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790B1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교환유닛을 갖는 화상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교환유닛을 갖는 화상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90B1
KR100695790B1 KR1020050014564A KR20050014564A KR100695790B1 KR 100695790 B1 KR100695790 B1 KR 100695790B1 KR 1020050014564 A KR1020050014564 A KR 1020050014564A KR 20050014564 A KR20050014564 A KR 20050014564A KR 100695790 B1 KR100695790 B1 KR 10069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genuine
image forming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072A (ko
Inventor
다케시 요코에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61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19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61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9867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의 잔량 등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를 정지하고, 동작 모드 및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호스트 장치의 표시/입력장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의 잔량의 표시를 정지할 뿐만 아니라,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부터 측정 또는 측량된 인쇄용지 매수 및 인쇄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호스트 장치의 표시/입력장치에 표시시킨다.
순정품, 토너, 카트리지, 표시, 화상 형성 장치, 교환유닛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교환유닛을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HAVING A REPLACEMENT UNIT MOUNTED T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교환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예로써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통신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메모리 칩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메모리 칩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화상 담지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유닛의 구성과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프로그램 ROM, 본체 NVM 및 유닛 NVM 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예시하는 메모리 칩.
도 14는 본체 NVM 내에 기억된 현상제의 사용량(라이프 카운트 값:life count value)에 대한 현상제의 대전능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5는 현상제의 대전능력을 보정하는 설정값의 변화와, 상기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농도의 설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나타낸 설정에 의해 보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 16(a)는 보정된 토너농도를 나타내고 도 16(b)는 보정된 화상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7은 호스트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8은 호스트 장치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모드에 따른 인쇄 준비를 수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10).
도 20은 토너 카트리지가 교환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유닛교환 검출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20).
도 21은 사용자가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행하는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동작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30).
도 22는 사용자가 순정품에 따른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순정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수행하는 동작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40).
도 23은 인쇄를 시작할 때에 호스트 장치의 표시/입력장치에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50).
도 24(a) 및 도 24(b)는 UI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24(a)는 사용자가 순정품에 대한 동작모드의 선택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이며, 도 24(b)는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동작모드의 선택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에 UI장치(18)에 표시되는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패턴 선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a) 및 도 26(b)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인쇄중에 호스트 장치(3)가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26(a)는 화상 형성 장치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에서 제어되고 있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도 26(b)는 화상 형성 장치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a) 및 도 27(b)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인쇄중 또는 대기중에 호스트 장치(3)가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7(a)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대기중에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에서 제어되고 있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도 27(b)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을 때에 인쇄할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사용자가 안내정보표시를 확인하면서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안내정보표시/동작모드 선택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차트(S1030).
도 29는 사용자가 표시방법을 선택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표시 선택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차트(S40).
도 30(a) 및 도 30(b)는 UI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30(a)는 동작모드의 선택 또는 표시방법의 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이며, 도 30(b)는 사용자에 의해 순정품에 대한 동작모드의 선택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1(a) 내지 도 31(c)는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UI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1(a)는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을 검출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도 31(b)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계속의 확인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을 나타내고, 도 31(c)는 사용자에 의해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의 선택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2(a) 내지 도 32(d)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인쇄가능상태 또는 인쇄상태인 경우에 UI장치 또는 표시/입력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사용자에 의해 표시방법의 선택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경우에 UI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화상 형성 장치와 호스트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통신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 형성 시스템
2 : 호스트 장치
3 : 네트워크
10 : 화상 형성 장치
48 : 현상장치
52 : 토너 카트리지
56 : 무선 통신부
106 : 제어부
108 : 화상담지체 유닛
170 : 메모리 칩
184 : 유닛 NVM
204 : 기억부
224 : 프로그램 ROM
226 : RAM
228 : 본체 NVM
420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유닛이 장착된 것에 관한 것이다.
소모품 및 다른 유닛들을 사용자에 의해 교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교환된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순정품 이외의 것일 경우, 화질의 저하 등과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것, 동작을 보증할 수 없다는 것, 오동작 등의 문제들이 생길 수 있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의 특성, 화상 담지체의 특성, 대전 전압, 크리닝(cleaning) 특 성, 정착 특성 등을 고려하여 화상 형성 처리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화질을 유지하고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JP-A-10-133528에는 순정 교환부품에 소모품의 소모량 데이터를 보유하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를 설치하고, 장치본체에 구비된 소모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소모량과 상기 데이터 캐리어가 보유하는 소모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소모품이 순정 교환부품에 공급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JP-A-6-149051에는 토너 카트리지에 소정의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복사기 본체가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코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을 경우에 복사를 금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JP-A-2001-100598에는 토너 부족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카트리지에 기입된 엠프티(empty) 정보가 토너를 보충한 카트리지로부터 판독되고, 경고 표시가 표시되며 인쇄가 금지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2602341호에는 작성된 화상의 카운트를 카트리지의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카트리지에 의해 작성 가능한 화상 수를 나타내는 프리셋(preset) 종료 카운트와 작성된 화상의 카운트와 일치 될때 카트리지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일본 특허 제3476704호에는 토너 보급 용기의 용기측 통신수단과 장치 본체의 본체측 통신수단과의 쌍방향 통신에 의해 장착된 토너 보급 용기가 부적합하다고 판정되고, 또한 부적합한 것을 무시해서 보급처리를 계속하는 것이 선택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 적당한 화상 형성 조건보다 더 낮은 레벨인 화 상 형성 조건을 설정하여 토너 보급 용기의 부적합한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발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어도 사용자 선택으로, 순정품이 아닌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어도 사용자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경우에 사용자가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것을 바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순정품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순정 교환유닛에 대응한 동작모드 등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교환유닛에 따라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성과 유용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동작모드"란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모드를 나타내고 이는 화상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제어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입력 조건과 출력 조건을 포함하고 더욱이 화상 형성에 직접 관계가 없는 표시수단 상의 표시모드들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를 정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가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바로 산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틀리게 확인하지 않고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교환유닛이 장착된 때로부터 측정 또는 측량된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인 경우에 있어서도, 교환유닛의 사용 상황을 인식하여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수단은 복수의 표시패턴으로부터 표시패턴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교환유닛에 적합한 표시패턴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순정품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패턴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다. 즉, 교환유닛이 교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가 판별되고, 사용자는 순정품 교환유닛에 대응한 동작모드 또는 다른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교환유닛에 대응한 표시패턴으로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리성과 유용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또는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따라 표시수단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패턴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는 순정품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호스트 장치를 통해 순정품 교환유닛에 대응한 동작모드 또는 다른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교환유닛에 대응한 표시패턴으로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도, 편리성과 유용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에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또는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가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안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 경우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다. 즉, 순정품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경우에, 사용자는 장착된 교환유닛을 올바로 인식하고, 사용자 의사에 의해 순정품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해 안내 정보표시를 확인하면서 순정품 교환유닛에 대응한 동작모드 또는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동작모드란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모드를 나타내고 이는 화상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제어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입력 조건과 출력 조건을 포함하고 더욱이 화상 형성에 직접 관계가 없는 표시수단 상의 표시모드들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임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교환유닛 이외의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에,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모드로 동작시키고 있음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어수단이 그 밖의 모드로 동작시키고 있음을 확일할 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수단이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표시수단은 화질 또는 성능이 순정 교환유닛이 사용된 경우와 비교해서 악화될 수 있음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만약 사용자가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는 화질 또는 성능이 순정 교환유닛이 사용된 경우와 비교해서 악화될 수 있는 경우가 있음을 확인할 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제어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이 제1의 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모드로 제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수단이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제어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임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지정된 교환유닛이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것이기 때문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을 작동시킬 것이지의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미표시(display/non-display) 선택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모드로 제어되고 있을 때에 표시되는 메세지를 표시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순정 교환유닛에 대응한 동작모드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일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모드를 선택하지 않고도 순정 교환유닛에 대응한 동작모드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의 양태에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안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교환유닛이 순정품인 경우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도록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다. 즉, 교환유닛이 교환된 경우, 순정품인지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것인지가 판별되고, 사용자는 순정 교환유닛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거나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경우, 안내정보표시를 확인하면서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교환유닛이 교환되지 않았을 경우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교환유닛이 교환되지 않았을 경우 안내 정보표시를 확인하면서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수단이 교환유닛이 교환되었음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판별유닛은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또는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한다. 그러므로, 교환유닛이 교환된 경우에, 사용자는 안내 정보표시를 확인하면서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경우에, 사용자는 장착된 교환유닛을 올바로 인식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따라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이 교환유닛이 교환되었음을 검출한 후,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한다. 그러므로,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교환유닛이 교환되었을 때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것인지의 판별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소정의 시간 기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것임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안내 정보표시를 확인하면서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의 양태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교환유닛이 순정품인 경우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를 선택하도록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호스트 장치를 통해 안내 정보표시를 확인하면서, 순정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 또는 이 제1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그러므로, 사용자는 장착된 상기 교환유닛을 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 외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이하의 자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하게 된다.
