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938A -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938A
KR20060041938A KR1020050012229A KR20050012229A KR20060041938A KR 20060041938 A KR20060041938 A KR 20060041938A KR 1020050012229 A KR1020050012229 A KR 1020050012229A KR 20050012229 A KR20050012229 A KR 20050012229A KR 20060041938 A KR20060041938 A KR 20060041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veloper
unit
ton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532B1 (ko
Inventor
히로아키 구마이
기요시 나가미네
히데아키 다나카
히로 소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 또는 화상 농도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이용해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 등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검출한다. 이들의 검출 결과에 의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의 현상제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초기화한다.
화상 형성 장치, 화상 농도 센서, 토너 카트리지, 교환 유닛, 현상제

Description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TTACHED WITH REPLACEABL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교환 가능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4는 토너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방향 및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현상 장치 유닛의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 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통신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메모리 칩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부 및 메모리 칩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화상 담지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 및 제어부에 접속되는 각 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프로그램 ROM, 본체 NVM 및 유닛 NVM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예시하는 메모리 맵.
도 16은 본체 NVM에 기억된 사용량(수명 카운트값)에 대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7은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설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 농도의 설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설정에 의해 보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보정된 토너 농도를 나타내고, (b)는 보정된 화상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9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 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10).
도 20은 토너 카트리지가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유닛 교환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20).
도 21은 유저가 순정품 이외의 것에 대해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가 행하는 순정품 이외의 것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30).
도 22는 유저가 순정품에 대해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가 행하는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40).
도 23은 제어부가 화상 농도를 조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50).
도 24의 (a) 내지 (d)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에 있어서, UI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UI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유저에 의한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의 선택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이고, (b)는 유저에 의한 순정품 이외의 것에 대한 동작 모드의 선택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
도 26은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60).
도 27은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유닛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70).
도 28은 화상 농도의 변화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가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시스템
2 : 호스트 장치
3 : 네트워크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8 : UI 장치
48 : 현상 장치
52 : 토너 카트리지
53 : 토너 카트리지 착탈용 공간
54 : 화상 담지체
56 : 무선 통신부
74 : 중간 전사체
90 : 화상 농도 센서
106 : 제어부
108 : 화상 담지체 유닛
110 : 화상 형성 유닛
118 : 제 1 오거
120 : 제 2 오거
122 : 제 3 오거
170 : 메모리 칩
184 : 유닛 NVM
202 : CPU
224 : 프로그램 ROM
228 : 본체 NV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교환 유닛이 교환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장착된 것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 소모품 등을 포함하는 유닛을 유저에 의해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유저에 의해서 교환된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순정품 이외의 것인 경우, 화질의 저하 등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것, 동작을 보증 할 수 없는 것, 또는, 고장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있다.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의 특성, 화상 담지체의 특성, 대전 전압, 클리닝 특성 및 정착 특성 등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질을 유지하고,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JP-A-10-133528호 공보에서는, 순정 교환 부품에 소모품의 소모량 데이터를 유지하는 데이터 캐리어를 설치하고,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소모량 검출부가 검출한 소모량과, 데이터 캐리어가 유지하는 사용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소모품이 순정 교환 부품으로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A-6-149051호 공보에서는, 토너 카트리지에 미리 정해진 코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설치하고, 복사기 본체측이 기억 수단으로부터 미리 정해둔 코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을 때는 복사를 금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A-2001-100598호 공보에서는, 토너 소진이 검출된 경우에 카트리지에 기입된 비어 있음(empty) 정보가, 토너를 보충한 카트리지로부터 판독되면, 경고 표시와 프린트 금지를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제2602341호 공보에서는, 작성된 이미지의 카운트를 카트리지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카트리지로 작성 가능한 이미지 수를 표시하는 프리셋(pre-set) 종료 카운트와 작성된 이미지의 카운트가 동일한 경우에, 카트리지를 이후 사용 불능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제3476704호 공보에서는, 토너 보급 용기의 용기측 통신 수단과, 장치 본체의 본체측 통신 수단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장착된 토너 보급 용기가 부적합하다고 판정되고, 또한 부적합인 것을 무시하여 보급 처리를 계속하는 것이 선택 입력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경우, 적정한 화상 형성 조건보다도 낮은 레벨의 화상 형성 조건을 설정하고, 토너 보급 용기가 부적합한 것을 발견하기 쉽게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JP-A-2-81056호 공보에서는, 소모품에 구비된 불휘발성 메모리에 소 모품의 소모 정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입해, 소모품의 수명 관리를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이 장착되어도, 유저의 의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 교환 유닛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 수단과,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판별 수단과, 상기 제 1 판별 수단 및 제 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교환되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교환되어도, 교환 유닛의 초기화된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되므로, 유저의 의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식을 의미하고, 화상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제어 파라미터 뿐 만이 아니라, 입력 조건이나 출력 조건을 포함하며, 게다가 화상 형성과는 직접 관계가 없는 표시 장치로의 표시 방식도 포함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교환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도록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별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의 통신 결과에 따라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한다. 즉, 교환 유닛이 교환되어도,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판별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의 통신 결과, 상기 교환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별한다. 즉, 장치 본체측과 교환 유닛과의 사이에서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한다. 따라서, 유저는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저의 의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은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따라 화상 형성 조건을 보정하도록 제어한다. 즉,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교환되었 다고 판별된 경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따라 화상 형성 조건이 보정되므로, 유저의 의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교환 유닛의 교환 동작에 관련한 정보로부터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교환 유닛의 교환 동작에 따라,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므로, 단지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만 판별 수단을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 화상의 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화상 농도 변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화상 농도 변화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를 담지함으로써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 이력을 판별하는 사용 이력 판별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사용 이력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 및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가 현상제 화상을 전사한 후에, 상기 화상 담지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 수단과, 이 현상제 회수 수단에 의해서 회수된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현상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교환 유닛은, 상기 화상 담지체, 상기 현상제 회수 수단,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환 유닛으로서 일체로 구성된 유닛마다,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 및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어,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 및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로부터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중간 전사체와, 이 중간 전사체가 현상제 화상을 전사한 후에, 상기 중간 전사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는 중간 전사체 현상제 회수 수단과, 이 중간 전사체 현상제 회수 수단에 의해서 회수된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중간 전사체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중간 전사체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 를 판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체가 담지하는 현상제 화상을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제 1 전사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체가 담지하는 현상제 화상을 전사한 후에, 상기 화상 담지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 수단과, 상기 중간 전사체가 담지하는 현상제 화상을 전사하는 제 2 전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교환 유닛은, 상기 화상 담지체, 상기 현상 수단, 상기 제 1 전사 수단, 상기 현상제 회수 수단, 상기 중간 전사체, 상기 제 2 전사 수단 및 상기 중간 전사체 현상제 회수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환 유닛으로서 일체로 구성된 유닛마다,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 및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어,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초기화 수단에 의해 초기화된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교환 유닛의 초기화된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저의 의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초기화 수단에 의해 초기화된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조건을 보정한다. 즉,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교환되었다고 판별된 경우, 교환 유닛의 초기화된 사용량에 따라 화상 형성 조건이 보정되므로, 유저의 의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 1 판별 수단 및 제 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교환되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판별 수단 및 제 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를 표시하는 판별 결과 표시 수단과, 순정품인 교환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이 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판별 결과 표시 수단이 판별 결과를 표시한 후에, 순정품인 교환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이 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들인다. 즉, 유저는 순정품인 교환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 또는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유저의 의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1)이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PC(Personal Computer) 등의 호스트 장치(2)가 네트워크(3)를 통해 예를 들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접속됨으로써 구성된다. 호스트 장치(2)는, 예를 들면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제어 장치, 터치 패널 등의 입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3)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갖는 PC 이외의 단말기이어도 좋다. 네트워크(3)는 유선이어도 좋고, 무선이어도 좋 다. 또한, 복수의 호스트 장치(2)가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은, 호스트 장치(2)가 네트워크(3)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가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구비하고,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서 회동 지지점(14)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개폐 커버(16)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커버(16)의 정면측(도 2에 있어서 좌측)에는, 터치 패널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UI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UI 장치(18)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 정보나 지시 정보 등을 표시하는 동시에, 지시 정보 등의 유저에 의한 입력을 받아들인다. 즉, 유저는, UI 장치(18)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UI 장치(18)는, 스위치 등의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것이라도 좋고, 표시 등의 출력만을 행하는 것이라도 좋으며, 이들을 조합시킨 것이라도 좋다.
