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733A -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733A
KR20060015733A KR1020057022128A KR20057022128A KR20060015733A KR 20060015733 A KR20060015733 A KR 20060015733A KR 1020057022128 A KR1020057022128 A KR 1020057022128A KR 20057022128 A KR20057022128 A KR 20057022128A KR 20060015733 A KR20060015733 A KR 2006001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ter
supply
discharge
beverag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8120B1 (ko
Inventor
유지 미즈노
히로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물 필터에 의하여 여과한 물을 희석수나 탄산수로서 액체 원료와 함께 음료로서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 본체에 있어서, 한 번 음료가 공급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음료 공급을 위하여 선택 버튼을 눌러도 음료를 공급할 수 없게 하였다. 이 상태로 오프닝 스위치를 투입하면, 체류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물의 배출 완료 후에 음료의 공급 금지를 해제한다.
음료 공급 장치, 음료 공급 금지 수단, 물 여과 수단, 물 배출 수단, 오프닝 스위치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DEVICE AND METHOD OF SUPPLYING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적어도 물 등의 희석액을 이용하여 액체 원료를 희석하여 음료로서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디스펜서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면 쥬스용 시럽 등의 액체 원료를 판매 직전에 희석수 또는 탄산수와 혼합하여 음료로서 공급하는 장치이다. 탄산계 음료로 하려면 희석수에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수로 만들고, 이것을 시럽과 혼합하도록 한다.
음료 공급 장치에서 대형 저장탱크를 거쳐 수도물을 공급하면, 대형 저장탱크 내에 수도물이 장시간 체류하여 체류수의 염소 농도가 감소하게 되고, 일반 수도물 보다 세균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음료 공급 장치에서 소형 저장탱크를 이용하고, 동시에 사용하는 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탱크 내에 활성탄 필터 등을 배치하여, 염소 등을 제거해왔다.
그러나, 염소를 활성탄 필터로 제거하면 미생물의 살균 작용이 없어지기 때문에, 활성탄 필터를 통과하여 염소가 제거된 정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는 활성탄 필터에서부터 하류의 물 라인(탄산음료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탄산수 공급 라인도 포함한다)에서 미생물이 증식한 비위생적인 물이 음료용으로 제공될 가능성도 있었다. 또한 비위생적이라고 까지는 할 수 없지만, 맛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음료 공급 장치는 아니지만, 정수장치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급수되지 않았을 때, 그 후 꼭지를 틀면, 정수기의 2차측에 직접 연결된 바이패스 관로를 통과하게 하여 살균 세정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63638호 참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이 문제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책을 실시한 것은 없었다.
종래의 대책으로서는 개점 준비시에 음료 공급 장치의 전원을 넣은 후, 먼저 음료를 수동으로 배출하는 방법이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체류된 물을 음료로서 방출하여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세균의 증식 가능성이 낮은 시럽도 음료로서 폐기하게 되어, 폐기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개점 중이라도 장시간에 걸쳐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장시간 물이 체류하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활성탄 필터의 구조에 따라서는 활성탄 필터 내부에서 균이 증식할 우려가 있고, 활성탄 필터 내의 체류수도 위생면에서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장시간 체류한 물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배출 여부는 음료 공급 장치의 사용자의 판단에 맡겨져 있어 배출시키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 고, 배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배출함으로써 음료가 필요없이 낭비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음료 공급이 소정 시간 이상 연속하여 정지되었을 경우에는 음료 공급 장치에 체류하고 있는 물을 확실히 배출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과한 물을 음료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음료 공급 장치 또는 음료 공급 방법에 있어서, 소정 시간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음료의 공급을 금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체류한 물을 배출하는 시기를 사용자에 확실히 전할 수 있고, 또한 체류수를 잘못하여 음료로서 사용하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의 공급이 금지되어 있을 때, 수동에 의하여 체류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음료 공급 장치의 관리자가 배수 동작을 의식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배수를 잘못하여 음료로 사용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체류수의 배출 완료 후에 음료의 공급 금지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체류수를 일부라도 포함한 물은 거의 모두 배출되어 신선한 물로 교체된 후, 판매 가능 상태로 되므로, 위생면에서 걱정이 없고, 풍미를 해칠 것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연속하여 음료의 공급이 정지되고, 희석수 등의 급액관에 체류된 물에 미생물이 증식하였을 경우에도, 그러한 체류수를 폐기하고, 신선한 정수로 교체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음료를 공급할 수 있어 위생적인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장치에는 음료가 공급되지 않는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음료 공급 금지까지의 시간을 잴 수 있다. 이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공급 금지에 이르는 계속 시간은 장치 구성이나 배관 길이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류된 물을 배출할 시기를 관리자 등에게 확실하게 전할 수 있고 체류수를 음료로서 사용하는 일도 없다.