(제1실시예)
도면을 근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1)을 나타낸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하나의 PC(Personal Computer) 등의 호스트 장치(2)가, 예를 들 면, 네트워크(3)를 통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들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트 장치(2)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제어장치, 터치패널 등의 입/출력 장치, 또는 네트워크(3)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를 갖는 PC이외의 단말(terminal)이어도 좋다. 상기 네트워크(3)는 유선 또는 무선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호스트 장치(2)들이 상기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도 좋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시스템(1)은 상기 호스트 장치(2)가 네트워크(3)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회동지점(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개폐 커버(1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장치)(18), 예를 들면, 터치패널 등이 개폐 커버(16)의 정면측(도 2의 좌측)에 설치된다. UI장치(18)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정보, 지시정보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지시정보 및 다른 입력을 받아 들인다. 즉, 사용자는 상기 UI장치(18)을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UI장치(18)는 스위치 등의 입력만을 받아 들이거나, 표시 등의 출력만 행하거나, 각 기능들을 조합한 장치여도 좋다.
또한, 회동지점(14)의 근방에는 개폐 커버(16)의 개폐를, 예를 들면, 개폐 커버(16)에 따라서 접촉/분리됨으로써 검출하는 개폐 검출센서(19)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1단(段)의 급지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배 치된다. 급지유닛(20)은 급지유닛 본체(22)와 용지가 수용되는 급지 카세트(24)를 갖는다. 급지 카세트(24)의 내측 단부 근방의 상부에는 급지 카세트(24)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롤(feed roll)(26) 및 공급되는 용지에서 한번에 1매씩 분리하는 리타드롤(retard roll)(2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지 카세트(24)의 상부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30)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32)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로(34)는 용지를 급지롤(26)로부터 배출구(36)까지의 통로이며, 상기 반송로(3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후면측(도 2에서 오른쪽 면) 근방에 위치하며 급지유닛(20)으로부터 후술하는 정착장치(100)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2차 전사롤(transfer roll)(88) 및 2차 전사 백업롤(backup roll)(82)은 반송로(34)의 정착장치(100)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레지스트롤(resist roll)(38)은 상기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롤(40)은 반송로(34)의 배출구(36)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급지롤(26)에 의해 급지유닛(20)의 급지 카세트(24)로부터 송출된 용지들은 리타드롤(28)에 의해 분리되어서 최상부의 용지만이 반송로(34)로 인도되고, 레지스트롤(38)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조정된 타이밍에서 후술하는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토너 화상의 전사를 행하고, 정착장치(100)에 의해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되며, 배출롤(40)에 의해 배출구(36)로부터 개폐 커버(16)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42)에 배출된다. 상기 배출부(42)는 배출구 부분이 낮고 정면방향(도 2에서 왼쪽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높아 지도록 경사져 있다.
회전식 현상장치 등의 현상장치 유닛(44)이,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현상장치 유닛(44)은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와, 토너 상을 형성하는 4개의 현상장치(48a ~ 48d)가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에 장착되어 있다. 현상 장치(48a ~ 48d)들은 현상장치 유닛 본체(46)를 따라 회전축(50)을 중심으로 왼쪽방향(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 토너를 수용하고 있는 원통형의 토너 카트리지(52a ~ 52d)가 현상장치(48a ~ 48d)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52a ~ 52d)가 현상장치(48a ~ 48d)를 통하여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에 장착되면, 이것의 외측 표면은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의 외주와 거의 일치하도록 된다.
현상장치 유닛(44)에는 예를 들면 감광체로 이루어지는 화상담지체(54)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배면측(도 2에서 오른쪽)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현상장치 유닛(44)에는 풀칼라(full color) 현상을 위해 Y, M, C 및 K의 4가지 색이 준비되어 있고, 현상장치(48a ~ 48d)는 각각 화상담지체(54)에 대향하는 위치로 회전이동되고 위치 결정되어서 화상담지체(54) 상에 잠상을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 토너로 한번에 한 가지 색으로 순차적으로 현상한다.
또한, 현상장치 유닛(44)의 회전축(50)을 사이로 화상담지체(54)와 거의 대향하는 위치 근방에는 무선 통신부(56)이 배치되어 있다. 이 무선 통신부(56)은 안테나(58)를 가지고 있고 후술하는 메모리 칩(17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화상담지체(54) 아래에는, 예를 들면, 화상담지체(54)를 균일하게 대전시키 는 대전롤을 포함하고 있는 대전장치(60)가 설치된다. 또한, 화상담지체 클리너(cleaner)(62)는 회전 방향으로 대전장치(60)의 상류측에 화상담지체(54)와 접촉하고 있다. 화상담지체 클리너(62)는, 예를 들면, 1차 전사 후에 화상담지체(54) 상에 잔존하고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링 블레이드(blade)(64)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64)에 의해 긁어낸 토너를 회수하는 폐(waste) 토너 회수용기(66)를 포함한다.
폐토너 회수용기(66)의 배면측(도 2에서 오른쪽)에는, 예를 들면, 리브(rib) 등이 형성되어 용지가 부드럽게 반송되도록 반송로(34)의 일부를 형성하는 곡면을 형성한다.
현상장치 유닛(44)의 배면측 아래에는 레이저광 또는 다른 광선에 의해 잠상을 대전장치(60)에 의해 대전된 화상담지체(54) 상에 기입하는 노광장치(6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장치 유닛(44) 위쪽에는, 예를 들면, 반사형 광센서 등의 미사용 검출센서(70)가 배치되어 현상장치 유닛(44)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a ~ 52d)가 미사용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현상장치 유닛(44)과 미사용 검출센서(70) 위쪽에는 현상장치 유닛(44)에 의해 가시화된 상기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체(74)의 매 주기마다 1차 전사 위치에서 한번에 하나의 색을 1차 전사하고, 중간 전사체(74) 상에 4가지 색의 토너 화상을 중첩한 후에, 후술하는 2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 상에 일괄 전사를 수행하는 중간 전사장치(72)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장치(72)는, 예를 들면, 중간 전사벨트 등의 중간 전사체(74), 1차 전사롤(76), 랩인롤(wrap-in roll)(78), 랩아웃롤(wrap-out roll), 2차 전사 백업 롤(82), 스크레이퍼(scraper) 백업롤(84), 및 브러시(brush) 백업롤(86)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전사체(74)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며 장변(long side)과 단변(short side)을 갖도록 현상장치 유닛(44) 위쪽에 거의 평평하게 걸쳐져 있다. 중간 전사체(74)의 상면측의 장변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42)에 대해 거의 평행하도록 걸쳐져 있다. 또한, 중간 전사체(74)는 하면측의 장변에서 1차 전사롤(76)의 상류측에 배치된 랩인롤(78)과 1차 전사롤(76)의 하류측에 배치된 랩아웃롤(wrap-out roll)(80) 사이에 감싸여진 방식으로 화상담지체(54)에 접촉하는 1차 전사 부분(화상담지체 랩 영역)을 가지고 있고 화상담지체(54)의 소정 범위에만 걸쳐서 감겨있고 화상담지체(54)의 회전에 종동한다.
더욱이, 중간 전사체(74)의 뒤쪽(도 2에서 오른쪽 면)에는 랩아웃롤(80)과 2차 전사 백업롤(82)에 의해 평면부(단변)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는 2차 전사부로서 반송로(34)와 맞닿게 된다.
그러므로, 1차 전사롤(76)에 의해 화상담지체(54) 위에 토너 화상들은, 예를 들면,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순서로 중첩되어 중간 전사체(74) 위로 1차 전사되어, 중간 전사체(74)는 상기 1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2차 전사부를 향해 반송한다.
스크레이퍼 백업롤(84)은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토너를 후술하는 스크레이퍼(94)로 긁어내는 것을 보조하고, 브러시 백업롤(86)은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토너를 후술하는 브러시롤(96)로 긁어내는 것을 보조한다.
2차 전사롤(88)은 반송로(34)를 사이에 두고 중간 전사장치(72)의 2차 전사 백업롤(82)에 대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과의 사이는 2차 전사부에서의 2차 전사 위치가 되고, 2차 전사롤(88)은 2차 전사 백업롤(82)의 보조에 의해, 중간 전사체(74)에 1차 전사되었던 토너 화상을 2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에 2차 전사를 수행한다. 여기서, 중간 전사체(74)가 3회전하는 동안, 즉, 황색, 마젠타, 시안의 3가지 색의 토너 화상을 반송하는 동안에, 2차 전사롤(88)은 중간 전사체(74)로부터 이간되고, 흑색 토너 화상이 전사된 때에 중간 전사체(74)와 접촉하게 된다.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 간에는 소정의 전위차가 발생되도록하고, 예를 들면, 2차 전사롤(88)이 고전압일 경우에는 2차 전사 백업롤(82)은 접지(GND) 등에 접속된다.