또한, 회동 지지점(14)의 근방에는, 예를 들면 개폐 커버(16)의 개폐에 따라 접촉 및 이격함으로써, 개폐 커버(16)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센서(19)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1단의 급지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다. 급지 유닛(20)은, 급지 유닛 본체(22)와, 용지가 수용되는 급지 카세트(24)를 구비한다. 급지 카세트(24)의 심단(deep end) 근방 상부에는, 급지 카세트(24)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롤(26) 및 공급되는 용지를 1매씩 처리하는 리타드 롤(2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 카세트(24)의 위쪽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30)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34)는, 급지 롤(26)로부터 배출구(36)까지의 용지 통로이며, 이 반송로(3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뒤쪽(도 2의 우측면) 근방에 위치되며, 급지 유닛(20)으로부터 후술하는 정착 장치(100)까지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반송로(34)의 정착 장치(100)의 상류측에는 후술하는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이 배치되며,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의 상류측에는 레지스트 롤(3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34)의 배출구(36) 근방에는 배출 롤(4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 유닛(20)의 급지 카세트(24)로부터 급지 롤(26)에 의해 공급된 용지는, 리타드 롤(28)에 의해 처리되어 최상부의 용지만 반송로(34)로 안내되고, 레지스트 롤(38)에 의해 일시정지되며, 올바른 타이밍에서, 후술하는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 사이를 통과하여 토너 화상이 전사되며, 이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100)에 의해 정착되어, 배출 롤(40)에 의해 배출구(36)로부터 개폐 커버(16)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42)에 배출된다. 이 배출부(42)는, 배출구 부분이 낮고, 정면 방향(도 2의 좌측 방향)을 향해 서서히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대략 중앙부에 로터리 현상 장치 등의 현상 장치 유닛(44)이 배치되어 있다. 현상 장치 유닛(44)은,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를 구비하고, 이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에는,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4개의 현상 장치(48a∼48d)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현상 장치(48a∼48d)는,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와 함께, 회전축(50)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 방향(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 장치(48a∼48d)에는, 황색(Yel1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 및 흑색(Black: K)의 토너를 수용하는 통 모양의 토너 카트리지(52a∼52d)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52a∼52d)는, 현상 장치(48a∼48d)를 통해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에 장착되면, 외면이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의 외주에 일치하게 되어 있다.
현상 장치 유닛(44)에는, 예를 들면 감광체로 이루어지는 화상 담지체(54)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배면측(도 2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현상 장치 유닛(44)에는, 풀 칼라 현상을 위해 Y, M, C, K의 4색이 준비되어 있고, 현상 장치(48a∼48d)는, 각각 화상 담지체(54)에 대향하는 위치로 회전 이동되어 위치 결정되고, 순차적으로, 화상 담지체(54)상의 잠상을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의 토너로 1색씩 현상한다.
또한, 현상 장치 유닛(44)의 회전축(50)을 가로질러 화상 담지체(54)에 대략 대향하는 위치의 근방에는, 무선 통신부(56)가 배치되어 있다. 무선 통신부(56)는 안테나(58)를 구비하며, 후술하는 메모리 칩(170)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화상 담지체(54)의 하부에는, 이 화상 담지체(54)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예를 들면 대전 롤로 이루어진 대전 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54)의 회전 방향에서 대전 장치(60)보다도 상류측에는 화상 담지체용 클리너(62)가 접 촉해 있다. 화상 담지체용 클리너(62)는, 예를 들면 일차 전사 후에 화상 담지체(54)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내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64)와, 클리닝 블레이드(64)가 긁어낸 토너를 회수하는 폐토너 회수 용기(66)로 구성된다.
또한, 폐토너 회수 용기(66)의 배면측(도 2에 있어서 우측)은, 예를 들면 리브 등이 형성되어, 용지가 원활하게 반송되도록 곡면으로 되어 반송로(34)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현상 장치 유닛(44)의 배면측 아래쪽에는, 대전 장치(60)에 의해 대전된 화상 담지체(54)에 대해, 레이저광 등의 광선에 의해서 잠상을 기입하는 노광 장치(6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장치 유닛(44)의 위쪽에는, 현상 장치 유닛(44)에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a∼52d)가 미사용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예를 들면 반사형 포토 센서 등의 미사용 검출 센서(70)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 장치 유닛(44) 및 미사용 검출 센서(70)의 위쪽에는, 중간 전사체(74)의 1회전마다 일차 전사 위치에서 1색씩 일차 전사함으로써, 중간 전사체(74)상에 4색의 토너 화상을 중첩시킨 후에, 후술하는 이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에 일괄 전사하는 중간 전사 장치(72)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장치(72)는, 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 등의 중간 전사체(74), 일차 전사 롤(76), 랩 인 롤(78), 랩 아웃 롤(80), 이차 전사 백업 롤(82), 스크레이퍼 백업 롤(84) 및 브러시 백업 롤(86)로 구성된다. 중간 전사체(74)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며, 현상 장치 유닛(44)의 위쪽에서 장변과 단변을 가지도록 대략 편평하게 걸쳐 있다. 중간 전사체(74)의 상면측의 장변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42)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걸쳐 있다. 또한, 중간 전사체(74)는, 하면측의 장변에서 일차 전사 롤(76)의 상류에 배치된 랩 인 롤(78)과, 일차 전사 롤(76)의 하류에 배치된 랩 아웃 롤(80)과의 사이에서 화상 담지체(54)에 랩(wrap)형상으로 접촉하는 일차 전사부(화상 담지체 랩 영역)를 가지고, 화상 담지체(54)의 소정의 범위만을 둘러싸서, 화상 담지체(54)의 회전에 종동한다.
더욱이, 중간 전사체(74)의 뒤쪽(도 2의 우측면)에는, 랩 아웃 롤(80) 및 이차 전사 백업 롤(82)에 의해, 평면부(단변)가 형성 되어 있고, 이 평면부가 이차 전사부로 되어 반송로(34)에 직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전사체(74)는, 일차 전사 롤(76)에 의해서 화상 담지체(54)위의 토너 화상을 예를 들면 황색, 마젠타, 시안, 흑색의 순서로 중복하여 일차 전사한다.
스크레이퍼 백업 롤(84)은,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토너를 후술하는 스크레이퍼(94)가 긁어내는 것을 보조하고, 브러시 백업 롤(86)은,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토너를 후술하는 브러시 롤(96)이 긁어내는 것을 보조한다.
중간 전사 장치(72)의 이차 전사 백업 롤(82)에는, 반송로(34)를 사이로 하여 이차 전사 롤(88)이 대향되어 있다. 즉,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의 사이가 이차 전사부에서의 이차 전사 위치로 되어 있고, 이차 전사 롤(88)은, 이차 전사 백업 롤(82)의 보조에 의해, 중간 전사체(74)에 일차 전사된 토 너 화상을 이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에 이차 전사한다. 여기서, 이차 전사 롤(88)은, 중간 전사체(74)가 3회전하는 동안, 즉 황색, 마젠타, 시안의 3색의 토너 화상을 반송하는 동안은 중간 전사체(74)로부터 이간해 있고, 흑색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면 중간 전사체(74)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의 사이에는, 소정의 전위차가 생기도록 되어 있어, 예를 들면 이차 전사 롤(88)을 고전압으로 한 경우에는, 이차 전사 백업 롤(82)은 그라운드(GND)에 접속된다.
이차 전사 위치 상류측에는, 반송로(34)를 사이로 하여 중간 전사체(74)에 대향하도록, 예를 들면 반사형 포토 센서 등의 화상 농도 센서(90)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농도 센서(90)는, 중간 전사체(74)상에 형성된 토너의 패치를 판독하고, 중간 전사체(74)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를 검출한다.
