2016-03-03 2018-06-05 Dan Raz Ltd. Latch arrangement having a handle
DE102018204661A1 (de) * 2018-03-27 2019-10-02 Tesa Se Methacrylatoligomere für Haftklebmassen
DE102018208542A1 (de) * 2018-05-30 2019-12-05 Tesa Se Mehrschichtiges Klebeband mit Harz-modifizierter Haftklebmasse
KR20200098401A (ko) * 2019-02-12 2020-08-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보강 필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보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82A (ja) * 1981-07-16 1983-01-26 Nippon Carbide Ind Co Ltd 感圧接着剤層
JPH0431480A (ja) * 1990-05-28 1992-02-03 Soken Kagaku Kk アクリル系感圧接着剤組成物
JP3533589B2 (ja) * 1997-04-09 2004-05-3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DE69819655T2 (de) * 1997-05-13 2004-10-07 Soken Kagaku Kk Klebstoffzusammensetzung
JP2000073025A (ja) * 1998-08-26 2000-03-07 Sony Chem Corp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3590530B2 (ja) * 1998-09-10 2004-11-17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00109771A (ja) * 1998-10-07 2000-04-18 Lintec Corp 粘着シート
JP5135494B2 (ja) * 1999-12-22 2013-02-06 綜研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11423B1 (ko) * 2000-03-14 2007-05-0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점착시트 및 점착성 광학부재
TW554025B (en) * 2000-04-13 2003-09-21 Lintec Corp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optical elements using thereof
JP4788937B2 (ja) * 2001-05-07 2011-10-05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
JP3880418B2 (ja) * 2002-02-21 2007-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JP4151828B2 (ja) * 2002-05-29 2008-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3907611B2 (ja) * 2003-06-23 2007-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263A2 (ko) 2010-04-05 2011-10-13 ㈜엘지하우시스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터치 패널
KR101385844B1 (ko) * 2010-10-20 2014-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US9556364B2 (en) 2010-10-20 2017-01-31 Lg Chem,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WO2012070791A3 (ko) * 2010-11-22 2012-09-27 (주)엘지하우시스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표시장치
KR101393778B1 (ko) * 2010-11-22 2014-05-13 (주)엘지하우시스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표시장치
US10479912B2 (en) 2010-11-22 2019-11-19 Lg Chem, Ltd.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display device for touch panel including same
KR20140031920A (ko) * 2011-05-02 2014-03-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KR101880327B1 (ko) * 2011-05-02 2018-07-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US10308844B2 (en) 2011-05-02 2019-06-0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70113803A (ko) * 2016-03-25 2017-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4680D1 (de) 2008-03-27
KR101130933B1 (ko) 2012-03-30
CN100412154C (zh) 2008-08-20
JP4515118B2 (ja) 2010-07-28
CN1667068A (zh) 2005-09-14
US20050202238A1 (en) 2005-09-15
TW200535212A (en) 2005-11-01
ATE386092T1 (de) 2008-03-15
DE602005004680T2 (de) 2008-06-05
PL1574557T3 (pl) 2008-07-31
EP1574557A1 (en) 2005-09-14
JP2005255877A (ja) 2005-09-22
TWI277644B (en) 2007-04-01
EP1574557B1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933B1 (ko)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및 터치 패널
JP3907611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JP5199917B2 (ja) 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型機能性フィルム
KR102082517B1 (ko)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방사선 경화형 점착 시트 및 적층체
KR101512856B1 (ko)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및 플라스틱 필름의 고정 방법
US10308844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393778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표시장치
KR101315613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및 디스플레이
US2013011545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optical member adhesion
US20140134432A1 (en) Adhesive agent composition, adhesive agent layer, and adhesive sheet
US20140093726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nd adhesive sheet
TW201343832A (zh) 黏著劑、黏著劑層、及黏著片
TW201317314A (zh) 黏著劑、黏著劑層、及黏著片材
KR20090026095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제품, 디스플레이
JP5615689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並びに光学部材
WO2013099493A1 (ja)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30090837A (ko)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JP6306679B2 (ja) 放射線硬化型粘着剤、放射線硬化型粘着剤層、放射線硬化型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20120121860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