2차 전사 위치의 상류측에는, 반송로(34)를 사이에 두고 중간 전사체(74)에 대향하도록, 예를 들면, 반사형 광센서 등의 화상 농도센서(90)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농도센서(90)는 중간 전사체(74)에 형성된 토너 패치(patch)를 판독하여 중간 전사체(74)에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검출한다.
중간 전사체(74)의 화상담지체에 대향하는 측 단부에는, 중간 전사체 클리너(92)가 접촉하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체 클리너(92)는, 예를 들면, 2차 전사 후에 잔류 토너를 긁어내고 2차 전사체(74)를 클리닝하는 스크레이퍼(94)와, 상기 스크레이퍼(94)에 의한 클리닝 후에 잔류하는 토너를 더 긁어내는 브러시롤(96)과, 상기 스크레이퍼(94)와 브러시롤(96)에 의해 긁어낸 토너를 회수하는 폐 토너 회수용기(bottle)(98)를 포함한다. 스크레이퍼(94)는, 예를 들면, 얇은 스텐레스 강철판으로 형성되고, 토너와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된다. 부러시롤(96)은, 예를 들면, 도전 처리된 아크릴의 브러시로 구성된다. 중간 전사체(74)가 토너 화상을 반송하는 동안 스크레이퍼(94)와 브러시롤(96)은 중간 전사체(74)로부터 이간되고,소정의 타이밍에서 일체가 되어 중간 전사체(74)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정착장치(100)는 상기 2차 전사 위치 위에 배치된다. 정착장치(100)는 가열롤(102)과 가압롤(104)을 갖고,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에 의해 용지에 2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이 용지에 정착시키고, 이 용지를 배출롤(40)을 향해 반송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6)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담지체 유닛(108)은 화상담지체(54), 대전장치(60) 및 화상담지체 클리너(62)와 일체된다. 더욱이, 화상 형성 장치 유닛(110)은 화상담지체 유닛(108), 중간 전사장치(72) 및 중간 전사체 클리너(92)를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정착유닛(112)은 정착장치(100) 및 배출롤(40)을 일체화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유닛(11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고, 개폐 커버(16)을 여는 것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또한, 화상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형성 장치 유닛(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52a ~ 52d)들은 개폐 커버(16)이 열려진 상태로 정면측에 위 치할 경우에,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에 장착된 현상장치(48a ~ 48d)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된다. 현상장치(48a ~ 48d)들은 개폐 커버(16)가 열려진 상태로 정면측에 위치할 경우에,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된다.
정착유닛(112)은 예시하지 않은 상부 커버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된다. 현상장치 유닛(44) 및 급지유닛(20) 등의 다른 유닛들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각 유닛들은 사용자에 의해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사용자가 교환가능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할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에 순정품 이외의 제품이 장착되면, 양호한 화질을 유지할 수 없고, 동작을 보증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사용된 부재들의 특성에 따라 제어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교환가능한 유닛 등에는 소정의 조건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후로, 현상장치(48a ~ 48d)들 등과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요소 중에서 이들 구성요소들의 특정한 것을 지정하지 않고 구성요소를 표시할 때에는, 그 구성요소를 "현상장치(48)"와 같이 단축된 형태로 간략하게 언급될 수 있다.
소정의 조건 등을 판정하기 위한 센서를 갖는 교환가능 유닛을 일예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교환가능한 유닛인 현상장치(48)의 구성을 나타낸다.
현상장치(48)은 현상장치 하우징(housing)(현상장치 본체)(114)의 화상담지 체(54) 측에 위치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롤(116), 제1의 오거(auger)(118), 제2의 오거(120), 제3의 오거(122) 및 층 두께 규제(restricting)부재(124)를 갖고, 예를 들면, 비자성(nonmagnetic) 토너와 자성 토너를 포함하는 2가지 성분의 현상제를 수용한다.
현상장치 하우징(114)는 후술하는 토너 접수구(134) 및 현상제 배출구(140)를 개폐하는 셔터(shutter)(126)와,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받아들인 토너를 반송하는 원통형의 취입반송로(128)와, 토너와 카트리지를 교반 반송하는 원통형의 현상제 반송로(130, 132)를 갖는다.
취입반송로(128)는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토너를 받아들이는 토너 접수구(134)와 토너를 현상제 반송로(130) 내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구(136)를 갖고 제1의 오거(118)는 이 취입반송로(12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오거(118)는 취입반송로(128)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받아들인 토너를 현상제 반송로(130)로 반송한다. 또한, 제1의 오거(118)의 회전을 조절하여서,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현상장치(48)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조절하게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토너농도(캐리어에 대한 토너의 비)와 현상제의 토너 대전량이 소정의 값으로 조절된다.
토너 사용량(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은 제1의 오거(118)의 구동시간 또는 회전수를 누적하여 CPU(202)에 의해 산출하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토너 사용량은 노광장치(68)가 정전잠상을 화상담지체(54) 위에 기입할 때에 흐르는 전류를 커패시터에 충전하는 형태 등으로 축적하고, 이 축적된 전하가 소정의 양에 도달한 횟수를 CPU(202)가 카운트 함으로써 산출하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취입반송로(128)에는, 토너 접수구(134)와 토너 공급부(136) 사이에 토너 검출센서(138)가 구비되어 있고, 취입반송로(128) 내에 토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예를 들면, 토너의 존재 유무로 인한, 취입반송로(128) 내의 두 지점간의 저항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이 토너 검출센서(138)가 검출한다. 토너 검출센서(138)는 압전소자로 대신해도 좋다.
현상제 반송로(130)은 토너 카트리지(52) 내로 잉여 현상제를 배출하는 현상제 배출구(140)를 갖고, 제2의 오거(120)는 현상제 반송로(13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오거(120)는 취입반송로(128)를 통하여 반송된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현상제 반송로(132)로 반송한다.
제3의 오거(122)는 현상제 반송로(13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3의 오거(122)는 현상제 반송로(130)을 통하여 반송된 현상제를 교반 반송하고 이 현상제를 현상롤(116)에 공급한다.
현상제 반송로(130)과 현상제 반송로(132) 사이에는 구획판(143)이 배치되어 있고, 구획판(143)의 각 단부에는 현상제 반송로(130)와 현상제 반송로(132)를 접속하는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현상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2의 오거(120) 및 제3의 오거(122)에 의해, 토너가 캐리어에 의해 소정의 극성의 대전량으로 마찰 대전되어 현상장치 하우징(114) 내에서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배출구(140)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토너 카트리지(52)로 배출되는 열화한 현상제에 의해, 현상제의 전체적인 수명이 길어지도록 되어 있다(트리클(trickle) 현상방식).
셔터(126)는 개구부(144, 146)를 갖고, 토너 접수구(134)와 중첩되어 있는 개구부(144)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현상장치(48)로 토너의 통로가 형성되고, 현상제 배출구(140)와 중첩되어 있는 개구부(146)에 의해, 현상장치(48)로부터 토너 카트리지(52)로의 잉여 현상제 통로가 형성된다.
현상롤(116)은 토너를 반송하고 화상담지체(54)와 접촉하여 이 토너에 의해 화상담지체(54)에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층 두께 규제부재(124)는 현상롤(116)에 담지된 토너의 두께를 규제한다.
도 6 및 도 7은 교환가능한 유닛인 토너 카트리지(52)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토너 카트리지(52)는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와, 이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배치된 회동부(152)를 갖는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는 통형상(tubular shape)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교반 반송부재(154)가 배치된 거의 원통형 부분과 이로부터 길이 방향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는 또한 토너 카트리지(52)가 현상장치(48)를 통하여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에 장착될 때 이것의 외측 표면이 현상장치 유닛 본체(46)의 외주에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 내에는 현상장치(48)에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공간(1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토너 수용공간(156)에는 상술한 교반 반송부재(154)가 설치된다. 교반 반송부재(154)는, 예를 들면, 나선형식으로 감겨져 있어서 토너 수용공간(156) 내에서 토너를 교반하고 토너를 현상장치(48)의 토너 접수구(134)를 향하여 반송한다.