중간 전사체(74)의 화상 담지체측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는, 예를 들면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내서 클리닝하는 스크레이퍼(94), 스크레이퍼(94)에 의한 클리닝 후에 남은 토너를 더 긁어내는 브러시 롤(96), 및 스크레이퍼(94)및 브러시 롤(96)에 의해서 긁어낸 토너를 회수하는 폐토너 회수 용기(98)로 구성된다. 스크레이퍼(94)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으로 되며, 토너와는 역극성의 전압이 걸려 있다. 브러시 롤(96)은, 예를 들면 도전성 처리가 된 아크릴 등의 브러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간 전사체(74)가 토너 화상을 반송하는 동안은, 스크레이퍼(94) 및 브러시 롤(96)은, 중간 전사체(74) 로부터 이간해 있고, 소정의 타이밍에 이들이 함께 중간 전사체(74)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차 전사 위치의 위쪽에는, 정착 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100)는, 가열 롤(102)과 가압 롤(104)을 구비하고, 이차 전사 롤(88) 및 이차 전사 백업 롤(82)에 의해 용지에 이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켜, 배출 롤(40)을 향해 반송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담지체(54), 대전 장치(60) 및 화상 담지체용 클리너(62)를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0)은 화상 담지체 유닛(108), 중간 전사 장치(72), 및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를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정착 유닛(112)은 정착 장치(100) 및 배출 롤(40)을 일체화한 것이다.
도 3, 도 4에 있어서, 교환 가능 유닛(교환 유닛)을 착탈하는 방향이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유닛(11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개폐 커버(16)를 개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설치된 가이드(55a, 55b)를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의 정면측 위쪽에서 착탈된다. 또한,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형성 유닛(1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52a∼52d)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의 정면측(개폐 커버(16)측)에 설치된 토너 카트리지 착탈용 공간(53)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에, 개폐 커버(16)가 개방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 착탈용 공간(53)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정면측에서 착탈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현상 장치 유닛(44)이 정지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현상 장치(48a, 48c)가 대략 연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현상 장치(48b, 48d)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게 되어 있다. 즉, 현상 장치(48a∼48d) 중 어느 2개가 대략 연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그 외의 2개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가 현상 장치 유닛(44)의 정지 위치(홈 포지션)로 되어 있다. 현상 장치 유닛(44)이 홈 포지션에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현상제 카트리지(52a∼52d) 중 어느 것이나 토너 카트리지 착탈용 공간(53)에 대향하는 위치로 되지 않아, 현상제 카트리지(52a∼52d) 중 어느 것도 교환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현상제 카트리지(52a∼52d) 중 어느 것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교환의 대상이 되는 현상제 카트리지(52a∼52d) 중 어느 하나가 토너 카트리지 착탈용 공간(53)에 대향하는 위치(현상제 카트리지(52a∼52d)의 교환 위치)로 이동하도록, 유저가 예를 들면 UI 장치(18)를 통해 현상 장치 유닛(44)을 회전시킨 후에, 교환의 대상이 되는 현상제 카트리지(52a∼52d) 중 어느 하나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현상 장치(48a∼48d)(도 3)는 개폐 커버(16)가 개방되어 정면측(개폐 커버(16)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로부터 착탈하게 되어 있다.
정착 유닛(112)은 도시하지 않은 상부 커버를 분리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착탈하게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장치 유닛(44) 및 급지 유닛(20) 등의 다른 유닛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유닛은 유저에 의해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교환 가능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10)에 유저가 장착할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해 순정품 이외의 것이 장착되면, 양호한 화질을 유지할 수 없는 것, 또는 동작을 보증할 수 없는 것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사용되는 부재의 특성 등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유저가 교환할 수 있는 유닛 등에는, 소정의 조건을 검출하는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현상 장치(48a∼48d) 등 복수인 구성 부분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지 않고 나타내는 경우에는, 단지「현상 장치(48)」라고 약기한다.
다음에, 소정의 조건을 검출하는 센서 등을 가지는 교환 가능한 유닛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도 7에 있어서, 교환 가능한 유닛인 현상 장치(48)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현상 장치(48)는, 현상 장치 하우징(현상 장치 본체)(114)의 화상 담지체(54)측에 배치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116), 제 1 오거(118), 제 2 오거(120), 제 3 오거(122) 및 층 두께 규제 부재(124)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비자성의 토너와 자성의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성분계의 현상제를 수용한다.
현상 장치 하우징(114)은, 후술하는 토너 수용구(134) 및 현상제 배출구(140)를 개폐하는 셔터(126)와,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취해진 토너를 반송하는 통 모양의 취입 반송로(128)와,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 반송하는 통 모양의 현상제 반송로(130, 132)를 구비한다.
취입 반송로(128)는,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토너를 받아들이는 토너 수용구(134)와, 현상제 반송로(13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구(136)를 구비하고, 취입 반송로(128)내에는 제 1 오거(11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오거(118)는,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취입 반송로(128)가 받아들인 토너를 현상제 반송로(130)에 반송한다. 또한, 제 1 오거(118)의 회전이 조절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현상 장치(48)에 공급되는 토너량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오거(118)의 구동 시간 및 회전수를 후술하는 CPU(202)가 누적함으로써, 토너의 사용량(토너 카트 리트지(52)의 사용량)을 산출하게 해도 좋다. 또한, 토너의 사용량은, 노광 장치(68)가 화상 담지체(54)에 정전 잠상을 기입할 때에 흐르는 전류를 커패시터 등에 전하로서 축적하고, 축적된 전하가 소정량에 달한 횟수를 CPU(202)가 카운트함으로써 산출되어도 좋다.
취입 반송로(128)에는, 토너 수용구(134)와 토너 공급구(136) 사이에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가 설치되어 있고, 이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는, 예를 들면 취입 반송로(128)내의 두 지점 사이에서 토너의 유무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취입 반송로(128)내의 토너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한,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는 압전 소자이어도 좋다.
현상제 반송로(130)는, 토너 카트리지(52)에 잉여 현상제를 배출하는 현상제 배출구(140)를 구비하고, 현상제 반송로(130)내에는 제 2 오거(120)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오거(120)는, 취입 반송로(128)를 통해 반송된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혼 합하고, 현상제 반송로(132)에 반송한다.
현상제 반송로(132)내에는, 제 3 오거(122)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오거(122)는, 현상제 반송로(130)를 통해 반송된 현상제를 교반 반송하여, 현상 롤(116)에 공급한다.
또한, 현상제 반송로(130)와 현상제 반송로(132) 사이에는, 구획판(143)이 설치되어 있고, 구획판(143)의 양단에는, 현상제 반송로(130)와 현상제 반송로(132)를 접속하는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오거(120)와 제 3 오거(12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함으로써, 토너가 캐리어에 의해서 소정 극성의 대전량으로 마찰 대전되어, 현상 장치 하우징(114)내에서 순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열화한 현상제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현상제 배출구(140)로부터 토너 카트리지(52)에 배출됨으로써, 현상제의 전체적인 수명이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트리클 현상 방식).
셔터(126)는 개구부(144, 146)를 구비하고, 개구부(144)가 토너 수용구(134)에 겹치는 것에 의해서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현상 장치(48)로의 토너의 통로를 형성하며, 개구부(146)가 현상제 배출구(140)에 겹치는 것에 의해서 현상 장치(48)로부터 토너 카트리지(52)에의 잉여 현상제의 통로를 형성한다.
현상 롤(116)은, 토너를 담지하여 화상 담지체(54)에 접촉함으로써, 화상 담지체(54)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한다. 층 두께 규제 부재(124)는, 현상 롤(116)에 담지되는 토너의 층 두께를 규제한다.
도 8, 도 9에 있어서, 교환 가능 유닛인 토너 카트리지(52)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토너 카트리지(52)는,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와, 이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의 길이 방향 일단에 설치된 회동부(152)를 가진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교반 반송 부재(154)가 배치된 대략 원통형의 부분과, 이 대략 원통형의 부분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서히 좁아진 부분이 일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는, 토너 카트리지(52)가 현상 장치(48)를 통해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에 장착되면, 외면이 현상 장치 유닛 본체(46)의 외주에 대략 일치하게 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내에는, 현상 장치(48)에 공급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 공간(156)이 형성되어 있다. 토너 수용 공간(156)에는, 상술한 교반 반송 부재(1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교반 반송 부재(154)는, 예를 들면 나선형으로 감겨 있고, 토너 수용 공간(156)내의 토너를 교반하여, 현상 장치(48)의 토너 수용구(134)를 향해 반송한다.