또한, 수동으로 배수 조작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배수조작을 의식적으로 실시하고, 잘못하여 배수를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체류수를 신선한 정수로 치환하여 음료로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의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부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실시 형태의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부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과 공통되는 부호를 붙였다.
도 1에 있어서, 100은 음료 디스펜서 본체이며, 예를 들면 쥬스나 우롱차 등의 비탄산 음료 및 콜라 등의 탄산음료를 복수 종류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수도 밸브(210)를 통과한 수도물이 예를 들면 활성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물 필터 (200)를 거쳐 음료 디스펜서 본체(100)에 희석수로서 공급되어 탄산 가스 봄베(300)로부터는 탄산 가스 레귤레이터(310)를 거쳐, 탄산 가스가 음료 디스펜서 본체(100) 내의 카보네이터(17)에 공급되어 탄산수의 제조에 사용된다. 또한, 공급되는 음료의 기본이 되는 액체 원료는 음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위스키, 소주 등이어도 된다.
도 1에서는 희석수와 탄산수의 공급로만을 나타내고, 시럽 등의 음료 액체 원료의 공급로는 생략되어 있고 액체 원료를 수용하는 BIB(bag in box)도 생략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입력장치로서는 선택 패널에 배치된 선택 버튼(3), 키보드(10), 판매 가능 스위치(2), 오프닝 스위치(9)가 있고, 또한, 전원 라인으로서 메인 전원 스위치(1)가 있다. 출력장치에는 물 입구 전자 밸브(4), 물 펌프(5),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7), 희석수 전자 밸브(6), 탄산수 전자 밸브(8), 판매 가능 램프(21), 오프닝 램프(91)가 있다.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을 갖춘 제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장치로서 릴레이 회로(12)(도1)를 추가하여도 된다. 입력장치에 오프닝 스위치(9)를 구비하고 오프닝 스위치(9)의 수동 입력에 의하여, 각종 출력을 제어 가능하게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의 특징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음료의 판매에 있어서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점원이 컵(도시하지 않음)을 도 1의 판매 노즐(20) 아래의 드립 트레이(18) 상에 두고, 주문에 대응한 쥬스 등의 선택 버튼(3)을 누름으로써, 희석수, 필요하면 탄산수가 액체 원료와 함께 컵에 따라지게 된다. 여기서 선택 버튼(3)은 1개의 스위치만을 도시하였지만, 통상 판매하는 음료의 종류에 대응하여 복수의 선택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상용 전원에 접속되는 플러그(19)를 가지고, 메인 전원 스위치(1)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원 회로(11)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전원 스위치(1)은 통상 항상 투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1일의 판매 종료시에는 디스펜서 관리자 등은 판매 가능 스위치(2)를 오프(OFF)하게 된다. 판매 가능 스위치(2)는 통상 커버 내지 뚜껑으로 덮힌 채 배치되어서 잘못하여 온·오프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음료 디스펜서의 동작의 온·오프는 판매 가능 스위치(2)를 온·오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판매 가능을 나타내는 판매 가능 램프(21)는 음료 디스펜서 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일반적으로는 판매 가능 스위치(2)의 온과 함께 점등하여 판매 가능을 나타낸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판매 준비 시에 판매 가능 스위치(2)를 온으로 하여도, 판매 가능 램프(21)가 즉시 점등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판매 가능 스위치(2)는 전환 스위치며, 오프로 변환함으로써, 물 펌프(5), 희석수 전자 밸브(6),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7), 탄산수 전자 밸브(8)를 오프로 하여, 판매 불가 상태로 한다. 