회동부(152)는 회동부 본체(154)와 회동부 본체(154)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통부(156)를 갖고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통부(156)는 회동부 본체(154)의 측면부(158) 측이 통부측벽(160)에 의해 밀어되어 내부에 설치된 격리벽(162)을 갖는다. 격리벽(162)의 통부측벽(160) 측에는 현상장치(48)로부터 잉여 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한 현상제 회수공간(164)이 형성되어, 격리벽(162)의 통부측벽(160) 측에 대향하는 측에는, 상술한 토너 수용공간(156)이 연장하는 식으로 형성된다.
투명부재로 덮여진 창 형태의 창부(166)를 갖고 있는 회동부 본체(154)는 그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통부(156)의 원통형 부분의 외면을 따라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통부(156)의 원통형 부분의 외면에는, 예를 들면, 백색 테이프 등의 반사부재(168)가 부착되어, 토너 카트리지(52)가 현상장치(48)와 회동부 본체(154)에 장착될 때, 반사부재(168)가 창부(166)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되어 있는 현상장치 유닛(44)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내부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노출된 반사부재(168)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된 미사용 검출센서(70)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사용 검출센서(70)는, 예를 들면, 반사형 광센서이고, 현상장치 유닛(44)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의 반사부재(168)가 미사용 검출센서(70)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 반사부재(168)가 토너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변화하는 반사량을 검출하여, 토너 카트리지(52)가 미사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회동부 본체(154)의 측면부(158)에는 메모리 칩(170)이 부착되어 있다. 메모리 칩(170)은 안테나(172)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측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56)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다음은, 무선 통신부(56)와 메모리 칩(170)에 관하여, 각 회로 구성과 2개의 구성요소 상호간에 수행되는 통신을 설명한다.
도 8은 무선 통신부(56)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메모리 칩(17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56)의 회로는 송수신 제어부(174)와 변조회로(176), 송신회로(178), 수신회로(180), 복조회로(182) 및 안테나(58)를 포함하고 있다. 무선 통신부(56)에서, 송수신 제어부(174)는 무선 통신부(56)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수신 제어부(174)는 제어부(10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변조회로(176)에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 제어부(174)는 수신회로(180)로부터 수신되고 복조회로(182)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변조회로(176)는 송수신 제어부(17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변조하고 송신회로(178)에 이 데이터를 출력한다. 송신회로(178)는 메모리 칩(170)에 기억되는 데이터,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안테나(58)을 통하여 메모리 칩(170)으로 출력한다.
수신회로(180)는 메모리 칩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58)을 통하여 수 신하고 복조회로(182)로 이 신호를 출력한다. 복조회로(182)는 수신회로(180)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변화에 근거하여 메모리 칩(17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송수신 제어부(174)에 이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칩(170) 회로는 유닛 NVM(Non Volatile Memory)(184), 송신논리회로(186), 수신논리회로(188), 송신회로(190), 수신회로(192), 클럭재생회로(194), 전원부(196) 및 안테나(172)를 포함한다.
전파신호가 무선 통신부(56)로부터 메모리 칩(170)으로 송신되면, 전파신호는 안테나(172)를 통하여 수신회로(192), 클럭재생회로(194) 및 전원부(196)로 수신된다. 메모리 칩(170)에는, 상기 전파신호가 수신되면, 전원부(196)는 전파신호에 의한 전자유도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정류하고 메모리 칩(170)의 각 구성요소에 이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과 함께 공급한다. 예를 들면, 만약 전원부(196)에 의해 발생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필요할 경우에는, 메모리 칩(170)은 본체(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칩(170)에는 전원 코일 등을 더 설치하여 현상장치 유닛(44)에 공급되는 교류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공급되어도 좋다.
전파신호를 수신하면, 클럭재생회로(194)는 클럭신호를 재생하고 이 클럭신호를 메모리 칩(170)을 구성하는 각 회로로 출력한다. 전파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회로(192)는 전파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등의 신호를 클럭재생회로(194)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수신논리회로(188)에 출력한다. 클럭재생회로(194)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수신논리회로(188)는 수신회로에서 입력된 상기 데이 터 등의 신호를 복조하고 이 복조된 신호를 유닛 NVM(184)에 출력한다.
유닛 NVM(184)는 기입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클럭재생회로(194)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수신논리회로(188)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데이터의 기입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기입(기억)을 수행하고, 반면에 신호가 데이터의 판독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를 송신논리회로(186)에 출력한다. 유닛 NVM(184)에 포함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플래시 ROM, EEPROM 또는 FeRAM(Ferroelectric memory)로 되어도 좋다.
클럭재생회로(194)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와 동기하여, 송신논리회로(186)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변조하고 이 변조된 데이터를 송신회로(190)로 출력한다. 클럭재생회로(194)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송신회로(190)는 송신논리회로(18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전파신호로서 안테나(172)를 통하여 무선 통신부(56)에 송신한다.
전파신호로서 송수신된 신호들은 암호화된 후에 전파신호로 변환되어서 송수신 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허가된 사용자 등이 암호화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06) 이외의 장치로부터 유닛 NVM(184)의 내용을 재기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10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56)와 메모리 칩(17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토너 카트리지(52)는 현상장치(48)에 장착되고 회전축(5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현상장치 유닛(44)(도 2 참조)에 의해 이동한다. 무선 통신부(56)는 현상장치 유닛(44)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각 메모리 칩(170)이 순차적으로 대향하는 현상장치 유닛(44)의 측부 근방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되어 있고, 대응한 메모리 칩(17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거의 대향하는 위치로 현상장치(48)의 이동이 제어되어 정지되어진 상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56)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 개시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56)로부터 출력된 전파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칩(170)에 의해 송신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교환가능 유닛인 화상담지체 유닛(108)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담지체 유닛(108)은 화상담지체(54), 대전장치(60) 및 화상담지체 클리너(62)와 일체화되고, 예를 들면, 화상담지체 클리너(62) 내부의 상부에 배치된 폐토너 충만(full)센서(198)와, 폐토너 충만센서(198) 아래에 배치된 플로트(float)(200)를 갖는다. 폐토너 충만센서(198)는 일측에 배치된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타측에 배치된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고, 수광부가 이 빛을 수광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플로트(200)는 화상담지체(54)로부터 폐토너 회수용기(66)에 회수된 폐토너가 소정의 양을 초과할 때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이 폐토너 회수용기(66)가 폐토너로 가득차게 되면 폐토너 충만센서(198)의 광 통로가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화상담지체 유닛(108)은 폐토너 회수용기(66)가 폐토너 충만센서(198)와 플로트(200)에 의해 가득찼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소정의 조건들을 검출하기 위해 센서 등을 갖는 각 교환가능 유닛 은 센서 등에 의한 검출결과를 제어부(106)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106)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부를 입력된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제어부(106)의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제어부(106)와 이 제어부(106)에 접속된 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6)는 CPU(202), 기억부(204), 센서 인터페이스(interface)(센서 I/F)회로(206), 무선 통신부 제어회로(208), 통신 인터페이스(통신 I/F)회로(210),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제어회로(212), 화상 묘화(drawing)회로(214), 프로세스 제어회로(216), 화상 형성부 인터페이스(화상 형성부 I/F)회로(218), 용지 반송부 제어회로(220) 등을 갖고 시스템 버스(222)를 통하여 신호들을 입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CPU(202)는 시스템 버스(222)를 통하여 제어부(106)를 구성하는 각부 사이에 신호들을 송수신하고 제어부(106)를 구성하는 각부를 제어한다.
기억부(204)는 프로그램 ROM(224), RAM(226) 및 본체 NVM(Non Volatile Memory)(228)을 갖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등을 기억한다. 프로그램 ROM(224)은, 예를 들면, 플래시 ROM으로 구성되어 기억된 내용이 갱신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RAM(226)은, 예를 들면, SRAM으로 구성되어 화상 묘화회로(214)로부터 입력된 묘화 데이터 등의 일시적인 정보를 기억한다. 본체 NVM(228)은, EEPROM 또는 플래시 ROM 등과 같은 전기적으로 다시 기입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본체 NVM(228)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원이 오프인 때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재기입 가능한 기억장치이라면, 전원이 배터리 등에 의해 백업되는 SRAM, HDD(Hard Disk Drive) 또는 광메모리 등이어도 좋다.
센서 I/F 회로(206)는 각 개폐 검출센서(19), 온도센서(30), 습도센서(32), 미사용 검출센서(70), 토너 검출센서(138), 화상 농도센서(90) 및 폐토너 충만센서(198)로부터 검출결과를 받아들여, 시스템 버스(222)를 통하여 CPU(202)에 검출결과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56)를 통하여 무선 통신부 제어회로(208)는 토너 카트리지(52a ~ 52d)에 구비된 4개의 메모리 칩(170)과의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하고, 시스템 버스(222)를 통하여 CPU(202), 기억부(204) 등과의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각각의 메모리 칩(170)을 CPU(202), 기억부(204) 등에 접속한다.