회동부(152)는, 회동부 본체(154)와, 이 회동부 본체(154)내에 설치되어,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통부(156)를 구비한다. 통부(156)는, 회동부 본체(154)의 측면부(158)측이 통부 측벽(160)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고, 내부에 격리벽(162)이 설치되어 있다. 격리벽(162)의 통부 측벽(160)측에는, 현상 장치(48)로부터 잉여 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한 현상제 회수 공간(164)이 형성되며, 격리벽(162)의 통부 측벽(160)에 대향하는 측에는, 상술한 토너 수용 공 간(156)이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 본체(154)는, 투명한 부재로 피복된 창 형상의 창부(166)를 구비하고, 내측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통부(156)의 원통형 부분 외면을 따라 회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부(156)의 원통형 부분 외면에는, 예를 들면 백색 테이프 등의 반사 부재(168)가 부착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52)가 현상 장치(48)에 장착되어, 회동부 본체(154)가 회동하면, 반사 부재(168)가 창부(166)를 통해 노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된 현상 장치 유닛(44)이 회전하면, 노출한 반사 부재(168)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된 미사용 검출 센서(70)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사용 검출 센서(70)는, 예를 들면 반사형 포토 센서이며, 현상 장치 유닛(44)에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의 반사 부재(168)가 미사용 검출 센서(70)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 반사 부재(168)가 토너에 의한 오염물로 인해 변화하는 반사량을 검출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52)가 미사용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회동부 본체(154)의 측면부(158)에는, 메모리 칩(170)이 장착되어 있다. 메모리 칩(170)은, 안테나(172)를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측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56)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다음에, 무선 통신부(56) 및 메모리 칩(170)에 관련하여, 각각의 회로 구성 및 상호간에 행해지는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무선 통신부(56)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메 모리 칩(17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56)의 회로는, 송수신 제어부(174), 변조 회로(176), 송신 회로(178), 수신 회로(180), 복조 회로(182) 및 안테나(58)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56)에 있어서, 송수신 제어부(174)는, 무선 통신부(56)의 각 구성 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송수신 제어부(174)는, 제어부(10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조 회로(176)에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 제어부(174)는, 수신 회로(180)에 의해 수신되어, 복조 회로(182)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변조 회로(176)는, 송수신 제어부(17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여, 송신 회로(178)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178)는, 메모리 칩(170)에 기억되는 데이터 및 클록 신호 등을 포함하는 전파 신호를, 안테나(58)를 통해 메모리 칩(170)에 출력한다.
수신 회로(180)는, 메모리 칩(17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안테나(58)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 회로(182)에 출력한다. 복조 회로(182)는, 수신 회로(18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로부터, 메모리 칩(170)이 송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송수신 제어부(174)에 출력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칩(170)의 회로는, 유닛 NVM(Non Volatile Memory: 불휘발성 메모리)(184), 송신 논리 회로(186), 수신 논리 회로(188), 송신 회로(190), 수신 회로(192), 클록 재생 회로(194), 전원부(196) 및 안테나(172)로 구성된다.
수신 회로(192), 클록 재생 회로(194) 및 전원부(196)는, 무선 통신부(56)로 부터 메모리 칩(170)에 전파 신호가 송신되면, 이 전파 신호를 안테나(172)를 통해 수신한다. 메모리 칩(170)에 있어서, 전원부(196)는 전파 신호에 의한 전자 유도에 의해서 생긴 전류를 정류하고, 메모리 칩(170)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해서, 그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메모리 칩(170)은, 전원부(196)에 의해서 발생하게 되는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체부(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전력은 메모리 칩(170)에 전원용 코일 등을 더 설치함으로써, 현상 장치 유닛(44)에 공급되어 있는 교류로부터 비접촉으로 공급되어도 좋다.
클록 재생 회로(194)는, 전파 신호를 수신하면 클록 신호를 재생하고, 메모리 칩(170)을 구성하는 각 회로에 출력한다. 수신 회로(192)는, 전파 신호를 수신하면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 등의 신호를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수신 논리 회로(188)에 출력한다. 수신 논리 회로(188)는, 수신 회로(19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등의 신호를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복조하고, 유닛 NVM(184)에 출력한다.
유닛 NVM(184)은 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수신 논리 회로(18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데이터의 기입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의 기입(기억)을 행하고, 상기 신호가 데이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 논리 회로(186)에 출력한다. 유닛 NVM(184)에 포함되는 불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플래시 ROM, EEPROM 또는 FeRAM(강유전체 메모리) 등이어도 좋다.
송신 논리 회로(186)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변조하고, 송신 회로(190)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190)는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송신 논리 회로(18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안테나(172)를 통해 전파 신호로서 무선 통신부(56)에 송신한다.
또한, 전파 신호로서 송수신되는 신호는 암호화된 후에 전파 신호로 변환되어 송수신되게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허가된 유저 등은, 암호화된 전파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부(106) 이외의 장치로부터 유닛 NVM(184)의 내용을 재기록하게 해도 좋다.
도 12에 있어서,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부(56) 및 메모리 칩(170)의 위치 관계가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52)는 현상 장치(48) 각각에 장착되어 있고, 현상 장치 유닛(44)(도 2)이 회전축(5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이동한다. 무선 통신부(56)는 현상 장치 유닛(44)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메모리 칩(170)이 순차적으로 대략 대향하도록, 현상 장치 유닛(44)의 측면 근방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되어 있고, 메모리 칩(170) 중 어느 하나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이 대향하는 위치에 현상 장치(48)가 이동 제어된 정지 상태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56)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56)가 출력하는 전파 신호에 대해서 메모리 칩(170)이 송출한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 개시를 확인하게 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교환 가능 유닛인 화상 담지체 유닛(108)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담지체(54), 대전 장치(60) 및 화상 담지체용 클리너(62)를 일체화한 것이고, 예를 들면 화상 담지체용 클리너(62)내의 상부에 배치된 폐토너 충만 센서(198)와,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하부에 배치된 플로트(float)(200)를 구비한다. 폐토너 충만 센서(198)는 한 쪽에 설치된 발광부의 발광을 다른 쪽에 설치된 수광부가 수광하도록 된 광로를 구비하고, 수광부가 수광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플로트(200)는 폐토너 회수 용기(66)내에 회수된 폐토너가 소정의 양을 넘으면 상승하도록 되어 있고, 폐토너 회수 용기(66)가 폐토너로 충만되면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광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폐토너 충만 센서(198) 및 플로트(200)에 의해서, 폐토너 회수 용기(66)가 충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또한, 폐토너 충만 센서(198) 및 플로트(200)를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에 설치하여, 폐토너 회수 용기(98)가 충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소정의 조건을 검출하는 센서 등을 구비하는 교환 가능 유닛은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한 결과를 제어부(106)에 출력하고, 제어부(106)는 입력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부(106)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14는 제어부(106)의 구성 및 제어부(106)에 접속되는 각 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어부(106)는 CPU(202), 기억부(204), 센서 인터페이스(센서 I/F) 회로(206), 무선 통신부 제어 회로(208), 통신 인터페이스(통신 I/F) 회로(210), 유저 인터페이스(UI) 제어 회로(212), 화상 묘화 회로(214), 프로세스 제어 회로(216), 화상 형성부 인터페이스(화상 형성 I/F) 회로(218) 및 용지 반송부 제어 회로(220) 등을 구비하고, 이들이 서로 시스템 버스(222)를 통해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CPU(202)는 시스템 버스(222)를 통해 제어부(106)를 구성하는 각 부분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어부(106)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제어한다.
기억부(204)는 프로그램 ROM(224), RAM(226) 및 본체 NVM(Non Volatile Memory: 불휘발성 메모리)(228)을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등을 기억한다. 프로그램 ROM(224)은 예를 들면 플래시 ROM 등으로 이루어지고, 기억 내용을 갱신하도록 해도 좋다. RAM(226)은 예를 들면 SRAM 등으로 이루어지고, 화상 묘화 회로(214)로부터 입력되는 묘화 데이터 등의 일시적인 정보를 기억한다. 본체 NVM(228)은 예를 들면 EEPROM 또는 플래시 ROM 등의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 NVM(228)은 재기입 가능한 기억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원을 오프로 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면, 배터리 등에 의해 전원이 백업되는 SRAM, HDD(Hard Disk Drive) 또는 광메모리 등이어도 좋다.