판매 가능 램프(21)가 소등하고 있는 이 상태에서는 음료 판매 이외의, 기기의 유지보수(maintenance)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료가 공급되지 않는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것이 특징의 하나이지만, 계속 시간의 계측 중에 판매 가능 스위치(2)가 오프되었다고 하여도, 계속 시간의 계측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하, 판매 가능 스위치(2)는 온으로서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1)가 투입되어 판매 가능 스위치(2)가 온(판매 가능 램프 21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면 탄산음료의 주문에 따라, 점원이 컵을 판매 노즐(20) 아래에 두고, 선택 버튼(3)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3)에 의하여,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 회로부(12)에 의하여 희석수를 공급하기 위한 희석수 전자 밸브(6)와 탄산수를 공급하기 위한 탄산수 전자 밸브(8)와 물 입구 전자 밸브(4)에 통전되어 각 밸브가 열린다. 동시에 물 펌프(5)가 동작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4)로부터의 물을 가압한다. 가압된 물은 냉각수가 들어간 수조(15)에 배치된 냉각 코일(16a)을 통과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물의 일부는 유량 조정기(14a)를 거쳐 희석수 전자 밸브(6)에 공급된다. 나머지 물은 카보네이터 급수전자 밸브(7)를 거쳐 카보네이터(17)에 보내져 탄산 가스 봄베(300)로부터의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냉각 코일(16b)을 사이에 두고 탄산수 전자 밸브(8)에 공급된다. 이 때, 보내지는 희석수 및 탄산수는 각각의 스타일량 조정기(14a, 14b)에 의하여 일정 유량으로 컨트롤되어 희석수 전자 밸브(6) 및 탄산수 전자 밸브(8)를 통과하여, 판매 노즐(20)로부터 공급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판매 노즐(20)에는 쥬스 등의 원료 액체도 동시에 공급되어 드립 트레이(18) 상의 컵(도시하지 않음)에 소망하는 탄산음료가 공급된다. 또한, 음료 공급 시간은 제어부(13)의 판매 시간 타이머 등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때, 제어부(13)에서는 상기 판매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선택 버튼(3)이 눌린 것을 검지하여 카운터를 리세트하고, 선택 버튼(3)이 눌리고 난 이후의 시간(t1)(도 2 참조)을 카운트한다. 이것은 현재의 판매로부터 다음 판매가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감시하는 것이다. 이 카운트 중에 판매 가능 스위치(2)가 오프되는 등 판매 중지 신호가 내려져 판매 중지가 되었다고 하여도, 카운트가 멈추지는 않으며, 또 리세트할 필요도 없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한편, 미리 키보드(10)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t2)(도 2 참조)이 설정되어 제어부(13)에 입력된다. 이 소정의 시간(t2)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통상 물 필터(200)를 거쳐 체류하고 있는 수중의 잡균이 증가하여 맛을 해치거나 비위생적으로 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 시간은 장치 구성이나 계절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르다. 일례로서 5시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버튼을 누른 후의 시간(t1)이 상기 설정 시간(t2)과 동일하거나 또는 길어진 시점에서, 선택 버튼(3)으로부터의 입력은 제어부(13)가 읽어들이지 않게 된다. 즉, 소정 시간 동안 음료 디스펜서 본체(100)에 의한 음료 판매가 없으면, 더 이상 음료를 판매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판매 가능 램프(21)를 소등하고, 점원 또는 관리자 등에게 판매가 불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음료의 판매를 불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전자 밸브를 폐지하여도 되고, 판매 노즐 자체 (7)를 폐지하여도 되고, 그 외 적당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므로, 희석 수중의 잡균이 증가하여 문제가 되는 시간이 지났는 데도 불구하고, 모르는 사이에 또는 잘못하여, 그 상태의 희석수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버튼(3)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된 후에는 오프닝 램프(91)의 점등에 의하여, 체류하고 있는 물의 배출이 필요한 것을 나타낸다. 관리자 또는 점원은 오프닝 램프(91)의 점등을 확인하고, 오프닝 스위치(9)를 온으로 함으로써, 체류하고 있는 희석수의 대부분이나 탄산수의 일부를 배수하고 동시에 희석수의 관로를 세정하고, 음료의 판매를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을 실시한다. 오프닝 스위치(9)는 커버나 뚜껑으로 덮어 오조작을 방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기 본체의 측면이나 배면 등 적당의 장소에 배치하여도 된다.
본 예에서는 한 번 음료가 판매되고 나서, 소정 시간을 지난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의 판매를 하지 않았던 계속 시간의 카운트는 판매 가능 스위치(2)의 온·오프와 무관하게 되므로, 통상은 이 오프닝 스위치(9)는 음료 판매의 개시 준비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많다.