통신 I/F회로(210)는 네트워크(3)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고, 시스템 버스(222)를 통하여 CPU(202) 등과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호스트 장치(2)를 CPU(202) 등에 접속한다. UI 제어회로(212)는 UI 장치(18)와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CPU(202) 등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UI장치(18)를 CPU(202) 등에 접속한다.
화상 묘화회로(214)는 호스트 장치(2)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형성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묘화하고, CPU(202) 및 RAM(226)에 출력한다. 프로세스 제어회로(216)는 CPU(202)와 함께, 기억부(204)에 기억된 후술하는 설정 값 등을 참조하고, I/F회로(218)를 통하여, 노광장치(68), 화상 형성 장치 유닛(110) 및 현상장치 유닛(44) 등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230)를 제어한다. 용지 반송부 제어회로(220) 는 CPU(202)와 함께, 급지롤(26), 리타드롤(28), 레지스트롤(38) 등을 포함하는 용지 반송부(232)를 제어한다.
픽셀(pixel) 카운터(300)는 화상 페이지 마다 및 시안(C), 마젠타(M), 황색(Y) 및 흑색(K)의 각 토너 색마다 턴온(turn on) 된 픽셀의 갯수를 카운트하고 CPU(202) 및 RAM(226)에 결과를 출력한다. CPU(202)는 페이지마다 각각의 색이 턴온 된 픽셀수의 비율을 인쇄 커버리지(coverage)로 산출한다.
CPU(202)는 기억부(204)에 기어되어 있는 데이터와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메모리 칩(170)이 부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 칩(170)은 센서가 없어도 검출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다음은,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프로그램 ROM(224)에서는, 프로그램 영역(234) 및 설정값 영역(236)이 제공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을 동작시키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238)은 프로그램 영역(234)에 기억되어 있다. 각 수명 임계값(240), 각 수명 임계값 도달 설정횟수(242), 온도관련 파라미터 군(群)(244), 습도관련 파라미터 군(246), 토너농도 파라미터 군(248) 및 판정시기 설정값(252) 등이 설정값 영역(236)에 기억되어 있다.
각 수명 임계값(24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기 교환가능 유닛의 수명(수명 임계값)을 포함한다. 수명 임계값 도달 설정횟수(242)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가능 유닛이 상기 수명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허용되는 횟수를 포함한다. 온도관련 파라미터 군(24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온도 제어에 관련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습도관련 파라미터 군(246)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습도 제어에 관련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토너농도 파라미터 군(248)은 현상장치(48)에서 토너농도 제어에 관련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판정시기 설정값(252)은 후술하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모드에 맞춰 인쇄준비를 수행하는 처리(도 15)에 있어서, CPU(202)가 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각의 교환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 판정을 개시할 때까지의 기간(판정시기)을 포함한다.
대응 유닛 정보영역(254), 본체측 갱신영역(256) 등이 본체 NVM(228)에 구비되어 있다.
대응 유닛 정보영역(254)에는 대응 기종코드(258) 및 대응 국가코드(260)가 기억되어 있다. 대응 기종 코드(258)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각의 교환가능 유닛에 대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에 적합한 기종인 것을 나타내는 기종 테이블(table)(데이터)을 기억한다. 대응 국가코드(26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각의 교환가능 유닛에 국가에 따라 다른 사양이 설정되는 각 국가 테이블(table)(데이터)을 기억한다.
유닛 장착이력(262), 본체측 라이프 카운트 값(264), 본체측 수명 임계값 도달횟수(266), 검출이력(268) 및 동작모드 이력(270) 등이 본체측 갱신영역(256)에 기억되어 있다. 유닛 장착이력(262)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각의 교환가능 유닛의 장착이력을 포함한다. 유닛 장착이력(262)의 초기 상태(초기 값)에는, 순정품이 장착됨을 나타내는 값이 기억된다. 본체측 라이프 카운트 값(26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각의 교환가능 유닛의 라이프 카운트 값(사용 개시 후 현재까지의 사용량)을 포함한다. 각 유닛의 사용량은 유닛의 각 누적된 동작 시간으로부터 산출 되어도 좋다. 본체측 수명 임계값 도달횟수(266)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각의 교환가능 유닛의 수명 임계값 도달횟수를 포함한다. 검출이력(268)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제공된 각 센서의 검출결과의 이력을 포함한다. 동작모드이력(27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각의 교환가능 유닛에 적용된 동작모드의 이력을 포함한다.
유닛정보영역(272), 유닛측 갱신영역(274) 등은 유닛 NVM(184)에 제공된다.
기종을 나타내는 기종코드(276), 사양이 설정된 국가를 나타내는 국가코드(278), 유닛 고유의 제조번호(280), 제조연월일(282), 유닛의 수명을 나타내는 수명 임계값(284), 프로세스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 파라미터 등이 유닛정보영역(272)에 기억되어 있다.
사용 개시 후부터 현재까지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라이프 카운트 값(288), 수명 임계값(284)에 도달할 때 기억된 수명 임계값 횟수를 나타내는 수명 임계값 도달횟수(290), 관련 이력정보(292) 등이 유닛측 갱신영역(27)에 저장되어 있다. 관련 이력정보(292)는, 예를 들면, 화상담지체(54)의 회전속도와 토너 카트리지(52)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관련 정보의 이력들 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신호가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보내지면, 화상담지체(54)는 대전장치(60)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 화상 신호에 따라 노광장치(68)로부터 대전된 화상담지체(54)에 광선이 방사된다. 노광장치(68)로부터의 광선은 화상담지체(54)의 표면을 노광함으로써 잠상이 형성된다.
화상담지체(54) 상에 담지된 잠상은 현상장치 유닛(44)에 의해 현상위치에서 현상된다. 현상장치 유닛(44)에서는,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 토너가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52a ~ 52d)로부터 각각의 현상장치(48a ~ 48d)로 공급된다. 현상장치(48a ~ 48d)에 과잉 공급된 현상제는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52a ~ 52d)에 회수된다. 현상장치 유닛(44)의 현상장치(48a ~ 48d)에 의해 색에 따라 현상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체(74)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처리에 있어서, 화상담지체(5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화상담지체 클리너(62)에 의해 긁혀서 회수된다.
한편, 급지 카세트에 수용된 용지는 급지롤(26)에 의해 보내지고, 리타드롤(28)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로(34)로 인도되고, 레지스트롤(38)에 의해 일단 정지되고, 조정된 타이밍에서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 사이로 인도된다. 용지가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 사이로 인도되면, 중간 전사체(74)에 1차 전사에 의해 중첩된 4개 색 토너 화상이 2차 전사롤(88)과 2차 전사 백업롤(82)에 의해 용지에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중간 전사체 클리너(92)에 의해 긁혀서 회수된다.
토너 화상에 전사된 용지는 정착장치(100)로 인도되고, 토너 화상은 가열롤(102)과 가압롤(10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출구(36)로부터 배출롤(40)에 의해 배출부(42)로 배출된다. 제어부(106)는 토너 카트리지(52)의 라이프 카운트 값 등을 유닛 NVM(184)과 본체 NVM(228)에 기억시킨다.
도 14는 본체 NVM(228)에 기억된 현상제의 사용량(라이프 카운트 값)에 대한 현상제의 대전능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현상제의 대전능력에서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농도의 설정을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나타낸 설정에 의해 보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 16(a)는 보정된 토너농도를 나타내고, 도 16(b)는 보정된 화상농도를 나타낸다.
토너 카트리지(52)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장치(48) 내에서 캐리어에 의해 소정의 극성을 갖는 대전량으로 마찰대전된다. 만약 현상제가 사용되면, 도 14에 나타난 순정품 토너 P의 특성과 같이,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 대전능력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10)는, 트리클 현상방식을 채용하고 있어도, 용지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질을 소정의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현상장치(48) 내의 토너농도 및 중간 전사체(74) 상의 화상농도에 대한 설정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CPU(202)는 화상 농도센서(90)에 의해 화상농도를 검출하여,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제1의 오거(118)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현상장치(48) 내로 공급되는 토너량을 줄여서 화상농도를 내린다. 또한, 농도가 낮으면, CPU(202)는 제1의 오거(118)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현상장치(48) 내로 공급되는 토너량을 증가시켜서, 토너농도를 높여서 화상농도를 높인다. 통상, 상기 화상농도 검출용의 패턴으로 중간 조(tone) 농도를 갖는 패턴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를 그대로 실행할 경우, 토너의 대전능력이 저하하면 화상농도를 높이기 위해 현상 성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토너농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므로, 최대 화상농도는 저하될 것이다.