센서 I/F 회로(206)는 개폐 검출 센서(19), 온도 센서(30), 습도 센서(32), 미사용 검출 센서(70),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 화상 농도 센서(90) 및 폐토너 충만 센서(198) 각각으로부터 검출 결과를 받아들여, 시스템 버스(222)를 통해 CPU(202)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 제어 회로(208)는 토너 카트리지(52a∼52d) 각각에 설치된 4개의 메모리 칩(170)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시스템 버스(222)를 통해 CPU(202) 및 기억부(204) 등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고, 각각의 메모리 칩(170)과 CPU(202) 및 기억부(204) 등을 접속한다.
통신 I/F 회로(210)는 네트워크(3)를 통해 호스트 장치(2)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시스템 버스(222)를 통해 CPU(202) 등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고, 호스트 장치(2)와 CPU(202) 등을 접속한다. UI 제어 회로(212)는 UI 장치(18)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시스템 버스(222)를 통해 CPU(202) 등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고, UI 장치(18)와 CPU(202) 등을 접속한다.
화상 묘화 회로(214)는 호스트 장치(2) 등에서 입력되는 화상 형성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을 묘화하고, CPU(202) 및 RAM(226)에 출력한다. 프로세스 제어 회로(216)는 CPU(202)와 함께, 기억부(204)에 기억된 후술하는 설정값 등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I/F 회로(218)를 통해, 노광 장치(68), 화상 형성 유닛(110) 및 현상 장치 유닛(44) 등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230)를 제어한다. 용지 반송부 제어 회로(220)는 CPU(202)와 함께, 급지 롤(26), 리타드 롤(28) 및 레지스트 롤(38) 등을 포함하는 용지 반송부(232)를 제어한다.
또한, CPU(202)가 기억부(20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메모리 칩(170)을 장착하고 있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칩(170)은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검출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예가 나타나 있다.
프로그램 ROM(224)에는, 프로그램 영역(234) 및 설정값 영역(236) 등이 제공되어 있다. 프로그램 영역(234)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238)이 기억되어 있다. 설정값 영역(236)에는, 각 수명 임계값(240), 각 수명 임계값 도달 설정 횟수(242), 온도 관련 파라미터군(244), 습도 관련 파라미터군(246), 토너 농도 파라미터군(248) 및 판정 시기 설정값(252) 등이 기억되어 있다.
각 수명 임계값(24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의 수명(수명 임계값)을 포함한다. 각 수명 임계값 도달 설정 횟수(242)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이 수명 임계값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횟수를 포함한다. 온도 관련 파라미터군(24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온도에 대한 제어에 관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습도 관련 파라미터군(246)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습도에 대한 제어에 관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토너 농도 파라미터군(248)은 현상 장치(48)내의 토너 농도의 제어에 관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판정 시기 설정값(252)은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 등에 있어서, CPU(202)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에 대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의 판정을 개시할 때까지의 기간(판정 시기)을 포함한다.
본체 NVM(228)에는, 대응 유닛 정보 영역(254) 및 본체측 갱신 영역(256) 등 이 제공되어 있다.
대응 유닛 정보 영역(254)에는 대응 기종 코드(258) 및 대응 국가 코드(260)가 기억되어 있다. 대응 기종 코드(258)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10)에 적합한 기종인 것을 나타내는 기종 테이블(데이터)을 기억한다. 대응 국가 코드(26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에 대해, 국가마다 다른 사양이 설정되는 각국의 테이블(데이터)을 기억한다.
본체측 갱신 영역(256)에는,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 본체측의 각 수명 카운트값(264), 본체측의 각 수명 임계값 도달 횟수(266), 각 검출 이력(268) 및 각 동작 모드 이력(270) 등이 기억되어 있다.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의 장착 이력을 포함한다. 또한,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의 초기 상태(초기값)에는, 순정품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기억되어 있다. 본체측의 각 수명 카운트값(26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의 수명 카운트값(사용 개시로부터 현재까지의 사용량)을 포함한다. 또한, 각 유닛의 사용량은 각 유닛 각각의 누적 동작 시간 등으로부터 산출되어도 좋다. 본체측의 각 수명 임계값 도달 횟수(266)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 각의 수명 임계값 도달 횟수를 포함한다. 각 검출 이력(268)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설치된 각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검출 결과의 이력을 포함한다.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 각각에 적용된 동작 모드의 이력을 포함한다.
유닛 NVM(184)에는 유닛 정보 영역(272) 및 유닛측 갱신 영역(274) 등이 설치되어 있다.
유닛 정보 영역(272)에는, 기종을 나타내는 기종 코드(276), 사양을 설정한 국가를 나타내는 국가 코드(278), 유닛 고유의 제조 번호(280), 제조 일자(282), 유닛의 수명을 나타내는 수명 임계값(284), 및 프로세스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 파라미터(286) 등이 기억되어 있다.
유닛측 갱신 영역(274)에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 개시로부터 현재까지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수명 카운트값(288), 수명 임계값(284)에 기억되어 있는 수명 임계값에 도달한 횟수를 나타내는 수명 임계값 도달 횟수(290) 및 관련 이력 정보(292)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관련 이력 정보(292)는 예를 들면 화상 담지체(54)의 회전수 등과 같이 토너 카트리지(52)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관련 정보의 이력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신호가 공급되면 화상 담지체(54)가 대전 장치(60)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 대전된 화상 담지체(54)에는,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노광 장치(68)로부터 광선이 출력된다. 노광 장치(68)로부터의 광선은 화상 담지체(54)의 표면을 노광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화상 담지체(54)에 담지된 잠상은 현상 위치에서 현상 장치 유닛(44)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장치 유닛(44)에 있어서, 현상 장치(48a∼48d)는 토너 카트리지(52a∼52d)로부터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토너가 각각 공급된다. 또한, 현상 장치(48a∼48d)에 과잉하게 공급된 현상제는 토너 카트리지(52a∼52d)에 각각 회수된다. 현상 장치 유닛(44)의 현상 장치(48a∼48d)에 의해, 색마다 현상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체(74)에 중첩하여 일차 전사된다. 일차 전사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5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화상 담지체용 클리너(62)에 의해서 긁어내져 회수된다.
한편, 급지 신호 등에 의해, 급지 카세트(24)에 수용된 용지는 급지 롤(26)에 의해 송출되고, 리타드 롤(28)에 의해 처리되어 반송로(34)로 안내되며, 레지스트 롤(38)에 의해 일시 정지되며, 올바른 타이밍에서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 사이로 안내된다. 용지가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 사이로 안내되면, 중간 전사체(74)에 일차 전사에 의해 4색 중첩된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롤(88)과 이차 전사 백업 롤(82)에 의해서 용지에 이차 전사된다.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에 의해서 긁어내져 회수된다.
토너 화상을 전사한 용지는 정착 장치(100)로 안내되고, 가열 롤(102)과 가압 롤(104)에 의한 열 및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을 정착한다. 토너 화상이 정착한 용지는 배출 롤(40)에 의해 배출구(36)로부터 배출부(42)로 배출된다. 제어부(106)는 유닛 NVM(184) 및 본체 NVM(228)에 토너 카트리지(52)의 수명 카운트값 등 을 기억시킨다.
도 16은 본체 NVM(228)에 기억된 현상제 사용량(수명 카운트값)에 대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설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 농도의 설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설정에 의해 보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보정된 토너 농도를 나타내고, (b)는 보정된 화상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토너 카트리지(52)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 장치(48)내에서 캐리어에 의해 소정 극성의 대전량으로 마찰 대전된다. 현상제가 사용되면, 도 16에 나타낸 순정품인 토너(P)의 특성과 유사하게,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 현상제의 대전 능력이 저하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트리클 현상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도, 용지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질을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서, 현상 장치(48)내의 토너 농도 및 중간 전사체(74)상의 화상 농도에 대한 설정을 보정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CPU(202)는 화상 농도 센서(90)에 의해 화상 농도를 검출하고, 농도가 높으면 제 1 오거(118)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현상 장치(48)내에 공급하는 토너량을 줄여 토너 농도를 낮춰서 화상 농도를 낮춘다. 한편, 농도가 낮으면 제 1 오거(118)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현상 장치(48)내에 공급하는 토너량을 늘려 토너 농도를 높여서 화상 농도를 높인다. 통상, 상기 화상 농도 검출용의 패턴 은 중간 계조의 농도를 가지는 패턴이 이용된다.