즉, 음료 판매의 개시 준비시에는 결과적으로 소정 시간 연속하여 판매를 하지 않았던 상태로 되어 있고, 판매 가능 스위치(2)를 투입하여도, 판매 가능 램프가 점등하지 않고, 또한 선택 버튼(3)의 입력도 받아들일 수 없어, 판매 가능으로 되지 않는다. 이것은 오프닝 스위치(9)의 투입에 의한 오프닝 조작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고 있어 관리자는 오프닝 램프(91)의 점등을 확인하여 오프닝 스위치(9)를 온으로 하게 된다.
오프닝 스위치(9)를 온하면, 배수 신호가 출력되고, 희석수 전자 밸브(6) 및 물 입구 전자 밸브(4)가 열려, 물 펌프(5)가 동작하고, 수도물이 물 필터(200), 희석수 전자 밸브(6)를 통과하여, 체류하고 있는 물을 판매 노즐(20)으로부터 배출한다. 체류수는 제어부(13)에 입력되어 있는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만 배출된다. 이 배출 시간은 키보드(10)에 의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00)와 물 필터(200) 사이의 배관 길이에 대응하여 설정하여도 된다. 따라서, 물 필터(200)나 장치의 배관에 체류하고 있던 물은 거의 모두 배출되고, 또한 신선한 물로 세정된 후 체류수는 거의 모두 신선한 물로 교체된다. 배수시간이 끝나면, 희석수 전자 밸브(6)는 제어부(13)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폐지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는 탄산수 전자 밸브(8)를 열고, 카보네이터(17) 이후의 배관의 탄산수를 방출한다. 여기에서도, 방출 시간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제어부(13)에 의하여 관리된다. 배관 내의 탄산수의 방출과 함께, 물 펌프(5)가 동작하여, 카보네이터(17)에 여과된 새로운 물을 공급하고, 새롭게 탄산수를 배관에 보낸다. 또한, 카보네이터(17)의 탄산수는 모두 배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산수는 산성이므로 미생물의 증식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물 필터(200) 내 및 그 하류의 체류하고 있던 물은 거의 모두 배출되어 새로운 물과 교체될 수 있다. 이 물의 배수 작업에서 동시에 물 필터(200) 및 배관 등의 세정도 실행되게 된다.
배수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13)에 의하여, 선택 버튼(3)의 입력 금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판매 가능 램프(21)를 점등하고, 통상의 판매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음료 판매를 금지한 후, 디스펜서 관리자 등에 의하여, 수동으로 배수 작업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컵을 이용하는 자동 판매기에서는 컵이 배치되지 않으면 음료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음료 디스펜서는 자동 판매기와는 달리 음료 공급부가 개방상태이기 때문에, 자동적인 배수 처리에서는 배수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 인식되지 않은 채 배수를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동 조작으로 함으로써, 관리자가 자각하면서 배수작업을 실행하므로, 배수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형태의 동작 플로우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의 플로우에서는 선택 버튼(3)이 온 되는지, 또는 오프닝 조작에 의한 배수 처리가 종료되고, 판매 가능 램프(21)가 점등하고, 판매 가능한 상태에 있는 시점을 개시시점으로 한다. 소정의 시간(t2)은 이미 설정이 끝난 상태이다.
스텝 S1에서는 선택 버튼(3)이 온 되는지, 또는 배수 처리가 종료됨으로써, 카운터가 리세트되어 계속 시간(t1)를 카운트 개시한다.
스텝 S2에서는 다음의 판매를 이루어졌는 지 여부, 즉 선택 버튼(3)(선택 버튼(3)은 통상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그 중의 어느 하나가)이 눌렸는 지 여부를 감시한다. 선택 버튼(3)이 온되면 음료 판매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개시시점으로 돌아와, 스텝 1로 진행되고, 계속 시간은 리세트되어 새로운 카운트가 개시된다.
선택 버튼이 온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3에서, 계속 시간(t1)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t2)보다 작은 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은 경우에는 스텝2로 돌아가, 선택 버튼(3)을 감시하는 상태로 돌아온다. t1이 t2와 동일하거나 또는 커지면(t1≥t2), 스텝 S4에서 선택 버튼(3)으로의 온 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을 금지하고, 판매 가능 램프(21)가 소등되어 판매 중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스텝 S5에서, 관리자가 오프닝 스위치(9)를 온 함으로써, 체류하고 있는 물의 배출을 실시한다.