그러므로, 현상제의 대전능력이 저하되도, 용지에 전사되는 최대 화상농도가 저하하지 않도록, 화상 농도센서(90)에 의한 화상 농도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토너농도 제어로 사용되는 토너농도 파라미터 군(248)에 기억된 현상장치(48)에서의 토너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 값들을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 증가하도록 보정한다. CPU(202)는 보정된 설정 값(도 15:토너 P에 대응한 설정 S)에 따라서 제1 오거(118)를 회전시키고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농도가 소정의 값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토너농도를 유지한다.
그 결과,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농도가 사양에 따른 소정의 값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화상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해 순정품 이외의 것인 토너(X) 또는 토너(Y)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52)와 거의 같은 구성의 순정품 이외의 것인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정품인 토너의 특성(P)과 다른 특성이 나타나는 것이 예측된다. 그러므로, 용지에 형성된 화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토너(P)에 대응한 설정(S)과 다른 보정된 설정 값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X) 또는 토너(Y)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가 순정품 이외의 것일 경우는, 토너농도의 설정 값의 변화량(경사)을 증감시키는 것(m1, m2 : 도 15), 한계값을 증감시키는 것(m1, m2), 초기값(사용량=0)을 변화시키는 것(m3), 사용량에 따른 설정 값을 변경하지 않는 것(m4) 및, 예를 들면, 초기값 등을 변경하여 사용량에 따른 설정 값을 변경하지 않는 것(m5) 등과 같은 변경 조건을 조합하여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보정을 변경한다. 이 변경은 사용자가 UI장치(18)을 통해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선택하여 수행된다.
다음은,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호스트 장치(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순정 토너(P)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52)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유닛 NVM(184)에 기억된 사용량에 근거하여 토너의 잔량을 산출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202)의 제어에 근거하여 토너의 산출된 잔량을 호스트 장치(2)에 표시시킨다.
한편, 순정품 이외의 것인 토너(X)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52)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52)의 유닛 NVM(184)에 기억된 사용량과 토너의 잔량 사이에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CPU(202)는 토너 잔량을 올바로 산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202)의 제 어에 근거하여 토너의 잔량을 호스트 장치(2)에 표시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202)의 제어에 근거하여,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되었을 때부터 측정 또는 측량된 인쇄 커버리지를 호스트 장치(2)에 표시시킨다.
또한, CPU(202)는 토너의 잔량과 같은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UI장치(18)에 표시시켜도 좋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호스트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2)는 CPU(402) 및 메모리(404)를 갖는 본체(400), 액정 모니터/키보드 및 마우스(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표시/입력장치(410), HDD/CD 장치 등의 기록장치(408) 및 호스트와 네트워크 사이에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406)을 포함한다.
즉, 호스트 장치(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컴퓨터와 유사한 구성부를 포함한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호스트 장치(2)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장치)(422), 프린터 드라이버(424), 유틸리티 프로그램(426) 및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428)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은, 예를 들면, 기록매체(412)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의 기록장치(408)에 공급되어, 메모리(404)에 로드(load)되어서 실행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은 상기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호스트 장치(2)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 열람기능 및 설정 변경기능을 제공하고,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 네트워크(3)를 통하여 송신된 메시지를 표시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에서는, UI장치(422)는 표시/입력장치(41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여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의 각 구성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UI장치(422)는 프린터 드라이버(424) 또는 유틸리티 프로그램(426)이 네트워크(3)를 통하여 받은 데이터를 사용자에 대해 표시한다.
프린터 드라이버(424)는 호스트 장치(2)의 사용자에게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 표시기능,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된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424)는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의 메시지 통지기능을 제공한다.
유틸리티 프로그램(426)은 호스트 장치(2)의 사용자에게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 표시기능,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 드라이버(424)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된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유틸리티 프로그램(426)은 복수의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들이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상기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428)는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3)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다음은,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형형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9는 토너 카트리지(52)에 대한 동작모드에 맞춰 인쇄준비를 수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10)이다.
도 20은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된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유닛 교환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20)이다.
도 21은 사용자가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수행하는 동작모드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30)이다.
도 22는 사용자가 순정품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수행하는 동작모드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40)이다.
도 23는 인쇄가 개시될 때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에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50)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100(S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UI장치(18)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CPU(202)는 동작모드의 선택을 시작하기 위한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동작모드의 선택을 시작하는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S30 처리로 진행되고, 동작모드의 선택을 시작하는 입력이 없었을 경우에는, S102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102(S102)에서, CPU(202)는 개폐 검출센서(19)가 개폐 커버(16)의 개폐 검출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CPU(202)가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검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 S20 처리로 진행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S100 처리로 진행된다. 즉, 개폐 커버(16)가 개폐되었을 경우,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닛 교환 검출처리가 수행된다.
스텝 200(S200; 도 20)에서, CPU(202)는 유닛 NVM(184)로부터 제조번호(280)를 판독한다.
스텝 202(S202)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유닛 장착이력(262)에 포함되어 있는 최근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번호를 판독한다.
스텝 204(S204)에서, CPU(202)는 최근 장착되었던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번호와 유닛 NVM(184)로부터 읽은 제조번호(280)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최근 장착되었던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번호와 유닛 NVM(184)로부터 읽은 제조번호(280)가 동일하면, S206 처리로 진행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S208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206(S206)에서,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지 않고 다시 장착된 것으로 간주한다(교환이 수행되지 않았음).
스텝 208(S208)에서, CPU(202)는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된 것으로 간주한다(교환이 검출 되었음).
스텝 104(S104; 도 19)에서, 만약 CPU(202)가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검출되었다고 간주했다면, S106 처리로 진행되고, 그 밖의 경우에는, S100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106(S106)에서, CPU(202)는 프로그램 ROM(224)으로부터 판정시기 설정 값(252)을 판독한다.
판정시기 설정 값(252)은 0이여도 좋다.
스텝 108(S108)에서, CPU(202)는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의 판정을 개시하는 판정시기가 되어었는지의 여부를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근거하여 판정한다. 만약 순정품과 순정품 이외의 것 사이에 판정을 개시하는 판정시기가 되었을 경우에, S110 처리로 진행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CPU(202)는 판정시기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110(S110)에서, CPU(202)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기종코드(276) 및 국가코드(278)을 판독한다.
스텝 112(S112)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으로부터 대응 기종코드(258) 및 대응 국가코드(260)를 판독한다.
스텝 114(S114)에서, CPU(202)는 기종코드(276)와 대응 기종코드(258)을 대조하고, 국가코드(278)와 대응 국가코드(260)를 대조하여서, 만약 교체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으로 판별되었을 경우에, S40 처리로 진행하고,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에, S116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116(S116)에서, CPU(202)는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본체 NVM(228)의 유닛 장착이력(262)에 포함되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장착이력을 갱신한 후 S30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300(S300; 도 21)에서, UI장치(18)는 도 24(b)에 나타낸 동작모드 선택화면(298)을 표시한다.
스텝 302(S302)에서, CPU(202)는 동작모드 선택화면(298)에 표시된 디폴트 모드(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키버튼(296a)과 그 밖의 다른 동작모드를 지정하는 키버튼(296b) 사이에 선택하는 입력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키버튼(296a 또는 296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행되었을 경우에, S304 처리로 진행되고,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을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가 동작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304(S304)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에서 동작모드 이력(270)을 S302에서 선택된 동작모드로 갱신(겹쳐쓰기 포함)한다.
스텝 306(S306)에서, UI장치(18)는 도 25에 나타낸 표시패턴 선택화면(350)을 표시한다.
스텝 308(S308)에서, CPU(202)는 표시패턴 선택화면(350)에 표시된 표시패턴 선택버튼(352a ~ 352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서 결정버튼(354)이 눌려진 여부를 판별한다. 표시패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결정버튼(354)이 눌려지는 경우, 스텝 310 처리로 진행하고, 표시패턴 중 어느 하나도 지정하는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가 표시패턴을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310(S310)에서,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선택된 표시패턴에 표시하기 위해 표시패턴을 변경한다.
스텝 400(S400; 도 22)에서, UI장치(18)는 도 24(a)에 나타낸 동작모드 선택화면(294)을 표시한다.
스텝 402(S402)에서, CPU(202)는 동작모드 선택화면(294)에 표시된 디폴트모드(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키버튼(296a)과 그 밖의 다른 동작모드 를 지정하는 키버튼(296b) 사이에 선택하는 입력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키버튼(296a 또는 296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행되었을 경우에, S404 처리로 진행하고,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을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가 동작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404(S404)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에서 동작모드 이력(270)을 S402에서 선택된 동작모드로 갱신(겹쳐쓰기 포함)한다.