그러나, 토너의 대전 능력이 저하하면, 현상 성능이 향상하고 화상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어를 그대로 실행하면, 토너 농도가 너무 낮춰져버려 최대 화상 농도가 저하해 버린다.
그러므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이 저하해도, 용지에 전사되는 최대 화상의 농도가 저하하지 않도록, 화상 농도 센서(90)에 의한 화상 농도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토너 농도 제어에 사용하는 토너 농도 파라미터군(248)에 기억되어 있는 현상 장치(48)내의 토너 농도 제어의 설정값을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 증가시키도록 보정한다. CPU(202)는 보정된 설정값(도 17: 토너(P)에 대응한 설정(S))에 따라 제 1 오거(118)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농도가 소망의 소정값 이하로 되지 않도록 토너 농도를 유지한다.
그 결과,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농도가 소정의 사양값 이하로 되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한 순정품 이외의 것인 토너 X 또는 토너 Y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52)와 대략 같은 구성의 순정품 이외의 것인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정품인 토너의 특성(P)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예측된다. 따라서, 용지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토너(P)에 대응한 설정(S)과는 다른 보정된 설정값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토너 X 또는 토너 Y 등이 수용된 순정품 카트리지 이외의 것인 경우는, 토너 농도의 설정값 변화량(기울기)을 증감시키는 것(m1, m2: 도 17), 한계값을 증감시키는 것(m1, m2), 초기값(사용량=0)을 변경하는 것(m3), 사용량에 따른 설정값을 변경시키지 않는 것(m4), 및, 예를 들면 초기값을 변경하고 사용량에 따른 설정값을 변경시키지 않는 것(m5) 등과 같이 변경하는 조건을 조합시킨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보정을 변경한다. 이 변경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로서, 유저가 UI 장치(18)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는 UI 장치에 의한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UI 장치는 CPU(202)의 제어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인 경우에는 토너의 잔량을 표시하고,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인 경우에는 토너의 사용량을 표시한다. 토너 카트리지가 순정품 이외의 것인 경우는, 토너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토너의 잔량을 산출할 수 없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토너 카트리지(52)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10)이다.
도 20은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유닛 교환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20)이다.
도 21은 유저가 순정품 이외의 것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화 상 형성 장치(10)가 행하는 순정품 이외의 것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30)이다.
도 22는 유저가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1O)가 행하는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40)이다.
도 23은 제어부(106)가 화상 농도를 조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50)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100(S100)에 있어서,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중간 전사체(74)에 형성되는 화상 농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된 것, 현상 장치(48)내의 토너 농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된 것, 또는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에 의해 토너 유무가 검출된 것 등에 의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에 토너가 없다는 것을 판별하고,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S102의 처리로 진행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필요해질 때까지 교환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검출을 계속한다.
단계 102(S102)에 있어서,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에 토너가 없다고 판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한 인쇄를 금지한다.
단계 104(S104)에 있어서, CPU(202)는 무선 통신부(56)를 통해, 메모리 칩(170)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CPU(202)는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단하여 S112의 처리로 진행하고,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S106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106(S106)에 있어서, CPU(202)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기종 코드(276) 및 국가 코드(278)를 판독한다.
단계 108(S108)에 있어서, CPU(202)는 본체 NVM(228)으로부터 대응 기종 코드(258) 및 대응 국가 코드(260)를 판독한다.
단계 110(S110)에 있어서, CPU(202)는 기종 코드(276)와 대응 기종 코드(258)를 비교하는 동시에, 국가 코드(278)와 대응 국가 코드(260)를 비교하고,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202)는 S128의 처리로 진행하고,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는 S112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112(S112)에 있어서, UI 장치(18)는 도 24의 (b)에 나타낸 교환 확인 화면(302)을 표시한다. 교환 확인 화면(302)에 있어서, 키 버튼(304a)은 유저의 입력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는 것을 받아들이고, 키 버튼(304b)은 유저의 입력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지 않는 것을 받아들인다.
단계 114(S114)에 있어서, CPU(202)는 교환 확인 화면(302)을 통해 토너 카트리지(52)를 교환하는 것의 확인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를 교환하는 것의 확인이 있었던 경우(키 버튼(304a)이 눌린 경우)에는 CPU(202)는 S116의 처리로 진행하고, 확인이 없었던 경우에는 CPU(202)는 토 너 카트리지(52)를 교환하는 것의 확인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116(S116)에 있어서, 유저의 UI 장치(18) 등에 대한 입력에 의해, 제어부(106)는 현상 장치 유닛(44)을 회전시켜, 교환이 필요한 토너 카트리지(52)를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118(S118)에 있어서, UI 장치(18)는 도 24의 (c)에 나타낸 교환 지시 화면(306)을 표시한다.
단계 120(S120)에 있어서, UI 장치(18)는 도 24의 (d)에 나타낸 교환 종료 화면(308)을 표시한다. 교환 종료 화면(308)에 있어서, 키 버튼(310a)은 유저의 입력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된 것을 받아들이고, 키 버튼(310b)은 유저의 입력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지 않았던 것을 받아들인다. 또한, 교환 지시 화면(306)과 교환 종료 화면(308)은 동시에 표시되어도 좋다.
단계 122(S122)에 있어서, CPU(202)는 유저의 교환 종료 화면(308)에 대한 입력에 의해서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는 S30의 처리로 진행하고,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는 유저에 의한 교환 확인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즉, CPU(202)는 S112로부터 S122까지의 처리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된 것으로 간주한다.
단계 300(S300: 도 21)에 있어서, UI 장치(18)는 도 25의 (b)에 나타낸 동작 모드 선택 화면(316)을 표시한다.
단계 302(S302)에 있어서, CPU(202)는 동작 모드 선택 화면(316)에 표시된 디폴트 모드(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314a) 또는 그 외의 동작 모드를 지정하는 키 버튼(31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키 버튼(314a, 31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CPU는 S304의 처리로 진행하고,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304(S304)에 있어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갱신(동일한 정보의 재기입을 포함)한다.
단계 500(S500: 도 23)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 1 오거(118)를 회전시켜,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현상 장치(48)에 토너를 공급한다.
단계 502(S502)에 있어서, CPU(202)는 화상 농도 센서(90)를 통해 중간 전사체(74)상에 형성된 패치의 화상 농도를 검출한다.
단계 504(S504)에 있어서, CPU(202)는 검출한 화상 농도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화상 농도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화상 농도가 소정의 범위외에 있는 경우는 CPU는 S506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506(S506)에 있어서, CPU(202)는 예를 들면 RAM(226) 등에 화상 농도를 검출한 횟수(카운트)를 기억시킨다.
단계 508(S508)에 있어서, CPU(202)는 화상 농도를 검출한 횟수가 규정 횟수 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규정 횟수에 도달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규정 횟수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S500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124(S124: 도 19)에 있어서, CPU(202)는 화상 농도 조정 처리(S50)에 의한 화상 농도 조정이 정상적으로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화상 농도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등과 같이, 화상 농도 조정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CPU는 S126의 처리로 진행하고, 화상 농도 조정이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S112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126(S126)에 있어서, CPU(202)는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에 대응하도록 본체측의 각 수명 카운트값(264)에 기억되어 있는 수명 카운트값을 리셋(초기화)한다.
단계 128(S128)에 있어서, 유저의 UI 장치(18) 등에 대한 입력에 의해, 제어부(106)는 현상 장치 유닛(44)을 회전시켜, 교환이 필요한 토너 카트리지(52)를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130(S130)에 있어서, UI 장치(18)는 도 24의 (a)에 나타낸 교환 필요 표시 화면(300)을 표시한다.
단계 132(S132)에 있어서, CPU(202)는 개폐 검출 센서(19)를 통해 개폐 커버(16)가 개폐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검출된 경우에는 CPU(202)는 S20의 처리로 진행하고,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S130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200(S200: 도 20)에 있어서, CPU(202)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제조 번호(280)를 판독한다.
단계 202(S202)에 있어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에 포함되어 있는 마지막에 장착되어 있던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 번호를 판독한다.