먼저, 스텝 S6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희석수 전자 밸브(6)및 물입구 전자 밸브(4)가 열려, 물 펌프(5)가 동작하고, 수도물이 물 필터(200), 희석수 전자 밸브(6)를 지나, 판매 노즐(20)로부터 배출된다. 소정의 시간이 지나 배출이 완료되면, 희석수 전자 밸브(6) 및 물 입구 전자 밸브(4)는 폐지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5초간 정도(타이머로 설정 가능)의 간격을 두고, 스텝 S7에서, 탄산수 전자 밸브(8)를 열고, 소정 시간, 카보네이터(l4) 내의 물을 배출시킨다. 또한, 배출된 물은 드립 트레이를 이용하여 폐기된다. 카보네이터의 방출이 끝나면, 물 입구 전자 밸브(4) 및 카보네이터 급수전자 밸브(15)가 열리고, 물 펌프(5)가 동작하고, 카보네이터(14)로 보낸 새로운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체류수가 신선한 물과 교체되는 것과 동시에, 개시시점으로 돌아와, 스텝 1로 진행되어 카운터가 리세트되고 새로운 카운트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15)

  1. 여과된 물을 음료의 일부로서 이용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음료의 공급을 금지하는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 시간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음료 공급 금지 수단에 의하여 음료의 공급을 금지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의 공급이 금지되어 있을 때, 상기 물 배출 수단을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공급 금지를 해제하는 공급 금지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 배출 수단에 의한 상기 여과된 물의 배출 완료에 연동하여 상기 음료의 공급 금지를 해제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사용하는 물을 여과하는 물 여과 수단과,
    음료의 원료가 되는 액체 원료를 공급하는 액체 원료 공급 수단과,
    상기 여과된 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액체와 액체 원료를 동시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수단과 상기 음료 공급 수단에 음료 공급 지시를 하는 음료 공급 지시 수단과,
    상기 음료 공급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 입력에 따라서 음료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음료 공급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가 없고 상기 음료 공급 수단이 음료를 공급하지 않는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계속 시간이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일 때 상기 음료 공급 수단에 의한 음료 공급을 금지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물을 사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고 상기 음료 공급 수단에 공급하는 탄산수 공급 수단을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물을 적어도 포함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음료 공급 수단에 의한 음료 공급이 금지되고 있을 때 상기 배출 수단을 수동으로 동작시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음료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하여, 상기 물 여과 수단에 물을 공급하면서 상기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수를 배출하는 음료 공급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한 상기 액체의 배출 완료에 연동하여 음료 공급 수단의 음료 공급 금지를 해제하는 음료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소정 시간 설정 수단을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하여 배출하는 배출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배출 시간 설정 수단을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11.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 연속하여 음료 공급을 하지 않은 경우에, 음료 공급 전에 체류수를 배출시켜, 필터로부터 노즐에 이르는 희석수용 경로를 새롭게 여과시킨 정수로 교체하는 수단을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12. 여과된 물을 음료의 일부로서 이용하는 음료 공급 방법으로서, 소정 시간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음료의 공급을 금지하는 음료 공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공급을 금지한 후, 수동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음료 공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음료의 공급 금지를 해제하는 음료 공급 방법.
  15.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 연속하여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필터로부터 노즐까지의 경로에 체류하는 물을 배출하는 공정과 상기 필터로부터 노즐까지의 경로를 새롭게 여과한 정수로 채우는 공정과 상기 새롭게 여과된 정수를 일부에 사용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공정을 구비한 음료 공급 방법.