스텝 118(S118; 도 19)에서, CPU(202)는 최신의 동작모드 이력(270)에 포함되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맞춰 인쇄준비를 수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S118의 인쇄준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또는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UI장치(18)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 118에서 인쇄준비가 종료 후, 인쇄 처리가 실행될 때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500(S500)에서, CPU(202)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을 경우, S502 처리로 진행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S504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502(S502)에서, CPU(202)는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안(C), 마젠타(M), 황색(Y) 및 흑색(K)의 각 잔량과, 화상 형성 장치(10)가 인쇄중인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340a)에 대한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에 출력하고, 이 화면(340a)는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된다.
스텝 504(S504)에서, CPU(202)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 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을 경우,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를 정지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 S506 처리로 진행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S508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506(S506)에서는,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202)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인쇄중인 것,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어되고 있는 동작모드,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52) 및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는 그 밖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340b)에 관한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에 출력하고, 이 화면(340b)은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된다. 이때, 화면(340b)에서는,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는 정지된다.
스텝 508(S508)에서,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되었을 때부터 측량 또는 측정된 시안(C), 마젠타(M), 황색(Y) 및 흑색(K)의 각 인쇄 커버리지, 화상형성 장치(10)가 인쇄중인 것,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어되어 있는 동작모드, 순정품 이외의 것인 토너 카트리지(52),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되었을 때부터 측량 또는 측정된 풀칼라와 모노크롬(monochrome) 색으로 인쇄된 용지 매수 및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340d)에 관한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에 출력하고, 이 화면(340d)은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10)의 CPU(202)는 동작모드 및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52)에 관한 데이터를 네트워크(3)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에 출력한다. 호스트 장치(2)는 동작모드 및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 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이용 상황을 올바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에서 제어되고 있을 경우,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면, 시안(C), 마젠타(M), 황색(Y) 및 흑색(K)의 각 토너의 잔량, 대기 상태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10) 및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되었을 때부터 측량 또는 측정된 인쇄 매수를 포함하는 화면(340c)이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의 CPU(202)는 토너의 잔량을 표시시키는 대신에 토너의 잔량 표시를 정지시키거나 인쇄 커버리지를 표시시키거나 한다.
또한,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는 다른 복수의 그 밖의 동작모드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그 밖의 복수의 동작모드에서 자유롭게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가능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사용자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고, 표시패턴을 변경하여서, 사용자의 유용성과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교환가능 유닛이 순정품일 경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동작모드는, 사용자가 잘못해서 화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에서만 동작하도록 제한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7로 설명된 제1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에서, 중복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서,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를 설명한다.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UI장치(18)에 의한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202)의 제어에 근거하여, UI장치(18)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일 경우에 토너의 잔량을 표시하고,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일 경우에 토너의 사용량을 표시한다. 이는 토너 카트리지가 순정품 이외의 것인 경우에, 토너량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토너의 잔량을 산출할 수 없다.
다음은,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토너 카트리지(52)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모드에 맞춰 인쇄준비를 수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20)이다.
도 20은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유닛교환 검출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20)이다.
도 28은 사용자가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동작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수행하는 순정품 카트리지 이외의 토너 카트 리지에 대해 동작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1030)이다.
도 22는 사용자가 순정품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동작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수행하는 순정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동작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40)이다.
도 29는 사용자가 부가 메시지의 표시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수행하는 표시 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1050)이다.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100(S100)에서, CPU(202)는 사용자가 UI장치(18)를 동작시켜서 동작모드 선택을 개시하는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동작모드 선택을 개시하는 입력이 있었을 경우, S1030 처리로 진행하고, 동작모드 선택을 개시하는 입력이 없었을 경우, S102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1300(S1300; 도 28)에서, CPU(202)는 동작모드의 선택이 사용자가 UI장치(18)을 동작시켜서 개시된 것인지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 카트리지 이외의 것임이 자동으로 판별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카트리지로 판별된 경우, S1308 처리로 진행하고, 사용자가 UI장치(18)를 동작시켜 동작모드의 선택을 개시한 경우에는 S1302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1302(S1302)에서, UI장치(18)는, 도 30(b)에서 나타낸 동작모드 선택표시화면(330)을 표시한다.
스텝 1304(S1304)에서, CPU(202)는 동작모드 선택표시화면(330)에 표시된 디폴트모드(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버튼(332) 또는 동작모드 1 내지 5(그 밖의 복수의 동작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키버튼(3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종료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어느 하나의 키버튼(332 또는 334)을 선택하는 입력이 종료되었을 경우, S1306 처리로 진행하고,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을 경우, 처리 사용자가 동작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1306(S1306)에서, CPU(202)는 동작모드 선택표시화면(330)의 디폴트모드가 선택되었는지 또는 동작모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한다. 디폴트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S1318 처리로 진행하고, 동작모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경우, S1314 처리로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최초부터 인식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동작모드 선택표시화면에서 동작모드 1 내지 5를 선택한 경우, S1308, S1310 및 S1312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스텝 1308(S1308)에서, UI장치(18)는 도 31(a)에 나타낸 주의환기화면(440)을 표시한다. 주의환기화면(440)은, 예를 들면, 모드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이동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메시지(442)와 사용자가 통지메시지(442)를 인식했을 때 누르는 확인버튼(444)를 포함한다. CPU(202)는 사용자가 주의환기화면(440)의 확인버튼(444)을 눌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확인버튼(444)이 눌러졌을 경우, S1310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1310(S1310)에서, UI장치(18)는 도 31(b)에 나타낸 계속확인화면(450)을 표시한다. 계속확인화면(450)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동등의 수준을 보장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확인 메시지와, 사용자가 주의 사항을 인식한 상태에서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예(YES)버튼(454)과, 사용자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의 이동을 거부하기 위한 아니요(NO)버튼(456)을 포함한다.
스텝 1312(S1312)에서, CPU(202)는 도 31(b)에 나타낸 계속확인화면(450)에 표시된 버튼 중에서, 예버튼(454)이 눌러지거나, 아니요버튼(456)이 눌러지는 것을 판별한다. 예버튼(454)이 눌러졌을 경우, S1314 처리로 진행하고, 아니요버튼(456)이 눌러졌을 경우, S118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1314(S1314)에서, UI장치(18)는 도 31(c)에 나타낸 동작모드 선택화면(460)을 표시한다. 동작모드 선택화면(460)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복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버튼(462a ~ 462e)과, 선택된 동작모드로 이동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버튼(464)을 포함한다.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로 해도 좋다. CPU(202)는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버튼을 선택하면, 버튼 부분의 표시 농도를 증가시켜 버튼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한다.
스텝 1316(S1316)에서, CPU(202)는 동작모드 선택화면(460)에 표시되는 동작모드(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복수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되었을 때 결정버튼(464)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되고, 결정버튼(464)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S1318 처리로 진행하고, 결정버튼(464)가 눌러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은 사용자가 동작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1318(S1318)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모드이력(270)을 선택된 동작모드로 갱신(겹쳐쓰기 포함)한다.
스텝 400(S400; 도 22)에서, UI장치(18)는 도 30(a)에 나타낸 동작모드 선택화면(320)을 표시한다.
스텝 402(S402)에서, CPU(202)는 동작모드 선택표시화면(320)에 표시된 디폴트모드(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버튼(322) 또는 그 밖의 동작모드를 지정하는 키버튼(3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키버튼(322, 3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S404 처리로 진행하고,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가 동작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404(S404)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모드이력(270)을 S402에서 선택된 동작모드로 갱신(겹쳐쓰기)한다.
스텝 118(S118; 도 19)에서, CPU(202)는 최신의 각 동작모드이력(270)에 포함되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인쇄준비를 수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1312에서, 품질보증 외에 인쇄를 계속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아니요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는, CPU(202)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가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S118의 인쇄준비에 있어서, UI장치(18)는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또는 순정품 이외의 것 중 어느것인지를 표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 UI장치(18)는 도 32(a) 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 UI장치(18)는 도 32(b)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202)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인쇄가능상태에 있는 것에 더하여 어느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는지 또는 어느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UI장치(18)에 표시시킨다.
S118의 인쇄준비 종료 후에,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서 인쇄가 실행되고 있을 때에는, 도 32(c)에 나타낸 화면이, 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2)에 표시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서 인쇄가 실행되고 있을 때에는, 도 32(d)에 나타낸 화면이 마찬가지로 표시된다. CPU(202)는 동작모드와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관한 데이터를, 네트워크(3)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에 출력하고, 호스트 장치(2)가 동작모드와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재 장착되어 있는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는 주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UI장치(18)를 동작시킴으로써 표시모드의 선택을 개시하기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1500(S1500; 도 29)에 있어서, UI장치(18)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는 상이한 동작모드로 제어되는 경우에, 도 32(b) 및 도 32(d)에 나타낸 부가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하기위한 표시있음 버튼(472)과,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 부가메시지를 표시 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하기위한 표시없음 버튼(474)를 포함하는 표시선택화면(470)을 표시한다.