단계 204(S204)에 있어서, CPU(202)는 마지막에 장착되어 있던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 번호와 유닛 NVM(184)으로부터 판독한 제조 번호(280)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마지막에 장착되어 있던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 번호와 유닛 NVM(184)으로부터 판독한 제조 번호(280)가 동일한 경우에는 CPU는 S206의 처리로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S208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206(S206)에 있어서, CPU(202)는 교환되지 않은 토너 카트리지(52)가 다시 장착된(교환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단계 208(S208)에 있어서, CPU(202)는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된(교환이 검출된) 것으로 간주한다.
단계 134(S134: 도 19)에 있어서, CPU(202)는 유닛 교환 검출 처리(S20)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검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S40의 처리로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CPU는 S130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400(S400: 도 22)에 있어서, UI 장치(18)는 도 25의 (a)에 나타낸 동작 모드 선택 화면(312)을 표시한다.
단계 402(S402)에 있어서, CPU(202)는 동작 모드 선택 화면(312)에 표시된 디폴트 모드(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314a) 또는 그 외의 동작 모드를 지정하는 키 버튼(31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키 버튼(314a, 31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CPU는 S404의 처리로 진행하고,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404(S404)에 있어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을 S402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로 갱신(동일한 정보의 재기입을 포함)한다.
단계 136(S136: 도 19)에 있어서, CPU(202)는 최신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에 포함되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인쇄 준비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136의 인쇄 준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또는 순정품 이외의 것 중 어느 하나를 UI 장치(18)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또한,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는 다른 복수의 그 외의 동작 모드가 제공되고, 이들 복수의 그 외의 동작 모드 중에서 유저가 자유롭게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도 좋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어도,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를 유저가 선택함으로써, 화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모든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 경우에는,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로만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하도록,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제 한하여, 유저가 잘못하여 화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의 제 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은 토너 카트리지(52)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60)이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600(S600)에 있어서,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 중 어느 하나의 교환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S602의 처리로 진행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필요해질 때까지 교환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검출을 계속한다.
단계 602(S602)에 있어서, UI 장치(18)는 도 24의 (a)에 나타낸 교환 필요 표시 화면(300)을 표시한다.
단계 604(S604)에 있어서, CPU(202)는 유저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을 지시하는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CPU는 S606의 처리로 진행하고,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CPU는 지시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606(S606)에 있어서, 유저의 UI 장치(18) 등에 대한 입력에 의해, 제어부(106)는 현상 장치 유닛(44)을 회전시켜, 교환이 필요한 토너 카트리지(52)를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608(S608)에 있어서, CPU(202)는 교환 지시된 토너 카트리지(52) 중 어 느 하나를 나타내는 플래그 등을 예를 들면 RAM(226) 등에 설정하여, 교환이 필요한 토너 카트리지(52)(토너의 색이어도 좋다)를 기억한다.
단계 610(S610)에 있어서, CPU(202)는 개폐 검출 센서(19)를 통해 개폐 커버(16)가 개폐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검출된 경우에는 S612의 처리로 진행하고,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을 지시하는 입력이 있었던 것과,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있었던 것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된 것으로 간주한다. 즉, S604로부터 S610까지의 처리에 의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된 것으로 간주한다.
단계 612(S612)에 있어서, CPU(202)는 무선 통신부(56)를 통해, 메모리 칩(170)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CPU(202)는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단하여 S30의 처리로 진행하고,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S614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614(S614)에 있어서, CPU(202)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기종 코드(276) 및 국가 코드(278)를 판독한다.
단계 616(S616)에 있어서, CPU(202)는 본체 NVM(228)으로부터 대응 기종 코드(258) 및 대응 국가 코드(260)를 판독한다.
단계 618(S618)에 있어서, CPU(202)는 기종 코드(276)와 대응 기종 코드(258)를 비교하는 동시에, 국가 코드(278)와 대응 국가 코드(260)를 비교하고, 교 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는 S40(도 22참조)의 처리로 진행하고,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S30(도 21참조) 및 S50(도 23참조)의 처리로 차례로 진행한다.
단계 620(S620)에 있어서, CPU(202)는 화상 농도 조정 처리(S50)에 의한 화상 농도 조정이 정상적으로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화상 농도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등과 같이 화상 농도 조정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CPU는 S622의 처리로 진행하고, 화상 농도 조정이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S602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622(S622)에 있어서, CPU(202)는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에 대응하도록 본체측의 각 수명 카운트값(264)에 기억되어 있는 수명 카운트값을 리셋(초기화)한다.
단계 624(S624)에 있어서, CPU(202)는 최신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에 포함되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의 제 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7은, 토너 카트리지(52) 등의 교환 유닛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S70)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700(S700)에 있어서, CPU(202)는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 농도의 복귀(도 28을 이용하여 후술) 등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 등의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교환 유닛이 교환된 경우에는 S702의 처리로 진행하고, 교환 유닛이 교환되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교환 유닛이 교환된 것이 검출될 때까지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출를 계속한다.
단계 702(S702)에 있어서, CPU(202)는 예를 들면 교환 유닛에 관해서 본체 NVM(228)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CPU(202)는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 경우에는 S706의 처리로 진행하고,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인 경우에는 S30(도 21 참조)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704(S704)에 있어서, CPU(202)는 교환된 교환 유닛에 대응하도록 본체측의 각 수명 카운트값(264)에 기억되어 있는 수명 카운트값을 리셋(초기화)한다.
단계 706(S706)에 있어서, CPU(202)는 최신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디폴트의 동작 모드 또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포함되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그 외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화상 농도의 변화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토너 카트리지(52)가 사용되면, 본체측의 각 수명 카운트값(264)에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이 기억된다.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이 증가하면, 용지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의 기대값에 대하 여, 중간 전사체(74)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는 서서히 저하한다. CPU(202)는 화상 농도 센서(90)를 통해 중간 전사체(74)상의 화상 농도가 농도 조정 개시의 임계값까지 저하한 것을 검출하면, CPU는 제 1 오거(118)를 회전시킴으로써 현상 장치(48)에 토너를 공급하고, 화상 농도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한다. 화상 농도 센서(90)에 의해 검출되는 화상 농도가 화상 농도 조정 개시의 임계값으로부터 진해지도록 변화(복귀)하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가 토너를 수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에 의해, 화상 농도 센서(90)에 의해서 검출되는 화상 농도가 화상 농도 조정 개시의 임계값보다도 계속 낮아지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내의 토너가 감소하고, 화상 농도가 소정의 사양값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더욱이, 화상 농도 센서(90)에 의해서 검출되는 화상 농도가 화상 농도 조정 개시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값으로부터 진해지도록 변화(복귀)하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토너 농도 센서(142)에 의해 검출되는 토너 농도의 변화가 토너 농도 조정 개시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값으로부터 진해지도록 변화(복귀)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다고 CPU(202)가 판단하게 해도 좋다.
또한,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에 의해 취입 반송로(128)에 토너가 없다는 것이 검출된 후에, 다시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가 토너가 있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다고 CPU(202)가 판단하게 해도 좋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52)가 미사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미사용 검출 센서(70) 에 의해서 검출한 결과가 변화한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다고 CPU(202)가 판단하게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기준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된 것을 CPU(202)가 판단하기 전에, 폐토너 충만 센서(198)에 의해 폐토너 회수 용기(66)가 충만인 것이 검출된 경우, 사용량이 가장 많은 토너 카트리지(52) 등의 토너 카트리지(52) 중 어느 하나가 교환되었다고 CPU(202)가 판단하게 해도 좋다. 또한, 폐토너 충만 센서(198)를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에 설치하여, 폐토너 회수 용기(98)가 충만인 것이 검출된 경우, 사용량이 가장 많은 토너 카트리지(52) 등의 토너 카트리지(52) 중 어느 하나가 교환되었다고 CPU(202)가 판단하게 해도 좋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원의 온·오프를 유저에 의한 다른 조작과 조합시킴으로써, 교환 유닛이 교환된 것을 CPU(202)가 판단하게 해도 좋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의 제 2 변형예(S70)의 S700에 있어서, 화상 농도 센서(90)의 검출 결과, 토너 농도 센서(142)의 검출 결과, 토너 유무 검출 센서(138)의 검출 결과, 미사용 검출 센서(70)의 검출 결과 및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검출 결과 등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 등의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해도 좋다.