KR1020057022128A 2003-06-16 2004-06-15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KR100798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1305 2003-06-16
JP2003171305A JP4549037B2 (ja) 2003-06-16 2003-06-16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733A true KR20060015733A (ko) 2006-02-20
KR100798120B1 KR100798120B1 (ko) 2008-01-28

Family

ID=3354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128A KR100798120B1 (ko) 2003-06-16 2004-06-15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49037B2 (ko)
KR (1) KR100798120B1 (ko)
CN (1) CN1806261A (ko)
TW (1) TW200520715A (ko)
WO (1) WO20041119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54B1 (ko) * 2006-11-20 2008-01-11 차승호 액상음료 배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6649B2 (ja) * 2005-11-14 2010-07-2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泡飲料販売装置
US8522668B2 (en) * 2008-08-08 2013-09-03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on demand iced tea
JP5571218B1 (ja) * 2013-03-26 2014-08-1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7960075B (zh) * 2015-05-01 2019-12-31 Ok工程有限公司 具备环流式气泡产生喷嘴的液体供给装置
JP6513007B2 (ja) * 2015-09-30 2019-05-1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の殺菌方法、及び、飲料供給装置
JP6727808B2 (ja) * 2016-01-05 2020-07-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6814059B2 (ja) * 2017-01-30 2021-01-13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N107857226A (zh) * 2017-03-25 2018-03-30 聂世林 饮料容器的温度控制方法
CN108285123B (zh) * 2017-03-25 2020-09-04 浙江聚能复合材料有限公司 多口味的饮料容器载体
EP3489199B1 (en) * 2017-11-23 2020-08-26 Riprup Company S.A. Apparatus and method for mineralizing a fluid
CN111685598B (zh) * 2019-03-12 2022-07-22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31Y2 (ko) * 1978-10-24 1986-08-12
JPS6271788U (ko) * 1985-10-17 1987-05-08
JPS6275585U (ko) * 1985-10-26 1987-05-14
JPS62211798A (ja) * 1986-03-12 1987-09-17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自動販売機用ろ過器
JPH02110689A (ja) * 1989-09-26 1990-04-23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洗浄制御装置
JPH0575887U (ja) * 1992-03-11 1993-10-15 松下冷機株式会社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洗浄装置
JPH05274544A (ja) * 1992-03-25 1993-10-22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殺菌装置
JP3130678B2 (ja) * 1992-10-05 2001-01-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池水浄化装置
US5601218A (en) * 1994-04-04 1997-02-11 Fuji Electric Co., Ltd. Fixed-quantity drink vending machine
US5556006A (en) * 1994-04-05 1996-09-17 Fuji Electric Co., Ltd. Drink supply apparatus
JPH09278091A (ja) * 1996-04-12 1997-10-28 Fuj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JP3505335B2 (ja) * 1997-01-20 2004-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H1146983A (ja) * 1997-07-31 1999-02-23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および飲料供給方法
JPH11185150A (ja) * 1997-12-22 1999-07-09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02263638A (ja) * 2001-03-14 2002-09-17 Roki Techno Co Ltd 殺菌洗浄システムを有する浄水装置
JP3815295B2 (ja) * 2001-10-29 2006-08-30 株式会社寺岡精工 浄水自動販売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54B1 (ko) * 2006-11-20 2008-01-11 차승호 액상음료 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0715A (en) 2005-07-01
WO2004111956A1 (ja) 2004-12-23
KR100798120B1 (ko) 2008-01-28
JP4549037B2 (ja) 2010-09-22
CN1806261A (zh) 2006-07-19
JP2005010862A (ja)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120B1 (ko)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US49695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ld beverage
US5108590A (en) Water dispenser
US5817231A (en) Water purifying and vending apparatus
US51159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ld beverage
US9771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US20080282897A1 (en) Programmable brewer
US8607692B2 (en) Beverage system
WO200511846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US20080277019A1 (en) Water Flavor Dispenser
KR101185212B1 (ko)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JP2005010862A5 (ko)
JP3843360B2 (ja) 浄水器付おしぼり製造機
JP2741346B2 (ja) 公営水道オンライン式ミネラル水自動販売装置及びそのミネラル水の出水方法
KR200453498Y1 (ko) 생맥주 자동판매기
JP2848421B2 (ja) 抽出濾過式飲料自動販売機
CN114468774B (zh) 一种液体供应管道的自清洁系统及液体供应设备
JP2002059161A (ja) 純水供給方法及び装置
JP3721470B2 (ja) 海水販売機
JPH03251996A (ja) 飲料自動販売機の自動洗浄制御装置
JP2740051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給水ポンプ制御装置
JPS6272100A (ja) 液体自動販売機の洗浄制御装置
JP2001067545A (ja) 飲料自動販売機
JP2874974B2 (ja) 飲料デイスペンス装置のための自動洗浄方法及び装置
KR19990017133U (ko) 음료 자동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