스텝 1502(S1502)에서, CPU(202)는 표시선택화면(470)에 표시되는 표시있음 버튼(472) 또는 표시없음 버튼(474)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S1504 처리로 진행하고, 어느 하나의 표시방법을 지정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가 표시방법을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1504(S1504)에서, CPU(202)는 표시선택화면(470)에서 표시있음 버튼(472)이 눌려지면, 순정품 카트리지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32(b) 및 도 32(d)에 나타낸 부가메시지를 UI장치(18)에 표시하도록 표시방법을 변경한다. 또한, CPU(202)는 표시선택화면(470)에 표시있음 버튼(474)이 눌려지면, 순정품 카트리지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로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도 도 32(a) 및 도 3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가메시지를 UI장치(18)에 표시하지 않도록 표시방법을 변경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가능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동작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화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든 교환가능 유닛이 순정품인 경우에는,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로만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동작모드를 제한 하고, 사용자가 잘못하여 화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을 경우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음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 교환유닛을 올바로 인식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예는, 안내 정보표시를 호스트 장치(2)에 대해 수행하고, 호스트 장치(2)로부터 동작모드 변경요구를 받아 들인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갖고 있는 프로그램영역(234)에는 웹서버(WWW서버 또는 http서버라고도 함)가 더 포함되어 있다. 웹서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호스트 장치(2)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호스트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2)는 CPU(402) 및 메모리(404)를 포함하는 본체(400), 액정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 마우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표시/입력장치(410), HDD/CD장치 등의 기록장치(408) 및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406)를 갖고 있다. 즉, 호스트 장치(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이 가능한 일반적인 컴퓨터로서의 구성부를 포함한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호스트 장치(2)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부)(422), 프린터 드라이버(424), 웹브라우저(426) 및 네트워크 통신제어부(428)을 갖는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은, 예를 들면, 기록매체(412)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의 기록장치(408)에 공급되고, 메모리(404)에 로드되어 실행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은 호스트 장치(2)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열람기능 및 설정변경기능을 제공하고,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내진 메시지를 표시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에서, UI부(422)는 표시/입력장치(410)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을 받아들이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의 각 구성 부분의 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UI부(422)는 프린터 드라이버(424) 또는 웹브라우저(426)이 네트워크(3)을 통하여 받는 데이터를 사용자에 대해 표시한다.
프린터 드라이버(424)는 호스트 장치(2)의 사용자에게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열람기능 및 설정변경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424)는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 메시지 통지기능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은 프린터 드라이버(424)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포함해도 좋다.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특정의 화상 형성 장치에 특정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의 상태열람기능 및 설정변경기능 등을 갖는 것이다.
웹브라우저(426)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동작하는 웹서버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의 사용자에게,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열람기능 및 설정변경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통신제어부(428)은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3)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10)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도 34는 화상 형성 장치(10)과 호스트 장치(2)와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통신 순서(sequence)도(S1060)이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1600(S1600)에서, CPU(202)는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도 31(a)에 나타낸 주의환기화면(440)에 관한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에 출력하고 안내 정보표시를 개시한다. 호스트 장치(2)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0)이 데이터를 받고, 주의환기화면(440)을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한다. 이 주의환기화면(440)이 표시된 이후에는, S1030에 나타낸 처리와 동등한 안내표시처리가 화상 형성 장치(10)와 호스트 장치(2) 간에 수행된다.
스텝 1602(S1602)에서,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을 이용하여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호스트 장치(2)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선택된 동작모드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CPU(202)는 호스트 장치(2)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근거하여, 선택된 동작모드로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텝 1604(S1604)에서,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에 인쇄요구를 출력한다.
스텝 1606(S1606)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32(c) 및 도 32(d)에 나타낸 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에 출력하고, 호스트 장치(2)는 이 화면을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의 표시/입력장치(410)에 표시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순정품 이외의 것인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입력장치(410)을 이용하여,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모드와 다른 복수의 동작모드로부터 하나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웹브라우저(426)을 이용하여 동등한 화면으로 동작모드를 변경하고, 표시방법을 변경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동작모드 등을 변경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은 변경 후의 동작모드 등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순정품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도, 사용자의 편리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사용자는 순정 교환유닛 이외의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음을 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2)

  1.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순정품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패턴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수단에서의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 상기 교환유닛이 장착되었을 때부터 측정 및/또는 측량된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복수의 표시패턴으로부터 표시패턴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순정품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패턴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표시패턴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는
    순정품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교환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7.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순정품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 다르며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동작가능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화질 또는 성능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비해 떨어질 경우가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제어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제어하고 있는 경우,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상기 교환유닛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을 작동시킬지 아닐지를 선택하는 표시/비표시(non-display)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순정품인 교환유닛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순정품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 다르며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이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교환유닛의 교환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작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한 때에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교환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화상 형성 장치와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유닛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상기 교환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순정품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제1 동작모드와, 이 제1 동작모드와 다르며 순정품 이외의 것인 교환유닛에 대응한 그 밖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며,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도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화질 또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그 밖의 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화질 또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을 작동시킬 것이지의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미표시(display/non-display)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14564A 2004-05-17 2005-02-22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교환유닛을 갖는 화상형성 시스템 KR100695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6142A JP4561966B2 (ja) 2004-05-17 2004-05-17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146144A JP4729867B2 (ja) 2004-05-17 2004-05-17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JP-P-2004-00146142 2004-05-17
JPJP-P-2004-00146144 2004-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72A KR20060043072A (ko) 2006-05-15
KR100695790B1 true KR100695790B1 (ko) 2007-03-15

Family

ID=3530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64A KR100695790B1 (ko) 2004-05-17 2005-02-22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교환유닛을 갖는 화상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06524B2 (ko)
KR (1) KR100695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311B1 (ko) * 2017-08-29 2019-02-27 (주)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이송벨트의 청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835A1 (en) * 2004-05-17 2005-11-17 Fuji Xerox Co., Ltd. Image formation apparatus to which replacement unit is attached and image formation system
EP1598708A3 (en) * 2004-05-17 2012-04-1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326736A (ja) * 2004-05-17 2005-11-24 Fuji Xerox Co Ltd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システム
JP4906354B2 (ja) 2006-01-17 2012-03-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該画像形成装置の消耗品に係る出力の設定方法
JP5011730B2 (ja) * 2006-01-18 2012-08-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サブユニットの交換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保守方法
JP4186126B2 (ja) * 2006-12-26 2008-1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84367B2 (ja) * 2007-01-12 2009-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14123B2 (ja) * 2007-07-24 2013-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装置制御システム
KR101041137B1 (ko) * 2009-03-25 2011-06-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방법
JP2010266588A (ja) * 2009-05-13 2010-11-25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778933B2 (ja) * 2011-01-28 2015-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08661B1 (en) 2014-10-17 2019-05-29 SOC Corporation Image forming device, exchange un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change unit
JP6629033B2 (ja) 2015-10-09 2020-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廃トナー検出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6756984B2 (ja) * 2017-02-21 2020-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65694B2 (ja) 2017-11-06 2021-11-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10034434A (ko) 2019-09-20 2021-03-3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비정품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581A (ja) * 1999-03-30 2000-10-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20010067327A (ko) * 1999-10-15 2001-07-12 미다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및 현상제 잔량 표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088A (en) 1989-04-20 1990-10-02 Xerox Corporation Monitor/warranty system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machines using replaceable cartridges
JPH06149051A (ja) 1992-11-08 1994-05-27 Ricoh Co Ltd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該容器又は該カートリッジの再利用判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33528A (ja) 1996-11-05 1998-05-22 Omron Corp 純正交換部品消耗状態識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6396B2 (ja) 1999-09-30 2003-12-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不適正カートリッジの検出方法及び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581A (ja) * 1999-03-30 2000-10-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20010067327A (ko) * 1999-10-15 2001-07-12 미다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및 현상제 잔량 표시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67327 *
1228458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311B1 (ko) * 2017-08-29 2019-02-27 (주)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이송벨트의 청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06524B2 (en) 2007-04-17
KR20060043072A (ko) 2006-05-15
US20050254833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79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교환유닛을 갖는 화상형성 시스템
KR100692460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JP4650780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766365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KR100690534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
KR100690537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692464B1 (ko)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0690535B1 (ko) 교환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KR100628905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690536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JP4561966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2448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535244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692917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729867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2672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4735799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26739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34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38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28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41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25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5326726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