또한, 메모리 칩(170)을 토너 카트리지(52) 이외의 교환 유닛에 설치하여, 교환 유닛에 관한 정보를 CPU(202)가 취득하게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이 장착되어도, 유저의 의 사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 교환 유닛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6)

  1.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 수단과,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판별 수단과,
    상기 제 1 판별 수단 및 제 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교환되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측에 설치되며, 상기 교환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도록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별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의 통신 결과에 따라 상기 교환 유닛 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별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의 통신 결과, 상기 교환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따라 화상 형성 조건을 보정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교환 유닛의 교환 동작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 화상의 농도 변화를 검출하는 화상 농도 변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화상 농도 변화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현상제를 담지함으로써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 이력을 판별하는 사용 이력 판별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사용 이력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정전 잠상 및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가 현상제 화상을 전사한 후에, 상기 화상 담지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 수단과,
    이 현상제 회수 수단에 의해서 회수된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현상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교환 유닛은 상기 화상 담지체, 상기 현상제 회수 수단,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정전 잠상 및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로부터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중간 전사체와,
    이 중간 전사체가 현상제 화상을 전사한 후에, 상기 중간 전사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는 중간 전사체 현상제 회수 수단과,
    이 중간 전사체 현상제 회수 수단에 의해서 회수된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중간 전사체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중간 전사체 회수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체가 담지하는 현상제 화상을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제 1 전사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체가 담지하는 현상제 화상을 전사한 후에, 상기 화상 담지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 수단과,
    상기 중간 전사체가 담지하는 현상제 화상을 전사하는 제 2 전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교환 유닛은 상기 화상 담지체, 상기 현상 수단, 상기 제 1 전사 수단, 상기 현상제 회수 수단, 상기 중간 전사체, 상기 제 2 전사 수단 및 상기 중간 전사체 현상제 회수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초기화 수단에 의해 초기화된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초기화 수단에 의해 초기화된 상기 교환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조건을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별 수단 및 제 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 상기 교환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교환되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판별 수단 및 제 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를 표시하는 판별 결과 표시 수단과,
    순정품인 교환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판별 결과 표시 수단이 판별 결과를 표시한 후에, 순정품인 교환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12229A 2004-05-17 2005-02-15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690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6140A JP4766365B2 (ja) 2004-05-17 2004-05-17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146140 2004-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938A true KR20060041938A (ko) 2006-05-12
KR100690532B1 KR100690532B1 (ko) 2007-03-09

Family

ID=3530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229A KR100690532B1 (ko) 2004-05-17 2005-02-15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94212B2 (ko)
JP (1) JP4766365B2 (ko)
KR (1) KR100690532B1 (ko)
CN (1) CN10044215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075A1 (ko) * 2009-02-13 2010-08-19 ㈜싸이퍼일렉트로닉 인쇄장치의 카트리지 칩용 범용 리셋터 및 그 작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8708A3 (en) * 2004-05-17 2012-04-1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4582075B2 (ja) * 2006-02-28 2010-11-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60027B2 (ja) * 2006-06-23 2012-06-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078912A (ja) * 2006-09-20 2008-04-03 Murata Mach Ltd 複合機
KR101217633B1 (ko) * 2007-01-05 201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장치 및화상형성장치
JP5158317B2 (ja) 2007-03-01 2013-03-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65081B1 (ko) * 2007-05-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모품 유닛 및 소모품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
JP4697204B2 (ja) 2007-08-28 2011-06-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初期調整方法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27641B2 (ja) * 2007-12-21 2012-09-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997238B1 (ko) * 2008-03-03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유닛, 교체가능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인증 및 암호화 데이터 통신 방법
JP4488100B2 (ja) 2008-09-19 2010-06-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93180B2 (ja) * 2009-01-30 2014-0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266588A (ja) 2009-05-13 2010-11-25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CN102033479A (zh) * 2009-09-28 2011-04-27 株式会社东芝 鉴别机、图像形成装置以及辊识别方法
US8594516B2 (en) * 2010-03-05 2013-11-2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genuine product determining method for toner cartridge
JP5510062B2 (ja) * 2010-05-24 2014-06-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281374A (zh) * 2010-06-09 2011-12-14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方法
JP5357944B2 (ja) * 2011-10-05 2013-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
CN103293906B (zh) * 2012-02-24 2015-07-01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
JP2013214045A (ja) * 2012-03-05 2013-10-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検知システム
CN103684119A (zh) * 2013-12-19 2014-03-26 重庆川仪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有纸记录仪的电机驱动系统
WO2015173941A1 (ja) * 2014-05-16 2015-11-1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104102106B (zh) * 2014-07-16 2017-08-04 广州小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成像盒验证方法及其系统
US9964891B2 (en) * 2014-12-17 2018-05-08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s for optical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replaceable unit of the image forming device
CN104943397B (zh) * 2015-06-25 2016-08-17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成像盒芯片、成像盒以及更换成像盒芯片序列号的方法
JP6269595B2 (ja) * 2015-06-26 2018-01-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33783B1 (en) * 2015-07-13 2016-05-1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inter apparatus
JP6563834B2 (ja) * 2016-03-11 2019-08-2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及びエラー報知方法
US9715206B1 (en) * 2016-04-27 2017-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d-of life determination for a print cartridge
JP6756984B2 (ja) * 2017-02-21 2020-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1056A (ja) 1988-09-19 1990-03-22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US4961088A (en) 1989-04-20 1990-10-02 Xerox Corporation Monitor/warranty system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machines using replaceable cartridges
JP3014718B2 (ja) * 1989-07-04 2000-02-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145737B2 (ja) * 1991-07-31 2001-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5330196A (ja) * 1992-05-29 1993-12-14 Hitachi Ltd 画像記録装置
JPH06149051A (ja) 1992-11-08 1994-05-27 Ricoh Co Ltd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該容器又は該カートリッジの再利用判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7595B2 (ja) * 1994-04-20 2003-02-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0104935A (ja) * 1996-09-25 1998-04-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133528A (ja) 1996-11-05 1998-05-22 Omron Corp 純正交換部品消耗状態識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338325A (ja) * 1998-05-27 1999-12-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066546A (ja) * 1998-08-26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定着装置
JP3476704B2 (ja) * 1999-03-30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051459A (ja) * 1999-08-16 2001-02-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658219B1 (en) * 1999-09-30 2003-12-02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devic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improper cartridge, and cartridge
JP3476396B2 (ja) 1999-09-30 2003-12-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不適正カートリッジの検出方法及び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JP4143236B2 (ja) 1999-10-15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209245A (ja) * 2000-01-25 2001-08-03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72573A (ja) * 2000-08-23 2002-03-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JP3739648B2 (ja) * 2000-11-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30134B2 (ja) * 2001-04-23 2005-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在庫管理方法、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在庫管理プログラム
JP2002316461A (ja) * 2001-04-23 2002-10-29 Casio Electronics Co Ltd 消耗品ユニット、及び消耗品ユニット識別装置
JP2002347079A (ja) * 2001-05-22 2002-12-04 Ricoh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射出成形金型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JP2003122104A (ja) * 2001-10-19 2003-04-25 Sharp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3302879A (ja) * 2002-02-06 2003-10-24 Ricoh Co Ltd 現像部材収納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26156A (ja) * 2002-10-01 2004-04-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004861A (ja) * 2003-05-26 2004-01-08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用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075A1 (ko) * 2009-02-13 2010-08-19 ㈜싸이퍼일렉트로닉 인쇄장치의 카트리지 칩용 범용 리셋터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2153C (zh) 2008-12-10
JP2005326729A (ja) 2005-11-24
US20050254832A1 (en) 2005-11-17
US7194212B2 (en) 2007-03-20
CN1700112A (zh) 2005-11-23
JP4766365B2 (ja) 2011-09-07
KR100690532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532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692460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US73306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ble to execute selected operating mode upon replacement of replaceable unit, and method therefore
US723374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90534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
KR100692464B1 (ko)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069579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교환유닛을 갖는 화상형성 시스템
KR100690537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628905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690535B1 (ko) 교환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JP4561966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2448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535244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692917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5326739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2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4729867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26738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34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28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41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25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5326726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